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0086B1 - 용접장비의 업다운 용접헤드장치 - Google Patents

용접장비의 업다운 용접헤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0086B1
KR101450086B1 KR1020130073659A KR20130073659A KR101450086B1 KR 101450086 B1 KR101450086 B1 KR 101450086B1 KR 1020130073659 A KR1020130073659 A KR 1020130073659A KR 20130073659 A KR20130073659 A KR 20130073659A KR 101450086 B1 KR101450086 B1 KR 1014500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ember
cam
circular
members
w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3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용신
손태준
박주혁
조창현
김광수
임정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보스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보스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보스타
Priority to KR1020130073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00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0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00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06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using roller 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08Seam welding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preceding subgroups
    • B23K11/087Seam welding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preceding subgroups for rectilinear s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30Features relating to electrodes
    • B23K11/31Electrode holders and actuating devices therefor
    • B23K11/311Electrode holders and actuating devices therefor the actuating device comprising an electr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36Electric or electronic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esistance We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접장비의 업다운 용접헤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에 상하로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이동 베이스부재; 상기 수직이동 베이스부재를 상하로 움직이는 구동유닛; 상기 수직이동 베이스부재에 수평 방향으로 각각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2 수평 이동부재; 상기 제1,2 수평 이동부재에 각각 수직 방향으로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2 수직 이동부재; 상기 제1,2 수직 이동부재에 각각 구비되는 제1,2 원형용접전극; 상기 수직이동 베이스부재가 상하로 움직임에 따라 상기 제1,2 원형용접전극의 간격이 넓어지거나 좁아지도록 상기 제1,2 수평 이동부재의 간격을 변화시키는 캠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용접 대상물을 용접시키는 제1,2 원형용접전극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구성이 간단하게 되고 제1,2 원형용접전극 사이의 간격 조절이 쉽고 간단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2 원형용접전극 사이의 간격 조절이 빠르고 제1,2 원형용접전극의 상하 움직임이 빠르게 된다.

Description

용접장비의 업다운 용접헤드장치{UP-DOWN TYPE WELDING HEAD APPARATUS FOR A WELDING MACHINE}
본 발명은 용접장비의 업다운 용접헤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기의 소형화에 따라 전자기기를 구성하는 부품들도 소형화되고 있다. 이와 같은 소형 부품들의 가공과 조립을 위하여 부품 가공기계 및 부품 조립기계도 정밀화되고 있다.
전자기기의 구성 부품 중의 하나로, 수정 진동자는 한쪽이 개구되고 내부에 수정이 구비된 사각 형태의 패키지와, 패키지의 개구를 커버하는 사각 형태의 커버(일명, 리드라고도 함)를 포함한다. 수정 진동자의 패키지와 커버를 조립하는 과정의 일예로, 패키지에 커버를 복개한 후 패키지와 커버의 일부분을 가용접한 다음 가용접된 패키지와 커버의 양쪽변을 용접하고 이어 가용접된 패키지와 커버의 다른 양쪽변을 용접한다. 수정 진동자를 대량으로 조립시, 패키지용 트레이에 다수 개의 패키지들이 배열되고 커버용 트레이에 다수 개의 커버들이 배열된다. 그리고 버큠 척이 커버용 트레이에 배열된 커버들을 한 개씩 픽업하여 트레이용 패키지에 배열된 패키지들에 각각 복개한 후 트레이와 커버를 위와 같은 방식으로 용접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공정은, 보통, 심 용접장비(seam welding machine)에 의해 수행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3-0038122호(2013.04.17. 공개)에는 심 용접장비의 일예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용접장비는 용접 헤드를 포함하며, 용접 헤드는 두 개의 롤러 전극(원형용접전극)들과, 두 개의 롤러 전극들을 각각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는 수평구동유닛들과, 두 개의 롤러 전극들을 각각 상하로 이동시키는 수직구동유닛들을 포함한다. 수직구동유닛의 작동에 의해 두 개의 롤러 전극들이 상하로 움직이며, 수평구동유닛의 작동에 의해 두 개의 롤러 전극들이 수평으로 움직이면서 간격이 좁아지거나 넓어지게 된다. 수평구동유닛과 수직구동유닛은 각각 리니어 모터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기 용접장비로 패키지와 커버를 가용접할 경우, 먼저 수직구동유닛이 두 개의 롤러 전극들을 위로 움직인 상태에서 수평구동유닛이 두 개의 롤러 전극 사이를 넓힌 다음 커버를 흡착한 버큠 척이 두 개의 롤러 전극 사이를 통해 아래로 이동하여 롤러 전극 아래에 위치한 패키지에 커버를 복개한다. 그리고 버큠 척이 다른 커버를 흡착하기 위해 이동한 후 수평구동유닛이 두 개의 롤러 전극 사이를 좁히고 수직구동유닛이 두 개의 롤러 전극들을 아래 움직여 두 개의 롤러 전극들이 패키지와 커버를 가용접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은 리니어 모터 어셈블리의 작동에 의해 두 개의 롤러 전극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게 되므로 롤러 전극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리니어 모터의 제거가 복잡하게 될 뿐만 아니라 구성 부품이 복잡하게 된다.
한편, 두 개의 롤러 전극을 수평으로 움직이는 수평구동유닛의 다른 일예로, 회전 모터와 볼스크류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은 회전 모터의 정역회전에 따라 두 개의 롤러 전극의 간격이 좁혀지거나 넓어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은 회전 모터의 정역회전에 의해 두 개의 롤러 전극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게 되므로 롤러 전극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회전 모터의 제거가 복잡하게 될 뿐만 아니라 구성 부품이 복잡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용접 대상물을 용접시키는 두 개의 원형용접전극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구성을 간단하게 할 뿐만 아니라 두 개의 원형용접전극 사이의 간격 조절이 쉬운 용접장비의 업다운 용접헤드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두 개의 원형용접전극들 사이의 간격 조절이 빠르고 두 개의 원형용접전극들의 상하 움직임이 빠른 용접장비의 업다운 용접헤드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에 상하로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이동 베이스부재; 상기 수직이동 베이스부재를 상하로 움직이는 구동유닛; 상기 수직이동 베이스부재에 수평 방향으로 각각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2 수평 이동부재; 상기 제1,2 수평 이동부재에 각각 수직 방향으로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2 수직 이동부재; 상기 제1,2 수직 이동부재에 각각 구비되는 제1,2 원형용접전극; 상기 수직이동 베이스부재가 상하로 움직임에 따라 상기 제1,2 원형용접전극의 간격이 넓어지거나 좁아지도록 상기 제1,2 수평 이동부재의 간격을 변화시키는 캠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용접장비의 업다운 용접헤드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캠어셈블리는 상기 수직이동 베이스부재와 제1,2 수평 이동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제1,2 고정베어링들과, 상기 제1 수평 이동부재에 구비되어 제1 고정베어링에 접촉되는 제1 캠부재와, 상기 제2 수평 이동부재에 구비되어 제2 고정베어링에 접촉되는 제2 캠부재와, 제1,2 수평 이동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2 고정베어링은 서로 간격을 두고 상하로 위치하며, 상기 제1,2 고정베어링에 각각 접촉되는 제1,2 캠부재도 상하로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2 고정베어링은 각각 균일한 두께를 갖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제1,2 캠부재는 각각 균일한 두께를 가지며 한쪽 측면이 고정베어링과 접촉되는 캠면이 구비되며 캠면은 수직면과 수직면 아래에 이어진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수직이동 베이스부재에 구비되는 롤러와, 상기 롤러에 접촉되는 원형편심캠과, 상기 원형편심캠을 편심 회전시키는 회전모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구동유닛의 작동에 의해 수직이동 베이스부재가 상하로 움직임에 따라 제1,2 고정베어링, 제1,2 캠부재, 그리고 탄성부재에 의해 제1,2 수평 이동부재가 수평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제1,2 수평 이동부재의 간격이 조절되고 제1,2 수평 이동부재의 간격 조절과 함께 제1,2 원형용접전극의 간격이 조절된다. 이로 인하여, 용접 대상물인 패키지와 커버를 가용접시키는 제1,2 원형용접전극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구성이 간단하게 되고, 또한 제1,2 원형용접전극 사이의 간격 조절이 쉽고 간단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원형편심캠의 회전에 따라 롤러가 상하로 움직이면서 수직이동 베이스부재가 상하로 움직이고, 수직이동 베이스부재의 상하 움직임에 따라 제1,2 수평 이동부재가 상하로 움직이면서 제1,2 수평 이동부재에 각각 구비된 제1,2 캠부재가 제1,2 고정베어링에 각각 지지되면서 제1,2 수평 이동부재의 간격이 조절되고, 제1,2 수평 이동부재의 간격이 조절됨과 함께 제1,2 원형용접전극의 간격이 조절되면서 제1,2 원형용접전극이 상하로 움직이게 된다. 즉, 원형편심캠의 회전과 제1,2 고정베어링과 제1,2 캠부재의 작동에 의해 제1,2 원형용접전극 사이의 간격 조절이 빠르고 제1,2 원형용접전극들의 상하 움직임이 빠르게 된다. 이로 인하여 용접 대상물의 가용접 속도가 빠르게 되어 조립 생산성을 높이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장비의 업다운 용접헤드장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장비의 업다운 용접헤드장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장비의 업다운 용접헤드장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장비의 업다운 용접헤드장치의 제1 실시예의 작동 상태 중 제1,2 원형용접전극의 간격이 좁혀진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장비의 업다운 용접헤드장치의 제1 실시예의 작동 상태 중 제1,2 원형용접전극의 간격이 넓혀진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용접장비의 업다운 용접헤드장치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장비의 업다운 용접헤드장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장비의 업다운 용접헤드장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장비의 업다운 용접헤드장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2,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접장비의 업다운 용접헤드장치의 제1 실시예는 베이스 부재(100), 수직이동 베이스부재(200), 구동유닛(300), 제1,2 수평 이동부재(410)(420), 제1,2 수직 이동부재(510)(520), 제1,2 원형용접전극(610)(620), 캠어셈블리(700)를 포함한다.
베이스 부재(100)는 균일한 두께를 갖는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베이스 부재(100)는 용접장비의 프레임(F)에 의해 연결된다.
수직이동 베이스부재(200)는 균일한 두께를 가지며 내부에 관통구멍(211)이 구비된 하부 연결부(210)와, 하부 연결부(210)의 상부에 구비된 상부 연결부(220)를 포함한다. 수직이동 베이스부재(200)의 하부 연결부(210)는 베이스 부재(100)의 한쪽면에 상하로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된다. 베이스 부재(100)와 수직이동 베이스부재(200)는 제1 엘엠 가이드유닛(LM1)에 의해 연결되고, 그 제1 엘엠 가이드유닛(LM1)에 의해 수직이동 베이스부재(200)가 상하로 움직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엘엠 가이드유닛(LM1)은 베이스 부재(100)와 수직이동 베이스부재(200) 사이에 두 개가 구비됨이 바람직하고, 그 두 개의 제1 엘엠 가이드유닛(LM1)들은 베이스 부재(100)의 하부와 수직이동 베이스부재(200)의 하부 연결부(210)에 구비된다. 두 개의 제1 엘엠 가이드유닛(LM1)들은 관통구멍(211)의 양쪽에 각각 수직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유닛(300)은 수직이동 베이스 부재(100)를 상하 방향으로 움직인다. 구동유닛(300)의 일실시예로, 구동유닛(300)은 베이스 부재(100)의 다른 한쪽면에 장착되며 모터축이 베이스 부재(100)를 관통하는 회전모터(310)와, 회전모터(310)의 모터축에 결합되어 베이스 부재(100)와 수직이동 베이스부재(200) 사이에 위치하는 원형편심캠(320)과, 수직이동 베이스부재(200)에 결합되며 원형편심캠(320)에 접촉되는 롤러(330)를 포함한다. 회전모터(310)는 베이스 부재(100)의 상부에 장착되며, 롤러(330)는 수직이동 베이스부재(200)의 상부 연결부(2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원형편심캠(320)이 회전모터(310)에 의해 회전하게 되면 원형편심캠(320)에 접촉된 롤러(330)가 원형편심캠(320)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게 되며, 롤러(330)가 상하로 움직임에 따라 수직이동 베이스부재(200)가 제1 엘엠 가이드유닛(LM1)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게 된다. 즉, 원형편심캠(320)이 회전하면서 모터축의 중심과 원형편심캠(320)의 외주면 중 가장 먼 거리에 위치한 지점으로 롤러(330)가 이동하게 되면 수직이동 베이스부재(200)가 위로 이동하게 되고, 모터축의 중심과 원형편심캠(320)의 외주면 중 가장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지점으로 롤러(330)가 이동하게 되면 수직이동 베이스부재(200)가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구동유닛(300)은 리니어 모터 어셈블리, 또는 볼스크류 어셈블리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2 수평 이동부재(410)(420)는 수직이동 베이스부재(200)의 다른 한쪽면에 각각 수평 방향으로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2 수평 이동부재(410)(420)와 수직이동 베이스부재(200)는 제2 엘엠 가이드유닛(LM2)에 의해 연결되고 그 제2 엘엠 가이드유닛(LM2)에 의해 제1,2 수평 이동부재(410)(420)가 각각 수평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엘엠 가이드유닛(LM2)은 두 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수직이동 베이스부재(200)의 한쪽면에 관통구멍(211)의 상하로 서로 평행하게 수평 방향으로 두 개의 엘엠 가이드(10)가 결합되고, 두 개의 엘엠 가이드(10)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슬라이딩 블록(11)들이 결합되며 그 슬라이딩 블록(11)들은 제1,2 수평 이동부재(410)(420)들에 각각 결합된다. 제1,2 수평 이동부재(410)(420)는 각각 두 개의 엘엠 가이드(10)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움직인다.
제1,2 수직 이동부재(510)(520)는 제1,2 수평 이동부재(410)(420)에 각각 상하로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제1 수직 이동부재(510)는 제1 수평 이동부재(410)에 수직 방향으로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 수직 이동부재(520)는 제2 수평 이동부재(420)에 수직 방향으로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수직 이동부재(510)와 제1 수평 이동부재(410)는 제3 엘엠 가이드유닛(LM3)에 의해 연결되고, 제2 수직 이동부재(520)와 제2 수평 이동부재(420)는 다른 한 개의 제3 엘엠 가이드유닛(LM3)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2 수직 이동부재(510)(520)는 각각 제3 엘엠 가이드유닛(LM3)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움직인다. 제1,2 수직 이동부재(510)(520)는 각각 설정된 위치 이하로 움직이지 않는다.
제1,2 원형용접전극(610)(620)은 제1,2 수직 이동부재(510)(520)에 각각 구비된다. 제1,2 수직 이동부재(510)(520)은 각각 절연블록(B)이 구비되고, 제1 원형용접전극(610)은 제1 수직 이동부재(510)의 절연블록(B)에 결합되고 제2 원형용접전극(620)은 제2 수직 이동부재(520)의 절연블록(B)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2 원형용접전극(610)(620)은 각각 일측에 단자블록(T)이 구비되고 단자블록(T)이 절연블록(B)에 결합된다. 단자블록(T)에 전원선(W)이 연결된다. 제1,2 원형용접전극(610)(620)은 서로 대면되며 수직 방향으로 평행하게 위치한다.
캠어셈블리(700)는 수직이동 베이스부재(200)가 상하로 움직임에 따라 제1,2 원형용접전극(610)(620)의 간격이 넓어지거나 좁아지도록 제1,2 수평 이동부재(410)(420)의 간격을 변화시킨다.
캠어셈블리(700)는 수직이동 베이스부재(200)와 제1,2 수평 이동부재(410)(420) 사이에 구비되는 제1,2 고정베어링(710)(720)들과, 제1 수평 이동부재(410)에 구비되어 제1 고정베어링(710)에 접촉되는 제1 캠부재(730)와, 제2 수평 이동부재(420)에 구비되어 제2 고정베어링(720)에 접촉되는 제2 캠부재(740)와, 제1,2 수평 이동부재(410)(420)를 서로 연결하는 탄성부재(750)를 포함한다.
제1,2 고정베어링(710)(720)은 베어링 지지부재(760)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베어링 지지부재(760)는 베이스 부재(100)의 한쪽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축부(761)와 축부(761)들의 끝에 결합되는 지지판부(762)를 포함한다. 제1,2 고정베어링(710)(720)은 베어링 지지부재(760)의 지지판부(76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2 고정베어링(710)(720)은 제1,2 수평 이동부재(410)(420) 사이에 위치한다. 제1,2 고정베어링(710)(720)은 각각 균일한 두께를 갖는 원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제1,2 고정베어링(710)(720)은 서로 간격을 두고 상하로 위치하며, 또한 제1,2 고정베어링(710)(720)은 수평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한다. 제1,2 캠부재(730)(740)는 각각 균일한 두께를 가지며 한쪽 측면이 고정베어링과 접촉되는 캠면(F)이 구비되며 캠면(F)은 수직면(F1)과 수직면(F1) 아래에 이어진 경사면(F2)을 포함한다. 제1,2 캠부재(730)(740)는 제1,2 수평 이동부재(410)(420)의 서로 마주보는 쪽에 각각 위치하되, 제1,2 캠부재(730)(740)의 각 캠면(F)은 서로 대면되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2 캠부재(730)(740)도 제1,2 고정베어링(710)(720)과 상응하게 상하로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부재(750)는 코일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부재(750)의 한쪽은 제1 수평 이동부재(410)에 연결되고 다른 한쪽은 제2 수평 이동부재(420)에 연결되며 제1,2 수평 이동부재(410)(420)는 탄성부재(750)에 의해 서로 당겨지게 된다. 이로 인하여, 제1,2 수평 이동부재(410)(420)에 각각 구비된 제1,2 캠부재(730)(740)의 각 캠면(F)이 제1,2 고정베어링(710)(720)에 가압된 상태로 접촉된다.
제1 캠부재(730)의 캠면(F)의 수직면(F1)에 제1 고정베어링(710)이 접촉되고 제2 캠부재(740)의 캠면(F)의 수직면(F1)에 제2 고정베어링(720)이 접촉되는 경우 제1,2 수평 이동부재(410)(420)의 간격이 좁혀져 제1,2 원형용접전극(610)(620)의 간격이 좁혀진 상태가 된다. 그리고 제1,2 수평 이동부재(410)(420)가 위로 이동하게 되면 제1,2 캠부재(730)(740)의 각 캠면(F)의 경사면(F2)에 제1,2 고정베어링(710)(720)이 접촉되면서 제1,2 수평 이동부재(410)(420)의 간격이 점점 넓어지게 되어 제1,2 원형용접전극(610)(620)의 간격이 넓어지게 된다.
한편, 제1,2 수평 이동부재(410)(420)의 상부에 제1,2 수평 이동부재(410)(420)의 간격이 서로 좁아질 때 위치를 한정하는 스토퍼유닛(770)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용접장비의 업다운 용접헤드장치의 제2 실시예로, 제1 실시예에서 제1,2 수직 이동부재(510)(520)를 배제하고, 제1,2 수평 이동부재(410)(420)에 각각 제1,2 원형용접전극(610)(620)이 구비될 수 있다.
제1,2 수평 이동부재(410)(420)는 각각 절연블록(B)이 구비되고, 제1 원형용접전극(610)은 제1 수평 이동부재(510)의 절연블록(B)에 결합되고 제2 원형용접전극(620)은 제2 수평 이동부재(520)의 절연블록(B)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2 원형용접전극(610)(620)(610)(620)은 각각 일측에 단자블록(T)이 구비되고 단자블록(T)이 절연블록(B)에 결합된다. 단자블록(T)에 전원선(W)이 연결된다. 제1,2 원형용접전극(610)(620)은 서로 대면되며 수직 방향으로 평행하게 위치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용접장비의 업다운 용접헤드장치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용접장비의 업다운 용접헤드장치 아래에 용접장비의 제1 스테이지(미도시)가 위치하며 제1 스테이지에 패키지(1)들이 배열된 트레이(TR)가 고정된다. 제1 스테이지의 옆에 제2 스테이지(미도시)가 구비되며 제2 스테이지에 커버(2)들이 배열된 트레이(미도시)가 고정된다. 용접장비의 버큠 척(30)이 제2 스테이지의 트레이에 배열된 커버(2)를 한 개씩 흡착하여 제1 스테이지의 트레이(TR)에 배열된 패키지(1)들에 각각 복개시킨다. 버큠 척(30)이 커버(1)를 패키지(2)에 복개시킬 때마다 본 발명에 따른 용접장비의 업다운 용접헤드장치의 작동에 의해 제1,2 원형용접전극(610)(620)이 아래로 이동하면서 패키지(1)와 커버(2)를 가용접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용접장비의 업다운 용접헤드장치의 작동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스테이지에 고정된 트레이(TR)에 배열된 설정된 패키지(1)에 커버(2)가 복개된 상태에서 구동유닛(300)의 작동에 의해 수직이동 베이스부재(200)가 아래로 이동하게 되면 수직이동 베이스부재(200)와 함께 제1,2 수평 이동부재(410)(420)가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제1,2 수평 이동부재(410)(420)가 아래로 이동함에 따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2 캠부재(730)(740)가 함께 아래로 이동하면서 제1,2 고정베어링(710)(720)이 각각 제1,2 캠부재(730)(740)의 캠면(F)의 수직면(F1)에 각각 위치하게 되면서 탄성부재(750)의 탄성력에 의해 제1,2 수평 이동부재(410)(420)의 간격이 좁아지게 된다. 제1,2 수평 이동부재(410)(420)의 간격이 좁아지게 됨에 따라 제1,2 원형용접전극(610)(620)의 사이가 좁아지며, 제1,2 원형용접전극(610)(620)의 간격이 좁아짐과 동시에 아래로 이동하여 설정된 패키지(1)와 그 패키지(1)에 복개된 커버(2)를 가용접하게 된다.
그리고 구동유닛(300)의 작동에 의해 수직이동 베이스부재(200)가 위로 이동하게 되면 수직이동 베이스부재(200)와 함께 제1,2 수평 이동부재(410)(420)가 위로 이동하게 된다. 제1,2 수평 이동부재(410)(420)가 위로 이동함에 따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2 캠부재(730)(740)가 함께 위로 이동하면서 제1,2 고정베어링(710)(720)이 각각 제1,2 캠부재(730)(740)의 캠면(F)의 경사면(F2)을 따라 각각 위치하게 되면서 제1,2 수평 이동부재(410)(420)의 간격이 넓어지게 된다. 제1,2 수평 이동부재(410)(420)의 간격이 넓어지게 됨에 따라 제1,2 원형용접전극(610)(620)의 사이가 벌어지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제1 스테이지가 움직여 다음 가용접할 패키지(1)를 제1,2 원형용접전극(610)(620) 아래로 이동시키고 버큠 척(30)이 제2 스테이지의 트레이에 배열된 커버(1)를 흡착하고 이동하여 제1,2 원형용접전극(610)(620) 사이를 통해 그 아래에 위치한 패키지(1)에 복개시킨다.
버큠 척(30)이 커버(2)를 패키지(1)에 복개한 후 위로 이동한 상태에서 구동유닛(300)의 작동에 의해 수직이동 베이스부재(200)가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수직이동 베이스부재(200)가 아래로 이동하면서 제1,2 원형용접전극(610)(620)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패지키(1)와 커버(2)를 가용접하는 동작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와 같은 동작이 반복되면서 제1 스테이지에 고정된 트레이(TR)에 배열된 패키지(1)들에 각각 커버(2)를 복개하고 가용접하게 된다.
본 발명은 구동유닛의 작동에 의해 수직이동 베이스부재(200)가 상하로 움직임에 따라 제1,2 고정베어링(710)(720), 제1,2 캠부재(730)(740), 그리고 탄성부재(750)에 의해 제1,2 수평 이동부재(410)(420)가 수평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제1,2 수평 이동부재(410)(420)의 간격이 조절되고 제1,2 수평 이동부재(410)(420)의 간격 조절과 함께 제1,2 원형용접전극(610)(620)의 간격이 조절된다. 이로 인하여, 용접 대상물인 패키지와 커버를 가용접시키는 제1,2 원형용접전극(610)(6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구성이 간단하게 되고 또한 제1,2 원형용접전극(610)(620) 사이의 간격 조절이 쉽고 간단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원형편심캠(320)의 회전에 따라 롤러(330)가 상하로 움직이면서 수직이동 베이스부재(200)가 상하로 움직이고, 수직이동 베이스부재(200)의 상하 움직임에 따라 제1,2 수평 이동부재(410)(420)가 상하로 움직이면서 제1,2 수평 이동부재(410)(420)에 각각 구비된 제1,2 캠부재(730)(740)가 제1,2 고정베어링(710)(720)에 각각 지지되면서 제1,2 수평 이동부재(410)(420)의 간격이 조절되고, 제1,2 수평 이동부재(410)(420)의 간격이 조절됨과 함께 제1,2 원형용접전극(610)(620)의 간격이 조절되면서 제1,2 원형용접전극(610)(620)이 상하로 움직이게 된다. 즉, 원형편심캠(320)의 회전과 제1,2 고정베어링(710)(720)과 제1,2 캠부재(730)(740)의 작동에 의해 제1,2 원형용접전극(610)(620) 사이의 간격 조절이 빠르고 제1,2 원형용접전극(610)(620)의 상하 움직임이 빠르게 된다. 이로 인하여 용접 대상물의 가용접 속도가 빠르게 되어 조립 생산성을 높이게 된다.
100; 베이스 부재 200; 수직이동 베이스부재
300; 구동유닛 410,420; 제1,2 수평 이동부재
510,520; 제1,2 수직 이동부재 610,620; 제1,2 원형용접전극
700; 캠어셈블리

Claims (6)

  1.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에 상하로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이동 베이스부재;
    상기 수직이동 베이스부재를 상하로 움직이는 구동유닛;
    상기 수직이동 베이스부재에 수평 방향으로 각각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2 수평 이동부재;
    상기 제1,2 수평 이동부재에 각각 수직 방향으로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2 수직 이동부재;
    상기 제1,2 수직 이동부재에 각각 구비되는 제1,2 원형용접전극;
    상기 수직이동 베이스부재가 상하로 움직임에 따라 상기 제1,2 원형용접전극의 간격이 넓어지거나 좁아지도록 상기 제1,2 수평 이동부재의 간격을 조절하는 캠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용접장비의 업다운 용접헤드장치.
  2.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에 상하로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이동 베이스부재;
    상기 수직이동 베이스부재를 상하로 움직이는 구동유닛;
    상기 수직이동 베이스부재에 수평 방향으로 각각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2 수평 이동부재;
    상기 제1,2 수평 이동부재에 각각 구비되는 제1,2 원형용접전극;
    상기 수직이동 베이스부재가 상하로 움직임에 따라 상기 제1,2 원형용접전극의 간격이 넓어지거나 좁아지도록 상기 제1,2 수평 이동부재의 간격을 조절하는 캠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용접장비의 업다운 용접헤드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캠어셈블리는 상기 수직이동 베이스부재와 제1,2 수평 이동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제1,2 고정베어링들과, 상기 제1 수평 이동부재에 구비되어 제1 고정베어링에 접촉되는 제1 캠부재와, 상기 제2 수평 이동부재에 구비되어 제2 고정베어링에 접촉되는 제2 캠부재와, 제1,2 수평 이동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용접장비의 업다운 용접헤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고정베어링은 서로 간격을 두고 상하로 위치하며, 상기 제1,2 고정베어링에 각각 접촉되는 제1,2 캠부재도 상하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장비의 업다운 용접헤드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고정베어링은 각각 균일한 두께를 갖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제1,2 캠부재는 각각 균일한 두께를 가지며 한쪽 측면이 고정베어링과 접촉되는 캠면이 구비되며 캠면은 수직면과 수직면 아래에 이어진 경사면을 포함하는 용접장비의 업다운 용접헤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수직이동 베이스부재에 구비되는 롤러와, 상기 롤러에 접촉되는 원형편심캠과, 상기 원형편심캠을 편심 회전시키는 회전모터를 포함하는 용접장비의 업다운 용접헤드장치.
KR1020130073659A 2013-06-26 2013-06-26 용접장비의 업다운 용접헤드장치 KR1014500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3659A KR101450086B1 (ko) 2013-06-26 2013-06-26 용접장비의 업다운 용접헤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3659A KR101450086B1 (ko) 2013-06-26 2013-06-26 용접장비의 업다운 용접헤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0086B1 true KR101450086B1 (ko) 2014-10-13

Family

ID=51997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3659A KR101450086B1 (ko) 2013-06-26 2013-06-26 용접장비의 업다운 용접헤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00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47134A (zh) * 2018-08-14 2018-11-06 先进光电器材(深圳)有限公司 焊头固定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00731A (ja) 2007-06-25 2009-01-08 Nippon Avionics Co Ltd リッドの仮止め装置
JP2009147288A (ja) 2008-05-19 2009-07-02 Akim Kk 真空内溶接処理装置
JP2010089095A (ja) 2008-10-03 2010-04-22 Akim Kk 溶接リングの仮付け装置、及び溶接リングの仮付け方法
JP2013081974A (ja) 2011-10-07 2013-05-09 Akim Kk 溶接装置およびそのヘッド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00731A (ja) 2007-06-25 2009-01-08 Nippon Avionics Co Ltd リッドの仮止め装置
JP2009147288A (ja) 2008-05-19 2009-07-02 Akim Kk 真空内溶接処理装置
JP2010089095A (ja) 2008-10-03 2010-04-22 Akim Kk 溶接リングの仮付け装置、及び溶接リングの仮付け方法
JP2013081974A (ja) 2011-10-07 2013-05-09 Akim Kk 溶接装置およびそのヘッド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47134A (zh) * 2018-08-14 2018-11-06 先进光电器材(深圳)有限公司 焊头固定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12456B2 (ja) 部品実装機
KR101331067B1 (ko) 취성 재료 기판의 수직 공급 로더 컨베이어 장치
KR20090080179A (ko) 탁상형 로봇 디스펜서.
CN103668805A (zh) 一种模板缝纫机的送布机构
KR20140043324A (ko) 유리판의 절단 방법 및 유리판의 절단 장치
JP5876765B2 (ja) 工作機械の工具取扱い装置
JP2013043248A (ja) 絶縁スペーサの溝加工装置及びその溝加工方法
CN104066553A (zh) 电动夹紧设备
KR101450086B1 (ko) 용접장비의 업다운 용접헤드장치
CN104909553A (zh) 刻划头以及刻划装置
JP2010094002A (ja) 巻線機
CN109129153B (zh) 一种可倾斜的治具机构
CN103770449B (zh) 丝网印刷机及丝网印刷方法
KR102150350B1 (ko) 선재 성형기
CN104439577A (zh) 一种具有悬浮装置的线切割机
KR101156063B1 (ko) 듀얼 레인 컨베이어의 폭 조절 구조
KR101481501B1 (ko) 용접장비의 용접헤드장치
CN103433505A (zh) 加工设备
JP2006100613A (ja) パラレルシーム接合方法および装置
JP4189396B2 (ja) マイクロパラレルシーム接合装置
KR101477476B1 (ko) 가용접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용접 장비
KR100890714B1 (ko) 진동융착장치
CN107335578B (zh) 双面皮带式递油油边机头
JP5189002B2 (ja) 基板へのフラックス印刷及びはんだボール搭載装置
CN102629143B (zh) 间距驱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