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6673B1 - 철도차량 대차의 축상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철도차량 대차의 축상 조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46673B1 KR101446673B1 KR1020130131140A KR20130131140A KR101446673B1 KR 101446673 B1 KR101446673 B1 KR 101446673B1 KR 1020130131140 A KR1020130131140 A KR 1020130131140A KR 20130131140 A KR20130131140 A KR 20130131140A KR 101446673 B1 KR101446673 B1 KR 10144667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ar
- pair
- screw body
- groove
- coupl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5/00—Constructional details of bogies; Connections between bogies and vehicle underframes; Arrangements or devices for adjusting or allowing self-adjustment of wheel axles or bogies when rounding curves
- B61F5/50—Other detai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5/00—Constructional details of bogies; Connections between bogies and vehicle underframes; Arrangements or devices for adjusting or allowing self-adjustment of wheel axles or bogies when rounding curves
- B61F5/26—Mounting or securing axle-boxes in vehicle or bogie underfram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K—AUXILIAR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LWAY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K13/00—Other auxiliaries or accessories for rail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의 축상 조정장치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철도차량 대차의 축상을 조정하여 라이너를 삽입 또는 배출할 수 있는 철도차량 대차의 축상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축상 조정장치는, 철도차량 대차의 1차 현수장치를 승강시키기 위한 유압램이 고정구비된 메인바; 상기 메인바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되, 단부에서 소정거리 이격된 부분이 상기 메인바의 양단부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회동암; 상기 한 쌍의 회동암의 일측 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걸림조; 및 상기 한 쌍의 회동암의 타측 단부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축상 조정장치는, 철도차량 대차의 1차 현수장치를 승강시키기 위한 유압램이 고정구비된 메인바; 상기 메인바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되, 단부에서 소정거리 이격된 부분이 상기 메인바의 양단부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회동암; 상기 한 쌍의 회동암의 일측 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걸림조; 및 상기 한 쌍의 회동암의 타측 단부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철도차량 대차의 축상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형의 축상 조정장치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철도차량 대차의 축상을 조정하여 라이너를 삽입 또는 배출할 수 있는 철도차량 대차의 축상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철도차량의 차축과 대차프레임을 연결하는 1차 현수장치는 코일 스프링, 코니컬 러버스프링, 세브론러버 스프링 등 있으며, 상기 코니컬 러버스프링은 10년정도 경과하게 되면 7~8mm의 처짐이 발생되므로 설계시부터 축상고(軸箱高)가 적정 높이로 유지되도록 해야 한다.
특히, 생산현장에서 대차 제작공정상의 부담하중 시험시 차체의 차입 후의 축상고가 상이하여 이의 재조정은 불가피한 실정이며, 이를 위해,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장치 없이 레일(6)의 상부에 고임목(3)을 설치하고, 상기 고임목(3)의 상부에 유압램(1)을 설치한 후 작업자가 펌프(2)를 작동시켜, 대차프레임(5)을 상승시키면서 라이너(4)를 조절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차량 1량의 라이너(4)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해당 차량의 4곳(축상고 8지점)에서 각각 작업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직접 유압펌프, 램, 고임목, 각종 치공구, 라이너 등의 공구를 들고 옮겨다니면서 설치와 해체를 반복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축상고 재조정시, 펌프(2)를 조작하는 사람과 라이너(4)를 조정하는 작업자 2인이 필요할 뿐만 아리나, 이들 작업은 차량의 유동중인 장소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안전사고의 위험도가 항상 잠재되고 있다.
또한, 전동차가 놓여 있는 장소에 따라 차체의 하중분포가 다르고, 유압램으로 올려야할 높이(지면에서 대차의 힘작용부위)가 상이하므로 고임목 상단에 별도의 고임목이 필요한 경우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실용신안 제1996-031198호(1996.10.22)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의 축상고 조정장치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철도차량 대차의 축상고 조정하여 라이너를 삽입 또는 배출할 수 있는 철도차량 대차의 축상고 조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철도차량 대차의 축상고 조정장치는, 철도차량 대차의 1차 현수장치를 승강시키기 위한 유압램이 고정구비된 메인바; 상기 메인바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되, 단부에서 소정거리 이격된 부분이 상기 메인바의 양단부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회동암; 상기 한 쌍의 회동암의 일측 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걸림조; 및 상기 한 쌍의 회동암의 타측 단부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유닛;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메인바의 양단에는 상기 회동암이 내삽되는 내삽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동암은 상기 내삽홈에 내삽된 상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내삽홈의 양측에는 한 쌍의 관통홀이 동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동암에는 상기 한 쌍의 관통홀에 대응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회동암은 상기 한 쌍의 관통홀과 상기 관통공을 함께 관통하는 결합핀을 통해 상기 메인바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간격조절유닛은, 일측의 회동암에 힌지연결된 왼나사몸체; 타측의 회동암에 힌지연결된 오른나사몸체; 및 상기 왼나사몸체에 나사결합되는 왼나사홈 및 상기 오른나사몸체에 나사결합되는 오른나사홈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왼나사몸체와 상기 오른나사몸체를 상호 연결하는 조절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압램과 연결되어 상기 유압램에 구비된 램을 상승시키기 위한 작동펌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한 쌍의 걸림조의 내측에는 걸림 단차부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동암의 일측 단부에는 제1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조에는 상기 제1결합홈에 대응하는 제1결합홀이 형성되며, 상기 회동암과 상기 걸림조는 상기 제1결합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1결합홈에 나사결합되는 제1고정볼트에 의해 상호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메인바의 중앙부에는 제2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유압램에는 상기 제2결합홀에 대응하는 제2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메인바와 상기 유압램은 상기 제2결합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2결합홈에 나사결합되는 제2고정볼트에 의해 상호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소형의 축상 조정장치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철도차량 대차의 축상을 조정하여 라이너를 삽입 또는 배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축상 조정장치의 간격조절유닛을 통해 상기 축상고 조정장치가 철도차량 대차의 축상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1차 현가장치를 상승시켜 축상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축상고 조절방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 대차의 축상 조정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단면, B-B 단면을 각각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 대차의 축상 조정장치를 설치하는 과정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 대차의 축상 조정장치가 설치된 상태에서 축상을 조절하는 과정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 대차의 축상 조정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단면, B-B 단면을 각각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 대차의 축상 조정장치를 설치하는 과정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 대차의 축상 조정장치가 설치된 상태에서 축상을 조절하는 과정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제1, 제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 대차의 축상 조정장치에 있어서, 축상(1, 軸箱, axle box, journal box)을 조정한다는 의미는 철도차량 대차의 1차 현수장치(2)를 상승시킨 상태에서 라이너(3)를 삽입 또는 제거하기 위한 것을 의미한다.
상기 철도차량 대차의 축상 조정장치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도차량 대차의 1차 현수장치(2)를 승강시키기 위한 유압램(110)이 고정구비된 메인바(100), 상기 메인바(100)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되, 단부에서 소정거리 이격된 부분이 상기 메인바(100)의 양단부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회동암(200), 상기 한 쌍의 회동암(200)의 일측 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걸림조(300) 및 상기 한 쌍의 회동암(200)의 타측 단부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유닛(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메인바(100)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길이로 형성된 사각 봉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메인바(100)의 양단에는 상기 회동암(200)이 내삽되는 내삽홈(101)이 형성되며, 상기 회동암(200)은 상기 내삽홈(101)에 내삽된 상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인바(100)의 내삽홈(101)의 양측에는 한 쌍의 관통홀(101h)이 동축상(1)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동암(200)에는 상기 한 쌍의 관통홀(101h)에 대응하는 관통공(202h)이 형성되며, 상기 회동암(200)은 상기 한 쌍의 관통홀(101h)과 상기 관통공(202h)을 함께 관통하는 결합핀(H1)을 통해 상기 메인바(10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유압램(110)은 유압에 의해 승하강 동작하는 램(110a)이 구비되며, 상기 유압램(110)의 일측에는 유체를 주입 또는 배출하기 위한 호스가 연결되는 유체홀(110h)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호스와 연결된 작동펌프(미도시)를 통해 유체가 주입 또는 배출됨에 따라 상기 램(110a)이 상승 또는 하강 동작하게 된다.
한편, 상기 유압램(110)은 상기 메인바(100)의 중앙부분에 고정결합되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메인바(100)의 중앙부에는 제2결합홀(도 3의 103)이 형성되고, 상기 유압램(110)에는 상기 제2결합홀(103)에 대응하는 제2결합홈(도 2의 112)이 형성되며, 상기 메인바(100)와 상기 유압램(110)은 상기 제2결합홀(103)을 관통하여 상기 제2결합홈(112)에 나사결합되는 제2고정볼트(105)에 의해 상호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회동암(200)의 상측 단부에는 걸림조(300)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걸림조(300)의 내측에는 걸림 단차부(300a)가 형성되어 축상(1)의 상단부에 걸려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암(200)의 일측 단부에는 제1결합홈(203)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조(300)에는 상기 제1결합홈(203)에 대응하는 제1결합홀(302)이 형성되며, 상기 회동암(200)과 상기 걸림조(300)는 상기 제1결합홀(302)을 관통하여 상기 제1결합홈(203)에 나사결합되는 제1고정볼트(305)에 의해 상호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간격조절유닛(400)은, 상기 한 쌍의 회동암(200)의 하측 단부의 간격을 조절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회동암(200)의 하측 단부가 벌려지거나 오므려지도록 조절하는 유닛이다.
상기 간격조절유닛(400)은 일측의 회동암(도 2의 좌측, 200)에 힌지연결된 왼나사몸체(410), 타측의 회동암(도 2의 우측, 200)에 힌지연결된 오른나사몸체(420), 상기 왼나사몸체(410)에 나사결합되는 왼나사홈(400a) 및 상기 오른나사몸체(420)에 나사결합되는 오른나사홈(400b)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왼나사몸체(410)와 상기 오른나사몸체(420)를 상호 연결하는 조절너트(4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왼나사몸체(410)의 일측은 상기 일측의 회동암(200)에 힌지핀(H2)을 통해 힌지연결되고 타측에는 왼나사(413a)가 형성된다. 상기 왼사나 몸체(410)는 상기 회동암(200)과 연결되는 부분에 삽입홈(411)이 형성되며, 상기 회동암(200)은 상기 삽입홈(411)에 삽입된 상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상기 오른나사몸체(420)의 일측은 상기 타측의 회동암(200)에 힌지핀(H3)을 통해 힌지연결되고 타측에는 오른나사(423a)가 형성된다. 상기 오른사나 몸체(420)는 상기 회동암(200)과 연결되는 부분에 삽입홈(421)이 형성되며, 상기 회동암(200)은 상기 삽입홈(421)에 삽입된 상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왼나사몸체(410)의 왼나사(413a)와 상기 오른나사몸체(420)의 오른나사(423a)는 상기 조절너트(430)의 왼나사홈(400a), 오른나사홈(400b)에 각각 나사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조절너트(430)를 일측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한 쌍의 회동암(200)의 하측 단부가 벌려져 상기 한 쌍의 회동암(200)의 상측 단부가 오므려지게 되고, 상기 조절너트(430)를 타측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한 쌍의 회동암(200)의 하측 단부가 오므려져 상기 한 쌍의 회동암(200)의 상측 단부가 벌려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조절너트(430)를 일측방향 또는 타측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걸림조(300)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 단차부(300a)가 축상(1)의 상단q부에 걸려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유압램(110)의 램(110a)을 상승시킴에 따라 철도차량 대차의 1차 현수장치(2)를 승강시키고, 이러한 상태에서 라이너(3)를 삽입 또는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
100:메인바 200:회동암
300:걸림조 400:간격조절유닛
300:걸림조 400:간격조절유닛
Claims (8)
- 철도차량 대차의 1차 현수장치를 승강시키기 위한 유압램이 고정구비된 메인바;
상기 메인바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되, 단부에서 소정거리 이격된 부분이 상기 메인바의 양단부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회동암;
상기 한 쌍의 회동암의 일측 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걸림조; 및
상기 한 쌍의 회동암의 타측 단부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대차의 축상 조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의 양단에는 상기 회동암이 내삽되는 내삽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동암은 상기 내삽홈에 내삽된 상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대차의 축상 조정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삽홈의 양측에는 한 쌍의 관통홀이 동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동암에는 상기 한 쌍의 관통홀에 대응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회동암은 상기 한 쌍의 관통홀과 상기 관통공을 함께 관통하는 결합핀을 통해 상기 메인바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대차의 축상 조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유닛은,
일측의 회동암에 힌지연결된 왼나사몸체; 타측의 회동암에 힌지연결된 오른나사몸체; 상기 왼나사몸체에 나사결합되는 왼나사홈 및 상기 오른나사몸체에 나사결합되는 오른나사홈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왼나사몸체와 상기 오른나사몸체를 상호 연결하는 조절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대차의 축상 조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램과 연결되어 상기 유압램에 구비된 램을 상승시키기 위한 작동펌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대차의 축상 조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걸림조의 내측에는 걸림 단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대차의 축상 조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암의 일측 단부에는 제1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조에는 상기 제1결합홈에 대응하는 제1결합홀이 형성되며, 상기 회동암과 상기 걸림조는 상기 제1결합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1결합홈에 나사결합되는 제1고정볼트에 의해 상호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대차의 축상 조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의 중앙부에는 제2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유압램에는 상기 제2결합홀에 대응하는 제2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메인바와 상기 유압램은 상기 제2결합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2결합홈에 나사결합되는 제2고정볼트에 의해 상호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대차의 축상 조정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31140A KR101446673B1 (ko) | 2013-10-31 | 2013-10-31 | 철도차량 대차의 축상 조정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31140A KR101446673B1 (ko) | 2013-10-31 | 2013-10-31 | 철도차량 대차의 축상 조정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46673B1 true KR101446673B1 (ko) | 2014-10-30 |
Family
ID=51996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31140A KR101446673B1 (ko) | 2013-10-31 | 2013-10-31 | 철도차량 대차의 축상 조정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46673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23504Y1 (ko) * | 1995-03-29 | 1998-08-17 | 유철진 | 철도차량 대차의 축상고 조정장치 |
KR200390767Y1 (ko) | 2005-05-11 | 2005-07-25 | 주식회사 로템 | 궤도차량 현수 장착장치 |
JP2007015426A (ja) | 2005-07-05 | 2007-01-25 | East Japan Railway Co | 車輌の軸梁脱着装置。 |
JP2010018200A (ja) | 2008-07-11 | 2010-01-28 | Nippon Sharyo Seizo Kaisha Ltd | 鉄道車両用台車の軸バネ高さ調整装置 |
-
2013
- 2013-10-31 KR KR1020130131140A patent/KR10144667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23504Y1 (ko) * | 1995-03-29 | 1998-08-17 | 유철진 | 철도차량 대차의 축상고 조정장치 |
KR200390767Y1 (ko) | 2005-05-11 | 2005-07-25 | 주식회사 로템 | 궤도차량 현수 장착장치 |
JP2007015426A (ja) | 2005-07-05 | 2007-01-25 | East Japan Railway Co | 車輌の軸梁脱着装置。 |
JP2010018200A (ja) | 2008-07-11 | 2010-01-28 | Nippon Sharyo Seizo Kaisha Ltd | 鉄道車両用台車の軸バネ高さ調整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2853232A (zh) | 液晶面板拼接式前维护装置 | |
CN102005853A (zh) | 剪叉式抽油机电机座可调装置 | |
KR101446673B1 (ko) | 철도차량 대차의 축상 조정장치 | |
CN204686346U (zh) | 翻转夹具防掉落装置 | |
CN204554251U (zh) | 显示器挂接架及医用吊塔 | |
CN207699119U (zh) | 一种用于汽车检修作业的翻转支架 | |
CN104085788B (zh) | 集电器架及使用该集电器架的桥式起重机 | |
CN204149802U (zh) | 拖车 | |
CN204250222U (zh) | 一种折叠车辆鞍座调节装置 | |
CN103386480B (zh) | 一种钢水包滑动水口机构 | |
CN105759413B (zh) | 一种显微镜悬挂臂 | |
CN205437695U (zh) | 一种滚轮体上快速压入销轴的装置 | |
CN214303385U (zh) | 用于具有可旋转扇页的门窗的梳型铰链 | |
CN205365109U (zh) | 牵引钩 | |
CN102134958B (zh) | 一种可移动式机械设备及工作梯 | |
CN204079244U (zh) | 一种组合式可变距吊杆 | |
CN202848849U (zh) | 方向可调式带有安全锁止的抱抓机构 | |
CN106017526B (zh) | 水平杆悬吊及微调装置、空间位置任意可调的悬挂装置 | |
CN208396506U (zh) | 一种汽车尾门辅助支撑杆 | |
CN204974731U (zh) | 一种新型的成型机侧压锁紧装置 | |
CN208451564U (zh) | 一种多角度预装工作台 | |
CN204552389U (zh) | 大角度开合铰链机构 | |
CN103641021A (zh) | 装车机 | |
CN206646948U (zh) | 一种建筑工程用拉门的滑轮组装置 | |
CN204845730U (zh) | 后视镜用插接式安装座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28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