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5037B1 - 동전 처리기 - Google Patents

동전 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5037B1
KR101445037B1 KR1020130066456A KR20130066456A KR101445037B1 KR 101445037 B1 KR101445037 B1 KR 101445037B1 KR 1020130066456 A KR1020130066456 A KR 1020130066456A KR 20130066456 A KR20130066456 A KR 20130066456A KR 101445037 B1 KR101445037 B1 KR 101445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
storage unit
support portion
coin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6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to KR1020130066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50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5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5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3/00Sorting a mixed bulk of coins into denominations
    • G07D3/14Apparatus driven under control of coin-sensing eleme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5/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coins, e.g. for segregating coins which are unacceptable or alien to a currenc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동전 처리기는, 동전이 투입되는 동전 투입부; 상기 동전 투입부에서 배출된 동전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장치; 및 상기 이송장치를 통과한 동전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관부는, 외부로 인출 또는 내부로 인입될 수 있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동전을 보관하는 동전 보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동전 처리기{Coin handling apparatus}
본 발명은 동전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전 처리기는, 투입된 동전을 인식하고, 인식된 동전을 보관하기 위한 장치이다.
종래의 동전 처리기는, 동전이 투입되는 동전 투입부와, 투입된 동전을 인식기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장치는 동전을 지지한 상태에서 동전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벨트를 포함한다. 상기 인식기는 상기 이송장치에 의해서 이송된 동전의 종류 및 진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식기는 미인식된 동전과 인식된 동전을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인식기에서 인식된 동전은, 배출 가이드를 따라 보관부에 수용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동전 처리기에 의하면, 상기 보관부에 수용되는 동전을 사용자가 인출하기 위해서 많은 힘을 소모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사용자는 상기 보관부에 수용되는 동전을 외부로 인출하기 위해 상기 보관부 자체를 운반하거나 상기 보관부 내부에 수용되는 동전을 하나씩 꺼내서 별도의 보관함에 이동시켜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즉, 사용자는 상기 보관부 내부에 수용되는 동전을 손쉽게 외부로 인출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87434호(2009. 08. 17)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보관부 내부에 수용되는 동전을 손쉽게 외부로 인출할 수 있는 동전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동전 처리기는, 동전이 투입되는 동전 투입부; 상기 동전 투입부에서 배출된 동전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장치; 및 상기 이송장치를 통과한 동전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관부는, 외부로 인출 또는 내부로 인입될 수 있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동전을 보관하는 동전 보관부를 포함한다.
제안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부를 따라 함께 동전 보관부가 인출된 후에 상기 동전 보관부가 회전될 수 있으므로, 상기 보관부 내부에 수용되는 동전을 외부로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전 처리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관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커버가 개방된 상태의 보관부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I-I' 부분을 절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 동전 보관부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부 커버가 개방된 상태의 보관부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I-I' 부분을 절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부 동전 보관부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동전 처리기는, 그 자체로서 하나의 제품을 이루거나 지폐, 증권(수표를 포함), 지로, 상품권 등과 같은 다양한 매체를 입수하여 입금 처리, 지로 수납, 상품권 교환 등과 같은 처리 및/또는 출금 처리, 지로 방출, 상품권 방출 등과 같은 처리와 같은 매체 처리를 수행하는 금융 업무를 수행하는 금융 기기 내에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이러한 금융기기의 예로는 현금 방출기 (CD: Cash Dispenser), 현금 입출금기 (Cash Recycling Device) 등과 같은 금융자동화기기 (ATM: Automated Teller Machine) 등이 될 수 있다. 하지만, 금융기기는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FIS (Financial Information System)와 같이 금융 업무를 자동화하는 다양한 장치가 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전 처리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전 처리기(1)는, 하나 이상의 동전을 투입할 수 있는 동전 투입부(10)와, 투입된 동전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장치(20)와, 이송된 동전을 인식하기 위한 인식기(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전 투입부(10)는, 투입된 동전을 하방으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 가이드(guide: 112)와, 상기 이송 가이드(112)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 부재(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 부재(110)는 회전 방식 또는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서 상기 이송 가이드(112)를 개폐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상기 개폐 부재(110)의 작동 방식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상기 이송 가이드(112)의 측면에는 상기 이송 가이드(112)로 투입된 동전이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1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구(114)는 다수의 동전이 배출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송장치(20)는 상기 이송 가이드(112)의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이송장치(20)는 상기 배출구(114)의 최저 높이와 동일한 높이 또는 상기 배출구(114) 보다 낮게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이송 가이드(112)의 측면에 배출구(114)가 형성되지 않고 저면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이송장치(20)는 상기 배출구(114)의 직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배출구(114)를 통하여 배출된 동전이 상기 이송장치(20)로 낙하될 수 있도록, 상기 이송장치(20)는 상기 배출구(114)와 상하 방향으로 오버랩(overlap)될 수 있다.
상기 이송장치(20)는, 복수의 이송롤러(212, 214: roller)와, 상기 복수의 이송롤러(212, 214)에 둘러져, 상측에 놓인 동전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벨트(belt: 20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상기 이송벨트(200)가 상기 배출구(114)와 상하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상기 동전 처리기(1)는 상기 이송장치(20)에 의해서 이송되는 동전을 한 층씩 분리하기 위한 분리장치(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리장치(30)는, 상기 이송장치(20)의 이격된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분리장치(30)는 복수의 분리롤러(312, 314)와, 상기 복수의 분리롤러(312, 314)에 둘러져 회전하는 분리벨트(3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리장치(30)는 상기 이송장치(20)에 의해서 이송되는 동전을 동전의 현재 이송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이송력을 제공한다. 일 예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벨트(20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이송벨트(200)에 놓인 동전은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이송된다. 반면, 상기 분리벨트(315)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이송벨트와 다른 방향으로 움직임),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송되는 동전 중 일부를 우측에서 좌측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한다.
즉, 상기 분리장치(30)는, 상기 이송장치(20) 상에 적층된 다수의 동전 중에서 상기 분리장치(30)와 접촉한 동전을 상기 분리장치(30)와 비접촉한 동전과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인식기(40)는 상기 이송장치(20)에 의해서 이송된 동전의 종류 및 진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식기(40)는 미인식된 동전과 인식된 동전을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인식기(40)는 공지의 기술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동전 처리기(1)는, 상기 인식기(40)에서 미인식된 동전을 배출하기 위한 제 1 배출 가이드(41)와, 인식된 동전을 배출하기 위한 제 2 배출 가이드(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전 처리기(1)는, 상기 인식기(40)에서 인식된 동전이 임시 집적되는 임시 집적부(50)와, 동전을 보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보관부(80)와, 동전을 반환하기 위한 동전 반환함(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식기(40)에서 미인식된 동전은 상기 동전 반환함(70)으로 반환될 수 있다. 상기 인식기(40)에서 인식된 동전은 상기 임시 집적부(50)로 이송될 수 있다.
상기 임시 집적부(50)는 동전을 보관하기 위한 하우징(housing : 510)과, 상기 하우징(510)의 하측을 개폐하는 개폐 부재(5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전 분리기(1)는 상기 임시 집적부(50)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장치(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장치(60)는 상기 임시 집적부(50)를 이동시켜, 상기 임시 집적부(50)가 상기 보관부(80)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하거나, 상기 동전 반환함(70)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이동 장치(60)는 복수의 이동롤러(612, 614)와, 상기 복수의 이동롤러(612, 614)에 둘러지는 이동벨트(616)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임시 집적부(50)는 상기 이동벨트(616)에 고정되어 상기 이동벨트(616)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이동 장치(60)의 구조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두며, 랙과 피니언 구조에 의해서 임시 집적부(50)가 이동하거나 다수의 링크에 의해서 임시 집적부(50)가 이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동전 처리기의 작동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는 동전을 처리하기 위하여 상기 동전 투입부(10)로 하나 이상의 동전을 투입할 수 있다. 상기 동전 투입부(10)로 투입된 동전은 상기 배출구(114)를 통하여 상기 이송장치(20)로 낙하된다. 상기 이송장치(20)로 낙하된 동전은 이송장치(20)에 의해서 인식기(40) 측으로 이송된다. 이 때, 상기 분리장치(30)에 의해서 이송장치(20) 상의 동전은 한 층씩 상기 인식기(40)로 낙하된다.
상기 인식기(40)에서는 동전을 인식하게 되고, 동전이 미인식되면 미인식된 동전을 상기 제 1 배출 가이드(41)로 배출시킨다. 상기 제 1 배출 가이드(41)로 배출된 동전은 상기 제 1 배출 가이드(41)에 의해서 동전 반환함(70)으로 이송된다.
반면, 상기 인식기(40)에서 동전이 인식되면, 상기 인식기(40)는 인식된 동전을 상기 제 2 배출 가이드(42)로 배출시킨다. 상기 제 2 배출 가이드(42)로 배출된 동전은 상기 제 2 배출 가이드(42)에 의해서 임시 집적부(50)에 보관된다.
동전의 인식이 완료되면, 인식 결과가 도시되지 않은 표시부에 표시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인식 결과를 확인할 수 있고, 사용자는 거래를 완료하기 위하여 확인 명령을 입력하거나 취소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확인 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임시 집적부(50)는 상기 이동 장치(60)에 의해서 상기 보관부(80)의 상방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임시 집적부(50)에 집적된 동전은 보관부(80)로 낙하되어 보관된다. 이 때, 상기 임시 집적부(50)에서 배출된 동전은 집적 가이드(43)에 의해서 가이드 되어 상기 보관부(80)로 낙하될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취소 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임시 집적부(50)는 상기 이동 장치(60)에 의해서 동전 반환함(70)의 상방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임시 집적부(50)에 보관된 동전은 상기 동전 반환함(70)으로 낙하된다.
상기 보관부(80)의 하측에는 상기 보관부(80)의 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레일(rail)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전 반환함(70)의 하측은, 상기 보관부(80)의 상측 보다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관부(80)는, 상기 동전 반환함(70)의 위치에 관계 없이 상기 레일을 따라 도 1을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보관부(80)의 세부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관부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보관부(80)는, 외관을 형성하는 지지부(81), 상기 지지부(81)의 내부에 배치되고 동전이 수용될 수 있는 동전 보관부(도 3의 82 참조) 및 상기 지지부(81)의 상측을 커버하는 외부 커버(811)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보관부(80)에서 상기 외부 커버(811)는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외부 커버(811)에는, 집적 가이드(도 1의 43 참조)에 의해서 가이드 되는 동전이 상기 지지부(81) 내부로 유입되는 통로인 외부 홀(80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 커버(811)와 상기 지지부(81)는 체결부재(813)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813)는 일정한 각도까지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힌지일 수 있다. 상기 지지부(81)의 일측에는, 상기 지지부(81)가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동되는 가이드 레일(840: guide rail)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840)에는 회전 롤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레일(840)는 상기 지지부(81)의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가이드 레일(840)은 상기 지지부(81)의 하측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가이드 레일의 종류 및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상기 보관부(80)의 하측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840)의 이동을 가이드(guide) 할 수 있는 가이드부(85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850)는, 제 1 가이드(851) 및 상기 제 1 가이드(851)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 2 가이드(85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레일(840)은 상기 제 1 가이드(851)와 상기 제 2 가이드(85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보관부(80)의 내부 구조 및 상기 보관부(8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커버가 개방된 상태의 보관부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I-I' 부분을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 동전 보관부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부(81)의 내부에는 동전이 수용될 수 있는 동전 보관부(8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81)는, 상기 동전 보관부(82)와 연결되는 제 1 지지부(812A) 및 상기 제 1 지지부(812A)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 2 지지부(812B)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1 지지부(812A)의 폭은 상기 제 2 지지부(812B)의 폭 보다 작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 커버(811)의 측부(811A)는, 상기 제 1 지지부(812A)의 외면을 덮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지지부(812A)의 폭과 상기 측부(811A)의 폭의 합은 상기 제 2 지지부(812B)의 폭 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상기 제 1 지지부(812A)는 샤프트(823)에 의해 상기 동전 보관부(82)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동전 보관부(82)는,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내부 커버(821) 및 상기 내부 커버(821)의 하측에 배치되고 동전이 수용되는 본체(82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 커버(821)에는, 외부 홀(도 2의 805 참조)과 연통되고 동전의 이동 통로가 되는 투입 홀(828)이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본체(829)에 상기 외부 홀(805)과 연통되는 투입 홀(828)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 커버(821)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전 보관부(82)에는, 상기 투입 홀(828) 및 투입된 동전이 배출될 수 있는 배출 홀(88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입 홀(828)을 통해 상기 동전 보관부(82) 내부로 투입된 동전은, 상기 배출 홀(888)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외부 커버(811)에는, 상기 투입 홀(828) 및 상기 배출 홀(888)과 대응되는 위치에 소정의 홀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본체(829)는, 상기 샤프트(823)에 의해 상기 제 1 지지부(812A)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샤프트(823)는, 상기 본체(829)와 상기 제 1 지지부(812A)가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지지부(812A)의 내벽과 상기 본체(829)의 외벽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지지부(812A) 및 상기 본체(829)에는 상기 샤프트(823)가 삽입될 수 있는 소정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의 직경은 상기 샤프트(823)의 직경과 같거나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에는, 상기 샤프트(823)가 회전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소정의 회전 부재가 설치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샤프트(823)는 상기 본체(829) 또는 상기 제 1 지지부(812A)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81)에는, 상기 동전 보관부(82)가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동전 보관부(82)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스토퍼(880)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토퍼(880)는, 상기 제 1 지지부(812A)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880)는, 상기 동전 보관부(82)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81)는 상기 가이드부(도 2의 850 참조)를 따라 직선 운동 가능하고, 상기 동전 보관부(82)는 상기 샤프트(823)에 의해 회전 운동될 수 있다.
상기 동전 보관부(82)에는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822)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본체(829)는, 다각형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부(822)는, 상기 본체(829)의 하면을 직선 방향으로 연장할 때 형성되는 가상의 면인 연장면(826)을 기준으로 θ 각도만큼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θ의 크기에는 제한이 없다.
상기 샤프트(823)의 중심을 제 1 지점(830)이라 하고, 상기 제 1 지점(830)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거리에 배치되는 상기 지지부(81)의 일 지점을 제 2 지점(831)이라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지점(830)으로부터 가장 원거리에 배치되는 상기 경사부(822)의 일 지점을 기준점(832)이라 한다. 즉, 상기 기준점(832)은, 상기 제 1 지점(830)으로부터 상기 경사부(822)까지 직선 연장시 가장 먼 거리에 배치되는 상기 경사부(822)의 일 지점으로 규정될 수 있다.
상기 제 1 지점(830)과 상기 기준점(832)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 1 지점(830)과 상기 제 2 지점(831) 사이의 거리보다 더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1 지점(830)과 상기 기준점(832) 사이의 거리를 A라 하고, 상기 제 1 지점(830)과 상기 제 2 지점(831) 사이의 거리를 B라 하면, 상기 A의 값은 상기 B의 값 보다 더 작을 수 있다. 다만, 상기 A와 B의 값에는 그 제한이 없다.
따라서 상기 동전 보관부(82)가 상기 제 1 지점(830)을 기준으로 회전시 상기 지지부(81)와 상기 동전 보관부(82)가 서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동전 보관부(82)는 상기 지지부(81)에 충돌되지 않고 회전 운동이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본체(829)의 일 지점과 상기 제 1 지점(830) 간의 최대 거리는, 상기 제 1 지점(830)과 상기 제 2 지점(831) 간의 거리 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동전 보관부(82)는, 상기 지지부(81)의 인출입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동전 보관부(82)를 양분할 때, 상기 샤프트(823)가 배치되는 전측과 상기 경사부(822)가 배치되는 후측으로 구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동전 보관부(82)는, 상기 동전 보관부(82)를 양분하는 양분선(885)을 기준으로, 전측과 후측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배출 홀(888) 및 상기 샤프트(823)는, 상기 동전 보관부(82)의 전측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동전 보관부(82)를 회전시, 상기 동전 보관부(82) 내부에 수용되는 동전이 상기 배출 홀(888)을 따라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보관부(80)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상기 지지부(81)를 상기 동전 처리기(1)의 외측으로 인출시킨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지지부(81)를 상방향으로 회전시켜, 외부 커버(도 2의 811 참조)를 개방시킨다. 상기 외부 커버(도 2의 811 참조)는 체결부재(도 2의 813 참조)에 의해 회전 운동이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동전 보관부(82)의 상면에 형성되는 핸들부(825)를 잡아 당긴다. 그러면, 상기 동전 보관부(82)는, 샤프트(823)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 운동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도 2의 813 참조)는, 상기 지지부(81)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823)는 상기 지지부(81)의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부(81)는 체결부재(도 2의 813 참조)를 중심으로 회전 운동이 수행되고, 상기 동전 보관부(82)는 상기 샤프트(823)를 중심으로 회전 운동이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동전 보관부(82) 내부의 동전이 외부로 인출되기 위해서는 상기 지지부(81)의 일 구성요소인 외부 커버(도 2의 811 참조)의 회전 방향과 상기 동전 보관부(82)의 회전 방향은 다를 수 있다.
상기 지지부(81)의 회전 운동 방향과 상기 동전 보관부(82)의 회전 운동 방향이 서로 다르므로, 상기 동전 보관부(82)가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동전 보관부(82) 내부에 수용되는 동전이 외부로 용이하게 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외부로 인출되는 동전은 별도의 보관박스에 저장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동전 보관부(82) 내부의 동전을 일괄적으로 외부로 인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부 커버가 개방된 상태의 보관부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I-I' 부분을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부 동전 보관부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 예는, 이전의 실시 예와 비교할 때, 샤프트의 위치 및 지지부의 형상에서만 차이가 있으므로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지지부(91)는, 본체(929)의 일측과 연결되는 제 1 부재(913), 상기 본체(929)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 3 부재(915) 및 상기 제 1 부재(913)와 상기 제 3 부재(915)를 연결하는 제 2 부재(91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부(91)의 상측 및 전면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제 1 부재(913)와 상기 제 3 부재(915)는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샤프트(923)에 의해 상기 본체(929)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923)는, 상기 제 1 부재(913)의 내면과 상기 본체(929)의 외면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샤프트(923)는, 상기 제 3 부재(915)의 내면과 상기 본체(929)의 외면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923)와 상기 다수의 부재(913, 915) 사이의 연결 방식은 이전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동전 보관부(92)는, 상기 지지부(91)의 인출입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동전 보관부(92)를 양분할 때, 상기 샤프트(923)가 배치되는 전측과 상기 제 2 부재(914)가 배치되는 후측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상기 동전 보관부(92)는, 상기 동전 보관부(92)를 양분하는 양분선(933)을 기준으로, 전측과 후측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전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배출 홀(932) 및 상기 샤프트(923)는, 상기 동전 보관부(92)의 전측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동전 보관부(92)를 회전시, 상기 동전 보관부(92) 내부에 수용되는 동전이 상기 배출 홀(932)을 따라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보관부(90)의 동작 방식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지지부(91)를 상기 동전 처리기(1)의 외부로 인출시킨다.
그리고, 사용자는 동전 보관부(92)의 상면에 형성되는 핸들부(925)를 잡아 당긴다. 그러면, 상기 동전 보관부(92)는, 샤프트(923)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 운동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91)의 전면 및 상면이 개구되므로, 상기 동전 보관부(92)는 도 8과 같이 회전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부(91)는, 샤프트(923)에 의해 상기 동전 보관부(92)와 연결되고, 상기 동전 보관부(92)의 회전 방향에는 상기 지지부(91)의 구성요소가 배치되지 않으므로 상기 동전 보관부(92)의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동전 보관부(92) 내부에 수용되는 동전은 상기 동전 보관부(92)의 회전 운동에 의해 손쉽게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외부로 인출되는 동전은 별도의 보관박스에 저장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동전 보관부(92) 내부의 동전을 일괄적으로 외부로 인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동전 투입부 20: 이송장치
30: 분리장치 40: 인식기
50: 임시 집적부 70: 동전 반환함
80: 보관부

Claims (7)

  1. 동전이 투입되는 동전 투입부;
    상기 동전 투입부에서 배출된 동전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장치; 및
    상기 이송장치를 통과한 동전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관부는, 외부로 인출 또는 내부로 인입될 수 있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동전을 보관하는 동전 보관부를 포함하는 동전 처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전 보관부에는 동전이 투입되고, 투입된 동전이 배출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되는 동전 처리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홀에는, 동전이 투입되기 위한 투입 홀과, 동전이 배출되기 위한 배출 홀이 형성되는 동전 처리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인출입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동전 보관부를 전측과 후측으로 양분할 때,
    상기 배출 홀은 상기 동전 보관부의 전측에 형성되는 동전 처리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동전 보관부가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동전 보관부의 회전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구비되는 동전 처리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와 상기 동전 보관부 사이에 샤프트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의 인출입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동전 보관부를 전측과 후측으로 양분할 때, 상기 샤프트는 상기 동전 보관부의 전측에 위치되는 동전 처리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전 보관부에는 상기 동전 보관부의 회전 시 상기 지지부와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한 경사부가 형성되는 동전 처리기.
KR1020130066456A 2013-06-11 2013-06-11 동전 처리기 KR101445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6456A KR101445037B1 (ko) 2013-06-11 2013-06-11 동전 처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6456A KR101445037B1 (ko) 2013-06-11 2013-06-11 동전 처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5037B1 true KR101445037B1 (ko) 2014-09-26

Family

ID=51761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6456A KR101445037B1 (ko) 2013-06-11 2013-06-11 동전 처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503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4222A (ja) * 1991-12-19 1993-07-13 Sanyo Electric Co Ltd コインメカニズム
JPH11339101A (ja) * 1998-05-22 1999-12-10 Laurel Bank Mach Co Ltd 硬貨処理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4222A (ja) * 1991-12-19 1993-07-13 Sanyo Electric Co Ltd コインメカニズム
JPH11339101A (ja) * 1998-05-22 1999-12-10 Laurel Bank Mach Co Ltd 硬貨処理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03664B2 (ja) 媒体処理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US9070241B2 (en) Bill storage box and bill handling device
KR101599131B1 (ko) 경로전환장치, 매체처리장치 및 금융 기기
US10167151B2 (en) Medium conveyance device and medium transaction device
US9947182B2 (en) Medium processing device and medium transaction device
KR101250657B1 (ko) 매체카세트 및 금융기기
JP2013175171A (ja) 搬送制御装置及び還流庫付紙葉鑑別装置
WO2016045476A1 (zh) 一种纸币回收箱以及纸币处理装置
KR20140084535A (ko) 지폐류 입출금장치
JP2013175172A (ja) 紙葉還流庫
KR101657764B1 (ko) 매체보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매체처리장치
KR101445037B1 (ko) 동전 처리기
KR101609458B1 (ko) 동전 처리기 및 금융기기
US10147261B2 (en) Medium handover device
CN108961535B (zh) 纸币处理装置
KR101390524B1 (ko) 동전 처리기 및 금융 기기
KR20170113996A (ko) 지폐처리장치
KR101457296B1 (ko) 동전 처리기 및 금융 기기
JP6019579B2 (ja) 硬貨処理装置
KR101781686B1 (ko) 경로전환장치, 매체처리장치 및 금융기기
KR101750394B1 (ko)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제어방법
KR101672597B1 (ko) 매체 처리 장치 및 금융 기기
KR20140124233A (ko) 매체 집적분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49757B1 (ko) 동전 처리기 및 금융기기
KR20160077777A (ko) 지폐입출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