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1125B1 - 정보 처리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1125B1
KR101441125B1 KR1020070084826A KR20070084826A KR101441125B1 KR 101441125 B1 KR101441125 B1 KR 101441125B1 KR 1020070084826 A KR1020070084826 A KR 1020070084826A KR 20070084826 A KR20070084826 A KR 20070084826A KR 101441125 B1 KR101441125 B1 KR 101441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re
channel
program
extracted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4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9183A (ko
Inventor
다쯔야 나라하라
가즈히로 와따나베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80019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9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1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1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5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e.g. extracting service information from an MPEG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22Analytics of user selections, e.g. selection of programs or purchase a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6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Generation or processing of descriptive data, e.g. content descriptors
    • H04N21/8405Generation or processing of descriptive data, e.g. content descriptors represented by key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62Authorising the user terminal, e.g. by paying; Registering the use of a subscription channel, e.g. billing
    • H04N7/163Authorising the user terminal, e.g. by paying; Registering the use of a subscription channel, e.g. billing by receiver means on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8Databases characterised by their database models, e.g. relational or object models
    • G06F16/284Relational databases
    • G06F16/285Clustering or class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5Clustering; Classification
    • G06F16/358Browsing; Visualisation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defining user preferences, e.g. favourite actors or gen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정보 처리 장치는 장르의 특징을 나타내는 키워드인 장르 특징어를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추출하는 추출 수단과; 채널에서 방송되는 프로그램에 대한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추출된 장르 특징어에 기초하여 장르로 채널을 식별하는 식별 수단과; 장르 분류 후에 채널이 표시되도록 제어를 수행하는 표시 제어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Figure R1020070084826
정보 처리 장치, 장르 특징어, 프로그램 정보, 채널

Description

정보 처리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발명은 2006년 8월 23일자로 일본국 특허청에 출원된 JP 2006-226017에 관련된 주제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출원의 전체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원용된다.
본 발명은 정보 처리 방법 및 장치,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하는 채널을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게 한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텔레비전 방송 방식의 다양화 등에 수반하여,시청할 수 있는 채널수의 증가가 진행하고 있다. 이와 같은 채널수의 증가에 의해, 유저가 시청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선택 범위는 증가하지만, 빈번한 채널 변경, 즉 재핑(zapping)을 하여 원하는 채널을 찾거나 또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을 통해서 원하는 채널을 찾는 것이 곤란하다.
그러한 곤란에 대한 해법으로서, 자주 보는 채널들의 일람을 표시하는 기술이 있다. 이들 채널은 미리 준비되어 있는 장르로 분류되어서 등록되고, 유저가 선택한 장르에 등록되어 있는 각 채널의 축소 영상 또는 채널명을 일람으로 해서 표시된다. 예로서, 특허 문헌 1(JP-A-10-136276) 참조.
프로그램 정보에 중첩되어 있는 장르 정보에 기초하여, 채널들을 3개 장르 계층, 즉 제1 내지 제3 레벨로 분류하는 기술도 있다. 리모트 컨트롤러의 죠그-셔틀의 조작에 응하여 선국의 속도를 달리하면서 장르 계층들을 변경하고, 선택한 장르에 속하는 채널의 영상을 순차적으로 선국해서 표시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예로서 특허 문헌 2 JP-A-2001-45391 참조.
특허 문헌 1의 기술에 있어서의 문제점은 유저가 사전에 각 채널을 각 장르에 따라 분류해서 등록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그러한 채널 분류는 완전히 유저에 맡겨져 있어, 분류 결과가 항상 적절하지는 않다는 것이다. 분류 결과가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판명되면, 오히려 원하는 채널을 찾는 것이 곤란할 수 있다.
특허 문헌 2의 기술에 있어서의 문제점은 유저가 원하는 장르를 찾기 위해서 실제로 영상을 보아야 하는 필요가 있으므로, 오히려 채널의 검색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것이다. 다른 문제점은 현재 어느 계층의 어느 장르에 속하는 채널의 영상이 표시되고 있는지, 그리고 현재 선택되어 있는 장르에 원하는 채널이 속해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현재 선택되어 있는 장르에 유저가 원하는 채널이 속해 있지 않을 경우, 그 채널을 찾는 것이 곤란해진다.
따라서, 원하는 채널을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요망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르면, 장르의 특징을 나타내는 키워드인 장르 특징어를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추출하는 추출 수단과; 채널에서 방송되는 프로그램에 대한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추출된 장르 특징어에 기초하여 장르로 채널을 식별하는 식별 수단과; 장르 분류 후에 채널이 표시되도록 제어를 수행하는 표시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식별 수단은, 복수의 장르 각각에 대해 추출된 장르 특징어의 집계 결과에 기초하여 장르로 채널을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식별 수단은 프로그램에 대한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추출된 장르 특징어에 기초하여 장르로 프로그램을 식별하고, 채널에서 방송되는 프로그램의 장르에 기초하여 장르로 채널을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식별 수단은 복수의 장르 각각에 대해 채널에서 방송되는 프로그램의 집계 결과에 기초하여 장르로 채널을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식별 수단은, 복수의 장르 각각에 대해 채널에서 방송되는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의 집계 결과에 기초하여 장르로 채널을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식별 수단은, 추출된 장르 특징어에 기초하여, 장르로 채널을 식별하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현재 방송 중인 프로그램이 장르들 중 임의의 장르로 분류된 후에 채널이 표시되도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장르 일람을 표시하고, 상기 장르 일람으로부터 선택된 복수의 장르 중 임의의 하나의 장르에 대한 일람에 채널이 표시되도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채널에서 방송된 프로그램에 대하여 행해진 조작의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채널에 대한 유저의 기호도를 산출하는 산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기호도가 높은 경우 상기 채널이 복수의 장르와는 다른 그룹에 속하는 채널로서 표시되도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면, 장르 특징을 나타내는 키워드인 장르 특징어를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추출하는 단계; 채널에서 방송되는 프로그램에 대한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추출된 장르 특징어에 기초하여 장르로 채널을 식별하는 단계; 및 장르 분류 후에 채널이 표시되도록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방법 또는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서, 장르 특징을 나타내는 키워드인 장르 특징어는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추출되고, 채널은 이 채널에서 방송되는 프로그램에 대한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추출된 장르 특징어에 기초하여 장르에 의해 식별되고, 장르 분류 후 채널이 표시되도록 제어가 수행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채널들이 표시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임의의 원하는 채널을 쉽게 검색하여 찾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전에, 청구된 구성 요소와 이 명세서 또는 첨부 도면에 있는 실시 형태 간의 대응 관계를 예시하기로 한다. 이는 청구항의 기재를 뒷받침하는 목적으로 제공된 실시 형태가 본 명세서 또는 첨부 도면에 기재되어 있음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 또는 첨부 도면에 임의의 특정 실시 형태가 있고 이 임의의 특정 실시 형태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 설명된 구성 요소에 대해서 없다 하더라도, 이는 임의의 특정 실시 형태가 구성 요소와 상관되지 않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구성 요소에 대한 임의의 특정 실시 형태가 본 명세서에 있다 하더라도 그 임의의 특정 실시 형태가 그 구성 요소와만 상관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는 정보 처리 장치(예를 들면, 도 1의 정보 처리 장치(100))에 관한 것이며, 이 장치는, 첫째로, 장르의 특징을 나타내는 키워드인 장르 특징어를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추출하는 추출 수단(예를 들면, 도 2의 장르 특징어 추출부 (203)); 채널에서 방송되는 프로그램의 상기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추출된 상기 장르 특징어에 기초하여, 장르로 상기 채널을 식별하는 식별 수단(예를 들면, 도 2의 장르 식별부 (205)); 및 장르 분류 후에 채널이 표시되도록 제어를 수행하는 표시 제어 수단(예를 들면, 도 2의 검색 화면 표시 처리부(214))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정보 처리 장치(예를 들면, 도 1의 정보 처리 장치(100))에 관한 것이며, 이 장치는, 둘째로, 상기 채널에서 방송된 상기 프로그램에 대하여 행해진 조작의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채널에 대한 유저의 기호도를 산출하는 산출 수단(예를 들면, 도 2의 기호도 정보 처리부(212))을 더 구비하고, 이 장치에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기호도가 높은 경우 다수의 장르와는 다른 그룹에 속하는 채널로서 표시되도록 제어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장르의 특징을 나타내는 키워드인 장르 특징어를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추출하는 단계(예를 들면, 도 3의 스텝 S1 및 S2, 도 13의 스텝 S21 및 S22, 또는, 도 22의 스텝 S101 및 S102); 상기 채널에서 방송되는 프로그램의 상기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추출된 상기 장르 특징어에 기초하여, 채널을 장르로 식별하는 단계(예를 들면, 도 3의 스텝 S3 내지 S5, 도 13의 스텝 S23 내지 S25, 또는, 도 22의 스텝 S103 및 S104); 및 상기 장르 분류 후에 채널이 표시되도록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예를 들면, 도 20의 스텝 S81, 또는 도 24의 스텝 S122)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방법 또는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정보 처리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의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정보 처리 장치(100)는, HDD(Hard Disc Drive)를 내장하는 텔레비전 수상기이며, 프로그램의 화상 및 음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방송파로부터 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취득하고, 취득한 프로그램 데이터를 HDD에 기억한다(즉, 프로그램을 녹화한다). 이 프로그램의 화상 및 음성은 각각 디스플레이(114) 및 스피커(116)에 의해 제공되며, 방송파는 도시하지 않는 안테나에 의해 적절하게 수신된다.
이 정보 처리 장치(100)는 또한 방송되어 온 EPG를 취득하거나, 인터넷을 통해서 접속되는 소정의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함으로써 EPG를 취득하거나 하는 기능도 갖고 있다. EPG는 각각의 프로그램에 대해서, 프로그램의 타이틀, 장르, 방송일시,출연자, 프로그램의 개요 등을 포함하고 있다.
정보 처리 장치(100)는 네트워크에 접속되고 있어, RSS(Resource Description Framework Site Summary) 정보의 수신을 통해서 뉴스 및 해설 등의 기사를 취득하는 기능을 가진다. RSS 정보는 유저가 미리 등록해 둔 신문사의 사이트나 각종의 포털 사이트로부터 배포(distribute)된다. 즉, 정보 처리 장치(100)는 RSS 정보를 판독하는 RSS 리더를 탑재하고 있다
CPU(Central Processing Unit)(101)는, ROM(Read Only Memory)(103)에 기억된 프로그램이나, HDD(120)에 의해서 HDD I/F(인터페이스)(119) 및 버스(104)를 통해 RAM(Random Access Memory)(102)에 로드된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프로그램 실행에 의해서, CPU(101)는 U/I(인터페이스)제어부(105)에 의해 수신된 유저의 명령, 즉, 리모트 컨트롤러(136) 등으로부터의 명령에 따라서 컴포넌트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CPU(101)는 "The Birth of Cell", 닛케이 일렉트로닉스(닛케이 BP), 2005년 2월 28일, 89 페이지 내지 117페이지에 기재되어 있는 셀일 수 있다.
CPU(101)의 제어하에, 튜너(106)는 도시하지 않는 안테나로부터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 신호를 복조기(107)에 출력한다.
복조기(107)는 튜너(106)로부터 공급되어 온 수신 신호를 복조하고, 소정의 채널에서 방송되어 온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TS 디코더(108)에 출력한다.
TS 디코더(108)는, CPU(101)의 제어하에, 복조기(107)로부터 공급되어 온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부터 소정의 스트림을 RAM(109)을 이용해서 추출한다. 이후 TS 디코더(108)는 추출한 스트림을 구성하는 패킷을 버스(104)로 또는 AV 디코더(110)에 출력한다. 버스(104)로 공급된 패킷, 즉 프로그램 데이터는 HDD I/F(119)를 통해서 HDD(120)에 공급되어, 기억된다. 또한,TS 디코더(108)에 의해 얻어질 수 있는 EPG도, 적절하게, HDD(120)에 공급되어, 기억된다.
AV 디코더(110)는, TS 디코더(108)로부터 공급되어 온 비디오 데이터(즉 비디오 패킷) 및 오디오 데이터(즉 오디오 패킷)를 RAM(111)을 이용해서 디코드한다. 디코드해서 얻은 비디오 신호는 MUX(113)에, 오디오 신호는 MUX(115)에 각각 출력된다.
표시 컨트롤러(112)는, CPU(101)의 제어하에, 각종의 화상을 디스플레이(114)에 표시하기 위한 비디오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비디오 신호를 MUX(113)에 출력한다.
MUX(113)는, AV 디코더(110)로부터 공급되어 온 비디오 신호와, 표시 컨트롤러(112)로부터 공급되어 온 비디오 신호, 즉 OSD(On Screen Display)에 기초하여, 프로그램, 각종의 화면 및 화상을 디스플레이(114)에 표시한다. 이들 화면은 RSS 기사 소개 화면, 각종의 조작 화면 등이다.
MUX(115)는, AV 디코더(110)로부터 공급되어 온 오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음성을 스피커(116)로부터 출력시킨다.
SIO(Serial I/O) 컨트롤러(117)는, 고속 모뎀(131)을 제어함으로써 인터넷(132)을 통해서 웹 서버(133)에 접속하고, EPG 등을 필요에 따라서 다운로드한다. 다운로드에 의해 얻은 EPG는 HDD(120)에 공급되어, 기억된다. SIO 컨트롤러(117)는, 유저에 의해 등록되어 있는 RSS 기사의 배포 사이트에 액세스하여, RSS 기사를 수신한다. 이와 같이 취득한 RSS 기사도 HDD(120)에 공급되어, 기억된다.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1394 I/F(118)는, IEEE 1394 케이블을 통해서 접속되는 비디오 카메라(134)로부터 비디오 데이터를 취득한다.
HDD I/F(119)는, 버스(104)를 통해서 공급되어 온 데이터를 HDD(120)에 기억시키고,요구에 따라서 HDD(120)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버스(104)를 통해서 각 컴포넌트에 공급한다.
카드 I/F(121)는, 버스(104)를 통해서 공급되어 온 데이터를, 카드 슬롯(122)에 장착된 메모리 카드(135)에 기록시키고, 메모리 카드(135)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판독하여 버스(104)로 출력한다.
도 2는 정보 처리 장치(100)의 기능적 구성의 일부를 도시하는 블록도다. 도 2의 기능 컴포넌트들 중의 적어도 일부는, 도 1의 CPU(101)에 의해 소정의 프로그램이 실행됨으로써 실현된다.
정보 처리 장치(100)는, 기능적 구성의 관점에서,프로그램 정보 수신부(201), 프로그램 정보 데이터베이스(202), 장르 특징어 추출부(203), 특징어 테이블(204), 장르 식별부(205), 채널 장르 테이블(206), U/I(user interface) 처리부(207), 프로그램 조작 처리부(208), 조작 이력 처리부(209), 조작 이력(210), 기호도 정보 처리부 (212), 선호 채널 등록부(213), 및 검색 화면 표시 처리부(214)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프로그램 정보 수신부(201)는, 정보 처리 장치(100)에 있어서 유저가 선국가능한 채널에서 방송되는 프로그램에 관한 프로그램 정보, 예를 들면, EPG를 수신한다. 프로그램 정보 수신부(201)는 수신한 프로그램 정보를 프로그램 정보 데이터베이스(202)에 기억시킨다.
프로그램 정보 데이터베이스(202)는 프로그램 정보 수신부(201)가 수신한 프로그램 정보를 채널에 따라서 분류하여 저장한다. 프로그램 정보의 상세에 대해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해서 후술한다.
장르 특징어 추출부(203)는, 각 장르에 대한 장르 특징어가 등록되어 있는 특징어 테이블(204)에 기초하여, 각 프로그램에 대한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장르 특징어를 추출한다. 장르 특징어는 유저가 선국가능한 채널을 분류하기 위한 각 장르의 특징을 나타내는 키워드이다. 장르 특징어 추출부(203)는 프로그램 및 장르에 따라서 추출한 장르 특징어를 분류하여 장르 식별부(205)에 공급한다.
장르 식별부(205)는, 도 3을 참조해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유저가 선국가능한 각 채널이 속하는 장르를 식별한다. 장르 식별은 추출된 장르 특징어에 기초하여 이루어진다. 장르 식별부(205)는, 각 채널이 속하는 장르들을 나타내는 채널 장르 테이블(206)을 생성한다.
U/I 처리부(207)는, 유저로부터의 명령, 즉, 리모트 컨트롤러(136) 등으로부터의 커맨드를 취득하고, 이 유저 명령을 컴포넌트들 즉, 프로그램 조작 처리부(208), 선호 채널 등록부(213) 또는 검색 화면 표시 처리부(214)에 통지한다.
프로그램 조작 처리부(208)는, 유저 명령에 기초하여, 적절하게, 프로그램 정보 데이터베이스(202)로부터 프로그램 정보를 취득하면서, 명령된 프로그램에 대한 조작 처리를 행한다. 여기에서 조작 처리는 프로그램의 표시, 녹화 예약, 녹화, 소거, 더빙 등을 포함한다. 프로그램 조작 처리부(208)는 상술한 바와 같이 조작 처리된 프로그램, 및 그 조작 처리의 세부사항 등에 대한 정보를 조작 이력 처리부 (209)에 공급한다.
조작 이력 처리부(209)는, 유저 명령에 따라서 프로그램에 적용된 조작의 이력을 조작 이력(210)에 기록한다.
키워드 추출부(211)는, 기호도 정보 처리부(212)에 의해 지정된 프로그램에 대한 프로그램 정보를 프로그램 정보 데이터베이스(202)로부터 판독하고, 예를 들어, 형태소(morphological) 해석을 이용하여 프로그램 정보의 각 필드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한다. 키워드 추출부(211)는, 추출한 키워드를 기호도 정보 처리부(212)에 공급한다.
기호도 정보 처리부(212)는, 도 19를 참조해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 프로그램에 대한 유저의 기호도를 산출한다. 이러한 산출은 조작 이력 (210), 및 키워드 추출부(211)에 의해 추출된 각 프로그램의 키워드에 기초하여 이루어진다. 기호도 정보 처리부(212)는, 도 19를 참조해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 프로그램의 기호도에 기초하여, 각 채널에 대한 유저의 기호도를 산출한다. 기호도 정보 처리부(212)는, 산출한 기호도를 나타내는 정보를 선호 채널 등록부(213)에 공급한다.
선호 채널 등록부(213)는, 도 19를 참조해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유저의 기호도가 높은 채널을 선호 채널로서, 채널 장르 테이블(206)에 등록한다. 또한,선호 채널 등록부(213)는 유저가 지정한 채널을 선호 채널로서 채널 장르 테이블(206)에 등록한다. 이러한 등록은 U/I 처리부(207)를 통해서 취득된 유저 명령에 기초하여 이루어진다.
검색 화면 표시 처리부(214)는, 도 21 등을 참조해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U/I처리부(207)를 통하여, 채널 검색 화면의 표시 명령을 유저로부터 수신한 경우 채널 검색 화면을 디스플레이(114)에 표시시킨다. 채널 검색 화면은 프로그램 정보 데이터베이스(202)에 기억되어 있는 각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 및 채널 장르 테이블에 기초하여, 유저가 원하는 채널을 검색하기 위한 화면이다.
컴포넌트, 즉 프로그램 정보 데이터베이스(202), 특징어 테이블(204), 채널 장르 테이블(206), 및 조작 이력(210)은, 예를 들면, 도 1의 HDD(120)에 기억된다.
다음에는, 도 3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정보 처리 장치(100)의 처리를 설명한다.
우선,도 3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정보 처리 장치(100)에 의해 실행되는 채널 장르 식별 처리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에서 이 처리는 소정 기간마다, 예를 들면, 매일, 일주일 또는 1개월 마다 행해진다.
이하,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 채널 A와 채널 B의 2개의 채널을, 뉴스 및 스포츠의 2개의 장르로 분류하는 경우의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스텝 S1에서,장르 특징어 추출부(203)는, 각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한다. 구체적으로는,장르 특징어 추출부(203)는 프로그램 정보 데이터베이스(203)로부터 소정 기간 동안 정보 처리 장치(100)에 의해 선국가능한 채널로 방송되는 임의의 프로그램에 대한 프로그램 정보를 판독하거나 또는 이미 방송된 프로그램에 대한 프로그램 정보를 판독한다. 이 프로그램 정보를 판독하는 기간은, 채널 장르 식별 처리가 행해지는 간격에 기초해서 설정된다. 예를 들면, 채널 장르 식별 처리가 일주일마다 행해질 경우, 현시점으로부터 과거 1주일, 현시점을 중심으로 전후 1주일, 또는 현시점으로부터 미래의 1주일에 방송될 프로그램 정보, 또는 방송된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가 판독된다.
이하,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 각 채널에 대해서, 5개의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가 판독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4는 채널 A의 프로그램에 대해 읽혀진 예시적인 프로그램 정보를 보여주고 있고, 도 5는 채널 B의 프로그램에 대한 예시적인 프로그램 정보를 보여주고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그램 정보는 프로그램들의 고유 식별을 위한 4개의 필드를 포함하고 있다. 4개의 필드는 프로그램 ID, 방송되는 프로그램의 채널명, 프로그램 타이틀, 및, 프로그램의 개요를 나타내는 프로그램 설명을 포함한다. 프로그램 ID는 고유 식별을 위해 매 프로그램에 할당되는 ID이다.
장르 특징어 추출부(203)는, 예를 들어, 형태소 해석을 이용하여, 프로그램 정보의 각 필드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한다. 도 6은, 도 4의 프로그램 A2(즉, 프로그램 ID가 A2인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의 각 필드로부터 추출된 키워드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의 예에서는,프로그램 A2의 채널명으로부터 "CMNj"의 키워드가 추출되고, 프로그램 A2의 프로그램 타이틀로부터 "Low Double", "Today", "CMN" 및 "US"의 키워드가 추출된다. 프로그램 A2의 프로그램 설명으로부터 "CMN", "베테랑(experienced)", "앵커", "로우 더블(Low Double)", "통합", 2개의 "비즈니스", "뉴스", "프로그램", "엔터테인먼트", 2개의 "업계", "스포츠" 및 "정보"의 키워드가 추출된다.
도 6에서는,명사만을 키워드로서 추출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명사 이외의 말을 키워드로서 추출하도록 하여도 된다.
스텝 S2에서,장르 특징어 추출부(203)는 추출된 키워드로부터 장르 특징어를 추출한다. 구체적으로는,장르 특징어 추출부(203)는 프로그램에 대한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추출된 키워드로부터,각 프로그램에 대한, 특징어 테이블(204)에 등록되어 있는 장르 특징어와 일치하는 키워드를 추출한다.
도 7은 특징어 테이블(204)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의 특징어 테이블(204)에서는,"뉴스"의 장르의 특징을 나타내는 장르 특징어는 "비즈니스" "경제", "뉴스", "앵커", "취재", "스쿠프", "정치", "테러", "날씨", "토픽", "보도", "사건"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하, "뉴스"의 장르에 대한 장르 특징어는 뉴스 특징어라 부르기도 한다. "스포츠"의 장르의 특징을 나타내는 장르 특징어는 "스포츠", "시합", "좋은 플레이", "씨름 대회", "치어 리딩", "선수권", "대회", "골프", "코치", "축구", "탁구", "당구"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하, "스포츠"의 장르에 대한 장르 특징어를 스포츠 특징어라 부르기도 한다.
이 경우에, 프로그램 A2의 프로그램 정보로부터는, 도 6 및 도 7에서 타원으로 둘러싸여 있는 "앵커", 2개의 "비즈니스", 및 "뉴스"가 뉴스 특징어로서 추출되고, 네모로 둘러싸여 있는 "스포츠"가 스포츠 특징어로서 추출된다.
장르 특징어 추출부(203)는, 프로그램 및 장르에 따라서 추출한 장르 특징어를 분류하고, 분류 결과를 장르 식별부(205)에 공급한다.
스텝 S3에서,장르 식별부(205)는 프로그램 및 장르마다 추출된 장르 특징어 의 수를 집계한다. 도 8은, 채널 A의 프로그램의 장르 특징어의 집계 결과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의 집계 결과는,프로그램 A1의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추출된 뉴스 특징어가 3개, 스포츠 특징어가 0개, 프로그램 A2의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추출된 뉴스 특징어가 4개, 스포츠 특징어가 1개, 프로그램 A3의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추출된 뉴스 특징어가 4개, 스포츠 특징어가 5개, 프로그램 A4의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추출된 뉴스 특징어가 3개, 스포츠 특징어가 0개, 및, 프로그램 A5의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추출된 뉴스 특징어가 3개, 스포츠 특징어가 1개인 것을 보여주고 있다.
도 9는 채널 B의 프로그램의 장르 특징어의 집계 결과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9의 집계 결과는,프로그램 B1의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추출된 뉴스 특징어가 0개, 스포츠 특징어가 3개, 프로그램 B2의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추출된 뉴스 특징어가 0개, 스포츠 특징어가 6개, 프로그램 B3의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추출된 뉴스 특징어가 3개, 스포츠 특징어가 4개, 프로그램 B4의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추출된 뉴스 특징어가 0개, 스포츠 특징어가 4개, 및, 프로그램 B5의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추출된 뉴스 특징어가 0개, 스포츠 특징어가 0개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1개의 프로그램에 대해서, 같은 장르 특징어가 2개 이상 추출되었을 경우, 추출된 수가 카운트되어 집계 결과에 반영된다.
스텝 S4에서,장르 식별부(205)는 모든 채널 및 장르 각각에 대한 추출된 장르 특징어의 수를 집계한다. 도 10은 채널 A의 장르 특징어의 집계 결과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의 집계 결과는,채널 A에서 방송되는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추출된 뉴스 특징어의 합계 수가 19개, 스포츠 특징어의 합계 수가 6개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11은 채널 B의 장르 특징어의 집계 결과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의 집계 결과는 채널 B에서 방송되는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추출된 뉴스 특징어의 합계 수가 3개, 스포츠 특징어의 합계 수가 17개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스텝 S5에서,장르 식별부(205)는 각 채널에 대한 장르를 식별한다. 구체적으로는,장르 식별부(205)는 추출된 장르 특징어의 수가 최대로 되는 장르를, 그 채널이 속하는 장르인 것으로 식별한다. 이러한 식별은 스텝 S4에 있어서 얻을 수 있은 집계 결과, 즉 추출된 장르 특징어를 채널 및 장르마다에 대해서 집계한 결과에 기초하여 이루어진다. 채널 A의 예에 있어서, 스포츠 특징어보다 뉴스 특징어쪽이 추출된 수가 많기 때문에, 채널 A는 "뉴스"의 장르에 속하는 것으로 판정된다. 채널B의 예에 있어서는, 뉴스 특징어보다 스포츠 특징어 쪽이 추출된 수가 많기 때문에, 채널 B는 "스포츠"의 장르에 속하는 것으로 판정된다.
장르가 2개인 경우를 앞서 예시하였지만, 장르가 3개 이상 있을 경우, 각 채널에서,추출된 장르 특징어의 수가 가장 많은 장르가, 그 채널이 속하는 장르인 것으로 식별된다.
추출된 장르 특징어의 수가 가장 많은 장르에서,그 수가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을 경우, 그 채널은 특정한 장르에 속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되기 때문에 "기타"의 장르로 분류될 수 있다.
1개의 채널이 추출된 장르 특징어의 수가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는 장르를 복수개 포함하고 있을 경우, 그 채널은 복수의 장르에 속하는 것으로 판정될 수 있다.
추출된 장르 특징어의 수가 가장 많은 장르와 2번째의 장르 간의 수의 차가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을 경우, 그 채널은 특정한 장르에 속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되고, "기타"의 장르로 분류될 수 있다.
스텝 S6에서,장르 식별부(205)가 채널 장르 테이블(206)을 생성하면, 채널 장르 식별 처리는 종료한다. 도 12는 채널 장르 테이블(206)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채널 장르 테이블(206)은 채널, 장르 및 선호의 3개의 필드를 포함한다. 도 12의 채널 장르 테이블(206)은, 채널 A가 "뉴스"의 장르에 속하고, 채널 B가 "스포츠"의 장르에 속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선호"의 필드는, 그 채널이 유저가 선호하는 채널임을 나타내며, 도 19를 참조해서 후술하는 처리에서 갱신된다.
장르 식별부(205)는 생성한 채널 장르 테이블(206)을, 예를 들면, 도 1의 HDD(120)에 기억시킨다.
다음에는,도 13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정보 처리 장치(100)에 의해 실행되는 채널 장르 식별 처리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이 처리는 소정 기간마다, 예를 들면, 매일, 일주일마다, 1개월 마다 행해진다.
스텝 S21 내지 S23의 처리는, 전술한 도 3의 스텝 S1 내지 S3의 처리와 같으므로, 중복 설명은 피하기로 한다. 스텝 S21 내지 S23의 처리에 의해, 각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장르 특징어가 추출되고, 추출된 장르 특징어의 수가 프로그램 및 장르마다 집계된다. 이하, 전술한 도 8 및 도 9의 집계 결과를 얻는 경우의 예를 설명한다.
스텝 S24에서,장르 식별부(205)는 각 프로그램이 속하는 장르를 식별한다.구체적으로는,장르 식별부(205)는 추출된 장르 특징어의 수가 가장 많은 장르를, 그 프로그램이 속하는 장르인 것으로 식별한다. 이러한 식별은 스텝 S23의 집계 결과, 즉, 프로그램 및 장르에 따라서 추출된 장르 특징어를 분류한 결과에 기초하여 이루어진다.
도 14는 채널 A의 각 프로그램이 속하는 장르의 식별 결과의 예를 나타내고, 도 15는 채널 B의 각 프로그램이 속하는 장르의 식별 결과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4 및 도 15에서,필드의 값이 TRUE가 되어 있는 장르는 그 프로그램이 속하는 장르이며, 필드의 값이 FALSE가 되어 있는 장르는 그 프로그램이 속하지 않는 장르다.
예를 들면, 프로그램 A1인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포츠 특징어보다 뉴스 특징어 쪽이 추출된 수가 많기 때문에, "뉴스"의 장르에 속하는 것으로 판정된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 B5인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뉴스 특징어 및 스포츠 특징어가 추출되어 있지 않으므로, 프로그램 B5는 어느 쪽의 장르에도 속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다.
장르가 2개인 경우를 앞서 예시하였지만, 장르가 3개 이상 있을 경우, 각 프로그램에서,추출된 장르 특징어의 수가 가장 많은 장르가 그 프로그램이 속하는 장르인 것으로 식별된다.
추출된 장르 특징어의 수가 가장 많은 장르에 관해서, 그 수가 소정의 임계 값을 초과하지 않을 경우, 그 프로그램은 특정한 장르에 속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 되게 할 수도 있다.
1개의 채널이 추출된 장르 특징어의 수가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는 장르를 복수개 포함하고 있는 경우, 그 프로그램은 복수의 장르에 속하는 것으로 판정되게 할 수도 있다.
추출된 장르 특징어의 수가 가장 많은 장르와 2번째의 장르와의 차가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을 경우, 그 프로그램은 특정한 장르에 속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되게 할 수 있다.
스텝 S25에서,장르 식별부(205)는 각 채널이 속하는 장르를 식별한다. 우선,장르 식별부(205)는 각 장르에 대해서 각 채널에서 방송되는 프로그램의 수를 집계한다. 이러한 집계는 스텝 S24의 집계 결과에 기초하여 이루어진다. 도 16은, 채널 A에서 방송되는 프로그램의 수를 장르마다 집계한 결과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6의 예에서, 집계 결과는 채널 A에서 방송되는 프로그램이 "뉴스"의 장르에 속하는 뉴스 프로그램 4개와, "스포츠"의 장르에 속하는 스포츠 프로그램 1개를 포함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도 17은, 채널 B에서 방송되는 프로그램의 수를 장르마다 집계한 결과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7의 예에서, 집계 결과는 채널 B에서 방송되는 프로그램이 "뉴스"의 장르에 속하는 뉴스 프로그램이 0개와 "스포츠"의 장르에 속하는 스포츠 프로그램 4개를 포함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장르 식별부(205)는, 각 채널에서 방송되는 프로그램이 속하는 수가 최대로 되는 장르를 그 채널이 속하는 장르인 것으로 식별한다. 이러한 식별은 각 채널에 서 방송되는 프로그램의 수를 장르마다 집계한 결과에 기초하여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채널 A는 도 16의 집계 결과에 기초하여 "뉴스"의 장르에 속하는 것으로 판정되고, 채널 B는 도 17의 집계 결과에 기초하여 "스포츠"의 장르에 속하는 것으로 판정된다.
장르가 2개인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장르가 3개 이상 있을 경우, 각 채널에서,그 채널에서 방송되는 프로그램이 속하는 수가 가장 많은 장르가 그 채널이 속하는 장르인 것으로 식별된다.
프로그램의 수가 가장 많은 장르에 관해서,그 수가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을 경우, 그 채널은 특정한 장르에 속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되기 때문에 "기타"의 장르로 분류될 수 있다.
1개의 채널이, 프로그램의 수가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는 장르를 복수 포함하고 있는 경우, 그 채널은 복수의 장르에 속하는 것으로 판정될 수 있다.
프로그램 수가 가장 많은 장르와 2번째의 장르의 차가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을 경우, 그 채널은 특정한 장르에 속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되고, "기타"의 장르로 분류될 수 있다.
대안으로, 각 채널로 방송되는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을 장르마다 집계하고, 그 집계 결과에 기초하여, 장르로 채널들을 식별하도록 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각 채널에 있어서 방송 시간이 가장 긴 장르를, 그 채널이 속하는 장르인 것으로 판정하도록 하여도 된다.
스텝 S26에서,전술한 도 3의 스텝 S6의 처리와 마찬가지로,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채널 장르 테이블(206)이 생성되고,채널 장르 식별 처리는 종료한다.
다음으로,도 19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정보 처리 장치(100)에 의해 실행되는 선호 채널 등록 처리를 설명한다. 또한,이 처리는 소정 기간마다, 예를 들면, 매일, 일주일마다, 1개월 마다 행해진다.
스텝 S61에서,키워드 추출부(211)는 기호 키워드를 추출한다. 구체적으로는, 기호도 정보 처리부(212)는 소정의 기간, 예를 들면, 과거 1주일에 있어서 조작 대상으로 된 프로그램을 검색한다. 이러한 검색은 조작 이력(210)에 기초하여 이루어진다. 기호도 정보 처리부(212)는 검색된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정보를 키워드 추출부(211)에 공급한다. 키워드 추출부(211)는, 검색된 프로그램, 즉 소정의 기간에서 조작 대상으로 된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를 프로그램 정보 데이터베이스(202)로부터 판독한다. 키워드 추출부(211)는, 형태소 해석 등을 이용하여, 판독한 프로그램 정보의 각 필드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한다. 키워드 추출부(211)는 추출한 키워드를 프로그램마다 분류하여, 기호도 정보 처리부(212)에 공급한다. 기호도 정보 처리부(212)는, 추출된 키워드를 기호 키워드로서 유지한다.
스텝 S62에서,기호도 정보 처리부(212)는 기호 키워드 각각에 가중치를 부여한다. 구체적으로는,기호도 정보 처리부(212)는, 각 기호 키워드에 그 기호 키워드가 추출된 프로그램에 대한 조작 내용에 따라서 포인트를 부여하고, 부여한 포인트의 합계 값을 집계한다. 예를 들면, 표시된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추출된 기호 키워드에는 +3 포인트, 녹화 예약된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추출된 기호 키워드에는 +1 포인트, 녹화된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추출 된 기호 키워드에는 +2 포인트, 더빙된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추출된 기호 키워드에는 +4 포인트, 소거된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추출된 기호 키워드에는 -1 포인트와 같이, 각 조작 내용에 의해 상정되는 각 프로그램에 대한 유저의 흥미도가 반영된 포인트가 각 기호 키워드에 부여된다.
하나의 특정 기호 키워드가 복수의 프로그램으로부터 추출되었을 경우, 각각의 프로그램에 대한 조작 내용에 따른 각각의 포인트가 그 기호 키워드에 부여된다. 하나의 특정 프로그램에 대하여 복수의 조작이 행해졌을 경우, 각각의 조작 내용에 따른 모든 포인트가 그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추출된 기호 키워드에 부여된다.
기호도 정보 처리부(212)는 각 기호 키워드에, 부여된 포인트의 합계 값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한다. 즉, 부여된 포인트가 많을수록, 바꾸어 말하면, 유저의 흥미도가 높을수록, 큰 값의 가중치가 부여되고, 부여된 포인트가 낮을 만큼, 바꾸어 말하면, 유저의 흥미도가 낮은 만큼, 작은 값의 가중치가 부여된다.
스텝 S63에서,키워드 추출부(211)는, 각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한다. 구체적으로는,기호도 정보 처리부(212)는 관련되는 키워드의 추출의 지시를 나타내는 정보를 키워드 추출부(211)에 공급한다. 이러한 정보 제공은 정보 처리 장치(100)에 있어서 선국가능한 채널에서 소정의 기간 동안 방송되는 프로그램마다 이루어진다. 또한,이 소정의 기간은, 예를 들면, 선호 채널 등록 처리가 행해지는 간격에 기초해서 설정된다. 예를 들면, 선호 채널 등록 처리가 일주일마다 행해질 경우, 현시점으로부터 과거 1주일, 현시점을 중심으로 전후 1주일, 또는 현시점으로부터 미래의 1주일이, 소정의 기간으로서 설정된다.
키워드 추출부(211)는 지정된 기간에 매 프로그램에 대한 프로그램 정보를 프로그램 정보 데이터베이스(202)로부터 판독한다. 키워드 추출부(211)는, 예를 들어, 형태소 해석을 이용하여, 판독한 프로그램 정보의 각 필드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한다. 키워드 추출부(211)는, 추출한 키워드를 프로그램마다 분류하여, 기호도 정보 처리부(212)에 공급한다.
스텝 S64에서,기호도 정보 처리부(212)는 각 프로그램에 대한 기호도를 산출한다. 구체적으로는,우선,기호도 정보 처리부(212)는, 프로그램마다, 그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추출된 키워드에 포함되는 기호 키워드를 추출한다. 이후 기호도 정보 처리부(212)는 추출한 기호 키워드의 가중치의 합계 값을 그 프로그램에 대한 기호도로서 산출한다. 또한,1개의 프로그램에서 같은 기호 키워드가 2개 이상 발견되는 경우, 그 키워드의 수만 가중치가 가산된다.
스텝 S65에서,기호도 정보 처리부(212)는, 각 채널에 대한 기호도를 산출한다. 구체적으로는,기호도 정보 처리부(212)는, 각 채널에 대해서, 그 채널에서 방송되는 프로그램에 대한 기호도의 합계 값을 그 채널에 대한 기호도로서 산출한다. 기호도 정보 처리부(212)는, 각 채널에 대한 기호도를 나타내는 정보를 선호 채널 등록부(213)에 공급한다.
스텝 S66에서,선호 채널 등록부(213)가 선호하는 채널을 등록하면, 선호 채널 등록 처리는 종료한다. 구체적으로는,선호 채널 등록부(213)는 기호도가 높은 순으로 채널을 배열하고, 상위로부터 소정 개수의 채널을 선호하는 채널로서 채널 장르 테이블(206)에 등록한다.
대안으로, 유저는 선호 채널의 일부 또는 전부를, 리모트 컨트롤러(136) 등을 이용하여 등록하도록 하여도 된다.
다음에는,도 20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정보 처리 시스템(1)에 의해 실행되는 채널 검색 화면 표시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이 처리는 U/I처리부 (207)를 통하여 검색 화면 표시 처리부(214)가 명령을 수신하였을 때 개시된다. 이 명령은 유저가 리모트 컨트롤러(136) 등을 이용하여 발행한 채널 검색 화면의 표시 명령이다.
스텝 S81에서,검색 화면 표시 처리부(214)가 채널 검색 화면을 표시하면, 채널 검색 화면 표시 처리는 종료한다. 구체적으로는,검색 화면 표시 처리부(214)는, 예를 들면,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채널 검색 화면을 디스플레이(114)에 표시시킨다. 이러한 화면 표시는 프로그램 정보 데이터베이스(202)에 기억되어 있는 각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 및 채널 장르 테이블(206)에 기초하여 이루어진다. 또한,도 21의 점선은 설명의 편의상 붙인 것이며, 채널 검색 화면에 실제로 표시되는 것은 아니다.
채널 검색 화면은 화면 중앙을 기준으로 약간 좌측 위의 위치에서 교차함으로써 구성되는 장르 배열 R1과 장르 배열 R2로 구성된다. 장르 배열 R1은 각 채널을 분류하는 장르를 나타내는 아이콘 또는 문자를 일렬로 포함하고 있으며, 장르 배열 R2는 장르 배열 R1 안에서 선택된 장르에 속하는 채널을 나타내는 아이콘 또는 문자를 일렬로 포함하고 있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장르 배열 R1은 디스플레이(114)의 수평방향(가로방향)으로 표시되고, 채널 배열 R2는, 장르 배열 R1의 배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인 수직방향(세로방향)으로 표시된다.
도 21의 예에서,장르 배열 R1은 선호 채널로 구성되는 장르를 나타내는 아이콘(301), "스포츠"의 장르를 나타내는 아이콘(302), "코믹"의 장르를 나타내는 아이콘(303), "뉴스"의 장르를 나타내는 아이콘(304), 및, "영화"의 장르를 나타내는 아이콘(305)을 포함하고 있다. 즉, 선호 채널은, 소정의 장르와는 다른 그룹에 속하는 채널로서, 유저에 표시된다.
장르 배열 R1에 표시되어 있는 아이콘 중,채널 배열 R2에 표시되어 있는 아이콘, 즉 도 21의 내부에 사선이 있는 아이콘(302)에 의해 나타내지는 장르는, 유저가 선택한 장르이다. 선택된 장르를 유저가 한눈에 알 수 있도록, 채널 배열 R2에 표시되어 있는 아이콘은, 색, 크기,또는, 모양 등이 다른 아이콘과 다르게 표시된다.
대안으로,아이콘 이외의 방법을 이용하여, 예를 들면, 문자열 등을 이용하여 장르를 표시하도록 하여도 된다.
도 21의 예에서,채널 배열 R2에는, 채널 배열 R2 내에 표시되어 있는 아이콘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장르에 속하는 채널명(306 내지 310)을 포함하고 있다. 즉, 채널 검색 화면에서는,각 채널이 각 장르로 분류되어서 표시된다. 좀 더 자세하게는, 채널 검색 화면에서는,장르의 일람과 함께, 표시된 장르 중 선택된 장르에 속하는 채널의 일람이 표시된다.
채널 배열 R2에 표시되어 있는 채널명 중,아이콘(302)의 하측에 바로 인접하는 커서(311)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채널명(307), 즉 도 21의 예에서 ESPN2의 채널이, 유저에 의해 선택된 채널이 된다. 커서(311)의 우측에는, 유저에 의해 선택되어 있는 채널에서 현재 방송되고 있는 프로그램의 타이틀, 및,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이 표시된다.
여기에서,문자열 이외의 방법을 이용하여, 예를 들면, 아이콘 등을 이용하여 선택되어 있는 장르에 속하는 채널을 표시하도록 하여도 된다.
채널 검색 화면에서,유저는 리모트 컨트롤러(136) 등을 이용하여, 장르 배열 R1에 표시되어 있는 아이콘을 우측 또는 좌측 방향으로 스크롤시킬 수 있어, 이에 의해,장르의 선택을 절환하거나, 디스플레이(114)에 표시되지 않고 있는 장르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장르 배열 R1 내에 표시시키거나 할 수 있다. 또한,장르의 선택을 절환하는 것에 의해, 즉, 채널 배열 R2 내에 표시되는 아이콘을 절환하는 것에 의해, 채널 배열 R2 내에는, 새롭게 선택된 장르에 속하는 채널의 채널명이 표시된다.
또한,유저는, 리모트 컨트롤러(136) 등을 이용하여, 채널 배열 R2에 표시되어 있는 채널명을 상방으로 또는 하방으로 스크롤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와 같은 스크롤에 의해,채널의 선택을 절환하거나, 디스플레이(114)에 표시되지 않고 있는 채널명을 채널 배열 R2 내에 표시시키거나 할 수 있다. 채널의 선택을 절환하는 것에 의해, 즉, 커서(311) 내에 표시되는 채널명을 절환하는 것에 의해, 커서(311)의 우측에 표시되는 프로그램의 타이틀 및 방송 시간도 절환할 수 있다.
유저는, 리모트 컨트롤러(136) 등을 이용하여, 선택하고 있는 채널에 대한 조작, 예를 들면, 그 채널에서 방송되고 있는 프로그램의 표시, 녹화 등의 조작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대안으로, 채널 배열 R2 내의 채널명의 표시 순을, 예를 들면, 유저가 지정한 순, 소정의 기간 내에 있어서 시청시간이 긴 순, 소정의 기간 내에 있어서 시청횟수가 많은 순, 또는 장르에 대한 적합도가 높은 순으로 설정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도 21은 채널 검색 화면의 일례이며, 도 21 이외의 방법에 의해, 각 채널을 각 장르에 따라 분류해서 표시하도록 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1개의 화면 내에 1개의 장르에 속하는 채널의 채널명을 그 장르와 함께 표시하고,장르마다 화면이 절환될 수 있게 하여도 된다. 다른 예를 들면, 제1 화면은 장르만을 표시하고, 제2 화면 이후로는 그 화면에 있어서 선택된 장르에 속하는 채널을 표시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해서, 각 채널이, 객관적인 데이터에 기초하여, 적절하게 각 장르로 분류되어서 표시되므로,유저는 용이하게 원하는 채널을 검색할 수 있다. 더욱이, 선호 채널이 자동적으로 추출되어서 유저에게 표시되므로,유저는 더욱 용이하게 원하는 채널을 검색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는,현재 방송 중인 프로그램의 장르에 상관없이, 채널 장르 식별 처리의 결과에 기초하여, 각 채널이 각 장르에 따라 분류되어서 유저에게 표시되도록 했지만, 현재 방송 중인 프로그램의 장르에 기초하여, 각 채널을 각 장르에 따라 분류하고, 유저에게 표시하도록 하여도 된다. 다음에는 도 22 내지 24를 참조하여, 현재 방송 중인 프로그램의 장르에 기초하여 각 채널을 장르에 따라 분류한 다음에 유저에게 표시하는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도 22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정보 처리 장치(100)에 의해 실행되는 채널 장르 식별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서는, 현재 방송 중인 프로그램의 장르에 기초하여 각 채널을 각 장르에 따라 분류하고, 분류 결과를 유저에게 표시하도록 한 경우가 예시된다. 또한,이 처리는, 예를 들면, 매일, 일주일마다, 1개월 마다 등 소정의 기간마다 행해진다.
스텝 S101 내지 S104의 처리는, 전술한 도 13의 스텝 S21 내지 S24의 처리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스텝 S101 내지 S104의 처리에 의해, 각 채널에서 방송되는 각 프로그램이 속하는 장르가 식별된다.
스텝 S105에서,장르 식별부(205)가 채널 장르 테이블(206)을 생성하면, 채널 장르 식별 처리는 종료한다. 도 23은 이때 생성되는 채널 장르 테이블(206)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23의 예에서,채널 장르 테이블(206)은 채널, 프로그램 ID, 장르, 및, 선호의 4개의 필드를 포함한다.
도 23의 채널 장르 테이블(206)은, 채널 A에서 방송되는 프로그램 중 프로그램 A1, A2, A4 및 A5은 "뉴스"의 장르에 속하고, 프로그램 A3은 "스포츠"의 장르에 속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채널 장르 테이블(206)은, 채널 B에서 방송되는 프로그램 중 프로그램 B1 내지 B4은 "스포츠"의 장르에 속하고, 프로그램 B5은 특정한 장르에 속하지 않고 "기타"의 장르에 속함을 보여주고 있다. 즉, 도 23의 채널 장르 테이블(206)에서는,각 채널이 속하는 장르가 프로그램마다 식별되어 있다.
현재 방송 중인 프로그램의 장르에 기초하여 각 채널을 각 장르에 따라 분류하고, 유저에게 표시하도록 한 경우에서의, 선호 채널 등록 처리는, 도 19를 참조해서 전술한 처리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는,도 24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현재 방송 중인 프로그램의 장르에 기초하여 각 채널을 각 장르에 따라 분류하고, 유저에게 표시하도록 한 경우에 있어서, 정보 처리 시스템(1)에 의해 실행되는 채널 검색 화면 표시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이 처리는 U/I처리부(207)를 통하여 명령이 검색 화면 표시 처리부(214)에 입력되었을 때 개시된다. 이 명령은 리모트 컨트롤러(136) 등을 이용하는 유저로부터 입력된 채널 검색 화면의 표시의 명령이다.
스텝 S121에서,검색 화면 표시 처리부(214)는, 방송중의 프로그램이 속하는 장르를 검색한다. 구체적으로는 검색 화면 표시 처리부(214)는, 프로그램 정보 데이터베이스(202)에 기억되어 있는 각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 및, 채널 장르 테이블(206)에 기초하여, 각 채널에서 현재 방송 중인 프로그램이 속하는 장르를 검색한다. 검색 화면 표시 처리부(214)는, 각 채널이 속하는 장르를, 각 채널에서 현재 방송 중인 프로그램이 속하는 장르에 설정한다.
스텝 S122에서,검색 화면 표시 처리부(214)는, 전술한 도 20의 스텝 S81의 처리와 마찬가지로,채널 검색 화면을 디스플레이(114)에 표시시켜서, 채널 검색 화면 표시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이때, 스텝 S81의 처리와는 다르게,각 채널은, 현재 방송 중인 프로그램이 속하는 장르에 기초해서 분류되어 표시된다.
이와 같이 해서, 현재 방송 중인 프로그램의 장르에 기초하여 각 채널을 각 장르에 따라 분류해서 유저에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채널 검색 화면이 표시되지 않고 있는 경우에도, 리모트 컨트롤러(136) 등을 이용하여 장르의 선택을 절환하거나, 선택되어 있는 장르 내에서, 그 장르에 속하는 채널을 절환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본 발명은 텔레비전 방송 등의 채널을 유저가 선국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가지는 장치, 예를 들면, 텔레비전 수상기, 각종의 녹화 장치, 튜너 등에 적용할 수 있다.
전술한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그러한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경우에는,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은, 전용의 하드웨어에 포함되어 있는 컴퓨터, 또는 각종의 프로그램을 인스톨하여 각종의 기능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예를 들면 범용의 퍼스널 컴퓨터 등에, 프로그램 기록 매체로부터 인스톨된다.
도 25는 전술한 일련의 처리를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하는 퍼스널 컴퓨터(500)의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다. 퍼스널 컴퓨터(500)에 있어서, CPU(중앙 처리 장치)(501)는, ROM(Read Only Memory)(502), 또는 기록부(508)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서 각종의 처리를 실행한다. RAM(Random Access Memory)(503)에는, CPU(501)이 실행하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등이 적절하게 기억된다. 이들 컴포넌트, 즉 CPU(501), ROM(502) 및 RAM(503)은, 버스(504)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CPU(501)는 버스(504)를 통해서 입출력 인터페이스(505)에 접속되어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505)에는 입력부(506) 및 출력부(507)가 접속되어 있다. 입력부(506)는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로폰 등으로 구성되고, 출력부(507)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등으로 구성된다. CPU(501)는 입력부(506)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에 대응해서 각종의 처리를 실행한다. 그리고,CPU(501)는 처리의 결과를 출력부(507)에 출력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505)에 접속되어 있는 기록부(508)는 하드디스크인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며, CPU(501)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이나 각종의 데이터를 기억한다. 통신부(509)는, 인터넷이나 로컬 에리어 네트워크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서 외부의 장치와 통신한다.
대안으로, 통신부(509)를 통해서 프로그램을 취득하고, 기록부(508)에 기억하여도 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505)에 접속되어 있는 드라이브(510)는,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광 자기 디스크, 혹은 반도체 메모리 등의 리무버블 매체(511)가 장착되었을 때 매체를 구동하고,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등을 취득한다. 취득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는, 필요에 따라서 기록부(508)에 전송되어, 기억된다.
컴퓨터에 인스톨되어,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상태로 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기록 매체는,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무버블 매체(511), ROM(502), 기억부(508)를 구성하는 하드 디스크 등으로 구성된다. 리무버블 매체(511)는 자기 디스크(플렉시블 디스크를 포함한다), 광 디스크(CD-ROM(Compact Disc-Read Only Memory)를 포함한다), DVD(Digital Versatile Disc), 및 광 자기 디스크, 혹은 반도체 메모리 등인 패키지 매체이다. ROM(502)은 프로그램을 일시적 혹은 영속적으로 저장한다. 프로그램 기록 매체에의 프로그램의 저장은, 필요에 응해서 통신부(509)를 통하여 케이블 또는 무선 통신 매체를 이용해서 행해진다. 통신 매체는 로컬 에리어 네트워크, 인터넷, 디지털 위성방송 등을 포함하고, 통신부(509)는 루터 또는 모뎀과 같은 인터페이스이다.
본 명세서에서,프로그램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을 기술하는 스텝은, 기재된 순서에 따라 시계열적으로 행해지는 처리는 물론, 반드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지 않더라도, 병렬적 혹은 개별로 실행되는 처리도 포함하는 것이다.
첨부된 청구항 또는 이 동등물의 범위에 포함되는 한 설계 요건 및 다른 요인에 따라서 당업자는 본 실시 형태에 여러 가지 변경, 결합, 부분 결합 및 변형이 발생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의 정보 처리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보 처리 장치의 기능적 구성의 일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채널 장르 식별 처리의 제1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4는 프로그램 정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프로그램 정보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추출된 키워드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특징어 테이블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프로그램마다의 장르 특징어의 집계 결과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프로그램마다의 장르 특징어의 집계 결과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채널마다의 장르 특징어의 집계 결과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채널마다의 장르 특징어의 집계 결과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채널 장르 테이블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채널 장르 식별 처리의 제2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4는 각 프로그램이 속하는 장르의 식별 결과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각 프로그램이 속하는 장르의 식별 결과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채널마다의 프로그램이 속하는 장르의 집계 결과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채널마다의 프로그램이 속하는 장르의 집계 결과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채널 장르 테이블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선호 채널 등록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20은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채널 검색 화면 표시 처리의 제1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21은 채널 검색 화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채널 장르 식별 처리의 제3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23은 채널 장르 테이블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4는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채널 검색 화면 표시 처리의 제2 실시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25는 퍼스널 컴퓨터의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Claims (11)

  1. 정보 처리 장치로서,
    장르의 특징을 나타내는 키워드인 장르 특징어를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추출하는 추출 수단과,
    각 채널에 대해서, 상기 채널에서 방송되는 프로그램의 상기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추출된 상기 장르 특징어에 기초하여 상기 채널이 속하는 상기 장르를 식별하는 식별 수단과,
    상기 채널에서 방송된 상기 프로그램에 대하여 행해진 조작의 이력에 기초하여 조작 대상이 된 상기 프로그램의 상기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한 키워드에 기초하여 상기 채널에 대한 유저의 기호도를 산출하는 산출 수단과,
    상기 장르 및 상기 산출된 각 채널별 기호도에 있어서 기호도가 높은 순으로 소정 개수의 채널을 포함하는 그룹을 제1 방향으로 선택가능하게 모두 제시함과 함께, 선택된 상기 장르 또는 상기 그룹에 속하는 상기 채널을, 선택된 상기 장르 또는 상기 그룹을 포함하는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선택가능하게 모두 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시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시 제어 수단은, 상기 채널의 제시순을, 유저가 지정한 순, 소정의 기간 내에 있어서 시청 시간이 긴 순, 소정의 기간 내에 있어서 시청 회수가 많은 순 또는 장르에 대한 적합도가 높은 순서대로 설정하는 정보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수단은, 추출된 상기 장르 특징어의 수를 상기 장르마다 집계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채널이 속하는 상기 장르를 식별하는 정보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수단은, 각각의 상기 프로그램의 상기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추출된 상기 장르 특징어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그램이 속하는 상기 장르를 식별하고, 상기 채널에서 방송되는 상기 프로그램이 속하는 상기 장르에 기초하여 상기 채널이 속하는 상기 장르를 식별하는 정보 처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수단은, 상기 채널에서 방송되는 상기 프로그램의 수를 상기 장르마다 집계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채널이 속하는 상기 장르를 식별하는 정보 처리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수단은, 상기 채널에서 방송되는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을 상기 장르마다 집계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채널이 속하는 상기 장르를 식별하는 정보 처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수단은, 추출된 상기 장르 특징어에 기초하여 상기 채널이 속하는 상기 장르를 상기 프로그램마다 식별하고,
    상기 제시 제어 수단은, 상기 채널을 현재 방송중인 프로그램이 속하는 상기 장르로 분류하여 제시하도록 상기 채널의 제시를 제어하는 정보 처리 장치.
  8. 정보 처리 방법으로서,
    장르의 특징을 나타내는 키워드인 장르 특징어를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추출하고,
    각 채널에 대해서, 상기 채널에서 방송되는 프로그램의 상기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추출된 상기 장르 특징어에 기초하여 상기 채널이 속하는 상기 장르를 식별하고,
    상기 채널에서 방송된 상기 프로그램에 대하여 행해진 조작의 이력에 기초하여 조작 대상이 된 상기 프로그램의 상기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한 키워드에 기초하여 상기 채널에 대한 유저의 기호도를 산출하고,
    상기 장르 및 상기 산출된 각 채널별 기호도에 있어서 기호도가 높은 순으로 소정 개수의 채널을 포함하는 그룹을 제1 방향으로 선택가능하게 모두 제시함과 함께, 선택된 상기 장르 또는 상기 그룹에 속하는 상기 채널을, 선택된 상기 장르 또는 상기 그룹을 포함하는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선택가능하게 모두 제시하도록 제어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방법.
  9.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장르의 특징을 나타내는 키워드인 장르 특징어를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추출하고,
    각 채널에 대해서, 상기 채널에서 방송되는 프로그램의 상기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추출된 상기 장르 특징어에 기초하여 상기 채널이 속하는 상기 장르를 식별하고,
    상기 채널에서 방송된 상기 프로그램에 대하여 행해진 조작의 이력에 기초하여 조작 대상이 된 상기 프로그램의 상기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한 키워드에 기초하여 상기 채널에 대한 유저의 기호도를 산출하고,
    상기 장르 및 상기 산출된 각 채널별 기호도에 있어서 기호도가 높은 순으로 소정 개수의 채널을 포함하는 그룹을 제1 방향으로 선택가능하게 모두 제시함과 함께, 선택된 상기 장르 또는 상기 그룹에 속하는 상기 채널을, 선택된 상기 장르 또는 상기 그룹을 포함하는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선택가능하게 모두 제시하도록 제어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10. 삭제
  11. 삭제
KR1020070084826A 2006-08-23 2007-08-23 정보 처리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14411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226017 2006-08-23
JP2006226017A JP4984739B2 (ja) 2006-08-23 2006-08-23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9183A KR20080019183A (ko) 2008-03-03
KR101441125B1 true KR101441125B1 (ko) 2014-09-17

Family

ID=38829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4826A KR101441125B1 (ko) 2006-08-23 2007-08-23 정보 처리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080256578A1 (ko)
EP (1) EP1892956B1 (ko)
JP (1) JP4984739B2 (ko)
KR (1) KR101441125B1 (ko)
CN (1) CN101132496A (ko)
TW (1) TWI39878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90138B2 (en) * 2007-02-23 2013-07-16 Rovi Guides, Inc. Channel searching by content type
CN101355664B (zh) * 2008-09-23 2010-08-04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节目的播放方法、装置和系统
TW201038069A (en) * 2009-04-02 2010-10-16 Hometouch Co Ltd Multimedia remote control and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thereof
KR101116966B1 (ko) * 2009-09-17 2012-03-14 브로드밴드미디어주식회사 양방향 방송 서비스에서 실시간 방송의 프로그램 편성 및 제공 방법
TW201123877A (en) * 2009-12-25 2011-07-01 Hon Hai Prec Ind Co Ltd Television and method for saving energy thereof
JP2011139142A (ja) * 2009-12-25 2011-07-14 Sharp Corp 表示装置、テレビジョン受像機、表示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TWI488493B (zh) * 2010-04-16 2015-06-11 Mitac Int Corp 喜好節目推薦裝置與方法
JP2012023636A (ja) * 2010-07-15 2012-02-02 Nippon Hoso Kyokai <Nhk> コンテンツ提示装置及びコンテンツ提示プログラム
KR20120022490A (ko) * 2010-09-02 2012-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채널 리스트 제공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CN103631576A (zh) * 2012-08-24 2014-03-12 瑞昱半导体股份有限公司 多媒体评注编辑系统与相关的多媒体评注编辑方法和装置
CN104661097A (zh) * 2013-11-22 2015-05-2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网络电视页面显示的方法及网络终端
JP6237252B2 (ja) * 2014-01-17 2017-11-29 船井電機株式会社 録画再生装置および常時録画チャンネル指定方法
CN105100835B (zh) * 2014-05-05 2018-04-17 北京四达时代软件技术股份有限公司 频道的分类方法及装置
US9781479B2 (en) * 2016-02-29 2017-10-03 Rovi Guides, Inc. Methods and systems of recommending media assets to users based on content of other media assets
CN105979287B (zh) * 2016-05-31 2020-04-24 无锡天脉聚源传媒科技有限公司 一种节目关键词的提取与统计方法及装置
CN105847865B (zh) * 2016-05-31 2019-07-26 无锡天脉聚源传媒科技有限公司 一种节目关键词的参数计算方法及装置
KR102619661B1 (ko) 2016-10-28 2023-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07580263B (zh) * 2017-09-12 2020-09-08 中广热点云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电视节目epg内容的搜索管理系统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0757A (ja) * 2002-12-16 2004-07-15 Mitsubishi Electric Corp デジタル放送受信機およびデジタル放送受信機の番組検索方法
JP2005051493A (ja) * 2003-07-28 2005-02-24 Toshiba Corp 映像記録再生装置および映像記録再生方法
KR20060063931A (ko) * 2003-08-06 2006-06-12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프로그램 추천장치
JP2006180306A (ja) * 2004-12-24 2006-07-06 Hitachi Ltd 動画記録再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08784B2 (ja) * 1994-11-11 2004-03-22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受信制御装置および画像受信制御方法
JPH10294904A (ja) * 1997-04-17 1998-11-04 Hitachi Ltd 受信装置
US7360230B1 (en) * 1998-07-27 2008-04-15 Microsoft Corporation Overlay management
US6445306B1 (en) * 1999-03-31 2002-09-0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Remote control program selection by genre
EP1063797A3 (en) * 1999-05-31 2006-03-15 Matsushita Electronics Corporation Digital broadcast reception apparatus for retrieving broadcast program information, and computer-readable record medium carrying a computer program allowing a computer to function as a digital broadcast reception apparatus
US6438752B1 (en) * 1999-06-22 2002-08-20 Mediaone Group, Inc.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television programs based on the past selection history of an identified user
JP2001045391A (ja) 1999-07-26 2001-02-16 Toshiba Corp 受信装置
US7379655B1 (en) * 1999-12-07 2008-05-27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searching device, information receiver, and methods therefor
US20020062481A1 (en) * 2000-02-25 2002-05-23 Malcolm Slaney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advertisements
JP4992175B2 (ja) * 2000-03-29 2012-08-08 ソニー株式会社 コンテンツガイド生成装置及びコンテンツガイド生成方法
JP2002094893A (ja) * 2000-09-19 2002-03-29 Pioneer Electronic Corp 番組案内表示装置及び番組案内表示方法
JP3672023B2 (ja) * 2001-04-23 2005-07-13 日本電気株式会社 番組推薦システムおよび番組推薦方法
JP2003076719A (ja) * 2001-06-22 2003-03-14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情報閲覧プログラム、情報閲覧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情報閲覧装置及び方法、情報生成プログラム、情報生成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情報生成装置及び方法、情報生成閲覧システム
WO2003015408A1 (en) * 2001-08-06 2003-02-2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ystem and method for combining several epg sources to one reliable epg
US20030046695A1 (en) * 2001-08-29 2003-03-06 Digeo, Inc.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focused navigation using filtering and direct-tune buttons
JP3714310B2 (ja) * 2002-08-07 2005-11-09 ソニー株式会社 コンテンツの自動記録装置及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KR100549315B1 (ko) * 2003-07-07 2006-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설정장치 및 방법
EP1684507A4 (en) * 2003-11-13 2008-11-26 Panasonic Corp PROGRAM RECOMMENDATION DEVICE, PROGRAM RECOGNITION METHOD OF A PROGRAM RECOMMENDATION DEVICE AND COMPUTER PROGRAM
KR20050075546A (ko) * 2004-01-15 2005-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그램 장르별로 분류된 채널맵을 이용하여 채널을전환하는 채널전환장치 및 그 방법
US20070286571A1 (en) * 2004-03-31 2007-12-13 Pioneer Corporation Information Recorder and Information Recording Program
JP2005346828A (ja) * 2004-06-02 2005-12-15 Pioneer Electronic Corp 情報処理装置、その方法、そのプログラム、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および、情報記録装置
JP2006060284A (ja) * 2004-08-17 2006-03-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配信システムおよび携帯端末装置、情報提供装置
JP2006063931A (ja) 2004-08-30 2006-03-09 Honda Motor Co Ltd 燃料タンクのフロートバルブ
JP4583203B2 (ja) 2005-02-18 2010-11-17 新日軽株式会社 内倒し窓
WO2007013308A1 (ja) * 2005-07-28 2007-02-0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番組録画装置、番組管理サーバ、番組管理方法、番組管理プログラム及び番組管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07158998A (ja) * 2005-12-08 2007-06-21 Hitachi Ltd 放送受信装置及びその録画番組選択支援方法
JP5328327B2 (ja) 2008-12-08 2013-10-30 キヤノン株式会社 ワークフロー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0757A (ja) * 2002-12-16 2004-07-15 Mitsubishi Electric Corp デジタル放送受信機およびデジタル放送受信機の番組検索方法
JP2005051493A (ja) * 2003-07-28 2005-02-24 Toshiba Corp 映像記録再生装置および映像記録再生方法
KR20060063931A (ko) * 2003-08-06 2006-06-12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프로그램 추천장치
JP2006180306A (ja) * 2004-12-24 2006-07-06 Hitachi Ltd 動画記録再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32496A (zh) 2008-02-27
US9674572B2 (en) 2017-06-06
TW200817948A (en) 2008-04-16
EP1892956A3 (en) 2010-01-13
US20120210361A1 (en) 2012-08-16
US20080256578A1 (en) 2008-10-16
KR20080019183A (ko) 2008-03-03
EP1892956B1 (en) 2018-07-11
EP1892956A2 (en) 2008-02-27
JP2008053876A (ja) 2008-03-06
JP4984739B2 (ja) 2012-07-25
TWI398785B (zh) 2013-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1125B1 (ko) 정보 처리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EP1762947B1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television program selection
JP4446188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EP2252050B1 (en) A method of recommending local and remote content
US782719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program
CN1968363A (zh) 信息处理设备和信息处理方法
CN107491995A (zh) 控制辅助媒体的放置的装置和方法
CN110287372A (zh) 用于负反馈的标签确定方法、视频推荐方法及其装置
JP4217957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JP2004362019A (ja) 情報推薦装置、情報推薦方法、情報推薦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8352985B2 (en) Method of storing and displaying broadcast contents and apparatus therefor
JP4348603B2 (ja) 情報検索システムおよび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JP5266981B2 (ja) 電子機器、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90044592A (ko) 동적인 다차원 분석 기반의 광고 추천 장치 및 방법
WO2017043172A1 (ja)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サーバー、情報提供方法、及び情報提供システム用のプログラム
WO2023047953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8109497A (ja) コンテンツ出力プログラム、コンテンツ出力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出力装置
JP4961760B2 (ja) コンテンツ出力装置、及びコンテンツ出力方法
JP2009025933A (ja) 表示制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3229655A (ja) 録画番組一覧表示装置、録画番組一覧表示方法、および録画番組一覧表示プログラム
JP2010118758A (ja) 表示制御装置、及び方法、プログラム
WO2006043499A1 (ja) 情報処理装置、分類基準情報データベース、情報生成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生成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の記録した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