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6655B1 - A fixing device including grommet with a number of holes for wire harness - Google Patents

A fixing device including grommet with a number of holes for wire harnes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6655B1
KR101446655B1 KR1020140034136A KR20140034136A KR101446655B1 KR 101446655 B1 KR101446655 B1 KR 101446655B1 KR 1020140034136 A KR1020140034136 A KR 1020140034136A KR 20140034136 A KR20140034136 A KR 20140034136A KR 101446655 B1 KR101446655 B1 KR 101446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grommet
curling
wire harness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41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지민
이성재
Original Assignee
아센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센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센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34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665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6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66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B60R16/0222Gromm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56Insulating bodies
    • H01B17/58Tubes, sleeves, beads, or bobbins through which the conductor passes
    • H01B17/583Grommets; Bush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 harness fixing device including a perforated gromme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rommet which comprises a cylindrical combination part extended along a first axis and at least two wire holes which are combined with the combination part and extended along the first axis so that a wire can pass therethrough; and a bracket which has one end combined with the combination part and the other end fixed to a specific external fixin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t least two wires are fixed to the specific external fixing part, a fixing space can be minimized by using one grommet and one bracket only without using separate grommets and brackets. Also, the materials of the separate grommet and the brackets are reduced, thereby saving material production costs and an effort for fixing wires.

Description

다공 그로멧을 포함하는 와이어 하네스 고정 장치{A fixing device including grommet with a number of holes for wire harness}[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 harness fixing device including a perforated grommet,

본 발명은 와이어 하네스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의 특정한 장착 지점에 2개 이상의 상기 전선 고정이 필요한 경우, 1개의 그로멧 및 1개의 브라켓만을 사용함으로써 고정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별도의 그로멧 및 브라켓의 자재의 사용을 줄임으로써, 자재 생산 비용 및 전선을 고정시키기 위한 노력 또한 절감시킬 수 있는 와이어 하네스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 harness fastening apparatus. In the case of fixing two or more wires to a specific external mounting point,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fixing space by using only one grommet and one bracket, To reduce the use of materials of the wire harnesses, thereby reducing the cost of material production and the efforts to fix the wires.

자동차나 기타 많은 기계장치에는 다양한 전장부품들이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전장부품들은 복수 가닥의 전기배선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 작동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복수 가닥의 전기배선을 와이어 하네스(wire harness)라고 부르며, 상기 와이어 하네스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깔끔하게 정리하여 전장부품이나 외부의 특정한 장착 지점에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장치를 와이어 하네스 고정 장치라고 한다.BACKGROUND ART Automobiles and many other mechanical devices have various electrical components installed therein, and these electrical components are gene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plurality of electrical wires. Such a plurality of electrical wires are called wire harnesses, and devices for protecting the wire harness from external impacts, neatly assembling them and fixing them to electrical parts or specific mounting points on the outside are called wire harness fixing devices .

한편, 다수의 전장부품들은 서로 다른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도록 복수 가닥의 전선이 필요하며, 복수 가닥의 전선은 비슷한 위치나 동일 위치에 구속 또는 고정이 필요하다. 또한 기계 장치의 크기는 점점 소형화되는 경향에 있기에 고정 공간의 소규모화도 필요하다.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electrical components require a plurality of strands of wires to receive different electrical signals, and a plurality of strands of wires need to be constrained or fixed at similar positions or at the same position. Also, since the size of mechanical devices tends to become smaller and smaller, the size of the fixed space is also required.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고정 장치 고정 장치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FIG. 1 shows an example of a wire harness fixing apparatus fix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종래 기술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고정 장치 고정 장치(1)는, 그로멧(2)과 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원기둥 형상의 그로멧(2)은 전선공(3)을 가지고 있어, 전선(C)이 상기 전선공(3)을 통과하여 그로멧(2)과 일체가 되고, 상기 브라켓의 커링부(4)가 상기 그로멧(2)에 결합되고 상기 브라켓의 체결부(5)에는 관통공(6)이 있어 외부의 특정한 장착 지점(미도시)에 수나사(미도시)로 체결되어 고정된다.The wire harness fixing device fix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cludes a grommet 2 and a bracket. The cylindrical grommet 2 has a wire hole 3 so that a wire C passes through the wire hole 3 and becomes integral with the grommet 2. The curling portion 4 of the bracket The fastening portion 5 of the bracket is coupled to the grommet 2 and has a through hole 6 so as to be fastened and fixed to a specific mounting point (not shown) by external threads (not shown).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고정 장치로는, 복수 가닥의 전선을 외부의 특정한 장착 지점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복수의 그로멧과 복수의 브라켓을 이용하여 고정시켜야 하므로,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고, 자재 비용이 증가하게 되며, 고정 작업의 효율도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wire harness fix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 plurality of grommets and a plurality of brackets must be fixed to fix a plurality of stranded wires to a specific mounting point outside, so that a lot of space is occupi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fficiency of the fixing operation is lowered.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외부의 특정한 장착 지점에 2개 이상의 상기 전선 고정이 필요한 경우, 1개의 상기 그로멧 및 1개의 상기 브라켓만을 사용함으로써 고정 공간을 최소화하도록 하고, 별도의 그로멧 및 브라켓의 자재의 사용을 줄임으로써, 자재 생산 비용 및 전선을 고정시키기 위한 노력 또한 절감시키도록 구조가 개선된 와이어 하네스 고정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minimize a fixing space by using only one grommet and one bracket when two or more wires are required to be fixed to a specific external mounting point To provide a wire harness fixture with improved structure to reduce the cost of material production and the efforts to fix the wire by reducing the use of separate grommet and bracket material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고정 장치는, 복수 가닥의 전선을 외부의 특정한 장착 지점에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제1 축을 따라 길게 연장된 원기둥 형상의 결합부와, 상기 전선이 통과하며 상기 제1 축의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2개 이상의 전선공을 구비하는 그로멧;및 일단부는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며, 타단부는 상기 외부의 특정한 장착 지점에 고정될 수 있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wire harness fix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pparatus for fixing a plurality of strands of wires to a specific mounting point of an outside, comprising: a cylindrical coupling portion extending along a first axis; A grommet having at least two electric wires extending longitudinally along a direction of the first axis, and a bracket, one end of which is engageable with the engaging portion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fixable to the external specific mounting point .

상기 그로멧은, 상기 결합부의 양단부에 배치되며, 미리 정한 길이만큼 상기 결합부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grommet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portion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coupling portion and protruding in a radial direction of the coupling portion by a predetermined length.

상기 브라켓은, 상기 결합부의 외주면에 압착되도록 상기 결합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C자 형상으로 형성된 커링부와, 상기 외부의 특정한 장착 지점에 고정되는 체결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bracket includes a curling portion formed in a C-shap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engaging portion so as to be pressed on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gaging portion, and a fastening portion fixed to the external mounting point.

상기 커링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커링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커링부 관통공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urling portion has a curling portion through-hol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urling portion.

상기 브라켓은, 상기 커링부와 상기 체결부가 서로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커링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직선적으로 연장되어 있는 이음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bracket has a joint portion that extends linearly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urling portion as a portion where the curling portion and the fastening portio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 이음부와 상기 체결부는 미리 정한 각도를 이룬 상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the coupling portion and the coupling portio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angle.

상기 이음부와 상기 체결부가 연결되는 부분에 배치되며,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일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는 보강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a reinforcing portion which is disposed at a portion to which the joint portion and the joint portion are connected and which is convexly formed in one direction by press working.

상기 체결부는, 수나사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공과 상기 브라켓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 멈춤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fastening portion includes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male screw can pass, and a rotation stop means for preventing rotation of the bracket.

상기 회전 멈춤 수단은, 상기 외부의 특정한 지점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체결부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인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rotation stop means is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coupling portion so as to be inserted into a hole formed at a specific point outside.

본 발명의 와이어 하네스 고정 장치에 따르면, 상기 제1 축을 따라 길게 연장된 원기둥 형상의 결합부와, 상기 전선이 통과하며 상기 제1 축의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2개 이상의 전선공을 구비하는 상기 그로멧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기 외부의 특정한 장착 지점에 2개 이상의 상기 전선 고정이 필요한 경우, 1개의 상기 그로멧 및 1개의 상기 브라켓만을 사용함으로써 고정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그로멧 및 브라켓의 자재의 사용을 줄임으로써, 자재 생산 비용 및 전선을 고정시키기 위한 노력 또한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wire harness fix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wire harness fixing apparatus which has a cylindrical coupling portion extending along the first axis and two or more electric wires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axis, The fixing space can be minimized by using only one grommet and one bracket when two or more of the wires are required to be fixed to the specific external mounting point. In addition, by reducing the use of separate grommet and bracket materials, there is also an advantage of reducing the cost of material production and efforts to fix the wires.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고정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고정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와이어 하네스 고정 장치를 반대편에서 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와이어 하네스 고정 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그로멧의 Ⅲ-Ⅲ선 단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브라켓의 Ⅳ-Ⅳ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로멧의 단면도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고정 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wire harness fixing devic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re harness fix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the wire harness fixing device shown in FIG. 2 as viewed from the opposite side,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ire harness fixing device shown in Fig. 2,
Fig. 5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the grommet shown in Fig. 4,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IV of the bracket shown in FIG. 4,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gromm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re harness fix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is to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among the drawing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henever possib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고정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와이어 하네스 고정 장치를 반대편에서 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와이어 하네스 고정 장치의 분리사시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re harness fix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the wire harness fixing apparatus shown in FIG. 2 as seen from the opposite side,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arness fixing device.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고정 장치(100)는, 복수 가닥의 전선(C)을 외부의 특정한 장착 지점(E)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장치로서, 그로멧(10), 브라켓(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2 to 4, a wire harness fix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xing device for fixing a plurality of strands of electric cables C to a specific mounting point E outside, A grommet 10, and a bracket 20 as shown in Fig.

상기 그로멧(10)은, 고무를 사출 성형하여 제조되는 부재로서, 결합부(11)와 전선공(12)과 고정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grommet (10) is a member manufactured by injection molding of rubber, and comprises a coupling portion (11), a wire hole (12), and a fixing portion (13).

상기 결합부(11)는, 상기 결합부(11) 일단부와 타단부의 중심을 연결하는 제1 축(A1)을 따라 미리 정한 길이만큼 길게 연장된 원기둥 모양의 부분이다.The coupling portion 11 is a cylindrical portion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a first axis A1 connecting the center of one end of the coupling portion 11 with the center of the other end.

한편,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그로멧의 Ⅲ-Ⅲ선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FIG. 5 show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the grommet shown in FIG.

상기 고정부(1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11)의 양단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며 미리 정한 길이만큼 상기 결합부(11)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됨으로써, 원형 링 형상을 이루는 부분이다.5, the fixing portion 13 is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both ends of the coupling portion 11 and protrudes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coupling portion 11 by a predetermined length, It is the part that makes up.

상기 전선공(12)은, 상기 고정부(11) 일단부와 타단부를 관통하는 원형 구멍으로서, 2개가 마련되며 상기 제1 축(A1)의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있다. The electric wire hole 12 is a circular hole passing through the one end portion and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fixing portion 11 and is provided with two elongated holes extending along the direction of the first axis A1.

상기 브라켓(20)은, 상기 그로멧(10)을 고정시키기 위한 부재로서, 커링부(21)와 체결부(23); 및 이음부(26)를 구비한다.The bracket 20 is a member for fixing the grommet 10 and includes a curling portion 21 and a fastening portion 23; And a joint 26.

상기 커링부(21)는, 상기 결합부(11)의 외주면을 감쌀 수 있는 탄성 부재로서, 상기 결합부(11)의 외주면에 압착되도록 상기 결합부(11)의 원주 방향을 따라 C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결합부(11)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어 있다.The curling portion 21 is an elastic member capable of wrapping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gaging portion 11 and has a C shap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engaging portion 11 so as to be pressed on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gaging portion 11 And is elastically bias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engaging portion 11 is pressed.

상기 커링부(21)의 외주면에는, 상기 커링부(21)의 원주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커링부 관통공(22)이 구비된다.A curling portion through-hole 22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urling portion 21 so as to exten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urling portion 21.

상기 커링부 관통공(22)의 너비는, 상기 제1 축(A1) 방향으로의 상기 커링부(21)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The width of the curling portion through-hole 22 is formed to be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curling portion 21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axis Al.

상기 이음부(26)는, 상기 커링부(21)와 p상기 체결부(23)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커링부(21)와 상기 체결부(23)를 서로 연결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커링부(21)의 원주 방향을 따라 직선적으로 연장되는 제2 축(A2) 방향을 따라, 상기 커링부(21)의 일단부로부터 직선적으로 연장되어 있다. The coupling portion 26 is disposed between the curling portion 21 and the coupling portion 23 and connects the curling portion 21 and the coupling portion 23 to each other. 21 extending linearly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urling portion 21 along the direction of the second axis A2.

여기서, 상기 제1 축(A2)과 상기 제2 축(A2)은 α 각도를 이루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90°를 이루고 있다. 또한, 상기 제2 축(A2)은 상기 이음부(26) 상의 제3 축(A3)과 수직을 이루며 교차되어 있다.Here, the first axis A2 and the second axis A2 form an angle α, which is 90 °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axis A2 is perpendicular to the third axis A3 on the joint 26, and intersects the third axis A2.

상기 체결부(23)는, 상기 외부의 특정한 장착 지점(E)에 고정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이음부(26)로부터 제4 축(A4)의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The fastening portion 23 is a portion fixed to the external mounting point E and extends from the joint portion 26 along the direction of the fourth axis A4.

한편, 도 6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브라켓의 Ⅳ-Ⅳ선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Fig. 6 shows a cross section taken along the line IV-IV of the bracket shown in Fig.

상기 체결부(2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음부(26)와 미리 정한 각도(θ)를 이루고 있다. 여기서 상기 각도(θ)는, 상기 제3 축(A3)과 상기 제4 축(A4)이 이루는 각도이다.As shown in Fig. 6, the fastening portion 23 is formed at an angle ([theta]) predetermined with the joint portion 26. As shown in Fig. Here, the angle? Is an angle formed by the third axis A3 and the fourth axis A4.

상기 체결부(23)에는, 원형의 관통공(24)과 회전 멈춤 수단이 구비된다.The fastening portion 23 is provided with a circular through hole 24 and a rotation stopping means.

상기 관통공(24)은, 수나사(미도시)가 통과할 수 있는 부분이며, 상기 수나사(미도시)는, 상기 체결부(23)를 상기 외부의 특정한 장착 지점(E)에 고정시킬 수 있는 부재이다. The through hole 24 is a portion through which a male screw (not shown) can pass, and the male screw (not shown) can fix the fastening portion 23 to a specific mounting point E Member.

상기 회전 멈춤 수단은, 상기 브라켓(20)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본 실시예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의 특정한 지점(E)에 형성된 원형의 제1 구멍(E1)에 삽입될 수 있는 돌출부(25)를 포함한다. The rotation stop means is a portion for preventing the rotation of the bracket 20.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4, a circular first hole E1 formed at a specific point E on the outside, And a protrusion 25 which can be inserted into the protrusion 25.

상기 돌출부(25)는, 상기 체결부(23)로부터 상기 제4 축(A4)을 따라 돌출된 부분이 상기 외부의 특정한 장착 지점(E)을 향하여 약 90°만큼 절곡됨으로써 형성된다.The projecting portion 25 is formed by bending a portion projecting from the fastening portion 23 along the fourth axis A4 by about 90 degrees toward the external specific mounting point E. [

상기 이음부(26)와 상기 체결부(23)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외력으로부터 상기 브라켓(20) 손상 방지를 위한 보강부(27)가 구비된다. A reinforcing portion 27 for preventing damage to the bracket 20 from external force is provided at a portion where the coupling portion 26 and the coupling portion 23 are connect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보강부(27)는,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일방향으로 가압되어 볼록하게 형성되는데, 상기 이음부(26)상에는 제3 축(A3)축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23)상에는 제4 축(A4)을 따라 형성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inforcing portion 27 is formed to be convexly pressed in one direction by press working. The reinforcing portion 27 is formed along the third axis A3 on the coupling portion 26, and on the coupling portion 23, And is formed along the fourth axis A4.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성의 와이어 하네스 고정 장치(100)를 사용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xample of a method of using the wire harness fixing apparatus 10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상기 전선(C)의 각 가닥을 상기 그로멧(10)에 구비된 2개의 상기 전선공(12) 각각에 삽입하여, 상기 전선(C)과 상기 그로멧(10)이 일체를 이루도록 한다.First, each strand of the electric wire C is inserted into each of the two electric wire holes 12 provided in the grommet 10, so that the electric wire C and the grommet 10 are integrated.

상기 브라켓(20)의 커링부(21)는, 상기 결합부(11)의 원주 방향을 따라 C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11)에 가압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었기 때문에, 상기 커링부(21)를 상기 결합부(11)에 가압하여 상기 결합부(11)의 외주면에 결합시키면, 상기 커링부(21)가 상기 결합부(11)의 외주면에 밀착된다.Since the curling portion 21 of the bracket 20 is formed in a C shap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engaging portion 11 and is elastically biased in a direction of pressing the engaging portion 11, The curling portion 21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gaging portion 11 when the engaging portion 21 is pressed against the engaging portion 11 and is engaged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gaging portion 11. [

이어서, 상기 관통공(24)의 중심축과 상기 외부의 특정한 장착 지점(E)에 형성된 원형의 제2 구멍(E2)의 중심축을 같도록 한 후, 상기 브라켓(20)의 돌출부(25)를 상기 외부의 특정한 장착 지점(E)에 형성된 제1 구멍(E1)에 삽입한다.The center axis of the through hole 24 and the central axis of the circular second hole E2 formed at the specific mounting point E are made to be the same and then the protrusion 25 of the bracket 20 Is inserted into the first hole (E1) formed at the specific external mounting point (E).

그리고, 상기 관통공(24)과 상기 제2 구멍(E2)에 수나사(미도시)를 삽입하고 암나사(미도시)로 조이면, 상기 브라켓(20)은 상기 외부의 특정한 장착 지점(E)에 고정이 완료된다. When the male screw (not shown)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4 and the second hole E2 and fastened with a female screw (not shown), the bracket 20 is fixed to the specific mounting point E Is completed.

상술한 구성의 와이어 하네스 고정 장치(100)는, 상기 제1 축(A1)을 따라 길게 연장된 원기둥 형상의 결합부(11)와, 상기 전선(C)이 통과하며 상기 제1 축(A1)의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2개의 전선공(12)을 구비하는 상기 그로멧(10)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기 외부의 특정한 장착 지점(E)에 2개의 상기 전선(C) 고정이 필요한 경우, 1개의 상기 그로멧(10) 및 1개의 상기 브라켓(20)만을 사용함으로써 고정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그로멧 및 브라켓의 자재의 사용을 줄임으로써, 자재 생산 비용 및 전선을 고정시키기 위한 노력 또한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wire harness securing apparatus 100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ncludes a cylindrical coupling portion 11 extending along the first axis A1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11 extending from the first axis A1 through the wire C, The grommet 10 is provided with two electric wire holes 12 extending along the direction of the electric wire 12. Therefore, when two electric wires C are required to be fixed to the specific external mounting point 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fixing space can be minimized by using only the number of the grommets 10 and one bracket 20. In addition, by reducing the use of separate grommet and bracket materials, there is also an advantage of reducing the cost of material production and efforts to fix the wires.

그리고 상기 와이어 하네스 고정 장치(100)는, 상기 결합부(11)의 양단부 둘레를 따라 배치되며 미리 정한 길이만큼 상기 결합부(11)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원형 링 형상의 상기 고정부(13)를 더 포함하므로, 상기 그로멧(10)의 결합부(11)가 상기 브라켓(20)의 커링부(21)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The wire harness fixing device 100 includes a circular ring shaped fixing portion 13 disposed along both ends of the coupling portion 11 and protruding in a radial direction of the coupling portion 11 by a predetermined length,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engaging portion 11 of the grommet 10 is not separated from the curling portion 21 of the bracket 20.

또한, 상기 와이어 하네스 고정 장치(100)는, 상기 브라켓(20)의 커링부(21) 외주면에, 상기 제1 축(A1) 방향으로의 상기 커링부(21) 길이보다 작은 너비를 가지고, 상기 커링부(21)의 원주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커링부 관통공(22)이 구비되어 있다. The wire harness fixing device 100 has a width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curling portion 21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axis A1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urling portion 21 of the bracket 20, There is provided a curling portion through-hole 22 which is elongat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urling portion 21.

이에 따라, 상기 브라켓(20)이 상기 그로멧(10) 결합부(11)에 압착 결합되면서, 상기 그로멧(10) 결합부(11)의 일부분이 상기 커링부 관통공(22) 안으로 부풀어 오르게 되어, 상기 결합부(11)와 상기 커링부(21) 상호간 마찰력이 커지게 되고, 이는 상기 그로멧(10)의 결합부(11)가 상기 브라켓(20)의 커링부(21)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As a result, a part of the engaging portion 11 of the grommet 10 is swelled into the curling portion through-hole 22 while the bracket 20 is pressed and coupled to the engaging portion 11 of the grommet 10,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engaging portion 11 and the curling portion 21 is increased so that the engaging portion 11 of the grommet 10 is not separated from the curling portion 21 of the bracket 20 .

그리고 상기 와이어 하네스 고정 장치(100)는, 상기 체결부(23)가 상기 이음부(26)와 미리 정한 각도(θ)를 이루는데, 상기 외부의 특정한 장착 지점(E)이 배치되는 공간의 형상에 따라, 상기 각도(θ)를 변경하여 상기 브라켓(20)을 제작함으로써, 상기 전선(C)이 외부의 특정한 장착 지점(E)에 대하여 다양한 상대 위치를 가지더라도, 상기 전선(C)을 다양한 각도로 고정시킬 수 있다. In the wire harness fixing device 100, the coupling part 23 forms an angle? With the joint part 26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shape of the space in which the specific external mounting point E is disposed , The bracket 20 can be manufactured by changing the angle θ so that the electric wire C can be mounted in various positions It can be fixed at an angle.

또한, 상기 와이어 하네스 고정 장치(100)는, 상기 이음부(26)와 상기 체결부(23)가 연결되는 부분에 보강부(27)를 구비하고, 상기 보강부(27)는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일방향으로 가압되어 볼록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브라켓(20)의 외력에 대한 굽힘 저항력이 증가되어 형상 유지력이 증가되는 장점이 있다. The wire harness fixing device 100 is provided with a reinforcing portion 27 at a portion where the joint portion 26 and the fastening portion 2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reinforcing portion 27 is press- The bending resistance against the external force of the bracket 20 is increased and the shape retention force is increased.

그리고 상기 와이어 하네스 고정 장치(100)는, 상기 브라켓(20)의 체결부(23)에 상기 돌출부(25)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25)는 상기 외부의 특정한 지점(E)에 형성된 원형의 제1 구멍(E1)에 삽입됨으로써, 외력에 의하여 상기 브라켓(20)이 상기 외부의 특정한 지점(E)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wire harness fixing device 100 is provided with the protruding portion 25 in the fastening portion 23 of the bracket 20 and the protruding portion 25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Is inserted into the first hole (E1),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bracket (20) can be prevented from rotating about the specific point (E) by the external force.

한편, 도 7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로멧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gromm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로멧을 구비하는 와이어 하네스 고정 장치는, 상기 그로멧(10)의 전선공(12)이 상기 고정부(13)의 양단부에 인접할수록 내경이 커지도록 형성된다. 7, the wire harness fixing device having a gromm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n inner diameter of the wire hole 12 of the grommet 10 becomes larger toward the both end portions of the fixing portion 13, .

이에 따라, 상기 전선공(12)에 대한 상기 전선(C)의 초기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전선(C)은 상기 고정부(13)의 양단부를 통과하여 완만한 곡률을 가지면서 휘어지게 됨으로써, 상기 전선(C)의 급격한 꺾임을 방지하여 상기 그로멧(1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is facilitates the initial insertion of the electric wire (C) into the electric wire hole (12). In addition, the electric wire C is bent with a gentle curvature passing through both ends of the fixing portion 13, thereby preventing the electric wire C from being suddenly bent and preventing the grommet 10 from being deformed There are advantages to be able to.

한편, 도 8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고정 장치(200)가 도시되어 있다.8 shows a wire harness fix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전선공을 가진 그로멧을 포함하는 와이어 하네스 고정 장치를 설명하였으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특정한 장착 지점에 필요한 전선은 용도에 따라 3개 이상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그로멧의 전선공 수량도 늘어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 wire harness fixing device including a grommet having two wire holes has been described. However, as shown in FIG. 8, the wires necessary for a specific external mounting point may be three or more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The amount of electric wire can be increased.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고정 장치
200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고정 장치
10 : 그로멧
11 : 결합부
12 : 전선공
13 : 고정부
20 : 브라켓
21 : 커링부
22 : 커링부 관통공
23 : 체결부
24 : 관통공
25 : 돌출부
26 : 이음부
27 : 보강부
C : 전선
A1 : 제1 축
A2 : 제2 축
A3 : 제3 축
A4 : 제4 축
E : 외부의 특정한 장착 지점
E1 : 제1 구멍
E2 : 제2 구멍
θ : 미리 정한 각도
[Description of Reference Numerals]
100: A wire harness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0: wire harness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Grommet
11:
12: wire ball
13:
20: Bracket
21:
22: Carring part through hole
23:
24: Through hole
25:
26: Coupling
27:
C: Wires
A1: 1st axis
A2: 2nd axis
A3: Third axis
A4: fourth axis
E: specific external mounting point
E1: First hole
E2: Second hole
θ: predetermined angle

Claims (9)

전선을 외부의 특정한 장착 지점에 고정시키기 위한 와이어 하네스 고정 장치로서,
제1 축을 따라 길게 연장된 원기둥 형상의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양단부에 배치되며 미리 정한 길이만큼 상기 결합부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고정부와, 상기 전선이 통과하며 상기 제1 축의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2개 이상의 전선공을 구비하는 그로멧;및
일단부는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며, 타단부는 상기 외부의 특정한 장착 지점에 고정될 수 있는 브라켓;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하네스 고정 장치.
A wire harness securing device for securing a wire to a specific mounting point outside,
A fixing portion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coupling portion and protruding in a radial direction of the coupling portion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fixing portion which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coupling portion and protrudes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coupling portion, A grommet having two or more elongated elongated electric wires;
A bracket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and the other end capable of being fixed to the external specific mounting point;
Wherein the wire harness fixing device comprises: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결합부의 외주면에 압착되도록 상기 결합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C자 형상으로 형성된 커링부와, 상기 외부의 특정한 장착 지점에 고정되는 체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하네스 고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racket includes a curling portion formed in a C shap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engaging portion so as to be pressed on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gaging portion and a fastening portion fixed to a specific mounting point of the outsid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커링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커링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커링부 관통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하네스 고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And a curling portion through hol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urling portion at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urling portion.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커링부와 상기 체결부를 서로 연결시키는 부분으로서, 상기 커링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직선적으로 연장되어 있는 이음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하네스 고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bracket has a joint portion that connects the curling portion and the fastening portion and extends linearly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urling portion.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와 상기 체결부는 미리 정한 각도를 이룬 상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하네스 고정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joint portion and the fastening portion are connected with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angl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와 상기 체결부가 연결되는 부분에 배치되며,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일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는 보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하네스 고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a reinforcement portion disposed at a portion where the joint portion and the fastening portion are connected and formed to be convex in one direction by press working.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수나사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공과 상기 브라켓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 멈춤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하네스 고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astening portion includes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male screw can pass and a rotation stop means for preventing rotation of the bracket.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멈춤 수단은, 상기 외부의 특정한 지점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체결부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하네스 고정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rotation stop means is a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coupling portion so as to be inserted into a hole formed at a specific external point.
KR1020140034136A 2014-03-24 2014-03-24 A fixing device including grommet with a number of holes for wire harness KR1014466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136A KR101446655B1 (en) 2014-03-24 2014-03-24 A fixing device including grommet with a number of holes for wire harnes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136A KR101446655B1 (en) 2014-03-24 2014-03-24 A fixing device including grommet with a number of holes for wire harnes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6655B1 true KR101446655B1 (en) 2014-10-06

Family

ID=51996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4136A KR101446655B1 (en) 2014-03-24 2014-03-24 A fixing device including grommet with a number of holes for wire harnes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6655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4117A (en) * 2017-07-03 2019-01-11 주식회사 인팩 Assembly Device Of Vehicle Cable
CN112524342A (en) * 2020-12-04 2021-03-19 国网河南省电力公司洛阳供电公司 Hidden multifunctional wire casing box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5775A (en) * 1993-10-01 1995-04-21 Sumitomo Wiring Syst Ltd Twine type grommet for wire harness
KR20000017609U (en) * 1999-02-22 2000-09-25 김민박,라이문트하이넨 Grommet for fixing wires to a motor
JP2005045915A (en) 2003-07-22 2005-02-17 Mikumo Seisakusho:Kk Saddle
KR200409060Y1 (en) * 2005-10-24 2006-11-17 경신공업 주식회사 A Fixing Structure Of Wire Fixing Clip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5775A (en) * 1993-10-01 1995-04-21 Sumitomo Wiring Syst Ltd Twine type grommet for wire harness
KR20000017609U (en) * 1999-02-22 2000-09-25 김민박,라이문트하이넨 Grommet for fixing wires to a motor
JP2005045915A (en) 2003-07-22 2005-02-17 Mikumo Seisakusho:Kk Saddle
KR200409060Y1 (en) * 2005-10-24 2006-11-17 경신공업 주식회사 A Fixing Structure Of Wire Fixing Clip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4117A (en) * 2017-07-03 2019-01-11 주식회사 인팩 Assembly Device Of Vehicle Cable
KR101950219B1 (en) * 2017-07-03 2019-02-22 주식회사 인팩 Assembly Device Of Vehicle Cable
CN112524342A (en) * 2020-12-04 2021-03-19 国网河南省电力公司洛阳供电公司 Hidden multifunctional wire casing box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1845B1 (en) Grommets and wire harnesses
US10483665B2 (en) Ground terminal and wire harness
WO2017221675A1 (en) Grommet and wire harness
JP6524961B2 (en) Flat cable and water stop cable
JP2016110836A (en) Cabtyre cable and cable with connector
KR101446655B1 (en) A fixing device including grommet with a number of holes for wire harness
EP2847839B1 (en) Wire harness waterproofing structure
WO2014141935A1 (en) Affixation member and wire harness
WO2016098559A1 (en) Grommet and electric wire with grommet
KR101152933B1 (en) Apparatus to connect cable
JP2023021126A (en) Wiring harness
KR101006471B1 (en) Clearance clip for motor
US20130133945A1 (en) Terminal cable assembly having water proof structure
JP6070467B2 (en) Grommet and wire harness with grommet
KR200443657Y1 (en) Protector of wire harness
JP6533423B2 (en) Wiring material fixed body and wire harness
JP7153006B2 (en) Grommet and wire harness
JP2016213053A (en) Packing, connector, and wiring harness
KR101988649B1 (en) Colgate tube
JP2021013253A (en) Grommet, grommet water-stopping structure, and wire harness
JP2020174000A (en) Wire harness exterior structure and wire harness
CN220830260U (en) Wire harness fixing structure and belt steering gear
CN214798746U (en) Wire protecting sleeve
JP6090096B2 (en) Grommet and wire harness with grommet
JP6146267B2 (en) Gromm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