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5926B1 - 앞라인이 자연스러운 가발 - Google Patents

앞라인이 자연스러운 가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5926B1
KR101445926B1 KR1020120100741A KR20120100741A KR101445926B1 KR 101445926 B1 KR101445926 B1 KR 101445926B1 KR 1020120100741 A KR1020120100741 A KR 1020120100741A KR 20120100741 A KR20120100741 A KR 20120100741A KR 101445926 B1 KR101445926 B1 KR 101445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g
main base
base
parts
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0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4440A (ko
Inventor
김수아
Original Assignee
김수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아 filed Critical 김수아
Priority to KR1020120100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5926B1/ko
Publication of KR20140034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4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5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59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41Bases for wigs
    • A41G3/005Bases for wigs made of a net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41Bases for wi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인 베이스의 선단 좌,우측에 복수의 가르마 파트를 형성시켜 착용자의 취향에 따라 가르마의 방향을 선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메인 베이스의 선단부 부분을 부분 교체할 수 있도록 한 가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앞라인이 자연스러운 가발{THE WIG}
본 발명은 앞라인이 자연스러운 가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메인 베이스의 선단 좌,우측에 복수의 가르마 파트를 형성시켜 착용자의 취향에 따라 가르마의 방향을 선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메인 베이스의 선단부 부분을 부분 교체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앞라인이 자연스러운 가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발은 두발의 탈모 상태의 은폐 및 미용을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사용부위에 따라 전체가발과 부분 가발 및 패션가발 등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또한 가발의 착용방식에 따라 착탈식, 연속 착용식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종래 가발의 일 예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발 베이스 및 이 가발 베이스에 식모된 인모(人毛) 또는 인공모로 이루어지는 모발(10)로 구성된다.
가발 베이스는 통풍성이 우수한 네트 형상의 메인 베이스(50)와, 메인 베이스(50)의 테두리 부위에 배치되어 가발 착용자의 이마라인에 부착되는 스킨 베이스(100)로 구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한 스킨 베이스(100)에 모발(10)을 심는 경우, 두피로부터 모발(10)이 자란 듯 보이게 하기 위해서, 스킨 베이스(100)에 모발(10)을 삽입시켜 통과시키는 소위 V자형 식모(V자 심기)가 이용된다.
V자형 식모는 낚시바늘 등의 식모 도구를 이용해서 2개로 접은 모발(10)을 스킨 베이스(100)의 표면 측으로부터 이면 측으로 관통시키고, 1mm 정도의 침족부(針足部;11)를 만들고, 2개로 접은 모발(10)의 한쪽을 다시 표면 측으로 뽑아냄으로써 스킨 베이스(100)에 V자형으로 부착하는 것이다.
한편, 최근 출시되는 가발 베이스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르마 파트(55)를 갖는 메인 베이스(50)와 스킨 베이스(100)의 연결을 위해 메인 베이스(50)의 시접 부위(60)가 스킨 베이스(100)의 테두리 부위에 봉재 처리된 연결구조를 갖는다.
상기한 종래 가발은 다음과 같은 단점을 갖는다.
첫째, 종래 메인 베이스는 가발 착용시 가르마를 형성시키기 위한 가르마 파트가 구비되어 있으나, 상기한 가르마 파트는 가발 착용자의 취향을 고려하지 않고 메인 베이스의 특정 부위에 정형화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즉, 가발 착용자는 가발 착용후에 가르마의 방향을 좌,우로 전환시킬 수 없는 단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가발 착용후에 한가지로 고정된 스타일로 인해 쉽게 싫증을 낼 우려가 있다.
둘째, 메인 베이스(50)의 선단부는 잦은 가발 착용시 착용자의 이마 부위와 자주 접촉되어 마모가 발생되고, 이로 인해 착용감이 저하된다.
따라서, 메인 베이스(50)의 선단 부위를 자주 수선할 경우, 봉재된 시접 부위(60)를 뜯어서 메인 베이스(50)와 스킨 베이스(100)를 분리시킨 후에 수선하고, 수선이 완료된 후에는 다시 시접부위(60)를 봉재 처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그리고, 메인 베이스(50)의 마모가 많이 진행되어 수선이 용이하지 않을 경우에는 가발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평11-350225호에 개시된 가발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발(12)이 이식된 분할체(2)를 본체(1)에 대해 착탈가능하게 하여서, 이식된 모발의 수선이 용이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가발은 착용자의 가르마 상태에서 따라 가르마의 방향을 전환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평11-350225호(1999. 12. 21.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써, 그 목적은 메인 베이스의 선단부 부위에 복수의 가르마 파트를 형성시켜 가발 착용후에 착용자의 취향에 따라 가르마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를 개선하여 착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가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메인 베이스의 취약 부분인 선단 부위의 수리가 용이하면서 부분 교체가 가능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가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모발이 식모되는 메인 베이스와, 상기 메인 베이스의 가장자리에 마련되어 착용자의 이마라인에 부착되는 스킨 베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메인 베이스는 좌,우 양측에 홈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홈부에 결합수단을 매개로 결합되는 제 1,2가르마 파트를 구비하며,
상기 메인 베이스의 좌,우 양측 홈부들 중 하나에 상기 제 1,2가르마 파트 중 하나가 부착되고, 다른 하나의 홈부에는 모발이 식모된 부분 베이스파트가 탈,부착가능하게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제 1,2가르마 파트의 테두리와 상기 홈부 테두리에 각각 마련된 테이프부재를 구비하여서, 상기 제 1,2가르마 파트가 상기 홈부 테두리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된 것이다.
삭제
첫째, 메인 베이스(50)의 선단부 좌,우측에 각각의 홈부(52)가 형성되고, 각각의 홈부(52)에 가발 착용시 가르마를 생성시키는 제 1,2가르마 파트(55a,55b)가 결합되어, 가발 착용자의 취향에 따라 가르마 방향을 좌,우로 전환시킬 수 있으므로, 착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둘째, 제 1,2가르마 파트(55a,55b)를 테이프부재(210)로 탈,부착시킬 수 있으므로, 가발의 잦은 착용시 두피 부위와 접촉으로 인해 취약한 메인 베이스(50)의 선단부 부분을 부분 교체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가발의 전체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2가르마 파트(55a,55b)의 선단부와 스킨 베이스(100)의 테두리 간의 봉재 처리를 생략할 경우, 기존 수선 작업시 봉재된 부분을 뜯고 수선한 후에 다시 봉재처리하는 작업방식에 비해 수선이 간편해지는 이점을 갖는다.
셋째, 제 1,2가르마 파트(55a,55b)중 하나를 메인 베이스(50)의 좌,우측 홈부(52) 중 하나에 결합시키고, 다른 나머지 홈부(52)에 모발(10)이 식모된 부분 베이스파트(54)를 탈,부착시킴으로써, 가발 착용자의 자연모 잔존 부위에 따라 선택적으로 가르마 방향을 선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풍성하고 자연스러운 앞라인 이미지를 부여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기존 가발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종래 스킨 베이스에 모발이 식모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종래 스킨 베이스와 메인 베이스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발의 제 1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5은 본 발명 메인 베이스에 스킨 베이스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 가발의 제 2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A" 부위 결합 전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제 1,2가르마 파트와 스킨 베이스의 결합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 가발의 제 3실시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 가발의 가르마 방향별 착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용상태도.
본 발명은 메인 베이스의 선단 좌,우측에 복수의 가르마 파트를 형성시켜 착용자의 취향에 따라 가르마의 방향을 선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메인 베이스의 선단부 부분을 부분 교체할 수 있도록 한 가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앞라인이 자연스러운 가발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가발 착용시 가르마를 생성시키기 위한 선단부 좌,우측에 제 1,2가르마 파트를 갖는 네트 형태의 메인 베이스(50)와, 메인 베이스(50)의 가장자리 부위에 배치되는 스킨 베이스(100)로 대별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제 1,2가르마 파트(55a,55b)는 메인 베이스(50)의 선단부 부위에 좌,우 양측으로 형성된 홈부(52)에 일체로 결합된다.
제 1,2가르마 파트(55a,55b)는 착용자의 두피와 접촉되는 부위이므로, 인체 친화적 소재인 우레탄 또는 실리콘 소재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2가르마 파트(55a,55b)는 테두리 부위가 메인 베이스(50)의 선단부 테두리에 봉재 방식 또는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방식으로 결합된다.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2가르마 파트(55a,55b)가 결합수단에 의해 메인 베이스(50)의 선단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된 것이다.
결합수단은 제 1,2가르마 파트(55a,55b)와 메인 베이스(50)의 양측 테두리부위가 서로 탈,부착되도록 양면 테이프 또는 벨크로 테이프 등의 테이프부재(210)가 각각 마련된 것이다.
즉, 테이프부재(2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2가르마 파트(55a,55b)의 테두리 하측면과 메인 베이스(50)의 테두리 상면에 각각 배치된다.
또한, 메인 베이스(50)는 제 1,2가르마 파트(55a,55b)가 부착되는 부위에 홈부(5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스킨 베이스(100)는 메인 베이스(50)의 테두리 부위와 접착되거나, 봉재 처리로 결합되지만, 제 1,2가르마 파트(55a,55b)의 선단부와는 분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2가르마 파트(55a,55b)의 선단부가 스킨 베이스(100)의 테두리 외측에 단순히 덮이는 구조로 연결되며, 스킨 베이스(100) 또는 제 1,2가르마 파트(55a,55b)의 보수 또는 교체작업시 서로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베이스(50)의 홈부(52)에 제 1,2가르마 파트(55a,55b) 중 하나가 부착되고, 나머지 홈부(52)부위에 메인 베이스(50)와 동일한 네트 형태로 구성된 부분 베이스파트(54)가 탈 부착되는 구조로 된 것이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부분 베이스파트(54)는 앞서 설명한 제 2실시 예와 같이 양면 테이프 또는 벨크로 테이프등의 테이프부재(210)를 매개로 메인 베이스(50)의 선단부에 탈 부착된다.
즉, 부분 베이스파트(54)는 메인 베이스의 홈부(52)들 중 하나에 부착되며, 나머지 홈부(52)에 제 1,2가르마 파트(55a,55b) 중 하나가 부착된다.
또한, 부분 베이스파트(54)는 V자 심기방식을 이용하여 모발이 식모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 실시 예들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 가발의 제 1실시 예는, 제 1,2가르마 파트(55a,55b)가 메인 베이스에 봉재 처리 또는 접착제에 의해 결합되고, 메인 베이스(50)의 테두리에 스킨 베이스(100)가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한 가발은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편의에 따라 자연스럽게 가르마 방향을 좌,우로 전환할 수 있으므로, 착용자의 취향에 따라 스타일에 변화를 줄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
기존 가발의 잦은 착용시 착용자의 이마 부위와 자주 접촉되어 마모가 발생되고 이로 인해 착용감이 저하되어 메인 베이스의 선단 부위를 자주 수선하거나 가발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반면에, 제 2실시 예에 의한 본 발명은 제 1,2가르마 파트(55a,55b)가 메인 베이스(50)로부터 탈 부착이 가능하므로, 부분 교체로 인한 수선작업이 용이하며 가발(W)의 전체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제 3실시 예에 의한 본 발명은 가발 착용자의 자연모 부위별 잔존량에 따라 복수의 제 1,2가르마 파트(55a,55b)를 갖는 메인 베이스(50)를 적용하기 어려운 경우, 모발(10)이 식모된 부분 베이스파트(54)를 메인 베이스(50)의 좌,우측 홈부(52)중 하나에 결합시킴으로써, 앞라인에 풍성한 모발 이미지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발 착용자의 좌측 머리 부위에만 자연모가 풍성한 경우에는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의 제 1,2가르마 파트(55a,55b)중 제 1가르마 파트(55a)를 홈부(52)에 결합시키고, 나머지 홈부(52)에는 모발이 식모된 부분 베이스파트(54)를 결합시켜 자연스러운 앞라인 이미지를 부여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가발 착용자의 우측 머리 부위에만 자연모가 풍성한 경우에는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의 제 1,2가르마 파트(55a,55b)중 제 2가르마 파트(55b)를 홈부(52)에 결합시키고, 나머지 홈부(52)에는 모발이 식모된 부분 베이스파트(54)를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복수의 가르마 파트가 메인 베이스(50)에 일체로 고정되도록 결합되거나 테이프부재(210)에 의해 탈 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가발 착용자의 스타일 및 취향에 따라 가르마 방향을 전환시켜 자연스러운 앞라인 이미지를 부여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3실시 예는 메인 베이스(50)의 선단부 취약 부분을 부분 교체할 수 있으므로, 가발(W)의 수선작업이 용이하며 가발(W)의 전체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모발 50 : 메인 베이스
52 : 홈부 54 : 부분 베이스파트
55a,55b : 제 1,2가르마파트 100 : 스킨 베이스
W : 가발

Claims (3)

  1. 모발이 식모되는 메인 베이스와, 상기 메인 베이스의 가장자리에 마련되어 착용자의 이마라인에 부착되는 스킨 베이스를 구비하는 가발에 있어서,
    상기 메인 베이스(50)는 좌,우 양측에 홈부(52)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홈부(52)에 결합수단을 매개로 결합되는 제 1,2가르마 파트(55a,55b)를 구비하며,
    상기 메인 베이스(50)의 좌,우 양측 홈부(52)들 중 하나에 상기 제 1,2가르마 파트(55a,55b) 중 하나가 부착되고, 다른 하나의 홈부에는 모발이 식모된 부분 베이스파트(54)가 탈,부착가능하게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앞라인이 자연스러운 가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제 1,2가르마 파트(55a,55b)의 테두리와 상기 홈부(52) 테두리에 각각 마련된 테이프부재(210)를 구비하여서,
    상기 제 1,2가르마 파트(55a,55b)가 상기 홈부(52) 테두리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앞라인이 자연스러운 가발.
  3. 삭제
KR1020120100741A 2012-09-12 2012-09-12 앞라인이 자연스러운 가발 KR101445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0741A KR101445926B1 (ko) 2012-09-12 2012-09-12 앞라인이 자연스러운 가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0741A KR101445926B1 (ko) 2012-09-12 2012-09-12 앞라인이 자연스러운 가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4440A KR20140034440A (ko) 2014-03-20
KR101445926B1 true KR101445926B1 (ko) 2014-10-06

Family

ID=50644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0741A KR101445926B1 (ko) 2012-09-12 2012-09-12 앞라인이 자연스러운 가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592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50225A (ja) * 1998-06-10 1999-12-21 Harumi Otani かつら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50225A (ja) * 1998-06-10 1999-12-21 Harumi Otani かつ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4440A (ko) 2014-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37763A (en) Multi-use hair piece
KR100598708B1 (ko) 착용자의 자모 활용형 가발 및 그 제조방법
US9138024B1 (en) Jeanie hair band extension system
US20150013710A1 (en) Hairpiece comprising a headband for hair extensions
US20160113342A1 (en) Half head wig
US5647384A (en) Hair pieces and mounting for hair pieces
US20100326455A1 (en) Detachable wig arrangement and method
KR20100088250A (ko) 전후좌우 신축가능한 가발
US20110036368A1 (en) Wig and hairpiece extension arrangement
KR20160057948A (ko) 다기능 마스크
KR20120012881A (ko) 볼륨-업 기능을 갖는 가발 및 가발의 볼륨-업 방법
KR101166331B1 (ko) 가발을 구비한 헤어밴드
KR101625054B1 (ko) 롤링 포니테일 가발
JP5715781B2 (ja) かつら及び補助装飾具
KR101445926B1 (ko) 앞라인이 자연스러운 가발
US9486023B1 (en) Artificial hair apparatus and method
KR101378989B1 (ko) 방사형으로 결합된 체결부재를 이용한 앞머리용 패션가발 제조 방법
KR101378986B1 (ko) 스킨컬러베이스를 이용한 누디스킨형 패션가발
KR20160017827A (ko) 앞머리용 부분 가발
JP2005068628A (ja) 頭部生え際形成体及び頭部生え際形成体製造方法
KR100666319B1 (ko) 플렉시블 구조의 베이스부를 갖는 부분가발
KR20130058101A (ko) 모발 볼륨 업 부분 가발
KR101355553B1 (ko) 가발 착용자의 두부와 가발 사이에 탈, 부착하여 원하는 골상 형태를 유지하도록 제공되는 가발 보조구 및 그 이용방법
KR101252565B1 (ko) 단위레이스부 및 쿨-존을 형성하여 통기성 구조를 개선시킨 가발
KR101625044B1 (ko) 슬림형 통가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7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