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9244A - 통화 대기음 시간을 이용하여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있는 공통의 통신 네트웍 환경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통화 대기음 시간을 이용하여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있는 공통의 통신 네트웍 환경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9244A
KR20040029244A KR1020020058213A KR20020058213A KR20040029244A KR 20040029244 A KR20040029244 A KR 20040029244A KR 1020020058213 A KR1020020058213 A KR 1020020058213A KR 20020058213 A KR20020058213 A KR 20020058213A KR 20040029244 A KR20040029244 A KR 200400292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call
additional service
information
addi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8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3743B1 (ko
Inventor
김병균
조은영
주봉남
이상우
배한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2-0058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3743B1/ko
Publication of KR20040029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92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3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37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8Arrangements for placing incoming calls on hold
    • H04M3/4285Notifying, informing or entertaining a held party while on hold, e.g. Music On 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25Calling or 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34Calling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59Making use of the calling party identif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87Arrangements for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s, e.g. recorded voice services or time announcements
    • H04M3/4872Non-interactive information services
    • H04M3/4878Advertisement mess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신 이동 교환기가 발신자의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발신 신호를 감지하면, 지능망 가입자 관리 시스템에서 부가 서비스의 유형 정보를 판단하고, 지능망 교환기로 서비스 라우팅 정보를 제공하며, 부가 서비스 제어 서버에서 서비스 코드가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로 제공되고,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가 제1 음성 채널을 통해 제1 사용자 단말기로 송출하며, 착신 이동 교환기가 착신자의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응답 신호를 감지하면,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는 제1 음성 채널의 연결을 해제하고, 제1 사용자 단말기와 제2 사용자 단말기간에 제2 음성 채널이 설정되어 전화 통화가 가능하게 되는 통화 대기음 시간을 이용하여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공통의 통신 네트웍 환경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통화 대기음 시간 동안 서비스 이용자가 설정한 멜로디, 광고 메시지, 개인 PR 메시지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음원을 제공하는 복수개의 부가 서비스를 공동으로 수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화 대기음 시간을 이용하여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공통의 통신 네트웍 환경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MMON NETWORK SYSTEM BEING ABLE TO PROVIDE VALUE ADDED SERVICES USING RING-BACK TONE TIME}
본 발명은 통화 대기음 시간을 이용하여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공통의 통신 네트웍 환경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화 대기음 시간동안 다양한 형태의 음원을 제공하는 복수개의 부가서비스를 공동으로 수용할 수 있는 통화 대기음 시간을 이용하여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공통의 통신 네트웍 환경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이동 통신 시스템은 1980년대 초에 북미 지역에서 서비스 대상 지역을 수 km에서 수십 km 직경의 육각형 셀로 분할한 후 지리적으로 떨어진 셀에서 동일한 주파수 채널을 반복적으로 사용하고 가입자의 이동에 따라 셀간에 무선채널 절체 기능을 구현한 셀룰러 이동 통신 시스템을 최초로 상용화한바 있다.
이러한 이동 통신 시스템은 최근 통신 기술의 발달과 경제 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급속도로 발전 및 보급되어가고 있다.
이동 통신 시스템은 초기의 아날로그 방식으로부터 최근에는 디지털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이나 CDMA(Code DivisionMultiple Access) 방식이 보편화되어 있을 뿐 아니라 동영상 데이터까지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IMT-2000'에 대한 기술 개발 및 보급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등의 무선 인터넷 기술이 개발됨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가 웹 브라우저 기능을 구비하게 되면서 이동 통신 단말기가 단순한 통신 수단에 제한되지 않고 정보 획득의 수단으로 진보하고 있다.이와 같은 이동 통신 시스템의 발전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화 대기 시간, 즉 호 설정 요구를 실행하는 경우에 해당 호 설정 요구에 대한 착신 응답 대기 시간 동안 전화 벨 소리 대신에 서비스 이용자에게 미리 지정된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의 개발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통화 대기 시간 동안 서비스 이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미리 지정된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하는 방법으로는 서비스 이용자가 미리 지정한 멜로디가 서비스 이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거나, 미리 지정된 광고 데이터, 뉴스 속보, 안내 메시지 등이 서비스 이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통화 대기음 시간을 이용하여 부가 서비스를 제공 시스템은 서비스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데이터(예를 들어, 서비스 이용자가 미리 지정한 멜로디, 광고 메시지, 안내 메시지 등)의 유형에 따라 독립된 시스템으로 운용되어, 하나의 시스템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수행할 수는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통화 대기음 시간 동안 서비스 이용자가 설정한 멜로디, 광고 메시지, 개인 PR 메시지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음원을 제공하는 복수개의 부가 서비스를 공동으로 수용할 수 있는 통화 대기음 시간을 이용하여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공통의 통신 네트웍 환경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공통의 통신 네트웍 환경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도.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중 A-Mode에서의 가입자 등록방법을 나타낸 데이터 흐름도.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중 A-Mode에서의 가입자 등록방법을 나타낸 데이터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가입자 서비스 정보 및 음원 코드 등록 방법을 나타낸 데이터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의 음원 데이터 파일의 등록 방법을 나타낸 데이터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A-Mode에서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발신시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로의 접속까지의 호처리 단계를 나타낸 데이터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B-Mode에서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발신시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로의 접속까지의 호처리 단계를 나타낸 데이터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와 부가 서비스 제어 서버간의 호 처리 절차를 나타낸 데이터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사용자 단말기
115 : 기지국(BTS : Base Transceiver Station)
120 : 발신 이동 교환기(O_PCX : Originated PCX switching system)125 : 착신 이동 교환기(T_PCX : Terminated PCX switching system)
130 : 지능망 교환기(SSP : Service Switching Point)
135 : 홈 위치 등록기(HLR : Home Location Register)
150 : 네트웍 공용 시스템(CNSR System : Common Network System for value added services using Ring-back tone time)
152 :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CNSR-IP : CNSR-Intelligent Peripheral)154 : 부가 서비스 제어 서버(CNSR-SCP : CNSR-Service Control Point)
160 : 과금 처리 시스템(BS : Billing System)
165 : 고객 관리 시스템(CS : Customer care System)
170 : 단문 메시지 전송 장치(SMSC : Short Message Service Center)
180 : 컨텐츠 제공 장치
510 : 지능망 가입자 관리 시스템
610 : 착신 단말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발신 이동 교환기, 착신 이동 교환기, 지능망 교환기, 홈 위치 등록기,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 부가 서비스 제어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발신자의 전화 통화 요청시 통화 대기음 시간을 이용하여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발신 이동 교환기가 상기 발신자의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발신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지능망 가입자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부가 서비스의 유형 정보(예를 들어, 발신자가 상기 통화 대기음 시간을 통해 부가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발신자가 등록한 정보가 제공되도록 하는 제1 서비스 유형, 착신자가 등록한 정보가 제공되도록 하는 제2 서비스 유형 등을 포함할 수 있음)를 판단하고, 상기 지능망 교환기로 서비스 라우팅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지능망 교환기가 상기 서비스 라우팅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로 음성 채널 설정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부가 서비스 제어 서버에서 상기 유형 정보와 상응하는 서비스 코드(예를 들어, 음원 데이터 송출, 광고 메시지 송출, 개인 PR 메시지 송출 등의 서비스 수행을 위해 미리 지정된 코드임)를 추출하여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가 상기 서비스 코드와 상응하는 서비스 데이터 파일의 송출을 위해 설정된 제1 음성 채널을 통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 송출하는 단계와, 상기 착신 이동 교환기가 착신자의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응답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가 상기 지능망 교환기의 요청에 상응하여 상기 제1 음성 채널의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간에 전화 통화를 위한 제2 음성 채널이 설정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대기음 시간을 이용한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되고, 당해 통화 대기음 시간을 이용한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수행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본 발명에 따른 통화 대기음 시간을 이용한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상기 부가 서비스 제어 서버에서 상기 유형 정보와 상응하는 서비스 코드를 추출하여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서비스 데이터 파일 송출 정보 요청(예를 들어, 발신번, 착신번, 단말 위치 정보, 시디알 아이디(CDR-ID) 등)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데이터 파일 송출 정보 요청과 상응하는 상기 서비스 코드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되어야할 서비스 데이터 파일의 송출 정보(예를 들어, 서비스 코드, 서비스 데이터 파일의 반복 송출 횟수, 수행된 서비스 로직 아이디, 콜 아이디(Call-ID), 시디알 아이디(CDR-ID) 등)를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송출 정보에 상기 콜 아이디(Call-ID)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송출정보에 상기 콜 아이디(Call-ID)가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서비스 데이터 파일의 송출을 완료한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서비스 수행 보고 정보(예를 들어, 발신번, 착신번, 시작 시간, 종료시간, 콜 아이디(Call-ID), 서비스 코드 등)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수행 보고 정보와 상응하는 응답 데이터를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화 대기음 시간을 이용한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상기 부가 서비스 제어 서버에서 상기 유형 정보와 상응하는 서비스 코드를 추출하여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미리 지정된 조건(예를 들어, 상기 서비스 제어 장치의 비정상적 동작 상태, 미리 지정된 시간 동안 상기 서비스 수행 보고 정보의 미수신 등)에 상응하여 상기 서비스 수행 보고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로 진행호 확인 요청 정보(예를 들어, 발신번, 콜 아이디(Call-ID), 시디알 아이디(CDR-ID) 등을 포함할 수 있음)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콜 아이디(Call-ID)가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진행호 확인 요청과 상응하는 진행호 확인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상기 부가 서비스 제어 장치의 호자원 아이디인 상기 콜 아이디(Call-ID)를 이용하여 요청된 호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콜 아이디(Call-ID)와 상응하여 검색된 호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호의 동작 상태에 대한 상기 진행호 확인 응답을 통신망을 통해 상기 부가 서비스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또한, 본 발명에따른 통화 대기음 시간을 이용한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가 상기 서비스 코드와 상응하는 서비스 데이터 파일의 송출을 위해 설정된 제1 음성 채널을 통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 송출하는 단계는, 서비스 데이터 파일 송출 정보 요청을 상기 부가 서비스 제어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부가 서비스 제어 서버로부터 상기 서비스 데이터 파일과 상응하는 송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데이터 파일 중에서 상기 송출 정보와 상응하는 상기 서비스 데이터 파일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서비스 데이터 파일을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 송출하는 단계와, 상기 송출 정보에 상기 콜 아이디(Call-ID)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송출 정보에 상기 콜 아이디(Call-ID)가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서비스 데이터 파일의 송출을 완료한 상기 부가 서비스 제어 장치로 서비스 수행 보고 정보(예를 들어, 발신번, 착신번, 시작 시간, 종료시간, 콜 아이디(Call-ID), 서비스 코드 등을 포함할 수 있음)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수행 보고 정보와 상응하는 응답 데이터를 상기 부가 서비스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화 대기음 시간을 이용한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가 상기 서비스 코드와 상응하는 서비스 데이터 파일의 송출을 위해 설정된 제1 음성 채널을 통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 송출하는 단계는, 상기 부가 서비스 제어 장치로부터 진행호 확인 요청 정보(예를 들어, 발신번, 콜 아이디(Call-ID), 시디알 아이디(CDR-ID) 등을 포함할 수 있음)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진행호 확인 요청 정보 내에 콜 아이디(Call-ID)가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상기 부가 서비스 제어 장치의 호자원 아이디인 상기 콜 아이디(Call-ID)를 이용하여 요청된 호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콜 아이디(Call-ID)와 상응하여 검색된 호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호의 동작 상태에 대한 상기 진행호 확인 응답을 통신망을 통해 상기 부가 서비스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화 대기음 시간을 이용한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가 상기 서비스 코드와 상응하는 서비스 데이터 파일의 송출을 위해 설정된 제1 음성 채널을 통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 송출하는 단계는, 상기 부가 서비스 제어 서버로부터 상기 송출 정보가 수신되지 않거나, 에러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에, 기본 서비스 데이터 파일을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된 기본 서비스 데이터 파일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송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화 대기음 시간을 이용한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상기 착신 이동 교환기가 착신자의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응답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지능망 교환기로부터 상기 제2 음성 채널의 설정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상기 지능망 교환기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의 응답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화 대기음 시간을 이용한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가 상기 지능망 교환기의 요청에 상응하여 상기 제1 음성 채널의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는, 상기 지능망 교환기로부터 상기 제1 음성 채널의 연결 해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연결 해제 요청에 상응하여 상기 제1 음성 채널의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음성 채널의 해제 정보를 상기 지능망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화 대기음 시간을 이용한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상기 발신 이동 교환기, 상기 착신 이동 교환기, 상기 지능망 교환기가 상기 홈 위치 등록기와 통신망을 통해 결합되고, 상기 지능망 교환기가 통신망을 통해 상기 지능망 가입자 관리 장치와 결합되며, 상기 착신 이동 교환기와 상기 지능망 교환기가 통신망을 통해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와 결합될 수 있다.그리고, 상기 부가 서비스는 통화 대기음 시간 동안 서비스 이용자가 설정한 음원 데이터 송출 서비스, 광고 메시지 송출 서비스, 개인 PR 메시지 송출 서비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발신자의 전화 통화 요청시 통화 대기음 시간을 이용하여 발신자 또는 착신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부가 서비스를 발신자에게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의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발신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발신자의 단말기 번호 및 착신자의 단말기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발신자 및 상기 착신자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부가 서비스에 가입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확인 결과 상기 발신자가 상기 부가 서비스에 가입한 경우 상기 부가 서비스에 상응하는 제1 음원 데이터 파일을 선택하는 단계와, 확인 결과 상기 착신자가 상기 부가 서비스에 가입한 경우 상기 부가 서비스에 상응하는 제2 음원 데이터 파일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제1 음원 데이터 파일 또는 상기 제2 음원 데이터 파일을 재생한 음원을 송출하기 위한 제1 음성 채널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제1 음성 채널을 통해 상기 발신자의 단말기로 재생한 음원을 송출하는 단계와, 상기 착신자의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응답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제1 음성 채널을 해제하는 단계와, 상기 발신자의 단말기와 상기 착신자의 단말기간에 전화 통화를 위한 제2 음성 채널이 설정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화 대기음 시간을 이용한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되고, 당해 통화 대기음 시간을 이용한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수행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네트웍 부가 서비스는 일반적으로 등록 기준(발신자가 등록하는지 여부 또는 착신자가 등록하는지 여부), 이용 기준(발신자가 이용하는지 여부 또는 착신자가 이용하는지 여부)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발신자가 등록하고 발신자가 서비스를 이용하게 되는 부가 서비스(이하 A-Mode'라 칭함), 착신자가 등록하고 발신자가 서비스를 이용하는 부가 서비스(이하 B-Mode'라 칭함)로 분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외에 새로운 개념에 의해 창출되는 통화 대기음 시간을 이용한 부가 서비스(이하 K-Mode'라 칭함)에 대해 간략히 기술하기로 한다.또한, 본 발명에 적용되는 부가 서비스의 형태가 음원 데이터 파일의 송출인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공통의 통신 네트웍 환경 제공시스템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통의 통신 네트웍 환경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110), 기지국(BTS : Base Transceiver Station)(115), 발신 이동 교환기(O_PCX : Originated PCX switching system)(120), 착신 이동 교환기(T_PCX : Terminated PCX switching system)(125), 지능망 교환기(SSP : Service Switching Point)(130), 홈 위치 등록기(HLR : Home Location Register)(135), 네트웍 공용 시스템(CNSR System : Common Network System for value added services using Ring-back tone time)(150), 과금 처리 시스템(BS : Billing System)(160), 고객 관리 시스템(CS : Customer care System)(165), 단문 메시지 전송 장치(SMSC : Short Message Service Center)(170), 컨텐츠 제공 장치(180) 등을 포함할 수 있다.사용자 단말기(110)는 통화 대기음 시간을 이용하여 네트웍 공용 시스템(150)으로부터 부가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장치로서, 도 1에는 편의상 이동 통신 단말기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자체 통신 기능을 구비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 전화 기능을 구비하는 개인 휴대 단말기(PDA : Personal Digital Assistants), 컴퓨터 등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기지국(115)은 기지국 제어기(도시되지 않음)의 제어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되는 호접속 요청을 발신 이동 교환기(120)로 전송하고, 발신 이동 교환기(120)로부터 수신되는 부가서비스(예를 들어, 발신자 또는 착신자가 미리 지정한 음원 데이터, 안내 메시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 음원 데이터라 칭함)를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1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교환기는 기지국(115)과 접속하여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에 대한 호처리 및 중계기능 등을 담당하는 장치로서, 발신 이동 교환기(120)는 발신 단말기가 등록된 교환기를 의미하고, 착신 이동 교환기(125)는 착신 단말기가 위치한 교환기를 의미하며, 지능망 교환기(130)는 지능망의 전달층을 구성하며 서비스의 이용자와 지능망을 연결시켜주는 특수한 형태의 전자 교환기로서 지능망 서비스 교환 시스템을 위한 교환기를 의미한다. 이때 착신 이동 교환기(125)와 지능망 교환기(130)는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의 관문 교환기일 수 있다.
홈 위치 등록기(135)는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 거주 영역 내에 위치한 가입자의 정보를 기록하고 보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네트웍 공용 시스템(150)은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CNSR-IP : CNSR-Intelligent Peripheral)(152), 부가 서비스 제어 서버(CNSR-SCP : CNSR-Service Control Point)(154)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과금 처리 시스템(160), 고객 관리 시스템(165), 컨텐츠 제공 장치(180)와 연동하여 음원 관리, 가입자 관리, 과금 관리 등을 지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착신 이동 교환기(125) 및 지능망 교환기(130)와 네트웍 공용 시스템(150)간의 신호방식은 No. 7 신호 방식이 적용된다.
No.7 신호방식이란 ITU-T(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 Telecommunication sect : 국제 전기 통신 연합 전기 통신 표준화 부문)가 권고한 공통선 신호방식을 말하며, 공통선이란 음성이나 데이터 등을 전송하는 통신선과는 별도로 제어신호만을 분리하여 전송하기 위한 통신선을 말한다. No.7 신호방식은전화나 ISDN 등 여러 가지 통신서비스의 신호를 취급하며 기지국과 유선 구간과의 접속 등의 제어에 사용된다.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152)는 발신 이동 교환기(120), 착신 이동 교환기(125), 지능망 교환기(130), 지능망 서비스 시스템,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 등과 연계하여 서비스 유형을 판단한 후, 부가 서비스 제어 서버(154)로부터 이동 통신 서비스 가입자(즉, 착신자 또는 발신자)가 사전에 설정한(또는 망에서 이동 통신 서비스 가입자에 대해 설정된) 음원 데이터(통화 대기음(링백톤 : Ring-back tone)대신에 송출할 음원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기(110)측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부가 서비스 제어 서버(154)는 복수의 부가서비스에 대한 구분 및 각각의 서비스별 로직을 수행한 후 이동 통신 서비스 가입자에게 송출할 음원을 결정하여 추출된 음원 데이터를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152)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과금 처리 시스템(160)과 고객 관리 시스템(165)은 영업 전산 시스템의 일종으로, 과금 처리 시스템(160)은 이동 통신 서비스 가입자의 부가 서비스 이용 내역 등을 집중화하여 관리하는 장치이며, 고객 관리 시스템(165)은 고객 정보(예를 들어, 이름, 전화번호, 주소 등)를 집중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장치이다.
단문 메시지 전송 장치(170)는 짧은 문자나 숫자를 사용자 단말기(110)로 전송하는 하는 서비스를 수행하는 장치로서, 페이저와 같은 호출 서비스, 사용자 단말기간 문자메시지 전송 서비스, 음성 사서함 서비스(VMS : Voice Mail Service)나 이메일(E-Mail)서버에 신규 메일이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통지 서비스 등을 수행할수 있다.
컨텐츠 제공 장치(180)는 각각의 부가 서비스 별로 이동 통신 서비스 가입자의 음원 데이터 및 이동 통신 서비스 가입자의 개인 정보 등을 변경, 선택할 수 있는 장치로서, 실질적으로 이동 통신 서비스 가입자에게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컨텐츠 제공 장치(180)는 A-Mode용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 B-Mode용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 K-Mode용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 등으로 각기 구분되는 하나의 서버 그룹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웍 공용 시스템(150)에서 호의 서비스 유형 판단 방법 및 가입자 전화 번호 별로 관리되고 있는 부가 서비스 제어 서버(154)를 선택하는 방법에 대해 간략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인입되는 호의 서비스 유형 판단은 교환 시스템(즉, 지능망 교환기(130), 발신 이동 교환기(120), 착신 이동 교환기(125), 관문 교환기(PGS : PCS Gateway System) 등)으로부터 수신되는 착신번의 프리픽스(Prefix), 라우팅 디지트(Routing Digit)를 이용하게 된다.
이하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겠지만, 교환 시스템은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152)로 라우팅(Routing)하기 위한 프리픽스 정보를 관리하게 된다. 즉, 발신자가 전화 통화를 요청한 착신번에 서비스 유형별로 미리 지정된 프리픽스(기능상 자릿수의 제한은 없으나 시스템 성능 관리 측면을 고려하여 4 ~ 6 자리 정도로 할 수 있음)를 포함하는 정보가 착신번으로 수신된다.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152)는 호 설정시 전송되는 메시지(IAM : InitialAddress Message)내의 착신번을 비교하여 서비스 모드를 결정하게 된다.부가 서비스 제어 서버(154)는 가입자 전화번호의 국번별로 운용되므로 모드별/국번별 부가 서비스 제어 서버의 아이디를 관리하므로, 각 부가 서비스 제어 서버(154)로의 라우팅을 지원할 수 있다.
가입자 전화 번호 별로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152)를 운용하는 경우에도 본 방식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도 있으나,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152)에서는 프리픽스(Prefix)외에 서비스 주체 번호 등과 같은 추가적인 정보가 필요로 된다.
그리고, 서비스 주체 번호는 서비스 모드가 A-Mode인 경우에는 발신번, 서비스 모드가 B-Mode'인 경우에는 착신번, 서비스 모드가 K-Mode'인 경우에는 발신번 또는 착신번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미리 지정된 프리픽스(Prefix)를 이용하여 서비스 모드를 결정한 후, 서비스 주체 번호를 기준으로 시스템에서 수용하지 않는 가입자 전화번호인 경우에는 호를 제한하는 기능 등과 같은 비정상적인 운용에 대비하는 기능이 필요로 될 수 있다.
이하,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입자 등록방법, 가입자 서비스 정보 및 음원 등록 방법, 호처리 및 과금 방법에 대해 순차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중 A-Mode에서의 가입자 등록방법을 나타낸 데이터 흐름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중 A-Mode에서의 가입자 등록방법을나타낸 데이터 흐름도이다.
우선 고객 관리 시스템(165)은 이동 통신 서비스 가입자의 통화 대기음 시간을 이용한 부가 서비스(예를 들어, 음원 데이터 제공 등) 이용 신청이 있으면 당해 가입자에 대해 부가 서비스 이용 신청이 있음을 고객 관리 시스템(165)에 포함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이후, 당해 이동 통신 서비스 가입자의 부가 서비스 이용 신청의 형태가 A-Mode(즉, 발신자가 등록하고 발신자가 서비스를 이용하게 되는 부가 서비스 형태)인 경우에는 도 2a와 같은 단계를 통해 당해 이동 통신 서비스 가입자에 대한 등록이 이루어지나, B-Mode(즉, 착신자가 등록하고 발신자가 서비스를 이용하는 부가 서비스 형태)인 경우에는 도 2b와 같은 단계를 통해 당해 이동 통신 서비스 가입자에 대한 등록이 이루어진다.
먼저, 도 2a를 참조하여 A-Mode에서의 이동 통신 서비스 가입자의 등록 과정을 살펴보면, 단계 210에서 고객 관리 시스템(165)은 홈 위치 등록기(135), 지능망 교환기(130), 부가 서비스 제어 서버(154)로 가입자 정보 등록 요청(예를 들어, 가입자 정보 생성 요청, 가입자 정보 삭제 요청 등)을 전송한다.
이때, 당해 가입자 정보 등록 요청은 TCP/IP 전송 방식에 준해 전송된다. 그리고, 고객 관리 시스템(165)은 클라이언트(Client)로 동작하게 되고, 홈 위치 등록기(135), 지능망(도시되지 않음), 부가 서비스 제어 서버(154)는 서버(server)로 동작하게 된다.단계 215에서 홈 위치 등록기(135)는 고객 관리 시스템(165)으로부터 수신된 가입자 정보 등록 요청에 상응하여, 홈 위치 등록기(135)내에 저장되어있는 당해 가입자의 가입자 정보에 당해 가입자에 의해 부가 서비스 이용 신청이 있었음을 등록한다.
단계 220에서 부가 서비스 제어 서버(154)는 고객 관리 시스템(165)으로부터 수신되는 가입자 정보 등록 요청에 상응하는 당해 이동 통신 서비스 가입자의 가입자 정보를 등록한다.이후, 단계 225를 통해 고객 관리 시스템(165)은 홈 위치 등록기(135), 지능망 교환기(130), 부가 서비스 제어 서버(154)로부터 단계 210을 통해 전송된 가입자 정보 등록 요청과 대응되는 가입자 정보 등록 결과를 수신한다.
단계 210 내지 단계 225를 통해 이루어지는 동작을 다시 한번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Mode 서비스의 경우 고객 관리 시스템(165)은 가입자의 생성, 삭제, 변경 등의 요청 정보를 홈 위치 등록기(135), 지능망 교환기(130), 부가 서비스 제어 서버(154)로 전송하고, 이에 따른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각 시스템별 가입자 관리의 필요성을 설명하면, 홈 위치 등록기(135)는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되는 발신호를 지능망 교환기(130)로 전송하고, 당해 발신호는 지능망 교환기(130)를 통해 지능망 가입자 관리 시스템(WIN-SCP : Wireless Intelligent Network-Service Control Point)으로 전달되도록 한다.또한, 부가 서비스 제어 서버(154)는 음원 데이터 송출을 위한 가입자 정보 관리를 수행하는 장치로서, 실질적으로 가입자 정보는 부가 서비스 제어 서버(154)에 의해 등록되고 관리된다.
다음으로, 도 2b를 참조하여 B-Mode에서의 이동 통신 서비스 가입자의 등록과정을 살펴보면, 단계 250에서 고객 관리 시스템(165)은 홈 위치 등록기(135), 부가 서비스 제어 서버(154)로 가입자 정보 등록 요청(예를 들어, 가입자 정보 생성 요청, 가입자 정보 삭제 요청 등)을 전송한다.
단계 255에서 홈 위치 등록기(135)는 고객 관리 시스템(165)으로부터 수신된 가입자 정보 등록 요청에 상응하여, 홈 위치 등록기(135)내에 저장되어 있는 당해 가입자의 가입자 정보에 당해 가입자에 의해 부가 서비스 이용 신청이 있었음을 등록한다.
단계 260에서 부가 서비스 제어 서버(154)는 고객 관리 시스템(165)으로부터 수신되는 가입자 정보 등록 요청에 상응하는 당해 이동 통신 서비스 가입자의 가입자 정보를 등록한다.
이후, 단계 265를 통해 고객 관리 시스템(165)은 홈 위치 등록기(135), 부가 서비스 제어 서버(154)로부터 단계 250을 통해 전송된 가입자 정보 등록 요청과 대응되는 가입자 정보 등록 결과를 수신한다.
단계 250 내지 단계 265를 통해 이루어지는 동작을 다시 한번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B-Mode 서비스의 경우 고객 관리 시스템(165)은 가입자의 생성, 삭제, 변경 등의 요청 정보를 홈 위치 등록기(135), 부가 서비스 제어 서버(154)로 전송하고, 이에 따른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이 경우 홈 위치 등록기(135)는 착신 이동 교환기(125)를 경유하여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152)로 호처리가 진행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부가 서비스 제어 서버(154)는 B-Mode 서비스를 제공하기위한 가입자 정보를 고객 관리 시스템(165)으로부터 수신하여 등록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a 및 도 2b를 통해 설명한 A-Mode 서비스나 B-Mode 서비스이외에 본 발명은 K-Mode 서비스(즉, 새로운 개념에 의해 창출되는 통화 대기음 시간을 이용한 부가 서비스) 형태로도 적용될 수 있다.그리고, 본 발명을 K-Mode 서비스 형태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앞서 설명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152)와의 연동을 위해 요구되는 데이터는 홈 위치 등록기(135), 지능망 교환기(130), 부가 서비스 제어 서버(154) 등으로 전송될 수 있고, 부가 서비스 이용을 위한 가입자 정보는 부가 서비스 제어 서버(154)에 의해 저장되고 관리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가입자 서비스 정보 및 음원 코드 등록 방법을 나타낸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가입자 서비스 정보 및 음원 코드 등록 방법은 A-Mode, B-Mode, K-Mode 등에서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각 서비스별 구분 처리에 대한 기능은 부가 서비스 제어 서버(154)에서 제공한다.
그리고, 각 단계에 있어 데이터의 송수신은 TCP/IP 소켓(Socket) 전송 방식에 준하며, 부가 서비스 제어 서버(154)는 서버로 동작하게 되고 컨텐츠 제공 장치(180)는 클라이언트로 동작한다.
또한 부가 서비스 제어 서버(154)는 음원 코드만을 관리하고,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152)가 음원 데이터 파일을 가지고 호처리시 해당 이동 통신 서비스 가입자에게 해당 음원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310에서 부가 서비스 제어 서버(154)와 컨텐츠 제공 장치(180)는 각 시스템간의 연결 상태 및 대상 시스템 서비스 운용 상태를 확인한다.
이는 TCP/IP 소켓 전송에서 연결 상태 관리(즉, TCP Connection 관리)를 위한 절차로서 부가 서비스 제어 서버(154)와 컨텐츠 제공 장치(180)가 양방향으로 요청할 수 있다.
부가 서비스 제어 서버(154)와 컨텐츠 제공 장치(180)는 통화 대기음 시간을 이용한 부가 서비스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필요한 경우 수시로 상호간에 상태 요청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서비스의 신뢰성에 따라 상태 요청 메시지의 전송 주기는 조정될 수 있다.
부가 서비스 제어 서버(154)와 컨텐츠 제공 장치(180)간에 이루어지는 상태 관리의 기준은 대상 시스템과의 컨넥션(connection)이며, 일정 사유(예를 들어, 시스템 비정상, 연결상태 비정상, 일정 시간 경과(Time-out)시)를 만족하는 경우에 대상 시스템과의 컨넥션(connection)을 해제하도록 할 수 있다.
대상 시스템의 기준은 IP 주소(IP Address)로 정의되며, 복수개의 컨넥션(connection)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연결 상태에 대해 단계 310이 수행되어질 수 있다.
단계 315에서 컨텐츠 제공 장치(180)는 통신망을 통해 부가 서비스 제어 서버(154)로 기능 등록 유무 및 음원 코드 등록 유무에 대한 질의(Query)를 전송한다.
그리고, 부가 서비스 제어 서버(154)는 단계 320을 통해 컨텐츠 제공 장치(180)로부터 요청된 임의의 기능 및 음원 코드가 이미 부가 서비스 제어 서버(154)내에 등록되어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단계 325로 진행하여 단계 320을 통해 확인된 기능 등록 유무 및 음원 코드 등록 유무의 질의에 대한 확인 결과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컨텐츠 제공 장치(180)로 전송한다.
다시 말하면, 단계 315 내지 단계 325는 서비스 질의 단계로서 가입자 인증/서비스 기능 등록 유무 및 음원 코드 등록 유무에 대한 질의(Query)를 전송하는 단계이다.
단계 325를 통한 확인 결과 데이터 전송시 부가 서비스 제어 서버(154)는 임의의 서비스 별로 관리되는 가입자 정보의 부분별 정보 또는 전체 정보를 선택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330에서 컨텐츠 제공 장치(180)는 이동 통신 서비스 가입자의 부가 서비스 이용 신청 정보 및/또는 음원 코드의 갱신 요청(즉, 음원 코드의 생성 요청, 변경 요청, 삭제 요청 등)을 통신망을 통해 부가 서비스 제어 서버(154)로 전송한다.
부가 서비스 제어 서버(154)는 단계 335에서 단계 330을 통해 수신한 서비스 이용 신청 정보 및/또는 음원 코드 갱신 요청과 상응하도록 이동 통신 서비스 가입자의 부가 서비스 이용 신청 정보 및/또는 음원 코드를 갱신하고, 단계 340으로 진행하여 단계 335를 통해 갱신된 부가 서비스 이용 신청 정보 및/또는 음원 코드의 갱신 결과를 통신망을 통해 컨텐츠 제공 장치(180)로 전송한다.
다시 말하여, 단계 330 내지 단계 340은 이동 통신 서비스 가입자의 부가 서비스 이용 신청 및 음원 코드의 생성, 삭제, 변경 등을 처리하는 단계로서, 음원 코드도 각 이동 통신 서비스 가입자별로 할당되므로 당해 이동 통신 서비스 가입자의 서비스 속성으로 규정하여 당해 이동 통신 서비스 가입자의 가입자 정보 등록 방법(도 2a 및 도 2b 설명부분 참조)과 유사한 방법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설명된 단계 315 내지 단계 340에서의 메시지를 요청한 후 대상 시스템에서 응답이 없는 경우(Time-out)에는 단계 310을 통해 재전송 알고리즘이 수행될 수 있다. 물론, 대상 시스템간의 컨넥션(connection)의 수를 제한하는 방법을 통해서도 전체 시스템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단계 이외에도 부가 서비스 제어 서버(154)로부터 컨텐츠 제공 장치(180)로 당해 이동 통신 서비스 가입자의 가입자 정보 변경, 부가 서비스 이용 신청 정보 변경, 음원 코드 속성 변경 등에 대한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고, 컨텐츠 제공 장치(180)로부터 당해 정보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의 음원 데이터 파일의 등록 방법을 나타낸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410에서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152)와 컨텐츠 제공 장치(180)는 각 시스템간의 연결 상태 및 대상 시스템 서비스 운용 상태를 확인한다.
단계 410과 관련된 상세한 설명은 앞서 도 3의 단계 310에 관한 설명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단계 415에서 컨텐츠 제공 장치(180)는 통신망을 통해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152)로 음원 데이터 파일 등록 여부 확인 요청을 전송한다. 물론 이때 당해 음원 데이터 파일의 등록 여부 뿐 아니라 등록 시간 등의 부가 정보에 대한 확인 요청도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152)는 단계 415를 통해 수신된 음원 데이터 파일 등록 여부 확인 요청과 상응하는 음원 데이터 파일의 등록 여부를 확인한 후, 단계 420으로 진행하여 당해 음원 데이터 파일의 등록 여부에 대한 확인 결과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컨텐츠 제공 장치(180)로 전송한다.
단계 415 및 단계 420을 통해 이루어지는 음원 데이터 파일 등록 여부의 확인 과정에 대해 다시 한번 설명하면, 컨텐츠 제공 장치(180)는 음원 데이터 파일의 등록을 위해 우선 모든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152)에 대해 당해 음원 데이터 파일 등록 여부에 대한 확인 요청을 전송한다.
물론 이 경우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152)간에 부정합(즉,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152)간 음원 데이터 파일 등록의 불일치)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정합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그러나, 위에 제시된 방법과 달리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152)를 이동 통신 서비스 가입자의 전화 번호 기준으로 구분하여 수용하는 구조로 운용하는 경우(즉, 서비스별 구분이 아닌 가입자별 구분으로, 이 경우 서비스는 공동으로 수용될 수 있음)에는 가입자별로 구분된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152)에 대해서만 단계 415 및 단계 420을 수행하면 된다.
또한, 이는 이하에서 설명될 음원 데이터 파일 등록 과정이나 음원 데이터 파일 삭제 과정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425에서 컨텐츠 제공 장치(180)는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152)에서 등록되어야 할 음원 데이터 파일을 통신망을 통해 음원 데이터 파일을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152)로 전송하고, 전송된 당해 음원 데이터 파일의 등록 요청 정보를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152)로 전송한다.
단계 430에서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152)는 단계 425를 통해 수신된 음원 데이터 파일의 등록 요청에 상응하여, 함께 수신된 음원 데이터 파일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그리고, 단계 435로 진행하여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152)는 단계 430을 통해 수행된 음원 데이터 파일의 등록 결과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컨텐츠 제공 장치(180)로 전송한다.
단계 425 내지 단계 430을 통해 이루어지는 음원 데이터 파일 등록 과정을 다시 한번 더 설명하면, 이는 컨텐츠 제공자(Contents Provider)의 이동 통신 서비스 가입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등록 요청된 음원 데이터 파일을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152)로 전송하고 당해 음원 데이터 파일을 등록하기 위한 과정이다.당해 음원 데이터 파일의 전송 방법은 소켓 메시지(Socket Message) 전송 방식만을 적용하는 방법, 소켓 메시지(Socket Message)와 FTP(File Transfer Protocol)을 공동으로 적용하는 방법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다량의 음원 데이터 파일이 전송되는 경우에는 상용 FTP를 이용하여 전송하도록 하고, 이동 통신 서비스 가입자의 선택이 있는 경우에 소켓 메시지로 등록을 요청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소켓 메시지(Socket Message) 전송 방식만을 적용하는 방법의 경우에는 음원 데이터 파일과 음원 데이터 파일의 등록 요청 정보가 동일 컨넥션(connection)을 통해 전송된다.
물론, 음원 데이터 파일은 음원 데이터 파일의 등록 요청 정보와 동일 컨넥션(connection)이 아닌 별도의 컨넥션(connection)을 통해 전송되도록 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각각의 컨넥션(connection)을 통해 전송된 데이터의 일치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알고리즘이 필요시된다.
도 4에 도시된 데이터 흐름도상에 앞서 설명한 음원 데이터 파일 등록 과정외에 이미 등록된 음원 데이터 파일의 삭제 과정이 더 포함될 수 있으나, 음원 데이터 파일의 삭제 과정은 단계 425 내지 단계 435를 통해 설명한 음원 데이터 파일의 등록 과정과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A-Mode에서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발신시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로의 접속까지의 호처리 단계를 나타낸 데이터 흐름도이다.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부가 서비스 유형 중 A-Mode는 발신자가 부가 서비스를 등록하고 발신자가 서비스를 이용하게 되는 부가 서비스 형태를 말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임의의 발신자의 사용자 단말기(110)(이하, 발신 단말기 라 칭함)가 임의의 발신 이동 교환기(120)의 관할 영역에 진입하게 되면, 발신 이동 교환기(120)는 단계 511을 통해 당해 발신 단말기를 등록하기 위해 홈 위치 등록기(135)로 발신 단말기 등록 요청을 전송한다.
단계 513에서 홈 위치 등록기(135)는 단계 511의 발신 단말기 등록 요청과 상응하는 이동 통신 서비스 가입자 정보(즉, 발신자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발신 이동 교환기(120)로 전송한다.발신 이동 교환기(120)는 단계 513을 통해 수신되는 발신자 정보를 방문자 위치 등록기(Visitor Location Register)(도시되지 않음)에 저장한다.
발신 이동 교환기(120)가 단계 515를 통해 임의의 발신자의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전송되는 임의의 착신자와의 전화 통화를 위한 호 접속 신호를 수신하면, 단계 517로 진행하여 지능망 교환기(130)로 통화로 설정 요청(ISUP IAM)을 전송한다. 이때 당해 이동 통신 서비스 가입자의 위치정보를 함께 전송한다.단계 519에서 지능망 교환기(130)는 당해 발신자가 A-Mode 부가 서비스 이용자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통신망을 통해 지능망 가입자 관리 시스템(WIN-SCP : Wireless Intelligent Network - Service Control Point)(510)으로 서비스 라우팅 정보 요청(Routing Request)을 전송한다.
지능망 가입자 관리 시스템(510)은 단계 521에서 당해 발신자가 A-Mode 부가 서비스 이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단계 523으로 진행하여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152)로 라우팅하기 위한 정보(예를 들어, 프리픽스(Prefix), 라우팅 디지트(Routing Digit) 등)를 통신망을 통해 지능망 교환기(130)로 전송한다.단계 525에서 지능망 교환기(130)는 단계 523을 통해 수신한 서비스 라우팅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망(즉, No. 7망)을 통해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152)로 음성 채널 설정 요청을 전송한다.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152)는 단계 527에서 부가 서비스 제어 서버(154)와 연계하여 발신 단말기로 전송할 음원 데이터 파일을 선택하고, 단계 529로 진행하여 지능망 교환기(130)로 통신망을 통해 채널 설정 응답(예를 들어, 어드레스 완료 메시지(ACM : Address Complete Message), 응답 메시지(ANM : Answer Message)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메시지의 간략화를 위해 콘(CON) 메시지를 사용할 수 있음)을 전송한다.단계 527과 관련해서는 이후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531에서 지능망 교환기(130)는 채널 설정 응답을 통신망을 통해 발신 이동 교환기(120)로 전송한다.
이후, 단계 533을 통해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152)는 단계 527을 통해 선택된 음원 데이터 파일을 통신망을 통해 발신자 단말기로 전송하며, 발신자 단말기에서는 단계 533을 통해 수신된 음원 데이터 파일에 해당하는 대체음이 링백톤(Ring-Back Tone)으로 된다.
이와 동시에 지능망 교환기(130)는 단계 535에서 착신 단말기(즉, 착신자의 사용자 단말기)와의 통화로 연결을 위해 착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 요청을 전송한다.
단계 537에서 홈 위치 등록기(135)는 착신 단말기가 등록된 착신 이동 교환기(125)로 통화로 설정을 위한 임시 채널 번호(TLDN : Temporary Local Directory Number) 요청을 전송한다.
착신 이동 교환기(125)는 유휴 상태의 통화 회선을 확인한 후, 단계 539에서통신망을 통해 홈 위치 등록기(135)로 해당 임시 채널 번호(TLDN)를 전송한다.단계 541에서 홈 위치 등록기(135)는 단계 539를 통해 착신 이동 교환기(125)로부터 수신한 임시 채널 번호(TLDN)를 통신망을 통해 지능망 교환기(130)로 전송한다.
단계 543에서 지능망 교환기(130)는 착신 이동 교환기(125)로 통신망을 통해 음성 통화 채널 설정 요청을 전송한다.
착신 이동 교환기(125)는 단계 545에서 착신 단말기 확인 작업을 수행하고, 단계 547로 진행하여 지능망 교환기(130)로 착신 단말기 확인 작업 결과(즉, 어드레스 완료 메시지(ACM : Address Complete Message), 응답 메시지(ANM : Answer Message) 등)를 전송한다.
단계 545 내지 단계 547을 통해 수행되는 착신 단말기 확인 작업에 대해 다시 한번 설명하면, 착신 이동 교환기(125)는 착신 이동 교환기(125)와 통신망을 통해 결합된 기지국 제어기(BSC : Base Station Controller), 기지국(BTS : Base Transceiver Station) 등을 통해 착신 단말기를 찾기 위한 메시지(Paging)를 전송한다.착신 단말기가 당해 메시지(Paging)에 응답하면, 착신 이동 교환기(125)는 통신망을 통해 지능망 교환기(130)로 어드레스 완료 메시지(ACM)를 전송하고, 착신자가 착신 요청에 응답하면 착신 이동 교환기(125)는 지능망 교환기(130)로 응답 메시지(ANM)를 전송한다.
단계 549에서 지능망 교환기(130)는 발신 단말기로 음원 데이터 파일을 송출하고 있는 음성 채널 해제 요청을 통신망을 통해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152)로 전송한다.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152)는 발신 단말기로 음원 데이터 파일을 송출하고 있는 음성 채널을 해제하고, 단계 551을 통해 당해 음원 데이터 송출 채널 해제 응답 메시지를 통신망을 통해 지능망 교환기(130)로 전송한다.
이로서, 발신 단말기와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152)간에 설정된 음원 데이터의 송출을 위한 음성 채널이 해제되고, 발신자 단말기와 착신자 단말기간에 통화로가 형성되어 상호간에 통화가 이루어지게 된다(단계 553).또한, 단계 553이후의 단계로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발신자와 착신자간의 전화 통화가 종료되면 발신 이동 교환기(120)로부터 지능망 교환기(130)로 절단 메시지(REL : Release Message)를 전송하여 절단 요청을 하고, 지능망 교환기로부터 착신 이동 교환기(125)로 절단 메시지(REL)를 전송하여 절단 요청을 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그 이후의 단계로서 지능망 교환기(130)로부터 발신 이동 교환기(120)로, 그리고 착신 이동 교환기(125)로부터 지능망 교환기로 절단 완료 메시지(RLC : Release Complete Message)를 전송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타 사업자 망으로의 착신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단계 535 내지 단계 541은 생략될 수 있으며, 타 사업자 망의 교환기로 채널 설정을 요청하여 처리될 수 있다.그리고, 도 5에 도시된 순서도는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152)가 임의의 모든 가입자를 수용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것이며, 만일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152)가 이동 통신 서비스 가입자 전화번호를 기준으로 운용되는 경우라면 지능망 가입자 관리 시스템(510)에서 지능망 교환기로 해당 이동 통신 서비스 가입자를 수용하고 있는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152)로 라우팅(Routing)할 수 있는 라우팅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해당 가입자가 수용된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152)로의 연결 설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152)는 지능망 교환기(130)와 물리적으로 반드시 직접 연동될 필요는 없으며, 자원의 효율적 이용 및 네트웍 상황을 고려하여 지능망 교환기(130)에서 음원 송출을 위한 채널 설정을 교환기로 요청하고, 교환기와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152)와 연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B-Mode에서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발신시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로의 접속까지의 호처리 단계를 나타낸 데이터 흐름도이다.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부가 서비스 유형 중 B-Mode는 착신자가 등록하고 발신자가 서비스를 이용하는 부가 서비스 형태를 말하며, 이동 통신 서비스 가입자의 등록시 고객 관리 시스템(165)에서 홈 위치 등록기(135)에 B-Mode' 서비스를 등록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임의의 착신자의 사용자 단말기(110)(이하, 착신 단말기 라 칭함)가 임의의 착신 이동 교환기(125)의 관할 영역에 진입하게 되면, 단계 611에서 착신 이동 교환기(125)는 단계 611을 통해 착신 단말기(610)로부터 위치 등록 요청을 수신한다.단계 613에서 착신 이동 교환기(125)는 착신 단말기 위치 등록 요청을 홈 위치 등록기(135)로 전송하고, 단계 615에서 홈 위치 등록기(135)는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152)로 라우팅하기 위한 정보(예를 들어, 프리픽스(Prefix), 라우팅 디지트(Routing Digit) 등) 및 서비스 가입자 정보(예를 들어, 당해 가입자의 부가 서비스 유형 등)를 통신망을 통해 착신 이동 교환기(125)로 전송한다.
이를 통해 착신 이동 교환기(125)는 방문자 위치 등록기에 당해 이동 통신 서비스 가입자의 부가 서비스 유형 및 라우팅 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발신 이동 교환기(120)가 단계 617을 통해 임의의 발신자의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전송되는 착신자와의 전화 통화를 위한 호 접속 신호를 수신하면, 단계 619로 진행하여 홈 위치 등록기(135)로 착신 단말기 위치 정보 요청(즉, 착신 단말기(610)가 위치한 착신 이동 교환기 정보)을 전송한다.
홈 위치 등록기(135)는 단계 617을 통해 수신한 착신 단말기 위치 정보 요청과 상응하는 착신 이동 교환기를 검색하고, 단계 621로 진행하여 검색된 착신 이동 교환기(125)로 임시 채널 번호 요청을 전송한다.
착신 이동 교환기(125)는 유휴 상태의 통화 회선을 확인한 후, 단계 623에서 통신망을 통해 홈 위치 등록기(135)로 해당 임시 채널 번호(TLDN)를 전송한다.
단계 625에서 홈 위치 등록기(135)는 착신 이동 교환기(125)로부터 수신한 임시 채널 번호를 통신망을 통해 발신 이동 교환기(120)로 전송한다.
단계 627에서 발신 이동 교환기(120)는 음성 채널 설정 요청을 통신망을 통해 착신 이동 교환기(125)로 전송한다.
착신 이동 교환기(125)는 단계 631에서 발신 이동 교환기(120)로부터 수신한 음성 채널 설정 요청에 상응하는 어드레스 완료 메시지(ACM)를 통신망을 통해 발신 이동 교환기(120)로 전송하고, 단계 633을 통해 착신 단말기(610)에 호 설정 및Alerting 메시지를 전송한다.또한, 착신 이동 교환기(125)는 단계 635에서 음원 데이터 파일의 송출을 위한 음성 채널 설정 요청을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152)로 전송한다.
단계 637에서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152)는 단계 635를 통해 수신한 음성 채널 설정 요청에 상응하여 채널 설정 응답(예를 들어, 어드레스 완료 메시지(ACM : Address Complete Message), 응답 메시지(ANM : Answer Message)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메시지의 간략화를 위해 콘(CON) 메시지를 사용할 수 있음)을 통신망을 통해 착신 이동 교환기(125)로 전송한다.
단계 639에서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152)는 발신자 단말기로 착신자가 미리 지정한 음원 데이터 파일을 전송하여, 당해 음원 데이터 파일에 해당하는 대체음이 링백톤(Ring-Back Tone) 대신에 출력되도록 한다.착신 이동 교환기(125)는 단계 641에서 착신 단말기(610)로부터 착신 연결 신호를 수신하면, 단계 643에서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152)로 절단 메시지(REL : Release Message)를 전송하여 절단 요청을 한다.
그리고, 착신 이동 교환기(125)는 단계 645에서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152)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절단 완료 메시지(RLC : Release Complete Message)가 수신되면, 단계 647로 진행하여 발신 이동 교환기(120)로 응답 메시지(ANM)를 전송한다.
이로서, 발신 단말기와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152)간에 설정된 음원 데이터의 송출을 위한 음성 채널이 해제되고, 발신자 단말기와 착신자 단말기간에 통화로가 형성되어 상호간에 통화가 이루어지게 된다(단계 649).
이제까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각 부가 서비스 유형에서의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발신시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로의 접속까지의 호처리 단계를 참조하면, K-Mode' 서비스의 경우에도 교환기, 홈 위치 등록기(135)에서 가입자 정보 및 네트웍 공용 시스템(150)으로 라우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설계되기만 하면, 네트웍 공용 시스템(150)에서 공통의 서비스로 수용할 수 있게 된다.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와 부가 서비스 제어 서버간의 호 처리 절차를 나타낸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계 710에서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152)와 부가 서비스 제어 서버(154)는 각 시스템간의 연결 상태 및 대상 시스템 서비스 운용 상태를 확인한다.
단계 710과 관련된 상세한 설명은 앞서 도 3의 단계 310에 관한 설명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단계 720에서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152)는 통신망을 통해 음원 데이터 파일 송출 정보 요청을 부가 서비스 제어 서버(154)로 전송한다. 부가 서비스 제어 서버(154)는 단계 730에서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152)로부터 수신한 음원 데이터 파일 송출 정보 요청과 상응하는 음원 코드를 결정하고, 단계 740으로 진행하여 발신자의 사용자 단말기(110)로 전송되어야 할 음원 데이터 파일의 송출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152)로 전송한다.
단계 720 내지 단계 740에 대해 다시 한번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152)는 교환 시스템(즉, 지능망 교환기(130), 발신 이동 교환기(120), 착신 이동 교환기(125), 관문 교환기(PGS : PCS Gateway System) 등)으로부터 호가 인입되고, 착신번을 이용하여 적합한 부가 서비스 제어 서버(154)를 결정하고 주요 정보(예를 들어, 발신번, 착신번, 단말 위치 정보(기지국 단위 기준), CDR-ID(Call Detailed Record - ID)(즉,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152)의 호자원 아이디)를 당해 부가 서비스 제어 서버(154)로 전송한다.부가 서비스 제어 서버(154)는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152)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서비스 모드 및 서비스 주체 번호를 결정(도 1 설명 부분 참조)한 후, 해당 서비스 모드에 해당되는 서비스 로직(즉, 음원 코드 결정 로직)을 수행하여 사용자 단말기(110)로 송출할 음원 코드를 결정한다.
그리고, 단계 740을 통해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152)로 전송되는 음원 데이터 파일 송출 정보 내에는 음원 코드, 음원 파일의 반복 송출 횟수, 수행된 서비스 로직 아이디, 콜 아이디(Call ID)(즉, 부가 서비스 제어 서버(154)내의 호 자원 아이디), CDR-ID(Call Detailed Record - ID)_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음원 파일 반복 송출 횟수 는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152)에서 음원 데이터 파일이 송출 완료된 후에도 해당 가입자가 응답하지 않아 계속적인 송출이 필요한 경우에, 음원 파일을 반복적으로 송출할 횟수를 의미한다.
음원 파일의 반복 송출이 완료된 이후에는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152)에서는 자원 해제를 교환 시스템으로 요청(ISUP-REL)하게 된다.
수행된 서비스 로직 아이디 는 동일 서비스 모드일지라도 내부적으로 수행되는 서비스 로직이 상이한 경우에는 서로 다른 아이디를 할당하여 전송한다.
CDR-ID'는 단계 720을 통해 수신한 값을 변형 없이 재전송하면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152)에서는 메시지의 상관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된다.
콜 아이디(Call ID)'는 부가 서비스 제어 서버(154)에서 관리하는 호 자원 아이디로서 음원 송출 결과를 보고받기 위해 전송된다. 즉,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152)에서는 콜 아이디 파라미터가 있으면 호 종료 후 진행호에 대한 확인 메시지를 부가 서비스 제어 서버(154)로 전송하고, 콜 아이디 파라미터가 없으면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는다.콜 아이디의 전송은 서비스 모드에 정의된 서비스 로직에 의해 결정된다. 비정상적인 경우로서 단계 720을 통해 음원 데이터 파일 송출 정보 요청을 전송하였으나, 응답이 없거나(Time-out), 에러 응답을 수신하게 되면 서비스의 연속성을 보장하기 위해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152)는 기본 음원 데이터 파일을 사용자 단말기(110)로 송출하게 된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단계 750에서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152)는 단계 740을 통해 수신한 음원 데이터 파일 송출 정보와 상응하는 음원 데이터 파일을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10)로 송출한다.
단계 760에서 부가 서비스 제어 서버(154)에서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서비스 수행 보고 정보(단계 780 관련 설명 참조)가 수신되지 않거나 수신하지 못하는 비정상적인 경우가 발생하면 진행호 확인 요청을 통신망을 통해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152)로 전송한다.
즉, 부가 서비스 제어 서버(154)는 음원 데이터 파일 송출 정보를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152)로 전송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현재 진행되는 호의 유효성을 판단하기 위한 진행 호에 대한 확인 요청을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152)로 전송할 수 있다.이때, 진행호 확인 요청은 CDR-ID, 발신번, 콜 아이디(Call ID)'를 포함할 수 있다.
발신번 은 요청한 호와 일치된 호를 찾기 위한 보조 정보이며,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152)의 호 자원 아이디 및 부가 서비스 제어 서버(154)의 호 자원 아이디인 콜 아이디를 이용하여 요청한 호를 찾을 수 있다.
단계 790에서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152)는 해당 호의 진행 혹은 정지 여부를 판단하여 이에 대한 응답 정보(즉, 진행호 확인 응답)를 통신망을 통해 부가 서비스 제어 서버(154)로 전송한다.
이를 통해 부가 서비스 제어 서버(154)는 진행중인 호에 대해 주기적으로 진행 호에 대한 확인 요청을 전송하여 호의 진행상태를 점검함으로써 메시지 유실에 따른 부가 서비스 제어 서버(154)의 호자원 관리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152)는 단계 750을 통해 음원 데이터 파일의 송출이 완료된 후, 단계 780으로 진행하여 서비스 수행 보고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부가 서비스 제어 서버(154)로 전송한다.단계 780을 통해 부가 서비스 제어 서버(154)로 전송되는 서비스 수행 보고 정보에는 발신번, 착신번, 시작 시간, 종료시간, 콜 아이디, 음원 코드_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발신번 및 착신번 은 호 자원의 일치성 확인을 위한 보조적인 정보이고,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 은 실제 음원 송출 시간을 계산하기 위한 자료이며, 콜아이디 는 서비스 요청 단계(즉, 단계 720 내지 단계 760)와의 상관성 확인을 위한 자료이다.
음원 코드 는 실제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152)에서 송출한 음원 데이터 파일과 상응하는 음원 코드로서, 부가 서비스 제어 서버(154)에서는 이를 통해 당해 음원 데이터 파일의 송출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부가 서비스 제어 서버(154)로부터 단계 740을 통해 전송된 음원 코드와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단계 760을 통해 전송된 음원 코드가 불일치하는 경우에는 시스템의 통계 자료에 별도로 저장하여 시스템 운용시 활용할 수 있다.
부가 서비스 제어 서버(154)는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152)로부터 수신되는 서비스 수행 보고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모드에 따른 추가적인 서비스 로직을 수행하고, 단계 770으로 진행하여 서비스 수행 보고 정보에 대한 응답을 통신망을 통해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152)로 전송한다.
이 경우, 부가 서비스 제어 서버(154)는 필요시 CDR(Call Detailed Record)을 생성하여 과금 처리 시스템(160)으로 전송하며, 생성된 CDR은 과금 수행 이외에도 서비스 통계 등의 서비스 사업에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게 된다.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통화 대기음 시간 동안 서비스 이용자가 설정한 멜로디, 광고 메시지, 개인 PR 메시지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음원을 제공하는 복수개의 부가 서비스를 공동으로 수용할 수 있는 통화 대기음 시간을 이용하여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1)

  1. 발신 이동 교환기, 착신 이동 교환기, 지능망 교환기, 지능망 가입자 관리 시스템, 홈 위치 등록기,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 부가 서비스 제어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발신자의 전화 통화 요청시 통화 대기음 시간을 이용하여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발신 이동 교환기가 상기 발신자의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발신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지능망 가입자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부가 서비스의 유형 정보를 판단하고, 상기 지능망 교환기로 서비스 라우팅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유형 정보는 발신자가 상기 통화 대기음 시간을 통해 부가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발신자가 등록한 정보가 제공되도록 하는 제1 서비스 유형, 착신자가 등록한 정보가 제공되도록 하는 제2 서비스 유형을 포함함-;
    상기 지능망 교환기가 상기 서비스 라우팅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로 음성 채널 설정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부가 서비스 제어 서버에서 상기 유형 정보와 상응하는 서비스 코드를 추출하여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서비스 코드는 음원 데이터 송출, 광고 메시지 송출, 개인 PR 메시지 송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서비스 수행을 위해 미리 지정된 코드임-;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가 상기 서비스 코드와 상응하는 서비스 데이터파일의 송출을 위해 설정된 제1 음성 채널을 통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 송출하는 단계;상기 착신 이동 교환기가 착신자의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응답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가 상기 지능망 교환기의 요청에 상응하여 상기 제1 음성 채널의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간에 전화 통화를 위한 제2 음성 채널이 설정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대기음 시간을 이용한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서비스 제어 서버에서 상기 유형 정보와 상응하는 서비스 코드를 추출하여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서비스 데이터 파일 송출 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서비스 데이터 파일 송출 정보 요청은 발신번, 착신번, 단말 위치 정보, 시디알 아이디(CDR-ID)를 포함함-;상기 서비스 데이터 파일 송출 정보 요청과 상응하는 상기 서비스 코드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되어야할 서비스 데이터 파일의 송출 정보를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송출 정보는 서비스 코드, 서비스 데이터 파일의 반복 송출 횟수, 수행된 서비스 로직 아이디, 콜 아이디(Call-ID), 시디알-아이디(CDR-ID)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함-;
    상기 송출 정보에 상기 콜 아이디(Call-ID)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상기 송출 정보에 상기 콜 아이디(Call-ID)가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서비스 데이터 파일의 송출을 완료한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서비스 수행 보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서비스 수행 보고 정보는 발신번, 착신번, 시작 시간, 종료시간, 콜 아이디(Call-ID), 서비스 코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함-;
    상기 서비스 수행 보고 정보와 상응하는 응답 데이터를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대기음 시간을 이용한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미리 지정된 조건에 상응하여 상기 서비스 수행 보고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로 진행호 확인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미리 지정된 조건은 상기 서비스 제어 장치의 비정상적 동작 상태 또는 미리 지정된 시간 동안 상기 서비스 수행 보고 정보의 미수신이고, 상기 진행호 확인 요청 정보는 발신번, 콜 아이디(Call-ID),시디알 아이디(CDR-ID)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함-;
    상기 콜 아이디(Call-ID)가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진행호 확인 요청과 상응하는 진행호 확인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상기 부가 서비스 제어 장치의 호자원 아이디인 상기 콜 아이디(Call-ID)를 이용하여 요청된 호를 검색하는 단계;상기 콜 아이디(Call-ID)와 상응하여 검색된 호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호의 동작 상태에 대한 상기 진행호 확인 응답을 통신망을 통해 상기 부가 서비스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대기음 시간을 이용한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가 상기 서비스 코드와 상응하는 서비스 데이터 파일의 송출을 위해 설정된 제1 음성 채널을 통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 송출하는 단계는,서비스 데이터 파일 송출 정보 요청을 상기 부가 서비스 제어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부가 서비스 제어 서버로부터 상기 서비스 데이터 파일과 상응하는 송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데이터 파일 중에서 상기 송출 정보와 상응하는 상기 서비스 데이터 파일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서비스 데이터 파일을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 송출하는 단계;
    상기 송출 정보에 상기 콜 아이디(Call-ID)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
    상기 송출 정보에 상기 콜 아이디(Call-ID)가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서비스 데이터 파일의 송출을 완료한 상기 부가 서비스 제어 장치로 서비스 수행 보고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서비스 수행 보고 정보는 발신번, 착신번, 시작 시간, 종료시간, 콜 아이디(Call-ID), 서비스 코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함-;
    상기 서비스 수행 보고 정보와 상응하는 응답 데이터를 상기 부가 서비스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대기음 시간을 이용한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서비스 제어 장치로부터 진행호 확인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진행호 확인 요청 정보는 발신번, 콜 아이디(Call-ID), 시디알 아이디(CDR-ID)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함-;
    상기 진행호 확인 요청 정보 내에 콜 아이디(Call-ID)가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상기 부가 서비스 제어 장치의 호자원 아이디인 상기 콜 아이디(Call-ID)를 이용하여 요청된 호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콜 아이디(Call-ID)와 상응하여 검색된 호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호의 동작 상태에 대한 상기 진행호 확인 응답을 통신망을 통해 상기 부가 서비스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대기음 시간을 이용한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서비스 제어 서버로부터 상기 송출 정보가 수신되지 않거나, 에러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에, 기본 서비스 데이터 파일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기본 서비스 데이터 파일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송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대기음 시간을 이용한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이동 교환기가 착신자의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응답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는,상기 지능망 교환기로부터 상기 제2 음성 채널의 설정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
    상기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상기 지능망 교환기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의 응답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대기음 시간을 이용한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가 상기 지능망 교환기의 요청에 상응하여 상기 제1 음성 채널의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는,
    상기 지능망 교환기로부터 상기 제1 음성 채널의 연결 해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연결 해제 요청에 상응하여 상기 제1 음성 채널의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
    상기 제1 음성 채널의 해제 정보를 상기 지능망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대기음 시간을 이용한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이동 교환기, 상기 착신 이동 교환기, 상기 지능망 교환기가 상기 홈 위치 등록기와 통신망을 통해 결합되고,
    상기 지능망 교환기가 통신망을 통해 상기 지능망 가입자 관리 장치와 결합되며,
    상기 착신 이동 교환기와 상기 지능망 교환기가 통신망을 통해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와 결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대기음 시간을 이용한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서비스는 통화 대기음 시간 동안 서비스 이용자가 설정한 음원 데이터 송출 서비스, 광고 메시지 송출 서비스, 개인 PR 메시지 송출 서비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대기음 시간을 이용한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11. 발신자의 전화 통화 요청시 통화 대기음 시간을 이용하여 발신자 또는 착신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부가 서비스를 발신자에게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의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발신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발신자의 단말기 번호 및 착신자의 단말기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발신자 및 상기 착신자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부가 서비스에 가입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확인 결과 상기 발신자가 상기 부가 서비스에 가입한 경우 상기 부가 서비스에 상응하는 제1 음원 데이터 파일을 선택하는 단계;
    확인 결과 상기 착신자가 상기 부가 서비스에 가입한 경우 상기 부가 서비스에 상응하는 제2 음원 데이터 파일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제1 음원 데이터 파일 또는 상기 제2 음원 데이터 파일을 재생한 음원을 송출하기 위한 제1 음성 채널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제1 음성 채널을 통해 상기 발신자의 단말기로 재생한 음원을 송출하는 단계;
    상기 착신자의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응답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제1 음성 채널을 해제하는 단계;
    상기 발신자의 단말기와 상기 착신자의 단말기간에 전화 통화를 위한 제2 음성 채널이 설정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화 대기음 시간을 이용한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02-0058213A 2002-09-25 2002-09-25 통화 대기음 시간을 이용하여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있는 공통의 통신 네트웍 환경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483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8213A KR100483743B1 (ko) 2002-09-25 2002-09-25 통화 대기음 시간을 이용하여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있는 공통의 통신 네트웍 환경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8213A KR100483743B1 (ko) 2002-09-25 2002-09-25 통화 대기음 시간을 이용하여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있는 공통의 통신 네트웍 환경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9244A true KR20040029244A (ko) 2004-04-06
KR100483743B1 KR100483743B1 (ko) 2005-04-19

Family

ID=37330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8213A KR100483743B1 (ko) 2002-09-25 2002-09-25 통화 대기음 시간을 이용하여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있는 공통의 통신 네트웍 환경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374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01592A1 (en) * 2004-06-29 2006-01-05 Ti Square Technology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osing unified channel for variety communications in mobile network
WO2006001593A1 (en) * 2004-06-29 2006-01-05 Ti Square Technology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voice message in mobile network
KR100653042B1 (ko) * 2005-09-27 2006-12-0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망에서의 음악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669993B1 (ko) * 2004-10-25 2007-01-16 (주)제너시스템즈 발신자 표시 서비스/rbt서비스에 기초하여 추가 정보를단계적으로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07033556A1 (fr) * 2005-09-21 2007-03-29 Huawei Technologies Co., Ltd. Procede pour controler la maniere de recevoir les numeros des ssp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5961B1 (ko) * 1999-07-16 2002-03-07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정보제공방법 및 그 장치
KR20010108937A (ko) * 2000-06-01 2001-12-08 채경민 이동통신시스템의 호 발신음 발생 방법 및 그 장치
KR20020015869A (ko) * 2000-08-23 2002-03-02 김대기 지능망을 이용한 음성전화광고방법
KR20040017438A (ko) * 2002-08-21 2004-02-27 서원호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01592A1 (en) * 2004-06-29 2006-01-05 Ti Square Technology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osing unified channel for variety communications in mobile network
WO2006001593A1 (en) * 2004-06-29 2006-01-05 Ti Square Technology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voice message in mobile network
KR100669993B1 (ko) * 2004-10-25 2007-01-16 (주)제너시스템즈 발신자 표시 서비스/rbt서비스에 기초하여 추가 정보를단계적으로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07033556A1 (fr) * 2005-09-21 2007-03-29 Huawei Technologies Co., Ltd. Procede pour controler la maniere de recevoir les numeros des ssp
CN101156462B (zh) * 2005-09-21 2011-09-2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控制业务交换点收号方式的方法
KR100653042B1 (ko) * 2005-09-27 2006-12-0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망에서의 음악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83743B1 (ko) 2005-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08266B1 (en)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means for transmitting internet addresses via sms
US733677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resenting and changing ring-back sounds in subscriber-based ring-back sound service
EP1420605B1 (en) Implementing roaming call to foreign intelligent client
AU4590697A (en) Rerouting an incoming call to a ported telecommunications terminal
US20060135158A1 (en) Method for controlling routing information for intellectual peripherals in subscriber-based ring-back-tone-service
KR20000072050A (ko)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정보제공방법 및 그 장치
KR100393553B1 (ko) 착신 미가입자에 대한 발신시 가입자 기반 링백톤 서비스방법
WO2004023833A1 (en) Method of managing trunk and querying and ascertaining ring-back sound to provide ring-back sound in subscriber-based ring-back sound service
KR20020097075A (ko) 교환기 음원 송출을 통한 가입자 기반 링백톤 서비스 방법
US20040235462A1 (en) Notification of calling party when mobile called party becomes available
KR20050075830A (ko)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제공 시스템및 그 방법
KR100483743B1 (ko) 통화 대기음 시간을 이용하여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있는 공통의 통신 네트웍 환경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6522741B1 (en) Hybrid network call delivery routing using a serving switching element point code and temporary destination location number
KR100526684B1 (ko) 번호 이동성 서비스에서 사업자 정보 제공방법
KR100362975B1 (ko) 무선 환경에서 지능 전화망의 강화된 서비스를 가능하게하는 방법 및 장치
EA007376B1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передачи короткого сообщения
KR101152034B1 (ko) 세대간 착신전환 상태에서 영상 통화 연결 방법, 그 시스템및 홈 위치 등록기
KR20030024466A (ko)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링백톤 대체음 발생장치 및 방법
US5970409A (en) Protocol for local routing of calls coming from the switched telephone network in a cellular network
KR100876795B1 (ko) 소프트 스위치를 이용하여 지능망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392770B1 (ko) 시스템 라우팅 데이터를 이용한 가입자 기반 링백톤서비스 방법
US7356038B2 (en) Systems and method for a communications broker
KR100394977B1 (ko) 홈위치 등록기의 제어를 통한 가입자 기반 링백톤 서비스방법
KR100685513B1 (ko)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의 통화 연결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630623B1 (ko) 링백톤 대체음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