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4441B1 - 방수시트 위에 줄눈이 있는 마감재 방수공법 - Google Patents

방수시트 위에 줄눈이 있는 마감재 방수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4441B1
KR101444441B1 KR1020140020689A KR20140020689A KR101444441B1 KR 101444441 B1 KR101444441 B1 KR 101444441B1 KR 1020140020689 A KR1020140020689 A KR 1020140020689A KR 20140020689 A KR20140020689 A KR 20140020689A KR 101444441 B1 KR101444441 B1 KR 101444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waterproof sheet
joint
double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0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경환
김영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파엘지종합특수방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파엘지종합특수방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파엘지종합특수방수
Priority to KR1020140020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44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4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44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35Roofing slabs or stiff sheets comprising two or more layers, e.g. for insulation
    • E04D3/351Roofing slabs or stiff sheets comprising two or more layers, e.g. for insulation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e.g. fibre or foam material
    • E04D3/352Roofing slabs or stiff sheets comprising two or more layers, e.g. for insulation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e.g. fibre or foam material at least one insulating layer being located between non-insulating layers, e.g. double skin slabs or she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38Devices for sealing spaces or joints between roof-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03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 E04G23/0211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using inj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방수시트 위에 줄눈이 있는 마감재 방수공법은, 바탕면에 방수시트를 설치하는 단계와, 방수시트 표면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복수개의 양면 점착테이프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복수개의 양면 점착테이프층 사이의 방수시트 표면에,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양면 점착테이프층과 접착제층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복수개의 마감재를 설치하는 단계와, 복수개의 마감재 사이에, 접착제로 줄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방수시트 위에 줄눈이 있는 마감재 방수공법{Method for waterproofing finishing material using expansion joint over waterproofing sheet}
본 발명은 방수시트 위에 줄눈이 있는 마감재 방수공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수시트를 설치한 옥상의 보수공사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방수시트 위에 줄눈이 있는 마감재 방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국내의 방수시트 공법의 대부분은 고무화 아스팔트 시트를 많이 이용하고 있다. 그리고, 고무화 아스팔트 시트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PE 폼를 합지하여 그 위에 중도층으로 무기도막 방수제나 우레탄 중도층을 3mm 정도 시공한 후에 상도층을 시공하고 있다.
이때, 작업 공정수가 3회 또는 그 이상이 소요되고, 아스팔트 시트위에 시공하는 방수층의 두께가 얇으면(1mm이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중에 기온이 시트에 직접 전달되어 시트층이 뒤틀리거나 솟아오르는 등의 변형이 되어 방수 현장에서 불량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고무화 아스팔트 시트에는 단열기능이 없기 때문에 건축물의 슬라브에 단열이 제대로 되지 않은 경우에는 겨울철에 실내에 결로 현상이 생겨서 벽지가 젖고 곰팡이가 발생된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수시트 위에 대한 요청이 제기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97784호에는 무용제 우레탄 방수제 코팅층과 단열복합방수시트의 우수한 결합력을 통해 최소의 공정 단계로 시공가능하며, 방수층 사이의 박리사고가 근본적으로 발생할 수 없는 구조로 형성되며, 시공 후에도 충격에 의해 방수층이 파열될 우려가 없는, 단열복합방수시트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단열복합방수공법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건물옥상, 주차장, 아파트 배란다와 같은 바닥에 방수시트를 시공하게 되면 방수에는 문제가 없으나 세월이 지나면 햇빛, 자외선, 기온변화, 강우, 눈 등의 외부 변화에 의해 방수시트의 외관 (상도층)이 색이 발하여 3∼5년마다 보수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이에 방수시트 위에 마감재로 변색이 없는 타일, 대리석, 합성시트를 주로 시공하고자 한다. 그러데 이들은 크기가 작아서 이음새가 많고 이음새는 시공 후 줄눈을 형성하는데 이때 줄눈은 건물의 옥상에 시공할 경우 기온변화, 건물의 진동으로 줄눈에 크랙이 발생하게 되어 누수가 발생되므로 전문방수업체 조차도 시공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97784호(공개일 2011.12.1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수시트가 변색되지 않는 타일, 대리석, 합성시트 등을 사용하여 완전한 방수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의 변색된 방수시트 위에 줄눈이 있는 타일, 대리석, 합성시트를 사용하여 보수 보강하는 방수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줄눈 아래 부분에 수 cm의 폭을 갖는 양면 점착테이프층을 형성하여 방수와 외부에서의 누수확인이 가능한 방수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수시트 위에 줄눈이 있는 마감재 방수공법은, 바탕면에 형성된 방수시트 표면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복수개의 양면 점착테이프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복수개의 양면 점착테이프층 사이의 방수시트 표면에,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양면 점착테이프층과 접착제층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복수개의 마감재를 설치하는 단계와, 복수개의 마감재 사이에 접착제로 줄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마감재는 타일, 대리석, 합성시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양면 점착테이프층은 베이스기재로 사용되며 두께 3±0.5mm 인 PE 폼와, 상기 PE 폼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방수시트 위에 점착되며, 천연고무 20∼25중량%, 점착부여수지 20∼25중량%, 탄산칼슘 50∼55중량%, 및 아연화 5중량%로 구성되고 두께 100㎛∼200㎛, 접착력(peel adhesion) 500∼750gㆍf/25mm 인 제1 점착제와, 상기 PE 폼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마감재에 점착되며, 천연고무 20∼25중량%, 점착부여수지 20∼25중량%, 고흡수성 수지 10∼15중량%, 탄산칼슘 40∼45중량%, 아연화 3중량%, 색소 2중량%로 구성되고 두께 200㎛∼300㎛, 접착력(peel adhesion) 750∼1000gㆍf/25mm인 제2 점착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수시트 위에 줄눈이 있는 마감재 방수공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기존에 방수시트를 철거하지 않고 줄눈이 있는 마감재로 완전한 방수시공이 가능하다.
둘째, 방수시트가 변색되지 않아 미려한 외관을 오래 지속해준다.
셋째, 줄눈 아래 부분에 3∼5cm의 폭을 갖는 양면 점착테이프층을 형성하여 방수와 외부에서의 누수확인이 가능하다.
도 1a, 도 1b는 종래 아스팔트 시트를 사용하였을 때 발생했던 문제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감재 방수 구조체를 도시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점착테이프층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시트 위에 줄눈이 있는 마감재 방수공법의 순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점착테이프와 마감재의 시공시 구조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양상을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감재 방수 구조체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탕면(210)에 형성된 방수시트(220)와, 방수시트(220) 표면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양면 점착테이프층(240)과, 복수개의 양면 점착테이프층(240) 사이의 방수시트(220) 표면에 형성되는 접착제층(240)과, 양면 점착테이프층(240)과 접착제층(230)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마감재(250)와, 복수개의 마감재(250) 사이에, 줄눈을 따라 형성되는 접착제(260)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바탕면(210)은 건물옥상, 주차장, 아파트 배란다와 같은 바닥이 될 수 있으며, 방수시트(220)는 바탕면(210)에 단열시트를 시공하고, 단열시트에 혼합직물시트를 시공한 후 무용제 우레탄 방수제로 코팅함으로써 단열시트층과 혼합직물시트층과 무용제 우레탄 방수제 코팅층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시트와 시트 사이의 접합부위를 무용제 우레탄 방수제 또는 아크릴계 무기질 도막방수제로 코팅함으로써 이음매로 인한 하자 발생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접착제층(230)은 수성SBR라텍스 34.75∼39.75(중량%), 탄산칼슘 60∼65(중량%), 증점제 0.25(중량%)로 구성되고 점도 15,000∼20,000cps인 접착제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되는 접착제의 점도가 15,000cps 이하이고 평량이 8kg/㎡이상일 경우, 접착제층(230)의 접착제는 유동성을 띄나 양면 점착테이프층(240)으로 침투하여 양면 점착테이프층(240)의 성능을 저하시킨다. 사용되는 접착제의 점도가 20,000cps 이상인 경우, 접착제층(230)의 제조가 용이하지 않고 접착제를 6kg/㎡ 이하로 사용할 경우 접착강도가 좋지 않았다. 이에 접착제층(230)에 사용되는 접착제의 양은 6∼8kg/㎡인 것이 바람직하다.
양면 점착테이프층(240)은, 복수개의 마감재(250) 사이에 줄눈을 따라 형성되는 접착제(260)가 방수기능을 상실할 경우 방수 기능과 보수부위 확인이 가능하도록 점착제에 고흡수성 수지와 색상을 배합하여 구현된다. 줄눈을 따라 형성되는 접착제에 크랙이 발생한다면 크랙사이로 누수가 발생하게 되고 이때 수분을 양면 점착테이프층(240)의 고흡수성 수지가 흡수하게 되어 양면 점착테이프층(240)이 팽창하게 된다. 이에 따라 줄눈의 크랙 사이로 접착제(260)와 다른 색상인 양면 점착테이프층(240)이 노출되어 방수는 물론 작업자로 하여금 보수 부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해준다.
양면 점착테이프층(240)은 방수시트(220)와 마감재(250)를 부착하는 접착제의 양을 고려하여 3mm이상의 두께가 요구되었고 양면 점착테이프층(240)을 제작하는 제작비를 고려할 때 베이스기재는 PE 폼이 가장 경제적이었다. 일례로, 양면 점착테이프층(24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기재로 사용되는 PE 폼(241)과, PE 폼(241)의 일면에 형성되어 방수시트(220)에 점착되는 제1 점착제(242)와, PE 폼(241)의 타면에 형성되어 마감재(250)에 점착되는 제2 점착제(243)를 포함한다. 양면 점착테이프층(240)의 폭은 3∼5cm로 구현된다.
PE 폼(241)은 가장 저렴한 폴리프로필렌 재질을 선택하였으며, 평량 100g/㎡, 두께 3±0.5mm인 것을 사용한다. 제1 점착제(242)는 PE 폼(241)의 일면에 형성되어 방수시트(220)에 점착되는 것으로서, 일례로, 제1 점착제(242)는 천연고무 20∼25중량%, 점착부여수지(예를 들어, 석유수지) 20∼25중량%, 충진제인 탄산칼슘 50∼55중량%, 및 경화제인 아연화 5중량%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점착제(242)의 도포 두께는 PE 폼(241)에 함침되는 양을 고려할 때 100㎛이상이 되어야 최소한의 점착력이 발생되었으며, 200㎛이상일 경우 경제성이 떨어졌다. 제1 점착제(242)의 접착력(peel adhesion)은 750gㆍf/25mm를 초과할 경우 양면 점착테이프층(240)과의 위치수정이 곤란하였다.
제2 점착제(243)는 PE 폼(241)의 타면에 형성되어 마감재(250)에 점착되는 것으로서, 점착제의 골격 역할을 하는 천연고무와 용제를 사용하지 않고 제작하기 위해 녹는점(melting point)이 110℃인 점착부여수지(예를 들어, 석유수지)를 사용하여 점착제가 제조되며 충진제는 탄산칼슘을 사용하여 점착제의 물성을 조절하였고, 수분을 흡수하는 아크릴계의 고흡수성 수지를 사용하였고, 고무의 경화제로 아연화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색상을 내기위해 색소를 배합하였다.
일례로, 제2 점착제(243)는 천연고무 20∼25중량%, 점착부여수지 20∼25중량%, 고흡수성 수지 10∼15중량%, 탄산칼슘 40∼45중량%, 아연화 3중량%, 및 색소 2중량%로 구성될 수 있다. 고흡수성 수지는 아크릴계를 사용하였고 15중량% 초과 시 접착력이 떨어졌고 10중량% 미만인 경우 수분흡수 시 점착제 팽창량이 적합하지 않았다. 제2 점착제(243)의 도포 두께는 PE 폼(241)의 함침되는 부분과 점착제층이 PE 폼(241)의 위에 배열되는 점을 고려하여 200㎛ 코팅하였으며, 300㎛이상일 경우 경제성이 떨어졌다. 제2 점착제(243)의 접착력(peel adhesion)은 마감재(250)와의 접착력이 1000gㆍf/25mm를 초과할 경우 마감재(250)의 위치수정이 곤란하였다.
마감재(250)는 타일, 대리석, 합성시트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된다. 복수개의 마감재(250) 사이에, 줄눈을 따라 형성되는 접착제(260)는 수축 팽창 시 크랙방지와 오염 방지를 고려하여 배합하였으며 EVA 분말수지를 배합함으로서 접착제의 강도와 신율이 증가되었다.
일례로, EVA 분말수지 량이 32중량% 미만일 경우 유분기가 적어서 광택이 없어 오염이 부착되었고, 37중량%를 초과할 경우 접착제의 점도 문제로 작업성이 좋지 않았다. 줄눈을 따라 형성되는 접착제(260)는 EVA 분말 수지 32∼37중량%, 백시멘트 20∼25중량%, 규사8호사 40∼45중량% 및 색소 3중량%로 구성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시트 위에 줄눈이 있는 마감재 방수공법의 순서도이다.
먼저, 바탕면에 방수시트를 설치한다(S410). 바탕면은 건물옥상, 주차장, 아파트 배란다와 같은 바닥이 될 수 있다.
단계 S410은 일례로, 바탕면에 단열시트를 적층한다. 단열시트는 부직포, 우레탄 폼, 플라스틱 골판지, 열반사 단열재 및 P.E.폼 단열재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압축 스틸렌 폼 20mm, 단열 보온 부직포 6mm의 두께로 바탕면에 적층될 수 있다.
다음으로, 혼합직물시트를 단열시트에 적층한다. 이때, 혼합직물시트를 1∼5mm의 두께로 단열시트상에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혼합직물시트에 무용제 우레탄 방수제 또는 아크릴계 무기질 도막방수재를 붓이나 롤러를 이용하여 코팅한다. 여기서, 무용제 우레탄 방수제 또는 아크릴계 무기질 도막방수재는 혼합직물시트에 0.5∼5mm의 두께로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수시트 위에 줄눈이 있는 마감재 방수공법은 바탕면에 형성된 방수시트 표면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복수개의 양면 점착테이프층을 형성한다(S420). 양면 점착테이프층은 베이스기재로 사용되는 PE 폼과, PE 폼의 일면에 형성되어 방수시트에 점착되는 제1 점착제와, PE 폼의 일면에 형성되어 마감재에 점착되는 제2 점착제를 포함한다. 양면 점착테이프층의 폭은 3∼5cm로 구현된다.
PE 폼은 폴리프로필렌 재질을 선택하였으며 두께 3±0.5mm인 것을 사용한다. 제1 점착제는 PE 폼의 일면에 형성되어 방수시트에 점착되는 것으로서, 일례로, 제1 점착제는 천연고무 20∼25중량%, 점착부여수지 20∼25중량%, 탄산칼슘 50∼55중량%, 및 아연화 5중량%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점착제의 도포 두께는 PE 폼에 함침되는 양을 고려할 때 100㎛이상이 되어야 최소한의 점착력이 발생되었으며, 200㎛이상일 경우 경제성이 떨어졌다. 제1 점착제의 접착력(peel adhesion)은 750gㆍf/25mm를 초과할 경우 양면 점착테이프층과의 위치수정이 곤란하였다.
제2 점착제는 PE 폼의 타면에 형성되어 마감재에 점착되는 것으로서, 점착제의 골격 역할을 하는 천연고무와 용제를 사용하지 않고 제작하기 위해 녹는점(melting point)이 85℃인 점착부여수지(예를 들어, 석유수지)를 사용하여 점착제가 제조되며 충진제는 탄산칼슘을 사용하여 점착제의 물성을 조절하였고, 수분을 흡수하는 아크릴계의 고흡수성 수지를 사용하였고, 고무의 경화제로 아연화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색상을 내기위해 색소를 배합하였다. 일례로, 제2 점착제는 천연고무 20∼25중량%, 점착부여수지 20∼25중량%, 고흡수성 수지 10∼15중량%, 탄산칼슘 40∼45중량%, 아연화 3중량%, 및 색소 2중량%로 구성될 수 있다.
고흡수성 수지는 아크릴계를 사용하였고 15중량% 초과 시 접착력이 떨어졌고 10중량% 미만인 경우 수분흡수 시 점착제 팽창량이 적합하지 않았다. 제2 점착제의 도포 두께는 PE 폼의 함침되는 부분과 점착제층이 PE 폼의 위에 배열되는 점을 고려하여 200㎛ 코팅하였으며, 300㎛이상일 경우 경제성이 떨어졌다. 제2 점착제의 접착력(peel adhesion)은 마감재와의 접착력이 1000gㆍf/25mm를 초과할 경우 마감재의 위치수정이 곤란하였다.
이후, 복수개의 양면 점착테이프층 사이의 방수시트 표면에, 접착제층을 형성한다(S430). 접착제층은 수성SBR라텍스 34.75∼39.75(중량%), 탄산칼슘 60∼65(중량%), 증점제 0.25(중량%)로 구성되고 점도 15,000∼20,000cps인 접착제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되는 접착제의 점도가 15,000cps 이하이고 평량이 8kg/㎡이상일 경우, 접착제층의 접착제는 유동성을 띄나 양면 점착테이프층으로 침투하여 양면 점착테이프층의 성능을 저하시킨다. 사용되는 접착제의 점도가 20,000cps 이상인 경우, 접착제층의 제조가 용이하지 않고 접착제를 6kg/㎡ 이하로 사용할 경우 접착강도가 좋지 않았다. 이에 접착제층에 사용되는 접착제의 양은 6∼8kg/㎡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면 점착테이프층(240)과 접착제층(230)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복수개의 마감재(250)를 설치한다(S440). 복수개의 마감재(250)는, 타일, 대리석, 합성시트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된다.
이후, 복수개의 마감재(250) 사이에 접착제로 줄눈을 형성한다(S450). 줄눈을 따라 형성되는 접착제는 수축 팽창 시 크랙방지와 오염 방지를 고려하여 배합하였으며 EVA 분말수지를 배합함으로서 접착제의 강도와 신율이 증가되었다.
일례로, EVA 분말수지 량이 32중량% 미만일 경우 유분기가 적어서 광택이 없어 오염이 부착되었고, 37중량%를 초과할 경우 접착제의 점도 문제로 작업성이 좋지 않았다. 줄눈을 따라 형성되는 접착제는 EVA 분말 수지 32∼37중량%, 백시멘트 20∼25중량%, 규사8호사 40∼45중량% 및 색소 3중량%로 구성된다.
지금까지,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바탕면에 방수시트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방수시트 표면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복수개의 양면 점착테이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양면 점착테이프층 사이의 방수시트 표면에,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양면 점착테이프층과 접착제층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복수개의 마감재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개의 마감재 사이에, 접착제로 줄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마감재에 점착되는 점착테이프층은,
    고흡수성 수지 및 상기 줄눈의 색과 구별되는 색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트 위에 줄눈이 있는 마감재 방수공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감재는, 타일, 대리석, 합성시트 중 어느 하나인 것,
    을 특징으로 방수시트 위에 줄눈이 있는 마감재 방수공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은, 수성SBR라텍스 34.75∼39.75중량%, 탄산칼슘 60∼65중량%, 증점제 0.25중량%로 구성되고 점도 15,000∼20,000cps, 평량 6∼8kg/㎡인 것,
    을 특징으로 방수시트 위에 줄눈이 있는 마감재 방수공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양면 점착테이프층은,
    베이스기재로 사용되며 두께 3±0.5mm 인 PE 폼;
    상기 PE 폼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방수시트 위에 점착되며, 천연고무 20∼25중량%, 점착부여수지 20∼25중량%, 탄산칼슘 50∼55중량%, 및 아연화 5중량%로 구성되고 두께 100㎛∼200㎛, 접착력(peel adhesion) 500∼750gㆍf/25mm 인 제1 점착제;
    상기 PE 폼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마감재에 점착되며, 천연고무 20∼25중량%, 점착부여수지 20∼25중량%, 고흡수성 수지 10∼15중량%, 탄산칼슘 40∼45중량%, 아연화 3중량%, 색소 2중량%로 구성되고 두께 200㎛∼300㎛, 접착력(peel adhesion) 750∼1000gㆍf/25mm인 제2 점착제;
    를 포함하는 방수시트 위에 줄눈이 있는 마감재 방수공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줄눈을 형성하는 접착제는 EVA 분말수지 32∼37중량%, 백시멘트 20∼25중량%, 규사8호사 40∼45중량%, 및 색소 3중량%로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트 위에 줄눈이 있는 마감재 방수공법.
KR1020140020689A 2014-02-21 2014-02-21 방수시트 위에 줄눈이 있는 마감재 방수공법 KR101444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0689A KR101444441B1 (ko) 2014-02-21 2014-02-21 방수시트 위에 줄눈이 있는 마감재 방수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0689A KR101444441B1 (ko) 2014-02-21 2014-02-21 방수시트 위에 줄눈이 있는 마감재 방수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4441B1 true KR101444441B1 (ko) 2014-10-01

Family

ID=51995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0689A KR101444441B1 (ko) 2014-02-21 2014-02-21 방수시트 위에 줄눈이 있는 마감재 방수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444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1032A (ja) * 1997-10-30 1999-05-18 Shoei Kagaku Kogyo Kk 接着剤組成物
KR20060011052A (ko) * 2004-07-29 2006-02-03 김충엽 자착식 방수시트 테이프를 이용한 방수시트의 연결 구조
KR100906653B1 (ko) 2009-03-23 2009-07-07 (주)삼주엠에이치 콘크리트 수조의 표면처리공법
KR101131785B1 (ko) 2011-10-17 2012-04-19 매일종합건설(주) 섬유강화플라스틱 패널용 접착 조성물을 이용한 수처리 시설물 섬유강화플라스틱 패널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1032A (ja) * 1997-10-30 1999-05-18 Shoei Kagaku Kogyo Kk 接着剤組成物
KR20060011052A (ko) * 2004-07-29 2006-02-03 김충엽 자착식 방수시트 테이프를 이용한 방수시트의 연결 구조
KR100906653B1 (ko) 2009-03-23 2009-07-07 (주)삼주엠에이치 콘크리트 수조의 표면처리공법
KR101131785B1 (ko) 2011-10-17 2012-04-19 매일종합건설(주) 섬유강화플라스틱 패널용 접착 조성물을 이용한 수처리 시설물 섬유강화플라스틱 패널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36652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aling joints between exterior wall panels
US7520948B2 (en) Method of preparing a substrate to receive a covering
KR100924114B1 (ko) 자착식 고무화 아스팔트시트 및 자착식 고무화 아스팔트시트와 방근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방근구조의 시공방법
US9821537B2 (en) Moisture barrier membrane for concrete floors
US20080245026A1 (en) Joint cement-free drywall joint construction and method
JP4613686B2 (ja) 床構造体及び床の改修方法
WO2012144811A2 (ko) 비노출식 옥상 방수 시공용 균열방지시트 및 그 균열방지시트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KR101361910B1 (ko) 단열성능을 가진 고무화 아스팔트 시트와 고분자 복합시트의 일체화 방수 시트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 복합단열시트 방수공법
KR20200000973A (ko) 복합 방수층
KR101408630B1 (ko) 수용성 복합시트 방수공법
KR102031977B1 (ko) 알루미늄층과 eva가 포함된 우레탄 다중복합시트와 이를 이용한 복합 방수공법
KR101902836B1 (ko) 콘크리트 일체형 유무기 하이브리드 방수재 적층 자착형 점착씰 보강방수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보수시공공법
KR20170025054A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도막
KR101444441B1 (ko) 방수시트 위에 줄눈이 있는 마감재 방수공법
KR20180017859A (ko) 재활용이 가능한 방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공법
KR101410105B1 (ko) 요철이 형성된 지붕 판넬용 차열복합시트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1780988B1 (ko) 친환경 성분을 포함한 건물 벽체의 방수공법
KR20180042604A (ko) 옥상 구조물의 복합 방수 시공 구조 및 시공 방법
KR20130096935A (ko) 단열성능을 가진 이중복합직물방수시트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 복합단열시트 방수공법
JP2003129616A (ja) 防水工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ポリウレタン樹脂製マット
KR101704515B1 (ko) 노출용 우레탄 자착식 방수시트
CN205777149U (zh) 一种一体化施工屋面结构
EP2508689A2 (en) Insulating panel structure, particularly for the thermal insulation of a roof or of a wall of a building
KR100564909B1 (ko) 수계 도료를 이용한 단열 및 난연성의 탄성 방수 또는 방식도막의 형성공법
KR101558458B1 (ko) 방수테이프를 이용한 옥상방수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