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1211B1 - 전해수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전해수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1211B1
KR101451211B1 KR1020127033193A KR20127033193A KR101451211B1 KR 101451211 B1 KR101451211 B1 KR 101451211B1 KR 1020127033193 A KR1020127033193 A KR 1020127033193A KR 20127033193 A KR20127033193 A KR 20127033193A KR 101451211 B1 KR101451211 B1 KR 101451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al
electrolytic
bracket
fixed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3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0770A (ko
Inventor
고키 마쓰야마
다쓰야 미도리카와
Original Assignee
모리나가 뉴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나가 뉴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나가 뉴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30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07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1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1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 C02F1/46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with halogen or compound of halogens, e.g. chlorine, brom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24Halogens or compounds thereof
    • C25B1/26Chlorine; Compound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1Fluid flow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4Maintenance of water treatment install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6Hydrogen production from non-carbon containing sources, e.g. by water electrolysi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Non-Metals, Compounds, Apparatus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전해수 제조 장치(1)는, 원료수를 전해조(電解槽)(4)에 공급하여 전해 처리함으로써 전해 처리액을 생성하고, 이 전해 처리액을 희석하여 전해수를 생성한다. 전해수 제조 장치(1)는, 전해조(4)를 수납하는 케이싱(20)과, 이 케이싱(20)에 착탈(着脫) 가능하게 고정되는 브래킷(bracket)(30)을 구비하고, 브래킷(30)은, 전해조(4)의 일단 및 타단을 장착하는 1쌍의 장착부를 구비한다. 1쌍의 장착부는, 이들 사이의 치수가 전해조(4)의 길이 치수에 대응하여 조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해수 제조 장치{ELECTROLYZED WATER PRODUCTION DEVICE}
본 발명은, 원료수를 전기 분해함으로써 살균수 등에 사용하는 전해수를 제조하기 위한 전해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0년 5월 31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번호 2010-124880호에 따라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종래부터, 염소 이온을 함유하는 용액을 전기 분해하여 얻어지는 전해수는, 저염소 농도이면서 높은 살균 효과를 가지고, 또한 사람에 대해서도 안전성이 높은 등의 유리한 성질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전해수는, 식품 관련 분야 등에 있어서, 식품 또는 이것을 가공하는 기기를 살균하는 용도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 식품 또는 식품을 취급하는 것에 대한 품질·위생 관리를 확실하게 행할 것이 강하게 요구되고 있으므로, 상기 전해수(살균수)를 제조하는 전해수 제조 장치의 활용이 한층 기대되고 있다.
이 전해수 제조 장치는, 염산수 등의 원료수를 전기 분해하는 전해조(電解槽), 염산 등의 원료수의 탱크, 급수 설비, 염산수·희석수 등을 압송(壓送)하기 위한 펌프, 전해조 등의 설치 기판, 혼합기, 이들 장치의 각 요소를 연결하는 배관군, 전해조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해 전원 등을 구비하고 있다. 종래의 전해수 제조 장치로서, 예를 들면, 하기 특허 문헌 1, 2에 나타낸 것에 대하여 제안되어 있다.
이들 전해수 제조 장치는, 전해조에 내장된 전극판의 총 면적에 의해 전해 처리 능력이 정해져, 전해수 제조 장치의 전해수의 생성 능력이 정해진다. 종래의 전해수 제조 장치는, 1장치에 1종류의 전해조가 내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전해수 제조 장치마다 전해수의 생성 능력이 상이하게 되어 있었다. 그리고, 사용자는, 전해수 생성 능력이 이미 정해진 여러 기종의 전해수 제조 장치로부터, 필요로 하는 전해수의 양을 생성하여 얻을 수 있는 것을 사용하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전해수 제조 장치에 있어서는, 사용에 의해 전극의 수명이 다하거나, 펌프의 튜브나 다이어프램이 열화된 경우 등에 대비하여 전해조 등을 교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해조의 교환은, 전해조 등의 내부의 약액이나 가스가 누출되어 신체나 의복에 부착되지 않도록, 각 부재의 내부를 약액으로부터 물로 치환하는 작업을 거쳐 행해지고 있었다.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평 11-169856호 공보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2001-62455호 공보
그러나,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전해수의 양은 항상 일정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1대의 장치로는 전해수 제조 장치의 능력이 과다하거나 생성 능력이 부족하거나 하는 경우가 있었다. 그리고, 전해수의 용량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전해수 제조 장치를 별도로 준비하여 장치 전체를 교환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비용이 높아지며, 또는 설치 공간 상의 문제가 생긴다. 이에 따라, 전해수의 수요량의 변경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상이한 전해조로 교체할 수 있는 전해수 제조 장치의 개발이 기대되고 있다.
또한, 종래, 전해조의 교환은 전해조나 배관 내를 물로 치환하는 작업을 거치고 있었다. 이 물은 교환 작업에만 사용되고, 작업 후에 폐기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또한, 전해조나 배관 내를 물로 치환하는 작업에는 시간이 걸린다. 이상의 이유로 인해, 전해수 제조 장치의 전해조를 생성 능력에 따라 교환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물로 치환하는 치환 작업을 생략하여 간편하게 교환 작업을 행할 수 있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의하면, 원료수를 전해조에 공급하여 전해 처리함으로써 전해 처리액을 생성하고, 이 전해 처리액을 희석하여 전해수를 생성하는 전해수 제조 장치는, 상기 전해조를 수납하는 케이싱과, 이 케이싱에 착탈(着脫) 가능하게 고정되는 브래킷(bracket)을 구비한다. 상기 브래킷은, 상기 전해조의 일단 및 타단을 장착하는 1쌍의 장착부를 구비한다. 상기 1쌍의 장착부는, 이들 사이의 치수가 상기 전해조의 길이 치수에 대응하여 조정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의하면, 상기 브래킷에는, 상기 전해조에 원료수를 압송하는 펌프가 장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3 태양에 의하면, 전해수 제조 장치는, 상기 전해조에 희석수를 압송하는 희석수 압송 펌프를 추가로 구비한다. 상기 희석수 압송 펌프는, 상기 브래킷에 장착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4 태양에 의하면, 상기 희석수 압송 펌프는, 상기 브래킷에 대하여 각도를 가변으로 장착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5 태양에 의하면, 상기 케이싱은, 케이싱 본체와, 이 케이싱 본체의 바닥판에 고정된 제1 받침대와, 상기 제1 받침대에 대하여 접리(接離)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바닥판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 받침대를 구비한다. 상기 케이싱이 구비하는 상기 제1 받침대에, 상기 브래킷이 구비하는 상기 1쌍의 장착부 중 한쪽 장착부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케이싱이 구비하는 상기 제2 받침대에, 상기 브래킷이 구비하는 다른 쪽 장착부가 고정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6 태양에 의하면, 상기 케이싱은, 케이싱 본체와, 이 케이싱 본체의 바닥판에 고정된 제1 받침대와, 상기 제1 받침대에 대하여 접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바닥판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 받침대를 구비한다. 상기 전해조의 길이 치수에 대응하여 상기 장착부 사이의 치수가 상이한 복수의 브래킷을 구비한다. 상기 브래킷은, 상기 전해조를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받침대와 제2 받침대 사이에 걸쳐서 고정된다.
본 발명의 제7 태양에 의하면, 상기 케이싱은, 케이싱 본체와, 이 케이싱 본체의 바닥판에 고정된 제1 받침대와, 이 제1 받침대에 대하여 신축(伸縮) 가능하게 설치된 제2 받침대를 구비하고, 이들 제1, 제2 받침대를 정위치에 고정시키는 록 기구( )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해수 제조 장치에 의하면, 상기한 해결 수단에 의해 하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전해수 제조 장치에 의하면, 전해조는, 설치 기판에 착탈 가능한 브래킷에 장착된다. 상기 브래킷은 장착부를 전해조의 길이 치수에 대응하여 조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1대의 전해수 제조 장치에 치수가 상이한 각종 전해조를 내장할 수 있어 전해수의 생성 능력을 변경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브래킷에 전해조를 장착 가능하며, 또한 브래킷이 케이싱에 착탈 가능하다. 그러므로, 전해조의 장착 작업을 케이싱의 밖에서 행할 수 있어, 전해조의 교환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른 전해수 제조 장치에 의하면, 브래킷에 의해 전해조와 펌프를 설치 기판으로부터 일체적으로 분리하고, 케이싱 밖으로 이동시킨 후에, 전해조 또는 펌프 내의 액체의 처리를 행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전해조 또는 펌프의 교환에 있어서 전해조 내부를 물로 치환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어, 교환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전해조 내를 물로 치환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절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전해조 등의 내부의 폐액(廢液) 작업을 케이싱 밖에서 행할 수 있게 되므로, 작업을 용이하고 안전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케이싱 내에 액이 쉽게 흘러내리지 때문에, 케이싱의 청소 작업을 행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전해조의 교환을 위하여, 전해조 및 펌프를 일체적으로 장착하는 브래킷을 사용할 뿐이므로, 전해수 제조 장치의 구조가 간단하게 되어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따른 전해수 제조 장치에 의하면, 희석수 압송 펌프가 브래킷에 장착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므로, 브래킷을 케이싱 밖으로 인출하여 희석수 압송 펌프의 교환 작업을 행할 수 있어, 교환 작업이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에 따른 전해수 제조 장치에 의하면, 희석수 압송 펌프를 브래킷에 장착할 때, 희석수 압송 펌프와 브래킷이 이루는 각도를 적절하게 선택하여 장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희석수 압송 펌프의 배관이 방해하여 작업성이 좋지 못한 경우에는, 희석수 압송 펌프의 각도를 변경하여 브래킷에 장착할 수 있어, 작업성의 면에서 더욱 유리하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양태에 따른 전해수 제조 장치에 의하면, 케이싱에 고정된 제2 받침대가 제1 받침대로부터 접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브래킷의 길이 치수에 맞추어서 제2 받침대의 위치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고, 상기 브래킷 및 전해조를 케이싱 내에 안정적으로,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양태에 따른 전해수 제조 장치에 의하면, 전해조는, 전해조의 치수에 맞추어 형성된 장착부를 가지는 브래킷을 선택하여 케이싱의 설치 기판에 고정된다. 그러므로, 전해조를 브래킷에 장착하는 것이 간단하며, 또한 브래킷의 구성을 매우 간단하게 할 수 있어, 브래킷의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 양태에 따른 전해수 제조 장치에 의하면, 제1 및 제2 받침대를 정위치에 고정시키는 록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므로, 제2 받침대를 별도의 고정구를 사용하지 않고 케이싱 내에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어, 받침대의 설정이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전해수 제조 장치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전해수 제조 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전해수 제조 장치의 전해조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전해수 제조 장치의 브래킷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전해수 제조 장치의 브래킷을 케이싱으로부터 인출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전해수 제조 장치의 브래킷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전해수 제조 장치의 브래킷 및 설치 기판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전해수 제조 장치의 브래킷 및 설치 기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전해수 제조 장치의 브래킷 및 설치 기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인 전해수 제조 장치의 브래킷 및 설치 기판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인 전해수 제조 장치의 브래킷 및 설치 기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인 전해수 제조 장치의 브래킷 및 설치 기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인 전해수 제조 장치의 브래킷 및 설치 기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인 전해수 제조 장치의 브래킷 및 설치 기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인 전해수 제조 장치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인 전해수 제조 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인 전해수 제조 장치의 브래킷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전해수 제조 장치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전해수의 원료가 되는 염소 이온을 함유한 원료수는, 예를 들면, 염화 나트륨 수용액, 염산 수용액 등과 같이 염소 이온을 함유하는 물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해수 제조 장치는, 이와 같은 원료수를 전기 분해하고, 전해 산화의 작용에 의해 염소 가스를 발생시키고, 발생한 염소 가스를 물에 용해시켜, 수중에 차아염소산을 생성시킨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해수 제조 장치(1)는, 원수(原水) 입구부(2)로부터 유입된 원수(희석수)를 흐르게 하는 원수 라인(3A)과, 원료수인 염산 수용액을 전해수 제조 장치(1)의 전해조(4)에 공급하고, 전해조(4)에서 전해 처리된 전해 처리액을 도출하는 처리액 생성 라인(3B)과, 처리액 생성 라인(3B)에 있어서 생성된 전해 처리액을 희석하여, 최종적인 살균수가 되는 전해수로 만들어 인출구(5)에 공급하는 전해수 공급 라인(3C)을 구비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들 각 라인(3A∼3C)은, 저류(貯留) 탱크(9)를 제외하고 대략 직사각형의 케이싱(20)에 수납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케이싱(20)의 측벽의 하나로서 설치된 개폐 도어(21)를 열어, 각 부품을 적절하게 보수·점검 등을 행할 수 있다.
원수 라인(3A)은, 원수 입구부(2)로부터 유입된 원수를 흐르게 하는 급수 배관(6)에, 스트레이너(strainer)(도시하지 않음), 개폐 밸브[전자(電磁) 밸브](7), 압력 스위치(8), 및 체크 밸브(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개폐 밸브(전자 밸브)(7)는, 스트레이너의 하류측으로 원수의 흐름을 개폐한다. 압력 스위치(8)는, 전자 밸브(7)의 하류측으로 배관 내를 흐르는 원수의 압력을 제어한다. 체크 밸브는, 원수의 역류를 방지한다.
이 급수 배관(6)은, 원수 입구부(2)와 전해수의 인출구(5)가 케이싱(20)의 측벽(22)의 상하 방향 중간부에 장착되어 있다.
처리액 생성 라인(3B)은, 염산 수용액을 저류하는 저류 탱크(9)와, 이 저류 탱크(9)로부터 염산 수용액을 흡출(吸出)하고, 또한 전해조(4)를 향해 염산 수용액을 압송하는 펌프(10)와, 압송된 염산 수용액을 전기 분해하는 전해조(4)를 가지고 있다. 저류 탱크(9)와 펌프(10) 사이는, 제1 배관(11)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펌프(10)와 전해조(4) 사이는, 제2 배관(12)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전해조(4)와 전해수 공급 라인(3C) 사이는, 제3 배관(13)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 제1 배관(11)과 펌프(10)와의 접속부(11a)는 저류 탱크(9)보다 위쪽에 배치되어 있고, 제1 배관(11)을 접속부(11a)로부터 분리할 때, 배관 내의 염산 수용액이 저류조(9)에 흐르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펌프(10)는 전해조(4)보다 위쪽에 배치되어 있고, 펌프(10) 내의 염산 수용액이 전해조(4)에 흐르기 용이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해수 공급 라인(3C)과 제3 배관(13)과의 접속부(13a)는, 전해조(4)와 제3 배관(13)과의 접속부(13b)보다 위쪽에 배치되어 있고, 접속부(13a)로부터 제3 배관(13)을 분리할 때 제3 배관(13) 내의 전해 처리액이 배관(13) 내에 유지되어 쉽게 흘러내리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내지 제3 배관(11, 12, 13)은, 모두 플렉시블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전해수 제조 장치(1)의 전해수 생성 능력의 차이에 의해 각 구성 요소와의 연결 위치가 상이한 경우에도 배관의 연결이 용이하다. 또한, 전해조(4)에는, 커넥터(도시하지 않음)가 접속되어, 전해 전원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된다.
전해조(4)는, 염산 수용액을 전기 분해하는 전해실이 하우징(14) 내에 형성되어 구성된다. 하우징(14)은, 측판(15A, 15B)과 보디(body)(16)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4)은, 염화 비닐 수지, 카보네이트 수지, 아크릴 수지 등의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전해조(4)의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후술하지만, 보디(16) 내에 배치하는 전극판 등의 개수를 증감시킴으로써, 염산 수용액의 처리 능력을 상이하게 할 수 있다. 하우징(14)이 구비하는 보디(16)는, 전극판 등의 개수에 대응하여 길이 치수가 상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측판(15A, 15B)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외관이 직사각형인 판형체이다. 측판(15A)의 아래쪽에, 염산 수용액을 도입하는 도입구(4a)가 형성되어 있다. 측판(15B)의 위쪽에, 전해 처리된 전해 처리액을 인출하는 도출구(4b)[접속부(13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측판(15A, 15B)에는, 볼트를 나사 삽입시키는 도시하지 않은 암나사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 측판(15A, 15B)은, 보디(16)의 직경 치수에 대응하여 적절한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디(16)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부재이다. 보디(16)의 내부 공간에는, 복수의 전극판(17, 17,···)과, 상기 전극판(17, 17,···)을 지지하고 전해실을 형성하는 복수의 스페이서(18, 18,···)가 보디(16)의 중심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되어 설치되어 있다. 전해조(4)는, 이들 복수의 전극판(17, 17,···)에 대한 통전(通電)에 의해 전해조(4) 내의 원료수가 전기 분해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측판(15A, 15B)은, 보디(16)의 양단 개구부를 수밀(水密)하게 덮도록 배치되어,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펌프(10)는, 원판 형상의 로터실(27)과, 구동부(28)로 구성된다. 로터실(27)은, 튜브와, 이 튜브를 눌러서 납작하게 하는 롤러를 회전시키는 로터를 수용하고, 로터의 회전에 의해 튜브 내의 염산 수용액을 이송한다. 구동부(28)는, 로터를 구동시킨다. 로터실(27)의 아래쪽에는, 염산 수용액을 흡입하는 도입구(27a)[접속부(11a)]와, 전술한 액을 전해조(4)를 향해 압송하는 송출구(27b)가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전해조(4) 및 펌프(10)는, 브래킷(30)에 일체적으로 장착되고, 케이싱(20) 내의 설치 기판(31)에 브래킷(30)을 통하여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브래킷(30)은, 전해조(4)의 처리 능력을 변경하는 경우나 생성 능력이 저하된 전해조(4)를 새로운 것으로 교환할 때, 그 교환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설치 기판(31)은, 케이싱(20)의 일부를 구성하는 부재이다. 설치 기판(31)은, 바닥판(23) 상의 케이싱(20)의 개폐 도어(21) 측(이하 「케이싱의 바로 앞쪽」이라고 함)에 근접되어 형성되고, 한쪽 방향으로 분리 가능한 제1 받침대(31a) 및 제2 받침대(31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1 받침대(31a)는, 대략 직사각형의 평판부(45)와, 케이싱의 바로 앞쪽, 내측의 양단 에지로부터 아래쪽으로 수하(垂下)된 측판부(46, 46)와, 측판부(46, 46)의 하단 에지로부터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절곡된 하측 에지부(47, 47)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하측 에지부(47, 47)는, 바닥판(23) 상에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제2 받침대(31b)는, 제1 받침대(31a)와 대략 동일한 형상의 부재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받침대(31b)의 선단부(35t)에 관통공(24, 24)을 구비한 돌출부(25)가 형성되어 있다. 제2 받침대(31b)는, 상기 돌출부(25)에 있어서, 관통공(24)에 도시하지 않은 볼트를 삽통(揷通)하여 바닥판(23)에 체결되어 고정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싱(20)의 바닥판(23)에는, 제2 받침대(31b)의 돌출부(25)를 고정시키는 위치에 관통공(24, 24)과 연통시키는 암나사공(32, 32,···)이 형성되어, 볼트를 나사삽입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암나사공(32, 32,···)은, 화살표 L 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열되어 형성되고, 각종 치수를 가지는 전해조(4)가 장착된 브래킷(30)의 치수와 맞는 위치에서 제2 받침대(31b)가 고정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설치 기판(31)에 브래킷(30)을 고정시키는 수단으로서, 제1 받침대(31a)의 케이싱의 바로 앞쪽에 볼트(50)를 나사삽입시키는 암나사공(39)이 형성되고, 또한 브래킷(30)의 바닥벽부(35)를 고정시키는 고정 클로우부(claw portion)(36, 36···)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 클로우부(36, 36)는, 제1 및 제2 받침대(31a, 31b)의 케이싱 내측의 끝주위와 제2 받침대(31b)의 도 4에 나타내는 선단부(35t)에 있어서, 위쪽으로 기립된 후에 상기 제1 및 제2 받침대(31a, 31b)의 내측을 향해 절곡된 판형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브래킷(30)은, 금속 또는 합성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판 부재를 절곡하여 형성된다. 브래킷(30)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치 기판(31a, 31b)의 상면에 고정되고 또한 전해조(4)를 장착 가능한 바닥벽부(35)와, 바닥벽부(35)의 측부의 끝주위(35s)로부터 수직으로 기립하는 측벽부(37)와, 측벽부(37)를 형성하는 상하 방향의 측둘레로부터 상기 측벽부(37)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펌프 장착부(38)를 구비하고 있다.
브래킷(30)의 바닥벽부(35)는, 서로 분리되어 있으며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제1 및 제2 판 부재(35a, 35b)에 의해 구성된다. 이들 제1 및 제2 판 부재(35a, 35b)에는, 각각 수직으로 기립된 벽부에 관통공(41, 41)이 형성된 장착부(40, 4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바닥벽부(35)에 대하여, 전해조(4)는, 상기 전해조(4)의 길이 치수보다 약간 큰 치수로 이격 배치된 장착부(40, 40) 사이에 배치되고, 관통공(41, 41) 및 측판[(15A: 전해조(4)의 일단), (15B: 전해조의 타단)]의 암나사공에 볼트(51, 51)가 나사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다. 이 경우에, 전해조(4)는 제1 및 제2 판 부재(35a, 35b) 사이에 걸쳐서 배치된다.
또한, 바닥벽부(35)의 제1 판 부재(35a)에는, 설치 기판(31)에 형성된 암나사공(39)과 연통되는 관통공(33)이 형성되어 있다. 바닥벽부(35)는, 설치 기판(31)의 고정 클로우부(36, 36,····)의 아래쪽에 상기 바닥벽부(35)의 단부(端部)를 배치하고, 관통공(33) 및 암나사공(39)에 볼트(50)를 삽입하여 체결함으로써 설치 기판(31)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브래킷(30)의 측벽부(37)는, 그 위쪽에 있어서 펌프 장착부(38)가 형성되어 있다. 측벽부(37)는, 펌프 장착부(38)에 장착되는 도 2에 나타내는 펌프(10)가 저류 탱크(9) 및 전해조(4)보다 위쪽에 위치할 수 있는 높이 치수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펌프 장착부(38)는, 측벽부(37)의 상부 측 둘레로부터 케이싱(20)의 개폐 도어(21)를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펌프 장착부(38)의 내측에는 펌프(10)를 장착시키기 위한 개구부(42)가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펌프(10)는, 도 4에 나타내는 개구부(42)에 구동부(28)를 삽입시키고, 로터실(27)과 펌프 장착부(38)가, 도시하지 않은 고정구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부(42)에는, 1쌍의 걸림 절결부(42a, 42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에 대하여, 펌프(10)의 로터실(27)의 배면측[펌프 장착부(38)에 접하는 측]에는, 이 걸림 절결부(42a)와 스냅식으로 끼워 맞추어지는 1쌍의 고정 클로우부(도시하지 않음)가 돌출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걸림 절결부(42a)는, 펌프(10)의 고정 클로우부와 끼워 맞추어져 펌프(10)의 각도 결정 수단이 된다.
즉, 펌프(10)를 브래킷(30)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먼저 구동부(28)를 개구부(42)에 삽통시킨다. 이 때 로터실(27)의 배면측에 형성되어 있는 1쌍의 고정용 클로우부(도시하지 않음)가, 개구부(42)에 형성되어 있는 1쌍의 걸림 절결부(42a, 42a)에 끼워 맞추어질 때까지 삽통시킨다. 걸림 절결부(42a, 42a)와, 펌프(10)의 1쌍의 고정 클로우부를 끼워 맞춤으로써, 브래킷(30)에 대한 펌프(10)의 각도는 항상 일정한 각도가 되고, 또한 펌프(10)가 브래킷(30)에 대하여 회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로터실(17)과 펌프 장착부(38)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볼트 또는 클립 등의 잠금 장치에 의해 펌프 장착부(38)를 협지하여 펌프(10)를 적절하게 고정시킨다.
전해수 공급 라인(3C)은, 전해조(4)로부터 안내된 전해 처리액을 급수 배관(6)의 원수로 희석하여, 전해수를 생성하는 희석 수단(26)을 구성한다. 전해수 공급 라인(3C)은, 급수 배관(6)의 가장 하류에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급수 배관(6), 전해조(4), 펌프(10), 및 이들을 연결하는 제1 배관(11)의 펌프(10) 측 부분, 그리고 제2 및 제3 배관(12, 13)은 케이싱(20) 내에 설치되어 있다. 전해조(4) 및 펌프(10)는, 케이싱(20)의 개폐 도어(21)로부터 용이하게 인출 가능하도록, 브래킷(30)에 일체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브래킷(30)이 볼트(50)에 의해 케이싱(20) 내의 설치 기판(31)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다음으로,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전해수 제조 장치(1)에 있어서, 도 4에 나타내는 작은 치수의 전해조(4)를 도 6에 나타내는 큰 치수의 전해조(4)로 교환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전해수 제조 장치(1)의 전원을 오프(OFF)하여, 염산 수용액 및 원수의 유동을 멈추게 한다. 그리고, 케이싱(20)의 개폐 도어(21)를 열고, 설치 기판(31)에 고정되어 있는 볼트(50)를 풀어낸다. 이로써, 브래킷(30)을 설치 기판(31)의 케이싱 바로 앞쪽(화살표 P 방향)으로 인출 가능한 상태로 된다.
그리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배관(11)을 펌프(10)와의 접속부(11a)로부터 분리하고, 제1 배관(11) 내에 모여 있는 염산 수용액을 저류 탱크(9)에 흐르게 한다.
다음으로, 제3 배관(13)을 희석 수단(26)과의 접속부(13a)로부터 분리한다. 분리된 제3 배관(13)은, 개구부를 위쪽으로 향한 상태로 유지하여 제3 배관(13) 내에 모여 있는 전해 처리액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브래킷(30)을 케이싱의 바로 앞쪽(화살표 P 방향)으로 인출한다. 브래킷(30)을 인출하면, 브래킷(30)과 함께 전해조(4) 및 펌프(10)를 케이싱(20)으로부터 인출된다. 그리고, 이 브래킷(30)을, 폐액 작업이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또한 염산 수용액 등을 폐기 가능한 장소로 운반하여, 제3 배관(13) 내의 전해 처리액을 배출한다. 또한, 펌프(10)와 전해조(4)를 연결하고 있는 제2 배관(12)을 펌프(10)의 도입구(27b)로부터 분리하고, 상기 제2 배관(12)에 모여 있는 염산 수용액을 배출한다.
다음으로, 도 4에 나타내는 볼트(51, 51)를 풀어내어 전해조(4)를 브래킷(30)으로부터 분리한다. 이로써, 제1 판 부재(35a)와 제2 판 부재(35b)는 분리된 상태로 된다.
여기서, 예를 들면, 분리되기 전의 전해조(4)보다 처리 능력이 높은 전해조(4)[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디부(16)의 길이 치수가 큰 것]를 장착하는 경우에는, 케이싱(20)의 밖에서, 교환 후의 전해조(4)의 측판(15A, 15B)을 제1 및 제2 판 부재(35a, 35b)의 장착부(40, 40) 각각에 볼트(51, 51)로 고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브래킷(30)의 바닥벽부(35)를 전해조(4)를 통하여 연결시키고, 또한 브래킷(30)에 전해조(4) 및 도 2에 나타내는 펌프(10)를 일체적으로 장착한 상태로 한다.
그리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마찬가지로, 제2 배관(12)을 전해조(4)의 도입구(4a)와 펌프(10)의 송출구(27b)에 접속한다. 한편, 도 4에 나타내는 제2 받침대(31b)에 대해서도, 작은 치수의 전해조(4)로부터 큰 치수의 전해조(4)로 변경하는 경우에 상기 전해조(4)의 길이 치수가 크므로, 그 위치를 변경한다. 즉, 제2 받침대(31b)를 고정하는 돌출부(25)의 볼트(도시하지 않음)를 풀어낸다. 제1 받침대(31a)에 대하여, 제2 받침대(31b)를, 설치 기판(31)상에 도 6에 나타내는 큰 치수의 전해조(4)가 설치된 브래킷(30)의 바닥벽부(35) 전체를 탑재할 수 있는 위치까지 제2 받침대(31b)를 화살표 L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받침대(31b)를 이동시킨 후, 돌출부(25)의 관통공 및 암나사공(32, 32)에 볼트를 삽입하여 체결한다.
이 상태에서, 설치 기판(31)의 상면과 그 고정 클로우부(36, 36) 사이에 브래킷(30)의 바닥벽부(35)의 단부를 슬라이드시켜 배치한다. 그리고, 볼트(50)를 도 4에 나타내는 관통공(33) 및 설치 기판(31)의 암나사공(39)에 나사 삽입하여 견고하게 고정한다.
브래킷(30) 설치 후에, 제1 배관(11)을 펌프(10)의 도입구(27a)에 접속하고, 또한 전해조(4)의 도출구(4b)와 희석 수단(26) 사이에 제3 배관(13)을 접속한다. 그리고, 케이싱(20)의 개폐 도어를 닫으면 전해조(4)의 교환이 완료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전해수 제조 장치(1)에 의하면, 전해조(4)를 장착하는 브래킷(30) 및 이들을 설치하는 케이싱(20)의 설치 기판(31)이 전해조(4)의 길이 치수에 대응하여 설정 변경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므로, 전해수 제조 장치(1)에 처리 능력이 상이한 전해조(4)를 설치할 수 있게 되고, 1대의 전해수 제조 장치(1)로 전해수의 생성 능력을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브래킷(30)을 분리 가능하게 하고, 또한 펌프(10) 및 전해조(4)를 브래킷(30)과 함께 케이싱(20) 밖으로 인출하여 폐액 작업 등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펌프(10), 전해조(4), 및 제1 내지 제3 배관(11, 12, 13) 내를 물로 치환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전해조(4) 및 펌프(10)의 교환 작업이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될 뿐만 아니라, 교환 작업에 사용되는 물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펌프(10)와 제1 배관(11)과의 접속부(11a)가 저류 탱크(9)보다 위쪽에 설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펌프(10)로부터 제1 배관(11)을 분리했을 때, 제1 배관(11) 내의 염산 수용액이 저류 탱크(9)로 흐르고, 케이싱(20) 내로 쉽게 흘러내리지 않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3 배관(13)과 희석 수단(26)과의 접속부(13a)가 전해조(4)와의 접속부(13b)보다 높은 곳에서 접속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3 배관(13)을 접속부(13a)에서 분리했을 때, 제3 배관(13) 내의 전해 처리액이 케이싱(20) 내에서 쉽게 흘러내리지 않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케이싱(20) 내를 청소하는 수고를 덜고, 전해조(4) 및 펌프(10) 교환 시의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전해조(4) 또는 펌프(10) 내의 액체를 흘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조가 간단하므로, 전해수 제조 장치(1)의 제조 비용이 억제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브래킷(30)의 볼트(50)를 풀어내고, 또한 제1 배관(11)을 펌프(10)의 도입구(27a)로부터 분리하고, 또한 제3 배관(13)을 희석 수단(26)의 접속부(13a)로부터 분리하는 작업만으로, 브래킷(30)을 케이싱(20)으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케이싱(20) 내에서의 작업이 최소한으로 억제되고, 교환 작업이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펌프(10) 및 전해조(4)를 브래킷(30)에 장착한 상태에서 작업을 행하기 용이한 장소로 일체적으로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브래킷(30)의 구성, 및 상기 브래킷(30)을 장착하는 설치 기판(31)의 구조가 간단하므로, 전해수 제조 장치(1)의 제조 비용을 낮게 억제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펌프(10) 및 전해조(4) 교환 시에, 제1 및 제3 배관(11, 13)을 각 접속부(11a, 13a)에 있어서 분리한 후에 브래킷(30)을 케이싱(20) 밖으로 인출하도록 구성하였으나, 제1 및 제3 배관(11, 13)의 길이 치수를 길게 설정하고, 제1 및 제3 배관(11, 13)을 펌프(10) 및 전해조(4)에 접속시킨 상태에서 브래킷(30)을 케이싱(20) 밖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1 및 제3 배관(11, 13)을 케이싱(20) 밖에서 분리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들 배관의 분리 시에 만일 배관 내의 액이 흘러내릴 경우에도 케이싱(20) 내가 오염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케이싱(20) 밖에 받침대 또는 플레이트 등을 준비해 두면, 제1 및 제3 배관(11, 13)의 분리 작업을 한층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2 판 부재(35b)와 제2 받침대(31b)가 각각 별도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지만, 이들 부재를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제2 판 부재(35b)에 돌출부(25)를 형성하고, 바닥판(23)에 직접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전해수 제조 장치(1)의 부품 수를 억제할 수 있어, 전해조(4)의 교환 시의 작업 공정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전해수 제조 장치는, 설치 기판(60)의 제1 받침대(60a)가 제2 받침대(60b)와 신축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로써, 제2 받침대(60b)를 제1 받침대(60a)로부터 인출하거나 수납함으로써 길이 조정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점에서 제1 실시예에 따른 전해수 제조 장치(1)와 상이하다.
제1 받침대(60a)는, 브래킷(30)의 제1 판 부재(30a)를 배치시키는 대략 직사각형의 평판부(61)와, 케이싱의 바로 앞쪽, 내측의 양단 에지로부터 아래쪽에 수하된 측판부(62, 62)와, 측판부(62, 62)의 양단 에지로부터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절곡된 하측 에지부(63, 6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1 받침대(60a)는, 측판부(62, 62)와 하측 에지부(63, 63)가 평판부(61)보다 제2 받침대(60b)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받침대(60a)는, 하측 에지부(63, 63)가, 도 2에 나타내는 케이싱(20)의 바닥판(23)에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측판부(62)의 폭 방향 중앙부에는, 이 측판부(62)의 길이 방향으로 슬릿공(6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측판부(62)의 선단에는, 상기 측판부(62, 62)의 외측으로 향하여 돌출하고, 제1 받침대(60a)에 대하여 제2 받침대(60b)를 상대적으로 위치 결정하는 록 기구(65)의 한쪽을 구성하는 걸림부(66)가 형성되어 있다.
제2 받침대(60b)는, 브래킷(30)의 제2 판 부재(30b)를 배치시킨 대략 직사각형의 평판부(67)와, 측판부(68, 68)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2 받침대(60b)는, 측판부(68)가 평판부(67)보다 제1 받침대(60a) 방향으로 돌출하고, 또한 측판(62, 62)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측판(68, 68)의 선단부에는, 제1 받침대(60a)의 슬릿공(64, 64)에 걸쳐서 삽통되고, 또한 측판(68, 68)의 선단부에 형성된 구멍(69, 69)에 관통한 상태에서 리테이너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킨 단면 원형의 봉(棒) 부재(70)가 구비되어 있고, 제2 받침대(60b)가 슬릿공(64)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인출 및 수납 가능하며, 또한 봉 부재(70)를 축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측판(68, 68)의 하단 에지에는, 소정의 치수만큼 사이를 두고 록 기구(65)의 다른 쪽을 구성하는 절결(71, 71···)이 형성된다. 절결(71, 71···)은, 도 8a,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착부(40, 40) 사이의 치수가 각종 전해조(4)의 치수와 대략 일치하는 위치에서 걸림부(66)에 걸린다.
제2 실시예의 전해수 제조 장치에 있어서, 전해조(4)를 교환하는 방법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전해수 제조 장치(1)와 설치 기판(60)의 설정에 있어서만 상이하다. 즉, 제2 실시예의 설치 기판(60)을 전해조(4) 내지 이것을 장착한 브래킷(30)의 치수에 맞추어 설정하기 위해서는, 브래킷(30)을 상기 설치 기판(60)으로부터 분리한 후에, 제2 받침대(60b)를 봉 부재(70)를 기점으로 하여 위쪽으로 들어올려 걸림부(66)와 절결(71)과의 걸어맞춤 관계를 해제한다. 그 후, 제2 받침대(60b)를 제1 받침대(60a)에 대하여 상대 이동시키고, 원하는 폭 치수가 되는 위치에서 제2 받침대(60b)를 수평 위치로 되돌리고, 상기 위치에 형성된 절결(71)에 걸어맞춤부(66)를 걸어맞춘다.
그리고 나서, 제1 실시예에 따른 전해수 제조 장치(1)와 마찬가지로 전해조(4)를 장착한 브래킷(30)을 설치 기판(60)에 장착하고, 각종 배관(11, 13)을 접속하고, 케이싱(20)의 개폐 도어(21)를 닫으면 전해조(4)의 교환이 완료된다.
본 실시예의 전해수 제조 장치(1)에 의하면, 제1 실시예의 전해수 제조 장치(1)에서 얻어진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고, 그 외에 설치 기판(60)을 전해조(4)의 길이 치수에 맞추어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전해조(4)를 상이한 치수로 교환할 때 제2 받침대(60b)를 차례로 하나하나씩 케이싱(20)의 바닥판(23)에 고정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및 제2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에 따른 전해수 제조 장치는, 설치 기판(80)의 제1 받침대(80a)가 제2 받침대(80b)와 신축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로써, 제2 받침대(80b)를 제1 받침대(80a)로부터 인출하거나 수납함으로써 길이 조정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점에서 제2 실시예에 따른 설치 기판(60)의 경우와 동일하다. 그러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해수 제조 장치는, 록 기구에 있어서 상이하도록 하고 있다.
제1 받침대(80a)는, 대략 직사각형의 평판부(81)와, 케이싱의 바로 앞쪽 및 내측의 양단 에지로부터 아래쪽에 수하된 측판부(82, 82)와, 측판부(82, 82)의 양단 에지로부터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절곡된 하측 에지부(83, 83)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하측 에지부(83, 83)는, 도 2에 나타내는 바닥판(23) 상에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제1 받침대(80a)의 측판부(82, 82)에는, 록 기구(84)의 한쪽을 형성하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걸림공(85, 85···)이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제2 받침대(80b)는, 제1 받침대(80a)와 거의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받침대(80b)는, 측판부(86)에 있어서 걸림공(85)의 구멍을 가지는 대신, 측판부(86, 86)의 내면 측에 고정되고 제1 받침대(80a) 측에 걸쳐 연장되고, 록 기구(84)의 다른 쪽을 형성하는 판 스프링(87)이 설치되어 있다.
판 스프링(87)은, 걸림부(88)가 형성된 구성을 가지고 있다. 걸림부(88)는, 걸림공(85)의 상하 방향의 치수보다 약간 작은 폭 치수를 가지며,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형성된다. 즉, 기단측(87b)이 측판부(86, 86)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제1 받침대(80a)를 향해 연장되며, 선단부(87a)에 있어서 측판부(82, 82)의 내측면으로부터 외측면을 향해 팽출한다. 상기 팽출된 부분이 걸림공(85)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걸림공(85)에 걸린다. 또한, 판 스프링(87, 87)은, 측판부(86, 86)에 고정된 기단부(87b)를 기점으로 하여 제1 받침대(80a)의 측판부(82, 82) 사이에서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판 스프링(87, 87)은, 걸림부(88)가 측판부(82)의 내측면에 맞닿는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탄성 변형하고, 걸림부(88)가 걸림공(85)에 위치했을 때 탄성 복귀하여 걸림공(85)에 걸어 맞추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3 실시예의 전해수 제조 장치에 있어서, 전해조(4)를 교환하는 방법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전해수 제조 장치와 설치 기판(80)의 설정에 있어서만 상이하다.
제3 실시예의 설치 기판(80)을 전해조(4) 내지 이것을 장착한 브래킷(30)의 치수에 맞추어 설정하기 위해서는, 브래킷(30)을 상기 설치 기판(80)으로부터 분리한다. 그 후에, 제2 받침대(80b)를 제1 받침대(80a)로부터 인출하거나, 또는 제1 받침대(80a) 측으로 가압하여 판 스프링(87)의 걸림부(88)의 팽출면(88a)을 걸림공(85)의 개구 둘레부(85a)에 맞닿게 하고 슬라이드시켜, 걸림부(88)와 걸림공(85)의 걸어맞춤 관계를 해제한다.
이 때, 걸림부(88)의 팽출한 정상부(85T)가 측판부(82)의 내측면에 맞닿아, 판 스프링(87)이 탄성 변형된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제2 받침대(80b)를 이동시킨다. 걸림부(88)가 인접하는 걸림공(85)에 위치하면 판 스프링(87)이 탄성 복귀하여 걸어맞춤부(88)이 걸림공(85) 내에 돌출되어 걸어 맞추어진다. 그러므로, 원하는 위치까지 이 록 기구(84)의 걸어 맞춤을 반복하여 제2 받침대(80b)를 이동시킴으로써, 예를 들면, 도 10a,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치수가 상이한 전해조(4)를 장착한 브래킷(30)에 맞추어 설치 기판(80)을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2 받침대(80b)를 원하는 방향으로 가압하거나 또는 인출하는 것만으로 록 기구(84)가 걸어 맞춤 및 해제의 동작을 반복하여, 설치 기판(80)을 설치할 수 있게 되므로, 설치 기판(80)의 치수 조정이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 외에,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제1 실시예의 전해수 제조 장치(1)에서 얻어진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제3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a,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4 실시예에 따른 전해수 제조 장치는, 브래킷(30)의 바닥벽부(35) 전체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장착부(40, 40) 사이의 치수가 전해조(4)의 치수에 맞추어 형성된 것을 복수 종류 준비하고, 바닥벽부(35) 전체를 전해조(4)의 치수에 대응하여 교환하는 구성하고 있는 점에서 상기 제1∼제3 실시예와 상이하다.
브래킷(30)의 바닥벽부(35)는, 전체적으로 일체의 판 부재로 구성된다. 바닥벽부(35)는, 측벽부(37)의 하단부와 나사 등의 고정구(90, 90)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 브래킷(30)은, 제1 및 제2 받침대(31a, 31b) 사이에 걸쳐 배치되고, 고정 클로우부(36, 36···)와 볼트(50)에 의해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전해조(4)를 상이한 치수의 전해조(4)로 교환할 때는, 브래킷(30)을 설치 기판(31)으로부터 분리한다. 또한, 고정구(90, 90)를 분리하으로써 바닥벽부(35)를 측벽부(37)로부터 분리시킨다. 그 후, 새롭게 장착하는 전해조(4)의 치수에 적합한 장착부(40, 40) 사이의 치수를 가지는 바닥벽부(35)에 상기 전해조(4)를 장착하고, 이것을 측벽부(37)에 고정함으로써, 전해조(4)의 교환이 행해진다.
설치 기판(31)으로의 장착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전해수 제조 장치(1)와 동일한 방법으로 행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설치 기판(31) 대신 제2 또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설치 기판(60, 80)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장착부(40, 40) 사이의 치수가 전해조(4)의 측판(15A, 15B) 사이의 치수에 맞추어 사전에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바닥벽부(35)의 치수 조정을 행할 필요가 없어 전해조(4)의 교환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닥벽부(35)의 구성이 간단하므로, 브래킷(35)의 제작 비용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5 실시예에 따른 전해수 제조 장치(1A)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전해수 제조 장치(1)의 구성에 대하여, 염산 희석 라인(3D)을 구비하고 있다. 이 염산 희석 라인(3D)은, 기단(起端)이 원수 라인(3A)으로부터 분기되어 있고, 또한 말단(末端)이 처리액 생성 라인(3B)에서의 전해조(4)의 상류측에 합류하고 있다. 그리고, 염산 희석 라인(3D)은, 희석수 압송 펌프(100)를 구비하고 있다.
희석수 압송 펌프(100)는, 원수 라인(3A)으로부터 원수를 인출하여, 전해하기 전의 염산 수용액에 원수를 혼합한다. 희석수 압송 펌프(100)는, 전해조(4)에 공급되는 염산 수용액의 농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3,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5 실시예에 따른 전해수 제조 장치(1A)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전해수 제조 장치(1)의 구성에 대하여, 희석수 압송 펌프(100)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해수 제조 장치(1A)는, 브래킷(102)이, 전해조(4) 및 원료수 압송 펌프(10) 외에, 희석수 압송 펌프(100)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점에서, 제1 실시예에 따른 전해수 제조 장치(1)와는 상이하다.
희석수 압송 펌프(100)는, 희석수를 급수 배관(6)으로부터 흡인하고, 전해조(4)의 도입구(4a)에 접속된 제2 배관(12) 내에 상기 희석수를 송출한다. 이 희석수 압송 펌프(100)는, 염산 수용액을 압송하는 펌프(10)와 거의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희석수 압송 펌프(100)는, 원판 형상의 로터실(103)과, 구동부(104)를 구비하고 있다. 로터실(103)은, 튜브와 이 튜브를 눌러서 납작하게 하는 롤러를 회전시키는 로터를 수용하고, 로터의 회전에 의해 튜브 내의 희석수를 이송한다. 구동부(104)는, 로터를 구동시킨다. 로터실(103)의 아래쪽에는, 희석수를 흡입하는 도입구(103a)와, 희석수를 제2 배관(12)을 향해 압송하는 송출구(103b)가 형성되어 있다.
펌프(100)의 도입구(103a)와 급수 배관(6) 사이에는 제4 배관(110)이 접속되어 있다. 송출구(103b)와 제2 배관(12) 사이에는 제5 배관(111)이 접속되어 있다.
브래킷(102)은,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펌프 장착부(105)에 펌프(10)를 유지하기 위한 개구부(42)와 펌프(100)를 유지하기 위한 개구부(106)가 형성되어 있다. 브래킷(102)은, 또한 펌프(10, 100)를 유지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볼트 또는 클립 등의 고정구를 구비하고 있다.
개구부(106)에는 1쌍의 걸림 절결부(106a, 106a) 및 1쌍의 걸림 절결부(106b, 106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에 대하여, 펌프(100)의 로터실(103)의 배면측[펌프 장착부(105)에 접하는 측]에는, 이 걸림 절결부(106a) 또는 걸림 절결부(106b)와 스냅식으로 끼워 맞추어지는 1쌍의 고정 클로우부(도시하지 않음)가 돌출되어 있다. 걸림 절결부(106a) 또는 걸림 절결부(106b)는, 펌프(100)의 고정 클로우부와 끼워 맞추어져 펌프(100)의 각도 결정 수단이 된다.
펌프(100)를 브래킷(102)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먼저 구동부(104)를 개구부(106)에 삽통시킨다. 이 때, 로터실(103)의 배면측에 형성되어 있는 1쌍의 고정 클로우부(도시하지 않음)가, 개구부(106)에 형성되어 있는 1쌍의 걸림 절결부(106a, 106a)에 끼워 맞추어질 때까지 삽통시킨다. 이로써, 브래킷(102)에 대한 펌프(100)의 각도는 항상 일정한 각도로 되며, 또한 펌프(100)가 브래킷(102)에 대하여 회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로터실(103)과 펌프 장착부(105)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볼트 또는 클립 등의 고정구에 의해 펌프 장착부(105)를 협지하여 펌프(100)를 적절하게 고정한다.
그리고, 전술한 예에서는, 1쌍의 고정 클로우부(도시하지 않음)를 1쌍의 걸림 절결부(106a, 106a)에 끼워 맞추었지만, 이것을 1쌍의 걸림 절결부(106b, 106b)에 끼워 맞추어도 된다.
이 1쌍의 걸림 절결부(106b, 106b)는, 이들 걸림 절결부(106b, 106b)끼리를 연결하는 직선이, 걸림 절결부(106a, 106a)끼리를 연결하는 직선과 대략 직교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펌프(100)의 고정 클로우부를 걸림 절결부(106b, 106b)에 끼워 맞춘 경우에는, 걸림 절결부(106a, 106a)에 끼워 맞춘 경우에 비해, 펌프(100)는 반시계 방향(케이싱의 바로 앞쪽으로부터 볼 때 또는 로터실(103) 측으로부터 볼 때 반시계 방향)으로 90˚ 회전한 각도로 장착된다.
이 상태에서는, 도 13에 나타내는 도입구(103a)와 송출구(103b)는, 도 14에 나타내는 화살표 X 방향으로 향한다. 그러므로, 제4 배관(110)과 제5 배관(111)을 접속하거나 분리하는 작업을 행할 때 전해조(4)가 방해되지 않기 때문에, 작업성을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브래킷(102)의 측벽부(107)는, 바닥벽부(35)의 측부의 끝주위(35s)로부터 수직으로 기립하는 벽부이다. 측벽부(107)는, 펌프 장착부(105)에 펌프(10, 100)를 장착했을 때, 상기 측벽부(107)가 펌프(10, 100)의 무게에 의해 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절곡부(107a)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펌프 장착부(105)의 상단에도 절곡부(105a)가 형성되어 있다. 절곡부(105a)는, 펌프(10, 100)를 장착했을 때 상기 펌프 장착부(105)가 펌프(10, 100)의 무게에 의해 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해수 제조 장치(1A)의 전해조(4), 염산 수용액을 압송하는 펌프(10), 및 희석수 압송 펌프(100)를 교환하기 위해서는, 브래킷(102)의 볼트(50)를 풀어내어, 상기 브래킷(102)을 인출 가능한 상태로 해둔다.
제1 배관(11)을 펌프(10)의 접속부(11a)에서 분리하고 염산 수용액을 저류 탱크(9)로 되돌린다. 제3 배관(13) 및 제4 배관(110)을, 희석 수단(26)의 접속부(13a) 및 급수 배관(6) 측의 접속부(103a)에 있어서 각각 분리한다. 그리고, 제3 및 제4 배관(13, 110)의 개구부를 위쪽을 향해 유지시켜 둔다.
이 상태에서, 전해조(4), 펌프(10, 100)를 장착한 브래킷(102)을 케이싱(20)의 밖으로 인출하여 배관 내의 약액을 폐기한다. 또한, 제2, 제5 배관(12, 111)을 분리하고, 교환이 필요한 부재를 새로운 부재로 교환하여 브래킷(102)에 고정한다.
그리고, 다시 제2, 제5 배관(12, 111)을 접속하고, 브래킷(102)을 케이싱(20) 내의 설치 기판(31)에 설치·고정한다. 이어서, 제1, 제3, 제4 배관(11, 13, 110)을 각각 소정의 접속부에 접속하여 케이싱(20)의 개폐 도어(21)를 닫고, 부재의 교환을 완료시킨다.
이와 같이, 제5 실시예에 따른 전해수 제조 장치(1A)에 의하면, 전해조(4)에 염산 수용액을 송출하는 제2 배관(12)에 제5 배관(111) 및 희석수 압송 펌프(100)가 접속되고, 배관의 접속 관계가 복잡한 경우라도, 저류 탱크(9) 및 급수 배관(6)에 접속된 최소한의 배관만을 분리하여, 브래킷(102)에 의해 전해조(4), 펌프(10, 100)를 일체적으로 케이싱(20) 밖으로 용이하게 운반하여, 교환 작업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전해조(4), 펌프(10, 100)를 브래킷(102)에 의해 일체적으로 케이싱(20) 밖으로 운반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들 각 부재를 연결하는 배관의 분리, 및 폐액 처리가 용이하며, 또한 케이싱(20) 내를 약액 등에 의해 거의 더럽히지 않기 때문에, 작업 효율이 높아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 외에, 제1 실시예에서의 전해수 제조 장치(1)에서 얻어진 효과와 마찬가지로, 브래킷(102)의 구성이 단순하므로, 전해수 제조 장치(1A)의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펌프(100)의 접속부(103a, 103b)를 브래킷(102)에 대하여 측면이 되도록 고정할 수 있으므로, 배관의 레이아웃이 자유롭게 되어 작업 공간도 확보하기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따른 전해수 제조 장치에 의하면, 1대의 전해수 제조 장치에 치수가 상이한 각종 전해조를 내장할 수 있어, 전해수의 생성 능력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전해조의 장착 작업을 케이싱의 밖에서 행할 수 있고, 전해조의 교환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1, 1A: 전해수 제조 장치 4: 전해조
9: 저류 탱크 10: 펌프
11: 제1 배관 11a: 접속부
13: 제3 배관 13a: 접속부
20: 케이싱 23: 바닥판
26: 희석 수단 30: 브래킷
31a: 제1 받침대 31b: 제2 받침대
40: 장착부 60a: 제1 받침대
60b: 제2 받침대 65: 록 기구
80a: 제1 받침대 80b: 제2 받침대
84: 록 기구 100: 희석수 압송 펌프
102: 브래킷 106: 개구부
106a: 걸림 절결부 106b: 걸림 절결부
110: 제4 배관 111: 제5 배관

Claims (12)

  1. 판면이 한쪽 방향으로 향해 배열된 복수의 전극판과 상기 복수의 전극판을 내부에 수용한 하우징을 구비한 전해조(電解槽)에, 원료수를 공급하여 전해 처리함으로써 전해 처리액을 생성하고, 상기 전해 처리액을 희석하여 전해수를 생성하는 전해수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해조를 수납하는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에 착탈(着脫) 가능하게 고정되는 브래킷(bracket)
    을 구비하고,
    상기 브래킷은, 상기 한쪽 방향으로 마주보는 상기 하우징의 일단 및 타단을 장착하는 1쌍의 장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1쌍의 장착부는, 상기 1쌍의 장착부 사이의 치수가 상기 한쪽 방향으로 마주보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타단까지의 길이 치수에 대응하여 조정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전해수 제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에는, 상기 전해조에 원료수를 압송(壓送)하는 펌프가 장착되어 있는, 전해수 제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조에 희석수를 압송하는 희석수 압송 펌프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희석수 압송 펌프는, 상기 브래킷에 장착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전해수 제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희석수 압송 펌프는, 상기 브래킷에 대하여 각도를 가변으로 장착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전해수 제조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케이싱 본체;
    상기 케이싱 본체의 바닥판에 고정된 제1 받침대; 및
    상기 제1 받침대에 대하여 접리(接離)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바닥판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 받침대
    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받침대에 상기 1쌍의 장착부 중 한쪽 장착부가 고정되고,
    상기 제2 받침대에 다른 쪽 장착부가 고정되어 있는, 전해수 제조 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케이싱 본체;
    상기 케이싱 본체의 바닥판에 고정된 제1 받침대; 및
    상기 제1 받침대에 대하여 접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바닥판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 받침대를 구비하고,
    상기 전해조의 길이 치수에 대응하여 상기 장착부 사이의 치수가 상이한 복수의 브래킷을 구비하고,
    상기 브래킷은, 상기 전해조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받침대와 제2 받침대 사이에 걸쳐서 고정되어 있는, 전해수 제조 장치.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케이싱 본체;
    상기 케이싱 본체의 바닥판에 고정된 제1 받침대; 및
    상기 제1 받침대에 대하여 신축(伸縮) 가능하게 설치된 제2 받침대
    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받침대 및 상기 제2 받침대를 정위치에 고정시키는 록 기구(機構)를 구비하고 있는, 전해수 제조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조에 희석수를 압송하는 희석수 압송 펌프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희석수 압송 펌프는, 상기 브래킷에 장착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전해수 제조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희석수 압송 펌프는, 상기 브래킷에 대하여 각도를 가변으로 장착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전해수 제조 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케이싱 본체;
    상기 케이싱 본체의 바닥판에 고정된 제1 받침대; 및
    상기 제1 받침대에 대하여 접리(接離)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바닥판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 받침대
    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받침대에 상기 1쌍의 장착부 중 한쪽 장착부가 고정되고,
    상기 제2 받침대에 다른 쪽 장착부가 고정되어 있는, 전해수 제조 장치.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케이싱 본체;
    상기 케이싱 본체의 바닥판에 고정된 제1 받침대; 및
    상기 제1 받침대에 대하여 접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바닥판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 받침대를 구비하고,
    상기 전해조의 길이 치수에 대응하여 상기 장착부 사이의 치수가 상이한 복수의 브래킷을 구비하고,
    상기 브래킷은, 상기 전해조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받침대와 제2 받침대 사이에 걸쳐서 고정되어 있는, 전해수 제조 장치.
  12.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케이싱 본체;
    상기 케이싱 본체의 바닥판에 고정된 제1 받침대; 및
    상기 제1 받침대에 대하여 신축(伸縮) 가능하게 설치된 제2 받침대
    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받침대 및 상기 제2 받침대를 정위치에 고정시키는 록 기구(機構)를 구비하고 있는, 전해수 제조 장치.
KR1020127033193A 2010-05-31 2011-05-23 전해수 제조 장치 KR1014512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24880 2010-05-31
JP2010124880A JP5156793B2 (ja) 2010-05-31 2010-05-31 電解水製造装置
PCT/JP2011/061746 WO2011152237A1 (ja) 2010-05-31 2011-05-23 電解水製造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0770A KR20130030770A (ko) 2013-03-27
KR101451211B1 true KR101451211B1 (ko) 2014-10-15

Family

ID=45066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3193A KR101451211B1 (ko) 2010-05-31 2011-05-23 전해수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9440867B2 (ko)
EP (1) EP2578541A4 (ko)
JP (1) JP5156793B2 (ko)
KR (1) KR101451211B1 (ko)
CN (1) CN102917983B (ko)
TW (1) TWI463037B (ko)
WO (1) WO201115223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2889A (ko) * 2018-12-13 2020-06-23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재생에너지를 이용하는 차아염소산 생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59223A1 (en) * 2012-09-28 2015-09-17 Morinaga Milk Industry Co., Ltd. Electrolyzed water production device, electrolyzed water production method, and electrolytic bath
JP5836243B2 (ja) * 2012-09-28 2015-12-24 森永乳業株式会社 電解水製造装置
JP5845293B2 (ja) * 2014-01-22 2016-01-20 株式会社日本トリム 電解水生成装置
US9420922B2 (en) 2014-03-12 2016-08-23 Gojo Industries, Inc. Wipe container assembly
JP6480965B2 (ja) * 2017-01-18 2019-03-13 株式会社日本トリム 電解水生成装置
JP6870992B2 (ja) * 2017-01-18 2021-05-12 株式会社日本トリム 電解水生成装置
JP6853048B2 (ja) * 2017-01-18 2021-03-31 株式会社日本トリム 電解水生成装置及び透析液調製用水の製造装置
JP6875133B2 (ja) * 2017-01-18 2021-05-19 株式会社日本トリム 電解水生成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6258A (ja) * 1992-12-08 1994-08-16 Toho Tec Kk 電解イオン水の生成装置
JPH10174972A (ja) * 1996-12-18 1998-06-30 Matsushita Seiko Co Ltd 電解水生成機
JPH11235378A (ja) * 1998-02-19 1999-08-31 Morinaga Milk Ind Co Ltd 電解水手洗器
US20050087446A1 (en) * 2003-09-19 2005-04-28 Usfilter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water treatment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40458A (en) * 1992-12-08 1994-08-23 Toho Technical Service Co., Ltd. Electrolytic ion water generator
JP3468835B2 (ja) 1994-05-09 2003-11-17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電解水生成装置
JPH11169856A (ja) 1996-06-04 1999-06-29 Mizu Kk 電解水生成装置
US6200434B1 (en) * 1998-02-27 2001-03-13 Amano Corporation Apparatus for producing electrolytic water
JP3494570B2 (ja) * 1998-03-09 2004-02-09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電解水生成装置
US6096177A (en) 1998-06-16 2000-08-01 Hoshizaki Denki Kabushiki Kaisha Electrolyzed water production apparatus
JP3571258B2 (ja) 1999-08-31 2004-09-29 アマノ株式会社 電解水生成装置
US6656334B2 (en) * 2001-07-23 2003-12-02 Skydon Corp. Modified electrolysis cell and a housing for the same
KR100388085B1 (en) * 2002-04-16 2003-06-27 Hanwha Chemical Corp Forming method of gasket used in electrolytic analyzer, gasket and electrolytic analyzer
JP3711501B2 (ja) * 2002-12-27 2005-11-02 飛島建設株式会社 電気分解を用いる水改質ユニット
JP2005035670A (ja) * 2003-07-02 2005-02-10 Hoshizaki Electric Co Ltd 機能機器の筺体に対する取付構造
JP4277317B2 (ja) * 2004-09-29 2009-06-10 Toto株式会社 電解水生成装置
JP5227710B2 (ja) * 2008-09-19 2013-07-03 三洋電機株式会社 電解水生成装置、及び、除菌システム
JP5173683B2 (ja) * 2008-09-03 2013-04-03 森永乳業株式会社 複極式電解槽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スペーサ
BRPI0922167A2 (pt) * 2008-12-17 2019-09-24 Tennant Co aparelho para aplicar carga elétrica através de um líquido, método para aplicar carga elétrica através de um líquido, e, meio antimicrobiano
CN101514040A (zh) 2009-04-03 2009-08-26 中南大学 一种三维电极反应器及其在难降解有机废水处理中的应用
JP5538431B2 (ja) * 2009-12-25 2014-07-02 森永乳業株式会社 電解水製造装置
JP5156792B2 (ja) * 2010-05-31 2013-03-06 森永乳業株式会社 電解水製造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6258A (ja) * 1992-12-08 1994-08-16 Toho Tec Kk 電解イオン水の生成装置
JPH10174972A (ja) * 1996-12-18 1998-06-30 Matsushita Seiko Co Ltd 電解水生成機
JPH11235378A (ja) * 1998-02-19 1999-08-31 Morinaga Milk Ind Co Ltd 電解水手洗器
US20050087446A1 (en) * 2003-09-19 2005-04-28 Usfilter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water treatment devic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2889A (ko) * 2018-12-13 2020-06-23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재생에너지를 이용하는 차아염소산 생산 장치
KR102268312B1 (ko) * 2018-12-13 2021-06-23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재생에너지를 이용하는 차아염소산 생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440867B2 (en) 2016-09-13
EP2578541A4 (en) 2016-10-19
JP2011251212A (ja) 2011-12-15
US20130146449A1 (en) 2013-06-13
US9643863B2 (en) 2017-05-09
US20160311706A1 (en) 2016-10-27
KR20130030770A (ko) 2013-03-27
EP2578541A1 (en) 2013-04-10
TW201207157A (en) 2012-02-16
CN102917983A (zh) 2013-02-06
CN102917983B (zh) 2014-10-01
JP5156793B2 (ja) 2013-03-06
WO2011152237A1 (ja) 2011-12-08
TWI463037B (zh) 2014-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1211B1 (ko) 전해수 제조 장치
US10464830B2 (en) Electrolytic liquid generating device, liquid modifying device provided with electrolytic liquid generating device, and electric apparatus using electrolytic liquid generated by means of electrolytic liquid generating device
KR101549623B1 (ko) 전해수 제조 장치
JP5887385B2 (ja) 電解装置
US20110011736A1 (en) Disposable Cartridge for an Electrolytic Cell
JP2014190553A (ja) 空気清浄装置
JP5845293B2 (ja) 電解水生成装置
KR101817271B1 (ko) 전해수 제조 장치
KR100904682B1 (ko)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
JP2008161795A (ja) オゾン水生成器
KR200462705Y1 (ko) 의료기기 소독용 차아염소산수 생성장치
KR20170008664A (ko) 전해기능을 가지는 급수펌프
US10358362B2 (en) Pump having electrolysis function
JP2008080268A (ja) 不純物除去装置
JP2007196080A (ja) 水処理装置
CN114798222A (zh) 一种喷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