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0566B1 - Cooker and Control process of the same - Google Patents

Cooker and Control process of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0566B1
KR101450566B1 KR1020090038996A KR20090038996A KR101450566B1 KR 101450566 B1 KR101450566 B1 KR 101450566B1 KR 1020090038996 A KR1020090038996 A KR 1020090038996A KR 20090038996 A KR20090038996 A KR 20090038996A KR 101450566 B1 KR101450566 B1 KR 101450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plate
cleaning
water
cleaning member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89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120014A (en
Inventor
이승찬
백채현
전용석
문현욱
김양경
이정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8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0566B1/en
Publication of KR20100120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001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0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056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4/00Stoves or ranges having self-cleaning provisions, e.g. continuous catalytic cleaning or electrostatic cleaning
    • F24C14/005Stoves or ranges having self-cleaning provisions, e.g. continuous catalytic cleaning or electrostatic cleaning using a cleaning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5Coatings for ov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2Tops, e.g. hot plates; Rings electrically he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4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with heat produced wholly or partly by a radiant body, e.g. by a perforated plate
    • F24C3/047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24C7/067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on rang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는 본체와; 본체에 설치된 가열원과;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면에 인산염계 범랑이 코팅된 상판을 포함하여, 상판의 청소시, 인산인계 법랑이 상판 상면의 오염물을 상판에서 쉽게 분리되게 도우므로, 상판 청소가 용이하고, 상판이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body; A heating source provided in the main body; Since the phosphorus phosphorus enamel helps the contaminants on the top surface of the top plate to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top plate when the top plate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main body and includes the phosphate plate crumb coating on the top surfac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maintained.

공기조화기, 본체, 가열원, 인산인계 법랑, 상판 Air conditioner, main body, heating source, phosphorous phosphorus enamel, top plate

Description

조리기기 및 그 운전 방법{Cooker and Control process of the same}Cooker and control process of the same [

본 발명은 조리기기 및 그 운전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부에 가열원이 설치된 조리기기 및 그 운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apparatus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oking apparatus provided with a heating source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조리기기는 가열원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하는 조리하는 기기로서, 가열원은 전기가 인가되면 발열되는 전열 히터나, 화석 연료로 불을 발생하는 버너나, 전자기력으로 금속재 조리 용기 등에 전기가 흐르도록 유도하여 조리 용기가 발열되게 하는 유도 가열기 등이 사용된다.Generally, a cooking device is a cooking device that heats food using a heating source. The heating source is an electric heater that generates heat when electricity is applied, a burner that generates fires by fossil fuel, An induction heater for causing the cooking vessel to generate heat by inducing the heat to flow, and the like are used.

조리기기는 조리 용기가 조리 기기의 상부에 올려진 후 가열원이 작동되어 조리 용기를 가열하는데, 음식물 조리 도중이나 조리 전,후에 음식물 일부가 조리기기의 상판에 묻을 수 있고, 이러한 음식물 일부는 상판의 상면에 오염물로 남게 된다.In the cooking apparatus, a cooking vessel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oking apparatus, and then a heating source is operated to heat the cooking vessel. Part of the food may be buried on the upper plate of the cooking apparatus during cooking, before and after cooking, As a contaminant.

사용자 등은 세제성분을 포함한 세척수나 온수를 상판에 붓고, 수세미나 키친 타올이나 걸레 등으로 상판을 청소하는데, 그 청소 작업이 용이하지 않고 청결하게 청소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The user pouces the washing water containing the detergent component or the hot water into the top plate, and the top plate is cleaned by the washing machine, the kitchen towel or the mop, and the cleaning operation is not easy and the cleaning is not cleaned.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상판의 청소가 손쉽고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oking device which can easily and cleanly clean the top plat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리기기가 상판의 오염물을 물이나 스팀으로 불린 후 오염물을 마찰식으로 닦아내어 자동으로 청소하는 조리기기의 운전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operating a cooking device, in which a cooking device frictionally wipes off contaminants after being called water or steam, and automatically cleans the contaminants.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된 가열원과;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면에 인산염계 법랑이 코팅된 상판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oking apparatus comprising: a main body; A heating source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a top plate provided on the main body and coated with a phosphate-based enamel on the top surface.

상기 인산염계 법랑은 알루미노인산염계 범랑이 코팅된다.The phosphate-based enamel is coated with an aluminophosphate sieve.

상기 상판은 물이 담겨지는 수용부를 갖게 테두리를 따라 단턱이 돌출 형성된다.The upper plate is formed with a step protruding along the rim to have a receiving portion in which water is contained.

상기 물을 가열하게 상기 상판에 설치된 히터를 더 포함한다.And a heater provided on the upper plate to heat the water.

상기 상판으로 물을 급수하게 설치된 급수기를 더 포함한다.And a water dispenser installed to supply water to the upper plate.

상기 상판으로 스팀을 분사하게 설치된 스팀 분사기를 더 포함한다.And a steam injector installed to spray steam to the upper plate.

상기 인산염계 법랑코팅층과 접촉되면서 청소하도록 상기 상판에 이동되게 배치된 청소부재를 포함한다.And a cleaning member disposed on the upper plate so as to be cleaned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phosphate-based enamel coating layer.

상기 청소부재를 직선 이동시키는 청소부재 무빙기구를 포함한다.And a cleaning member moving mechanism for linearly moving the cleaning member.

상기 상판에는 물과 오염물이 배출되는 드레인 홀이 형성된다.A drain hole through which water and contaminants are discharged is formed on the upper plate.

상기 상판은 상기 드레인홀을 향해 하향 구배진다.The upper plate is sloped down toward the drain hole.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조리 용기를 가열하는 버너와; 상기 버너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면에 인산염계 법랑코팅층이 코팅된 금속 재질의 상판을 포함한다.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body; A burner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heating the cooking vessel; And a top plate made of a metal material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burner passes and having a phosphate-based enamel coating layer formed on the top surface thereof.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전자기력으로 조리 용기에 전기가 흐르게 유도하여 조리 용기를 가열시키는 유도 가열기와; 상기 유도 가열기를 덮고, 상기 조리 용기가 올려지며, 상면에 인산염계 법랑코팅층이 코팅된 글래스 재질의 상판을 포함한다.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body; An induction heater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to induce electricity to flow into the cooking vessel by an electromagnetic force to heat the cooking vessel; And a top plate made of a glass material, which covers the induction heater, the cooking vessel is raised, and a phosphate-based enamel coating layer is coated on the upper surface.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의 운전 방법은, 상면에 인산염계 법랑이 코팅된 상판에 물 또는 스팀이 공급되어 상기 상판의 오염물을 불리는 불림 단계와; 상기 불림 단계 이후 상기 상판에 이동되게 배치된 청소부재가 인산염계 법랑코팅층과 마찰되면서 상기 상판의 오염물을 청소하는 상판 청소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of operating a coo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supplying water or steam to a top plate coated with a phosphate-based enamel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calling contaminants of the top plate; And cleaning the contamination of the upper plate by rubbing the cleaning member disposed on the upper plate after the dumping step with the phosphate-based enamel coating layer.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조리기기 상판의 상면에 인산염계 법랑코팅층이 형성되어, 상판 상면의 오염물이 온수나 스팀과 반응할 때 상판에서 쉽게 분리되고, 상판 청소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above, the phosphate-based enamel coating layer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okware upper plate, so that when the contaminant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react with hot water or steam, they are easily separated from the upper plate and the upper plate is easily cleaned.

또한, 물이 단턱에 의해 상판에 담겨지므로, 다량의 물이 상판으로 공급되어 오염물을 효율적으로 불림 및 청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Further, since the water is contained in the upper plate by the step, a large amount of water is supplied to the upper plate, and the contaminants can be efficiently called and cleaned.

또한, 조리기기에 설치된 히터가 물을 가열하므로, 사용자가 상판으로 고온수를 직접 공급할 필요가 없어, 안전하게 상판을 청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heater installed in the cooking device heats the water, there is no need for the user to directly supply the hot water to the top plate,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top plate can be safely cleaned.

또한, 조리기기에 설치된 급수기가 상판으로 직접 물을 급수하므로, 편리하게 상판을 청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water dispenser installed in the cooking device supplies water directly to the upper plat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pper plate can be conveniently cleaned.

또한, 조리기기에 설치된 스팀 분사기에서 상판으로 스팀이 분사되므로, 상판 전체를 고르게 고온의 스팀으로 불림 및 청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Further, since steam is sprayed to the upper plate from the steam injector installed in the cooking device, the entire upper plate can be called as high temperature steam and cleaned.

또한, 청소부재가 상판에 이동되게 배치되어, 조리기기 자체가 오염물을 청소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Further, the cleaning member is arranged to be moved on the upper plate, so that the cooking appliance itself can clean the contaminants, which is advantageous in that convenience for the user is increased.

또한, 청소부재 무빙기구가 청소부재를 직선 이동시키므로, 청소부재에 의한 자동 청소가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leaning member moving mechanism linearly moves the cleaning memb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leaning member can be automatically cleaned.

또한, 상판에 형성된 드레인홀로 물과 오염물이 배출되므로, 상판 상면의 배수가 편리하고 오염물 배출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water and contaminants are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hole formed in the upper plate, there is an advantage that drainag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is convenient and pollutant discharge is easy.

또한, 조리기기 자체가 상판을 불린 후 청소부재가 직접 상판을 청소하므로,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으로 상판 청소 작업 전체를 간편하게 완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Further, since the cleaning device itself directly cleans the top plate after the cooking appliance itself calls up the top plat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entire top plate cleaning operation can be easily completed by a simple operation of the user.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 제 1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상판의 확대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top plate shown in Fig.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본체(2)와, 본체(2)에 설치된 가열원(10)과, 본체(2)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면에 인산염계(PxOx) 법랑(A)이 코팅된 상판(20)을 포함한다.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main body 2, a heating source 10 provided in the main body 2, and a phosphorus-based (PxOx) enamel (A) And an upper plate 20.

본체(2)에는 오븐 등의 조리부(3) 상측에 설치되어 오븐 등의 조리부와 일체화되는 것도 가능하고, 싱크대 등에 매립되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싱크대 등 위에 이동 가능하게 올려지는 것도 가능하다.The main body 2 can b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oking cavity 3 such as an oven and can be integrated with the cooking cavity such as an oven or embedded in a sink or the like and can be movably mounted on a sink or the like.

본체(2)는 상면이 개방된 외부 케이스(4)와, 조리기기를 조작하도록 외부 케이스의 전면 또는 상면에 설치된 입력부(6)와, 가열원(10)으로 전원이나 화석 연료를 공급하는 공급부(미도시)를 포함한다.The main body 2 has an outer case 4 whose upper surface is opened, an input unit 6 provided on the front or upper surface of the outer case so as to operate the cooking device, and a supply unit (Not shown).

공급부는 가열원(10)이 후술하는 유도 가열기나 전열 히터로 이루어진 경우, 유도 가열기나 전열 히터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이고, 가열원(10)이 후술하는 버너인 경우 버너로 화석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부로 이루어진다.The supply unit is a power supply unit that supplies power to the induction heater or the electrothermal heater when the heating source 10 is an induction heater or an electrothermal heater to be described later. When the heating source 10 is a burner to be described later, And a fuel supply unit.

가열원(10)은 조리기기의 상면에 조리 용기 등을 올린 후 음식물이 조리되게 하는 일종의 쿡 탑으로서, 전자기력으로 조리 용기에 전기가 흐르게 유도하여 조리 용기를 가열시키는 유도 가열기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화석 연료 등으로 불을 발생시켜 조리 용기를 직접 가열하는 버너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전기가 인가되면 발열되는 전열 히터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The heating source 10 may be a kind of cook top that cooks food after it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oking device. The cook top may be an induction heater that induces electricity to flow into the cooking pot by electromagnetic force to heat the cooking pot. A burner for directly heating the cooking vessel by generating a fire with fossil fuel or the like, or an electrically heated heater which generates heat when electricity is applied.

상판(20)은 조리기기의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본체(2)의 상면을 덮도록 배치된다.The upper plate 20 forms the upper surface of the cooking device and is disposed so as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2. [

상판(20)은 가열원(10)이 유도 가열기인 경우 가열원(10)인 유도 가열기를 덮고 글래스 재질로 형성되는 반면에, 가열원(10)이 버너나 전열 히터로 이루어진 경우 가열원(10)인 버너나 전열 히터가 관통되는 관통공(21)이 형성되고 금속 재질로 형성된다.The upper plate 20 is formed of a glass material so as to cover the induction heater 10 as the heating source 10 when the heating source 10 is an induction heating device and the heating source 10 ) Through which the burner or the electrothermal heater penetrates, and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이하, 가열원(10)은 버너로 이루어지고, 상판(20)은 버너가 관통되는 관통공(21)이 형성됨과 아울러 금속 재질로 형성된 금속체(22)와, 금속체(22)의 상면에 코팅 형성된 인산염계 법랑(A)을 포함한다.Hereinafter, the heating source 10 is formed of a burner, and the upper plate 20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21 through which the burner passes, a metal body 22 formed of a metal material, And a coated phosphate-based enamel (A).

인산염계 법랑(A)은 온수나 스팀에 대한 청소성이 우수한 것으로서, 특히, 알루미노인산염계 법랑이 금속체(22) 상면에 코팅 형성되고, 온수나 스팀이 그 표면에 접촉되게 되면, 인산염계 법랑(A)의 표면에 붙은 오염물(D)을 청소가 용이한 상태로 바꾼다.  The phosphate-based enamel (A) is excellent in the cleaning property against hot water or steam. Particularly, when the aluminophosphate enamel is co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etal body 22 and hot water or steam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urface thereof, The contamination (D) adhering to the surface of the enamel (A) is changed into a state of easy cleaning.

조기 기기는 조리 용기가 올려지는 삼발이 등의 와이어 랙(23)을 더 포함하고, 와이어 랙(23)을 상판(20) 청소가 용이하도록 조리기기에 착탈되게 배치된다.The early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wire rack 23 such as a tripod or the like on which the cooking vessel is lifted. The wire rack 23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cooking apparatus so that the upper plate 20 can be easily clean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사용자 등이 와이어 랙(23)을 들어올려 분리한 후, 대략 20℃내지 100℃의 온수나 스팀을 상판(20)의 상면으로 공급하면, 온수나 스팀은 인산염계 법랑(A) 및 오염물(D)과 접촉되고, 온수나 스팀은 오염물(D)과 수소 결합되면서, 오염물(D)의 분해를 돕고, 오염물(D)은 점차 불려진다. First, when a user or the like lifts and separates the wire rack 23 and then supplies hot water or steam of about 20 ° C to 100 ° C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20, (D), the hot water or steam is hydrogen bonded to the contaminant (D) to aid in the decomposition of the contaminant (D), and the contaminant (D) is gradually called.

상기와 같이 온수나 스팀을 상판(20)의 상면으로 공급한 동안, 상판(20)의 상면 전체를 덮는 별도의 상판 커버로 상판(20)을 덮어두면, 온수나 스팀에 의한 오염물(D)의 불림 작용은 더욱 증대된다.When the upper plate 20 is covered with a separate upper plate cover covering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20 while the hot water or steam is suppli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20 as described above, Bamboo action is further increased.

상기와 같이 온수나 스팀을 상판(20)의 상면 특히, 인산염계 법랑(A)으로 공급한 후 소정 시간(예를 들면, 30분) 동안 오염물을 불리고, 이후 수세미나 키친 타올이나 걸레 등의 청소 부재로 상판(20) 특히, 인산염계 법랑(A)을 마찰시키면, 오염물(D)은 인산염계 범랑(A)에서 분리되고, 이후, 인산염계 범랑(A)에서 분리된 오염물(D)을 수거하면, 상판(20)의 청소가 완료된다.As described above, the hot water or steam is suppli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20, particularly the phosphate-based enamel (A), and the contaminants are call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for example, 30 minutes) The contaminant D is separated from the phosphate-based sludge A and then the contaminant D separated from the phosphate-based sludge A is collected by the member 20, particularly the phosphate- The cleaning of the upper plate 20 is completed.

도 3은 일반 법랑과 인산염계 법랑의 물 온도에 따른 청소 성능을 비교하기 위한 그래프이고, 도 4는 일반 법랑과 인산염계 법랑의 불림시간에 따른 청소 성능을 비교하기 위한 그래프이다.FIG. 3 is a graph for comparing the cleaning performance of general enamel and phosphate-based enamel according to the water temperature, and FIG. 4 is a graph for comparing the cleaning performance of the general enamel and the phosphate-based enamel according to the time required.

도 3을 참조하면, 일반법랑(B)의 경우 온도에 상관 없이 걸레를 300회 문지르는 경우에도 완전하게 오염물이 제거되지 않으나, 인산염계 성분이 함유된 법랑(A)의 경우 물 온도가 증가될 수록, 오염 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걸레를 문지르는 횟수가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in the case of the general enamel (B), contaminants are not completely removed even when the mop is rubbed 300 times irrespective of the temperature. However, in the case of the enamel (A) containing the phosphate- , It can be seen that the number of rubbing of the mop in order to remove contaminants is reduced.

도 4를 참조하면, 일반법랑(B)의 경우 불림 시간에 상관 없이 걸레를 300회 문지르는 경우에도 완전하게 오염 물질이 제거되지 않으나, 인산염계 성분(A)이 함유된 법랑의 경우 불림 시간이 증가될수록,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걸레를 문지르는 횟수가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even in the case of a general enamel (B), contaminants are not completely removed even when the mop is rubbed 300 times irrespective of the time at which it is called. However, in the enamel containing the phosphate component (A) As you do so, you will notice that the number of times you rub the mop to remove contaminants decreases.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인산염계 성분을 함유한 법랑(A)을 상판(20)의 금 속체(22)에 코팅 처리하는 경우 청소 성능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enamel (A) containing a phosphate-based component is coated on the metal body 22 of the upper plate 20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leaning performance can be improved.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 제 2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6에 도시된 상판의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 제 2 실시예가 급수 중일 때의 일부 개략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 제 2 실시예가 상판 불림 중일 때의 일부 개략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 제 2 실시예가 상판 불림 후 배수할 때의 일부 개략 단면도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plan view of the top plate shown in FIG. 6, and FIG. 7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of a part of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artial schematic sectional view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draining the top plate. FIG. 9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of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20)으로 온수나 스팀이 공급되었을 때 온수나 스팀이 상판(20)의 주변으로 흐르지 않고, 상판(20)에 담겨져 있는 상태에서 상판(20)의 오염물을 충분히 불릴 수 있도록 온수나 스팀이 상판(20)에 담겨져 있게 하는 수용부(24)를 갖는다.5 to 9, when the hot water or steam is supplied to the upper plate 20, the hot water or steam does not flow to the periphery of the upper plate 20, And the accommodating portion 24 for allowing hot water or steam to be contained in the upper plate 20 so that the contaminants of the upper plate 20 can be sufficiently blown.

수용부(24)는 상판(20) 또는 외부 케이스(4)에 상향 돌출된 단턱(25)에 의해 형성된다.The receiving portion 24 is formed by a step 25 protruding upward from the upper plate 20 or the outer case 4. [

단턱(25)은 상단이 상판(20) 보다 높게 외부 케이스(4)에서 돌출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판(20)의 테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step 25 may protrude from the outer case 4 higher than the upper plate 20 and protrude along the rim of the upper plate 20.

상판(20)은 인산염계 법랑(A)이 하측으로 함몰된 부분 뿐만 아니라 단턱(25)의 내측면(25a)과 상면(25b)과 외측면(25c)에도 코팅된다. The upper plate 20 is coated not only on the portion where the phosphate-based enamel A is depressed downward but also on the inner surface 25a, the upper surface 25b and the outer surface 25c of the step 25.

조리기기는 사용자 등이 20℃내지 100℃의 온수를 수용부(24)를 직접 부어서 오염물을 불리는 것도 가능하고, 사용자 등이 물을 수용부(24)로 붓고 상판(20)에 설치된 히터(30)나 가열원(10)이 물을 20℃내지 100℃로 가열하여 온수로 변화시키 는 것도 가능하며, 조리기기에 설치된 급수기(40)가 수용부(24)로 물을 급수하고 상판(20)에 설치된 히터(30)나 가열원(10)이 물을 20℃내지 100℃로 가열하여 온수로 변화시키는 것도 가능하고, 본체(2) 내부에 설치된 히터(30)에서 물을 20℃내지 100℃ 가열한 후 급수기(40)가 히터(30)에서 20℃내지 100℃로 가열된 물을 상판(20)의 수용부(24)로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It is also possible for the user or the like to pour hot water of 20 to 100 degrees centigrade directly into the accommodating portion 24 so that the user can pour contaminants into the accommodating portion 24, Or the heating source 10 may change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to 20 ° C to 100 ° C so that the water can be changed into hot water. When the water dispenser 40 installed in the cooking device supplies water to the receiving portion 24, The heater 30 and the heating source 10 provided in the main body 2 can heat water to 20 ° C to 100 ° C and change it into hot water. It is also possible to supply the water heated by the water dispenser 40 to the heater 30 at 20 to 100 캜 to the accommodating portion 24 of the upper plate 20 after heating.

이하, 조리기기는 히터(30)와 급수기(40)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oking appliance will be described as including the heater 30 and the water dispenser 40.

히터(30)는 상판(20) 특히 수용부(24)로 공급된 물을 가열하게 상판(20)에 설치된다.The heater 30 is installed on the upper plate 20 so as to heat the water supplied to the upper plate 20, particularly the accommodating portion 24.

히터(30)는 가열원(10)에 크게 영향 받지 않고 가열원(10)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관통공(21)을 회피하여 설치된다.The heater 30 is installed by avoiding the through hole 21 so that the heating source 10 can be installed without being greatly affected by the heating source 10. [

히터(30)는 수용부(25)의 저면이나 단턱(25)의 내측면(25a)에 설치된다. The heater 30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25 or the inner surface 25a of the step 25.

급수기(40)는 상판(20)으로 물을 급수하게 설치되고, 상판(20)으로 물을 급수하는 급수 유로(42)를 갖는다.The water dispenser 40 has a water supply passage 42 for supplying water to the upper plate 20 and supplying water to the upper plate 20. [

급수 유로(42)는 수용부(24)로 물을 급수하기 위해 상판(20)을 관통하거나 상판(20)의 단턱을 타는 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water supply flow path 42 is formed in a shape that passes through the upper plate 20 or rises over the step of the upper plate 20 in order to supply water to the accommodating portion 24.

급수 유로(42)는 급수 호스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급수 호스는 본체(2)의 내부에서 상판(20)을 관통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water supply channel 42 is formed of a water supply hose and the water supply hose is arranged to pass through the upper plate 20 inside the main body 2. [

상판(20)에는 급수 유로(42)가 관통되는 유로 관통부(27)가 상판(20)의 함몰부인 수용부(24)의 저면부에 형성되거나, 단턱(25)의 내측면(25a)에 형성된다.A flow path penetration portion 27 through which the water supply flow path 42 is passed i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24 which is a depression of the top plate 20 or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25a of the step 25 .

급수기(40)는 물이 담겨지는 저수조(44)와, 저수조(44)의 물을 펌핑시키는 펌프(46)를 포함하여 펌프(46)의 구동시, 저수조(44)의 물이 펌프(46)와 급수 유로(42)를 통해 상판(20)의 물 수용부(24)로 급수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수도 배관 등의 외부 급수원에서 공급된 물을 단속하고 급수 유로가 연결된 급수 밸브(미도시)를 포함하여 급수 밸브의 개방시 외부 급수원의 물이 급수 밸브와 급수 유로(42)를 통해 물 수용부(24)로 급수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water dispenser 40 includes a water reservoir 44 containing water and a pump 46 for pumping the water of the water reservoir 44 so that water in the reservoir 44 flows into the pump 46 when the pump 46 is driven, And a water supply valve (not shown) to which water supplied from an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such as a water supply piping is interrupted and a water supply channel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ortion 24,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water of the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is supplied to the water receiving portion 24 through the water supply valve and the water supply flow path 42 when the water supply valve is opened.

한편, 상판(20)은 수용부(25)로 급수된 물과 오염물이 배출되는 드레인 홀(28)이 형성된다. 드레인 홀(28)은 물과 오염물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수용부(24)의 저판부에 상하 개구되게 형성되고, 상판(20)은 물과 오염물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수용부(24)의 저판부가 드레인홀(28)을 향해 하향 구배지게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plate 20 is formed with a drain hole 28 through which water and contaminants are discharged to the receiving portion 25. The drain hole 28 is formed in the bottom plate por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24 so as to facilitate the discharge of water and contaminants. The top plate 20 is provided with a bottom plate portion Drain holes 28. The drain holes 28 are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상판(20)에는 드레인홀(28)로 배출된 물과 오염물을 본체(2) 외부로 안내하는 드레인 호스(29)가 연결된다. A drain hose (29) for guiding water and contaminants discharged to the drain hole (28)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2) is connected to the upper plate (20).

조리기기는 수용부(25)로 물이 급수된 동안 물이 드레인홀(28)로 배출되지 않도록 드레인홀(28)을 막고, 오염물의 불림이 끝나 물을 배출하거나 오염물의 배출시 드레인홀(28)을 개방할 수 있도록 드레인홀(28)을 개폐하는 개폐기구(50)를 더 포함한다. The cooking appliance is configured such that the drain hole 28 is closed so that water is not discharged to the drain hole 28 while water is supplied to the receiving portion 25 and the drain hole 28 (5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rain hole (28) so as to open the drain hole (28).

개폐기구(50)는 사용자 등이 직접 손이나 도구를 이용하여 드레인 홀(28)을 개폐 동작시키는 마개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조리기기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 동작되는 전자식 개폐밸브로 이루어진 배출 밸브(52)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Th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50 may be formed of a stopp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rain hole 28 by a hand or a tool by a user or the like and may include a discharge valve 52 ).

배출 밸브(52)는 상판(20)의 하측 즉, 본체(2)의 내부에 위치되게 설치되고, 상판(20)의 저판부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드레인호스(29)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discharge valve 52 may be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plate 20 or the inside of the main body 2 and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plate of the upper plate 20 or may be provided on the drain hose 29 Do.

조리 기기는 상기와 같은 온수가 인산염계 법랑(A)의 상면의 오염물을 불리는 동안 상판(20)의 상면 전체를 덮는 상판 커버(60)를 더 포함한다.The cooking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top cover 60 covering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20 while the hot water is used to clean the contaminant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hosphate-based enamel (A).

상판 커버(60)는 상판(20)에 회전되거나 슬라이드되게 연결되거나 상판(20)과 별도로 구성되어, 오염물이 불려지는 동안 수용부(25)를 덮게 배치된다.   The upper plate cover 60 is connected to the upper plate 20 so as to be rotated or slidably connected to the upper plate 20 or separately from the upper plate 20 so as to cover the accommodation portion 25 while the pollutant is being called.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 제 2 실시예의 제어 블록도이다.10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조리기기에는 상판(20) 특히 수용부(25)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감지부(70)와, 입력부(6)의 입력에 따라 조리기기의 전체적인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72)와, 조리기기의 작동 조건이 저장되는 메모리부(74)와, 시간을 계산하는 타이머(76)를 더 포함한다.The cooking apparatus includes a temperature sensing unit 70 for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upper plate 20, particularly the accommodating unit 25, a control unit 72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input unit 6, A memory unit 74 for storing operating conditions of the device, and a timer 76 for calculating time.

입력부(6)에는 작동 조건을 입력하기 위한 각종 버튼과, 조리기기(1)의 작동 상태가 알려지도록 하는 알림부(78)가 포함된다. The input unit 6 includes various buttons for inputting operating conditions and a notification unit 78 for lett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cooking appliance 1 be known.

입력부(6)의 버튼은 상판(20) 청소를 위한 히터(30)의 작동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 선택 버튼과, 선택된 모드를 시작하기 위한 시작 버튼이 포함된다. 물론, 입력부(6)에는 조리 모드 선택 버튼과, 조리 시작 버튼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The button of the input unit 6 includes a mode selection button for select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heater 30 for cleaning the top plate 20 and a start button for starting the selected mode. Of course, the input unit 6 may further include a cooking mode selection button, a cooking start button, and the like.

상판(20) 청소를 위한 히터(30)의 작동 모드에는, 제 1 모드, 제 2 모드 및 제 3 모드가 포함될 수 있고, 모드의 구분은 상판(20)의 오염 정도를 기준으로 구 분될 수 있다. The operation mode of the heater 30 for cleaning the upper plate 20 may include a first mode, a second mode and a third mode, and the mode may be classified based on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upper plate 20 .

상판(20)의 오염 정도는 사용자에 의해서 판단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판단에 따라 특정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이 때, 제 1 모드가 상판(20)의 오염 정도가 가장 낮은 상태를 의미하고, 제 3 모드가 상기 상판(20)의 오염 정도가 높은 상태를 의미한다.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upper plate 20 can be determined by the user, and a specific mode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judgment of the user. In this case, the first mode means a state in which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upper plate 20 is the lowest, and the third mode means a state in which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upper plate 20 is high.

그리고, 모드의 선택은 모드 선택 버튼의 누름 횟수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즉, 모드 선택 버튼을 한번 누르는 경우, 제 1 모드가 선택되고, 재차 누르는 경우 제 2 모드가 선택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모드 상태에서 상기 모드 선택 버튼을 재차 누르는 경우 제 3 모드가 선택된다. The selection of the mode can be determined by the number of times the mode selection button is pressed. That is, when the mode selection button is pressed once, the first mode is selected, and when it is pressed again, the second mode is selected. When the mode selection button is pressed again in the second mode, the third mode is selected.

알림부(78)는 상판(20)의 최적 청소 시기를 외부로 알릴 수 있다. 알림부(78)에서 알려지는 정보는 시각적 정보 또는 청각적 정보 등일 수 있다. 알림부(78)는, 일례로, 디스플레이부, LED, 스피커, 진동 소자 등 이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알림부(78)에서 발생되는 신호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The notification unit 78 can inform the outside of the optimum cleaning timing of the upper plate 20. [ The information known in the notification unit 78 may be visual information or auditory information. As the notification unit 78, for example, a display unit, an LED, a speaker, and a vibration device can be applied. It is to be noted that there is no limitation in the kind of the signal generated in the notification unit 78 in the present embodiment.

메모리부(75)에는 각 모드에 따른 히터(30)의 작동 조건 및 최적 청소 알림 시기가 저장될 수 있다. 일 례로, 최적 청소 알림 시기는, 제 1 모드에서는 5분, 제 2 모드에서는 20분 및 제 3 모드에서 30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각 모드에서의 최적 청소 알림 시기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heater 30 and the optimum cleaning notification timing may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75 according to each mode. For example, the optimum cleaning notification period may be set to 5 minutes in the first mode, 20 minutes in the second mode, and 30 minutes in the third mode. It is to be noted that the optimal cleaning notification timing in each of the above-described modes is not limited in this embodiment.

도 11은 도 5 내지 도 10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운전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고, 도 12 내지 도 14는 각 모드에서의 시간 흐름에 따른 온도 변화를 보여주는 그 래프로서, 도 12에는 제 1 모드에서의 온도 변화가 도시되고, 도 13에는 제 2 모드에서의 온도 변화가 도시되며, 도 14에는 제 3 모드에서의 온도 변화가 도시된다. FIG. 11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method of the cooking apparatus shown in FIGS. 5 to 10, FIGS. 12 to 14 are graphs showing changes in temperature with time in each mode, Fig. 13 shows the temperature change in the second mode, and Fig. 14 shows the temperature change in the third mode.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상판(20)으로 청소를 위한 물이 공급된다(S1). 일례로 사용자에 의해서 상판(20)으로 물이 공급되거나, 급수기(40)가 상판(20)으로 물을 급수한다.11 to 14, water for cleaning is supplied to the upper plate 20 (S1). For example, water is supplied to the upper plate 20 by the user, or the water dispenser 40 supplies water to the upper plate 20. [

급수기(40)가 상판(20)으로 물을 급수할 경우, 제어부(72)는 상판(20)의 수용부(25)로 물이 소정량 차오르도록 급수기(40)를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72 controls the water dispenser 40 such that the water reaches the storage unit 25 of the upper plate 20 by a predetermined amount.

그리고, 모드 선택 버튼(32)에 의해서 청소를 위한 히터(30)의 작동 모드가 선택된다(S2). 이하에서는 "히터의 작동 모드"는 청소를 위한 히터의 작동 모드를 의미하며, 이는 조리를 위한 가열원(10)의 작동 모드와는 구분됨을 밝혀둔다. Then, the operation mode of the heater 30 for cleaning is selected by the mode selection button 32 (S2). Hereinafter, the "operating mode of the heater" means the operating mode of the heater for cleaning, which is distinguished from the operating mode of the heating source 10 for cooking.

그 다음, 제어부(72)에서는 시작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S3). Then, the controller 72 determines whether a start signal has been input (S3).

시작 신호가 입력된 경우, 제어부(72)에서는 온도 감지부(70)에서 감지된 온도가 제 1 기준 온도(T1) 이상인지 여부가 판단된다(S4). 본 실시예에서 제 1 기준 온도(T1)는 사용자의 안전을 확보하면서, 상판(20)의 최적 청소가 가능한 온도를 의미한다.When the start signal is input, the control unit 72 determines whether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70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T1 (S4).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T1 means a temperature at which the upper plate 20 can be cleaned optimally while securing the safety of the user.

제 1 기준 온도(T1)는 50℃ 보다 작도록 설정될 수 있다.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T1 may be set to be smaller than 50 占 폚.

감지된 온도가 제 1 기준온도(T1) 이상인 경우에는, 상판(20)을 재차 가열하지 않아도 사용자가 상판(20)을 청소할 수 있다. 따라서, 감지된 온도가 제 1 기준온도(T1) 이상인 경우에는, 제어부(72)는 알림부(78)에서 최적 청소 시점을 알리는 신호가 발생되도록 제어한다(S21). If the detected temperature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T1, the user can clean the top plate 20 without heating the top plate 20 again. Accordingly, when the sensed temperature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T1, the control unit 72 controls the notification unit 78 to generate a signal indicating the optimal cleaning time (S21).

반면, 감지된 온도가 제 1 기준 온도(T1) 미만인 경우, 제어부(72)에서는 제 1 모드가 선택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S5). On the other hand, if the sensed temperature is less than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T1, the control unit 72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mode is selected (S5).

선택된 모드가 제 1 모드인 경우, 제어부(72)는 기 설정된 제 1 모드의 작동 조건에 따라 히터(30)가 작동되도록 한다(S6). 그리고, 히터(30)의 작동 시작되면, 타이머(76)가 동작되어 제 1 모드 하에서의 시간 경과가 계산된다. If the selected mode is the first mode, the controller 72 causes the heater 30 to operate according to the predetermined operating condition of the first mode (S6). Then, when the operation of the heater 30 is started, the timer 76 is operated to calculate the time lapse under the first mode.

그리고, 일례로, 히터(30)이 지속적으로 작동되거나, 온/오프를 반복할 수 있다. 히터(30)가 작동하는 경우 상판(20)의 온도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하게 된다. Then, for example, the heater 30 may be continuously operated or repeatedly turned on / off. When the heater 30 is operated, the temperature of the upper plate 20 is raised as shown in FIG.

히터(30)이 작동되는 중에, 제어부(72)에서는 온도 감지부(70)에서 감지된 온도가 제 1 기준온도(T1)에 도달하였는지 여부가 판단된다(S7). 만약 감지된 온도가 제 1 기준온도(T1)에 도달할 경우, 제어부(72)는 히터(30)의 작동이 종료되도록 한다(S8). During the operation of the heater 30, the control unit 72 determines whether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70 has reached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T1 (S7). If the sensed temperature reaches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T1, the control unit 72 causes the operation of the heater 30 to be terminated (S8).

그리고, 제어부(72)에서는 타이머(76)에서 감지되는 시간이 제 1 기준시간(t1)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9). 제 1 기준시간(t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일례로 5분 일 수 있다. The control unit 72 determines whether the time detected by the timer 76 has reached the first reference time t1 (S9). The first reference time t1 may be, for example, five minutes as described above.

감지된 시간이 제 1 기준시간(t1)에 도달한 경우, 제어부(72)는 알림부(78)에서 최적 청소 시기를 알리기 위한 신호가 발생되도록 제어한다(S21). When the sensed time reaches the first reference time t1, the control unit 72 controls the notification unit 78 to generate a signal for notifying the optimal cleaning time (S21).

이 때, 히터(30)의 동작이 종료된 후에도, 히터(30)의 열기에 의해서 상판(20)의 온도는 상승할 수 있으나, 상승되는 온도는 제 1 기준온도에 비하여 그리 크지 않아서, 사용자의 안전에는 문제가 없게 된다. At this time, even after the operation of the heater 30 is completed, the temperature of the top plate 20 can be raised by the heating of the heater 30, but the rising temperature is not so large as compared with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There is no problem with safety.

그리고, 히터(30)의 동작이 종료되고, 시간 경과 후에 최적 청소 시기를 알리는 신호가 발생되는 이유는, 상판(20)의 물기가 완전하게 증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The reason why the operation of the heater 30 is terminated and the signal indicating the optimal cleaning time is generated after the lapse of time is to prevent the moisture of the top plate 20 from being completely evaporated.

한편, 단계 S5에서 판단 결과, 제 1 모드가 선택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 2 모드가 선택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S10).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5 that the first mode is not select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econd mode is selected (S10).

만약, 선택된 모드가 제 2 모드인 경우, 제어부(72)는 기 설정된 제 2 모드의 작동 조건에 따라 히터(30)이 작동되도록 한다(S11). 그리고, 히터(30)의 작동 시작되면, 타이머(76)가 동작되어 제 2 모드 하에서의 시간 경과가 계산된다. If the selected mode is the second mode, the controller 72 causes the heater 30 to operate according to the predetermined operating condition of the second mode (S11). Then, when the operation of the heater 30 is started, the timer 76 is operated and the time lapse under the second mode is calculated.

히터(30)가 작동하는 경우 상판(20)의 온도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하게 된다. When the heater 30 is operated, the temperature of the upper plate 20 rises as shown in FIG.

히터(30)가 작동되는 중에, 제어부(72)에서는 온도 감지부(70)에서 감지된 온도가 제 2 기준온도(T2)에 도달하였는지 여부가 판단된다(S12)During the operation of the heater 30, the control unit 72 determines whether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70 has reached the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T2 (S12)

만약 감지된 온도가 제 2 기준온도(T2)에 도달할 경우, 제어부(72)는 히터(30)의 작동이 종료되도록 한다(S13). 여기서, 제 2 기준온도(T2)는 제 1 기준온도(T1)와 동일한 온도일 수 있다. If the sensed temperature reaches the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T2, the control unit 72 causes the operation of the heater 30 to be terminated (S13). Here, the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T2 may be the same as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T1.

그리고, 히터(30)의 작동이 종료된 후에 일정 시간(dt1)이 경과하면, 제어부(72)는 상판(20)의 온도가 제 2 기준온도(T2)를 유지하도록, 히터(30)를 동작시킨다(S14). When the predetermined time dt1 has elapsed after the operation of the heater 30 has been completed, the controller 72 controls the heater 30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upper plate 20 maintains the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T2. (S14).

상세히, 히터(30)의 작동이 종료되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30)의 열기에 의해서 상판(20)의 온도는 증가하다가 감소할 수 있다. In detail, when the operation of the heater 30 is completed, the temperature of the top plate 20 can be increased and decreased by the heat of the heater 30 as shown in FIG.

제어부(72)는 상판(20)의 온도가 제 2 기준온도(T2)를 유지하도록, 히터(30)가 온/오프를 반복하도록 제어한다. The control unit 72 controls the heater 30 to repeatedly turn on and off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top plate 20 maintains the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T2.

여기서, 온도 감지부(70)에서 감지된 온도가 제 2 기준온도(T2)에 도달하게 되어 히터(30)의 작동이 종료되고, 일정 시간 경과 후에 히터(30)의 동작시키는 이유는, 상판(20)의 물기가 완전하게 증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The reason why the heater 30 is operat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because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70 reaches the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T2 and the operation of the heater 30 is terminated, 20 from being completely evaporated.

그 다음, 제어부(72)에서는 타이머(76)에서 감지되는 시간이 제 2 기준시간(t2)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5). 제 2 기준시간(t2)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일례로 20분 일 수 있다. Next, the control unit 72 determines whether the time detected by the timer 76 has reached the second reference time t2 (S15). The second reference time t2 may be, for example, 20 minutes as described above.

상기 감지된 시간이 제 2 기준시간(t2)에 도달한 경우, 제어부(72)는 알림부(78)에서 최적 청소 시기를 알리기 위한 신호가 발생되도록 제어한다(S21). When the detected time reaches the second reference time t2, the control unit 72 controls the notification unit 78 to generate a signal for notifying the optimal cleaning time (S21).

한편, 단계 S10에서 판단 결과, 제 2 모드가 선택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72)는 기 설정된 제 3 모드의 작동 조건에 따라 히터(30)가 작동되도록 한다(S16). 그리고, 히터(30)의 작동 시작되면, 타이머(76)가 동작되어 제 3 모드 하에서의 시간 경과가 계산된다.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0 that the second mode is not selected, the controller 72 controls the heater 30 to operate according to the preset third mode operating condition (S16). Then, when the operation of the heater 30 is started, the timer 76 is operated to calculate the time lapse under the third mode.

히터(30)가 작동하는 경우 상판(20)의 온도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하게 된다. 히터(30)가 작동되는 중에, 제어부(72)에서는 상기 온도 감지부(70)에서 감지된 온도가 제 3 기준온도(T3)에 도달하였는지 여부가 판단된다(S17). When the heater 30 operates, the temperature of the upper plate 20 rises as shown in Fig. During the operation of the heater 30, the control unit 72 determines whether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70 has reached the third reference temperature T3 (S17).

여기서, 제 3 기준온도(T3)는 일 례로 100℃ 일 수 있다. Here, the third reference temperature T3 may be, for example, 100 deg.

만약 감지된 온도가 제 3 기준온도(T3)에 도달할 경우, 제어부(72)는 히터(30)의 작동이 종료되도록 한다(S18). If the sensed temperature reaches the third reference temperature T3, the control unit 72 causes the operation of the heater 30 to be terminated (S18).

그 다음, 제어부(72)에서는 타이머(76)에서 감지되는 시간이 제 3 기준시간(t3)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0). 상기 제 2 기준시간(t3)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일 례로 30분 일 수 있다. Next, the control unit 72 determines whether the time detected by the timer 76 has reached the third reference time t3 (S20). The second reference time t3 may be, for example, 30 minutes as described above.

감지된 시간이 제 3 기준시간(t3)에 도달한 경우, 제어부(72)는 알림부(78)에서 최적 청소 시기를 알리기 위한 신호가 발생되도록 제어한다(S21). When the detected time reaches the third reference time t3, the control unit 72 controls the notification unit 78 to generate a signal for notifying the optimal cleaning time (S21).

이 때, 최적 청소 알림 신호가 발생될 때의 상판(20)의 온도는 실질적으로 제 1 기준온도와 동일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temperature of the top plate 20 when the optimum cleaning notification signal is generated is substantially equal to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상기와 같이 각 모드 하에서, 감지된 온도가 기준온도에 도달한 경우 히터(30)의 작동이 종료된 후에 최적 청소 알림 시기에 도달한 경우 알림부(78)에서 최적 청소 시기를 알리는 신호가 발생하게 된다. When the sensed temperature reaches the reference temperature in the respective modes as described above, when the optimum cleaning notification timing is reached after the operation of the heater 30 is completed, a signal indicating the optimal cleaning timing is generated in the notification unit 78 do.

즉, 상판(20) 온도가 기준온도에 도달한 시점부터 최적 청소 알림 신호가 발생될 때까지 시간 차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시간 간격을 두는 이유는, 히터(30)에 의해서 물이 가열되어 발생된 습기가 상판(20)의 오염 물질로 충분히 흡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시간 차를 불림 시간(soaking time)(또는 대기 시간: delay time)이라고 이름할 수 있다. That is, a time difference occurs from when the temperature of the upper plate 20 reaches the reference temperature until when the optimum cleaning notification signal is generated. The reason why the time interval is set as described above is that the moisture generated by heating the water by the heater 30 is sufficiently absorbed by the contaminants of the top plate 20. [ In this embodiment, the time difference may be called a soaking time (or a delay time).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판(20) 청소가 용이한 상태가 유지되고, 이러한 상태가 알림부(78)에서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최적 청소 가능한 시기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으며, 상판(20)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panel 20 can be easily cleaned, and this state is displayed on the notification unit 78,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optimal cleaning time, Can be easily cleaned.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 제 3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 명에 따른 조리기기 제 3 실시예가 상판으로 스팀을 분사할 때의 일부 개략 단면도이다.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6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of part of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when steam is sprayed to the upper plate.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20)으로 스팀을 분사하게 설치된 스팀 분사기(80)를 포함하고, 스팀 분사기(70)는 본 발명 제 2 실시예의 히터(30)와 급수기(40)를 대신한다.15 and 16,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steam injector 80 installed to spray steam to the upper plate 20, and the steam injector 70 includes a steam injector 70, The heater 30 and the water dispenser 40 are replaced.

스팀 분사기(80)는 물을 가열한 후 무화 또는 가는 물줄기로 분사시키는 것으로서, 저수조(82)와, 급수 유로(84)와, 펌프(86)와, 히터(88)와, 분사 노즐(90)를 포함한다.The steam injector 80 is a device for heating the water and spraying it with an atomization or a thin water stream. The steam injector 80 includes a water reservoir 82, a water supply passage 84, a pump 86, a heater 88, .

저수조(82)는 물이 저장되는 것으로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조리기기에 착탈되거나, 고정된 상태에서 별도의 급수관에 연결될 수 있다. The water storage tank 82 is a water storage tank, which is not shown, but may be detached from the cooking apparatus or connected to a separate water supply pipe in a fixed state.

급수 유로(84)는 저수조(82)와 히터(88)를 연결하는 급수 호스(84a)와, 히터(88)와 분사 노즐(90)을 연결하는 스팀 호스(84b)를 포함한다.The water supply flow path 84 includes a water supply hose 84a connecting the water storage tank 82 and the heater 88 and a steam hose 84b connecting the heater 88 and the spray nozzle 90.

펌프(86)는 저수조(82)에 저장된 물을 히터(88)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 펌프(86A)와, 히터(88)에서 가열된 발생된 스팀을 분사 노즐(90)로 공급하기 위한 스팀 펌프(86B)가 포함된다. The pump 86 is provided with a water supply pump 86A for supplying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tank 82 to the heater 88 and a steam pump for supplying the generated steam heated by the heater 88 to the injection nozzle 90. [ (86B).

히터(88)는 물 탱크로(82)부터 공급받은 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장치이다.The heater 88 is a heating device for heating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82.

분사 노즐(90)은 히터(88)에서 가열된 물을 상판(20) 특히 수용부(25)로 분사하는 것으로서, 상판(20) 특히 수용부(25)로 스팀을 고루 분사되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조리기기 제 2 실시예와 같이, 상판(20)의 함몰부인 수용부(24)의 저면부에 배치되거나, 단턱(25)의 내측면(25a)에 배치된다. The spray nozzle 90 injects the heated water from the heater 88 into the top plate 20 and particularly the receiving portion 25 and is used to spray the steam to the top plate 20, The cooking device of the invention is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24 as the depression of the top plate 20 or on the inner surface 25a of the step 25 as in the second embodiment.

분사 노즐(90)은 스팀 펌프(84b)와 연결되는 스팀 호스(84b)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The injection nozzle 90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steam hose 84b connected to the steam pump 84b.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스팀 분사기(80)에서 상판(20)의 수용부(25)로 스팀이 분사되는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과, 그 작동 시기나 온도 조건 등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 제 2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coo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coo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other configurations and actions other than the steam injected from the steam injector 80 into the receiving portion 25 of the upper plate 20, The second embodiment is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second embodiment, and thu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 제 4 실시예의 상판 청소 전 평면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 제 4 실시예가 상판 청소 중일 때의 평면도이다.FIG. 17 is a plan view of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8 is a plan view of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pper plate is being cleaned.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산염계 법랑코팅층(A)과 접촉되면서 청소하도록 상판(20)에 이동되게 배치된 청소부재(100)와, 청소부재(100)를 직선 이동시키는 청소부재 무빙기구(102)를 포함하고, 청소부재(100)와 청소부재 무빙기구(102)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 제 1 실시예 내지 제 3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17 and 18,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leaning member 100 disposed to be moved to the upper plate 20 to be cleaned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phosphate-based enamel coating layer A, 100 and the cleaning member moving mechanism 102. Other structures and actions of the cleaning member 100 and the cleaning member moving mechanism 102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청소부재 무빙기구(102)는 구동원과, 구동원의 구동력은 청소부재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한다.The cleaning member moving mechanism 102 includes a driving source and a power transmitting member for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source to the cleaning member.

구동원은 청소용 모터(104)로 이루어지고, 동력전달부재는 청소용 모터에 설치된 피니언(106)과, 피니언(106)이 치합되고 청소부재(100)의 무빙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랙(108)을 포함한다. The driving source is composed of a cleaning motor 104. The power transmitting member includes a pinion 106 provided on a cleaning motor and a rack 108 formed on the pinion 106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leaning member 100, .

청소부재 무빙기구(102)는 청소용 모터(104)와 피니언(106)가 청소부재(100)와 무빙되게 청소용 모터(104)의 회전축과 피니언(106)의 회전축 중 하나가 청소부재(100)와 연결되고, 랙(108)이 상판(20)이나 본체(2)에 고정되게 설치된다.The cleaning member moving mechanism 102 moves the cleaning motor 104 and the pinion 106 together with the cleaning member 100 so that one of the rotation axis of the cleaning motor 104 and the pinion 106 rotates together with the cleaning member 100 And a rack 108 is fixedly mounted to the upper plate 20 or the main body 2.

즉, 청소용 모터(104)의 구동시, 피니언(106)은 회전되면서 랙(108)을 따라 무빙되고, 이때, 청소용 모터(104)와 피니언(106)과 청소부재(100)는 함께 무빙되며, 랙(108)은 이들의 무빙을 안내한다.That is, when the cleaning motor 104 is driven, the pinion 106 is rotated and moved along the rack 108. At this time, the cleaning motor 104 and the pinion 106 and the cleaning member 100 are moved together, The rack 108 guides their movement.

한편, 청소부재(100)는 청소용 모터(104)나 피니언(106)에 연결되는 지지대(110)와, 지지대(110)에 형성된 수세미나 청소용 솔(112)을 포함한다.The cleaning member 100 includes a support 110 connected to the cleaning motor 104 and the pinion 106 and a cleaning or cleaning brush 112 formed on the support 110.

도 19는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운전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19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method of the cooking apparatus shown in Figs. 17 and 18. Fig.

도 11 내지 도 14와 도 19를 참조하면, 상판(20)에 물 또는 스팀이 공급되어 상판(20)의 오염물을 불린다.(S1~S20)11 to 14 and 19, water or steam is supplied to the upper plate 20 to pollute the upper plate 20. (S1 to S20)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불려진 오염물을 자동으로 청소하는 것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최적 청소 시기 알림을 별도로 실시할 필요가 없고, 오염물의 불림이 완료되고 그 이후의 청소의 진행 시작을 알리는 것은 가능함은 물론이다.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oes not need to separately notify the user of the optimal cleaning time as shown in FIG. 11 by automatically cleaning the called contaminants, and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ly inform the user of the start of cleaning Of course it is possible.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염물의 불림(S1~S20)이 완료한 후, 상판(20)에 이동되게 배치된 청소부재(100)가 무빙되면서 인산염계 법랑(25)과 마찰되어 상판(20)의 오염물을 청소한다. 제어부(72)는 청소 부재 무빙기구(102) 특히 청소용 모터(104)를 청소모드로 구동한다.That is, as shown in FIG. 11, after the pollutants (S1 to S20) are completed,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oves the cleaning member 100, which is disposed to be moved to the upper plate 20, Rubs against the enamel (25) to clean the contaminants of the top plate (20). The control unit 72 drives the cleaning member moving mechanism 102, particularly the cleaning motor 104, in the cleaning mode.

제어부(72)는 청소부재(100)가 상판(20)을 복수회 왕복되도록 청소용 모터(104)를 설정 횟수만큼 정/역 구동시키고, 청소부재(100)는 상판(20)을 복수회 왕복 이동되면서 상판(20)에서 불려진 오염물을 드레인홀(28)로 쓸어낸다. (S21′)The control unit 72 drives the cleaning motor 104 forward and backward by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so that the cleaning member 100 reciprocates the upper plate 20 a plurality of times, and the cleaning member 100 moves the upper plate 20 reciprocally And sweeps contaminants called by the upper plate 20 into the drain holes 28. (S21 ')

제어부(72)는 상기와 같은 청소용 모터(104)의 복수회 정/역 구동 후, 청소부재(100)가 초기 위치에 위치되게 청소용 모터(104)가 구동시키고, 오염물의 청소가 모두 완료되면, 알림부(78)를 통해 상판(20)의 청소 완료 여부를 알린다.(S22)The control unit 72 drives the cleaning motor 104 such that the cleaning member 100 is positioned at the initial position after the cleaning motor 104 is driven for a plurality of times or in reverse, And notifies the completion of the cleaning of the top plate 20 through the notification unit 78. (S22)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 제 5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상판의 확대 단면도이다.Fig. 20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fth embodiment of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1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of the top plate shown in Fig.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가열원(10′)이 본체(2)의 상부에 설치되고 전자기력으로 조리 용기에 전기가 흐르게 유도하여 조리 용기를 가열시키는 유도 가열기로 이루어지고, 상판(20′)이 유도 가열기를 덮고 조리 용기가 올려지게 이루어지며, 가열원(10′)과 상판(20')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 제 1 실시예 내지 제 4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mposed of an induction heater in which a heating source 10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2 and induces electricity to flow into the cooking vessel by electromagnetic force to heat the cooking vessel, The other components and actions of the heating source 10 'and the upper plate 20' ar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ose of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판(20′)은 글래스(22′)와, 글래스(22′)의 상면에 코팅된 인산염계 법랑(A)으로 이루어지고, 인산염계 법랑(A)은 본 발명 제 1 실시예와 제 4 실시예와 같이 오염물의 불림 및 분리를 돕는다. The upper plate 20 'comprises a glass 22' and a phosphate-based enamel A co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lass 22 ', and the phosphate-based enamel A comprises the first and four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elps to pollute and separate pollutants as in the example.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적 범주 내에서 그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 제 1 실시예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상판의 확대 단면도,2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of the top plate shown in Fig. 1,

도 3은 일반 법랑과 인산염계 법랑의 물 온도에 따른 청소 성능을 비교하기 위한 그래프,FIG. 3 is a graph for comparing cleaning performance of general enamel and phosphate-based enamel according to water temperature,

도 4는 일반 법랑과 인산염계 법랑의 불림시간에 따른 청소 성능을 비교하기 위한 그래프,FIG. 4 is a graph for comparing the cleaning performance of a general enamel and a phosphate-based enamel according to the time for which they are called,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 제 2 실시예의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상판의 평면도,A top view of the top plate shown in Fig. 6,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 제 2 실시예가 급수 중일 때의 일부 개략 단면도, FIG. 7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 제 2 실시예가 상판 불림 중일 때의 일부 개략 단면도,FIG. 8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of 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 제 2 실시예가 상판 불림 후 배수할 때의 일부 개략 단면도,FIG. 9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draining the top plate,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 제 2 실시예의 제어 블록도,10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도 5 내지 도 10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운전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11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method of the cooking apparatus shown in Figs. 5 to 10. Fig.

도 12 내지 도 14는 각 모드에서의 시간 흐름에 따른 온도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로서, 도 12는 제 1 모드에서의 온도 변화가 도시된 그래프, 도 13는 제 2 모드에서의 온도 변화가 도시된 그래프, 도 14는 제 3 모드에서의 온도 변화가 도 시된 그래프,FIGS. 12 to 14 are graphs showing temperature changes with time in each mode, FIG. 12 is a graph showing a temperature change in the first mode, FIG. 13 is a graph showing a temperature change in the second mode , FIG. 14 is a graph showing a temperature change in the third mode,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 제 3 실시예의 사시도,15 is a perspective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 제 3 실시예가 상판으로 스팀을 분사할 때의 일부 개략 단면도,FIG. 16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steam is sprayed onto the upper plate,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 제 4 실시예의 상판 청소 전 평면도,17 is a plan view of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 제 4 실시예가 상판 청소 중일 때의 평면도,18 is a plan view of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pper plate is being cleaned,

도 19는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운전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19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method of the cooking apparatus shown in Figs. 17 and 18. Fig.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 제 5 실시예의 사시도,20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fth embodiment of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상판의 확대 단면도이다.21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top plate shown in Fig.

Claims (13)

본체와;A body; 상기 본체에 설치된 가열원과;A heating source installed in the main body;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면에 인산염계 범랑이 코팅되며 상기 가열원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상판을 포함하고,And an upper plat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heating source is passed, 상기 상판에 상기 관통공을 회피하여 설치되어 상기 상판의 물을 가열하는 히터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Further comprising a heater installed on the upper plate to avoid the through hole and to heat the water of the upper pla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인산염계 법랑은 알루미노인산염계 범랑이 코팅된 조리기기.The phosphate-based enamel is coated with an aluminophosphate-based crumb.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상판은 물이 담겨지는 물 수용부를 갖게 테두리를 따라 단턱이 돌출 형성된 조리기기.Wherein the upper plate has a water receiving portion in which water is contained, and a step is protruded along the rim. 삭제delete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상판으로 물을 급수하게 설치된 급수기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Further comprising a water dispenser installed to supply water to the upper pla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상판으로 스팀을 분사하게 설치된 스팀 분사기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And a steam injector installed to spray steam onto the upper pla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인산염계 법랑코팅층과 접촉되면서 청소하도록 상기 상판에 직선 이동되게 배치된 청소부재와; A cleaning member arranged to move linearly on the upper plate to be cleaned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phosphate-based enamel coating layer; 상기 청소부재를 직선 이동시키는 청소부재 무빙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청소부재는 상기 청소부재 무빙기구에 연결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형성된 청소용 솔을 포함하며, And a cleaning member moving mechanism that linearly moves the cleaning member, wherein the cleaning member includes a support member connected to the cleaning member moving mechanism, and a cleaning brush formed on the support member, 상기 청소부재 무빙기구는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은 상기 청소부재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하는 조리기기.Wherein the cleaning member moving mechanism includes a driving source and a driving force transmitting member that transmits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source to the cleaning member. 제 7 항에 있어서,8. The method of claim 7, 상기 구동원은 청소용 모터이고,The driving source is a cleaning motor,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청소용 모터에 설치된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이 치합되고 상기 상판이나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청소부재의 무빙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랙을 포함하며,Wherein the power transmitting member includes a pinion installed on the cleaning motor and a rack coupled to the pinion and provided on the upper plate or the main body and formed to be elongat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leaning member, 상기 청소용 모터의 회전축과 피니언의 회전축 중 하나가 청소부재와 연결되는 조리기기.Wherein one of the rotary shaft of the cleaning motor and the rotary shaft of the pinion is connected to the cleaning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상판에는 물과 오염물이 배출되는 드레인 홀이 형성된 조리기기.Wherein the upper plate is provided with a drain hole through which water and contaminants are discharged. 제 9 항에 있어서,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상판은 상기 드레인홀을 향해 하향 구배진 조리기기.Wherein the upper plate is bent downward toward the drain ho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면에 인산염계 법랑이 코팅된 상판에 물 또는 스팀이 공급되어 상기 상판의 오염물을 불리는 불림 단계와;A step in which water or steam is supplied to an upper plate coated with a phosphate-based enamel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 contaminant of the upper plate is called; 상기 불림 단계 이후 상기 상판에 직선 이동되게 배치되고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형성된 청소용 솔을 포함하는 청소부재가 상기 인산염계 법랑과 마찰되면서 상기 상판의 오염물을 청소하도록 상기 청소부재에 연결된 청소부재 무빙기구가 상기 청소부재를 직선 이동시키는 상판 청소 단계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의 운전 방법.And a cleaning member disposed on the support plate to move linearly on the upper plate after the burning step and a cleaning member including a cleaning brush formed on the support plate are rubbed against the phosphate- based enamel to clean the contamination of the upper plate, And a top plate cleaning step of moving the cleaning member in a straight line.
KR1020090038996A 2009-05-04 2009-05-04 Cooker and Control process of the same KR1014505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8996A KR101450566B1 (en) 2009-05-04 2009-05-04 Cooker and Control process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8996A KR101450566B1 (en) 2009-05-04 2009-05-04 Cooker and Control process of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0014A KR20100120014A (en) 2010-11-12
KR101450566B1 true KR101450566B1 (en) 2014-10-14

Family

ID=43405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8996A KR101450566B1 (en) 2009-05-04 2009-05-04 Cooker and Control process of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056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7594A1 (en) * 2015-07-24 2017-02-02 Russo Simone Device for washing a cooking surface
KR102556053B1 (en) 2016-09-09 2023-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Cooking applianc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1829555B1 (en) 2016-11-23 2018-03-29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Rubber composition for tire tread and tire manufactured by using the same
KR102604676B1 (en) * 2016-12-06 2023-11-21 코웨이 주식회사 An electric range capable of cleaning topplate
EP3431882A1 (en) * 2017-07-19 2019-01-23 Vestel Elektronik Sanayi ve Ticaret A.S. Cleaning system and cooking device
CN109724123A (en) * 2019-01-23 2019-05-07 广东万家乐厨房科技有限公司 A kind of burner cleaning system and gas-cooker
KR102234278B1 (en) 2020-02-21 2021-04-01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Rubber composition for tire tread and tire manufactured by us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49637A (en) * 1986-08-20 1988-03-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Heating cooker
JP2002257358A (en) * 2001-02-27 2002-09-11 Osaka Gas Co Ltd Heating cooking device
KR20070008085A (en) * 2005-07-13 2007-01-17 황기진 Cooking support for gas burner
KR20080032708A (en) * 2006-10-10 2008-04-16 엘지전자 주식회사 Cooking device & cleaning method for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49637A (en) * 1986-08-20 1988-03-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Heating cooker
JP2002257358A (en) * 2001-02-27 2002-09-11 Osaka Gas Co Ltd Heating cooking device
KR20070008085A (en) * 2005-07-13 2007-01-17 황기진 Cooking support for gas burner
KR20080032708A (en) * 2006-10-10 2008-04-16 엘지전자 주식회사 Cooking device & cleaning method for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0014A (en) 2010-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0566B1 (en) Cooker and Control process of the same
JP3876267B1 (en) Cooker
RU2406177C2 (en) Domestic device and methods of its control
US20080060689A1 (en) Washing apparatus for an electric shaver
US7677239B2 (en) Kitchen-range, an oven and a self-cleaning assembly
EP3539427A1 (en) Cooking applian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07296577B (en) Cleaning machine
EP3667174B1 (en) Cooking applian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01190480A (en) Dish washer and drier
JP2007007178A (en) Dishwasher
US20110226287A1 (en) System and method for low temperature hydration of food soils
US7819982B2 (en) Dishwash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532440B1 (en) Cooker
KR101450568B1 (en) A cooking apparatus
KR101516363B1 (en) Cooker
JP2008036130A (en) Dishwasher
WO2004088208A1 (en) A kitchen-range, an oven and a self-cleaning assembly
JP2017159279A (en) Washing system
JP2011024943A (en) Automatic cleaning apparatus for bathtub
EP2220988A2 (en) Controlling method of a dishwasher
JP4769134B2 (en) Dishwasher
JP2017062103A (en) Steam cooker
KR101450567B1 (en) Cooker
EP3846669B1 (en) A dishwasher for emitting light onto the floor
KR200332586Y1 (en) Sink mounted with Ultrasonic clean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