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7645B1 - 투영면적이 서로 다른 복수 개의 유량조절편이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 - Google Patents

투영면적이 서로 다른 복수 개의 유량조절편이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7645B1
KR101537645B1 KR1020140026201A KR20140026201A KR101537645B1 KR 101537645 B1 KR101537645 B1 KR 101537645B1 KR 1020140026201 A KR1020140026201 A KR 1020140026201A KR 20140026201 A KR20140026201 A KR 20140026201A KR 101537645 B1 KR101537645 B1 KR 1015376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rate
flow
fluid
pieces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6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장우
Original Assignee
이장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장우 filed Critical 이장우
Priority to KR1020140026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7645B1/ko
Priority to CN201580011964.9A priority patent/CN106104123A/zh
Priority to BR112016020499-9A priority patent/BR112016020499A2/ko
Priority to PCT/KR2015/002120 priority patent/WO2015133833A1/ko
Priority to US15/123,092 priority patent/US10444768B2/en
Priority to EP15757700.8A priority patent/EP3115661A4/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7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76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1/00Other details not peculiar to particular types of valves or cut-off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low Control (AREA)

Abstract

서로 다른 투영 면적을 가지는 복수 개의 유량조절편이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서로 다른 투영 면적을 가지는 복수 개의 유량조절편이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은 유로 상에 유체의 유동 방향과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유체가 통과하는 복수 개의 유체통과홀이 형성되는 플레이트 및 유체가 유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플레이트와 기울기를 형성하여 상기 플레이트에 대하여 틸팅 가능하게 구비되되 적어도 두 개는 유압이 작용하는 투영면적이 서로 다르며, 상기 유체의 유압에 의해 가압되어 틸팅됨으로써 상기 유체통과홀의 개도를 조절하는 복수 개의 유량조절편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투영면적이 서로 다른 복수 개의 유량조절편이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Unit for Controling Flow with Pieces for Regulating Flow Having Different Projected Net Area}
본 발명은 서로 다른 투영 면적을 가지는 복수 개의 유량조절편이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로 상에 구비되어 외부로 토출되는 유체의 유량의 변동 폭을 줄일 수 있는 서로 다른 투영 면적을 가지는 복수 개의 유량조절편이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에서 사용되는 수돗물은 같은 크기의 수도관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수도기기의 설치된 위치에 따라 토출량이 상이하고, 이는 물탱크가 설치된 위치와, 물탱크와 각 수도기기 등의 간격 차이로 인해 수도관을 통하여 흐르는 수압 및 토출량이 상이하게 되며, 또한 노후된 수도관일 경우에 내부의 스케일 등의 이물질으로 인해 토출량이 상이하게 된다.
전술한 수압은 수도관의 크기와 한정된 시간내에 토출될 수 있는 물의 량과 비례하므로 수도관의 수압이 약한 수도기기에 서는 동일한 시간내에 적은 량의 물이 토출되고, 이와 반면에 수압이 강한 수도기기에서는 상대적으로 많은 량의 물이 토출된다.
이로 인해, 고층 빌딩 또는 고층 아파트의 저층에서는 필요이상의 수압으로 인해 토출량 일부가 낭비되어 발생되는 손실을 감수해야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수도관 내의 수압을 측정하여 수도관 내부의 단면적을 줄여 토출량을 기준치에 일치되도록 하는 유량 조절장치가 장착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는 수도관 내부의 수압과는 상관없이 면적을 조절하여 유량을 조절하게 되므로 수도관의 크기와 수압에 따라 요구되는 많은 종류의 유량 조절장치가 제작되어야 하고, 각 가정을 방문하여 수도관의 크기, 수압 및 토출량을 측정한 후 밸브를 분해후 특정 유량 조절장치를 장착하므로, 유량 조절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많은 인력 및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선행문헌 1: 한국등록특허 20-0407765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은 토출되는 유체의 유량이 상시 일정하게 유지됨으로써 필요이상의 강한 수압으로 인해 유체가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서로 다른 투영 면적을 가지는 복수 개의 유량조절편이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둘째, 본 발명은 매우 간단한 구조로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서로 다른 투영 면적을 가지는 복수 개의 유량조절편이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투영 면적을 가지는 복수 개의 유량조절편이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은 플레이트 및 유량조절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는 유로 상에 유체의 유동 방향과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유체가 통과하는 복수 개의 유체통과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량조절편은 유체가 유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플레이트와 기울기를 형성하여 상기 플레이트에 대하여 틸팅 가능하게 구비되되, 적어도 두 개는 유압이 작용하는 투영면적이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량조절편은 상기 유체의 유압에 의해 가압되어 틸팅됨으로써 상기 유체통과홀의 개도를 조절할 수 있다.복수 개의 상기 유체통과홀 중 서로 마주보는 유량조절편은 동일한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유량조절편은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일부분이 절개되어 유체가 유입되는 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플레이트와 기울기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유체통과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유량조절편은 상기 유체통과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의 일측에는 상기 유체의 유동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하는 바이패스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의 후면에는 상기 유량조절편의 틸팅 각도를 제한하는 스톱퍼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상기 유량조절편과 상기 플레이트는 모두 동일한 기울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유량조절편은 상기 유압이 제거되면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탄성력 및 복원력을 가질 수 있다.
복수 개의 상기 유체통과홀은 상기 유량조절편의 면적에 따라 순차적으로 개도가 좁아질 수 있다.
복수 개의 상기 유체통과홀 중 하나는 상기 플레이트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투영 면적을 가지는 복수 개의 유량조절편이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에 의하면 유압에 의해 유량조절편과 플레이트가 이루는 기울기가 변화하고, 이에 따라 유체통과홀의 개도를 조절함으로써 유체의 유량이 상기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투영 면적을 가지는 복수 개의 유량조절편이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에 의하면 유체의 유량이 상시 일정하게 유지됨으로써 절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투영 면적을 가지는 복수 개의 유량조절편이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에 의하면 플레이트를 절개하고 절곡함으로써 유량조절편을 형성하여 매우 간단한 구조로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투영 면적을 가지는 복수 개의 유량조절편이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이 설치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투영 면적을 가지는 복수 개의 유량조절편이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투영 면적을 가지는 복수 개의 유량조절편이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투영 면적을 가지는 복수 개의 유량조절편이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에 유압이 작용할 때 각각의 유량조절편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투영 면적을 가지는 복수 개의 유량조절편이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의 유체통과홀이 플레이트의 반지름 외측을 향하여 개구되도록 유량조절편이 절개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투영 면적을 가지는 복수 개의 유량조절편이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의 유체통과홀이 플레이트의 반지름 내측을 향하여 개구되도록 유량조절편이 절개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투영 면적을 가지는 복수 개의 유량조절편이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의 유체통과홀이 순차적으로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투영 면적을 가지는 복수 개의 유량조절편이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투영 면적을 가지는 복수 개의 유량조절편이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의 유량조절편 중 면적이 가장 작은 유량조절편이 중앙부에 위치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투영 면적을 가지는 복수 개의 유량조절편이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의 유량조절편 중 면적이 가장 큰 유량조절편이 중앙부에 위치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기술의 구성요소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투영 면적을 가지는 복수 개의 유량조절편이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이 설치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 상에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은 유로(10a)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유로(10a)가 급수장치(10)의 유로(10a)인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유체가 유동하는 유로라면 어떤 곳이든 적용 가능하다.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투영 면적을 가지는 복수 개의 유량조절편이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투영 면적을 가지는 복수 개의 유량조절편이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의 사시도이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투영 면적을 가지는 복수 개의 유량조절편이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투영 면적을 가지는 복수 개의 유량조절편이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은 플레이트(100) 및 유량조절편(110)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100)는 유로(10a) 상에 유체의 유동 방향과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플레이트(100)에는 유체가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유체통과홀(120)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유체는 물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물, 기름 등의 액체 및 공기, 산소 등의 기체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플레이트(100)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소정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플레이트(100)의 두께는 플레이트(100)가 적용되는 유로(10a)를 유동하는 유체의 유압 또는 유로(10a) 단면적 등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으며, 유압이 강한 유로(10a)에 적용되는 플레이트(100)의 두께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100)의 재질로는 내식성을 가지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 등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량조절편(110)은 유체통과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유량조절편(110)은 유체가 유입되는 방향으로 플레이트(100)와 기울기를 형성하여 플레이트(100)에 대하여 틸팅 가능하게 구비되되, 복수 개의 유량조절편(110) 중 적어도 두 개는 유압이 작용하는 투영면적이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투영면적은 물체에 평행 광선을 투사했을 때 배후의 평면상에 생기는 그림자의 면적을 말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 유량조절편(110)의 투영면적은 유체의 이동 방향과 수직일 수 있다.
그리고, 유량조절편(110)은 유체의 유압에 의해 가압되어 유체통과홀(120)의 개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로써, 유량의 변동 폭이 좁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절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로(10a) 내를 흐르는 유체의 유량이 많아져서 유속이 높아지면 유량조절편(110)을 가압하는 압력이 높아지고, 이에 따라 유량조절편(110)은 큰 각도만큼 유체가 흐르는 방향으로 틸팅되어 유량조절편(110)과 플레이트(100) 사이의 개도가 좁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체통과홀(120)을 통과하는 유량이 줄어들게 되고, 결과적으로 유로(10a) 내에서 흐르는 유량보다 수도기기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는 유량이 적어질 수 있다.
또는, 유로(10a)를 흐르는 유체의 유량이 적어져서 유속이 낮아지면 유체가 유량조절편(110)을 가압하는 압력이 상대적으로 낮아지고, 이에 따라 유량조절편(110)은 상대적으로 작은 각도 만큼 유체가 흐르는 방향으로 틸팅되어 유량조절편(110)과 플레이트(100) 사이의 유체통과홀(120)이 상기의 경우보다는 넓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체통과홀(120)을 통과하는 유량이 많아지게 되고, 결과적으로는 수도기기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는 유량이 상대적으로 많아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원리로 수도기기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는 유량의 변동 폭이 좁아지게 되고, 이로써 절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유량조절편(110)의 면적이 유체통과홀(120)의 면적과 서로 대응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유량조절편(110)의 면적은 유체통과홀(120)의 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도 있다.
유압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복수 개의 유량조절편(110)이 플레이트(100)와 형성하는 기울기는 모두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유량조절편(110)은 플레이트(100)로부터 일부분이 절개되어 유체가 유입되는 측으로 절곡되어 플레이트(100)와 기울기를 형성함으로써 유체통과홀(120)을 형성할 수 있다. 즉, 플레이트(100)와 유량조절편(11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최소한의 구성요소로 절수 효과를 누릴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플레이트(100)와 유량조절편(110)이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플레이트(100)의 재질은 탄성력 및 복원력을 갖는 재질로서, 유량조절편(110)은 유체의 유압에 의해 가압되어 플레이트(100)와 이루는 기울기가 작아졌다가 유압이 제거되면 다시 플레이트(100)와의 기울기가 커져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또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유량조절편(110)은 별도의 부재로서 플레이트(100)에 결합될 수 있다.
유량조절편(110)은 용접에 의해 플레이트(100)에 접합될 수 있다. 유량조절편(110)이 별도의 부재로 구비되는 경우에도 유량조절편(110)은 플레이트(100)와 소정의 기울기를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유량조절편(110)은 유압에 의하여 가압되면 플레이트(100)와 가까워지는 측으로 틸팅되어 유체통과홀(120)의 개도가 좁아지고, 유량조절편(110)에 가해지는 유압이 제거되면 다시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그리고, 유량조절편(110)의 면적을 유체통과홀(120)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하여 유량조절편(110)이 유체통과홀(120) 주변의 플레이트(100)에 지지됨으로써 유량조절편(110)의 틸팅 각도가 제한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 개의 유량조절편(110)의 면적은 각각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유로(10a) 내를 유동하는 유체의 투영면적이 각각 다르기 때문에 각각의 유량조절편(110)은 서로 다른 각도만큼 틸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서로 다른 투영 면적을 가지는 복수 개의 유량조절편이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이 네 개의 유량조절편(110)을 포함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 개의 유량조절편(110)은 유량조절편(110)의 회전축이 서로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절개될 수 있으며, 네 개의 유량조절편(110)의 면적은 반시계방향으로 갈수록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면적이 가장 큰 유량조절편을 제 1 유량조절편(110a)이라 하고, 면적이 작아질수록 오름순으로 제 2 유량조절편(110b), 제 3 유량조절편(110c), 제 4 유량조절편(110d)이라 하기로 한다. 그리고, 제 1 유량조절편(110a)에 의해 형성되는 유체통과홀(120)을 제 1 유체통과홀(120a)(120), 나머지 유체통과홀(120)들도 오름순으로 부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투영 면적을 가지는 복수 개의 유량조절편이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에 유압이 작용할 때 각각의 유량조절편의 단면도이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이 동일한 경우 압력이 작용하는 투영면적이 커질수록 받는 힘이 커질 수 있다. 그리고, 플레이트와 이루는 기울기가 동일한 경우 유량조절편의 면적이 클수록 투영면적도 커질 수 있다.
따라서, 투영면적이 가장 큰 제 1 유량조절편(110a)이 받는 힘이 가장 크고, 이에 따라 제 1 유량조절편(110a)이 가장 큰 각도로 틸팅될 수 있다. 반대로, 투영면적이 가장 작은 제 4 유량조절편(110d)이 받는 힘이 가장 작으므로 제 4 유량조절편(110d)이 가장 작은 각도로 틸팅될 수 있다.
즉, 유압이 작용하였을 때 제 1 유량조절편(110a)과 플레이트(100)가 이루는 각도를
Figure 112014021777373-pat00001
, 제 2 유량조절편(110b)과 플레이트(100)가 이루는 각도를
Figure 112014021777373-pat00002
, 제 3 유량조절편(110c)과 플레이트(100)가 이루는 각도를
Figure 112014021777373-pat00003
, 제 4 유량조절편(110d)과 플레이트(100)가 이루는 각도를
Figure 112014021777373-pat00004
라 할 때,
Figure 112014021777373-pat00005
일 수 있다.
이로써, 제 1 유체통과홀(120a)의 개도가 가장 많이 줄어들어 제 1 유체통과홀(120a)을 통과하는 유량이 가장 많이 줄어들 수 있다. 그리고, 제 4 유체통과홀(120d)의 개도가 가장 적게 줄어들어 제 4 유체통과홀(120d)을 통과하는 유량은 큰 차이가 없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유량조절편(110)의 면적이 각각 다르게 형성되고, 유량조절편(110)의 면적에 따라 순차적으로 유체통과홀(120)의 개도가 좁아짐으로써 모든 유량조절편(110)이 동일한 힘을 받아 모든 유체통과홀(120)이 동시에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유로(10a) 내부를 유동하는 유체의 유량 또는 유속 변화에 의해 유체통과홀(120)의 개도가 단계적으로 조절됨으로써 외부로 토출되는 유량의 변화 폭을 감소시켜 절수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투영 면적을 가지는 복수 개의 유량조절편이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의 유체통과홀이 플레이트의 반지름 외측을 향하여 개구되도록 유량조절편이 절개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네 개의 유량조절편(110)은 서로 수직하는 방향을 향하여 오픈되도록 절개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량조절편(110)은 유체통과홀(120)이 플레이트(100)의 반지름 외측 방향을 향하여 개구되도록 절개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투영 면적을 가지는 복수 개의 유량조절편이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의 유체통과홀이 플레이트의 반지름 내측을 향하여 개구되도록 유량조절편이 절개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량조절편(110)은 유체통과홀(120)이 플레이트(100)의 반지름 내측 방향을 향하여 개구되도록 절개될 수도 있다.
이상, 도면에는 유량조절편(110)의 면적이 반시계 방향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유량조절편(110)의 면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제작 상의 편의 또는 본 실시예의 서로 다른 투영 면적을 가지는 복수 개의 유량조절편이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이 적용되는 유로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투영 면적을 가지는 복수 개의 유량조절편이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의 유체통과홀이 순차적으로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특히,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네 개의 유량조절편(110)이 사방으로 배치되되, 제 1 유량조절편(110a)과 제 2 유량조절편(110b)이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고, 나머지 위치에 제 3 유량조절편(110c)과 제 4 유량조절편(110d)이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예를 들면 좌, 우, 상, 하와 같이 십자 순으로 유량조절편(110)이 틸팅되므로 유압이 플레이트(100)의 일측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플레이트(100)의 일측에는 유체의 유동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하는 바이패스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유량조절편(110)의 탄성이 저하되어 플레이트(100)와 유량조절편(110)이 이루는 기울기가 작아지는 경우 유체통과홀(120)의 개도가 좁아져 외부로 배출되는 유체의 유량이 작아질 수 있다. 또는, 유량조절편(110)이 플레이트(100)와 수평이 되어 유체가 제대로 통과하지 못하는 경우 급수장치(10)의 고장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상시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바이패스 유로가 형성됨으로써 유체의 유동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플레이트(100)의 후방에는 유량조절편(110)의 틸팅 각도를 제한하는 스톱퍼가 구비될 수 있다. 유량조절편(110)에 갑작스럽게 매우 강한 압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유량조절편(110)이 플레이트(100)와 이루는 기울기 이상으로 틸팅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플레이트(100)의 후방에는 스톱퍼가 구비될 수 있다.
스톱퍼는 유체통과홀(120)과 대응되는 부분에 메쉬가 적용되어 유체는 통과하되 유량조절편(110)의 틸팅 각도는 제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유체통과홀(120)을 가로지르도록 구비되는 핀일 수도 있다.
스톱퍼는 상술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유체는 정상적으로 유동하되 유량조절편(110)의 틸팅 각도를 제한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떤 것이든 무방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서로 다른 투영 면적을 가지는 복수 개의 유량조절편이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은 유로(10a) 상에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가 구비되어 외부로 토출되는 유체의 유량의 변동 폭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서로 다른 투영 면적을 가지는 복수 개의 유량조절편이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은 유로(10a)에 바로 설치될 수도 있고, 유로(10a)에 서로 다른 투영 면적을 가지는 복수 개의 유량조절편이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을 설치하기 위한 어댑터가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투영 면적을 가지는 복수 개의 유량조절편이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투영 면적을 가지는 복수 개의 유량조절편이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투영 면적을 가지는 복수 개의 유량조절편이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플레이트(100) 및 복수 개의 유량조절편(11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서로 다른 투영 면적을 가지는 복수 개의 유량조절편이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의 플레이트(100)에는 4개 이상의 짝수 개의 유량조절편(110)이 구비되고, 서로 대향되는 유량조절편(110)의 면적은 서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체통과홀(120)이 네 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며, 제 1 유량조절편(110a)과 제 2 유량조절편(110b)의 면적이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어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며, 제 3 유량조절편(110c)과 제 4 유량조절편(110d)의 면적이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어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서로 대향되는 유량조절편(110)에 작용하는 유압이 동일하여 닫히는 속도가 동일하기 때문에 플레이트(100)의 양 측에 작용하는 유압이 동일하여 플레이트(100)의 일측에 유량 및 유압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플레이트(100)의 변형,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투영 면적을 가지는 복수 개의 유량조절편이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투영 면적을 가지는 복수 개의 유량조절편이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플레이트(100) 및 복수 개의 유량조절편(11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서로 다른 투영 면적을 가지는 복수 개의 유량조절편이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의 유량조절편(110)이 네 개 였다면, 본 실시예의 유량 조절 유닛의 유량조절편(110)은 다섯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관로손실 등에 의하여 유속 및 유량이 유로(10a)의 중앙부에 집중되므로, 중앙부에 하나의 유량조절편(110)이 배치되고, 중앙부에 배치되는 유량조절편(110)의 사방으로 나머지 네 개의 유량조절편(110)이 배치될 수 있다.
중앙부에 유량조절편(110)이 배치됨으로써 유속 및 유량이 집중되는 중앙부의 압력이 낮아지고, 이에 따라 플레이트(100)의 변형 및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량조절편(110)이 다섯 개 형성되므로 면적이 큰 순서대로 오름순으로 제 1 유량조절편(110a), 제 2 유량조절편(110b), 제 3 유량조절편(110c), 제 4 유량조절편(110d) 및 제 5 유량조절편(110e)이라 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투영 면적을 가지는 복수 개의 유량조절편이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의 유량조절편 중 면적이 가장 작은 유량조절편이 중앙부에 위치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에 면적이 가장 작은 제 5 유량조절편(110e)이 위치하고 나머지 네 개의 유량조절편이 이의 사방에 위치하되, 제 1 유량조절편(110a)의 대향되는 위치에 제 2 유량조절편(110b)이 배치되고, 제 3 유량조절편(110c)과 제 4 유량조절편(110d)이 나머지 위치에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투영 면적을 가지는 복수 개의 유량조절편이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의 유량조절편 중 면적이 가장 큰 유량조절편이 중앙부에 위치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에 면적이 가장 큰 제 1 유량조절편(110a)이 배치되고, 나머지 네 개의 유량조절편이 이의 사방에 위치하되, 제 2 유량조절편(110b)의 대향되는 위치에 제 3 유량조절편(110c)이 배치되고, 제 4 유량조절편(110d)과 제 5 유량조절편(110e)이 나머지 위치에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급수장치 10a: 유로
100: 플레이트 110: 유량조절편
110a: 제 1 유량조절편 110b: 제 2 유량조절편
110c: 제 3 유량조절편 110d: 제 4 유량조절편
110e: 제 5 유량조절편 120: 유체통과홀
120a: 제 1 유체통과홀 120b: 제 2 유체통과홀
120c: 제 3 유체통과홀 120d: 제 4 유체통과홀

Claims (10)

  1. 유로 상에 유체의 유동 방향과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유체가 통과하며 크기가 서로 다른 복수 개의 유체통과홀이 형성되는 플레이트;
    상기 유체통과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유체가 유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플레이트와 기울기를 형성하여 상기 플레이트에 대하여 틸팅 가능하게 구비되고, 적어도 두 개는 유압이 작용하는 투영면적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며, 상기 유체의 유압에 의해 가압되어 틸팅됨으로써 상기 유체통과홀의 개도를 조절하는 복수 개의 유량조절편;을 포함하고,
    상기 유량조절편이 완전히 닫힌 경우 상기 유량조절편이 상기 유체통과홀을 완전히 덮을 수 있도록 구비되며,
    복수 개의 상기 유체통과홀은 상기 유량조절편의 투영 면적에 따라 투영 면적이 가장 넓은 상기 유량조절편 부터 순차적으로 개도가 좁아지는 서로 다른 투영 면적을 가지는 복수 개의 유량조절편이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편은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일부분이 절개되어 유체가 유입되는 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플레이트와 기울기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유체통과홀을 형성하는 서로 다른 투영 면적을 가지는 복수 개의 유량조절편이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서로 대향되는 유량조절편은 동일한 면적을를 가지는 서로 다른 투영 면적을 가지는 복수 개의 유량조절편이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유체통과홀 및 상기 유량조절편 중 하나는 상기 플레이트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서로 다른 투영 면적을 가지는 복수 개의 유량조절편이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일측에는 상기 유체의 유동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하는 바이패스 유로가 형성되는 서로 다른 투영 면적을 가지는 복수 개의 유량조절편이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후면에는 상기 유량조절편의 틸팅 각도를 제한하는 스톱퍼가 구비되는 서로 다른 투영 면적을 가지는 복수 개의 유량조절편이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
  9. 제 1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유량조절편과 상기 플레이트는 모두 동일한 기울기를 형성하는 서로 다른 투영 면적을 가지는 복수 개의 유량조절편이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편은,
    상기 유압이 제거되면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탄성력 및 복원력을 가지는 서로 다른 투영 면적을 가지는 복수 개의 유량조절편이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
KR1020140026201A 2014-03-05 2014-03-05 투영면적이 서로 다른 복수 개의 유량조절편이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 KR1015376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201A KR101537645B1 (ko) 2014-03-05 2014-03-05 투영면적이 서로 다른 복수 개의 유량조절편이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
CN201580011964.9A CN106104123A (zh) 2014-03-05 2015-03-05 设置在流路上的流量调节单元
BR112016020499-9A BR112016020499A2 (ko) 2014-03-05 2015-03-05 Euro award provided that a flow control unit
PCT/KR2015/002120 WO2015133833A1 (ko) 2014-03-05 2015-03-05 유로 상에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
US15/123,092 US10444768B2 (en) 2014-03-05 2015-03-05 Flow-controlling unit provided in flow channel
EP15757700.8A EP3115661A4 (en) 2014-03-05 2015-03-05 Flow-controlling unit provided in flow chan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201A KR101537645B1 (ko) 2014-03-05 2014-03-05 투영면적이 서로 다른 복수 개의 유량조절편이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7645B1 true KR101537645B1 (ko) 2015-07-24

Family

ID=53876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6201A KR101537645B1 (ko) 2014-03-05 2014-03-05 투영면적이 서로 다른 복수 개의 유량조절편이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764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6026B2 (ja) * 1990-12-18 2000-03-27 能美防災株式会社 定流量弁
JP3048192B2 (ja) * 1992-04-13 2000-06-05 剛三 木村 流量調節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6026B2 (ja) * 1990-12-18 2000-03-27 能美防災株式会社 定流量弁
JP3048192B2 (ja) * 1992-04-13 2000-06-05 剛三 木村 流量調節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4768B2 (en) Flow-controlling unit provided in flow channel
US7152628B2 (en) Anti-cavitation valve assembly
US8245727B2 (en) Flow control valve and method of use
US6688319B2 (en) Flow regulating control valve and method for regulating fluid flow
US8763644B2 (en) Flow stabilizer
JP4824782B2 (ja) ロッカ型ダイヤフラム弁
KR101347565B1 (ko) 체크 밸브를 갖는 자동 온도 조절 장치의 팽창 밸브
CN207421354U (zh) 用于增强流体调节器的稳定性的稳定器筒及流体调节器
BRPI0414705B1 (pt) válvula de controle e dispositivo de medição e controle de fluxo
US10001785B2 (en) Fluid regulator having a biased pressure sense tube
KR101092527B1 (ko) 공동현상 및 맥동현상 방지용 감압 컨트롤밸브
US20120103440A1 (en) Flow directing apparatus for use with fluid regulators
US6250330B1 (en) Diaphragm regulator with removable diffuser
US10520957B2 (en) Pressure regulating device having a variable travel stop
KR20150024789A (ko) 감압 밸브
US20150240969A1 (en) Fluid regulator with balancing system
KR101537645B1 (ko) 투영면적이 서로 다른 복수 개의 유량조절편이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
JP5986093B2 (ja) 一体形成型ブースト低減機能を有する弁箱
KR101481420B1 (ko)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가지는 복수 개의 유량조절편이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
JP2022540255A (ja) 逆止弁
KR101481423B1 (ko) 틸팅 각도 제한 부재가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
KR101447013B1 (ko) 닫힘방지부가 구비되는 유량 조절 유닛
KR20120088932A (ko) 역류방지 밸브
ES2961894T3 (es) Regulador de flujo de fluido
US20170102077A1 (en) Variable area flow restri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330

Effective date: 201506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