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2034B1 - 세대간 착신전환 상태에서 영상 통화 연결 방법, 그 시스템및 홈 위치 등록기 - Google Patents

세대간 착신전환 상태에서 영상 통화 연결 방법, 그 시스템및 홈 위치 등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2034B1
KR101152034B1 KR1020070046975A KR20070046975A KR101152034B1 KR 101152034 B1 KR101152034 B1 KR 101152034B1 KR 1020070046975 A KR1020070046975 A KR 1020070046975A KR 20070046975 A KR20070046975 A KR 20070046975A KR 101152034 B1 KR101152034 B1 KR 101152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exchange
information
originating
dest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6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0927A (ko
Inventor
박종병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6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2034B1/ko
Publication of KR20080100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09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2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2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4Arrangements for diverting calls for one subscriber to another predetermined subscriber
    • H04M3/546Arrangements for diverting calls for one subscriber to another predetermined subscriber in private branch exch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세대간 착신전환 상태에서 영상 통화 연결 방법, 그 시스템 및 홈 위치 등록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비동기망 발신 단말에서 발신 교환기로 호 요청을 하면, 상기 발신 교환기에서 상기 호 요청에 대응하는 착신 단말의 정보를 홈 위치 등록기에서 검색하는 단계; 상기 홈 위치 등록기에서 상기 착신 단말의 정보에 착신 전환이 활성화되어 있으면, 최종 착신 단말의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홈 위치 등록기에서, 상기 최종 착신 단말이 비동기망 단말로 확인되면, 최종 교환 정보를 상기 최종 착신 단말의 착신 교환기로 요청하는 단계; 상기 착신 교환기에서 상기 최종 교환 정보를 상기 홈 위치 등록기를 경유하여 상기 발신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발신 교환기가 상기 비동기망 발신 단말과 연결하고, 상기 착신 교환기가 상기 최종 착신 단말과 페이징 및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발신자가 요구하는 영상 통화 연결에 대하여, 가능 또는 불가능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하여 발신자에게 알려줄 수 있고, 착신 전환 상태에서 중간 단말이 영상 통화를 지원하지 않는 단말이더라도 최종 착신 단말이 영상 통화 지원 단말인 경우에는 서비스의 중단 없이 영상 통화 연결이 가능하게 하여 연결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고품질의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세대간 착신전환 상태에서 영상 통화 연결 방법, 그 시스템 및 홈 위치 등록기 {Method and System for connecting video communication call with call forwarding between generations and Home location register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대간 착신전환 상태에서 영상 통화 연결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에 적용되는 홈 위치 등록기의 상세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시스템에서 호 연결 절차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대간 착신전환 상태에서 영상 통화 연결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의 영상 통화 연결 방법을 적용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영상 통화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세대간 착신전환 상태에서 영상 통화 연결 방법, 그 시스템 및 홈 위치 등록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WCDMA의 전국망 서비스가 가능하게 되었다. 모든 망 구축이 완료된 시점으로 경쟁사와 서비스 품질 및 시장점유 우위를 놓고 더욱 치열한 접전을 치루게 되었다.
WCDMA 서비스란 WCDMA망을 통해 제공되는 이동통신 서비스를 통칭하는 것으로, 일반 서비스는 기본으로 제공하고(음성, SMS, 무선인터넷, 컬러링 등), 영상통화나 고품질 동영상, 멀티액세스, 인터넷 등 WCDMA 특화서비스를 추가로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WCDMA의 특화서비스인 영상통화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이다. 서비스 경쟁에서 영상통화는 최고의 화두이며 요금정책이 현재 계속해서 개발되고 있으며 인하되고 있는 추세이다.
사용자의 다양한 활동 및 환경에 따라 착신전환 서비스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비동기망이 전국 서비스가 되고, 지속적으로 비동기망을 사용하는 가입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동기망에서 비동기망으로 착신전환을 사용하는 경우가 빈번해질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동기 단말(A)에서 비동기 단말(B)로 착신전환 상태에서 비동기 단말(C)가 동기 단말(A)로 영상 통화를 시도시 영상통화 서비스 제공이 이루어 지지 않고 있다. 예를 들어, WCDMA 단말(A)가 B의 단말정보에 상관없이 영상 통화를 요청했을 때, B의 단말은 동기망(95A/1X)이며 영상 통화가 지원되지 않는 단말이라고 가정한다. 또한, 홈 위치 등록기의 정보를 검색한 경우, 착신 전환 상태이며 최종 단말이 비동기망 단말로서 영상 통화가 가능한 단말이라고 가정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발신자가 영상 통화를 요청한 경우라도, B의 단말정보만 확인 후 영상 통화가 불가능하다고 발신자에게 알리며 음성통화 연결을 시도한다.
따라서, 종래의 영상 통화의 착신 전환 방법은 최종 수신 단말의 서비스 지 원에 상관없이 중간 단말의 정보만 확인하므로 영상 통화를 위한 착신 전환이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첫번째 기술적 과제는 발신자가 요구하는 영상 통화 연결에 대하여, 가능 또는 불가능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하여 발신자에게 알려줄 수 있고, 착신 전환 상태에서 중간 단말이 영상 통화를 지원하지 않는 단말이더라도 최종 착신 단말이 영상 통화 지원 단말인 경우에는 서비스의 중단 없이 영상 통화 연결이 가능하게 하여 연결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세대간 착신전환 상태에서 영상 통화 연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두번째 기술적 과제는 상기의 세대간 착신전환 상태에서 영상 통화 연결 방법이 적용된 세대간 착신전환 상태에서 영상 통화 연결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세번째 기술적 과제는 상기의 세대간 착신전환 상태에서 영상 통화 연결 시스템에 적용되는 홈 위치 등록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첫번째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비동기망 발신 단말에서 발신 교환기로 호 요청을 하면, 상기 발신 교환기에서 상기 호 요청에 대응하는 착신 단말의 정보를 홈 위치 등록기에서 검색하는 단계; 상기 홈 위치 등록기에서 상기 착신 단말의 정보에 착신 전환이 활성화되어 있으면, 최종 착신 단말의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홈 위치 등록기에서, 상기 최종 착신 단말이 비동기망 단말로 확인되면, 최종 교환 정보를 상기 최종 착신 단말의 착신 교환기로 요청하는 단계; 상기 착신 교환기에서 상기 최종 교환 정보를 상기 홈 위치 등록기를 경유하여 상기 발신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발신 교환기가 상기 비동기망 발신 단말과 연결하고, 상기 착신 교환기가 상기 최종 착신 단말과 페이징 및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대간 착신전환 상태에서 영상 통화 연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의 두번째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영상 통화 기능을 구비하고, 발신 교환기로 호 요청을 하는 비동기망 발신 단말; 발신 및 착신 단말의 가입자 정보, 위치 정보, 서비스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며, 상기 호 요청에 대응하는 착신 단말의 정보에 착신 전환이 활성화되어 있으면 최종 착신 단말의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최종 착신 단말이 비동기망 단말로 확인되면 최종 교환 정보를 착신 교환기로 요청하는 홈 위치 등록기; 상기 호 요청에 대응하는 착신 단말의 정보를 상기 홈 위치 등록기에서 검색하고, 상기 홈 위치 등록기로부터 상기 최종 교환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비동기망 발신 단말과 연결하는 발신 교환기; 및 상기 홈 위치 등록기의 최종 교환 정보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최종 교환 정보를 상기 홈 위치 등록기를 경유하여 상기 발신 교환기로 전송하고, 상기 최종 착신 단말과 페이징 및 연결하는 착신 교환기를 포함하는 세대간 착신전환 상태에서 영상 통화 연결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의 세번째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발신 및 착신 단말의 가입자 정보, 위치 정보, 서비스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 비동기망 발신 단말의 호 요청에 대응하는 착신 단말의 정보에 착신 전환이 활성화되어 있으면 최 종 착신 단말의 정보를 상기 정보 저장부에서 검색하는 착신 전환 처리부; 및 상기 최종 착신 단말이 비동기망 단말로 확인되면 최종 교환 정보를 착신 교환기에 요청하고, 상기 착신 교환기로부터 상기 최종 교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발신 교환기로 전송하는 정보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세대간 착신전환 상태에서 영상 통화 연결을 위한 홈 위치 등록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영상통화 연결을 안정적이고 효율적이게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관련하여, 착신 전환 상태에서는 중간 단말의 단말정보가 아닌 최종 착신자 단말의 정보를 확인하여 발신자가 요청한 영상 통화를 연결하여 주는 방법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3세대에서 3.5G로의 가입자 전환이 향후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기존 95A/1X에서 제공되지 못하는 서비스를 착신전환(Call Forwarding) 상태에서 End-to-End 단말과 망의 서비스 제공 여부에 따라 발신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대간 착신전환 상태에서 영상 통화 연결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비동기망 발신 단말(110)은 영상 통화 기능을 구비하고, 발신 교환기(120)로 호 요청을 한다.
발신 교환기(120)는 비동기망 발신 단말(110)의 호 요청에 대응하는 착신 단말의 정보를 홈 위치 등록기(130)에서 검색한다. 발신 교환기(120)는 홈 위치 등록기(130)로부터 최종 교환 정보가 수신되면 비동기망 발신 단말(110)과 영상 통화 연결한다.
홈 위치 등록기(130)는 발신 및 착신 단말의 가입자 정보, 위치 정보, 서비스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홈 위치 등록기(130)는 비동기망 발신 단말(110)의 호 요청에 대응하는 착신 단말의 정보에 착신 전환이 활성화되어 있으면 최종 착신 단말의 정보를 검색한다. 또한, 홈 위치 등록기(130)는 최종 착신 단말이 비동기망 단말로 확인되면 최종 교환 정보를 착신 교환기로 요청한다. 바람직하게는, 홈 위치 등록기(130)는 최종 착신 단말(170)의 부가 서비스 지원 정보를 검색하여 영상 통화가 활성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이때, 홈 위치 등록기(130)는 최종 착신 단말(170)의 부가 서비스 중 영상 통화가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 최종 교환 정보를 최종 착신 단말(170)의 착신 교환기(140)로 요청한다.
바람직하게는, 홈 위치 등록기(130)가 최종 착신 단말(170)이 동기망 단말로 확인하면, 영상 통화 불능 메시지를 발신 교환기(120)를 경유하여 비동기망 발신 단말(110)로 전송하도록 시스템이 구성될 수 있다.
착신 교환기(140)는 홈 위치 등록기(130)의 최종 교환 정보 요청에 대응하여, 최종 교환 정보를 홈 위치 등록기(130)를 경유하여 발신 교환기(120)로 전송한다. 이후, 착신 교환기(140)는 영상 통화를 위해 최종 착신 단말(170)과 페이징 및 연결한다.
이에 따라, 홈 위치 등록기(130)에 등록된 최종 단말정보를 확인 후 영상 통화 서비스 가능여부 판단하여, 발신자의 서비스 요구에 정확하게 응답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적용되는 홈 위치 등록기(230)의 상세 블럭도이다.
정보 저장부(231)는 발신 및 착신 단말의 가입자 정보, 위치 정보, 서비스 정보를 저장한다.
착신 전환 처리부(232)는 비동기망 발신 단말의 호 요청에 대응하는 착신 단말의 정보에 착신 전환이 활성화되어 있으면, 최종 착신 단말의 정보를 정보 저장부(231)에서 검색한다.
정보 송수신부(233)는 최종 착신 단말이 비동기망 단말로 확인되면 최종 교환 정보를 착신 교환기에 요청하고, 착신 교환기로부터 최종 교환 정보를 수신하여 발신 교환기로 전송한다.
도 3은 도 1의 시스템에서 호 연결 절차를 도시한 것이다.
발신 교환기(320)가 발신 단말(310)로부터 화상 전화를 요청하는 셋업 메시지를 수신하면, 홈 위치 등록기(330)를 참조하여 착신 교환기(340)로 화상 전화 호 설정을 요청한다.
발신 단말(310)로부터 셋업 메시지(2)를 수신한 발신 교환기(320)는 홈 위치 등록기(330)로 착신 단말 정보 및 착신 교환기 라우팅 정보를 요청하는 SRI(Send Routing Number) 메시지(4)를 전송하고, 홈 위치 등록기(330)는 최종 착신 단말(370)의 위치 정보를 조회하여 착신 교환기(340)로 착신 단말 정보 및 착신 교환기 라우팅 정보를 요청하는 PRN(Provide Roaming Number) 메시지(5)를 전송하게 된다.
이때, 홈 위치 등록기(330)는 착신 단말이 착신 전환 상태인지 확인하고, 착신 전환 상태이면, 최종 최종 착신 단말(370)의 정보를 확인한다. 또한, 홈 위치 등록기(330)는 최종 최종 착신 단말(370)의 부가 서비스 중 영상 통화가 활성화되 었는지 확인한다.
PRN 메시지(5)를 수신한 착신 교환기(340)는 착신 단말 정보와 착신 교환기 라우팅 정보를 포함하는 PRN Ack 메시지(6)를 홈 위치 등록기(330)로 전송하고, 홈 위치 등록기(330)는 이러한 정보를 포함하는 SRI Ack 메시지(7)를 발신 교환기(320)로 전송한다. SRI Ack 메시지(7)를 수신한 발신 교환기(320)는 착신 교환기(340)로 발신 단말 정보 및 착신 단말 정보를 포함하는 ISUP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8)를 전송하게 된다.
ISUP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8)를 수신한 착신 교환기(340)는 최종 착신 단말(370)이 3G-IP(350)로 호를 연결하게 된다(S330).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착신 교환기(340)가 3G-IP(350)로 ISUP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를 전송하면, 3G-IP(350)는 호 설정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ISUP 어드레스 완료 메시지(ACM: Address Complete Message)를 착신 교환기(340)로 전송한다. 착신 교환기(340)는 ISUP 어드레스 완료 메시지(14)를 발신 교환기(320)로 전송하고, 발신 교환기(320)는 3G-IP(350)와 호가 연결되었음을 알리는 Alerting 메시지(15)를 발신 단말(310)로 전송하게 된다. 이로써 착신 교환기(340)와 3G-IP(350) 간에 호가 연결되어 발신 단말(310)과 3G-IP(350)간에 통신을 위한 준비가 끝나게 된다.
발신 단말(310)이 Alerting 메시지(15)를 수신한 시점에서 발신 단말(310)과 3G-IP(350) 간에 H.245 협상이 진행된다. 여기서, H.245 협상이란 전술한 것처럼 3G-IP(350)와 발신 단말(310) 간의 주종 결정(Master-Slave Determination), 기능 교환(Capability Exchange), 논리 채널 개방 등을 의미하며, 이를 위해 Master_Slave_Determination, Terminal_Capability_set, Multiplex_Entry_send, Open_Logic_Channel 등의 메시지가 사용된다.
한편, 착신 교환기(340)는 최종 착신 단말(370)로의 화상 전화 호 설정을 위한 절차를 수행하여 최종 착신 단말(370)로부터 응답이 없는 경우 최종 착신 단말(370)의 무응답을 알리는 CPG 메시지를 3G-IP(350)로 전송하게 된다. 즉, 착신 교환기(340)가 최종 착신 단말(370)로 페이징(Paging) 메시지(9)를 전송하여 최종 착신 단말(370)로부터 페이징 응답(Paging Response) 메시지(10)를 수신하면 화상 전화 호 설정을 위한 셋업 메시지(11)를 전송하고, Call Confirm 메시지(12)를 수신하면 착신 교환기(340)와 최종 착신 단말(370) 간에 호가 연결되어 착신 단말에서 호출음이 울리게 된다. 이때 최종 착신 단말(370)로부터 응답이 없는 경우 착신 교환기(340)는 3G-IP(350)로 최종 착신 단말(370)의 무응답을 알리는 CPG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영상 통화에 대한 전체적인 호처리는 도 3과 같고, 홈 위치 등록기를 중심으로 설명하면, 도 4와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대간 착신전환 상태에서 영상 통화 연결 방법의 흐름도이다.
먼저, 비동기망 발신 단말에서 발신 교환기로 호 요청을 하면, 발신 교환기에서 호 요청에 대응하는 착신 단말의 정보를 홈 위치 등록기에서 검색한다(410 과정).
다음, 홈 위치 등록기에서 착신 단말의 정보에 착신 전환이 활성화되어 있는 지 판단한다(420 과정).
이때, 착신 전환이 활성화되어 있으면, 홈 위치 등록기에서 최종 착신 단말의 정보를 검색한다(430 과정).
다음, 홈 위치 등록기에서, 최종 착신 단말이 비동기망 단말인지 확인한다(440 과정). 이때, 최종 착신 단말이 동기망 단말로 확인되면, 음성 통화 연결에 따른 절차를 수행한다(460 과정).
반면에, 최종 착신 단말이 비동기망 단말로 확인되면, 최종 교환 정보를 최종 착신 단말의 착신 교환기로 요청한다(450 과정). 바람직하게는, 이 과정(450 과정)은 최종 착신 단말의 부가 서비스 지원 정보를 검색하여, 영상 통화가 활성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영상 통화가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 최종 교환 정보를 최종 착신 단말의 착신 교환기로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 과정(450 과정)은 홈 위치 등록기에서, 최종 착신 단말이 동기망 단말로 확인되면, 영상 통화 불능 메시지를 발신 교환기를 경유하여 비동기망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착신 교환기에서 최종 교환 정보를 홈 위치 등록기를 경유하여 발신 교환기로 전송하고, 발신 교환기가 비동기망 발신 단말과 연결하고, 착신 교환기가 최종 착신 단말과 페이징 및 연결하는 영상 통화 연결에 따른 절차를 수행한다(470 과정).
도 5는 도 4의 영상 통화 연결 방법을 적용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에서, 비동기망 발신자 A가 동기망 가입자 B에게 영상통화를 요청 후 홈 위치 등록기 조회 결과, 비동기망 C로 착신전환 되어 있을 경우, 호 연결 절차를 설명한다.
먼저, 비동기망 발신자 A가 영상 통화 연결에 대한 발신 요청을 발신 교환기로 전송한다(501).
다음, 홈 위치 등록기에서 착신 단말 정보를 조회한다(502).
다음, 홈 위치 등록기에서, 착신 전환 상태(CFW)인지 확인하고 최종 C의 단말 정보를 조회한다(503).
최종 C의 단말 정보에서 최종 C의 단말이 비동기망 단말이면, 최종 단말이 위치한 교환정보를 착신 교환기에 요구한다(504).
다음, 착신 교환기가 최종 교환 정보(TLDN)를 발신자 교환으로 통보한다(505).
다음, 발신 교환기가 홈 위치 등록기로부터 최종 교환 정보를 수신 후 발신 단말과 호 연결을 시도한다(506).
마지막으로, 착신 교환기가 착신 단말과 페이징(Paging) 및 통화를 수행한다(507).
이에 따라, 동기망 착신자 B는 영상 통화를 지원할 수 없지만 최종 착신전환되어 있는 C의 단말은 영상통화를 지원하므로 발신자 A와 정상적으로 영상 통화 연결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최종 착신전환 번호 즉, 비동기망 C 번호의 정보를 1회 더 검색하여 발신자의 A가 요구하는 서비스의 연결 가능 또는 불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발신자가 요청한 영상 통화를 중간의 정보차단에 의한 중단이 아닌 최종 교환정보와 단말정보를 검색 후 발신자와의 서비스를 연결하여 주는 Seamless한 기술이다.
본 발명은 소프트웨어를 통해 실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실행될 때, 본 발명의 구성 수단들은 필요한 작업을 실행하는 코드 세그먼트들이다. 프로그램 또는 코드 세그먼트들은 프로세서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거나 전송 매체 또는 통신망에서 반송파와 결합된 컴퓨터 데이터 신호에 의하여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장치의 예로는 ROM, RAM, CD-ROM, DVD±ROM, DVD-RA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hard disk),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장치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발신자가 요구하는 영상 통화 연결에 대하여, 가능 또는 불가능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하여 발신자에게 알려줄 수 있고, 착신 전환 상태에서 중간 단말이 영상 통화를 지원하지 않는 단말이더라도 최종 착신 단말이 영상 통화 지원 단말인 경우에는 서비스의 중단 없이 영상 통화 연결이 가능하게 하여 연결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고품질의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7)

  1. 비동기망 발신 단말에서 발신 교환기로 호 요청을 하면, 상기 발신 교환기에서 상기 호 요청에 대응하는 착신 단말의 정보를 홈 위치 등록기에서 검색하는 단계;
    상기 홈 위치 등록기에서 상기 착신 단말의 정보에 착신 전환이 활성화되어 있으면, 최종 착신 단말의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홈 위치 등록기에서, 상기 최종 착신 단말이 비동기망 단말로 확인되면, 최종 교환 정보를 상기 최종 착신 단말의 착신 교환기로 요청하는 단계;
    상기 착신 교환기에서 상기 최종 교환 정보를 상기 홈 위치 등록기를 경유하여 상기 발신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발신 교환기가 상기 비동기망 발신 단말과 연결하고, 상기 착신 교환기가 상기 최종 착신 단말과 페이징 및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대간 착신전환 상태에서 영상 통화 연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교환 정보를 상기 최종 착신 단말의 착신 교환기로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최종 착신 단말의 부가 서비스 지원 정보를 검색하여, 영상 통화가 활성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통화가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 상기 최종 교환 정보를 상기 최종 착신 단말의 착신 교환기로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대간 착신전환 상태에서 영상 통화 연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교환 정보를 상기 최종 착신 단말의 착신 교환기로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홈 위치 등록기에서, 상기 최종 착신 단말이 동기망 단말로 확인되면, 영상 통화 불능 메시지를 상기 발신 교환기를 경유하여 상기 비동기망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대간 착신전환 상태에서 영상 통화 연결 방법.
  4. 영상 통화 기능을 구비하고, 발신 교환기로 호 요청을 하는 비동기망 발신 단말;
    발신 및 착신 단말의 가입자 정보, 위치 정보, 서비스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며, 상기 호 요청에 대응하는 착신 단말의 정보에 착신 전환이 활성화되어 있으면 최종 착신 단말의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최종 착신 단말이 비동기망 단말로 확인되면 최종 교환 정보를 착신 교환기로 요청하는 홈 위치 등록기;
    상기 호 요청에 대응하는 착신 단말의 정보를 상기 홈 위치 등록기에서 검색하고, 상기 홈 위치 등록기로부터 상기 최종 교환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비동기망 발신 단말과 연결하는 발신 교환기; 및
    상기 홈 위치 등록기의 최종 교환 정보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최종 교환 정보를 상기 홈 위치 등록기를 경유하여 상기 발신 교환기로 전송하고, 상기 최종 착신 단말과 페이징 및 연결하는 착신 교환기를 포함하는 세대간 착신전환 상태에서 영상 통화 연결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홈 위치 등록기는
    상기 최종 착신 단말의 부가 서비스 지원 정보를 검색하여, 영상 통화가 활성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상기 영상 통화가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 상기 최종 교환 정보를 상기 최종 착신 단말의 착신 교환기로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대간 착신전환 상태에서 영상 통화 연결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홈 위치 등록기는
    상기 최종 착신 단말이 동기망 단말로 확인되면, 영상 통화 불능 메시지를 상기 발신 교환기를 경유하여 상기 비동기망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대간 착신전환 상태에서 영상 통화 연결 시스템.
  7. 발신 및 착신 단말의 가입자 정보, 위치 정보, 서비스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
    비동기망 발신 단말의 호 요청에 대응하는 착신 단말의 정보에 착신 전환이 활성화되어 있으면 최종 착신 단말의 정보를 상기 정보 저장부에서 검색하는 착신 전환 처리부; 및
    상기 최종 착신 단말이 비동기망 단말로 확인되면 최종 교환 정보를 착신 교환기에 요청하고, 상기 착신 교환기로부터 상기 최종 교환 정보를 수신하여 발신 교환기로 전송하는 정보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세대간 착신전환 상태에서 영상 통화 연결을 위한 홈 위치 등록기.
KR1020070046975A 2007-05-15 2007-05-15 세대간 착신전환 상태에서 영상 통화 연결 방법, 그 시스템및 홈 위치 등록기 KR101152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6975A KR101152034B1 (ko) 2007-05-15 2007-05-15 세대간 착신전환 상태에서 영상 통화 연결 방법, 그 시스템및 홈 위치 등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6975A KR101152034B1 (ko) 2007-05-15 2007-05-15 세대간 착신전환 상태에서 영상 통화 연결 방법, 그 시스템및 홈 위치 등록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0927A KR20080100927A (ko) 2008-11-21
KR101152034B1 true KR101152034B1 (ko) 2012-06-08

Family

ID=40287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6975A KR101152034B1 (ko) 2007-05-15 2007-05-15 세대간 착신전환 상태에서 영상 통화 연결 방법, 그 시스템및 홈 위치 등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20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251B1 (ko) * 2008-12-02 2015-02-2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Erbt 제공 통신 환경에서의 통화중 서비스 전환 시스템및 방법
KR101581047B1 (ko) * 2009-12-30 2015-12-30 에릭슨 엘지 주식회사 지능망 서비스의 폴백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0927A (ko) 2008-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20707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network call processing
EP1129585B1 (en) Method and node for connecting mobile computing devices
CA2274528C (en) System and method of forwarding data calls in a radio telecommunications network
JP4294340B2 (ja) リングバック・トーンサウンドの提供方法及びリングバック・トーンサウンドの提供装置
JPH10512723A (ja) ホーム位置レジスタから外部ノードへの非構造の補足サービスデータ
JP2001513614A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閉じたユーザグループの音声メールサービス
US2006021142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user equipment capability information in a communication in a communication network
JPH11510659A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の出呼び及び入呼びを処理する方法
WO2001015407A1 (en) System and method for call re-direction in h.323 network
US20090041213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voice messages
KR20020097075A (ko) 교환기 음원 송출을 통한 가입자 기반 링백톤 서비스 방법
KR101152034B1 (ko) 세대간 착신전환 상태에서 영상 통화 연결 방법, 그 시스템및 홈 위치 등록기
US20080062961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ommunication sessions in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networks
WO1999056478A1 (en) An announcing system and method used in a communications network for holding incoming circuit switched calls
US7107047B2 (en) Employment of established telephone number of mobile device supported by serving mobile switching center to connect a call to the mobile device
KR100483743B1 (ko) 통화 대기음 시간을 이용하여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있는 공통의 통신 네트웍 환경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07013512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lexible alerting using a packet gateway
KR20090094315A (ko) 어드레스 북 레코드의 폰­대­폰 전송
KR101618366B1 (ko) 통신 시스템에서의 교환기 및 착신 제한 방법
EP0936795A2 (en) System and method for bridging wireless and wireline subscribers
KR100685513B1 (ko)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의 통화 연결 서비스 제공 방법
AU5951000A (en) Method for informing a busy subscriber of an access request
KR101837540B1 (ko) 서비스 서버 그리고 그를 포함한 통화요구 알림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KR20050006342A (ko) 착신 가입자의 착신 통화를 녹음하는 방법 및 그 장치
JP2003289566A (ja) デジタル移動通信交換機、及びデジタル移動通信交換機の回線非対応信号ルーティング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