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3791B1 - 원료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원료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3791B1
KR101443791B1 KR1020130073716A KR20130073716A KR101443791B1 KR 101443791 B1 KR101443791 B1 KR 101443791B1 KR 1020130073716 A KR1020130073716 A KR 1020130073716A KR 20130073716 A KR20130073716 A KR 20130073716A KR 101443791 B1 KR101443791 B1 KR 1014437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r
raw material
chute body
doo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3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수
엄성수
신봉길
엄광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30073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37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3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37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16Interior surfaces; Li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2003/0001Positioning the charge
    • F27D2003/0002Positioning the charge involving positioning devices, e.g. buffers, buffer zones

Landscapes

  • Chutes (AREA)
  • Blast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료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원료가 이송되는 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경로 중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슈트 몸체와; 상기 슈트 몸체에 상기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도어와; 상기 도어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슈트 몸체의 내주면과 함께 원료가 이송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라이너;를 포함하여, 장치의 부분적인 마모 및 이로 인한 파공을 억제 혹은 방지함으로써 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원료 공급 장치{Chute}
본 발명은 원료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료와의 충돌이나 마찰에 의한 마모를 억제할 수 있는 원료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 등에서 철광석이나 석탄 등의 원료를 정해진 장소로 공급하는 슈트는 원료가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충돌이나 마찰로 인해 마모되기 쉽다. 특히, 원료의 이동 경로가 변경되는 곡관 부위나 원료가 낙하하여 직접 충돌하는 부위는 더욱 심하게 마모되기 쉽다. 슈트에서 마모가 발생한 부분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파공될 수 있다. 이에 파공된 부분으로 원료가 유출되어 손실될 수 있고 유출된 원료로 인해 주변 설비가 오염될 수 있다. 따라서 슈트에서 마모가 발생한 부분에 임시방편으로 철판 등을 용접하여 덧대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슈트에서 철판이 용접된 부분은 설비의 유휴 기간에 새로운 슈트로 교체해야하 하므로 작업자의 작업 업무를 부담시키고 설비 유지 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마모가 발생하기 쉬운 슈트 내부에 내마모성이 우수한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된 라이너를 배치하여 원료에 의해 슈트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도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슈트에 라이너를 배치시킬 때 작업자가 슈트 내부에 직접 들어가서 작업을 하기 때문에 슈트의 배치나 제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KR 2006-101903 A
본 발명은 원료와의 충돌 및 마찰로 인한 마모를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는 원료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설비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하는 원료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원료 공급 장치는, 내부에 원료가 이송되는 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경로 중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슈트 몸체와; 상기 슈트 몸체에 상기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도어와; 상기 도어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슈트 몸체의 내주면과 함께 원료가 이송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라이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구부는 상기 슈트 몸체 내부를 따라 이송되는 원료의 이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배치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의 일면에는 상기 라이너가 장착되는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은 복수의 라이너가 독립적으로 삽입되도록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라이너는 복수개가 일체로 조립되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라이너를 관통하여 고정하는 고정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라이너의 사이에는 상기 라이너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스페이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라이너보다 경도가 작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에 대향하는 상기 슈트 몸체에는 상기 슈트 몸체의 내부를 관찰하기 위한 검사창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의 일측은 상기 슈트 본체에 힌지 결합되어 개폐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도어를 상기 슈트 몸체에 밀착 고정시켜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원료 공급 장치는, 원료가 이송되는 이송 경로에서 원료가 마찰 또는 충돌하는 영역에 라이너를 구비하여 장치의 부분적인 마모 및 이로 인한 파공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설비의 수명을 향상시키고,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한다.
또한, 원료 공급 장치에 부분적으로 개폐 가능한 도어를 설치하여 라이너의 교체 및 설치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작업자의 작업 부담을 경감해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료 공급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료 공급 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료 공급 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료 공급 장치를 구성하는 라이너의 사시도 및 정면도.
도 5는 라이너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 및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원료 공급 장치의 요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료 공급 장치가 적용된 예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료 공급 장치는 원료가 이송되는 경로로 사용되는 슈트에관한 것으로서, 원료의 이송방향이 변경되는 부분에 원료와의 마찰 및 충돌에 의한 마모를 억제할 수 있는 라이너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료 공급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료 공급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료 공급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료 공급 장치를 구성하는 라이너의 사시도 및 정면도이고, 도 5는 라이너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 및 사시도이며,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료 공급 장치가 적용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료 공급 장치는, 내부에 원료가 이송되는 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경로 중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개구부(118)가 형성되는 슈트 몸체(110)와, 슈트 몸체(110)에 개구부(118)를 개폐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도어(120)와, 도어(120)의 일면에 구비되어 슈트 몸체(110)의 내주면과 함께 원료가 이송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라이너(142)를 포함한다.
슈트 몸체(110)는 철피와 그 내측에 구비되는 마모 방지막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마모 방지막은 철피보다 경도가 높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슈트 몸체(110)는 내부에 원료의 이송경로를 형성하는 중공부(112)가 형성된다. 슈트 몸체(110)는 원료의 이송경로가 변경되는 절곡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슈트 몸체(110)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내부에 제1이송경로를 갖는 제1슈트 몸체와 내부에 제1이송경로와 교차하는 방향의 제2이송경로를 갖는 제2슈트 몸체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슈트 몸체(110)에는 내부의 이송경로를 노출하는 개구부(118)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118)는 원료가 이송되는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슈트 몸체(110)를 따라 이송되는 원료가 이송방향이 변경되는 경우에도 이송방향을 그대로 유지하려는 특성에 의해 원료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슈트 몸체(110)의 내벽에 충돌하게 된다. 따라서 개구부(118)를 슈트 몸체(110)에서 원료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에 배치되는 영역에 형성하고, 개구부(118)를 개폐하는 도어(120)에 라이너(142)를 배치시켜 슈트 몸체(110) 내부를 따라 이송되는 원료가 개구부(118)를 개폐하는 도어(120)에 배치된 라이너(142)에 충돌하도록 하였다.
또한, 슈트 몸체(110)에서 개구부(118)에 대향하는 방향에는 검사창이 형성될 수 있다. 검사창은 슈트 몸체(110)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작업자는 검사창을 통해 라이너(142)의 마모 상태를 검사하여 적절한 시기에 라이너(142)를 교체할 수 있다.
슈트 몸체(110)의 양단 가장자리와 개구부(118)의 가장자리에는 제1플랜지(114)가 형성되고, 제1플랜지(114)에는 제1플랜지(114)를 관통하는 제1관통구(116)가 형성될 수 있다.
도어(120)는 슈트 몸체(110)에 연결되어 개구부(118)를 개폐한다. 도어(120)는 슈트 몸체(11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면에 라이너(142)가 삽입되는 삽입홈(122)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122)은 복수 개의 라이너(142)를 조립한 라이너 조립체(140)를 삽입할 수 있도록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삽입홈(122)은 복수 개의 라이너(142)를 독립적으로 삽입 고정시킬 수 있도록 복수 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복수 개의 삽입홈(122) 사이에 격벽(121)이 형성되어 복수 개의 삽입홈(122)을 구분할 수 있다. 격벽(121)은 삽입홈(122)에 라이너(142)를 삽입 고정시켰을 때 라이너(142)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어 라이너(142) 사이에 공간(S)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슈트 내부로 원료가 이송될 때 원료가 라이너(142) 사이, 즉 공간(S)으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원료의 이송 방향이 변경될 때 원료가 공간(S)에 끼인 원료와 충돌하도록 하여 원료와 라이너(142)나 도어(120)(격벽(121)) 간의 충돌 회수를 저감시켜 마모를 방지 혹은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도어(120)의 가장자리에는 개구부(118)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1플랜지(114)와 대응하는 형태의 제2플랜지(124)가 형성될 수 있다. 제2플랜지(124)에는 제1관통구(116)와 대응하는 제2관통구(126)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슈트 몸체(110)의 개구부(118)에 형성된 제1플랜지(114)와 도어(120)에 형성된 제2플랜지(124)를 접촉시킨 상태로 볼트 등과 같은 고정 부재(130)을 제1관통구(116)와 제2관통구(126)를 관통시켜 상호 결합시킬 수 있다.
도어(120)는 슈트 몸체(110)에 연결된 상태로 개폐할 수 있도록 슈트 몸체(110)에 힌지(152) 결합될 수 있다. 슈트 몸체(110)와 도어(120)는 슈트(100a, 100b)의 배치 상태에 따라 그 결합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슈트 몸체(110)가 도 1에서 상부측에 구비된 슈트(100a)와 같이 슈트 몸체(110)가 원료를 수직 낙하시키는 방향에서 하향 경사지는 방향으로 이송시키도록 형성된 경우,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도어(120)는 하부측이 슈트 몸체(110)와 힌지(152) 결합되어 상부측이 하부측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며 개구부(118)를 개폐할 수 있다. 이 경우, 개구부(118)를 개방하기 위하여 도어(120)의 상부측을 하부측으로 이동시켰을 때 힌지(152) 결합에 무리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도어(120)를 지지해줄 수 있는 이탈방지부재(15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에서 하부측에 구비된 슈트(100b)와 같이 슈트 몸체(110)와 같이 원료를 하향 경사지는 방향에서 수직 낙하하는 방향으로 이송시키도록 형성된 경우,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도어(120)는 일측이 슈트 몸체(110)와 힌지(152) 결합되어 도어(120)의 타측을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며 개구부(118)를 개폐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라이너(142)는 상부면을 통해 슈트 몸체(110)의 내주면과 원료가 이송되는 경로를 형성하도록 'U'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라이너(142)의 상부면, 즉 슈트 몸체(110)의 내주면과 원료가 이송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상부면은 곡면을 가지며 형성되고, 라이너(142)의 하부면은 곡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평평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라이너(142)는 슈트 몸체(110)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원료와의 마찰 및 충돌에 의해 마모되더라고 슈트 몸체(110)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기 때문에 교체 시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도어(120)에 라이너(142)를 장착했을 때 라이너(142)의 하부측이 상부측보다 하중이 크기 때문에 도어(120)에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라이너(142)는 슈트 몸체(110)나 도어(120)보다 경도가 높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라이너(142)는 C, Cr 등이 다량 함유되고, 경도(HRC)가 56 이상인 초경합금인 T300S가 사용될 수 있다.
라이너(142)의 하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구(144)가 형성될 수 있다. 라이너(142)는 복수 개가 결합된 상태로 도어(120)의 삽입홈(122)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고정구(144)에 고정 로드(145)를 삽입하여 복수의 라이너(142)를 조립하여 라이너 조립체(14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라이너 조립체(140)는 라이너(142)를 복수 개 결합하여 형성될 수도 있고, 라이너(142) 사이에 스페이서(146)를 개재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스페이서(146)는 라이너(142)보다 경도가 낮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슈트 몸체(110)나 도어(120)를 형성하는 철피(SUS)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146)는 라이너(142)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하부에 고정구(143)가 형성되며, 라이너(142)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스페이서(146)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라이너(142)의 전체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며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라이너 조립체(140)를 도어(120)의 삽입홈(122)에 설치했을 때 스페이서(146)가 라이너(142)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어 라이너(142)와 라이너(142)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스페이서(146)는 앞서 설명한 격벽(121)과 동일한 역할을 하여 라이너(142)의 마모를 방지 혹은 억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원료가 이송되는 이송 경로를 형성하는 슈트에서 원료가 마찰 또는 충돌하는 영역에 라이너(142)를 구비함으로써 슈트의 부분적인 마모 및 이로 인한 파공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슈트에 부분적으로 개폐 가능한 도어(120)를 설치하여 라이너(142)의 교체 및 설치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작업자의 작업 부담을 경감해 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a, 100b: 슈트 110: 슈트 몸체
112: 중공부 114: 제1플랜지
116: 제1관통구 118: 개구부
120: 도어 121: 격벽
122: 삽입홈 124: 제2플랜지
126: 제2관통구 130: 고정부재
140: 라이너 조립체 142: 라이너
143, 144: 고정구 145: 고정 로드
146: 스페이서 150: 이탈방지부재
152: 힌지

Claims (11)

  1. 내부에 원료가 이송되는 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경로 중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슈트 몸체와;
    상기 슈트 몸체에 상기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도어와;
    상기 도어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슈트 몸체의 내주면과 함께 원료가 이송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라이너;
    를 포함하는 원료 공급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슈트 몸체 내부를 따라 이송되는 원료의 이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배치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원료 공급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일면에는 상기 라이너가 장착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원료 공급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복수의 라이너가 독립적으로 삽입되도록 복수개가 형성되는 원료 공급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는 복수개가 일체로 조립되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원료 공급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라이너를 관통하여 고정하는 고정로드를 포함하는 원료 공급 장치.
  7.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의 사이에는 상기 라이너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스페이서가 구비되는 원료 공급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라이너보다 경도가 작은 재질로 형성되는 원료 공급 장치.
  9.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에 대향하는 상기 슈트 몸체에는 상기 슈트 몸체의 내부를 관찰하기 위한 검사창이 형성되는 원료 공급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일측은 상기 슈트 본체에 힌지 결합되어 개폐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원료 공급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도어를 상기 슈트 몸체에 밀착 고정시켜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원료 공급 장치.
KR1020130073716A 2013-06-26 2013-06-26 원료 공급 장치 KR1014437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3716A KR101443791B1 (ko) 2013-06-26 2013-06-26 원료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3716A KR101443791B1 (ko) 2013-06-26 2013-06-26 원료 공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3791B1 true KR101443791B1 (ko) 2014-09-23

Family

ID=51760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3716A KR101443791B1 (ko) 2013-06-26 2013-06-26 원료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379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4292A (ko) 2017-02-15 2018-08-23 주식회사 포스코 원료 공급장치 및 이의 제작방법
CN109589865A (zh) * 2018-12-26 2019-04-09 山东恒易凯丰机械有限公司 一种活性炭的多溜道交叉混料系统及使用方法
CN116516089A (zh) * 2023-05-04 2023-08-01 唐山港陆钢铁有限公司 一种高炉布料溜槽及其定位调节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6707A (ja) * 2001-04-24 2002-10-31 Nkk Corp コンベヤ用シュートの付着原料除去方法及びその付着原料除去装置
KR20060101903A (ko) * 2005-03-22 2006-09-27 주식회사 포스코 전로에 구비되는 원료투입 슈트
KR20080036753A (ko) * 2006-10-24 2008-04-29 주식회사 포스코 홈통과 프레임 조립식 구조를 구비한 고로선회슈트
WO2012016818A1 (en) * 2010-08-06 2012-02-09 Paul Wurth S.A. Distribution chut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6707A (ja) * 2001-04-24 2002-10-31 Nkk Corp コンベヤ用シュートの付着原料除去方法及びその付着原料除去装置
KR20060101903A (ko) * 2005-03-22 2006-09-27 주식회사 포스코 전로에 구비되는 원료투입 슈트
KR20080036753A (ko) * 2006-10-24 2008-04-29 주식회사 포스코 홈통과 프레임 조립식 구조를 구비한 고로선회슈트
WO2012016818A1 (en) * 2010-08-06 2012-02-09 Paul Wurth S.A. Distribution chut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4292A (ko) 2017-02-15 2018-08-23 주식회사 포스코 원료 공급장치 및 이의 제작방법
KR102305816B1 (ko) * 2017-02-15 2021-09-28 주식회사 포스코 원료 공급장치 및 이의 제작방법
CN109589865A (zh) * 2018-12-26 2019-04-09 山东恒易凯丰机械有限公司 一种活性炭的多溜道交叉混料系统及使用方法
CN109589865B (zh) * 2018-12-26 2023-09-19 山东恒易凯丰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活性炭的多溜道交叉混料系统及使用方法
CN116516089A (zh) * 2023-05-04 2023-08-01 唐山港陆钢铁有限公司 一种高炉布料溜槽及其定位调节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3791B1 (ko) 원료 공급 장치
EA012715B1 (ru) Элемент футеровки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горнодобывающей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и при разработке карьеров
JP2005225677A (ja) ローラ用の保持装置と、該保持装置を備えたコンベア
KR20150067652A (ko) 이중화 슈트 사이드 스커트 실링 장치
KR101298758B1 (ko) 슈트용 라이너
US5913404A (en) Pressure arm for floating skirt in conveyor
UA125319C2 (uk) Зносостійкі перевантажувальні або розподільні лотки
KR101680040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스커트 장치
KR101388008B1 (ko) 이송물 투입장치
JP2007008478A (ja) Ptpシートの製造装置及び充填ユニットの装着方法
US5816388A (en) Pressure arm for floating skirt in conveyor
KR101280621B1 (ko) 난연, 저마찰, 내마모성을 갖는 이음매 없는 일체형 라이너를 갖는 콜 피더 인렛 슈트
CA2815091A1 (en) Device for the return of empty goods, especially plastic bottles and metal cans
JP2016037391A (ja) シュート
EP3279116A1 (en) Conveyor chain
JP5601151B2 (ja) 定量切り出し装置用ホッパースカート装置
US20160137420A1 (en) An Improved Liner
AU2020100746A4 (en) Wear plates and skirt liners
US11878868B2 (en) Liner sheet, replacement liner, conveyor pan, conveyor, and liner replacement method
EP2240392B1 (en) Return guide bend segment
KR20180062793A (ko) 벨트 컨베이어의 스커트 장치
EP3689794A1 (en) Chute for transferring flowable particulate material
JPH0820419A (ja) ベルトコンベアにおける荷受部設置用スカート及び荷こぼれ等の防止装置
KR20130013586A (ko) 벨트 컨베이어
KR101649856B1 (ko) 파이프 라인의 곡관부 마모 방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