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6778B1 - 동영상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동영상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6778B1
KR101446778B1 KR1020080061718A KR20080061718A KR101446778B1 KR 101446778 B1 KR101446778 B1 KR 101446778B1 KR 1020080061718 A KR1020080061718 A KR 1020080061718A KR 20080061718 A KR20080061718 A KR 20080061718A KR 101446778 B1 KR101446778 B1 KR 1014467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image
motion vector
image data
stabilization
mo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1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1702A (ko
Inventor
권오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1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6778B1/ko
Publication of KR20100001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17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6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6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06T7/269Analysis of motion using gradient-based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영상 촬영 시 발생할 수 있는 흔들림에 의한 불안정한 동영상을 효율적으로 안정화시키는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를 위하여, 이미지 데이터 획득부와, 모션벡터 계산부와, 동영상 안정화 가능성 판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 획득부가 제1프레임이미지 데이터와 제2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한 후, 상기 모션벡터 계산부는 상기 제2프레임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제2프레임이미지를 사전설정된 크기와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제1프레임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제1프레임이미지와 이동된 제2프레임이미지를 비교하여 모션벡터를 계산하며, 상기 동영상 안정화 가능성 판단부는 상기 모션벡터 계산부에서의 계산 결과에 따라 동영상 안정화 가능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동영상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Moving picture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to implement the method}
본 발명은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동영상 촬영 시 발생할 수 있는 흔들림에 의한 불안정한 동영상을 효율적으로 안정화시키는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동영상 촬영장치는 각종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것으로서, 최근 휴대용 동영상 촬영장치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여 이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휴대용 동영상 촬영장치의 경우 사용자가 동영상 촬영장치를 손으로 들고 동영상을 촬영하는 것이 일반적인 바, 동영상 촬영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동영상 촬영장치의 흔들림에 의한 이미지의 불안정성을 해소하기 위한 연구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동영상 촬영장치로 촬영할 시 발생할 수 있는 이미지 흔들림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략도들이다.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피사체의 위치가 변화가 없는 상황에서 동영상을 촬영하더라도, 동영상 촬영장치가 흔들림에 따라 이미지 내에서의 피사체의 위치는 달라지게 된다. 도 1 및 도 2에서는 동영상 촬영장치가 상하로 흔들려 이미지 내에서의 피사체의 위치가 상하로 달라진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동영상 촬영장치를 손으로 들고 동영상을 촬영할 시 동영상 촬영장치가 흔들리기 때문에, 종래의 동영상 촬영장치의 경우 촬영된 결과물인 동영상을 재생할 시 이미지 내에서 피사체의 위치가 계속해서 달라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재생 시 이미지 내에서 피사체의 위치가 계속해서 달라지는 것은 결과적으로 이미지 내에서 피사체가 흔들리는 것으로 나타나게 되며, 이는 시청자의 어지러움증 또는 나아가 구토증을 유발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동영상 촬영 시 발생할 수 있는 흔들림에 의한 불안정한 동영상을 효율적으로 안정화시키는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미지 데이터 획득부와, 모션벡터 계산부와, 동영상 안정화 가능성 판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 획득부가 제1프레임이미지 데이터와 제2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한 후, 상기 모션벡터 계산부는 상기 제2프레임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제2프레임이미지를 사전설정된 크기와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제1프레임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제1프레임이미지와 이동된 제2프레임이미지를 비교하여 모션벡터를 계산하며, 상기 동영상 안정화 가능성 판단부는 상기 모션벡터 계산부에서의 계산 결과에 따라 동영상 안정화 가능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모션벡터 계산부가 모션벡터를 계산할 수 없는 경우, 상기 동영상 안정화 가능성 판단부는 동영상 안정화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모션벡터 계산부가 계산한 모션벡터의 크기가 0인 경우, 상기 동영상 안정화 가능성 판단부는 동영상 안정화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모션벡터 계산부가 계산한 모션벡터를 고려하여 상기 제1프레임이미지 데이터와 상기 제2프레임이미지 데이터 사이의 관계에서 동영상 안정화를 실시하는 동영상 안정화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동영상 안정화부는, 상기 모션벡터 계산부가 계산한 모션벡터의 크기와 방향이 상기 사전설정된 크기와 방향과 같을 경우, 상기 제1프레임이미지 데이터와 상기 제2프레임이미지 데이터 사이의 관계에서 동영상 안정화를 실시하지 않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모션벡터 계산부가 계산한 모션벡터를 고려하여 상기 제1프레임이미지 데이터와 상기 제2프레임이미지 데이터 사이의 관계에서 동영상 안정화를 실시하는 동영상 안정화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동영상 안정화부는, 상기 모션벡터 계산부가 계산한 모션벡터의 크기 또는 방향이 상기 사전설정된 크기 또는 방향과 다를 경우, 상기 모션벡터 계산부가 계산한 모션벡터의 크기 및 방향에서 상기 사전설정된 크기 및 방향을 고려하여 상기 제1프레임이미지 데이터와 상기 제2프레임이미지 데이터 사이의 관계에서 동영상 안정화를 실시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a) 제1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와, (b) 상기 (a) 단계 이후, 제2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와, (c) 상기 제2프레임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제2프레임이미지를 사전설정된 크기와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제1프레임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제1프레임이미지와 이동된 제2프레임이미지 를 비교하여 모션벡터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d) 상기 (c) 단계에서의 결과에 따라 동영상 안정화 가능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d) 상기 (c) 단계에서 모션벡터를 계산할 수 없는 경우, 동영상 안정화 가능성이 낮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d) 상기 (c) 단계에서 모션벡터의 크기가 0인 것으로 계산될 경우, 동영상 안정화 가능성이 낮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d) 상기 (c) 단계에서 계산된 모션벡터의 크기와 방향이 상기 사전설정된 크기와 방향과 같을 경우, 상기 제1프레임이미지 데이터와 상기 제2프레임이미지 데이터 사이의 관계에서는 동영상 안정화를 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d) 상기 (c) 단계에서 계산된 모션벡터의 크기 또는 방향이 상기 사전설정된 크기 또는 방향과 다를 경우, 상기 (c) 단계에서 계산된 모션벡터의 크기 및 방향에서 상기 사전설정된 크기 및 방향을 고려하여, 상기 제1프레임이미지 데이터와 상기 제2프레임이미지 데이터 사이의 관계에서 동영상 안정화를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와 같은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에 따르면, 동영상 촬영 시 발생할 수 있는 흔들림에 의한 불안정한 동영상을 효율적으로 안정화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촬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3의 동영상 촬영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물론 도 3의 동영상 촬영장치는 동영상뿐만 아니라 스틸 이미지를 획득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의미하는 동영상 촬영장치라 함은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동영상만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동영상 촬영장치의 전체 동작은 CPU(100)에 의해 통괄된다. 그리고 동영상 촬영장치에는 사용자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키 등을 포함하는 조작부(200)가 구비된다. 이 조작부(200)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는 CPU(100)에 전달되어, CPU(100)가 전기적 신호에 따라 동영상 촬영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촬영 모드일 경우, 사용자로부터의 전기적 신호가 CPU(100)에 인가됨에 따라 CPU(100)는 그 신호를 파악하여 렌즈 구동부(11), 조리개 구동부(21) 및 촬상소자 제어부(31)를 제어하며, 이에 따라 각각 렌즈(10)의 위치, 조리개(20)의 개방 정도 및 촬상소자(30)의 감도 등이 제어된다. 촬상소자(30)는 입력된 광으로부터 동영상에 관한 데이터를 생성하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40)는 촬상소자(3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다. 물론 촬상소자(30)의 특성에 따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40)가 필요 없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동영상 촬영장치의 구성요소들은 이미지 데이터 획득부라고 총칭될 수 있는 바, 물론 이미지 데이터 획득부는 반드시 이러한 구성요소들을 모두 구비할 필요는 없으며 입사하는 광으로부터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구성요소라면 이미지 데이터 획득부에 구성요소가 될 수 있다.
촬상소자(30)로부터의 데이터는 메모리(60)를 거쳐 디지털 신호 처리부(50)에 입력될 수도 있고, 메모리(60)를 거치지 않고 디지털 신호 처리부(50)에 입력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CPU(100)에도 입력될 수도 있다. 여기서 메모리(60)는 ROM 또는 RAM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는 필요에 따라 감마(gamma) 보정, 화이트 밸런스 조정 등의 디지털 신호 처리를 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는 모션벡터 계산부(52) 및 동영상 안정화 가능선 판단부(54)를 구비함으로써, 동영상 촬영 시 발생하는 동영상 촬영장치의 흔들림에 의한 동영상 불안정성을 줄이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물론 모션벡터 계산부(52) 및 동영상 안정화 가능선 판단부(54)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50)의 일부 가 아닌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도 있으며, 나아가 다른 구성요소의 일부일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모션벡터 계산부(52) 및 동영상 안정화 가능선 판단부(54)의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로부터 출력된 동영상 데이터는 메모리(60)를 통하여 또는 직접 디스플레이 제어부(81)에 전달된다. 디스플레이 제어부(81)는 디스플레이부(80)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부(80)에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로부터 출력된 동영상 데이터는 메모리(60)를 통하여 또는 직접 저장/판독 제어부(71)에 입력되는데, 이 저장/판독 제어부(71)는 사용자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또는 자동으로 동영상 데이터를 저장매체(70)에 저장한다. 물론 저장/판독 제어부(71)는 저장매체(70)에 저장된 동영상 파일로부터 동영상에 관한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를 메모리(60)를 통해 또는 다른 경로를 통해 디스플레이 제어부(81)에 입력하여 디스플레이부(80)에 동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저장매체(70)는 착탈가능한 것일 수도 있고 동영상 촬영장치에 영구장착된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를 이용하여 동영상을 촬영할 경우, 복수개의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들을 획득한다. 동영상은 복수개의 프레임이미지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동영상을 안정화시킨다고 함은, 어떤 일 프레임이미지를 기준으로 하여 다른 프레임이미지의 위치를 수정함으로써, 동영상 촬영장치가 흔들렸음에도 불구하고 프레임이미지들 내에서의 피사체의 위치를 일정하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에 따르면 이미지 데이터 획득부가 제1프레임이미지 데이터와 제2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한다. 모션벡터 계산부(52)는 제2프레임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제2프레임이미지를 사전설정된 크기와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제1프레임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제1프레임이미지와 이동된 제2프레임이미지를 비교하여 모션벡터를 계산하며, 동영상 안정화 가능성 판단부(54)는 모션벡터 계산부(52)에서의 계산 결과에 따라 동영상 안정화 가능여부를 판단한다. 그 후, 제2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제1프레임이미지 데이터로 간주하고, 제2프레임이미지 데이터 이후에 획득한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새로운 제2프레임이미지 데이터로 간주하여, 상기와 같은 비교를 반복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a 내지 도 5d는 동영상 촬영장치의 흔들림이 없는 경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들이다. 동영상 촬영장치의 흔들림이 없는 경우 도 5a에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과 같은 제1프레임이미지(Im1)와 도 5b에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과 같은 제2프레임이미지(Im2)는 동일한 프레임이미지들이 될 것이다. 제1프레임이미지(Im1)와 제2프레임이미지(Im2) 각각에 표시된 점(P1, P2)은 제1프레임이미지와 제2프레임이미지 사이의 위치관계 파악을 위해 임의로 표시한 것이다.
모션벡터 계산부(52)는 제2프레임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제2프레임이미지(Im2, 도 5b 참조)를 도 5c에 도시한 것과 같이 사전설정된 크기와 방향(벡터
Figure 112008046546096-pat00001
로 표시)으로 이동시킨다. 도 5c에서 점선은 도 5b에 도시된 제2프레임 이미 지(Im2)에서의 피사체의 위치를 나타내며, 실선은 수정된(이동된) 제2프레임이미지(Im2') 내에서의 피사체의 위치를 나타낸다. 도 5b에서의 점(P2)은 도 5c에서 점(P2')으로 표시될 수 있다. 그 후, 모션벡터 계산부(52)는 제1프레임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제1프레임이미지(Im1, 도 5a 참조)와 이동된 제2프레임이미지(Im2', 도 5c 참조)를 비교하여 모션벡터를 계산한다. 계산된 모션벡터는 도 5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점(P1)과 점(P2') 사이의 벡터
Figure 112008046546096-pat00002
으로 나타낼 수 있다.
동영상 안정화 가능성 판단부(54)는 모션벡터 계산부(52)에서의 계산 결과에 따라 동영상 안정화 가능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도 5a 내지 도 5d에 도시된 것과 같은 경우, 모션벡터 계산부(52)가 계산한 모션벡터(
Figure 112008046546096-pat00003
)의 크기와 방향은 상기 사전설정된 크기와 방향(결국 상기 벡터
Figure 112008046546096-pat00004
)과 같다. 이는 제1프레임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제1프레임이미지(Im1)와 제2프레임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제2프레임이미지(Im2)를 비교하였을 시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가 흔들리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경우 동영상 안정화 가능성 판단부(54)는 동영상 안정화가 가능하다고 판단하되,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가 흔들리지 않은 경우이므로 제1프레임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제1프레임이미지(Im1)와 제2프레임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제2프레임이미지(Im2) 사이의 관계에서 동영상 안정화를 별도로 실시하지 않는다. 물론 모션벡터 계산부(52)가 계산한 모션벡터(
Figure 112008046546096-pat00005
)의 크기와 방향이 상기 사전설정된 크기와 방향(결국 상기 벡터
Figure 112008046546096-pat00006
)과 완전히 같이 않지만 대략 비슷한 경우도 제1 프레임이미지(Im1)와 제2프레임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제2프레임이미지(Im2)를 비교하였을 시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가 거의 흔들리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동영상 안정화 가능성 판단부(54)는 동영상 안정화가 가능하다고 판단하되,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가 거의 흔들리지 않은 경우이므로 제1프레임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제1프레임이미지(Im1)와 제2프레임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제2프레임이미지(Im2) 사이의 관계에서 동영상 안정화를 별도로 실시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실시예들 및 그 변형예들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동영상 촬영장치의 흔들림이 있는 경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들이다. 동영상 촬영장치의 흔들림이 있는 경우 도 6a에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과 같은 제1프레임이미지(Im1)와 도 6b에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과 같은 제2프레임이미지(Im2)는 상이한 프레임이미지들이 될 것이다. 제1프레임이미지(Im1)와 제2프레임이미지(Im2) 각각에 표시된 점(P1, P2)은 제1프레임이미지와 제2프레임이미지 사이의 위치관계 파악을 위해 임의로 표시한 것이다.
모션벡터 계산부(52)는 제2프레임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제2프레임이미지(Im2, 도 6b 참조)를 도 6c에 도시한 것과 같이 사전설정된 크기와 방향(벡터
Figure 112008046546096-pat00007
로 표시)으로 이동시킨다. 도 6c에서 점선은 도 6b에 도시된 제2프레임 이미지(Im2)에서의 피사체의 위치를 나타내며, 실선은 수정된(이동된) 제2프레임이미지(Im2') 내에서의 피사체의 위치를 나타낸다. 도 6b에서의 점(P2)은 도 6c에서 점(P2')으로 표시될 수 있다. 그 후, 모션벡터 계산부(52)는 제1프레임이미지 데이 터로부터의 제1프레임이미지(Im1, 도 6a 참조)와 이동된 제2프레임이미지(Im2', 도 6c 참조)를 비교하여 모션벡터를 계산한다. 계산된 모션벡터는 도 6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점(P1)과 점(P2') 사이의 벡터
Figure 112008046546096-pat00008
으로 나타낼 수 있다.
동영상 안정화 가능성 판단부(54)는 모션벡터 계산부(52)에서의 계산 결과에 따라 동영상 안정화 가능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도 6a 내지 도 6d에 도시된 것과 같은 경우, 모션벡터 계산부(52)가 계산한 모션벡터(
Figure 112008046546096-pat00009
)의 크기와 방향은 상기 사전설정된 크기와 방향(결국 상기 벡터
Figure 112008046546096-pat00010
)과 상이하다. 모션벡터 계산부(52)가 계산한 모션벡터(
Figure 112008046546096-pat00011
)의 크기와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사전설정된 크기 또는 방향과 상이할 경우, 이는 촬영 중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가 흔들렸음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모션벡터 계산부(52)가 계산한 모션벡터(
Figure 112008046546096-pat00012
)에서 상기 사전설정된 벡터(
Figure 112008046546096-pat00013
)를 뺀 벡터의 크기만큼 모션벡터(
Figure 112008046546096-pat00014
)에서 상기 사전설정된 벡터(
Figure 112008046546096-pat00015
)를 뺀 벡터의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제2프레임이미지를 이동시킬 경우 제2프레임이미지와 제1프레임이미지에서의 피사체의 위치를 정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동영상 안정화 가능성 판단부(54)는 이와 같은 상황에서 동영상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고 판단한다. 따라서 동영상 안정화부(미도시)는 모션벡터 계산부(52)가 계산한 모션벡터(
Figure 112008046546096-pat00016
)를 고려하여 제1프레임이미지 데이터와 제2프레임이미지 데이터 사이의 관계에서 동영상 안정화를 실시하는데, 구체적으로 모션벡터 계산부(52)가 계산한 모션벡터(
Figure 112008046546096-pat00017
)의 크기 및 방향에서 상기 사전설정된 크기 및 방향(결국 벡터
Figure 112008046546096-pat00018
)을 고려하여 제1프레임이미지 데이터와 제2프레임이미지 데이터 사이의 관계에서 동영상 안정화를 실시한다.
한편, 도 5a 내지 도 5d 및 도 6a 내지 도 6d에 도시된 경우는 모션벡터 계산부(52)가 모션벡터를 계산할 수 있는 경우를 전제로 한 것이다. 만일 모션벡터 계산부(52)가 모션벡터를 계산할 수 없는 경우라면, 동영상 안정화 가능성 판단부(54)는 동영상 안정화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판단하여, 동영상 촬영장치는 동영상 안정화를 실시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모션벡터 계산부(52)가 모션벡터를 계산하는 것은 예컨대 프레임이미지 내의 특이점을 파악하고 이 특이점의 위치가 프레임이미지들에서 변하는 것을 파악할 수도 있는 바, 만일 흰색 벽과 같은 특별한 문양이 없는 피사체를 대상으로 동영상을 촬영할 경우 특이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모션벡터를 계산할 수 없을 수도 있다. 물론 특이점을 통해 모션벡터를 계산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방식을 통해 모션벡터를 계산한다고 하더라도 흰색 벽과 같은 특별한 문양이 없는 피사체를 대상으로 동영상을 촬영할 경우 모션벡터를 정확하게 계산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에는 동영상 안정화 가능성 판단부(54)가 동영상 안정화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판단하여, 동영상 촬영장치는 동영상 안정화를 실시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도 5a 내지 5d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동영상 촬영장치가 흔들리지 않았다면 제1프레임이미지(Im1)와 제2프레임이미지(Im2)는 동일하게 되며, 이에 따라 모션벡터 계산부(52)가 제2프레임이미지(Im2)를 도 5c에 도시한 것과 같이 사전설정된 크기와 방향(벡터
Figure 112008046546096-pat00019
로 표시)으로 이동시킨 후 제1프레임이미지(Im1, 도 5a 참조)와 이동된 제2프레임이미지(Im2', 도 5c 참조)를 비교하여 모션벡터를 계산하면, 계산된 모션벡터
Figure 112008046546096-pat00020
은 상기 사전설정된 벡터
Figure 112008046546096-pat00021
과 동일하게 된다. 그러나 만일 흰색 벽과 같은 특별한 문양이 없는 피사체를 대상으로 동영상을 촬영할 경우 모션벡터 계산부(52)는 제1프레임이미지와 이동된 제2프레임이미지가 동일한 이미지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따라서 모션벡터의 크기가 0인 것으로 계산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모션벡터 계산부(52)가 모션벡터의 크기가 0인 것으로 계산한다면, 이는 제1프레임이미지와 제2프레임이미지 사이의 정확한 위치관계를 파악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이와 같은 상황에서 동영상 안정화를 실시하면 오히려 동영상이 더욱 불안정하게 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 동영상 안정화 가능성 판단부(54)는 동영상 안정화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판단한다.
이와 같은 동영상 촬영장치는 동영상 안정화 가능성이 낮을 것으로 판단할 경우, 이와 같은 사실을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거나 별도로 마련된 램프 등에 붉을 밝히는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해 사용자에게 동영상 안정화 가능성이 낮음을 알려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동영상 안정화를 실시하지 않도록 동영상 촬영장치의 세팅을 재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촬영 중 동영상 촬영장치가 흔들리지 않도록 사용자가 더욱 유의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촬영장치 제어방법의 동영 상 안정화 프로세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먼저 제1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10)를 거치고, 그 후 다음 프레임이미지 데이터인 제2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20)를 거친다. 그 후 제2프레임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제2프레임이미지를 사전설정된 크기와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제1프레임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제1프레임이미지와 이동된 제2프레임이미지를 비교하여 모션벡터를 계산한다. 이 계산결과를 통해 동영상 안정화 가능성이 높은지 여부를 판단하여 동영상 안정화를 실시할 것인가 실시하지 않을 것인가 등의 다양한 후속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S40 단계에서의 결과에 따라 동영상 안정화 가능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사용자가 현 상황에 가장 적합한 촬영 세팅을 하고 촬영에 임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S30 단계에서 모션벡터를 계산할 수 없는 경우 동영상 안정화 가능성이 낮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단계를 거칠 수도 있으며, 구체적으로 S30 단계에서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이유로 모션벡터의 크기가 0인 것으로 계산될 경우 동영상 안정화 가능성이 낮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단계를 거칠 수도 있다. 물론 제1프레임이미지 데이터와 제2프레임이미지 데이터사이에서의 안정화에 관하여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친 후, 제2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제1프레임이미지 데이터로 간주하고 기존 제2프레임이미지 데이터 이후에 획득한 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새로운 제2프레임이미지 데이터로 간주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처리를 반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S30 단계에서 계산된 모션벡터의 크기와 방향이 상기 사전설정된 크기와 방향과 같을 경우, 제1프레임이 미지 데이터와 상기 제2프레임이미지 데이터 사이의 관계에서는 동영상 안정화를 하지 않을 수도 있다. 물론 도 6a 내지 도 6d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S30 단계에서 계산된 모션벡터의 크기 또는 방향이 상기 사전설정된 크기 또는 방향과 다를 경우, S30 단계에서 계산된 모션벡터의 크기 및 방향에서 상기 사전설정된 크기 및 방향을 고려하여, 제1프레임이미지 데이터와 제2프레임이미지 데이터 사이의 관계에서 동영상 안정화를 실시하는 단계를 거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언급된 본 실시예들 및 그 변형예들에 따른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은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라 함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저장매체(80)일 수도 있고,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메모리(60)일 수도 있으며, 이와 다른 별도의 기록매체일 수도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컨대, 롬(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동영상 촬영장치로 촬영할 시 발생할 수 있는 이미지 흔들림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략도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촬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동영상 촬영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동영상 촬영장치의 흔들림이 없는 경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들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동영상 촬영장치의 흔들림이 있는 경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촬영장치 제어방법의 동영상 안정화 프로세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렌즈 11: 렌즈 구동부
20: 조리개 21: 조리개 구동부
30: 촬상소자 31: 촬상소자 제어부
40: A/D 변환부 50: 디지털 신호 처리부
60: 메모리 71: 저장/판독 제어부
70: 저장매체 81: 디스플레이 제어부
80: 디스플레이부 100: CPU
200: 조작부

Claims (12)

  1. 이미지 데이터 획득부;
    모션벡터 계산부; 및
    동영상 안정화 가능성 판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 획득부가 제1프레임이미지 데이터와 제2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한 후, 상기 모션벡터 계산부는 상기 제2프레임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제2프레임이미지를 사전설정된 크기와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제1프레임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제1프레임이미지와 이동된 제2프레임이미지를 비교하여 모션벡터를 계산하며,
    상기 동영상 안정화 가능성 판단부는 상기 모션벡터 계산부에서의 계산 결과에 따라 동영상 안정화 가능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벡터 계산부가 모션벡터를 계산할 수 없는 경우, 상기 동영상 안정화 가능성 판단부는 동영상 안정화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벡터 계산부가 계산한 모션벡터의 크기가 0인 경우, 상기 동영상 안정화 가능성 판단부는 동영상 안정화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벡터 계산부가 계산한 모션벡터를 고려하여 상기 제1프레임이미지 데이터와 상기 제2프레임이미지 데이터 사이의 관계에서 동영상 안정화를 실시하는 동영상 안정화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동영상 안정화부는, 상기 모션벡터 계산부가 계산한 모션벡터의 크기와 방향이 상기 사전설정된 크기와 방향과 같을 경우, 상기 제1프레임이미지 데이터와 상기 제2프레임이미지 데이터 사이의 관계에서 동영상 안정화를 실시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벡터 계산부가 계산한 모션벡터를 고려하여 상기 제1프레임이미지 데이터와 상기 제2프레임이미지 데이터 사이의 관계에서 동영상 안정화를 실시하는 동영상 안정화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동영상 안정화부는, 상기 모션벡터 계산부가 계산한 모션벡터의 크기 또는 방향이 상기 사전설정된 크기 또는 방향과 다를 경우, 상기 모션벡터 계산부가 계산한 모션벡터의 크기 및 방향에서 상기 사전설정된 크기 및 방향을 고려하여 상기 제1프레임이미지 데이터와 상기 제2프레임이미지 데이터 사이의 관계에서 동영상 안정화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
  6. (a) 제1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 이후, 제2프레임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2프레임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제2프레임이미지를 사전설정된 크기와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제1프레임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제1프레임이미지와 이동된 제2프레임이미지를 비교하여 모션벡터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d) 상기 (c) 단계에서의 결과에 따라 동영상 안정화 가능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 제어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d) 상기 (c) 단계에서 모션벡터를 계산할 수 없는 경우, 동영상 안정화 가능성이 낮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 제어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d) 상기 (c) 단계에서 모션벡터의 크기가 0인 것으로 계산될 경우, 동영상 안정화 가능성이 낮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 제어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d) 상기 (c) 단계에서 계산된 모션벡터의 크기와 방향이 상기 사전설정된 크기와 방향과 같을 경우, 상기 제1프레임이미지 데이터와 상기 제2프레임이미지 데이터 사이의 관계에서는 동영상 안정화를 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 제어방법.
  11. 제6항에 있어서,
    (d) 상기 (c) 단계에서 계산된 모션벡터의 크기 또는 방향이 상기 사전설정된 크기 또는 방향과 다를 경우, 상기 (c) 단계에서 계산된 모션벡터의 크기 및 방향에서 상기 사전설정된 크기 및 방향을 고려하여, 상기 제1프레임이미지 데이터와 상기 제2프레임이미지 데이터 사이의 관계에서 동영상 안정화를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 제어방법.
  12. 제6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KR1020080061718A 2008-06-27 2008-06-27 동영상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KR101446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1718A KR101446778B1 (ko) 2008-06-27 2008-06-27 동영상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1718A KR101446778B1 (ko) 2008-06-27 2008-06-27 동영상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702A KR20100001702A (ko) 2010-01-06
KR101446778B1 true KR101446778B1 (ko) 2014-10-01

Family

ID=41811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1718A KR101446778B1 (ko) 2008-06-27 2008-06-27 동영상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677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2584A (ja) * 1997-05-20 1998-12-04 Canon Inc 振れ補正方法、レンズ装置、撮像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20040060462A (ko) * 2002-12-30 2004-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움직임벡터를 이용한 카메라 흔들림 보정 장치
KR20040083822A (ko) * 2003-03-25 2004-10-06 (주)시스포 카메라의 움직임 검출 장치 및 방법
KR20050039950A (ko) * 2003-10-27 2005-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각속도 및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여 손떨림을 보정하는촬영장치 및 그의 손떨림 보정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2584A (ja) * 1997-05-20 1998-12-04 Canon Inc 振れ補正方法、レンズ装置、撮像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20040060462A (ko) * 2002-12-30 2004-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움직임벡터를 이용한 카메라 흔들림 보정 장치
KR20040083822A (ko) * 2003-03-25 2004-10-06 (주)시스포 카메라의 움직임 검출 장치 및 방법
KR20050039950A (ko) * 2003-10-27 2005-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각속도 및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여 손떨림을 보정하는촬영장치 및 그의 손떨림 보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702A (ko) 2010-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48662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associated methodology for determining a main subject in an image
JP5205337B2 (ja) ターゲット追跡装置および画像追跡装置ならびにそれらの動作制御方法ならびにディジタル・カメラ
JP4400611B2 (ja) 撮像装置、ブレ補正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987590B1 (ko) 손떨림 보정 제어 회로 및 그것을 탑재한 촬상 장치
US1065967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cking a moving subject image based on reliability of the tracking state
US20090148146A1 (en) Focus adjusting apparatus, camera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adjusting focus of optical system
US9906708B2 (en) Imaging apparatus, imaging method,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storing imaging program for controlling an auto-focus scan drive
US8872929B2 (en) Picture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control method
JP2016201662A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20090124319A (ko)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JP2008289032A (ja) 撮像装置
KR20150078275A (ko) 움직이는 피사체 촬영 장치 및 방법
JP2018007272A (ja)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8236015A (ja)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101446778B1 (ko) 동영상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JP2006211417A (ja) 撮像装置
KR20090059514A (ko)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JP5615012B2 (ja) 白バランス安定調整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白バランス安定調整のためのプログラム
JP2023005846A (ja) 像ブレ補正装置及び撮像装置
US9124803B2 (en) Image pickup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reproduction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2006115322A (ja) パンニング撮影可能なカメラおよび動画像編集用プログラム
JP2008048152A (ja) 動画処理装置、動画撮影装置および動画撮影プログラム
JP2007235806A (ja) 画像処理装置、撮影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KR101324244B1 (ko)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JP4687420B2 (ja) 撮影装置、撮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