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409Y1 -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관 - Google Patents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9409Y1
KR200479409Y1 KR2020140000156U KR20140000156U KR200479409Y1 KR 200479409 Y1 KR200479409 Y1 KR 200479409Y1 KR 2020140000156 U KR2020140000156 U KR 2020140000156U KR 20140000156 U KR20140000156 U KR 20140000156U KR 200479409 Y1 KR200479409 Y1 KR 2004794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joint pipe
synthetic resin
grip member
g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01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2809U (ko
Inventor
강석근
강범구
Original Assignee
강석근
강범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석근, 강범구 filed Critical 강석근
Priority to KR20201400001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409Y1/ko
Publication of KR201500028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28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4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40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6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 F16L47/08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one pipe end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leeve or socket, the sealing rings being placed previously in the sleeve or socket
    • F16L47/1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one pipe end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leeve or socket, the sealing rings being placed previously in the sleeve or socket the sealing rings being maintained in place by additiona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경면에 원주방향으로 제1홈부, 제2홈부가 형성된 이음관; 상기 이음관에 삽입되며, 그 외경면이 상기 제1홈부에 면접하여 설치되는 그립부재; 및 상기 이음관에 삽입되며, 그 외경면이 상기 제2홈부에 면접하여 설치되고, 누수방지 기능을 수행하는 수밀고무패킹;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그립부재는, 이음관의 중심부위를 향하여 방사상으로 절곡된 그립편이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관{JOINT PIPE FOR CONNECTING RESIN PIPE}
본 고안은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관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내경면에 원주방향으로 제1홈부 및 제2홈부가 형성된 이음관, 이음관에 삽입되며 그 외경면이 제1홈부에 면접하여 설치되는 그립부재 및 이음관에 삽입되며 그 외경면이 제2홈부에 면접하여 설치되고 누수방지 기능을 수행하는 수밀고무패킹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그립부재는 이음관의 중심부위를 향하여 방사상으로 절곡된 그립편이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되고, 그립편이 이음관에 삽입되는 합성수지관의 외경면을 물어 잡음으로써, 이음관과 합성수지관을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목용관, 오/폐수관 또는 상/하수관으로 사용되는 합성수지관은 지하에 매설되어 그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합성수지관은 종래에는 주로 콘크리트관을 사용하였으나, 습도가 높은 지하에서는 콘크리트관의 부식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쉽게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가격이 비싸고, 무거운 중량으로 인하여 운반 및 설치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부식에 강하고 가벼워 시공이 용이하며 가격이 저렴한 합성수지관을 설치하는 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한편, 합성수지관을 상호 연결하는 방법을 보면 메쉬형태의 열선으로 연결하고자 하는 관과 관 단부를 용융 접착시키는 전기 융착 방법 또는 관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 부분에 체결부재를 나사 결합하는 나사 체결 방법 등 다양한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전기 융착 방법은 관과 관 단부를 고온으로 가열하여 용접하는 방법으로, 열을 가하기 위하여 별도의 전기를 인가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어야 하며, 또한 연결과정이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나사 체결 방법은 관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를 접합시킨 후, 나사 결합에 의해 관과 관을 체결하는 방법으로, 관 매설시 관의 길이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관의 일부를 절단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관을 절단하게 되면, 관의 양측단부에 형성된 플랜지 중 하나의 플랜지만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절단된 관의 일측은 나사 체결이 가능하지만 타측은 나사 체결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관의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를 상호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관을 절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유체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충분한 내구성을 가지며, 누수를 방지하고, 합성수지관의 상호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음관의 개발이 요구된다.
위와 같은 이음관 중의 하나로,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등록특허공보 제10-1207634호에 압력관 연결용 이음관의 원터치 3단 체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압력관의 시공방법이 기재되었다.
도 1은 상기의 압력관 연결용 이음관의 원터치 3단 체결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그 구성은 이음관(1)의 일측 내부에 체결구(2), 수밀고무패킹(3), 부싱(4) 및 압력관(5)이 삽입되어 구성되며, 이음관(1)의 타측도 동일한 방법으로 결합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이음관(1)에 체결구(2)와 수밀고무패킹(3)을 순차적으로 삽입하며, 압력관(5)에 부싱(4)을 끼운 후 압력관(5)의 선단을 이음관(1)에 삽입하고, 압력관(5)에 끼워진 부싱(4)을 이음관(1) 측으로 밀어서 압력관(5)이 이음관(1)에 연결된다.
여기에서, 체결구(2)는 외경면과 내경면에 외측탄성 돌출부(2a) 및 내측탄성 돌출부(2b)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열을 이루면서 다수 개 형성된다.
이러한 외측탄성 돌출부(2a) 및 내측탄성 돌출부(2b)는 체결구(2)의 외경면과 내경면에 서로 대응되도록 돌출 형성되되, 그 경사각이 15~30°가 되도록 한다.
즉 외측탄성 돌출부(2a)는 체결구(2)의 외경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이음관(1)의 내경면에 접촉되며, 내측탄성 돌출부(2b)는 체결구(2)의 내경면 방향으로 함몰되어 압력관(5)의 외경면에 형성된 걸림홈(6)에 걸림된다.
이에 따라, 체결구(2)에 압력관(5)의 삽입과 이음관(1)에 체결구(2)의 삽입은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되, 이음관(1)과 압력관(5)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외측탄성 돌출부(2a)와 내측탄성 돌출부(2b)는 탄성을 갖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체결구(2)를 펀칭하여 형성된다.
그러나 체결구(2)의 내경면에 내측탄성 돌출부(2b)를 펀칭한 후, 외경면에 외측탄성 돌출부(2a)를 펀칭하기 위해서는 펀칭에 대한 저항을 갖도록 체결구(2)의 내경면이 바닥면과 접촉되게 되는데, 이때, 먼저 형성된 내측탄성 돌출부(2b)가 바닥면에 눌려 그 경사각이 완만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즉 체결구(2)의 내경면과 외경면에 각각 돌출 형성되는 내측탄성 돌출부(2b)와 외측탄성 돌출부(2a)의 제조과정이 난해하고, 최초 펀칭된 경사각을 유지하기 어려워 이음관(1)에 압력관(5) 삽입시, 내측탄성 돌출부(2b)가 걸림홈(6)에 걸림되는 상태가 되지 않아, 유체의 압력에 의해 압력관(5)과 이음관(1)이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또한 외측탄성 돌출부(2a) 및 내측탄성 돌출부(2b)는 압력관(5)에 흐르는 유체의 압력 즉, 이음관(1)에 삽입된 압력관(5)이 분리되려는 힘에 의해 압력관(5)이 삽입되는 반대방향으로 돌출부(2a, 2b)가 젖혀지게 됨으로써, 이음관(1)으로부터 압력관(5)이 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내측탄성 돌출부(2b)가 맞물림 수 있도록 압력관(5)의 외경면에 내측탄성 돌출부(2b)에 대응되는 걸림홈(6)을 형성하는 경우, 철관 및 비철금속관으로 이루어진 압력관(5)은 강도가 우수하여 이음관(1)에 압력관(5) 삽입시, 견고하게 결합되지만, 합성수지관으로 이루어진 압력관(5)은 금속에 비해 낮은 강도를 가짐으로써, 유체의 압력에 의해 압력관(5)이 걸림홈(6)을 따라 파열되거나 또는 절단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부실공사의 원인이 되어 전체적인 공사비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207634호(2012.11.27.)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그립부재에 이음관의 중심부위를 향하여 방사상으로 절곡된 형태이며 합성수지관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복수 개의 그립편이 구비되어, 합성수지관의 삽입은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되, 그립편이 합성수지관의 외경면을 물어 잡음으로써, 이음관과 합성수지관을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관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그립부재의 내경면과 멀어질수록 좁아지면서 만곡된 그립편이 구비됨으로써, 압력에 대한 저항이 커져, 이음관에 삽입된 합성수지관이 인출되려는 힘에 의해 그립편이 삽입되는 반대방향으로 젖혀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관을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관은 내경면에 원주방향으로 제1홈부, 제2홈부가 형성된 이음관; 이음관에 삽입되며, 그 외경면이 제1홈부에 면접하여 설치되는 그립부재; 및 이음관에 삽입되며, 그 외경면이 제2홈부에 면접하여 설치되고, 누수방지 기능을 수행하는 수밀고무패킹;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그립부재는, 이음관의 중심부위를 향하여 방사상으로 절곡된 그립편이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관을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그립부재에 이음관의 중심부위를 향하여 방사상으로 절곡된 형태이며 합성수지관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복수 개의 그립편이 구비되어, 합성수지관의 삽입은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되, 그립편이 합성수지관의 외경면을 물어잡음으로써, 이음관과 합성수지관을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그립부재의 내경면과 멀어질수록 좁아지면서 만곡된 그립편이 구비됨으로써, 압력에 대한 저항이 커져, 이음관에 삽입된 합성수지관이 인출되려는 힘에 의해 그립편이 삽입되는 반대방향으로 젖혀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압력관 연결용 이음관의 원터치 3단 체결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관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관에서 그립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관에서 그립부재가 말리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관에서 이음관에 삽입되는 그립부재와 수밀고무패킹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관에서 그립편이 격자형태로 배열된 그립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관에서 그립편이 지그재그형태로 배열된 그립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관의 결합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고안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관은 이음관의 내경면에 제1홈부 및 제2홈부가 형성되며, 제1홈부에 그립부재의 외측면이 삽입되어 고정 설치되고, 제2홈부에 수밀고무패킹이 삽입되어 고정 설치되며, 그립부재에 이음관의 중심부위를 향하여 방사상으로 절곡된 형태이며 합성수지관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복수 개의 그립편이 구비됨으로써, 이음관과 합성수지관의 결합력을 높여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관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관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관의 결합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관은 이음관(10), 그립부재(20) 및 수밀고무패킹(3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합성수지관(40) 사이에 이음관(10)이 구비됨으로써, 합성수지관(40)을 상호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음관(10)은 합성수지관(40) 사이에 구비되어 합성수지관(40)이 연통되도록 연결하는 부재로, 제1홈부(11) 및 제2홈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이음관(10)은 합성수지 또는 금속과 같이 견고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관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에, 합성수지관(40)을 흐르는 유체의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이음관(10)의 내경면은 설치하고자 하는 그립부재(20), 수밀고무패킹(30) 및 합성수지관(40)의 외경면에 상응되도록 형성된다.
설계조건에 따라, 이음관(10)은 합성수지관(40)의 연결방법에 따라 일자형, 와이(Y)형, 엘(L)형, 티(T)형 및 십자(┼)형 등으로 형성되어 합성수지관(40)을 상호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홈부(11)는 이음관(1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일정한 깊이와 폭을 가지는 것으로, 후술되는 그립부재(20)가 끼워져 설치된다.
이때, 제1홈부(11)는 끼워져 설치되는 그립부재(20)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홈부(11)의 깊이는 그립부재(20)의 두께보다 깊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그립부재(20)는 텐션에 의해 그 외경면이 제1홈부(11)의 내경면에 접촉되어 제1홈부(11)를 내측에서 외측으로 압박하고, 제1걸림턱(12)에 접촉됨으로써, 이음관(10)으로부터 그립부재(20)의 인출이 방지되도록 설치된다.
제2홈부(13)는 이음관(1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일정한 깊이와 폭을 가지는 것으로, 후술되는 수밀고무패킹(30)이 끼워져 설치된다.
이때, 수밀고무패킹(30)의 외경면은 제2홈부(13)의 내경면에 접촉되고, 내경면은 이음관(10)에 삽입되는 합성수지관(40)의 외경면에 접촉되며, 제2걸림턱(14)에 접촉됨으로써, 이음관(10)으로부터 수밀고무패킹(30)의 인출이 방지되며, 이음관(10)을 흐르는 유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립부재(2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관에서 그립부재의 평면도(a), 그립부재의 정면도(b) 및 그립부재의 측면측 단면도(c)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관에서 그립부재가 말리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관에서 이음관에 삽입되는 그립부재와 수밀고무패킹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립부재(20)는 이음관(10)에 형성된 제1홈부(11)에 삽입되며, 이음관(10)에 삽입되는 합성수지관(40)을 물어서 잡아주어 이음관(10)과 합성수지관(40)을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것으로, 그립편(2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그립부재(20)는 탄성을 갖는 스테인리스 등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그립부재(20)는 일정한 폭을 갖는 링 형상 또는 판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이때, 그립부재(20)가 링 형상으로 제조되는 경우, 이음관(10)에 삽입되는 그립부재(20)의 외경은 이음관(10)의 내경보다 크기 때문에 이음관(10) 내부에 구비된 제1홈부(11)에 그립부재(20)를 삽입하여 끼워 넣기가 어렵다.
따라서 그립부재(20)는 일정한 폭을 갖는 판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판 형상의 그립부재(20)는 일정한 폭과 두께를 가지도록 길게 형성되는데, 일정한 간격으로 절단되어 제조된다.
이때, 절단되는 길이는 제1홈부(11)의 원주둘레 길이와 같거나 짧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판 형상으로 제조된 그립부재(20)를 이음관(10)에 삽입하여 제1홈부(11)에 설치하는 경우, 절단된 그립부재(20)의 양단을 서로 근접하거나 겹치도록 말아서 변경하고, 변경된 링 형상의 그립부재(20)를 이음관(10)에 삽입하여 제1홈부(11)에 끼워지도록 설치한다.
이에 따라, 이음관(10)에 그립부재(20)의 삽입이 수월하여 설치가 용이하다.
이를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판 형상으로 제조되는 그립부재(20)는 말리는 방향으로 양 끝단부가 교차되도록 한 상태 즉, 말린 상태의 그립부재(20)의 외경이 제1걸림턱(12)의 내경보다 작게 한 상태에서 제1홈부(11)에 삽입된다.
제1홈부(11)에 삽입된 링 형상의 그립부재(20)는 텐션에 의해 그 외경이 증가되면서, 제1홈부(11)의 내경면에 밀착되어 그립부재(20)의 외경이 제1걸림턱(12)의 내경보다 커진 상태로 설치된다.
이에 따라, 그립부재(20)는 제1홈부(11)의 내경면에 밀착되어 이음관(10) 내측에서 외측으로 압박하며, 제1걸림턱(12)에 걸림되어 이음관(10)에 삽입되는 반대방향으로 인출이 방지된다.
그립편(21)은 이음관(10)의 중심부위를 향하여 방사상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그립부재(2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되며, 이음관(10)에 삽입되는 합성수지관(40)의 외경을 물어잡음으로써, 이음관(10)으로부터 합성수지관(40)이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그립편(21)은 그립부재(20)의 내경면과 소정의 경사각으로 절곡되며, 그립부재(20)의 내경면과 멀어질수록 그 폭이 좁아지면서 만곡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그립편(21)은 그립부재(20)의 한쪽 면(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펀칭하여 형성될 수 있다.
종래 그립부재는 외측과 내측 모두에 각각 그립편을 구비함에 따라, 제조과정이 복잡하여 많은 불량품이 제조되었으나, 본 고안에서의 그립부재(20)는 일측(내측)으로만 그립편(21)을 형성하므로,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고, 제조를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그립편(21)이 그립부재(20)의 내경면과 이루는 소정의 경사각은 40° ~ 50°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45°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것은, 제1홈부(11)에 삽입되는 그립부재(20)의 두께는 제1홈부(11)의 깊이보다 작게 제조되며, 이때, 제1홈부(11)에 삽입되는 그립부재(20)는 텐션에 의해 제1홈부(11)의 내경면에 밀착되기 때문이다.
즉 그립부재(20)의 내측으로 돌출형성된 그립편(21)이 합성수지관(40)의 외경면과 접촉되지 않게 되어 이음관(10)으로부터 합성수지관(40)이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나아가, 그립편(21)의 경사각이 0°에 가까워지면 이음관(10)에 합성수지관(40) 삽입시, 그립편(21)이 합성수지관(40)의 외경면에 접촉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반대로, 경사각이 너무 커지면 그립편(21)이 뒤로 젖혀지는 현상이 발생되거나 또는 합성수지관(40)이 삽입되는 반대방향으로 마찰이 커져 합성수지관(40)의 삽입이 어려워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그립편(21)은 적절한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이음관(10)에 합성수지관(40) 삽입시, 그립편(21)이 합성수지관(40)의 외경면을 물어잡음으로써, 이음관(10)으로부터 합성수지관(40)의 인출이 방지되도록 안정되게 설치된다.
한편, 이음관과 합성수지관은 압력관 내부에 흐르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분리되려는 힘이 발생된다.
이때, 이러한 힘에 의해 압력관을 압박하고 있던 그립편이 뒤로 젖혀지는 현상이 발생된다. 즉 이음관으로부터 압력관이 분리되는 힘에 대한 저항을 갖도록 구비된 그립편이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여 이음관과 압력관이 분리된다.
또한 그립편이 맞물릴 수 있도록 합성수지관의 외경면에 그립편에 대응되는 홈을 형성하는 경우, 유체의 압력에 의해 합성수지관이 홈을 따라 파손되거나 또는 절단되는 문제가 발생되며, 이에 따라, 압력관 내부에 흐르는 유체가 손실되고, 부실공사의 원인이 된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그립편(21)을 구비하여 이음관(10)으로부터 합성수지관(40)이 인출되려는 힘에 대한 저항을 갖도록 하되, 그립편(21)은 적절한 경사각을 가지며, 그립부재(20)의 내경면과 멀어질수록 그 폭이 좁아지면서 만곡된 형태로 구비됨으로써, 압력에 대한 저항이 극대화되어, 이음관(10)에 삽입된 합성수지관(40)의 인출되려는 힘에 의해 그립편(21)이 삽입되는 반대방향으로 젖혀지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음관(10)에 삽입된 합성수지관(40)을 더욱 견고하게 물어서 잡아줄 수 있다.
수밀고무패킹(30)은 이음관(10)과 합성수지관(40) 사이에 밀착되어 누수방지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음관(10)에 형성된 제2홈부(13)에 삽입되고, 제2걸림턱(14)에 의해 이음관(10)에 삽입되는 반대방향으로의 인출이 방지된다.
이때, 수밀고무패킹(30)은 플렉시블한 합성수지, 예를 들어, 고무(RUBBER)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수밀고무패킹(30)은 첨부된 도면에 (ㅗ)자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단면이 원으로 이루어진 형상 또는 합성수지관(40)과 접촉되는 면이 나사산 형태를 갖는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관은 그립부재(20)가 이음관(10)의 제1홈부(11)에 삽입되고, 그립부재(20)에 형성된 그립편(21)이 합성수지관(40)의 외경면을 물어잡음으로써, 이음관(10)으로부터 합성수지관(40)의 인출이 방지되도록 한다.
또한 그립편(21)은 이음관(10)의 중심부위를 향하여 방사상으로 절곡된 형태이며, 합성수지관(40)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적절한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되되, 그립부재(20)의 내경면과 멀어질수록 그 폭이 좁아지면서 만곡된 형태로 구비됨으로써, 유체의 압력에 의해 발생되는 이음관(10)과 합성수지관(40)이 분리되려는 힘에 의해 그립편(21)이 삽입되는 반대방향으로 젖혀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관에서 그립편이 격자형태로 배열된 그립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관은 이음관(10), 그립부재(20) 및 수밀고무패킹(3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합성수지관(40) 사이에 이음관(10)이 구비됨으로써, 합성수지관(40)을 상호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립부재(20)는 제1홈부(11)에 삽입되며, 이음관(10)에 삽입되는 합성수지관(40)을 물어서 잡아주어 이음관(10)과 합성수지관(40)을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그립편(2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립편(21)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부재(2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되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그립편(21)이 복수의 배열로 이루어진 격자형태를 이룬다.
이러한 격자형태의 그립편(21)은 이음관(10)의 중심부위를 향하여 방사상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그립부재(20)의 내경면과 소정의 경사각으로 절곡되며, 그립부재(20)의 내경면과 멀어질수록 그 폭이 좁아지면서 만곡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도 7에는 그립편(21)이 2개의 배열로 이루어진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2개 이상의 배열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따라, 그립부재(20)는 이음관(10)의 제1홈부(11)에 삽입되고, 복수의 배열로 이루어진 그립편(21)이 합성수지관(40)을 견고하게 물어서 잡아주어 이음관(10)과 합성수지관(40)을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즉 그립편(21)과 합성수지관(40)의 접촉면적이 넓어짐으로써, 그립편(21)이 합성수지관(40)을 더욱 견고하게 잡아주어 이음관(10)으로부터 합성수지관(40)의 인출이 방지되도록 한다.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관에서 그립편이 지그재그형태로 배열된 그립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관은 이음관(10), 수밀고무패킹(30) 및 그립부재(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합성수지관(40) 사이에 이음관(10)이 구비됨으로써, 합성수지관(40)을 상호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립부재(20)는 제1홈부(11)에 삽입되며, 이음관(10)에 삽입되는 합성수지관(40)을 물어서 잡아주어 이음관(10)과 합성수지관(40)을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그립편(2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립편(21)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부재(2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그립편(21)이 복수의 배열로 이루어지되, 각 배열은 지그재그형태를 이룬다.
이러한 지그재그형태의 그립편(21)은 이음관(10)의 중심부위를 향하여 방사상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그립부재(20)의 내경면과 소정의 경사각으로 절곡되며, 그립부재(20)의 내경면과 멀어질수록 그 폭이 좁아지면서 만곡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도 8에는 2개의 배열로 이루어진 그립편(21)이 지그재그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립편(21)이 2개 이상의 배열로 이루어지되, 각 배열은 지그재그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따라, 그립부재(20)는 이음관(10)의 제1홈부(11)에 삽입되고, 지그재그형태로 이루어진 그립편(21)이 합성수지관(40)을 견고하게 물어서 잡아주어 이음관(10)과 합성수지관(40)을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즉 그립편(21)과 합성수지관(40)의 접촉면적이 넓어짐으로써, 그립편(21)이 합성수지관(40)을 더욱 견고하게 잡아주어 이음관(10)으로부터 합성수지관(40)의 인출이 방지되도록 한다.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관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음관(10)의 내경면은 수밀고무패킹(30), 그립부재(20) 및 합성수지관(40)의 외경면에 상응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수밀고무패킹(30), 그립부재(20) 및 합성수지관(40)이 순차적으로 삽입되도록 한다.
한편, 합성수지관(40)은 다양한 유체가 이송되는데, 이러한 유체 중 화공약품 등이 함유된 유체가 합성수지관(40)을 통해 이송될 수 있다.
여기에서, 화공약품은 그 종류 또한 다양하나, 산화성 물질이 함유된 유체인 경우, 합성수지관(40)과 이음관(10)을 통해 이송시, 이음관(10)과 합성수지관(40) 사이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이음관(10)과 합성수지관(40) 사이로 유입된 유체가 제1홈부(11)에 끼워져 설치된 그립부재(20)와 접촉하게 되면, 화공약품의 특성에 의해 그립부재(20)가 부식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즉 화공약품에 의해 그립부재(20)가 부식되면, 합성수지관(40)을 물어서 잡고있던 그립부재(20)가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함으로써, 이음관(10)으로부터 합성수지관(40)이 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화공약품 등이 함유된 유체가 흐르는 합성수지관(40)을 상호 연결하는 경우, 수밀고무패킹(30) 및 그립부재(20)가 제1홈부(11) 및 제2홈부(13)에 각각 순차적으로 삽입된다.
즉 합성수지관(40)을 통해 이송되는 유체는 이음관(10)과 합성수지관(40) 사이로 유입되는데, 이때, 제1홈부(11)에 설치된 수밀고무패킹(30)에 의해 유체가 제2홈부(13)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됨으로써, 유체와 그립부재(20)의 접촉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수밀고무패킹(30) 및 그립부재(20)를 순차적으로 이음관(10)에 삽입함으로써, 이송되는 유체가 이음관(10)과 합성수지관(40) 사이에 설치된 수밀고무패킹(30)에 의해 그립부재(20)에 접촉되지 않아, 그립부재(20)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도 2 내지 도 10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고안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고안이 도 2 내지 도 10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10 : 이음관 11 : 제1홈부
12 : 제1걸림턱 13 : 제2홈부
14 : 제2걸림턱 20 : 그립부재
21 : 그립편 30 : 수밀고무패킹
40 : 합성수지관

Claims (5)

  1. 내경면에 원주방향으로 제1홈부(11), 제2홈부(13)가 형성된 이음관(10);
    상기 이음관(10)에 삽입되며 그 외경면이 상기 제1홈부(11)에 면접하여 설치되되, 판 형상으로 제조되고 상기 제1홈부(11)의 원주둘레 길이와 같거나 짧도록 절단되어 절단된 양단이 서로 겹치거나 근접하도록 말려 링 형상으로 변경되며, 링 형상으로 변경되어 상기 제1홈부(11)에 삽입되는 경우, 그 외경이 증가되는 그립부재(20); 및
    상기 이음관(10)에 삽입되며, 그 외경면이 상기 제2홈부(13)에 면접하여 설치되고, 누수방지 기능을 수행하는 수밀고무패킹(30);을 포함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관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재(20)는,
    상기 이음관(10)의 중심부위를 향하여 방사상으로 절곡된 그립편(21)이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되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그립편(21)이 복수의 배열로 이루어진 격자형태 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그립편(21)이 복수의 배열로 이루어지되 각 배열은 지그재그형태 중 선택된 하나이고,
    상기 그립편(21)은,
    상기 그립부재(20)의 내경면과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며 상기 그립부재(20)의 내경면과 멀어질수록 그 폭이 좁아지면서 만곡되며,
    상기 수밀고무패킹(30) 및 그립부재(20)는 이음관(10)에 형성된 제1홈부(11) 및 제2홈부(13)에 각각 순차적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40000156U 2014-01-08 2014-01-08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관 KR2004794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156U KR200479409Y1 (ko) 2014-01-08 2014-01-08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156U KR200479409Y1 (ko) 2014-01-08 2014-01-08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809U KR20150002809U (ko) 2015-07-16
KR200479409Y1 true KR200479409Y1 (ko) 2016-01-26

Family

ID=53872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0156U KR200479409Y1 (ko) 2014-01-08 2014-01-08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40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73188A1 (zh) * 2018-10-09 2020-04-16 诸暨市浩海空调器制造有限公司 一种用于卡压式管件的防脱出钢圈及固定密封装置
KR102150054B1 (ko) * 2018-11-26 2020-08-31 삼영금속 주식회사 압착식 배관 연결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5771A (ja) * 2000-06-13 2001-12-26 Mitsubishi Plastics Ind Ltd 管の離脱防止構造
KR100923709B1 (ko) * 2009-08-06 2009-10-27 영동공업 주식회사 편수관용 박판형 압륜장치
KR101197111B1 (ko) * 2012-04-25 2012-11-07 신진욱 항균성 패킹과 스토퍼가 구비된 합성수지관 이음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5771A (ja) * 2000-06-13 2001-12-26 Mitsubishi Plastics Ind Ltd 管の離脱防止構造
KR100923709B1 (ko) * 2009-08-06 2009-10-27 영동공업 주식회사 편수관용 박판형 압륜장치
KR101197111B1 (ko) * 2012-04-25 2012-11-07 신진욱 항균성 패킹과 스토퍼가 구비된 합성수지관 이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809U (ko) 2015-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88927B2 (en) Polymer pipe connection assembly
US9568127B2 (en) Mechanical pipe coupling assembly without adhesive or bonding agent
KR101007546B1 (ko) 이음관 내부에 구성되는 파이프 연결구
US20130154260A1 (en) Coupling And Joint For Fixedly And Sealingly Securing Components To One Another
US11525533B2 (en) Pipe device having a bonded joint
KR200452915Y1 (ko) 배관 연결부재
KR200479409Y1 (ko)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관
KR101120145B1 (ko) 관 조인트
US20160138738A1 (en) Hose and Tubing Connector Device,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y
KR20100071161A (ko) 이중벽관용 일체형 소켓
NZ551459A (en) Pipe connecting system
KR101329279B1 (ko) 파이프 연결구조 및 파이프 연결방법
US20180017196A1 (en) Pipe fittings
KR101225697B1 (ko) 하수관을 연결하는 관연결장치
WO2013141729A2 (en) Heat exchanger connection pipe stub
KR101562935B1 (ko) 디씨관 연결용 고정관으로 이루어진 분리방지 고정부재
KR101090733B1 (ko) 관 결합구조
RU121335U1 (ru) Муфта
KR200479304Y1 (ko) 수밀성이 강화된 파이프 연결구용 고무밴드
KR20090047422A (ko) 합성수지관의 연결구조
RU2676169C1 (ru) Трубный соединитель
KR20130075098A (ko) 나사조임식 이음관용 고무씰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이음관
KR20190045632A (ko) 하수관 연결구
KR200347851Y1 (ko) 합성수지관 연결구조
CN211624521U (zh) 一种管路用快速接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