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2117B1 - 패턴 또는 fp의 특징량작성방법, 작성프로그램, 및 작성장치 - Google Patents

패턴 또는 fp의 특징량작성방법, 작성프로그램, 및 작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2117B1
KR101442117B1 KR1020127032279A KR20127032279A KR101442117B1 KR 101442117 B1 KR101442117 B1 KR 101442117B1 KR 1020127032279 A KR1020127032279 A KR 1020127032279A KR 20127032279 A KR20127032279 A KR 20127032279A KR 101442117 B1 KR101442117 B1 KR 101442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ak
target
pattern
attribution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2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9406A (ko
Inventor
쇼이치 데시마
요시카즈 모리
게이이치 노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쓰무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쓰무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쓰무라
Publication of KR20130029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94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2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2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CCOMPUTATIONAL CHEMISTRY; CHEMOINFORMATICS; COMPUTATIONAL MATERIALS SCIENCE
    • G16C20/00Chemoinformatics, i.e.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f physicochemical or structural data of chemical particles, elements, compounds or mixtures
    • G16C20/20Identification of molecular entities, parts thereof or of chemical composi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62Detecto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1N30/74Optical dete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86Signal analys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86Signal analysis
    • G01N30/8624Detection of slopes or peaks; baseline correction
    • G01N30/8631Pea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86Signal analysis
    • G01N30/8675Evaluation, i.e. decoding of the signal into analytical information
    • G01N30/8686Fingerprinting, e.g. without prior knowledge of the sample compon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88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5Medicinal preparations ; Physical properties thereof, e.g. dissolubility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5/00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CCOMPUTATIONAL CHEMISTRY; CHEMOINFORMATICS; COMPUTATIONAL MATERIALS SCIENCE
    • G16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2030/022Column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eparation mechanism
    • G01N2030/027Liquid chromatograph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88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 G01N2030/8886Analysis of industrial production proces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86Signal analysis
    • G01N30/8675Evaluation, i.e. decoding of the signal into analytical inform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Other Investigation Or Analysis Of Materials By Electrical Mean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Epidemiology (AREA)

Abstract

다성분 물질의 평가의 정도 및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대상FP작성공정(173)과, 대상FP피크귀속공정(149)과, 대상FP피크특징량작성공정(151)과, 대상FP타입2작성공정(153)과, 대상FP영역분할특징량작성공정(155)과, 대상FP특징량통합공정(157)과 평가공정(171)을 구비하여, 대상FP피크특징량 및 대상FP영역분할특징량을 통합하여 대상FP통합특징량을 작성하고, 대상FP통합특징량과 이 대상FP통합특징량에 대응하여 평가기준이 되는 다성분 물질의 복수의 기준FP에 기초하는 기준FP통합특징량을 비교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패턴 또는 FP의 특징량작성방법, 작성프로그램, 및 작성장치{CREATION METHOD, CREATION PROGRAM, AND CREATION DEVICE FOR CHARACTERISTIC AMOUNT OF PATTERN OR FP}
본 발명은 패턴의 특징량작성방법, 다성분 물질, 예를 들면 다성분 약제(藥劑)인 한방약의 품질평가를 행하기 위한 다성분 물질의 FP의 특징량작성방법, 작성프로그램, 및 작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성분 물질로서, 예를 들면, 다성분으로 구성되는 약제(이하, 다성분 약제)인 한방약 등의 천연물 유래(由來)의 약제가 있다. 이들 약제의 정량적, 정성적 프로필은 사용하는 원료 생약의 지질학적 요인, 생태학적 요인, 수집시기, 수집장소, 수집연대, 생육기의 기후 등이 원인으로 변화한다.
그 때문에, 이들 다성분 약제 등에 대해서는, 그 안전성 및 유효성을 담보하기 위한 품질로서 일정의 기준을 규정하고, 그 기준에 기초하여, 국가의 감독기관, 화학적 조직, 제조업자 등이 품질평가를 행하고 있다.
그러나, 다성분 약제의 품질 등의 판정기준은 다성분 약제 중에 있는 특징적인 1 내지 수 성분을 선택하여, 그 함유량 등에 기초하여 설정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1에서는 다성분 약제에서 유효성분의 동정(同定)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정량분석이 가능하고, 물에 용해하기 쉬우며, 열수(熱水) 중에서 분해하지 않으며, 다른 성분과 화학반응을 하지 않는 등의 물성을 가진 복수의 성분을 선택하고, 화학분석에 의해 얻어지는 그들 성분의 함유량을 평가의 기준으로 하고 있다.
또한, 다성분 약제에 크로마토그래피를 적용하여, 보지(保持)시간마다 자외가시(紫外可視) 흡수 스펙트럼을 얻어서, 그 중의 일부의 성분 정보로부터 평가의 기준을 설정하는 것도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서는 HPLC 크로마토그램 데이타 중의 일부의 피크를 선택하여 바코드화하는 것에 의해 다성분 약제를 평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의 방법은 평가의 대상이 '특정 성분의 함유량' 또는 '특정 성분의 크로마토 피크'에 한정되어 있어서, 다성분 약제가 함유하는 성분의 일부를 평가대상으로 하고 있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다성분 약제에 대해서는 평가의 대상 외로 되어 있는 성분이 다수 존재하기 때문에, 다성분 약제의 평가방법으로서 정도(精度)적으로 불충분하다.
다성분 약제의 품질을 정확히 평가하기 위해서는, 전(全) 피크정보 혹은 수 %의 미세한 정보를 제외한 전 피크정보에 가까운 피크정보를 망라한 패턴의 평가가 필요하고, 이를 위해, 다성분 약제 사이에 전 피크 혹은 이에 가까운 개수의 피크를 대응시킬 필요가 있다.
그런데, 복수의 피크를 고정도로 효율적으로 대응시키는 것이 곤란하며, 이 것이 다성분 약제의 고정도의 효율적인 평가에 방해가 되고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동일 약품명의 다성분 약제라고 해도, 생약은 천연물이기 때문에 구성성분이 약간 상이한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같은 품질의 약제라고 해도 구성 성분의 함량비율이 상이하다던가, 어느 약제에 존재하는 성분이 다른 약제에는 존재하지 않는 것(이하, 약제간 오차)이 있다. 더욱이, 크로마토에 있어서의 피크강도나 피크의 용출시간에는 엄밀한 재현성이 없는(이하, 분석오차) 등의 요인도 있다. 이들에 의해, 다성분 약제의 전 피크 혹은 이들에 가까운 개수의 피크에 대해서 동일 성분에 유래하는 피크에 대응시키는 것(이하, 피크귀속)이 가능하지 않은 것이 원인이 되어 고정도의 효율적인 평가에 방해가 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2002-2142215 호 공보
월간약사(月刊藥事) vol. 28, No. 3, 67 - 71 (1986)
해결하려는 문제점은 기존의 평가방법에서는 다성분 물질 등을 고정도로 효율적으로 평가하는 것에 한계가 있었다는 점이다.
본 발명은 평가의 정도 및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에 기여가능하게 하기 위해, 시계열에서 피크가 변화하는 패턴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각 영역에 존재하는 피크의 존재율 또는 존재량으로부터 패턴영역분할특징량을 작성하는 패턴영역분할특징량작성공정을 구비한 것을 패턴의 특징량작성방법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성분 물질의 크로마토로부터 검출된 피크와 그 리텐션타임으로 구성되는 FP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각 영역에 존재하는 피크의 존재율 또는 존재량으로부터 FP영역분할특징량을 작성하는 FP영역분할특징량작성공정을 구비한 것을 FP의 특징량작성방법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시계열에서 피크가 변화하는 패턴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각 영역에 존재하는 피크의 존재율 또는 존재량으로부터 패턴영역분할특징량을 작성하는 패턴영역분할특징량작성기능을 컴퓨터에 실현시키는 것을 패턴의 특징량작성프로그램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성분 물질의 크로마토로부터 검출된 피크와 그 리텐션타임으로 구성되는 FP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각 영역에 존재하는 피크의 존재율 또는 존재량으로부터 FP영역분할특징량을 작성하는 FP영역분할특징량작성기능을 구비한 것을 FP의 특징량작성프로그램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시계열에서 피크가 변화하는 패턴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각 영역에 존재하는 피크의 존재율 또는 존재량으로부터 패턴영역분할특징량을 작성하는 패턴영역분할특징량작성부를 구비한 것을 패턴의 특징량작성장치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성분 물질의 크로마토로부터 검출된 피크와 그 리텐션타임으로 구성되는 FP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각 영역에 존재하는 피크의 존재율 또는 존재량으로부터 FP영역분할특징량을 작성하는 FP영역분할특징량작성부를 구비한 것을 FP의 특징량작성장치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패턴 또는 FP의 특징량작성방법은 상기 구성이기 때문에, 패턴 또는 FP의 특징량을 영역분할에 의해 간단하게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미세한 피크도 포착하여 특징량을 작성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패턴 또는 FP의 특징량작성프로그램은 상기 구성이기 때문에, 각 기능을 컴퓨터에 실현시켜서, 패턴 또는 FP의 특징량을 간단하게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패턴 또는 FP의 특징량작성장치는 상기 구성이기 때문에, 각 부를 작용시켜서, 패턴 또는 FP의 특징량을 간단하게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다성분 약제의 평가장치의 블록도이다. (실시예 1)
도 2는 다성분 약제의 평가수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실시예 1)
도 3은 삼차원 크로마토그램 데이타(이하, 3D크로마토)로부터 작성한 FP의 설명도이다. (실시예 1)
도 4에서 (A)는 약제A, (B)는 약제B, (C)는 약제C의 FP이다. (실시예 1)
도 5는 대상FP 및 기준FP의 리텐션타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실시예 1)
도 6은 대상FP의 리텐션타임출현패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실시예 1)
도 7은 기준FP의 리텐션타임출현패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실시예 1)
도 8은 대상FP와 기준FP의 리텐션타임출현거리의 일치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실시예 1)
도 9는 대상FP와 기준FP의 리텐션타임출현패턴의 일치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실시예 1)
도 10은 대상FP의 귀속대상피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실시예 1)
도 11은 귀속대상피크를 포함한 피크 3개에 따른 피크패턴도이다. (실시예 1)
도 12는 귀속대상피크를 포함한 피크 5개에 따른 피크패턴도이다. (실시예 1)
도 13은 귀속대상피크의 허용폭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실시예 1)
도 14는 귀속대상피크에 대한 기준FP의 귀속후보피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실시예 1)
도 15는 귀속대상피크와 귀속후보피크의 피크 3개에 따른 피크패턴도이다. (실시예 1)
도 16은 귀속대상피크와 별도의 귀속후보피크의 피크 3개에 따른 피크패턴도이다. (실시예 1)
도 17은 귀속대상피크와 별도의 귀속후보피크의 피크 3개에 따른 피크패턴도이다. (실시예 1)
도 18은 귀속대상피크와 별도의 귀속후보피크의 피크 3개에 따른 피크패턴도이다. (실시예 1)
도 19는 귀속대상피크와 귀속후보피크의 피크 5개에 따른 피크패턴도이다. (실시예 1)
도 20은 귀속대상피크와 별도의 귀속후보피크의 피크 5개에 따른 피크패턴도이다. (실시예 1)
도 21은 귀속대상피크와 별도의 귀속후보피크의 피크 5개에 따른 피크패턴도이다. (실시예 1)
도 22는 귀속대상피크와 별도의 귀속후보피크의 피크 5개에 따른 피크패턴도이다. (실시예 1)
도 23은 귀속대상피크와 귀속후보피크의 피크패턴구성후보피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실시예 1)
도 24는 피크패턴구성후보피크를 4개로 한 경우의 귀속대상피크의 전 피크패턴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실시예 1)
도 25는 피크패턴구성후보피크를 4개로 한 경우의 귀속후보피크의 전 피크패턴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실시예 1)
도 26은 귀속대상피크의 피크패턴에 대한 귀속후보피크의 피크패턴의 망라적 비교의 설명도이다. (실시예 1)
도 27은 귀속대상피크의 피크패턴에 대한 귀속후보피크의 피크패턴의 망라적 비교의 설명도이다. (실시예 1)
도 28은 귀속대상피크의 피크패턴에 대한 귀속후보피크의 피크패턴의 망라적 비교의 설명도이다. (실시예 1)
도 29는 귀속대상피크의 피크패턴에 대한 귀속후보피크의 피크패턴의 망라적 비교의 설명도이다. (실시예 1)
도 30은 귀속대상피크의 피크패턴에 대한 귀속후보피크의 피크패턴의 망라적 비교의 설명도이다. (실시예 1)
도 31은 귀속대상피크의 피크패턴에 대한 귀속후보피크의 피크패턴의 망라적 비교의 설명도이다. (실시예 1)
도 32는 귀속대상피크의 피크패턴에 대한 귀속후보피크의 피크패턴의 망라적 비교의 설명도이다. (실시예 1)
도 33은 귀속대상피크의 피크패턴에 대한 귀속후보피크의 피크패턴의 망라적 비교의 설명도이다. (실시예 1)
도 34는 귀속대상피크의 피크패턴에 대한 귀속후보피크의 피크패턴의 망라적 비교의 설명도이다. (실시예 1)
도 35는 귀속대상피크의 피크패턴에 대한 귀속후보피크의 피크패턴의 망라적 비교의 설명도이다. (실시예 1)
도 36은 귀속대상피크의 피크패턴에 대한 귀속후보피크의 피크패턴의 망라적 비교의 설명도이다. (실시예 1)
도 37은 귀속대상피크의 피크패턴에 대한 귀속후보피크의 피크패턴의 망라적 비교의 설명도이다. (실시예 1)
도 38은 귀속대상피크의 피크패턴에 대한 귀속후보피크의 피크패턴의 망라적 비교의 설명도이다. (실시예 1)
도 39는 귀속대상피크의 피크패턴에 대한 귀속후보피크의 피크패턴의 망라적 비교의 설명도이다. (실시예 1)
도 40은 귀속대상피크의 피크패턴에 대한 귀속후보피크의 피크패턴의 망라적 비교의 설명도이다. (실시예 1)
도 41은 귀속대상피크의 피크패턴에 대한 귀속후보피크의 피크패턴의 망라적 비교의 설명도이다. (실시예 1)
도 42는 귀속대상피크의 피크패턴에 대한 귀속후보피크의 피크패턴의 망라적 비교의 설명도이다. (실시예 1)
도 43은 귀속대상피크의 피크패턴에 대한 귀속후보피크의 피크패턴의 망라적 비교의 설명도이다. (실시예 1)
도 44는 귀속대상피크의 피크패턴에 대한 귀속후보피크의 피크패턴의 망라적 비교의 설명도이다. (실시예 1)
도 45는 귀속대상피크의 피크패턴에 대한 귀속후보피크의 피크패턴의 망라적 비교의 설명도이다. (실시예 1)
도 46은 귀속대상피크의 피크패턴에 대한 귀속후보피크의 피크패턴의 망라적 비교의 설명도이다. (실시예 1)
도 47은 귀속대상피크의 피크패턴에 대한 귀속후보피크의 피크패턴의 망라적 비교의 설명도이다. (실시예 1)
도 48은 귀속대상피크의 피크패턴에 대한 귀속후보피크의 피크패턴의 망라적 비교의 설명도이다. (실시예 1)
도 49는 귀속대상피크의 피크패턴에 대한 귀속후보피크의 피크패턴의 망라적 비교의 설명도이다. (실시예 1)
도 50은 귀속대상피크의 피크패턴에 대한 귀속후보피크의 피크패턴의 망라적 비교의 설명도이다. (실시예 1)
도 51은 귀속대상피크의 피크패턴에 대한 귀속후보피크의 피크패턴의 망라적 비교의 설명도이다. (실시예 1)
도 52는 귀속대상피크의 피크패턴에 대한 귀속후보피크의 피크패턴의 망라적 비교의 설명도이다. (실시예 1)
도 53은 귀속대상피크의 피크패턴에 대한 귀속후보피크의 피크패턴의 망라적 비교의 설명도이다. (실시예 1)
도 54는 귀속대상피크의 피크패턴에 대한 귀속후보피크의 피크패턴의 망라적 비교의 설명도이다. (실시예 1)
도 55는 귀속대상피크의 피크패턴에 대한 귀속후보피크의 피크패턴의 망라적 비교의 설명도이다. (실시예 1)
도 56은 귀속대상피크의 피크패턴에 대한 귀속후보피크의 피크패턴의 망라적 비교의 설명도이다. (실시예 1)
도 57은 귀속대상피크의 피크패턴에 대한 귀속후보피크의 피크패턴의 망라적 비교의 설명도이다. (실시예 1)
도 58은 귀속대상피크의 피크패턴에 대한 귀속후보피크의 피크패턴의 망라적 비교의 설명도이다. (실시예 1)
도 59는 귀속대상피크의 피크패턴에 대한 귀속후보피크의 피크패턴의 망라적 비교의 설명도이다. (실시예 1)
도 60은 귀속대상피크의 피크패턴에 대한 귀속후보피크의 피크패턴의 망라적 비교의 설명도이다. (실시예 1)
도 61은 귀속대상피크의 피크패턴에 대한 귀속후보피크의 피크패턴의 망라적 비교의 설명도이다. (실시예 1)
도 62는 귀속대상피크와 귀속후보피크의 피크 3개에 따른 피크패턴의 일치도의 산출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실시예 1)
도 63은 귀속대상피크와 귀속후보피크의 피크 3개에 따른 피크패턴의 일치도의 산출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실시예 1)
도 64는 귀속대상피크와 귀속후보피크의 피크 5개에 따른 피크패턴의 일치도의 산출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실시예 1)
도 65는 귀속대상피크와 귀속후보피크의 UV스펙트럼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실시예 1)
도 66은 귀속대상피크와 귀속후보피크의 UV스펙트럼의 일치도의 설명도이다. (실시예 1)
도 67은 피크패턴과 UV스펙트럼의 양방의 비교에 따른 귀속후보피크의 일치도의 설명도이다. (실시예 1)
도 68은 대상FP의 기준군FP로의 귀속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실시예 1)
도 69는 대상FP가 기준군FP로 귀속된 상황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실시예 1)
도 70은 영역분할에 따른 수량화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실시예 1)
도 71은 리텐션타임 등의 변동과의 관계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실시예 1)
도 72는 영역의 위치를 변경하여 수량화하는 설명도이다. (실시예 1)
도 73은 FP타입2의 데이타를 도시하는 도표이다. (실시예 1)
도 74는 FP타입2의 패턴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실시예 1)
도 75는 종·횡분할선에서의 영역분할에 따른 영역마다의 특징량화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실시예 1)
도 76은 종분할선(1개째)의 설정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실시예 1)
도 77은 종분할선(1개째)의 설정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실시예 1)
도 78은 종·횡분할선에 따른 영역분할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실시예 1)
도 79는 특징량화하는 영역의 수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실시예 1)
도 80은 영역1의 특정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실시예 1)
도 81은 전 피크의 높이 및 합계를 도시하는 도표이다. (실시예 1)
도 82는 영역1의 피크높이의 합계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실시예 1)
도 83은 전 영역의 특징량을 도시하는 도표이다. (실시예 1)
도 84는 종 1번째의 위치를 순차변경하여 생긴 각 영역에서의 특징량을 도시하는 도표이다. (실시예 1)
도 85는 횡 1번째의 위치를 순차변경하여 생긴 각 영역에서의 특징량을 도시하는 도표이다. (실시예 1)
도 86은 각 종·횡분할선의 위치를 변경하지 않는 1대로의 특징량을 도시하는 도표이다. (실시예 1)
도 87은 각종 대상FP와 그 평가치(MD값)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실시예 1)
도 88은 각종 대상FP와 그 평가치(MD값)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실시예 1)
도 89는 각종 대상FP와 그 평가치(MD값)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실시예 1)
도 90은 각종 대상FP와 그 평가치(MD값)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실시예 1)
도 91은 각종 대상FP와 그 평가치(MD값)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실시예 1)
도 92는 다성분 약제의 평가방법을 도시하는 공정도이다. (실시예 1)
도 93은 다성분 약제의 평가플로우도이다. (실시예 1)
도 93는 다성분 약제의 평가플로우도이다. (실시예 1)
도 95는 단파장에 따른 FP작성기능에 있어서의 데이타처리 플로우차트이다. (실시예 1)
도 96는 복수 파장에 따른 FP작성기능에 있어서의 데이타처리 플로우차트이다. (실시예 1)
도 97은 복수 파장에 따른 FP작성기능에 있어서의 데이타처리 플로우차트이다. (실시예 1)
도 98은 피크귀속처리1(기준FP의 선정)에 있어서의 데이타처리 플로우차트이다. (실시예 1)
도 99는 피크귀속처리2(귀속스코어의 산출)에 있어서의 데이타처리 플로우차트이다. (실시예 1)
도 100은 피크귀속처리3(대응피크의 특정)에 있어서의 데이타처리 플로우차트이다. (실시예 1)
도 101은 피크귀속처리4(기준군FP로의 귀속)에 있어서의 데이타처리 플로우차트이다. (실시예 1)
도 102는 피크귀속처리4(기준군FP로의 귀속)에 있어서의 데이타처리 플로우차트이다. (실시예 1)
도 103은 피크귀속처리1(기준FP의 선정)에 있어서의 리텐션타임출현패턴의 일치도계산처리의 플로우차트이다. (실시예 1)
도 104는 피크귀속처리2(귀속스코어의 산출)에 있어서의 UV스펙트럼의 일치도계산처리의 플로우차트이다. (실시예 1)
도 105는 피크귀속처리2(귀속스코어의 산출)에 있어서의 피크패턴의 일치도계산처리의 플로우차트이다. (실시예 1)
도 106은 'FP_type2작성'의 상세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실시예 1)
도 107은 '영역분할에 따른 대상FP_type2의 특징량화처리'의 상세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실시예 1)
도 108은 '대상FP의 피크특징량과 영역분할특징량의 통합'의 상세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실시예 1)
도 109는 기준FP특징량파일을 작성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실시예 1)
도 110은 기준FP특징량파일을 작성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실시예 1)
도 111은 '기준FP귀속결과통합처리(기준FP대응표의 작성)'의 상세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실시예 1)
도 112는 '기준FP귀속결과통합처리(기준FP대응표의 작성)'의 상세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실시예 1)
도 113은 '피크특징량화처리(기준군FP의 작성)'의 상세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실시예 1)
도 114는 '기준FP_type2의 작성처리'의 상세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실시예 1)
도 115는 '영역분할에 따른 기준FP의 특징량화처리'의 상세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실시예 1)
도 116은 기준FP의 특징량통합처리에 관한 플로우차트이다. (실시예 1)
도 117은 3D크로마토의 데이타 예를 도시하는 도표이다. (실시예 1)
도 118은 피크정보의 데이타 예를 도시하는 도표이다. (실시예 1)
도 119는 FP의 데이타 예를 도시하는 도표이다. (실시예 1)
도 120은 대상FP의 기준FP로의 귀속스코어계산결과(판정결과)파일 예를 도시하는 도표이다. (실시예 1)
도 121은 대상FP와 기준FP에서 대응하는 피크의 조합(照合)과정을 도시하는 도표이다. (실시예 1)
도 122는 대상FP와 기준FP에서 대응하는 피크를 특정한 결과(조합결과파일) 예를 도시하는 도표이다. (실시예 1)
도 123은 기준군FP의 데이타 예를 도시하는 도표이다. (실시예 1)
도 124는 대상FP피크특징량파일 예를 도시하는 도표이다. (실시예 1)
도 125는 대상 및 기준FP타입2의 데이타 예를 도시하는 도표이다. (실시예 1)
도 126은 대상FP영역분할특징량파일 예를 도시하는 도표이다. (실시예 1)
도 127은 대상FP통합특징량파일 예를 도시하는 도표이다. (실시예 1)
도 128은 기준type2군FP 예를 도시하는 도표이다. (실시예 1)
도 129는 기준군통합데이타 예를 도시하는 도표이다. (실시예 1)
도 130은 도 104 대신에 적용하는 섭루틴2의 변형례의 상세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실시예 1)
도 131은 이동평균 및 이동경사의 계산 예를 도시하는 도표이다. (실시예 1)
평가의 정도 및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에 기여가능하게 한다는 목적을, 다성분 물질의 크로마토로부터 검출된 피크와 그 리텐션타임으로 구성되는 FP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각 영역에 존재하는 피크의 존재율 또는 존재량으로부터 FP영역분할특징량을 작성하는 것에 의해 실현했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실시예 1은 다성분 물질, 예를 들면 다성분 약제를 평가하는 다성분 약제의 평가방법, 평가프로그램, 패턴인 FP의 특징량작성방법, 작성프로그램, 작성장치이다.
다성분 약제는 복수의 유효화학성분을 함유하는 약제로 정의되며, 한정되지 않지만, 생약, 생약의 조합, 그들의 추출물, 한방약 등이 포함된다. 또한, 제형(劑形)도 특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제 15 개정 일본약국방(藥局方)의 제제(製劑)총칙에서 한정되어 있는 액제(液劑), 엑기스제, 캅셀제, 과립제, 환제, 현탁제·유제, 산제(散劑), 주정제(酒精劑), 정제(錠劑), 침제(浸劑)·전제(煎劑), 틴크제, 트로치제, 방향수제, 유(流)엑기스제 등이 포함된다. 다성분 물질로서는 약제 이외의 것도 포함된다.
한방제의 구체 예는 의료용 한방제제(製劑) 148 처방 '사용상의 주의'의 업계통일과 자주개정(自主改訂), 일반용 한방처방의 안내(1978년)에 기재되어 있다.
다성분 약제의 평가에는 평가대상 약제가 정상품으로 정해진 복수의 약제와 동등한가 어떤가를 평가하기 위해, 먼저 평가대상 약제의 3차원 크로마토그램 데이타(이하, 3D크로마토)로부터 그 약제 특유의 정보를 추출한 대상FP를 작성한다.
이어서, 대상FP의 각 피크를 전(全) 기준FP를 피크귀속처리하여 작성한 전 기준FP의 피크 대응 데이타(이하, 기준군FP)에 귀속하여, 피크 특정량을 얻는다.
더욱이, 대상FP로부터 귀속된 피크를 제외하고, 남은 피크로 FP타입2를 작성하고, 이 FP타입2를 영역분할하여 영역분할특징량을 얻는다.
이들 2개의 특징량을 통합하여, 대상FP통합특징량을 얻는다.
이 대상FP통합특징량과 전 기준FP로부터 얻어진 기준FP통합특징량에 의해, 기준군FP와 대상FP의 동등성을 MT법으로 평가한다. 마지막으로, 얻어진 평가치(이하, MD값)와 미리 설정하여 둔 판정치(MD값의 상한치)를 비교하여, 평가대상 약제가 정상품과 동등한 지 어떤 지를 판정한다.
[다성분 약제의 평가장치]
도 1은 다성분 약제의 평가장치의 블록도, 도 2는 다성분 약제의 평가수순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3D크로마토로부터 작성한 FP의 설명도, 도 4 (A)는 약제A, (B)는 약제B, (C)는 약제C의 FP이다.
도 1과 같이, 다성분 약제의 평가장치(1)는 FP작성부(3)와, 대상FP피크귀속부(5)와, 대상FP피크특징량작성부(7)와, 대상FP타입2작성부(9)와, 대상FP영역분할특징량작성부(11)와, 대상FP특징량통합부(13)와, 기준FP피크귀속부(15)와, 기준FP귀속결과통합부(17)와, 기준FP피크특징량작성부(19)와, 기준FP타입2작성부(21)와, 기준FP영역분할특징량작성부(23)와, 기준FP특징량통합부(25)와, 평가부(27)를 구비하고 있다. 다성분 약제의 평가장치(1)는 패턴인 FP의 특징량작성장치를 포함한다.
FP작성부(3)는 대상FP작성부(29)와, 기준FP작성부(31)를 구비하고 있다.
대상FP피크귀속부(5)는 기준FP선정부(33)와, 피크패턴작성부(35)와 피크귀속부(37)를 구비하고 있다.
이 다성분 약제의 평가장치(1)는 예를 들면, 하나의 컴퓨터로 구성되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CPU, ROM, RAM 등을 구비하고 있다. 다성분 약제의 평가장치(1)는 컴퓨터에 인스톨된 패턴의 특징량작성프로그램으로서 FP의 특징량작성평가프로그램을 실현시켜서, FP의 특징량을 얻을 수가 있다. 단, FP의 특징량작성프로그램은 이것을 기록한 다성분 물질의 평가프로그램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컴퓨터에서 구성된 다성분 약제의 평가장치(1)에 이것을 판독시키는 것으로 FP의 특징량을 얻는 것을 실현할 수도 있다.
다성분 약제의 평가장치(1)는 각 부를 각각 별도의 컴퓨터로 구성할 수가 있고, 예를 들면, 대상FP피크귀속부(5)와, 대상FP피크특징량작성부(7)와, 대상FP타입2작성부(9)와, 대상FP영역분할특징량작성부(11)와, 대상FP특징량통합부(13)와, 평가부(27)를 하나의 컴퓨터로 구성하고, 기준FP작성부(31)와, 기준FP피크귀속부(15)와, 기준FP귀속결과통합부(17)와, 기준FP피크특징량작성부(19)와, 기준FP타입2작성부(21)와, 기준FP영역분할특징량작성부(23)와, 기준FP특징량통합부(25)를 다른 컴퓨터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기준FP통합특징량은 다른 컴퓨터에서 작성하고, 평가장치(1)의 평가부(27)에 입력되는 것이 된다.
그리고, 대상FP작성부(29)와, 대상FP피크귀속부(5)와, 대상FP피크특징량작성부(7)와, 대상FP타입2작성부(9)와, 대상FP영역분할특징량작성부(11)와, 대상FP특징량통합부(13)에 의해 대상FP통합특징량이 작성되고, 기준FP작성부(31)와, 기준FP피크귀속부(15)와, 기준FP귀속결과통합부(17)와, 기준FP피크특징량작성부(19)와, 기준FP타입2작성부(21)와, 기준FP영역분할특징량작성부(23)와, 기준FP특징량통합부(25)에 의해 기준FP통합특징량이 작성되어, 이들이 비교평가되어 대상FP(43)와 기준군FP(45)의 동등성을 평가한다.
FP작성부(3)의 대상FP작성부(29)는, 예를 들면, 도 2, 도 3과 같이, 한방약(39)의 크로마토로서 삼차원 크로마토그램 데이타인 3D크로마토(41)로부터 특정의 검출파장에서의 복수의 피크와 그 리텐션타임 및 UV스펙트럼을 추출한 대상FP(43)(이하 단지, 'FP(43)'로 약칭하기도 함)를 작성하는 기능부이다.
이 FP(43)는 3D크로마토(41)와 마찬가지로 삼차원의 정보(피크, 리텐션타임 및 UV스펙트럼)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FP(43)은 그 약제 특유의 정보를 그대로 계승한 데이타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데이타 용량은 약 1/70으로 압축되어 있기 때문에, 3D크로마토(41)에 비교하여, 처리해야할 정보량을 대폭으로 감소시킬 수 있어서 처리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3D크로마토(41)는 한방약(39)에 고속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를 적용한 결과이다. 이 3D크로마토(41)는 각 성분의 이동속도로 나타나며, 그것을 특정시간에 있어서의 이동거리로서 표시하고, 혹은 컬럼 말단으로부터 시계열에서 나타나는 상태를 챠트로 표시한 것이다. HPLC에 있어서는, 시간축에 대한 검출기응답을 플롯한 것이고, 피크의 출현시간을 보지(保持)시간(리텐션타임)이라고 부르고 있다.
검출기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광학적 성질을 이용한 흡광도검출기(Absorbance Detector)가 사용되고, 피크는 자외선(UV)의 검출파장에 따른 시그널강도로서 삼차원적으로 얻어진 것이다. 광학적 성질을 이용한 것으로서는 투과율검출기(Transmittance Detector)를 이용할 수도 있다.
검출파장에 한정은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150nm ~ 900nm의 범위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200nm ~ 400nm의 자외가시흡(吸)영역, 더욱이 바람직하게는 200nm ~ 300nm로부터 선택된 복수의 파장이다.
그리고, 3D크로마토(41)는 적어도 한방약의 번호(로트 번호), 리텐션타임, 검출파장, 및 피크를 데이타로서 가지는 것이다.
또한, 3D크로마토(41)는 시판의 장치에 의해서도 얻어질 수 있고, 이러한 시판의 장치로서는 Agilent 1100 시스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크로노마토그래피는 HPLC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것을 채용할 수가 있다.
3D크로마토(41)는, 도 2, 도 3과 같이 x축을 리텐션타임, y축을 검출파장, z축을 시그널강도로 하여 표시한다.
FP(43)는 적어도 한방약의 번호(로트 번호), 리텐션타임, 특정의 파장에 있어서의 피크, 및 UV스펙트럼을 데이타로 가지는 것이다.
FP(43)은, 도 2, 도 3과 같이 x축을 리텐션타임, y축을 특정의 검출파장에 있어서의 피크로한 이차원에서 표시하지만, 도 3과 같이 1 피크로 표현하는 UV스펙트럼(42)과 마찬가지인 UV스펙트럼 정보를 피크마다에 가진 데이타이다. FP(43)을 작성하는 특정의 검출파장은 특히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다. 단, FP(43)에는 3D크로마토 중의 모든 피크를 포함시키는 것이 정보를 계승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 1에서는 검출파장을 3D크로마토 중의 모든 피크를 포함하고 있는 203nm로 했다.
한편, 단독의 파장에서는 모든 피크를 포함시킬 수 없는 것이 있다. 그러한 경우는 검출파장을 복수로 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파장을 조합하여 모든 피크를 포함한 FP를 작성한다.
본 실시예 1에서는 피크를 시스널강도(피크높이)의 극대치로 했지만, 피크로서 면적치를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FP에 UV스펙트럼을 포함시키지 않고, x축을 리텐션타임, y축을 특정의 검출파장에 있어서의 피크로 한 이차원의 표시정보만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는, FP를 한방약의 번호(로트 번호), 리텐션타임을 데이타로 가지는 크로마토로서의 2D크로마토로부터 작성할 수도 있다.
도 4의 (A)는 약제A, (B)는 약제B, (C)는 약제C의 FP(55, 57, 59)이다.
대상FP피크귀속부(5)는 상기 대상FP와 이 대상FP에 대응하여 평가기준이 되는 다성분 물질의 기준FP의 피크를 비교하여 대응하는 피크를 특정하는 기능부이다. 이 대상FP귀속부(5)는 기준FP선정부(33)와, 피크패턴작성부(35)와, 피크귀속부(37)로 이루어져 있다.
기준FP선정부(33)는 대상FP의 피크귀속에 적합한 다성분 물질의 FP를 복수의 기준FP로부터 선정하는 기능부이다. 즉, 대상FP의 각 피크의 피크귀속을 높은 정도로 행하기 위해, 도 5 ~ 도 9(후술)와 같이 대상FP와 기준FP 사이에서 피크의 리텐션타임출현패턴의 일치도를 산출하고, 이 일치도가 최소로 되는 기준FP를 전 기준FP로부터 선정한다.
피크패턴작성부(35)는, 도 10 ~ 도 12와 같이 대상FP(61)에 있어서의 귀속의 대상이 되는 피크(이하, 귀속대상피크)에 대하여, 시간축방향 전후의 적어도 일방에 존재하는 n개의 피크를 포함한 합계 n+1개의 피크로 구성되는 피크패턴을 귀속대상피크의 피크패턴으로 작성하는 기능부이다. n은 자연수이다.
또한, 도 11(후술)에서는 시간축방향 전후의 적어도 일방에 존재하는 2개의 피크를 포함한 합계 3개의 피크로 구성되는 피크패턴을, 도 12에서는 시간축방향 전후의 적어도 일방에 존재하는 4개의 피크를 포함한 합계 5개의 피크로 구성되는 피크패턴을 표시한다.
또한, 피크패턴작성부(35)는, 도 13 ~ 도 22(후술)와 같이 기준FP(83)에 있어서 귀속대상피크의 리텐션타임과의 차가 설정한 범위(허용폭) 내의 모든 피크(이하, 귀속후보피크)에 대하여, 시간축방향 전후의 적어도 일방에 존재하는 n개의 피크를 포함한 합계 n+1개의 피크로 구성되는 피크패턴을 귀속후보피크의 피크패턴으로 하여 작성하는 기능부이다. 또한, 도 15 ~ 도 18(후술)에서는 시간축방향 전후의 적어도 일방에 존재하는 2개의 피크를 포함한 합계 3개의 피크로 구성되는 피크패턴을 도시한다. 도 19 ~ 도 22(후술)에서는 시간축방향 전후의 적어도 일방에 존재하는 4개의 피크를 포함한 합계 5개의 피크로 구성되는 피크패턴을 도시한다.
허용폭에 한정은 없으나, 정도와 효율의 면에서 0.5분 ~ 2분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1에서는 1분으로 했다.
또한, 피크패턴작성부(35)에서는 대상FP(61)와 기준FP(83)의 피크수에 차이가 있는(즉, 어느 쪽인가 일방에 존재하지 않는 피크가 있는) 경우에 대하여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도 23 ~ 도 61(후술)과 같이, 귀속대상피크 및 귀속후보피크의 양방에서 피크패턴을 구성하는 피크(이하, 피크패턴구성피크)를 변화시켜서 망라적(網羅的)으로 피크패턴을 작성한다. 또한, 도 23 ~ 도 61에서는 시간축방향 전후의 적어도 일방에 존재하는 2개의 피크를 포함한 합계 3개의 피크로 구성되는 피크패턴의 경우에 대해서 도시한다.
피크귀속부(37)는 대상FP, 기준FP 각각의 피크패턴을 비교하여 대응하는 피크를 특정하는 기능부이다. 실시예에서는 귀속대상피크의 피크패턴과 귀속후보피크의 피크패턴의 일치도 및 UV스펙트럼의 일치도를 산출하여 대응하는 피크를 특정한다.
또한, 이 2개의 일치도를 통합한 귀속후보피크의 일치도를 산출하고, 이 일치도에 기초하여, 대상FP(61)의 각 피크를 기준FP(83)의 각 피크에 귀속하는 기능부이다.
피크귀속부(37)에서, 피크패턴의 일치도는, 도 62 ~ 도 64(후술)와 같이 귀속대상피크와 귀속후보피크의 피크패턴 사이의 대응하는 피크 및 리텐션타임의 차를 기초로 산출한다. 또한, UV스펙트럼의 일치도는, 도 65, 도 66(후술)과 같이 귀속대상피크(73)의 UV스펙트럼(135)과 귀속후보피크(95)의 UV스펙트럼(139)의 각 파장에 있어서의 흡광도(吸光度)의 차를 기초로 산출한다. 또한, 도 67(후술)과 같이 이들 2개의 일치도를 곱하여 귀속후보피크(95)의 일치도를 산출한다.
대상FP피크특징량작성부(7)는 대상FP피크귀속부(5)에서 특정되어 귀속한 피크와 복수의 기준FP인 기준군FP(45)의 피크를 비교평가하여 특징량화된 대상FP피크특징량으로서 작성하는 기능부이다. 복수의 기준FP는 평가기준이 되는 다성분 물질인 복수의 한방약에 대응하여 작성되어 있고, 이 복수의 한방약은 정상품으로 되어 있는 것이다.
즉, 대상FP피크특징량작성부(7)는 대상FP(61)과 기준FP(83)의 귀속결과에 기초하여, 최종적으로 도 2, 도 68, 도 69(후술)와 같이 대상FP(43)의 각 피크를 기준군FP(45)의 각 피크에 귀속하여 특징량화된 대상FP특징량(47)을 작성하는 기능부이다.
대상FP타입2작성부(9)는 대상패턴으로부터 특징량화된 피크를 제외하고 남은 피크로 구성되는 패턴을 대상패턴타입2로서 작성한다. 예를 들면, 대상FP피크특징량작성부(7)에서 특정된 피크(47)를 원래의 대상FP(43)로부터 제외하고 남은 피크와 그 리텐션타임으로 구성되는 FP를 도 2의 대상FP타입2(49)를 대상패턴타입2로서 작성하는 기능부이다.
이 대상FP타입2(49)는 대상FP피크특징량작성부(7)에서 특징량화되지 않았던 피크를 모아서 FP로 한 것이다. 이 대상FP타입2(49)를 특징량화하여 평가에 더하는 것으로 보다 정확한 평가를 행하게 할 수 있다.
대상FP영역분할특징량작성부(11)는 대상패턴타입2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각 영역에 존재하는 피크의 존재율로부터 대상패턴영역분할특징량을 작성하는 FP영역분할특징량작성부를 구성하고, 대상FP타입2(49)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각 영역에 존재하는 피크의 존재율로부터 대상FP영역분할특징량을 대상패턴영역분할특징량으로 작성하는 기능부이다.
또한, 대상FP영역분할특징량작성부(11)는 존재율 대신에 존재량을 이용할 수도 있다. 존재율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 영역의 피크높이의 존재량을 전체의 피크높이의 합계(즉 전체의 피크높이의 존재량)으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각 영역의 피크높이의 존재량 그것을 이용하여 영역분할특징량을 작성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대상FP영역분할특징량작성부(11)는, 예를 들면 도 70(후술)과 같이, 대상FP타입2(49)를 시그널강도축에 평행한 복수의 종분할선과 시간축에 평행한 복수의 횡분할선에 의해 격자형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도 2의 대상FP영역분할특징량(51)을 작성한다.
대상FP특징량통합부(13)는 대상FP피크특징량작성부(7)에서 작성된 대상FP피크특징량(47)과 대상FP영역분할특징량작성공정(11)에서 작성된 대상FP영역분할특징량(51)을 통합하여 대상FP통합특징량을 작성하는 기능부이다.
한편, FP작성부(3)의 기준FP작성부(31)는 대상FP작성부(29)와 마찬가지로 하여 복수의 기준FP를 작성하는 기능부이다. 예를 들면, 정상품으로 판정되어 있는 복수의 한방약(기준 한방약)의 삼차원 크로마토그램 데이타인 각 3D크로마토로부터 특정의 검출파장에 있어서의 복수의 피크와 그 리텐션타임 및 UV스펙트럼을 추출한 기준FP를 기준 한방약마다 작성한다.
기준FP피크귀속부(15)도 대상피크귀속부(5)와 마찬가지로 패턴인식에 의해 귀속해야하는 피크를 특정하는 기능부이다. 단, 이 기준FP피크귀속부(15)에서는 전 기준FP를 대상으로 하여, 선택한 조합 또한 순번으로 귀속스코어를 산출하는 것으로 피크를 특정한다.
기준FP귀속결과통합부(17)는 기준피크귀속부(15)에서 특정되어 귀속한 피크를 통합하여 기준피크대응표(후술)를 작성하는 기능부이다.
기준FP피크특징량작성부(19)는 기준FP귀속결과통합부(17)에서 작성된 기준피크대응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기준FP를 특징량화한 기준FP피크특징량을 작성하는 기능부이다.
기준FP타입2작성부(21)는 대상FP타입2작성부(9)와 마찬가지로 기능하여, 복수의 각 기준FP로부터 상기 특징량화된 피크를 제외하고 남은 피크와 그 리텐션타임으로 구성되는 FP를 기준FP타입2로서 작성하는 기능부이다.
기준FP영역분할특징량작성부(23)는 대상FP영역분할특징량작성부(11)와 마찬가지로 기능하여, FP영역분할특징량작성부로서 기준FP타입2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각 영역에 존재하는 피크의 존재율로부터 기준FP영역분할특징량을 작성하는 기능부이다.
단, 기준FP영역분할특징량작성부(23)는 분할된 각 영역의 위치를 변경하여 변경전후에서 기준FP영역분할특징량을 작성한다. 즉, 각 종·횡분할선을 설정범위 내에서 평행이동시키도록 위치를 변경설정하는 것으로 상기 각 영역의 위치를 변경한다.
기준FP특징량통합부(25)는 대상FP특징량통합부(13)와 마찬가지로 기능하여, 기준FP피크특징량과 기준FP영역분할특징량을 통합하여 기준FP통합특징량을 작성하는 기능부이다.
평가부(27)는 대상패턴통합특징량과 이 대상패턴통합특징량에 대응하여 평가기준이 되는 복수의 기준패턴에 기초하는 기준패턴통합특징량을 비교평가한다. 즉, 평가부(27)는 대상패턴통합특징량으로서의 대상FP통합특징량과 기준패턴통합특징량으로서의 기준FP통합특징량을 비교평가하는 기능부이다. 예를 들면, 실시예에서는 MT법으로 대상FP통합특징량과 기준FP통합특징량의 동등성을 평가한다.
MT법은 품질공학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계산법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품질공학의 수리(數理)' 일본규격협회발행(2000) 제 136 - 138 면, 품질공학응용강좌 '화학·약학·생물학의 기술개발' 일본규격협회편(1999) 제 454 - 456 면 및 품질공학 11 (5), 78 - 84 (2003), 입문 MT시스템(2008)에 기재가 있다.
또한, 일반에 시판되고 있는 MT법 프로그램 소프트도 사용할 수 있다. 시판의 MT법 프로그램 소프트로서는 앵클드라이(주)의 ATMTS; (재) 일본규격협회의 TM-ANOVA; (주) 오켄의 MT법 for windows 등을 들 수 있다.
평가부(27)는 대상FP(43) 중, 한방약의 로트 번호와, 리텐션타임 또는 UV검출파장의 일방에 대하여, MT법에서의 변수축을 할당하고, 피크를 MT법에서의 특징량으로 한다.
변수축의 할당에는 특히 한정은 없지만, MT법에서의 소위 항목축에 리텐션타임을 할당하고, 소위 번호열축에 다성분계 약제의 번호를 할당하고, MT법에서의 소위 특징량에 피크를 할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항목축과 번호열축은 이하와 같이 정의된다. 즉, MT법에 있어서는, 데이타 세트 Xij에 대해서, 평균치mj와 표준편차σj를 구하고, Xij를 규준화(規準化)한 값인 xij = (Xij - mj)/σj로부터, i와 j의 상관계수 r을 구하여, 단위공간이나 마하라노비스의 거리를 얻는다. 이때, '평균치mj와 표준편차σj는 항목축의 값마다, 번호열축의 값을 변화시켜서 구한다.'와 같이 항목축과 번호열축이 정의된다.
축이 할당된 데이타와 특징량으로부터, MT법을 이용하여, 기준점과 단위량(이하, '단위공간'으로 약기하는 경우도 있다.)를 얻는다. 여기서, 기준점, 단위량 및 단위공간은 상기 MT법의 문헌의 기재에 따라서 정의된다.
MT법에 의해, 평가해야하는 약제의 단위공간과의 상위의 정도를 표시하는 값으로서 MD값을 얻는다. 여기서 MD값은 MT법의 문헌의 설명과 마찬가지로 정의되고, 또한, MD값은 문헌에 기재된 방법으로 구해진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MD값을 이용하여, 평가해야할 약제는 정상품으로서 정해진 복수의 약제로부터의 상위(相違)의 정도를 판정하여 평가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도 87 ~ 도 91의 각 대상FP를 상기와 같이 귀속처리하는 것으로, 상기 MT법에 의해 MD값(MD값 : 0.26, 2.20 등)을 구할 수 있다.
이 MD값을 정상품의 MD값에 대하여 평가하는 경우, 정상품으로 정해진 복수의 약제에서 마찬가지로 MD값을 구한다. 이 정상품의 MD값으로부터 역치를 설정하고, 도 2의 평가부(27)의 평가결과(5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가대상약제의 MD값을 플로트하여, 정상품인지 비정상품인지의 판정을 행할 수 있다. 도 2의 평가부(27)의 평가결과(53)에서는, 예를 들면 MD값 10 이하를 정상품으로 하고 있다.
또한, 평가부(27)는 대상FP귀속피크(21)와 기준군FP(45)의 동등성을 비교평가할 수 있다면 충분하기 때문에, MT법 이외의 패턴인식수법 등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피크패턴처리의 동작원리]
도 5 ~ 도 69는 상기 기준FP선정부(33), 피크패턴작성부(35), 피크귀속부(37), 및 대상FP피크특징량작성부(7)의 동작원리를 설명하는 것이다.
도 5 ~ 도 9는 기준FP선정부(33)에 관한 대상FP와 기준FP의 리텐션타임출현패턴의 일치도에 대하여 설명한 도면이다. 도 5는 대상FP 및 기준FP의 리텐션타임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대상FP의 리텐션타임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기준FP의 리텐션타임출현패턴을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대상FP와 기준FP의 리텐션타임출현거리의 일치수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대상FP와 기준FP의 리텐션타임출현패턴의 일치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에서는, 대상FP(61) 및 기준FP(83) 각각의 리텐션타임을 도시한다. 도 6, 도 7에서는 대상FP(61) 및 기준FP(83) 각각의 기준FP의 리텐션타임으로부터 모든 리텐션타임간 거리를 산출하고, 그들 거리를 표형식으로 정리한 리텐션타임출현패턴을 도시한다. 도 8에서는, 이들 출현패턴으로부터 리텐션타임출현거리의 일치수를 산출하고, 이들 일치수를 표형식으로 정리한 리텐션타임출현거리의 일치수를 도시한다. 도 9에서는, 이 일치수를 기초로 하여 리텐션타임출현패턴의 일치도를 산출하고, 이들 일치도를 표형식으로 정리한 리텐션타임출현패턴의 일치도를 도시한다.
도 10 ~ 도 12는 피크패턴작성부(35)에 관련한 귀속대상피크와 그 주변피크에서 작성한 피크패턴에 대하여 설명한 도면이다. 도 10은 기준FP의 귀속대상피크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주변피크 2개를 포함한 피크 3개로 작성한 피크패턴에 대하여, 도 12는 주변피크 4개를 포함한 피크 5개로 작성한 피크패턴에 대하여 설명한 도면이다.
도 13 , 도 14는 피크패턴작성부(35)에 관련한 귀속대상피크와 귀속후보피크의 관계에 대해 설명하며, 도 13은 귀속대상피크의 허용폭을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귀속대상피크에 대한 기준FP의 귀속후보피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 ~ 도 16은 피크패턴작성부(35)에 관련한 피크 3개로 작성한 귀속대상피크와 귀속후보피크의 피크패턴의 예이다. 도 15는 귀속대상피크와 귀속후보피크의 피크 3개에 따른 피크패턴도, 도 16은 귀속대상피크와 별도의 귀속후보피크의 피크 3개에 따른 피크패턴도, 도 17은 귀속대상피크와 별도의 귀속호보피크의 피크 3개에 따른 피크패턴도, 도 18은 귀속대상피크와 별도의 귀속후보피크의 피크 3개에 따른 피크패턴도이다.
도 19 ~ 도 22는 피크패턴작성부(35)에 관련한 피크 5개로 작성한 귀속대상피크와 귀속후보피크의 피크패턴도이다.
도 23 ~ 도 61은 피크패턴작성부(35)에 관련한 귀속대상피크 및 귀속후보피크의 피크패턴을 망라적으로 작성하고, 비교하는 망라적 비교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2, 63은 피크귀속부(37)에 관련한 피크 3개로 작성한 피크패턴의 일치도의 산출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4는 피크귀속부(37)에 관련한 피크 5개로 작성한 피크패턴의 일치도의 산출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5는 피크귀속부(37)에 관련한 귀속대상피크(73) 및 귀속후보피크(95)의 UV스펙트럼(135 및 139)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6은 피크귀속부(37)에 관련한 귀속대상피크(73)의 UV스펙트럼(135)과 귀속후보피크(95)의 UV스펙트럼(139)의 일치도에 대하여 설명한 도면이다.
도 67은 피크귀속부(37)에 관련한 귀속대상피크(73)와 귀속후보피크(95)의 피크패턴의 일치도와 UV스펙트럼의 일치도로부터 산출하는 귀속후보피크의 일치도에 대해 설명한 도면이다.
도 68은 피크귀속부(37)에 관련한 대상FP(43)에 있어서의 각 피크의 기준군FP(45)로의 귀속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69는 피크귀속부(37)에 관련한 대상FP(43)의 각 피크가 기준군FP(45)에 귀속된 상황을 도시하는 대상FP피크특징량(47)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70 ~ 도 74는 평가부(27)에 관련한 각종 대상FP와 그 평가치(MD값)을 도시한 도면이다.
[기준FP의 선정]
상기 기준FP선정부(33)의 기능을, 도 5 ~ 도 9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대상FP 및 기준FP의 리텐션타임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기준FP의 리텐션타임출현패턴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기준FP의 리텐션타임출현패턴을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대상FP와 기준FP의 리텐션타임출현거리의 일치수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대상FP와 기준FP의 리텐션타임출현패턴의 일치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에서는, 대상FP(61) 및 기준FP(83) 각각의 리텐션타임을 도시한다. 도 6, 도 7에서는 대상FP(61) 및 기준FP(83) 각각의 리텐션타임으로부터 모든 리텐션타임간 거리를 산출하고, 그들 거리를 표형식으로 정리한 리텐션타임출현패턴을 도시한다. 도 8에서는, 이들 출현패턴으로부터 리텐션타임출현거리의 일치수를 산출하고, 이들 일치수를 표형식으로 정리한 리텐션타임출현거리의 일치수를 도시한다. 도 9에서는, 이 일치수를 기초로 하여 리텐션타임출현패턴의 일치도를 산출하고, 이들 일치도를 표형식으로 정리한 리텐션타임출현패턴의 일치도를 도시한다.
대상FP(61)의 피크귀속처리에 있어서, 대상FP(61)와 가능한한 FP패턴이 유사한 기준FP로 대상FP(61)의 각 피크를 귀속한다. 이 대상FP(61)에 유사한 기준FP를 복수의 기준FP로부터 선정하는 것이 정도가 높은 귀속을 행하는 것에 중요한 포인트이다.
그리고, 대상FP(61)의 FP패턴과의 유사성을 객관적으로 또한 간이적(簡易的)으로 평가하는 방법으로 하여, 리텐션타임출현패턴의 일치도에 의해 FP패턴의 유사성을 평가한다.
예를 들면, 대상FP(61) 및 기준FP(83)의 리텐션타임이 도 5와 같은 경우, 대상FP(61) 및 기준FP(83) 각각의 리텐션타임출현패턴은 도 6, 도 7과 같이 된다. 도 6, 도 7에서는 상단의 대상FP(61) 및 기준FP(83)에 대하여, 하단의 도표와 같이, 각 셀의 값이 리텐션타임간 거리로 구성된 표형식의 패턴으로서 작성되어 있다.
도 6에서, 대상FP(61)의 각 피크(63, 65, 67, 69, 71, 73, 75, 77, 79, 81)의 리텐션타임은 (10, 2), (10, 5), (10, 8), (11, 1), (11, 6), (12, 1), (12, 8), (13, 1), (13, 6), (14, 0)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피크(63) 및 피크(65) 사이의 리텐션타임간 거리는 (10, 5) - (10, 2) = (0, 3)이 된다. 마찬가지로, 피크(63) 및 피크(67) 사이는 (0, 6), 피크(65) 및 피크(67) 사이는 (0, 3) 등이 된다. 이하, 마찬가지이며, 도 6의 하단도표의 대상FP출현패턴으로 된다.
도 7에서, 기준FP(83)의 각 피크(85, 87, 89, 91, 93, 95, 97, 99, 101, 103, 105)의 리텐션타임은 (10, 1), (10, 4), (10, 7), (11, 1), (11, 7), (12, 3), (12, 7), (13, 1), (13, 6), (14, 1), (14, 4)로 되어 있다.
따라서, 마찬가지로 리텐션타임간 거리는 도 7의 하단도표의 기준FP출현패턴으로 된다.
이 도 6, 도 7과 같이 패턴화한 각 피크를 전체개별대비방식으로 비교하여 일치수를 구한다. 예를 들면, 도 6 하단도표의 대상FP출현패턴의 각 셀의 값과 도 7 하단도표의 기준FP출현패턴의 각 셀의 값을 비교하여, 도 8과 같이 일치수를 얻는다.
즉, 대상FP(61)와 기준FP(83)의 리텐션타임출현패턴의 모든 리텐션타임간 거리를 행단위로 순번으로 전체개별대비방식으로 비교하여, 설정한 범위 내에서 거리가 일치한 수를 산출했다.
예를 들면, 도 6, 도 7의 대상 및 기준FP 리텐션타임출현패턴의 1행을 비교하면, 일치수는 7개이다. 이 7개의 일치수가 도 8의 대상 및 기준FP 리텐션타임출현패턴의 1행째에 기재된다. 도 6, 도 7 중의 그 외의 행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며, 대상FP 리텐션타임출현패턴의 1행 ~ 9행까지와, 기준FP 리텐션타임출현패턴의 1행 ~ 10행까지를 전체개별대비방식으로 비교하여, 각각 일치수가 얻어진다.
도 8에 결과를 도시했다. 이 도 8에 있어서, 동그라미로 둘러싸인 좌단의 7의 수치는 대상 및 기준FP 리텐션타임출현패턴의 1행째를 비교한 결과이고, 그 옆의 7의 수치는 대상FP 리텐션타임출현패턴의 1행째과 기준FP 리텐션타임출현패턴의 2행째를 비교한 결과이다. 설정의 범위에 한정은 없지만, 바람직하게는 0.05분 ~ 0.2분의 범위이다. 실시예 1은 0.1분으로 했다.
리텐션타임출현패턴의 일치도를 RP로 하면, 대상FP(61)의 f행째의 리텐션타임출현패턴과 기준FP(83)의 g행째의 리텐션타임출현패턴의 일치도(RPfg)는 Tanimoto 계수를 이용하여,
RPfg = {1 - ( m / (a + b - m ) ) } × ( a - m + 1 )
로 산출한다.
또한, 식중 a는 대상FP(61)의 피크수(대상FP피크수), b는 기준FP(83)의 피크수(기준FP피크수), m은 출현거리의 일치수이다(도 8 참조). 도 8의 일치수(83)를 기초로 상기 식에 의해 각 리텐션타임출현패턴의 일치도(RP)를 산출했다(도 9 참조).
이들 RP의 최소치(RP_min)를 대상FP(61)와 기준FP(83)의 리텐션타임출현패턴의 일치도로 한다. 도 9에서는 (0.50)이 대상FP(61)의 기준FP에 대한 일치도가 된다.
이 일치도를 모든 기준FP에 대하여 산출하고, 가장 작은 일치도의 기준FP가 선정되고, 이 기준FP에 대하여 대상FP의 피크귀속을 행하게 한다.
기준FP선정부(33)는 대상FP(61) 및 기준FP(83)를 피크높이비로 패턴화할 수도 있다.
피크높이비로 패턴화한 각 피크를 전체개별대비방식으로 비교하여, 설정한 범위 내에서 높이비가 일치한 수를 산출한다. 이 산출에 의해 도 8과 마찬가지로 일치수를 얻을 수가 있다.
또한, 피크높이비로 패턴화하는 경우는, 1행 중에 같은 값이 복수 존재하는 케이스가 있으며, 이들을 복수회 카운트하지 않도록 해야한다.
일치도는 Tanimoto계수를 '높이비의 일치수/(대상FP피크수 + 기준FP피크수 - 높이비의 일치수)'로 하고, (1 - Tanimoto계수)가 영에 가까운 것으로 상기 일치도를 구할 수가 있다.
또한, (1 - Tanimoto계수)에 (대상FP피크수 - 높이비의 일치수 + 1)의 가중치부여를 하여, '(1 - Tanimoto계수) × (대상FP피크수 - 출현거리 또는 높이비의 일치수 + 1)'로 하여, 가중치에 의해 대상FP(61)의 피크(63, 65, ...)가 보다 많이 일치하는 기준FP를 선택할 수가 있다.
[피크패턴에 따른 특징량화]
상기 피크패턴작성부(35)의 기능을 도 10 ~ 도 69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과 같이 귀속대상피크(73)를 기준FP(83)의 어느 하나의 피크에 귀속할 때, 어느 피크에 귀속시켜야 하는가라는 것이 된다. 가령, 이 피크귀속을 피크, 리텐션타임 또는 UV스펙트럼의 어느 하나의 정보만으로 행했다고 하면, 이들 3개의 정보의 어느 하나가 상기 약제간 오차와 분석 오차에 기인하는 오차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단독정보에 따른 피크귀속으로는 충분한 정도를 얻을 수 없다.
또한, 도 13, 도 14와 같이 귀속대상피크(73)와 기준FP(83)의 각 피크간에 리텐션타임의 어긋남의 허용폭을 설정하여, 그 허용폭 내에 존재하는 기준FP(83)의 피크(이하, 귀속후보피크)와 UV스펙트럼정보의 2개의 정보에 따른 피크귀속에서는 모든 정보를 총합(總合)하여 귀속처를 판정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단독정보에 따른 피크귀속에 비교하여 정도(精度)는 향상한다.
그러나, 3개의 정보를 사용한 피크귀속이었다고 해도, UV스펙트럼의 특성으로서, 유사성분의 UV스펙트럼은 거의 동일하게 되기 때문에, 귀속후보피크에 복수의 유사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는 결국 피크정보만으로의 귀속이 되어버려서, 충분한 정도는 얻어질 수 없다. 그 때문에, 보다 정도가 높은 피크귀속을 행하기 위해서는, 이들 3개의 정보에 플러스하는 정보가 필요하다.
그래서, 도 11, 도 12와 같은 주변 피크의 정보를 포함시킨 피크패턴을 작성하여, 이 피크패턴의 비교에 의해 피크를 귀속하는 것으로 했다.
주변의 피크를 포함시킨 피크패턴으로 하면, 지금까지의 3개의 정보에 주변정보가 플러스되어, 4개의 정보에 따른 피크귀속이 가능하게 되어, 보다 높은 귀속정도가 얻어질 수 있다.
그 결과로, 한 번의 귀속처리로 대량의 피크를 고정도로 또한 효율적으로 일제(一齊)귀속할 수 있다.
또한, 피크귀속에서 사용하는 데이타를 주변정보를 포함한 4개의 정보로 하는 것으로, 기존의 피크귀속의 때에 설정하는 제약조건(피크정의 등)도 필요 없게 되었다.
도 11에서는, 귀속대상피크(73)에 대하여, 시간축방향의 쌍방에 존재하는 피크(71, 75)를 포함한 피크패턴(115)을 작성했다.
도 12에서는 귀속대상피크(73)에 대하여, 시간축방향의 쌍방에 존재하는 피크(69, 71, 75, 77)를 포함한 피크패턴(125)을 작성했다.
도 13, 도 14에서는, 귀속대상피크(73)와 기준FP(83)의 각 피크간에 리텐션타임의 어긋남의 허용폭을 설정하여, 그 허용폭 내에 존재하는 기준FP(83)의 피크를 귀속대상피크(73)에 대응하는 후보피크(이하, 귀속후보피크)로 했다.
도 15에서는 귀속대상피크(73)의 피크패턴(115)과 비교하는 피크패턴으로서 귀속후보피크(93)에 대하여 시간축방향 전후의 쌍방에 존재하는 피크(91, 95)를 포함시킨 피크패턴(117)을 작성했다.
도 16 ~ 도 18에서는 귀속대상피크(73)의 피크패턴(115)과 비교하는 피크패턴으로서 별도의 귀속후보피크(95, 97, 99)에 대하여 각각 시간축방향 전후의 쌍방에 존재하는 피크를 포함시킨 피크패턴(119, 121, 123)을 작성했다.
이 피크패턴의 비교를 보다 높은 정도로 행하게 하기 위해서는, 도 19 ~ 도 22와 같이, 대상FP 및 기준FP의 양방에서 주변의 피크수를 증가시킨 피크패턴을 작성하는 것이 긴요(肝要)하다.
예를 들면, 주변의 피크 4개를 포함시킨 합계 5개의 피크에 따른 피크패턴을 비교하면, 보다 높은 귀속정도가 얻어질 수 있다.
도 19에서는, 귀속대상피크(73)의 피크패턴(125)과 비교하는 피크패턴으로서 귀속후보피크(93)에 대하여 시간축방향 전후의 쌍방에 존재하는 피크(89, 91, 95, 97)을 포함시킨 피크패턴(127)을 작성했다.
도 20 ~ 도 22에서는 귀속대상피크(73)의 피크패턴(125)과 비교하는 피크패턴으로서 별도의 귀속후보피크(95, 97, 99)에 대하여 각각 시간축방향 전후의 쌍방에 존재하는 피크를 포함시킨 피크패턴(129, 131, 133)을 작성했다.
또한, 이 피크패턴에 따른 귀속을 보다 높은 정도(精度)로 행하게 하기 위해서는, 대상FP와 기준FP의 피크수가 틀리는(즉, 어느 쪽이 일방에 존재하지 않는 피크가 있는) 경우의 대응이 필요하다. 그 때문에, 도 23 ~ 도 25와 같이 귀속대상피크 및 귀속후보피크의 양방에서 피크패턴구성피크를 망라적으로 변화시킨 피크패턴을 작성하는 것이 긴요하다.
구체적으로는 대상FP의 귀속대상피크의 주변피크 중으로부터 미리 피크패턴구성피크의 후보가 되는 피크(이하, 피크패턴구성후보피크)를 설정하고, 이 피크패턴구성후보피크를 순번으로 피크패턴구성피크로서 피크패턴을 작성한다. 기준FP의 귀속후보피크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피크패턴구성후보피크를 설정하고, 이 피크패턴구성후보피크를 순번으로 피크패턴구성피크로서 피크패턴을 작성한다.
예를 들면, 도 23과 같이 귀속대상피크(73)의 피크패턴구성후보피크로서 시간축방향 주변 4개(69, 71, 75, 77), 귀속후보피크(93)의 피크패턴구성후보피크로서 시간축방향 주변 4개(89, 91, 95, 97)로 하고, 피크패턴구성피크를 임의의 2개로 각각 설정한다. 이 경우, 도 24, 도 25와 같이 귀속대상피크(73) 및 귀속후보피크(93) 각각에서 피크패턴이 4C2 (=6) 패턴 작성된다.
더욱이, 피크패턴구성후보피크를 10개로 하고, 피크패턴구성피크를 임의의 2개로 설정하면, 귀속대상피크 및 귀속후보피크 각각에서 10C2 (=45) 패턴의 피크패턴이 작성된다. 피크패턴구성피크를 임의의 4개로 설정하면, 귀속대상피크 및 귀속후보피크 각각에서 10C4 (=210) 패턴의 피크패턴이 작성된다.
상기 피크귀속부(37)의 기능을, 도 26 ~ 69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피크귀속부(37)에서는 피크패턴작성부(35)에서 작성한 귀속대상피크와 귀속후보피크의 모든 피크패턴 사이에, 대응하는 피크 및 리텐션타임의 차를 기초로 피크패턴의 일치도(이하, P_Sim)을 산출한다. 피크귀속부(37)는 P_Sim의 최소치(이하, P_Sim_min)를 귀속대상피크와 귀속후보피크의 피크패턴의 일치도로 한다.
예를 들면, 도 26 ~ 도 61과 같이 귀속대상피크(73) 및 귀속후보피크(93)의 각각에서 피크패턴구성후보피크를 시간축방향 주변 4개로 하고, 피크패턴구성피크를 임의의 2개로 설정한다. 이 설정에서는, 귀속대상피크 및 귀속후보피크 각각에서 4C2 (=6) 패턴의 피크패턴이 작성된다. 따라서, 귀속대상피크(73) 및 귀속후보피크(93)의 P_Sim은 6 패턴 × 6 패턴 (= 36) 조로 계산되고, 이들 P_Sim의 최소치인 P_Sim_min을 귀속대상피크(73)와 귀속후보피크(93)의 일치도로 한다.
덧붙여, 귀속대상피크(73) 및 귀속후보피크(93)의 각각에서 피크패턴구성후보피크를 시간축방향 전후 주변 10개로 하고, 피크패턴구성피크를 임의의 2개로 설정하면, 귀속대상피크 및 귀속후보피크 각각에서 피크패턴이 4C2 (=45) 패턴의 피크패턴이 작성된다. 따라서, 귀속대상피크(73) 및 귀속후보피크(93)의 P_Sim은 45 패턴 × 45 패턴 (= 2025) 조로 계산되고, 이들 P_Sim의 최소치인 P_Sim_min을 귀속대상피크(73)와 귀속후보피크(93)의 일치도로 한다. 또한, 피크패턴구성피크를 임의의 4개로 설정하면, 귀속대상피크 및 귀속후보피크 각각에서 피크패턴이 10C4 (=210) 패턴의 피크패턴이 작성된다. 따라서, 귀속대상피크(73) 및 귀속후보피크(93)의 P_Sim은 210 패턴 × 210 패턴 (= 44100)으로 계산되고, 이들 P_Sim의 최소치인 P_Sim_min을 귀속대상피크(73)와 귀속후보피크(93)의 일치도로 한다.
이 P_Sim은 귀속대상피크(73)의 모든 귀속후보피크에 대하여 마찬가지로 산출한다.
도 62, 도 63에서, 3개의 피크로 구성된 피크패턴을 비교하기 위한 피크패턴의 일치도의 산출방법을 설명한다. 이 경우, 귀속대상피크(73)의 피크패턴(115)과 귀속후보피크(95)의 피크패턴(119)을 예로 한다.
귀속대상피크(73)의 피크패턴(115)에서, 귀속대상피크(73)의 피크데이타 및 리텐션타임을 p1 및 r1, 피크패턴구성피크(71)의 피크데이타 및 리텐션타임을 dn1 및 cn1, 피크패턴구성피크(75)의 피크데이타 및 리텐션타임을 dn2 및 cn2로 한다.
귀속후보피크(95)의 피크패턴(119)에서, 귀속후보피크(95)의 피크데이타 및 리텐션타임을 p2 및 r2, 피크패턴구성피크(93)의 피크데이타 및 리텐션타임을 fn1 및 en1, 피크패턴구성피크(97)의 피크데이타 및 리텐션타임을 fn2 및 en2로 한다.
피크패턴의 일치도를 P_Sim으로 하면, 귀속대상피크(73)와 귀속후보피크(95)의 3개의 피크로 구성하는 피크패턴의 일치도(P_Sim (73 - 95))는
P_Sim (73 - 95) = (│p1 - p2│+1)×(│r1 - (r2 + d)│+ 1)
+ (│dn1 - fn1│+ 1)×(│cn1 - r1) - (en1 - r2│ + 1)
+ (│dn2 - fn2│+ 1)×(│cn2 - r1) - ( en2 - r2│ + 1)로 산출한다.
또한, 식 중의 d는 리텐션타임의 어긋남을 보정하는 값이다.
도 64에서, 5개의 피크로 구성된 피크패턴을 비교하기 위한 피크패턴의 일치도의 계산방법을 설명한다. 이 경우, 귀속대상피크(73)의 피크패턴(125)과 귀속후보피크(95)의 피크패턴(129)을 예로 한다.
귀속대상피크(73)의 피크패턴(125)에서, 귀속대상피크(73)의 피크데이타 및 리텐션타임을 p1 및 r1, 피크패턴구성피크(69, 71, 75, 77)의 피크데이타 및 리텐션타임을 각각 dn1 및 cn1, dn2 및 dn2, dn3 및 cn3, dn4 및 cn4로 한다.
귀속후보피크(95)의 피크패턴(129)에서, 귀속후보피크(95)의 피크데이타 및 리텐션타임을 p2 및 r2, 피크패턴구성피크(91, 93, 97, 99)의 피크데이타 및 리텐션타임을 각각 fn1 및 en1, fn2 및 en2, fn2 및 en3, fn3 및 en3, fn4 및 en4로 한다.
피크대상피크(73)와 귀속후보피크(95)의 5개의 피크로 구성하는 피크패턴의 일치도(P_Sim (73 - 95))는
P_Sim (73 - 95) = (│p1 - p2│ + 1)×(│r1 - (r2 + d)│ + 1)
+ (│dn1 - fn1│+1)×(│cn1 - r1) - (en1 - r2│ + 1)
+ (│dn2 - fn2│+ 1)×(│cn2 - r1) - (en2 - r2│ + 1)
+ (│dn3 - fn3│+ 1)×(│cn3 - r1) - (en3 - r2│ + 1)
+ (│dn4 - fn4│+ 1)×(│cn4 - r1) - (en4 - r2│ + 1)
로 산출한다.
또한, 식 중의 d는 리텐션타임의 어긋남을 보정하는 값이다.
피크귀속부(37)에서는, 도 67, 도 68과 같이 귀속대상피크와 귀속후보피크에서 UV스펙트럼의 일치도를 산출한다.
도 65는 귀속대상피크(73) 및 귀속후보피크(95)의 UV스펙트럼(135과 139)도이고, 도 66과 같이 이들 2개의 UV스펙트럼의 일치도(UV_Sim (73 - 95))는
UV_Sim (73 - 95) = RMSD (135 vs 139)
로 산출한다.
RMSD는 평균이승(平均二乘)편차이며, 대응하는 2점의 거리(dis)를 각각 이승하고, 그 상가(相加)평균의 평균근으로서 정의된다. 즉,
RMSD = √ { dis2 / n }
으로 산출한다.
n은 dis의 수이다.
여기서, UV스펙트럼의 파형은 극대파장 및 극소파장을 포함하고 있고, 이 극대파장 및 극소파장 혹은 어느 하나를 비교하는 것으로 일치도를 산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흡수특성이 없는 화합물 혹은 흡수특성이 유사한 화합물 등에서는 극대파장, 극소파장은 동일하지만, 전체의 파장이 상당히 상이한 경우도 있어서, 극대파장과 극소파장의 비교에서는 파형의 일치도를 산출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이것에 대하여, UV스펙트럼의 파형에 의해 RMSD룰 이용한 경우에는, 파형전체의 비교가 되기 때문에, UV스펙트럼의 파형의 일치도의 산출을 보다 정확하게 행하여, 흡수특성이 없는 화합물 혹은 흡수특성이 유사한 화합물에서도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
이 UV스펙트럼의 일치도는 귀속대상피크(73)의 전체의 귀속후보피크에 대하여 마찬가지로 산출한다.
더욱이, 피크귀속부(37)에서는, 도 67과 같이 상기 2개의 일치도를 통합한 귀속후보피크의 일치도를 산출한다.
도 67과 같이 귀속후보피크의 일치도(SCORE (73 - 95))는 피크패턴과 UV스펙트럼의 각각의 일치도를 곱하여 산출한다. 피크패턴(73, 95)의 일치도를 표시하는 스코어는 P_Sim_min(73-95)이고, 대응하는 UV스펙트럼(135, 139)의 일치도를 표시하는 스코어가 UV_Sim(73-95)인 것으로 한다. 이 때, 귀속후보피크의 일치도 SOCORE(73-95)은
SCORE(73-95)
= P_Sim_min(73-95)×UV_Sim(73-95)
로 산출한다.
이 귀속후보피크의 일치도를 귀속대상피크(73)의 모든 귀속후보피크에 대하여 마찬가지로 계산한다.
그리고, 전(全)귀속후보피크 사이에서 이 SCORE를 비교하여, SCORE가 최소가 되는 귀속후보피크를 귀속대상피크(73)의 귀속피크로서 판정한다.
피크귀속부(37)에서는, 귀속대상피크가 귀속해야할 피크를 2개의 관점을 총합(總合)하여 판정하기 때문에, 정확한 피크귀속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대상FP피크특징량작성부(7)에서는 대상FP의 기준FP로의 귀속결과를 기초로, 도 68과 같이, 대상FP(43)의 각 피크를 기준군FP(45)에 귀속한다.
대상FP(43)의 각 피크는 상기 귀속처리에 의해 기준군FP(45)를 구성하는 기준FP에 귀속된다. 이 귀속결과를 기초로 최종적으로 기준군FP(45)의 피크에 귀속한다.
또한, 기준군FP(45)는 정상품(正常品)으로 정해진 복수의 기준FP 전체를 상기와 같이 귀속처리하여 작성한 것이고, 그 각 피크는 귀속된 피크의 평균치(흑점) ± 표준편차(종분할선)으로 표시하고 있다.
도 69는 대상FP(43)를 기준군FP(45)로 귀속한 결과이고, 이 결과가 대상FP(43)의 대상FP피크특징량(47)이다.
[FP영역분할특징량작성의 동작원리]
도 70 ~ 도 86은 FP영역분할특징량작성의 동작원리를 도시하며, 도 70은 영역분할에 따른 수량화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71은 리텐션타임 등의 변동과의 관계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72는 영역의 위치를 변경하여 수량화하는 설명도, 도 73은 FP타입2의 데이타를 도시하는 도표, 도 74는 FP타입2의 패턴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75는 종·횡분할선에서의 영역분할에 따른 영역마다의 특징량화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76은 종분할선(1개째)의 설정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77은 횡분할선(1개째)의 설정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78은 종·횡분할선에 따른 영역분할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79는 특징량화하는 영역의 수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80은 영역1의 특정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81은 전 피크의 높이 및 합계를 도시하는 도표, 도 82는 영역1의 피크높이의 합계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83은 전 영역의 특징량을 도시하는 도표, 도 84는 종 1번째의 위치를 순차변경하여 생긴 각 영역에서의 특징량을 도시하는 도표, 도 85는 횡 1번째의 위치를 순차변경하여 생긴 각 영역에서의 특징량을 도시하는 도표, 도 86은 각 종·횡분할선의 위치를 변경하지 않는 1 조에서의 특징량을 도시하는 도표이다.
상기 대상FP영역분할특징량작성부(11) 또는 기준FP영역분할특징량작성부(23)는 상기와 같이 대상FP타입2 또는 기준FP타입2를 분할한 각 영역에 존재하는 피크의 존재율로부터 대상FP영역분할특징량 또는 기준FP영역분할특징량을 작성한다.
영역의 분할은, 예를 들면 도 70과 같이 행한다. 도 70에서는 예를 들면 약제A의 FP(55)에 대하여 분할하고 있다. 시그널강도축에 평행한 복수의 종분할선(141)과 시간축에 평행한 복수의 횡분할선(143)에 의해 분할하고, 복수의 영역인 복수의 격자(145)를 작성한다.
복수의 횡분할선(143)은 본 실시예에서는 시그널강도가 증대하는 방향으로 등비간격으로 설정된다. 이 설정에 의해, 피크가 밀집하는 부분에서의 영역분할을 세분화하고, 피크의 존재율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단, 복수의 횡분할선(143)의 개수를 증가시키는 등으로 하여 등차간격으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각 격자(145) 내에 존재하는 피크높이의 비율을 수량화하여, 특징량으로 한다.
한편, 도 71과 같이, 분석조건의 미세한 편차 등에 의해 리텐션타임이나 피크높이가 FP(55A, 55B)와 같이 변동한다. 이 변동에 의해 각 격자(145) 내의 값이 크게 변동할 우려가 있다.
(기준FP타입2의 경우)
그래서, 기준FP타입2의 경우에는, 도 72와 같이, 각 격자(145)의 위치를 변경(시프트)하여 변경 전후에서 수량화한다. 이 조작에 의해 기준FP영역분할특징량을 정확히 작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각 종·횡분할선(141, 143)을 설정범위 내에서 평행이동시키도록 위치를 변경설정하는 것으로 상기 각 격자(145)의 위치를 변경한다.
여기서, 각 격자(145)의 위치를 변경한 수량화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3은 기준FP타입2의 데이타(d202, d207, d208)를 예로 하여 도시한다. 이 데이타는 리텐션타임(RT) 및 피크높이(Height)의 정보만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데이타는 상기 기준FP타입2작성부(21)에서, 복수의 각 기준FP로부터 특징량화된 피크를 제외하고 남은 피크와 그 리텐션타임으로 구성되는 기준FP타입2에 대응하며, 전 피크의 각 UV스펙트럼은 제외되어 있다.
기준FP타입2의 데이타(d202, d207, d208)는 도 74와 같이 되어 있다.
이들 FP패턴을 종·횡분할선(141, 143)에 의해 영역분할하여, 그 영역마다 특징량화한다.
(종분할선(1개째)의 설정)
종분할선(1개째)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해, 도 76과 같이, 1개째의 리텐션타임(RT), 진폭, 피치를 설정한다.
이 3개의 파라미터를 기초로, 다음의 조건으로 종 1개째의 위치가 복수개소 설정된다.
종분할선(1개째) = RT - 진폭 + (진폭×2/피치) × i
(i = 0, 1, 2, …, 피치-1)
예를 들면, RT = 1, 피치 회수 = 10으로 지정하면,
종분할선(1개째) = 0.0, 0.2, 0.4, 0.6, 0.8, 1.0, 1.2, 1.4, 1.6, 1.8
이 설정된다.
(횡분할선(1개째)의 설정)
횡(1개째)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해, 도 77과 같이, 1개째의 높이, 진폭, 피치를 설정한다.
이 3개의 파라미터를 기초로, 다음의 조건으로 횡 1개째의 위치가 복수개소 설정된다.
예를 들면, 높이 = 1, 진폭 = 0.5, 피치 회수 = 10으로 지정하면
횡분할선(1개째) = 높이 - 진폭 + (진폭×2/피치) × i
(i = 0, 1, 2, …, 피치-1)
예를 들면, 높이 = 1, 진폭 = 0.5, 피치 회수 = 10으로 지정하면,
횡분할선(1개째) =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가 설정된다.
(종·횡분할선(1개째)의 조합)
설정된 종·횡분할선(1개째)의 모든 조합으로, 순차 2개째 이후의 표본선을 설정하여, 영역분할한다.
상기의 예에서는 다음과 같이 된다.
종분할선(1개째) × 횡분할선(1개째) =
(0.0, 0.2, 0.4, 0.6, 0.8, 1.0, 1.2, 1.4, 1.6, 1.8)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 100 조
이 100 조를 전체 조합하여 순차 2개째 이후의 분할선을 설정하여, 영역을 분할한다.
(종·횡분할선(2개째 이후)의 설정)
종분할선 2개째 이후는 지정한 간격(등차)으로 지정한 개수가 되기까지 설정한다.
종분할선i개째 = 횡분할선 (i-1)개째 + 간격×2 ÷ (i-2)
(i = 2, …, 지정한 개수)
예를 들면, 종 1번째 = 0.0, 종간격 = 10, 횡분할선 1개째 = 0.5, 횡간격 = 1, 횡개수 = 6의 경우
종분할선 = 0, 10, 20, 30, 40, 50, 60
횡분할선 = 0.5, 1.5, 3.5, 7.5, 15.5, 31.5
로 설정된다.
(분할선에 따른 영역분할)
설정된 종과 횡의 분할선을 상기 예를 기초로 FP 상에 표기하면, 도 78과 같이 된다.
이 종과 횡의 선으로 둘러싸인 영역마다에 FP를 특징량화한다.
영역은 전부 30개 있으므로, 도 79와 같이 30 특징량이 얻어진다.
(영역마다의 특징량화)
각 영역은 다음의 식에 의해 특징량화한다.
특징량 = 영역 내 피크높이 합계 / 전 피크높이 합계
(특징량화의 방법)
이하에 위의 식에 의해 도 80에 도시하는 d202의 영역1의 특징량을 구한다.
먼저, 전 피크의 높이 합계를 산출하면, 도 81과 같이, 15.545472로 된다.
이어서, 영역1의 피크높이 합계를 도 82와 같이 산출한다.
따라서, 영역1의 특징량은
특징량 = 2 / 15.545472 = 0.128655
로 된다.
(전 영역의 특징량화)
상기 특징량화방법에 의해 최초의 1 패턴에 따른 전 영역의 특징량을 산출한다. 도 83에 산출결과를 도시한다.
(종분할선 1개째를 순차 변경하여 특징량화)
종분할선 1개째의 위치를 순차변경하여 생긴 각 영역을 상기 방법으로 특징량화한다. 도 84에 결과를 도시한다.
(횡 1개째를 순차 변경하여 특징량화)
횡분할선 1개째의 위치를 변경할 때마다 종 1개째를 1 조 변경. 생겨난 각 영역을 상기 방법으로 특징량화한다. 도 85에 결과를 도시한다.
이 처리에 의해, 종·횡분할선 1개째가 10개소씩 있었던 경우에는,
100 행(100 조) × 31열 (파일명 + 30 특징량)
의 데이타가 된다.
(전 기준 데이타의 특징량화 (기준type2군FP)
여기까지의 처리를 전 기준 데이타에서 실시한다. 예를 들면, 기준 데이타가 d202, d207, d208의 3 데이타였던 경우는,
300 행(100 조 × 3 데이타) × 31열 (파일명 + 30 특징량)
가 된다.
(대상FP타입2의 경우)
대상FP타입2에서는 종·횡분할선(1개째)의 조합은 1 조(종(RT) = 1, 횡(높이) - 1)로 되므로, 이 1 조에서의 특징량을 산출한다.
[MD값]
도 87 ~ 도 91은 상기와 같이, 평가부(27)에 관한 각종 대상FP와 그 평가치(MD값)을 표시한 도면이고, 상기와 같이 각 대상FP를 상기와 같이 귀속처리하는 것으로, 평가부(27)에서 상기 MT법에 의해 MD값(MD값 : 0.26, 2.20 등)을 구할 수가 있다.
[다성분 약제의 평가방법]
도 92는 패턴평가방법으로서 본발명 실시예 1의 다성분 약제의 평가방법을 도시하는 공정도이다.
도 92와 같이, 패턴의 평가방법으로서의 다성분 약제의 평가방법은 패턴취득공정으로서의 FP작성공정(148)과, 대상FP피크귀속공정(149)와, 대상FP피크특징량작성공정(151)과, 대상FP타입2작성공정(153)과, 대상FP영역분할특징량작성공정(155)과, 대상FP귀속결과통합공정(161)과, 기준FP피크특징량작성공정(163)과, 기준FP타입2작성공정(165)과, 기준FP영역분할특징량작성공정(167)과, 기준FP특징량통합공정(169)과, 평가공정(171)을 구비하고 있다.
FP작성공정(148)은 대상FP작성공정(173)과 기준FP작성공정(175)을 구비하고 있다.
대상FP피크귀속공정(149)은 기준FP선정공정(177)과, 피크패턴작성공정(179)과, 피크귀속공정(181)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FP작성공정(148), 대상FP피크귀속공정(149), 대상FP피크특징량작성공정(151), 대상FP타입2작성공정(153), 대상FP영역분할특징량작성공정(155), 대상FP귀속결과통합공정(161), 기준FP피크특징량작성공정(163), 기준FP타입2작성공정(165), 기준FP영역분할특징량작성공정(167), 기준FP특징량통합공정(169), 평가공정(171)은 본 실시예에서 상기 다성분 약제의 평가장치(1)를 이용하여 행하여 진다.
FP작성공정(148)은 도 1의 FP작성부(3)의 기능에 의해 행해지고, 마찬가지로 대상FP피크귀속공정(149), 대상FP피크특징량작성공정(151), 대상FP타입2작성공정(153), 대상FP영역분할특징량작성공정(155), 대상FP귀속결과통합공정(161), 기준FP피크특징량작성공정(163), 기준FP타입2작성공정(165), 기준FP영역분할특징량작성공정(167), 기준FP특징량통합공정(169), 평가공정(171)을 대상FP피크귀속부(5)와, 대상FP피크특징량작성부(7)와, 대상FP타입2작성부(9)와, 대상FP영역분할특징량작성부(11)와, 대상FP특징량통합부(13)와, 기준FP피크귀속부(15)와, 기준FP귀속결과통합부(17)와, 기준FP피크특징량작성부(19)와, 기준FP타입2작성부(21)와, 기준FP영역분할특징량작성부(23)와, 기준FP특징량통합부(25)와, 평가부(27)의 각 기능에 의해 행하게 할 수 있다.
단, 각 공정을 별도의 컴퓨터로 행하게 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대상FP작성공정(173)과 대상FP피크귀속공정(149), 대상FP피크특징량작성공정(151), 대상FP타입2작성공정(153), 대상FP영역분할특징량작성공정(155), 대상FP특징량통합공정(157)과 평가공정(171)을 하나의 컴퓨터로 기능하게 하고, 기준FP작성공정(175)과, 기준FP피크귀속공정(159)와, 대상FP귀속결과통합공정(161)과, 기준FP피크특징량작성공정(163)과, 기준FP타입2작성공정(165)과, 기준FP영역분할특징량작성공정(167)과, 기준FP특징량통합공정(169)을 다른 컴퓨터로 기능하게 하는 것 등도 가능하다
이 경우, 기준FP통합특징량은 다른 컴퓨터에서 작성하고, 평가공정(171)에 공급되게 된다.
이렇게 하여, 대상FP타입2작성공정(153)은 시계열에서 피크가 변화하는 패턴으로서 대상FP타입2를 작성한다.
대상FP영역분할특징량작성공정(155)은 상기 대상패턴타입2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각 영역에 존재하는 피크의 존재율로부터 대상패턴영역분할특징량을 작성하는 패턴영역분할특징량작성공정인 FP영역분할특징량작성공정을 구성한다.
[다성분 약제의 평가프로그램]
도 93 ~ 도 108은 다성분 약제의 평가프로그램에 관한 플로우차트, 도 109 ~ 도 116은 기준데이타의 작성에 관한 플로우차트, 도 117은 3D크로마토의 데이타 예를 도시하는 도표, 도 118은 피크정보 데이타 예를 도시하는 도표, 도 119는 FP 데이타 예를 도시하는 도표, 도 120은 대상FP의 기준FP로의 귀속스코어계산결과(판정결과) 파일 예를 도시하는 도표, 도 121은 대상FP와 기준FP에서 대응하는 피크의 조합과정을 도시하는 도표, 도 122는 대상FP와 기준FP에서 대응하는 피크를 특정한 결과(조합결과파일) 예를 도시하는 도표, 도 123은 기준군FP의 데이타 예를 도시하는 도표, 도 124는 대상FP피크특징량파일 예를 도시하는 도표, 도 125는 대상 및 기준FP타입2의 데이타 예를 도시하는 도표, 도 126은 대상FP영역분할특징량파일 예를 도시하는 도표, 도 127은 대상FP통합특징량파일 예를 도시하는 도표, 도 128은 기준type2군FP 예를 도시하는 도표, 도 129는 기준군통합데이타 예를 도시하는 도표이다.
도 93, 도 94는 평가대상약제를 평가하기 위한 처리 전체의 스탭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고, 시스템 기동에 의해 스타트하고, FP작성부(3)의 FP작성기능과, 대상FP피크귀속부(5)의 대상FP피크귀속기능과, 대상FP피크특징량작성부(7)의 대상FP피크특징량작성기능과와, 대상FP타입2작성부(9)의 대상FP타입2작성기능과, 대상FP영역분할특징량작성부(11)의 대상FP영역분할특징량작성기능과, 대상FP특징량통합부(13)의 대상FP특징량통합기능과, 기준FP피크귀속부(15)의 기준FP피크귀속기능과, 기준FP귀속결과통합부(17)의 기준FP귀속결과통합기능과, 기준FP피크특징량작성부(19)의 기준FP피크특징량작성기능과, 기준FP타입2작성부(21)의 기준FP타입2작성기능과, 기준FP영역분할특징량작성부(23)의 기준FP영역분할특징량작성기능과, 기준FP특징량통합부(25)의 기준FP특징량통합기능과, 평가부(27)의 평가기능을 컴퓨터에 실현한다.
FP작성기능은 스탭 S1에서 실현되고, 대상FP귀속기능은 스탭 S2, S3, S4에서 실현된다. 대상FP피크특징량작성기능은 스탭 S5에서 실현된다. 대상FP타입2작성기능은 스탭 S6에서 실현된다. 대상FP영역분할특징량작성기능은 스탭 S7에서 실현된다. 대상FP특징량통합기능은 스탭 S8에서 실현된다. 평가기능은 스탭 S9, S10에서 실현된다.
스탭 S1은 3D크로마토 및 특정의 검출파장에 있어서의 피크정보를 입력데이타로서 'FP작성처리'가 실행된다.
3D크로마토는 평가대상약제를 HPLC로 분석하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데이타이고, 도 117의 3D크로마토의 데이타 예(183)에서 도시하듯이, 리텐션타임, 검출파장, 피크(시그널강도)의 삼차원정보로 구성된 데이타이다. 피크정보는 동HPLC분석에 의해 얻어지는 특정파장에 있어서의 크로마토 데이타를 HPLC데이타분석루트(예를 들면, ChemStation 등)로 처리하는 것으로 얻어지는 데이타이고, 도 118의 피크정보데이타 예(185)와 같이, 피크로서 검출된 전(全) 피크의 극대치 및 면적치와 그 시점의 리텐션타임 등으로 구성된 데이타이다.
스탭 S1에서는 컴퓨터의 FP작성부(3)의 대상FP작성부(29)(도 1)가 기능하여, 3D크로마토 및 피크정보로부터 상기 대상FP(43)(도 2)를 작성하여, 그 데이타를 파일로서 출력한다. 이 대상FP(43)는, 도 119의 FP데이타 예(187)와 같이, 리텐션타임과 피크높이와 피크높이 마다의 UV스펙트럼으로 구성된 데이타이다.
스탭 S2는 스탭 S1에서 출력된 대상FP 및 전 기준FP를 입력으로 하여, '대상FP귀속처리1'이 실행된다.
스탭 S2에서는 컴퓨터의 기준FP선정부(33)가 기능하여, 전 기준FP에 대하여 대상FP(43)와의 리텐션타임출현패턴의 일치도를 산출하고, 대상FP(43)의 귀속에 적용한 기준FP를 선정한다.
기준FP는 정상품으로 정해진 약제의 3D크로마토와 피크정보로부터 상기 스탭 S1과 마찬가지의 처리에 의해 작성된 FP이다. 또한, 정상품은 안전성, 유효성이 확인된 약제(기준한방약)로 정의되고, 제품 로트가 상이한 복수의 약제가 해당한다. 기준FP도, 도 119의 FP데이타 예(187)와 마찬가지로 구성된 데이타이다.
스탭 S3는 대상FP(117)와 스탭 S2에서 선정한 기준FP를 입력으로 하여, '대상FP귀속처리2'가 실행된다.
스탭 S3에서는, 컴퓨터의 피크패턴작성부(35)(도 1) 및 피크귀속부(37)(도 1)가 기능한다. 이 기능에 의해 대상FP(43)와 스탭 S2에서 선정한 기준FP의 전 피크에서, 도 23 ~ 도 61과 같이 망라적으로 피크패턴을 작성하고, 이어서 그들 피크패턴의 일치도(도 63 또는 도 64의 P_Sim)를 산출한다. 또한, 대상FP와 기준FP의 피크 사이에서 UV스펙트럼의 일치도(도 66의 UV-Sim)를 산출한다. 더욱이, 이들 2개의 일치도로부터 귀속후보피크의 일치도(도 67의 SCORE)를 산출한다. 그 산출결과는 도 120의 판정결과파일 예(189)와 같은 파일로 출력한다.
스탭 S4는 스탭 S3에서 출력한 판정결과파일(189)을 입력으로 하여, '대상FP귀속처리3'가 실행된다.
스탭 S4에서는 컴퓨터의 피크귀속부(37)가 기능하여, 대상FP(43)과 기준FP 사이에서, 귀속후보피크의 일치도(SCORE)를 기초로 대상FP의 각 피크에 대응하는 기준FP의 피크를 특정한다. 그 결과는 도 122의 조합결과파일 예(195)와 같은 조합결과파일로 출력한다.
스탭 S5는 스탭 S4에서 출력한 조합결과파일과 기준군FP(197)를 입력으로 하여, '대상FP귀속처리4'가 실행된다.
기준군PF(197)는 전 기준FP로부터 상기 스탭 S2로부터 스탭 S4와 마찬가지의 처리에 의해 작성된 전 기준FP 사이의 피크대응데이타이다.
스탭 S5에서는 컴퓨터의 대상FP피크특징량작성부(7)가 기능하여, 대상FP(43)의 조합결과파일을 기초로, 도 68, 도 69와 같이, 대상FP(43)의 각 피크를 기준군FP(197)의 피크에 귀속한다. 그 결과는 도 124의 피크데이타특징량파일 예(199)와 같은 파일로 출력한다.
스탭 S6는 스탭 S5에서 출력한 피크데이타특정량파일과 대상FP를 입력으로 하여, 'FP_type2의 작성'의 처리가 실행된다.
스탭 S6에서는 컴퓨터의 대상FP타입2작성부(9)가 기능하여, 대상FP피크특징량작성부(7)에서 특정된 피크(47)를 원래의 대상FP(43)로부터 제외하고 남은 피크와 그 리텐션타임으로 구성되는 FP를 대상FP타입2(49)로서 작성한다. 그 결과는 FP타입2파일(도 125의 FP타입2파일 예(201) 참조)로 출력된다.
스탭 S7에서는 '영역분할에 따른 대상FP_type2의 특징량화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컴퓨터의 대상FP영역분할특징량작성부(11)가 기능하여, 도 70의 영역분할에 의해 대상FP영역분할특징량이 작성된다. 그 결과는 대상FP영역분할특징량파일(도 126의 대상FP영역분할특징량파일 예(203) 참조)로 출력된다.
스탭 S8에서는 '피크데이타특징량과 영역분할특징량의 통합'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컴퓨터의 대상FP특징량통합부(13)가 기능하여, 대상FP피크특징량작성부(7)에서 작성된 대상FP피크특징량(47)과 대상FP영역분할특징량작성부(11)에서 작성된 대상FP영역분할특징량(51)을 통합하여 대상FP통합특징량을 작성한다. 그 결과는 대상FP특징량통합파일(도 127의 대상FP특징량통합파일 예(205) 참조)로 출력된다.
스탭 S9에서는 컴퓨터의 평가부(27)가 기능하여, 스탭 S8에서 출력한 대상FP통합특징량과 기준FP통합특징량의 동등성을 MT법에 의해 평가하고, 그 평가결과를 도 87 ~ 도 91과 같은 MD값으로서 출력한다(도 87 ~ 도 91).
스탭 S10은 스탭 S9에서 출력한 MD값을 입력으로 하여, '합부(合否)판정'이 실행된다.
스탭 S10에서는 컴퓨터의 평가부(27)가 기능하여, 스탭 S9에서 출력한 MD값과 미리 설정한 역치(MD값의 상한치)를 비교하여, 합부를 판정한다. (도 2의 평가결과 53).
[S1 : FP작성처리 (단일 파장만 이용)]
도 95는 도 93 스탭 S1 'FP 작성처리'의 단일파장의 피크정보를 이용한 경우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95는 단일파장, 예를 들면 203nm로서 평가대상의 FP를 작성하는 스탭의 상세이다. 이 처리에서는 3D크로마토와 검출파장이 203nm에 있어서의 피크정보로부터 203nm으로 검출된 피크에 있어서의 리텐션타임과 피크 및 그들 피크의 UV스펙트럼으로 구성하는 FP를 작성한다.
스탭 S101에서는, '피크정보를 판독'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FP의 작성에 필요한 2개의 데이타 중의 첫번째로 피크정보가 판독되고, 스탭 S102로 이행한다.
스탭 S102에서는 '피크의 리텐션타임(R1)'과 대응하는 피크데이타(P1)를 순번으로 취득'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피크정보로부터, 피크의 리텐션타임(R1) 및 피크데이타(P1)를 1 피크씩 순번으로 취득하고, 스탭 S103으로 이행한다.
스탭 S103에서는 '3D크로마토를 판독'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FP의 작성에 필요한 2개의 데이타 중의 2번째로 3D크로마토가 판독되고, 스탭 S104로 이행한다.
스탭 S104에서는 '피크의 리텐션타임(R2)과 대응하는 UV스펙트럼(U1)을 순번으로 취득'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3D크로마토로부터 리텐션타임(R2) 및 UV스펙트럼(U1)을 HPLC분석시의 샘플링레이트마다 취득하고, 스탭 S105로 이행한다.
스탭 S105에서는 '│R1 - R2│ < = 역치 ?'의 판단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스탭 S102 및 S104에서 판독된 R1과 R2가 역치의 범위에서 대응한 것인가의 여부가 판단된다. 대응하고 있는(YES) 경우는 2개의 리텐션타임은 같고, 리텐션타임이 R1의 피크의 UV스펙트럼은 U1이라고 판단하고, 스탭 S106으로 이행한다. 대응하지 않는(NO) 경우는 2개의 리텐션타임은 동일하지 않고, 리텐션타임이 R1의 피크의 UV스펙트럼은 U1은 아니라고 판단하고, 3D크로마토의 다음의 데이타와의 비교를 위해, 스탭 S104로 이행한다. 또한, 이 판단처리에서의 역치는 3D크로마토에 있어서의 '샘플링레이트/2'로 한다.
스탭 S106에서는 'U1을 최대치 1로 규격화'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S105에서 R1의 UV스펙트럼으로 판단한 U1을 최대치 1로 규격화하고, 스탭 S107로 이행한다.
스탭 S107에서는 'R1과 P1 및 규격화한 U1을 출력(대상FP)'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피크정보로부터 취득한 R1과 P1 및 S106에서 규격화한 U1을 대상FP로 출력하고, 스탭 S108로 이행한다.
스탭 S108에서는 '전 피크의 처리종료 ?'의 판단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피크정보 중의 모든 피크에 대하여 처리가 행해졌는지 여부가 판단되고, 전 피크에 대하여 처리가 종료하지 않았다면(NO), 미처리의 피크를 처리하기 위해, 스탭 S102로 이행한다. S102로부터 S108까지의 처리는 전 피크의 처리가 종료하기 까지 반복되며, 전 피크의 처리가 종료하면(YES), FP작성처리를 종료한다.
[S1 : FP작성처리(복수파장이용)]
도 96, 도 97은 도 93의 스탭 S1 'FP작성처리'에서, 상기 단일파장의 피크정보 대신에, 복수파장의 피크정보를 이용한 경우의 플로우차트이다. 예를 들면, 203nm를 포함시켜서, 검출파장축방향에 복수(n 개)의 파장을 선택하여, FP를 작성하는 경우이다.
이 FP작성처리는 도 95와 같은 단일파장에서는 3D크로마토에서 검출되어 있는 전 피크를 망라할 수 없는 경우에 복수파장의 피크정보를 이용하여, 3D크로마토의 전 피크를 망라한 FP를 작성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 96, 도 97은 상기 단일파장만을 이용한 FP작성처리에서 파장마다의 FP를 n개 작성 후, 그들 FP로부터 복수파장에 따른 FP를 작성하는 스탭의 상세이다.
스탭 S110에서는 '파장마다 FP작성'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파장마다 상기 단일 파장만을 이용한 FP작성처리가 행해져서, n 개의 FP를 작성하고, 스탭 S111로 이행한다.
스탭 S111에서는 'FP를 피크수(내림차순)으로 리스트화'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n 개의 FP를 피크수가 많은 순으로 리스트화하고, 스탭 S112로 이행한다.
스탭 S112에서는 n 개의 FP를 순번으로 처리하기 위한 카운터의 초기화로서 n에 1이 대입되고(n ← 1), 스탭 S113으로 이행한다.
스탭 S113에서는 '리스트 n 번째의 FP를 판독'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리스트 n 번째의 FP를 판독하고, 스탭 S114로 이행한다.
스탭 S114에서는 '전 리텐션타임(X)을 취득'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S113에서 판독한 FP의 리텐션타임정보를 모두 취득하고, 스탭 S115로 이행한다.
스탭 S115에서는 'n의 경신(n ← n+1)'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처리를 다음의 FP로의 이행하기 위해, n의 경신으로서 n에 n+1을 대입하고, 스탭 S116으로 이행한다.
스탭 S116에서는, '리스트 n 번째의 FP의 판독'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리스트 n 번째의 FP를 판독하고, 스탭 S117로 이행한다.
스탭 S117에서는 '전 리텐션타임(Y)을 취득'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S116에서 판독한 FP의 리텐션타임정보를 모두 취득하고, 스탭 S118로 이행한다.
스탭 S118에서는 'X와 Y를 중복 없이 통합(Z)'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S114에서 취득한 리텐션타임정보(X)와 S117에서 취득한 리텐션타임정보(Y)를 중복 없이 통합한 후, Z에 보존하고, 스탭 S119로 이행한다.
스탭 S119에서는 'X의 경신(X ← Z)'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X의 경신으로서 X에 S118에서 보존한 Z를 대입하고, 스탭 S120으로 이행한다.
스탭 S120에서는 '전 FP처리종료 ?'의 판단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S110에서 작성한 n 개의 FP 전체가 처리되었는지의 여부가 판단되고, 처리완료(YES)의 경우는 스탭 S121로 이행한다. 미처리의 FP가 있는(NO)의 경우는 미처리의 FP에 대하여 S115 ~ S120의 처리를 실행하기 위해, S115로 이행한다. 전 FP의 처리가 종료하기까지 S115 ~ S120의 처리를 반복한다.
스탭 S121에서는 n 개의 FP를 재차 순번으로 처리하기 위한 카운터의 초기화로서 n에 1이 대입(n ← 1)되고, 스탭 S122로 이행한다.
스탭 S122에서는 '리스트 n 번째의 FP를 판독'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리스트 n 번째의 FP를 판독하고, 스탭 S123으로 이행한다.
스탭 S123에서는 '각 피크의 리텐션타임(R1), 피크데이타(P1) 및 UV스펙트럼(U1)을 순번으로 취득'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S122에서 판독한 FP로부터 리텐션타임(R1), 피크데이타(P1) 및 UV스펙트럼(U1)을 1 피크씩 순번으로 취득하고, 스탭 S124로 이행한다.
스탭 S124에서는, 'X로부터 리텐션타임(R2)를 순번으로 취득'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전 FP의 리텐션타임이 중복 없이 보존되어 있는 X로부터 1 리텐션타임(R2)씩 순번으로 취득하고, 스탭 S125로 이행한다.
스탭 S125에서는, 'R1 = R2 ?'의 판단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S123에서 취득한 R1과 S124에서 취득한 R2가 같은가의 여부가 판단되고, 같은(YES) 경우는 스탭 S127로 이행한다. 같지 않은(NO) 경우는 스탭 S126으로 이행한다.
스탭 S126에서는 'X의 전 리텐션타임 비교종료 ?'의 판단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S123에서 취득한 R1에 대하여, X의 전 리텐션타임과의 비교가 종료하고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종료하고 있는(YES) 경우는, 리텐션타임이 R1의 피크는 처리완료라고 판단하고, 다음의 피크로 이행하기 위해, 스탭 S123으로 이행한다. 종료하지 않은(NO)의 경우는 X의 다음의 리텐션타임으로 이행하기 위해, 스탭 S124로 이행한다.
스탭 S127에서는 'R1에 (n - 1) × 분석시간(T)을 가산 (R1 ← R1 + (n - 1)×T )'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가장 피크수가 많은 리스트 1번째의 FP에 존재하는 피크의 리텐션타임은 그대로이고, 리스트 1번째의 FP에는 존재하지 않고, 리스트 2번째의 FP에 존재하는 피크의 리텐션타임은 R1에 분석시간(T)이 가산되며, 더욱이, 리스트 1 ~ n-1 번째의 FP에는 존재하지 않고, 리스트 n 번째의 FP에 존재하는 피크의 리텐션타임은 R1에 (n - 1)×T 가 가산되고, 스탭 S128로 이행한다.
스탭 S128에서는 'R1, P1 및 U1을 출력 (대상FP)'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S127에서 처리한 R1과 S123에서 취득한 P1 및 U1을 대상FP로 출력하고, 스탭 S129로 이행한다.
스탭 S129에서는 'X로부터 R2를 삭제'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리텐션타임이 R1 (= R2)에 있어서의 처리가 S127, S128로 종료했기 때문에, X로부터 처리종료 리텐션타임(R2)을 삭제하고, S130으로 이행한다.
스탭 S130에서는 '전 피크 처리종료?'의 판단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리스트 n 번째의 FP의 전 피크에 대하여 처리가 종료하였는지의 여부가 판단되고, 처리종료(YES)의 경우는 리스트 n 번째의 FP에서의 FP작성처리를 종료하고, 스탭 S131로 이행한다. 미처리의 피크가 있는(NO) 경우는 미처리의 피크를 처리하기 위해, 스탭 S123으로 이행한다. 전 피크의 처리가 종료하기까지 S123 ~ S130의 처리를 반복한다.
스탭 S131에서는 'n의 경신 (n ← n + 1)'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처리를 다음의 FP로 이행하기 위해, n의 경신으로서 n에 n+1을 대입하고, 스탭 S132로 이행한다.
스탭 S132에서는 '전 FP처리종료?'의 판단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S110에서 작성한 n개의 FP 모두가 처리되었는지의 여부가 판단되고, 처리완료(YES)의 경우는 FP작성처리를 종료한다. 미처리의 FP가 있는(NO) 경우는 미처리의 FP에 대하여 S122 ~ S132의 처리를 실행하기 위해, S122로 이행한다. 전 FP의 처리가 종료하기까지 S122 ~ S132의 처리를 반복한다.
[S2 : 대상FP귀속처리1]
도 98은 도 93 스탭 S2의 '대상FP귀속처리1'의 상세를 도시하는 폴로우차트이다. 이 처리는 귀속의 전(前)처리이고, 정상품으로 된 복수의 기준FP로부터 대상FP(43)의 귀속에 적합한 기준FP를 선정한다.
스탭 S201에서는 '대상FP를 판독'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귀속대상의 FP를 판독하고, 스탭 S202로 이행한다.
스탭 S202에서는 '전 리텐션타임(R1)을 취득'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S201에서 판독한 대상FP의 리텐션타임정보를 모두 취득하고, 스탭 S203으로 이행한다.
스탭 S203에서는 '전 기준FP의 파일명을 리스트화'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후에 전 기준FP를 순번으로 처리하기 위해 미리 전 기준FP의 파일명을 리스트화하고, 스탭 S204로 이행한다.
스탭 S204에서는 전 기준FP를 순번으로 처리하기 위한 카운터의 초기치로서 n에 1을 대입 (n ← 1)로 하고, 스탭 S205로 이행한다.
스탭 S205에서는, '리스트 n 번째의 기준FP(기준FPN)를 판독'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S203에서 리스트화한 전 기준FP의 파일명 리스트의 n 번째 FP를 판독하고, 스탭 S206으로 이행한다.
스탭 S206에서는, '전 리텐션타임(R2)을 취득'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S205에서 판독한 기준FP의 리텐션타임정보를 모두 취득하고, 스탭 S207로 이행한다.
스탭 S207에서는, 'R1과 R2의 리텐션타임출현패턴의 일치도를 산출(RPn_min)'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S202에서 취득한 대상FP의 리텐션타임과 S206에서 취득한 기준FP의 리텐션타임으로부터 RPn_min을 산출하고, 스탭 S208로 이행한다. 또한, RPn_min의 상세한 계산플로우는 도 103의 섭루틴1에 의해 별로로 설명한다.
스탭 S208에서는, 'RPn_min의 보존(RPall_min)'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S207에서 산출된 RPn_min을 RPall_min으로 보존하고, 스탭 S209로 이행한다.
스탭 S209에서는 'n의 경신 (n ← n+1)'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처리를 다음의 FP로 이행하기 위해 n의 경신으로서 n에 n+1을 대입하고, 스탭 S210으로 이행한다.
스탭 S210에서는 '전 기준FP 처리종료?'의 판단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기준FP 모두가 처리되었는지의 여부가 판단되고, 처리완료(YES)의 경우는 스탭 S211로 이행한다. 미처리의 기준FP가 있는(NO) 경우는 미처리의 FP에 대하여 S205 ~ S210의 처리를 실행하기 위해, S205로 이행한다. 전 기준FP의 처리가 종료하기까지 S205 ~ S210의 처리를 반복한다.
스탭 S211에서는, 'RPALL_min으로부터 일치도가 최소로 되는 기준FP를 선정'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전 기준FP에 대하여 산출한 RP1_min으로부터 RPn_min을 비교하여, 대상FP와의 리텐션타임출현패턴의 일치도가 최소로 되는 기준FP를 선정하고, 대상FP귀속처리1을 종료한다.
[S3 : 대상FP귀속처리2]
도 99는 도 93 스탭 S3의 '대상FP귀속처리2'의 상세를 도시하는 폴로우차트이다. 이 처리는 귀속의 본처리이고, 대상FP(43)와 스탭 S2에서 선정한 기준FP와의 사이에서, 상기와 같이 피크패턴 및 UV스펙트럼의 일치도로부터 각 귀속후보피크의 일치도(SCORE)를 산출한다.
스탭 S301에서는 '대상FP를 판독'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귀속대상의 FP를 판독하고, 스탭 S302로 이행한다.
스탭 S302에서는 '귀속대상피크의 리텐션타임(R1)과 피크데이타(P1) 및 UV스펙트럼(U1)을 순번으로 취득'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S301에서 판독한 대상FP의 각 피크를 순번으로 귀속대상피크로 하여, R1과 P1 및 U1을 취득하고, 스탭 S303으로 이행한다.
스탭 S303에서는 '기준FP를 판독'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도 80의 '대상FP귀속처리1'에서 선정된 기준FP를 판독하고, 스탭 S304로 이행한다.
스탭 S304에서는 '기준FP의 피크의 리텐션타임(R2)과 피크데이타(P2) 및 UV스펙트럼(U2)을 순번으로 취득'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S303에서 판독한 기준FP로부터 R2와 P2 및 U2를 1피크씩 취득하고, 스탭 S305으로 이행한다.
스탭 S305에서는 '│R1 - (R2 + d)│ < 역치?'의 판단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S302 및 S304에서 판독된 R1과 R2가 역치의 범위 내에 대응한 것인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대응하고 있는(YES) 경우는 리텐션타임이 R2의 피크는 리텐션타임이 R1의 피크의 귀속후보피크인 것으로 판단하고, 귀속후보피크의 일치도(SCORE)를 산출하기 위해 스탭 S306으로 이행한다. 대응하지 않는(NO) 경우는 리텐션타임이 R2의 피크와 리텐션타임이 R1의 피크에서는 리텐션타임이 너무 상이하기 때문에 귀속후보피크가 될 수 없다고 판단하고, 스탭 S309로 이행한다. 또한, 이 판단처리에서의 d는 대상FP와 기준FP의 피크의 리텐션타임을 보정하는 값으로, 초기치는 0으로 하고, 처리를 진행하는 중에 수시(隨時) 귀속한 피크 사이의 리텐션타임의 차를 구하여, 이값으로 d를 경신한다. 또한, 역치는 귀속후보피크로 해야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리텐션타임의 허용폭이다.
스탭 S306에서는 'UV스펙트럼의 일치도를 산출(UV_Sim)'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S302에서 취득한 귀속대상피크의 U1과 S304에서 취득한 귀속후보피크의 U2로부터 UV_Sim을 산출하고, 스탭 S307로 이행한다. 또한, UV_Sim의 상세한 계산플로우는 도 104의 섭루틴2에서 별도로 기재한다.
스탭 S307에서는 '피크패턴의 일치도를 산출(P_Sim_min)'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S302에서 취득한 귀속대상피크의 R1 및 P1과 S304에서 취득한 귀속대상피크의 R2 및 P2로부터 이들 피크에 대하여 망라적으로 피크패턴을 작성한다. 이들 피크패턴의 P_Sim_min을 산출하고, 스탭 S308로 이행한다. 또한, P_Sim_min의 상세한 계산플로우는 도 105의 섭루틴3에서 별도로 기재한다.
스탭 S308에서는 '귀속후보피크의 일치도를 산출(SOCORE)'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S306에서 산출한 UV_Sim과 S307에서 산출한 P_Sim_min으로부터, 귀속대상피크와 귀속후보피크의 SCORE를
SCORE = UV_Sim × P_Sim_min
로 산출하고, 스탭 S310으로 이행한다.
스탭 S309에서는 'SCORE에 888888를 대입(SCORE ← 888888)'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귀속대상피크의 귀속후보피크에 해당하지 않는 피크의 SCORE를 888888로 하고, 스탭 S310으로 이행한다.
스탭 S310에서는, 'SCORE의 보존(SCORE_all)'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S308 혹은 S309에서 얻어진 SCOPRE을 SCORE_all로 보존하고, 스탭 S311로 이행한다.
스탭 S311에서는 '기준 전 피크의 처리종료?'의 판단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기준FP의 전 피크가 처리되었는지의 여부가 판단되고, 처리완료(YES)의 경우는 스탭 S312로 이행한다. 미처리의 피크가 있는(NO) 경우는 미처리의 피크에 대하여 S304 ~ S311의 처리를 실행하기 위해, S304로 이행한다. 전 피크의 처리가 종료하기까지 S304 ~ S311의 처리를 반복한다.
스탭 S312에서는, '판정결과파일에 SCORE_all을 출력하고, SCORE_all을 초기화(0으로 함)'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판정결과파일에 SCORE_all을 출력한 후, SCORE_all을 초기화(영으로 함)하고, 스탭 S311로 이행한다.
스탭 S313에서는 '대상 전 피크의 처리종료?'의 판단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대상FP의 전 피크가 처리되었는지의 여부가 판단되고, 처리완료(YES)의 경우는 대상FP처리2를 종료한다. 미처리의 피크가 있는(NO) 경우는 미처리의 피크에 대하여 S302 ~ S313의 처리를 실행하기 위해, S302로 이행한다. 전 피크의 처리가 종료하기까지 S302 ~ S313의 처리를 반복한다.
도 120에 출력한 판정결과파일 예(189)를 도시한다.
[S4 : 대상FP귀속처리3]
도 100은 도 93 스탭 S4의 '대상FP귀속처리3'의 상세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처리는 귀속의 후처리이고, 상기와 같이 산출한 귀속후보피크의 일치도(SCORE)로부터 대상FP의 각 피크에 대응하는 기준FP의 피크를 특정한다.
스탭 S401에서는, '판정결과파일을 판독'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도 99의 '대상FP귀속처리2'에서 작성한 판정결과파일을 판독하고, 스탭 S402로 이행한다.
스탭 S402에서는, ''SCORE < 역치'의 조건을 만족한 데이타로 귀속후보피크스코어표를 작성'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판정결과파일의 SCORE를 기초로 도 121(윗 도면)의 귀속후보스코어표(191)를 작성하고, 스탭 S403으로 이행한다. 이 귀속후보피크스코어표는 기준FP의 피크마다에, 대상FP 전 피크에 대하여 산출된 SCORE로부터 역치보다 작은 SCORE만을 올림차순으로 나열한 표이다. 즉, 이 SCORE는 값이 작을수록 귀속해야할 피크의 가능성이 높다. 또한, 역치는 귀속후보로 해야할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SCORE의 상한치이다.
스탭 S403에서는, '귀속후보피크번호표를 작성'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귀속후보피크스코어표를 기초로 도 121(아래 도면)의 귀속후보번호표(193)를 작성하고, 스탭 S404로 이행한다. 이 귀속후보번호표는 귀속후보피크스코어표의 각 스코어를 그 스코어에 대응하는 대상FP의 피크번호에 치환한 표이다. 이 때문에 이 표는 기준FP의 피크마다에 대응시켜야할 대상FP의 피크번호가 순번으로 나열된 표로 되어 있다.
스탭 S404에서는, '귀속해야할 대상FP의 피크번호를 취득'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S403에서 작성한 귀속후보피크번호표로부터 기준FP의 피크마다에 가장 상위에 위치하는 대상FP의 피크번호를 취득하고, 스탭 S405로 이행한다.
스탭 S405에서는, '취득한 피크번호가 내림차순(중복 없이)으로 나열되어 있는가?'의 판단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S404에서 취득한 대상FP의 피크번호가 중복 없이 내림차순으로 나열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나열되어 있는(YES) 경우는 기준FP의 각 피크에 대응하는 대상FP의 피크가 확정되었다고 판단하고, 스탭 S408로 이행한다. 나열되어 있지 않은(NO) 경우는 문제가 있었던 기준FP의 피크에 귀속해야할 대상FP의 피크를 수정하기 위해, 스탭 S406으로 이행한다.
스탭 S406에서는, '문제가 있었던 피크 사이에서 SCORE를 비교하고, 귀속후보피크번호표를 경신'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문제가 있었던 대상FP의 피크번호에 대응하는 SCORE를 귀속후보스코어표에서 비교하고, SCORE가 큰 쪽의 피크번호를 2번째에 위치하는 피크번호에 치환한 후보피크번호표로 경신하고, 스탭 S407로 이행한다.
스탭 S407에서는, '귀속후보피크스코어표를 경신'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S406에서의 귀속후보피크번호표의 경신내용에 따라서, 귀속후보피크스코어표를 경신하고, 스탭 S408로 이행한다. 대상FP의 피크번호에 문제(중복 있음, 내림차순으로 나열되어 있지 않음)가 없어질 때까지 S404로부터 S407의 처리를 반복한다.
스탭 S408에서는, '귀속결과를 보존(TEMP)'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기준FP의 전 피크의 피크번호, 리텐션타임, 및 피크와 이들 피크에 대응하는 피크로서 특정한 대상FP의 피크데이타를 TEMP에 보존하고, 스탭 S409로 이행한다.
스탭 S409에서는, 'TEMP에 대상FP의 전 피크가 들어 있는가?'의 판단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S408에서 보존한 TEMP 중에 대상FP의 전 피크의 피크데이타가 들어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전부 들어 있는 경우(YES)는, 대상FP의 모든 피크에서 처리가 종료한 것으로 판단하고, S412로 이행한다. 들어 있지 않은 피크가 있는(NO) 경우는 들어 있지 않은 피크의 피크데이타를 TEMP에 추가하기 위해, 스탭 S410으로 이행한다. 스탭 S410에서는 'TEMP에 들어 있지 않은 대상FP의 피크의 리텐션타임을 보정'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TEMP에 들어가 있지 않은 대상FP의 피크(보정이 필요한 대상FP의 피크)의 리텐션타임은
보정치 = k1 + (k2 - k1) * (t0 - t1) / (t2 - t1)
k1 : 보정이 필요한 대상FP의 피크근방에서 귀속된 2개의 기준FP측의 피크 중의 리텐션타임이 작은 피크의 리텐션타임
k2 : 보정이 필요한 대상FP의 피크근방에서 귀속된 2개의 기준FP측의 피크 중의 리텐션타임이 큰 피크의 리텐션타임
t0 : 보정이 필요한 대상FP의 피크의 리텐션타임
t1 : 보정이 필요한 대상FP의 피크 근방에서 귀속된 2개의 대상FP측의 피크 중의 리텐션타임이 작은 피크의 리텐션타임
t2 : 보정이 필요한 대상FP의 피크 근방에서 귀속된 2개의 대상FP측의 피크 중의 리텐션타임이 큰 피크의 리텐션타임
로 하여 기준FP에 있어서의 리텐션타임으로 보정하고, 스탭 S411로 이행한다.
스탭 S411에서는, '보정한 리텐션타임과 그 피크의 피크데이타를 TEMP에 추가하고, TEMP를 경신'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S410에서 보정한 TEMP에 들어 있지 않은 대상FP의 피크의 리텐션타임을 TEMP 중의 기준FP의 리텐션타임과 비교하여, TEMP 중의 타당한 위치에 TEMP에 들어 있지 않은 대상FP의 피크가 보정한 리텐션타임 및 피크데이타를 추가하여, TEMP를 경신하고, S409로 이행한다. 대상FP의 전 피크가 추가되기까지, S409로부터 S411의 처리를 반복한다.
스탭 S412에서는 'TEMP를 조합결과파일에 출력'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기준FP의 전 피크와 대상FP의 전 피크에 대응관계를 특정한 TEMP를 조합결과파일로서 출력하고, 대상FP귀속처리3을 종료한다.
[S4 : 대상FP귀속처리4]
도 101, 도 102는 도 93 스탭 S5의 '대상FP귀속처리4'의 상세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처리는 귀속의 최종처리이고, 도 93 스탭 S4에서 작성한 조합결과파일(도 122의 조합결과파일 예(195) 참조)을 기초로 대상FP의 각 피크를 기준군FP(도 123의 기준군FP의 데이타 예(197) 참조)의 피크에 귀속한다.
또한, 기준군FP(197)는 상기와 같이 전 기준FP 사이에서 피크의 대응관계를 특정한 FP이고, 도 123의 기준군FP데이타 예(197)와 같이, 기준군FP피크번호와 기준군리텐션타임과 피크높이로 구성된 데이타이다. 도 2의 기준군FP(45)에서 표시한 바와 같이, 각 피크는 평균값(흑점) ± 표준편차(종선)로 표시할 수 있다.
스탭 S501에서는, '조합결과파일을 판독'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도 100의 S412에서 출력한 조합결과파일을 판독하고, 스탭 S502로 이행한다.
스탭 S502에서는, '기준군FP를 판독'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대상FP의 각 피크의 최종적인 귀속상대인 기준군FP(197)를 판독하고, 스탭 S503로 이행한다.
스탭 S503에서는, '대상FP와 기준군FP를 통합하여 보존(TEMP)'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조합결과파일과 기준군FP(197)에서 공통으로 존재하는 기준FP의 피크데이타를 기초로 2개의 파일을 통합하여, 그 결과를 TEMP로서 보존하고, 스탭 S504로 이행한다.
스탭 S504에서는, '기준FP에 대응하는 피크가 없는 대상FP의 피크의 리텐션타임을 보정'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조합결과파일에서 기준FP에 대응하는 피크가 없는 대상FP의 전 피크의 리텐션타임을 S503에서 보존한 TEMP의 리텐션타임으로 보정하고, 스탭 S505 이행한다. 또한, 리텐션타임의 보정은 상기 스탭 S4의 '대상FP귀속처리3'의 스탭 S410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보정한다.
스탭 S505서는, '보정한 리텬션타임(R1, R3)과 대응하는 피크데이타(P1)를 순번으로 취득'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S504에서 보정한 리텐션타임을 R1 및 R3으로 하여, 대응하는 피크의 피크데이타를 P1으로서 순번으로 취득하고, 스탭 S507로 이행한다
스탭 S506에서는'TEMP로부터 대상FP의 귀속후보피크의 리텐션타임(R2)과 대응하는 피크데이타(P2)를 순번으로 취득'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S503에서 보존한 TEMP로부터 대상FP가 귀속되어 있지 않은 리텐션타임을 R2로 하고, 대응하는 피크데이타를 P2로 하여 순번으로 취득하고, 스탭 S507로 이행한다.
스탭 S507에서는 '│R1 - R2│< 역치1 ?'의 판단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S505 및 S506에서 취득한 R1과 R2의 차가 역치1보다 작은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작은(YES) 경우는 대상FP의 리텐션타임이 R1의 피크와 기준FP의 리텐션타임이 R2의 피크가 대응하는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스탭 S508로 이행한다. R1과 R2의 차가 역치1 이상(NO)의 경우는 대응할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스탭 S512로 이행한다.
스탭 S508에서는 'R1, R2에 대응하는 UV스펙트럼의 취득(U1, U2)'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S507에서 대응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 리텐션타임이 R1과 R2의 피크에 대응하는 UV스펙트럼을 각각의 FP로부터 취득하고, 스탭 S509로 이행한다.
스탭 S509에서는 'UV스펙트럼의 일치도를 산출(UV_Sim)'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S508에서 취득한 UV스펙트럼 U1 및 UV2로부터 스탭 S3의 '대상FP귀속처리2'의 스탭 S306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UV_Sim을 산출하고, 스탭 S510으로 이행한다. 또한, UV_Sim의 상세한 계산플로우는 도 104의 섭루틴2에서 별도로 설명한다.
스탭 S510에서는 'UV_Sim < 역치2 ?'의 판단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S509에서 산출한 UV_Sim이 역치2 보다 작은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작은(YES) 경우는 UV스펙트럼이 U1의 피크와 U2의 피크가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스탭 S511로 이행한다. UV_Sim이 역치2 이상(NO)인 경우는 대응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스탭 S507로 이행한다.
스탭 S511에서는 'R3 ← R2, 역치2 ← UV_Sim'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S510에서 대응한다고 판단한 리텐션타임이 R3(즉, R1)을 대응상대의 리텐션타임인 R2로 경신한 후, 역치2를 UV_Sim의 값으로 경신하고, S507로 이행한다.
스탭 S512에서는 '모든 귀속후보피크의 리텐션타임을 비교종료?'의 판단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R1과 모든 귀속후보피크의 리텐션타임의 비교가 종료했는지의 여부가 판단되고, 종료한(YES)의 경우는 스탭 S513으로 이행한다. 종료하지 않은(NO) 경우는 스탭 S507로 이행한다.
스탭 S513에서는 'R1, R3과 P1 및 역치2를 보존(TEMP2)'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S510에서 대응한다고 판단한 리텐션타임(R1)과 대응상대의 리텐션타임(R2)으로 경신한 R3와 대응하는 피크(P1) 및 현시점의 역치2를 보존(TEMP2)하고, S507로 이행한다.
스탭 S514에서는 '모든 비대응피크의 리텐션타임을 비교종료?'의 판단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모든 비대응피크의 리텐션타임에서 귀속후보피크의 리텐션타임과의 비교가 종료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종료한(YES) 경우는 모든 비대응피크의 귀속처리가 종료한 것으로 판단하고, S516로 이행한다. 종료하지 않은(NO) 경우는 미처리의 비대응피크가 남아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스탭 S515로 이행한다.
스탭 S515에서는 '역치2 ← 초기치'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S511에서 UV_Sim에 경신되어 있는 역치2를 초기치로 복귀시키고, S505로 이행한다.
스탭 S516에서는 'TEMP2에 R3의 값이 같은 피크가 존재하는가?'의 판단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TEMP 중의 동일한 피크에 복수의 비대응피크가 귀속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같은 피크에 귀속된 비대응피크가 존재하는(YES) 경우는 스탭 S517로 이행한다. 존재하지 않는(NO) 경우는 스탭 S518로 이행한다.
스탭 S517에서는 'R3의 값이 같은 피크의 역치2를 비교하고, 값이 큰 피크의 R3를 원래의 값(R1)으로 되돌림'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TEMP2 중의 R3의 값이 동일한 피크의 역치2를 비교하고, 값이 큰 피크의 R3의 값을 원래의 값(즉, R1)으로 복귀시키고, 스탭 S518로 이행한다.
스탭 S518에서는 'TEMP에 TEMP2의 피크를 추가(TEMP의 리텐션타임과 R3가 일치한 피크만)'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TEMP의 리텐션타임과 R3가 일치한 피크만 TEMP에 R3에 대응하는 피크를 추가하고, 스탭 S519로 이행한다. R3가 TEMP의 리텐션타임과 일치하지 않는 피크는 기준군FP에 귀속상대가 되는 피크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추가하지 않는다.
스탭 S519에서는 'TEMP 중의 대응FP의 피크를 출력(피크특징량파일)'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기준군FP(137)에 귀속된 대상FP의 피크데이타를 피크데이타특징량파일로서 출력하고, 대상FP귀속처리4를 종료한다.
도 124에 상기와 같이 출력하는 피크데이타특징량의 파일 예(199)를 도시한다.
[섭루틴 1]
도 103은 도 98의 '기준FP선정처리'에 있어서의 '섭루틴1'의 상세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처리는 FP 사이(예를 들면, 대상FP와 기준FP)의 리텐션타임출현패턴의 일치도를 계산한다.
스탭 S1001에서는 'x ← R1, y ← R2'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도 98의 S202와 S206에서 취득한 R1 및 R2를 각각 x와 y에 대입하고, 스탭 S1002로 이행한다.
스탭 S1002에서는 'x, y의 데이타수를 취득(a,b)'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x, y의 데이타수를 각각 a, b로서 취득하고, 스탭 S1003으로 이행한다.
스탭 S1003에서는 x의 리텐션타임을 순번으로 호출하기 위한 카운터의 초기치로서 i에 1을 대입 (i ← 1)하고, 스탭 S1004로 이행한다.
스탭 S1004에서는 'xi번째의 리텐션타임으로부터 전 거리를 취득(f)'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xi번째의 리텐션타임과 그 이후의 전 리텐션타임간의 거리를 f로서 취득하고, 스탭 S1005로 이행한다.
스탭 S1005에서는 y의 리텐션타임을 순번으로 호출하기 위한 카운터의 초기치로서 j에 1을 대입(j ← 1)하고, 스탭 S1006으로 이행한다.
스탭 S1006에서는 'yj번째의 리텐션타임으로부터 전 거리를 취득(g)'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yj번째의 리텐션타임과 그 이후의 전 리텐션타임간의 거리를 g로서 취득하고, 스탭 S1007로 이행한다.
스탭 S1007에서는 '│f의 각 리텐션타임 사이 거리 - g의 각 리텐션타임 사이 거리│< 역치'의 조건을 만족한 데이타수를 취득(m)]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S1004 및 S1006에서 취득한 리텐션타임간 거리 f와 g를 전체개별대비방식으로 비교하여, '│f의 각 리텐션타임간 거리 - g의 각 리텐션타임간 거리│< 역치'의 조건을 만족한 데이타수를 m으로 취득하고, 스탭 S1008로 이행한다.
스탭 S1008에서는, 'f와 g의 리텐션타임출현패턴의 일치도를 산출(RPfg)'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S1002에서 취득한 a, b와 S1007에서 취득한 m으로부터 RPfg
RPfg = ( 1 - ( m / ( a + b - m ) ) ) × ( a - m + 1 )
로 산출하고, 스탭 S1009로 이행한다.
스탭 S1009에서는, 'RPfg를 보존(RP_all)'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S1008에서 산출한 일치도를 RP_all로 보존하고, 스탭 S1010으로 이행한다.
스탭 S1010에서는 'j의 경신(j ← j + 1)'의 처리가 실행된다.이 처리에서는, y의 처리를 다음의 리텐션타임으로 이행하기 위한 j의 경신으로서 j에 j+1을 대입하고, 스탭 S1011로 이행한다.
스탭 S1011에서는 'y의 전 리텐션타임에서 처리종료?'의 판단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y의 전 리텐션타임의 처리가 종료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종료한(YES) 경우는 y의 전 리텐션타임의 처리가 종료한 것으로 판단하고, S1012로 이행한다. 종료하지 않은(NO) 경우는 y 중에 미처리의 리텐션타임이 남아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스탭 S1006으로 이행한다. 즉, S1006 ~ S1011까지의 처리는 y의 전 리텐션타임이 처리되기까지 반복한다.
스탭 S1012에서는 'i의 경신(i ← i + 1)'의 처리가 실행된다.이 처리에서는, x의 처리를 다음의 리텐션타임으로 이행하기 위한 i의 경신으로서 i에 i+1을 대입하고, 스탭 S1013으로 이행한다.
스탭 S1013에서는 'x의 전 리텐션타임에서 처리종료?'의 판단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x의 모든 리텐션타임의 처리가 종료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종료한(YES) 경우는 x의 전 리텐션타임의 처리가 종료했다고 판단하고, 스탭 S1014로 이행한다. 종료하지 않은(NO) 경우는 x 중에 미처리의 리텐션타임이 남아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스탭 S1004으로 이행한다. 즉, S1004 ~ S1013의 처리는 x의 모든 리텐션타임이 처리되기까지 반복한다.
스탭 S1014에서는 'RP_all로부터 최소치를 취득(RP_min)'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대상FP와 기준FP의 리텐션타임출현패턴의 전체 조합의 RP가 보존된 RP_all 중의 최소치를 RP_min로서 취득하고, 그 RP_min을 도 98의 S207로 넘기고, 리텐션타임출현패턴의 일치도계산처리를 종료한다.
[섭루틴2]
도 104는 도 99의 '대상FP귀속처리2'에 있어서의 '섭루틴2'의 상세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처리는 UV스펙트럼의 일치도를 계산한다.
스탭 S2001에서는 'x ← U1, y ← U2, z ← 0'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도 99의 S302와 S304에서 취득한 UV스펙트럼 U1 및 U2를 각각 x와 y에 대입하고, 더욱이 UV스펙트럼간의 거리의 제곱합(z)의 초기치로서 0을 대입하고, 스탭 S2002로 이행한다.
스탭 S2002에서는 'x 데이타수를 취득(a)'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x의 데이타수를 각각 a로서 취득하고, 스탭 S2003로 이행한다.
스탭 S2003에서는 'i ← 1'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UV스펙트럼 U1 및 U2를 구성하는 각 검출파장에 있어서의 흡광도를 x 및 y로부터 순번으로 호출하기 위한 초기치로서 i에 1을 대입하고, 스탭 S2004로 이행한다.
스탭 S2004에서는 'xi번째의 데이타를 취득(b)'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UV스펙트럼 U1을 대입한 x의 i번째의 흡광도 데이타를 b로서 취득하고, 스탭 S2005로 이행한다.
스탭 S2005에서는 'yi번째의 데이타를 취득(c)'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UV스펙트럼 U2를 대입한 y의 i번째의 흡광도 데이타를 c로서 취득하고, 스탭 S2006로 이행한다.
스탭 S2006에서는 'UV스펙트럼간 거리(d)와 UV스펙트럼간 거리의 제곱합(z)을 산출'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UV스펙트럼간 거리(d)와 UV스펙트럼 간 거리의 제곱합(z)을
d = b - c
z = z + d2
으로 산출하고, 스탭 S2007로 이행한다.
스탭 S2007에서는 'i의 경신(i ← i + 1)'의 처리가 실행된다.이 처리에서는, i의 경신으로서 i에 i+1을 대입하고, 스탭 S2008로 이행한다.
스탭 S2008에서는 'x의 전 데이타에서 처리종료?'의 판단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x와 y의 모든 데이타의 처리가 종료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종료한(YES) 경우는 x와 y의 전 데이타의 처리가 종료했다고 판단하고, S2009로 이행한다. 종료하지 않은(NO) 경우는 x와 y에 미처리의 데이타가 남아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스탭 S2004으로 이행한다. 즉, S2004 ~ S2008의 처리는 x와 y의 모든 흡광도 데이타가 처리되기까지 반복한다.
스탭 S2009에서는 'x와 y의 UV스펙트럼의 일치도를 계산(U_Sim)'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UV_Sim을 상기 UV스펙트럼간 거리의 제곱합(z)과 x의 데이타수 a로부터
UV_Sim = √ ( z / a )
로 산출하고, 이 UV_Sim을 도 99의 스탭 S306으로 넘기고, UV스펙트럼의 일치도계산처리를 종료한다.
[섭루틴3]
도 105는 도 99의 '대상FP귀속처리2'에 있어서의 '섭루틴3'의 상세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처리는 피크패턴의 일치도를 계산한다.
스탭 S3001에서는 '피크패턴구성후보수(m)와 피크패턴구성피크수(n)를 설정'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피크패턴을 망라적으로 작성하기 위한 설정으로서, 피크패턴구성후보수(m)와 피크패턴구성피크수(n)를 각각 설정하고, 스탭 S3002로 이행한다.
스탭 S3002에서는 'x ← 대상FP명(名), r1 ← R1, p1 ← P1, y ← 기준FP명, r2 ← R2, p2 ← P2)'의 처리가 실행된다.이 처리에서는, 처리에 필요한 대상FP 및 기준FP의 파일명 및 도 99의 S302와 S304에서 취득한 리텐션타임 및 피크데이타를 각각 x, r1, p1과 y, r2, p2에 대입하고, 스탭 S3003으로 이행한다.
스탭 S3003에서는 'x의 전 리텐션타임을 취득(a)'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S3002에서 x에 대입한 이름의 파일(대상FP)을 판독하여, 그 파일의 전 리텐션타임을 a로서 취득하고, 스탭 S3004로 이행한다.
스탭 S3004에서는 'y의 전 리텐션타임을 취득(b)'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S3002에서 y에 대입한 이름의 파일(기준FP)을 판독하여, 그 파일의 전 리텐션타임을 b로서 취득하고, 스탭 S3005로 이행한다.
스탭 S3005에서는 'a로부터 r1의 피크패턴구성후보피크 m개의 리텐션타임(cm) 및 피크데이타(dm)를 취득'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a로부터 귀속대상피크의 리텐션타임인 r1의 피크패턴구성후보피크 m개의 리텐션타임을 cm, 피크데이타를 dm으로서 각각 취득하고, 스탭 S3006으로 이행한다. 또한, 피크패턴구성후보피크 m개는 r1과 리텐션타임이 가까운 m개이다.
스탭 S3006에서는 'b로부터 r2의 피크패턴구성후보피크 m개의 리텐션타임(em) 및 피크데이타(fm)를 취득'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b로부터 귀속후보피크의 리텐션타임인 r2의 피크패턴구성후보피크 m개의 리텐션타임을 em, 피크데이타를 fm으로서 각각 취득하고, 스탭 S3007로 이행한다. 또한, 피크패턴구성후보피크 m개는 r2와 리텐션타임이 가까운 m개이다.
스탭 S3007에서는 'cm, dm을 리텐션타임순(올림차순)으로 배열함'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S3005에서 취득한 cm과 dm을 리텐션타임이 올림차순이 되도록 교체배열하고, 스탭 S3008로 이행한다.
스탭 S3008에서는 'em, fm을 리텐션타임순(올림차순)으로 배열함'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S3006에서 취득한 em과 fm을 리텐션타임이 올림차순이 되도록 교체배열하고, 스탭 S3009로 이행한다.
스탭 S3009에서는 'cm, dm으로부터 피크패턴구성피크 n개의 리텐션타임(cn) 및 피크데이타(dn)를 순번으로 취득'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피크패턴구성후보피크 m개의 cm 및 dm으로부터 피크패턴구성피크 n개의 리텐션타임을 cn, 피크데이타를 dn으로 순번으로 취득하고, 스탭 S3010으로 이행한다.
스탭 S3010에서는 'em, fm으로부터 피크패턴구성피크 n개의 리텐션타임(en) 및 피크데이타(fn)를 순번으로 취득'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피크패턴구성후보피크 m개의 em 및 fm으로부터 피크패턴구성피크 n개의 리텐션타임을 en, 피크데이타를 fn으로 순번으로 취득하고, 스탭 S3011로 이행한다.
스탭 S3011에서는 '피크패턴의 일치도를 계산(P_Sim)'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지금까지 취득한 귀속대상피크의 r1과 p1 및 그 피크패턴구성피크 n개의 cn과 dn, 및 귀속후보피크의 r2와 p2 및 그 피크패턴구성피크 n개의 en과 fn으로부터 피크패턴의 일치도(P_Sim)를 n = 4의 경우를 예로 들면, 도 66 중과 같이
P_Sim = (│p1 - p2│ + 1) × (│r1 - (r2 + d)│ + 1)
+ (│dn1 - fn1│ + 1) × (│cn1 - r1) - (en1 - r2│ + 1)
+ (│dn2 - fn2│ + 1) × (│cn2 - r1) - (en2 - r2│ + 1)
+ (│dn3 - fn3│ + 1) × (│cn3 - r1) - (en3 - r2│ + 1)
+ (│dn4 - fn4│ + 1) × (│cn4 - r1) - (en4 - r2│ + 1)
로 산출하고, 스탭 S3012로 이행한다.
스탭 S3012에서는 'P_Sim을 보존(P_Sim_all)'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S3011에서 산출된 P_Sim을 순차 P-Sim_all에 보존하고, 스탭 S3013으로 이행한다.
스탭 S3013에서는 'em 중의 m개로부터 취출하는 전체 조합 종료?'의 판단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귀속후보피크의 피크패턴구성후보피크 m개로부터 피크패턴구성피크 n개를 취출하는 전체 조합에서 처리가 종료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종료한(YES) 경우는 귀속후보피크에서 망라적인 피크패턴의 작성과 그 패턴에 있어서의 일치도의 계산이 종료했다고 판단하고, 스탭 S3014로 이행한다. 종료하지 않은(NO) 경우는 m개로부터 n개를 취출하는 조합이 종료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스탭 S3010으로 이행한다. 즉, S3010 ~ S3013의 처리는 m개로부터 n개를 취출하는 전체 조합에서 처리가 종료하기까지 반복된다.
스탭 S3014에서는 'cm 중의 m개로부터 취출하는 전체 조합 종료?'의 판단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귀속대상피크의 피크패턴구성후보피크 m개로부터 피크패턴구성피크 n개를 취출하는 전체 조합에서 처리가 종료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종료한(YES) 경우는 귀속대상피크에서 망라적인 피크패턴의 작성과 그 패턴에 있어서의 일치도의 계산이 종료했다고 판단하고, 스탭 S3015로 이행한다. 종료하지 않은(NO) 경우는 m개로부터 n개를 취출하는 조합이 종료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스탭 S3009로 이행한다. 즉, S3009 ~ S3014의 처리는 m개로부터 n개를 취출하는 전체 조합에서 처리가 종료하기까지 반복한다.
스탭 S3015에서는 'P_Sim_all로부터 최소치를 취득(P_Sim_min)'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S3012에서 보존한 P_Sim_all의 최소치를 P_Sim_min으로 취득하고, 이 P_Sim_min을 도 99의 스탭 S307로 넘기고, 피크패턴의 일치도계산처리를 종료한다.
[S6 : 대상FP타입2의 작성처리]
도 106은 도 93 스탭 S6의 'FP_type2작성'의 상세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스탭 S601에서는, '대상FP를 판독'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상기 대상FP(43)(도 119의 FP의 데이타 예(187) 참조)의 파일을 판독하고, 스탭 S602로 이행한다.
스탭 S602에서는 '피크데이타특징량파일을 판독'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상기 대상FP(43)에 관하여, 피크데이타특징량의 파일(도 124의 피크데이타특징량의 파일 예(199) 참조)을 판독하고, 스탭 S603으로 이행한다. 피크데이타특징량파일 예는 상기 대상FP피크특징량작성부(7)에 의해 기준군FP(45)의 피크에 귀속된 대상FP(43)의 피크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스탭 S603에서는 '대상FP와 피크데이타특징량파일을 비교'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대상FP(43)의 파일과 피크데이타특징량파일이 비교된다. 이 비교에 의해 기준군FP(45)의 피크에 귀속되지 않았던 대상FP(43)의 잔존(殘存) 피크가 특정되고, 스탭 S604로 이행한다.
스탭 S604에서는 '대상FP만에 존재하는 피크의 리텐션타임과 피크데이타를 출력'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대상FP(43)의 잔존 피크의 리텐션타임과 피크데이타가 대상FP타입2의 데이타파일(도 125의 기준 및 대상FP타입2의 데이타 예(201) 참조)로 출력된다.
[S7 : 영역분할에 따른 대상FP_type2의 특징량화처리]
도 107은 도 94 스탭 S7의 '영역분할에 따른 대상FP_type2의 특징량화처리'의 상세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스탭 S701에서는 'FP공간의 영역분할조건의 설정'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대상FP타입2의 영역을 분할하기 위해, 종·횡의 선(분할선) 1개째의 위치가 각각 1개 설정된다. 이 설정에 의해, FP공간에 대하여, 예를 들면 도 76, 도 77과 같이, 종·횡분할선(1개째)가 분할선으로서 설정된다. 단, 대상FP타입2의 경우, 영역의 위치변경은 없기 때문에, 진폭은 관계없다. 스탭 S701에서 종·횡분할선(1개째)가 설정되면 스탭 S702로 이행한다.
스탭 S702에서는 'FP공간의 영역분할패턴의 작성'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종·횡분할선 1개째의 전체 조합에서 2개째 이후의 분할선의 위치가 설정되고, 분할패턴(1개)이 작성된다. 이 처리에 의해, FP공간에 대하여, 예를 들면 도 78과 같이, 종·횡분할선에 따른 영역분할이 행해진다. 영역분할이 행해지면 스탭 S703으로 이행한다.
스탭 S703에서는, '대상FP_type2의 파일을 판독'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 의해, 대상FP타입2의 파일이 판독되고, 스탭 S704로 이행한다.
스탭 S704에서는 'FP공간 전체의 총 피크데이타를 산출'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예를 들면 도 79와 같이 분할된 각 격자(145) 전부에 존재하는 피크의 높이 합계가 산출되고(도 81), 스탭 S705로 이행한다.
스탭 S705에서는 'FP공간을 분할패턴으로 분할'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S702에서 설정된 영역분할패턴에 의해 S703에서 판독된 대상FP타입2를 도 79와 같이 영역분할하고, 스탭 S706으로 이행한다.
스탭 S706에서는 '분할된 영역 내에서의 피크데이타의 존재비율을 산출'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각 격자(145) 내에서의 피크의 존재비율이 상기 특징량 = 영역 내 피크 높이 합계/전 피크 높이 합계로서 산출된다. 산출결과는, 도 86과 같이 된다. 산출이 종료하면 스탭 S707로 이행한다.
스탭 S707에서는 '각 영역의 존재비율을 특징량으로 출력'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1 조에서의 대상FP영역분할특징량파일(도 126에서 도시하는 1 조에서의 대상FP영역분할특징량파일 예(203) 참조)이 출력된다.
[S8 : 피크데이타특징량과 영역분할특징량의 통합]
도 108은, 도 94 스탭 S8의 '피크데이타특징량과 영역분할특징량의 통합'의 상세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스탭 S801에서는 '피크데이타특징량파일을 판독'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 의해, 도 124에서 도시하는 피크데이타특징량의 파일 예(199)와 같은 파일이 판독되고, 스탭 S802로 이행한다.
스탭 S802에서는 '영역분할특징량파일의 판독'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 의해, 도 126에서 도시하는 대상FP영역분할특징량파일(203)이 판독되고, 스탭 S803으로 이행한다. 스탭 S803에서는 '2개의 특징량데이타를 횡 1행의 데이타로서 통합'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 의해, 피크데이타특징량의 파일(도 124에서 도시하는 피크데이타특징량의 파일 예(199) 참조) 및 대상FP영역분할특징량파일(도 126에서 도시하는 대상FP영역분할특징량파일 예(203) 참조)이 일행의 대상FP특징량통합파일(도 127의 대상FP특징량통합파일 예(205) 참조)로서 통합되고, 스탭 S804로 이행한다.
스탭 S804에서는 '통합한 데이타를 출력'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도 127의 대상FP특징량통합파일(205)이 출력된다.
[기준FP귀속결과특징량통합파일의 작성]
대상FP특징량통합데이타를 기준FP특징량통합데이타와 비교하기 위한 기준FP특징량통합파일은 도 109 ~ 도 116과 같이 작성된다.
도 109, 도 110은 기준FP특징량통합파일을 작성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고, 기준FP작성부(31)의 FP작성기능과, 기준FP피크귀속부(15)의 기준FP피크귀속기능과, 기준FP귀속결과통합부(17)의 기준FP귀속결과통합기능과, 기준FP피크특징량작성부(19)의 기준FP피크특징량기능과, 기준FP타입2작성부(21)의 기준FP타입2작성기능과, 기준FP영역분할특징량작성부(23)의 기준FP영역분할특징량작성기능과, 기준FP특징량통합부(25)의 기준FP특징량통합기능을 컴퓨터에 실현시킨다.
기준FP작성기능은 스탭 S10001에서 실현된다. 기준FP피크귀속기능은 스탭 S10002, S10003, S10004에서 실현된다. 기준FP귀속결과통합기능은 S10005에서 실현된다. 기준FP피크특징량작성기능은 S10006에서 실현된다. 기준FP타입2작성기능은 스탭 S1007에서 실현된다. 기준FP영역분할특징량작성기능은 스탭 S1008에서 실현된다. 기준FP특징량통합기능스탭 S1009에서 실현된다.
S10001 ~ S10004는, 도 93, 94의 대상FP특징량통합파일의 작성에 관한 S1 ~ S4에 대응하고, S10007 ~ 10009는 동 S6 ~ S8에 대응하고 있다.
스탭 S10001은 3D크로마토 및 특정의 검출파장에 있어서의 피크정보를 입력데이타로 하여 'FP작성처리'가 실행된다.
3D크로마토 및 피크데이타와 함께 평가기준이 되는 복수의 평가기준 약제(기준한방약)마다 구비되어 있다.
스탭 S10001에서는, 컴퓨터의 기준FP작성부(3)의 기준FP작성부(31, 도 1)가 기능하여, 3D크로마토 및 피크정보로부터 기준FP가 대상FP(43, 도 2)와 마찬가지로 작성되어, 기준FP의 데이타가 파일로서 출력된다.
스탭 S10002는 스탭 S10001에서 출력한 전 기준FP를 입력으로 하여 '기준FP귀속처리1'이 실행된다.
스탭 S10002에서는 컴퓨터의 기준FP피크귀속부(15)가 기능하고, 전 기준FP를 대상으로 하여, 선택한 조합 또한 순번으로 귀속스코어를 산출하기 위해 전 기준FP로부터 조합을 선택하고, 스탭 S10003으로 이행한다.
스탭 S10003은 선택한 기준FP의 조합을 입력으로 하여, '기준FP귀속처리2'가 실행된다.
스탭 S10003에서는, 스탭 S2에서 선정한 기준FP의 조합의 전 피크에서, 도 23 ~ 도 61과 같이 망라적으로 피크패텬을 작성하고, 이어서 이들 피크패턴의 일치도(도 63 또는 도 64의 UV_Sim)를 산출한다. 또한, 선정한 기준FP의 조합의 피크 사이에서 UV스펙트럼의 일치도(도 66의 P_Sim)를 산출한다. 또한 이들 2개의 일치도로부터 귀속후보피크의 일치도(도 67의 SCORE)를 산출한다. 그 산출결과는 판정결과파일(도 120의 판정결과파일 예 189 참조)로 출력된다.
스탭 S10004는 스탭 S10003에서 출력한 판정결과파일을 입력으로 하여, '기준FP귀속처리3'가 실행된다.
스탭 S10004에서는 선정한 기준FP의 조합 사이에서 귀속후보피크의 일치도(SCORE)를 기초로 선정한 기준FP의 조합 사이에 대응하는 피크를 특정한다. 그 결과는 기준FP마다 기준FP귀속데이타로서 출력된다.
스탭 S10005는 스탭 S10004에서 출력한 전 기준FP귀속데이타를 입력으로 하여, '기준FP귀속결과통합처리'가 실행된다.
스탭 S10005에서는 컴퓨터의 기준FP귀속결과통합부(17)가 기능하여, 기준FP피크귀속부(15)에서 특정한 각 기준FP의 피크대응관계를 참조하여, 전 기준FP귀속데이타를 통합하여 기준FP대응표를 작성하고, 스탭 S10006으로 이행한다. 스탭 S10006에서는 컴퓨터의 기준FP피크특징량작성부(19)가 기능하여, 기준FP귀속결과통합부(17)에서 작성된 기준FP대응표를 기초로 전 기준FP특징량(기준군FP)을 작성한다. 이 기준FP피크특징량작성부(19)에서의 처리는 기준FP대응표의 각 피크(예)에서 통계량(최대치, 최소치, 중앙값, 평균치 등)을 산출하고, 그 정보를 기초로 피크(예)를 선정한다. 선정한 피크(예)는 기준군FP(도 123의 기준군FP 예(197) 참조)로서 출력된다.
스탭 S10007은 스탭 S10006에서 출력한 기준군FP와 전 기준FP를 입력으로 하여, 'FP_type2의 작성'의 처리가 실행된다.
스탭 S10007에서는 컴퓨터의 기준FP타입2작성부(21)가 대상FP타입2작성부(9)와 마찬가지로 기능하고, 도 93의 스탭 S6와 마찬가지로 하여, 복수의 각 기준FP로부터 상기 특징량화된 피크를 각각 제외하고 남은 피크와 그 리텐션타임으로 구성되는 FP를 기준FP타입2로서 각각 작성한다(도 125의 FP타입2파일 예(201) 참조).
스탭 S10008에서는 '기준FP_type2의 특징량화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컴퓨터의 기준FP영역분할특징량작성부(23)가 기능하고, 도 73 ~ 도 85의 영역분할에 의해 기준FP영역분할특징량이 작성된다. 그 결과는 기준type2군FP(도 128의 기준type2군FP 예(207) 참조)로서 출력된다.
스탭 S10009에서는 '기준데이타작성처리'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컴퓨터의 기준FP특징량통합부(25)가 기능하여, 기준FP피크특징량작성부(19)에서 작성된 기준군FP와 기준FP영역분할특징량작성부(23)에서 작성된 기준type2군FP를 통합하여 전 기준FP의 특징량데이타를 작성한다. 그 결과는 기준군통합데이타(도 129의 기준군통합데이타 예(209) 참조)로서 출력된다.
[S10005 : 기준FP대응표의 작성]
도 111, 도 112는 도 110 스탭 S10005의 '기준FP귀속결과통합처리(기준FP대응표의 작성)'의 상세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스탭 S10101에서는 '귀속순번 1번의 귀속데이타를 통합데이타로서 판독'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스탭 S10004에서 1번째로 귀속처리하여 피크의 대응관계를 특정한 기준FP귀속데이타를 통합데이타로서 판독하고, 스탭 S10102로 이행한다.
스탭 S10102에서는 '귀속데이타 2번째 이후를 순번으로 판독'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먼저 스탭 S10004에서 2번째로 귀속처리하여 피크의 대응관계를 특정한 기준FP귀속데이타를 통합데이타로서 판독하고, 스탭 S10103으로 이행한다.
스탭 S10103에서는 '통합데이타와 귀속데이타를 공통으로 하는 피크데이타로 통합'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통합데이타와 귀속데이타에서 공통으로 존재하는 기준FP의 피크데이타를 기초로 2개의 파일을 통합하여, 그 결과로 통합데이타를 경신하고, 스탭 S10104로 이행한다.
스탭 S10104에서는 '귀속데이타 중의 모든 피크를 통합데이타에 추가?'의 판단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귀속데이타의 모든 피크가 통합데이타에 추가되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추가된(YES) 경우는 스탭 S10105로 이행한다. 추가되지 않은 피크(흠락피크)가 있는(NO) 경우는 이 흠락(欠落)피크를 통합데이타에 추가처리하기 위해, 스탭 S10107로 이행한다. 또한, 흠락피크의 통합데이타로의 추가처리(S10107 - S10120)는 상기 S5(대상FP귀속처리4)에 있어서의 스탭 S504 - S517와 마찬가지의 처리가 행해진다.
스탭 S10121에서는 '통합데이타에 TEMP2의 데이타를 추가(모든 리텐션타임과 피크)'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TEMP2의 모든 리텐션타임(R3)과 피크(P1)를 통합데이타의 해당 개소에 추가하고, 스탭 S10122로 이행한다.
스탭 S10122에서는 '역치2 ← 초기치, TEMP2 내의 데이타를 모두 삭제'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UV_Sim에 경신되어 있는 역치2를 초기치로 복귀시키고, 전 흠락피크의 리텐션타임이나 피크 등의 데이타가 들어간 TEMP2로부터 모든 데이타를 삭제하고, 스탭 S10104로 복귀한다.
스탭 S10104로부터 이행하는 스탭 S10105에서 '모든 귀속데이타의 처리종료 ?'의 판단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전 기준데이타의 처리가 종료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처리가 종료(YES)의 경우는 전 귀속데이타의 통합결과인 기준FP대응표를 출력하기 위해, 스탭 S10106으로 이행한다. 모든 처리가 종료하지 않은(NO)의 경우는 S10106으로 복귀하여, 남은 귀속데이타를 순차 처리한다.
스탭 S10106에서는 '통합데이타를 출력(기준FP대응표)'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전 귀속데이타를 통합한 결과를 기준FP대응표로 출력하고, 기준FP대응표의 작성처리를 종료한다.
[S10006 : 피크특징량화처리]
도 113은 도 109 스탭 S10006의 '피크특징화처리(기준군FP의 작성)'의 상세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스탭 S10201에서는 '기준FP대응표를 판독'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스탭 S10005에서 작성한 기준FP대응표를 판독하고, 스탭 S10202로 이행한다.
스탭 S10202에서는 '각 피크(예)에서 통계량을 산출'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기준FP대응표의 각 피크(예)에서 통계량(최대치, 최소치, 중앙값, 평균치, 분산, 표준편차, 존재수, 존재율)을 산출하고, 스탭 S10203으로 이행한다.
스탭 S10203에서는 '산출한 통계량을 참고로 피크(예)를 선정'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스탭 S10202에서 산출한 통계량을 참고로 피크를 선정하고, 스탭 S10204로 이행한다.
스탭 S10204에서는 '선정한 피크(예)를 출력(기준군FP)'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통계량에 의해 피크(예)의 선정결과를 기준군FP로 출력하고, 기준군FP의 작성처리를 종료한다.
도 123에 상기와 같이 출력하는 기준FP대응표 예(197)를 도시한다.
[S10007 : 기준FP타입2의 작성처리]
도 114는 도 110 스탭 S10007의 '기준FP편집처리(기준FP_type2의 작성)'의 상세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스탭 S10301에서는 '기준FP를 순번으로 판독'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복수의 기준FP의 파일(도 119의 FP의 데이타 예(187) 참조)를 판독하고, 스탭 S10302로 이행한다.
스탭 S10302에서는 '기준군FP를 판독'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복수의 기준군FP의 데이타파일(도 123의 기준군FP의 데이타 예(197) 참조)를 판독하고, 스탭 S10303으로 이행한다.
스탭 S10303에서는 '기준군FP로부터 기준FP의 피크데이타특징량을 취출'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기준군FP(45)의 파일로부터 기준FP의 귀속처리된 피크데이타특징량을 취출하고, 스탭 S10304로 이행한다.
스탭 S10304에서는, '기준FP와 취출한 피크데이타특징량파일을 비교'의 처리가 실행되어, 기준FP가 피크데이타특징량파일과 비교되고, 스탭 S10305로 이행한다.
스탭 S10305에서는 '기준FP만에 존재하는 피크의 리텐션타임과 피크데이타를 출력'의 처리가 실행되어, 기준FP로부터 피크데이타특징량파일의 피크가 제거되고, 스탭 S10306로 이행한다.
스탭 S10306에서는 '전 기준FP에서 처리종료 ?'의 판단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전 기준FP에서 처리가 종료한 때(YES)는 S10007은 종료하고, 전 기준FP에서 처리가 종료하고 있지 않으면(NO), S10301 - S10305가 반복된다. 따라서, 복수의 기준FP가 차례로 처리되고, 각 기준FP로부터 피크데이타특징량파일의 피크가 제거되어 기준FP타입2의 파일(도 125에 도시하는 대상 및 기준FP타입2의 데이타 예(201) 참조)가 작성된다.
[S10008 : 영역분할에 따른 기준FP_type2의 특징량화처리]
도 115는 도 110 스탭 S10008의 '영역분할에 따른 기준FP_type2의 특징량화처리'의 상세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스탭 S10401에서는 'FP공간의 영역분할조건의 설정'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기준FP타입2의 영역을 분할하기 위해, 종·횡분할선(1개째)(141, 143)이 분할선으로서 복수개 설정된다. 종·횡분할선(1개째)(141, 143)이 복수개 설정되면 스탭 S10402로 이행한다.
스탭 S10402에서는 'FP공간의 영역분할패턴의 설정'의 처리가 실행된다. 종·횡분할선 1개째의 전체 조합에서 각 2개째 이후의 분할선의 위치가 설정되어, 분할패턴(m × n개)가 작성된다. 이 설정에 의해 FP공간에 대하여, 예를 들면 도 78과 같이, 종·횡분할선(141, 143)에 따른 영역분할의 패턴이 복수 설정된다. 영역분할이 행해지면, 스탭 S10403으로 이행한다.
스탭 S10403에서는 '기준FP_type2의 파일을 순번으로 판독'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 의해, 기준FP타입2의 파일이 판독되고, 스탭 S10404로 이행한다.
스탭 S10404에서는 'FP공간 전체의 총 피크데이타를 산출'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예를 들면 도 79와 같이 분할된 각 격자(145) 전체에 존재하는 피크의 높이합계가 산출되고(도 81), 스탭 S10405로 이행한다.
스탭 S10405에서는 'FP공간을 각 분할패턴으로 순번으로 분할'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S10402에서 설정된 복수의 영역분할패턴으로 FP공간이 순차 분할되고, 스탭 S10406로 이행한다.
스탭 S10406에서는 '분할된 영역 내에서의 피크데이타의 존재비율을 산출'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예를 들면, 도 79와 같이 분할된 각 격자(145) 전체에 존재하는 피크의 높이 합계가 산출되고(도 81), 도 79의 각 격자(145) 내에서의 피크의 존재비율이 상기 특징량 = 영역 내 피크 높이 합계/전 피크 높이 합계로서 산출된다. 산출결과는, 예를 들면 도 83 ~ 도 85와 같이 된다. 산출이 종료하면, 스탭 S10408로 이행한다.
스탭 S10408에서는 '전 분할패턴에서 분할종료 ?'의 판단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S10402에서 설정된 복수의 전 영역분할패턴에서의 특징량처리가 종료했는지의 여부의 판단이 실행된다. 특징량처리가 종료하면(YES)는 스탭 S10409로 이행하고, 특징량처리가 종료하고 있지 않으면(NO), S10405로 이행한다. S10405 ~ S10408은 전 영역분할패턴에서의 특징량처리가 종료하기까지 반복된다.
스탭 S10409에서는 '전 기준FP_type2에서 처리종료?'의 판단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복수의 기준FP마다 작성된 복수의 기준FP타입2의 전체에서 특징량처리가 종료했는지의 여부의 판단이 행해진다. 전 기준FP타입2가 종료하면(YES), S10008은 종료하고, 전 기준FP타입2가 종료하고 있지 않으면(NO), 스탭 S10403으로 이행한다. S10403 ~ S10409는 기준FP타입2에서의 특징량처리가 종료하기까지 반복된다.
도 128에 기준type2군FP 예(207)를 도시한다.
[스탭 S10009 : 기준데이타작성처리]
도 116은 도 110 스탭 S10009의 '기준데이타의 작성처리'의 상세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스탭 S10501에서는 '영역분할특징량파일의 판독'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 의해, 기준FP영역분할특징량파일(도 128에서 도시하는 기준type2군FP 예(207) 참조)가 판독되고, 스탭 S10502로 이행한다.
스탭 S10502에서는 '영역분할된 때의 분할패턴수를 산출'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 의해, 영역분할의 분할패턴수가 산출된다. 분할패턴수는 도 70 ~ 도 80에서의 설명과 같이, 예를 들면 100 조로 산출된다. 이 산출 후에 스탭 S10503으로 이행한다.
스탭 S10503에서는, '기준군FP를 판독'의 처리가 실행되고, 기준군FP가 판독되어 스탭 S10504로 이행한다.
스탭 S10504에서는 '기준군FP의 각 행을 분할패턴수만큼 복제한 파일(기준군FP2)을 작성'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기준군FP와 영역분할특징량파일을 통합하기 위해 기준군FP의 행을 분할패턴수에 맞추어 복제하고, 기준군FP2를 작성한다. 예를 들면, 도 123의 기준군FP의 파일 예(197)를 도 129의 기준군통합데이타 예(209)의 피크데이타특징량(기준군FP2)에 대응하도록 복제한다. 이 복제 후에 스탭 S10505로 이행한다.
스탭 S10505에서는 '기준군FP2와 영역분할특징량파일을 행마다 통합'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S10504에서 복제된 기준군FP2의 데이타와 영역분할특징량파일의 데이타가 행마다 통합되고, 스탭 S10506으로 이행한다.
스탭 S10506에서는 '통합한 데이타를 출력'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에서는, 통합결과에 따른 기준FP특징량통합파일(도 129의 기준통합데이타 예(209) 참조)이 출력된다.
[실시예 1의 효과]
본 발명 실시예 1의 다성분물질의 평가방법에서는, FP작성공정(148)과, 대상FP피크귀속공정(149)과, 대상FP피크특징량작성공정(151)과, 대상FP타입2작성공정(153)과, 대상FP영역분할특징량작성공정(155)과, 대상FP귀속결과통합공정(161)과, 기준FP피크특징량작성공정(163)과, 기준FP타입2작성공정(165)과, 기준FP영역분할특징량작성공정(167)과, 기준FP특징량통합공정(169)과, 평가공정(171)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FP작성공정(148)은 상기 대상FP작성공정(173)과 기준FP작성공정(175)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대상FP피크귀속공정(149)는 상기 기준FP선정공정(177)과, 피크패턴작성공정(179)과, 피크귀속공정(181)을 구비하고 있다.
평가대상이 되는 다성분 약제의 3D크로마토(41)로부터 이들 7개의 공정(178, 149, 151, 153, 155, 157, 171)으로 처리하는 것으로, 평가대상 약제의 품질평가의 정도 및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대상FP(43)와 복수의 기준FP에 기초하여 특징량화된 대상FP피크특징량을 작성하고, 이 특징량으로부터 누락된 대상FP(43)의 잔존 피크로서 대상FP타입2를 작성하고, 이 대상FP타입2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각 영역에 존재하는 피크의 존재율로부터 대상FP영역분할특징량을 작성하며, 대상FP피크특징량 및 대상FP영역분할특징량을 통합하여 대상FP통합특징량을 작성하고, 대상FP통합특징량과 이 대상FP통합특징량에 대응하여 평가기준이 되는 다성분 물질의 복수의 기준FP에 기초하는 기준FP통합특징량을 비교평가하기 때문에, 대상FP피크특징량에 포함되지 않았던 대상피크의 피크도 포함하여 평가할 수가 있으므로, 평가대상 약제의 품질평가의 정도를 확실하게 향상시킬 수가 있다.
대상FP작성공정(173)에서 작성된 대상FP(43)는 3D크로마토(41)와 마찬가지로 삼차원의 정보(피크, 리텐션타임 및 UV스펙트럼)로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그 약제 특유의 정보를 그대로 계승한 데이타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데이타용량은 약 1/70으로 압축되어 있기 때문에, 3D크로마토(41)에 비교하여, 처리해야할 정보량을 대폭으로 감소시킬 수 있어서 처리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대상FP작성공정(173)은 검출파장이 상이한 복수의 FP를 합성한 FP를 작성한다. 이것에 의해 1개의 파장으로 모든 성분을 검출할 수 없는 성분이 조합된 다성분 약제라고 해도, 복수의 검출파장의 FP를 합성하는 것으로 모든 성분을 포함한 품질평가가 가능하게 된다.
대상FP작성공정(173)은 3D크로마토에서 검출된 전 피크를 포함한 FP를 작성한다. 이 때문에, 다성분 약제인 한방약의 품질평가에 적합하다.
기준FP선정공정(177)에서는 대상FP에 귀속에 적합한 기준FP를 FP간의 리텐션타임출현패턴을 비교하여, 패턴의 일치도가 우수한 기준FP를 선정한다. 이것에 의해, 피크귀속처리공정(181)에서 패턴이 유사한 FP 사이에서 귀속처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정도가 높은 귀속이 가능하게 된다.
피크패턴작성공정(179)에서는 귀속대상피크 및 귀속후보피크 각각에서 복수의 주변피크를 사용하여 망라적으로 피크패턴을 작성한다. 이것에 의해, 대상FP와 기준FP에서 FP 전체의 패턴이 다소 상이하여도, 피크귀속처리공정(181)에서 정도가 높은 귀속이 가능하게 된다.
피크귀속공정(181)에서는 피크패턴작성공정(179)에서 작성된 피크패턴의 일치도에 추가하여, 귀속대상피크와 귀속후보피크의 UV스펙트럼의 일치도도 가미하여, 귀속해야할 피크를 특정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정도가 높은 귀속이 가능하게 된다.
피크귀속공정(181)에서는 대상FP의 전 피크를 기준FP의 피크로 일제 귀속한다. 그 때문에, 효율이 좋은 귀속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평가공정(171)에서는 다차원 데이타인 다성분으로 구성된 FP를 MT법으로 MD값으로서 1차원으로 집약하고, 복수의 평가대상 로트를 간단히 비교평가한다. 이 때문에 복수의 성분으로 구성되는 다성분계 약제의 평가에 적합하다.
대상FP영역분할특징량작성공정(155)는 시그널강도축에 평행한 복수의 종분할선(141)과 시간축에 평행한 복수의 횡분할선(143)에 의해 상기 영역의 분할을 행한다.
이 때문에, 영역분할을 간소화하여, 처리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복수의 횡분할선(143)은 시그널강도가 증대하는 방향으로 등비간격으로 설정되었다.
이 때문에, 피크밀도가 높은 부분에서 영역을 세분화할 수 있고, 영역분할에 따른 피크존재율의 산출을 효율적으로 행하게 할 수 있다.
다성분 물질의 평가방법은 추가로 상기 기준FP작성공정(175)과, 기준FP피크귀속공정(159)와, 기준FP귀속결과통합공정(161)과, 기준FP피크특징량작성공정(163)과, 기준FP타입2작성공정(165)과, 기준FP영역분할특징량작성공정(167)과, 기준FP특징량통합공정(169)을 구비했다.
이 때문에, 기준FP피크특징량과 기준FP영역분할특징량을 통합한 기준FP통합특징량을 작성하고, 평가공정(171)에서 대상FP통합특징량과 비교할 수가 있어서, 평가대상 약제의 품질평가의 정도 및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가 있다.
기준FP영역분할특징량작성공정(167)은 각 영역의 위치를 변경하고 변경 후에 기준FP영역분할특징량을 작성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분석조건의 근소한 편차 등에 의해 리텐션타임이나 피크높이가 변동하여, 단일 패턴으로는 각 격자(145) 내의 값이 크게 변동하는 경우에도, 이 변동에 관계없이 각 격자(145) 내의 피크의 존재량을 포착할 수 있어서, 평가대상약제의 품질평가의 정도 및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가 있다.
기준FP영역분할특징량작성공정(167)은 시그널강도축에 평행한 복수의 종분할선(141)과 시간축에 평행한 복수의 횡분할선(143)에 의해 상기 영역의 분할을 행한다.
이 때문에 영역분할을 간소화하여, 처리속도를 높일 수가 있다.
복수의 횡분할선(143)은 시그널강도가 증대하는 방향으로 등비간격으로 설정되었다.
이 때문에, 피크밀도가 높은 부분에서 영역을 세분화할 수 있고, 영역분할에 따른 피크존재율의 산출을 효율적으로 행하게 할 수 있다.
기준FP영역분할특징량작성공정(167)은 각 종·횡분할선(141, 143)을 설정범위 내에서 평행이동시키도록 위치를 변경하는 것으로 각 영역(145)의 위치를 변경한다.
이 때문에, 각 영역(145)의 위치변동을 간단한 처리로 효율적으로 행하게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성분 약제의 평가프로그램은 각 기능을 컴퓨터에 실현시켜서, 평가의 정도 및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성분 약제의 평가장치는 각 부(3, 5, 7, 9, 11, 13, 15, 17, 19, 21, 23, 25, 27)를 작용시켜서, 평가의 정도 및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피크패턴의 일치도계산(P_Sim)의 변형례]
도 63, 도 64, 도 105에서의 피크패턴의 일치도계산(P_Sim)은 FP를 피크높이로 작성한 상기 실시예의 경우에 대하여 적용하여, 비교대상의 피크높이의 차에 기초하여 계산했다.
한편, 본 발명의 평가방법, 평가프로그램, 및 평가장치에 있어서의 피크에 대해서는 상기와 같이 시그널강도(높이)의 극대치를 의미하는 경우와, 시그널강도의 면적값(피크면적)을 높이로 표현한 것을 의미하는 경우의 어느 것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FP를 피크면적으로 작성할 때도, 면적값을 높이로 표현하여 FP를 작성하기 위해, FP로서는 상기 실시예의 피크높이로 작성하는 경우와 마찬가지의 표현이 된다. 이 때문에, FP를 피크높이로 작성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 실시예의 처리에 의해 마찬가지로 평가할 수 있다.
단, FP를 피크면적으로 작성했을 때는 비교대상의 피크값의 차가 크게 되기 때문에, 비율에 기초한 계산으로 하여, 취급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하, 비율에 기초하여 계산하는 피크패텬의 일치도(P_Sim)를 n = 2, n = 4의 경우를 예로 하여 표시한다.
n = 2의 경우
P_Sim = (p1 / p2#1) × (│r1 - (r2 + d)│ + 1)
+ (dn1 / fn1#1) × (│cn1 - r1) - (en1 - r2│ + 1)
+ (dn2 / fn2#1) × (│cn2 - r1) - (en2 - r2│ + 1)
n = 4의 경우
P_Sim = (p1 / p2#1) × (│r1 - (r2 + d)│ + 1)
+ (dn1 / fn1#1) × (│cn1 - r1) - (en1 - r2)│ + 1)
+ (dn2 / fn2#1) × (│cn2 - r1) - (en2 - r2)│ + 1)
+ (dn3 / fn3#1 ) × (│cn3 - r1) - (en3 - r2)│ + 1)
+ (dn4 / fn4#1) × (│cn4 - r1) - (en4 - r2)│ + 1)
여기서, #1 은 비교대상의 2개의 값의 비(큰 값 / 작은 값)인 것을 표시하고 있다.
또한, FP를 피크높이로 작성한 경우에도, 비율에 기초하여 피크패턴의 일치도(P_Sim)를 계산할 수 있고, FP를 피크면적으로 작성한 경우에도, 상기 높이의 차와 마찬가지로 피크면적값의 차에 기초하여 피크패턴의 일치도(P_Sim)를 얻을 수 있다.
[섭루틴2의 변형례]
도 130은 도 104 대신에 적용하는 섭루틴2의 변형례에 관한 것으로, 도 99의 '대상FP귀속처리2'에 있어서의 '섭루틴2'의 변형례의 상세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변형례에 관한 처리에 의해 UV스펙트럼의 일치도를 계산한다.
본 섭루틴2의 변형례에서는, 도 104의 섭루틴2에서 RMSD에 UV패턴의 이동평균의 경사정보(DNS)를 가미하는 처리가 가능하도록 했다. DNS는 후술의 식으로 표현되고, UV패턴에 있어서의 이동평균치의 이동경사를 2개의 패턴으로 비교한 때의 경사부호( +/- )의 불일치수로서 정의된다. 즉, DNS는 UV패턴의 극대, 극소치의 위치의 일치상태를 평가하는 값이다.
이 DNS의 정보를 상기 RMSD에 가미하는 것으로 UV스펙트럼의 파형의 일치도를 보다 정확하게 산출할 수가 있다.
도 130의 변형례에 관한 섭루틴2에 있어서, 스탭 S2001 ~ S2008는 도 104의 섭루틴2와 거의 동일하다. 단, 스탭 S2001에서는 구간1 ← w1, 구간2 ← w2의 초기설정이 추가되어 행해지고, 후술하는 이동평균, 이동경사의 계산의 구간이 이용된다.
본 변형례의 섭루틴2에서는 DNS가미를 위해 스탭 S2010 ~ S2013을 추가하고, 스탭 S2009A에서 DNS를 가미한 일치도의 계산을 가능하게 했다.
스탭 S2010에서는 'DNS를 가미함?'의 판단처리가 실행되고, DNS를 가미한다고 판단된 때는(YES), 스탭 S2011로 이행하고, DNS를 가미하지 않는다고 판단된 때는(NO), 스탭 S2009A로 이행한다. DNS를 가미하는지 여부의 기인(起因)은 예를 들면 초기의 설정에 따른다. 예를 들면, FP를 피크면적으로 작성했을 때는 DNS가미, FP를 피크높이로 작성한 때는 DNS비가미로 설정한다.
단, FP를 피크높이로 작성한 상기 실시예의 경우에도, DNS를 가미하는 처리에서 UV패턴일치도를 계산할 수 있고, FP를 피크면적으로 작성한 경우에도 DNS를 가미하지 않고 상기 실시예의 처리에서 UV패턴일치도를 계산할 수 있다.
스탭 S2011에서는 '구간1(w1)에서 x와 y의 이동평균을 계산'의 처리가 실행되어, 구간1(w1)에 있어서의 이동평균이 구해진다. 구간1(w1)은 UV데이타의 파장에 관한 구간이고, 스탭 S2001의 초기설정에 있어서 w1 = 3이라면 구간1(3)로 되고, 3개의 파장에 있어서의 UV강도의 평균이 구해진다. 구체적으로는 도 131의 도표에서 후술한다.
스탭 S2012에서는 '구간2(w2)에서 x와 y의 이동경사를 계산'의 처리가 실행되고, 구간2(w2)에서의 이동경사가 구해진다. 구간2(w2)는 스탭 S2011에서 구해진 이동평균에 관한 구간이고, 스탭 S2001의 초기설정에 있어서 w2 = 3이라면 구간2(3)로 되고, 스탭 S2011에서 계산한 이동평균에 기초하여, 3개의 이동평균에 걸친 경사의 (±)가 구해진다. 구체적으로는 도 131의 도표에서 후술한다.
스탭 S2013에서는 'x와 y의 이동경사의 부호의 불일치를 계산(DNS)'의 처리가 실행되고, 스탭 S2012에서 계산된 이동경사로부터 경사의 (±)의 일치수가 계산된다. 이동경사 +는 도 66에서 상승하는 것을 표시하고, 이동경사 -는 하강하는 것을 표시한다.
스탭 S2013으로부터 스탭 S2009A로 이행하면, 이 스탭 S2009A의 처리에 있어서 DNS를 가미한 일치도의 계산이 행해진다.
스탭 S2009A에서는 'x와 y의 UV스펙트럼의 일치도를 계산(U_Sim)'의 처리가 실행되고, DNS를 가미한 일치도의 계산에서는 UV_Sim을 상기 UV스펙트럼간 거리의 제곱합(z)과 x의 데이타수 a와 DNS로부터
UV_Sim = √ ( z / a ) × 1. 1DNS
로 산출하여, 이 UV_Sim을 도 81의 스탭 S306으로 넘기고, UV스펙트럼의 일치도계산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스탭 S2010으로부터 스탭 S2009A로 이행한 경우의 처리는 도 86의 스탭 S2009와 동일하다.
도 131은 이동평균 및 이동경사의 계산 예를 도시하는 도표이다.
도 131의 상단은 UV데이타 예, 중단은 이동평균의 계산 예, 하단은 이동경사의 계산 예를 도시한다. UV데이타 예는 구체적인 수치로 대입하고, UV강도를 a1 ~ a7으로 표기하고 있다. 예를 들면, 220nm의 UV강도가 a1, 221nm의 UV강도가 a2 등으로 된다. 이동평균의 계산 예 및 이동경사의 계산 예도 구체적인 수치로 대입하여, UV강도 a1 ~ a7을 사용하고 있다.
이동평균은 구간1(w1 = 3)을 예로 하여, 스탭 S2012(도 130)에서 구간(a1, a2, a3), 구간(a2, a3, a4), … 마다 계산한 값으로 하여 m1, m2, …가 계산된다. 이동경사도 구간2(3)를 예로 하여, 스탭 S2013(도 130)에서 구간(m1, m2, m3), 구간(m2, m3, m4), … 마다 계산한 값으로 하여 s1, …가 계산된다. 예를 들면, 이동평균의 차 m3 - m1이 이동경사가 되고, 그의 (±)를 취출한다.
이렇게 하여, FP를 피크면적으로 작성한 때는 기준군FP로의 귀속처리 및 기준FP귀속결과통합처리에서 DNS를 가미한 처리로 UV패턴일치도를 계산할 수 있다. 이 계산에 의해, 도 66에 도시하는 대응하는 2점의 거리(dis)가 피크높이로 작성한 FP에 비교하여 크게 되어도, 취급을 용이하게 하고, UV패턴일치도를 정확히 계산할 수 있다.
[기타]
본 발명 실시예의 패턴 또는 FP의 특징량작성방법, 작성프로그램, 및 작성장치에서는 FP를 피크면적으로 작성할 때는 시그널강도축을 시그널강도를 면적치로 하여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성분 약제로서 한방약의 평가에 대해서 적용했지만, 그 외의 다성분 물질의 평가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대상FP타입2 또는 기준FP타입2에 대해서 영역분할특징량을 작성했지만, 대상FP, 기준FP에 대하여 영역분할특징량을 작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시계열에서 피크가 변화하는 패턴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각 영역에 존재하는 피크의 존재율 또는 존재량으로부터 패턴영역분할특징량을 작성하는 패턴영역분할특징량작성공정을 구비하는 것이라면,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가 있다.
상기 실시예의 FP는 3D크로마토 상에서의 전 피크를 대상으로 했지만, 미세한 데이타, 예를 들면 3D크로마토 상에서 피크면적이 5% 미만의 피크를 제외하고 FP를 작성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의 FP는 피크높이에 기초하여 작성하여, 도 87 ~ 도91의 평가를 얻었지만, 피크면적에 기초하여 FP를 작성한 경우에 대해서도, 피크높이에 기초하여 작성한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수순에 의해 MT법에 의해 MD값을 구하여, 도 87 ~ 도 91과 마찬가지로 평가를 얻을 수가 있다.
크로마토는 3D크로마토에 한하지 않으며, FP로서 UV스펙트럼을 제외한 피크와 그 리텐션타임으로 구성된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UV스펙트럼의 일치도를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행하게 할 수가 있다.
1 다성분 약제의 평가장치 (패턴의 평가장치)
3 FP작성부
5 대상FP피크귀속부
7 대상FP피크특징량작성부
9 대상FP타입2작성부
11 대상FP영역분할특징량작성부
13 대상FP특징량통합부
15 기준FP피크귀속부
17 기준F귀속결과통합부
19 기준FP피크특징량작성부
21 기준FP타입2작성부
23 기준FP영역분할특징량작성부
25 기준FP특징량통합부
27 평가부
31 기준FP작성부
33 기준FP선정부
35 피크패턴작성부
37 피크귀속부
39 한방약
41 3D크로마토
42 대상FP에 포함되는 피크의 UV스펙트럼
43 대상FP
45 기준군FP
47 기준군FP에 귀속한 대상FP
49 대상FP타입2
51 대상FP영역분할특징량
53 대상FP의 평가결과
55 약제A의 FP
57 약제B의 FP
59 약제C의 FP
61 대상FP (리텐션타임 10.0 - 14.5분)
63, 65, 67, 69, 71, 73, 75, 77, 79, 81 대상FP (리텐션타임 10.0 - 14.5분) 중의 각 피크
83 기준FP (리텐션타임 10.0 - 14.5 분)
85, 87, 89, 91, 93, 95, 97, 99, 101, 103, 105 기준FP (리텐션타임 10.0 - 14.5 분) 중의 각 피크
107 대상FP리텐션타임출현패턴
109 기준FP리텐션타임출현패턴
111 리텐션타임출현거리의 일치수
115 대상FP귀속대상피크의 피크패턴(3개)
117, 119, 121, 123 기준FP귀속후보피크의 피크패턴(3개)
125 대상FP귀속대상피크의 피크패턴(5개)
127, 129, 131, 133 기준FP귀속후보피크의 피크패턴(5개)
135 귀속대상피크의 UV스펙트럼
139 귀속후보피크의 UV스펙트럼
141 종영역분할선
143 횡영역분할선
145 종·횡영역분할선에 의해 분할된 각 영역(격자)
147 각 영역을 피크높이의 비율로 수량화(특징량화)한 결과 예
148 FP작성공정
149 대상FP피크귀속공정
151 대상FP피크특징량작성공정
153 대상FP타입2작성공정
155 대상FP영역분할특징량작성공정 (패턴영역분할특징량작성공정, FP영역분할특징량작성공정)
157 대상FP특징량통합공정
159 기준FP피크귀속공정
161 기준F귀속결과통합공정
163 기준FP피크특징량작성공정
165 기준FP타입2작성공정
167 기준FP영역분할특징량작성공정 (패턴영역분할특징량작성공정, FP영역분할특징량작성공정)
169 기준FP특징량통합공정
171 평가공정
173 대상FP작성공정
175 기준FP작성공정
177 기준FP선정공정
179 피크패턴작성공정
181 피크귀속공정
183 3D크로마토 데이타 예
185 피크정보데이타 예
187 FP데이타 예
189 판정결과파일 예
191 귀속후보피크 스코어표
193 귀속후보피크 번호표
195 조합결과파일 예
197 기준군FP데이타 예
199 대상FP피크특징량파일 예
201 FP타입2데이타 예
203 대상FP영역분할특징량파일 예
207 기준type2군FP데이타 예
209 기준군통합데이타 예

Claims (24)

  1. 시계열에서 피크가 변화하는 패턴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각 영역에 존재하는 피크의 존재율 또는 존재량으로부터 패턴영역분할특징량을 작성하는 패턴영역분할특징량작성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의 특징량작성방법.
  2. 다성분 물질의 크로마토그램 데이타로부터 검출된 피크와 그 리텐션타임으로 구성되는 핑거프린트데이타(FP)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각 영역에 존재하는 피크의 존재율 또는 존재량으로부터 핑거프린트데이타(FP)영역분할특징량을 작성하는 FP영역분할특징량작성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FP의 특징량작성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다성분 물질은 다성분 약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FP의 특징량작성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다성분 약제는 생약, 생약의 조합, 그들의 추출물, 한방약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FP의 특징량작성방법.
  5.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FP영역분할특징량작성공정은 시그널강도축 또는 면적치축에 평행한 복수의 종분할선과 시간축에 평행한 복수의 횡분할선에 의해 상기 영역의 분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P의 특징량작성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횡분할선은 시그널강도 또는 면적치가 증대하는 방향으로 등비간격으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FP의 특징량작성방법.
  7.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FP영역분할특징량작성공정은 상기 각 영역의 위치를 변경하고 변경 전후에 상기 핑거프린트데이타영역분할특징량을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P의 특징량작성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FP영역분할특징량작성공정은 상기 각 종·횡분할선을 설정범위 내에서 평행이동시키도록 위치를 변경설정하는 것으로 상기 각 영역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P의 특징량작성방법.
  9. 시계열에서 피크가 변화하는 패턴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각 영역에 존재하는 피크의 존재율 또는 존재량으로부터 패턴영역분할특징량을 작성하는 패턴영역분할특징량작성기능을 컴퓨터에 실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의 특징량작성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10. 다성분 물질의 크로마토그램 데이타로부터 검출된 피크와 그 리텐션타임으로 구성되는 핑거프린트데이타(FP)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각 영역에 존재하는 피크의 존재율 또는 존재량으로부터 핑거프린트데이타(FP)영역분할특징량을 작성하는 FP영역분할특징량작성기능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FP의 특징량작성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다성분 물질은 다성분 약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FP의 특징량작성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다성분 약제는 생약, 생약의 조합, 그들의 추출물, 한방약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FP의 특징량작성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13.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2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FP영역분할특징량작성기능은 시그널강도축 또는 면적치축에 평행한 복수의 종분할선과 시간축에 평행한 복수의 횡분할선에 의해 상기 영역의 분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P의 특징량작성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횡분할선은 시그널강도 또는 면적치가 증대하는 방향으로 등비간격으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FP의 특징량작성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15.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2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FP영역분할특징량작성기능은 상기 각 영역의 위치를 변경하고 변경 전후에 상기 핑거프린트데이타영역분할특징량을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P의 특징량작성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FP영역분할특징량작성기능은 상기 각 종·횡분할선을 설정범위 내에서 평행이동시키도록 위치를 변경설정하는 것으로 상기 각 영역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P의 특징량작성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17. 시계열에서 피크가 변화하는 패턴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각 영역에 존재하는 피크의 존재율 또는 존재량으로부터 패턴영역분할특징량을 작성하는 패턴영역분할특징량작성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의 특징량작성장치.
  18. 다성분 물질의 크로마토그램 데이타로부터 검출된 피크와 그 리텐션타임으로 구성되는 핑거프린트데이타(FP)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각 영역에 존재하는 피크의 존재율 또는 존재량으로부터 핑거프린트데이타(FP)영역분할특징량을 작성하는 FP영역분할특징량작성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FP의 특징량작성장치.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다성분 물질은 다성분 약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FP의 특징량작성장치.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다성분 약제는 생약, 생약의 조합, 그들의 추출물, 한방약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FP의 특징량작성장치.
  21. 청구항 18 내지 청구항 20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FP영역분할특징량작성부는 시그널강도축 또는 면적치축에 평행한 복수의 종분할선과 시간축에 평행한 복수의 횡분할선에 의해 상기 영역의 분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P의 특징량작성장치.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횡분할선은 시그널강도 또는 면적치가 증대하는 방향으로 등비간격으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FP의 특징량작성장치.
  23. 청구항 18 내지 청구항 20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FP영역분할특징량작성부는 상기 각 영역의 위치를 변경하고 변경 전후에 상기 핑거프린트데이타영역분할특징량을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P의 특징량작성장치.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FP영역분할특징량작성부는 상기 각 종·횡분할선을 설정범위 내에서 평행이동시키도록 위치를 변경설정하는 것으로 상기 각 영역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P의 특징량작성장치.
KR1020127032279A 2011-06-01 2012-05-31 패턴 또는 fp의 특징량작성방법, 작성프로그램, 및 작성장치 KR1014421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23849 2011-06-01
JP2011123849 2011-06-01
PCT/JP2012/003618 WO2012164956A1 (ja) 2011-06-01 2012-05-31 パターン又はfpの特徴量作成方法、作成プログラム、及び作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9406A KR20130029406A (ko) 2013-03-22
KR101442117B1 true KR101442117B1 (ko) 2014-09-18

Family

ID=47258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2279A KR101442117B1 (ko) 2011-06-01 2012-05-31 패턴 또는 fp의 특징량작성방법, 작성프로그램, 및 작성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20130204539A1 (ko)
EP (1) EP2717045B1 (ko)
JP (1) JP5912880B2 (ko)
KR (1) KR101442117B1 (ko)
CN (1) CN102959395B (ko)
HK (1) HK1181119A1 (ko)
TW (1) TW201312109A (ko)
WO (1) WO20121649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91459B2 (ja) * 2016-11-16 2021-06-18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通信装置
CN109001354B (zh) * 2018-05-30 2020-09-04 迈克医疗电子有限公司 波峰识别方法和装置、色谱分析仪及存储介质
US11977085B1 (en) 2023-09-05 2024-05-07 Elan Ehrlich Date rape drug detection device and method of using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4215A (ja) * 2001-01-12 2002-07-31 Council Scient Ind Res クロマトグラフフィンガープリントならびに単一の医薬および処方物の標準化のための新規な方法
JP2007315941A (ja) * 2006-05-26 2007-12-06 Univ Of Miyazaki 植物品種判定装置、植物品種判定方法及び植物品種判定用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23664A (en) * 1959-12-03 1962-03-06 Coleman Instr Inc Chromatographic reader
JPH01178864A (ja) * 1988-01-07 1989-07-17 Takara Shuzo Co Ltd クロマトグラム又はスペクトルの解析方法
GB0016459D0 (en) * 2000-07-04 2000-08-23 Pattern Recognition Systems As Method
CN100356380C (zh) * 2001-02-13 2007-12-19 科学与工业研究会 一种色谱指纹图谱和单一药物和制剂标准化的新方法
JP3899041B2 (ja) * 2003-02-07 2007-03-28 真一 臼井 リポタンパク質の分析方法及び分析プログラム
JP4185933B2 (ja) 2003-03-31 2008-11-26 株式会社メディカル・プロテオスコープ 試料解析方法及び試料解析プログラム
US7178386B1 (en) * 2003-04-10 2007-02-20 Nanostream, Inc. Parallel fluid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AU2005208148A1 (en) * 2004-01-28 2005-08-11 Council Of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A method for standardization of chemical and therapeutic values of foods & medicines using animated chromatographic fingerprinting
CN1965233B (zh) * 2004-06-07 2013-03-13 株式会社津村 多成分药剂的评价方法
EP1812079A4 (en) * 2004-10-15 2012-07-25 Spectral Dimensions Inc EVALUATION OF PHARMACEUTICAL MIXTURES
JP4355281B2 (ja) * 2004-12-13 2009-10-28 株式会社インテックシステム研究所 ピーク抽出方法およびピーク抽出装置
US8323575B2 (en) * 2005-05-12 2012-12-04 Waters Technologies Corporation Visualization of chemical-analysis data
JP4746391B2 (ja) * 2005-09-21 2011-08-10 アサヒビール株式会社 飲食品の機能性および/または呈味性の設計方法および飲食品
JP4837520B2 (ja) * 2006-10-16 2011-12-14 アングルトライ株式会社 スペクトル波形パターンの領域分割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905265B2 (ja) * 2007-06-18 2012-03-28 株式会社島津製作所 クロマトグラフ質量分析装置用データ処理装置
US8321144B2 (en) * 2008-10-23 2012-11-27 Microsoft Corporation Non-contiguous regions processing
AU2011268310A1 (en) * 2010-06-16 2013-01-10 Abbvie Inc. Comparison of protein sampl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4215A (ja) * 2001-01-12 2002-07-31 Council Scient Ind Res クロマトグラフフィンガープリントならびに単一の医薬および処方物の標準化のための新規な方法
JP2007315941A (ja) * 2006-05-26 2007-12-06 Univ Of Miyazaki 植物品種判定装置、植物品種判定方法及び植物品種判定用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64956A1 (ja) 2012-12-06
JP2013011598A (ja) 2013-01-17
EP2717045A4 (en) 2014-11-26
US10605792B2 (en) 2020-03-31
CN102959395B (zh) 2016-03-30
TW201312109A (zh) 2013-03-16
CN102959395A (zh) 2013-03-06
HK1181119A1 (zh) 2013-11-01
EP2717045A1 (en) 2014-04-09
US20170007502A1 (en) 2017-01-12
US20130204539A1 (en) 2013-08-08
KR20130029406A (ko) 2013-03-22
EP2717045B1 (en) 2021-08-11
JP5912880B2 (ja) 2016-04-27
TWI561818B (ko) 2016-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2898B1 (ko) 피크귀속방법, 귀속프로그램, 및 귀속장치
KR101442117B1 (ko) 패턴 또는 fp의 특징량작성방법, 작성프로그램, 및 작성장치
KR101492895B1 (ko) 패턴의 평가방법, 다성분 물질의 평가방법, 평가프로그램, 및 평가장치
KR101436532B1 (ko) 패턴의 평가방법, 다성분 물질의 평가방법, 평가프로그램, 및 평가장치
KR101436534B1 (ko) 집합데이타의 유사성 평가방법, 유사성 평가프로그램 및 유사성 평가장치
KR101412655B1 (ko) Fp작성방법, 작성프로그램, 작성장치, 및 f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