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724Y1 - 접이식 어닝 부착 차량 - Google Patents

접이식 어닝 부착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9724Y1
KR200479724Y1 KR2020140005644U KR20140005644U KR200479724Y1 KR 200479724 Y1 KR200479724 Y1 KR 200479724Y1 KR 2020140005644 U KR2020140005644 U KR 2020140005644U KR 20140005644 U KR20140005644 U KR 20140005644U KR 200479724 Y1 KR200479724 Y1 KR 2004797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vehicle
vehicle body
rainwat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56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0436U (ko
Inventor
장민근
윤성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밴텍디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밴텍디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밴텍디엔씨
Priority to KR20201400056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724Y1/ko
Publication of KR201600004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43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7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72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고안의 접이식 어닝 부착 차량은 차체와, 접이식 어닝과, 접이식 어닝을 차체의 상단 모서리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브라켓과, 접이식 어닝과 차체 외벽 사이의 간격을 통해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접이식 어닝과 차체 외벽 사이를 막는 빗물막이 판을 구비한다. 따라서 차체외벽과 어닝 사이의 공간을 통해 유입되는 빗물을 차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접이식 어닝 부착 차량 {Vehicle with Retractable Awning}
본 고안은 접이식 어닝 부착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측면에 그늘막을 형성하기 위해 차량 측벽과 루프가 교차하는 위치에 부착된 접이식 어닝을 가진 차량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밴을 개조하여 캠핑카로 구성한 벤텍의 라쿤 캠핑카(상표명)와 현대 스타렉스 캠핑카 등의 모터 홈 타입 캠핑카가 유통되고 있다.
이들 캠핑카는 캠핑 실내 공간을 확장하기 위하여 차량 측방 또는 후방에 차양막 또는 텐트로 구성한 쉘터 공간을 확장 구성한다.
일반적으로 측방 쉘터는 차량 사이드 도어와 연통된 실내 공간을 구성하기 위하여 사이드 도어의 상방 측벽과 루프의 사이드 에지가 교차하는 모서리 부근에 접이식 어닝이 고정 설치된다.
접이식 어닝은 고정 브라켓을 통해 차체 외벽에 설치되므로 브라켓의 높이 만큼 어닝과 차체 외벽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 공간을 통해 빗물이 유입되거나 차량 측벽을 타고 흘러내리는 등의 사용상 불편함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접이식 어닝과 차체 외벽 사이의 공간을 차단함으로써 빗물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접이식 어닝 부착 차량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빗물막이를 별도의 나사 등의 고정 부품 없이 간단하게 장착이 가능하여 조립성이 좋은 접이식 어닝 부착 차량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접이식 어닝 부착 차량은 차체와, 접이식 어닝과, 접이식 어닝을 차체의 상단 모서리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브라켓과, 접이식 어닝과 차체 외벽 사이의 간격을 통해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접이식 어닝과 차체 외벽 사이를 막는 빗물막이 판을 구비한다. 따라서 차체외벽과 어닝 사이의 공간을 통해 유입되는 빗물을 차단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빗물막이 판은 상단이 접이식 어닝의 후방 케이스의 결합홈에 삽입되고, 하단이 차체 지붕과 차체 측벽이 만나는 교차부에 형성된 지붕 사이드 에지 홈에 장착된 다음에 홈 마감재에 의해 고정된다, 따라서 나사와 같은 별도 고정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간단하게 조립이 가능하다. 또한 빗물막이 판은 접이식 어닝의 하단과 차체 측벽 상단 사이의 간격을 통해 노출된 면에 바형 엘이디 램프가 설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어닝 부착 차량은 차체외벽과 어닝 사이의 공간을 통해 유입되는 빗물을 차단할 수 있고, 나사와 같은 별도 고정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간단하게 조립이 가능하다.
다만, 본 고안의 효과는 상기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접이식 어닝 부착 차량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외관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다용도 차량의 주행모드의 실내 평면 배치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다용도 차량의 회의모드의 실내 평면 배치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다용도 차량의 침대 모드의 실내 평면 배치도.
도 5는 도 1의 접이식 어닝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1의 접이식 어닝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1의 접이식 어닝의 단면도.
도 8은 종래의 접이식 어닝의 빗물 유입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접이식 어닝 부착 차량(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외관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접이식 어닝 부착 차량(100)의 주행모드의 실내 평면 배치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접이식 어닝 부착 차량(100)의 회의모드의 실내 평면 배치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접이식 어닝 부착 차량(100)의 침대 모드의 실내 평면 배치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접이식 어닝 부착 차량(100)은 통상 12인승 승합차의 차체(102)의 상판 지붕을 팝업 루프(110) 형태로 개조한 것이다. 따라서 통상시에는 팝업 루프(110)가 닫힌 상태(도 1)로 출퇴근이나 주차시 통상의 승합차 형태로 무리 없이 사용이 가능하다. 주차 상태에서 비즈니스를 위하여 회의실이나 캠핑카로 사용시에는 팝업 루프(110)를 밀어 올려서 열린 상태로 실내 공간을 상방향으로 확장시켜서 실내에서 직립활동이 가능하도록 사용한다. 본 고안의 접이식 어닝 부착 차량(100)은 차체(102) 측벽 상측 모서리에 접이식 어닝(160)이 고정 설치된다.
접이식 어닝 부착 차량(100)은 제1열(120)의 운전석(122)과 조수석(124)과 제2열(130)의 승객석(132, 134)을 포함한다. 제3열 및 제4열(140)의 좌석들은 제거되고 이 공간에 싱크대 및 화장실 수납장(144)과 조리대 및 냉장고 수납장(144)이 설치된다.
제1열(120)의 운전석(122)과 조수석(124) 각각은 제1열 설치 위치, 즉 주행모드위치(120a)와 침대모드위치(120c) 사이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도면에서 점선 표시된 부분이 슬라이딩 가이드 레일임). 회의모드위치(120b)는 주행모드위치(120a)와 침대모드위치(120c)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운전석(122)과 조수석(124) 각각은 180도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조수석(124) 좌판(124a) 전단에는 다리받침(124b)이 전방 상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열(130)의 승객석(132, 134) 각각은 제2열 설치 위치, 즉 주행모드위치(130a)와 침대모드위치(130b) 사이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각 승객석(132, 134)의 등받이(132b, 134b)는 좌판(132a, 134a)의 후단에서 회동 가능하며, 등받이(132b, 134b)의 상단에는 목받침(132c, 134c)이 각각 설치된다. 승객석(132)의 우측 사이드에는 보조 좌석 부재(136)가 결합되어 승객석(132, 134) 사이의 공간 상에 제공된다.
탁자부재(150)는 운전석(122)과 조수석(124) 사이의 통상의 사이드 브레이크 손잡이 위치에 배치되고 주행모드위치 및 침대모드 위치(150a)와 회담모드위치(150b) 사이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탁자부재(150)는 회담모드위치(150b)에서 90도 회전되어 차량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제1열 좌석부재(120)와 제2열 좌석부재(130) 사이에 회의용 탁자로 제공된다.
싱크대 및 화장실 수납장(142)에는 주로 물을 사용하는 공간으로 싱크대(142a)와 양변기(142b)가 설치된다. 조리대 및 냉장고 수납장(144)에는 주로 전기를 사용하는 공간으로 유도가열기 또는 가스렌지를 올려놓고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대(144a)와 냉장고(144b)가 설치된다. 조리대 및 냉장고 수납장(144)에는 조명 및 텔레비전 전원 콘트롤 박스와 배터리 박스가 수납된다.
주행모드에서는 통상적인 승합차로 사용하기 때문에 실내 공간이 높을 필요가 없으나 회담모드나 침대 모드에서는 주차 상태에서 활동하므로 가급적이면 고개를 펴고 직립 상태에서 실내 활동하는 것이 편리하다. 그러므로 본 고안에서는 주차 상태에서는 차량의 지붕을 상방향으로 들어 올려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팝업 루프(110)가 설치된다.
도 5는 도 1의 접이식 어닝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접이식 어닝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1의 접이식 어닝의 단면도이다.
도면을 찹조하면, 접이식 어닝(160)은 수납 케이스(161), 차양막(162), 관절 암(163), 프론트 바(164), 수직 지지대(165), 고정 브래킷(166), 빗물막이 판(167), 엘이디 램프(168)를 포함한다.
수납 케이스(161)는 알루미늄 압출물로 상부 커버(161a), 후방 커버(161b), 권취 롤러(161c)를 포함한다. 상부 커버(161a), 후방 커버(161b), 권취 롤러(161c)는 미도시된 사이드 커버에 의해 일체로 조립된다. 권취 롤러(161c)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차양막(162)을 권취한다. 차양막(162)의 일단은 권취롤러(161c)에 고정되고 타단은 프론트 바(164)에 고정된다.
프론트 바(164)는 수납 케이스(161)의 전방 개구부를 덮는 덮개 역할을 하며, 수납공간(161d)을 형성한다. 수납공간(161d)에는 관절 암(163), 수직 지지대(165)가 수납된다. 수납 케이스(161)는 고정 브래킷(166)에 의해 차체(102)의 측벽(102a)의 상단에 고정된다.
고정 브래킷(166)의 상단은 후방 커버(161b)의 외주면에 형성된 결합홈(161e)에 끼워지고 하단은 측벽(102a) 상단에 나사로 고정된다. 고정 브래킷(166) 중 전방 고정 브래킷은 조수석 도어 후단 상측과 지붕 사이드 에지 홈(106) 사이에 고정되고, 후방 고정 브래킷은 후방 사이드 유리창 후단 상측과 지붕 사이드 에지 홈(106) 사이에 고정된다.
통상 고정 브래킷(166)의 높이가 나사 조임을 위한 공간 확보로 수납 케이스(161)의 높이 보다 높기 때문에 그 차 만큼 간격이 벌어지게 된다. 이 벌어진 간격(169)을 통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빗물이 차양막 밑으로 유입되거나 차체 측벽을 타고 흘러내리게 된다.
본 고안에서는 간격(169)을 막기 위하여 빗물막이 판(167)을 설치한다. 빗물막이 판(167)은 상단(167a)이 후방 커버(161b)의 결합홈(161e)에 끼워지고, 하단(167b)이 차체 지붕(102b)와 차체 측벽(102a)의 교차부 사이에 형성된 지붕 사이드 에지 홈(106)에 장착된 다음에 홈 마감재(104)에 의해 고정된다. 따라서 빗물막이 판(167)은 나사와 같은 별도 고정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간단하게 조립이 가능하다. 빗물은 지붕 사이드 에지 홈(106)을 타고 전방 및 후방 모서리 방향으로 흐르도록 유도된다.
빗물막이 판(167)의 전면 중 간격(169)을 통해 노출된 부분에는 바형 엘이디 램프(168)가 양면 테이프에 의해 부착된다. 바형 엘이디 램프(168)는 후단에 케이블이 연결되어 전원이 공급된다. 따라서 바형 엘이디 램프(168)는 차양막(162)에 의해 형성된 그늘진 공간을 향하여 비추게 된다. 빗물막이 판(167)의 하단 중앙에는 요홈이 형성된다. 요홈은 차량의 지붕 곡률에 대응한다.
이상,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접이식 어닝 부착 차량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상기 도면 및 그에 대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및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본 고안의 실시예들로 한정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Claims (3)

  1. 차체;
    접이식 어닝;
    상기 접이식 어닝을 상기 차체의 상단 모서리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브라켓; 및
    상기 접이식 어닝과 차체 외벽 사이의 간격을 통해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접이식 어닝과 차체 외벽 사이를 막는 빗물막이 판을 구비하고,
    상기 빗물막이 판은
    상단이 상기 접이식 어닝의 후방 케이스의 결합홈에 삽입되고, 하단이 상기 차체 지붕과 차체 측벽이 만나는 교차부에 형성된 지붕 사이드 에지 홈에 장착된 다음에 홈 마감재에 의해 고정되는 접이식 어닝 부착 차량.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막이 판은
    상기 접이식 어닝의 하단과 상기 차체 측벽 상단 사이의 간격을 통해 노출된 면에 바형 엘이디 램프가 설치된 접이식 어닝 부착 차량.
KR2020140005644U 2014-07-28 2014-07-28 접이식 어닝 부착 차량 KR2004797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644U KR200479724Y1 (ko) 2014-07-28 2014-07-28 접이식 어닝 부착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644U KR200479724Y1 (ko) 2014-07-28 2014-07-28 접이식 어닝 부착 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436U KR20160000436U (ko) 2016-02-05
KR200479724Y1 true KR200479724Y1 (ko) 2016-03-02

Family

ID=55351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5644U KR200479724Y1 (ko) 2014-07-28 2014-07-28 접이식 어닝 부착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72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1717A (ko) 2022-06-14 2023-12-21 이기영 어닝 측면 차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436U (ko) 2016-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0377B1 (ko) 실내공간의 확장이 가능한 다용도 자동차.
US9254734B2 (en) Multi-component roof for an open-air vehicle
CN105121197B (zh) 天窗设备
GB2310173A (en) A safety device for the interior of a vehicle.
US11235648B2 (en) Pickup truck bed cover
KR102253177B1 (ko) 가변형 욕실을 구비한 캠핑카
US20110001331A1 (en) Windshield assembly for golf carts and other vehicles
US6386617B1 (en) Closure panel mounting for vehicle window openings
DE60322150D1 (de) Vorzeltkonstruktion und mit einem solchen Vorzelt versehener Wohnwagen
US6905162B2 (en) Truck cargo box enclosure
US20230279691A1 (en) Hardtop car-top tent
KR200479724Y1 (ko) 접이식 어닝 부착 차량
KR200482354Y1 (ko) 접이식 어닝 텐트
US20100269875A1 (en) Camper privacy enclosure
DE202010014492U1 (de) Transportable Wohnraumzelle, Wohnmobil sowie teilintegriertes Wohnmobil
US8267453B1 (en) Rotatable hard cover roof for a pop-out on a trailer
KR20120003201U (ko) 차량 내장형 화장실 및 차량 내장형 편의 시설물
JPH11166379A (ja) 日除け機構およびこれを備えた窓用シャッター
CA2755146C (en) Family boat
JP3191156U (ja) 車載用キャンピングテント
JP5090314B2 (ja) キャンピングカー用ボックスおよびキャンピングカー
KR20210063588A (ko) 공간 확장 가능한 캠핑장치
CN218966785U (zh) 一种斜开式折叠旅居舱
KR102288160B1 (ko) 차량용 도어
CN216788000U (zh) 一种可扩展使用的车顶帐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