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1221B1 - 라디에이터 캡 - Google Patents

라디에이터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1221B1
KR101451221B1 KR1020080084120A KR20080084120A KR101451221B1 KR 101451221 B1 KR101451221 B1 KR 101451221B1 KR 1020080084120 A KR1020080084120 A KR 1020080084120A KR 20080084120 A KR20080084120 A KR 20080084120A KR 101451221 B1 KR101451221 B1 KR 101451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radiator
cooling water
protrusion
pressur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4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5398A (ko
Inventor
이종두
민은기
Original Assignee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4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1221B1/ko
Publication of KR20100025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5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1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1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P1/00 - F01P9/00
    • F01P11/02Liquid-coolant filling, overflow, venting, or draining devices
    • F01P11/0204Filling
    • F01P11/0209Closure caps
    • F01P11/0214Moun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P1/00 - F01P9/00
    • F01P11/02Liquid-coolant filling, overflow, venting, or draining devices
    • F01P11/0204Filling
    • F01P11/0209Closure caps
    • F01P11/0238Closure caps with overpressure valves or ven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P1/00 - F01P9/00
    • F01P11/02Liquid-coolant filling, overflow, venting, or draining devices
    • F01P11/0204Filling
    • F01P11/0209Closure caps
    • F01P11/0214Mounting
    • F01P2011/0228Sea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P1/00 - F01P9/00
    • F01P11/02Liquid-coolant filling, overflow, venting, or draining devices
    • F01P11/0204Filling
    • F01P11/0209Closure caps
    • F01P11/0238Closure caps with overpressure valves or vent valves
    • F01P2011/0242Closure caps with overpressure valves or vent valves setting the pressure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2050/00Applications
    • F01P2050/22Motor-c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디에이터 캡에 관한 것으로, 캡의 하단에 돌출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돌출부의 외주면에 실링부재를 삽입하여 냉각수 주입구를 밀폐함으로서, 라디에이터 캡의 구조 단순화, 구성부품의 절감, 및 기능이 향상된 라디에이터 캡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라디에이터 캡은, 라디에이터의 냉각수 주입구 입구에 고정되며, 하단에 환형의 돌출부가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캡; 상기 캡의 돌출부 내부에 삽입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을 압착시키며 상기 돌출부의 하단에 탄력을 갖도록 끼움결합되어 상기 돌출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 하로 유동되는 플레이트로 구성된 압력밸브; 상기 돌출부의 외측에 끼움되어 냉각수 주입구를 밀폐시키는 실링부재; 및 상기 압력밸브의 하단에 상, 하로 유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부압밸브;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라디에이터 캡을 구성하는 부품의 개수가 감소되고, 구조가 단순화됨에 따라 라디에이터 캡의 생산비와 제조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이 향상된다는 특유의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냉각수 주입구와 압력밸브 사이에 밀폐력이 향상되며, 구성품이 손상되었을 경우 손상된 구성품만을 선택적으로 교환할 수 있음에 따라 유지보수가 용이하다는 작용효과가 있다.
라디에이터 캡, 압력밸브, 부압밸브, 연통, 실링부재

Description

라디에이터 캡 {A CAP OF RADIATOR}
본 발명은 라디에이터 캡에 관한 것으로, 캡의 하단에 돌출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돌출부의 외주면에 실링부재를 삽입하여 냉각수 주입구를 밀폐함으로서, 라디에이터 캡의 구조 단순화, 구성부품의 절감, 및 기능이 향상된 라디에이터 캡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엔진 및 각종 발열부를 냉각시키는 냉각장치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냉각장치는 통상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워터펌프와, 엔진과의 열교환에 의해 비교적 고온 상태의 냉각수를 공급받아 외부 공기와 열교환시켜 냉각한 후에 다시금 엔진으로 공급하는 라디에이터로 이루어진다.
도 1은 일반적인 라디에이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라디에이터(190)는 상, 하측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된 한쌍의 헤더탱크(191)와, 상기 헤더탱크(191) 사이에 양단이 연결되어 냉각수 유로를 형성하는 튜브 및, 상기 튜브 사이에 개재된 방열핀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측 헤더탱크(191)에는 냉각수 주입구(170)가 형성되고 상기 냉각수 주입구(170)에는 이를 개폐하는 라디에이터 캡(110)이 구비된다.
상기 냉각수 주입구(170)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냉각수 주입구(170)를 밀폐하는 상기 라디에이터 캡(110)은 상기 냉각수 주입구(170)의 밀폐는 물론, 상기 라디에이터(190) 내부의 온도 및 압력의 변화에 따라 상기 라디에이터(190)로부터 외부로 냉각수의 배출 및 외부로부터 상기 라디에이터(190) 내부로 냉각수가 유입되도록 한다.
도 2와 3은 종래의 라디에이터 캡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라디에이터 캡(110)은 상기 라디에이터(190)의 냉각수 주입구(170) 외부에 결려 고정되는 아우터 캡(120)과, 상기 아우터 캡(120)의 아래측에 배치되어 상기 냉각수 주입구(170)의 상부 개구를 밀폐하는 이너 캡(130)과, 상기 이너 캡(130)의 아래측에 배치되어 상기 라디에이터(190) 내부의 냉각수 온도 변화에 따라 발생된 압력에 의해 상기 냉각수 주입구(170)를 개폐하는 압력밸브(140)와, 상기 압력밸브(140) 상에 설치되어 상기 라디에이터(190) 내부에 부압이 발생하게 되면 상기 라디에이터(190) 내부와 상기 냉각수 주입구(170) 측벽에 관통 형성된 통공(172) 사이에 유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부압밸브(160), 및 상기 아우터 캡(120)을 관통하여 상기 압력밸브(140)의 상부에 결합되는 헤드 캡(12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너 캡(130)은 상기 냉각수 주입구(170)의 상부 개구를 밀폐하는 가스켓(133)과, 상기 가스켓(133)을 탄성지지하는 가스켓 스프링(131)으로 이루어져 상기 냉각수 주입구(170)의 상부 개구를 밀폐한다.
상기 압력밸브(140)는 상기 냉각수 주입구(170)의 내부에 형성된 가변압 실링부(171)를 밀폐하는 링 형상의 실링부재(151)와, 상기 실링부재(151)의 내주연 일부를 고정하는 플레이트(150)와, 중공되어 상기 플레이트(150)의 상부에 배치되는 하부 리테이너(193)와, 상기 하부 리테이너(193)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이너 캡(130)의 가스켓 스프링(131) 하부에 결합된 상부 리테이너(192)와, 상기 상부 리테이너(192)의 하부와 상기 하부 리테이너(193)의 내주연을 따라 형성된 원통형의 링크(141), 및 상기 링크(141)의 외주연 배치되어 상기 상ㅇ하부 리테이너(192, 193)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149)으로 구성된다.
상기 부압밸브(160)는 상기 압력밸브(140)의 플레이트(150)와 실링부재(151)를 관통하여 상, 하로 유동(流動)되도록 설치되는 밸브스템(161)과, 상기 밸브스템(161)의 상단부를 고정하는 스탑링(162)으로 구성된다.
도 4는 종래의 라디에이터 캡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4a와 같이 상기 라디에이터 내부에 유통되는 냉각수의 온도가 상승하면 상기 라디에이터 내부에 충전된 냉각수와 공기의 체적이 증가함에 따라 압력이 증가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 라디에이터 내부에 압력이 상승하면, 상승된 압력에 의해 상기 스프링(149)에 의해 탄력 지지되는 플레이트(150)와 상기 플레이트(150)에 고정된 실링부재(151)가 상부로 밀려 올라가게 되고, 그로 인해 상기 실링부재(151)와 냉각수 주입구(170)의 가변압 실링부(171) 사이에는 냉각수 내지 공기의 유통이 가능한 공간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실링부재(151)와 상기 가변압 실링부재(171)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상기 라디에이터 내부에 충전된 냉각수 내지 공기는 상기 냉각수 주입구(170) 측부에 형성된 통공(172)을 통해 리저버 탱크(미도시)로 오버 플로우된다.
위와 같은 상기 압력밸브(140)의 작동에 의해 상기 라디에이터 내부에 압력은 감소되고, 그에 따라 상기 스프링(149)의 탄성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150)가 하강하고, 그로 인해 상기 플레이트(150) 하부에 배치된 실링부재(151)에 의해 상기 가변압 실링부(171)가 밀폐된다.
이와 반대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의 정지 또는 다른 이유에 의해 상기 라디에이터 내부에 충전된 냉각수와 공기의 온도가 저하되면 상기 라디에이터 내부에 충전된 냉각수와 공기의 체적이 감소됨에 따라 압력이 감소된다.
이처럼 상기 라디에이터 내부에 부압이 발생되면, 상기 부압밸브(160)의 밸브스템(161)은 자중과 부압의 영향에 의해 하강하여 상기 통공(172)과 라디에이터 내부에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유로를 통해 상기 리저버 탱크(미도시)에 충전된 냉각수 내지 공기는 상기 냉각수 주입구(170) 측부에 형성된 통공(172)을 통해 상기 라디에이터 내부로 유입된다.
위와 같은 상기 부압밸브(160)의 작동에 의해 상기 라디에이터 내부에 압력은 증가되고, 그에 따라 상기 밸브스템(161)은 라디에이터 내부의 압력에 의해 상승되거나 하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라디에이터 캡(1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라디에이터(190) 내부 압력이 일정압력이 이상일 경우 상기 압력밸브(140)가 개방되어 냉각수가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라디에이터 내부에 부압에 형성될 경우 상기 부압밸브(160)가 하강하여 외부로부터 냉각수가 유입된다.
여기서 상기 아우터 캡(120)과, 가스켓 스프링(131), 및 가스켓(133)은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는 상부로부터 헤드 캡(121)이 삽입된다.
이렇게 삽입된 상기 헤드 캡(121)은 상기 링크(141)의 상부에 맞닿아 결합된다.
상기 헤드 캡(121)이 상기 아우터 캡(120)과, 가스켓 스프링(131), 및 가스켓(133)을 관통하여 상기 링크(141)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아우터 캡(120)과 가스켓 스프링(131), 및 가스켓(133)은 서로 개별적으로 회전하게 되고, 그로 인해 상기 아우터 캡(120)이 상기 냉각수 주입구(170)에 걸려 고정되는 과정에서 상기 가스켓(133)이 손상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으나, 라디에이터 캡(110)을 구성하는 부품의 개수가 증가하여 라디에이터 캡의 제작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생산비가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습니다.
또한, 도 3에 참조되는 바와 같이 상기 냉각수 주입구(170)의 상부 개구를 밀폐하는 상기 가스켓(133)은 상기 가스켓 스프링(131)으로부터 전달되는 탄성력에 의해 변형이 발생하기 쉬우며, 그로 인해 상기 가스켓(133)이 냉각수 주입구(170)의 상부 개구를 완벽하게 밀폐하지 못함에 따라 제 기능을 다 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라디에이터 캡을 구성하는 부품의 개수를 절감하고, 구조를 단순화 하여 라디에이터 캡의 제조공수를 감소시켜, 제조시간 및 제조비용이 절감된 라디에이터 캡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라디에이터 캡은, 라디에이터의 냉각수 주입구 입구에 고정되며, 하단에 환형의 돌출부가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캡; 상기 캡의 돌출부 내부에 삽입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을 압착시키며 상기 돌출부의 하단에 탄력을 갖도록 끼움결합되어 상기 돌출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 하로 유동되는 플레이트로 구성된 압력밸브; 상기 돌출부의 외측에 끼움되어 냉각수 주입구를 밀폐시키는 실링부재; 및 상기 압력밸브의 하단에 상, 하로 유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부압밸브;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은 수지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돌출부의 외주연에 형성된 실링부재 삽입홈에 끼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돌출부의 외주면을 통해 끼움되어 상기 캡의 하부면과 접하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라디에이터 캡을 구성하는 부품의 개수가 감소되고, 구조가 단순화됨에 따라 라디에이터 캡의 생산비와 제조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이 향상된다는 특유의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냉각수 주입구와 압력밸브 사이에 밀폐력이 향상되며, 구성품이 손상되었을 경우 손상된 구성품만을 선택적으로 교환할 수 있음에 따라 유지보수가 용이하다는 작용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라디에이터 캡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라디에이터 캡의 제1실시예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캡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라다이에터 캡의 제2실시예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캡의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5의 라디에이터 캡의 작동상태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6의 라디에이터 캡의 작동상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라디에이터 캡(10)은 도 5 내지 8과 같이, 라디에이터의 냉각수 주입구(50) 입구에 고정되며, 하단에 환형의 돌출부(14)가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캡(10); 상기 캡(10)의 돌출부(14) 내부에 삽입되는 스프링(22)과 상기 스프링(22)을 압착시키며 상기 돌출부(14)의 하단에 탄력을 갖도록 끼움결합되어 상기 돌출부(14)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 하로 유동되는 플레이트(24)로 구성된 압력밸브(20); 상기 돌출부(14)의 외측에 끼움되어 냉각수 주입구(50)를 밀폐시키는 실링 부재(40); 및 상기 압력밸브(20)의 하단에 상, 하로 유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부압밸브(30); 로 이루어진다.
상기 캡(10)은 도 5 및 6과 같이, 냉각수 주입구(50)에 고정되어 라디에이터 캡의 고정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캡(10)의 외측 하단에 내측으로 절곡된 걸림턱(12)이 형성되어 회전에 의해 냉각수 주입구(50) 외측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상기 캡(10)의 하단 중앙부에는 환형의 돌출부(14)가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14)는 외주면에 실링부재(40)가 삽입되는 실링부재 삽입홈(16)이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14)는 하단 외주면에 걸림돌기(14a)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24)와의 결합이 가능해진다. 아울러 상기 돌출부(14)의 외주면에는 냉각수 주입구(50)의 연통로(52)와 연통되어 냉각수가 유동하는 연통홀(18)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냉각수가 상기 연통홀(18)을 통개 돌출부(14) 내부로의 유입이 가능해진다.
상기에서 캡(10)은 수지제로 형성되어 무게감소가 가능해지고, 사출 등으로 간단하게 제작 가능하므로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캡(10)의 돌출부에 결합되는 압력밸브(20)는 라디에이터 내부에 일정 이상의 압력이 발생할 경우 상기 라디에이터 내부로부터 냉각수 주입구(50)의 측면에 형성된 연통로(52)를 통해 냉각수가 보조탱크(미도시)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캡(10)의 돌출부 내부에 구비되는 스프링(22)과 상기 냉각수 주입구(50)의 내부에 형성된 가변압 실링부(54)의 상부에 맞닿도록 배치되어 상기 스프 링(22)을 매개로 하여 상기 돌출부(14)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ㅇ하로 유동(流動)되도록 결합되는 플레이트(24)로 구성되어 상기 캡(10)에 고정되어 상기 냉각수 주입구(50)에 삽입된다.
상기 실링부재(40)는 상기 돌출부(14)의 외주연과 상기 냉각수 주입구(50)의 내주연 사이에 공간을 밀폐하여 라디에이터 내부로부터 상기 냉각수 주입구(50)의 상부 개구를 통해 냉각수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이물질이 상기 냉각수 주입구(50)를 통해 외부로부터 라디에이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상기 실링부재는 도 5 및 6과 같이 상기 돌출부(14)의 실링부재 삽입홈(16)에 삽입되는 환형의 O-RING 타입으로 형성 가능하며, 도 7 및 8과 같이 환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돌출부(14)의 외주연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캡(10)의 하부면에 접하도록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링부재(40)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 수지제로 형성시켜 상기 냉각수 주입구(50)와 접하여 압착되며 접촉면을 형성함에 따라 냉각수의 누출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실링부재(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14)의 외주연 또는 캡(10)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것은 물론, 냉각수 주입구(50)의 내주연에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실링부재(40)는 상기 돌출부(14)의 외주연에 이중사출되어 상기 캡(10)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냉각수 주입구(50)의 가변압 실링부(54)에 맞닿아 상기 냉각수 주입구(50)를 밀폐하는 플레이트(24)는 상기 돌출부(14)의 내부에 구비된 스프링(22)에 의해 탄력 지지된다. 상기 플레이트(24)의 상단에는 내부를 향해 절곡된 걸림돌기(24a)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14)의 걸림돌기(14a)와 상호 접하도록 끼움되어 상기 돌출부(14)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상기 스프링(22)의 탄성에 의해 상기 돌출부(14)이 길이방향을 따라 상, 하로 유동가능하도록 해준다. 상기 플레이트(24)의 중앙에는 상측으로 연장되어 내부가 천공되는 부압밸브 삽입홀(24b)이 형성된다. 상기 부압밸브 삽입홀(24b)의 외측으로는 환형의 스프링 고정부(24c)가 상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돌출부(14) 내부에 삽입되는 스프링(22)의 좌, 우로의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플레이트(24)가 상기 스프링(22)에 의해 탄력 지지됨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24)는 상기 가변압 실링부(54)에 맞닿게 되고, 그로 인해 상기 플레이트(24)는 상기 냉각수 주입구(50)의 가변압 실링부(54)를 밀폐한다. 상기 스프링(22)은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코일스프링으로서 냉각수와 지속적으로 접하게 되므로 부식이 방지되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스프링(22)의 탄성력은 실시예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24)가 가변압 실링부(54)와 접하며 밀폐력이 향상되도록 상기 플레이트(24)의 하부에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 가스켓(26)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스켓26)은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24)에 고정되는 것이 좋으나, 상기 플레이트(24)가 수지재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플레이트(24)의 하부면에 이중사출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부압밸브(30)는 상기 라디에이터 내부에 부압이 형성될 경우 하강하여 상기 연통로(52)를 통해 보조탱크(미도시)로부터 상기 라디에이터 내부로 냉각수가 유입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플레이트(24)의 부압밸브 삽입홀(24b)을 통해 상, 하로 유동가능하도록 관통 삽입된다. 상기 부압밸브(30)의 상단에는 스탑링(36)이 끼움 고정되는 벨브스템(32)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상기 가스켓(26)과 밀착되어 냉각수의 유동을 방지하는 돌기부(34)가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스탑링(36)은 판형상으로 상기 부압밸브(30)의 밸브스템(32)에 끼움되는 삽입홀(36a)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36a)의 외측으로는 냉각수가 유동하는 다수개의 연통홀(36b)이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라디이에터 캡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9(a)와 도 10(a)는 상기 라디에이터 내부에 유통되는 냉각수의 온도가 상승되어 상기 라디에이터 내부에 충전된 냉각수와 공기의 체적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라디에이터 내부에 일정압력 이상의 압력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라디에이터 캡(1)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면에 참조되는 바와 같이 상기 라디에이터 내부에 압력이 상승하여 상기 스프링(22)의 탄성력보다 커지게 되면, 상기 스프링(22)에 의해 탄력 지지되는 플레이트(24)가 상기 스프링(22)을 압착시키며 상측으로 밀려 올라가 상기 플레이트(24)와 냉각수 주입구(50)의 가변압 실링부(54) 사이에는 냉각수 내지 공기의 유통이 가능한 공간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24)와 상기 가변압 실링부(54) 사이에 형성된 공간 을 통해 상기 라디에이터 내부에 충전된 냉각수 내지 공기는 상기 냉각수 주입구(50) 측면에 형성된 연통로(52)을 통해 보조탱크(미도시)로 오버 플로우된다.
상기와 같이 압력밸브(20)의 작동에 의해 상기 라디에이터 내부에 압력은 점차 감소되고, 그에 따라 상기 스프링(22)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24)가 점차 하강하여 상기 플레이트(24) 하부의 가스켓(26)이 상기 가변압 실링부(54)와 접하게 됨에 따라가 상기 연통로(52)와의 연통이 단절된다.
도 9(b)와 10(b)는 엔진의 정지 또는 다른 이유에 의해 상기 라디에이터 내부에 충전된 냉각수와 공기의 온도가 저하됨에 따라 상기 라디에이터 내부에 충전된 냉각수와 공기의 체적이 감소되어 상기 라디에이터 내부에 부압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라디에이터 캡(1)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면에 참조되는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24)를 관통하여 설치된 부압밸브(30)가 자중 내지 라디에이터 내부의 부압에 의해 하강함에 따라 라디에이터와 상기 연통로(52)가 연통되는 유로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보조탱크(미도시)로부터 상기 연통로(52)를 통해 유입되는 냉각수 또는 공기가 상기 돌출부(14) 외주면의 연통홀(18)을 통해 상기 돌출부(14)의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돌출부(14) 내부의 냉각수 또는 공기가 상기 스탑링(36)의 연통홀(36b)을 통해 상기 플레이트(24)의 부압밸브 삽입홀(24b)을 통과하여 라디에이터 내부로 유입된다.
위와 같은 상기 부압밸브(30)의 작동에 의해 상기 라디에이터 내부에 압력은 증가되고, 그에 따라 상기 부압밸브(30)가 라디에이터 내부의 압력에 의해 다시 상승되고 상기 부압밸브(30)의 돌기부(34)가 상기 플레이트(24) 하단의 가스켓(26)에 밀착되며 냉각수의 유입이 차단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만족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라디에이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라디에이터 캡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라디에이터 캡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종래의 라디에이터 캡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라디에이터 캡의 제1실시예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5의 캡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라다이에터 캡의 제2실시예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7의 캡의 사시도.
도 9는 도 5의 라디에이터 캡의 작동상태 단면도.
도 10은 도 6의 라디에이터 캡의 작동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라디에이터 캡
10: 캡 12: 걸림턱
14: 돌출부 16: 실링부재 삽입홈
18: 연통홀
20: 압력밸브 22: 스프링
24: 플레이트 26: 가스켓
30: 부압밸브 32: 밸브스템
34: 돌기부 36: 스탑링
36b: 연통홀
40: 실링부재
50: 냉각수 주입구 52: 연통로
54: 가변압 실링부

Claims (4)

  1. 라디에이터의 냉각수 주입구(50) 입구에 고정되며, 하단에 환형의 돌출부(14)가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캡(10);
    상기 캡(10)의 돌출부(14) 내부에 삽입되는 스프링(22)과 상기 스프링(22)을 압착시키며 상기 돌출부(14)의 하단에 탄력을 갖도록 끼움결합되어 상기 돌출부(14)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 하로 유동되는 플레이트(24)로 구성된 압력밸브(20);
    상기 돌출부(14)의 외측에 끼움되어 냉각수 주입구를 밀폐시키는 실링부재(40); 및
    상기 압력밸브(20)의 하단에 상, 하로 유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부압밸브(30); 를 포함하되,
    상기 플레이트(24)는
    상기 플레이트(24)의 상단에 내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며 절곡된 걸림돌기(24a);
    상기 플레이트(24)의 중앙에 상측으로 연장되어 내부가 천공되는 부압밸브 삽입홀(24b); 및
    상기 부압밸브 삽입홀(24b)의 외측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환형의 스프링 고정부(24c);를 포함하고,
    상기 부압밸브(30)는
    판 형상으로 중앙에 삽입홀(36a)이 형성된 스탑링(36); 및
    상기 부압밸브(30)의 상단에 스탑링(36)이 끼움 고정되는 벨브스템(3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에이터 캡.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10)은 수지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에이터 캡.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40)는 상기 돌출부(14)의 외주연에 형성된 실링부재 삽입 홈(16)에 끼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에이터 캡.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40)는 상기 돌출부(14)의 외주면을 통해 끼움되어 상기 캡(10)의 하부면과 접하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에이터 캡.
KR1020080084120A 2008-08-27 2008-08-27 라디에이터 캡 KR101451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4120A KR101451221B1 (ko) 2008-08-27 2008-08-27 라디에이터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4120A KR101451221B1 (ko) 2008-08-27 2008-08-27 라디에이터 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5398A KR20100025398A (ko) 2010-03-09
KR101451221B1 true KR101451221B1 (ko) 2014-10-15

Family

ID=42176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4120A KR101451221B1 (ko) 2008-08-27 2008-08-27 라디에이터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12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4546B1 (ko) * 2010-07-27 2017-01-09 주식회사 두원공조 라디에이터 캡
KR101674214B1 (ko) * 2010-07-27 2016-11-08 주식회사 두원공조 라디에이터 캡
KR101960749B1 (ko) 2014-02-24 2019-03-22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냉각수 기포 분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쿨링 모듈
JP6496565B2 (ja) * 2014-11-26 2019-04-03 現代自動車株式会社Hyundai Motor Company ラジエータ圧力制御用安全キャップ装置及びその圧力制御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98599A (en) * 1983-08-15 1985-02-12 Avrea Walter C Closure and valving apparatus
US5071020A (en) * 1988-11-23 1991-12-10 Reutter Metallwarenfabrik Gmbh Radiator neck with radiator cover cap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98599A (en) * 1983-08-15 1985-02-12 Avrea Walter C Closure and valving apparatus
US5071020A (en) * 1988-11-23 1991-12-10 Reutter Metallwarenfabrik Gmbh Radiator neck with radiator cover ca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5398A (ko) 2010-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1221B1 (ko) 라디에이터 캡
CN112709849A (zh) 用于容器的压力平衡和/或紧急排气的阀和具有阀的容器
JP4017587B2 (ja) チェックバルブ一体型カットバルブ
US20060225785A1 (en) Sealing structure of float valve
KR101330989B1 (ko) 라디에이터 캡
KR101344504B1 (ko) 라디에이터 캡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35466B1 (ko) 냉각수 보조탱크 캡
KR101341992B1 (ko) 이중압력 조절식 무부하 라디에이터 밸브
JP5939767B2 (ja) 改善されたシール座を有する比例弁
JP5986450B2 (ja) 空気圧操作弁及びその組立方法
KR101457531B1 (ko) 라디에이터 캡 구조
KR101145855B1 (ko) 보충수밸브와 보충수연결배관 및 이들의 결합구조
KR20050027933A (ko) 플로트 작동식 증기 배기 밸브 장착 방법과, 플로트작동식 증기 배기 밸브와 연료 탱크의 조합체
KR101193643B1 (ko) 유체 순환용 밸브를 갖는 무부압 라디에이터캡
US9528613B2 (en) Valve for controlling coolant fuel cell stack coolant of fuel cell vehicle
KR20200089114A (ko) 라디에이터 캡 및 이를 포함하는 라디에이터
KR20100009804A (ko) 라디에이터 캡
KR101182846B1 (ko) 볼밸브를 내장한 무부압 라디에이터캡
US20120090457A1 (en) Annular spring element for a hydraulic belt tensioner
KR101694546B1 (ko) 라디에이터 캡
KR200462065Y1 (ko) 가스보일러용 기수분리기
KR101674214B1 (ko) 라디에이터 캡
KR101385350B1 (ko) 능동형 부압밸브를 내장한 자동차용 무부하 라디에이터캡
KR20170086866A (ko) 감압밸브
KR20180125496A (ko) 전자식 서모스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