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2113B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2113B1
KR101442113B1 KR1020080055341A KR20080055341A KR101442113B1 KR 101442113 B1 KR101442113 B1 KR 101442113B1 KR 1020080055341 A KR1020080055341 A KR 1020080055341A KR 20080055341 A KR20080055341 A KR 20080055341A KR 101442113 B1 KR101442113 B1 KR 101442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brush
foreign matter
cleaning unit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5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9199A (ko
Inventor
문성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5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2113B1/ko
Publication of KR20090129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9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2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2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2Cleaning ducts or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공기조화기의 공기 흡입부에 설치된 필터 프레임과; 상기 필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 흡입부로 흡입된 공기 중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와; 상기 필터를 따라 이동되게 설치되고, 상기 필터의 이물질을 청소하는 브러시가 설치되며, 상기 필터에서 청소된 이물질이 담겨되는 이물질 공간을 갖는 필터 청소 유닛과; 상기 필터 청소 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필터 청소 유닛을 이동시키는 구동기구와; 상기 필터 청소 유닛이 이동되어 이물질 흡입 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필터 청소 유닛으로 흡입력을 작용하도록 설치된 흡입 기구와; 상기 필터 청소 유닛이 이동되어 상기 이물질 흡입 위치의 반대편에 위치될 때 상기 브러시와 접촉되어 상기 브러시의 이물질을 상기 이물질 공간으로 떨어트리는 브러시 이물질 분리수단을 포함하여, 브러시의 이물질이 브러시에 남지 않고 필터 청소 유닛으로 떨어진 후 흡입 기구로 흡입되므로, 브러시가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고 브러시에 이물질이 계속하여 붙어 있는 경우 보다 필터 청소 능력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공기조화기, 필터, 필터 청소 유닛, 브러시, 브러시 이물질 분리 수단

Description

공기조화기{Ceiling type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필터를 청소하는 브러시를 갖는 필터 청소 유닛이 설치되고 브러시의 이물질에 붙은 이물질이 필터 청소 유닛의 내부로 털어지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압축기와 응축기와 팽창기구와 증발기를 이용하여 실내를 냉방/난방 시키는 장치로서, 공기를 정화시키는 정화 유닛을 설치할 경우, 실내를 정화시키는 기능도 하게 된다.
상기 공기조화기에는 여러 종류의 정화 유닛이 설치되고, 특히 공기 중의 이물질이 걸러지는 필터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여, 공기조화기의 작동시 필터에 의해 공기 중의 이물질이 걸러지면서 실내를 정화되게 하고, 필터를 분리하여 청소하거나 교체한다.
상기와 같은 필터는 이물질이 많이 있을 경우, 공기의 흡입 능력을 저하시키므로, 주기적으로 청소하거나 교체할 필요가 있으나, 청소나 교체 작업시 사용자 등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고, 필터가 장시간 청소되거나 교체되지 않는 경우도 있 으므로, 필터 청소 장치를 공기조화기에 설치하여 필터 청소 장치 자체가 필터를 청소할 경우 공기조화기 사용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226331호에는 필터브러시가 필터를 따라 이동되면서 필터의 먼지를 털어내고, 사용자 등이 필터 청소 작업시 공기조화기와 별도로 이루어진 흡인노즐을 공기조화기에 설치된 필터브러시에 접속시킨 후 흡인노즐을 인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필터브러시가 필터를 청소하는 공기조화장치의 실내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일본 공개특허공보 에 개시된 공기조화기는, 필터의 청소를 위해 흡인노즐를 필터브러시에 수동으로 접속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천장의 높이가 높은 경우 필터브러시에 흡입노즐을 접속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필터브러시에서 흡인노즐로 흡인되지 못한 이물질에 의해 청소 능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1-99479호에는 띠 형상의 에어 필터를 실내기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한 조출/권취용 축 사이에 걸쳐 흡입부에 이면으로부터 임하도록 걸치고, 한쪽축을 모터 등에 의해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에어 필터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며, 이 에어 필터의 하단부 근방에 에어 필터에 부착된 먼지를 청소하는 청소용 브러시를 설치함과 아울러 이 청소용 브러시의 하방에 청소용 브러시에 의해 긁혀 떨어진 먼지를 회수하는 더스트 박스(dust box)를 설치한 에어 필터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1-99479호에 개시된 에어 필터 장치는, 에어 필터가 조출축과 권취용 축을 따라 회전되므로, 에어 필터의 회전을 위한 공간이 필요하여 컴팩트화되지 못하고, 에어 필터가 조출축을 따라 돌면서 에어 필터에 있던 이물이 더스트 박스 이외로 낙하될 수 있어 오히려 지저분해 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청소용 브러시에 긁혀 떨어진 먼지 중 일부가 청소용 브러시에 붙게 되므로, 에어 필터의 청소 능력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서 청소용 브러시를 주기적으로 청소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필터 청소 유닛이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고, 필터 청소 유닛의 이물질의 처리 능력이 높은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잦은 이물질 처리 작업이 필요하지 않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기조화기 자체가 필터를 청소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조화기의 공기 흡입부에 설치된 필터 프레임과; 상기 필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 흡입부로 흡입된 공기 중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와; 상기 필터를 따라 이동되게 설치되고, 상기 필터의 이물질을 청소하는 브러시가 설치되며, 상기 필터에서 청소된 이물질이 담겨되는 이물질 공간을 갖는 필터 청소 유닛과; 상기 필터 청소 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필터 청소 유닛을 이동시키는 구동기구와; 상기 필터 청소 유닛이 이동되어 이물질 흡입 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필터 청소 유닛으로 흡입력을 작용하도록 설치된 흡입 기구와; 상기 필터 청소 유닛이 이동되어 상기 이물질 흡입 위치의 반대편에 위치될 때 상기 브러시와 접촉되어 상기 브러시의 이물질을 상기 필터 청소 유닛 내부로 떨어트리는 브러시 이물질 분리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필터 프레임은 장방형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길이방향 일측에 상기 흡입 기구가 연통되는 흡입 기구 연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브러시 이물질 분리수단은 상기 흡입 기구 연통부의 반대편에 설치된다.
상기 브러시는 상기 필터 청소 유닛의 이동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상기 이물질 털이수단은 상기 필터 청소 유닛의 이동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복수개의 털이부를 포함한다.
상기 이물질 털이수단은 상기 필터 청소 유닛의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털이부가 이격되게 돌출 형성된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 프레임과 필터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브러시의 이물질을 털어내도록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필터 청소 유닛이 이동되어 이물질 흡입 위치의 반대편에 위치될 때 브러시와 접촉되어 브러시의 이물질을 필터 청소 유닛 내부로 떨어트리고, 필터 청소 유닛이 이동되어 이물질 흡입 위치에 위치될 때 흡입 기구로 흡입되므로, 브러시에 이물질이 남지 않고 브러시가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고, 브러시에 의한 필터의 청소 능력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의 천장측 내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송풍기(1)와 열교환기(미도시)와 정화유닛 등의 공조부품이 설치된 케이스(2)와, 케이스(2)의 하부에 배치되고 실내로 노출되며 공기 흡입구(6)와 공기 토출구(8)가 형성된 베이스 패널(10)을 포함한다.
케이스(2)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길게 형성된다.
베이스 패널(10)에는 공기 흡입구(6)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고 공기 흡입구(6)를 여닫는 흡입 베인(12)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공기 토출구(8)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고 공기 토출구(8)를 여닫는 토출 베인(14)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베이스패널(10)은 케이스(2)의 저면을 덮되 케이스(2) 보다 넓게 형성되고, 대략 직사각형의 판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베이스패널(10)은 공기 흡입구(4)와 공기 토출구(6)가 베이스패널(10)의 장방향으로 길게 형성됨과 아울러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고, 흡입 베인(12)과 토출 베인(14)은 그 회전 중심이 베이스패널(10)의 장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와 같은 공기조화기는 송풍기(1)의 구동시 실내의 공기가 베이스 패널(10)의 공기 흡입구(6)를 통해 흡입되어 케이스(2) 내부로 흡입되어 공조부품에 의해 공조된 후 베이스 패널(10)의 공기 토출구(8)를 통해 실내로 토출된다.
도 2는 도 1에 케이스에서 베이스 패널이 분리되었을 때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케이스에서 베이스 패널이 분리된 저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케이스(2)는 베이스 패널(10)의 공기 흡입구(6) 상측에 공기 흡입부(22)가 형성하고, 베이스 패널(10)의 공기 토출구(8) 상측에 공기 토출부(24)가 형성된다.
케이스(2)는 공기 흡입부(22)에 공기 흡입부(22)로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정화기구(30)가 설치된다.
정화기구(30)는 공기 흡입부(22)에 설치된 필터 프레임(32)과, 필터 프레임(32)에 설치되어 공기 흡입부(22)로 흡입된 공기 중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38)를 포함한다.
필터 프레임(32)은 공기 흡입부(22)의 하부에 위치되고 케이스(2)의 장방향 으로 길게 형성된다.
필터(38)는 하나가 필터 프레임(32)과 같이 장방형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복수개가 필터 프레임(32)의 장방형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필터(38)는 공기조화기가 운전됨에 따라 공기 중의 이물질이 쌓이게 되는데, 공기조화기 자체에 설치된 청소기구(40)에 의해 이물질이 처리된다.
청소기구(40)는 공기조화기의 운전 적산시간이 설정 시간을 경과하거나 사용자 등이 필터 청소 명령을 입력하거나 일정 시간 간격으로 필터(38)를 자동 청소하는 것으로서, 필터 청소 유닛(42)과, 구동기구(50)와, 흡입 기구(60)를 포함한다.
필터 청소 유닛(42)은 필터(38)를 따라 이동되면서 필터(38)의 이물질를 필터(38)에서 분리시키고, 필터(38)에서 분리된 이물질을 받아 흡입기구(60)로 운반시키는 것으로서, 필터(38)를 따라 이동되게 배치된다.
구동기구(50)는 필터 청소 유닛(42)에 연결되어 필터 청소 유닛을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필터 프레임(32)에 설치된다.
흡입 기구(60)는 필터 청소 유닛(42)이 이동되어 도 4에 도시된 이물질 흡입 위치(A)에 위치될 때 필터 청소 유닛으로 흡입력을 작용하는 것으로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청소 송풍기(62)와, 청소 송풍기(62)에 연결되어 이물질과 공기가 분리되고 공기와 분리된 이물질이 담겨지는 이물질 수거통(64)과, 필터 청소 유닛(42)이 이동되어 이물질 흡입 위치(A)에 위치될 때 필터 청소 유닛(42)과 이물질 수거통(64)을 연통시켜 청소 송풍기(62)의 구동시 필터 청소 유닛(42)으로 흡입력이 작 용되게 하는 흡인 호스(66)를 포함한다.
이물질 수거통(64)은 내부에 U 자형의 이물질 분리 유로를 형성하는 격벽 등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내부에 공기가 통과하고 이물질이 걸리지는 별도의 이물질 수집망이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흡입된 이물질과 공기가 원심 선회 유동되면서 분리되는 사이클론으로 이루어는 것도 가능하다.
흡인 호스(66)는 일단이 이물질 수거통(64)에 연결되고 타단이 필터 프레임(32) 특히 도 4에 도시된 후술하는 흡입 기구 연통부(36)에 연결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필터 프레임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필터 프레임에서 필터가 분리된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에 도시된 B-B선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4에 도시된 필터 청소 유닛이 도 4에 도시된 C에 도달되었을 때의 확대 사시도이다.
필터 프레임(32)에는 필터(38)가 올려져 장착되는 필터 장착부(33)가 형성된다.
필터 프레임(32)에는 필터 청소 유닛(42)이 필터 프레임(32)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게 안내하면서 필터 청소 유닛(42)이 하측 방향으로 탈거되지 않게 하는 청소유닛 가이드(34)(35)가 결합된다.
청소유닛 가이드(34)(35)는 필터 청소 유닛(42)의 이동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필터 프레임(32)은 길이방향 일측에 흡입 기구(60) 특히 흡입 호스(66)가 연통되게 연결되는 흡입 기구 연통부(36)가 형성되고, 길이방향 타측 즉, 흡입 기구 연통부(36)의 반대편에 필터 청소 유닛(42)의 후술하는 브러시(44) 자체에 붙은 이물질과 브러시(44)와 브러시(44) 사이에 낀 이물질을 브러시(44)에서 분리시켜 필터 청소 유닛(42) 내부 특히 후술하는 이물질 공간(46)으로 떨어트리는 브러시 이물질 분리수단(39)이 설치된다. 이물질 분리수단(39)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필터 청소 유닛(42)은 필터(38)와 접촉되어 필터(38)의 이물질을 필터(38)에서 떼어내면서 쓸어내는 브러시(44)가 설치되며, 필터(38)에서 청소된 이물질이 담겨지는 이물질 공간(46)을 갖는다.
브러시(44)는 필터 청소 유닛(42)의 상측을 향해 돌출되게 설치되고, 복수개가 필터 청소 유닛(42)의 이동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다.
필터 청소 유닛(42)은 필터(38)에서 낙하된 이물질이 이물질 공간(46)으로 유입되도록 상면에 이물질이 통과하는 이물질 유입구(47)가 이물질 공간(46) 상측에 개구 형성된다.
필터 청소 유닛(42)은 브러시(44)가 필터(38)와 접촉될 때 필터(38)에서 분리된 이물질이 필터 청소 유닛(42)의 이동 방향에 상관없이 이물질 유입구(47)를 통과하여 이물질 공간(46)으로 낙하될 수 있도록 브러시(44)가 필터 청소 유닛(42)의 이동 방향으로 이물질 유입구(47)의 중앙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필터 청소 유닛(42)은 청소유닛 가이드(34)(35)를 따라 구르면서 필터 청소 유닛(42)의 회전을 안내하는 롤러(48)가 설치된다.
필터 청소 유닛(4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 흡입 위치(A)에 위치 될 때 흡입 기구 연통부(36)로 삽입되어 접속되는 청소 유닛 연통부(49)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필터 청소 유닛(4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 유닛 연통부(49)가 흡입 기구 연통부(36)와 접속되는 위치일 때, 필터 청소 유닛(42)의 이물질 공간(46) 내 이물질이 흡입 유닛(60)으로 흡입되는 이물질 흡입 위치(A)이고, 브러시(44)가 흡입 기구 연통부(36)의 반대편에 설치된 이물질 분리수단(39)과 접촉되는 위치일 때 브러시(44)의 이물질이 브러시(44)에서 분리되어 이물질 공간(46)으로 낙하되는 브러시 이물질 분리 위치(C)이며, 필터 청소 유닛(42)은 청소 운전시 구동기구(50)에 의해 이물질 흡입 위치(A)와 브러시 이물질 분리 위치(C)를 적어도 1회 왕복 이동된다.
즉, 필터 청소 유닛(42)은 도 4에 도시된 이물질 흡입 위치(A)에서 브러시 이물질 분리위치(C)를 향해 이동되면서 브러시(44)가 필터(38)와 접촉되어 필터(38)의 이물질을 이물질 공간(46)으로 쓸어내고, 이물질 분리위치(C)에 도달되었을 때, 브러시(44)가 이물질 분리수단(39)과 접촉되어 브러시(44)에 붙은 이물질이 이물질 공간(46)으로 떨어지며, 다시 이물질 분리위치(C)에서 다시 이물질 흡입 위치(A)를 향해 이동되면서 필터(38)와 재접촉되면서 필터(38)에 잔존하는 잔여 이물질을 이물질 공간(46)으로 쓸어낸다.
구동기구(50)는 필터 프레임(32)의 길이방향 일측에 배치되고 회전축을 갖는 구동모터(52)와, 구동모터(52)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구동풀리(54)와, 길 이방향 타측에 배치되고 연동풀리(56)와, 구동풀리(54)와 연동풀리(56)에 감김되고 구동풀리(54)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며 필터 청소 유닛(42)의 일측에 연결된 와이어벨트(58)를 포함한다.
한편, 이물질 분리수단(39)은, 필터 청소 유닛(32)의 이동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필터 청소 유닛(42)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털이부(39A)를 포함한다.
복수개의 털이부(39A)는 필터 청소 유닛(42)가 브러시 이물질 분리 위치(C)로 이동되었을 때 필터 청소 유닛(42)의 브러시(44)와 마찰되면서 브러시(44)에 붙은 이물질을 브러시(44)에서 분리시키는 것으로서, 브러시(44)를 휘게 하거나 브러시(44)와 브러시(44) 사이로 진입되게 설치된다.
복수개의 털이부(39A)는 프론트 프레임(32)에서 일체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프론트 프레임(32)과 별도로 제조되어 프론트 프레임(32)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그 서비스나 청소, 제작 편의성 등을 위해 필터 프레임(32)과 별도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하 프론트 프레임(32)과 별도로 제조되어 필터 프레임(32)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이물질 털이수단(38)은 필터 청소 유닛(42)의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복수개의 털이부(39A)가 이격되게 돌출 형성된 연결부(39B)를 포함한다.
여기서, 연결부(39B)는 복수개의 털이부(39A)를 일체화하는 것으로서, 필터 프레임(32)에 접착재 등에 의해 필터 프레임(32)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고, 필터 프레임(32)에 형성된 연결부 장착부에 끼워져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연결부(39B)는 복수개의 털이부(39A)가 대략 수평하게 배치되게 필터 프레임(32)에 장착된다.
한편, 본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이물질 털이수단(38) 이외에 필터 프레임(32)과 필터(38) 중 적어도 하나에 브러시(44)의 이물질을 털어내는 돌출부(32A)(38A)가 형성된다.
돌출부(32A)(38A)는 상기 이물질 털이수단(38)과 같이 브러시(44)를 휘게 하거나 브러시(44)와 브러시(44) 사이로 진입되어 브러시(44)에 붙은 이물질을 브러시(44)에서 떨어트리는 것으로서, 필터 청소 유닛(42)의 이동 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하 필터 프레임(32)과 필터(38)에 각각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이물질 털이수단(38)은 브러시(44)와 동일 수평선상에서 브러시(44)와 접촉되면서 브러시(44)의 이물질을 이물질 공간(46)으로 분리시키고, 돌출부(32A)(38A)는 브러시(44)와 동일 수직선상에서 브러시(44)와 마찰되면서 브러시(44)의 이물질을 이물질 공간(46)으로 분리시킨다.
필터 프레임(32)은 필터 청소 유닛(42)의 이동 방향으로 중앙에 리브가 필터 청소 유닛(42)의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필터 프레임(32)의 돌출부(32A)는 필터 프레임(32)의 리브에 하향 돌출되게 형성되고, 필터 프레임(32)의 리브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복수개 형성된다.
필터(38)는 필터 프레임(32)에 복수개 설치되고, 복수개가 필터 프레임(32) 의 리브를 사이에 두고 필터 청소 유닛(42)의 이동 방향으로 전후 설치된다.
필터(38)는 필터 청소 유닛(42)의 이동 방향으로 중앙에 리브가 필터 청소 유닛(42)의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필터(38)의 돌출부(38A)는 필터(38)의 리브에 하향 돌출되게 형성되고, 필터(38)의 리브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복수개 형성된다.
참조 부호 70은 필터 청소 유닛(42)이 이물질 흡입 위치(A)에 위치하는지를 감지하는 제 1 위치감지센서이고, 참조 부호 72는 필터 청소 유닛(42)이 브러시 이물질 분리 위치(C)에 위치하는지를 감지하는 제 2 위치감지센서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조화기를 운전 조작하는 조작부(80)와, 공기조화기의 운전 적산 시간 등을 카운트하는 카운터(82)와, 필터(38)의 먼지량을 감지하는 먼지량 감지센서(84)와, 조작부(80)의 조작과 카운터(82)의 카운트 결과와 먼지량 감지센서(84)의 감지 결과와 제 1,2 위치감지센서(70)(72)의 감지 결과에 따라 공기조화기를 제어하는 제어부(84)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어부(84)는 조작부(80)를 통해 필터 청소 명령이 입력되거나, 카운터(82)에서 감지된 공기조화기의 운전 적산 시간이 설정 시간 이상이거나, 먼지량 감지센서(84)에서 감지된 필터(38)의 먼지량이 설정치 이상이면, 공기조화기를 필터 청소 운전시킨다.
제어부(84)는 필터 청소 운전시 필터 청소 유닛(32)이 이물질 흡입 위치(A)에서 브러시 이물질 분리 위치(C)를 향해 이동되게 구동기구(50)의 구동모터(52)를 구동시킨다.
상기와 같은 구동모터(52)의 구동시, 필터 청소 유닛(42)은 도 4에 도시된 이물질 흡입 위치(A)에서 브러시 이물질 분리위치(C)를 향해 이동되는 동안 브러시(44)가 필터(38)와 접촉되면서 필터(38)의 이물질을 이물질 공간(46)으로 쓸고, 이때, 필터 프레임(32)에 형성된 돌출부(32A)와 필터(38)에 형성된 돌출부(38A)가 브러시(44)에 붙은 이물질을 브러시(44)에서 털어내어 이물질 공간(46)으로 이동되게 한다.
필터 청소 유닛(42)은 브러시 이물질 분리위치(C)까지 도달되는 동안 총 3회에 걸쳐 브러시(44)에 붙은 이물질이 이물질 공간(46)으로 떨어지고, 브러시 이물질 분리위치(C)에 도달되면, 이물질 분리수단(39)의 이물질 털이부(39A)는 브러시(44)의 사이로 진입되면서 브러시(44)와 브러시(44) 사이에 낀 잔여 이물질을 이물질 공간(46)으로 떨어트린다.
즉, 필터 청소 유닛(42)은 필터(38)를 따라 이동되면서 필터(38)에서 떨어진 이물질이 이물질 공간(46)에 수거되고, 브러시(44)에 일시적으로 붙은 이물질도 돌출부(32A)(38A) 및 이물질 털이부(39A)에 의해 이물질 공간(46)에 수거된다.
한편, 필터 청소 유닛(42)이 브러시 이물질 분리 위치(C)에 도달되었을 때, 제 2 위치감지센서(72)가 이를 감지하고, 제어부(84)는 필터 청소 유닛(32)이 브러시 이물질 분리 위치(C)에서 이물질 흡입 위치(A)를 향해 이동되게 구동기구(50)의 구동모터(52)를 역구동시킨다.
상기와 같은 구동모터(52)의 역구동시, 필터 청소 유닛(42)은 도 4에 도시된 브러시 이물질 분리위치(C)에서 이물질 흡입 위치(A)로 복귀되는 동안 브러시(44)가 필터(38)와 접촉되면서 필터(38)에 잔존하는 잔여 이물질을 이물질 공간(46)으로 쓸고, 이때, 필터 프레임(32)에 형성된 돌출부(32A)와 필터(38)에 형성된 돌출부(38A)는 브러시(44)에 잔존하는 잔여 이물질을 브러시(44)에서 털어내어 이물질 공간(46)으로 이동되게 한다.
한편, 필터 청소 유닛(42)이 이물질 흡입 위치(A)에 도달되면, 제 1 위치감지센서(70)는 이를 감지하고, 제어부(84)는 구동모터(52)의 역구동을 정지함과 아울러 흡입 기구(60)의 청소 송풍기(62)를 작동시킨다.
필터 청소 유닛(42)이 이물질 흡입 위치(A)에 도달될 때, 필터 청소 유닛(42)은 청소 유닛 연통부(49)가 흡입 기구 연통부(36)에 연통되고, 필터 청소 유닛(42)은 흡입 기구 연통부(36)와 흡입 호스(66)와 이물질 수거통(64)과 청소 송풍기(62)로 이어지는 흡입 유로와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필터 청소 유닛(42)이 흡입 기구 연통부(36)에 연통된 상태에서 청소 송풍기(62)가 작동되면, 필터 청소 유닛(42)의 이물질 공간(46)에 수거된 이물질은 흡입 기구 연통부(36)와 흡입 호스(66)를 차례로 통과하여 이물질 수거통(64)으로 이동되고, 이물질 수거통(64)에서 이물질과 공기가 분리되어 이물질은 이물질 수거통(64)의 하부에 남으며, 공기만이 청소 송풍기(62)로 유동되어 송풍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케이스에서 베이스 패널이 분리되었을 때의 사시도,
도 3은 도 1에 케이스에서 베이스 패널이 분리된 저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필터 프레임의 확대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필터 프레임에서 필터가 분리된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B-B선 단면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필터 청소 유닛이 도 4에 도시된 C에 도달되었을 때의 확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 송풍기 2: 케이스
6: 공기흡입구 8: 공기토출구
10: 베이스패널 22: 공기 흡입부
24: 공기 토출부 30: 정화기구
32: 필터 프레임 36: 흡입 기구 연통부
38: 필터 39: 이물질 분리수단
39A: 이물질 털이부 39B: 연결부
42: 필터 정화 유닛 44: 브러시
46: 이물질 공간 50: 구동기구
52: 구동모터 60: 흡입 기구
62: 청소 송풍기 64: 이물질 수거통
66: 흡인 호스 84: 제어부

Claims (5)

  1. 삭제
  2. 공기조화기의 공기 흡입부에 설치된 필터 프레임과;
    상기 필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 흡입부로 흡입된 공기 중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와;
    상기 필터를 따라 이동되게 설치되고, 상기 필터의 이물질을 청소하는 브러시가 설치되며, 상기 필터에서 청소된 이물질이 담겨되는 이물질 공간을 갖는 필터 청소 유닛과;
    상기 필터 청소 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필터 청소 유닛을 이동시키는 구동기구와;
    상기 필터 청소 유닛이 이동되어 이물질 흡입 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필터 청소 유닛으로 흡입력을 작용하도록 설치된 흡입 기구와;
    상기 필터 청소 유닛이 이동되어 상기 이물질 흡입 위치의 반대편에 위치될 때 상기 브러시와 접촉되어 상기 브러시의 이물질을 상기 이물질 공간으로 떨어트리는 브러시 이물질 분리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 프레임은 장방형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길이방향 일측에 상기 흡입 기구가 연통되는 흡입 기구 연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브러시 이물질 분리수단은 상기 흡입 기구 연통부의 반대편에 설치된 공기조화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는 상기 필터 청소 유닛의 이동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상기 이물질 털이수단은 상기 필터 청소 유닛의 이동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복수개의 털이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털이수단은 상기 필터 청소 유닛의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털이부가 이격되게 돌출 형성된 연결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프레임과 필터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브러시의 이물질을 털어내도록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된 공기조화기.
KR1020080055341A 2008-06-12 2008-06-12 공기조화기 KR101442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5341A KR101442113B1 (ko) 2008-06-12 2008-06-12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5341A KR101442113B1 (ko) 2008-06-12 2008-06-12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9199A KR20090129199A (ko) 2009-12-16
KR101442113B1 true KR101442113B1 (ko) 2014-09-18

Family

ID=41689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5341A KR101442113B1 (ko) 2008-06-12 2008-06-12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21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6156B1 (ko) 2013-11-21 2020-08-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2199380B1 (ko) 2014-01-17 2021-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09224646A (zh) * 2018-09-21 2019-01-18 安徽中研理工仪器设备有限公司 一种带有除尘装置的空气净化设备
CN111306642B (zh) * 2020-03-26 2024-03-0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具有反向出风清理效果的空调机组及控制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01116A (ja) 2005-10-06 2007-04-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のフィルター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01116A (ja) 2005-10-06 2007-04-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のフィルター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9199A (ko) 2009-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38758C1 (ru) Воздухоочиститель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воздухоочистителем
JP4206797B2 (ja) 空気調和機
JP4182328B2 (ja) 空気調和機
KR100882548B1 (ko) 전기 청소기 및 그 구동 방법
KR100729716B1 (ko) 진공청소기
KR20190023212A (ko) 공기청정기
JP4154574B2 (ja) 空気調和機
KR20090060601A (ko) 공기조화기와 그 필터 청소방법 및 필터 청소 장치
KR101876224B1 (ko) 공기정화유닛
EP3360619B1 (en) A filter cleaning device for an air-conditioner
EP3360610B1 (en) A filter cleaning device for an air-conditioner
CN101910743A (zh) 空调装置的室内机组
KR101442113B1 (ko) 공기조화기
US20070095027A1 (en) Automatic cleaning system for filtration of an air circulation system
JP2004156794A (ja) 空気調和機
KR100902921B1 (ko) 공기 청정기 및 그 운전 제어 방법
CN101910746B (zh) 空调装置的室内机组
KR20090085365A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1633789B1 (ko) 공기조화기
KR101420321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4269141B2 (ja) 空気調和機
JP2008180507A (ja) 空気調和機
KR20090044786A (ko) 공기조화기
JP4134768B2 (ja) 空気調和機
KR20060075978A (ko) 공기조화기의 필터청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