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9709B1 - 이층침대용 차광장치 - Google Patents

이층침대용 차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9709B1
KR101449709B1 KR1020140062776A KR20140062776A KR101449709B1 KR 101449709 B1 KR101449709 B1 KR 101449709B1 KR 1020140062776 A KR1020140062776 A KR 1020140062776A KR 20140062776 A KR20140062776 A KR 20140062776A KR 101449709 B1 KR101449709 B1 KR 101449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light
side frame
frame
shi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2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달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나
Priority to KR1020140062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97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9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9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20Multi-stage bedsteads; e.g. bunk beds; Bedsteads stackable to multi-stage bedsteads

Landscapes

  • Blinds (AREA)

Abstract

비사용시에는 사용자와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내장되고, 사용자로 하여금 번거롭거나 불편함 없이 상부침대 또는 하부침대에서 개별적으로 각각 차광할 수 있음 물론 동시에도 차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부침대의 측프레임 상부에 내장되어 상측으로 인출되면서 천장으로 걸어져 상부침대를 차광하는 상부 차광수단; 및 상기 측프레임의 하부에 내장되어 하측으로 인출되면서 상기 하부침대의 측프레임에 걸어져 하부침대를 차광하는 하부 차광수단;을 포함하는 이층침대용 차광장치를 제공한다.
그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불편함 없이 안락하고 깊은 숙면을 취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이층침대용 차광장치{Shading apparatus for bunk beds}
본 발명은 이층 침대용 차광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비사용시에는 사용자와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내장되고, 사용자로 하여금 번거롭거나 불편함 없이 상부침대 또는 하부침대에서 개별적으로 각각 차광(遮光)할 수 있음 물론 동시에도 차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이층침대용 차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는 취침준비와 취침 후의 정리가 간단하며 편안한 숙면이나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침실에 설치된다. 이러한 통상적인 침대는 다양한 형상 모양을 가지는 침대틀과, 상기 침대틀의 상면에 얹혀져 소정의 쿠션력을 가지는 매트리스로 구성된다.
한편, 침대는 통상 단층으로 구성되어 각 가정집이나 호텔 등지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한정된 장소에서 여러 사람이 함께 기거해야 하는 기숙사나 합숙소와 같은 단체 숙박시설 또는 하나의 방에서 2명이 동시에 생활해야 하는 가정 등에서는 보다 넓은 주거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이층침대를 사용하고 있다.
이층침대는 통상 상부침재와 하부침대가 일체형으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이러한 일체형의 이층침대는 특수한 경우에만 사용할 수밖에 없는 제약이 따른다. 특히 가정에서 한 방에서 둘이 함께 생활하다가 각각 독립된 공간을 소유하게 된 경우 사용의 편의를 위해 일체형의 이층침대는 활용할 수 없어 폐기 후 단층침대를 새로 구입해야 하는 단점을 가진다.
그에 따라 좁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면서 이층침대를 단층침대로 간단히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는 분리형 침대가 사용되고 있다.
통상 분리형 이층침대는 하부침대의 네 지주의 상단에 연결수단에 의해 상부침대의 네 지주 하단을 상기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함에 따라 상부침대 및 하부침대가 층상을 이루고, 상기 상부침대로 올라가기 위한 사다리가 구비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분리형 이층침대에 대한 선행기술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16312호, 등록특허 제10-0709509호 및 등록특허 제1345910호 등 연결수단에 대한 다양한 형태의 이층침대가 개시된 바 있다.
한편, 이층침대의 경우 숙면을 취하고자 할 때 햇빛이나 조명 등으로 인해 깊은 숙면을 못취하는 단점을 가진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도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15368호(이하 '선행특허문헌 1'이라 한다)에 개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에 커튼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커튼레일 상에서 이동되는 커튼롤러에 의해 절첩되는 커튼을 구비한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실용 제20-2007-0000356호(이하 '선행특허문헌 2'라 한다)에 개시된 바와 같이 침대의 지주에 고리를 고정 설치하고 고무 밴드와 설치 고리를 가진 장막형 커텐을 부착식으로 설치하는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15368호 대한민국 공개실용 제20-2007-0000356호
그러나, 상기한 선행특허문헌 1 및 2는 이층침대의 구조 상 하부침대에만 커튼을 달아 놓으므로써, 상부침대에서는 빛이나 조명이 그대로 비쳐지는 단점을 가진다.
또한, 선행특허문헌 1 및 2는 커튼을 달기 위한 구조가 별도의 레일수단을 구비해야 하는 관계로, 설치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특히 커튼이 노출된 상태이므로, 비사용시에도 간섭이 발생하는 단점을 가진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비사용시에는 사용자와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내장되고, 사용자로 하여금 번거롭거나 불편함 없이 상부침대 또는 하부침대에서 각각 개별적으로 차광(遮光)할 수 있음 물론 동시에도 차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이층침대용 차광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광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내장시켰을 때 오염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층상을 이루는 상부침대와 하부침대 및 상기 상부침대로 오르기 위한 사다리를 구비한 이층침대에 구비되는 차광장치로서, 상기 차광장치는 상부침대의 측프레임 상부에 내장되어 상측으로 인출되면서 천장으로 걸어져 상부침대를 차광하는 상부 차광수단; 및 상기 측프레임의 하부에 내장되어 하측으로 인출되면서 상기 하부침대의 측프레임에 걸어져 하부침대를 차광하는 하부 차광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차광수단은 상부침대의 측프레임 상면에 형성되는 제1 설치홈, 상기 제1 설치홈의 내부에 수용되어 인출되도록 장착 고정되는 상차광부재, 상기 상차광부재의 차광막에 구비되는 제1 걸림구, 및 상기 제1 걸림구가 걸어지도록 천장에 구비되는 제1 고정구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 차광수단은 상부침대의 측프레임 밑면에 형성되는 제2 설치홈, 상기 제2 설치홈의 내부에 수용되어 인출되도록 장착 고정되는 하차광부재, 상기 하차광부재의 차광막에 구비되는 제2 걸림구, 및 상기 제2 걸림구가 걸어지도록 하부침대의 측프레임에 구비되는 제2 고정구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설치홈 및 제2 설치홈의 개방된 면에는 그 제1,2 설치홈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도록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각각의 덮개부재를 더 포함한다.
층상을 이루는 상부침대와 하부침대 및 상기 상부침대로 오르기 위한 사다리를 구비한 이층침대에 구비되는 차광장치로서, 상기 차광장치는 상부침대의 난간 프레임에 하부가 그 난간프레임에 삽입되어 장착고정되며 상부에는 상차광부재가 내장되어 상측으로 인출되면서 천장으로 걸어져 상부침대를 차광하는 제1 장착프레임; 및 상기 상부침대의 측프레임 하면에는 하차광부재가 내장되어 하측으로 인출되면서 하부침대의 측프레임에 걸어져 하부침대를 차광하는 제2 장착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상차광부재와 하차광부재의 각 차광막에는 천장에 구비되는 제1 고정구와 하부침대의 측프레임에 구비되는 제2 고정구로 걸어지도록 구비되는 각각의 제1,2 걸림구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침대의 난간 프레임에는 그 난간 프레임과 대응되는 높이를 가지며,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보조 차광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비사용시에는 사용자와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내장되고, 사용자로 하여금 번거롭거나 불편함 없이 상부침대 또는 하부침대에서 각각 개별적으로 차광할 수 있음 물론 동시에도 차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불편함 없이 안락하고 깊은 숙면을 취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차광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내장시켰을 때 오염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항시 청결한 상태를 유지함은 물론 미관도 수려한 효과를 가진다.
또한, 기존의 이층침대에도의 복잡한 작업공정 없이 간단하면서 편리하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이층침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이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이층침대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층상을 이루는 상부침대(110)와 하부침대(120) 및 상기 상부침대(110)로 오르기 위한 사다리(130)를 구비한 통상의 이층침대(100)에 구비되는 차광장치(1)를 개시한다.
이층침대는 상부침대와 하부침대가 각 지주에 통상의 연결수단에 의해 적층되어 층상을 이루는 분리형 이층침대인 것이 바람직하나, 일체형의 이층침대에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은 사용자로 하여금 번거롭거나 불편함 없이 상부침대 또는 하부침대에서 각각 개별적으로 차광할 수 있음 물론 동시에도 차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차광장치(1)는 상부침대(110)의 측프레임(112) 상부에 내장되어 상측으로 인출되면서 천장으로 걸어져 상부침대(110)를 차광하는 상부 차광수단;(10) 및 상기 측프레임(112)의 하부에 내장되어 하측으로 인출되면서 상기 하부침대(120)의 측프레임(122)에 걸어져 하부침대(120)를 차광하는 하부 차광수단(2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상부 차광수단과 하부 차광수단은 필요에 따라 각각 개별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상부 차광수단(10)은 상부침대(110)의 측프레임(112) 상면에 형성되는 제1 설치홈(12)과, 상기 제1 설치홈(12)의 내부에 수용되어 인출되도록 장착 고정되는 상차광부재(15)와, 상기 상차광부재(15)의 차광막(16)에 구비되는 통상의 고리 또는 링 등과 같은 제1 걸림구(16a), 및 상기 제1 걸림구(16a)가 걸어지도록 천장에 상기 제1 걸림구와 대응되게 구비되는 통상의 고리 또는 링 등과 같은 제1 고정구(16b)를 포함한다. 상기 상차광부재(15)는 통상의 롤브라인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롤브라인드는 회전되는 롤 상에 차광막이 권취되어 상기 롤을 회전시킴에 따라 차광막이 감겨지고 풀어지는 통상적인 구조이면 족하다.
그에 따라 상기 측프레임에 형성된 제1 설치홈으로 구비된 상차광부재의 차광막을 상부로 올리면서 그 차광막에 구비된 제1 걸림구를 천장에 구비된 제1 고정구에 걸어서 고정함에 따라 상부침대의 차광 효율성을 극대화 수 있다. 즉, 측프레임으로부터 천장까지 상차광부재의 차광막으로 차단함으로써, 햇빛이나 조명 빛을 완벽하게 차단하여 안락한 숙면을 취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또, 상기 상차광부재는 차광이 요구되지 않는 평상 시에는 측프레임에 형성된 제1 설치홈으로 내장된 상태이므로 미관이 수려할 뿐만 아니라 간섭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하부 차광수단(20)은 상부침대(110)의 측프레임(112) 밑면에 형성되는 제2 설치홈(22)과, 상기 제2 설치홈(22)의 내부에 수용되어 인출되도록 장착 고정되는 통상의 롤브라인드 등과 같은 하차광부재(25)와, 상기 하차광부재(25)의 차광막(26)에 구비되는 통상의 고리 또는 링 등과 같은 제2 걸림구(26a), 및 상기 제2 걸림구(26a)가 걸어지도록 하부침대(120)의 측프레임(122)에 상기 제2 걸림구와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통상의 고리나 링 등과 같은 제2 고정구(26b)를 포함한다. 상기 하차광부재 역시 전술한 상차광부재와 동일한 기능과 구조를 가진다.
그에 따라 상기 측프레임에 형성된 제2 설치홈으로 구비된 하차광부재의 차광막을 하부로 내려 그 차광막에 구비된 제2 걸림구를 하부침대의 측프레임에 구비된 제2 고정구로 걸어 고정함으로써, 상기 하부침대의 차광 효율성 역시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부침대의 측프레임으로부터 하부침대의 측프레임까지 하차광부재의 차광막이 햇빛이나 조명빛을 완벽하게 차단함에 따라 차광 효율성을 극대화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차광부재 역시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측프레임의 제2 설치홈으로 삽입시켜 놓으므로써, 미관이 수려함은 물론 이 또한 간섭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부침대와 하부침대가 층상을 이루는 이층침대에서 번거롭거나 불편함 없이 간단한 방식에 의하여 필요에 따라 상부침대나 하부침대를 개별적으로 각각 빛을 차광하거나 동시에 빛을 완벽하게 차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락하고 깊은 숙면을 취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상차광부재와 하차광부재가 수용되는 제1,2 설치홈이 개방된 상태이므로, 혹여 이물질이나 먼지 등이 쌓일 수 있는 관계로, 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제1 설치홈(12) 및 제2 설치홈(22)의 개방된 면에는 그 제1,2 설치홈(12)(22)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도록 통상의 경첩이니 핀 결합 등에 의한 힌지수단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각각의 덮개부재(30)(30a)를 더 포함한다. 상기 덮개부재는 억지끼움 방식에 의해, 즉 상기 제1,2 설치홈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고정홈 등에 의해 억지끼움 방식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니면 공지의 고정방식, 즉 측프레임의 하부에 위치한 제2 설치홈의 일측에 덮개부재를 지지할 수 있는 통상의 문고리 등을 설치하거나 지지핀 등에 의해 상기 덮개부재가 덮혀진 상태에서 지지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제1,2 설치홈에 상차광부재와 하창광부재가 수용된 상태에서 각 덮개부재에 의해 덮혀짐에 따라 이물질 등이 유입되지 않게 됨으로써,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장발생 또한 최소화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동일한 기술적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기재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구성에서 차광장치를 구성함에 있어 기존의 이층침대에도 별도의 가공이 요구되지 않고 최대한 간단한 방식에 의해 상부침대와 하부침대의 차광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다.
차광장치는 상부침대(110)의 난간 프레임(114)에 하부가 그 난간프레임(114)에 삽입되어 통상의 볼팅 또는 스크류 고정에 의해 장착고정되며 상부에는 전술한 통상의 롤브라인드 등과 같은 상차광부재(15)가 내장되어 상측으로 인출되면서 천장으로 걸어져 상부침대(110)를 차광하는 제1 장착프레임(40); 및 상기 상부침대(110)의 측프레임(112) 밑면에는 전술한 통상의 롤브라인드 등과 같은 하차광부재(25)가 내장되어 하측으로 인출되면서 하부침대(120)의 측프레임(122)에 걸어져 하부침대(120)를 차광하는 제2 장착프레임(40A);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장착프레임은 통상 알파벳 에이치(H)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 프레임은 한글 자음의 디귿자을 세워 놓은 형태의 형상을 가진다.
또, 상기 상,하 차광부재는 전술한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상차광부재(15)와 하차광부재(25)의 각 차광막(16)(26)에는 천장에 구비되는 통상의 걸림고리 등과 같은 제1 고정구(16a)와 하부침대(120)의 측프레임(122)에 구비되는 통상의 걸림고리 등과 같은 제2 고정구(26a)로 걸어지도록 구비되는 통상의 링 형태인 각각의 제1,2 걸림구(16b)(26b);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침대(110)의 난간 프레임(114)에는 그 난간 프레임(114)과 대응되는 높이를 가지며, 통상의 경첩 또는 핀 결합 등과 같은 힌지 결합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보조 차광부재(50)를 더 포함한다.
즉, 상기 보조 차광부재는 상기 상차광부재가 난간 프레임의 상단에서 구비되는 관계로, 혹여 난간을 통하여 햇빛이나 조명빛이 상부침대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로써, 본 발명은 기존의 상부침대와 하부침대가 층상을 이루는 통상적인 이층침대에도 번거롭거나 복잡한 설계변경이 요구되지 않고 간단하면서 편리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아울러, 상부침대와 하부침대에는 빛 자체가 전혀 유입되지 않도록 차광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안락하고 깊은 숙면을 취할 수 있는 조건 역시 가진다.
1 : 차광장치
10 : 상차광수단 12 : 제1 설치홈
15 : 상차광부재 16,26 : 차광막
16a : 제1 걸림구 16b : 제1 고정구
20 : 하차광수단 22 : 제2 설치홈
25 : 하차광부재 26a : 제2 걸림구
26b : 제2 고정구 30 : 덮개부재
40 : 제1 장착프레임 40A : 제 2장착프레임
100 : 이층침대 110 : 상부침대
112,122 : 측프레임 114 : 난간 프레임
120 : 하부침대 130 : 사다리

Claims (7)

  1. 층상을 이루는 상부침대와 하부침대 및 상기 상부침대로 오르기 위한 사다리를 구비한 이층침대에 구비되는 차광장치로서,
    상기 차광장치는 상부침대의 측프레임 상부에 내장되어 상측으로 인출되면서 천장으로 걸어져 상부침대를 차광하는 상부 차광수단; 및
    상기 측프레임의 하부에 내장되어 하측으로 인출되면서 상기 하부침대의 측프레임에 걸어져 하부침대를 차광하는 하부 차광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층침대용 차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차광수단은 상부침대의 측프레임 상면에 형성되는 제1 설치홈, 상기 제1 설치홈의 내부에 수용되어 인출되도록 장착 고정되는 상차광부재, 상기 상차광부재의 차광막에 구비되는 제1 걸림구, 및 상기 제1 걸림구가 걸어지도록 천장에 구비되는 제1 고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층침대용 차광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차광수단은 상부침대의 측프레임 밑면에 형성되는 제2 설치홈, 상기 제2 설치홈의 내부에 수용되어 인출되도록 장착 고정되는 하차광부재, 상기 하차광부재의 차광막에 구비되는 제2 걸림구, 및 상기 제2 걸림구가 걸어지도록 하부침대의 측프레임에 구비되는 제2 고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층침대용 차광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설치홈 및 제2 설치홈의 개방된 면에는 그 제1,2 설치홈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도록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각각의 덮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층침대용 차광장치.
  5. 층상을 이루는 상부침대와 하부침대 및 상기 상부침대로 오르기 위한 사다리를 구비한 이층침대에 구비되는 차광장치로서,
    상기 차광장치는 상부침대의 난간 프레임에 하부가 그 난간프레임에 삽입되어 장착고정되며 상부에는 상차광부재가 내장되어 상측으로 인출되면서 천장으로 걸어져 상부침대를 차광하는 제1 장착프레임; 및
    상기 상부침대의 측프레임 하면에는 하차광부재가 내장되어 하측으로 인출되면서 하부침대의 측프레임에 걸어져 하부침대를 차광하는 제2 장착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층침대용 차광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차광부재와 하차광부재의 각 차광막에는 천장에 구비되는 제1 고정구와 하부침대의 측프레임에 구비되는 제2 고정구로 걸어지도록 구비되는 각각의 제1,2 걸림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층침대용 차광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침대의 난간 프레임에는 그 난간 프레임과 대응되는 높이를 가지며,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보조 차광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층침대용 차광장치.
KR1020140062776A 2014-05-26 2014-05-26 이층침대용 차광장치 KR101449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2776A KR101449709B1 (ko) 2014-05-26 2014-05-26 이층침대용 차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2776A KR101449709B1 (ko) 2014-05-26 2014-05-26 이층침대용 차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9709B1 true KR101449709B1 (ko) 2014-10-15

Family

ID=51997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2776A KR101449709B1 (ko) 2014-05-26 2014-05-26 이층침대용 차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97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49718A (zh) * 2015-10-19 2016-01-20 平湖市当湖街道飞天人机械图文设计服务部 一种多功能母子床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6803U (ja) * 1991-03-27 1995-07-11 株式会社ユーア 間仕切り多段ベッド
KR19990013750U (ko) * 1997-09-29 1999-04-26 박동규 자동차의 도어내장형 롤러 블라인드장치
KR200226636Y1 (ko) 2000-12-28 2001-06-15 최용민 이단침대
JP2003153770A (ja) 2001-11-21 2003-05-27 Intarushia:Kk 折り畳み式二段ベッド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6803U (ja) * 1991-03-27 1995-07-11 株式会社ユーア 間仕切り多段ベッド
KR19990013750U (ko) * 1997-09-29 1999-04-26 박동규 자동차의 도어내장형 롤러 블라인드장치
KR200226636Y1 (ko) 2000-12-28 2001-06-15 최용민 이단침대
JP2003153770A (ja) 2001-11-21 2003-05-27 Intarushia:Kk 折り畳み式二段ベッド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49718A (zh) * 2015-10-19 2016-01-20 平湖市当湖街道飞天人机械图文设计服务部 一种多功能母子床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26969B2 (en) Multi-function shade assembly and method
RU2579833C2 (ru) Гостиница и способ модернизации гостиницы (варианты)
US20100243589A1 (en) Rail for coverings for architectural openings
US20150101764A1 (en) Window covering
KR101449709B1 (ko) 이층침대용 차광장치
JP3326169B1 (ja) 蚊よけネット装置
US20190178028A1 (en) Retractable gate system
KR20080029057A (ko) 햇빛가리개가 구비된 절첩식 방충망
KR100951506B1 (ko) 다층식 커튼 장치
US20060180277A1 (en) Temporary covering for a window
KR101184582B1 (ko) 다기능 커튼 레일
JP2002038638A (ja) 間仕切り装置
KR101343000B1 (ko) 침대용 차광장치
KR101618580B1 (ko) 안전창호
KR200494197Y1 (ko) 이동식 평상
KR200491073Y1 (ko) 블라인드 장치
JP3140388U (ja) 簡易カーテン
CN205359315U (zh) 一种智能全封闭漂流浴缸
KR200479724Y1 (ko) 접이식 어닝 부착 차량
CN217161542U (zh) 一种带床帘架的床体结构
GB2403144A (en) Retractable shower screen
CN216702106U (zh) 一种带遮光蓬的折叠床柜
JP2984197B2 (ja) 引き違いサッシの下枠構造
KR20110005614U (ko) 버티컬 블라인드형 덮개를 구비하는 침대
KR200446041Y1 (ko) 블라인드용 디자인 일체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