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7013B1 - 닫힘방지부가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 - Google Patents

닫힘방지부가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7013B1
KR101447013B1 KR1020140044793A KR20140044793A KR101447013B1 KR 101447013 B1 KR101447013 B1 KR 101447013B1 KR 1020140044793 A KR1020140044793 A KR 1020140044793A KR 20140044793 A KR20140044793 A KR 20140044793A KR 101447013 B1 KR101447013 B1 KR 101447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plate
flow rate
closure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4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장우
Original Assignee
이장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장우 filed Critical 이장우
Priority to KR1020140044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70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7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70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54Arrangements for modifying the way in which the rate of flow varies during the actuation of the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ow Control (AREA)

Abstract

닫힘방지부가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닫힘방지부가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은 유로 상에 유체의 이동 방향과 수직하게 배치되며 유체가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제 1 유체통과홀이 형성되는 플레이트, 상기 유체가 유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플레이트와 기울기를 형성하여 상기 플레이트에 대하여 틸팅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유체의 유압에 의해 가압되어 틸팅됨으로써 상기 유체통과홀의 개도를 조절하는 유량조절편 및 상기 유량조절편과 상기 플레이트가 최소한의 각도를 이루도록 하여 상기 유량조절편이 상기 유체의 유압에 의해 완전히 닫히는 것을 방지하는 닫힘방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닫힘방지부가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Unit for Control Flow Having Closing Prevention Member}
본 발명은 닫힘방지부가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로 상에 구비되어 외부로 토출되는 유체의 유량의 변동 폭을 줄일 수 있는 닫힘방지부가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에서 사용되는 수돗물은 같은 크기의 수도관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수도기기의 설치된 위치에 따라 토출량이 상이하고, 이는 물탱크가 설치된 위치와, 물탱크와 각 수도기기 등의 간격 차이로 인해 수도관을 통하여 흐르는 수압 및 토출량이 상이하게 되며, 또한 노후된 수도관일 경우에 내부의 스케일 등의 이물질으로 인해 토출량이 상이하게 된다.
전술한 수압은 수도관의 크기와 한정된 시간 내에 토출될 수 있는 물의 량과 비례하므로 수도관의 수압이 약한 수도기기에 서는 동일한 시간 내에 적은 량의 물이 토출되고, 이와 반면에 수압이 강한 수도기기에서는 상대적으로 많은 량의 물이 토출된다.
이로 인해, 고층 빌딩 또는 고층 아파트의 저층에서는 필요이상의 수압으로 인해 토출량 일부가 낭비되어 발생되는 손실을 감수해야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수도관 내의 수압을 측정하여 수도관 내부의 단면적을 줄여 토출량을 기준치에 일치되도록 하는 유량 조절장치가 장착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는 수도관 내부의 수압과는 상관없이 면적을 조절하여 유량을 조절하게 되므로 수도관의 크기와 수압에 따라 요구되는 많은 종류의 유량 조절장치가 제작되어야 하고, 각 가정을 방문하여 수도관의 크기, 수압 및 토출량을 측정한 후 밸브를 분해후 특정 유량 조절장치를 장착하므로, 유량 조절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많은 인력 및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선행문헌 1: 한국등록특허 20-0407765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은 토출되는 유체의 유량이 상시 일정하게 유지됨으로써 필요이상의 강한 수압으로 인해 유체가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닫힘방지부가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둘째, 본 발명은 매우 간단한 구조로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닫힘방지부가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셋째, 본 발명은 유체의 유동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닫힘방지부가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닫힘방지부가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은 플레이트, 유량조절편 및 닫힘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는 유로 상에 유체의 이동 방향과 수직하게 배치되며, 상기 플레이트에는 유체가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제 1 유체통과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량조절편은 상기 유체가 유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플레이트와 기울기를 형성하여 상기 플레이트에 대하여 틸팅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유체의 유압에 의해 가압되어 틸팅됨으로써 상기 유체통과홀의 개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유량조절편은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일부분이 절개되어 유체가 유입되는 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플레이트와 기울기를 이룸으로써 상기 유체통과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유량조절편은 별도의 부재로서 상기 플레이트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유량조절편은 상기 유압이 제거되면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탄성력 및 복원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닫힘방지부는 상기 유량조절편과 상기 플레이트가 최소한의 각도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상기 유량조절편이 상기 유체의 유압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와 수평해져 유체의 유동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닫힘방지부가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은 상기 플레이트의 후방에 구비되며, 상기 제 1 유체통과홀과 연통되는 제 2 유체통과홀이 형성되는 보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닫힘방지부는 상기 제 1 유체통과홀의 일측을 가로지르도록 상기 플레이트의 전면에 구비되는 핀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닫힘방지부는 상기 제 2 유체통과홀의 테두리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높이를 가지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 1 유체통과홀을 관통하여 상기 플레이트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닫힘방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닫힘방지부는 상기 유량조절편이 틸팅되는 부분에서 멀어질수록 높이가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닫힘방지부에는 상기 유량조절편이 상기 닫힘방지부와 완전히 맞닿았을 경우 상기 유체가 이동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유동차단방지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닫힘방지부는 상기 플레이트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닫힘방지부가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에 의하면 유압에 의해 유량조절편과 플레이트가 이루는 기울기가 변화하고, 이에 따라 유로의 개도를 조절함으로써 유체의 유량이 상기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닫힘방지부가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에 의하면 유체의 유량이 상시 일정하게 유지됨으로써 절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닫힘방지부가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에 의하면 플레이트를 절개하고 절곡함으로써 유량조절편을 형성하여 매우 간단한 구조로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닫힘방지부가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에 의하면 유량조절편이 플레이트와 상시 최소한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닫힘방지부가 구비되어 유량조절편이 완전히 닫혀 유체의 유동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닫힘방지부가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이 급수장치 내부의 유로에 설치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닫힘방지부가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닫힘방지부가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닫힘방지부가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닫힘방지부가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닫힘방지부가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의 사시도; 및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닫힘방지부가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기술의 구성요소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닫힘방지부가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이 급수장치 내부의 유로에 설치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닫힘방지부가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은 유로(10a)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유로(10a)가 급수장치(10)의 유로(10a)인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유체가 유동하는 유로라면 어떤 곳이든 적용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닫힘방지부가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닫힘방지부가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의 단면도이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닫힘방지부가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닫힘방지부가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은 플레이트(100), 유량조절편(110) 및 닫힘방지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100)는 유로(10a)에 유체의 유동 방향과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플레이트(100)에는 유체가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제 1 유체통과홀(120)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유체는 물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물, 기름 등의 액체 및 공기, 산소 등의 기체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플레이트(100)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소정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플레이트(100)의 두께는 플레이트(100)가 적용되는 유로를 유동하는 유체의 유압 또는 유로 단면적 등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으며, 유압이 강한 유로에 적용되는 플레이트(100)의 두께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100)의 재질로는 내식성을 가지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 등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량조절편(110)은 유체가 유입되는 방향으로 플레이트(100)와 기울기를 형성하여 플레이트(100)에 대하여 틸팅 가능하게 구비되며, 유체의 유압에 의해 가압되어 틸팅됨으로써 제 1 유체통과홀(120)의 개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로써, 유량의 변동 폭이 좁아지게 되어 상기 적정량의 유체를 토출하고, 이에 따라 절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로(10a) 내를 흐르는 유체의 유량이 많아져서 유속이 높아지면 유량조절편(110)을 가압하는 압력이 높아지고, 이에 따라 유량조절편(110)은 큰 각도만큼 유체가 흐르는 방향으로 틸팅되어 유량조절편(110)과 플레이트(100) 사이의 개도가 좁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유체통과홀(120)을 통과하는 유량이 줄어들게 되고, 결과적으로 유로(10a) 내에서 흐르는 유량보다 수도기기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는 유량이 적어질 수 있다.
또는, 유로(10a)를 흐르는 유체의 유량이 적어져서 유속이 낮아지면 유체가 유량조절편(110)을 가압하는 압력이 상대적으로 낮아지고, 이에 따라 유량조절편(110)은 상대적으로 작은 각도만큼 유체가 흐르는 방향으로 틸팅되어 유량조절편(110)과 플레이트(100) 사이의 제 1 유체통과홀(120)이 상기의 경우보다는 넓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유체통과홀(120)을 통과하는 유량이 많아지게 되고, 결과적으로는 수도기기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는 유량이 상대적으로 많아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원리로 수도기기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는 유량의 변동 폭이 좁아지게 되고, 이로써 절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유량조절편(110)은 플레이트(100)로부터 일부분이 절개되어 유체가 유입되는 측으로 절곡되어 플레이트(100)와 기울기를 이룸으로써 제 1 유체통과홀(120)을 형성할 수 있다. 즉, 플레이트(100)와 유량조절편(11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최소한의 구성요소로 절수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유량조절편(110)이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플레이트(100)의 재질은 탄성력 및 복원력을 갖는 재질로서, 유량조절편(110)은 유체의 유압에 의해 가압되어 플레이트(100)와 이루는 기울기가 작아졌다가 유압이 제거되면 다시 플레이트(100)와의 기울기가 커져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또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유량조절편(110)은 별도의 부재로서 플레이트(100)에 결합될 수 있다.
유량조절편(110)은 용접에 의해 플레이트(100)에 접합될 수 있다. 유량조절편(110)이 별도의 부재로 구비되는 경우에도 유량조절편(110)은 플레이트(100)와 소정의 기울기를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유량조절편(110)은 유압에 의하여 가압되면 플레이트(100)와 가까워지는 측으로 틸팅되어 제 1 유체통과홀(120)의 개도가 좁아지고, 유량조절편(110)에 가해지는 유압이 제거되면 다시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유량조절편(110)은 회전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 될 수도 있다. 유량조절편(110)이 회전축에 의해 힌지결합 되는 경우에는 유량조절편(110)에 탄성력 및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토션스프링이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는 제 1 유체통과홀(120)이 하나만 형성되는 것을 예로 도시하였으나, 제 1 유체통과홀(120)은 복수 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유량조절편(110)은 제 1 유체통과홀(120)과 동일한 개수만큼 구비되어 각각의 유량조절편(110)이 각각의 제 1 유체통과홀(120)과 대응될 수도 있고, 복수 개의 유량조절편(110)이 하나의 제 1 유체통과홀(120)과 대응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유량조절편(110)의 크기가 제 1 유체통과홀(120)의 크기와 서로 대응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유량조절편(110)의 크기는 제 1 유체통과홀(120)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유량조절편(110)의 크기가 모두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유로(10a) 내를 유동하는 유체의 유압이 작용하는 면적이 각각 다르기 때문에 각각의 유량조절편(110)은 서로 다른 각도만큼 틸팅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플레이트(100)의 일측에는 유체의 유동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하는 바이패스 유로가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플레이트(100)의 후방에는 플레이트(100)를 보강하는 보강부재(2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보강부재(200)에는 제 1 유체통과홀(120)과 연통되는 제 2 유체통과홀(210)이 형성되어 유체가 유동할 수 있다.
플레이트(100)는 매우 얇은 박판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방향에서 지속적인 유압이 작용함에 따라 유압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플레이트(100)가 휘어지거나 파손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100)의 후방에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보강부재(200)가 플레이트(100)를 지지함으로써 플레이트(100)의 변형 및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보강부재(200)의 재질로는 플레이트(100)를 충분히 보강할 수 있도록 강도가 높은 합성수지 또는 금속 등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닫힘방지부(300)는 유량조절편(110)과 플레이트(100)가 적정량의 유체를 토출할 수 있을 정도의 최소한의 각도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유량조절편(110)의 탄성이 저하되어 플레이트(100)와 유량조절편(110)이 형성하는 기울기가 작아지는 경우 유체통과홀(120)의 개도가 매우 좁아져 외부로 배출되는 유체의 유량이 작아질 수 있다. 또는, 유량조절편(110)이 플레이트(100)와 수평이 되어 유체가 제대로 유동하지 못하는 경우 급수장치(10)의 고장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유량조절편(110)의 틸팅 각도를 상시 적절한 양의 유체를 통과시킬 수 있을 정도의 각도까지로 제한하는 닫힘방지부(300)가 구비됨으로써 유량조절편(110)이 유체의 유압에 의해 플레이트(100)와 수평해져 유체의 유동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닫힘방지부(300)는 상기 제 1 유체통과홀(120)의 일측을 가로지르도록 상기 플레이트(100)의 전면에 구비되는 핀일 수 있다. 닫힘방지부(300)의 직경은 요구되는 토출 유량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시 많은 유량이 필요하다면 닫힘방지부(300)의 직경을 크게 하고, 상대적으로 적은 유량이 필요하다면 닫힘방지부(300)의 직경을 작게 설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닫힘방지부가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닫힘방지부가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의 단면도이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닫힘방지부가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닫힘방지부가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은 플레이트(100), 유량조절편(110), 보강부재(200) 및 닫힘방지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유량조절편(110)과 닫힘방지부(220), 보강부재(2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닫힘방지부(220)는 제 2 유체통과홀(210)의 테두리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높이를 가지도록 구비되며 제 1 유체통과홀(120)을 관통하여 플레이트(100)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보강부재(200)와 닫힘방지부(22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도면에는 닫힘방지부(220)가 유량조절편(110)이 틸팅되는 부분에서 멀어질수록 높이가 높게 형성되는 것을 예로 도시하였다. 이로써, 유압이 강한 경우 유량조절편(110)의 하부 테두리 부분 전체가 닫힘방지부(220)에 의해 지지되어 유량조절편(110)의 변형이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러나, 유량조절편(110)이 닫힘방지부(220)에 완전히 맞닿는 경우 유체의 유동이 차단될 수 있으므로, 닫힘방지부(220)에는 유량조절편(110)이 닫힘방지부(220)와 완전히 맞닿았을 경우 유체가 이동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유동차단방지홀(222)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 및 이의 도면에서는 닫힘방지부(220)가 제 2 유체통과홀(210)의 테두리 전체에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닫힘방지부(220)는 제 1 유체통과홀(120)을 관통하여 플레이트(10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하나의 돌기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돌기일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닫힘방지부가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닫힘방지부가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의 단면도이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닫힘방지부가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닫힘방지부가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은 플레이트(100), 유량조절편(110), 보강부재(200) 및 닫힘방지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유량조절편(110)과 닫힘방지부(300), 보강부재(2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닫힘방지부(300)는 제 2 유체통과홀(210)의 테두리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높이를 가지도록 구비되며 제 1 유체통과홀(120)을 관통하여 플레이트(100)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보강부재(200)와 닫힘방지부(300)는 개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유체통과홀(210)의 직경은 제 1 유체통과홀(12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제 1 유체통과홀(120)과 제 2 유체통과홀(210)의 직경 차이로 인해 단차진 부분의 일부에 닫힘방지부(300)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 닫힘방지부(300)는 볼트일 수 있으며, 상기의 단차진 부분에는 닫힘방지부(300)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삽입홈의 후방으로부터 볼트가 삽입됨으로써 볼트의 회전에 따라 제 1 유체통과홀(120)을 관통하여 플레이트(10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로써, 본 실시예의 유량 조절 유닛이 적용되는 유로, 수도기기, 사용환경 등에 알맞게 유량조절편(110)과 플레이트(100)가 이루는 최소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도면에는 닫힘방지부(300)가 볼트인 것을 예로 도시하였으나, 닫힘방지부(300)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복수 개의 스틱으로 이루어져 유량 조절 유닛이 적용되는 유로, 수도기기, 사용환경 등에 알맞은 길이의 스틱을 삽입할 수도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여러가지 실시예에서 닫힘방지부(300)의 형상 및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닫힘방지부(300)는 상술하는 내용 및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유량조절편(110)이 플레이트(100)와 최소한의 각도를 이룰 수 있으며 유체가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떤 식으로든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급수장치 10a: 유로
100: 플레이트 110: 유량조절편
120: 제 1 유체통과홀 200: 보강부재
210: 제 2 유체통과홀 300: 닫힘방지부
222: 유동차단방지홀

Claims (10)

  1. 유로 상에 유체의 이동 방향과 수직하게 배치되며, 유체가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제 1 유체통과홀이 형성되는 플레이트;
    상기 유체가 유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플레이트와 기울기를 형성하여 상기 플레이트에 대하여 틸팅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유체의 유압에 의해 가압되어 틸팅됨으로써 상기 제 1 유체통과홀의 개도를 조절하는 유량조절편; 및
    상기 유량조절편과 상기 플레이트가 최소한의 각도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상기 유량조절편이 상기 유체의 유압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와 수평해져 상기 유체의 유동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하는 닫힘방지부; 를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의 후방에 구비되며, 상기 제 1 유체통과홀과 연통되는 제 2 유체통과홀이 형성되는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닫힘방지부는 상기 제 2 유체통과홀의 테두리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높이를 가지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 1 유체통과홀을 관통하여 상기 플레이트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닫힘방지부가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닫힘방지부는,
    상기 유량조절편이 틸팅되는 부분에서 멀어질수록 높이가 높게 형성되는 닫힘방지부가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닫힘방지부에는,
    상기 유량조절편이 상기 닫힘방지부와 완전히 맞닿았을 경우 상기 유체가 이동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유동차단방지홀이 형성되는 닫힘방지부가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닫힘방지부는,
    상기 제 1 유체통과홀을 관통하여 상기 플레이트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닫힘방지부가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편은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일부분이 절개되어 유체가 유입되는 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플레이트와 기울기를 이룸으로써 상기 유체통과홀을 형성하는 닫힘방지부가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편은 별도의 부재로서 상기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닫힘방지부가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편은,
    상기 유압이 제거되면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탄성력 및 복원력을 가지는 닫힘방지부가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
KR1020140044793A 2014-04-15 2014-04-15 닫힘방지부가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 KR101447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4793A KR101447013B1 (ko) 2014-04-15 2014-04-15 닫힘방지부가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4793A KR101447013B1 (ko) 2014-04-15 2014-04-15 닫힘방지부가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7013B1 true KR101447013B1 (ko) 2014-10-13

Family

ID=51996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4793A KR101447013B1 (ko) 2014-04-15 2014-04-15 닫힘방지부가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70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1950844A1 (en) * 2019-07-04 2021-01-05 Purmo Group Sweden Ab Valve arrangem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57321U (ko) * 1974-10-30 1976-05-06
JPS6088171U (ja) * 1983-11-25 1985-06-17 エヌオーケー株式会社 リ−ドバルブ
JPH0326026B2 (ko) * 1982-11-08 1991-04-09 Toyota Motor Co Ltd
JPH0616781U (ja) * 1992-08-05 1994-03-04 株式会社酉島製作所 吸排気装置
JP3026026B2 (ja) * 1990-12-18 2000-03-27 能美防災株式会社 定流量弁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57321U (ko) * 1974-10-30 1976-05-06
JPH0326026B2 (ko) * 1982-11-08 1991-04-09 Toyota Motor Co Ltd
JPS6088171U (ja) * 1983-11-25 1985-06-17 エヌオーケー株式会社 リ−ドバルブ
JP3026026B2 (ja) * 1990-12-18 2000-03-27 能美防災株式会社 定流量弁
JPH0616781U (ja) * 1992-08-05 1994-03-04 株式会社酉島製作所 吸排気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1950844A1 (en) * 2019-07-04 2021-01-05 Purmo Group Sweden Ab Valve arrange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2324B1 (ko) 플레이트 밸브
JP5064104B2 (ja) 圧力調節弁
US10444768B2 (en) Flow-controlling unit provided in flow channel
US4217931A (en) Adjustable check valve
US6019115A (en) Safety excess flow valve system with adjustable closing flow rate settings
US11048280B2 (en) Pressure regulator
US10520957B2 (en) Pressure regulating device having a variable travel stop
KR101447013B1 (ko) 닫힘방지부가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
US10619749B2 (en) Flow-controlling unit having function of limiting tilting angle of flow-controlling piece
US10316987B2 (en) Fixed lever and pin assembly for stabilizing gas flow and pressure regulation of a fluid regulator
JP5235556B2 (ja) 液体供給システム
US8671970B2 (en) Flow-through trap primer valve assembly
KR101481423B1 (ko) 틸팅 각도 제한 부재가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
EP0972151A1 (en) Safety excess flow valve system with adjustable closing flow rate settings
KR101537645B1 (ko) 투영면적이 서로 다른 복수 개의 유량조절편이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
EP1308815A1 (en) Flow regulator
KR101481420B1 (ko)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가지는 복수 개의 유량조절편이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
KR20160034555A (ko) 역류방지 기능을 가지는 유량 조절 유닛
KR102144912B1 (ko) 역류방지 체크밸브
WO2011158226A1 (en) Non-return sewage barrier
KR200192319Y1 (ko) 체크밸브
US9803775B2 (en) Double action float valve
GB2029548A (en) Adjustable check valve
KR102043258B1 (ko) 유량제어용 밸브 장치
US20210095773A1 (en) Hydrostatically Adjustable Valve and Associated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