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2050A -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정보제공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정보제공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2050A
KR20000072050A KR1020000040564A KR20000040564A KR20000072050A KR 20000072050 A KR20000072050 A KR 20000072050A KR 1020000040564 A KR1020000040564 A KR 1020000040564A KR 20000040564 A KR20000040564 A KR 20000040564A KR 20000072050 A KR20000072050 A KR 200000720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ervice
call
subscriber
ca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0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5961B1 (ko
Inventor
최경묵
김도식
Original Assignee
최경묵
주식회사 기세정보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경묵, 주식회사 기세정보통신 filed Critical 최경묵
Priority to KR1020000040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5961B1/ko
Priority to EP00942521A priority patent/EP1201049A4/en
Priority to AU57131/00A priority patent/AU5713100A/en
Priority to CN00812634A priority patent/CN1373946A/zh
Priority to PCT/KR2000/000770 priority patent/WO2001006679A1/en
Priority to JP2000216698A priority patent/JP2001094669A/ja
Publication of KR20000072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2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5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59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4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for time-division multiplexing
    • H04Q11/0428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i.e. systems for transmission of different types of digitised signals, e.g. speech, data, telecentral, television signals
    • H04Q11/0435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348Location-based services which utiliz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a targ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87Arrangements for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s, e.g. recorded voice services or time announcements
    • H04M3/4872Non-interactive information services
    • H04M3/4878Advertisement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35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information services provided via a voice call
    • H04M2203/353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information services provided via a voice call where the information comprises non-audio but is provided over voice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7/00Type of exchange or network, i.e. telephonic medium, in which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takes place
    • H04M2207/18Type of exchange or network, i.e. telephonic medium, in which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takes place wireless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7/00Type of exchange or network, i.e. telephonic medium, in which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takes place
    • H04M2207/20Type of exchange or network, i.e. telephonic medium, in which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takes place hybrid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0Centralised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or busy subscribers ;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 H04M3/53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incoming messages, i.e. mailbox systems
    • H04M3/5322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incoming messages, i.e. mailbox systems for recording text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12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for working between exchanges having different types of switching equipment, e.g. power-driven and step by step or decimal and non-decim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07Call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098Mobile subscri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103Memo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176Common channel signaling, CCS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196Connection circuit/link/trunk/junction, bridge, router, gatew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204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206User-to-user signaling, U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209ISD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292Time division multiplexing, TD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294CDMA, code division multiplexing, i.e. combinations of H04Q2213/13291 and/or H04Q2213/13292 with space divi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345Intelligent networks, SC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389LAN,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405Dual frequency signaling, DTM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546Intelligent Peripher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Abstract

본 발명은 호설정 요구를 실행한 후의 착신응답 대기시간 동안에 발신자에 대하여 다양한 실시간 맞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해주는 통신시스템에서의 통화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교환기(1)와 연동하여 발신 가입자에게 서비스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제공시스템(4)이 제공된다. 이 정보제공시스템(4)은 인터넷 접속기능을 구비함과 더불어 단문메시지 서비스센터(2)와 소정의 통신망을 통해 결합되게 된다. 통신가입자는 인터넷을 통해 정보서비스 회원으로서 가입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회원가입상태는 홈 위치등록기에 서비스제공 정보로서 저장된다. 서비스 가입자가 발신을 하는 경우, 교환기(1)는 홈 위치등록기(3)의 등록정보를 근거로 정보제공시스템(4)과 연동하여 해당 발신 가입자에 대한 서비스정보 제공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서비스정보 제공은 착신 가입자가 응답을 할 때 까지 실행되게 된다. 또한, 정보제공시스템(4)은 발신 가입자에 대하여 상세한 서비스정보를 추가로 획득하기 위한 억세스정보를 제공한다. 이 억세스정보로서는 전화번호나 URL 정보가 포함된다. 그리고, 이러한 억세스정보는 단문메시지 서비스를 통해 발신 가입자에게 제공된다. 서비스 가입자가 수신하게 되는 서비스정보는 인터넷을 통해 선택 가능하고, 또한 서비스 가입자정보나 서비스 가입자의 현 위치정보에 따라 선택된다.

Description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ustomized information during call setup process in telecommunication systems}
본 발명은 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호설정 요구를 실행한 후의 착신응답 대기시간동안에 발신자에 대하여 다양한 실시간 맞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해주는 통신시스템에서의 통화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신기술이 급속도로 발전되면서 다양한 형태의 통신시스템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즉, 종래에는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을 이용한 유선통신시스템이 통신시스템의 근간을 이루었는데 반하여, 최근에는 ISDN(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이나 WLL(Wireless Local Loop) 시스템이 폭넓게 보급되고 있고, 또한 개인이 이동중에 통화를 실행할 수 있는 개인이동통신 시스템이 급속도로 보급되고 있다.
특히, 개인이동통신 시스템의 발전은 주목할 만하다. 이동통신 시스템은 아날로그 방식으로부터 시작하여 최근에는 디지탈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및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이 보편화되어 있고, 동영상 데이터까지 효과적으로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이른 바 "IMT-2000"에 대해서 급속도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또한,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등의 무선인터넷 기술이 개발되면서 이동단말기에 웹 브라우저(Web browsers)를 탑재하여 가입자가 이동단말기를 통해 웹상의 자원을 억세스하는 일이 일반화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기술적 진보는 통신단말기를 단순한 통신수단이 아닌 정보획득의 수단으로서 변모시키고 있다.
일반적으로, 통신단말기를 통한 정보의 획득은 사용자의 능동적인 단말기 조작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즉, 사용자가 통신단말기를 조작하여 자원을 억세스함으로써 원하는 정보를 얻고 있다. 이러한 정보획득방법은 개인용 컴퓨터와 같이 키보드를 구비하고 있는 장치의 경우에는 유용할 것이다. 그러나, 전화기나 이동단말기의 경우에는 키보드를 구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원활한 자원억세스가 불가능하다. 즉, 일반 전화기나 이동단말기를 정보획득수단으로서 사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그리고, 이러한 사용상의 불리함은 전화기나 이동단말기의 이용확대에 제한이 되게 되므로 적절한 해결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이용자가 통신단말기를 통하여 획득할 수 있는 정보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다. 이들 정보는 지식정보, 뉴스정보, 증권이나 채권 등과 관련된 금융정보, 단전이나 단수안내 등과 같은 공지사항 정보, 마케팅을 위한 광고정보, 입찰정보, 기업정보 등 매우 방대한 양에 이르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정보의 양은 인터넷의 확산과 더불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되고 있다. 여기서, 지식정보나 입찰정보, 또는 기업정보 등과 같이 대량의 데이터 전송이 수반되는 정보의 경우에는 안정된 통신환경과 적절한 디스플레이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통신단말기, 예컨대 개인용 컴퓨터를 통해 획득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에 대하여, 뉴스정보와 금융정보, 공지사항정보, 광고정보와 같이 실시간적인 자료가 요구되는 정보의 경우에는 일반전화기나 이동통신 단말기, 특히 사용자가 항상 휴대하게 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임의의 장소, 임의의 시간에 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전화기나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에는 키보드 등과 같은 적절한 데이터 입력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고,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에는 그 특성상 사용자가 이동하면서 통신을 실행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이를 이용하여 실시간 정보를 획득한다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더욱이, 공지사항 정보나 광고정보 등의 경우에는 해당 정보가 있는지의 여부조차 사용자가 확인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이러한 정보를 사용자가 적시에 확인하여 획득한다는 것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이용자가 전화기,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다이얼링, 즉 호설정 요구를 실행하는 경우에 해당 호설정 요구에 대한 착신응답 대기시간 동안 이용자에게 소정의 실시간 맞춤 정보를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발신자가 실시간 정보를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도록 해주는 통신시스템에서의 통화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장치의 기본 개념 및 정보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 구성도.
도 3은 도 2에서 정보제공시스템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제공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처리흐름도.
도 10은 도 3에서 정보 서비스처리 서브시스템(IPS)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11은 지능망을 이용하여 정보제공장치를 구성한 경우를 나타낸 시스템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 : 교환기, 2 : 단문메시지 서비스센터,
3 : 홈 위치등록기, 11 : 방문가입자 위치등록기,
4 : 정보제공시스템.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통신시스템에서의 통화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방법은 다수의 교환기를 구비하고, 발신 가입자에 대하여 호처리를 실행함으로써 발신 가입자와 착신측이 통신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발신 가입자로부터 호요구를 수신하는 호요구 수신단계와, 발신 가입자가 정보서비스 가입자인지를 판단하는 가입자 판단단계, 상기 가입자 판단단계에서 정보서비스 가입자로 판정된 경우에는 소정의 서비스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단계, 상기 가입자에 대하여 호처리를 실행하는 호처리단계 및, 착신 측으부터 응답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발신 가입자와 착신측을 결합시키는 호접속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통신시스템에서의 통화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방법은 다수의 교환기를 구비하고, 발신자에 대하여 착신처리를 실행함으로써 발신자와 착신자가 통신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발신자로부터 호요구를 수신하는 호요구 수신단계와, 발신자가 정보서비스 가입자인지를 판단하는 가입자 판단단계, 상기 가입자 판단단계에서 정보서비스 가입자로 판정된 경우에는 소정의 서비스정보를 억세스하기 위한 억세스정보를 제공하는 억세스정보 제공단계, 상기 발신자에 대하여 착신처리를 실행하는 착신처리단계 및, 착신측으로부터 착신응답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발신자와 착신측을 결합시키는 호접속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통신시스템에서의 통화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장치는 정보서비스 가입자에 대하여 소정의 호중계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홈 위치등록기와, 방문가입자에 대한 상기 홈 위치등록기의 등록정보가 저장됨과 더불어, 발신번호에 대응하여 해당 발신호가 홈 위치등록기의 조회가 필요한 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방문가입자 위치등록기, 통신망을 구성함과 더불어, 발신자와 착신자와의 호처리를 실행하고, 발신호에 대하여 상기 방문가입자 위치등록기를 조회하며, 홈 위치등록기의 조회가 필요한 발신자에 대해서는 홈 위치등록기로부터 제공되는 중계정보를 이용하여 호중계처리를 실행하는 교환기 및, 발신 가입자로부터의 호를 착신측으로 중계하는 경로제어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교환기로부터 중계된 호의 발신 가입자에 대하여 소정의 서비스정보를 제공하고, 착신측으로부터의 착신응답에 대응하여 상기 발신 가입자를 착신측으로 연결제어하는 정보제공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통신시스템에서의 통화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장치는 정보서비스 가입자에 대하여 소정의 호중계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홈 위치등록기와, 방문가입자에 대한 상기 홈 위치등록기의 등록정보가 저장됨과 더불어, 발신번호에 대응하여 해당 발신호가 홈 위치등록기의 조회가 필요한 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방문가입자 위치등록기, 통신망을 구성함과 더불어, 발신자와 착신자와의 호처리를 실행하고, 발신호에 대하여 상기 방문가입자 위치등록기를 조회하며, 홈 위치등록기의 조회가 필요한 발신자에 대해서는 홈 위치등록기로부터 제공되는 중계정보를 이용하여 호중계처리를 실행하고, 착신번호를 근거로 착신호를 실행하며, 착신측으로부터 착신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발신 가입자를 착신측과 호접속하는 교환기 및, 상기 교환기를 통해 결합되는 발신 가입자에 대하여 소정의 서비스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관점에 따른 통신시스템에서의 통화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장치는 정보서비스를 위한 경로제어기능을 구비하는 제1 교환기와, 정보서비스를 위한 경로제어기능을 구비하지 않은 제2 교환기 및, 상기 제1 및 제2 교환기와 중계선을 통해 결합됨과 더불어, 발신 가입자로부터의 호를 착신측으로 중계하는 경로제어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교환기로부터 중계된 호의 발신 가입자에 대하여 소정의 서비스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정보제공시스템은 제2 교환기로부터의 중계호에 대해서 선택적으로 착신처리를 실행하고, 착신측으로부터의 착신응답에 대응하여 상기 발신 가입자를 착신측으로 호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보제공장치는 인터넷과 단문메시지 서비스센터에 접속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보제공시스템은 중계선을 통해 교환기와 결합됨과 더불어, 호중계 및 접속기능을 구비하고, 교환기로부터 중계된 발신호에 대하여 적어도 발신번호를 포함하는 정보서비스 요구 메시지를 정보서비스 제어/관리 서브시스템으로 송신하며, 정보서비스 제어/관리 서브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정보서비스 설정응답 메시지에 따라 발신 가입자에게 서비스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서비스처리 서브시스템과, 가입자정보와 서비스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 베이스를 구비함과 더불어, 상기 정보서비스 요구 메시지에 대하여 적어도 정보 ID를 포함하는 정보서비스 설정응답 메시지를 정보서비스처리 서브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정보서비스 제어/관리 서브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정보서비스처리 서브시스템은 소정의 번호번역 테이블을 구비하여, 정보서비스 요구 메시지의 전송과 더불어 발신호에 대한 착신처리를 수행하고, 착신응답에 대응하여 발신 가입자와 착신측을 호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관점에 따른 통신시스템에서의 통화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장치는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고, 해당 가입자가 정보서비스 가입자인지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구비하고 있는 가입자정보 저장수단과, 통신망을 구성함과 더불어, 발신자와 착신자와의 호처리를 실행하고, 발신자가 상기 정보서비스 가입자인 경우에는 해당 호를 지능망으로 중계하는 교환기 및, 지능망을 구성함과 더불어, 발신 가입자에 대한 서비스정보를 구비하는 서비스 콘트롤 파트와, 발신 가입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정보가 저장되는 지능형 주변장치 및, 발신 가입자에 대한 호처리를 실행하는 서비스 스위칭 파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서비스 스위칭 파트는 교환기로부터의 중계호에 대하여 적어도 발신번호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서비스 콘트롤 파트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콘트롤 파트는 서비스 스위칭 파트를 제어하여 발신 가입자를 지능형 주변장치로 결합시킴과 더불어 지능형 주변장치가 소정의 서비스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서비스 스위칭 파트는 착신측으로부터 착신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발신 가입자를 착신측과 호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교환기와 연동하여 발신 가입자에게 서비스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제공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정보제공시스템은 인터넷 접속기능을 구비함과 더불어 단문메시지 서비스센터와 소정의 통신망을 통해 결합되게 된다. 통신가입자는 인터넷을 통해 정보서비스 회원으로서 가입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회원가입상태는 홈 위치등록기에 서비스제공 정보로서 저장된다. 서비스 가입자가 발신을 하는 경우, 교환기는 홈 위치등록기와 연동하여 호를 정보제공시스템에 결합시키고, 정보제공시스템은 해당 발신 가입자에 대한 서비스정보 제공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서비스정보 제공은 착신 가입자가 응답을 할 때 까지 실행되게 된다. 또한, 정보제공시스템은 발신 가입자에 대하여 상세한 서비스정보를 추가로 획득하기 위한 억세스정보를 제공한다. 이 억세스정보로서는 전화번호나 URL 정보가 포함된다. 그리고, 이러한 억세스정보는 단문메시지 서비스를 통해 발신 가입자에게 제공된다. 서비스 가입자가 수신하게 되는 서비스정보는 인터넷을 통해 선택 가능하고, 또한 서비스 가입자정보나 서비스 가입자의 현 위치정보에 따라 선택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의 망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로서, 이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기본적인 개념을 설명한다.
도 1의 이동통신망에 있어서는 통화로를 절체하기 위한 다수의 교환기(EX: EX1∼EXn)가 구비된다. 그리고, 각 교환기(EX)는 E1 링크를 통해 상호 결합되게 된다. 또한, 상기 각 교환기(EX)에는 다수의 기지국 제어기(BSC:Base Station Controller) (BC: BC1∼BCn)가 결합되고, 기지국 제어기(BC)에는 각각 다수의 기지국(BS)(BS: BS1∼BSn)이 결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각 기지국(BS)은 공중파 전송망을 통하여 다수의 단말기(MS)와 결합되게 되는데, 이때 기지국(BS)과 단말기(MS)는 TDMA나 CDMA 방식으로 결합되게 된다.
또한, 상기 각 교환기(EX)는 소정의 게이트웨이(Gateway:G1∼G3)를 통해서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이나 ISDN(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또는 다른 이동통신망과 결합됨과 더불어, IWF(Inter-Working Function)(I1)와 WAP 게이트웨이(G4)를 통해서 인터넷에 결합되게 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통신 가입자가 정상적인 등록 단말기(MS)를 통해 발신을 시도하는 경우, 즉 통신 가입자가 단말기(MS)의 번호키를 조작하여 통신을 원하는 상대방 전화번호(착신번호)를 입력한 후 발신키("SEND"키)를 누르게 되면, 해당 단말기 번호, 즉 발신번호와 착신번호가 기지국(BS)과 기지국 제어기(BC)를 통해 교환기(EX)로 전송된다. 이어, 교환기(EX)는 수신된 착신번호를 해석하여 호접속을 실행함으로써 발신 단말기에 대하여 통신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즉, 착신번호가 동일한 이동통신망내의 가입자인 경우에는 교환기(EX)는 도시되지 않은 HLR(Home Location Register)을 통하여 중계정보(Routing Information)를 독출한 후, 이를 근거로 착신측 교환기(EX)에 대해 회선접속처리를 실행함으로써 발신자에 대한 통신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착신번호가 다른 서비스망 가입자인 경우에는 소정의 게이트웨이(G1∼G4)를 통해 다른 서비스망과 회선접속처리를 실행함으로써 통신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착신처리를 실행함에 있어 통상적으로 교환망에 있어서는 착신 단말기에 대하여 링신호를 공급하는 등의 호출처리를 실행함과 더불어 발신 단말기에 대하여 호출음(Ring back tone)이나 이에 상당하는 정보를 공급함으로써 현재 발신처리가 실행중임을 발신자에게 알려 주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호출신호는 착신자가 응답할 때까지 지속적으로 공급되게 되는데, 이러한 통화대기시간은 발신자의 입장에서는 불필요한 것이다.
특히, 착신자가 이동통신망 가입자인 경우에는 착신자가 주변의 소음 등으로 인하여 발신음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또한 통신환경의 악화로 인하여 페이칭처리가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음으로써 착신처리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에는 발신자가 상기한 호출음을 청취하면서 장시간 통화대기상태로 있게 된다. 발신자가 발신을 실행한 후 착신자가 응답할 때까지의 대기시간은 통상적으로 8∼12초 정도에 이르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발신자의 시간적인 낭비를 초래하는 착신응답 대기시간동안 발신자에게 소정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고하고, 단말기를 효율적인 정보단말기로서 활용하도록 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시스템에서의 통화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장치를 나타낸 구성도로서, 이는 본 발명을 이동통신 시스템에 적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나타낸 것이다.
도 2에서 참조번호 1은 이동통신망을 구성하는 교환기이다. 이 교환기(1)는 로컬 교환기(Local Exchange)나 탠덤 교환기(Tandem Exchange) 또는 톨 교환기(Toll Exchange)가 해당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교환기(1)는 예컨대 E1 링크와 N0.7 프로토콜을 통해 단문메시지 서비스센터(SMSC: Short Message Service Center)(2) 및 홈위치 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3)와 결합되게 된다. 주지된 바와 같이 단문메시지 서비스센터(2)는 이동단말기에 대하여 호출전화번호나 문자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고, 홈 위치등록기(3)는 이동통신 가입자와 관련된 정보, 즉 가입자 번호, 단말기 고유번호, 가입자 사용정보, 부가서비스 정보, 단말기의 현재 위치정보 및 인증정보 등을 구비하고 있게 된다. 상기 홈 위치등록기(3)의 등록정보는 적절하게 교환기(1)에 제공되어 방문가입자 위치등록기(VLR: Visitor Location Register)(11)에 저장되게 된다. 이 방문가입자 위치등록기(11)는 교환기(1)에 내부적으로 또는 외부적으로 제공되는데, 여기에는 해당 교환기(1)의 관할 영역에 존재하는 가입자에 대응하는 상기 홈 위치등록기(3)의 등록정보가 저장되어 있게 된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교환기(1)는 다수의 다른 교환기와 기지국 제어기, 게이트웨이 등과 결합되어 가입자에 대한 통신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도 2에서 참조번호 4는 가입자에 대하여 소정의 정보, 즉 서비스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시스템이다. 이 정보제공시스템(4)은 상기 교환기(1)와 예컨대 E1 링크 및 ISUP(ISDN User Part) 프로토콜을 통해 결합됨과 더불어, 예컨대 100 baseT의 전용망 및 UDP/IP(User Datagram Protocol/Internet Protocol)를 통해 단문메시지 서비스센터(2) 및 홈 위치등록기(3)와 결합된다. 또한, 정보제공시스템(4)은 인터넷을 통해 가입자와 접속가능하도록 설정된다. 가입자는 인터넷을 통해 자신이 이동단말기를 통해 정보서비스를 받을 것인지, 또한 정보서비스를 받는다면 어떠한 서비스정보를 받을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등록절차는 인터넷이외의 다른 통신네트워크나 오프라인을 통한 방법을 통해서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서비스 정보의 종류는 가입자가 선택하지 않고 정보제공장치에서 임의적으로 선택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지사항 정보나 광고정보 등의 경우에는 정보제공시스템(4)이 가입자의 성별이나 직업, 나이, 소득수준, 취미 등과 같은 가입자 개인정보나 가입자의 위치정보 등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공하게 될 것이다.
가입자가 인터넷 등을 통해 정보서비스에 가입하게 되면, 해당 선택상태, 즉서비스제공 정보는 홈 위치등록기(3)에 저장될 것이다. 홈 위치등록기(3)에 대한 서비스제공 정보의 등록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용망을 통한 온라인 등록처리가 가능하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에는 홈 위치등록기(3)와 정보제공시스템(4)간에 적절한 인터페이스가 요구될 것이다. 또한, 홈 위치등록기(3)에 대한 서비스제공 정보의 등록은 정보제공시스템(4)의 운용자가 별도의 오프라인이나 다른 통신네트워크를 통해 통신망 관리자에게 서비스제공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홈 위치등록기(3)에 저장되는 등록정보는 방문가입자 위치등록기(11)에 제공 및 저장되어 해당 가입자를 위한 콜 셋업(call setup)시에 고려가 될 것이다. 상기 서비스제공 정보의 등록은 상기 홈 위치등록기(3) 및 방문가입자 위치등록기(11)에 별도의 저장필드를 구성하거나, 또는 기존의 정보 저장필드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정보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단말기로부터 호요구 메시지가 수신되면, 교환기(1)는 방문가입자 위치등록기(11)에 저장되어 있는 서비스제공 정보를 근거로 해당 단말기에 대하여 착신응답 대기시간 동안 정보서비스를 실행하게 된다. 물론, 정보서비스는 정보제공시스템(4)과의 연동을 통해서 수행된다. 이때, 정보서비스는 다음의 2가지 방법을 통해 실행할 수 있다.
(1) 교환기(1)는 정보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단말기로부터 호요구 메시지가 수신되면 발신 가입자를 정보제공시스템(4)에 결합시킴과 더불어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착신측 교환기에 대하여 호접속 처리를 실행한다. 정보제공시스템(4)은 발신 가입자에게 소정의 서비스정보를 제공한다. 이어, 교환기(1)는 착신측 교환기로부터 착신접속을 나타내는 응답메시지(ISUP ANM)가 수신되면 발신 가입자를 착신측에 결합시킨다.
(2) 교환기(1)는 정보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단말기로부터 호요구 메시지가 수신되면 해당 발신호를 정보제공시스템(4)으로 중계한다. 정보제공시스템(4)은 수신된 호요구 메시지를 근거로 발신 가입자에게 소정의 서비스정보를 제공함과 더불어 통상적인 교환기와 동일한 방법을 통해 호접속 처리를 실행한다. 그리고, 정보제공시스템(4)은 착신측 교환기로부터 착신접속을 나타내는 응답메시지(ISUP ANM)가 수신되면 발신 가입자를 착신측에 결합시킨다.
상술한 2가지 방법은 호요구 메시지가 수신되면 호접속 처리와 더불어 서비스정보의 제공을 실행하고, 착신측으로부터 착신응답 메시지(ISUP ANM)가 수신되면 발신측과 착신측을 호접속함으로써 정상적인 통화기능을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다. 상기 2가지 방법에서 첫 번째 방법은 교환기(1)에서 호접속 처리를 실행하고, 두 번째 방법은 정보제공시스템(4)에서 호접속 처리를 실행한다는 측면에서 다소간의 차이점이 있다. 그러나, 정보제공시스템(4)에서 호접속 처리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실질적으로 교환기(1)에 상당하는 구성수단이 요구되므로, 상기 2가지 방법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다. 다만, 상기한 2가지 방법에 있어서 첫 번째 방법은 기존의 교환망과 정보제공시스템(4) 사이에 중계선 자원이 상대적으로 적게 소요된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교환망에 구비되는 교환기를 업그레이드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고, 두 번째 방법은 종래의 교환망을 크게 변경시키지 않으면서도 정보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데 반하여 기존의 교환망과 정보제공시스템 사이에 중계선 자원이 상대적으로 많이 소요되고 정보제공시스템의 구성이 복잡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도 2에서 정보제공시스템(4)은 단문메시지 서비스를 통해 부가적으로 충분한 정보제공을 실행할 수 있다. 즉, 본 정보제공방법은 통화대기시간을 통해 정보를 제공하게 되므로, 정보에 따라 부가적인 정보가 요구될 수 있다. 상기 정보제공시스템(4)은 가입자에게 소정의 정보를 제공한 후에는 해당 정보를 상세히 입수할 수 있는 전화번호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정보 등의 억세스 정보를 단문메시지 서비스센터(2)를 통해 가입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그러면, 가입자는 단순히 단말기에 구비되어 있는 이른 바 "SEND" 버튼을 조작하는 것만으로 상세한 정보에 도달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단문메시지 서비스는 부가적인 정보서비스로서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부가적인 정보의 제공은 억세스 정보가 아닌 직접적인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 있어서는 교환기(1)가 방문가입자 위치등록기(11)의 등록정보를 근거로 가입자에 대하여 선택적인 정보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택적인 정보서비스는 가입자가 교환기(1)와 약속된 소정의 식별번호를 입력하는 방법을 통해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예를 들어 정보서비스를 위해 교환기(1)와 약속된 식별번호가 "#123"이라 하면, 가입자가 착신번호 앞에 상기 식별번호를 부가하여 전송하였는가에 따라, 다시 말하면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호요구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착신번호가 "#123"으로 시작되는 경우에는 교환기(1)가 정보제공시스템(4)을 통해 정보서비스를 실행하도록 하고, 상기 식별번호가 부가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통상적인 호접속 처리를 실행하는 방법을 통해 선택적인 정보서비스를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도 2에서 정보제공시스템(4)의 구성예를 나타낸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3에서 정보제공시스템(4)은 웹서버(Web Server)(10)와, 정보서비스 제어/관리 서브시스템(ICMS: Information Service Control and Management Subsystem)(20) 및, 정보서비스 처리 서브시스템(IPS: Information Service Processing Subsystem) (30)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이들 서브 시스템(10, 20, 30)은 100 baseT 이더넷 프레임(Ethernet Frame)의 전용망(40)을 통해 상호 결합되게 된다.
상기 웹서버(10)는 인터넷 인터페이스 장치이다. 웹서버(10)는 서비스 가입자나 정보제공자의 가입, 탈퇴, 정보 조회 및 변경, 서비스 의뢰 등을 포함하는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이 웹서버(10)는 인터넷을 통해 접수된 서비스 가입자의 요구정보를 취합하여 이를 ICMS(20)로 제공하게 된다.
ICMS(20)는 서비스 가입자에 대한 정보 서비스를 전반적으로 제어하게 된다. 이 ICMS(20)는 정보서비스 관리부(21)와 정보서비스 제어부(22) 및 데이터 베이스(23)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정보서비스 관리부(21) 및 정보서비스 제어부(22)는 허브(24)를 통하여 전용망(40)에 결합되게 된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23)에는 정보 서비스를 원하는 서비스 가입자에 대한 정보(가입자 정보)와, 정보 제공자에 대한 정보(정보제공자 정보), 서비스 가입자에 대하여 제공하게 되는 각종 정보(서비스정보) 및, 정보제공을 제한하기 위한 서비스 제약정보 등 정보서비스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가 저장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저장정보는 정보서비스 제어부(22)에 의해 관리되게 된다. 정보서비스 제어부(22)는 IPS(30)의 요구에 따라 가입자에게 제공할 정보를 선택하여 선택된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코드, 즉 정보 ID를 IPS(30)에 전송하는 정보서비스 제어기능과, 각종 처리데이터를 수집하여 제공하는 통계기능, 시스템 유지보수 기능 및, 운영자로부터의 요구 등에 따라 서비스정보 등을 IPS(30)로 다운로딩하는 시스템 다운로딩기능 등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정보서비스 제어부(22)는 정보제공 후 가입자가 상세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단문메시지 서비스센터(2)와 연동하여 가입자에게 소정의 전화번호나 URL 정보를 제공하는 억세스정보 제공처리를 실행하게 된다.
한편, 정보서비스 관리부(21)는 전반적인 정보 서비스 관리기능을 수행한다. 이는 상기 웹서버(10)와 연동하여 가입자 정보와 정보제공자 정보 및 서비스정보에 대한 추가, 삭제, 변경 기능을 수행하고, 운영자 정합을 위한 GUI(Graphic User Interface)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IPS(30)는 교환기(1)와 E1 링크 및 ISUP 프로토콜을 통해 결합되어 가입자에 대한 호중계 및 접속기능과 정보송출기능을 실행하게 된다. 이 IPS(30)는 특수자원 관리부(SRMP: Specialized Resource Management Part)(31)와, 특수자원 신호처리부(SRSP: Specialized Resource Signaling Part)(32), 특수자원부(SRP: Specialized Resource Part)(33) 및, 스위치부(SWP: Switch Part)(34)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특수자원 관리부(31)는 허브(35)를 통해 전용망(40)에 결합되고, 특수자원 관리부(31), 특수자원 신호처리부(32), 특수자원부(33) 및 스위치부(34)는 제어버스(Control bus)(36)를 통해 상호 결합된다. 또한, 이 경우 상기 ICMS(20)와 특수자원 관리부(31)는 No.7 프로토콜을 통해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수자원 관리부(31)는 E1 트렁크 관리기능을 수행함과 더불어 레벨 3 이상의 No.7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하는 통신망 정합기능과, 가입자에게 정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서비스 제공기능 등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특수자원 관리부(31)는 소정의 번호번역 테이블을 구비하여 착신 가입자로의 호중계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특수자원 신호처리부(32)는 E1 정합을 위한 E1 인터페이스(321)와, 트래픽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트래픽 인터페이스(322) 및, No.7 레벨 1, 2 프로토콜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토콜 처리부(323)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 특수자원 신호처리부(32)는 교환기(1)와의 E1 트렁크 접속과, 가입자에 대한 서비스정보 등의 트래픽 데이터 송수신처리 및, 교환기(1)와 특수자원 관리부(31)와의 ISUP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특수자원부(33)는 특수자원 관리부(31)로부터 수신되는 정보 ID에 따라 소정의 정보를 출력제어하는 특수자원 제어부(331)와, 다수의 서비스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수단을 구비함과 더불어 상기 특수자원 제어부(331)의 제어에 따라 소정의 서비스정보를 출력하는 정보발생부(332)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특수자원 제어부(331)는 서비스정보의 출력제어와 더불어, ICMS(20)의 정보서비스 제어부(22)로부터 특수자원 관리부(31)를 통해 실행되는 서비스정보 다운로딩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정보발생부(332)에 대한 서비스정보 업데이트기능을 실행하게 된다.
스위치부(34)는 특수자원 신호처리부(32)의 트래픽 인터페이스(322)와 특수자원부(33)의 정보발생부(332)를 스위칭결합하는 스위치장치(341)와, 상기 특수자원 관리부(31)로부터의 제어데이터에 따라 상기 스위치장치(341)를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부(342)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 스위치부(34)는 특수자원 관리부(31)의 제어에 따라 가입자에게 상기 정보발생부(332)로부터 출력되는 서비스정보를 결합시키고, 교환기(1)와 프로토콜 처리부(323)간의 No.7 신호데이터 송수신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어, 상기한 구성으로 된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ICMS(20)의 데이터 베이스(23)에 대한 데이터 업데이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 베이스(23)에는 가입자 정보, 정보제공자 정보 및 서비스정보 등의 기본정보와 더불어, 정보서비스 제어부(22)에서 생성되는 각종 통계정보와 정보서비스 결과정보 등이 저장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기본정보는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을 통해 업데이트 동작이 수행된다. 오프라인 업데이트 동작은 ICMS(20)를 운영 및 관리하는 운영자에 의해 실행된다. 즉, 운영자는 서비스 가입자나 정보제공자의 요청이 있게 되면 정보서비스 관리부(21) 및 정보서비스 제어부(22)를 통해 데이터 베이스(23)를 억세스함으로써 데이터 업데이트 동작을 실행하게 된다. 또한, 온라인 업데이트는 웹서버(10)를 통해 실행되게 된다. 상기 웹서버(10)는 서비스 가입자나 정보제공자가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 회원으로 가입하거나 서비스내용 변경 등을 실행하기 위한 소정의 웹페이지를 구비한다. 그리고, 이러한 웹페이지를 통해 등록 및 변경되는 정보는 웹서버(10)내의 소정의 디렉토리에 저장되게 된다. 상기 디렉토리에 저장되는 가입자 정보 및 정보제공자 정보 등은 ICMS(20)에 구비되는 정보서비스 관리부(21)에 의해 일정한 시간단위로 억세스된다. 물론, 이러한 정보 억세스는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으로 실행되거나 서비스 운용자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억세스된 정보는 정보서비스 제어부(22)를 통해 데이터 베이스(23)에 업데이트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데이터 베이스(23)에 업데이트된 정보 중 서비스정보는 IPS(30)로 전송되어 특수자원부(33)내의 정보발생부(332)에 다운로딩되게 된다. 즉, 정보서비스 제어부(22)는 업데이트된 서비스정보를 전용망(40)을 통해 IPS(30)의 특수자원 관리부(31)로 전송하게 되고, 특수자원 관리부(31)는 수신된 정보를 특수자원부(33)의 특수자원 제어부(331)로 전송하여 정보발생부(332)를 업데이트하게 된다. 상기 정보발생부(332)에는 정보식별을 위한 정보 ID와 그 정보 ID에 상당하는 서비스정보가 상호 대응되게 저장되게 된다.
또한, 데이터 베이스(23)에 업데이트된 정보 중 가입자 변경과 관련된 정보, 즉 신규가입정보 및 가입해지정보는 통신망 사업자에게 제공될 것이고, 이러한 정보는 홈 위치등록기(3)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데이터로서 사용될 것이다.
이어, 서비스 가입자에 대한 정보서비스 제공절차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서 단말기로부터의 호요구 메시지가 교환기(1)에 수신되면, 교환기(1)는 호요구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발신번호를 근거로 방문가입자 위치등록기(11)의 가입자 프로파일정보를 조회하게 된다. 이때 방문가입자 위치등록기(11)에는 해당 발신자에 대한 소정의 플래그 데이터가 구비된다. 그리고, 이 플래그 데이터는 해당 발신처리를 수행함에 있어 홈 위치등록기(3)에 조회가 필요한 지를 나타내게 된다.
교환기(1)가 방문가입자 위치등록기(11)를 조회한 결과 상기 플래그 데이터가 셋트되어 있지 않은 경우, 교환기(1)는 통상적인 호연결제어를 실행하게 된다. 즉, 호요구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착신번호를 번역하여 착신처리를 실행하게 된다. 한편, 방문가입자 위치등록기(11)를 조회한 결과 상기 플래그 데이터가 셋트되어 있는 경우, 교환기(1)는 예컨대 IS-41C 프로토콜에 따라 발신번호와 착신번호가 포함된 ORREQ 메시지(Origination Request Message)를 홈 위치등록기(3)로 전송하게 된다. 홈 위치등록기(3)는 교환기(1)로부터 ORREQ 메시지가 수신되면 해당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발신번호를 근거로 해당 발신자가 정보서비스 가입자인지를 판정한 후, 정보서비스 가입자인 경우에는 호중계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orreq 메시지를 교환기(1)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상기 중계정보는 발신자를 정보제공시스템(4)에 연결하기 위한 정보가 될 것이다.
교환기(1)는 홈 위치등록기(3)로부터 orreq 메시지가 수신되면 소정의 초기어드레스 메시지(IAM: Initial Address Message)를 정보제공시스템(4)으로 전송함으로써 호중계처리를 실행하게 된다. 상기 초기어드레스 메시지(IAM)에는 착신번호 및 발신번호가 포함되게 되고, 필요에 따라 발신자 위치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발신자 위치정보는 예컨대 초기어드레스 메시지(IAM)의 UUI(User-to-User Information) 파라미터에 해당 정보를 추가하는 방법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다음 표 1은 상기 UUI 파라미터의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표 1에서 시스템 ID는 발신측 교환기의 망식별 번호, 스위치번호는 발신측 교환기의 식별번호, BSC ID는 기지국 제어기의 식별번호, BS ID는 발신 가입자가 위치한 기지국 식별번호이다.
8 7 6 5 4 3 2 1 비트옥텟
User-to-User Information 1
UUI 길이 2
프로토콜 식별자 3
프로토콜 식별자의 길이 4
시스템 ID 5
6
스위치 번호 7
BSC ID 8
BS ID 9
한편, 도 4는 발신 가입자에게 정보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정보제공시스템(4)의 내부처리절차를 나타낸 것으로, 이는 정보서비스 제공이 성공적으로 수행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발신측 교환기로부터 초기어드레스 메시지(IAM)가 수신되면, 이 초기어드레스 메시지(IAM)는 특수자원 신호처리부(32)의 E1 인터페이스(321) 및 트래픽 인터페이스(322)와, 스위치부(34)의 스위치장치(341)를 통해 특수자원 신호처리부(32)의 프로토콜 처리부(323)로 인가되고, 여기서 다시 제어버스(36)를 통해 특수자원 관리부(31)로 전송되게 된다. 이어, 특수자원 관리부(31)는 수신된 초기어드레스 메시지(IAM)에 포함되어 있는 발신번호와 착신번호 및 발신 가입자 위치정보 등을 근거로 정보서비스 요구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용망(40)을 통해 ICMS(21)의 정보서비스 제어부(22)로 전송하게 된다. 표 2는 상기 특수자원 관리부(31)로부터 정보서비스 제어부(22)로 전송되는 정보서비스 요구메시지의 구성예를 나타낸 것이다.
필 드 길이
메시지 ID 1
IPS 번호 1
발신가입자 번호의 길이 1
D0 11
D1
D10
착신가입자 번호의 길이 1
D0 25
D1
D24
발신위치정보의 길이 1
발신가입자 위치정보 5
상기 표 2에서 IPS 번호는 IPS(30)의 번호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는 서비스 가입자의 수효에 대응하여 상기 IPS(30)를 복수개 구비하게 되는 경우를 고려한 것이다.
또한, 상기 특수자원 관리부(31)는 발신 교환기로부터의 초기어드레스 메시지(IAM)에 대하여 어드레스완료 메시지(ACM: Address Complete Message)를 생성하여 발신 교환기로 전송하게 된다. 이 어드레스완료 메시지(ACM)는 특수자원 관리부(31)로부터 프로토콜 처리부(323), 스위치장치(341), 트래픽 인터페이스(322) 및 E1 인터페이스(1)를 통해 전송되게 된다.
ICMS(20)의 정보서비스 제어부(22)는 특수자원 관리부(31)로부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정보서비스 요구메시지가 수신되면, 해당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발신 가입자 번호와 발신 가입자 위치정보를 근거로 데이터 베이스(23)를 억세스하여 해당 서비스 가입자에게 제공하여야 하는 정보를 판정한다. 그리고, 이 판정결과를 근거로 정보서비스 설정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IPS(30)의 특수자원 관리부(31)로 전송하게 된다. 다음 표 3은 상기 정보서비스 설정응답 메시지의 구성예를 나타낸 것이다.
필 드 길이
메시지 ID 1
IPS 번호 1
CR ID 2
RSLT 1
정보 ID 2
지연시간 1
표 3에서 CR ID는 특수자원 관리부(31)로부터의 정보서비스 설정요구에 대하여 정보서비스 제어부(22)에서 해당 호에 식별번호로서 할당한 호참조 ID(Call Reference ID)이다. 또한, RSLT는 정보서비스가 가능한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데이터로서, 예컨대 해당 데이터값이 "0"인 경우에는 서비스 가능, 해당 데이터값이 "0"이 아닌 경우에는 서비스 불가능을 나타낸다. 여기서, 서비스 불가능상태는 발신 가입자가 정보서비스 가입자가 아니거나, 데이터 베이스(23)에 장애가 발생된 경우, 발신 가입자가 정보서비스 비활성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또는 정보서비스 제공시간이 아닌 경우, 또는 적당한 서비스정보가 없는 경우 등 여러 가지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정보 ID는 서비스 가입자에게 제공되어야 하는 정보를 나타낸다.
그리고, 지연시간은 착신측에 대한 호설정을 지연시키기 위한 시간값을 나타내는 것이다. 즉, 서비스 가입자에게 서비스정보를 제공함에 있어서는 서비스정보에 따라 그 정보제공량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만일 정보제공량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착신 가입자가 착신응답을 신속히 한 경우에는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실패하게 될 것이다. 상기 지연시간은 예컨대 0∼30초 범위내에서 가변적으로 설정되게 된다. 이러한 지연시간설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서비스정보의 양에 따라 설정될 수 있고, 또한 서비스 가입자의 요구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정보서비스 설정응답 메시지가 정보서비스 제어부(22)로부터 특수자원 관리부(31)로 수신되게 되면, 특수자원 관리부(31)는 수신된 메시지를 근거로 정보서비스 제공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우선, 수신된 정보서비스 설정응답 메시지의 RSLT값이 "0"인 경우, 즉 정보서비스가 가능한 경우에는 특수자원 관리부(31)는 스위치부(34)의 스위치 제어부(342)로 채널설정 메시지를 송출하여 발신 가입자와 특수자원부(33)간을 소정의 트래픽 채널을 통해 결합시킴과 더불어, 특수자원부(33)의 특수자원 제어부(331)로 상기 채널정보와 정보서비스 제어부(22)로부터 수신된 정보 ID를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특수자원 제어부(331)는 정보 발생부(332)를 제어하여 상기 정보 ID에 대응하는 서비스정보를 할당된 트래픽 채널을 통해 송출제어함으로써 발신 가입자에게 소정의 서비스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이어, 특수자원 관리부(31)는 정보서비스 설정응답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지연시간이 경과되게 되면, 번호번역 테이블을 근거로 착신번호를 번역하여 출중계 호처리를 실행하게 된다. 즉, 특수자원 관리부(31)는 착신교환기에 대하여 초기어드레스 메시지(IAM)를 송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초기어드레스 메시지(IAM)에 대하여 착신측 교환기로부터 착신응답 메시지(ANM)가 수신되면 특수자원 관리부(31)는 채널해제 메시지를 특수자원부(33)의 특수자원 제어부(331)로 송출함으로써 가입자에 대한 서비스정보 제공을 중지함과 더불어, 정보서비스 제공결과를 나타내는 정보서비스 결과 메시지를 생성하여 정보서비스 제어부(22)로 전송하게 된다. 다음 표 4는 특수자원 관리부(31)로부터 정보서비스 제어부(22)로 전송되는 정보서비스 결과 메시지의 구성예를 나타낸 것이다.
필 드 길이
메시지 ID 1
IPS 번호 1
CR ID 2
RSN 1
상기 표 4에서 RSN은 정보서비스 종료사유를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 표 5는 상기 RSN의 데이터값에 따른 서비스 종료상태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데이터값 정보서비스 종료사유
0 정보서비스 제공완료, 호성공
1 정보서비스 제공완료, 호실패
2 정보서비스 제공완료, 호 성공여부 알 수 없음
3 발신가입자 호해제
4 출중계 호처리 실패로 인한 인한 호해제
5 스위치 연결실패
6 통신 관련 내부 타이머 종료
7 내부 원인에 의한 착신호 설정 실패
또한, 특수자원 관리부(31)는 상기와 같이 착신측 교환기로부터 착신응답 메시지가 수신되게 되면, 스위치부(34)를 제어하여 발신 가입자와 착신측 교환기를 연결제어함과 더불어 발신측 교환기에 대하여 착신응답 메시지(ANM)를 송출하게 된다. 따라서, 이후에는 발신자와 착신자가 트래픽 채널을 통해 결합되어 상호 통신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ICMS(20)의 정보서비스 제어부(22)는 특수자원 관리부(31)로부터 정상적인 정보서비스가 제공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서비스 결과 메시지가 수신되게 되면, 데이터 베이스(23)를 억세스함으로써 해당 서비스 정보가 부가적인 억세스정보, 즉 서비스정보를 상세히 얻을 수 있는 착신번호나 URL 정보가 요구되는 것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판단결과 억세스정보가 요구되는 것으로 판정되면, 발신 가입자에게 단문메시지 서비스를 통해 억세스정보를 송출하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여 단문메시지 서비스센터(2)로 전송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정보서비스를 실행함에 있어서, 착신 가입자가 일정 시간이상 착신응답을 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에는 발신 가입자에게 지속적면서도 반복적으로 정보 메시지가 제공될 것이다. 이러한 경우를 고려하여, 상기 정보서비스 제어부(22)는 특수자원 관리부(31)로 정보서비스 설정 응답메시지를 전송한 후에는 프로그램적으로 소정의 타이머를 구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타이머에 의해 정해지는 소정 시간동안 특수자원 관리부(31)로부터 정보서비스 결과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정보서비스 제어부(22)는 특수자원 관리부(31)로 정보서비스 해제요구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정보서비스 해제요구 메시지는 정보서비스 제어부(22)가 필요에 따라 서비스정보 제공을 중지시키는 경우에도 사용되게 된다. 다음 표 6은 상기 정보서비스 해제요구 메시지의 구성예를 나타낸 것이다.
필 드 길이
메시지 ID 1
IPS 번호 1
CR ID 2
RSN 1
상기 표 6에서 RSN은 정보서비스 종료사유를 나타내는 것으로, 해당 데이터값이 "0"인 경우에는 정상종료, "0"이 아닌 경우에는 비정상종료를 나타낸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정보서비스 해제요구 메시지가 수신되면, 특수자원 관리부(31)는 스위치부(34)와 특수자원부(33)를 제어하여 정보서비스 제공을 해제함과 더불어, 발신 가입자와 착신 가입자간의 트래픽 채널을 결합시키는 제어처리를 실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표 3 및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신 가입자에 대하여 정보서비스를 실행하지 못하는 여러 가지 비정상적인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즉,
(Ⅰ) 발신자가 정보서비스 가입자가 아니거나, 데이터 베이스(23)에 장애가 발생된 경우, 발신 가입자가 정보서비스 비활성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또는 정보서비스 제공시간이 아닌 경우, 또는 적당한 서비스정보가 없는 경우 등으로 인하여 표 3에서 RSLT값이 "0"이 아닌 경우.
(Ⅱ) 서비스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상태에서 발신 가입자가 호를 해제한 경우.
(Ⅲ) 출중계 이상으로 인한 호해제. 예를 들어, 착신측 교환기로부터 호해제 메시지(REL: Release Message)가 수신된 경우.
(Ⅳ) 통신관련 내부 타이머 종료. 예를 들어 도 4에서 착신측 교환기로 초기어드레스 메시지(IAM)를 송출한 후 소정 시간동안 착신응답 메시지(ANM)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우선, (Ⅰ)의 경우에는 정보서비스 제어부(22)로부터 특수자원 관리부(31)로 정보서비스가 불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가 전송된 경우이다. 이 경우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특수자원 관리부(31)는 즉시 착신측 교환기로 초기어드레스 메시지(IAM)를 전송하고, 이에 대하여 착신측 교환기로부터 착신응답 메시지(ANM)가 수신되면 발신측 교환기로 착신응답 메시지(ANM)를 전송하는 통상적인 호중계처리를 실행하게 된다.
도 6은 (Ⅱ)의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발신 가입자에 대하여 정보서비스를 실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발신 가입자가 호를 해제하는 등의 이유로 발신측 교환기로부터 호해제 메시지(REL)가 수신되면, 특수자원 관리부(31)는 발신측 교환기로 해제완료 메시지(RLC: Release Complete)를 전송함과 더불어, 표 4 및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정보서비스 결과메시지를 생성하여 정보서비스 제어부(22)로 전송하게 된다. 또한, 이 경우 착신측 교환기에 대하여 초기어드레스 메시지(IAM)를 송출한 후에 상기 호해제 메시지(REL)가 수신된 경우에는 특수자원 관리부(31)는 착신측 교환기에 대해서도 호해제 메시지(REL)를 송신하게 된다.
도 7은 (Ⅲ)의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착신측 교환기로부터 호해제 메시지(REL)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특수자원 관리부(31)는 호해제 메시지(REL)에 대응하여 착신측 교환기로 호해제 완료메시지(RCL)를 전송함과 더불어, 표 4 및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정보서비스 결과메시지를 생성하여 정보서비스 제어부(22)로 전송하게 된다. 또한, 특수자원 관리부(31)는 스위치부(34)와 특수자원부(33)를 제어함으로써 발신 가입자에게 제공되고 있는 서비스정보의 송출을 중지시키게 된다. 그리고, 발신측 교환기에 대하여 호해제 메시지(REL)를 전송함으로써 호해제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도 8은 (Ⅳ)의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특수자원 관리부(31)는 착신측 교환기로 초기어드레스 메시지(IAM)를 전송한 후에는 소정의 타이머를 구동함으로써 착신측 교환기로부터 일정시간 이내에 적절한 메시지, 예컨대 어드레스완료 메시지(ACM: Address Complete Message)가 수신되는지를 검출하게 된다. 그리고, 특수자원 관리부(31)는 상기 일정시간 이내에 어드레스완료 메시지(ACM)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스위치부(34)와 특수자원부(33)를 제어하여 서비스정보 송출동작을 중지함과 더불어, 발신측 교환기와 착신측 교환기로 호해제 메시지(REL)를 전송하여 호해제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또한, 특수자원 관리부(31)는 표 4 및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정보서비스 결과메시지를 생성하여 정보서비스 제어부(22)로 전송하게 된다.
정보서비스 제어부(22)는 특수자원 관리부(31)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서비스 결과메시지를 참조하여 정보서비스가 정상적으로 수행되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그리고, 정상적인 정보서비스가 제공된 경우에는, 데이터 베이스(23)를 억세스함으로써 해당 서비스 정보가 부가적인 억세스정보, 즉 서비스정보를 상세히 얻을 수 있는 전화번호나 URL 정보가 요구되는 것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판단결과 억세스정보가 요구되는 것으로 판정되면, 발신 가입자에게 단문메시지 서비스를 통해 억세스정보를 송출하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여 단문메시지 서비스센터(2)로 전송하게 된다.
또한, 정보서비스 제어부(22)는 발신 가입자에게 제공된 정보 서비스내용, 즉 정보서비스가 성공적으로 제공된 횟수 및 실패한 횟수, 또는 상기 억세스정보의 송출 후에 발신 가입자가 해당 억세스정보를 근거로 추가적인 정보획득을 하였는지의 여부 등을 집계 및 통계처리하여 데이터 베이스(23)에 저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억세스정보를 이용한 추가적인 정보획득의 여부는 표 2에서 특수자원 관리부(31)로부터 정보서비스 제어부(22)로 전송되는 정보서비스 요구메시지에 포함되는 착신번호를 근거로 파악하게 된다. 즉, 만일 발신 가입자가 상기 억세스정보를 근거로 호설정 요구를 실행한 경우에는 해당 발신호는 상술한 바와 동일한 방법을 통해 정보제공시스템(4)에 연결될 것이고, 이때 정보제공시스템(4)의 특수자원 관리부(31)로부터 정보서비스 제어부(22)로 전송되는 정보서비스 요구메시지에는 착신번호로서 해당 억세스정보가 포함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정보서비스 제어부(22)는 상기 정보서비스 요구메시지에 포함되는 억세스정보의 횟수를 계수함으로써 각 억세스정보에 대한 발신 가입자의 응답성향 등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각종 집계 및 통계 정보 등은 정보서비스 관리부(21)를 통하여 운영자가 조회 및 참조하거나, 또는 인터넷 접속자가 웹서버(10)를 통하여 조회 및 참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실시예는 교환기(1)가 서비스 가입자에 의한 발신호를 정보제공시스템(4)으로 중계처리하여 정보제공시스템(4)에서 서비스정보의 제공 및 경로제어처리를 수행하는 경우에 대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정보서비스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교환기(1)가 발신 가입자를 정보제공시스템(4)에 결합제어함과 동시에 착신측으로의 호중계를 제어하고, 정보제공시스템(4)은 해당 발신 가입자에 대하여 소정의 서비스정보만을 제공하는 방식으로도 구현할 수 있다. 즉, 교환기(1)가 경로제어를 담당하고, 정보제공시스템(4)이 서비스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정보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교환기(1)에 정보서비스를 위한 경로제어기능, 즉, 발신 가입자를 정보제공시스템(4)에 결합시킴과 더불어 착신측으로 호를 중계시키는 기능이 채용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정보제공시스템(4)에서의 경로제어기능은 특수자원 관리부(31)에서의 번호번역기능 및 중계호처리기능과 특수자원 신호처리부(32) 및 스위치부(34)를 통해 구현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자원은 교환기(1)에 있어서 신규의 것이 아니다. 기존의 교환기에 있어서도 번호번역기능과 출중계 및 입중계 호처리를 포함하는 중계호처리기능 및, 각종 프로토콜 처리기능은 이미 구현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정보서비스를 위한 경로제어기능은 약간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를 통해 교환기(1)에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교환기(1)에 정보서비스를 위한 경로제어기능이 구비되게 되면, 정보제공시스템(4)은 단지 교환기(1)에 대하여 서비스정보를 제공하는 장치로서 사용되게 될 것이다. 도 3에서 설명한 정보제공시스템(4)은 이러한 정보서비스 장치로서 휼륭하게 채용될 수 있다.
도 9는 정보서비스를 위한 경로제어기능이 교환기(1)에 구비되고, 정보제공시스템(4)이 단지 정보서비스 장치로서 사용되는 경우에, 교환기(1)와 정보제공시스템(4)간의 송수신 메시지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9에 나타낸 메시지는 ISUP 프로토콜에 따른 메시지를 채용하여 교환기(1)와 정보제공시스템(4)이 정보서비스에 필요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단말기로부터의 호요구 메시지가 교환기(1)에 수신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교환기(1)는 호요구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발신번호를 근거로 방문가입자 위치등록기(11) 및 홈위치등록기(3)를 조회함으로써 홈위치 등록기(3)로부터 orreq 메시지를 수신하게 된다. 이때 상기 orreq 메시지에는 발신 가입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게 되는 정보제공시스템에 대응되는 중계정보가 포함되어 있게 된다. 그리고, 이 중계정보는 발신 가입자를 착신응답 대기시간동안 정보제공시스템에 연결하기 위한 정보가 될 것이다.
교환기(1)는 홈 위치등록기(3)로부터 orreq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발신번호와 착신번호 및 발신 가입자 위치정보가 포함되는 소정의 초기어드레스 메시지(IAM)를 정보제공시스템(4)으로 전송하게 된다. 정보제공시스템(4)에 있어서는 상기 초기어드레스 메시지(IAM)가 수신되면 특수자원 관리부(31)는 발신측 교환기에 대하여 어드레스완료 메시지(ACM)를 송신함과 더불어, 수신된 메시지 정보를 근거로 표 1에 나타낸 정보서비스 요구메시지를 생성하여 ICMS(20)의 정보서비스 제어부(22)로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이에 대하여 정보서비스 제어부(22)는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정보서비스 설정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특수자원 관리부(31)로 전송하게 된다.
한편, 특수자원 관리부(31)는 정보서비스 설정응답 메시지를 근거로 정보제공처리를 실행한다. 우선, 특수자원 관리부(31)는 정보서비스 설정응답 메시지의 RSLT값을 참조하여 정보서비스가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정보서비스가 가능한 경우에는 착신응답 메시지(ANM)를 생성하여 발신 교환기측으로 전송하게 된다. 또한, 이 경우 상기 착신응답 메시지(ANM)내에는 정보서비스 설정응답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지연시간 데이터를 포함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정보서비스 설정응답 메시지를 근거로 스위치부(34)와 특수자원부(33)를 제어함으로써 발신 가입자에 대응하는 소정의 서비스정보를 교환기(1)와 정보제공시스템(4) 간에 할당된 트래픽채널을 통해 송출하게 된다. 따라서, 발신 가입자는 정보제공시스템(4)으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이어, 발신 교환기(1)는 상기 착신응답 메시지(ANM)에 포함되어 있는 지연시간정보에 상당하는 시간이 경과되면 착신번호를 근거로 번호번역을 실행함으로써 착신측 교환기에 대하여 초기어드레스 메시지(IAM)를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이 초기어드레스 메시지(IAM)에 대하여 착신측 교환기로부터 착신응답 메시지(ANM)가 수신되면, 교환기(1)는 정보제공시스템(4)에 대하여 호해제 메시지(REL)를 전송함과 더불어 발신 가입자와 착신 가입자를 호접속 처리하게 된다. 이때 정보제공시스템(4)에 대하여 제공되는 호해제 메시지에는 정보서비스의 종료사유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게 되고, 특수자원 관리부(31)는 이 정보서비스 종료사유 정보를 근거로 표 4 및 표 5에 나타낸 정보서비스 결과메시지를 생성하여 정보서비스 제어부(22)로 전송하게 된다. 또한, 특수자원 관리부(31)는 상기 발신 교환기로부터의 호해제 메시지에 대응하여 호해제 완료메시지(RLC)를 생성하여 발신측 교환기로 전송하게 된다.
또한, 만일 정보서비스 제어부(22)로부터 특수자원 관리부(31)로 전송되는 정보서비스 설정응답 메시지(표 2)의 RSLT값이 "0" 이외의 값이거나, 또는 상술한 다른 이유에 의해 정보서비스가 가능하지 않은 경우에는 특수자원 관리부(31)는 교환기(1)에 대하여 호해제 메시지(REL)를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교환기(1)는 정보제공시스템(4)으로부터 호해제 메시지(REL)가 수신되게 되면, 정보제공시스템(4)으로 호해제 완료메시지(RLC)를 전송함과 더불어, 발신 가입자를 착신측 교환기에 접속함으로써 통상적인 호접속처리를 실행하게 된다. 물론, 이 경우에도 특수자원 관리부(21)는 표 4 및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정보서비스 결과메시지를 생성하여 정보서비스 제어부(22)로 전송하게 된다.
한편, 이 경우에도 정보서비스 제어부(22)는 특수자원 관리부(31)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서비스 결과메시지를 참조하여 정보서비스가 정상적으로 수행되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그리고, 정상적인 정보서비스가 제공된 경우에는, 데이터 베이스(23)를 억세스함으로써 해당 서비스 정보가 부가적인 억세스정보, 즉 서비스정보를 상세히 얻을 수 있는 전화번호나 URL 정보가 요구되는 것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판단결과 억세스정보가 요구되는 것으로 판정되면, 발신 가입자에게 단문메시지 서비스를 통해 억세스정보를 송출하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여 단문메시지 서비스센터(2)로 전송하게 된다. 또한, 정보서비스 제어부(22)는 발신 가입자에게 제공된 정보 서비스내용을 집계 및 통계처리하여 데이터 베이스(23)에 저장하게 된다.
즉, 상기 실시예에서는 정보서비스를 위한 경로제어를 교환기(1)가 담당하도록 하고, 정보제공시스템(4)은 교환기(1)에 대하여 단순히 서비스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통해 발신 가입자에게 소정의 서비스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정보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정보제공시스템(4)의 구성을 변경시킴 없이 그대로 채용하여 활용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정보제공시스템(4)과 교환기(1)간의 송수신 메시지도 동일한 형태의 것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보제공시스템(4)은 그 정보제공시스템(4)과 연동하게 되는 교환기(1)가 정보서비스를 위한 경로제어기능을 갖고 있는 경우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정보제공시스템(4)을 정보서비스를 위한 경로제어기능이 있는 교환기와 경로제어기능이 없는 교환기에 동시적으로 결합시켜 정보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 경우에는 정보제공시스템(4)에서 연동 교환기, 즉 초기어드레스 메시지(IAM)를 송신하는 교환기가 경로제어기능을 갖고 있는 것인지를 인식하는 것이 요구된다.
상기한 교환기 인식은 루트정보나 중계선 정보를 근거로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특수자원 관리부(31)에서 상기 루트정보나 중계선 정보를 해당 교환기의 경로제어기능 유무정보와 함께 관리하도록 하는 방법을 통해 특수자원 관리부(31)가 대국 교환기의 경로제어기능 유무를 용이하게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0은 도 3에서 IPS(30)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나타낸 실시예에 있어서는 특수자원 관리부(31)가 발신 가입자와 특수자원부(33)를 결합키기고, 착신 교환기로부터 착신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에 발신 가입자와 착신교환기를 결합시키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만일 착신 교환기로부터의 응답을 대기하는 상태에서 아무런 메시지 없이 화중음(busy tone)이나 다른 음성안내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적절하게 대응할 수 없는 문제가 있게 된다.
도 10에 있어서는 특수자원부(33)에 상기한 화중음이나 음성안내 등의 가청정보(IBI: In-Band Information)를 검출하기 위한 가청음 검출부(333)가 구비되게 된다. 이 가청음 검출부(333)는 예컨대 DSP(Digital Signal Processor)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이는 이른 바 호출음, 폭주음, 화중음 등의 신호음이나 안내 방송을 검출하여 이를 특수자원 제어부(331)를 통해 특수자원 관리부(31)로 알려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특수자원 관리부(31)는 스위치부(34)를 제어하여 발신 가입자와 특수자원부(33)를 트래픽채널을 통해 결합시킬 때, 특수자원부(33)를 제어하여 착신측 교환기와 상기 가청음 검출부(333)를 트래픽채널을 통해 결합시키게 된다. 그리고, 정보발생부(332)를 통한 정보제공시에 상기 가청음 검출부(333)에 의해 예컨대 화중음이나 안내방송 등의 가청음이 검출되게 되면, 정보서비스를 중단하고, 발신 가입자와 착신측 교환기를 결합시키는 호접속제어를 실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발신 가입자가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도 착신측 교환기로부터 제공되는 음성신호 등을 청취할 수 있게 되므로 안정적인 호처리가 가능해지게 된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별도의 정보제공시스템(4)을 통해 정보서비스를 실행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동일한 개념을 적용하여 기존의 지능망(Intelligent Network)을 이용하여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1은 지능망을 이용하여 정보서비스를 실행하도록 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11에서 서비스 스위칭 파트(SSP : Service Switching Part)(120)와 서비스 콘트롤 파트(SCP : Service Control Part)(130) 및 지능형 주변장치(IP : Intelligent Peripheral)는 지능망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이들은 상호 No. 7 신호방식을 통해 결합되게 된다. 상기 서비스 스위칭 파트(120)는 예컨대 E1 중계선과 ISUP 프로토콜을 통해 교환기(1)와 결합된다. 지능형 주변장치(140)는 상기 서비스 스위칭 파트(120)와 소정의 중계선을 통해 물리적으로 결합됨과 더불어, 예컨대 No. 7 신호방식과 ISUP 프로토콜을 통해 결합되게 된다. 상기 지능형 주변장치(140)는 다수의 정보제공 디바이스를 구비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디바이스의 수효는 제공하게 되는 정보의 종류와 서비스 스위칭 파트(120)와의 채널수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될 것이다.
상기 구성에서 서비스 콘트롤 파트(130)는 도 3에서의 ICMS(20)에 대응되는 것이다. 이는 도 3에서 데이터 베이스(23)에 상당하는 데이터정보를 구비하게 된다. 그리고, 서비스 콘트롤 파트(130)는 서비스 스위칭 파트(120)와 지능형 주변장치(140)로부터 요구에 따라 상기 데이터정보를 억세스하여 적절한 제어정보를 해당 장치에 제공하게 된다.
서비스 스위칭 파트(120)는 로컬 교환기(1)로부터 ISUP 프로토콜을 통해 호연결정보, 예컨대 발신번호, 착신번호 및 발신 가입자 위치정보롤 포함하는 메시지가 수신되면, 이들 수신정보를 서비스 콘트롤 파트(130)로 전송하게 된다. 서비스 콘트롤 파트(130)는 해당 호에 대한 별도의 호참조번호(Call Reference Number)를 할당함과 더불어, 서비스 스위칭 파트(120)로 소정의 제어 메시지를 송출함으로써 해당 호가 지능형 주변장치(140)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한편, 지능형 주변장치(140)는 상기 서비스 스위칭 파트(120)로부터 호를 수신하면, 상기 호참조번호를 근거로 서비스 콘트롤 파트(130)에게 해당 호에 대한 서비스정보를 조회하게 된다. 그리고, 서비스 콘트롤 파트(130)로부터 제공되는 정보 ID를 근거로 발신 가입자에 대하여 소정의 정보제공 디바이스를 결합시키게 된다. 즉, 발신 가입자에 대하여 소정의 서비스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서비스 스위칭 파트(120)는 발신 가입자와 지능형 주변장치(140)가 결합되게 되면, 착신번호를 근거로 번호번역을 실행함으로써 착신교환기에 대하여 초기어드레스 메시지(IAM)를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이 초기어드레스 메시지(IAM)에 대하여 착신측 교환기로부터 착신응답 메시지(ANM)가 수신되면, 발신 가입자를 착신측 교환기에 결합시키게 된다.
상기한 지능망을 이용한 정보제공장치의 경우에도 도 2 및 도 3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실행되게 된다. 그리고, 발신 가입자에 대한 정보 서비스가 지능망내의 서비스 스위칭 파트(120)에 의해 실행되게 되므로, 이동통신망내에 존재하는 교환기(1)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적인 구성의 변경을 최소화하면서 발신 가입자에 대하여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발신 가입자에 대하여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대하여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발신 가입자에게 제공되는 정보가 상업적인 광고정보인 경우 가입자가 해당 광고를 청취한 시간 만큼 통화료 할인혜택을 주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서비스정보가 발신 가입자에게 성공적으로 전달된 경우에 해당 정보의 상세정보를 억세스할 수 있는 억세스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데이터 베이스(23)에 저장되는 서비스정보를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다양한 정보제공형태를 구현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발신 가입자가 서비스정보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였는지와 관계없이 무조건적으로 억세스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고, 또한 서비스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단순히 억세스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해당 정보를 수신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억세스 정보 대신에 해당 정보를 직접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문자정보나 화상정보, 또는 동영상정보 등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교환기(1)에서 홈 위치등록기(4)의 조회를 통해 서비스 가입자에 한하여 정보서비스를 수행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동일한 개념을 적용하여 모든 발신자에게 정보 서비스를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이러한 정보 서비스는 중대하고 또한 신속한 정보전달이 요구되는 공지사항 정보의 전달 등에 매우 유효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발신 가입자에게 제공되는 정보의 형태도 음성 정보 등에 한정되지 않고, 단말기의 통신능력이나 통신시스템의 정보제공능력에 따라 문자데이터나 화상데이터, 또는 동화상데이터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동통신시스템에 적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PSTN이나 그 밖의 다른 통신시스템에도 동일한 개념을 적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가입자에 대한 정보의 제공이 가입자의 발신동작에 대응하여 실행되고, 또한 정보의 제공이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하여 실행되게 된다. 따라서, 가입자의 입장에서는 추가적인 키조작이나 시간소모 없이 효율적으로 실시간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발신 가입자의 가입자정보나 위치정보를 근거로 실시간적인 맞춤 정보의 제공이 가능해지고, 또한 이러한 정보의 선택이 온라인 환경을 통해서도 가능하게 되므로 정보제공의 효율성이 제공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가입자가 별도의 키조작 없이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므로 전화기 등의 통신단말기를 효율적인 정보단말기로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가입자에게 소정의 정보를 제공한 후, 해당 정보에 대한 상세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억세스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가입자가 단말기조작을 최소화하면서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Claims (81)

  1. 다수의 교환기를 구비하고, 발신자에 대하여 착신처리를 실행함으로써 발신자와 착신자가 통신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발신 가입자에 대한 착신응답 대기시간 동안에 발신 가입자에 대하여 소정의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방법.
  2. 다수의 교환기를 구비하고, 발신자에 대하여 착신처리를 실행함으로써 발신자와 착신자가 통신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발신자로부터 호요구를 수신하는 호요구 수신단계와,
    발신자가 정보서비스 가입자인지를 판단하는 가입자 판단단계,
    상기 가입자 판단단계에서 정보서비스 가입자로 판정된 경우에는 소정의 서비스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단계,
    상기 발신자에 대하여 착신처리를 실행하는 착신처리단계 및,
    착신측으로부터 착신응답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발신자와 착신측을 결합시키는 호접속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판단단계에서의 정보서비스 가입자 판단은 발신번호를 근거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판단단계에서의 정보서비스 가입자 판단은 발신자와 교환기간에 약정된 소정의 식별번호를 근거로 실행되고, 상기 식별번호는 발신자가 호요구시에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발신 가입자가 발신동작을 하기에 앞서 서비스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서비스정보 선택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단계에 앞서 발신 가입자에게 제공할 정보를 판정하는 서비스정보 판정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방법.
  7. 제2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정보 판정단계는 발신 가입자 정보와 발신 가입자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근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처리를 소정 시간동안 지연시키는 착신지연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처리 지연시간은 가입자의 선택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처리 지연시간은 발신 가입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정보에 따라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방법.
  11. 제2항에 있어서,
    발신 가입자에게 제공된 정보에 대응하는 상세정보를 억세스하기 위한 억세스 정보를 발신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억세스정보 제공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억세스정보는 단문메시지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억세스정보는 전화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억세스정보는 URL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방법.
  15.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억세스 정보는 가입자에 대한 정보서비스가 정상적으로 실행된 경우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방법.
  16. 제2항에 있어서,
    발신 가입자가 상업광고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소정의 통화료를 할인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방법.
  17. 제2항에 있어서,
    발신 가입자에게 제공된 정보에 대응하는 상세정보를 발신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상세정보 제공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상세정보는 문자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상세정보는 화상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상세정보는 동영상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방법.
  21. 다수의 교환기를 구비하고, 발신자에 대하여 착신처리를 실행함으로써 발신자와 착신자가 통신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발신자로부터 호요구를 수신하는 호요구 수신단계와,
    발신자가 정보서비스 가입자인지를 판단하는 가입자 판단단계,
    상기 가입자 판단단계에서 정보서비스 가입자로 판정된 경우에는 소정의 서비스정보를 억세스하기 위한 억세스정보를 제공하는 억세스정보 제공단계,
    상기 발신자에 대하여 착신처리를 실행하는 착신처리단계 및,
    착신측으로부터 착신응답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발신자와 착신측을 결합시키는 호접속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방법.
  22.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고, 해당 가입자가 정보서비스 가입자인지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구비하고 있는 가입자정보 저장수단과,
    통신망을 구성함과 더불어, 발신자와 착신자와의 호처리를 실행하고, 발신자가 상기 정보서비스 가입자인 경우에는 해당 호를 정보제공장치로 중계하는 교환기 및,
    발신 가입자로부터의 호를 착신측으로 중계하는 경로제어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교환기로부터 중계된 호의 발신 가입자에 대하여 소정의 서비스정보를 제공하고, 착신측으로부터의 착신응답에 대응하여 상기 발신 가입자를 착신측으로 연결제어하는 정보제공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기는 정보제공시스템으로의 호중계시 발신번호 및 착신번호와 더불어 발신가입자 위치정보를 정보제공시스템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가입자 위치정보는 UUI 파라미터를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장치.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시스템은 상기 발신번호와 발신 가입자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발신 가입자에게 서비스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장치.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시스템은 단문메시지 서비스센터와 연동하여 단문메시지를 송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단문메시지는 서비스정보의 상세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억세스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억세스정보는 전화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장치.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억세스정보는 URL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장치.
  3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억세스정보는 정보서비스가 성공적으로 수행되었을 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장치.
  31.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시스템은 인터넷에 접속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발신 가입자가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정보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장치.
  3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시스템은 발신 가입자에 대한 호처리를 소정 시간 지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시간은 서비스정보에 따라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장치.
  3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시간은 가입자의 선택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장치.
  3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시스템은 중계선을 통해 교환기와 결합됨과 더불어, 호중계 및 접속기능을 구비하고, 교환기로부터 중계된 발신호에 대하여 적어도 발신번호를 포함하는 정보서비스 요구 메시지를 정보서비스 제어/관리 서브시스템으로 송신하며, 정보서비스 제어/관리 서브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정보서비스 설정응답 메시지에 따라 발신 가입자에게 서비스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서비스처리 서브시스템과,
    가입자정보와 서비스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 베이스를 구비함과 더불어, 상기 정보서비스 요구 메시지에 대하여 적어도 정보 ID를 포함하는 정보서비스 설정응답 메시지를 정보서비스처리 서브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정보서비스 제어/관리 서브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정보서비스처리 서브시스템은 소정의 번호번역 테이블을 구비하여, 정보서비스 요구 메시지의 전송과 더불어 발신호에 대한 착신처리를 수행하고, 착신응답에 대응하여 발신 가입자와 착신측을 호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장치.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서비스 요구 메시지에는 발신 가입자의 위치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정보서비스 제어/관리 서브시스템은 발신번호와 발신 가입자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정보 ID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장치.
  38.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서비스처리 서브시스템은 정보서비스의 성공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서비스 결과메시지를 정보서비스 제어/관리 서브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장치.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서비스 제어/관리 서브시스템은 상기 결과메시지를 근거로 정보서비스 결과를 집계 및 통계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장치.
  40. 제36항 또는 제38에 있어서,
    상기 정보서비스 제어/관리 서브시스템은 단문메시지 서비스센터와 결합되고, 단문메시지 서비스센터와 연동하여 단문메시지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장치.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단문메시지 송출은 상기 서비스결과 메시지를 근거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장치.
  42.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시스템은 인터넷 접속기능을 제공하는 웹서버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웹서버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대한 억세스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장치.
  43.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서비스 설정응답 메시지에는 소정의 시간 데이터가 포함되고, 상기 정보서비스처리 서브시스템은 상기 시간 데이터에 상당하는 시간동안 착신호 처리를 지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장치.
  44.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서비스처리 서브시스템은 발신 가입자에게 제공하게 되는 서비스정보를 구비하고, 제어메시지에 따라 상기 서비스정보를 소정의 트래픽채널을 통해 출력하는 특수자원부와,
    교환기와의 중계선 접속을 제공하는 특수자원 신호처리부,
    제어데이터에 따라 상기 특수자원부와 발신 가입자간의 트래픽채널 결합을 제공하는 스위치부 및,
    교환기와의 호처리를 제어하고, 교환기로부터 인가되는 발신 가입자정보를 근거로 정보서비스 제어/관리 서브시스템과 연동하여 발신 가입자에게 제공하여야 할 서비스정보를 판정하고, 판정된 결과를 근거로 상기 특수자원부 및 스위치부를 제어하여 발신 가입자에 대한 서비스정보 제공을 제어하는 특수자원 관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장치.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자원부에 구비되는 서비스정보는 상기 정보서비스 제어/관리 서브시스템으로부터 다운로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장치.
  46.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자원부는 가청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가청음 검출수단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특수자원 관리부는 발신 가입자에 대한 서비스정보 제공상태에서는 착신측과 상기 가청음 검출수단을 결합제어하며,
    상기 가청음 검출수단으로부터 가청음이 검출되면, 상기 발신 가입자와 착신측을 결합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장치.
  47.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고, 해당 가입자가 정보서비스 가입자인지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구비하고 있는 가입자정보 저장수단과,
    통신망을 구성함과 더불어, 발신자와 착신자와의 호처리를 실행하고, 발신자가 상기 정보서비스 가입자인 경우에는 해당 호를 정보제공시스템으로 결합시키며, 착신측으로부터 착신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발신자를 착신측에 결합시키는 교환기 및,
    상기 교환기를 통해 결합되는 발신 가입자에 대하여 소정의 서비스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장치.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기는 정보제공시스템으로의 호결합시에 정보제공시스템으로 초기어드레스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초기어드레스 메시지에는 발신번호와 착신번호 및 발신가입자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장치.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가입자 위치정보는 UUI 파라미터를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장치.
  50.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시스템은 교환기로부터의 초기어드레스 메시지에 대하여 어드레스완료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어드레스완료 메시지에는 소정의 시간데이터가 포함되며,
    상기 교환기는 상기 시간데이터에 상당하는 시간동안 착신측에 대한 호처리를 지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장치.
  51.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기는 착신측으로부터 착신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정보제공시스템으로 호해제 메시지를 전송하고,
    정보제공시스템은 호해제 메시지에 따라 서비스정보 제공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장치.
  52.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시스템은 정보제공이 불가능한 경우에 교환기에 대하여 호해제 메시지를 제공하고,
    교환기는 정보제공시스템으로부터 호해제 메시지가 수신되면 발신 가입자와 착신측을 호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장치.
  53.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시간은 서비스정보에 따라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장치.
  54.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시간은 가입자의 선택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장치.
  55.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시스템은 상기 발신번호와 발신 가입자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발신 가입자에게 서비스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장치.
  56.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시스템은 단문메시지 서비스센터와 연동하여 단문메시지를 송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장치.
  57.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단문메시지는 서비스정보의 상세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억세스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장치.
  58.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억세스정보는 전화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장치.
  59.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억세스정보는 URL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장치.
  60.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억세스정보는 정보서비스가 성공적으로 수행되었을 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장치.
  61.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시스템은 인터넷에 접속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장치.
  62. 제61항에 있어서,
    발신 가입자가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정보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장치.
  63.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기는 발신 가입자에 대한 호처리를 소정 시간 지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장치.
  64.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시스템은 중계선을 통해 교환기와 결합됨과 더불어, 호중계 및 접속기능을 구비하고, 교환기로부터 제공되는 초기어드레스 메시지를 근거로 적어도 발신번호가 포함되는 정보서비스 요구 메시지를 정보서비스 제어/관리 서브시스템으로 송신하며, 정보서비스 제어/관리 서브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정보서비스 설정응답 메시지에 따라 발신 가입자에게 서비스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서비스처리 서브시스템과,
    가입자정보와 서비스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 베이스를 구비함과 더불어, 상기 정보서비스 요구 메시지에 대하여 적어도 정보 ID를 포함하는 정보서비스 설정응답 메시지를 정보서비스처리 서브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정보서비스 제어/관리 서브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장치.
  65.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서비스 요구 메시지에는 발신 가입자의 위치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정보서비스 제어/관리 서브시스템은 발신번호와 발신 가입자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정보 ID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장치.
  66.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서비스처리 서브시스템은 정보서비스의 성공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서비스 결과메시지를 정보서비스 제어/관리 서브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장치.
  67.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서비스 제어/관리 서브시스템은 상기 결과메시지를 근거로 정보서비스 결과를 집계 및 통계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장치.
  68.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서비스 제어/관리 서브시스템은 단문메시지 서비스센터와 결합되고, 단문메시지 서비스센터와 연동하여 단문메시지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장치.
  69. 제66항 또는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단문메시지 송출은 상기 서비스결과 메시지를 근거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장치.
  70.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시스템은 인터넷 접속기능을 제공하는 웹서버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웹서버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대한 억세스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장치.
  71.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서비스 설정응답 메시지에는 소정의 시간 데이터가 포함되고, 상기 정보서비스처리 서브시스템은 상기 시간 데이터가 포함되는 어드레스완료 메시지를 생성하여 교환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장치.
  72.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서비스처리 서브시스템은 발신 가입자에게 제공하게 되는 서비스정보를 구비하고, 제어메시지에 따라 상기 서비스정보를 소정의 트래픽채널을 통해 출력하는 특수자원부와,
    교환기와의 중계선 접속을 제공하는 특수자원 신호처리부,
    제어데이터에 따라 상기 특수자원부와 발신 가입자간의 트래픽채널 결합을 제공하는 스위치부 및,
    교환기와의 호처리를 제어하고, 교환기로부터 인가되는 발신 가입자정보를 근거로 정보서비스 제어/관리 서브시스템과 연동하여 발신 가입자에게 제공하여야 할 서비스정보를 판정하고, 판정된 결과를 근거로 상기 특수자원부 및 스위치부를 제어하여 발신 가입자에 대한 서비스정보 제공을 제어하는 특수자원 관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장치.
  73.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자원부에 구비되는 서비스정보는 상기 정보서비스 제어/관리 서브시스템으로부터 다운로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장치.
  74.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자원부는 가청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가청음 검출수단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특수자원 관리부는 발신 가입자에 대한 서비스정보 제공상태에서는 착신측과 상기 가청음 검출수단을 결합제어하며,
    상기 가청음 검출수단으로부터 가청음이 검출되면, 상기 발신 가입자와 착신측을 결합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장치.
  75. 통신망을 구성함과 더불어, 발신자와 착신자와의 호처리를 실행하고, 착신번호에 대하여 소정의 식별번호가 부가된 호요구의 경우에는 해당 호를 정보제공시스템으로 중계하는 교환기 및,
    발신 가입자로부터의 호를 착신측으로 중계하는 경로제어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교환기로부터 중계된 호의 발신 가입자에 대하여 소정의 서비스정보를 제공하고, 착신측으로부터의 착신응답에 대응하여 상기 발신 가입자를 착신측으로 연결제어하는 정보제공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장치.
  76. 통신망을 구성함과 더불어, 발신자와 착신자와의 호처리를 실행하고, 착신번호에 대하여 소정의 식별번호가 부가된 호요구의 경우에는 해당 호를 정보제공시스템으로 결합시키며, 착신측으로부터 착신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발신자를 착신측에 결합시키는 교환기 및,
    상기 교환기를 통해 결합되는 발신 가입자에 대하여 소정의 서비스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장치.
  77. 정보서비스 가입자에 대하여 소정의 호중계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홈 위치등록기와,
    방문가입자에 대한 상기 홈 위치등록기의 등록정보가 저장됨과 더불어, 발신번호에 대응하여 해당 발신호가 홈 위치등록기의 조회가 필요한 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방문가입자 위치등록기,
    통신망을 구성함과 더불어, 발신자와 착신자와의 호처리를 실행하고, 발신호에 대하여 상기 방문가입자 위치등록기를 조회하며, 홈 위치등록기의 조회가 필요한 발신자에 대해서는 홈 위치등록기로부터 제공되는 중계정보를 이용하여 호중계처리를 실행하는 교환기 및,
    발신 가입자로부터의 호를 착신측으로 중계하는 경로제어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교환기로부터 중계된 호의 발신 가입자에 대하여 소정의 서비스정보를 제공하고, 착신측으로부터의 착신응답에 대응하여 상기 발신 가입자를 착신측으로 연결제어하는 정보제공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장치.
  78. 정보서비스 가입자에 대하여 소정의 호중계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홈 위치등록기와,
    방문가입자에 대한 상기 홈 위치등록기의 등록정보가 저장됨과 더불어, 발신번호에 대응하여 해당 발신호가 홈 위치등록기의 조회가 필요한 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방문가입자 위치등록기,
    통신망을 구성함과 더불어, 발신자와 착신자와의 호처리를 실행하고, 발신호에 대하여 상기 방문가입자 위치등록기를 조회하며, 홈 위치등록기의 조회가 필요한 발신자에 대해서는 홈 위치등록기로부터 제공되는 중계정보를 이용하여 호중계처리를 실행하고, 착신번호를 근거로 착신호를 실행하며, 착신측으로부터 착신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발신 가입자를 착신측과 호접속하는 교환기 및,
    상기 교환기를 통해 결합되는 발신 가입자에 대하여 소정의 서비스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장치.
  79. 정보서비스를 위한 경로제어기능을 구비하는 제1 교환기와,
    정보서비스를 위한 경로제어기능을 구비하지 않은 제2 교환기 및,
    상기 제1 및 제2 교환기와 중계선을 통해 결합됨과 더불어, 발신 가입자로부터의 호를 착신측으로 중계하는 경로제어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교환기로부터 중계된 호의 발신 가입자에 대하여 소정의 서비스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정보제공시스템은 제2 교환기로부터의 중계호에 대해서 선택적으로 착신처리를 실행하고, 착신측으로부터의 착신응답에 대응하여 상기 발신 가입자를 착신측으로 호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장치.
  80. 제79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인 착신처리는 교환기와 결합되는 중계선 정보를 근거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장치.
  81.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고, 해당 가입자가 정보서비스 가입자인지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구비하고 있는 가입자정보 저장수단과,
    통신망을 구성함과 더불어, 발신자와 착신자와의 호처리를 실행하고, 발신자가 상기 정보서비스 가입자인 경우에는 해당 호를 지능망으로 중계하는 교환기 및,
    발신 가입자에 대한 서비스정보를 구비하는 서비스 콘트롤 파트와, 발신 가입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정보가 저장되는 지능형 주변장치 및, 발신 가입자에 대한 호처리를 실행하는 서비스 스위칭 파트를 구비하는 지능망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서비스 스위칭 파트는 교환기로부터의 중계호에 대하여 적어도 발신번호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서비스 콘트롤 파트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콘트롤 파트는 서비스 스위칭 파트를 제어하여 발신 가입자를 지능형 주변장치로 결합시킴과 더불어 지능형 주변장치가 소정의 서비스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서비스 스위칭 파트는 착신측으로부터 착신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발신 가입자를 착신측과 호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장치.
KR1020000040564A 1999-07-16 2000-07-14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정보제공방법 및 그 장치 KR100325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0564A KR100325961B1 (ko) 1999-07-16 2000-07-14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정보제공방법 및 그 장치
EP00942521A EP1201049A4 (en) 1999-07-16 2000-07-15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CUSTOMIZED INFORMATION IN CONNECTION CONSTRUCTION IN TELECOMMUNICATIONS SYSTEMS
AU57131/00A AU5713100A (en) 1999-07-16 2000-07-15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ustomized information during call setup processin telecommunication systems
CN00812634A CN1373946A (zh) 1999-07-16 2000-07-15 在电信系统中在呼叫建立的处理过程中提供订制信息的方法和系统
PCT/KR2000/000770 WO2001006679A1 (en) 1999-07-16 2000-07-15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ustomized information during call setup process in telecommunication systems
JP2000216698A JP2001094669A (ja) 1999-07-16 2000-07-17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着信応答待ち時間を用いた情報提供方法及びその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8901 1999-07-16
KR19990028901 1999-07-16
KR1019990041041 1999-09-22
KR19990041041 1999-09-22
KR20000005769 2000-02-08
KR1020000005769 2000-02-08
KR20000005770 2000-02-08
KR1020000005770 2000-02-08
KR20000013185 2000-03-15
KR1020000013185 2000-03-15
KR1020000040564A KR100325961B1 (ko) 1999-07-16 2000-07-14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정보제공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2050A true KR20000072050A (ko) 2000-12-05
KR100325961B1 KR100325961B1 (ko) 2002-03-07

Family

ID=27555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0564A KR100325961B1 (ko) 1999-07-16 2000-07-14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정보제공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201049A4 (ko)
JP (1) JP2001094669A (ko)
KR (1) KR100325961B1 (ko)
CN (1) CN1373946A (ko)
AU (1) AU5713100A (ko)
WO (1) WO2001006679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5869A (ko) * 2000-08-23 2002-03-02 김대기 지능망을 이용한 음성전화광고방법
KR20040019201A (ko) * 2002-08-27 2004-03-0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영상전화기의 통화대기시 동영상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83743B1 (ko) * 2002-09-25 2005-04-19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통화 대기음 시간을 이용하여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있는 공통의 통신 네트웍 환경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680041B1 (ko) * 2004-05-12 2007-02-07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 단말기에서 컨텐츠를 재생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773292B1 (ko) * 2006-12-11 2007-11-05 삼성전자주식회사 위치 정보 서비스를 이용한 중계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616801B1 (ko) * 2015-11-26 2016-04-29 (주)모엔트 통화연결음 및 문자메시지를 이용한 음성정보 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015569C2 (nl) * 2000-06-29 2002-01-02 Vsn Beheer B V Werkwijze voor het tot stand brengen van een telefoonverbinding.
US20040120494A1 (en) * 2002-12-12 2004-06-24 Shaoning Jiang Method and system for customized call termination
EP1914970B1 (en) 2003-05-15 2015-04-01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able RingBack Tones in a communication network
EP1705885B1 (en) 2003-05-15 2013-02-13 Huawei Technologies Co., Ltd.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bt in communication network
WO2005013594A1 (de) * 2003-07-26 2005-02-10 Pixcall Gmbh Verfahren zur übertragung von zusatzinformationen in einem kommunikationssystem, sowie vermittlungsvorrichtung, kommunikationssystem und teilnehmerstation
US7340049B2 (en) 2003-10-10 2008-03-04 Lucent Technologies Inc. Feedback to calling communication device on call connected with intelligent network signaling
US7136679B2 (en) * 2003-10-30 2006-11-14 Lucent Technologies Inc. Call category for a call that terminates at announcement server component
WO2005055576A2 (en) * 2003-11-24 2005-06-16 T-Mobile Deutschland Gmbh Personalised information during call setup
US20050185771A1 (en) * 2004-02-20 2005-08-25 Benno Steven A. Method of delivering multimedia associated with a voice link
CN100433843C (zh) * 2004-03-26 2008-11-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归属区位置寄存器系统
WO2005122542A1 (en) * 2004-06-07 2005-12-2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ringback tones
US7616750B2 (en) * 2005-02-25 2009-11-10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forwarding telephone calls based on presence information
GB2428828A (en) * 2005-07-30 2007-02-07 Ibm Publish/subscribe messaging system
EP1753166A3 (en) * 2005-08-11 2007-08-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ccess information for a broadcast service
GB2432744B (en) 2005-11-24 2011-01-12 Data Connection Ltd Telephone call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US8204057B2 (en) 2006-10-26 2012-06-19 Tekelec Global, Inc.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oviding an enriched messaging service in a communications network
US8199892B2 (en) 2006-10-26 2012-06-12 Tekelec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oviding a call attempt triggered messaging service in a communications network
CN101009668B (zh) * 2006-12-22 2010-10-2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呼叫信息处理方法及系统
US8781083B2 (en) * 2007-01-25 2014-07-1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ausing call processing to enable the playback of information
WO2010018589A1 (en) * 2008-08-12 2010-02-18 Kiran Chandramohan Kamtikar This invention describes architecture, systems & methodology of delivering rich information to the recipient in a hassle free way. the recipient just makes day to day routine calls and gets desired information as a by product of such calls. the information is extracted from various subjects of common interest and is delivered to the recipient in the form of media files i.e. audio / audio - visual files of short duration. the systems of this invention ensures delivery of dynamic, randomized, customised, prioritized media fifes to the recipient ensuring no repetition. this invention makes it feasible to deliver such media content files in various call scenarios of "idle, call wait and call hold" wherein either the calling party or the caller party is a subscriber. thus, rich media content substitutes normal plain ring back tone or a song or an announcement or a message pre-recorded by the subscriber.
US9712341B2 (en) 2009-01-16 2017-07-18 Tekelec, Inc.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providing E.164 number mapping (ENUM) translation at a bearer independent call control (BICC) and/or session intiation protocol (SIP) router
WO2010083509A2 (en) 2009-01-16 2010-07-22 Tekelec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centralized routing and call instance code management for bearer independent call control (bicc) signaling messages
WO2010105043A2 (en) 2009-03-11 2010-09-16 Tekelec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short message service (sms) forwarding
WO2010105099A2 (en) 2009-03-11 2010-09-16 Tekelec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detecting and mitigating address spoofing in messaging service transactions
EP2362625A1 (en) * 2010-02-19 2011-08-31 Tibor Nemes Method and integrated website for providing in-call and after-call advertisements
CN103634287A (zh) * 2012-08-27 2014-03-12 阿尔卡特朗讯 一种用于通过pstn网络交互用户终端的位置信息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1043A (ja) * 1991-07-10 1994-04-28 Yoshihide Takino 通信システム
US5351582A (en) * 1992-09-04 1994-10-04 Aldridge Electric Inc. Pipe turning tool
US5787364A (en) * 1995-01-30 1998-07-28 Paradyne Corporation Transparent call progress
US5752186A (en) * 1995-06-07 1998-05-12 Jeman Technologies, Inc. Access free wireless telephony fulfillment service system
GB9616523D0 (en) * 1996-08-06 1996-09-25 Blake Charles W Telecommunications system
US5852775A (en) * 1996-09-12 1998-12-22 Earthweb, Inc. Cellular telephone advertising system
US6493430B2 (en) * 1996-12-24 2002-12-10 At&T Wireless Services, Inc. Method of wireless retrieval of information
US6181927B1 (en) * 1997-02-18 2001-01-30 Nortel Networks Corporation Sponsored call and cell service
AU7360498A (en) * 1997-06-02 1998-12-21 Broadpoint Communications, Inc. Communications system for delivering promotional messages
KR100459111B1 (ko) * 1997-12-27 2005-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방법
KR100317341B1 (ko) * 1999-04-03 2001-12-22 정장호 통신 시스템에서의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5869A (ko) * 2000-08-23 2002-03-02 김대기 지능망을 이용한 음성전화광고방법
KR20040019201A (ko) * 2002-08-27 2004-03-0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영상전화기의 통화대기시 동영상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83743B1 (ko) * 2002-09-25 2005-04-19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통화 대기음 시간을 이용하여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있는 공통의 통신 네트웍 환경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680041B1 (ko) * 2004-05-12 2007-02-07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 단말기에서 컨텐츠를 재생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773292B1 (ko) * 2006-12-11 2007-11-05 삼성전자주식회사 위치 정보 서비스를 이용한 중계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616801B1 (ko) * 2015-11-26 2016-04-29 (주)모엔트 통화연결음 및 문자메시지를 이용한 음성정보 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1006679A1 (en) 2001-01-25
EP1201049A4 (en) 2005-06-15
EP1201049A1 (en) 2002-05-02
AU5713100A (en) 2001-02-05
CN1373946A (zh) 2002-10-09
KR100325961B1 (ko) 2002-03-07
JP2001094669A (ja) 200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72050A (ko) 통신시스템에서의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정보제공방법 및 그 장치
EP0690640B1 (en) Intelligent wireless signaling overlay for a telecommunication network
KR100392767B1 (ko) 가입자 기반 링백톤 서비스에서의 음원제공장치로의라우팅 제어 방법
US2005007861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xtended call setup and control features using a short message service
CA2280371A1 (en) Sponsored call and cell service
US6445915B1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variable termination patterns for multiple telecommunication sessions
US7400882B2 (en) Method for providing a subscriber-based ringback tone sound stored in a mobile exchanger
EP0966142A2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secondary treatment by a distant switch for multiple leg telecommunication sessions
KR20040100927A (ko) 이동 피호출 가입자가 이용 가능하게 될 때 호출 가입자가받는 통지
KR20050040605A (ko) 이동통신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US6574325B1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all progress information for multiple leg telecommunication sessions for intelligent network services
KR20050120890A (ko) 웹에서 등록된 가입자의 정보를 이용하여 무선 전화망 연동 메시징 및 왑 게이트웨이와 상호연동 할 수 있는 서비스와 시스템
KR100483743B1 (ko) 통화 대기음 시간을 이용하여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있는 공통의 통신 네트웍 환경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31477A (ko) 지능망을 이용한 링백톤 통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방법
KR100706950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지역 기반 가상 사설망서비스의 착신 부가 서비스 제어 방법 및 시스템
US20030072319A1 (en) Method of providing a service
KR100392769B1 (ko) 프로그래스 톤을 없앤 가입자 기반 링백톤 서비스 방법
KR100378089B1 (ko) 가입자 기반 링백톤 서비스에서의 음원 제공을 위한트렁크 관리 방법
KR100467356B1 (ko) 지능망을 이용한 서비스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00378088B1 (ko) 가입자 기반 링백톤 서비스에서의 음원 확인 방법
KR20010064374A (ko) 홈 페이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76795B1 (ko) 소프트 스위치를 이용하여 지능망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470028B1 (ko) 무선 인터넷 사용중의 유입 호 서비스 방법
KR100537694B1 (ko) 개인 정보 단말기가 결합된 이동 전화에 하나의전화번호를 이용하여 멀티 액세스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및 시스템
KR100494330B1 (ko) Ssp를 이용한 링백톤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O074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G171 Publication of correction by opposition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G171 Publication of correction by opposi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1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