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4847B1 - 카메라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4847B1
KR101444847B1 KR1020090114638A KR20090114638A KR101444847B1 KR 101444847 B1 KR101444847 B1 KR 101444847B1 KR 1020090114638 A KR1020090114638 A KR 1020090114638A KR 20090114638 A KR20090114638 A KR 20090114638A KR 101444847 B1 KR101444847 B1 KR 101444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ignal
main body
inpu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4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7990A (ko
Inventor
박창욱
유병욱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4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4847B1/ko
Publication of KR20110057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7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4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4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06F3/0383Signal control means within the point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Abstract

본 발명에 관한 카메라 제어 장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조작부와 조작부의 신호를 출력하는 단자부를 구비하여 서로 다른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 개의 입력 유닛들과, 입력 유닛들이 결합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삽입부들과 단자부와 접속되도록 삽입부에 형성되어 단자부의 신호를 수신하는 접속부를 구비하는 본체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카메라 제어 장치{Camera control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예는 카메라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상이한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 개의 입력 유닛들이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입력 유닛들의 설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카메라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감시 카메라 시스템은 특정 장소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거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카메라를 통하여 입력되는 영상을 처리하여 대상을 인식하고, 특정 지역을 감시하는 시스템이다. 감시 카메라 시스템은 감시 카메라를 이용하여 장/단 거리 및 주/야간 원격 제어에 의하여 침입자를 탐지 및 추적할 수 있으므로, 위험 영역의 감시 및 추적 또는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감시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데이터는 중앙의 감시통제 제어시스템으로 전송되어 모니터링을 위해 화면에 표시되거나 저장 장치에 저장된다. 카메라 제어 장치는 이러한 감시 카메라 시스템에서 감시 카메라들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장치로서, 여러 대의 카메라들 중의 일부를 선택하거나 선택한 카메라의 각도와 줌 영역을 조정하는 등의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카메라 제어 장치는 조이스틱 형태나 조그 셔틀(jog shuttle) 형태의 입력 장치들을 구비한다. 그러나 종래의 카메라 제어 장치에 의하면, 이러한 입력 장치들의 장착 위치가 고정되므로 오른손잡이 또는 왼손잡이와 같은 사용자의 신체 조건이나 사무 환경 등의 필요에 따라 그 위치를 조정할 수 없어서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오랜 시간에 걸쳐 카메라 제어 장치를 사용할 때에도 입력 장치들의 장착 위치 조정이 불가능하므로 작업자의 피로를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입력 장치들의 장착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카메라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카메라 제어 장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조작부와 조작부의 신호를 출력하는 단자부를 구비하여 서로 다른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 개의 입력 유닛들과, 입력 유닛들이 결합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삽입부들과 단자부와 접속되도록 삽입부에 형성되어 단자부의 신호를 수신하는 접속부를 구비하는 본체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본체는, 접속부와 연결되어 입력 유닛들의 신호를 수신하거나 외부장치와 연결되어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본체는 통신부에 연결되어 입력 유닛들의 신호를 처리하거나 통신부를 통해 입력된 외부장치의 제어 신호를 처리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본체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메인 조작부를 더 구비할 수 있고, 제어부가 메인 조작부의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본체는 제어부에 연결되어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입력 유닛들은 조작부와 단자부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구비할 수 있고, 삽입부는 프레임의 외곽의 적어도 일부분에 대응하는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프레임은 삽입부의 요홈에 삽입되어 프레임을 지지하는 돌기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삽입부는 프레임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하는 홈부를 구비할 수 있고, 프레임은 홈부를 따라 슬라이딩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단자부는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 개의 핀들을 구비할 수 있고, 입력 유닛은 조작부의 형식에 따라 핀들 중의 일부를 이용하여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카메라 제어 장치는, 입력 유닛들이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됨과 아울러 입력 유닛들의 장착 구조가 동일하므로 장착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성이 증대된다. 입력 유닛들은 조작부의 형태에 따라 상이한 신호들을 출력하므로, 본체에서 입력 유닛들이 장착되는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본체는 입력 유닛들의 신호에 기초하여 입력 장치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한 카메라 제어 장치의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 제어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 는 도 1의 카메라 제어 장치의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 제어 장치는 원격에서 감시 카메라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감시 카메라가 패닝(panning) 또는 틸팅(tilting) 동작을 하게 함으로써 감시 카메라의 방향을 변경하거나, 줌(zoom) 기능을 작동하여 더 먼 위치를 촬영하게 하거나 혹은 특정 영역을 확대하여 촬영하게 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카메라 제어 장치는 감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어 저장된 영상을 불러와 재생하거나 편집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 제어 장치에서는, 복수 개의 입력 유닛들(10, 2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카메라를 제어하기 위해 직접 조작하는 조작부들(11, 21, 22)의 설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함으로써 카메라 제어 장치의 사용상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 제어 장치는, 서로 다른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 개의 입력 유닛들(10, 20)과, 입력 유닛들(10, 20)을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삽입부(31, 32)를 갖는 본체(30)를 구비한다.
본체(30)는 이하에서 설명될 제어부와 같은 구성 요소들을 내장하여, 카메라 제어 장치의 전체 구성 요소들을 제어함과 동시에 물리적으로 지지하는 프레임의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이다. 본체(30)는 복수 개의 입력 유닛들(10, 20)을 탈부착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실시예에서는 입력 유닛들(10, 20)이 제1 입력 유 닛(10)과 제2 입력 유닛(20)의 두 개를 포함하도록 구현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입력 유닛들(10, 20)의 개수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체(30)에 입력 유닛들(10, 20)을 장착하기 위한 삽입부들과 접속부들을 더 설치함으로써 설계상의 필요에 따라 장착되는 입력 유닛들(10, 20)의 개수를 확장할 수 있다.
제1 입력 유닛(10)은 신호를 발생시키는 조작부(11)와, 조작부(11)의 신호를 출력하는 단자부(17)를 구비한다. 제2 입력 유닛(20)도 조작부(21, 22)와, 단자부(27)를 구비한다. 입력 유닛들(10, 20)은 조작부(11, 21, 22)와 단자부(17, 27)를 지지하는 사각 형상의 프레임(15, 25)을 구비한다.
제1 입력 유닛(10)의 조작부(11)는 조이스틱 형태로 이루어져 상하 좌우 방향의 사용자의 조작을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제2 입력 유닛(20)의 일 조작부(21)는 키패드 형태로 이루어지며 다른 조작부(22)는 다이얼 형태로 이루어진다. 사용자는 제2 입력 유닛(20)의 조작부들(21, 22)을 조작함으로써 본체(30)의 표시부(60)에 표시된 화상의 특정 영역을 선택하거나 메뉴를 선택하는 등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입력 유닛들(10, 20)에 구비되는 조작부(11, 21, 22)의 구체적인 형태는 도면에 도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카메라 제어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조작부를 채택할 수 있다.
입력 유닛들(10, 20)이 구비하는 조작부들(11, 21, 22)의 형태는 서로 상이하므로, 입력 유닛들(10, 20)은 조작부들(11, 21, 22)의 형태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본체(30)는 입력 유닛들(10, 20)이 결합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삽입부들(31, 32)을 구비한다. 삽입부들(31, 32)은 동일한 모양을 갖는다. 즉 삽입부들(31, 32)은 프레임(15, 25)의 외곽에 대응하는 사각형으로 이루어진다. 삽입부들(31, 32)과 프레임(15, 25)의 모양은 사각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입력 유닛들(10, 20)이 서로 호환하여 장착되게 할 수 있는 다른 모양으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15, 25)과 삽입부들(31, 32)은 원형, 타원형, 삼각형, 마름모형 등의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본체(30)는 삽입부(32, 31)에 형성되는 접속부들(35, 36)을 구비할 수 있다. 접속부들(35, 36)은 각각 입력 유닛들(10, 20)의 단자부들(17, 27)에 결합함으로써, 단자부들(17, 27)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카메라 제어 장치의 입력 유닛의 하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카메라 제어 장치의 일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카메라 제어 장치에서 입력 유닛의 하나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입력 유닛(10)의 프레임(15)의 외측 면에는 돌기부(19a)가 형성된다. 돌기부(19a)는 도 1 및 도 2의 삽입부(31, 32)에 형성된 요홈(31a, 32a)에 결합함으로써, 삽입부(31, 32)에 대하여 프레임(15)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입력 유닛(20)의 프레임(25)에도 돌기부(19a)가 형성된다.
돌기부(19a)는 프레임(15)의 내측을 향해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탄성판(19)에 형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입력 유닛(20)이 삽입부(32)에 삽입될 때에 돌기부(19a)가 삽입부(32)의 내측 면에 의해 가압되어 탄성판(19)이 프레임(15)의 내측으로 약간 탄성 변형되고, 돌기부(19a)가 요홈(32a)에 삽입됨으로써 프레임(15)이 본체(30)의 삽입부(32)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본체(30)의 삽입부(32)에서 프레임(15)을 분리할 때에는 탄성판(19)을 프레임(15)의 내측으로 가압하면 돌기부(19a)가 요홈(32a)에서 빠져나오게 한 후에 제2 입력 유닛(20)을 본체(30)에서 분리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체(30)의 삽입부(32)에 제2 입력 유닛(20)을 삽입하면 제2 입력 유닛(20)의 단자부(27)의 핀(27a)이 삽입부(32)에 형성된 접속부(36)에 접촉한다. 단자부(27)의 핀(27a)과 접속부(36)가 접촉한 상태에서는 본체(30)가 접속부(36)를 통해 제2 입력 유닛(20)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카메라 제어 장치의 구성 요소들의 연결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체(30)는 통신부(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통신부(40)는 접속부들(35, 36)과 연결되어 입력 유닛들(10, 20)의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통신부(40)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외부 입력단자들(41)과 연결되어 외부장치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거나 제어 신호를 외부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입력 유닛들(10, 20)은 사용자에 의한 조작부(11, 22)의 조작을 신호로 변경하는 신호 발생부(18, 28)와, 신호 발생부(18, 28)의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단자부(17, 27)를 구비한다. 단자부(17, 27)는 복수 개의 핀들(17a, 27a)을 구비한다.
제1 입력 유닛(10)와 제2 입력 유닛(20)는 조작부(11, 22)의 형태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를 발생시키므로, 제1 입력 유닛(10)의 단자부(17)는 핀들(17a) 중의 일부를 이용하여 신호를 출력하고 제2 입력 유닛(20)의 단자부(27)는 핀들(27a) 중의 다른 일부를 이용하여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핀들(17a, 27a)이 10 개이고 각각의 핀들(17a, 27a)에 순서대로 1번부터 10번까지의 번호가 부여된 경우, 제1 입력 유닛(10)에서는 1번 내지 4번의 핀들을 이용하고 제2 입력 유닛(20)에서는 5번 내지 8번의 핀들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을 이용하여 접속부들(35, 36)에 제1 입력 유닛(10)이나 제2 입력 유닛(20)의 어느 것이 접속되어도, 제어부(50)는 입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조작부(11, 22)의 형태를 식별할 수 있다.
본체(30)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메인 조작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에서 메인 조작부의 예로써 키패드(70)가 사용되었다. 키패드(70)와 같은 메인 조작부는 본체(30)에 고정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신호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체(30)는 제어부(50)에 연결되어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6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통신부(40)를 통해 외부장치의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시 카메라의 영상 신호가 통신부(40)를 통해 입력되면 제어부(50)가 감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표시부(60)에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카메라 제어 장치에 의하면 제1 입력 유닛(10)과 제2 입력 유닛(20)을 삽입부들(31, 32)에 교체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선호하는 위치에 입력 유닛들(10, 20)을 배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카메라 제어 장치의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작업 피로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 제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 제어 장치에 있어서, 카메라 제어 장치는 서로 다른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 개의 입력 유닛들(110, 120)과, 입력 유닛들(110, 120)을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삽입부(141, 142)를 갖는 본체(130)를 구비한다.
도 7의 실시예에서도 입력 유닛들(110, 120)이 제1 입력 유닛(110)과 제2 입력 유닛(120)의 두 개를 포함하도록 구현되었으므로,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난 실시예와 유사하지만 입력 유닛들(110, 120)이 본체(130)에 결합되는 구조가 변형되었다.
본체(130)는 입력 유닛들(110, 120)이 결합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삽입부들(141, 142)을 구비한다. 삽입부들(141, 142)은 동일한 모양을 가지며, 입력 유닛들(110, 120)의 프레임(115, 125)의 외곽에 대응하는 사각형으로 이루어진다. 삽입부들(141, 142)은 프레임(115, 125)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직선적으로 연장하며, 본체(130)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개방되는 홈부(141a, 142a)를 구비한다.
제1 입력 유닛(110)은 신호를 발생시키는 조작부(111)와, 조작부(111)의 신호를 출력하는 단자부를 구비한다. 제2 입력 유닛(120)도 조작부(121)와, 단자부(127)를 구비한다. 제1 입력 유닛(110)의 단자부는 도시되지 않앗으나, 제2 입력 유닛(120)과 같은 형태를 가지며 같은 위치에 배치되는 단자부를 구비한다. 입력 유닛들(110, 120)은 조작부(111, 121)와 단자부(127)를 지지하는 사각 형상의 프레임(115, 125)을 구비한다.
프레임(115, 125)의 가장자리에는 삽입부들(141, 142)의 홈부(141a, 142a)에 삽입되어 홈부(141a, 142a)를 따라 직선적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레일(115a, 125a)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입력 유닛들(110, 120)을 삽입부들(141, 142)에 결합할 때에는 프레임들(115, 125)의 레일(115a, 125a)을 홈부(141a, 142a)에 삽입한 후, 프레임들(115, 125)을 밀어 넣는 방식으로 결합한다.
본체(130)는 삽입부(141, 142)에 형성되는 접속부들(135, 136)을 구비할 수 있다. 프레임들(115, 125)이 삽입부(141, 142)에 결합하면 접속부들(135, 136)은 각각 입력 유닛들(110, 120)의 단자부들(127)에 접촉함으로써, 단자부들(127)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카메라 제어 장치에 의하면 제1 입력 유닛(110)과 제2 입력 유닛(120)을 삽입부들(141, 142)에 교체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선호하는 위치에 입력 유닛들(110, 120)을 배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작업 피로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인 입력 유닛들이 본체에 장착되는 구조, 예를 들어 슬라이딩 결합 방식 또는 홈의 전면으로부터 삽입하는 방식 등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입력 유닛들의 설치 위치를 상호 교환하여 변경할 수 있게 하는 다양한 형태의 구조를 사용하여 입력 유닛들을 본체에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 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 제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카메라 제어 장치의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카메라 제어 장치의 입력 유닛의 하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카메라 제어 장치의 일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카메라 제어 장치에서 입력 유닛의 하나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카메라 제어 장치의 구성 요소들의 연결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 제어 장치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9a: 돌기부 70: 키패드
19: 탄성판 30, 130: 본체
21: 조작부 17, 27, 127: 단자부
40: 통신부 115a, 125a: 레일
41: 외부 입력단자 10, 20, 110, 120: 입력 유닛
17a, 27a: 핀들 15, 25, 115, 125: 프레임
18, 28: 신호 발생부 141a, 142a: 홈부
50: 제어부 11, 21, 22, 111, 121: 조작부
60: 표시부 35, 36, 135, 136: 접속부
31a, 32a: 요홈 31, 32, 141, 142: 삽입부

Claims (9)

  1. 신호를 발생시키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신호를 출력하는 단자부를 구비하여, 서로 다른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 개의 입력 유닛들; 및
    상기 입력 유닛들이 결합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삽입부들과, 상기 단자부와 접속되도록 상기 삽입부에 형성되어 상기 단자부의 신호를 수신하는 접속부를 구비하는,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입력 유닛들은 상기 조작부와 상기 단자부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프레임의 외곽의 적어도 일부분에 대응하는 모양을 가지며,
    상기 삽입부는 상기 프레임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직선적으로 연장하며 상기 본체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개방되는 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홈부에 삽입되는 레일을 구비하여 상기 홈부를 따라 슬라이딩 결합하는, 카메라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접속부와 연결되어 상기 입력 유닛들의 신호를 수신하거나 외부장치와 연결되어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구비하는, 카메라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통신부에 연결되어 상기 입력 유닛들의 신호를 처리하거나 상기 통신부를 통해 입력된 외부장치의 제어 신호를 처리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카메라 제어 장치.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메인 조작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 가 상기 메인 조작부의 신호를 처리하는, 카메라 제어 장치.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구비하는, 카메라 제어 장치.
  6. 삭제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삽입부의 요홈에 삽입되어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는 돌기부를 구비하는, 카메라 제어 장치.
  8. 삭제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KR1020090114638A 2009-11-25 2009-11-25 카메라 제어 장치 KR101444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4638A KR101444847B1 (ko) 2009-11-25 2009-11-25 카메라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4638A KR101444847B1 (ko) 2009-11-25 2009-11-25 카메라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7990A KR20110057990A (ko) 2011-06-01
KR101444847B1 true KR101444847B1 (ko) 2014-09-26

Family

ID=44393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4638A KR101444847B1 (ko) 2009-11-25 2009-11-25 카메라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484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1595A (ko) * 2005-05-24 2006-11-29 브이케이 주식회사 무인 감시카메라 위치정보 표시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무인 감시카메라 위치정보 표시방법
JP2008500780A (ja) 2004-05-25 2008-01-10 ペルコ 監視システムコントロー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00780A (ja) 2004-05-25 2008-01-10 ペルコ 監視システムコントローラ
KR20060121595A (ko) * 2005-05-24 2006-11-29 브이케이 주식회사 무인 감시카메라 위치정보 표시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무인 감시카메라 위치정보 표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7990A (ko) 2011-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2066B1 (ko) 추적감시용 카메라 장치 및 이를 채용하는 원격 감시 시스템
US9402019B2 (en) Autofocus system
US20070115355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pan tilt zoom camera
US20030202102A1 (en) Monitoring system
EP2293542A2 (en) Autofocus frame auto-tracking system
EP2200272B1 (en) Autofocus system
JP2000505265A (ja) 動画像カメラを制御、調整および監視する装置
EP2592538A2 (en) Portable device with display function
KR20150072899A (ko) 렌즈 마운팅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렌즈 교환식 촬영장치
EP2237552B1 (en) Autofocus system
KR101195567B1 (ko) 사각지역 촬영이 가능한 감시카메라 및 그 제어방법
JP5250146B1 (ja) スタジオカメラアダプタ、スタジオカメラアダプタシステム
KR101444847B1 (ko) 카메라 제어 장치
JP5427114B2 (ja) プロジェクタ装置
JP5328616B2 (ja) Af枠自動追尾システム
KR100964339B1 (ko) 광역 및 협역을 동시에 감시하는 감시카메라
JP2018174495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インターホン子機、及びプログラム
US10484613B2 (en) Image capturing control apparatus capable to perform notification for change of capturing range associated with indicating inclusion of mikire, method of controlling, and storage medium
JP5276538B2 (ja) Af枠自動追尾システム
EP2187625B1 (en) Autofocus system
KR101061868B1 (ko) 듀얼 감시 카메라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JP2011109324A (ja) テレビカメラシステム
KR200480446Y1 (ko) Cctv 시스템 제어장치
CN103902028A (zh) 输入设备、交互系统和输入方法
KR19990086124A (ko) 영상 표시기를 구비한 콘트롤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