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5200B1 - 이동 통신 시스템, 기지국, 네트워크 장치, 및 이들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시스템, 기지국, 네트워크 장치, 및 이들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5200B1
KR101445200B1 KR1020127007506A KR20127007506A KR101445200B1 KR 101445200 B1 KR101445200 B1 KR 101445200B1 KR 1020127007506 A KR1020127007506 A KR 1020127007506A KR 20127007506 A KR20127007506 A KR 20127007506A KR 101445200 B1 KR101445200 B1 KR 101445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configuration
network device
update request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7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3513A (ko
Inventor
히로아키 아미나카
고지로 하마베
Original Assignee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53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3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5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5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02Resource partitioning among network components, e.g. reuse partitioning
    • H04W16/04Traffic adaptive resource partit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3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interferences
    • H04W52/244Interferences in heterogeneous networks, e.g. among macro and femto or pico cells or other sector / system interference [OS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H04L1/000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by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ulation sche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6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using explicit feedback to the source, e.g. choke packets
    • H04L47/263Rate modification at the source after receiving feed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7Inter-user or inter-terminal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3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inter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5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private Base Stations, e.g. femto Base Stations, home Node 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Abstract

매크로 이동국에의 간섭원이 되는 홈셀을 간이하게 선택하고, 송신 전력 등을 조정함으로써 매크로 이동국에의 간섭을 저감하기 위해, 이동 통신 시스템(1)을 구성하는 복수의 기지국(10_1∼10_3)은, 무선 통신용의 셀(11_1∼11_3)을 각각 형성한다. 네트워크 장치(50)는, 기지국(10_1∼10_3) 중에서 상기 셀의 재설정을 실행해야 할 제1 기지국의 후보에, 상기 재설정을 실행시킨다. 상기 제1 기지국의 후보는, 각 기지국(10_1∼10_3)이 각 셀(11_1∼11_3)의 형성시에 사용하는 무선 리소스에 의거하여 선택된다. 혹은, 상기 제1 기지국은, 각 기지국(10_1∼10_3)에의 업링크 간섭에 의거하여 선택된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시스템, 기지국, 네트워크 장치, 및 이들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MOBILE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S, NETWORK DEVICE AND CONTROL METHOD AND PROGRAM FOR SAME}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 기지국, 네트워크 장치, 및 이들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국에의 다운링크 간섭을 저감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유저 자택 내나 오피스 내 등에 설치 가능한 소형 기지국의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 소형 기지국은, 유저에 의해 자택 내나 소규모 오피스 등에 설치되고,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이나 FTTH(Fiber To The Home) 등의 통신 회선을 경유하여 이동체 통신망에 접속된다. 이와 같은 소형 기지국은, 일반적으로, 펨토 기지국, 펨토셀 기지국, 또는 홈 기지국이라고 불리고 있다. 또한, 소형 기지국이 형성하는 셀의 커버 에어리어는, 종래의 매크로셀에 비하여 매우 작다. 이 때문에, 소형 기지국이 형성하는 셀은, 펨토셀 또는 홈셀 등으로 불리고 있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Release 8에서는, 이와 같은 소형 기지국을 Home Node B(HNB)로서 표준화하고 있다(비특허문헌 1 참조). HNB에 의해 형성되는 셀(이하, HNB셀)은, CSG(Closed Subscriber Group)셀이라고 불리는 경우가 있다. CSG셀에는, 기본적으로, 미리 등록된 이동국(예를 들면 HNB의 소유자나 그 가족 등이 사용하는 이동국)만이 접속 가능하며, 다른 이동국은 접속할 수 없다.
이 때문에, 매크로셀에 귀속하는 매크로 이동국(MUE:Macro User Equipment)은, 접속할 수 없는 HNB셀(CSG셀)의 근방에 있어서 다운링크 간섭을 받는다. 이 간섭에 기인하여, MUE의 다운링크 통신 품질을 열화시켜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의 문제에 대처하는 기술이, 비특허문헌 2에 기재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MUE가, 다운링크 간섭을 받았을 때, RRC(Radio Resource Control) 메시지의 하나인 "Mesurement Report"를, RNC(Radio Network Controller)에 대하여 송신한다. RNC는, 간섭원인 HNB셀에 대하여, 송신 전력의 조정을 지시한다.
또한, 이후의 설명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소형 기지국을 "홈 기지국"이라 총칭하고, 홈 기지국에 의해 형성되는 셀을 "홈셀"이라 호칭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매크로셀을 형성하는 기지국을 "매크로 기지국"이라 호칭하여, "홈 기지국"과 구별할 경우가 있다. 또한, "홈셀"에 접속 가능한 이동국을 "홈 이동국"이라 호칭하여, 매크로 이동국과 구별할 경우가 있다.
3GPP TR 25.820 v8.2.0(2008-09), "3G Home Node B(HNB) study item Technical Report" R3-091894, "Study on Enhanced Interference Management Mechanisms for HNB", [online], 3GPP, [2009년 9월 19일 검색], 인터넷
그러나, 상기의 비특허문헌 2에는, 간섭원인 홈셀의 특정 방법이 하등 기재되어 있지 않다. RNC에 있어서, 매크로셀 내에 형성되는 다수의 홈셀 중에서 간섭원인 홈셀을 선택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또한, MUE에 있어서 간섭원인 홈셀을 특정할 경우에는, 현재 통신 중인 주파수 이외의 주파수에 관한 무선 품질의 측정을 행하기 위해 RNC로부터 "Compressed Mode"를 이용한 홈셀 측정용으로 갭 패턴(gap pattern)을 지시하게 하는 등의 복잡한 기구가 필요하게 되며, 또한 홈셀의 특정에 큰 시간을 요하기 때문에 득책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매크로 이동국에의 간섭원이 되는 홈셀을 간이하게 선택하고, 송신 전력 등을 조정함으로써, 매크로 이동국에의 간섭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한 이동 통신 시스템, 기지국, 네트워크 장치, 및 이들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은, 제1 기지국과, 하나 또는 복수의 제2 기지국과, 상기 제1 기지국과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제2 기지국의 각각이 사용하는 무선 리소스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제2 기지국 중 적어도 1개에 대하여 컨피그레이션의 갱신 요구를 송신하는 네트워크 장치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은, 하나 또는 복수의 기지국과,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기지국 중 적어도 1개에 대하여, 컨피그레이션의 갱신 요구를 송신하는 네트워크 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갱신 요구를 수신한 기지국은, 당해 기지국에의 업링크 간섭에 의거하여, 당해 기지국의 컨피그레이션의 갱신 가부를 판정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는, 제1 기지국과 하나 또는 복수의 제2 기지국의 각각이 사용하는 무선 리소스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제2 기지국 중에서 컨피그레이션을 갱신해야 할 적어도 1개의 기지국을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선택된 기지국에 대하여, 컨피그레이션의 갱신 요구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양태에 따른 기지국은, 기지국과 통신 가능한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컨피그레이션의 갱신 요구를 수신했을 경우, 당해 기지국이 사용하는 무선 리소스에 의거하여, 당해 기지국의 컨피그레이션의 갱신 가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양태에 따른 기지국은, 기지국과 통신 가능한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컨피그레이션의 갱신 요구를 수신했을 경우, 당해 기지국에의 업링크 간섭에 의거하여, 당해 기지국의 컨피그레이션의 갱신 가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6 양태에 따른 제어 방법은, 제1 기지국, 및 하나 또는 복수의 제2 기지국과 통신 가능한 네트워크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이 제어 방법은, 각 기지국이 사용하는 무선 리소스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제2 기지국 중에서 컨피그레이션을 갱신해야 할 적어도 1개의 기지국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기지국에 대하여, 컨피그레이션의 갱신 요구를 송신 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7 양태에 따른 제어 방법은,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 가능한 기지국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이 제어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컨피그레이션의 갱신 요구를 수신했을 경우, 상기 기지국이 사용하는 무선 리소스에 의거하여, 상기 기지국의 컨피그레이션의 갱신 가부를 판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8 양태에 따른 제어 방법은,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 가능한 기지국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이 제어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컨피그레이션의 갱신 요구를 수신했을 경우, 당해 기지국에의 업링크 간섭에 의거하여, 당해 기지국의 컨피그레이션의 갱신 가부를 판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9 양태에 따른 제어 프로그램은, 제1 기지국, 및 하나 또는 복수의 제2 기지국과 통신 가능한 네트워크 장치에, 각 기지국이 사용하는 무선 리소스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제2 기지국 중에서 컨피그레이션을 갱신해야 할 적어도 1개의 기지국을 선택하는 처리와, 상기 선택된 기지국에 대하여, 컨피그레이션의 갱신 요구를 송신하는 처리를 실행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제10 양태에 따른 제어 프로그램은,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 가능한 기지국에,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컨피그레이션의 갱신 요구를 수신했을 경우, 당해 기지국이 사용하는 무선 리소스에 의거하여, 당해 기지국의 컨피그레이션의 갱신 가부를 판정하는 처리를 실행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제11 양태에 따른 제어 프로그램은,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 가능한 기지국에,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컨피그레이션의 갱신 요구를 수신했을 경우, 당해 기지국에의 업링크 간섭에 의거하여, 당해 기지국의 컨피그레이션의 갱신 가부를 판정하는 처리를 실행시킨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매크로 이동국에의 간섭원이 되는 홈셀을 간이하게 선택하고, 선택한 홈셀에 대한 송신 전력 조정 등의 재설정을 행함으로써 매크로 이동국에의 간섭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3에 공통인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홈 기지국의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매크로 이동국의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전체 동작예를 나타낸 시퀀스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매크로 이동국의 동작예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예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홈 기지국의 동작예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전체 동작예를 나타낸 시퀀스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홈 기지국의 동작예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전체 동작예를 나타낸 시퀀스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6에 공통인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전체 동작예를 나타낸 시퀀스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전체 동작예를 나타낸 시퀀스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6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전체 동작예를 나타낸 시퀀스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실시형태 1∼6을, 도 1∼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가 붙여 있으며, 설명의 명확화를 위해, 필요에 따라 중복 설명은 생략된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1)의 개략적인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 그리고 후술하는 실시형태 2 및 3에 있어서는,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에 의거한 통신이 행해질 경우를 일례로서 취급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1)을 구성하는 예를 들면 3개의 홈 기지국(HNB)(10_1∼10_3)은, 홈셀(11_1∼11_3)을 각각 형성함으로써 미리 등록된 홈 이동국(HUE:Home UE)(20_1∼20_3)과의 무선 통신을 행한다. 또한, 이후의 설명에 있어서는, HNB(10_1∼10_3)를 부호 10으로 총칭하고, HUE(20_1∼20_3)를 부호 20으로 총칭하며, 홈셀(11_1∼11_3)을 부호 11로 총칭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각 홈셀에 접속하는 HUE의 수는 복수여도 된다.
HNB(10)는, 홈 기지국 게이트웨이(HNB-GW)(2)를 통해 통신 사업자가 운용하는 코어 네트워크(3)에 접속되어 있으며, HUE(20)와 코어 네트워크(3) 사이에서 트래픽을 중계한다. HNB(10)는, 예를 들면 ADSL이나 FTTH 등의 통신 회선을 이용하고, IP(Internet Protocol) 통신망이나 인터넷 등을 경유하여 HNB-GW(2)에 접속된다.
또한, 매크로 기지국(MNB:Macro NB)(30)은, 매크로셀(31)을 형성함으로써 매크로 이동국(MUE)(40)과의 무선 통신을 행한다. 도 1의 예에서는, 매크로셀(31)은, 홈셀(11_1∼11_3)의 커버 에어리어를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MNB(30)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 장치(RNC)(50)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3)에 접속되어 있으며, MUE(40)와 코어 네트워크(3) 사이에서 트래픽을 중계한다. 또한, 매크로셀에 접속하는 MUE의 수는 복수여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MUE(40)는, HNB(10)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한다.
동작에 있어서, MUE(40)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홈셀(11_3) 내에 위치할 경우, MUE(40)에의 다운링크 간섭이 발생한다. 이때, MUE(40)는, 다운링크 간섭의 발생 요인이 되는 무선 리소스에 관한 정보(이하, 간섭 무선 리소스 정보라 호칭하는 경우가 있음)를, MNB(30)를 통해 RNC(50)에 통지한다. 여기에서, 간섭 무선 리소스 정보는, 홈셀을 고유하게 특정하기 위한 정보가 아니고, 다수의 홈셀 중에서 간섭원인 홈셀 후보를 좁히기 위한 정보(후술하는 주파수나 스크램블링 코드 등에 관한 정보)이다.
RNC(50)는, 통지된 정보에 대응하는 무선 리소스를 사용하는 HNB를, MUE(40)에의 다운링크 간섭을 발생시키는 HNB의 후보로서 선택한다. 여기에서, RNC(50)는, HNB(10_1∼10_3)가 홈셀(11_1∼11_3)의 형성시에 사용하는 무선 리소스에 관한 정보를 미리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RNC(50)는, 선택한 HNB의 후보에, 홈셀의 재설정(리컨피그레이션)을 실행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RNC(50)는, HNB-GW(2)를 통해, 선택한 HNB의 후보에 대하여 홈셀의 재설정을 요구한다. 혹은, RNC(50)는, MNB(30)를 통한 무선 통신에 의해, 홈셀의 재설정을 요구해도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MUE에의 간섭원이 되는 홈셀을 간이하게 선택할 수 있음으로써 MUE에 있어서의 다운링크 통신 품질의 열화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HNB의 후보 선택은, RNC(50)에 한하지 않고, HNB-GW(2)나 코어 네트워크(3) 내의 관리 서버(도시 생략) 등에서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RNC(50)는, HNB-GW(2)나 관리 서버 등에 대하여, MUE(40)로부터 통지된 간섭 무선 리소스 정보를 전송하면 된다.
이하, 본 실시형태에 따른 HNB(10), MUE(40), 및 RNC(50)의 구체적인 구성예 및 동작예를, 도 2∼도 8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MNB(30)에는, MUE(40)와 RNC(50) 사이에서 트래픽을 중계하는 일반적인 MNB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그 구성 및 동작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우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HNB(10)는, 무선 통신부(101)와, 통신부(102)와, 송신 처리부(103)와, 수신 처리부(104)와, 리컨피그레이션 제어부(10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홈셀(11)의 재설정에 관련하지 않은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무선 통신부(101)는, 각종 무선 리소스를 사용하여 홈셀(11)을 형성한다. 통신부(102)는, 도 1에 나타낸 HNB-GW(2)를 통해 RNC(50)와 통신한다. 송신 처리부(103)는, 통신부(102)를 통해 RNC(50)로부터 홈셀(11)에 대한 리컨피그레이션 요구를 수신하고, 리컨피그레이션 제어부(105)에 전송한다. 수신 처리부(104)는, 무선 통신부(101)를 통해 리컨피그레이션 요구를 수신하고, 리컨피그레이션 제어부(105)에 전송한다.
한편, 리컨피그레이션 제어부(105)는, 리컨피그레이션 요구에 따라, 홈셀(11)의 설정을 갱신한다. 이 후에 일정 시간이 경과했을 경우, 리컨피그레이션 제어부(105)는, 홈셀(11)의 설정을 소정의 설정 또는 갱신 전의 설정으로 되돌리도록, 송신 처리부(103)를 통해 무선 통신부(101)에 지시한다.
다음으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MUE(40)는, 무선 통신부(401)와, 수신 처리부(402)와, 송신 처리부(403)와, 다운링크 간섭 보고부(40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홈셀(11)의 재설정에 관련하지 않은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수신 처리부(402)는, 홈셀(11)로부터 다운링크 간섭을 받았을 경우, 그 취지를 간섭 무선 리소스 정보와 함께 다운링크 간섭 보고부(404)에 통지한다. 다운링크 간섭 보고부(404)는, 송신 처리부(403)에 대하여, 간섭 무선 리소스 정보를 MNB(30)를 통해 RNC(50)에 보고하도록 지시한다.
다음으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RNC(50)는, MNB(30)와의 인터페이스로서 기능하는 통신부(501)와, 코어 네트워크(3)와의 인터페이스로서 기능하는 통신부(502)와, 송신 처리부(503)와, 수신 처리부(504)와, 리컨피그레이션 제어부(50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홈셀(11)의 재설정에 관련하지 않은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송신 처리부(503)는, 리컨피그레이션 제어부(505)에 의해 생성된 리컨피그레이션 요구를, 통신부(501) 및 MNB(30)를 경유하여 HNB(10)에 무선 송신한다.
수신 처리부(504)는, 리컨피그레이션 제어부(505)에 의해 생성된 리컨피그레이션 요구를, 통신부(502), 코어 네트워크(3), 및 HNB-GW(2)를 경유하여 HNB(10)에 송신한다. 또한, 수신 처리부(504)는, MUE(40)로부터 보고받은 간섭 무선 리소스 정보를, 리컨피그레이션 제어부(505)에 전송한다.
리컨피그레이션 제어부(505)는, 간섭 무선 리소스 정보에 의거하여, 리컨피그레이션 요구를 생성함과 함께, 리컨피그레이션 요구의 수신처가 되는 HNB의 후보를 선택한다. 그리고, 리컨피그레이션 제어부(505)는, 선택한 HNB의 후보에의 리컨피그레이션 요구의 송신을, 송신 처리부(503) 또는 수신 처리부(504)에 대하여 지시한다. 이에 따라, 무선 경로 또는 유선 경로를 통해, 리컨피그레이션 요구가 선택된 HNB의 후보에 도달하게 된다. 또한, 리컨피그레이션 요구는, 무선 경로 및 유선 경로의 양자를 통해 송신되어도 된다.
이하, HNB(10), MUE(40), 및 RNC(50)의 협조 동작에 의한 홈셀(11)의 재설정에 관한 동작예를, 도 5∼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1에 나타낸 HNB(10_1∼10_3) 및 MNB(30)의 운용이 개시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HNB(10_1 및 10_3) 내의 무선 통신부(101)는, 홈셀(11_1 및 11_3)의 형성시에 주파수="F1" 및 PSC(Primary Scrambling Code)="C1"을 공통으로 사용하고, HNB(10_2) 내의 무선 통신부(101)는, 홈셀(11_2)의 형성시에 주파수="F2" 및 PSC="C2"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한편, MNB(30)는, 매크로셀(31)의 형성시에 주파수="F1" 및 PSC="C1"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스텝 S101).
MUE(40)가 홈셀(11_3) 내에 위치할 경우, MUE(40)에의 다운링크 간섭이 발생한다(스텝 S102). 이때,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MUE(40) 내의 수신 처리부(402)는, 다운링크 간섭의 레벨을 다운링크 간섭 보고부(404)에 통지한다. 다운링크 간섭 보고부(404)는, 다운링크 간섭의 레벨이 임계값(Th1)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201).
이 결과, "다운링크 간섭의 레벨≥임계값(Th1)"이 성립할 경우, 다운링크 간섭 보고부(404)는, RNC(50)에의 간섭 보고가 필요하다고 판단한다. 또한, 임계값(Th1)에는, 소정의 값을 이용해도 되고, RNC(50)로부터 지정된 값을 이용해도 된다.
그리고, 다운링크 간섭 보고부(404)는, 수신 처리부(402)를 제어함으로써 다운링크 간섭의 발생 요인이 되는 주파수="F1" 및 PSC="C1"을, 상기의 간섭 무선 리소스 정보로서 취득한다. 또한, 다운링크 간섭 보고부(404)는, 송신 처리부(403)를 제어함으로써 취득한 주파수="F1" 및 PSC="C1"을 RNC(50)에 송신한다(스텝 S103및 S202). 또한, 주파수="F1" 및 PSC="C1"은, 예를 들면 상술한 "Mesurement Report"를 이용하여 송신하면 된다. 이때, 다운링크 간섭 보고부(404)는, 다운링크 간섭의 레벨을 송신해도 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RNC(50) 내의 수신 처리부(504)는, 주파수="F1" 및 PSC="C1"을 간섭 보고로서 수신하고, 리컨피그레이션 제어부(505)에 전송한다(스텝 S301). 리컨피그레이션 제어부(505)는, 주파수="F1" 및 PSC="C1"을 사용하는 HNB(10_1 및 10_3)를, 리컨피그레이션 요구의 수신처가 되는 HNB의 후보로서 선택하는 한편, HNB(10_2)를 후보로부터 제외한다(스텝 S104 및 S302). 이 때문에, HNB(10_2)-HUE(20_2)간의 통신 환경에는, 하등 영향이 생기지 않는다. 또한, 리컨피그레이션 제어부(505)는, 주파수="F1" 또는 PSC="C1"을 사용하는 HNB를 후보로서 선택해도 된다. 이 경우, MUE(40) 및 RNC(50)의 처리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그리고, 리컨피그레이션 제어부(505)는, 송신 처리부(503) 또는 수신 처리부(504)를 제어함으로써 리컨피그레이션 요구를 HNB(10_1 및 10_3)에 대하여 송신한다(스텝 S105 및 S303).
여기에서, 리컨피그레이션 요구에는, 하기 (A)∼(C)에 나타내는 지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시킬 수 있다. 어느 쪽의 지시를 포함시켜도, MUE(40)에의 다운링크 간섭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2 이상의 지시를 포함시켰을 경우에는, 다운링크 간섭의 저감 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다.
(A) 송신 전력의 조정 지시
(B) 주파수의 변경 지시
(C) PSC의 변경 지시
또한, 리컨피그레이션 요구에 상기 (A)에 나타낸 지시를 포함시킬 경우, 리컨피그레이션 제어부(505)는, 송신 전력의 조정량도 지시한다. 여기에서, 리컨피그레이션 제어부(505)는, 당해 조정량을, MUE(40)가 통지한 다운링크 간섭의 레벨에 따라 결정해도 된다. 이 경우, MUE의 부하 및 다운링크 통신의 퍼포먼스 저하를 억제하면서, 다운링크 간섭의 저감 효과를 적절히 얻을 수 있는 메리트나, HNB-HUE간의 통신 환경에의 영향을 최소한으로 그칠 수 있는 메리트가 있다.
그리고,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HNB(10_1 및 10_3) 내의 리컨피그레이션 제어부(105)는, 리컨피그레이션 요구를 수신하고(스텝 S401), 리컨피그레이션 요구에 포함되는 지시에 따라, 홈셀(11_1 및 11_3)의 설정을 갱신한다(스텝 S402). 이 후에 일정 시간(T0)이 경과했을 경우(스텝 S403), 리컨피그레이션 제어부(105)는, 송신 처리부(103)를 통해 무선 통신부(101)를 제어함으로써 홈셀(11_1 및 11_3)의 설정을 갱신 전의 설정으로 돌린다(스텝 S404). 이에 따라 HNB(10_1)-HUE(20_1)간의 통신 환경, 및 HNB(10_3)-HUE(20_3)간의 통신 환경이 원래의 환경으로 돌아가게 된다. 또한, 리컨피그레이션 제어부(105)는, 홈셀(11_1 및 11_3)의 설정을 소정의 설정(예를 들면 초기 설정)으로 돌려도 된다.
도 5로 돌아가, RNC(50)가 HNB(10_1 및 10_3)에 대하여 송신 전력의 조정을 지시했을 경우를 예로 들면, HNB(10_1 및 10_3)는, 각각, RNC(50)로부터 지정된 조정량분 만큼 송신 전력을 낮게 한다(스텝 S106). 이때, HNB(10_1 및 10_3)는, 송신 전력을 단계적으로 낮게 해도 된다.
이 후, 일정 시간(T0)이 경과하면, HNB(10_1 및 10_3)는, 송신 전력을 조정 전의 송신 전력 또는 소정의 송신 전력(예를 들면 초기 상태에 있어서의 송신 전력)이 되도록 높게 한다(스텝 S107). 이때, HNB(10_1 및 10_3)는, 송신 전력을 단계적으로 높게 해도 된다.
또한, RNC(50)가, HNB(10_1∼10_3)에 대하여, 리컨피그레이션 요구를 일률적으로 부여함과 함께 간섭 보고로서의 주파수="F1" 및 PSC="C1"을 전송하고, 각HNB(10_1∼10_3)가, 주파수="F1" 및 PSC="C1"에 의거하여 자신의 HNB가 MUE(40)에의 간섭원이 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해도 된다. 이 경우, RNC(50)는, HNB(10_1∼10_3)가 사용하는 무선 리소스에 관한 정보를 유지하기 위한 기억 리소스를 삭감할 수 있고, 또한 처리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은, 상기의 실시형태 1에서 나타낸 이동 통신 시스템(1)과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동작에 있어서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RNC(50)가, 도 5에 나타낸 스텝 S104 및 S105 대신에, 스텝 S108에 나타내는 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RNC(50)는, 리컨피그레이션 요구의 수신처가 되는 HNB의 후보를 선택하지 않고, MUE(40)가 귀속하는 매크로셀(31) 내에 설치된 HNB(10_1∼10_3)에 대하여 리컨피그레이션 요구를 송신한다. 또한, RNC(50)는, 매크로셀(31) 내에 설치된 HNB 중 일부의 HNB에 대하여, 리컨피그레이션 요구를 송신해도 된다.
각 HNB(10_1∼10_3)는, 자신의 HNB에의 업링크 간섭에 의거하여, 각 홈셀(11_1∼11_3)에 대한 재설정의 실행 가부를 판정한다(스텝 S109). 구체적으로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HNB(10)는, 도 8에 나타낸 스텝 S401∼S404에 더하여, 스텝 S405에 나타내는 처리를 실행한다. 즉, HNB(10) 내의 수신 처리부(104)는, MUE(40)로부터의 업링크 간섭의 레벨을 측정하고, 리컨피그레이션 제어부(105)에 통지한다. 리컨피그레이션 제어부(105)는, 상기의 스텝 S401에서 리컨피그레이션 요구를 수신했을 경우, 수신 처리부(104)로부터 통지된 업링크 간섭의 레벨이 임계값(Th2)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결과, "업링크 간섭의 레벨≥임계값(Th2)"이 성립할 경우, 리컨피그레이션 제어부(105)는, 자신의 HNB(10)가 MUE(40)에의 간섭원이라고 판단하고, 상기의 스텝 S402로 진행되어 홈셀(11)의 설정을 갱신한다. 또한, 임계값(Th2)에는, RNC(50)로부터 지정된 값을 이용해도 되고, 매크로셀(31)로부터의 목표 수신 전력에 따라 HNB(10)가 결정해도 된다. 여기에서, 목표 수신 전력의 산출 방법에는, 예를 들면 본원 출원인에 의한 일본국 특원2008-080744에 기재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HNB(10)는, 임계값(Th2)을, 예를 들면 목표 수신 전력에 대하여 RNC(50)로부터 통지된 오프셋값을 더한 값으로 한다. 이 경우, HNB(10)는, 임계값(Th2)을, 자신의 HNB의 매크로셀(31) 내에 있어서의 설치 위치에 따라 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HNB(10)는, 임계값(Th2)을, 매크로셀(31)의 중앙에 가까워질수록 낮게 설정하고, 멀어질수록(매크로셀(31)의 끝에 가까워질수록) 높게 설정한다.
한편, 상기의 스텝 S405에서 "업링크 간섭의 레벨<임계값(Th2)"이 성립했을 경우, 리컨피그레이션 제어부(105)는, 자신의 HNB(10)가 MUE(40)에의 간섭원이 아니라고 판단하고, 홈셀(11)의 설정을 갱신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도 9의 스텝 S106 및 S10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제의 간섭원인 HNB(10_3)만이 홈셀의 재설정을 실행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MUE에의 간섭원이 되는 홈셀을, 상기의 실시형태 1과 비교하여 보다 정밀도 좋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HNB(10)는, 송신 전력을, 임계값(Th2)에 대한 업링크 간섭의 레벨의 초과량에 따라 자율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HNB(10)는, 당해 초과량이 클수록 송신 전력을 낮게 한다. 이 경우, RNC(50)는, 상기의 실시형태 1에서 나타낸 송신 전력의 조정량을 결정할 필요가 없음으로써 RNC(50)의 구성의 간소화나, 처리 부하의 경감 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HNB(10)는, 운용 개시시에 있어서의 주변 셀 서치의 결과를 유효 이용 하여, 주파수를 자율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HNB(10)는, 홈셀(11)의 형성시에, 주변 셀로부터의 수신 전력을 주파수마다 측정한다. 그리고, HNB(10)는, 가장 낮은 수신 전력이 측정된 주파수(즉, 자신의 HNB가 간섭원이 될 가능성이 낮은 주파수)를 사용한다. 한편, 주파수의 변경시에, HNB(10)는, 측정을 마친 수신 전력 중에서 2번째로 낮은 수신 전력이 측정된 주파수를 사용한다. 혹은, HNB(10)는, 주파수의 변경시에 새롭게 수신 전력을 측정하여, 가장 낮은 수신 전력이 측정된 주파수를 사용해도 된다. 이 후에 일정 시간(T0)이 경과하면, HNB(10)는, 송신 전력을 조정했을 경우와 마찬가지로, 사용하는 주파수를 변경 전의 주파수로 되돌린다. 이와 같이 하여 HNB(10)가 사용 주파수를 자율적으로 변경할 경우, RNC(50)는, HNB(10)가 사용하는 주파수(즉, HNB(10)에 어느 주파수를 사용시키면, MUE(40)에의 다운링크 간섭을 저감할 수 있는지)를 결정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RNC(50)의 구성의 간소화나, 처리 부하의 경감 등을 도모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은, 상기의 실시형태 1에서 나타낸 이동 통신 시스템(1)과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동작에 있어서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RNC(50)가, 도 5에 나타낸 스텝 S104 및 S105와 마찬가지로 하여, 리컨피그레이션 요구의 수신처가 되는 HNB의 후보로서 HNB(10_1 및 10_3)를 선택함과 함께, HNB(10_1 및 10_3)에 대하여 리컨피그레이션 요구를 송신한다.
HNB(10_1 및 10_3)는, 도 9에 나타낸 스텝 S109와 마찬가지로 하여, 자신의 HNB에의 업링크 간섭에 의거하여, 홈셀(11_1 및 11_3)에 대한 재설정의 실행 가부를 각각 판정한다. 이 결과, 실제의 간섭원인 HNB(10_3)만이 홈셀의 재설정을 실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MUE에의 간섭원이 되는 홈셀을, 상기의 실시형태 2와 마찬가지로 정밀도 좋게 선택할 수 있다. 더하여, 리컨피그레이션 요구의 수신처 후보 이외의 HNB는, 홈셀에 대한 재설정의 실행 가부를 판정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HNB의 처리 부하를, 상기의 실시형태 2와 비교하여 경감할 수 있고, 또한, 홈셀에 있어서의 통신 용량의 감소를 억제할 수 있다.
[실시형태 4]
상기의 실시형태 1∼3에 있어서는, W-CDMA 방식에 의거한 이동 통신 시스템을 취급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은, 다른 통신 방식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1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1a)의 개략적인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이동 통신 시스템(1a)은, 도 1에 나타낸 HNB(10_1∼10_3) 대신에, LTE(Long Term Evolution) 방식에 의거한 HeNB(Home evolved Node B)(60_1∼60_3)를 구비하고, MNB(30) 대신에, MeNB(Macro eNB)(70)를 구비하고 있는 점에서, 이동 통신 시스템(1)과 다르다. 또한, 각 HeNB(60_1∼60_3)는, MeNB(70)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후의 설명에 있어서는, HeNB(60_1∼60_3)를 부호 60으로 총칭하는 경우가 있다.
여기에서, HeNB(60)는, 홈 기지국의 하나이며, 3GPP에 의한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다. HeNB(60)는, 홈 기지국 게이트웨이(HeNB-GW)(4)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3)에 접속되어 있고, HUE(20)와 코어 네트워크(3) 사이에서 트래픽을 중계한다. 또한, MeNB(70)는, 매크로 기지국의 하나이며, RNC 상당의 제어 장치의 기능을 갖는다. MeNB(70)는, 코어 네트워크(3)에 접속되어 있으며, MUE(40)와 코어 네트워크(3) 사이에서 트래픽을 중계한다.
동작에 있어서,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 통신 시스템(1a)은, MeNB(70) 및 HeNB(60)가, 도 5에 나타낸 RNC(50) 및 HNB(10)와 마찬가지의 처리를 각각 실행함으로써 상기의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동작한다. 단, 셀 식별자에는, PSC 대신에, PCI(Physical Cell ID)를 이용한다.
이와 같이, LTE 방식을 적용할 경우에도, MUE에의 간섭원이 되는 홈셀을 간이하게 선택할 수 있음으로써 MUE에 있어서의 다운링크 통신 품질의 열화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HeNB의 후보 선택은, MeNB에 한하지 않고, HeNB-GW, 혹은 코어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나 관리 서버 등에서 행할 수 있다. 또한, LTE 방식에 있어서는, 간섭 무선 리소스 정보로서, 주파수와 시간으로 특정될 수 있는 무선 리소스 영역인 리소스 블록을 이용해도 된다. 당해 무선 리소스 영역은, 주파수 또는 시간 중 어느 한쪽으로 특정되어도 된다.
[실시형태 5]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은, 상기의 실시형태 4에서 나타낸 이동 통신 시스템(1a)과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동작에 있어서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MeNB(70) 및 HeNB(60)가, 도 9에 나타낸 RNC(50) 및 HNB(10)와 마찬가지의 처리를 각각 실행함으로써 상기의 실시형태 2와 마찬가지로 동작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MUE에의 간섭원이 되는 홈셀을, 상기의 실시형태 4와 비교하여 보다 정밀도 좋게 선택할 수 있다.
[실시형태 6]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은, 상기의 실시형태 4에서 나타낸 이동 통신 시스템(1a)과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동작에 있어서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MeNB(70) 및 HeNB(60)가, 도 11에 나타낸 RNC(50) 및 HNB(10)와 마찬가지의 처리를 각각 실행함으로써 상기의 실시형태 3과 마찬가지로 동작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MUE에의 간섭원이 되는 홈셀을, 상기의 실시형태 5와 마찬가지로 정밀도 좋게 선택할 수 있다. 더하여, 리컨피그레이션 요구의 수신처 후보 이외의 HeNB는, 홈셀에 대한 재설정의 실행 가부를 판정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HeNB의 처리 부하를, 상기의 실시형태 5와 비교하여 경감할 수 있고, 또한, 홈셀에 있어서의 통신 용량의 감소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거하여, 당업자에 의해 각종 변경이 가능한 것은 분명하다. 예를 들면 상기의 실시형태에 나타낸 HNB, RNC, HeNB, 및 MeNB의 각 처리를, 컴퓨터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으로서 제공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프로그램은, 다양한 타입의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를 이용하여 저장되고, 컴퓨터에 공급할 수 있다.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다양한 타입의 실체가 있는 기록 매체(tangible storage medium)를 포함한다.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의 예는, 자기 기록 매체(예를 들면 플로피 디스크, 자기 테이프,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광자기 기록 매체(예를 들면 광자기 디스크), CD-ROM(Read Only Memory), CD-R, CD-R/W, 반도체 메모리(예를 들면 마스크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M), 플래시 ROM, RAM(random access memory))을 포함한다. 또한, 프로그램은, 다양한 타입의 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의해 컴퓨터에 공급되어도 된다. 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의 예는, 전기 신호, 광 신호, 및 전자파를 포함한다. 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전선 및 광 파이버 등의 유선 통신로, 또는 무선 통신로를 통해, 프로그램을 컴퓨터에 공급할 수 있다.
이 출원은, 2009년 10월 1일에 출원된 일본국 출원 특원2009-229473을 기초로 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개시의 모두를 여기에 도입한다.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 기지국, 네트워크 장치, 및 이들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에 적용되고, 특히 이동국에의 다운링크 간섭을 저감하는 용도로 적용된다.
1, 1a : 이동 통신 시스템 2 : HNB-GW
3 : 코어 네트워크 4 : HeNB-GW
10, 10_1∼10_3 : HNB 11, 11_1∼11_3, 61, 61_1∼61_3 : 홈셀
20, 20_1∼20_3 : HUE 30 : MNB
31, 71 : 매크로셀 40 : MUE
50 : RNC 60, 60_1∼60_3 : HeNB
70 : MeNB 101, 401 : 무선 통신부
102, 501, 502 : 통신부 103, 403, 503 : 송신 처리부
104, 402, 504 : 수신 처리부 105, 505 : 리컨피그레이션제어부
405 : 다운링크 간섭 보고부 F1, F2 : 주파수
C1, C2 : PSC I1, I2 : PCI
T0 : 일정 시간 Th1, Th2 : 임계값

Claims (30)

  1. 제1 기지국과,
    하나 또는 복수의 제2 기지국과,
    상기 제1 기지국과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제2 기지국의 각각이 사용하는 무선 리소스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제2 기지국 중 적어도 1개에 대하여 컨피그레이션(configuration)의 갱신 요구를 송신하는 네트워크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제2 기지국 중, 상기 제1 기지국과 무선 통신을 행하는 이동국으로부터 다운링크 간섭의 발생 요인으로서 통지된 주파수 및 셀 식별자 중 적어도 한쪽을 사용하는 기지국에 대하여, 상기 갱신 요구를 송신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제2 기지국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 갱신 요구를 송신하고,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제2 기지국의 각각은, 상기 네트워크 장치를 경유하여, 이동국으로부터 다운링크 간섭의 발생 요인으로서 통지된 주파수 및 셀 식별자 중 적어도 한쪽을 사용할 경우에, 자신의 기지국의 컨피그레이션을 갱신한다고 판정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 요구를 수신한 기지국은, 당해 기지국에의 업링크 간섭에 의거하여, 당해 기지국의 컨피그레이션의 갱신 가부를 판정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 요구를 수신한 기지국은, 상기 업링크 간섭의 레벨이 임계값 이상일 경우에, 당해 기지국의 컨피그레이션을 갱신한다고 판정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6. 하나 또는 복수의 기지국과,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기지국 중 적어도 1개에 대하여, 컨피그레이션의 갱신 요구를 송신하는 네트워크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갱신 요구를 수신한 기지국은, 당해 기지국에의 업링크 간섭에 의거하여, 당해 기지국의 컨피그레이션의 갱신 가부를 판정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 요구를 수신한 기지국은, 상기 업링크 간섭의 레벨이 임계값 이상일 경우에, 당해 기지국의 컨피그레이션을 갱신한다고 판정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송신 전력의 조정, 주파수의 변경, 및 셀 식별자의 변경 중 적어도 하나를 요구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송신 전력의 조정을 요구할 경우, 상기 송신 전력의 조정량을 지시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조정량을 이동국으로부터 통지된 다운링크 간섭의 레벨에 따라 결정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 요구를 수신한 기지국은, 당해 기지국의 컨피그레이션의 갱신 후에 일정 시간이 경과했을 경우, 당해 컨피그레이션을 소정의 컨피그레이션 또는 갱신 전의 컨피그레이션으로 되돌리는 이동 통신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 요구를 수신한 기지국은, 당해 기지국의 컨피그레이션의 갱신시에 송신 전력을 조정한 후에 상기 일정 시간이 경과했을 경우, 상기 송신 전력을, 소정의 송신 전력 또는 조정 전의 송신 전력이 되도록 단계적으로 되돌리는 이동 통신 시스템.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 요구를 수신한 기지국은, 당해 기지국의 컨피그레이션의 갱신시에, 송신 전력을 임계값에 대한 상기 업링크 간섭의 레벨의 초과량에 따라 조정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 요구를 수신한 기지국은,
    운용 개시시에서의 셀의 형성시에, 주변 셀로부터의 수신 전력을 사용가능한 주파수마다 측정함과 함께, 가장 낮은 수신 전력이 측정된 제1 주파수를 사용하고,
    당해 기지국의 컨피그레이션의 갱신으로서의 주파수의 변경시에, 상기 제1 주파수를 대신하여 두번째로 낮은 수신 전력이 측정된 제2 주파수를 사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15.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 요구를 수신한 기지국은,
    당해 기지국의 컨피그레이션의 갱신으로서의 주파수의 변경시에, 주변 셀로부터의 수신 전력을 사용 가능한 주파수마다 측정함과 함께, 가장 낮은 수신 전력이 측정된 주파수를 사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16. 제1 기지국과 하나 또는 복수의 제2 기지국의 각각이 사용하는 무선 리소스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제2 기지국 중에서 컨피그레이션을 갱신해야 할 적어도 1개의 기지국을 선택하는 선택부와,
    상기 선택된 기지국에 대하여, 컨피그레이션의 갱신 요구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며,
    상기 선택부는, 상기 제1 기지국과 무선 통신을 행하는 이동국으로부터 다운링크 간섭의 발생 요인으로서 통지된 주파수 및 셀 식별자 중 적어도 한쪽을 사용하는 기지국을, 상기 컨피그레이션을 갱신해야 할 기지국으로서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장치.
  17. 삭제
  18. 기지국으로서,
    당해 기지국과 통신 가능한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컨피그레이션의 갱신 요구를 수신했을 경우, 당해 기지국이 사용하는 무선 리소스에 의거하여, 당해 기지국의 컨피그레이션의 갱신 가부를 판정하는 판정부를 구비한 기지국.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를 경유하여, 이동국으로부터 다운링크 간섭의 발생 요인으로서 통지된 주파수 및 셀 식별자 중 적어도 한쪽을 사용할 경우에, 당해 기지국의 컨피그레이션을 갱신한다고 판정하도록 구성되는 기지국.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는, 당해 기지국에의 업링크 간섭에 의거하여, 당해 기지국의 컨피그레이션의 갱신 가부를 더 판정하도록 구성되는 기지국.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는, 상기 업링크 간섭의 레벨이 임계값 이상일 경우에, 당해 기지국의 컨피그레이션을 갱신한다고 판정하도록 구성되는 기지국.
  22. 기지국으로서,
    당해 기지국과 통신 가능한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컨피그레이션의 갱신 요구를 수신했을 경우, 당해 기지국에의 업링크 간섭에 의거하여, 당해 기지국의 컨피그레이션의 갱신 가부를 판정하는 판정부를 구비한 기지국.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는, 상기 업링크 간섭의 레벨이 임계값 이상일 경우에, 당해 기지국의 컨피그레이션을 갱신한다고 판정하도록 구성되는 기지국.
  24. 제1 기지국, 및 하나 또는 복수의 제2 기지국과 통신 가능한 네트워크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각 기지국이 사용하는 무선 리소스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제2 기지국 중에서 컨피그레이션을 갱신해야 할 적어도 1개의 기지국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한 기지국에 대하여, 컨피그레이션의 갱신 요구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지국과 무선 통신을 행하는 이동국으로부터 다운링크 간섭의 발생 요인으로서 통지된 주파수 및 셀 식별자 중 적어도 한쪽을 사용하는 기지국을, 상기 컨피그레이션을 갱신해야 할 기지국으로서 선택하는 제어 방법.
  25.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 가능한 기지국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컨피그레이션의 갱신 요구를 수신했을 경우, 당해 기지국이 사용하는 무선 리소스에 의거하여, 당해 기지국의 컨피그레이션의 갱신 가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26.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 가능한 기지국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컨피그레이션의 갱신 요구를 수신했을 경우, 당해 기지국에의 업링크 간섭에 의거하여, 당해 기지국의 컨피그레이션의 갱신 가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27. 제1 기지국, 및 하나 또는 복수의 제2 기지국과 통신 가능한 네트워크 장치에,
    각 기지국이 사용하는 무선 리소스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제2 기지국 중에서 컨피그레이션을 갱신해야 할 적어도 1개의 기지국을 선택하는 처리와,
    상기 선택한 기지국에 대하여, 컨피그레이션의 갱신 요구를 송신하는 처리를 실행시키고,
    상기 선택하는 처리는, 상기 제1 기지국과 무선 통신을 행하는 이동국으로부터 다운링크 간섭의 발생 요인으로서 통지된 주파수 및 셀 식별자 중 적어도 한쪽을 사용하는 기지국을, 상기 컨피그레이션을 갱신해야 할 기지국으로서 선택하도록 처리하는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28.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 가능한 기지국에,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컨피그레이션의 갱신 요구를 수신했을 경우, 당해 기지국이 사용하는 무선 리소스에 의거하여, 당해 기지국의 컨피그레이션의 갱신 가부를 판정하는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29.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 가능한 기지국에,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컨피그레이션의 갱신 요구를 수신했을 경우, 당해 기지국에의 업링크 간섭에 의거하여, 당해 기지국의 컨피그레이션의 갱신 가부를 판정하는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30. 삭제
KR1020127007506A 2009-10-01 2010-08-25 이동 통신 시스템, 기지국, 네트워크 장치, 및 이들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KR1014452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29473 2009-10-01
JP2009229473 2009-10-01
PCT/JP2010/005238 WO2011039935A1 (ja) 2009-10-01 2010-08-25 移動通信システム、基地局、ネットワーク装置、並びにこれら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3513A KR20120053513A (ko) 2012-05-25
KR101445200B1 true KR101445200B1 (ko) 2014-09-29

Family

ID=43825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7506A KR101445200B1 (ko) 2009-10-01 2010-08-25 이동 통신 시스템, 기지국, 네트워크 장치, 및 이들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84130B2 (ko)
EP (1) EP2485515A4 (ko)
JP (2) JP5845900B2 (ko)
KR (1) KR101445200B1 (ko)
CN (1) CN102550065A (ko)
WO (1) WO20110399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81109B (zh) * 2011-05-12 2015-09-30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网络配置方法、装置和系统
JP5922957B2 (ja) * 2012-03-12 2016-05-24 西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干渉抑制方法
BR112015017593A2 (pt) * 2013-01-30 2017-07-11 Sony Corp aparelho e método de controle de comunicação, programa, e, aparelho terminal operável como um ponto de acesso para uma célula pequena
US9693293B2 (en) 2013-02-04 2017-06-2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Device-anchor base stations
US9713009B2 (en) * 2013-03-15 2017-07-18 Hitachi, Ltd. Dual connectivity of user equipment to macro and small cell in long term evolution system
CN104159282B (zh) * 2013-05-15 2018-12-1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号调整方法及装置、小区
KR20150073739A (ko) * 2013-12-23 2015-07-01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기회적 하향링크 간섭 정렬
WO2016080260A1 (ja) * 2014-11-21 2016-05-26 シャープ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
US10694474B2 (en) * 2015-10-15 2020-06-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etwork node and method for managing transmit power
JP6586516B2 (ja) * 2016-04-26 2019-10-02 京セラ株式会社 無線端末及びリレーノード
US10461889B2 (en) * 2016-08-11 2019-10-29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aware transceiver design for heterogeneous numerology system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7840A (ja) * 2002-12-24 2004-07-22 Nec Corp 無線リソース管理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管理装置、基地局及び端末
US20080188265A1 (en) 2007-02-02 2008-08-07 Ubiquisys Limited Access point power control
US20090268671A1 (en) 2003-12-01 2009-10-29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ccess point startup and initial channel selection processe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81230B1 (en) 1998-07-28 2002-04-3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ersonal base station communications
CN101103638B (zh) * 2003-12-01 2013-03-27 美商内数位科技公司 最佳化存取点信道选择的无线通信方法及装置
JP2006254326A (ja) * 2005-03-14 2006-09-21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運用チャンネル選択方法
JP4708162B2 (ja) * 2005-11-02 2011-06-22 Kddi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制御方法
JP2008080744A (ja) 2006-09-28 2008-04-10 Mitsubishi Plastics Ind Ltd ストレッチシュリンク積層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4579266B2 (ja) 2007-04-26 2010-11-10 京セラ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9491722B2 (en) * 2007-08-10 2016-11-08 Qualcomm Incorporated Adaptation of transmit power based on channel quality
US9078269B2 (en) * 2007-09-21 2015-07-07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management utilizing HARQ interlaces
US8948095B2 (en) * 2007-11-27 2015-02-03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manage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frequency selective transmission
EP2071738B1 (en) * 2007-12-13 2016-09-07 Alcatel-Lucent USA Inc. A picocell base station and method of adjusting transmission power of pilot signals therefrom
JP2009229473A (ja) 2008-03-19 2009-10-08 Seiko Epson Corp アクチュエータ及び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7840A (ja) * 2002-12-24 2004-07-22 Nec Corp 無線リソース管理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管理装置、基地局及び端末
US20090268671A1 (en) 2003-12-01 2009-10-29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ccess point startup and initial channel selection processes
US20080188265A1 (en) 2007-02-02 2008-08-07 Ubiquisys Limited Access point power control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Draft, R3-09189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1039935A1 (ja) 2013-02-21
EP2485515A4 (en) 2016-10-19
EP2485515A1 (en) 2012-08-08
WO2011039935A1 (ja) 2011-04-07
JP2015222969A (ja) 2015-12-10
JP5845900B2 (ja) 2016-01-20
KR20120053513A (ko) 2012-05-25
US9084130B2 (en) 2015-07-14
US20120190392A1 (en) 2012-07-26
JP6044679B2 (ja) 2016-12-14
CN102550065A (zh) 2012-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5200B1 (ko) 이동 통신 시스템, 기지국, 네트워크 장치, 및 이들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US9107136B2 (en) Femtocell access control
KR10150752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 기지국 장치, 기지국 제어 장치, 기지국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KR101609997B1 (ko) 이종 네트워크에서 간섭을 감소시키는 스케줄링되지 않은 기간 설정
US8423072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reducing interference in an uplink
JP6064913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送信電力制御装置、基地局装置、パラメータ供給装置、及び送信電力制御方法
US20130225181A1 (en) Managing communication operations based on resource usage and access terminal category
US20170238275A1 (en) Radio resource management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RU2599615C2 (ru) Устройства, способы и компьютерные программы для мобильного приемопередатчика и приемопередатчика базовой станции
US8798630B2 (en) Femtocell base station
JP5799807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104592B2 (en) Interference management in wireless heterogeneous networks
EP2838288B1 (en) Interference coordination method and device
WO2016059081A1 (en) Grouping communication devices
JP6070574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送信電力制御装置、基地局装置、パラメータ供給装置、及び送信電力制御方法
JPWO2015194553A1 (ja) 無線基地局、制御装置、移動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