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8534B1 - 배터리 커버를 이용한 배터리 잠금 해제 구조를 구비한휴대용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배터리 커버를 이용한 배터리 잠금 해제 구조를 구비한휴대용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8534B1
KR101448534B1 KR1020070131051A KR20070131051A KR101448534B1 KR 101448534 B1 KR101448534 B1 KR 101448534B1 KR 1020070131051 A KR1020070131051 A KR 1020070131051A KR 20070131051 A KR20070131051 A KR 20070131051A KR 101448534 B1 KR101448534 B1 KR 101448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over
link member
battery cover
compar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1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3614A (ko
Inventor
김태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1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8534B1/ko
Publication of KR20090063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3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8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8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8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ortable, e.g. battery operated apparatu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1Locks; Latch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6Hing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번의 동작으로 배터리를 배터리 수납부로부터 꺼낼 수 있는 휴대용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 배터리가 수납되는 배터리 수납부; 상기 배터리 수납부의 입구에 배치되어 상기 배터리 수납부와 외부 공간을 구분하는 배터리 커버; 상기 배터리 커버의 하부에 상기 배터리 수납부의 입구를 일부분 차단하도록 배치되어 배터리를 고정하는 배터리 잠금 장치; 및 상기 배터리 수납부의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배터리 커버와 상기 배터리 잠금 장치를 링크하는 링크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커버가 열리면, 상기 배터리 커버의 단부에 배치된 작용부가 움직여 상기 링크 구조체를 동작시킴으로써 상기 배터리 잠금 장치를 해제하는 휴대용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배터리 커버를 이용한 배터리 잠금 해제 구조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 기기{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comprising battery un-lock structure using battery cover}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 번의 동작으로 배터리를 배터리 수납부로부터 꺼낼 수 있는 휴대용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카메라를 포함한 각종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 공급은 대부분 배터리에 의해서 수행된다. 이를 위해 휴대용 전자기기는, 그 내부에 배터리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와, 그 수납부를 덮어 외부와 전자기기를 분리할 수 있는 배터리 커버를 구비하고 있다.
배터리 커버를 열 경우, 배터리가 바로 전자기기의 단자부에서 이탈하여 전기적으로 절연되거나 전자기기 외부로 떨어져 나가 충격을 받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터리 수납부의 입구에는 별도의 배터리 잠금 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은 종래의 배터리 잠금 장치가 별도로 구비된 디지털 카메라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종래의 디지털 카메라(10)는, 배터리 수납부(12)로부터 배터리(13)를 분리하기 위해 배터리 잠금 장치(14)를 해제하는 경우, 먼저 배터리 커버(11)를 A방향으로 연 다음, 배터리 수납부(12)의 입구 측에서 배터리(13)를 누르고 있는 배터리 잠금 장치(14)를 사용자가 B방향으로 직접 밀면, 배터리 잠금 장치(14)가 C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배터리(13)를 누르고 있는 수직력이 제거되기 때문에, 배터리(13)가 배터리 수납부(12)에서 분리 추출된다.
상술한 종래 기술에 의하면 배터리 수납부(12)에서 배터리(13)를 꺼내기 위해서는 배터리 커버(11)를 열고 난 후, 사용자가 직접 배터리 잠금 장치(14)를 손으로 밀어 회전시켜야만 한다. 결과적으로, 종래 기술에 의하면 배터리를 꺼내는 동작이 번잡해 진다. 또한, 휴대용 전자기기들의 소형화 추세에 따라 전자기기 및 그 배터리가 소형화되고 있기 때문에, 배터리를 수납하는 배터리 수납부 및 배터리 잠금 장치와 같은 부품도 소형화되어 손으로 별도로 배터리 잠금 장치를 여는 동작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터리 커버를 열면 배터리 잠금 장치가 자동으로 해제되어 배터리를 간단히 추출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배터리가 수납되는 배터리 수납부; 상기 배터리 수납부의 입구에 배치되어 상기 배터리 수납부와 외부 공간을 구분하는 배터리 커버; 상기 배터리 커버의 하부에 상기 배터리 수납부의 입구를 일부분 차단하도록 배치되어 배터리를 고정하는 배터리 잠금 장치; 및 상기 배터리 수납부의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배터리 커버와 상기 배터리 잠금 장치를 링크하는 링크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커버가 열리면, 상기 배터리 커버의 단부에 배치된 작용부가 움직여 상기 링크 구조체를 동작시킴으로써 상기 배터리 잠금 장치를 해제하는 휴대용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배터리 커버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본체에 힌지 구조로 장착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여닫히며,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배터리 커버의 일 측에 배치되고, 상기 배터리 수납부를 여닫는 커버부; 및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배터리 커버의 타 측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부의 동작과 연동되어 움직이는 작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작용부의 단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의 돌기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배터리 수납부의 측면에는, 상기 배터리 커버가 열릴 때 움직이는 돌기부의 진행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홈부; 및 상기 배터리 커버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 커버를 여는 방향으로 힘을 인가할 때, 상기 제1홈부에서 상기 돌기부가 진행하는 방향의 전방에 형성된 제2홈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홈부는 상기 돌기부의 진행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돌기부가 상기 제2홈부에 안착 시,상기 링크 구조체가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링크 구조체는, 상기 배터리 수납부의 일 측면에 장착된 제1탄성부재; 상기 작용부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제1탄성부재를 압축하여 상기 작용부의 동력을 전달하는 제1링크부재; 상기 제1링크부재와 링크되어 상기 제1링크부재의 동력을 전달하는 제2링크부재; 및 상기 제2링크부재와 링크되어 제2링크부재의 동력을 상기 배터리 잠금 장치에 전달하는 제3링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링크부재 내지 제3링크부재는 레버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탄성부재는 비틀림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배터리 수납부의 타 측면에 배치된 메모리 카드 수납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는 디지털 카메라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휴대용 전자기기에 의하면, 배터리 잠금 장치를 직접 손으로 동작시키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잠금 장치의 해제가 간단하고, 배터리 및 배터리 수납에 관련된 부품들이 소형화되는 경우에도 적용이 용이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대표적 휴대용 전자기기인 디지털 카메라를 중심으로 본 발명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디지털 카메라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디지털 캠코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을 포함하여 배터리를 수납하는 다양한 휴대용 전자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면에는 콤펙트 디지털 카메라가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일안반사식(Single Lense Reflex: SLR) 카메라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배터리 수납부 주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는 배터리 커버(110), 배터리 수납부(120), 링크 구조체(130) 및 배터리 잠금 장치(140)를 포함한다.
배터리 커버(110)는 디지털 카메라의 본체(101)에 힌지 구조로 장착되어 힌지핀(113)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여닫힌다.
배터리 커버(110)는 커버 잠금부(112a)를 이용하여 배터리 수납부(120)의 입구를 개폐하는 커버부(111)와, 힌지핀(113)을 중심으로 상기 커버부(111)의 반대 측에 위치하며 상기 커버부(111)의 동작과 연동하여 움직이는 작용부(115)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작용부(115)의 단부에는 돌기부(116)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돌기부(116)는 작용부(115)의 일 단부에 하나만 형성될 수도 있고, 작용부(115)의 양 단부에 모두 형성될 수도 있다.
디지털 카메라의 본체(101)의 내부에는 디지털 카메라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B)가 수납되는 배터리 수납부(120)가 구비되어 있다. 배터리 수납부(120)는 그 입구가 디지털 카메라의 저면에 위치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디지털 카메라 본체(101)의 측면 또는 상면 등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 수납부(120)의 측면에는, 배터리 커버(110)가 열릴 때, 배터리 커버(110)의 작용부(115)의 단부에 위치한 돌기부(116)가 움직이는 진행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형성된 제1홈부(121), 및 상기 돌기부(116)의 진행 방향을 따라 상기 제1홈부(121)의 전방에 형성된 제2홈부(123)가 형성되어 있다. 도 2에는 상술한 제1홈부(121) 및 제2홈부(123)가 배터리 수납부(120)의 일 측면에만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상기 도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1홈부(121) 및 제2홈부(123)는 배터리 수납부(120)의 양 측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배터리 수납부(120)의 일 측면에는 후술할 링크 구조체(130)가 원활히 장착되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핀들(125, 126, 127, 128)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배터리 수납부(120)의 저면에는 배터리 수납부(120)에 수납된 배터리(B)를 수직 상방향으로 밀어주도록 탄성력을 가진 원추 코일스프링(129)이 구비되어 있다. 배터리 수납부(120)의 저면에는 배터리(B)의 단자부(미도시)와 전자기기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도전성 단자부(미도시)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러한 원추 코일스프링(129)은 상기 단자부들과는 절연되는 탄성 소재로 구성된다.
배터리 수납부(120)의 일 측면에는 전술한 배터리 커버(110)가 열릴 때, 작용부(115)의 움직임을 후술할 배터리 잠금 장치(140)에 전달하는 링크 구조체(130)가 장착된다.
상기 링크 구조체(130)는, 비틀림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된 제1탄성부재(131) 와, 다양한 형상의 제1링크부재(132), 제2링크부재(133) 및 제3링크부재(134)를 포함한다.
상기 제1탄성부재(131)와, 상기 각 링크부재들(132, 133, 134)은 배터리 수납부(120)의 일 측에 장착된 핀들(125, 126, 127, 128)에 의해 배터리 수납부(120)의 일 측에 각각 장착된다. 또한, 제1링크부재(132)와 제2링크부재(133)는 링크부 재 제1체결수단(135)인 제1스크류(135)에 의해 체결되고, 제3링크부재(134)는 링크부재 제2체결수단(136)인 제2스크류(136)에 의해 후술할 배터리 커버 잠금 장치(140)와 체결되며, 제3체결수단(137)인 제3스크류(137)에 의해 배터리 수납부(120)의 일 측면에 장착된다.
배터리 수납부(120)의 입구 측에는, 상기 입구의 일부분을 차단하여 배터리(B)를 수직 하방향으로 눌러 배터리(B)를 고정하는 배터리 커버 잠금 장치(140)가 구비되어 있다.
배터리 커버 잠금 장치(140)는 배터리 수납부(120)의 일 측면에 형성된 공동(空洞)(cavity)를 통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링크부재 제2체결수단(136)을 통하여 제3링크부재(134)와 직접 체결되어 있어, 제3링크부재(134)에 작용하는 동력을 전달받아 움직일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한편, 디지털 카메라는 SMD 등과 같은 메모리 카드(M)를 더 수납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와 같이 링크 구조체(140)가 장착된 배터리 수납부(120)의 일 측면의 반대 측면에 장착된 메모리 카드 수납부(150)에 수납될 수 있다. 이때, 메모리 카드의 수납부(150)의 입구는 배터리 커버(110)의 개구 시, 배터리 수납부(120)의 입구와 함께 외부 공간에 노출되므로, 배터리 커버(110)의 개폐 동작으로 메모리 카드(M)를 메모리 카드 수납부(150)로부터 간단히 추출할 수 있다.
이하, 도 3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배터리 커버의 동작에 따른 배터리 커버 잠금 장치의 동작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3은 배터리 커버가 닫혀 있는 상태의 디지털 카메라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배터리 커버(110)의 커버부(111)는 배터리 수납부(120)의 입구를 닫고 있고, 배터리 커버(110)의 작용부(115)는 배터리 수납부(120)의 측면에 형성된 제1홈부(121)와 상당히 이격된 위치에서 정지된 상태로 있다. 따라서, 배터리 커버(110)의 작용부(115)가 링크 구조체(130)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메모리 카드(M) 및 배터리(B)는 각각 메모리 카드 수납부(150) 및 배터리 수납부(120)의 내부에 그대로 수납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커버의 분해 조립도이고, 도 5는 배터리 커버를 열기 위한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6은 배터리 커버가 일 단계로 열린 상태의 디지털 카메라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4의 Ⅶ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이고, 도 8은 도 4의 부분 평면도, 도 9는 도 8의 Ⅸ-Ⅸ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힌지핀(113)이 장착된 힌지축을 중심으로 커버부(111)와 작용부(115)로 구분되는 배터리 커버(110)는, 제1커버 케이스(111a), 제2커버 케이스(111b) 및 커버 잠금수단(112)으로 구성된다.
제1 및 제2커버 케이스(111a, 111b)는 커버 잠금수단(112)을 수납하고, 제1커버 케이스(111a)의 내부에는 제1오목부(111c) 및 제2오목부(111d)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커버 잠금수단(112)은 커버 잠금부(112a), 그립부(112b) 및 이동발(112c)을 포함하고, 커버 케이스(111a, 111b)의 내부 공간에서 제1오목부(111c) 및 제2오목부(111d)가 형성된 통로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을 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커버부(111)의 커버 잠금부(112a)가 디지털 카베라 본체(101)의 잠금홈(102)에 안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배터리 커버(110)가 닫혀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그립부(112b)를 A방향으로 밀면, 그립부(112b)에 연결된 이동발(112c)이 제1오목부(111c)에서 제2오목부(111d)로 이동하면서, 커버 잠금부(112a)가 잠금홈(102)으로부터 이탈되어 커버부(111)가 닫혀있도록 지탱하는 힘이 제거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커버 잠금부(112a)가 잠금홈(102)으로부터 이탈되면, 커버부(111)가 닫힌 상태에서 힌지 스프링(114, 도 4참조)이 저장하고 있던 탄성력에 의해 커버부(111)가 열린다. 이때, 커버부(111)가 힌지핀(113)이 장착된 힌지축을 중심으로 B방향으로 열리면, 작용부(115)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C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작용부(115)의 단부에 형성된 돌기부(116)는 C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돌기부(116)는 배터리 수납부(120)의 측면에 돌기부(116)의 진행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홈부(121)를 따라 움직인다.
돌기부(116)의 진행 방향의 전방에는 돌기부(116)의 형상에 대응하는 제2홈부(123)가 형성되어 있는데, 제1홈부(121)와 제2홈부(123) 사이에 존재하는 배터리 수납부(120)의 측면은 C방향으로 회전하며 진행하는 돌기부(116)의 문턱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배터리 커버(110)가 열리면서, 작용부(115) 의 단부에 형성된 돌기부(116)는 제1홈부(121)까지만 진행하고, 아직 제2홈부(123)에는 도달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배터리 커버(110)의 작용부(115)는 아직 링크 구조체(130)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므로, 링크 구조체(130)에 어떠한 작용도 전달하지 못한다.
한편,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배터리 잠금 장치(140)는 배터리 수납부(120)의 입구에서 배터리(B)를 수직 하방향으로 밀면서 고정하고 있다. 따라서, 배터리 커버(110)가 일단으로 열린 상태에서는 메모리 카드(M)는 메모리 카드 수납부(150)로부터 추출할 수 있지만, 배터리(B)는 추출할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은 배터리 커버가 열린 상태에서 배터리 커버를 더 밀었을 때 링크 구조체가 동작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ⅩⅠ-ⅩⅠ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2은 도 10의 ⅩⅡ-ⅩⅡ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커버부(111)가 열려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커버부(111)를 커버가 열리는 방향인 D방향으로 힘을 더 인가하면, 배터리 커버(110)의 작용부(115)의 일 단부에 형성된 돌기부(116)는 제1홈부(121)로부터 힌지핀(113)이 장착된 힌지축을 중심으로, 도 6에 도시된 진행 방향의 전방으로 계속 진행하여 제2홈부(123)에 안착한다.
돌기부(116)가 제2홈부(123)에 안착하면서, 작용부(115)는 제1링크부재(132)의 일 단부(132a)를 돌기부(116)의 진행 방향으로 밀어내고, 제1링크부재(132)는 배터리 수납부(120)에 장착된 핀(126, 도 2 참조)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제1링크부재(132)의 일 단부(132a)의 타측은 비틀림 코일스프링으로 구 성된 제1탄성부재(131)의 장축(131a)을 압축하면서, 압축된 탄성력을 제1링크부재(132)에 전달한다.
제1링크부재(132)의 동작은 링크부재 제1체결수단(135, 도 2참조)으로 체결된 제2링크부재(133)에 전달되어, 제2링크부재(133)가 배터리 수납부(120)의 측면에 장착된 핀(127)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한다. 이때,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 제2링크부재(133)의 일 단부(133a)는 제3링크부재(134)의 일 단부(134a)의 아래 방향으로 삽입되어, 제3링크부재(134)의 일 단부(134a)에 대하여 상기 도면이 도시된 지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출사하는 방향으로 들어올리게 된다.
이와 같이 제3링크부재의 일 단부(134a)를 지면에 대하여 출사하는 방향으로 들어올리는 힘은, 제3링크부재(134) 전체를 배터리 수납부(120)의 측면에 형성된 핀(128)을 중심으로 지면에 대하여 출사하는 방향으로 들어올리게 된다.
이때, 제3링크부재(134)에 작용하는 힘은, 링크부재 제2체결수단(136)에 의해 제3링크부재(134)에 직접 체결된 배터리 잠금 수단(140)에 그대로 전달된다.
즉, 배터리 잠금 수단(140)에 전달된 힘은 배터리 잠금 수단(140)을 도 10의 지면에 대한 출사 방향인 E방향(도 12)으로 당기고, 이 힘은 배터리를 수직 하방향으로 누르는 힘을 제거하게 된다. 이때, 배터리 수납부(120)의 저면에 배치된 원추 코일스프링(129, 도 2 참조)이 배터리(B)를 수직 상방향으로 밀어 올려주기 때문에, 배터리(B)가 자동으로 배터리 수납부(1200에서 추출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배터리 잠금 장치를 직접 손으로 동작시키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잠금장치의 해제가 간단하고, 배터리 및 배터리 수납에 관련된 부품들이 소형화되는 경우에도 적용이 용이하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배터리 커버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 일 뿐,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배터리 입구를 개폐하는 커버부와, 힌지축을 중심으로 커버부의 동작에 대응하여 움직이는 작용부를 갖는 구조라면, 어떠한 구조의 배터리 커버라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배터리 잠금 장치가 별도로 구비된 디지털 카메라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배터리 수납부 주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배터리 커버가 닫혀 있는 상태의 디지털 카메라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커버의 분해 조립도이다.
도 5는 배터리 커버를 열기 위한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배터리 커버가 일 단계로 열린 상태의 디지털 카메라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Ⅶ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4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Ⅸ-Ⅸ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배터리 커버가 열린 상태에서 배터리 커버를 더 밀었을 때 링크 구조체가 동작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ⅩⅠ-ⅩⅠ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2은 도 10의 ⅩⅡ-ⅩⅡ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략한 설명 >
B: 배터리 110: 배터리 커버
111: 커버부 112a: 커버 잠금부
113: 힌지핀 115: 작용부
116: 돌기부 120: 배터리 수납부
121: 제1홈부 123: 제2홈부
125, 126, 127, 128: 핀 129: 원추 코일스프링
130: 링크 구조체 131: 제1탄성부재
132: 제1링크부재 133: 제2링크부재
134: 제3링크부재 140: 배터리 잠금 장치
M: 메모리 카드 150: 메모리 카드 수납부

Claims (11)

  1. 배터리가 수납되는 배터리 수납부;
    휴대용 전자기기의 본체에 힌지 구조로 장착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여닫히도록 상기 배터리 수납부의 입구에 배치되어 상기 배터리 수납부와 외부 공간을 구분하는 배터리 커버;
    상기 배터리 커버의 하부에 상기 배터리 수납부의 입구를 일부분 차단하도록 배치되어 배터리를 고정하는 배터리 잠금 장치; 및
    상기 배터리 수납부의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배터리 커버와 상기 배터리 잠금 장치를 링크하는 링크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커버가 열리면, 상기 배터리 커버의 단부에 배치된 작용부가 움직여 상기 링크 구조체를 동작시킴으로써 상기 배터리 잠금 장치를 해제하고,
    상기 배터리 커버는,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배터리 커버의 일 측에 배치되어 상기 배터리 수납부를 여닫는 커버부와,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배터리 커버의 타 측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부의 동작과 연동되어 움직이는 작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작용부의 단부에 하나 이상의 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수납부의 측면에는,
    상기 배터리 커버가 열릴 때 움직이는 상기 돌기부의 진행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홈부; 및
    상기 배터리 커버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 커버를 여는 방향으로 힘을 인가할 때, 상기 제1홈부에서 상기 돌기부가 진행하는 방향의 전방에 형성된 제2홈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홈부는 상기 돌기부의 진행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가 상기 제2홈부에 안착 시, 상기 링크 구조체가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구조체는,
    상기 배터리 수납부의 일 측면에 장착된 제1탄성부재;
    상기 작용부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제1탄성부재를 압축하여 상기 작용부의 동력을 전달하는 제1링크부재;
    상기 제1링크부재와 링크되어 상기 제1링크부재의 동력을 전달하는 제2링크부재; 및
    상기 제2링크부재와 링크되어 제2링크부재의 동력을 상기 배터리 잠금 장치에 전달하는 제3링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부재 내지 제3링크부재는 레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부재는 비틀림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수납부의 타 측면에 배치된 메모리 카드 수납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11. 제1항, 또는 제4항 내지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는 디지털 카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KR1020070131051A 2007-12-14 2007-12-14 배터리 커버를 이용한 배터리 잠금 해제 구조를 구비한휴대용 전자 기기 KR101448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1051A KR101448534B1 (ko) 2007-12-14 2007-12-14 배터리 커버를 이용한 배터리 잠금 해제 구조를 구비한휴대용 전자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1051A KR101448534B1 (ko) 2007-12-14 2007-12-14 배터리 커버를 이용한 배터리 잠금 해제 구조를 구비한휴대용 전자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3614A KR20090063614A (ko) 2009-06-18
KR101448534B1 true KR101448534B1 (ko) 2014-10-08

Family

ID=40992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1051A KR101448534B1 (ko) 2007-12-14 2007-12-14 배터리 커버를 이용한 배터리 잠금 해제 구조를 구비한휴대용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853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309A (ja) * 1995-07-13 1997-01-28 Sony Corp 二次電池充電器
JP2001223480A (ja) * 2000-02-07 2001-08-17 Canon Inc 電子機器
JP2005174919A (ja) * 2004-11-15 2005-06-30 Sony Corp 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309A (ja) * 1995-07-13 1997-01-28 Sony Corp 二次電池充電器
JP2001223480A (ja) * 2000-02-07 2001-08-17 Canon Inc 電子機器
JP2005174919A (ja) * 2004-11-15 2005-06-30 Sony Corp 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3614A (ko) 2009-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0576B1 (ko) 외장형 카드 탈착장치
JP4953244B2 (ja) 携帯機
US7300314B2 (en) Socket for trans-flash memory card
US7680521B2 (en) Battery pack locking device of a mobile phone
US20110020684A1 (en) Battery cover latching assembly
KR101448534B1 (ko) 배터리 커버를 이용한 배터리 잠금 해제 구조를 구비한휴대용 전자 기기
JP2008257944A (ja) 電池ホルダのロック機構
JP5062660B2 (ja) 電池収納筐体および電子機器
JP5616847B2 (ja) 電子機器
CN111433937B (zh) 电池外壳
JP2009064174A (ja) 携帯端末
KR101255214B1 (ko) 배터리 개폐구조를 구비한 전자기기
KR101329734B1 (ko) 접이식 배터리 커버 조립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JP2007280835A (ja) 電子機器
KR20050088000A (ko) 전자기기의 단자 홀 커버유닛
JP2008071592A (ja) 電池ボックス
JP2006221823A (ja) 電池ボックス
JP4810102B2 (ja) 電池ボックス
KR10103042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팩 락킹 장치
KR101351580B1 (ko) 전자 장치
KR100648242B1 (ko) 휴대용 컴퓨터에 배터리 팩을 장착시키기 위한 구조
JP2007026872A (ja) 電池室構造およびカメラ
KR20060110960A (ko)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커버 록킹장치
JP2001033863A (ja) カメラ
KR10101370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