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4429B1 - 건축물의 벽면구조물과 벽면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벽면구조물과 벽면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4429B1
KR101444429B1 KR1020130123046A KR20130123046A KR101444429B1 KR 101444429 B1 KR101444429 B1 KR 101444429B1 KR 1020130123046 A KR1020130123046 A KR 1020130123046A KR 20130123046 A KR20130123046 A KR 20130123046A KR 101444429 B1 KR101444429 B1 KR 1014444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s
layer portion
block
lower layer
buff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3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천
Original Assignee
나라앤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라앤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나라앤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3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44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4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44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14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 E04B2/16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43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or k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면구조물과 벽면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다수 개의 블록이 배열된 하층부; 상기 하층부의 블록 상면에 안착된 완충판; 및 상기 완충판을 가압하며 상기 하층부를 따라 다수 개의 블록이 축조 배열된 상층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건축물의 벽면구조물과 벽면시공방법{Method of constructing the surface of a wallutilizing and structure material thereof}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면구조물과 벽면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연적으로 형성되는 토사면을 마감하거나 인공적인 구조물을 건축하기 위해 조성되는 벽면구조물은, 통상적으로 동일한 규격의 블록을 정축조 방식 또는 엇쌓기 축조방식을 적용해 축조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런데 벽면구조물을 이루는 블록은 일반 벽돌과 같은 미장용 블록과는 달리 규격이 상대적으로 크고 대량으로 생산되므로, 블록들의 크기에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었다.
결국, 도 1(종래 블록을 엇쌓기로 축조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크기에 차이가 있는 종래 블록을 엇쌓기로 축조할 경우, 상대적으로 작게 제작된 블록(1)이 정상적인 크기의 블록(2)과 조합될 경우, 벽면구조물에는 일정한 크기의 공간(3)이 형성되는 부실함이 있었다.
한편, 벽면구조물에 구성된 블록은 중량 자체가 벽면구조물의 결속을 이루는 기본 힘이므로, 일반 벽돌 축조시 적용되는 시멘트모르타르 등과 같은 건축용 접착제는 블록들 사이에 적용되지 않는 경우가 일반적이었다.
따라서, 종래 벽면구조물을 이루는 블록(1, 2) 사이에는 블록(1, 2) 규격의 오차 등으로 인해 형성되는 공간(3)이 부실로 잔존할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었다. 물론, 공간(3)을 갖는 벽면구조물은 자체 응력 및 지지력 등이 상대적으로 약화하면서 붕괴의 위험성을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외에도, 블록(1, 2) 사이에 형성된 공간(3)은 시각적으로는 물론 구조적으로도 벽면구조물의 견고함을 현저히 약화시키므로, 이에 대한 보완이 시급히 요구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엇쌓기로 축조된 블록들 간의 발생 공간을 최소화하고, 상호 간의 결속을 치밀하게 해서, 견고하고 안정적인 구조를 갖는 건축물의 벽면구조물과 벽면시공방법의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 개의 블록이 배열된 하층부;
상기 하층부의 블록 상면을 따라 안착되는 완충판; 및
상기 완충판을 가압하며 상기 하층부를 따라 다수 개의 블록이 축조 배열된 상층부;
를 포함하는 벽면구조물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블록이 나열된 상층부과 하층부 사이에 완충판을 삽입함으로써 블록들 간의 발생 공간을 치밀하게 충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하층부 간의 블록이 견고함을 유지하면서 결속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웃하는 블록들이 종봉과 횡봉을 매개로 상호 결속될 수 있으므로, 블록들 간의 안정된 일체화를 실현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블록을 엇쌓기로 축조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벽면구조물의 시공 모습에 대한 제1실시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벽면구조물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벽면구조물의 시공 모습에 대한 제2실시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벽면구조물에 대한 제3실시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한 벽면구조물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상기 제3실시 예의 설치 구조를 좀 더 구체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벽면구조물의 시공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벽면구조물에 대한 제4실시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벽면구조물의 종봉이 삽입되는 모습에 대한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벽면구조물의 종봉이 서로 연결되는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벽면구조물의 시공 모습에 대한 제1실시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벽면구조물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벽면구조물은 블록(10, 10')이 일렬로 나열된 하층부와 상층부 사이에 완충판(20)이 보강되어서, 상기 상,하층부 간에 발생하는 틈새가 긴밀하게 채워짐은 물론, 상기 틈새로 인해 지지기반을 상실한 해당 블록(10, 10')의 지지력을 보완해서, 벽면구조물의 응력과 고정성이 강화되도록 한다.
상기 벽면구조물에 적용된 블록(10, 10')은 상호 간의 견고한 엇쌓기 축조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 통상적으로 육면체 형상을 이룬다. 여기서, 블록(10, 10')의 전면은 다양한 무늬 또는 모양이 적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벽면구조물의 외관을 다양하게 미장할 수 있다.
다수의 블록(10)이 일렬로 나열된 하층부 상에 완충판(20)을 안착한다. 여기서, 완충판(20)은 연성을 갖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서, 일정 크기 이상의 탄성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완충판(20)은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층부의 상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일체로 길게 연장된 형태를 이룬다. 결국, 완충판(20)은 엇쌓기로 축조되어 상하 및 좌우로 이웃하는 블록(10, 10')들 간의 결속을 증대시키고, 외관상으로도 벽면구조물에 일체화된 느낌이 강조되도록 해서 안정성과 견고성이 강조된 이미지를 연출하는 효과 또한 기대된다. 이외에도 하층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완충판(20)을 연장하면, 벽면구조물 축조시 블록(10, 10')들 간의 간격 발생은 물론 각종 틈새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긴밀한 축조로 이루어진 벽면구조물 완성이 가능하다.
계속해서, 완충판(20)이 안착되면 그 상면에 다수의 블록(10')을 일렬로 나열해서 상층부를 이루도록 축조한다. 여기서, 상기 상층부를 이루는 블록(10')은 하층부의 블록(10)과 엇쌓기로 축조할 수 있다.
상층부의 블록(10')은 완충판(20)을 가압하면서 압착하고, 이를 통해 상층부의 블록(10')과 하층부의 블록(10) 사이에 발생하는 틈새를 완충판(20)이 긴밀하게 채운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블록(10, 10')은 제조 과정에서 완벽히 동일한 규격으로 양산할 수 있으므로, 블록(10, 10')의 수직길이와 수평길이 등에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다. 즉, 이러한 한계를 갖는 블록(10, 10')을 축조해서 벽면구조물을 시공할 경우, 도 1에서 보인 바와 같은 블록(10, 10')들 간 사이에는 공간(3)이 형성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런데, 연성 및 탄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판(20)을 상층부와 하층부 사이에 삽입하면, 완충판(20)은 발생한 공간(3)을 채우게 된다. 즉, 완충판(20)은 충분한 두께를 가지면서 상기한 바와 같이 연성 및 탄성을 갖는 재질이므로, 공간(3) 발생이 없는 블록(10, 10') 사이에서는 블록(10, 10')의 직접적인 하중에 의해서 치밀하게 압착되는 반면, 공간(3) 발생이 있는 블록(10, 10') 사이에서는 완충판(20)이 블록(10, 10')의 모든 하중을 받지 않으므로, 수신하는 압력에 대응한 압착만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결국, 벽면구조물에서 블록(10, 10') 사이에 형성된 공간(3)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완충판(20)이 치밀하고 정밀하게 채워지고, 이를 통해 벽면구조물은 틈새가 없는 안정된 구조를 완성한다.
이외에도 완충판(20)은 블록(10, 10') 축조시 상층부의 블록(10')이 하층부의 블록(10)에 가하는 충격을 최소화하고, 이를 통해 벽면구조물 축조시 발생하는 파손 또는 훼손 등의 문제를 최소화한다.
또한, 벽면구조물 시공시 상층부와 하층부 사이에 블록(10, 10')과는 다른 색상의 완충판(20)을 적용할 경우, 블록(10, 10') 간의 명확한 경계가 시각적으로 연출되므로, 벽면구조물을 미려하면서 화려한 이미지로 표현할 수 있는 효과 또한 있다.
참고로, 블록(10, 10')은 벽면구조물이 일정한 강도를 갖추도록 홀(11a, 11b; 이하 '제1,2홀')이 형성될 수 있고, 이는 상기 벽면구조물의 내구력을 향상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벽면구조물의 시공 모습에 대한 제2실시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벽면구조물은 앵커블록(40a, 40b, 40c) 및 고정심(41)을 매개로 하층 블록(10)과 상층 블록(10', 10")이 결속된다. 앵커블록(40a, 40b, 40c)은 블록(10, 10', 10")에 각각 형성된 제1,2홀(11a, 11b, 11b')에 삽입되고, 고정심(41)은 앵커블록(40a, 40b, 40c)을 서로 연결하면서 제1,2홀(11a, 11b, 11b')들 사이에 형성된 끼움홈(14)에 삽입된다. 여기서, 앵커블록(40a, 40b, 40c)은 하단이 하층 블록(10)의 제1,2홀(11a, 11b, 11b')과 맞물리고, 상단이 상층 블록(10', 10")의 제1,2홀과 맞물리면서, 앵커블록(40a, 40b, 40c)을 매개로 하층 블록(10)과 상층 블록(10', 10")이 결속된다. 더불어서, 서로 이웃하는 앵커블록(40a, 40b, 40c)은 고정심(41)을 매개로 연결되면서 현 위치를 유지함은 물론 상호 견고하게 결속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 제1,2홀(11a, 11b, 11b')은 내면에 걸림홈(h)이 형성되고, 이에 상응해서 앵커블록(40a, 40b, 40c)의 외면에는 걸림돌기(42)가 돌출되면서, 제1,2홀(11a, 11b, 11b')과 앵커블록(40a, 40b, 40c) 간의 맞물림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계속해서, 앵커블록(40a, 40b, 40c)을 매개로 결속된 하층 블록(10)과 상층 블록(10', 10") 사이에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판(20')이 보강된다. 완충판(20')은 제1,2홀(11a, 11b, 11b')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태로 관통공(20a)이 천공되어서, 앵커블록(40a, 40b, 40c)이 완충판(20')과 간섭하지 않고 배치될 수 있다. 더불어서, 완충판(20')은 앵커블록(40a, 40b, 40c)과 간섭하지 않고 완충기능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벽면구조물이 견고한 상태로 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제1,2홀(11a, 11b, 11b')이 일렬로 배치되고, 양측단에 위치한 제2홀(11b, 11b')은 절반 형태로 형성되어서, 서로 이웃하는 블록(10, 10', 10")이 연결될 때, 완전한 제2홀(11b, 11b')을 이루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벽면구조물에 대한 제3실시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한 벽면구조물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상기 제3실시 예의 설치 구조를 좀 더 구체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벽면구조물의 시공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벽면구조물은 상층부과 하층부의 블록(10, 10')을 연결하기 위한 종봉(30)과, 동일층에서 이웃하는 블록을 연결하기 위한 횡봉(40')을 더 포함하고, 블록(10, 10')은 종봉(30)이 상하로 관통되도록 하기 위한 제1홀(11a) 및 제2홀(11b)과, 횡봉(40)이 안착되도록 하기 위해서 양단이 개구된 안착홈(11c)이 형성된다. 벽면구조물은 전술한 바와 같이 블록(10, 10')이 엇쌓기로 축조돼 이루어지므로, 제1홀(11a)과 제2홀(11b)은 서로 엇갈린 두 개의 블록과 연통하도록 배치된다. 결국, 엇쌓기 방식으로 축조된 블록(10, 10')은 상하로 서로 이웃하는 블록(10, 10')이 제1,2홀(11a, 11b)을 관통하는 종봉(30)에 의해 서로 긴밀히 연결되면서 일체화되고,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벽면구조물은 향상된 견고성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제1,2홀(11a, 11b)이 각각 2개씩 형성되도록 되되, 곧게 형성된 안착홈(11c)을 따라 일자로 배치되도록 하였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벽면구조물은 서로 상하로 이웃하는 두 개의 블록(10, 10')을 연결하는 보조봉(50')이 보강된다. 종봉(30)은 상하로 축조된 다수의 블록을 일체로 모두 연결하는데 반해, 보조봉(50')은 바로 이웃하는 두 개의 상하 블록을 일체로 연결하는데 활용된다. 이를 위해 보조봉(50')은 양단이 각각 상층부의 블록(10')과 하층부의 블록(10)의 해당하는 제1,2홀(11a, 11b)에 각각 삽입된다. 결국, 한 쌍씩 배치된 제1,2홀(11a, 11b) 중 두 개에는 종봉(30)에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남은 두 개에는 보조봉(50')이 배치되어서, 상하로 축조된 블록(10, 10')을 견고하게 결속하고, 이를 통해 벽면구조물이 견고해지도록 연결한다.
계속해서, 횡봉(40)은 동일한 층에 일렬로 배치된 다수의 블록을 연결하고, 아울러 일렬로 배치된 종봉(30) 및 보조봉(50')과 결속하도록 된다. 결국, 벽면구조물을 이루는 상하층의 각 블록(10, 10')은 일체화된 뼈대를 이루는 종봉(30) 및 보조봉(50')에 의해 결속되고, 좌우 블록은 횡봉(40)에 의해 결속되어서, 견고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횡봉(40)은 하층부의 블록(10)과 상층부의 블록(10') 사이에 배치되어야 하므로, 하층부의 블록(10) 상면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하 블록(10, 10') 간에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블록(10, 10') 상면에는 횡봉(40)을 삽입해 수용할 수 있는 안착홈(11c)이 형성된다. 결국, 상층부의 블록(10')은 하층부의 블록(10) 상면에 긴밀하게 밀착되고, 이를 통해 벽면구조물은 견고한 구조를 유지할 수 있다.
참고로, 종봉(30)과 횡봉(40), 보조봉(50')과 횡봉(40)이 일체가 되도록 결속되되, 상기 결속은 용접, 볼트체결, 핀 체결, 링크 체결 등 다양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상호 간의 결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결속수단이라면 이하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한편, 종봉(30) 및 보조봉(50')은 하층부의 블록(10)과 상층부의 블록(10')을 연결하기 위해서, 블록(10, 10') 사이에 삽입된 완충판(20)을 관통하도록 된다. 이를 위해 완충판(20) 제작시 종봉(30)의 관통을 위한 구멍을 일체로 형성시킬 수도 있을 것이나, 종봉(30)으로 완충판(20)을 관통시킬 경우 현장에서 바로 천공해서 작업을 진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벽면구조물은 도 8에서 보인 바와 같이 실내 건축물의 벽면을 축조하기 위한 구조를 이룰 수도 있고, 실외 벽면을 축조하기 위한 구조를 이룰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벽면구조물에 대한 제4실시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완충판(20')은 망부(21)와 면부(22)로 구성된다. 망부(21)는 완충판(20")에서 종봉(30) 및 보조봉(50')이 관통하는 중간부에 배치되는 부분으로서, 일정 크기의 격자가 규칙적으로 형성되므로, 종봉(30) 및 보조봉(50')이 간섭없이 원활히 관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자를 통해 상,하층부에 배치되는 블록(10) 간의 통기 및 통수가 원활히 이루어져서, 벽면구조물의 친환경적이면서 친자연적인 특성을 발현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외에도, 상층부의 블록과 하층부의 블록 간 결속이 미약한 경우, 상기 상층부와 하층부를 모르타르 등의 접착수단을 보강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완충판(20")에 망부(21)를 보강 형성시킬 경우, 상기 접착수단은 망부(21)를 통해 상기 상층부의 블록과 하층부의 블록을 접착시키게 된다.
면부(22)는 완충판(20")에서 블록(10)의 전단(前端)에 배치되는 부분으로서, 상,하층부 간에 형성되는 블록(10) 간의 틈새를 치밀하게 충전하므로, 벽면구조물이 견고하면서도 깔끔한 외관을 갖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벽면구조물의 종봉이 삽입되는 모습에 대한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벽면구조물의 종봉이 서로 연결되는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종봉(30', 30")은 다수 개를 일렬로 연결하도록 되어서 블록(10)의 축조 높이 또는 개수에 따라 종봉(30', 30")의 개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벽면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블록(10)을 먼저 축조한 후 종봉을 입설해 끼우거나, 종봉을 우선 끼운 후 해당 종봉을 따라 블록(10)을 순차적으로 축조하는 방식을 취해야 한다. 하지만, 이러한 시공방법을 이용해 벽면구조물을 축조할 경우, 상대적으로 긴 종봉을 이용해서 일일이 해당 작업을 진행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또한, 상기 종봉이 작업 중 휠 경우엔 해당 종봉을 교체해야하는 곤란함 또한 발생한다. 이외에도 상기 종봉은 단순히 원형의 단면 형상이므로, 수평력에 대해 쉽게 휨이 발생하면서 상,하층부에 위치한 블록이 제 위치를 고수하지 못하고 이탈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이러한 문제들을 해소하기 위해서, 다수의 종봉(30', 30")을 일렬로 연결할 수 있도록 일단에는 볼트(31)가 돌출 형성되고, 타단에는 너트홈(32)이 형성되어서, 볼트(31)와 너트홈(32)의 결합을 통해 두 개의 종봉(30', 30")이 서로 일렬로 연결된다. 여기서, 종봉(30', 30")은 블록(10)의 높이에 상응하는 길이로 형성되고, 1개의 종봉(30', 30")이 상,하층부에 위치한 2개의 블록을 연결하도록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종봉(30', 30")은 수평력에 대해 구부러짐이 없는 저항력을 갖도록 방사형으로 확장된 단면형상을 이루도록 제작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종봉(30', 30")은 축(33)을 중심으로 보강대(34, 34')가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하게 돌출되어서, 종봉(30')이 수평력에 대해 저항력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계속해서, 볼트(31)와 너트홈(32)에 형성된 나사산은 서로 연결되는 종봉(30', 30")을 완전히 조였을 때 보강대(34, 34')가 일렬로 배치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볼트(31)와 너트홈(32)의 말단에는 각각 제1걸림부(31a)와 제2걸림부(32a)가 형성되어서, 볼트(31)와 너트홈(32)이 완전히 조여졌을 때 상기 제1,2걸림부(31a, 32a)가 서로 맞물리도록 되고, 이때, 서로 연결되는 종봉(30', 30")의 보강대(34, 34')가 일렬로 배치되도록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볼트(31)의 말단에 형성된 제1걸림부(31a)는 요부이고, 너트홈(32)의 말단에 형성된 제2걸림부(32a)는 철부로 형성되도록 되어서, 작업자가 종봉(30', 30")을 충분히 회전시키면 일정한 위치에서 상기 요부와 철부가 맞물리면서 종봉(30', 30")이 지정된 위치에 고정되고, 이를 통해 보강대(34, 34')가 일렬로 배치된다.
한편, 이렇게 연결된 종봉(30', 30")의 경계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마감대(35)를 감싸 보강한다. 마감대(35)는 횡력에 대해 저항성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해당 경계부를 보강해서 서로 일렬로 연결된 종봉(30', 30") 전체에 대한 고정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마감대(35)는 종봉(30', 30")을 지지할 수 있는 충분한 강도와 경도를 갖는 재질인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질로 제작되고, 종봉(30', 30")의 테두리를 긴밀하게 감쌀 수 있는 형상으로 제작된다.
본 실시 예를 따른 종봉(30', 30")을 이용해서 블록(10)을 축조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지정된 제1홀(11a) 또는 제2홀(11b)에 종봉(30')을 삽입하되 그 상단이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입설 배치한다.
계속해서, 하층부의 블록(10)을 지정된 위치에 일렬로 나열한다. 이때, 상기 블록(10)의 저면으로 개구된 제1홀(11a)로 종봉(30')의 상단을 끼운다.
계속해서, 블록(10)의 상방으로 돌출된 종봉(30') 상단에 종봉(30")을 일렬로 연결한다. 이때, 서로 일렬로 연결되는 종봉(30', 30")은 단부에 각각 형성된 볼트(31)와 너트홈(32)을 조합해서 서로 연결한다.
종봉(30', 30")이 서로 연결되면 종봉(30', 30")의 경계선 부분을 감싸도록 마감대(35)를 씌운다. 여기서, 마감대(35)가 위치할 종봉(30', 30")의 해당 외면에는 스토퍼(36)가 돌출 형성되어서, 마감대(35)가 하방으로 낙하하지 않고 현 위치를 고수하도록 한다.
종봉(30', 30")이 일렬로 서로 연결되면, 종봉(30', 30")이 상층부의 블록에 형성된 제1홀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블록을 하층부의 블록 상에 축조한다.
결국, 종봉(30', 30")은 벽면구조물 축조시 필요한 만큼만 그때그때 연결하면 되므로, 벽면구조물 시공이 용이하면서도 시공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가능성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해 설명했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10', 10"; 블록 11a; 제1홀 11b; 제2홀
11c; 안착홈 20, 20', 20"; 완충판 21; 망부
22; 면부 30, 30', 30"; 종봉 31; 볼트
32; 너트홈 33; 축 34, 34'; 보강대
35; 마감대 36; 스토퍼 40; 횡봉
40a, 40b; 앵커블록 50; 연결심 50'; 보조봉

Claims (9)

  1. 다수의 블록이 배열된 하층부; 상기 하층부에서 서로 이웃하는 블록들의 상면을 덮는 탄성 재질의 완충판; 및 상기 완충판을 가압하도록, 상기 하층부의 배치방향을 따라 다수의 블록이 축조 배열된 상층부;를 포함한 벽면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상,하층부의 블록은 상하로 관통하는 홀을 갖추고, 상기 완충판은 상기 홀에 상응하는 형태의 관통공이 천공돼 이루어지며,
    상기 홀에 상,하단이 각각 삽입되는 앵커블록; 및
    서로 이웃하는 상기 앵커블록을 연결하면서 상기 상,하층부의 블록 사이에 배치되는 고정심;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구조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의 내면에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앵커블록의 외면에는 상기 걸림홈과 맞물리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구조물.
  4. 삭제
  5. 다수의 블록이 배열된 하층부; 상기 하층부에서 서로 이웃하는 블록들의 상면을 덮는 탄성재질의 완충판; 및 상기 완충판을 가압하도록, 상기 하층부의 배치방향을 따라 다수의 블록이 축조 배열된 상층부;를 포함한 벽면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상,하층부의 블록은 양단이 개구된 안착홈이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하층부의 블록과 상기 상층부의 블록을 각각 관통하며 연결하도록 입설되는 종봉과, 동일 층에 배열된 이웃하는 상기 상,하층부의 블록을 연결하도록 상기 안착홈을 따라 안착되는 횡봉과, 상하로 이웃하는 두 개의 상기 상,하층부의 블록을 연결하도록 양단이 상기 상,하층부의 블록에 각각 삽입되는 보조봉을 더 포함하며;
    상기 종봉과 횡봉, 상기 보조봉과 횡봉이 각각 일체로 결속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구조물.
  6. 삭제
  7. 삭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판은 격자 형태를 이루는 망부와, 벽면구조물의 전면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블록 전단에 배치되는 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구조물.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종봉은
    다수 개를 일렬로 연결할 수 있도록, 일단에 돌출 형성된 볼트와, 상기 볼트에 상응하도록 타단에 형성된 너트홈과;
    외력에 저항력을 갖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형성된 다수 개의 보강대와;
    서로 연결된 상기 종봉 간의 경계부를 감싸 고정하는 마감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구조물.
KR1020130123046A 2013-10-16 2013-10-16 건축물의 벽면구조물과 벽면시공방법 KR1014444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3046A KR101444429B1 (ko) 2013-10-16 2013-10-16 건축물의 벽면구조물과 벽면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3046A KR101444429B1 (ko) 2013-10-16 2013-10-16 건축물의 벽면구조물과 벽면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4429B1 true KR101444429B1 (ko) 2014-09-29

Family

ID=51761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3046A KR101444429B1 (ko) 2013-10-16 2013-10-16 건축물의 벽면구조물과 벽면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44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0562A (ko) * 2017-09-14 2019-03-22 나라앤텍 주식회사 면진구조형 내진블록과 이를 이용한 내진 구조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199A (ja) * 1995-07-07 1997-01-21 Taisuke Matsufuji ブロック組積構造
KR100621694B1 (ko) 2005-06-21 2006-09-11 강종희 외벽 시공용 자연석 블록 및 시공방법
JP2007510829A (ja) * 2003-10-02 2007-04-26 リサイフォーム エス.エイ. 壁用建築材料に使用されるブロック型建築石材及び製造方法
KR100751585B1 (ko) 2006-12-19 2007-08-27 오병춘 축조블록의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199A (ja) * 1995-07-07 1997-01-21 Taisuke Matsufuji ブロック組積構造
JP2007510829A (ja) * 2003-10-02 2007-04-26 リサイフォーム エス.エイ. 壁用建築材料に使用されるブロック型建築石材及び製造方法
KR100621694B1 (ko) 2005-06-21 2006-09-11 강종희 외벽 시공용 자연석 블록 및 시공방법
KR100751585B1 (ko) 2006-12-19 2007-08-27 오병춘 축조블록의 설치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0562A (ko) * 2017-09-14 2019-03-22 나라앤텍 주식회사 면진구조형 내진블록과 이를 이용한 내진 구조물
KR102106919B1 (ko) * 2017-09-14 2020-05-07 나라앤텍 주식회사 면진구조형 내진블록과 이를 이용한 내진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16896U (ja) 螺旋あばら筋と鉄骨との組立構造
JP5406563B2 (ja) 合成梁、建築物、及び合成梁の施工方法
JP2009138478A (ja) Rc柱の補強方法
CN104358331A (zh) 叠合板式剪力墙钢筋销接连接构件及连接方法
KR101747097B1 (ko) 가로 방향 지지철물 일체형 철근트러스 데크플레이트 및 그 제작방법
KR101444429B1 (ko) 건축물의 벽면구조물과 벽면시공방법
KR101307763B1 (ko) 보강재 연결을 위한 연결재를 구비한 보강토 교대의 시공 방법
JP5901675B2 (ja) 鋼・コンクリート合成床版
JP6393588B2 (ja) 既存建物補強方法
JP6210497B2 (ja) 既存柱の補強構造
KR101212259B1 (ko) 파형 굴곡판으로 형성된 보강재를 이용한 합성바닥판 및 그 제작방법
JP4812135B2 (ja) 補強土擁壁を積層するための施工具
JP5664989B1 (ja) 既存柱の補強構造
JP6428027B2 (ja) 柱鉄筋接続パネルおよび鉄筋構造物
JP5904052B2 (ja) 薄板軽量形鋼造の上下階の連結構造
JP2010168877A (ja) 残存型枠、およびこれに用いる型枠パネル
CN104364451A (zh) 建筑用组装式墙体框架及利用此的天花板框架
JP2011214278A (ja) 建物
JP2009155870A (ja) 補強構造
JP5750246B2 (ja) 合成梁、建築物、及び合成梁の施工方法
JP6265653B2 (ja) ブロック及び壁構造
KR101913782B1 (ko) 무가교 하천교 축조공법
CN102979222B (zh) 具有连续环状钢筋结构的混凝土剪力墙
JP6041144B2 (ja) 最上階の接合構造
WO2015025789A1 (ja) ブロック及び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