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2142B1 - 압력관용 고강도 이음관 - Google Patents

압력관용 고강도 이음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2142B1
KR101442142B1 KR1020130059322A KR20130059322A KR101442142B1 KR 101442142 B1 KR101442142 B1 KR 101442142B1 KR 1020130059322 A KR1020130059322 A KR 1020130059322A KR 20130059322 A KR20130059322 A KR 20130059322A KR 101442142 B1 KR101442142 B1 KR 101442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ressure
reinforcing
joint pip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9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태
Original Assignee
이종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태 filed Critical 이종태
Priority to KR1020130059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21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2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2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2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 F16L9/127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the walls consisting of a single layer
    • F16L9/128Reinforced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력관용 이음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합성수지 재질의 이음관의 몸체 내부에 금속 보강재를 구성함으로서 압력관 내부를 유동하는 고압의 유체에 의해 이음관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압력관용 고강도 이음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압력관용 고강도 이음관은 합성수지 재질로 성형된 몸체; 상기 몸체 양 단부가 확관되어 형성된 확관부; 상기 몸체 내부 중앙에 돌출된 스토퍼; 상기 몸체 내부에서 소정 간격으로 연속 배치된 링 형태인 금속 소재의 보강살;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압력관용 고강도 이음관 {Jointing pipe for pressure pipe connect}
본 발명은 압력관용 이음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합성수지 재질의 이음관의 몸체 내부에 금속 보강재를 구성함으로서 압력관 내부를 유동하는 고압의 유체에 의해 이음관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압력관용 고강도 이음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체 또는 기체 등과 같은 유체를 이송시키기 위하여는 파이프를 사용하는데, 파이프는 이송하고자 하는 유체의 특성 및 사용용도에 따라 여러 형태의 모양과 재질로 제작되며, 이때 파이프를 서로 연결하는 데에는 별도의 연결관이 필요하게 된다.
유체를 이송하는 파이프 및 이음관은 단순한 유수(流水)에 사용되는 보통 이음관과, 펌프에 의해 압송되는 유체에 사용되는 압력관용 이음관이 사용된다.
고압의 유체에 사용되는 압력관용 이음관은 고압의 유체에 의해 관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압력관용 고강도 이음관을 사용하는데 대부분의 고강도 압력관용 이음관은 고압의 압력을 견디기 위해 금속소재 또는 특수 합성수지를 재질로 성형된다.
그런데 금속소재로 성형된 이음관은 내부가 부식되어 유체가 오염됨으로써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고, 특수 합성수지로 성형하는 고강도 압력관용 이음관은 생산비가 높은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491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부식이 발생되어 비위생적인 금속소재와, 생산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특수 합성수지를 사용할 필요 없이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P.V.C. 수지 등을 사용하면서도 고압에 견딜 수 있는 압력관용 고강도 이음관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압력관용 고강도 이음관은 합성수지 재질로 성형된 몸체; 상기 몸체 양 단부가 확관되어 형성된 확관부; 상기 몸체 내부 중앙에 돌출된 스토퍼; 상기 몸체 내부에서 소정 간격으로 연속 배치된 링 형태인 금속 소재의 보강살;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보강살은 이음관의 축방향인 지지대에 체결되어 몸체 내부에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관용 고강도 이음관.
또한, 상기 보강살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 보강살들이 서로 이웃하도록 몸체 내부에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관용 고강도 이음관.
또한, 상기 보강살은 단면 형상이 '∨' 또는 '∧'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관용 고강도 이음관.
또한, 상기 확관부 내부에 금속소재의 확관부보강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관용 고강도 이음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압력관용 고강도 이음관은 이음관의 몸체 내부에 금속 소재의 보강살을 구성함으로 부식이 발생할 염려가 없고, 저렴한 생산비용으로도 높은 압력에 견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압력관용 이음관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음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음관 내부에 구성되는 금속 보강살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음관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이음관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에 의한 압력관용 고강도 이음관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압력관용 이음관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음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음관 내부에 구성되는 금속 보강살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음관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이음관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압력관용 이음관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11)의 양측 확관부(13)에 압력관이 삽입되어 두 개의 압력관을 연결하는 것이다.
도 1과 같이 이음관의 확관부(13)에 압력관을 삽입하고, 유체의 누수와 압력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확관부(13)와 압력관 사이에 고무링(40)을 삽입하며, 고정구(30)와 걸쇠(20)를 이용하여 상기 고무링(40)을 압력관의 외벽에 가압 압착시키도록 구성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쇠(20)를 확관부(13)의 걸림구(14)에 걸리도록 하고, 고정구(30)를 고무링(40)에 밀착시켜서 너트를 이용하여 걸쇠(20)와 고정구(30)를 나사 체결함으로써 고정구(30)가 고무링(40)을 압착시키도록 한다.
상기 고정구(30)에 의해 고무링(40)이 압착되면 확관부(13)와 압력관 사이에 위치한 고무링(40)은 탄성 변형하면서 압력관의 외면을 강하게 압착하게 되므로 수밀성을 유지하고, 압력관이 이음관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압력관용 고강도 이음관은 상기 압력관을 연결하는 이음관에 관한 것으로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101) 양측에 확관부(102)가 형성되고, 몸체(101)의 내면 중앙부에는 확관부(102)로 삽입되는 압력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스토퍼(104)가 돌출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압력관용 이음관은 가격이 저렴한 일반적인 P.V.C.등의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이음관(100)의 몸체(101)를 구성하고, 상기 몸체(101) 내부에 금속 소재의 보강부를 구성함으로써 고압의 유체 압력에도 견딜 수 있도록 구성된다.
몸체(101) 내부에 구성되는 보강부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 형태의 금속소재 보강살(111)들이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보강살(111)의 외면 또는 내면에는 이음관(100)의 축 방향으로 소정 개수가 용접 등의 체결수단으로 체결되어 보강살(111)을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보강살(111) 및 지지대(110)는 P.V.C. 등의 합성수지와 함께 이중사출 공정을 통해 성형되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음관(100)의 몸체(101) 내부에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110)의 양 측단에는 확관부보강대(112)가 용접되어 도 4와 같이 이음관(100)의 확관부(102)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링 형태의 보강살(111)이 몸체(101) 내부에 형성됨으로써 이음관(100) 내부를 유동하는 고압의 유체 압력에도 상기 보강살(111)이 유체의 압력을 지지하여 이음관(100)이 파손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다수의 링 형태의 보강살(111)이 몸체(101) 내부에 구성됨으로써 보강부와 합성수지재질의 몸체(101) 사이의 결합력을 증대시킴으로써 보강살(111)과 합성수지재질의 몸체(101)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강살(111)은 단면 형상이 수평 형태인 '-' 형태로 성형될 수도 있지만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 형상이 '\'인 형태의 보강살(111)과 단면 형상이 '/'인 형태의 보강살(111)을 이웃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음관(100) 내부를 유동하는 고압의 유체 압력에 의하여 이음관(100)의 몸체(101)는 몸체(101)를 구성하는 합성수지는 몸체(101) 외측 방향으로 응력이 작용하게 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보강살(111)을 서로 이웃하도록 몸체(101) 내부에 보강부를 구성함으로써 '/\'인 역방향 쐐기 형태의 보강살(111)에 의해 이음관(100)의 몸체(101) 외측으로 작용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몸체(101)를 구성하는 합성수지가 받는 응력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보강살(111)을 서로 이웃하도록 몸체(101) 내부에 보강부를 구성함으로써 이음관(100)의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응력을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살(111)의 단면 형상을 '∧' 형태 또는 '∨' 형태로 성형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보강살(111)의 단면 형상을 '∧' 형태 또는 '∨' 형태로 성형하여 구성하면 이음관(100)의 몸체(101) 외측으로 작용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몸체(101)를 구성하는 합성수지가 받는 응력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또한, 이음관(100)의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응력을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한 압력관용 고강도 이음관에 대해 설명하였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이음관
101 : 몸체
102 : 확관부
103 : 걸림구
104 : 스토퍼
110 : 지지대
111 : 보강살
112 : 확관부보강대

Claims (5)

  1. 합성수지 재질로 성형된 몸체(101);
    상기 몸체(101) 양 단부가 확관되어 형성된 확관부(102);
    상기 몸체(101) 내부 중앙에 돌출된 스토퍼(104);
    상기 몸체(101) 내부에서 소정 간격으로 연속 배치된 링 형태인 금속 소재로 보강살(111)이 형성되되, 상기 보강살(111)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 보강살(111)들이 서로 이웃하도록 몸체(101) 내부에 구성된 보강살(111); 및
    상기 몸체(101) 내부에서 이음관의 축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보강살(111)을 지지하는 지지대(11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관용 고강도 이음관.
  2. 삭제
  3. 삭제
  4. 합성수지 재질로 성형된 몸체(101);
    상기 몸체(101) 양 단부가 확관되어 형성된 확관부(102);
    상기 몸체(101) 내부 중앙에 돌출된 스토퍼(104);
    상기 몸체(101) 내부에서 소정 간격으로 연속 배치된 링 형태인 금속 소재로 보강살(111)이 형성되되, 상기 보강살(111)은 단면 형상이 '∨' 또는 '∧'로 성형된 보강살(111); 및
    상기 몸체(101) 내부에서 이음관의 축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보강살(111)을 지지하는 지지대(11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관용 고강도 이음관.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확관부(102) 내부에 금속소재의 확관부보강대(11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관용 고강도 이음관.
KR1020130059322A 2013-05-24 2013-05-24 압력관용 고강도 이음관 KR101442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9322A KR101442142B1 (ko) 2013-05-24 2013-05-24 압력관용 고강도 이음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9322A KR101442142B1 (ko) 2013-05-24 2013-05-24 압력관용 고강도 이음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2142B1 true KR101442142B1 (ko) 2014-09-22

Family

ID=51760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9322A KR101442142B1 (ko) 2013-05-24 2013-05-24 압력관용 고강도 이음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214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3573U (ja) * 1992-04-16 1993-11-12 日本鋼管株式会社 配管用継手
JPH08145251A (ja) * 1994-11-24 1996-06-07 Fujii Gokin Seisakusho Co Ltd 管接続装置
JP2004084924A (ja) * 2002-07-04 2004-03-18 Sankei Giken:Kk 可撓継手
JP2005233407A (ja) * 2004-02-23 2005-09-02 Kanaflex Corporation ホース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3573U (ja) * 1992-04-16 1993-11-12 日本鋼管株式会社 配管用継手
JPH08145251A (ja) * 1994-11-24 1996-06-07 Fujii Gokin Seisakusho Co Ltd 管接続装置
JP2004084924A (ja) * 2002-07-04 2004-03-18 Sankei Giken:Kk 可撓継手
JP2005233407A (ja) * 2004-02-23 2005-09-02 Kanaflex Corporation ホース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6892B1 (ko) 패스트 그루브 조인트
US8757670B2 (en) Pipe connection consisted on interior of a joint pipe
KR101508659B1 (ko) 배관용 조인트 장치
KR20120038745A (ko) 합성수지관 연결 장치
KR101866793B1 (ko) 만곡된 걸림홈을 갖는 이탈방지 하우징을 이용한 관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KR102053283B1 (ko) 파이프 연결구
KR100891149B1 (ko) 파이프와 연결구가 일체로 형성된 하수관 연결 조립체
KR101442142B1 (ko) 압력관용 고강도 이음관
KR101375487B1 (ko) 밀림방지 기능이 구비된 배관용 고무링
KR101081549B1 (ko) Frp 파이프 연결관 조립체
JP5818855B2 (ja) 管継手
KR100512370B1 (ko) 파이프와 연결구가 일체로 형성된 o링식 편수관 연결 조립체
KR100930209B1 (ko) 합성수지관의 연결구조
KR100868490B1 (ko) 합성수지관의 연결구조
KR200440337Y1 (ko) 개구부 둘레에 리브가 형성된 관연결구 고정 홀더
KR101469151B1 (ko) 원푸싱 배관결합체
KR200479409Y1 (ko)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관
KR100743207B1 (ko) 플랜지 일체형 접속용 합성수지관
KR102623297B1 (ko) 복합관 이음 커플링
KR200479304Y1 (ko) 수밀성이 강화된 파이프 연결구용 고무밴드
CN104235543A (zh) 一种卡簧自锁式管接头
KR20140021845A (ko)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KR101562935B1 (ko) 디씨관 연결용 고정관으로 이루어진 분리방지 고정부재
KR101275763B1 (ko) 수지제관 이음매
KR101137648B1 (ko)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