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8591B1 - 보이스 피싱 방지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보이스 피싱 방지 서버, 기록매체 및 사용자 단말 - Google Patents

보이스 피싱 방지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보이스 피싱 방지 서버, 기록매체 및 사용자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8591B1
KR101448591B1 KR1020130022463A KR20130022463A KR101448591B1 KR 101448591 B1 KR101448591 B1 KR 101448591B1 KR 1020130022463 A KR1020130022463 A KR 1020130022463A KR 20130022463 A KR20130022463 A KR 20130022463A KR 101448591 B1 KR101448591 B1 KR 1014485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voice phishing
call
voic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2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8039A (ko
Inventor
조종화
박유란
김대영
이준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이블커뮤니케이션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이블커뮤니케이션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이블커뮤니케이션즈
Priority to KR1020130022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8591B1/ko
Publication of KR20140108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8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8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8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12Detection or prevention of frau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6Networks other than PSTN/ISDN providing telephone service, e.g.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including next generation networks with a packet-switched transport layer
    • H04M7/0078Security; Fraud detection; Fraud preven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6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security aspects in 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 H04M2203/6027Fraud preven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보이스 피싱 방지 서버는 제1 사용자 단말에 보이스 피싱 방지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보이스 피싱 방지 서버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 식별자 및 제1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발신 단말 식별자를 포함하는 보이스 피싱 확인 요청을 수신하는 보이스 피싱 확인 요청 수신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과 상기 발신 단말 식별자에 해당하는 단말(이하, 제2 사용자 단말)이 통화 중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통화 중인지 여부를 기초로 보이스 피싱 해당 여부를 결정하는 보이스 피싱 결정부 및 상기 결정된 보이스 피싱 해당 여부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알려주는 보이스 피싱 알림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보이스 피싱 방지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보이스 피싱 방지 서버, 기록매체 및 사용자 단말{METHOD OF PREVENTING VOICE PHISHING AND SERVER PERFORMING THE SAME, STORAGE MEDIA STORING THE SAME AND USER TERMINAL}
본 발명은 보이스 피싱 방지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 식별자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발신 단말 식별자를 포함하는 보이스 피싱 확인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과 상기 발신 단말 식별자에 해당하는 단말(이하, 제2 사용자 단말)이 통화 중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통화 중인지 여부를 기초로 보이스 피싱 해당 여부를 결정하여 상기 결정된 보이스 피싱 해당 여부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알려줌으로써, 사용자가 통화 중이라도 실시간으로 보이스 피싱인지 여부를 즉각적으로 결정하여 알려줄 수 있는 보이스 피싱 방지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보이스 피싱 방지 서버, 기록매체 및 사용자 단말에 관한 것이다.
보이스 피싱(Voice phishing)은 음성(voice), 개인 정보(private data) 및 낚시(fishing)의 합성어로서, 일반적으로 전화를 통해 불법적으로 개인 정보를 빼내는 전화 금융 사기를 일컫는다.
여기에서, 보이스 피싱을 이용한 범죄자들은 전화 등을 이용해 상대방을 교묘히 속여 금융 기관의 비밀 번호 등에 해당하는 개인 금융 정보를 알아내고, 돈을 인출하거나 환급의 명목으로 송금을 받아 가로채는 등, 보이스 피싱을 통한 개인 정보의 유출 및 재산권의 침해가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보이스 피싱을 통한 범죄를 예방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들이 제공되고 있다. 하기의 선행 특허들은 이와 관련된 기술을 제공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126044호는 보이스 피싱 방지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유선 또는 무선 Voip 전화망에서 국제호에 대하여 착신가입자 응답에 대하여 연결하기 전에 국제호임을 나타내는 안내방송 멘트를 연결하고 발신과 착신 간에 호를 함으로써, 전화망에서의 국제호에 대한 보이스 피싱 안내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발명은 국제호에 대한 보이스 피싱의 피해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발신 단말이 국제호에 해당하는 경우 착신 단말에게 미리 이를 알림으로써, 보이스 피싱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술은 모든 국제호에 대하여 착신 단말에 보이스 피싱 의심 안내 방송을 제공함으로써, 보이스 피싱 여부에 대한 정교한 검출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129179호는 보이스 피싱 예방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과금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과금 정보 저장 수단;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가입자 정보 저장 수단; 보이스 피싱에 대한 블랙리스트를 저장하고 있는 보이스 피싱 블랙리스트 저장 수단; 상기 과금 정보 저장 수단과 상기 가입자 정보 저장 수단과 상기 보이스 피싱 블랙리스트 저장 수단을 조회하여 보이스 피싱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보이스 피싱 처리 수단; 및 상기 보이스 피싱 처리 수단으로부터의 보이스 피싱 판별 결과(보이스 피싱 판별 정보)를 수신 측으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 수단을 포함함으로써, 보이스 피싱을 판별(판정)하여 수신 측으로 해당 보이스 피싱 판별 정보를 전달하고, 그에 따라 수신 측에서 해당 보이스 피싱에 대응함에 따라 해당 보이스 피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발명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착신 전화 번호를 수신하고 보이스 피싱과 연관된 블랙리스트와의 비교를 수행하여, 해당 착신 전화 번호가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으면 사용자 단말로 보이스 피싱에 해당함을 알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술은 단지 착신 전화 번호가 기존에 저장된 블랙리스트에 해당하는지 여부만을 결정함으로써, 범죄자가 타인의 전화번호를 도용하여, 즉 블랙리스트에 저장되지 않은 다른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보이스 피싱을 시도하는 경우는 활용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현재 보이스 피싱을 방지하는 다양한 기술들이 존재하지만, 타인의 전화 번호를 도용하여 시도되는 보이스 피싱의 경우에 보이스 피싱 여부를 정확하게 결정하고 그 결과를 사용자 단말에 알릴 수 있는 기술이 제공되고 있지 않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126044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129179호
본 발명은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보이스 피싱 확인 요청을 수신하고, 제1 사용자 단말이 제1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발신 단말 식별자에 해당하는 단말(이하, 제2 사용자 단말)과 통화 중인지 여부를 기초로 보이스 피싱 해당 여부를 결정하여 제1 사용자 단말에 보이스 피싱 유무를 즉각적으로 알려줄 수 있는 보이스 피싱 방지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보이스 피싱 방지 서버, 기록매체 및 사용자 단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보이스 피싱 확인 요청을 수신하면, 제2 사용자 단말에 호 확인 정보를 송신하고, 제2 사용자 단말에 의한 결정 또는 제2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입력을 통하여 생성되는 통화 연결 정보를 수신하여 보이스 피싱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제1 사용자 단말에 대한 보이스 피싱 해당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보이스 피싱 방지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보이스 피싱 방지 서버, 기록매체 및 사용자 단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제1 사용자 단말과 제2 사용자 단말이 실제 통화 중이더라도, 보이스 피싱과 연관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 식별자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발신 단말 식별자를 검색하여 보이스 피싱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제1 사용자 단말에 대한 보이스 피싱 해당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보이스 피싱 방지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보이스 피싱 방지 서버, 기록매체 및 사용자 단말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보이스 피싱 방지 서버는 제1 사용자 단말에 보이스 피싱 방지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보이스 피싱 방지 서버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 식별자 및 제1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발신 단말 식별자를 포함하는 보이스 피싱 확인 요청을 수신하는 보이스 피싱 확인 요청 수신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과 상기 발신 단말 식별자에 해당하는 단말(이하, 제2 사용자 단말)이 통화 중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통화 중인지 여부를 기초로 보이스 피싱 해당 여부를 결정하는 보이스 피싱 결정부 및 상기 결정된 보이스 피싱 해당 여부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알려주는 보이스 피싱 알림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이스 피싱 확인 요청 수신부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발신 단말과 호 연결이 시도되는 동안이라도 상기 보이스 피싱 확인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이스 피싱 결정부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통화 중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통화 연결 정보를 통화 정보 제공 수단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이스 피싱 결정부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과 연관된 호 처리 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통화 정보 제공 수단으로부터 상기 통화 연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이스 피싱 결정부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착신 단말 식별자로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식별자를 포함하는 호 확인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과 통화 중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통화 연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이스 피싱 결정부는 푸시 메시지(Push Message), SMS(Short Message Service) 기반의 메시지, MMS(Multimedia Messaging System) 기반의 메시지, 인스턴트 메시지(Instant Message) 및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기반의 메시지 중 하나에 해당하는 호 확인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이스 피싱 결정부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의한 결정 또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에 의한 입력을 통하여 생성된 통화 연결 정보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이스 피싱 결정부는 상기 호 처리 서버에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 간의 통신이 수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질의하여 상기 통화 연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이스 피싱 결정부는 상기 호 처리 서버에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착신 단말,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발신 단말로서 통신이 수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질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이스 피싱 결정부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통화 중이지 않으면 보이스 피싱 해당 결정을 하고, 상기 보이스 피싱 알림부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보이스 피싱 해당 알람을 포함하는 보이스 피싱 확인 결과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이스 피싱 결정부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통화 중이면, 복수의 보이스 피싱 단말 식별자를 포함하는 보이스 피싱 정보 저장소에서 상기 발신 단말 식별자를 검색하여, 상기 발신 단말 식별자가 검색되면 보이스 피싱 해당 결정을 하고, 상기 보이스 피싱 알림부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보이스 피싱 해당 알람을 포함하는 보이스 피싱 확인 결과를 송신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보이스 피싱 방지 방법은 제1 사용자 단말에 보이스 피싱 방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보이스 피싱 방지 서버에서 수행된다. 상기 보이스 피싱 방지 방법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 식별자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발신 단말 식별자를 포함하는 보이스 피싱 확인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과 상기 발신 단말 식별자에 해당하는 단말(이하, 제2 사용자 단말)이 통화 중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통화 중인지 여부를 기초로 보이스 피싱 유무를 결정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알려주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화 중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통화 중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통화 연결 정보를 통화 정보 제공 수단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화 연결 정보를 통화 정보 제공 수단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과 연관된 호 처리 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통화 정보 제공 수단으로부터 상기 통화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화 연결 정보를 통화 정보 제공 수단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식별자를 포함하는 호 확인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과 통화 중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통화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호 확인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푸시 메시지(Push Message), SMS(Short Message Service) 기반의 메시지, MMS(Multimedia Messaging System) 기반의 메시지, 인스턴트 메시지(Instant Message) 및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기반의 메시지 중 하나에 해당하는 호 확인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화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의한 결정 또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에 의한 입력을 통하여 생성된 통화 연결 정보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화 연결 정보를 통화 정보 제공 수단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호 처리 서버에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 간의 통신이 수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질의하여 상기 통화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알려주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통화 중이지 않으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보이스 피싱 해당 알람을 포함하는 보이스 피싱 확인 결과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제1 사용자 단말에 보이스 피싱 방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보이스 피싱 방지 서버에서 수행될 수 있는 보이스 피싱 방지 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 식별자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발신 단말 식별자를 포함하는 보이스 피싱 확인 요청을 수신하는 기능,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과 상기 발신 단말 식별자에 해당하는 단말(이하, 제2 사용자 단말)이 통화 중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기능 및 상기 확인된 통화 중인지 여부를 기초로 보이스 피싱 유무를 결정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알려주는 기능을 포함하는 보이스 피싱 방지 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보이스 피싱 방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보이스 피싱 방지 서버와 연결될 수 있는 사용자 단말은 상기 보이스 피싱 방지 서버로부터 특정 사용자 단말 식별자를 포함하는 호 확인 정보를 수신하는 호 확인 정보 수신부, 특정 사용자 단말과 통화 중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통화 연결 정보를 생성하는 통화 연결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통화 연결 정보를 상기 보이스 피싱 방지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보이스 피싱 방지 서버가 상기 특정 사용자 단말에 대한 보이스 피싱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는 통화 연결 정보 송신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호 확인 정보 수신부는 푸시 메시지(Push Message), SMS(Short Message Service) 기반의 메시지, MMS(Multimedia Messaging System) 기반의 메시지, 인스턴트 메시지(Instant Message) 및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기반의 메시지 중 하나에 해당하는 호 확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호 확인 정보 수신부는 상기 호 확인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호 확인 정보에 대한 수신 알람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화 연결 정보 생성부는 상기 특정 사용자 단말과 현재 통화가 수행 중인지 여부를 결정하거나, 사용자에 의한 입력을 통하여 상기 통화 연결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화 연결 중에 상기 보이스 피싱 방지 서버로 발신 단말 식별자를 포함하는 보이스 피싱 확인 요청을 송신하는 보이스 피싱 확인 요청 송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이스 피싱 방지 방법 및 이와 관련된 기술들은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보이스 피싱 확인 요청을 수신하고, 제1 사용자 단말이 제1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발신 단말 식별자에 해당하는 단말(이하, 제2 사용자 단말)과 통화 중인지 여부를 기초로 보이스 피싱 해당 여부를 결정하여 제1 사용자 단말에 보이스 피싱 유무를 즉각적으로 알려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이스 피싱 방지 방법 및 이와 관련된 기술들은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보이스 피싱 확인 요청을 수신하면, 제2 사용자 단말에 호 확인 정보를 송신하고, 제2 사용자 단말에 의한 결정 또는 제2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입력을 통하여 생성되는 통화 연결 정보를 수신하여 보이스 피싱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제1 사용자 단말에 대한 보이스 피싱 해당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이스 피싱 방지 방법 및 이와 관련된 기술들은 제1 사용자 단말과 제2 사용자 단말이 실제 통화 중이더라도, 보이스 피싱과 연관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 식별자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발신 단말 식별자를 검색하여 보이스 피싱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제1 사용자 단말에 대한 보이스 피싱 해당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이스 피싱 방지 시스템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이스 피싱 방지 시스템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이스 피싱 방지 서버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이스 피싱 방지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이스 피싱 방지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이스 피싱 방지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이스 피싱 방지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이스 피싱 방지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제2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이스 피싱 방지 시스템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보이스 피싱 방지 시스템(100)은 제1 사용자 단말(110), 보이스 피싱 방지 서버(120) 및 통화 정보 제공 수단(13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제1 사용자 단말(110)은 네트워크를 통해 보이스 피싱 방지 서버(120)와 연결될 수 있고, 보이스 피싱 방지 서버(120)는 네트워크를 통해 통화 정보 제공 수단(130)과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에 의한 음성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다른 사용자와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통신 수단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은 일반 전화, IP(Internet Protocol) 전화, 휴대폰, 스마트 폰 및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중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은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통신 수단으로서 활용될 수 있는 기기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은 고유의 사용자 단말 식별자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식별자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 간의 구별을 위하여 사용자 단말 각각에 부여된 식별 수단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식별자는 전화 번호, 전화 식별 ID, 휴대폰 번호 및 휴대폰 식별 ID 중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은 다른 사용자 단말과 구별될 수 있는 고유의 식별자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은 통신(예를 들어, 전화 통화)을 요청하는 다른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단말 식별자(이하, 발신 단말 식별자)를 표시할 수 있는 발신 단말 식별자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이 휴대폰에 해당하는 경우, 다른 사용자 단말로부터 통화 요청을 수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발신 단말 식별자(예를 들어, 발신 번호)를 표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보이스 피싱 방지 과정에서 제1 사용자 단말(110)은 특정 사용자 단말과의 통화 과정에서 보이스 피싱 방지 서버(120)에 보이스 피싱 방지 서비스를 요청(예: 보이스 피싱 확인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에 해당할 수 있다.
보이스 피싱 방지 서버(120)는 제1 사용자 단말(110) 및 통화 정보 제공 수단(130) 각각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보이스 피싱 방지 서버(120)는 전화망에 해당하는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제1 사용자 단말(110)과 연결되거나, 데이터 통신망에 해당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제1 사용자 단말(110)과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이스 피싱 방지 서버(120)는 통신 보안 업체 또는 통신 서비스 제공자(예를 들어, KT, SKT, LGU+ 등)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이스 피싱 방지 서버(120)는 제1 사용자 단말(110)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이스 피싱 방지 서버(120)는 제1 사용자 단말(110)과 구분되는 별도의 물리적 장치로서 구현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보이스 피싱 방지 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포함하여 제1 사용자 단말(110)의 내부에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단말(110)이 스마트 폰에 해당하는 경우, 보이스 피싱 방지 서버(120)는 스마트 폰에 보이스 피싱 방지 방법에 관한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설치되어 구현될 수 있다.
통화 정보 제공 수단(130)은 제1 사용자 단말(110)과 제1 사용자 단말(110)에 표시된 발신 단말 식별자에 해당하는 단말(이하, 제2 사용자 단말)이 상호 통화 중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통화 연결 정보를 생성하여 보이스 피싱 방지 서버(120)에 제공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한다. 여기에서, 통화 연결 정보는 제1 사용자 단말(110) 및 제2 사용자 단말 간에 현재 통화가 수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며, 보이스 피싱 방지 서버(120)에 의하여 인식될 수 있는 데이터에 해당한다.
일 실시예에서, 통화 정보 제공 수단(130)은 제2 사용자 단말 또는 호 처리 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일 예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이스 피싱 방지 시스템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보이스 피싱 방지 시스템(100)은 제1 사용자 단말(110) 및 보이스 피싱 방지 서버(120)를 포함하고, 통화 정보 제공 수단(130)으로서 제2 사용자 단말(13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 사용자 단말(131)은 제1 사용자 단말(110)에 표시된 발신 단말 식별자(예: 발신 전화 번호)에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도 7a에서, 제1 사용자 단말(720)이 특정 사용자 단말(710)로부터 전화를 수신하는 경우, 제1 사용자 단말(720)에 발신 번호(730)로 표시된 전화 번호(010-1234-5678)에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이 제2 사용자 단말(131)에 해당할 수 있다.
즉, 보이스 피싱 방지 시스템(100)이 통화 정보 제공 수단(130)으로서 제2 사용자 단말(131)을 포함하는 경우, 보이스 피싱 방지 서버(120)는 제2 사용자 단말(131)에 제1 사용자 단말(110) 및 제2 사용자 단말 간에 현재 통화가 수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통화 연결 정보를 수신하여 보이스 피싱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보이스 피싱 방지 시스템(100)이 도 2a와 같이 구현되어 보이스 피싱 방지 방법을 수행하는 과정은 도 3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b를 참조하면, 보이스 피싱 방지 시스템(100)은 제1 사용자 단말(110) 및 보이스 피싱 방지 서버(120)를 포함하고, 통화 정보 제공 수단(130)으로서 호 처리 서버(13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호 처리 서버(132)는 제1 사용자 단말(110) 및 제2 사용자 단말(131) 간에 현재 통화가 수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하고, 예를 들어, 통신사(예를 들어, KT, SKT 또는 LGU+ 등)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호 처리 서버(132)는 사용자 단말들 간의 통신에 대한 호 처리(Call Processing)를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호 처리 서버(132)는 보이스 피싱 방지 서버(120)로부터 특정 사용자 단말들 간의 통화 진행 여부에 대한 정보 요청을 수신하면, 해당 사용자 단말들 상호 간의 통화 진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보이스 피싱 방지 시스템(100)이 통화 정보 제공 수단(130)으로서 호 처리 서버(132)를 포함하는 경우, 보이스 피싱 방지 서버(120)는 호 처리 서버(132)에 제1 사용자 단말(110) 및 제2 사용자 단말(131) 간에 현재 통화가 수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질의하고, 해당 정보를 포함하는 통화 연결 정보를 수신하여 보이스 피싱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보이스 피싱 방지 시스템(100)이 도 2b와 같이 구현되어 보이스 피싱 방지 방법을 수행하는 과정은 도 3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이스 피싱 방지 서버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보이스 피싱 방지 서버(120)는 보이스 피싱 확인 요청 수신부(310), 보이스 피싱 결정부(320), 보이스 피싱 알림부(330) 및 제어부(340)를 포함한다.
이하, 보이스 피싱 방지 서버(120)에서 수행하는 보이스 피싱 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1 사용자 단말(110)의 화면을 예시한 도면에 해당하는 도 7 및 제2 사용자 단말(131)의 화면을 예시한 도면에 해당하는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 설명을 통해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에 따른 보이스 피싱 방지 방법을 용이하게 이해하고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이러한 예시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보이스 피싱 확인 요청 수신부(310)는 제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 식별자(예: 전화 번호) 및 제1 사용자 단말(110)에 표시된 발신 단말 식별자(예: 전화 번호)를 포함하는 보이스 피싱 확인 요청을 수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이스 피싱 확인 요청 수신부(310)는 제1 사용자 단말(110)의 화면(720)에 표시된 발신 단말 식별자(730)를 포함하는 보이스 피싱 확인 요청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도 7a에서, 제1 사용자 단말에 통화를 요청한 사용자 단말(이하, 발신 단말(710))로부터 통화 요청을 수신한 제1 사용자 단말(720)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발신 단말(710)에 대한 발신 단말 식별자(730)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사용자 단말(110)은 보이스 피싱 확인 요청 수신부(310)에 보이스 피싱 확인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발신 단말(710)과 제1 사용자 단말(110)에 표시된 발신 단말 식별자(730)는 상호 연관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신 단말(710)이 타인의 전화 번호를 도용한 경우 제1 사용자 단말(110)에 발신 단말(710)과 무관한 발신 단말 식별자(730)가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이스 피싱 확인 요청 수신부(310)는 제1 사용자 단말(110)의 보이스 피싱 확인 요청 팝업창(740)을 통해 보이스 피싱 확인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이스 피싱 확인 요청 수신부(310)는 제1 사용자 단말(110)이 발신 단말(710)과 호 연결이 시도되는 동안이라도 보이스 피싱 확인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b에서, 제1 사용자 단말(110)은 아직 전화를 받기 전이라도 전화 연결이 시도되는 동안 보이스 피싱 확인 요청 팝업창(740)을 통해 보이스 피싱 확인 요청을 보이스 피싱 확인 요청 수신부(310)에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이스 피싱 확인 요청 수신부(310)는 제1 사용자 단말(110)이 발신 단말(710)과 호 연결이 진행되어 상호 통신 진행 중이라도 보이스 피싱 확인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c에서, 제1 사용자 단말(110)은 통화 중의 상태에서 보이스 피싱 확인 요청 팝업창(740)을 통해 보이스 피싱 확인 요청을 보이스 피싱 확인 요청 수신부(310)에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이스 피싱 방지 서버(120)가 제1 사용자 단말(110) 내부에 포함되어 구현되는 경우, 상기 동작 방식과 동일하게 동작을 수행하되 외부 네트워크를 통하여 보이스 피싱 확인 요청 수신부(310)에 보이스 피싱 확인 요청을 송신하는 것이 아니라, 직접 제1 사용자 단말(110) 내부의 통신에 의하여 요청을 받을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보이스 피싱 방지 서버(120)가 제1 사용자 단말(110) 내부에 포함되어 구현되는 경우, 보이스 피싱 확인 요청 수신부(31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보이스 피싱 확인 요청에 상응하는 신호를 통해 보이스 피싱 확인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전화를 수신하고 통화 중에 미리 보이스 피싱 확인 요청으로서 설정된 단축 번호를 누르면, 보이스 피싱 확인 요청 수신부(310)는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식별자 및 발신 단말 식별자(730)를 포함하는 보이스 피싱 확인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보이스 피싱 결정부(320)는 제1 사용자 단말(110)과 제2 사용자 단말(131)이 통화 중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된 통화 중인지 여부를 기초로 보이스 피싱 해당 여부를 결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보이스 피싱 결정부(320)는 제1 사용자 단말(110)과 제2 사용자 단말(131)이 통화 중이지 않으면, 제1 사용자 단말(110)에 대하여 보이스 피싱에 해당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이스 피싱 결정부(320)는 제1 사용자 단말(110)과 제2 사용자 단말(131)이 통화 중이면, 제1 사용자 단말(110)에 대하여 보이스 피싱에 해당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보이스 피싱 결정부(320)는 제1 사용자 단말(110)과 제2 사용자 단말(131)이 통화 중이면, 복수의 보이스 피싱 단말 식별자를 포함하는 보이스 피싱 정보 저장소에서 발신 단말 식별자를 검색하고, 발신 단말 식별자가 검색되면, 제1 사용자 단말(110)에 대하여 보이스 피싱에 해당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보이스 피싱 정보 저장소는 보이스 피싱과 연관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 식별자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에 해당하고, 국가 기관에서 관리할 수 있다. 즉, 제1 사용자 단말(110)이 번호를 도용하지 않은 전화를 수신한 경우, 보이스 피싱 결정부(320)는 해당 번호가 기 저장된 보이스 피싱 전화번호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이스 피싱 결정부(320)는 제1 사용자 단말(110)과 제2 사용자 단말(131)이 통화 중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통화 연결 정보를 통화 정보 제공 수단(130)으로부터 수신하여, 수신된 통화 연결 정보를 기초로 보이스 피싱 해당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통화 정보 제공 수단(130)은 제2 사용자 단말(131) 및 호 처리 서버(132)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우선, 통화 정보 제공 수단(130)이 제2 사용자 단말(131)에 해당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서, 보이스 피싱 결정부(320)는 제2 사용자 단말(131)에 제1 사용자 단말 식별자(예: 전화 번호)를 포함하는 호 확인 정보를 송신하고, 제2 사용자 단말(131)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110)과 통화 중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통화 연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보이스 피싱 결정부(320)는 수신된 통화 연결 정보를 기초로 보이스 피싱 해당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이스 피싱 결정부(320)는 제2 사용자 단말(131)에 푸시 메시지(Push Message), SMS(Short Message Service) 기반의 메시지, MMS(Multimedia Messaging System) 기반의 메시지, 인스턴트 메시지(Instant Message) 및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기반의 메시지 중 하나에 해당하는 호 확인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즉, 보이스 피싱 결정부(320)는 다양한 방법으로 제2 사용자 단말(131)에 호 확인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이스 피싱 결정부(320)는 제2 사용자 단말(131)에 기 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향하여 푸시 메시지(예: SKT의 스마트 푸시, 구글사의 GCM, 애플사의 APNS 또는 보이스 피싱 방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가 직접 구축한 푸시 시스템 등을 통한 메시지)로 호 확인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보이스 피싱 결정부(320)는 제2 사용자 단말(131)에 호 확인 정보로서 SMS 기반의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사용자 단말(131)은 호 확인 정보를 수신한 경우, 호 확인 정보에 대한 수신 알람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사용자 단말(131)은 보이스 피싱 관련 메시지가 도착했음을 팝업 또는 알람 등으로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사용자 단말(131)에 본 발명에 따른 보이스 피싱 방지 기술과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제2 사용자 단말(131)은 수신된 호 확인 정보에 포함된 제1 사용자 단말 식별자를 기초로 제1 사용자 단말(110)과 현재 통화 중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보이스 피싱 결정부(320)에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사용자 단말(131)이 호 확인 정보로서 SMS 기반의 메시지 또는 푸시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제2 사용자 단말(131)은 SMS 메시지 또는 푸시 메시지에 포함된 제1 사용자 단말 식별자를 인식하고, 제1 사용자 단말(110)과 현재 통화 중인지 여부를 결정하여 보이스 피싱 결정부(320)에 알릴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이스 피싱 결정부(320)는 제2 사용자 단말(131)에 착신 단말 식별자로서 제1 사용자 단말 식별자를 포함하는 호 확인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 사용자 단말(131)은 자신이 발신 단말로서 제1 사용자 단말(110)을 착신 단말로 하여 통화 중인지 여부를 인식하고, 보이스 피싱 결정부(320)에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화 번호 도용자가 제1 사용자 단말(110)(예: 전화 번호 X)에 제2 사용자 단말(131)의 전화 번호(예: Y)를 도용하여 통화를 시도하는 상황에서 보이스 피싱 결정부(320)가 제2 사용자 단말(131)에 [X와 통화 중?]인지 여부만을 확인하면, 전화 번호 도용자는 제2 사용자 단말(131)에 발신 번호를 X로 하여 제2 사용자 단말(131)에 통화를 시도함으로써 제2 사용자 단말(131)이 자동으로 [X와 통화 중]인 것으로 결정하도록 함으로써 보이스 피싱 방지 서버가 오판단을 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이스 피싱 결정부(320)는 제2 사용자 단말(131)에 착신 단말 식별자로서 제1 사용자 단말 식별자를 포함하는 호 확인 정보(예: to X)를 송신하고, 제2 사용자 단말(131)이 전화 번호 X로 발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보이스 피싱 결정부(320)로 전송함으로써, 보이스 피싱 결정부(320)가 정확하게 보이스 피싱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사용자 단말(131)에 본 발명에 따른 보이스 피싱 방지 기술과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보이스 피싱 결정부(320)는 제2 사용자 단말(131)에 사용자가 텍스트로서 인식할 수 있는 SMS 기반의 메시지(호 확인 정보)를 송신하고, 제2 사용자 단말(131)의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SMS 기반의 메시지를 통화 연결 정보로서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서, 보이스 피싱 결정부(320)는 (보이스 피싱 결정부(320)자신이 다시 SMS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번호를 발신 번호로 하여) 제2 사용자 단말(131)에 [010-1234-5678과 통화 중 입니까? 맞으면 예, 틀리면 아니오로 이 메시지에 답해 주세요]의 내용을 포함하는 SMS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 사용자 단말(131)은 사용자에 의한 입력을 포함하는 SMS 메시지를 통화 연결 정보로서 보이스 피싱 결정부(320)에 송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통화 정보 제공 수단(130)이 호 처리 서버(132)에 해당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서, 보이스 피싱 결정부(320)는 호 처리 서버(132)에 제1 사용자 단말과 제2 사용자 단말 간의 통신이 수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질의하고, 호 처리 서버(132)로부터 해당 질의 결과로서 통화 연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이스 피싱 결정부(320)는 제1 사용자 단말 식별자 및 발신 단말 식별자를 호 처리 서버(132)로 송신하고,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 간에 통신이 수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질의하고, 호 처리 서버(132)로부터 Yes 또는 No에 해당하는 통화 연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보이스 피싱 결정부(320)는 제1 사용자 단말 식별자를 호 처리 서버(132)로 전송하고, 제1 사용자 단말(110)이 현재 통화하고 있는 발신자 단말 식별자(예: 전화 번호)를 수신하여 발신 단말 식별자가 동일한지 여부를 기초로 보이스 피싱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보이스 피싱 결정부(320)는 발신 단말 식별자를 호 처리 서버(132)에 전송하고, 제2 사용자 단말(131)이 현재 통화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 식별자(예: 전화 번호)를 수신하여 제1 사용자 단말 식별자와 동일한지 여부를 기초로 보이스 피싱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보이스 피싱 결정부(320)는 호 처리 서버(132)에 제1 사용자 단말이 착신 단말, 제2 사용자 단말이 발신 단말로서 통신이 수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질의하고, 호 처리 서버(132)로부터 해당 질의 결과로서 통화 연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보이스 피싱 결정부(320)는 제1 사용자 단말 식별자(예: 전화번호 X)를 착신 번호(예: to X)로, 발신 단말 식별자(예: 전화번호 Y)를 발신 번호(예: from Y)로 전송하는 방식으로 호 처리 서버(132)에 질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호 처리 서버(132)는 단순히 제1 사용자 단말(110)과 제2 사용자 단말(131)이 상호 통화 중인지 여부만을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제2 사용자 단말(131)이 제1 사용자 단말(110)에 전화를 걸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보이스 피싱 결정부(32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화 번호 도용자가 제1 사용자 단말(110)(예: 전화 번호 X)에 제2 사용자 단말(131)의 전화 번호(예: Y)를 도용하여 통화를 시도하는 상황에서 보이스 피싱 결정부(320)가 호 처리 서버(132)에 [X와 Y가 통화 중?]인지 여부만을 확인하면, 전화 번호 도용자는 제2 사용자 단말(131)에 발신 번호를 X로 하여 제2 사용자 단말(131)에 통화를 시도함으로써 호 처리 서버(132)가 [X와 Y가 통화 중]인 것으로 결정하도록 함으로써 보이스 피싱 방지 서버가 오판단을 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이스 피싱 결정부(320)는 호 처리 서버(132)에 제1 사용자 단말 식별자(예: 전화번호 X)를 착신 번호(예: to X)로, 발신 단말 식별자(예: 전화번호 Y)를 발신 번호(예: from Y)로 전송하고, 호 처리 서버(132)는 실제로 제2 사용자 단말(131)이 제1 사용자 단말(110)로 전화를 걸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보이스 피싱 결정부(320)에 전송함으로써, 보이스 피싱 결정부(320)가 정확하게 보이스 피싱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보이스 피싱 결정부(320)는 사용자 단말들 간의 통화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호 처리 서버(132)에 다양한 방식으로 질의를 하고, 해당 질의에 대한 결과로서 통화 연결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 간에 통화가 진행 중인지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보이스 피싱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보이스 피싱 알림부(330)는 보이스 피싱 결정부(320)에 의하여 결정된 보이스 피싱 해당 여부를 제1 사용자 단말(110)에 알릴 수 있다. 여기에서, 보이스 피싱 알림부(330)는 보이스 피싱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보이스 피싱 확인 결과를 제1 사용자 단말(110)에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이스 피싱 확인 결과는 푸시 메시지, SMS 기반의 메시지, MMS 기반의 메시지, 인스턴트 메시지 및 TCP/IP 기반의 메시지 중 하나의 형태로 송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이스 피싱 알림부(330)는 보이스 피싱에 해당하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제1 사용자 단말(110)에 보이스 피싱에 해당함을 사용자가 인식하도록 할 수 있는 보이스 피싱 해당 알람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이스 피싱 해당 알람은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진동 또는 알람을 제어할 수 있는(동작시킬 수 있는) 데이터에 해당할 수 있다.
제어부(340)는 보이스 피싱 확인 요청 수신부(310), 보이스 피싱 결정부(320) 및 보이스 피싱 알림부(330)의 동작 및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보이스 피싱 방지 과정에서 보이스 피싱 방지 서버(120)와 연결될 수 있는 사용자 단말을 설명한다. 여기에서, 사용자 단말은 제1 또는 제2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사용자 단말에 해당할 수 있으며, 이하, 설명되는 사용자 단말의 구성 요소들은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설치될 수 있다. 즉, 이하 설명하는 사용자 단말의 구성 요소들을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하여 설치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은 보이스 피싱 방지 서버(120)에 보이스 피싱 방지 서비스를 요청하는 제1 사용자 단말(110)로 동작하거나, 자신의 번호가 도용된 경우 다른 사용자 단말이 보이스 피싱을 당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줄 수 있는 제2 사용자 단말(120)로 동작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보이스 피싱 방지 서버(120)로부터 특정 사용자 단말 식별자를 포함하는 호 확인 정보룰 수신하는 호 확인 정보 수신부, 특정 사용자 단말과 통화 중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통화 연결 정보를 생성하는 통화 연결 정보 생성부 및 통화 연결 정보를 보이스 피싱 방지 서버(120)로 전송하여 보이스 피싱 방지 서버(120)가 특정 사용자 단말에 대한 보이스 피싱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는 통화 연결 정보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 단말이 호 확인 정보 수신부, 통화 연결 정보 생성부 및 통화 연결 정보 송신부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설명한 보이스 피싱 방지 과정에서 제2 사용자 단말(131)로서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호 확인 정보 수신부는 푸시 메시지(Push Message), SMS(Short Message Service) 기반의 메시지, MMS(Multimedia Messaging System) 기반의 메시지, 인스턴트 메시지(Instant Message) 및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기반의 메시지 중 하나에 해당하는 호 확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호 확인 정보 수신부는 호 확인 정보가 수신되면, 호 확인 정보에 대한 수신 알람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화 연결 정보 생성부는 특정 사용자 단말과 현재 통화가 수행 중인지 여부를 결정하거나, 사용자에 의한 입력을 통하여 상기 통화 연결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은 통화 연결 중에 보이스 피싱 방지 서버(120)로 발신 단말 식별자를 포함하는 보이스 피싱 확인 요청을 송신하는 보이스 피싱 확인 요청 송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설명한 보이스 피싱 방지 과정에서 제1 사용자 단말(110)로서 동작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이스 피싱 방지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보이스 피싱 확인 요청 수신부(310)는 제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 식별자(예: 전화 번호) 및 제1 사용자 단말(110)에 표시된 발신 단말 식별자(예: 전화 번호)를 포함하는 보이스 피싱 확인 요청을 수신한다(단계 S410).
보다 구체적으로, 보이스 피싱 확인 요청 수신부(310)는 제1 사용자 단말(110)의 화면(720)에 표시된 발신 단말 식별자(730)를 포함하는 보이스 피싱 확인 요청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도 7a에서, 제1 사용자 단말에 통화를 요청한 사용자 단말(이하, 발신 단말(710))로부터 통화 요청을 수신한 제1 사용자 단말(720)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발신 단말(710)에 대한 발신 단말 식별자(730)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사용자 단말(110)은 보이스 피싱 확인 요청 수신부(310)에 보이스 피싱 확인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이스 피싱 확인 요청 수신부(310)는 제1 사용자 단말(110)의 보이스 피싱 확인 요청 팝업창(740)을 통해 보이스 피싱 확인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이스 피싱 확인 요청 수신부(310)는 제1 사용자 단말(110)이 발신 단말(710)과 호 연결이 시도되는 동안이라도 보이스 피싱 확인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이스 피싱 확인 요청 수신부(310)는 제1 사용자 단말(110)이 발신 단말(710)과 호 연결이 진행되어 상호 통신 진행 중이라도 보이스 피싱 확인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보이스 피싱 결정부(320)는 제1 사용자 단말(110)과 제2 사용자 단말(131)이 통화 중인지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S420).
보이스 피싱 결정부(320)는 제1 사용자 단말(110)에 대한 보이스 피싱 유무를 결정한다(단계 S430).
일 실시예에서, 보이스 피싱 결정부(320)는 제1 사용자 단말(110)과 제2 사용자 단말(131)이 통화 중이지 않으면, 제1 사용자 단말(110)에 대하여 보이스 피싱에 해당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이스 피싱 결정부(320)는 제1 사용자 단말(110)과 제2 사용자 단말(131)이 통화 중이면, 제1 사용자 단말(110)에 대하여 보이스 피싱에 해당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보이스 피싱 결정부(320)는 제1 사용자 단말(110)과 제2 사용자 단말(131)이 통화 중이면, 복수의 보이스 피싱 단말 식별자를 포함하는 보이스 피싱 정보 저장소에서 발신 단말 식별자를 검색하고, 발신 단말 식별자가 검색되면, 제1 사용자 단말(110)에 대하여 보이스 피싱에 해당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보이스 피싱 알림부(330)는 보이스 피싱 결정부(320)에 의하여 결정된 보이스 피싱 해당 여부를 제1 사용자 단말(110)에 알릴 수 있다(단계 S440). 여기에서, 보이스 피싱 알림부(330)는 보이스 피싱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보이스 피싱 확인 결과를 제1 사용자 단말(110)에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이스 피싱 확인 결과는 푸시 메시지, SMS 기반의 메시지, MMS 기반의 메시지, 인스턴트 메시지 및 TCP/IP 기반의 메시지 중 하나의 형태로 송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이스 피싱 알림부(330)는 보이스 피싱에 해당하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제1 사용자 단말(110)에 보이스 피싱에 해당함을 사용자가 인식하도록 할 수 있는 보이스 피싱 해당 알람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이스 피싱 해당 알람은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진동 또는 알람을 제어할 수 있는(동작시킬 수 있는) 데이터에 해당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이스 피싱 방지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는 보이스 피싱 방지 시스템(100)이 도 2a와 같이 구현되는 경우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보이스 피싱 확인 요청 수신부(310)는 제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 식별자(예: 전화 번호) 및 제1 사용자 단말(110)에 표시된 발신 단말 식별자(예: 전화 번호)를 포함하는 보이스 피싱 확인 요청을 수신한다(단계 S510).
보이스 피싱 결정부(320)는 보이스 피싱 결정부(320)는 제2 사용자 단말(131)에 제1 사용자 단말 식별자(예: 전화 번호)를 포함하는 호 확인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단계 S520). 일 실시예에서, 보이스 피싱 결정부(320)는 제2 사용자 단말(131)에 푸시 메시지(Push Message), SMS(Short Message Service) 기반의 메시지, MMS(Multimedia Messaging System) 기반의 메시지, 인스턴트 메시지(Instant Message) 및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기반의 메시지 중 하나에 해당하는 호 확인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즉, 보이스 피싱 결정부(320)는 다양한 방법으로 제2 사용자 단말(131)에 호 확인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보이스 피싱 결정부(320)는 제2 사용자 단말(131)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110)과 통화 중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통화 연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단계 S530).
일 실시예에서, 제2 사용자 단말(131)에 본 발명에 따른 보이스 피싱 방지 기술과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제2 사용자 단말(131)은 수신된 호 확인 정보에 포함된 제1 사용자 단말 식별자를 기초로 제1 사용자 단말(110)과 현재 통화 중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보이스 피싱 결정부(320)에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사용자 단말(131)이 호 확인 정보로서 SMS 기반의 메시지 또는 푸시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제2 사용자 단말(131)은 SMS 메시지 또는 푸시 메시지에 포함된 제1 사용자 단말 식별자를 인식하고, 제1 사용자 단말(110)과 현재 통화 중인지 여부를 결정하여 보이스 피싱 결정부(320)에 알릴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사용자 단말(131)에 본 발명에 따른 보이스 피싱 방지 기술과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보이스 피싱 결정부(320)는 제2 사용자 단말(131)에 사용자가 텍스트로서 인식할 수 있는 SMS 기반의 메시지(호 확인 정보)를 송신하고, 제2 사용자 단말(131)의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SMS 기반의 메시지를 통화 연결 정보로서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서, 보이스 피싱 결정부(320)는 (보이스 피싱 결정부(320)자신이 다시 SMS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번호를 발신 번호로 하여) 제2 사용자 단말(131)에 [010-1234-5678과 통화 중 입니까? 맞으면 예, 틀리면 아니오로 이 메시지에 답해 주세요]의 내용을 포함하는 SMS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 사용자 단말(131)은 사용자에 의한 입력을 포함하는 SMS 메시지를 통화 연결 정보로서 보이스 피싱 결정부(320)에 송신할 수 있다.
보이스 피싱 결정부(320)는 수신된 통화 연결 정보를 통하여 제1 사용자 단말과 제2 사용자 단말이 통화 중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단계 S540).
보이스 피싱 결정부(320)는 제1 사용자 단말(110)과 제2 사용자 단말(131)이 통화 중이지 않으면, 보이스 피싱 해당 결정을 할 수 있다(단계 S550).
여기에서, 보이스 피싱 알림부(330)는 제1 사용자 단말(110)에 보이스 피싱에 해당함을 나타내는 보이스 피싱 확인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단계 S560).
보이스 피싱 결정부(320)는 제1 사용자 단말(110)과 제2 사용자 단말(131)이 통화 중이면, 복수의 보이스 피싱 단말 식별자를 포함하는 보이스 피싱 정보 저장소에서 발신 단말 식별자를 검색할 수 있다(단계 S570).
여기에서, 발신 단말 식별자가 검색되지 않으면, 보이스 피싱 알림부(330)는 발신 단말이 안전 단말에 해당함(보이스 피싱에 해당하지 않음)을 결정할 수 있고(단계 S580), 보이스 피싱 알림부(330)는 제1 사용자 단말(110)에 보이스 피싱에 해당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보이스 피싱 확인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단계 S560).
만약, 발신 단말 식별자가 검색되면, 보이스 피싱 결정부(320)는 보이스 피싱 해당 결정을 하고(단계 S550), 보이스 피싱 알림부(330)는 제1 사용자 단말(110)에 보이스 피싱에 해당함을 나타내는 보이스 피싱 확인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단계 S560).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이스 피싱 방지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은 보이스 피싱 방지 시스템(100)이 도 2b와 같이 구현되는 경우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 6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 5와 중복되는 내용은 설명하지 않으나, 본 기술에 대한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를 용이하게 이해하고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통화 정보 제공 수단(130)이 호 처리 서버(131)로 구현되는 경우, 보이스 피싱 방지 과정은 도 5의 경우와 비교하여, 단계 S520 및 S530의 과정이 다른 실시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해당하는 과정인 단계 S62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보이스 피싱 확인 요청 수신부(310)가 제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보이스 피싱 확인 요청을 수신하면, 보이스 피싱 결정부(320)는 호 처리 서버(132)에 제1 사용자 단말과 제2 사용자 단말 간의 통신이 수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질의할 수 있다(단계 S620).
여기에서, 보이스 피싱 결정부(320)는 호 처리 서버(132)로부터 해당 질의 결과로서 통화 연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이스 피싱 결정부(320)는 제1 사용자 단말 식별자 및 발신 단말 식별자를 호 처리 서버(132)로 송신하고,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 간에 통신이 수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질의하고, 호 처리 서버(132)로부터 Yes 또는 No에 해당하는 통화 연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보이스 피싱 결정부(320)는 제1 사용자 단말 식별자를 호 처리 서버(132)로 전송하고, 제1 사용자 단말(110)이 현재 통화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 식별자(예: 전화 번호)를 수신하여 발신 단말 식별자가 동일한지 여부를 기초로 보이스 피싱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보이스 피싱 결정부(320)는 발신 단말 식별자를 호 처리 서버(132)에 전송하고, 제2 사용자 단말(131)이 현재 통화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 식별자(예: 전화 번호)를 수신하여 제1 사용자 단말 식별자와 동일한지 여부를 기초로 보이스 피싱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보이스 피싱 결정부(320)는 사용자 단말들 간의 통화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호 처리 서버(132)에 다양한 방식으로 질의를 하고, 해당 질의에 대한 결과로서 통화 연결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 간에 통화가 진행 중인지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보이스 피싱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보이스 피싱 방지 시스템
110: 제1 사용자 단말 120: 보이스 피싱 방지 서버
130: 통화 정보 제공 수단 131: 제2 사용자 단말
132: 호 처리 서버
310: 보이스 피싱 확인 요청 수신부 320: 보이스 피싱 결정부
330: 보이스 피싱 알림부 340: 제어부
710: 발신 단말 720: 제1 사용자 단말
730: 발신 단말 식별자 740: 보이스 피싱 확인 요청 팝업창
810: 제2 사용자 단말 820: 통화 여부 정보 입력창

Claims (25)

  1. 제1 사용자 단말에 보이스 피싱 방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보이스 피싱 방지 서버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 식별자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발신 단말 식별자를 포함하는 보이스 피싱 확인 요청을 수신하는 보이스 피싱 확인 요청 수신부;
    상기 발신 단말 식별자에 해당하는 단말(이하, 제2 사용자 단말)에 착신 단말 식별자로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식별자를 포함하는 호 확인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과 통화 중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통화 연결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통화 중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통화 중인지 여부를 기초로 보이스 피싱 해당 여부를 결정하는 보이스 피싱 결정부; 및
    상기 결정된 보이스 피싱 해당 여부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알려주는 보이스 피싱 알림부를 포함하는 보이스 피싱 방지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이스 피싱 확인 요청 수신부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발신 단말과 호 연결이 시도되는 동안이라도 상기 보이스 피싱 확인 요청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이스 피싱 방지 서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이스 피싱 결정부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통화 중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통화 연결 정보를 통화 정보 제공 수단으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이스 피싱 방지 서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이스 피싱 결정부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과 연관된 호 처리 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통화 정보 제공 수단으로부터 상기 통화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이스 피싱 방지 서버.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이스 피싱 결정부는
    푸시 메시지(Push Message), SMS(Short Message Service) 기반의 메시지, MMS(Multimedia Messaging System) 기반의 메시지, 인스턴트 메시지(Instant Message) 및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기반의 메시지 중 하나에 해당하는 호 확인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이스 피싱 방지 서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이스 피싱 결정부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의한 결정 또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에 의한 입력을 통하여 생성된 통화 연결 정보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이스 피싱 방지 서버.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이스 피싱 결정부는
    상기 호 처리 서버에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 간의 통신이 수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질의하여 상기 통화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이스 피싱 방지 서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이스 피싱 결정부는
    상기 호 처리 서버에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착신 단말,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발신 단말로서 통신이 수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질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이스 피싱 방지 서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이스 피싱 결정부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통화 중이지 않으면 보이스 피싱 해당 결정을 하고,
    상기 보이스 피싱 알림부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보이스 피싱 해당 알람을 포함하는 보이스 피싱 확인 결과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이스 피싱 방지 서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이스 피싱 결정부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통화 중이면, 복수의 보이스 피싱 단말 식별자를 포함하는 보이스 피싱 정보 저장소에서 상기 발신 단말 식별자를 검색하여, 상기 발신 단말 식별자가 검색되면 보이스 피싱 해당 결정을 하고,
    상기 보이스 피싱 알림부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보이스 피싱 해당 알람을 포함하는 보이스 피싱 확인 결과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이스 피싱 방지 서버.
  12. 제1 사용자 단말에 보이스 피싱 방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보이스 피싱 방지 서버에서 수행될 수 있는 보이스 피싱 방지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 식별자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발신 단말 식별자를 포함하는 보이스 피싱 확인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발신 단말 식별자에 해당하는 단말(이하, 제2 사용자 단말)에 착신 단말 식별자로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식별자를 포함하는 호 확인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과 통화 중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통화 연결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통화 중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통화 중인지 여부를 기초로 보이스 피싱 해당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보이스 피싱 해당 여부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알려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이스 피싱 방지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중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통화 중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통화 연결 정보를 통화 정보 제공 수단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이스 피싱 방지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연결 정보를 통화 정보 제공 수단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과 연관된 호 처리 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통화 정보 제공 수단으로부터 상기 통화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이스 피싱 방지 방법.
  15. 삭제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호 확인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푸시 메시지(Push Message), SMS(Short Message Service) 기반의 메시지, MMS(Multimedia Messaging System) 기반의 메시지, 인스턴트 메시지(Instant Message) 및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기반의 메시지 중 하나에 해당하는 호 확인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이스 피싱 방지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의한 결정 또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에 의한 입력을 통하여 생성된 통화 연결 정보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이스 피싱 방지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연결 정보를 통화 정보 제공 수단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호 처리 서버에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 간의 통신이 수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질의하여 상기 통화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이스 피싱 방지 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알려주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통화 중이지 않으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보이스 피싱 해당 알람을 포함하는 보이스 피싱 확인 결과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이스 피싱 방지 방법.
  20. 제1 사용자 단말에 보이스 피싱 방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보이스 피싱 방지 서버에서 수행될 수 있는 보이스 피싱 방지 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 식별자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발신 단말 식별자를 포함하는 보이스 피싱 확인 요청을 수신하는 기능;
    상기 발신 단말 식별자에 해당하는 단말(이하, 제2 사용자 단말)에 착신 단말 식별자로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식별자를 포함하는 호 확인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과 통화 중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통화 연결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통화 중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통화 중인지 여부를 기초로 보이스 피싱 해당 여부를 결정하는 기능; 및
    상기 결정된 보이스 피싱 해당 여부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알려주는 기능을 포함하는 보이스 피싱 방지 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21. 보이스 피싱 방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보이스 피싱 방지 서버와 연결될 수 있는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상기 보이스 피싱 방지 서버로부터 특정 사용자 단말 식별자를 포함하는 호 확인 정보를 수신하는 호 확인 정보 수신부;
    통화 연결 중에 상기 보이스 피싱 방지 서버로 발신 단말 식별자를 포함하는 보이스 피싱 확인 요청을 송신하는 보이스 피싱 확인 요청 송신부;
    특정 사용자 단말과 통화 중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통화 연결 정보를 생성하는 통화 연결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통화 연결 정보를 상기 보이스 피싱 방지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보이스 피싱 방지 서버가 상기 특정 사용자 단말에 대한 보이스 피싱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는 통화 연결 정보 송신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호 확인 정보 수신부는
    푸시 메시지(Push Message), SMS(Short Message Service) 기반의 메시지, MMS(Multimedia Messaging System) 기반의 메시지, 인스턴트 메시지(Instant Message) 및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기반의 메시지 중 하나에 해당하는 호 확인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호 확인 정보 수신부는
    상기 호 확인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호 확인 정보에 대한 수신 알람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연결 정보 생성부는
    상기 특정 사용자 단말과 현재 통화가 수행 중인지 여부를 결정하거나, 사용자에 의한 입력을 통하여 상기 통화 연결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25. 삭제
KR1020130022463A 2013-02-28 2013-02-28 보이스 피싱 방지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보이스 피싱 방지 서버, 기록매체 및 사용자 단말 KR1014485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2463A KR101448591B1 (ko) 2013-02-28 2013-02-28 보이스 피싱 방지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보이스 피싱 방지 서버, 기록매체 및 사용자 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2463A KR101448591B1 (ko) 2013-02-28 2013-02-28 보이스 피싱 방지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보이스 피싱 방지 서버, 기록매체 및 사용자 단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8039A KR20140108039A (ko) 2014-09-05
KR101448591B1 true KR101448591B1 (ko) 2014-10-13

Family

ID=51755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2463A KR101448591B1 (ko) 2013-02-28 2013-02-28 보이스 피싱 방지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보이스 피싱 방지 서버, 기록매체 및 사용자 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859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6153B1 (ko) * 2012-06-08 2012-11-28 플러스기술주식회사 발신 번호의 인증을 이용한 피싱 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6153B1 (ko) * 2012-06-08 2012-11-28 플러스기술주식회사 발신 번호의 인증을 이용한 피싱 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8039A (ko) 2014-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85081A1 (en) Missed call prompting system and method
US8565396B1 (en) Systems and methods to detect a scam on a communications device
CN101945167A (zh) 一种来电处理方法及移动终端
CN105573623A (zh) 一种基于指纹识别的求助方法
WO2010048806A1 (zh) 一种过滤垃圾电话的方法、装置、代理服务器及终端
CN103312888A (zh) 优先级电话通信
KR101306074B1 (ko) 피싱방지방법 및 피싱방지시스템
KR101216037B1 (ko) 착신 단말기의 패킷데이터 송수신 기능 탑재 여부를 데이터베이스로 구비하여 데이터망 또는 전화통신망을 선택적으로 연결 가능한 통신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CN101321365A (zh) 一种利用短信回复频率的垃圾短信发送用户识别方法
CN108235310A (zh) 识别伪装电话号码的方法、服务器以及系统
KR20150047378A (ko) 보이스 피싱 방지 장치
KR101448591B1 (ko) 보이스 피싱 방지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보이스 피싱 방지 서버, 기록매체 및 사용자 단말
KR100767968B1 (ko) 스팸 전화 차단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520246B1 (ko) 금융 피싱 방지를 위한 발신자 인증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01931B1 (ko) 보이스 피싱 방지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보이스 피싱 방지 서버
KR101448589B1 (ko) 보이스 피싱 방지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보이스 피싱 방지 서버
KR101402222B1 (ko) 보안 인증 서버 및 이를 포함한 보안 인증 시스템과 보안 인증 방법
KR101478835B1 (ko) 보이스 피싱 예방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065017A (ko) 스미싱 방지 방법, 이를 수행하는 스미싱 방지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KR100692662B1 (ko) 음성 통화 시 악의호 추적 방법 및 그 장치
CN103237304A (zh) 防监听方法、装置及系统
KR101542829B1 (ko) 서버를 이용한 발신자 인증방법
KR102128601B1 (ko) 금융 사기 예방 방법
KR20140122829A (ko) 지인의 전화 번호를 이용하는 보이스 피싱을 차단하는 모바일 보이스 피싱 차단 시스템 및 모바일 보이스 피싱 차단 방법
CN103856601A (zh) 来电显示方法及电话呼叫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