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2329B1 - 스테이플 처리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및 스테이플 처리를 제어하는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스테이플 처리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및 스테이플 처리를 제어하는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2329B1
KR101442329B1 KR1020120040360A KR20120040360A KR101442329B1 KR 101442329 B1 KR101442329 B1 KR 101442329B1 KR 1020120040360 A KR1020120040360 A KR 1020120040360A KR 20120040360 A KR20120040360 A KR 20120040360A KR 101442329 B1 KR101442329 B1 KR 101442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pling
staple
sheets
image forming
maximum nu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0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3214A (ko
Inventor
히로찌까 사또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23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32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2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2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41J13/106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for the sheet output s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 Paper Feed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용지에 스테이플 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되는 스테이플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는, 스테이플 유닛이 스테이플 처리를 행하는 용지의 넘김 방향을 판별하고, 판별된 넘김 방향에 따라서 스테이플 처리가능한 용지의 최대 매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테이플 처리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및 스테이플 처리를 제어하는 화상 형성 장치{CONTROL APPARATUS FOR CONTROLLING STAPLING AND IMAGE FORMING APPARATUS FOR CONTROLLING STAPLING}
본 발명은, 스테이플 처리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및 스테이플 처리를 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인쇄 설정 중 1개로서 스테이플 설정을 갖는 화상 형성 장치가 있다. 그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유저는 퍼스널 컴퓨터(PC)의 프린터 드라이버 화면이나 화상 형성 장치의 조작 유닛을 통해 인쇄물의 네 모서리, 윗변, 하변 중 어느 하나에 스테이플 처리되는지를 나타내는 스테이플 처리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인쇄물인 기록지 세트에 1개의 스테이플에 의해 스테이플 처리가능한 용지 매수에 상한이 있다. 다수의 화상 형성 장치는 스테이플 처리가능한 용지의 최대 매수를 고정값으로서 저장 유닛에 저장하고, 기록지 매수가 스테이플 처리가능한 용지의 최대 매수를 초과했을 경우에 스테이플 처리를 실시하지 않는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공보 제11-192766호에서는, 스테이플 처리되는 기록지의 품질 및 스테이플의 특성에 기초해서 스테이플 처리가능한 용지의 최대 매수를 변경함으로써 가능한 한 많은 기록지를 1개의 스테이플에 의해 묶는 제어를 수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개시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는, 스테이플 처리가능한 용지의 최대 매수는 기록지 세트에 스테이플 처리를 행하는 방향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그 결과, 스테이플 처리를 행하는 방향에 따라 동일한 기록지 세트에 대해서도 스테이플 처리의 강도가 낮아진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가 랜드스케이프 화상을 인쇄한 3매의 기록지를 포함하는 용지 세트(501)의 좌측 상방으로 제1 페이지 내지 최종 페이지가 스테이플 처리되는 경우에, 유저가 좌측 경사 상방향으로 용지를 넘겨도 간단히 스테이플 침으로부터 용지가 분리될 가능성은 낮다.
한편, 화상 형성 장치가 랜드스케이프 화상을 인쇄한 3매의 기록지를 포함하는 용지 세트(502)의 좌측 상방으로 최종 페이지 내지 1페이지가 스테이플 처리되는 경우에, 유저가 좌측 경사 상방향으로 용지를 넘기면 간단히 스테이플 침으로부터 용지가 분리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스테이플 처리 위치에서, 스테이플 처리되는 용지 세트의 넘김 방향에 따라, 스테이플이 쉽게 떨어질 수도 있어서, 재 스테이플 처리를 행하기 위해서는 시간과 노동력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스테이플 처리되는 용지의 페이지 넘김 방향에 따라 스테이플 처리가능한 용지의 최대 매수를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는 메커니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용지에 스테이플 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되는 스테이플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는, 스테이플 유닛이 스테이플 처리를 행하는 용지의 넘김 방향을 판별하고, 판별된 넘김 방향에 따라서 스테이플 처리가능한 용지의 최대 매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 및 양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예시적인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 포함되고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 특징 및 양태를 설명하고, 그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기능을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를 포함하는 인쇄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화상 형성 유닛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3의 (a), (b), (c), (d)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의 스테이플 처리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저장 유닛에 저장되는 스테이플 처리 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의 (a), (b), (c), (d), (e) 및 (f)는 화상 형성 장치의 스테이플 처리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7은 화상 형성 장치의 스테이플 처리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본 발명의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 특징 및 양태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를 포함하는 인쇄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화상 형성 장치는, 인쇄 기능과, 스캐너 기능과, 통신 기능을 갖는 복합기를 일례로 하여 설명된다. 그러나, 인쇄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도 1에서, 외부 장치(101)는 데스크탑 PC 또는 노트북 PC이다. 화상 형성 장치(102)는 네트워크(104)를 통해서 외부 장치(101)와 쌍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접속되어 있다. 네트워크(104)는 유선 또는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LAN)일 수 있어서, 직접 접속 또는 인터넷을 가능하게 한다.
외부 장치(101)는 중앙 처리 유닛(CPU), 리드 온리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및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를 포함한다. CPU는 HDD에 저장된 프로그램 군이나 각각의 프로그램(프린터 드라이버를 포함함)에 필요한 인쇄 데이터를 RAM 상에 판독해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각 유닛의 기능을 달성한다.
네트워크 통신 유닛(101a)은 화상 형성 장치(102)로 인쇄 데이터와 인쇄 설정을 송신하고, 화상 형성 장치(102)로부터의 장치 정보나 인쇄 결과를 수신한다. 저장 유닛(101b)은 ROM, RAM 또는 HDD이다. ROM, RAM 또는 HDD에는 인쇄 데이터나 인쇄 설정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다.
제어 유닛(101c)의 각 기능 처리는 CPU에 의해 실현되어, 제어 유닛(101c)은, CPU가 저장 유닛(101b)으로부터의 판독한 제어 프로그램(예를 들면, 문서 작성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린터 드라이버)을 실행한다. 제어 유닛(101c)은 저장 유닛(101b)으로부터 인쇄 데이터와 인쇄 설정값을 판독해서, 인쇄 데이터와 인쇄 설정값을 네트워크 통신 유닛(101a)을 통해서 화상 형성 장치(102)로 송신한다. 이 제어 유닛은 스테이플 처리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로서도 기능한다.
화상 형성 장치(102)는 CPU, ROM, RAM 및 HDD를 포함한다. CPU는 HDD에 저장된 프로그램 군, 각각의 프로그램에 필요한 인쇄 데이터 또는 화면 리소스를 RAM 상에 판독해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각 유닛의 기능을 달성한다.
네트워크 통신 유닛(102a)은 외부 장치(101)로부터 인쇄 데이터나 인쇄 설정값을 수신하고, 외부 장치(101)로 화상 형성 장치(102)의 장치 정보나 인쇄 결과를 송신한다.
저장 유닛(102b)은 ROM, RAM 또는 HDD이다. 저장 유닛(102b)은 외부 장치(101)로부터 수신된 인쇄 데이터나 인쇄 설정값과, 스캐너에 의해 나타내는 화상 입력 유닛(102d)으로부터 판독된 인쇄 데이터와, 조작 유닛(102f)으로부터 입력된 인쇄 설정값과, 화상 형성 장치(102)의 각각의 프로그램 또는 화면 리소스를 저장한다.
제어 유닛(102c)의 각각의 기능 처리는 CPU에서 달성되어, 제어 유닛(102c)은 CPU가 저장 유닛(102b)으로부터 판독한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제어 유닛(102c)은, 유저가 조작하는 조작 유닛(102f)으로부터의 인쇄 개시 지시를 검지하고, 조작 유닛(102f)으로부터 입력되는 인쇄 설정에 따른 인쇄 잡(예를 들면, 복사 잡)을 생성하고, 화상 입력 유닛(102d)으로부터 판독된 인쇄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어 유닛(102c)은 네트워크 통신 유닛(102a)을 통해서 외부 장치(101)로부터 인쇄 데이터와 인쇄 설정을 수신해서 인쇄 잡[예를 들면, 페이지 설명 언어(PDL) 인쇄 잡]을 생성한다. 제어 유닛(102c)은 인쇄 데이터를 저장 유닛(102b)에 저장하는 제어를 실행한다. 인쇄 잡은 외부 장치에 설치되는 프린터 드라이버와 같은 유저 인터페이스(UI) 화면에서 스테이플 처리 위치를 지정하도록 구성된다.
제어 유닛(102c)은 또한 저장 유닛(102b)으로부터 각각의 인쇄 잡에 따른 인쇄 데이터를 판독하고, 화상 형성 유닛(102e)에 의해 기록지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제어를 실행한다. 따라서, 제어 유닛(102c)은 인쇄에 관한 각각의 유닛의 처리를 총괄적으로 제어한다.
제어 유닛(102c)은, 인쇄 잡에 설정되는 인쇄 설정에 따라 배지되는 용지 세트에 스테이플 처리를 행할 때, 도 6에 나타내는 제어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 제어 유닛(102c)은 스테이플 유닛(212)이 스테이플 처리되는 용지 세트의 페이지 넘김 방향을 판별함으로써, 스테이플 유닛(212)에 설정되는 스테이플 처리가능한 용지의 최대 매수를 변경하는 제어를 도 6에 나타내는 절차에 따라 실행한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화상 형성 유닛(102e)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에서, 제어 유닛(102c)은 프린터 엔진인 화상 형성 유닛(102e)에서 인쇄 데이터를 인쇄한다. 이러한 경우에, 제어 유닛(102c)과 화상 형성 유닛(102e) 사이에 인쇄 데이터 자체, 제어 커맨드 또는 화상 형성 유닛(102e)의 스테이터스가 전송된다. 이러한 스테이터스 중 1개는 화상 형성 유닛(102e)에 포함되는 스테이플 유닛(212)의 기계 구성 정보이다.
제어 유닛(102c)은 인쇄 개시 전에 스테이플 유닛(212)의 기계 구성 정보를 취득해서 기계 구성 정보를 저장 유닛(102b)에 기록한다. 스테이플 유닛(212)의 기계 구성 정보에 대해서는 도 3의 (a) 내지 (d)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화상 형성 유닛(102e)은, 제어 유닛(102c)으로부터 수신된 급지 요청에 응답하여, 용지를 급지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용지가 급지 가능하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화상 형성 유닛(102e)이 급지 가능한 스테이터스를 제어 유닛(102c)으로 송신한다. 그 후, 제어 유닛(102c)은 인쇄 데이터에 따른 레이저빔을 감광 드럼(200)에 조사해서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잠상을 형성하고, 감광 드럼(200)의 잠상 부분에 현상 장치(201) 내의 토너를 부착시킨다.
레이저빔의 조사 개시와 동기한 경우에, 화상 형성 유닛(102e)은 급지 카세트(202, 203) 중 어느 하나로부터 기록지를 전사 유닛(204)으로 급지해서 감광 드럼(200)에 부착된 토너를 기록지에 전사한다.
그 후, 화상 형성 유닛(102e)은 토너가 전사된 기록지를 중간 전사 벨트(205)로부터 정착 유닛(206)으로 반송하고, 정착 유닛(206)의 열과 압력에 의해 토너를 기록지에 정착시킨다. 화상 형성 유닛(102e)은 인쇄 개시 전에 정착 유닛의 온도 증가와 같이 인쇄 수신 전의 전처리를 실행하고, 전처리 동안 스테이터스를 제어 유닛(102c)으로 송신한다.
화상 형성 유닛(102e)은 인쇄 완료 후에 온도 감소와 같은 인쇄 잡 완료 후의 후처리를 실행하고, 후처리 동안 스테이터스를 제어 유닛(102c)으로 송신한다. 정착 유닛(206)을 통과한 기록지는 배지 롤러(207)에 의해 배지되고, 스테이플 유닛(212)을 통과해서 배지 트레이(208)로 배지된다. 화상 형성 유닛(102e)은, 기록지에 전사 후에 남은 폐 토너를 폐 토너 용기(209)로 반송한다.
인쇄 잡에서 양면 인쇄가 지정된 경우에, 배지 롤러(207)로 반송되고 제1면에 데이터가 인쇄된 기록지를, 배지 롤러(207)의 회전 방향을 역전시켜서 플래퍼(210)에 의해 재급지 반송로(211)로 유도하고, 재급지 반송로(211)로부터 전사 유닛(204)로 반송한다.
화상 형성 유닛(102e)은 제2면에 데이터가 인쇄된 기록지를 배지 롤러(207)에 의해 배지한다. 그 후, 기록지는 스테이플 유닛(212)을 통과해서 배지 트레이(208)로 배지된다. 급지가 금지된 경우에는, 급지 불가능의 스테이터스를 제어 유닛(102c)으로 송신하고, 급지, 반송, 전사 또는 잠상의 정착에 관한 임의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도록 제어가 실행된다.
한편, 인쇄 설정에 스테이플 처리가 지정되어 있는 인쇄 잡을 외부 장치(101)로부터 화상 형성 장치(102)가 수신한 경우에, 제어 유닛(102c)은 스테이플 유닛(212)을 제어해서 기록지에 스테이플 처리를 행한다.
이러한 경우에, 제어 유닛(102c)은 스테이플 처리된 기록지 매수에 도달할 때까지 스테이플 유닛(212)이 내부 트레이 상에 기록지를 쌓아 두도록 제어한다. 스테이플 처리되는 기록지 매수에 도달했다고 판단한 경우에, 제어 유닛(102c)은 스테이플 유닛(212)이 스테이플 처리를 실행하도록 제어하고, 스테이플 처리된 기록지를 배지 트레이(208)로 배지한다.
도 3의 (a), (b), (c) 및 (d)는 예시적인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의 스테이플 처리 예를 도시한다. 스테이플 유닛의 기계 구성이 설명된다.
도 3의 (a) 및 (b)는 도 2에 나타낸 스테이플 유닛(212)이 기록지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스테이플(301)을 치는 방향을 나타내는 스테이플 처리 방향 정보를 나타낸다.
도 3의 (a)는 스테이플 유닛(212)이 기록지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기록지 세트(300)의 후단에서 상방으로 스테이플(301)을 치는 기계 구성예를 도시한다. 도 3의 (b)는 스테이플 유닛(212)이 기록지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기록지 세트(300)의 후단에서 하방으로 스테이플(301)을 치는 기계 구성예를 도시한다.
예시적인 본 실시예에서는, 스테이플 처리 방향 정보는 도 1에 나타낸 저장 유닛(102b)에 저장되는 것으로 하기로 한다. 따라서, 제어 유닛(102c)은 스테이플 처리를 실행할 때, 저장 유닛(102b)으로부터 스테이플 처리 방향 정보를 판독하도록 구성된다.
도 3의 (c) 및 (d)는 스테이플 유닛(212)이 기록지 세트(300)를 스테이플 처리할 수 있는 물리적 위치를 나타내는 스테이플 처리가능한 위치 정보를 나타낸다.
도 3의 (c)는 스테이플 유닛(212)이 스테이플 처리 부분을 이동시키는 기구를 갖고 있어, 스테이플 처리 부분을 이동시킴으로써 전방측 위치(302)와 후방측 위치(303) 중 하나에서 스테이플을 칠 수 있는 기계 구성예를 나타낸다.
한편, 도 3의 (d)는 스테이플 유닛(212)이 스테이플 처리 부분를 이동시키는 기구를 갖고 있지 않고, 전방측 위치(302)에서만 스테이플을 칠 수 있는 기계 구성예를 나타낸다.
예시적인 본 실시예에서는, 스테이플 처리가능한 위치 정보는 저장 유닛(102b)에 저장되는 것으로 하기로 한다. 따라서, 제어 유닛(102c)은 스테이플 처리를 실행할 때, 저장 유닛(102b)으로부터 스테이플 처리가능한 위치 정보를 판독하도록 구성된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저장 유닛(102b)에 저장된 스테이플 처리 표의 일례를 도시한다. 이는 구체적으로 제어 유닛(102c)의 스테이플 처리 동안 배지 제어에 이용되는 배지 동작 결정 표의 일례이다. 제어 유닛(102c)은 도 4에 도시된 스테이플 처리 동작 동안 스테이플 처리 표를 저장 유닛(102b)으로부터 판독해서 배지 방법을 결정한다.
도 4에 도시된 예에서는, 원고 화상은 A4 크기의 포트레이트 화상 또는 랜드스케이프 화상이고, 급지 카세트(202, 203) 중 하나로부터 A4 크기의 기록지를 수직 방향(긴 변이 반송 방향에 평행함)으로만 급지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각각의 "스테이플 처리 방향 정보"와 "스테이플 처리가능한 위치 정보"는 도 3의 (a) 내지 (d)에서 나타낸 스테이플 처리 유닛의 기계 구성 중 하나가 되는 것으로 규정된다. "원고 화상 방향 정보"와 "스테이플 처리 위치 지정 정보"는 외부 장치(101)로부터 수신되는 인쇄 잡에 지정되는 인쇄 설정에 포함된다. 인쇄 설정은 용지 세트의 어느 위치에 스테이플을 칠지 지정하는 스테이플 처리 정보를 포함한다.
제어 유닛(102c)은 스테이플 처리 방향 정보와, 스테이플 처리가능한 위치 정보와, 인쇄 설정에 포함된 원고 화상 방향 정보 및 스테이플 처리 위치 지정 정보에 기초하여 스테이플 처리 위치(전방 또는 후방)와 스테이플 처리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스테이플 처리 방향에 대해서는, 원고의 제1 페이지가 인쇄된 기록지로부터 원고의 최종 페이지가 인쇄된 기록지까지 스테이플 처리를 행하는 스테이플 처리 방향을 "정방향"으로 규정한다.
한편, 원고의 최종 페이지가 인쇄된 기록지로부터 원고의 제1 페이지가 인쇄된 기록지까지 스테이플 처리를 행하는 스테이플 처리 방향을 "역방향"으로 규정한다.
급지 카세트(202, 203) 중 하나로부터 A4 크기의 용지의 수직 방향 뿐만아니라 수평 방향에서도 급지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가 있다.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서, 제어 유닛(102c)은 원고 화상을 급지 방향에 따라 90도 회전시킴으로써 수직 및 수평으로 모두 급지된 기록지에 적절하게 인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도 4에 도시되는 스테이플 처리 표와 상이한 스테이플 처리 표가 적용될 수 있다.
도 5의 (a), (b) 및 (c)는 도 4에 도시된 스테이플 처리 표를 이용하는 제어 유닛(102c)에 의한 스테이플 처리 동안 배지 제어 예를 나타낸다.
도 5의 (a)는 스테이플 처리 유닛(212)의 기계 구성이 도 3의 (a) 및 (d)에 도시된 기계 구성이고, 인쇄 설정에 포함된 스테이플 처리 위치 지정 정보 및 원고 화상 방향이 각각 좌측 상방으로 그리고 포트레이트인 예를 나타낸다.
이러한 경우에, 제어 유닛(102c)은 원고의 제1 페이지로부터 최종 페이지까지(페이지 오름차순으로) 순차적으로 기록지에 화상을 인쇄하는 제어를 실행한다. 제어 유닛(102c)은 인쇄면이 배지되는 기록지의 하측이 될 수 있도록(페이스다운) 배지를 제어한다.
도 5의 (d)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배지 제어 하에 수행된 스테이플 처리 결과를 나타낸다. 도 5의 (d)에서는, 원고의 제1 페이지가 인쇄된 기록지로부터 원고의 최종 페이지가 인쇄된 기록지까지(정방향) 스테이플 처리된다.
도 5의 (b)는 스테이플 유닛(212)의 기계 구성이 도 3의 (a) 및 도 3의 (c)에 도시된 기계 구성이고, 인쇄 설정에 포함되는 스테이플 처리 위치 지정 정보와 원고 화상 방향이 각각 좌측 상방으로 그리고 랜드스케이프인 예를 나타낸다. 이러한 경우에, 제어 유닛(102c)은 원고의 제1 페이지로부터 최종 페이지까지(페이지 오름차순으로) 순차적으로 기록지에 화상을 인쇄하는 제어를 실행한다. 제어 유닛(102c)은 인쇄면이 배지되는 기록지의 하측이 될 수 있도록(페이스다운) 배지를 제어한다.
도 5의 (e)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배지 제어 하에 수행된 스테이플 처리 결과를 나타낸다. 도 5의 (e)에서, 원고의 제1 페이지가 인쇄된 기록지로부터 원고의 최종 페이지가 인쇄된 기록지까지(정방향) 스테이플 처리된다.
도 5의 (c)는 스테이플 유닛(212)의 기계 구성이 도 3의 (a) 및 (d)에 도시된 기계 구성이고, 인쇄 설정에 포함되는 스테이플 처리 위치 지정 정보와 원고 화상 방향이 각각 좌측 상방으로 그리고 랜드스케이프인 예를 나타낸다. 이러한 경우에, 제어 유닛(102c)은 도 3의 (a) 및 (d)에 도시된 제약 때문에 원고의 최종 페이지로부터 제1 페이지까지(페이지 내림차순으로) 순차적으로 기록지에 화상을 인쇄하는 제어를 실행한다. 제어 유닛(102c)은 인쇄면이 배지되는 기록지의 상측이 될 수 있도록(페이스업) 배지를 제어한다.
제어 유닛(102c)은 도 2에 나타낸 재급지 반송로(211)를 사용해서 표면이 백지이면서 후면에 원고 화상을 인쇄하는 양면 출력 제어를 실행함으로써 페이스 업 배지를 달성할 수 있다. 도 5의 (f)는 도 5의 (c)에 나타낸 배지 제어 하에서 수행되는 스테이플 처리 결과를 나타낸다. 도 5의 (f)에서, 원고의 최종 페이지가 인쇄된 기록지로부터 원고의 제1 페이지가 인쇄된 기록지까지(역방향) 스테이플 처리된다.
스테이플 처리 방향이 역방향이 될 경우에, 스테이플은 원고의 제1 페이지가 인쇄된 기록지 면측에서 고정된다. 따라서, 역방향에서는 기록지 매수가 커짐에 따라 스테이플 처리 부분의 붙는 부분이 짧아진다. 따라서, 스테이플 처리의 강도가 서서히 감소된다.
따라서, 제어 유닛(102c)은, 도 4에 나타낸 표를 참조하여, 스테이플 처리 방향 정보와, 스테이플 처리가능한 위치 정보와, 원고 화상 방향 정보와, 스테이플 처리 위치 설정 정보의 조합에 기초하여 스테이플 처리 방향을 결정한다.
도 6은 예시적인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시된 처리는 제어 유닛(102c)에 의해 수행되는 스테이플 처리의 일례이다. 제어 유닛(102c)은 도 4에 나타낸 스테이플 처리 표를 참조해서 저장 유닛(102b)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각각의 단계를 달성한다. 이후에, 용지 세트의 스테이플 처리 방향과 용지 세트의 페이지 승강 순서에 기초해서 제어 유닛(102c)에 의해 수행되는 페이지 넘김 방향의 판별을 포함하는 스테이플 처리를 설명한다.
단계 S1001에서, 제어 유닛(102c)은 저장 유닛(102b)으로부터 인쇄 전에 취득해야 하는 "스테이플 처리 방향 정보"와 "스테이플 처리가능한 위치 정보"를 판독한다.
단계 S1002에서, 제어 유닛(102c)은 인쇄 설정에 포함된 "원고 화상 방향 정보"와 "스테이플 처리 위치 지정 정보"를 판독한다.
단계 S1003에서, 제어 유닛(102c)은 "스테이플 처리 방향 정보"와 "스테이플 처리가능한 위치 정보"와 "원고 화상 방향 정보"와 "스테이플 처리 위치 지정 정보"에 기초하여 스테이플 처리 방향을 결정한다.
단계 S1004에서, 제어 유닛(102c)은 스테이플 처리 방향이 정방향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테이플 처리 방향이 정방향이라고 판정한 경우에(단계 S1004에서 예), 단계 S1005에서, 제어 유닛(102c)은 저장 유닛(102b)으로부터 "정방향에서 스테이플 처리가능한 용지의 최대 매수"를 판독한다.
한편, 스테이플 처리 방향이 역방향이라고 판정한 경우에(단계 S1004에서 아니오), 단계 S1006에서, 제어 유닛(102c)은 저장 유닛(102b)으로부터 "역방향에서 스테이플 처리가능한 용지의 최대 매수"를 판독한다.
예시적인 본 실시예에서는, "역방향 때의 스테이플 처리가능한 용지의 최대 매수"는 "정방향 때의 스테이플 처리가능한 용지의 최대 매수"보다 작다.
단계 S1007에서, 제어 유닛(102c)은, 스테이플 유닛(212)에 의해 축적된 기록지 매수(1개의 인쇄 잡에서의 기록지 총 매수)가 스테이플 처리가능한 용지의 최대 매수 이하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축적된 기록지의 매수가 스테이플 처리가능한 용지의 최대 매수 이하인 경우에(단계 S1007에서 예), 단계 S1008에서, 제어 유닛(102c)은 스테이플 유닛(212)이 기록지 세트에 스테이플 처리를 행하도록 제어한다. 그 후, 본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축적된 기록지의 매수가 스테이플 처리가능한 용지의 최대 매수보다 큰 경우에(단계 S1007에서 아니오), 제어 유닛(102c)은 스테이플 유닛(212)이 스테이플 처리를 행하지 않고서 용지를 배지 트레이(208)로 배지하도록 제어한다. 그 후, 본 처리를 종료한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는 스테이플 처리 방향에 따라 스테이플 처리 판정에 이용되는 스테이플 처리가능한 용지의 최대 매수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용지 넘김 방향과 역방향으로 스테이플 처리가 실행되고, 용지 매수가 증가하는 경우에, 정방향으로 스테이플 처리가능한 용지의 최대 매수보다 작은 용지 매수에서 스테이플 처리를 실행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유저가 역방향으로부터 스테이플 처리된 용지 세트의 용지를 넘기는 경우에 스테이플이 떨어지는 것(staple falling-off)을 방지하는 스테이플 처리를 실현할 수 있다.
단계 S1005로부터 본 처리를 종료하는 경우에, 조작 유닛(102f)에, 스테이플 처리를 실행하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유저에게 주는 제어를 추가할 수도 있다.
인서터(inserter)와 같은 용지 삽입 기능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인서터로부터 삽입되는 용지의 두께와 매수를 고려해서 결정에 이용되는 용지의 최대 매수를 더 증가/감소하도록 제어를 추가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본 실시예에 따르면, 용지 세트의 넘김 방향에 따라, 스테이플 처리동안 스테이플 처리가능한 용지의 매수를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양태는 상술된 실시예의 기능을 실행하는 메모리 장치(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판독하는 장치 또는 시스템의 컴퓨터(또는 CPU 또는 MPU와 같은 장치)에 의해, 그리고 예를 들면, 상술된 실시예의 기능을 실행하는 메모리 장치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판독함으로써, 장치 또는 시스템의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예를 들면 메모리 장치(예를 들면,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로서 기능하는 다양한 종류의 기록 매체로부터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컴퓨터에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이러한 경우에, 시스템 또는 장치와,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 매체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속하는 것으로서 포함한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 청구 범위의 범주는 변경, 등등한 구조 및 기능을 모두 포함하도록 최광의의 해석을 허용해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용지에 스테이플 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되는 스테이플 유닛을 제어하는 화상 형성 장치이며,
    상기 스테이플 유닛이 스테이플 처리를 행하는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화상 형성 유닛과,
    상기 스테이플 유닛이 스테이플 처리를 행하는 용지의 넘김 방향을 판별하고, 판별된 상기 넘김 방향에 따라서 스테이플 처리가능한 용지의 최대 매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용지의 페이지 승강 순서에 기초하여 상기 넘김 방향을 판별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스테이플 처리 방향과 상기 넘김 방향이 유사할 경우의 스테이플 처리가능한 용지의 최대 매수를, 상기 스테이플 처리 방향과 상기 넘김 방향이 다른 경우의 스테이플 처리가능한 용지의 최대 매수보다 작게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플 유닛이 용지에 스테이플 처리를 행하는 위치를, 인쇄 잡에 설정되는 스테이플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스테이플 처리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이며,
    스테이플 처리를 행하는 용지의 넘김 방향을 판별하고, 판별된 상기 넘김 방향에 따라서 스테이플 처리가능한 용지의 최대 매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스테이플 처리 기능 제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용지의 페이지 승강 순서에 기초하여 상기 넘김 방향을 판별하는 스테이플 처리 기능 제어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스테이플 처리 방향과 상기 넘김 방향이 유사할 경우의 스테이플 처리가능한 용지의 최대 매수를, 상기 스테이플 처리 방향과 상기 넘김 방향이 다른 경우의 스테이플 처리가능한 용지의 최대 매수보다 작게 하는 스테이플 처리 기능 제어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용지에 스테이플 처리를 행하는 위치를, 인쇄 잡에 설정되는 스테이플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스테이플 처리 기능 제어 장치.
  9. 스테이플 처리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 방법이며,
    스테이플 처리를 행하는 용지의 넘김 방향을 판별하는 공정과,
    판별된 상기 넘김 방향에 따라서 스테이플 처리가능한 용지의 최대 매수를 결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스테이플 처리 기능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의 페이지 승강 순서에 기초하여 상기 넘김 방향을 판별하는 스테이플 처리 기능 제어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스테이플 처리 방향과 상기 넘김 방향이 유사할 경우의 스테이플 처리가능한 용지의 최대 매수를, 상기 스테이플 처리 방향과 상기 넘김 방향이 다른 경우의 스테이플 처리가능한 용지의 최대 매수보다 작게 하는 스테이플 처리 기능 제어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용지에 스테이플 처리를 행하는 위치를, 인쇄 잡에 설정되는 스테이플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스테이플 처리 기능 제어 방법.
  13. 컴퓨터가 스테이플 처리 기능을 제어하게 만드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이며, 상기 프로그램은,
    스테이플 처리를 행하는 용지의 넘김 방향을 판별하는 공정과,
    판별된 상기 넘김 방향에 따라서 스테이플 처리가능한 용지의 최대 매수를 결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KR1020120040360A 2011-04-19 2012-04-18 스테이플 처리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및 스테이플 처리를 제어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14423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93275 2011-04-19
JP2011093275A JP5717523B2 (ja) 2011-04-19 2011-04-19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3214A KR20120123214A (ko) 2012-11-08
KR101442329B1 true KR101442329B1 (ko) 2014-09-23

Family

ID=47020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0360A KR101442329B1 (ko) 2011-04-19 2012-04-18 스테이플 처리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및 스테이플 처리를 제어하는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641030B2 (ko)
JP (1) JP5717523B2 (ko)
KR (1) KR101442329B1 (ko)
CN (1) CN10274498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97164B2 (ja) * 2012-07-17 2018-09-26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印刷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6055968A (ja) * 2014-09-09 2016-04-2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5439A (ja) 2001-02-28 2002-09-11 Seiko Epson Corp 印刷制御プログラム、印刷制御装置および印刷制御方法
JP2009001426A (ja) 2007-06-19 2009-01-08 Toshiba Corp シート処理装置、シート処理方法
JP2009051645A (ja) 2007-08-28 2009-03-12 Sharp Corp 画像形成装置
KR20100046608A (ko) * 2008-10-27 2010-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스태플링 유닛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56536B2 (ja) * 1990-10-12 1999-02-10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後処理装置
JPH0435994A (ja) * 1990-05-31 1992-02-06 Toshiba Corp 紙葉類綴込み装置および紙葉類綴込み装置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JPH0664917U (ja) * 1992-09-17 1994-09-13 澄雄 境野 ホッチキスの針の部分の保護金具
JPH07203121A (ja) * 1993-12-29 1995-08-04 Canon Inc 複合画像入出力装置
JP3419202B2 (ja) * 1996-06-05 2003-06-2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用紙中綴じ装置
JPH11192766A (ja) 1997-12-27 1999-07-21 Canon Inc プリンタ装置
EP2287721A3 (en) * 1999-11-02 2011-04-06 Canon Kabushiki Kaisha Print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US6550757B2 (en) * 2001-08-07 2003-04-22 Hewlett-Packard Company Stapler having selectable staple size
JP4325137B2 (ja) * 2001-10-16 2009-09-0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シート処理装置
CN1532072A (zh) * 2003-03-19 2004-09-29 刘现军 倒翻历
JP2005263457A (ja) * 2004-03-19 2005-09-29 Canon Inc 後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JP4446960B2 (ja) * 2005-12-16 2010-04-07 株式会社リコー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8221477A (ja) * 2007-03-08 2008-09-25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US7753353B2 (en) * 2007-03-14 2010-07-13 Xerox Corporation Vertical sheet compiling apparatus and methods of vertically compiling sheets
JP5247242B2 (ja) * 2008-05-26 2013-07-24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制御装置、印刷制御装置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5218223B2 (ja) * 2009-04-01 2013-06-26 マックス株式会社 中綴じステープラ搭載フィニッシャにおける綴じ位置の位置決め機構
JP5550852B2 (ja) * 2009-05-26 2014-07-1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用紙処理装置
US8226079B2 (en) * 2009-08-04 2012-07-24 Kabushiki Kaisha Toshiba Manual stapling mode for sheet finish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5439A (ja) 2001-02-28 2002-09-11 Seiko Epson Corp 印刷制御プログラム、印刷制御装置および印刷制御方法
JP2009001426A (ja) 2007-06-19 2009-01-08 Toshiba Corp シート処理装置、シート処理方法
JP2009051645A (ja) 2007-08-28 2009-03-12 Sharp Corp 画像形成装置
KR20100046608A (ko) * 2008-10-27 2010-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스태플링 유닛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3214A (ko) 2012-11-08
US20120267842A1 (en) 2012-10-25
US8641030B2 (en) 2014-02-04
JP2012224434A (ja) 2012-11-15
CN102744986A (zh) 2012-10-24
JP5717523B2 (ja) 2015-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16680B2 (en) Sheet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sheet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US8441657B2 (en) Print job management method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9126796B2 (en) System for controlling sheet folding processing
US20110229237A1 (en)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5147822B2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00196042A1 (en) Printing control apparatus, printing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20160070223A1 (en) Printing apparatus, printing method, storage medium for storing program, and printing system
US20070176346A1 (en) Image Forming System Including Finisher with Stapler for Binding Printed Papers
US9283796B2 (en) Sheet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sheet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JP3762423B2 (ja) 画像形成システム、その制御方法、及びその制御方法を実行する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KR101442329B1 (ko) 스테이플 처리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및 스테이플 처리를 제어하는 화상 형성 장치
US8931774B2 (en) Sheet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s well as controlling apparatus
JP2015100935A (ja) 印刷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2015033192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JP2007156903A (ja) 印刷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3679766B2 (ja) 画像形成システム、その制御方法、画像形成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これらの制御方法を実行する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録媒体
US20140367907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print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JP5317708B2 (ja) 印刷装置及び制御方法
JP4250288B2 (ja) 画像形成システム、画像形成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JP2008063077A (ja) 画像形成システム
JP2007067859A (ja) サンプルトレイを備えるスタッカ付き画像形成装置
JP2016084184A (ja) 画像形成装置と画像形成装置に接続される後処理装置で構成された画像形成システム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4446351B2 (ja) 画像形成装置
JP5705193B2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7026852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