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2007B1 - 호환성 광 레코딩 매체 - Google Patents

호환성 광 레코딩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2007B1
KR101442007B1 KR1020097017793A KR20097017793A KR101442007B1 KR 101442007 B1 KR101442007 B1 KR 101442007B1 KR 1020097017793 A KR1020097017793 A KR 1020097017793A KR 20097017793 A KR20097017793 A KR 20097017793A KR 101442007 B1 KR101442007 B1 KR 101442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mark
land
optical recording
recor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7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6754A (ko
Inventor
조아킴 니텔
Original Assignee
톰슨 라이센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톰슨 라이센싱 filed Critical 톰슨 라이센싱
Publication of KR20090116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6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2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2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07Tracks or pits;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thereof
    • G11B7/24085P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11B7/013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for discrete information, i.e. where each information unit is stored in a distinct discrete location, e.g. digital information formats within a data block or sect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07Tracks or pits;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07Tracks or pits;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thereof
    • G11B7/24073Tracks
    • G11B7/24079Width or depth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01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for track following onl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01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for track following only
    • G11B7/0906Differential phase difference syste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Landscapes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Optical Record Carriers And Manufacture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코딩가능한 광 레코딩 매체(10) 포맷에 대한 것으로서, 이 매체는 임의의 표준 플레이어 및 레코더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광 레코딩 매체(10)는 랜드(5) 및 홈(4)의 구조를 갖는 레코딩 층(2)을 구비하는데, 이 구조는 레코딩된 마크(6)를 갖지 않는 레코딩 층(2)의 영역에는 강한 푸시-풀(push-pull) 신호를, 그리고 레코딩된 마크(6)를 갖는 레코딩 층(2)의 영역에는 작은 푸시-풀 신호를 생성한다.

Description

호환성 광 레코딩 매체{COMPATIBLE OPTICAL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레코딩가능한 광 레코딩 매체 포맷에 대한 것으로서, 이 매체는 그것이 임의의 표준 플레이어 및 레코더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오늘날 광 레코딩 매체 상의 영화 또는 소프트웨어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의 배포가 주요 배포 채널로서 확립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가게가, 대부분의 요청된 타이틀을 주문할 필요없이 고객에게 즉시 제공할 수 있도록 대량의 타이틀을 비축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대량 비축에 대한 필요를 줄이기 위해 네트워크를 통한 배포 또는 주문형 제작을 위한 몇 가지 해결책이 제안되어 왔다. 광 레코딩 매체, 통상적으로 DVD(디지털 다용도 디스크)는 타이틀이 고객에 의해 요청되자마자 레코딩된다. 가게 내에 제공된 특수한 레코더를 가지고, 키오스크 타입의 레코딩 단말기를 가지고,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특수한 고객 레코더에 의해 행해진다. 이러한 특수한 레코더는 DVD가 특수하게 완성된 레코딩가능한 DVD인 경우에도 DVD가 CSS-암호화된 DVD-비디오(ROM) 디스크의 외관을 갖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레코딩 가능한 DVD에 기록하게 한다. 레코딩을 위해 광 레코딩 매체는 홈 구조를 가져서 광 픽업 유닛을 광 레코딩 매체에 대해 가이드하게 한다.
위에서 설명된 해결책을 추가적인 배포 채널로서 확립하기 위해, 레코딩된 광 레코딩 매체는 가능한 많은 표준 플레이어 및 레코더와 호환해야 한다. 이것은 보통, 플레이어에 대해 문제가 되지 않으나, 이 상황은 레코더에서는 다르다. 복제 방지 메커니즘으로서 레코더에서 사용된 일부 광 픽업은 판독 전용 매체로서 표시된 광 레코딩 매체로부터 데이터를 검색하도록 허용하지 않는데 이는 이 매체가 실제로 레코딩가능한 광 레코딩 매체인 경우이다. 이러한 비호환성은 회피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레코딩가능한 광 레코딩 매체용 포맷을 제안하는 것으로서, 이 포맷은 대부분의 플레이어 및 레코더를 위한 판독 전용 광 레코딩 매체의 외관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목적은 랜드 및 홈의 구조를 구비하는 레코딩 층을 갖는 광 레코딩 매체에 의해 달성되는데, 이 구조는 레코딩된 마크를 갖지 않는 레코딩 층의 영역에는 강한 푸시-풀(push-pull) 신호를, 그리고 레코딩된 마크를 갖는 레코딩 층의 영역에는 작은 푸시-풀 신호를 생성한다는 장점을 갖는다. 유리하게는, 강한 정규화된 푸시-풀 신호의 절댓값은 0.2보다 더 크고 작은 푸시-풀 신호의 절댓값은 0.1보다 더 작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은 레코딩 층의 레코딩되지 않은 영역이 푸시-풀 트랙킹에 충분한 푸시-풀 신호를 생성한다. 동시에 홈 구조로부터 발생하는 푸시-풀 신호가 레코딩가능한 광 레코딩 매체의 표시(indication)이기 때문에, 레코딩된 영역의 감소된 푸시-풀 신호가 플레이어 및 레코더와의 호환성을 향상시킨다. 레코딩된 영역에 의해 생성된 푸시-풀 신호는 레코딩가능한 광 레코딩 매체를 위한 표시자로서 검출되기에는 너무 작다.
유리하게는, 레코딩된 마크는 부가적인 푸시-풀 신호를 생성하는데, 이 신호는 랜드 및 홈의 구조에 의해 생성된 푸시-풀 신호와의 위상차(out of phase)를 갖는다. 광 레코딩 매체의 층 스택은 기록된 마크에 의해 도입된 평균 위상 이동이 홈에 의해 도입된 위상 이동과 유사한 방식으로 설계된다. 마크가 랜드 구역 내에 위치되는 경우, 마크는 랜드 및 홈의 구조에 대해 트랙 피치의 절반만큼 이동되는 회절 격자를 생성한다. 그 결과 마크는 부가적인 푸시-풀 신호를 생성하는데, 이 신호는 바람직하게는, 랜드 및 홈의 구조에 의해 생성된 푸시-풀 신호와의 180±20도 위상차(out of phase)를 갖는다. 이것은 총 푸시-풀 크기를 감소시킨다.
광 레코딩 매체의 랜드 및 홈이 동일한 폭을 갖는 경우에, 마크의 폭은 유리하게는, 마크가 랜드 내에 레코딩될 때는 홈의 폭의 80%와 100% 내이다. 마크가 홈 내에 레코딩될 때는 마크의 폭은 유리하게는, 랜드의 폭의 80%와 100% 내이다. 이는 랜드와 홈의 구조의 대칭성이 깨지고 더 높은 차수로의 회절이 증가한다는 이점을 갖는다. 이것은 회절을 ±1차의 차수로 낮추는데, 이 차수는 푸시-풀 신호에 대해 책임이 있다. 그 결과 푸시-풀 크기가 감소된다. 마크의 폭이 홈/랜드의 폭의 100%일 때, 랜드 및 홈의 구조에 의해 야기된 어떠한 격자도 평균해서 남아 있지 않게 된다.
두 개의 트랙 유형의 폭이 상이한, 즉, 홈과 랜드가 동일한 폭을 갖지 않으며, 마크가 더 큰 트랙 유형에 기록되는 경우에, 마크의 폭은 바람직하게는, 더 작은 트랙 유형의 폭의 80%와 120% 내이다. 이것은 광 레코딩 매체의 트랙 피치가 2의 인자만큼 감소된다는 이점을 갖는다. 더 작은 트랙 피치가 더 큰 회절 각을 생성한다. 이는, 또한, ±1차의 회절 차수가 광 레코딩 매체에 의해 반사된 광 빔을 수집하기 위한 대물 렌즈의 퓨필(pupil)에 더 이상 도달하지 않음에 따라, 푸시-풀 신호가 0에 가깝다는 것을 의미한다.
유리하게는, 마크에 의해 도입된 위상 이동이, 마크가 랜드 내에 레코딩될 때에는 랜드에 대해 홈에 의해 도입된 위상 이동의 1.5 배와 2배 사이이고, 마크가 홈 내에 레코딩될 때에는 홈에 대해 랜드에 의해 도입된 위상 이동의 1.5배와 2배 사이이다.
레코딩된 광 레코딩 매체상에서 평균해서, 트랙을 따라서 이용가능한 공간의 50%만이 레코딩되는데, 이는 레코딩된 마크가 공간과 번갈아 나타나기 때문이다. 위상 이동된 격자를 가지고 푸시-풀 신호를 소멸시키기 위해, 그 평균 크기가 랜드 및 홈의 구조로부터의 크기와 유사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의 인자만큼 각 마크의 회절 크기를 증가시킴으로써 달성된다. 작은 값의 위상 이동(<π/8)에 대해, 이것은 1.5 내지 2의 인자만큼 마크의 위상 이동을 증가시키는 것에 대응한다. 푸시-풀 신호가 데이터 주파수(>10MHz)에 비해 저 주파수 신호(<5kHz)이기 때문에, 다양한 마크 패턴으로 인한 변동은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는다.
레코딩되지 않은 영역에 의해 생성된 푸시-풀 신호가 일부 플레이어 및 레코더에서 호환성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이들은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광 레코딩 매체를 레코딩하기 위한 방법에 의해 극복되는데, 이 광 레코딩 매체는 레코딩 층의 레코딩되지 않은 영역에 마크를 기록함으로써 완성된다. 이러한 레코딩되지 않은 영역에 마크를 언제나 기록하도록 레코딩 소프트웨어를 수정하는 것이 충분히 가능하다.
더 나은 이해를 위해, 본 발명이 이제 도면을 참조해서 다음 설명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명시된 특징은 또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편의에 따라 결합 및/또는 수정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도 1은 광 레코딩 매체의 일반적인 구조도.
도 2는 기록된 마크를 구비하는 발명에 따른 광 레코딩 매체의 제1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기록된 마크가 부가적인 홈에 의해 어떻게 나타날 수 있는 지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레코딩되지 않은 상태에서 도 2의 광 레코딩 매체의 구조의 모의실험도.
도 5는 도 4의 위상 이동 분포로부터 기인하는 대물 렌즈의 퓨필 내에서의 세기 분포도.
도 6은 레코딩된 상태에서 도 2의 광 레코딩 매체의 구조의 모의실험도.
도 7은 도 6의 위상 이동 분포로부터 기인하는 대물 렌즈의 퓨필 내에서의 세기 분포도.
도 8은 기록된 마크를 구비하는 발명에 따른 광 레코딩 매체의 제2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기록된 마크가 원래 홈의 깊이의 두 배의 부가적인 홈에 의해 어떻게 나타날 수 있는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원래 홈과 부가적인 홈이 평균에 있어서(in average) 어떻게 유사한지를 예시하는 도면.
다음에서, 발명이 DVD류의 광 레코딩 매체를 참조해서 설명되는데, 이 매체는 650nm 정도의 파장을 가지고 판독된다. 물론, 발명의 일반적인 아이디어는 또한, 그밖의 유형의 광 레코딩 매체에 적용가능하다.
광 레코딩 매체(10)의 일반적인 구조가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커버-층(1)이 레코딩 층(2)을 보호하며, 레코딩 층은 반사성 기판(3) 위에 놓여 있다. 레코딩 층(2)은 염료, 무기 물질 또는 위상 변경 물질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물질 은 650nm 정도의 파장에서의 레코딩에 민감하며, 650nm 정도의 파장에서의 판독을 허용한다. 물론, 레코딩 층(2)은 마찬가지로, 상이한 레코딩 파장 예컨대, 405nm에 민감할 수 있다. 레코딩 층(2)은 홈(4) 및 랜드(5)의 구조를 갖는다. 대물 렌즈(8)에 의해 집속되는 레이저 빔(7)에 의해 생성되는 레코딩된 마크(6)는 홈들(4) 사이에 위치된다.
광 레코딩 매체(10)는 임의의 표준 DVD 플레이어 또는 레코더를 가지고 판독될 수 있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이것은 광 레코딩 매체(10)의 푸시-풀 신호가 레코딩 전에 강할 것을 필요로 하는데, 그 이유는 이 신호가 트랙킹에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레코딩 후에, 푸시-풀 신호가 거의 0일 필요가 있는데, 그 이유는 일부 광 픽업, 특히 레코더 픽업의 복제 방지 특징이 푸시-풀 신호를 가지고 광 레코딩 매체로부터 비디오 자료(video material)를 재생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 경우에서의 트랙킹은 차분 위상 검출(DPD: differential phase detection)을 이용해서 행해진다.
광 레코딩 매체(10)의 랜드-홈 구조가 격자를 구성하는데, 이 격자는 집속된 레이저 빔을 격자의 상이한 회절 차수에 대응하는 수 개의 빔으로 회절시킨다. 반환 경로 상에서, 상이한 회절 차수가 대물 렌즈(8)에 의해 시준되어, 두 개의 민감 영역 A 및 B을 갖는 분할 검출기 상으로 보내진다. 광 레코딩 매체(10)의 측면 위치에 의존해서, 회절 차수 사이의 상대적 위상이 변한다. 건설적 간섭이 하나의 민감 영역 상의 세기를 증가시키는 반면에, 파괴적 간섭은 반대 면을 어둡게 한다. A와 B의 신호를 감산(subtracting)함으로써, 푸시-풀 트랙킹 신호(PP=A-B)가 획득된다. 푸시-풀 신호(PP)에 덧붙여서, 정규화된 푸시-풀 신호(NPP)가 도출될 수 있는데, 이 신호는 NPP=(A-B)/(A+B)로서 정의된다. 추가적인 세부 사항에 대해, 1990년, A. Marchant, Addison-Wesley에 의한 책 "Optical Recording"의 제7장을 참조하자.
바람직하게는, 광 레코딩 매체(10)는 레코딩되지 않은 상태에서 0.2보다 더 큰 절댓값을 갖는 정규화된 푸시-풀 신호를 가지며 레코딩된 상태에서 0.1보다 더 작은 절댓값을 갖는 정규화된 푸시-풀 신호를 갖는다. 즉, 레코딩된 상태를 위한 푸시-풀 크기가 레코딩되지 않은 상태를 위한 푸시-풀 크기에 비해 2의 인자만큼 감소된다.
푸시-풀 신호의 위에서 설명된 동작은, 기록된 마크(6)에 의해 도입된 위상 이동이 홈(4)에 의해 도입된 위상 이동과 유사한 방식으로, 광 레코딩 매체(10)의 층 스택을 설계함으로써 달성된다. 마크(6)가 랜드 구역(5)에 놓여 있는 경우, 마크(6)는 랜드-홈 구조에 대해 트랙 피치의 절반만큼 이동되는 회절 격자를 생성한다. 따라서, 마크(6)는 부가적인 푸시-풀 신호를 생성하는데, 이 신호는 랜드-홈 구조로부터의 푸시-풀 신호와의 180도(π) 위상차(out of phase)를 갖는다. 이것이 총 푸시-풀 크기를 감소시킨다.
발명에 따른 광 레코딩 매체(10)의 제1 예가 도 2에 도시된다. 이 실시예에서, 랜드(5) 및 홈(4)은 동일한 폭을 갖는다. 이러한 대칭성으로 인해, 화살표로 표시되는 입사 방사선의 비교적 큰 부분이 홈(4)에 의해 도입된 위상 이동(φ1)으로 인해 ±1차의 차수로 회절되고, 더 높은 차수로는 회절되지 않는다. 이것은 큰 푸시-풀 신호를 생성한다. 마크(6)가 광 레코딩 매체(10)의 랜드(5)에 기록되는 경우, 이 마크는 위상 이동(φ2)을 도입한다. 그 결과 이 대칭성은 깨지고 더 높은 차수로의 회절이 증가한다. 이것은 푸시-풀 신호에 대해 책임이 있는 ±1차의 차수로 회절을 낮춘다. 그 결과 푸시-풀 크기가 감소된다.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마크(6)에 의해 도입된 위상 이동(φ2)이 또한 부가적인 홈(6')으로 나타날 수 있는데, 이 홈은 기록된 마크(6)와 동일한 폭을 가지며, 이는 이러한 부가적인 홈(6')에 의해 생성된 위상 이동(φ'2)이 마크(6)에 의해 생성된 위상 이동(φ2)과 유사하다는 것을 조건으로 한다.
위의 광 레코딩 매체(10)에 대한 모의실험이 도 4 내지 도 7에 예시된다. 도 4 및 도 6은 레코딩되지 않은 상태에서 그리고 기록된 마크를 갖는 레코딩된 상태에서, 각각, 광 레코딩 매체(10)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5 및 도 7은 대물 렌즈(8)의 퓨필 내에서, 그리고 따라서 검출기 상에서, 최대 푸시-풀 크기의 경우에 대해, 결과적인 세기 분포(IXmax)를 도시한다. 도 5 및 도 7에서, 상이한 척도가 IXmax에 대해 사용된다는 것을 주목하자. 도 5의 상부 영역에서의 세기 피크가 푸시-풀 신호에 대응한다. 남아있는 피크는 어떠한 특별한 의미도 갖지 않는다.
모의실험에 사용된 광 레코딩 매체(10)의 구조는 다음 층을 갖는다:
1. 굴절률(n=1.6)을 갖는 플라스틱 기판
2. n=2.3을 갖는 50nm 두께의 절연층(ZnS-SiO2)
3. n=4.6+i*4.2를 갖는 30nm 두께의 레코딩 층(GeSbTe)
4. n=2.3을 갖는 50nm 두께의 절연층(ZnS-SiO2)
5.n=0.5+i*3.81을 갖는 200nm 두께의 반사성 알루미늄 층
홈(4)과 랜드(5)는 양쪽 다 370nm의 폭을 갖는데, 이 폭은 740nm의 트랙 피 치를 낳는다. 홈(4)은 26nm의 깊이를 갖는다.
0.65의 개구수(NA) 및 650nm의 파장이 광 레코딩 매체(10)를 판독하기 위해 이용된다. 기록된 (무정형의) GeSbTe 마크(6)의 굴절률이 n=4.2+i*1.9이다. 기록된 마크(6)가 390nm의 길이 및 320nm의 폭을 갖는다. 위상 변경 GeSbTe 층에 대한 대안으로서, 레코딩 층은 무기 레코딩 층, 예컨대 Cu/Si 이중층일 수 있다.
MM Research, Inc.에 의한 소프트웨어 회절을 이용한 모의실험이 도 4에 도시된 레코딩되지 않은 상태에 대해 -0.214의 정규화된 푸시-풀 신호를 낳는다. 도 6에 도시된 레코딩된 상태에서, 정규화된 푸시-풀 신호는 레이저 스폿이 피트(pit) 상에 놓여 있는 경우에는 +0.049이고 레이저 빔이 두 개의 피트 사이에 놓여 있는 경우에는 -0.205이다. 트랙의 50%가 마크로 덮인다고 가정하면, 평균 푸시-풀 신호는 -0.078이다. 홈(4)의 깊이를 최적화함으로써, 레코딩된 상태를 위한 푸시-풀 신호를 추가로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발명에 따른 광 레코딩 매체(10)의 제2 예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기록된 마크(6)의 폭은 홈(4)의 폭과 유사하고, 마크(6)에 의해 도입된 위상 이동(φ2)은 홈(4)에 의해 도입된 위상 이동의 약 두 배이다. 그 결과 푸시-풀 신호는 레코딩된 경우에 0에 가깝다.
이전과 같이, 기록된 마크(6)에 의해 도입된 위상 이동(φ2)은 부가적인 홈(6')으로 나타날 수 있는데, 이 홈은 기록된 마크(6)와 동일한 폭을 갖는다. 이러한 부가적인 홈은 도 9에서 점선 홈(dashed groove)으로 예시되어 있다. 이상적으로는, 마크(6)에 의해 도입된 위상 이동은 도 10에 도시된 홈들(4) 중 하나와 유사해야 한다. 그러나, 마크(6)가 레코딩되지 않은 공간과 번갈아 나타나기 때문에, 이 마크는 단지, 랜드(5)의 길이의 50%를 따라서 존재한다. 이를 보상하기 위해, 마크(6)의 위상 이동 또는 등가적으로는 부가적인 홈(6')의 깊이는 실제 홈(4)의 길이의 약 두 배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평균해서, 원래 홈(4)과 부가적인 홈(6')은 유사하다. 이는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물론, 마크(6)가 랜드의 길이의 50%보다 더 많이 또는 더 적게 존재하는 경우, 마크(6)의 위상 이동은 그에맞게 적응되어야 한다. 즉, 일련의 마크(6)와 공간에 의해 생성된 평균 위상 이동은 홈(4)에 의해 생성된 위상 이동과 유사해야 한다. 도 8과 비교해서, 광 레코딩 매체(10)의 트랙 피치는 2의 인자만큼 감소된다. 더 작은 트랙 피치는 더 큰 회절 각을 생성한다. 이는 또한, 푸시-풀 신호가 0에 가깝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는 ±1차의 회절 차수가 더 이상 대물 렌즈(8)의 퓨필에 도달하지 않기 때문이다.
위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랜드(5)에 기록된 마크(6)에 의해 도입된 위상-이동이 홈(4)에 의해 생성된 위상-이동과 동일한 부호를 갖는다는 것이 전제된다. 즉, 랜드(5)가 기준(reference)으로서 이용된다. 마크(6)에 의해 도입된 위상 이동이 반대 방향에 있는 경우, 마크(6)는 바람직하게는, 홈(4)에 기록된다. 마크(6)의 위상 이동은 이 경우에, 랜드(5)에 의해 생성된 위상 이동과 유사해야 하는데 즉, 홈(4)이 기준으로서 작용한다. 즉, 랜드(5)와 홈(4)의 역할은 교환된다.
본 발명은 레코딩가능한 광 레코딩 매체 포맷에 이용 가능한데, 이 포맷은 그것이 임의의 표준 플레이어 및 레코더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Claims (15)

  1. 랜드(5) 및 홈(4)의 구조를 구비하는 레코딩 층(2)을 갖는 광 레코딩 매체(10)로서, 상기 구조는, 레코딩된 마크(6)를 갖지 않는 레코딩 층(2)의 영역에 0.2보다 큰 절대값을 갖는 정규화된 푸시-풀(push-pull) 신호를 생성하고, 레코딩된 마크(6)를 갖는 레코딩 층(2)의 영역에 0.1보다 작은 절대값을 갖는 정규화된 푸시-풀 신호를 생성하는, 광 레코딩 매체(10)에 있어서,
    레코딩된 마크(6)는 랜드(5) 및 홈(4)의 구조에 의해 생성된 푸시-풀 신호와의 위상차(out of phase)를 갖는 부가적인 푸시-풀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레코딩 매체.
  2. 제1 항에 있어서,
    레코딩된 마크(6)에 의해 생성된 부가적인 푸시-풀 신호는 랜드(5) 및 홈(4)의 구조에 의해 생성된 푸시-풀 신호와의 180±20도 위상차를 갖는, 광 레코딩 매체.
  3. 제1 항에 있어서,
    랜드(5) 및 홈(4)은 동일한 폭을 갖는, 광 레코딩 매체.
  4. 제3 항에 있어서,
    마크(6)의 폭은, 마크(6)가 랜드(5) 내에 레코딩될 때 홈(4)의 폭의 80%와 100% 내이고, 마크(6)가 홈(4) 내에 레코딩될 때 랜드(5)의 폭의 80%와 100% 내인, 광 레코딩 매체.
  5. 제1 항에 있어서,
    홈(4)의 폭은 랜드(5)의 폭과 상이하고, 마크(6)의 폭은, 홈(4)의 폭이 랜드(5)의 폭보다 더 작으며 마크(6)가 랜드(5)에 기록되는 경우에 홈(4)의 폭의 80%와 120% 내이고, 랜드(5)의 폭이 홈(4)의 폭보다 더 작으며 마크(6)가 홈(4)에 기록되는 경우에 랜드(5)의 폭의 80%와 120% 내인, 광 레코딩 매체.
  6. 제1 항에 있어서,
    마크(6) 사이의 공간과 마크(6)에 의해 도입된 평균 위상 이동은, 마크(6)가 랜드(5) 내에 레코딩될 때 랜드(5)에 대해 홈(4)에 의해 도입된 위상 이동과 유사하고, 마크(6)가 홈(4) 내에 레코딩될 때 홈(4)에 대해 랜드(5)에 의해 도입된 위상 이동과 유사한, 광 레코딩 매체.
  7. 제1 항에 있어서,
    마크(6)에 의해 도입된 위상 이동은, 마크(6)가 랜드(5) 내에 레코딩될 때 랜드(5)에 대해 홈(4)에 의해 도입된 위상 이동의 1.5 배와 2배 사이이고, 마크(6)가 홈(4) 내에 레코딩될 때 홈(4)에 대해 랜드(5)에 의해 도입된 위상 이동의 1.5배와 2배 사이인, 광 레코딩 매체.
  8. 제1 항에 있어서,
    레코딩 층(2)은 위상 변경 층 또는 무기 레코딩 층인, 광 레코딩 매체.
  9. 제8 항에 있어서,
    레코딩 층(2)은 GeSbTe 층, 또는 Cu 층과 Si 층의 적층인, 광 레코딩 매체.
  10. 제1 항에 따른 광 레코딩 매체(10)를 레코딩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레코딩 층(2)의 레코딩되지 않은 영역에 마크를 기록함으로써 광 레코딩 매체(10)를 완성(finalizing)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광 레코딩 매체를 레코딩하기 위한 방법.
  11. 제1 항에 따른 광 레코딩 매체(10)에 기록하기 위한 장치로서,
    레코딩 층(2)의 레코딩되지 않은 영역에 마크를 기록함으로써 광 레코딩 매체(10)를 완성하도록 적응되는, 광 레코딩 매체에 기록하기 위한 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097017793A 2007-03-02 2008-02-18 호환성 광 레코딩 매체 KR1014420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7103425.0 2007-03-02
EP07103425A EP1965377A1 (en) 2007-03-02 2007-03-02 Compatible optical recording medium
PCT/EP2008/051927 WO2008107298A1 (en) 2007-03-02 2008-02-18 Compatible optical recording mediu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6754A KR20090116754A (ko) 2009-11-11
KR101442007B1 true KR101442007B1 (ko) 2014-09-19

Family

ID=38267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7793A KR101442007B1 (ko) 2007-03-02 2008-02-18 호환성 광 레코딩 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693302B2 (ko)
EP (2) EP1965377A1 (ko)
JP (1) JP5519295B2 (ko)
KR (1) KR101442007B1 (ko)
CN (1) CN101632121B (ko)
WO (1) WO20081072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09028086A1 (ja) * 2007-08-31 2010-11-25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記録装置、情報記録方法、情報記録媒体、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3426A (ja) * 1994-09-09 1996-03-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学情報記録方法及び光学情報記録媒体
JPH10326436A (ja) * 1997-03-27 1998-12-08 Mitsubishi Chem Corp 光学的情報記録用媒体
US20020006106A1 (en) 1999-06-04 2002-01-17 Sharp Kabushiki Kaisha Optical recording medium having prepits deeper than grooves
US20060204706A1 (en) 2004-07-16 2006-09-14 Mitsubishi Kagaku Media Co., Ltd.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optical recording method of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D21023A (id) * 1996-11-25 1999-04-08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Media perekam optik
EP1396851B1 (en) * 1997-03-27 2007-02-21 Mitsubishi Kagaku Media Co., Ltd.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TW452793B (en) * 1997-03-27 2001-09-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for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DE69841753D1 (de) * 1997-04-09 2010-08-12 Ricoh Kk Spurführungregelverfahren
JP4046798B2 (ja) * 1997-04-09 2008-02-13 株式会社リコー 相変化型情報記録媒体
JP2006269071A (ja) * 1997-05-12 2006-10-05 Ricoh Co Ltd 光学的情報記録媒体の記録方法および記録装置
KR100633476B1 (ko) * 1998-05-27 2006-10-16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광 기록매체
US20050237910A1 (en) * 2002-04-02 2005-10-27 Koninklijike Philips Electronics N.V. Optical data storage medium and use of such medium
JP2005158257A (ja) * 2005-03-03 2005-06-16 Ricoh Co Ltd 情報再生記録方法
JP2009070538A (ja) * 2007-03-13 2009-04-02 Ricoh Co Ltd 光記録媒体、光記録装置、コンテンツ記録済み光記録媒体の作成システム
JP2009026407A (ja) * 2007-07-20 2009-02-05 Toshiba Corp 情報記録媒体
JP5408851B2 (ja) * 2007-07-31 2014-02-05 太陽誘電株式会社 光情報記録媒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3426A (ja) * 1994-09-09 1996-03-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学情報記録方法及び光学情報記録媒体
JPH10326436A (ja) * 1997-03-27 1998-12-08 Mitsubishi Chem Corp 光学的情報記録用媒体
US20020006106A1 (en) 1999-06-04 2002-01-17 Sharp Kabushiki Kaisha Optical recording medium having prepits deeper than grooves
US20060204706A1 (en) 2004-07-16 2006-09-14 Mitsubishi Kagaku Media Co., Ltd.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optical recording method of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32121A (zh) 2010-01-20
CN101632121B (zh) 2012-12-26
JP2010520570A (ja) 2010-06-10
KR20090116754A (ko) 2009-11-11
US8693302B2 (en) 2014-04-08
US20100002567A1 (en) 2010-01-07
JP5519295B2 (ja) 2014-06-11
WO2008107298A1 (en) 2008-09-12
EP1965377A1 (en) 2008-09-03
EP2118896A1 (en) 2009-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90857B2 (en) Optical disk
US20100315932A1 (en) Optical storage medium, mastering method and apparatus for reading of respective data
US8259558B2 (en) Optical storage medium and apparatus for reading of respective data
US7876650B2 (en) Apparatus comprising a pickup providing three beams for reading data from or writing data to an optical storage medium, and respective optical storage medium
US20070053266A1 (en) Device and method for reading multilayer optical disk
KR101442007B1 (ko) 호환성 광 레코딩 매체
KR101364039B1 (ko) 호환성 광 기록 매체
US8213278B2 (en) System comprising an optical disc and an apparatus for reading of respective data
EP2321822B1 (en) Compatible optical recording medium
EP2297731B1 (en) Compatible optical recording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