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9958B1 - 탁구대 바퀴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탁구대 바퀴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9958B1
KR101439958B1 KR1020130023351A KR20130023351A KR101439958B1 KR 101439958 B1 KR101439958 B1 KR 101439958B1 KR 1020130023351 A KR1020130023351 A KR 1020130023351A KR 20130023351 A KR20130023351 A KR 20130023351A KR 101439958 B1 KR101439958 B1 KR 101439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wheel fixing
pair
fixed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3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영 열 김
조춘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엑시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엑시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엑시옴
Priority to KR1020130023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99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9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9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56Devices for protection, storage or transport, e.g. stands or ca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04Table games physically beneficial for the human body, modelled on outdoor sports, e.g. table tenn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4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small-room or indoor sporting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16Table tenn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egs For Furniture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탁구대 바퀴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탁구대의 저면 수평다리에 각각 장착된 복수개의 바퀴를 고정시키는 탁구대 바퀴고정장치에 있어서, 한 쌍의 바퀴가 양측면에 배치되고, 제1 및 제2 부품 안착부가 천공되어 형성된 바퀴홀딩수단; 상기 바퀴홀딩수단의 부품안착부에 장착된 바퀴고정수단; 상기 바퀴홀딩수단의 안착부에 수직하게 상부위치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바퀴고정수단을 수직하게 상하로 누르는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을 감싸는 중공원통봉 및 상기 중심축 상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중공원통봉의 상단부에 감싸져서 상기 중공원통봉의 상단부에서 상하이동하면서 상기 중심축을 누르는 머리부를 구비한 누름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탁구대 바퀴고정장치{Wheel Fixing Apparatus of Table Tennis Table}
본 발명은 탁구대 바퀴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퀴고정수단이 수평다리 상부에 위치하므로 탁구대의 바퀴를 쉽게 고정시킬 수 있고 간단한 조작으로 바퀴의 이동 및 고정이 쉽고 바퀴의 방향 및 바퀴자체의 회전이 방지되는 편리한 탁구대 바퀴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탁구대에 관한 기술로서 접이식 일체형 탁구대(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0636416호, 2006년10월12일)는 가스쇼바가 장착된 수직다리 저면에 설치된 수평다리들내에 각각 설치되어 서로 연결된 다단 슬라이드장치와, 상기 슬라이드장치의 저면에 장착된 바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접이식 일체형 탁구대에 따르면, 수평다리들에 고정된 바퀴는 이동 후 제자리에 고정할 때 고정장치가 수평다리 밑으로 들어가거나 안쪽으로 위치하고 있을 때 고정시키기가 불편한 문제점이 대두되었다. 즉, 종래에는 고정장치가 바퀴쪽에 있으므로 바퀴를 고정시키기가 불편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바퀴의 방향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수평다리 상부에 바퀴고정장치를 둠으로써 편리하면서도 바퀴 자체가 회전하는 것을 쉽게 막을 수 있는(락(lock) 기능), 즉 바퀴의 방향 및 바퀴 자체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바퀴고정장치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수평다리 상부에 바퀴고정장치를 둠으로써 탁구대의 바퀴를 쉽게 고정시킬 수 있고 간단한 조작으로 바퀴의 이동 및 고정이 쉽고 바퀴의 방향을 고정시킬 수 있고 또한 바퀴 자체의 회전도 방지할 수 있는 편리한 새로운 형태의 탁구대 바퀴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탁구대 바퀴고정장치는
탁구대의 저면 수평다리에 각각 장착된 복수개의 바퀴를 고정시키는 탁구대 바퀴고정장치에 있어서,
한 쌍의 바퀴가 양측면에 배치되고, 제1 및 제2 부품 안착부가 천공되어 형성된 바퀴홀딩수단;
상기 바퀴홀딩수단의 부품안착부에 장착된 바퀴고정수단;
상기 바퀴홀딩수단의 안착부에 수직하게 상부위치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바퀴고정수단을 수직하게 상하로 누르는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을 감싸는 중공원통봉 및 상기 중심축 상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중공원통봉의 상단부에 감싸져서 상기 중공원통봉의 상단부에서 상하이동하면서 상기 중심축을 누르는 머리부를 구비한 누름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누름수단의 중공원통봉 하단에 방사상으로 복수개의 원호형상이 외주면에 형성된 회전판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퀴고정수단은
제1 부품안착부의 하단의 삽입홈에 삽입설치된 베이스;
저면은 상기 베이스의 저면을 감싸면서 고정되며 상부는 양단부가 서로 마주하도록 절곡된 형태인 상부 개방형 'ㄷ'자형 스프링과;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상하 이동가능한 수직봉이 삽입 설치되며, 일측면 및 대향된 타측면에는 각각 상기 'ㄷ'자형 스프링이 한 쪽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한 쌍의 스프링 걸림부 및 스프링 가이드부가 형성된 한 쌍의 평판;을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퀴고정수단은
상기 한 쌍의 평판 중 상부 평판 양측에 고정된 연결쇠;
상기 연결쇠에 고정되며 제2 부품안착부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삽입설치되며, 한 쌍의 바퀴의 내측 톱니홈에 걸려 고정되는 한 쌍의 걸림홈을 가지는 바퀴고정부를 더 포함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퀴고정수단은
제1 부품안착부의 하단의 삽입홈에 삽입설치된 베이스;
저면은 상기 베이스의 저면을 감싸면서 고정되며 상부는 양단부가 서로 마주하도록 절곡된 형태인 상부 개방형 'ㄷ'자형 스프링과;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상하 이동가능한 수직봉이 삽입 설치되며, 일측면 및 대향된 타측면에는 각각 상기 'ㄷ'자형 스프링이 한 쪽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한 쌍의 스프링 걸림부 및 스프링 가이드부가 형성된 한 쌍의 평판;
상기 한 쌍의 평판 중 상부 평판 양측에 고정된 연결쇠;
상기 연결쇠에 고정되며 제2 부품안착부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삽입설치되며, 한 쌍의 바퀴의 내측 톱니홈에 걸려 고정되는 한 쌍의 걸림홈을 가지는 바퀴고정부를 포함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탁구대 바퀴고정장치에 의하면, 바퀴고정수단이 수평다리 상부에 있으므로 바퀴고정장치가 수평다리 밑으로 숨거나 안쪽으로 들어가 작동이 불편했던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여 탁구대의 바퀴를 쉽게 고정시킬 수 있고 간단한 조작으로 바퀴의 이동 및 고정이 쉽고 이로인해 바퀴의 방향 및 바퀴 자체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어서 편리하게 바퀴를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탁구대 바퀴고정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일측 바퀴를 제거한 후의 탁구대 바퀴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일측 바퀴 및 바퀴홀딩수단을 제거한 후의 탁구대 바퀴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 한 쌍의 바퀴 및 바퀴홀딩수단을 제거한 후의 탁구대 바퀴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누름수단에서 중공원통봉을 제거하고 및 바퀴홀딩수단을 제거한 후의 탁구대 바퀴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누름수단과 바퀴의 걸림작용 전 상태를 나타낸 탁구대 바퀴고정장치의 일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탁구대 바퀴고정장치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누름수단 및 바퀴홀딩수단의 작동상태 중 바퀴고정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누름수단과 바퀴고정수단만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누름수단 및 바퀴홀딩수단의 작동상태 중 바퀴해제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서 바퀴고정수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바퀴고정수단의 작동관계를 나타내되, 좌측 및 우측 측면의 상태를 각각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9 및 도 10에서 바퀴고정수단만을 별도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탁구대 바퀴고정장치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탁구대 바퀴고정장치에서 바퀴고정수단의 작동관계를 나타내되, 좌측 및 우측 측면의 작동상태를 각각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탁구대 바퀴고정장치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탁구대 바퀴고정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일측 바퀴를 제거한 후의 탁구대 바퀴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일측 바퀴 및 바퀴홀딩수단을 제거한 후의 탁구대 바퀴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서 한 쌍의 바퀴 및 바퀴홀딩수단을 제거한 후의 탁구대 바퀴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누름수단에서 중공원통봉을 제거하고 및 바퀴홀딩수단을 제거한 후의 탁구대 바퀴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서 누름수단과 바퀴의 걸림작용 전 상태를 나타낸 탁구대 바퀴고정장치의 일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탁구대 바퀴고정장치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탁구대 바퀴 고정장치(100)는 탁구대의 저면 수평다리(L)(도 7참조)에 각각 장착된 복수개의 바퀴를 고정시킨다.
일반적으로 탁구대의 바퀴는 탁구대의 저면 수평다리(L)(도 7참조)에 각각 고정된다. 그리고 바퀴는 고정축(저면 수평다리에 고정된 고정축을 말함)을 중심으로 자체적으로 360도로 회전가능하며 이동시에는 자체적으로 회전하면서 탁구대를 이동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바퀴는 정지시에는 자체적 회전과 동시에 축중심의 회전도 정지되어야 하며, 축 중심의 회전(즉 고정축 중심의 회전을 말함)은 보통 고정장치를 통해(종래기술) 고정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360도로 회전하는 바퀴의 회전을 상방에서 수직하방으로 간단히 누름으로써 정지시킬 수 있다는데 특징이 있다. 이로 인해 바퀴의 자체 회전 및 이동을 위한 회전도 정지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탁구대 바퀴 고정장치(100)는
대략 원판형상에 하나 이상의 부품안착부(122b,122c)가 천공되어 형성되며, 한 쌍의 바퀴(111,112)가 양측면에 배치되고, 상부에 누름수단 안착부(122d)가 형성된 바퀴홀딩수단(바퀴를 홀딩하기 위한 부분은 대략 원형형상이다);
상기 바퀴홀딩수단의 부품안착부(122b,122c)에 장착된 바퀴고정수단;
상기 바퀴홀딩수단의 안착부에 수직으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바퀴고정수단을 수직하게 상하로 누르는 중심축(혹은 누름봉)(166)과 상기 중심축(166)을 감싸는 중공원통봉(162)을 구비한 누름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바퀴고정수단은 탁구대의 저면 수평다리에 고정된 바퀴의 방향을 고정시킨다. 상기 누름수단을 통해 일차적으로 바퀴의 자체 회전이 불가능하게 고정된다. 바퀴의 방향이 고정되는 것은 이후 설명되는 회전판과 바퀴고정수단의 수직봉들과의 결합작용에 의해 이루어진다. 회전판은 누름수단이 회전가능하므로 약간만(약 3~4정도) 회전시키면 딱하는 소리와 함께 회전판과 바퀴고정수단의 수직봉이 결합(보통 두개가 결합됨)되어 바퀴의 방향도 고정되게 된다.
상기 누름수단의 중공원통봉(162) 하단에는 방사상으로 복수개의 원호형상이 외주면에(실시예에서는 10개 구비됨, 각도 4.5도씩 회전하면서 원호형상부(168b)에 이후 설명되는 수직봉(153a,153b,153c,153d)중 적어도 두 개가 상부로 이동되면서 접하게됨, 바퀴 락(lock) 장치) 걸리는 원호형상부(168b)가 구비된 회전판(168)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누름수단의 중공원통봉(162)은 회전가능하며, 하단부에 구비된 회전판(168)과 결합되어 있고, 중공원통봉(162)을 돌리면 회전판(168)도 동시에 회전된다.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도 5에서, 상기 누름수단은 머리부(161)와 중심축(166)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심축(166)외측면을 감싸면서 중공원통봉(162)이 위치하며, 중공원통봉(162)의 상부는 상기 머리부(161)에 끼워지도록 배치되며, 상기 머리부(161)는 상기 중공원통봉(162)의 상부에서 나사부에 끼워진 너트(161a)에 접촉하면서 상하이동된다(머리부(161)는 너트(161a)의 높이 H만큼 최소한 상하 이동된다). 상기 머리부(161)가 너트(161a)를 상하이동하는 모양을 보면 머리부(161)가 상기 중공원통봉(162)상부에 끼워진 캡(cap)과 같다고도 볼 수 있다.
엄밀하게 구분하여 설명하면, 상기 누름수단은 머리부와 중심축만으로 이루어진다고도 볼 수 있으며, 상기 머리부에 연결된 중공원통봉은 회전판과 연결되어 바퀴의 회전방향만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는 편의상 누름수단을 상기 회전방향 고정시키는 중공원통봉과 상기 중공원통봉 내부에 위치된 중심축(166)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이 부분은 분리하여 누름수단 및 바퀴회전방향 고정수단으로 구분하여 설명될 수 있다.
상기 누름수단은 상기 중공원통봉(162)내부에 중심축(166 )
상기 바퀴고정수단은
상기 부품안착부(122b)의 삽입홈(122b-1)에 삽입설치된 베이스(152);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152)의 홈(152a)에 고정되며 타단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된 상부 개방형 'ㄷ'자형 스프링(142)과;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상하 이동가능한 수직봉(153a,153b,153c,153d)이 삽입 설치되며, 일측면 및 대향된 타측면에는 각각 상기 'ㄷ'자형 스프링이 한 쪽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한 쌍의 스프링 걸림부 및 스프링 가이드부가 형성된 한 쌍의 평판(153,154);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바퀴고정수단은 상기 평판(153,154)중 상부 평판(154) 양측에 고정된 연결쇠(156);
상기 연결쇠(156)에 고정되며, 상기 부품안착부(122c) 한 쌍의 바퀴의 내측 톱니홈(111b,112b)에 걸려 바퀴를 고정시키는 한 쌍의 걸림부(158a,158b)를 가지며 탄성스프링을 매개로 좌우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바퀴고정부(158)를 포함한다.
상기 바퀴고정부(158)는 부품안착부(122c)에 고정된다.
상기 바퀴고정수단에서
평판(153,154)은 상하 각각 모서리 부분에 수직봉(153a,153b,153c,153d)이 압축스프링(155)을 매개로 항상 상부로 힘을 발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누름수단 및 바퀴홀딩수단의 작동상태 중 바퀴고정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서 누름수단과 바퀴고정수단만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누름수단 및 바퀴홀딩수단의 작동상태 중 바퀴해제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서 바퀴고정수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바퀴고정수단의 작동관계를 나타내되, 좌측 및 우측 측면의 상태를 각각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9 및 도 10에서 바퀴고정수단만을 별도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탁구대 바퀴고정장치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탁구대 바퀴고정장치에서 바퀴고정수단의 작동관계를 나타내되, 좌측 및 우측 측면의 작동상태를 각각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도 8 내지 도 15에 따르면, 바퀴방향 및 바퀴자체 회전이 방지된 상태를 나타낸다. 바퀴고정수단의 한 쌍의 평판 일측면에 형성된 가이드 부(157a) 및 상기 가이드부(157a)내에 스프링걸림부(159a)가 형성되어있다. 측단면에서 보면 가이드부(157a)와 스프링걸림부(159a)와의 사이 간격으로 상부 개방형 'ㄷ'자형 스프링의 상부 한쪽(142b)이 걸쳐지면서 가이드부(157a)의 저면에 위치되거나 혹은 스프링 걸림부(159a)의 상부 절곡부(159a-1)에 걸쳐지게 된다.
또한, 상기 바퀴고정수단의 한 쌍의 평판 타측면에 형성된 가이드 부(157b) 및 상기 가이드부(157b)내에 스프링걸림부(159b)가 형성되어있다. 측단면에서 보면 가이드부(157b)와 스프링걸림부(159b)와의 사이 간격으로 상부 개방형 'ㄷ'자형 스프링(142)의 상부 다른 쪽(142b)이 걸쳐지면서 가이드부(157b)의 저면에 위치되거나 혹은 스프링 걸림부(159b)의 상부 절곡부(159b-1)에 걸쳐지게 된다.
결국 스프링(142)의 상부 양단부(142a,142b)가 상기 가이드부(157a,157b)에 걸려있을 때는 바퀴가 방향 및 자체 회전이 방지되는 락(lock) 상태가 되며,
스프링(142)의 상부 양단부(142a,142b)가 상기 스프링걸림부(159a,159b)의 상부 절곡부(159a-1,159b-1)에 걸려있을 때는 바퀴가 방향 및 자체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 바퀴고정수단의 상부 평판에 연결된 연결쇠(156a,156b)와 연결된 바퀴고정부(156)의 한 쌍의 걸림부(158a,158b)가 한 쌍의 바퀴의 내측 톱니홈(111b,112b)에 걸려 바퀴를 고정시킨다.
한편, 상기 한 쌍의 평판을 포함하는 바퀴고정수단은 저면 평판은 압축스프링(144)를 매개로 베이스(142)로부터 항상 상방으로 이동되는 힘을 받고 있으며, 이 힘은 스프링(142)의 상부 양단부가 상기 가이드부(157a,157b)(혹은 스프링걸림부(159a,159b))에 걸려 있어서 상부 이동이 제한적으로 되도록 제어된 상태이다.
또한, 상기 바퀴고정수단의 한 쌍의 평판 사이에 4개의 수직봉은 압축스프링(155)에 의해 감싸져있고, 상부는 와셔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와셔는 상부 평판 저면에 접촉된 상태이다. 상기 수직봉 중 일부는 상부 힘에 의해 눌리게 되면 와셔와 함께 압축스프링(155)이 눌리면서 하부 평판을 일부 통과하게 된다(도 11 참조)(눌리지 않은 부분은 그대로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수직봉들은 각각 압축스프링에 의해 항상 상방으로 힘을 받고 있다. 따라서, 수직봉의 상부 이동은 회전판(168)의 외측면에 형성된 홀을 통과하여 회전판(168)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여 결국 바퀴의 방향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는 점은 이미 상기에서 설명한 바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각각 도 1의 사시도에서 볼 때, 바퀴고정수단의 좌측 및 우측의 각각의 면에서의 스프링(142)의 이동과정을 살펴보면,(점선은 반대측면의 스프링 걸림부와 가이드부를 나타낸다),
스프링 걸림부(159a)의 저면에서부터 상부절곡부(159a-1)를 중심으로 좌우측 단부까지의 높이 h11 및 h12는 스프링 걸림부(159b)의 저면에서부터 상부절곡부(159b-1)의 좌우측 단부 까지의 높이 h21 및 h22와 차이가 있는데, h21>h11, h22>h12의 관계를 가진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각각의 스프링 걸림부의 저면에서부터 상부절곡부까지의 거리는 서로같다. 도 15에서의 스프링(142)의 현재 상태는 바퀴 잠김상태이다.
스프링(142)의 양측 상단부(142a,142b)는 각각 상기 한 쌍의 평판이 밀리면서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스프링걸림부(159a,159b)에 접하면서 경사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되어 모서리 및 좌우측의 상단부를 지나 각각의 스프링걸림부의 상부절곡부에 안착되고 하부평판에 접하여 있는 압축스프링의 작용에 의해 평판은 다시 상방으로 이동되게 된다.
이후 한 쌍이 평판이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스프링(142)의 양측 상단부(142a,142b)는 스프링걸림부의 상부절곡부를 이탈하면서 가이드부 하방으로 이동되어 도 15와 같은 상태로 다시 돌아오게된다. 스프링(142)은 한 쌍의 평판과 이와 같은 작용을 반복하면서 상기 스프링걸림부에 걸리고 해제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의 특징을 다시 한 번 설명한다면, 본 발명에서는 탁구대의 저면에 설치된 복수개의 바퀴의 방향 및 바퀴 자체의 회전을 바퀴 상부에 설치된 누름수단을 상부에서 간단히 누르는 힘만으로 쉽게 고정시킬 수 있다는 점에 있다.
즉, 본 발명에서의 탁구대 바퀴고정장치에 의하면, 누름수단을 누르면, 바퀴의 회전에 멈춰지게 되며, 누름수단의 중공원통봉을 약간 회전시키면 딱 소리가 바퀴고정수단 내부에 수직봉이 회전판에 끼워지면서 바퀴의 방향도 고정상태가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익숙한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이하 서술되는 청구범위를 토대로 쉽게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내에 포함되는 것이다.
100: 바퀴고정장치
122b,122c: 부품안착부
122b-1: 삽입홈
111,112: 바퀴
111b,112b: 톱니홈
122d: 누름수단 안착부
142: 스프링
142a,142b: 스프링 양단부
144,155: 압축스프링
152: 베이스
152a: 홈
153,154: 평판
153a,153b,153c,153d: 수직봉
157a,157b: 가이드부
159a,159b: 스프링걸림부
159a-1,159b-1: 상부절곡부
156a,156b: 연결쇠
158a,158b: 걸림부
161: 머리부
161a: 너트
162: 중공원통봉
166: 중심축
168: 회전판
168b: 원호형상부

Claims (5)

  1. 탁구대의 저면 수평다리에 각각 장착된 복수개의 바퀴를 고정시키는 탁구대 바퀴고정장치에 있어서,
    한 쌍의 바퀴가 양측면에 배치되고, 제1 및 제2 부품 안착부가 천공되어 형성된 바퀴홀딩수단;
    상기 바퀴홀딩수단의 부품안착부에 장착된 바퀴고정수단;
    상기 바퀴홀딩수단의 안착부에 수직하게 상부위치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바퀴고정수단을 수직하게 상하로 누르는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을 감싸는 중공원통봉 및 상기 중심축 상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중공원통봉의 상단부에 감싸져서 상기 중공원통봉의 상단부에서 상하이동하면서 상기 중심축을 누르는 머리부를 구비한 누름수단;을 포함하는 탁구대 바퀴고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수단의 중공원통봉 하단에 방사상으로 복수개의 원호형상이 외주면에 형성된 회전판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구대 바퀴고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고정수단은
    제1 부품안착부의 하단의 삽입홈에 삽입설치된 베이스;
    저면은 상기 베이스의 저면을 감싸면서 고정되며 상부는 양단부가 서로 마주하도록 절곡된 형태인 상부 개방형 'ㄷ'자형 스프링과;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상하 이동가능한 수직봉이 삽입 설치되며, 일측면 및 대향된 타측면에는 각각 상기 'ㄷ'자형 스프링이 한 쪽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한 쌍의 스프링 걸림부 및 스프링 가이드부가 형성된 한 쌍의 평판;을 포함하는 탁구대 바퀴고정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고정수단은
    상기 한 쌍의 평판 중 상부 평판 양측에 고정된 연결쇠;
    상기 연결쇠에 고정되며 제2 부품안착부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삽입설치되며, 한 쌍의 바퀴의 내측 톱니홈에 걸려 고정되는 한 쌍의 걸림홈을 가지는 바퀴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탁구대 바퀴고정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고정수단은
    제1 부품안착부의 하단의 삽입홈에 삽입설치된 베이스;
    저면은 상기 베이스의 저면을 감싸면서 고정되며 상부는 양단부가 서로 마주하도록 절곡된 형태인 상부 개방형 'ㄷ'자형 스프링과;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상하 이동가능한 수직봉이 삽입 설치되며, 일측면 및 대향된 타측면에는 각각 상기 'ㄷ'자형 스프링이 한 쪽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한 쌍의 스프링 걸림부 및 스프링 가이드부가 형성된 한 쌍의 평판;
    상기 한 쌍의 평판 중 상부 평판 양측에 고정된 연결쇠;
    상기 연결쇠에 고정되며 제2 부품안착부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삽입설치되며, 한 쌍의 바퀴의 내측 톱니홈에 걸려 고정되는 한 쌍의 걸림홈을 가지는 바퀴고정부를 포함하는 탁구대 바퀴고정장치.


KR1020130023351A 2013-03-05 2013-03-05 탁구대 바퀴고정장치 KR101439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3351A KR101439958B1 (ko) 2013-03-05 2013-03-05 탁구대 바퀴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3351A KR101439958B1 (ko) 2013-03-05 2013-03-05 탁구대 바퀴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9958B1 true KR101439958B1 (ko) 2014-09-12

Family

ID=51759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3351A KR101439958B1 (ko) 2013-03-05 2013-03-05 탁구대 바퀴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995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4194Y1 (ko) 2004-08-25 2005-01-25 박인상 캐스터 고정장치
KR200434197Y1 (ko) 2006-07-14 2006-12-18 엄옥순 독서실용 의자의 바퀴 고정장치
KR101106313B1 (ko) 2010-03-09 2012-01-18 이상호 의자용 캐스터의 고정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4194Y1 (ko) 2004-08-25 2005-01-25 박인상 캐스터 고정장치
KR200434197Y1 (ko) 2006-07-14 2006-12-18 엄옥순 독서실용 의자의 바퀴 고정장치
KR101106313B1 (ko) 2010-03-09 2012-01-18 이상호 의자용 캐스터의 고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54737B2 (en) Infant care apparatus
KR101870587B1 (ko) 초박형 키보드 스위치
US8079639B2 (en) Bouncer
EP1961336B1 (en) Table Seat with rotatable sitting Portion
KR101068110B1 (ko) 높이조절 및 접이식 테이블
US3802003A (en) Crib reciprocating device
US20050098969A1 (en) Mechanism for selectively locking swingably mounted wheel assemblies
KR101439958B1 (ko) 탁구대 바퀴고정장치
US20150096477A1 (en) Table with a Rotatable Board
US8939506B2 (en) Carrier for infant car seat
JP4837496B2 (ja) キャスタ装置
JP2000052704A (ja) キャスタ装置
JP2007008452A (ja) 移動ボディーが備えられたキャスター装置
JP3195358U (ja) キャスタ装置
US8240699B2 (en) Caster device and infant suppor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0726831B1 (ko) 압착형 음식물 성형 기구
KR20120085982A (ko) 버튼식 절첩 가능한 테이블 다리
CN203262787U (zh) 多功能婴儿床
KR100961734B1 (ko) 모드전환이 가능한 캐스터
GB2582198A (en) Bassinet
DE102013227110A1 (de) Bremsmechanismus und damit ausgestatteter Kindersitz
JP5244306B2 (ja) 折り畳みテーブル
CN111390992B (zh) 多用裁纸器
CN218246485U (zh)
JP7126846B2 (ja) 浴槽用手摺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