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8279B1 - 펨토 기지국의 호 접속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펨토 기지국 - Google Patents

펨토 기지국의 호 접속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펨토 기지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8279B1
KR101448279B1 KR1020120050853A KR20120050853A KR101448279B1 KR 101448279 B1 KR101448279 B1 KR 101448279B1 KR 1020120050853 A KR1020120050853 A KR 1020120050853A KR 20120050853 A KR20120050853 A KR 20120050853A KR 101448279 B1 KR101448279 B1 KR 101448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users
connection
femto base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0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7144A (ko
Inventor
정재호
노위상
지영하
한규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20050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8279B1/ko
Priority to US13/889,636 priority patent/US8929910B2/en
Publication of KR20130127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7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8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8279B1/ko
Priority to US14/556,324 priority patent/US9432875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89Conges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2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 H04W48/06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based on traf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접속 수용 용량이 제한된 펨토 셀 기지국에서 이동 단말에 대해 적응적으로 호 접속 제어를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펨토 셀 기지국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펨토 기지국의 접속 제어 방법은, 전체 수용 용량을 접속 가능한 사용자 수와, 예비 사용자 수로 구분하여 설정하는 설정 단계; 호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 단계; 상기 접속 가능한 사용자 수에 기초하여 상기 접속 요청된 호의 접속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판단 단계; 및 접속 불가인 경우, 상기 예비 사용자 수에 기초하여 상기 접속 요청된 호의 접속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판단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펨토 기지국의 호 접속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펨토 기지국{METHOD AND FEMTO BASE STATION FOR CALL ACCESS CONTROL}
본 발명은 이동통신 기술 중 펨토 셀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펨토 기지국의 호 접속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펨토 기지국에 관한 것이다.
펨토 셀(Femto Cell)은 펨토 기지국(Femto AP)을 통해 기존의 이동통신서비스 반경보다 훨씬 작은 지역을 대상으로 이동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펨토 셀은 주로 가정이나 빌딩 내부와 같이 매크로 셀(Macro Cell)의 전파가 열화되는 지역이나 음영 지역에서 이동통신서비스의 품질을 보장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거나, 매크로 셀의 커버리지 내에 설치되어 매크로 셀의 부하를 경감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펨토 셀의 펨토 기지국은 작은 커버리지를 갖기 때문에 적은 수의 동시 사용자 수를 지원한다. 따라서 펨토 셀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방안으로 국내공개특허 제10-2011-0111374호는 펨토 셀의 운영 모드를 퍼블릭 모드, 프라이빗 모드, 플렉서블 프라이빗 모드로 구분하여 운영하는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퍼블릭 모드는 일반적인 기지국처럼 모든 단말에게 접속을 허용하는 것이고, 프라이빗 모드는 특정 단말에게만 서비스르르 제공하는 것이며, 플렉서블 프라이빗 모드는 퍼블릭 모드와 프라이빗 모드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국내공개특허 제10-2011-0111374호는 등록된 단말만 펨토 셀로의 접근을 허용하거나 등록된 단말에게만 접근에 우선순위를 두는 방식으로서, 접근의 기준이 적응적이지 못하고 일률적이기 때문에 효율적이지 못하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11-0111374호(2011.10.11.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접속 수용 용량이 제한된 펨토 셀 기지국에서 이동 단말에 대해 적응적으로 호 접속 제어를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펨토 셀 기지국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펨토 기지국의 접속 제어 방법은, 전체 수용 용량을 접속 가능한 사용자 수와, 예비 사용자 수로 구분하여 설정하는 설정 단계; 호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 단계; 상기 접속 가능한 사용자 수에 기초하여 상기 접속 요청된 호의 접속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판단 단계; 및 접속 불가인 경우, 상기 예비 사용자 수에 기초하여 상기 접속 요청된 호의 접속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판단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판단 단계는, 상기 접속 요청된 호가 우선 호인지 확인하는 단계; 우선 호인 경우, 상기 예비 사용자 수가 남아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예비 사용자 수가 남아있는 경우 호의 접속을 허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정 단계는, 일정한 기간 동안의 호 접속의 통계 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통계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접속 가능한 사용자 수 및 상기 예비 사용자 수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계 값은, 시간대별 일반 호의 수 또는 우선 호의 수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우선 호는, VoIP(Voice of Internet Protocol), 핸드-인(hand-in) 호, 긴급 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접속 제어를 수행하는 펨토 기지국은, 전체 수용 용량을 접속 가능한 사용자 수와, 예비 사용자 수로 구분하여 설정하는 설정부; 호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접속 가능한 사용자 수에 기초하여 상기 접속 요청된 호의 접속 가능 여부를 1차로 판단하고, 접속 불가인 경우, 상기 예비 사용자 수에 기초하여 상기 접속 요청된 호의 접속 가능 여부를 2차로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1차 판단 결과가 접속 불가인 경우, 상기 접속 요청된 호가 우선 호인지 확인하고, 우선 호인 경우 상기 예비 사용자 수가 남아있는 경우 호의 접속을 허락할 수 있다.
상기 펨토 기지국은, 일정한 기간 동안의 호 접속의 통계 값을 산출하는 통계 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설정부는, 상기 산출된 통계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접속 가능한 사용자 수 및 상기 예비 사용자 수를 갱신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접속 제어를 수행하는 펨토 기지국은, 전체 수용 용량을 접속 가능한 사용자 수와, 예비 사용자 수로 구분하여 설정하는 설정부; 호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접속 요청된 호가 우선 호인지 확인하고, 우선 호인 경우, 기존 접속되어 있는 우선 호의 수와 상기 예비 사용자 수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접속 요청된 호의 접속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속 요청된 호가 우선 호가 아닌 경우, 기존 접속되어 있는 우선 호 이외의 호의 수와 상기 접속 가능한 사용자 수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접속 요청된 호의 접속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우선적으로 처리해야 할 호와 그 이외의 호를 구분하여 접속 제어함으로써 펨토 셀의 제한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우선적으로 처리해야 할 호에 대한 예비 사용자 수를 전체 수용 용량 범위 내에서 적응적으로 조정함으로써 한정된 자원을 탄력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제한된 자원에서 QoS(Quality of Service)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 접속 제어 파라미터 설정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 접속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호 접속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펨토 기지국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은 매크로 기지국(110)에 의해 서비스되는 매크로 셀(Macro cell)과 펨토 기지국(130, 150)에 의해 서비스되는 펨토 셀(Femto Cell)이 함께 존재한다. 여기서, 펨토 셀(Femto Cell)은 피코 셀(Pico cell), 마이크로 셀(Micro cell), 유비 셀(Ubi cell) 등으로 지칭되기도 한다.
통상적으로 펨토 기지국(130, 150)의 커버리지는 매크로 기지국(110)의 커버리지(10) 내에 존재할 수 있고 또는 매크로 기지국(110)의 커버리지와 일부 중첩하여 존재할 수도 있으며, 또는 매크로 기지국(110)의 커버리지 밖에 존재할 수도 있다. 펨토 기지국(130, 150)은 실내 또는 실외 음영 지역에 설치되어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거나, 혼잡 지역 또는 매크로 셀 용량 포화가 발생한 지역에서 데이터 오프로딩(Offloading)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펨토 기지국(130, 150) 중 펨토 기지국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에서의 Home NodeB(HNB) 또는 3GPP LTE(Long Term Evolution)에서의 Home eNodeB(HeNB)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코어망(Core Network; CN)(190)은 접속 게이트웨이와 이동 단말(170)의 사용자 등록 등을 위한 네트워크 노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펨토 기지국(130, 150)은 폐쇄 가입자 그룹(CSG:Closed Subscriber Group, 이하 "CSG"라 함) 단말에게만 접속을 허용하는 제한 접속 모드(Closed Access Mode), CSG 단말 및 비폐쇄 가입자 그룹(Non-CSG: Non-Closed Subscriber Group, 이하 "Non-CSG"라 함) 단말에게 모두 접속을 허용하는 하이브리드 접속 모드(Hybrid Access Mode) 및 일반적인 기지국처럼 동작하는 개방 접속 모드(Open Access Mode)의 세 가지 접속 운영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펨토 기지국(130, 150)은 접속할 수 있는 이동 단말(170)의 수를 제한한다. 즉 전체 접속 수용 용량이 정해져 있다. 이러한 전체 접속 수용 용량은 제한 접속 모드에서 CSG 단말의 수일 수 있고, 하이브리드 접속 모드에서는 CSG 단말의 수와 Non-CSG 단말의 수에 대해 각각 전체 접속 수용 용량이 정해질 수 있다. 개방 접속 모드에서는 CSG 단말과 Non-CSG 단말과 같이 단말을 구분하지 않고 전체 접속 수용 용량이 정해질 수 있다.
펨토 기지국(130, 150)에 설정되는 적응적 호 접속 제어와 관련된 파라미터는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펨토 기지국(130, 150)은 초기 동작시 아래 파라미터를 설정한다.
(1) Max_Active_User : 최대 접속 가능한 전체 사용자 수로서, 상기 전체 접속 수용 용량이다.
(2) Available_Active_User : 접속 가능한 사용자의 수이다.
(3) Reserve_User : 우선권이 부여된 호(이하, 우선 호)를 위한 예비 사용자 수이다.
상기 파라미터 간 관계는, Max_Active_User = Available_Active_User + Reserve_User이다.
여기서 우선권이 부여된 호는 VoIP 호, 다른 셀로부터 핸드 인(hand-in)하는 호, 긴급 통화 호 등이나 반드시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펨토 기지국(130, 150)은 상기 예비 사용자 수(Reserve_User)와 접속 가능한 사용자 수(Available_Active_User)를 과거 일정한 기간 동안의 통계 값에 기초하여 상기 최대 접속 가능한 전체 사용자 수(Max_Active_User)의 범위 내에서 적응적으로 갱신한다. 그 통계 값은 시간대별 일반 호의 수, 우선 호의 수 등이나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일정한 기간에서 제 1 시간대에 평균적인 핸드 인 호의 수가 3이고, 제 2 시간대에는 평균적인 핸드 인 호의 수가 5인 경우, 제 1 시간대에는 상기 예비 사용자 수(Reserve_User)를 3으로 설정하고, 제 2 시간대에는 상기 예비 사용자 수(Reserve_User)를 5로 설정한다. 또는 제 1 시간대의 핸드 인 및 VoIP 호의 평균 개수가 4이고, 제 2 시간대의 핸드 인 및 VoIP 호의 평균 개수가 5인 경우, 제 1 시간대에는 상기 예비 사용자 수(Reserve_User)를 4로 설정하고, 제 2 시간대에는 상기 예비 사용자 수(Reserve_User)를 5로 설정한다.
최대 접속 가능한 전체 사용자 수(Max_Active_User)에서 예비 사용자 수(Reserve_User)를 빼면 접속 가능한 사용자 수(Available_Active_User)가 되고, 최대 접속 가능한 전체 사용자 수(Max_Active_User)에서 접속 가능한 사용자 수(Available_Active_User)를 빼면 예비 사용자 수(Reserve_User)가 되므로, 예비 사용자 수(Reserve_User) 또는 접속 가능한 사용자 수(Available_Active_User) 중 어느 하나의 통계 값을 산출하여 예비 사용자 수(Reserve_User)와 접속 가능한 사용자 수(Available_Active_User)를 갱신할 수 있다.
펨토 기지국(130, 150)은 상기 설정된 파라미터에 따라 적응적으로 이동 단말의 접속을 제어한다.
제 1 실시예로서, 펨토 기지국(130, 150)은 접속 가능한 사용자 수(Available_Active_User)의 범위 내에서 일반 호와 우선 호를 먼저 모두 수용하되, 접속 가능한 사용자 수(Available_Active_User)만큼 호가 포화되는 경우, 이후의 호 중 우선 호에 대해서만 예비 사용자 수(Reserve_User)의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접속을 허락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로서, 펨토 기지국(130, 150)은 접속 가능한 사용자 수(Available_Active_User)의 범위 내에서는 일반 호만을 수용하고, 우선 호는 예비 사용자 수(Reserve_User)의 범위 내에서만 수용한다. 따라서 현재 접속된 일반 호의 수가 접속 가능한 사용자 수(Available_Active_User)와 동일한 경우, 펨토 기지국(130, 150)은 신규 일반 호의 접속을 허락하지 않는다. 그리고 예비 사용자 수(Reserve_User)만큼 우선 호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 펨토 기지국(130, 150)은 신규 우선 호의 접속을 허락하지 않는다.
제 2 실시예에서, 펨토 기지국(130, 150)은 예비 사용자 수(Reserve_User)만큼 우선 호가 접속되어 있고, 현재 접속된 일반 호의 수가 접속 가능한 사용자 수(Available_Active_User)보다 작은 경우, 남은 접속 가능한 사용자 수의 범위 내에서 우선 호를 추가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 접속 제어 파라미터 설정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펨토 기지국(130, 150)은 전원 온 입력에 따라 초기 부팅하여 구동을 시작한다(S201). 그리고, 펨토 기지국(130, 150)은 호 접속 제어를 위한 파라미터를 초기 설정한다(S203). 구체적으로, 펨토 기지국(130, 150)은 최대 접속 가능한 최대 사용자 수(Max_Active_User), 우선 호를 위한 예비 사용자 수(Reserve_User) 그리고 접속 가능한 사용자 수(Available_Active_User)를 설정한다.
펨토 기지국(130, 150)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또는 코어망(190)의 펨토 기지국 관리 서버의 제어에 따라 최대 접속 가능한 전체 사용자 수(Max_Active_User), 예비 사용자 수(Reserve_User) 및 접속 가능한 사용자 수(Available_Active_User)를 입력받아 설정할 수 있다. 접속 가능한 사용자 수(Available_Active_User)는 입력받지 않고 최대 접속 가능한 전체 사용자 수(Max_Active_User)와 예비 사용자 수(Reserve_User)의 차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또는 예비 사용자 수(Reserve_User)는 입력받지 않고 최대 접속 가능한 전체 사용자 수(Max_Active_User)와 접속 가능한 사용자 수(Available_Active_User)의 차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펨토 기지국(130, 150)은 상기 설정된 최대 접속 가능한 전체 사용자 수(Max_Active_User), 예비 사용자 수(Reserve_User) 및 접속 가능한 사용자 수(Available_Active_User)에 기초하여 호 접속 제어를 수행하며 이동 단말(170)들에 대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S205). 호 접속 제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통신 서비스 제공 후 일정한 기간이 경과하는 경우, 펨토 기지국(130, 150)은 상기 일정한 기간 동안의 접속 호에 대해 통계 값을 산출한다(S207, S209). 그 통계 값은 시간대별 일반 호의 수, 우선 호의 수 등이나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펨토 기지국(130, 150)은 상기 산출된 통계 값에 기초하여 상기 단계 S203에서 설정된 파라미터를 갱신한다(S211). 예를 들어, 일정한 기간 동안 제 1 시간대에는 평균적인 핸드 인 호의 수가 3이고, 제 2 시간대에는 평균적인 핸드 인 호의 수가 5인 경우, 펨토 기지국(130, 150)은 제 1 시간대에는 상기 예비 사용자 수(Reserve_User)를 3으로 설정하고, 제 2 시간대에는 예비 사용자 수(Reserve_User)를 5로 설정한다. 또는 제 1 시간대의 핸드 인 및 VoIP 호의 평균 개수가 4이고, 제 2 시간대의 핸드 인 및 VoIP 호의 평균 개수가 5인 경우, 제 1 시간대에는 상기 예비 사용자 수(Reserve_User)를 4로 설정하고, 제 2 시간대에는 예비 사용자 수(Reserve_User)를 5로 설정한다. 접속 가능한 사용자 수(Available_Active_User)는 최대 접속 가능한 전체 사용자 수(Max_Active_User)에서 예비 사용자 수(Reserve_User)를 빼서 얻을 수 있다.
펨토 기지국(130, 150)은 갱신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다시 호 접속 제어를 수행하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다시 일정한 기간 경과 후에 예비 사용자 수를 갱신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 접속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펨토 기지국(130, 150)은 호 접속 요청을 수신한다(S301). 펨토 기지국(130, 150)은 접속 가능한 사용자 수(Available_Active_User)가 남아있는지, 즉 접속 가능한 사용자 수를 m으로 할 때 m이 '0'인지 확인한다(S303).
접속 가능한 사용자 수가 남아있는 경우, 즉 m이 '0'이 아닌 경우, 펨토 기지국(130, 150)은 호의 접속을 허락하고(S305), 상기 접속 가능한 사용자 수(Available_Active_User), 즉 m을 '1'만큼 차감한다(S307).
반면, 접속 가능한 사용자 수가 남아있지 않은 경우, 즉 m이 '0'인 경우, 펨토 기지국(130, 150)은 상기 접속 요청된 호가 우선 호인지 확인한다(S309). 여기서 우선 호는 VoIP 호, 다른 셀로부터 핸드 인(hand-in)하는 호, 긴급 통화 호 등이나 반드시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우선 호가 아닌 경우, 펨토 기지국(130, 15)은 그 호 접속 요청을 거부한다(S317).
우선 호 이외의 호는 접속 가능한 사용자 수 내에서만 접속이 가능한데 접속 가능한 사용자 수가 남아있지 않으므로 접속 거부하는 것이다. 여기서 호의 접속을 거부하는 것은, 이동 단말을 다른 셀로 접속 유도하거나, 접속 해제하는 것을 포함한다
단계 S309의 확인 결과, 우선 호인 경우, 펨토 기지국(130, 150)은 예비 사용자 수(Reserve_User)가 남아있는지, 즉 예비 사용자 수를 n으로 할 때 n이 '0'인지 확인한다(S311). 예비 사용자 수(Reserve_User)가 남아있는 경우, 즉 n이 '0'이 아닌 경우, 펨토 기지국(130, 150)은 우선 호의 접속을 허락하고(S313), 예비 사용자 수(Reserve_User) m을 '1'만큼 차감한다(S315). 반면, 예비 사용자 수(Reserve_User)가 남아있지 않은 경우, 즉, n이 '0'인 경우 펨토 기지국(130, 150)은 우선 호의 접속을 거부한다(S317).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일반 호와 우선 호를 접속 가능한 사용자 수의 범위 내에서 수용하되 접속 가능한 사용자 수를 초과하여 신규 호가 인입되는 경우, 예비 사용자 수의 범위 내에서 신규 우선 호에 대해서만 접속을 허락한다. 특히,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접속 가능한 사용자 수와 예비 사용자 수를 적응적으로 갱신함으로써 일반 호의 접속을 탄력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제한된 자원에서 QoS(Quality of Service)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호 접속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펨토 기지국(130, 150)은 호 접속 요청을 수신한다(S401). 호 접속 요청을 수신한 펨토 기지국(130, 150)은 접속 요청 호가 우선 호인지 확인한다(S403). 여기서 우선 호는 VoIP 호, 다른 셀로부터 핸드 인(hand-in)하는 호, 긴급 통화 호 등이나 반드시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접속 요청 호가 우선 호인 경우, 펨토 기지국(130, 150)은 우선 호를 위한 예비 사용자 수(Reserve_User)가 남아있는지, 즉 예비 사용자 수를 n이라 할 때 n이 '0'인지 확인한다(S405). 예비 사용자 수(Reserve_User)가 남아있는 경우, 즉 n이 '0'이 아닌 경우, 펨토 기지국(130, 150)은 우선 호의 접속을 허락하고(S407), 예비 사용자 수(Reserve_User) n을 '1'만큼 차감한다(S409). 반면, 예비 사용자 수(Reserve_User)가 남아있지 않은 경우, 즉 n이 '0'인 경우 펨토 기지국(130, 150)은 우선 호의 접속을 거부한다(S413). 여기서 호의 접속을 거부하는 것은, 이동 단말을 다른 셀로 접속 유도하거나, 접속 해제하는 것을 포함한다.
한편, 단계 S403에서 확인한 결과, 접속 요청 호가 우선 호가 아닌 경우, 즉 일반 호인 경우, 펨토 기지국(130, 150)은 접속 가능한 사용자 수(Available_Active_User)가 남아있는지, 즉 접속 가능한 사용자 수를 m이라 할 때 m이 '0'인지 확인한다(S411). 접속 가능한 사용자 수가 남아있지 않은 경우, 즉 m이 '0'인 경우 펨토 기지국(130, 150)은 호 접속을 거부한다(S413). 여기서 호의 접속을 거부하는 것은, 이동 단말을 다른 셀로 접속 유도하거나, 접속 해제하는 것을 포함한다. 반면, 접속 가능한 사용자 수가 남아있는 경우, 즉 m이 '0'이 아닌 경우 펨토 기지국(130, 150)은 일반 호의 접속을 허락하고(S415), 상기 접속 가능한 사용자 수(Available_Active_User) m을 '1'만큼 차감한다(S417).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일반 호와 우선 호의 수용 용량을 구분하여 호 접속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일반 호에 의해 우선 호의 접속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접속 가능한 사용자 수와 예비 사용자 수를 적응적으로 갱신함으로써 일반 호의 접속을 탄력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제한된 자원에서 QoS(Quality of Service)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에서, 단계 S405의 확인 결과, 예비 사용자 수(Reserve_User)가 남아있지 않은 경우, 즉 n이 '0'인 경우, 펨토 기지국(130, 150)은 우선 호의 접속을 거부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대안으로, 펨토 기지국(130, 150)은 우선 호의 접속을 바로 거부하지 않고, 접속 가능한 사용자 수(Available_Active_User)가 남아있는지, 즉 접속 가능한 사용자 수를 m이라 할 때 m이 '0'인지 확인하여(S411), 접속 가능한 사용자 수가 남아있는 경우, 즉 m이 '0'이 아닌 경우 펨토 기지국(130, 150)은 우선 호의 접속을 허락하고(S415), 상기 접속 가능한 사용자 수(Available_Active_User) m을 '1'만큼 차감할 수 있다(S417).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펨토 기지국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펨토 기지국(130, 150)은 파라미터 설정부(510), 접속 요청 수신부(530), 접속 제어부(550), 통계 처리부(570) 및 저장부(590)를 포함한다.
파라미터 설정부(510)는 적응적 호 접속 제어와 관련된 파라미터를 설정하여 접속 제어부(550)로 제공한다. 그 파라미터는 최대 접속 가능한 전체 사용자 수(Max_Active_User), 예비 사용자 수(Reserve_User), 접속 가능한 사용자 수(Available_Active_User)이다.
파라미터 설정부(510)는 초기 구동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또는 코어망(190)의 펨토 기지국 관리 서버의 제어에 따라 파라미터를 설정할 수 있다.
파라미터 설정부(510)는 초기에 설정한 상기 파라미터 중 상기 예비 사용자 수(Reserve_User)와 접속 가능한 사용자 수(Available_Active_User)를 갱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파라미터 설정부(510)는 통계 처리부(570)에서 산출한 접속 호의 통계 값에 기초하여 상기 초기에 설정한 예비 사용자 수(Reserve_User)와 접속 가능한 사용자 수(Available_Active_User)를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계 처리부(570)에서 산출된 제 1 시간대의 평균적인 핸드 인 호의 수가 3이고, 제 2 시간대의 평균적인 핸드 인 호의 수가 5인 경우, 파라미터 설정부(510)는 제 1 시간대에는 상기 예비 사용자 수(Reserve_User)를 3으로 설정하고, 제 2 시간대에는 상기 예비 사용자 수(Reserve_User)를 5로 설정한다. 그리고 최대 접속 가능한 전체 사용자 수가 10인 경우, 접속 가능한 사용자 수(Available_Active_User)로서 7로, 제 2 시간대는 5로 설정한다.
접속 요청 수신부(530)는 이동 단말(170)로부터 호 접속 요청을 수신하고, 접속 제어부(550)의 제어에 따라 상기 호 접속 요청을 허락하거나 거부한다. 또한 접속 요청 수신부(530)는 호 접속 요청을 수신할 때마다 이에 관한 호 정보를 통계 처리부(570)로 전달한다.
통계 처리부(570)는 상기 접속 요청 수신부(530)로부터 전달된 호 정보를 일정한 기간 동안 누적하여 저장부(590)에 저장하고, 그 저장부(590)에 저장된 일정한 기간 동안의 호 정보에 기초하여 시간대별 일반 호의 수, 우선 호의 수 등의 통계 값을 산출하고, 그 산출된 값을 파라미터 설정부(510)에 전달한다.
접속 제어부(550)는 상기 파라미터 설정부(510)로부터 전달된 호 접속 제어를 위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접속 요청 수신부(530)로 수신된 호에 대해 적응적으로 호 접속 제어를 수행한다.
접속 제어부(550)는 접속 가능한 사용자 수(Available_Active_User)의 범위 내에서 일반 호와 우선 호를 먼저 모두 수용하되, 접속 가능한 사용자 수(Available_Active_User)만큼 호가 포화되는 경우, 이후의 호 중 우선 호에 대해서만 예비 사용자 수(Reserve_User)의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접속을 허락할 수 있다.
또는, 접속 제어부(550)는 접속 가능한 사용자 수(Available_Active_User)의 범위 내에서는 일반 호만을 수용하고, 우선 호는 예비 사용자 수(Reserve_User)의 범위 내에서만 수용한다. 따라서 현재 접속된 일반 호의 수가 접속 가능한 사용자 수(Available_Active_User)와 동일한 경우, 접속 제어부(550)는 신규 일반 호의 접속을 허락하지 않는다. 그리고 예비 사용자 수(Reserve_User)만큼 우선 호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 접속 제어부(550)는 신규 우선 호의 접속을 허락하지 않는다.
이때, 접속 제어부(550)는 예비 사용자 수(Reserve_User)만큼 우선 호가 접속되어 있고, 현재 접속된 일반 호의 수가 접속 가능한 사용자 수(Available_Active_User)보다 작은 경우, 남은 접속 가능한 사용자 수의 범위 내에서 우선 호를 추가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많은 특징을 포함하는 반면, 그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 또는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별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일 실시예에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명세서에서 단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다양한 실시예에서 구현되거나, 적절한 부결합(subcombination)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설명되었으나, 그러한 동작들이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한 순서로 수행되는 것으로, 또는 일련의 연속된 순서, 또는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모든 설명된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 어떤 환경에서,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시스템 구성요소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그러한 구분을 요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프로그램 구성요소 및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 또는 멀티플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510 : 파라미터 설정부 530 : 접속 요청 수신부
550 : 접속 제어부 570 : 통계 처리부
590 : 저장부

Claims (12)

  1. 펨토 기지국의 접속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전체 수용 용량을 접속 가능한 사용자 수와, 예비 사용자 수로 구분하여 설정하는 설정 단계;
    호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 단계;
    상기 접속 가능한 사용자 수에 기초하여 상기 접속 요청된 호의 접속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판단 단계; 및
    접속 불가인 경우, 상기 예비 사용자 수에 기초하여 상기 접속 요청된 호의 접속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판단 단계;를 포함하는 접속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판단 단계는,
    상기 접속 요청된 호가 우선 호인지 확인하는 단계;
    우선 호인 경우, 상기 예비 사용자 수가 남아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예비 사용자 수가 남아있는 경우 호의 접속을 허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접속 제어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단계는,
    일정한 기간 동안의 호 접속의 통계 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통계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접속 가능한 사용자 수 및 상기 예비 사용자 수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접속 제어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계 값은,
    시간대별 일반 호의 수 또는 우선 호의 수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제어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호는,
    VoIP(Voice of Internet Protocol), 핸드-인(hand-in) 호, 긴급 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제어 방법.
  6. 접속 제어를 수행하는 펨토 기지국에 있어서,
    전체 수용 용량을 접속 가능한 사용자 수와, 예비 사용자 수로 구분하여 설정하는 설정부;
    호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접속 가능한 사용자 수에 기초하여 상기 접속 요청된 호의 접속 가능 여부를 1차로 판단하고, 접속 불가인 경우 상기 예비 사용자 수에 기초하여 상기 접속 요청된 호의 접속 가능 여부를 2차로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펨토 기지국.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1차 판단 결과가 접속 불가인 경우, 상기 접속 요청된 호가 우선 호인지 확인하고, 우선 호인 경우 상기 예비 사용자 수가 남아있는 경우 호의 접속을 허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펨토 기지국.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일정한 기간 동안의 호 접속의 통계 값을 산출하는 통계 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설정부는,
    상기 산출된 통계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접속 가능한 사용자 수 및 상기 예비 사용자 수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펨토 기지국.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통계 값은,
    시간대별 일반 호의 수 또는 우선 호의 수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펨토 기지국.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호는,
    VoIP(Voice of Internet Protocol), 핸드-인(hand-in) 호, 긴급 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펨토 기지국.
  11. 접속 제어를 수행하는 펨토 기지국에 있어서,
    전체 수용 용량을 접속 가능한 사용자 수와, 예비 사용자 수로 구분하여 설정하는 설정부;
    호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접속 요청된 호가 우선 호인지 확인하고, 우선 호인 경우, 기존 접속되어 있는 우선 호의 수와 상기 예비 사용자 수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접속 요청된 호의 접속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펨토 기지국.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속 요청된 호가 우선 호가 아닌 경우, 기존 접속되어 있는 우선 호 이외의 호의 수와 상기 접속 가능한 사용자 수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접속 요청된 호의 접속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펨토 기지국.
KR1020120050853A 2012-05-14 2012-05-14 펨토 기지국의 호 접속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펨토 기지국 KR101448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0853A KR101448279B1 (ko) 2012-05-14 2012-05-14 펨토 기지국의 호 접속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펨토 기지국
US13/889,636 US8929910B2 (en) 2012-05-14 2013-05-08 Call admission control
US14/556,324 US9432875B2 (en) 2012-05-14 2014-12-01 Call admission contr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0853A KR101448279B1 (ko) 2012-05-14 2012-05-14 펨토 기지국의 호 접속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펨토 기지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7144A KR20130127144A (ko) 2013-11-22
KR101448279B1 true KR101448279B1 (ko) 2014-10-07

Family

ID=49548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0853A KR101448279B1 (ko) 2012-05-14 2012-05-14 펨토 기지국의 호 접속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펨토 기지국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8929910B2 (ko)
KR (1) KR1014482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06595B2 (en) * 2013-08-23 2017-07-11 Nec Corporation Call processing control devic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ethod for restricting reception of call connection request, and readable medium
KR101539917B1 (ko) * 2014-01-17 2015-07-28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소형셀의 유동적 접속 제어 fap 디바이스 및 그 구동 방법
US10244046B2 (en) * 2016-11-28 2019-03-26 T-Mobile Usa, Inc. Managing traffic at a node with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pon the node entering service
JP7142531B2 (ja) * 2018-10-18 2022-09-27 Hapsモバイル株式会社 基地局装置、プログラム、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4589A (ko) * 2004-06-01 2005-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자원 할당 스케줄링 방법
KR20070027468A (ko) * 2005-09-06 2007-03-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셀룰러 시스템에서 셀 간 간섭완화를 위한 하향 링크의 자원 분할, 할당 방법 및 송수신방법
KR20080054654A (ko) * 2006-12-13 2008-06-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양방향 dmb 방송에 있어서 자원 할당 방법
KR20100007484A (ko) * 2008-07-14 2010-01-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 자원 예약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93612B (en) * 2002-09-27 2006-01-18 Motorola Inc A resource management apparatus and a method of resource management thereof
JP3840478B2 (ja) * 2004-03-30 2006-11-0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無線基地局装置およびデータ転送制御方法
US7362776B2 (en) * 2004-11-01 2008-04-22 Cisco Technology, Inc. Method for multicast load balancing in wireless LANs
US8983446B2 (en) * 2005-07-14 2015-03-17 Binj Laborator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he detection and allowance of transmission facilities
JP2008042451A (ja) * 2006-08-04 2008-02-21 Nec Corp 無線lan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ポリシコントロール装置、アクセスポイント、および負荷制御方法
CN101512988B (zh) * 2006-09-18 2012-02-15 艾利森电话股份有限公司 与宽带服务的许可控制相关的方法和设备
US8315163B2 (en) * 2008-05-22 2012-11-20 Hangzhou H3C Technologies Co., Ltd. Method, access point and mobile station for implementing load sharing among access points
KR100991592B1 (ko) 2008-09-24 2010-11-04 주식회사 케이티 펨토 셀에서의 이동 단말의 접속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펨토 기지국
KR101001045B1 (ko) 2008-10-06 2010-12-14 주식회사 케이티 펨토셀 서비스 환경에서의 펨토셀로 접근 불가능한 이동단말을 매크로셀로 접속 유도하기 위한 주파수 천이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US8750881B2 (en) * 2008-11-20 2014-06-10 Ntt Docomo, Inc. Mobile communication method and radio base station
KR20100070279A (ko) 2008-12-17 2010-06-25 이용석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펨토셀의 운영방법
US20100189084A1 (en) * 2009-01-26 2010-07-29 Chen Xuemin Sherman Method and system for optimal control of data delivery paths for a femtocell network
JP2010263513A (ja) * 2009-05-11 2010-11-18 Hitachi Ltd 呼受付優先制御判定装置および移動体無線通信システム
KR101500818B1 (ko) * 2009-12-21 2015-03-09 코닌클리즈케 케이피엔 엔.브이. 콘텐츠 배포 시스템
US8792419B2 (en) * 2010-04-08 2014-07-2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Presence-based communication routing service and regulation of same
US20140180749A1 (en) * 2012-12-21 2014-06-26 Paul Woodward Scheduling management environment for cordinating allocation of external resources to a plurality of competing company activiti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4589A (ko) * 2004-06-01 2005-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자원 할당 스케줄링 방법
KR20070027468A (ko) * 2005-09-06 2007-03-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셀룰러 시스템에서 셀 간 간섭완화를 위한 하향 링크의 자원 분할, 할당 방법 및 송수신방법
KR20080054654A (ko) * 2006-12-13 2008-06-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양방향 dmb 방송에 있어서 자원 할당 방법
KR20100007484A (ko) * 2008-07-14 2010-01-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 자원 예약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929910B2 (en) 2015-01-06
US20130303182A1 (en) 2013-11-14
KR20130127144A (ko) 2013-11-22
US20150087326A1 (en) 2015-03-26
US9432875B2 (en) 2016-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5334B1 (ko) 펨토 기지국의 부하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JP5323577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セル再選択方法及び装置
US9113405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multiple types of connections to a core network
EP2464173B1 (en) Communication system, mobile station device, connection destination evaluating method, connection destination evaluating program, and base station device
US10257774B2 (en) Communications system
US20100035556A1 (en) Managing interference from femtocells
KR101489882B1 (ko) 사용자 장비에 허용된 액세스 권리들에 관하여 셀 및 셀을 서빙하는 라디오 기지국을 사용자 장비에 알림
US8611860B2 (en) Radio base station operating between closed state and semi-open states for providing access
JP2010529765A (ja) セルラー基地局
US20120100861A1 (en) Network Element and Method of Communication Management in a Network
US10856302B2 (en) Multimode base station
EP2485515A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s, network device and control method and program for same
US8798630B2 (en) Femtocell base station
KR100991592B1 (ko) 펨토 셀에서의 이동 단말의 접속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펨토 기지국
KR101448279B1 (ko) 펨토 기지국의 호 접속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펨토 기지국
Wang et al. A new call admission control strategyfor LTE femtocell networks
US8441980B2 (en) Mobile communication method, network device and radio base station
CN101617508A (zh) Femtocell向宏网络中的集成
CN102111869A (zh) 家庭基站接入网络的方法及系统
KR20140059769A (ko) 인터넷·인트라넷 서비스를 동시 지원하는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장치 및 펨토 기지국
JP6037147B2 (ja) デュアルモード・フェムトapにおけるフロー制御
CN105517164A (zh) 干扰调节处理方法及装置
JP2024521503A (ja) セルラ電気通信ネットワーク
KR20190046177A (ko) 펨토셀의 imsi 정보에 따른 접근 제어방법
CN102917427A (zh) 一种控制用户设备切换到混合工作模式小区的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