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2662B1 - 음성 통화 시 악의호 추적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음성 통화 시 악의호 추적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2662B1
KR100692662B1 KR1020050000207A KR20050000207A KR100692662B1 KR 100692662 B1 KR100692662 B1 KR 100692662B1 KR 1020050000207 A KR1020050000207 A KR 1020050000207A KR 20050000207 A KR20050000207 A KR 20050000207A KR 100692662 B1 KR100692662 B1 KR 1006926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licious
call
tracking
information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0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9869A (ko
Inventor
강문순
박진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50000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2662B1/ko
Publication of KR20060079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98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2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2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4Separate sieves or similar object-catching inser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8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03C1/182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connected to the waste-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악의호 추적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통신을 이용한 음성 통화 시 악의호 추적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성 통화시 사용자의 선택적 요청에 의해 악의호 추적 장치에서 악의호를 추적하는 방법은 - 여기서 상기 악의호 추적 장치는 교환기 또는 지능망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함 -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악의호를 특정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악의호 추적 신호를 수신하여 검출하는 단계 - 상기 악의호 추적 신호는 사용자 단말기의 특정 버튼의 입력에 의해 생성됨 - , 상기 악의호 추적 신호를 송신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대측 단말기의 전화 번호를 포함하는 악의호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악의호 정보를 상기 악의호 추적 장치 내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음성 통화 시 악의호 추적 방법 및 그 장치는 교환기에서 악의호의 발신자 정보를 추출하여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악의호, 음성 통화, 교환기, 악의호 추적 장치.

Description

음성 통화 시 악의호 추적 방법 및 그 장치{Method for processing malicious call on voice call and Apparatus thereof}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악의호에 대한 실시간 신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성 통화 시 악의호 추적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성 통화시 악의호 추적 장치에 대한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음성 통화시 악의호 추적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음성 통화시 악의호 추적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6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음성 통화 시 악의호 추적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음성 통화시 악의호 추적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발신측 단말기
120 : 발신측 기지국
130 : 발신측 교환기
140 : 이동 통신망
150 : 착신측 교환기
160 : 착신측 기지국
170 : 착신측 단말기
180 : 지능망
610 : PDSN
620 : 유선망
630 : 악의호 추적 장치
본 발명은 악의호 추적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통신을 이용한 음성 통화 시 악의호 추적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자가 음성 통화시 발신번호 표시 서비스를 신청하면 발신자의 정보가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발신자 번호 표시 서비스(caller identification presentation supplementary service)는 사용자 단말기에 전화가 걸려 온 경우, 발신자의 전화번호 또는 미리 설정된 정보가 착신측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서비스이다. 이러한 발신자 번호 표시 서비스에 의하면, 전화가 걸려 옴과 동시에 착신측 단말기는 상대편의 전화번호를 표시할 수 있어 장난 ·음란 ·폭력 전화를 막을 수 있고, 부재 중에 걸려 온 전화라도 나중에 확인하여 재발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발신자 번호 표시 금지 서비스를 신청한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통화 호가 연결되는 경우 발신자 번호는 착신자 단말기에 표시되지 않는다. 이는 발신자 번호 표시 금지 서비스가 발신자 번호 표시 서비스보다 우선 순위가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악의호(장난, 음란, 폭력 등의 의도를 가지고 접속된 호)를 착신자 단말기가 수신하는 경우 착신자가 발신자의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악의호 발생시 해당 상황에 대해 공공기관(경찰 등)에 신고하고, 공공기관은 통신사로 해당 통화 호에 대해 발신자 번호 추적을 조회하여 발신자 번호를 추출할 수 있다. 따라서 악의적으로 발생하는 음성 통화에 대해서 실시간으로 신고, 추적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악의호에 대한 실시간 신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0-0066278호에 개시된 발명에 첨부된 도면이며, 도 1을 참조하면, 악의호에 대한 실시간 신고 시스템은 악의호를 발신하는 발신자(101), 통화 중에 악의호에 대한 신고 접수 시 신고센터에 접속하여 착/발신 번호를 전송하는 교환기(102), 악의호에 대하여 신고를 요청하는 착신자(103) 및 악의호에 대한 신고를 접수하여 통화 내용을 녹음하거나 경고 메시지를 송출하는 신고센터(104)로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악의호에 대한 실시간 신고 시스템은 착신자 단말기로부터 악의호에 대한 신고 접수 시 교환기에서 신고 센터에 별도의 호 접속을 하여 신고 방법을 수행하므로, 네트워크 상에 불필요한 호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교환기에서 악의호의 발신자 정보를 추출하여 관리할 수 있는 음성 통화 시 악의호 추적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착신자가 가입한 지능망 서비스에서 악의호 추적 장치를 이용하여 악의호의 발신자 정보를 추출하여 관리할 수 있는 음성 통화 시 악의호 추적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 인터넷망에 결합된 악의호 추적 장치를 이용하여 악의호의 발신자 정보를 추출하여 관리할 수 있는 음성 통화 시 악의호 추적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선택적 요청에 의해 악의호 추적 장치를 이용하여 악의호의 발신자 정보를 추출하여 관리함으로써 통신망에서 보안을 침해하지 않으면서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는 음성 통화 시 악의호 추적 방 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음성 통화 시 악의호 추적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음성 통화시 사용자의 선택적 요청에 의해 악의호 추적 장치에서 악의호를 추적하는 방법은 - 여기서 상기 악의호 추적 장치는 교환기 또는 지능망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함 -,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악의호를 특정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악의호 추적 신호를 수신하여 검출하는 단계 - 상기 악의호 추적 신호는 사용자 단말기의 특정 버튼의 입력에 의해 생성됨 - , 상기 악의호 추적 신호를 송신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대측 단말기의 전화 번호를 포함하는 악의호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악의호 정보를 상기 악의호 추적 장치 내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악의호 추적 신호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생성된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신호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 시스템간에 별도로 정의된 신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음성 통화 시 악의호를 추적하는 다른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음성 통화시 사용자의 선택적 요청에 의해 기지국 제어기 또는 교환기에서 악의호를 추적하는 방법은 상기 음성 통화 중 사용자 단말기에서 생성된 무선 인터넷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무선 인터넷 접속 요청 신호에 상응하여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상용자 단말기로부터 악의호를 특정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악의호 추적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상기 악의호 추적 신호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특정 버튼의 입력에 의해 생성됨-, 상기 무선 인터넷에 연결된 악의호 추적 장치로 상기 악의호 추적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악의호 추적 장치는 상기 악의호 추적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기지국 제어기 또는 교환기로부터 상기 악의호 추적 신호를 송신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대측 단말기의 전화 번호를 포함하는 악의호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악의호 추적 장치 내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악의호 추적 신호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생성된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신호,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 시스템간에 별도로 정의된 신호 및 무선 데이터 패킷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악의호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대측 단말기간의 통화 내용을 더 포함하되, 상기 통화 내용은 상기 음성 통화 내용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내용일 수 있다.
또한, 음성 통화시 사용자의 선택적 요청에 의해 기지국 제어기 또는 교환기에서 악의호를 추적하는 방법은 상기 저장된 악의호 정보를 미리 설정된 악의호 신고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성 통화 시 악의호 추적 방법은 상기 악의호 추적 장치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인증 코드를 포함한 악의호 정보 전송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인증 코드는 공공 기관으로부터 악의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적법한 신청 절차가 수행되었음을 인증함-, 상기 인증 코드를 검출하여 상기 인증 코드가 적법함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미리 설정된 영역으로부터 상기 저장된 악의호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악의호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음성 통화 시 악의호를 추적하는 장치를 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음성 통화시 사용자 단말기의 선택적 요청에 의해 악의호에 대한 정보를 추적하는 장치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악의호를 특정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악의호 추적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 상기 악의호 추적 신호는 사용자 단말기의 특정 버튼의 입력에 의해 생성됨 -, 상기 악의호 추적 신호를 송신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대측 단말기의 전화 번호를 포함하는 악의호 정보를 추출하는 악의호 정보 추출부, 상기 추출된 악의호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악의호 정보 기록부, 상기 악의호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악의호 추적 신호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생성된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신호,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 시스템간에 별도로 정의된 신호 및 무선 데이터 패킷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악의호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대측 단말기간의 통화 내 용을 더 포함하되, 상기 통화 내용은 상기 음성 통화 내용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내용일 수 있다.
또한, 음성 통화시 사용자 단말기의 선택적 요청에 의해 악의호에 대한 정보를 추적하는 장치는 상기 악의호 정보를 미리 설정된 악의호 신고 서버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음성 통화 시 악의호 추적 방법 및 그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성 통화 시 악의호 추적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음성 통화 시 악의호 추적 시스템은 발신측 단말기(110), 발신측 기지국 및 제어기(120), 발신측 교환기(130), 이동 통신망(140), 착신측 교환기(150), 착신측 기지국 및 제어기(160), 착신측 단말기(170) 및 지능망(1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발신측 단말기(110)와 착신측 단말기(170)는 발신측 기지국 및 제어기(120), 발신측 교환기(130), 이동 통신망(140), 착신측 교환기(150), 착신측 기지국 및 제어기(160)를 이용하여 음성 통화를 할 수 있다. 여기서 발신측 단말기(110)가 악의호를 전송하고 착신측 단말기(170)가 이를 수신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악의호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장치를 악의호 추적 장치라고 칭하며, 악의호 추적 장치는 이동 통신 시스템(지능망(180) 포함)에 결합된 임의의 장치가 될 수 있으나, 여기서 설명의 편의상 착신측 교환기(150)가 악의호 추적 장치인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먼저, 발신측 단말기(110)로부터 전송된 악의호를 수신한 착신측 단말기(170)에서 착신자가 악의호에 대한 신고를 하기 위해 착신측 단말기(170) 상에 미리 특정된 버튼을 누른다. 여기서 악의호 신고를 위한 미리 특정된 버튼은 단말기 차원에서 착신측 단말기(170)에 내장된 소프트웨어가 착신측 교환기(150)와 약속된 특정 신호를 발생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악의호 신고를 위한 미리 특정된 버튼은 지능망(180)에 연결된 임의의 장치와 악의호 신고를 위한 신호로 미리 약속된 DTMF 신호(Dual Tone Multi ─ Frequency signaling, 이중음다주파수신호)를 발생하거나, 또는 착신측 단말기(170)와 통신 시스템(착신측 교환기(150), 착신측 기지국 및 제어기(160)를 포함)간에 별도로 정의된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버튼에 의해 발생된 신호는 악의호가 발생하였음을 신고하고 이에 대한 추적을 요청하므로, 악의호 추적 신호라고 지칭한다.
착신측 교환기(150)는 착신측 단말기(170)로부터 악의호 추적 신호를 수신하여 검출하고, 발신측 단말기(110)의 전화 번호를 추출하여 이동 통신망(140)의 착신측 교환기(150) 등과 같은 미리 설정된 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통신망(140)의 미리 설정된 영역은 별도의 호 접속을 필요로 하지 않는 장치이면 본 발명에 따른 악의호 추적 방법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착신측 교환기(150)는 발 신측 단말기(110)의 전화 번호뿐만 아니라 발신측 단말기(110)와 착신측 단말기(170)간의 통화 내용도 추출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발신측 단말기(110)의 전화 번호와 그 통화 내용을 포함하는 악의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악의호 정보는 착신자를 식별하기 위해 착신측 단말기(170)의 전화 번호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후 착신자가 경찰 등에 악의호에 대한 신고를 접수하면, 악의호 신고 서버는 미리 저장되어 있는 악의호 정보를 추출하며 이를 이용하여 발신자를 대한 처벌이 가능하다. 또한, 착신자는 경찰 등에 악의호 수신 신고를 하고, 악의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적법한 절차(예를 들어, 인증 코드를 부여 받음)를 거쳐서 착신측 단말기(170)를 이용하여 악의호 추적 장치로부터 악의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악의호 추적 장치는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시점이 지난 후 해당 악의호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악의호 추적 서비스를 신청한 가입자에게 상술한 악의호 추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악의호 추적 서비스 가입자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이러한 악의호 추적 서비스 가입자 정보는 교환기에 저장될 수 있고,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별도의 장치에서 관리할 수도 있다. 또한, 네트워크에는 이러한 악의호 추적 서비스에 대해 해당 이용 건수에 따라 요금을 부과할 수 있는 과금 서버(미도시)를 별도로 구비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성 통화시 악의호 추적 장치에 대한 블록 구성도이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착신측 교환기(150)가 악의호 추적 장치인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지능망 또는 무선 인터넷에 연결된 별도의 악의호 추적 서버도 동일한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음성 통화시 악의호 추적 장치는 이동 통신망(140)과 결합된 송수신부(153), 악의호 정보 추출부(155), 악의호 정보 기록부(157) 및 저장부(15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송수신부(153)는 착신측 단말기(170)로부터 악의호를 특정하기 위해 미리 설정되며 착신측 단말기(170)의 특정 버튼의 입력에 의해 생성된 악의호 추적 신호를 수신하고, 악의호 신고 서버로부터 전송 요청이 있는 경우 악의호 정보를 악의호 신고 서버로 전송한다. 또한, 송수신부(153)는 악의호 추적 신호를 수신한 경우 발신측 단말기(110)에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여 발신자가 더 이상 악의호를 생성하지 못하도록 하는 경고를 할 수 있다.
악의호 정보 추출부(155)는 발신측 단말기(110)의 전화 번호가 포함된 악의호 정보를 발신측 단말기(110)와 착신측 단말기(170)간에 송수신되는 신호 또는 홈 위치 등록기로부터 추출하며, 악의호 정보 기록부(157)는 추출한 악의호 정보를 저장부(159)에 저장하고, 저장부(159)는 악의호 추적 장치에서 별도의 호 접속을 필요로 하지 않는 영역에 설정되며, 악의호 정보를 저장한다.
이상에서 음성 통화 시 악의호 추적 방법 및 그 장치를 일반적으로 도시한 시스템 구성도와 흐름도를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 명에 따른 음성 통화 시 악의호 추적 방법 및 그 장치를 구체적인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크게 세가지로 구분되는데, 첫째, 교환기를 이용하여 악의호를 추적하는 방법, 둘째, 지능망을 이용하여 악의호를 추적하는 방법, 셋째, 무선 인터넷에서 별도로 구비된 악의호 추적 장치를 이용하여 악의호를 추적하는 방법으로 나뉜다. 이하에서 차례대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음성 통화시 악의호 추적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 S410에서, 발신측 단말기(110)와 착신측 단말기(170)간에 음성 통화 중 발신측 단말기(110)로부터 전송된 악의호를 착신측 단말기(170)가 수신하여 착신자가 이를 신고하기 위해 미리 특정된 버튼을 누른다.
단계 S420에서, 착신측 단말기(170)의 특정 버튼의 입력에 의해 생성된 악의호 추적 신호가 착신측 단말기(170)로부터 착신측 교환기(150)로 전송되며, 단계 S430에서, 착신측 교환기(150)가 악의호 추적 신호를 수신하고 미리 설정된 규칙(예를 들어, 악의호 신고를 특정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 시스템간에 별도로 정의된 신호 규칙)에 따라 이를 악의호에 대한 신고로 판단한 후, 발신측 단말기(110)의 정보 즉, 발신측 단말기(110)의 전화 번호, 발신측 단말기(110)와 착신측 단말기(170)간의 통화 내용 등을 포함하는 악의호 정보를 추출하여 미리 설정된 영역인 저장부에 저장한다. 이후 교환기는 경고 메시지를 생성하여 발신측 단말기(110)로 전송함으로써, 발신자가 더 이상 악의성 통화를 하지 못하도록 경고할 수 있다.
단계 S440에서, 일정한 시점 이후에 착신자가 경찰 등에 악의호 수신 신고를 하면, 악의호 신고 서버는 착신측 교환기(150)에게 미리 저장되어 있는 악의호 정보를 요청할 수 있고, 착신측 교환기(150)는 악의호 정보를 추출하며, 단계 S450에서, 악의호 신고 서버는 착신측 교환기(150)로부터 악의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460에서, 착신자가 경찰 등에 악의호 수신 신고를 하고, 악의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적법한 절차(예를 들어, 인증 코드를 부여 받음)를 거친 후 착신측 단말기(170)를 이용하여 착신측 교환기(150)에게 인증 코드와 악의호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서 인증 코드는 착신자가 경찰 등의 공공 기관으로부터 악의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적법한 신청 절차를 수행하였음을 인증하는 코드로서 공공 기관이 부여할 수 있다. 단계 S470에서, 착신측 교환기(150)는 수신한 인증 코드를 검출하여 인증 코드가 적법함을 판단한다. 여기서 판단 방법은 미리 설정된 코드 규칙에 따라 인증 코드가 적법한지 판단하거나 또는 공공 기관으로부터 착신자에게 부여한 인증 코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이에 대해 인증을 할 수 있다. 이외의 별도의 절차 허가 여부에 대한 확인이 가능한 방법이면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다. 이후 착신측 교환기(150)는 미리 설정된 영역에 저장된 악의호 정보를 추출하여, 단계 S590에서, 악의호 정보를 착신측 단말기(170)에 전송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음성 통화시 악의호 추적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술한 제1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단계 S510에서, 착신측 단말기(170)는 미리 지능망 서비스를 신청하여 발신측 단말기(110)가 착신측 단말기(170)로 음성 통화를 요구하는 경우 해당 음성 통화 호는 지능망 시스템에 연결된다. 지능망은 정보통신 시스템에 컴퓨터를 연결하여 통신서비스를 지능화시킨 네트워크를 지칭하며, 일반적으로 IN(Intelligent Network)이라고도 한다. 이동 통신망(140)에 컴퓨터를 연결하고, 컴퓨터 내부에 서비스교환시스템(SSP : Service Switching Point), 서비스제어시스템(SCP : Service Control Point), 서비스관리시스템(SMS : Service Management System) 등의 소프트웨어를 설치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악의호 추적 장치는 지능망 시스템 중 어느 하나의 장치에 위치한다.
여기서 홈 위치 등록기(HLR)에 등록된 착신자 정보는 지능망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음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발신측 단말기(110)와 착신측 단말기(170)간의 통화 호는 지능망 시스템에 의해 검출이 가능하다.
단계 S520에서, 착신측 단말기(170)의 특정 버튼의 입력에 의해 생성된 악의호 추적 신호가 착신측 단말기(170)로부터 지능망(180)으로 전송된다. 여기서 악의호 추적 신호는 지능망(180)에 결합된 악의호 추적 장치와 착신측 단말기(170)간에 미리 약속된 규칙(예를 들어, 악의호 신고를 특정하기 위한 DTMF 신호 규칙)에 따라 생성되며, 악의호 추적 장치는 악의호 추적 신호를 수신하면, 이를 악의호에 대한 신고 신호로 검출한다. 이하 지능망에 결합된 악의호 추적 장치에서 수행되는 악의호 추적 방법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도 6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음성 통화 시 악의호 추적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음성 통화 시 악의호 추적 시스템은 발신측 단말기(110), 발신측 기지국 및 제어기(120), 발신측 교환기(130), 이동 통신망(140), 착신측 교환기(150), 착신측 기지국 및 제어기(160), 착신측 단말기(170), 지능망(180), PDSN(610), IWF(inter working function, 이하, 'IWF'라고 한다)(615), 유선망(620) 및 악의호 추적 장치(6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에서 설명한 바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데이터 패킷이 송수신되는 유선망(620)은 PDSN(Packet Data Switching Node)(610) 또는 IWF(610)을 통하여 이동 통신 시스템과 연결되며, 악의호 추적 장치(630)는 유선망(620)에 결합하여 위치한다. 착신측 단말기(170)가 악의호 추적 신호를 포함한 정보를 PDSN(610)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경우 착신측 기지국 및 제어기(160)를 경유하여 유선망(620)에 연결되고, IWF(610)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경우 착신측 교환기(150)를 경유하여 유선망에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착신측 단말기(170)는 PDSN(610)을 이용하여 유선망(620)과 연결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현재 통신 시스템은 음성 신호와 데이터 신호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SVD(Simultaneous Voice & Data)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SVD 방식은 멀티 서비스를 가입자에게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로서, 음성/패킷 데이터/교환(circuit)에 관련된 여러 서비스의 조합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음성 통화 중 이메일(e-mail) 또는 인터넷 뉴스 등을 체크하기 위해 데이터 호를 발신할 수 있고, 또는 음성 통화 중 PDSN으로부터 패킷 패이징(packet paging)이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인터넷 서핑 중 현재 데이터 호를 해제하지 않고 음성 호를 착발신하거나 단문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음성 신호와 데이터 신호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SVD에 대한 기술은 당업자에게 보편적인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발신측 단말기(110)로 전송된 악의호를 수신한 착신측 단말기(170)에서 착신자가 악의호에 대한 신고를 하기 위해 착신측 단말기(170) 상에 미리 특정된 버튼을 누른다. 여기서 미리 특정된 버튼은 악의호 추적 신호를 생성하며, 악의호 추적 신호는 무선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다. 착신측 단말기(170)는 SVD를 지원하는 단말기이며, 음성 통화 중 발생된 악의호 추적 신호를 무선 인터넷으로 전송하기 위해 무선 인터넷에 접속을 시도하고, 이후 접속된 무선 인터넷에 결합되어 있는 악의호 추적 장치에 악의호 추적 신호를 전송한다. 이후 악의호 추적 장치는 통신 시스템 중 착신측 교환기(150) 등에 발신측 단말기(110)에 대한 악의호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이를 저장한다.
여기서 악의호 추적 장치는 발신측 단말기(110)와 착신측 단말기(170)간의 통화 내용을 추출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악의호 추적 장치는 추출한 발신측 단말기(110)에 상응하는 통화 호를 검색하여 해당 통화 내용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음성 통화 중에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악의호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형태로도 송수신될 수 있다. 따라서 착신측 교환기(150)에서 악의호를 추 적하는 방법에서는 착신측 교환기(150)가 악의호 추적 정보를 악의호 추적 장치로 전달하면, 악의호 추적 장치는 무선인터넷 게이트웨이 서버와 연계하여 해당 발신측의 악의호 정보를 요청하여 저장한다. 또한, 별도의 데이터 경로를 이용하여 악의호를 추적하는 방법에서는 악의호 추적 장치는 데이터 신호인 악의호 추적 신호를 수신하여 무선인터넷 게이트웨이 서버와 연계하여 해당 발신측의 악의호 정보를 요청하여 저장한다.
도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음성 통화시 악의호 추적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술한 제2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단계 S610에서, 발신측 단말기(110)와 착신측 단말기(170)간에 음성 통화 중 발신측 단말기(110)로부터 전송된 악의호를 착신측 단말기(170)가 수신하여 착신자가 이를 신고하기 위해 미리 특정된 버튼을 누른다. 여기서 미리 특정된 버튼에 의하여 악의호 추적 신호와 무선 인터넷 접속 요청 신호가 발생한다.
단계 S620에서, 착신측 기지국 및 제어기(160)는 착신측 단말기(170)로부터 무선 인터넷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단계 S630에서, 착신측 기지국 및 제어기(160)는 PDSN(610)으로 무선 인터넷 접속 요청 신호를 전송하여 이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무선 인터넷에 접속한다.
단계 S635에서, 착신측 기지국 및 제어기(160)는 착신측 단말기(170)로부터 악의호 추적 신호를 수신하고, 단계 S640에서, 착신측 기지국 및 제어기(160)는 무선 인터넷에 결합된 악의호 추적 장치(630)에 접속하여 악의호 추적 신호를 전송한 다. 여기서 악의호 추적 신호를 악의호 추적 장치(630)에 전달하는 방법은 착신측 기지국 및 제어기(160)에서 미리 접속된 데이터 경로를 이용하여 전달하는 방법과 통신 시스템에서 미리 설정된 메시지를 이용하여 전달하는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단계 S650에서, 악의호 추적 장치(630)는 착신측 교환기(150)에게 악의호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단계 S653에서, 착신측 교환기(150)는 악의호 정보를 추출하며, 단계 S656에서, 추출된 악의호 정보를 악의호 추적 장치(630)에 전송한다.
단계 S660에서, 악의호 추적 장치(630)는 악의호 정보를 저장한다. 이후 수행되는 단계는 제1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성 통화 시 악의호 추적 방법 및 그 장치는 교환기에서 악의호의 발신자 정보를 추출하여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성 통화 시 악의호 추적 방법 및 그 장치는 착신자가 가입한 지능망 서비스에서 악의호 추적 장치를 이용하여 악의호의 발신자 정보를 추출하여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성 통화 시 악의호 추적 방법 및 그 장치는 무선 인터넷망에 결합된 악의호 추적 장치를 이용하여 악의호의 발신자 정보를 추출하여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성 통화 시 악의호 추적 방법 및 그 장치는 사용자의 선택적 요청에 의해 악의호 추적 장치를 이용하여 악의호의 발신자 정보를 추출하여 관리함으로써 통신망에서 보안을 침해하지 않으면서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음성 통화시 사용자의 선택적 요청에 의해 악의호 추적 장치가 교환기 또는 지능망을 통해 악의호를 추적하는 방법에 있어서 - 여기서 상기 악의호 추적 장치는 상기 교환기 또는 상기 지능망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함 - ,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악의호를 특정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악의호 추적 신호를 수신하여 검출하는 단계 - 상기 악의호 추적 신호는 사용자 단말기의 특정 버튼의 입력에 의해 생성됨 - ;
    상기 악의호 추적 신호를 송신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대측 단말기의 전화 번호를 포함하는 악의호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악의호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삭제 요청이 있을 때까지 상기 악의호 추적 장치 내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통화 시 악의호 추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악의호 추적 신호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생성된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통화 시 악의호 추적 방법.
  3. 음성 통화시 사용자의 선택적 요청에 의해 기지국 제어기 또는 교환기에서 악의호를 추적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음성 통화 중 사용자 단말기에서 생성된 무선 인터넷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무선 인터넷 접속 요청 신호에 상응하여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악의호를 특정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악의호 추적 신호를 상기 무선 인터넷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상기 악의호 추적 신호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특정 버튼의 입력에 의해 생성됨-; 및
    상기 무선 인터넷에 연결된 악의호 추적 장치로 상기 악의호 추적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악의호 추적 장치는 상기 악의호 추적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교환기로부터 상기 악의호 추적 신호를 송신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대측 단말기의 전화 번호를 포함하는 악의호 정보를 상기 무선 인터넷 상에서 추출하여 상기 악의호 추적 장치 내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상기 사용자의 삭제 요청이 있을 때까지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통화 시 악의호 추적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악의호 추적 신호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생성된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신호 및 무선 데이터 패킷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통화 시 악의호 추적 방법.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악의호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대측 단말기간의 통화 내용을 더 포함하되,
    상기 통화 내용은 상기 음성 통화 내용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내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통화 시 악의호 추적 방법.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악의호 정보를 미리 설정된 악의호 신고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통화 시 악의호 추적 방법.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악의호 추적 장치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인증 코드를 포함한 악의호 정보 전송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인증 코드는 공공 기관으로부터 악의호 정보를 수신 할 수 있는 적법한 신청 절차가 수행되었음을 인증함-;
    상기 인증 코드를 검출하여 상기 인증 코드가 적법함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미리 설정된 영역으로부터 상기 저장된 악의호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악의호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통화 시 악의호 추적 방법.
  8. 음성 통화시 사용자 단말기의 선택적 요청에 의해 악의호에 대한 정보를 추적하는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악의호를 특정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악의호 추적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 상기 악의호 추적 신호는 사용자 단말기의 특정 버튼의 입력에 의해 생성됨 - ;
    상기 악의호 추적 신호를 송신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대측 단말기의 전화 번호를 포함하는 악의호 정보를 추출하는 악의호 정보 추출부;
    상기 추출된 악의호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악의호 정보 기록부; 및
    상기 악의호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삭제 요청이 있을 때까지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통화 시 악의호 추적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악의호 추적 신호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생성된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신호 및 무선 데이터 패킷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통화 시 악의호 추적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악의호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대측 단말기간의 통화 내용을 더 포함하되,
    상기 통화 내용은 상기 음성 통화 내용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내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통화 시 악의호 추적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악의호 정보를 미리 설정된 악의호 신고 서버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통화 시 악의호 추적 장치.
KR1020050000207A 2005-01-03 2005-01-03 음성 통화 시 악의호 추적 방법 및 그 장치 KR100692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0207A KR100692662B1 (ko) 2005-01-03 2005-01-03 음성 통화 시 악의호 추적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0207A KR100692662B1 (ko) 2005-01-03 2005-01-03 음성 통화 시 악의호 추적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9869A KR20060079869A (ko) 2006-07-07
KR100692662B1 true KR100692662B1 (ko) 2007-03-13

Family

ID=37171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0207A KR100692662B1 (ko) 2005-01-03 2005-01-03 음성 통화 시 악의호 추적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26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328B1 (ko) * 2006-01-27 2007-10-09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설 교환 시스템의 악의적 전화 신고 방법 및 그 장치
CN101232536A (zh) * 2007-01-22 2008-07-3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恶意呼叫识别方法
KR100974791B1 (ko) * 2007-07-26 2010-08-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공인인증 시스템과 방법 및 공인인증 서버
KR101302751B1 (ko) * 2013-05-10 2013-09-03 (주)유엠로직스 광전화장비의 보안 시스템 및 그 보안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6278A (ko) * 1999-04-15 2000-11-15 이계철 악의호에 대한 실시간 신고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6278A (ko) * 1999-04-15 2000-11-15 이계철 악의호에 대한 실시간 신고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0006627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9869A (ko) 2006-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57378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крытия истинной идентификационной информации пользователя в системе связи
JP3981118B2 (ja) インターセプトされた目標にサービス提供するサービスシステムを合法インターセプトシステムに通知する方法
EP1715626B1 (en) A method for processing the request of position information from a user equipment
KR100570348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선택적인 호 차단 및 전환 방법
KR100692662B1 (ko) 음성 통화 시 악의호 추적 방법 및 그 장치
WO2008106873A1 (fr) Procédé, système et dispositif de création de registre et de communication pour terminal téléphonique portable
KR100668388B1 (ko) 국제로밍 사용자에 대한 불법 이동통신 단말기 추적 시스템및 방법
KR101478835B1 (ko) 보이스 피싱 예방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36596B1 (ko) 데이터 망을 이용한 ars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192962B1 (ko) 발신번호 변작 방지를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81097B1 (ko) 식별 정보 수집 장치 및 방법
KR101448589B1 (ko) 보이스 피싱 방지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보이스 피싱 방지 서버
KR100872052B1 (ko) 릴레이 방식 통신을 통한 운전자 호출 서비스 방법
KR20040029244A (ko) 통화 대기음 시간을 이용하여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있는 공통의 통신 네트웍 환경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01668278B (zh) 一种漫游服务的方法及相关设备
KR101392864B1 (ko) 착신번호를 이용한 발신번호 변작 방지를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51021B1 (ko) 착신 이력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760109B1 (ko)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 인터넷 폰 단말기에 간이형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08282B1 (ko) 화상전화 시도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
KR100280211B1 (ko) 이동통신망에서의 불법 단말기 사용 감시 방법
KR100716707B1 (ko) 통화에 따른 자신 인증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716680B1 (ko) 통화 상대방 인증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401618B1 (ko) 발신인증신호를 이용한 발신번호 변작 방지를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88746B1 (ko) 인터넷 텔레포니의 단문메시지 수신 장치 및 그 방법
KR101448591B1 (ko) 보이스 피싱 방지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보이스 피싱 방지 서버, 기록매체 및 사용자 단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