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8114B1 - 분할형 액추에이터 하우징과 이를 이용한 클러치 액추에이터의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분할형 액추에이터 하우징과 이를 이용한 클러치 액추에이터의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8114B1
KR101448114B1 KR1020130090939A KR20130090939A KR101448114B1 KR 101448114 B1 KR101448114 B1 KR 101448114B1 KR 1020130090939 A KR1020130090939 A KR 1020130090939A KR 20130090939 A KR20130090939 A KR 20130090939A KR 101448114 B1 KR101448114 B1 KR 101448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housings
housing
main
mounting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0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진호
신효식
장슬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평화발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평화발레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평화발레오
Priority to KR1020130090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81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8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81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00Special features for couplings or clutches
    • F16D2300/12Mounting or assemb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2063/025Final output mechanisms for double clutch transmis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Abstract

변속기 하우징에 대해 복수로 설치되는 액추에이터의 하우징에 대한 조립 및 체결구조를 새롭게 구성하여 하우징 단품의 제작 시 발생되는 가공 오차와 함께 단품의 조립 시 수반되는 조립 오차를 각각 흡수할 수 있게 함으로써 변속기 하우징에 대한 액추에이터 하우징의 정확한 장착위치를 확보할 수 있는 분할형 액추에이터 하우징을 개시한다.
전술한 액추에이터 하우징은 한 쌍의 메인 하우징(120, 220), 상기 메인 하우징(120, 220)에 대해 각각 개별적으로 조립되는 한 쌍의 서브 하우징(140, 240), 상기 한 쌍의 메인 하우징(120, 220)과 상기 한 쌍의 서브 하우징(140, 240) 사이에서 각각 대향하는 부위에 형성되는 제1마운팅부(122-142, 222-242), 상기 한 쌍의 메인 하우징(120, 220)에 대해 축방향 정렬을 위해 단일의 기준축선(X)을 공유하도록 형성되는 제2마운팅부(160, 260), 상기 한 쌍의 메인 하우징(120, 220)에 대한 상호 조립을 위해 결합축선(Y)을 설정하여 축방향과 축선회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을 제한하는 제3마운팅부(180, 280), 및 상기 한 쌍의 메인 하우징(120, 220)과 상기 한 쌍의 서브 하우징(140, 240)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위에 형성되는 제4마운팅부(144, 224, 244)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분할형 액추에이터 하우징과 이를 이용한 클러치 액추에이터의 조립 방법{SPILT TYPE ACTUATOR HOUSING AND METHOD FOR ASSEMBLING CLUTCH ACTUATOR USING ACTUATOR HOUSING}
본 발명은 분할형 액추에이터 하우징과 이를 이용한 클러치 액추에이터의 조립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일의 변속기 하우징에 복수의 클러치 액추에이터를 설치하기 위한 조립부위에 대한 체결구조를 단순화시켜 변속기 하우징과의 정확한 결합을 구현함과 동시에 조립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분할형 액추에이터 하우징과 이를 이용한 클러치 액추에이터의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듀얼 클러치 변속기(Dual Clutch Transmission)는 엔진의 출력측과 변속기의 입력측 사이에 동력의 단속을 위한 복수의 클러치를 설치하고, 각각의 클러치는 변속기에 구비된 복수의 입력축과 각각 개별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변속기의 입력축은 출력축과의 사이에 각 변속단별 상시 치합된 다수의 기어열을 구비하고, 각각의 기어열에 대한 동력 전달은 싱크로 기구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의 듀얼 클러치 변속기는 통상적인 자동 변속기에 비해 비교적 단순한 구조를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수동 변속기에 비해 가속 정지감이 없고 변속 조작에 편리함이 있어 널리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듀얼 클러치 변속기는 엔진의 출력을 변속기에 구비된 복수의 입력축에 대해 단속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복수의 클러치를 개별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액추에이터를 구비해야 하는 데, 종래 듀얼 클러치 변속기에 탑재되는 일체형 액추에이터는 도 1과 도 2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과 도 2를 각각 참조로 하면, 종래 일체형 액추에이터 하우징(51)은 3조(組)로 분리 제작된 분할형 하우징(53)을 상호 조립하여 단일의 개체를 이룬 다음 변속기측 하우징(미도시)에 장착된다. 이때, 분할형 하우징(53)의 전체적인 외형은 변속기에 대한 클러치의 배치 관계로부터 종속적으로 결정될 수밖에 없으므로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 액추에이터의 출력부분이 노출되는 중공부위에 대한 위치와 상대적 각도 등의 배치 관계에 대한 설정은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각각의 분할형 하우징(53)은 단품으로의 조립을 위해 상호 매칭되는 부위에 적합한 정밀한 체결부위(미도시)를 형성해야 할 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변속기측 하우징에 대해 정확한 위치로 조립되기 위해 적정의 개소(대략 6군데)에 별도의 마운팅부(55)를 추가적으로 마련해야 한다.
이 결과, 종래 일체형 액추에이터 하우징(51)은 3종류로 분리된 분할형 하우징(53)이 단일의 개체로 조립된 상태에서 변속기측 하우징과의 정확한 장착 위치를 보증하기 위해 각각의 단품에 대한 높은 가공 정밀도를 요구받게 되고, 이와 더불어 변속기측 하우징에 마련된 장착 부위와의 정확한 조립을 위한 정밀한 작업성을 요구받게 된다.
즉, 종래 일체형 액추에이터 하우징(51)을 변속기측 하우징에 탑재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분할형 하우징(53)의 제작 과정에서 대응 조립되는 상대측 하우징(53)과의 결합을 위한 매칭 부위를 비롯하여 변속기측 하우징과의 결합을 위한 마운팅부(55)에 대한 가공의 정밀도를 높여야 하고, 무엇보다도 완성된 조립품을 검수하기 위한 관련 기준을 강화시켜 현장에서 조립 시 발생될 수 있는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소해야 함과 더불어, 향후 생산 공정에서 변속기측 하우징과의 조립 시 발생될 수 있는 문제를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종래 일체형 액추에이터 하우징(51)에 대한 품질 향상을 위해서는 단품 상태의 분할형 하우징(53)을 개별적으로 제작하는 공정은 물론, 제작된 분할형 하우징(53)을 단일의 제품 상태로 조립하는 전 공정에서 투입되는 작업자의 숙련도를 높여야 하므로 제조 원가가 크게 상승될 뿐만 아니라, 제품의 완성도를 만족스러운 수준까지 향상시키는 데 많은 시간과 비용적 노력이 경주되어야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사안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단일의 변속기 하우징에 대해 복수로 설치되는 클러치 액추에이터의 하우징에 대한 조립 및 체결구조를 새롭게 구성하여 하우징 단품의 제작 시 발생되는 가공 오차 또는 제조 편차와 함께 단품의 조립 시 수반되는 조립 오차 또는 편차를 각각 흡수할 수 있게 함으로써 변속기 하우징에 대한 액추에이터 하우징의 정확한 장착위치를 확보하고, 이를 통해 변속기 하우징에 대한 액추에이터 하우징의 정확한 조립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한 쌍의 클러치 액추에이터를 갖춘 일체형 클러치 액추에이터를 변속기 하우징에 설치하기 위한 분할형 액추에이터 하우징에 있어서, 한 쌍의 메인 하우징, 상기 메인 하우징에 대해 각각 개별적으로 조립되어 나사체결로서 결합되는 한 쌍의 서브 하우징, 상기 한 쌍의 메인 하우징과 상기 한 쌍의 서브 하우징 사이에서 각각 대향하는 부위에 개별적으로 형성되어 나사체결로서 결합되는 제1마운팅부, 상기 한 쌍의 메인 하우징에 대해 축방향 정렬을 통한 축방향으로의 상대 이동만을 허용하기 위해 단일의 기준축선을 공유하도록 형성되어 나사체결로서 결합되는 제2마운팅부, 상기 한 쌍의 메인 하우징에 대한 셋팅된 정위치로의 상호 조립을 위해 결합축선을 설정하고 나사체결로서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메인 하우징 사이의 축방향과 축선회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을 동시에 구속하여 제한하는 제3마운팅부, 및 상기 한 쌍의 메인 하우징과 상기 한 쌍의 서브 하우징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위에 형성되어 변속기 하우징과 나사체결로서 결합되는 제4마운팅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한 쌍의 메인 하우징 사이의 축방향 정렬을 위한 기준축선과, 상기 한 쌍의 메인 하우징 사이의 조립을 위한 결합축선은 상호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정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결합축선은 상기 기준축선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에서 상기 기준축선을 따라 적어도 2군데 이상의 이격된 위치로 배치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1마운팅부는 상기 한 쌍의 메인 하우징과 상기 한 쌍의 서브 하우징의 전 둘레부위에서 상호 대향하는 부위에 다수로 구비되고 제1체결나사에 의한 나사결합으로 고정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2마운팅부는 상기 한 쌍의 메인 하우징의 외측에서 상호 대향하는 부위로 형성되고 제2체결나사에 의한 나사결합으로 고정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3마운팅부는 상기 한 쌍의 메인 하우징에서 상기 제2마운팅부 보다 외측으로 벗어난 위치에 형성되고 제3체결나사에 의한 나사결합으로 고정되고, 상기 제3마운팅부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하나에 비해 상기 기준축선을 따라 직경이 다소 길게 형성된 장공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4마운팅부는 상기 한 쌍의 메인 하우징과 상기 한 쌍의 서브 하우징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재의 가장자리 부위로 형성되고 변속기 하우징과 나사결합으로 고정된다.
본 발명은 복수의 하우징을 단품으로 제작한 다음 이들 사이의 조립부위를 결합시켜 단일의 액추에이터 하우징을 구성함에 있어, 복수의 단품을 단일의 제품으로 생산하기 위한 조립 및 체결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으므로 하우징을 단품 상태로 제작할 때 발생할 수 있는 가공 오차에 따른 제조 편차와, 단품 사이의 조립 시 수반될 수 있는 조립 오차에 따른 조립 편차를 함께 흡수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하우징의 제작과 조립 시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종속되는 가공 및 조립 편차를 단품 사이의 조립부위에 대한 구조적 보완 설계를 통해 극복할 수 있으므로 액추에이터 하우징의 조립품을 검수하는 데 필요로 하는 관련 기준의 정도를 크게 완화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가공 및 조립 오차를 감안한 작업의 기능적 숙련도 확보로부터 기인하는 제조 원가의 상승 문제도 함께 해소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복수의 단품을 단일의 하우징으로 제작할 때, 단일의 기준축선을 매개로 축방향으로 상대적인 유동에 대한 구속이 가능함과 더불어, 단품의 상호 조립을 위한 결합축선을 이용하여 축방향과 축선회방향으로 상대적인 이동을 구속할 수 있으므로, 변속기 하우징에 대한 액추에이터 하우징의 정확한 장착 위치를 확보할 수 있고, 유사 시 한 쌍의 클러치 액추에이터 중에서 고장난 부위만을 선택적으로 분해하여 수리 및 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듀얼 클러치 변속기에 탑재되는 일체형 클러치 액추에이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종래 일체형 클러치 액추에이터의 마운팅부위를 상세하게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클러치 액추에이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일체형 클러치 액추에이터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일체형 클러치 액추에이터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일체형 클러치 액추에이터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일체형 클러치 액추에이터의 저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클러치 액추에이터에서 하우징만을 독립적으로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액추에이터 하우징의 저면부위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을 참조로 하면, 일체형 클러치 액추에이터(1)는 듀얼 클러치 변속기의 입력측에 구비된 한 쌍의 클러치 위치와의 대응하는 위치로 한 쌍의 클러치 액추에이터(10, 20)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하여 단일의 개체를 구성한다. 상기 클러치 액추에이터(10, 20)는 전방에 변속기측 클러치를 향해 작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외부로 돌출된 출력 로드(12, 22)를 각각 구비한다. 상기 클러치 액추에이터(10, 20)는 후방에 상기 출력 로드(12, 22)에 대해 작동력을 인가하기 위한 구동 모터(14, 24)를 각각 구비한다. 상기 클러치 액추에이터(10, 20)는 액추에이터의 작동 부품을 각각 개별적으로 수납하기 위해 내부에 독립된 공간을 형성하는 분할형 액추에이터 하우징(100, 200)을 구비한다.
상기 분할형 액추에이터 하우징(100, 200)은 한 쌍의 메인 하우징(120, 220)과, 상기 메인 하우징(120, 220)에 대해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서 개별적으로 조립되어 나사체결로서 결합되는 한 쌍의 서브 하우징(140, 240)을 포함한다.
도 4를 참조로 하면, 상기 한 쌍의 분할형 액추에이터 하우징(100, 200)은 상호 대향하는 위치에서 변속기측 클러치 위치와 대응하도록 한 쌍의 메인 하우징(120, 220)을 배치하고, 상기 각각의 메인 하우징(120, 220)은 한 쌍의 서브 하우징(140, 240)과 개별적으로 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한 쌍의 메인 하우징(120, 220)은 변속기측 클러치 위치와 함께 변속기 하우징의 마운팅 부위와의 정확한 조립을 위해 상기 클러치 액추에이터(10, 20)의 출력 로드(12, 22)를 위치를 특정의 위치로 규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한 쌍의 메인 하우징(120, 220)과 상기 한 쌍의 서브 하우징(140, 240)은 이들 사이를 각각 나사체결로서 결합하기 위한 제1마운팅부(122-142, 222-242)를 상호 대향하는 부위에 개별적으로 일체로 형성한다. 이 경우, 상기 제1마운팅부(122-142, 222-242)는 상기 한 쌍의 메인 하우징(120, 220)과 상기 한 쌍의 서브 하우징(140, 240)의 전 둘레부위에 걸쳐 상호 대향하는 부위에서 다수로 구비되고, 각각 제1체결나사(B-1)에 의한 나사결합을 통해 상기 메인 하우징(120)에 대해 상기 서브 하우징(140)이 고정됨과 더불어, 상기 메인 하우징(220)에 대해 상기 서브 하우징(240)이 고정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로 하면, 상기 한 쌍의 메인 하우징(120, 220)은 변속기측 클러치와의 정위치 조립을 위해 제2마운팅부(160, 260)를 각각 상호 대향하는 부위에 개별적으로 일체로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2마운팅부(160, 260)는 단일의 기준축선(X; 도 8과 도 9를 참조)을 공유하도록 설정되어 상기 한 쌍의 메인 하우징(120, 220) 사이의 축방향 정렬을 통해 축방향으로의 상대 이동만을 허용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2마운팅부(160, 260)는 상기 한 쌍의 메인 하우징(120, 220) 사이에서 상호 대향하는 조립 부위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에서 외부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고, 각각 제2체결나사(B-2)에 의한 나사결합을 통해 상대편 하우징을 상기 기준축선(X)에 대해 구속하게 된다.
도 8과 도 9를 참조로 하면, 상기 한 쌍의 메인 하우징(120, 220)은 변속기측 클러치와의 정위치 조립을 위해 제3마운팅부(180, 280)를 각각 상호 대향하는 부위에 개별적으로 일체로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3마운팅부(180, 280)는 상기 한 쌍의 메인 하우징(120, 220)에 대한 셋팅된 정위치로의 상호 조립을 위해 결합축선(Y; 도 8과 도 9를 참조)을 설정하여 상기 기준축선(X)에 대한 축방향과 축선회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을 동시에 구속하여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경우, 상기 제3마운팅부(180, 280)는 상기 한 쌍의 메인 하우징(120, 220) 사이에서 상호 대향하는 조립 부위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에서 각각 외부로 돌출되거나 내부로 오목하게 들어간 형태로 형성되고, 각각 제3체결나사(B-3)에 의한 나사결합을 통해 상대편 하우징을 기준축선(X)과 함께 결합축선(Y)에 대해 구속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메인 하우징(120, 220) 사이의 축방향 정렬을 위한 기준축선(X)과, 상기 한 쌍의 메인 하우징(120, 220) 사이의 조립을 위한 결합축선(Y)은 상호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정되어 변속기측 하우징에 대한 조립위치를 일정하게 규제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결합축선(Y)은 상기 기준축선(X)에 대해 적어도 2개 이상의 이격된 위치로 배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결합축선(Y)의 형성을 위해 상기 메인 하우징(220)에 형성되는 제3마운팅부(280)는 상기 메인 하우징(120)에 형성되는 제3마운팅부(180)의 체결구멍에 비해 상기 기준축선(X)을 따라 직경이 다소 길게 형성된 장공의 형태를 이루고 있어, 변속기측 하우징에 대해 상기 액추에이터 하우징(100, 200)을 조립할 때 축방향 유격을 흡수하기 위한 미세한 위치 조절을 가능하게 해 준다. 이는 상기 제3체결나사(B-3)가 상기 메인 하우징(220)의 제3마운팅부(280)를 통해 상기 메인 하우징(120)의 제3마운팅부(180)로 조립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므로, 이와 반대방향에서 나사체결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상기 제3마운팅부(180)의 체결구멍에 대한 축방향 길이가 상기 제3마운팅부(280)의 체결구멍에 비해 다소 길게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도, 상기 기준축선(X)에 의한 제2마운팅부(160, 260)의 나사결합과 상기 결합축선(Y)에 의한 제3마운팅부(180, 280)의 나사결합은 변속기측 하우징과의 조립부위를 동일하게 모사하여 별도로 제작된 전용의 마운팅 지그(미도시) 상에 상기 한 쌍의 메인 하우징(120, 220)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2체결나사(B-2)를 통한 축방향 구속과 함께 축방향으로의 미세한 위치를 조절하고, 그 후 상기 제3체결나사(B-3)를 통한 축선회방향으로의 구속을 통해 이들 사이의 견고한 조립을 완료하게 된다.
도 3 내지 도 9를 참조로 하면, 상기 액추에이터 하우징(100, 200)은 변속기측 하우징과의 나사결합을 위해 외부로 돌출된 형태의 제4마운팅부(144, 224, 244)를 상기 한 쌍의 메인 하우징(120, 220)과 상기 한 쌍의 서브 하우징(140, 240)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위에서 다수의 개소로 구비하는 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4마운팅부(144, 224, 244)는 상기 서브 하우징(140)에 2군데의 위치(144)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 하우징(220)에 3군데의 위치(224)로 형성되며, 상기 서브 하우징(240)에 1군데의 위치(244)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제4마운팅부(144, 224, 244)의 위치는 변속기측 하우징과의 조립 위치에 따라 가변적으로 그 수량과 위치가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제1마운팅부(122-142, 222-242), 상기 제2마운팅부(160, 260), 상기 제3마운팅부(180, 280)는 각각 상기 메인 하우징(120, 220)과 상기 서브 하우징(140, 240)에서 상호 대응되어 결합되는 안착면에 대해 정밀한 조립을 위한 면 가공을 수반함은 물론이고, 상기 제4마운팅부(144, 224, 244)에서 변속기측 하우징과의 조립부위에 대응하는 안착면에도 동일하게 정밀한 조립을 위한 면 가공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분할형 액추에이터 하우징을 이용한 클러치 액추에이터의 조립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듀얼 클러치 변속기에 적용되는 클러치 액추에이터(1)는 한 쌍의 클러치 액추에이터(10, 20)를 일체형으로 제작한 다음 변속기측 하우징에 대해 정해진 위치로 조립된다. 이를 위해 상기 클러치 액추에이터(10, 20)는 한 쌍의 분할형 액추에이터 하우징(100, 200)을 개별적으로 제작한 다음 각각의 하우징을 전용의 마운팅 지그 상에서 상호 조립하고 내부에 해당 부품들을 설치함으로써 완성된다.
상기 분할형 액추에이터 하우징(100, 200)은 한 쌍의 메인 하우징(120, 220)과, 상기 메인 하우징(120, 220)에 대해 개별적으로 조립되는 한 쌍의 서브 하우징(140, 240)을 각각 제작하는 단계, 상기 메인 하우징(120)과 상기 서브 하우징(140), 및 상기 메인 하우징(220)과 상기 서브 하우징(240) 사이에서 상호 대향하는 부위에 대한 나사결합에 의한 조립을 위해 제1마운팅부(122-142, 222-242)를 개별적 형성하고 이들 사이를 제1체결나사(B-1)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단계, 상기 한 쌍의 메인 하우징(120, 220)에 대한 축방향 정렬을 통한 축방향으로의 상대 이동만을 허용하기 위해 상호 대향하는 부위에서 단일의 기준축선(X)을 공유하도록 제2마운팅부(160, 260)를 각각 형성하고 이들 사이를 제2체결나사(B-2)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단계, 상기 한 쌍의 메인 하우징(120, 220)에 대한 셋팅된 정위치로의 상호 조립을 위해 결합축선(Y)을 설정하여 축방향과 축선회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을 동시에 제한하도록 제3마운팅부(180, 280)를 각각 형성하고 이들 사이를 제3체결나사(B-3)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한 쌍의 메인 하우징(120, 220)과 상기 한 쌍의 서브 하우징(140, 240)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위로 변속기 하우징과의 조립을 위해 제4마운팅부(144, 224, 244)를 각각 형성하고 이들 사이를 별도의 체결나사(미도시)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메인 하우징(120, 220) 사이를 결합하는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상기 한 쌍의 메인 하우징(120, 220) 사이의 축방향 정렬을 위한 기준축선(X)과 상기 한 쌍의 메인 하우징(120, 220) 사이의 조립을 위한 결합축선(Y)에 대한 설정은 두 개의 축선(X, Y)들을 상호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함으로써 달성되고, 특히 상기 결합축선(Y)은 상기 기준축선(X)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에서 상기 기준축선(X)을 따라 적어도 2군데 이상의 이격된 위치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메인 하우징(120, 220)을 상호 결합하는 단계는 변속기 하우징과의 조립부위를 그대로 모사한 전용의 마운팅 지그 상에서 상기 기준축선(X)을 기준으로 한 쌍의 메인 하우징(120, 220)을 상호 축방향으로 정렬한 다음, 상기 결합축선(Y)을 이용한 나사결합을 통해 상대 위치를 구속하여 달성된다.
아울러, 상기 한 쌍의 메인 하우징(120, 220)과 서브 하우징(140, 240)을 제작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마운팅부(122-142, 222-242), 상기 제2마운팅부(160, 260), 및 상기 제3마운팅부(180, 280)는 각각 상기 메인 하우징(120, 220)과 상기 서브 하우징(140, 240)에서 상호 대응되어 결합되는 안착면에 대한 면 가공을 통해 정밀한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더욱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기준축선(X)은 중심으로 상기 한 쌍의 메인 하우징(120, 220)의 제2마운팅부(160, 260)에 대한 나사결합을 실시한 다음, 상기 결합축선(Y)을 이용한 상기 한 쌍의 메인 하우징(120, 220)의 제3마운팅부(180, 280)에 대한 나사결합은 상기 제3마운팅부(180, 280)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체결구멍을 상기 기준축선(X)의 방향으로 대응하는 체결구멍 보다 직경을 더 크게 설정함으로써 축방향으로 수반되는 미세한 가공 오차 또는 조립 오차를 흡수할 수 있게 된다.
10; 클러치 액추에이터 20; 클러치 액추에이터
100; 액추에이터 하우징 120; 메인 하우징
140; 서브 하우징 122,142; 제1마운팅부
160; 제2마운팅부 180; 제3마운팅부
200; 액추에이터 하우징 220; 메인 하우징
240; 서브 하우징 222,242; 제1마운팅부
260; 제2마운팅부 280; 제3마운팅부
B-1; 제1체결나사 B-2; 제2체결나사
B-3; 제3체결나사

Claims (12)

  1. 한 쌍의 클러치 액추에이터(10, 20)를 갖춘 일체형 클러치 액추에이터(1)를 변속기 하우징에 설치하기 위한 분할형 액추에이터 하우징(100, 200)에 있어서,
    한 쌍의 메인 하우징(120, 220);
    상기 메인 하우징(120, 220)에 대해 각각 개별적으로 조립되는 한 쌍의 서브 하우징(140, 240);
    상기 한 쌍의 메인 하우징(120, 220)과 상기 한 쌍의 서브 하우징(140, 240) 사이에서 각각 대향하는 부위에 개별적으로 형성되는 제1마운팅부(122-142, 222-242);
    상기 한 쌍의 메인 하우징(120, 220)에 대해 축방향 정렬을 통한 축방향으로의 상대 이동만을 허용하기 위해 단일의 기준축선(X)을 공유하도록 형성되는 제2마운팅부(160, 260);
    상기 한 쌍의 메인 하우징(120, 220)에 대한 셋팅된 정위치로의 상호 조립을 위해 결합축선(Y)을 설정하여 상기 한 쌍의 메인 하우징(120, 220) 사이의 축방향과 축선회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을 동시에 제한하는 제3마운팅부(180, 280); 및
    상기 한 쌍의 메인 하우징(120, 220)과 상기 한 쌍의 서브 하우징(140, 240)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위에 형성되는 제4마운팅부(144, 224, 24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형 액추에이터 하우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메인 하우징(120, 220) 사이의 축방향 정렬을 위한 기준축선(X)과, 상기 한 쌍의 메인 하우징(120, 220) 사이의 조립을 위한 결합축선(Y)은 상호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형 액추에이터 하우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결합축선(Y)은 상기 기준축선(X)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에서 상기 기준축선(X)을 따라 적어도 2군데 이상의 이격된 위치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형 액추에이터 하우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마운팅부(122-142, 222-242)는 상기 한 쌍의 메인 하우징(120, 220)과 상기 한 쌍의 서브 하우징(140, 240)의 전 둘레부위에서 상호 대향하는 부위에 구비되고 제1체결나사(B-1)에 의한 나사결합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형 액추에이터 하우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마운팅부(160, 260)는 상기 한 쌍의 메인 하우징(120, 220)의 외측에서 상호 대향하는 부위로 형성되고 제2체결나사(B-2)에 의한 나사결합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형 액추에이터 하우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마운팅부(180, 280)는 상기 한 쌍의 메인 하우징(120, 220)에서 상기 제2마운팅부(160, 260) 보다 외측으로 벗어난 위치에 형성되고 제3체결나사(B-3)에 의한 나사결합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형 액추에이터 하우징.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3마운팅부(180, 280)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하나에 비해 상기 기준축선(X)을 따라 직경이 길게 형성된 장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형 액추에이터 하우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4마운팅부(144, 224, 244)는 상기 한 쌍의 메인 하우징(120, 220)과 상기 한 쌍의 서브 하우징(140, 240)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재의 가장자리 부위로 형성되고 변속기 하우징과 나사결합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형 액추에이터 하우징.
  9. 일체형 클러치 액추에이터(1)를 변속기 하우징에 설치하기 위해 분할형 액추에이터 하우징(100, 200)을 이용한 한 쌍의 클러치 액추에이터(10, 20)의 조립 방법에 있어서,
    한 쌍의 메인 하우징(120, 220)과, 상기 메인 하우징(120, 220)에 대해 개별적으로 조립되는 한 쌍의 서브 하우징(140, 240)을 각각 제작하는 단계;
    상기 메인 하우징(120)과 상기 서브 하우징(140), 및 상기 메인 하우징(220)과 상기 서브 하우징(240) 사이의 각각에 있어 상호 대향하는 부위의 조립을 위해 제1마운팅부(122-142, 222-242)를 개별적으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한 쌍의 메인 하우징(120, 220)에 대한 축방향 정렬을 통한 축방향으로의 상대 이동만을 허용하기 위해 상호 대향하는 부위로 단일의 기준축선(X)을 공유하도록 제2마운팅부(160, 260)를 각각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한 쌍의 메인 하우징(120, 220)에 대한 셋팅된 정위치로의 상호 조립을 위해 결합축선(Y)을 설정하여 축방향과 축선회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을 동시에 제한하도록 제3마운팅부(180, 280)를 각각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한 쌍의 메인 하우징(120, 220)과 상기 한 쌍의 서브 하우징(140, 240)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위로 변속기 하우징과의 조립을 위해 제4마운팅부(144, 224, 244)를 각각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형 액추에이터 하우징을 이용한 클러치 액추에이터의 조립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메인 하우징(120, 220) 사이의 축방향 정렬을 위한 상기 기준축선(X)과, 상기 한 쌍의 메인 하우징(120, 220) 사이의 조립을 위한 상기 결합축선(Y)은 상호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형 액추에이터 하우징을 이용한 클러치 액추에이터의 조립 방법.
  11.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결합축선(Y)은 상기 기준축선(X)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에서 상기 기준축선(X)을 따라 적어도 2군데 이상의 이격된 위치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형 액추에이터 하우징을 이용한 클러치 액추에이터의 조립 방법.

  12. 삭제
KR1020130090939A 2013-07-31 2013-07-31 분할형 액추에이터 하우징과 이를 이용한 클러치 액추에이터의 조립 방법 KR101448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0939A KR101448114B1 (ko) 2013-07-31 2013-07-31 분할형 액추에이터 하우징과 이를 이용한 클러치 액추에이터의 조립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0939A KR101448114B1 (ko) 2013-07-31 2013-07-31 분할형 액추에이터 하우징과 이를 이용한 클러치 액추에이터의 조립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8114B1 true KR101448114B1 (ko) 2014-10-13

Family

ID=51996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0939A KR101448114B1 (ko) 2013-07-31 2013-07-31 분할형 액추에이터 하우징과 이를 이용한 클러치 액추에이터의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811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6432A (ja) * 2001-08-17 2003-02-26 Jidosha Denki Kogyo Co Ltd アクチュエータ
KR20110119662A (ko) * 2009-01-30 2011-11-02 발레오 앙브라이아쥐 듀얼 포크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듀얼 클러치 메커니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6432A (ja) * 2001-08-17 2003-02-26 Jidosha Denki Kogyo Co Ltd アクチュエータ
KR20110119662A (ko) * 2009-01-30 2011-11-02 발레오 앙브라이아쥐 듀얼 포크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듀얼 클러치 메커니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199323A1 (en) Zero backlash gear structure
JP6480664B2 (ja) ハイブリッド型トルク伝達機構
EP3184833B1 (en) Support device for bearing
WO2018121718A1 (zh) 舵机齿轮轴压轴装置
US10036461B2 (en) Differential gear case and method for processing same
JP2009545480A (ja) ステアリングシステムの連結デバイス
KR101448114B1 (ko) 분할형 액추에이터 하우징과 이를 이용한 클러치 액추에이터의 조립 방법
JP6216410B2 (ja) シャフトカップリングアセンブリ並びにシャフトカップリングアセンブリによって二つのシャフトを連結する方法及び保守方法
RU2491663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репления модуля бланкета на вакуумном корпусе термоядерного реактора
CN201856579U (zh) 桥壳组件
US8083234B2 (en) Seal assembly
CN104348296A (zh) 一种带谐波减速器的电机
US20130101692A1 (en) Screw mounting structure of injection molding machine
CN110893913A (zh) 具有偏心轴线和偏心套筒的双剪切附接装置、包括这种装置的机械组件和组装过程
JP4874148B2 (ja) アクチュエータ
CN103538622B (zh) 用于车辆的转向结构组件及其设计方法
CN102011804A (zh) 用于高压电器阻断器的轴联结构
JP5308397B2 (ja) ユニバーサルジョイント
CN108015537B (zh) 一种壳体、齿轮板及丝杠副的精定位安装方法
CN205781351U (zh) 旋钮的间隙补偿结构
CN204828626U (zh) 数控车床丝杠驱动齿轮箱的结构
CN202183686U (zh) 刮水电机与连杆机构固联的结构
CN201973212U (zh) 一种花键联结的中间轴结构
JP2010181013A (ja) ダブルコニカルインボリュートギアの構成および製造方法
JP5001446B1 (ja) 2軸押出機用駆動伝達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