KR101451299B1 - 저회분 함량을 갖는 리그닌 입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저회분 함량을 갖는 리그닌 입자 - Google Patents

저회분 함량을 갖는 리그닌 입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저회분 함량을 갖는 리그닌 입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1299B1
KR101451299B1 KR1020120030548A KR20120030548A KR101451299B1 KR 101451299 B1 KR101451299 B1 KR 101451299B1 KR 1020120030548 A KR1020120030548 A KR 1020120030548A KR 20120030548 A KR20120030548 A KR 20120030548A KR 101451299 B1 KR101451299 B1 KR 101451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nin
particles
solution
solvent
lignin part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0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8800A (ko
Inventor
김영철
Original Assignee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화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30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1299B1/ko
Publication of KR20130108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88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1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1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GCOMPOUNDS OF UNKNOWN CONSTITUTION
    • C07G1/00Lignin; Lignin derivativ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3/00Pulp or paper, comprising synthetic cellulose or non-cellulose fibres or web-forming material
    • D21H13/36Inorganic fibres or flakes
    • D21H13/46Non-siliceous fibres, e.g. from metal oxides
    • D21H13/50Carbon fibr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20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 D21H17/21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of natural origin; Derivatives thereof
    • D21H17/23Ligni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pounds Of Unknown Constitu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회분 함량을 갖는 리그닌 입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저회분 함량을 갖는 리그닌 입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리그닌 용해성 용매에 리그닌을 용해시켜 리그닌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의 리그닌 용액과 리그닌 불용성 용매를 더블제트 침전방법을 이용하여 혼합시켜 리그닌 입자를 석출시키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단계 2에서 석출시킨 리그닌 입자를 회수하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회분 함량을 갖는 리그닌 입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리그닌을 리그닌 용해성 용매에 용해시켜 제조한 리그닌용액을 전단력이 인가된 더블제트 침전방법을 이용하여 리그닌 불용성 용매로 불용화 침전시켜 리그닌 입자를 미세화하여 산세정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어 리그닌 내 회분의 함량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기용매들을 사용함으로써 발생되는 폐수의 양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저회분 함량을 갖는 리그닌 입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저회분 함량을 갖는 리그닌 입자{Preparation method for low ash lignin particles and low ash lignin particles prepared thereby}
본 발명은 저회분 함량을 갖는 리그닌 입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저회분 함량을 갖는 리그닌 입자에 관한 것이다.
리그닌은 펄프 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흑액(Black Liquor) 폐수로부터 회수되어 제품화되며, 펄프 제조 공정 또는 펄프 제조 공정에서 사용하는 원료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펄프 제조 공정에서 부생되는 리그닌 또는 리그닌 유도체 제품들로는 하드우드 크라프트 리그닌(Hardwood Kraft Lignin), 소프트우드 크라프트 리그닌(Softwood Kraft Lignin), 아세틸화 리그닌(Acetylated Lignin) 및 리그닌 설포네이트(Lignin Sulfonate) 등이 있다.
리그닌 계열의 물질들은 산업분야에서 시멘트 첨가제, 사료 첨가제, 페놀계 수지 원료, 탄소섬유 전구체 원료, 탄소판 전구체 원료 및 내장재용 수지의 제조 원료 등으로 활용될 수 있으나, 상기와 같은 용도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리그닌에 함유된 무기질 성분 즉, 회분(Ash)의 함량이 적정 농도 이하로 제한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회분의 함량이 적정 농도로 조절되지 않은 리그닌 계열의 물질들을 탄소 전구체 원료로 사용하게 되면, 고온에서 탄화 및/또는 흑연화 반응을 진행할 때 회분 중에 존재하는 특정 성분들이 승화 제거되어 제조되는 목표물질의 기계적 특성과 미세 구조적 특성이 열악해질 수 있다.
특히, 탄소섬유와 같이 부피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표면적이 큰 구조의 소재로 가공될 때, 표면화학 반응에 대한 회분 내 특정 성분들의 촉매 작용이 일어나 탄화공정과 같은 고온의 열처리가 요구되는 공정에서 섬유가 소실되거나 끊어져 최종 생성물의 품질이 불량해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회분의 유래는 다양하며, 예를 들면, 상기 회분은 바이오메스(Biomass)로부터 유래된 무기원소 또는 이의 화합물; 펄핑 공정에서 사용되는 펄핑 약제, 상기 약제와 함께 도입되는 나트륨(Sodium)과 같은 무기원소 및 이의 화합물; 흑액으로부터 리그닌을 회수하기 위한 산성화(Acidulation) 침전 과정에서 도입되는 무기원소 또는 이의 화합물들에 기인한다.
또한, 리그닌이 회수되는 펄핑 공정 자체가 강산과 강염기를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조건에서 진행되므로, 산으로 인한 금속성 공정 재질의 부식 또는 알칼리 부식에 의해 리그닌에 포함되는 회분의 종류는 다양해 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펄핑 공정에서 회수되는 리그닌은 약 2 ~ 10 중량%의 회분을 포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리그닌이 산업분야에 활용되기 위해서 리그닌 내 회분의 함량을 3,000 ppm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000 ppm 이하로 조절하는 것이 요구된다.
종래 리그닌 내 회분의 함량을 조절하는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기술들이 공지되어있다.
유럽특허 PCT/EP98/06622(출원일: 1998.10.20)은 리그닌 또는 리그닌 술폰산을 함유하는 출발물질을 가열하여 원하는 물질을 증발시켜서 리그닌 및/또는 리그닌 술폰산을 사용하여 페놀, 알데히드, 에스테르 및/또는 케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특허문헌 1). 상기 발명에서는 산성, 중성과 같은 특정환경에서 특정 온도로 증발시킴으로써 리그닌 내 회분 중 특정 성분을 추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리그닌 내의 전체 회분의 함량을 줄이기 위해서는 산성, 중성 및 염기 등 특정환경 조건을 달리하고, 열처리 온도를 각각 조절해야 함으로써 리그닌 내 총 회분의 함량을 줄이는 데 한계를 가진다.
대한민국등록특허 특10-0977721호(출원일: 2010.01.25)는 바이오메스 전처리를 위한 순환식 리그닌 침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 말하면 목질계 바이오메스를 1 ~ 30 중량 % 범위의 암모니아수와 접촉시켜 리그닌을 추출시킨 후, 상기 암모니아수 풍부 리그닌 추출액을 30 ~ 170 ℃의 온도로 가온시켜 리그닌을 침출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특허문헌 2). 하지만, 상기 발명은 종래 공지된 방법보다 적은 용매를 사용하여 목질계 바이오메스로부터 리그닌을 얻을 수 있으나, 상기에서 제조되는 리그닌은 회분의 함량이 별도로 조절하는 공정이 포함되어 있지 않으므로, 제조되는 리그닌의 순도를 장담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1-0116604호(출원일: 2010.04.19)는 탄소섬유용 리그닌계 복합전구체 및 상기 전구체를 이용한 리그닌계 탄소섬유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특허문헌 3). 상기 발명에서 탄소섬유용 리그닌계 복합전구체를 준비하는 데 있어서, 상기 리그닌 종류에 따라 황산 또는 에탄올을 용매로 사용하여 불용성 리그닌을 침전시켜 정제하지만, 상기에서 공정에서 사용되는 용매들은 일회성으로 재활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리그닌 중 회분의 함량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연구하던 중, 리그닌을 리그닌 용해성 용매에 용해시켜 리그닌용액을 제조하고 이를 리그닌 불용성 용매와 함께 전단력이 인가된 더블제트 침전방법을 이용하여 불용화침전시키는 방법은 리그닌 입자를 미세화시켜 산세정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어 리그닌 내 회분의 함량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기용매들을 사용함으로써 발생되는 폐수의 양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GE, PCT/EP98/06622(출원일:, 1998.10.20) KR 10-0977721호 B1 (출원일: 2010.01.25) KR 10-2011-0116604 A(출원일: 2010.04.19)
본 발명의 목적은 저회분 함량을 갖는 리그닌 입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되는 저회분 함량을 갖는 리그닌 입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리그닌 용해성 용매에 리그닌을 용해시켜 리그닌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의 리그닌 용액과 리그닌 불용성 용매를 더블제트 침전방법을 이용하여 혼합시켜 리그닌 입자를 석출시키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단계 2에서 석출시킨 리그닌 입자를 회수하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회분 함량을 갖는 리그닌 입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회분 함량을 갖는 리그닌 입자의 제조방법은 리그닌을 리그닌 용해성 용매에 용해시킨 리그닌용액을 전단력이 인가된 더블제트 침전방법을 이용하여 리그닌 불용성 용매로 불용화 침전시켜 리그닌 입자를 미세화하여 산세정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어 리그닌 내 회분의 함량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기용매들을 사용함으로써 발생되는 폐수의 양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회분 함량을 갖는 리그닌 입자 제조방법을 도식화한 것이다.
본 발명은;
리그닌 용해성 용매에 리그닌을 용해시켜 리그닌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의 리그닌 용액과 리그닌 불용성 용매를 더블제트 침전방법을 이용하여 혼합시켜 리그닌 입자를 석출시키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단계 2에서 석출시킨 리그닌 입자를 회수하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회분 함량을 갖는 리그닌 입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저회분 함량을 갖는 리그닌 입자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리그닌 용해성 용매에 리그닌을 용해시켜 리그닌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의 리그닌 용액과 리그닌 불용성 용매를 더블제트 침전방법을 이용하여 혼합시켜 리그닌 입자를 석출시키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단계 2에서 석출시킨 리그닌 입자를 회수하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회분 함량을 갖는 리그닌 입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저회분 함량을 갖는 리그닌 입자의 제조방법을 각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회분 함량을 갖는 리그닌 입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은 리그닌 용해성 용매에 리그닌을 용해시켜 리그닌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리그닌 용액 제조시 사용되는 리그닌의 원료물질로는 하드우드 크라프트 리그닌 또는 소프트우드 크라프트 리그닌과 같은 리그닌 자체를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리그닌을 함유하는 원료로서 흑액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리그닌 용액은 상기 리그닌 원료물질을 리그닌 용해성 용매에 용해시켜 제조한다. 상기 리그닌 용해성 용매로는 디메틸설폭사이드, 디메틸 포름아마이드, 퍼퓨릴알코올;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과 같은 C1 ~ C4의 알코올; 부탄디올, 펜탄디올, 헥산디올과 같은 C2 ~ C7의 디올; 글리세롤과 같은 C3 ~ C7의 트리올; 옥살산, 말로닉산, 숙신산, 글루타릭산, 아디픽산과 같은 C2 ~ C10의 다가 카르복실산;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한 극성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리그닌 용액 제조시 사용되는 리그닌 용해성 용매의 종류에 따라 리그닌 용액의 총 중량에 대한 리그닌의 적정함유량은 달라질 수 있다.
리그닌 원료물질을 에탄올 가용 부분(ethanol-soluble fraction)을 분별하여 에탄올 용매로 용해시키는 경우에는, 리그닌 용액의 총 중량에 대하여 리그닌 원료물질이 1 ~ 4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15 ~ 3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때, 리그닌 원료물질이 리그닌 용액의 총 중량에 대하여 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정제된 리그닌의 생산량 대비 처리해야하는 용액의 부피가 과도하게 커져 효율적이지 않은 문제가 있고, 4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원료 공급 라인에서 침전물이 생성될 수 있고, 공급 용액의 점도가 증가하여 펌핑 공급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으며, 제트 노즐에서의 침전속도가 과도하게 빨라져서 회분을 제거하기 어려워질 수 있고, 침전조에서 침전된 고형분의 함량이 과도하게 증가하여 더블제트 침전 효과에 의한 회분 함량의 저감 효과가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리그닌 원료물질을 디메틸설폭사이드 또는 디메틸포름아마이드 용매로 용해시키는 경우에는, 리그닌 용액의 총 중량에 대하여 리그닌 원료물질이 1 ~ 3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10 ~ 2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리그닌 원료물질이 리그닌 용액의 총 중량에 대하여 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정제된 리그닌의 생산량 대비 처리해야하는 용액의 부피가 커져 효율적이지 않은 문제가 있고, 3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공급용액의 점도가 증가하여 공급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고, 공급 라인에서의 침전물이 생성될 수 있으며, 더블제트 침전에 의한 리그닌 내 회분 함량의 저감 효과가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상기 리그닌 용액 제조시, 용매에 대한 리그닌의 용해도가 한계 용해도에 근접할 경우에 용액의 온도를 조절하여 용해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공정 조건에 따라 용액의 점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계 2는 상기 단계 1의 리그닌 용액과 리그닌 불용성 용매를 더블제트 침전방법을 이용하여 혼합시켜 리그닌 입자를 석출시키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저회분 함량을 갖는 리그닌 입자의 제조방법은 리그닌 중 회분의 함량을 매우 낮은 농도로 낮추기 위하여, 리그닌을 용해시키는 공정과 불용화 침전시키는 공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산세정 메커니즘을 통해 리그닌 중 회분을 분리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상세히 말하면, 본 발명은 리그닌 용액과 리그닌 불용성 용매를 서로 접촉시켜 리그닌을 불용화하여 리그닌 입자를 석출시키고 이를 산 세정하여 리그닌 내 회분을 분리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상기 리그닌 불용성 용매로는 경유, 등유, 자일렌, 톨루엔, 사이클로헥산, 디메틸에테르, 사염화탄소, 클로로포름; 헥산, 헵탄, 옥탄, 데칸, 도데칸과 같은 C5 ~ C20의 직쇄 또는 측쇄 알칸; 펜탄올, 헥산올, 헵탄올, 옥탄올과 같은 C5 ~ C20의 모노알코올 등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비극성 유기용매; 농도가 0.1 ~ 5 N 이면서, 황산, 염산, 유기산 등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의 산을 포함하는 수용액; 또는 이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리그닌 불용성 용매로 상기 비극성 유기용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리그닌 용액 제조시 사용되는 리그닌 용해성 용매와의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리그닌 용액과 리그닌 불용성 용매를 서로 접촉시키는 방법으로는 더블제트 침전방법(Controlled Double Jet Precipitation, CDJP)을 사용한다.
상기 더블제트 침전방법은 두 개의 노즐의 끝이 서로 근접하도록 배치시켜 제작하며, 이를 통해 리그닌 용액과 리그닌 불용성 용매가 각각 다른 노즐을 통해 분사됨으로써, 두 흐름이 순간적으로 만나 접촉할 수 있게 되어 리그닌 용액 내의 리그닌이 미세입자로 석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더블제트 침전방법에서 리그닌 용액과 리그닌 불용성 용매는 각각 1 : 0.1 ~ 10 의 부피비로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리그닌 용액과 리그닌 불용성 용매의 공급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용액들의 혼합 농도를 조절하여 더블제트 혼합물의 과포화도를 조절할 수 있고, 다양한 침전 거동이 일어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더블제트 침전방법에서 노즐은 리그닌을 불용화 침전시키기 위한 반응침전조 내부에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반응침전조에는 필요에 따라 리그닌 입자에 대한 산세정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해 산세정액을 별도로 추가할 수 있다. 상기 반응침전조 내부에 추가되는 산세정액은 농도가 0.1 ~ 5 N 이고, 황산, 염산 및 유기산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의 산을 포함하는 수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더블제트 침전방법에서 리그닌 불용성 용매로서 산을 포함하는 수용액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산세정액으로 이와 동일한 수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반응침전조 내부에 산세정액을 별도로 추가하여 사용하고, 노즐을 통해 공급되는 리그닌 불용성 용매로 농도가 0.1 ~ 5 N 이면서, 황산, 염산 및 유기산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의 산을 포함하는 수용액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용액 모두가 비슷한 농도로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벌크 상에서 산도 충격이 필요한 경우에는 노즐을 통해 공급되는 용액의 농도 보다 높은 농도의 산을 부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더블제트 침전방법은 반응침전조 내부에 산세정액을 별도로 추가하여 벌크 흐름에서 리그닌을 불용화시키는 경우에 1000 ~ 20,000 rpm의 전단력을 인가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범위의 전단력이 인가된 더블제트 침전방법은 노즐에서 분사되는 리그닌 용액 및 리그닌 불용성 용매의 접촉분사를 통해 석출된 리그닌 입자가 다시 재응집되거나 성장되는 것을 방해할 수 있으며, 또한, 반응침전조 내에 리그닌 입자가 조대하게 석출된 경우에는 입자를 미세화시키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벌크 흐름에 전단력을 부가하는 방법으로는 로터(rotor)와 스테이터(stator)로 구성된 교반기를 사용하거나, 초음파 분쇄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분쇄기를 이용한 방법은 벌크 흐름을 초음파 분쇄 팁을 사용하여 벌크 흐름에 전단력을 부가하거나, 초음파 분쇄 팁을 사용하여 컵혼(Cup-horn)사이로 펌핑시켜 벌크흐름을 빠른 유속으로 통과시키는 방법이다.
상기 더블제트 침전방법은 반회분식 또는 연속식 운전이 모두 가능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더블제트 침전방법에 전단력을 인가시킴으로써 리그닌 입자의 입경의 크기를 미세하게 형성시켜, 리그닌 입자의 산세정액과 접촉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어, 리그닌 내 회분의 함량을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의 리그닌 입자의 회수 단계는 통상적인 침전물의 회수방법을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리그닌 입자를 여과하는 단계와 리그닌 입자를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여과 단계는 필터박스(filter box), 벤트리 스크러버(Venturi Scrubber) 형태의 고액 분리 장치, 원심력을 활용하는 고액 분리 장치, 정체 후 분리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단계 2에서 석출된 리그닌 입자를 여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라인필터를 이용하여 리그닌 입자를 여과하는 경우에는, 라인필터에 의해 여과된 리그닌 입자가 라인필터 상에 존재하게 되므로, 한 번 라인필터를 설치하게 되면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리그닌 입자를 여과하는 단계에서 여분의 대기 라인필터를 설치하고 걸러진 리그닌 입자를 세척액으로 역세척하면서 라인필터를 재생하여 산 세척된 리그닌 입자를 회수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계 3에서 리그닌 입자를 회수하기 전에 초음파 진동을 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초음파 진동은 5 초 ~ 3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초음파 진동은 용액 내 형성된 리그닌 입자가 서로 결합하여 입자 크기가 성장하는 것을 방지하여, 리그닌 입자에 대한 회분의 제거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저회분 함량을 갖는 리그닌 입자의 제조방법은 공정 수행시 사용된 유기용매를 분리회수하여 재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단계 3에서 리그닌 입자가 분리된 여액은 기액분리, 액액분리 및 고액분리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순수한 유기용매로 분리되어 공정에 재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된 유기용매에 조합에 따라 여액으로부터 유기용매를 회수하는 방법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여액이 액체 간에 층 분리 현상이 일어나는 경우에는, 디켄터(Decanter) 또는 혼합-정체조(mixer-settler)를 이용하여 일차적으로 분리한 후, 이를 상압 또는 감압조건에서 각각 비점차이에 따라 증류함으로써 순수한 유기용매 성분으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여액을 냉각시켜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에서 결정화되는 물질을 여과하여 유기용매를 분리하는 방법인 고액 분리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를 회수하는 방법은 본 발명의 공정에서 사용된 유기용매의 물성차이에 의존하므로, 상기에서 언급한 방법 외에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공정 수행시 사용되는 산을 포함하는 수용액, 산세정액은 필요에 따라 상기 유기용매를 회수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정제하여 재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세정단계는 농도가 0.1 ~ 5 N 이면서, 황산, 염산 및 유기산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의 산을 포함하는 수용액 또는 증류수를 사용하여 여과된 리그닌 입자를 세정함으로써, 리그닌 입자 중 회분의 함량을 줄일 수 있다. 상기 리그닌 입자 세정시 사용되는 산세정액은 본 발명에 따른 리그닌 불용성 용매로 사용되는 산성용매의 종류와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저회분 함량을 갖는 리그닌 입자의 제조방법은 필요에 따라 반복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공정을 반복수행하는 경우 리그닌 내 회분의 함량을 더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도 1은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더블제트 침전 방법을 도식화한 것이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리그닌 또는 흑액은 용기(1)에 공급되어 리그닌 용해성 용매(16)와 혼합되고, 상기 혼합된 리그닌 용액은 공급펌프(2)를 통해 노즐(6)에 공급된다. 또한, 리그닌 불용성 용매(15)는 용기(3)에 공급되어 공급펌프(4)를 통해 노즐(6)에 공급된다. 상기 노즐(6)은 끝이 근접하도록 배치되어 반응침전조(5) 내에 위치하며, 상기 반응침전조(5) 내에 산세정액(9)이 별도로 채워져 있는 경우에는 노즐(6)이 반응침전조(5)내 산세정액에 잠기도록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침전조(5)에 공급되는 리그닌 용액과 리그닌 불용성 용매는 각각 서로 다른 노즐(6)을 통해 공급되며, 상기 노즐(6)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 내부에 미세 유로를 구멍 형태로 뚫어 가공하여 제작되거나, 1/32 ~ 1/8 in. 범위의 입경을 갖는 튜브를 이용하여 각각의 튜브 끝이 서로 근접하도록 배치하여 고정시켜 상기 두 유체의 흐름이 근접한 위치에서 만나도록 제작될 수 있다. 반응침전조(5) 내에는 벌크 흐름상에 전단력을 부가하기 위하여 교반기(8)를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노즐(6) 및 교반기(8)는 리그닌 용액과 리그닌 불용성 용매의 두 흐름이 반응침전조(5) 내에서 순간적으로 만나 접촉한 후 격렬하게 교반되어 벌크 흐름에 희석될 수 있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침전조(5) 내에서 불용화 침전된 리그닌 입자를 포함하는 용액은 배출펌프(10)를 통해 여과기(12)로 이동하고, 일부 용액은 재순환(11)되어 반응침전조(5)에 다시 공급된다. 상기 여과기(12)를 통해 여과된 리그닌 입자들은 세정기(13)를 거쳐 저회분 함량을 갖는 리그닌 입자(19)로 제조된다. 상기 리그닌 입자가 걸러진 여액(17) 및 상기 세정기(13)에서 리그닌 입자 세정시 사용된 세정액(18)은 모두 유기용매분리회수장치(14)로 이동하여 액액분리, 고액분리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순수한 용매로 정제되어 리그닌 불용성 용매(15)는 용기(3)에 다시 공급되어 재사용되며, 리그닌 용해성 용매(16)는 용기(1)에 다시 공급되어 재사용된다. 또한, 상기 유기용매분리회수장치(14)에서 순수용매로 회수되지 않은 폐수(20)는 방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저회분 함량을 갖는 리그닌 입자의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리그닌 입자는 회분의 함량이 800 ~ 1300 ppm 이고, 수평균 입경이 100 ㎚ ~ 6 ㎛으로 조절된다. 따라서, 상기 리그닌 입자는 페놀계 수지 원료, 탄소섬유 전구체 원료, 탄소판 전구체 원료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리그닌 입자는 회분이 효과적으로 제거됨으로써, 이로부터 제조되는 탄소섬유는 종래 탄화수소계 고분자를 이용하여 제조된 탄소섬유와 동등한 품질을 가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저회분 함량을 갖는 리그닌 입자의 제조 1
하드우드 크라프트 리그닌(회분 함량: 27000 ppm) 200 g을 디메틸술폭사이드 용매 800 g에 용해하여 리그닌 용액(리그닌함량: 20 중량%)을 제조하였다.
상기 리그닌 용액과 사이클로헥산 용매를 노즐에 각각 공급하여 더블제트 침전방법을 이용하여 리그닌 미세입자를 제조하였고, 상기 더블제트 침전방법의 수행조건은 하기와 같다.
(더블제트 침전방법의 수행조건)
공급비(부피비): 리그닌용액 : 디메틸술폭사이드 = 1 : 3
반응침전조 내 산세정액 : 3 N 염산 수용액
반응침전조 내 교반조건 : 호모게나이저 사용, 3000 rpm
세정조건 : 1 N 염산 수용액 1회, 증류수 2회
< 실시예 2> 저회분 함량을 갖는 리그닌 입자의 제조 2
소프트우드 크라프트 리그닌을 에탄올에 용해하여 에탄올 가용성분만을 추출분리하여 리그닌 시료(회분 함량: 8000 ppm)를 얻은 후, 상기 리그닌 시료 300 g을 에탄올 700 g에 다시 재용해하여 리그닌 용액(리그닌 함량 : 30 중량%)을 제조하였다.
상기 리그닌 용액과 3 N 농도의 황산수용액을 노즐에 각각 공급하여 더블제트 침전방법을 이용하여 리그닌 미세입자를 제조하였고, 상기 더블제트 침전방법의 수행조건은 하기와 같다.
(더블제트 침전방법의 수행조건)
공급비(부피비): 리그닌용액 : 3 N 황산수용액 = 1 : 5
반응침전조 내 산세정액 : 1 N 황산수용액
반응침전조 내 교반조건 : 호모게나이저 사용, 3000 rpm
세정조건 : 1 N 염산 수용액 1회, 증류수 2회
< 실시예 3> 저회분 함량을 갖는 리그닌 입자의 제조 3
흑액(회분 함량: 32000 ppm)과 5 N 농도의 염산수용액을 노즐에 각각 공급하여 더블제트 침전방법을 이용하여 리그닌 미세입자를 제조하였고, 상기 더블제트 침전방법의 수행조건은 하기와 같다.
(더블제트 침전방법의 수행조건)
공급비(부피비): 리그닌용액 : 5 N 염산수용액 = 1 : 5
반응침전조 내 산세정액 : 2 N 염산수용액
반응침전조 내 교반조건 : 호모게나이저 사용, 3000 ~ 4000 rpm
세정조건 : 1 N 염산 수용액 1회, 증류수 2회
< 실시예 4> 저회분 함량을 갖는 리그닌 입자의 제조 4
하드우드 크라프트 리그닌(회분 함량: 27000 ppm) 200 g을 디메틸술폭사이드 800 g에 용해하여 리그닌 용액(리그닌 함량: 20 중량%)을 제조하였다.
상기 리그닌 용액과 등유를 노즐에 각각 공급하여 더블제트 침전방법을 이용하여 리그닌 미세입자를 제조하였고, 상기 더블제트 침전방법의 수행조건은 하기와 같다.
(더블제트 침전방법의 수행조건)
공급비(부피비): 리그닌용액 : 등유 = 1 : 3
반응침전조 내 산세정액 : 3 N 염산 수용액
반응침전조 내 교반조건 : 호모게나이저 사용, 3000 rpm
세정조건 : 1 N 염산 수용액 1회, 증류수 2회
초음파 진동 : 3 분
< 실시예 5> 저회분 함량을 갖는 리그닌 입자의 제조 5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리그닌 입자를 리그닌 입자의 원료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한 번 더 수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리그닌 입자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6> 저회분 함량을 갖는 리그닌 입자의 제조 6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리그닌 입자를 리그닌 입자의 원료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한 번 더 수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리그닌 입자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7> 저회분 함량을 갖는 리그닌 입자의 제조 7
상기 실시예 6에서 리그닌 입자를 여과하기 전에 초음파 진동을 3 분 동안 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리그닌 입자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8> 저회분 함량을 갖는 리그닌 입자의 제조 8
상기 실시예 1에서 리그닌 입자를 여과한 후 얻은 여액을 회전증발기와 분별 증류탑을 이용하여 사이클로헥산과 디메틸술폭사이드 용매를 회수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리그닌 입자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9> 저회분 함량을 갖는 리그닌 입자의 제조 9
상기 실시예 4에서 리그닌 입자를 여과한 후 얻은 여액을 회전증발기와 분별 증류탑을 이용하여 등유와 디메틸술폭사이드 용매를 회수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리그닌 입자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10> 저회분 함량을 갖는 리그닌 입자의 제조 10
상기 실시예 2에서 리그닌 입자를 여과한 후 얻은 여액을 회전증발기와 분별 증류탑을 이용하여 에탄올을 회수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리그닌 입자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본 발명에 따른 리그닌 입자의 회분 농도 측정
리그닌 입자 내 회분을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저감시킴에 따른 리그닌 입자 내 회분의 농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ASTM D2415 방법을 이용하여 일정 중량의 리그닌 시료를 진공오븐에서 건조하여 회분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은 리그닌 시료를 진공오븐에서 건조한 뒤 잔류하는 모든 물질을 회분으로 간주하였다.
하기 표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그닌 입자의 제조 조건을 나타낸 것이고, 표 2는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리그닌 입자 내 회분의 함량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리그닌용액
리그닌 불용성
용매

공급비
반응침전조 초음파진동
(분)
원료물질 회분함량
(ppm)
리그닌 용해성
용매
산세정액 교반조건
(rpm)
실시예1 하드우드
크라프트
리그닌

27000

디메틸술폭사이드

사이클로헥산

1:3

3N
염산수용액

3000

-
실시예2 소프트우드
크라프트
리그닌

8000

에탄올

3N
황산수용액

1:5

1N
황산수용액

3000

-
실시예3 흑액 32000 - 5N
염산수용액
1:5 2N
염산수용액
3000~
4000
-
실시예4 하드우드
크라프트
리그닌

27000

디메틸술폭사이드

등유

1:3

3N
염산수용액

3000

3
실시예5 실시예1의 리그닌 900 디메틸술폭사이드 사이클로헥산 1:3 3N
염산수용액
3000 -
실시예6 실시예2의 리그닌 600 에탄올 3N
황산수용액
1:5 1N
황산수용액
3000 -
실시예7 실시예2의 리그닌 600 에탄올 3N
황산수용액
1:5 1N
황산수용액
3000 3

리그닌 회분제거율
(%)
종류 회분함량 (ppm)
초기 처리후
실시예1 하드우드 크라프트리그닌 27000 900 약 96.7
실시예2 소프트우드크라프트리그닌 8000 600 약 92.5
실시예3 흑액 32000 1200 약 96.3
실시예4 하드우드 크라프트리그닌 27000 400 약 98.5
실시예5 실시예1의 리그닌 900 300 약 66.7
실시예6 실시예2의 리그닌 600 200 약 66.7
실시예7 실시예2의 리그닌 600 100 이하 약 83.3 이상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전체적으로 원료물질로 사용된 리그닌의 회분의 함량이 본 발명의 방법을 통해 낮아졌음을 알 수 있었다.
상기 실시예 1 및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더블제트 침전방법에 인가된 교반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은 리그닌 내 회분의 함량을 1,000 ppm 이하로 낮추는 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고, 상기 실시예 5 및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동일한 공정을 반복하여 수행하더라도 리그닌 내 회분의 양이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실시예 6 및 실시예 7을 참조하면, 리그닌입자를 여과하기 전에 용액에 초음파진동을 가하는 것은 리그닌 내 회분의 양을 낮추는 데 효과가 있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상기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저회분 함량을 갖는 리그닌 입자의 제조방법은 리그닌 내 회분의 함량을 낮추는 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본 발명에 따른 리그닌 입자의 입경 측정
본 발명의 방법을 통해 제조된 리그닌 입자의 입경을 측정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리그닌 입자의 여과과정에서 멤브레인 필터 위에 희석된 리그닌 입자를 포집하여 주사전자현미경 관찰용 시편을 제작하여 관찰하였다.
하기 표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리그닌 입자의 입경을 측정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입경크기분포
실시예1 100 ㎚ ~ 1 ㎛
실시예2 200 ㎚ ~ 700 ㎚
실시예3 500 ㎚ ~ 5 ㎛
실시예4 100 ㎚ ~ 400 ㎚
실시예5 100 ㎚ ~ 1 ㎛
실시예6 100 ㎚ ~ 1 ㎛
실시예7 100 ㎚ ~ 400 ㎚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을 통해 제조되는 리그닌 입자는 대략 100 ㎚ ~ 5 ㎛ 범위의 입경 크기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리그닌 입자로부터 산 세정 메커니즘으로 회분을 제거하는 방법은 산세정액과 접촉하는 리그닌 입자의 표면적이 넓을수록 유리하므로, 리그닌 입자의 입경 크기를 감소시킬수록 산세정액과 접촉할 수 있는 리그닌 입자의 표면적이 넓어져, 회분 제거율 및 회분 제거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저회분 함량을 갖는 리그닌 입자의 제조방법은 리그닌 입자를 미세하게 제조할 수 있어, 산세정액과 접촉할 수 있는 리그닌 입자의 표면적을 넓힐 수 있으므로, 리그닌 입자 중의 회분의 함량을 낮추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본 발명에 따른 유기용매의 회수율 측정
본 발명에 따른 저회분 함량을 갖는 리그닌 입자의 제조방법의 용매의 회수율을 측정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기용매의 중량 및 회수되는 유기용매의 중량을 비교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그닌 입자의 제조 조건을 나타낸 것이고, 표 5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용매의 회수율을 나타낸 것이다.
리그닌용액
리그닌
불용성 용매

공급비
반응침전조
초음파진동
(분)
원료물질 회분함량
(ppm)
리그닌
용해성 용매
산세정액 교반조건
(rpm)

실시예8
하드우드
크라프트
리그닌

27000

디메틸술폭사이드

사이클로헥산

1:3

3N
염산수용액

3000

-

실시예9
하드우드 크라프트
리그닌

27000

디메틸술폭사이드

등유

1:3

3N
염산수용액

3000

3

실시예10
소프트우드
크라프트
리그닌

8000

에탄올

3N
황산수용액

1:5

1N
황산수용액

3000

-
회수할 유기용매 회수율(중량%)
실시예8 디메틸술폭사이드 약 95
사이클로헥산 약 95
실시예9 디메틸술폭사이드 약 97
등유 약 97
실시예10 에탄올 약 72
상기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저회분 함량을 갖는 리그닌 입자의 제조방법은 사용된 유기용매의 회수율이 높아, 종래 리그닌 입자 내 회분의 양을 저감시키기 위한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수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1 : 용기 (리그닌 용액)
2 : 공급펌프
3 : 용기 (리그닌 불용성 용매)
4 : 공급펌프
5 : 반응침전조
6 : 노즐
7 : 교반모터
8 : 교반기
9 : 산세정액
10 : 배출펌프
11 : 재순환 용액
12 : 여과기
13 : 세정기
14 : 유기용매분리회수장치
15 : 리그닌 불용성 용매(순환)
16 : 리그닌 용해성 용매(순환)
17 : 리그닌 입자가 걸리진 여액
18 : 사용된 세정액
19 : 정제된 리그닌 입자
20 : 폐수

Claims (10)

  1. 리그닌 용해성 용매에 리그닌을 용해시켜 리그닌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의 리그닌 용액과 리그닌 불용성 용매를 더블제트 침전방법을 이용하여 혼합시켜 리그닌 입자를 석출시키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단계 2에서 석출시킨 리그닌 입자를 회수하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하는 저회분 함량을 갖는 리그닌 입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의 리그닌 불용성 용매는 경유, 등유, 자일렌, 톨루엔, 사이클로헥산, 디메틸에테르, 사염화탄소, 클로로포름, C5 ~ C20의 직쇄 또는 측쇄 알칸 및 C5 ~ C20의 모노알코올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비극성 유기용매; 농도가 0.1 ~ 5 N 이면서, 황산, 염산 및 유기산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의 산을 포함하는 수용액; 또는 이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회분 함량을 갖는 리그닌 입자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리그닌 용해성 용매와 리그닌 불용성 용매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회분 함량을 갖는 리그닌 입자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의 리그닌 용해성 용매는 디메틸설폭사이드, 디메틸포름아마이드, 퍼퓨릴알코올, C1 ~ C4의 알코올, C2 ~ C7의 디올, C3 ~ C7의 트리올 및 C2 ~ C10의 다가 카르복실산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극성유기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회분 함량을 갖는 리그닌 입자의 제조방법.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의 더블제트 침전방법은 리그닌 용액 및 리그닌 불용성 용매가 각각 1 : 0.1 ~ 10 의 부피비로 노즐을 통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회분 함량을 갖는 리그닌 입자의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의 더블제트 침전방법은 1000 ~ 20,000 rpm의 교반조건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회분 함량을 갖는 리그닌 입자의 제조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에서 리그닌 입자를 회수하기 전에 초음파 진동을 5 초 ~ 3 시간 동안 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회분 함량을 갖는 리그닌 입자의 제조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에서 리그닌 입자가 분리된 용매는 기액분리, 액액분리 및 고액분리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회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회분 함량을 갖는 리그닌 입자의 제조방법.
  9. 제 1항의 방법으로 제조되며, 회분의 함량이 800 ~ 1300 ppm 이며 수평균 입경이 100 ㎚ ~ 6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회분 함량을 갖는 리그닌 입자.
  10. 제 9항의 리그닌 입자로부터 제조되는 탄소섬유.
KR1020120030548A 2012-03-26 2012-03-26 저회분 함량을 갖는 리그닌 입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저회분 함량을 갖는 리그닌 입자 KR101451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0548A KR101451299B1 (ko) 2012-03-26 2012-03-26 저회분 함량을 갖는 리그닌 입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저회분 함량을 갖는 리그닌 입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0548A KR101451299B1 (ko) 2012-03-26 2012-03-26 저회분 함량을 갖는 리그닌 입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저회분 함량을 갖는 리그닌 입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8800A KR20130108800A (ko) 2013-10-07
KR101451299B1 true KR101451299B1 (ko) 2014-10-16

Family

ID=49631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0548A KR101451299B1 (ko) 2012-03-26 2012-03-26 저회분 함량을 갖는 리그닌 입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저회분 함량을 갖는 리그닌 입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12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28419B (en) 2014-01-13 2020-04-30 Upm Kymmene Corp A method for separating a lignocellulose particle fraction and a lignin particle fraction
CN105153720B (zh) * 2015-09-30 2017-12-01 华南理工大学 一种木质素反相纳米胶体球及其制备方法与应用
AT521393B1 (de) * 2018-06-27 2021-02-15 Univ Wien Tec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Ligninpartikel im Rahmen eines kontinuierlichen Verfahren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8395A (ko) * 1990-04-12 1991-11-30 에이. 디롱 에드워드 리그닌의 제조방법
KR20110109046A (ko) * 2010-03-30 2011-10-06 한국화학연구원 알칼리 펄핑 흑액으로부터 아세틸화된 리그닌을 제조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8395A (ko) * 1990-04-12 1991-11-30 에이. 디롱 에드워드 리그닌의 제조방법
KR20110109046A (ko) * 2010-03-30 2011-10-06 한국화학연구원 알칼리 펄핑 흑액으로부터 아세틸화된 리그닌을 제조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8800A (ko) 2013-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43219B1 (en) Method for producing crude tall oil by soap washing with calcium carbonate removal
KR101451299B1 (ko) 저회분 함량을 갖는 리그닌 입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저회분 함량을 갖는 리그닌 입자
WO2011011972A1 (zh) 一种提取褐煤蜡的方法
EP3209829B1 (de) Verfahren zur fällung von lignin aus organosolv-kochlaugen
KR20190103301A (ko) 오일을 탈력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2018502599A (ja) サッカライド水溶液から固体サッカライドを生成する方法
US8871083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extracting hydrocarbons from oil sand
US9321028B2 (en) Process flow sheet for pre-treatment of high ash coal to produce clean coal
JPS6144915B2 (ko)
JP5523463B2 (ja) 石炭のテクノ−エコノミック有機精製法の開発
US9441175B2 (en) Process for production of low ash clean coal from high ash coal with total solvent recovery
WO2010052735A1 (en) A method of recovery of organic solvents required in refining of coal
CA2863487C (en) Methods for processing an oil sand slurry or a bitumen extract stream
EP3191227A1 (en) Process for recovering crude tall oil
CN115449421B (zh) 一种廉价高效的废润滑油再生预处理方法以及再生预处理剂
WO2018137794A1 (de) Extraktionsverfahren, zur behandlung eines ligninhaltigen gemischs in einer zentrifuge
CN1144865C (zh) 一种蜡膏脱油制取蜡产品的方法
US2880216A (en) Process of separating a crude composition obtained from bark into its component parts
US1904521A (en) Separation of oils from solid residues
KR102031854B1 (ko) 아임계수 유체를 이용한 하수슬러지의 액상연료 제조장치 및 방법
CN203440309U (zh) 一种软沥青净化设备
KR102250734B1 (ko) 원유 내의 유기산 및 금속의 제거 방법
WO2018037726A1 (ja) リグノアルコール-セルロース複合体の製造方法
WO2020106182A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нефтяной спекающей добавки
CA2920131A1 (en) Process of fines removal from oilsands bitum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