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8376B1 - pH 조절을 통해 안정화된 프룩토오스 1,6-디포스페이트 화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pH 조절을 통해 안정화된 프룩토오스 1,6-디포스페이트 화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8376B1
KR101438376B1 KR1020110014442A KR20110014442A KR101438376B1 KR 101438376 B1 KR101438376 B1 KR 101438376B1 KR 1020110014442 A KR1020110014442 A KR 1020110014442A KR 20110014442 A KR20110014442 A KR 20110014442A KR 101438376 B1 KR101438376 B1 KR 101438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diphosphate
fructose
ski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4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3768A (ko
Inventor
이원기
조성아
박희진
조준철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10014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8376B1/ko
Publication of KR20120103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3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8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83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2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2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H 조절을 통해 안정화된 프룩토오스 1,6-디포스페이트 화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성물의 pH 범위를 3~6으로 조절함으로써 프룩토오스 1,6-디포스페이트 화합물이 조성물 내에서 안정하게 존재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pH 조절을 통해 안정화된 프룩토오스 1,6-디포스페이트 화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omposition for skin external containing fructose 1,6-diphosphate stabilized by pH control}
본 발명은 pH 조절을 통해 안정화된 프룩토오스 1,6-디포스페이트 화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성물의 pH 범위를 3~6으로 조절함으로써 프룩토오스 1,6-디포스페이트 화합물이 조성물 내에서 안정하게 존재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우리 신체조직 중 가장 큰 면적을 차지할 뿐만 아니라, 항상 외부의 유해한 환경에 노출되어 있다. 신체의 일차적인 방어막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피부는 항상 산화적 손상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이를 효과적으로 방어하지 못하면 주름 등의 피부노화현상이 가속화 된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잘 알려져 있다.
프룩토오스 1,6-디포스페이트 (Fructose 1,6-Diphosphate; FDP)는 허혈/재관류(Ischemia/reperfusion)와 같은 산화적 손상으로부터 조직을 보호하거나, 적출된 장기의 ATP 고갈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FDP가 외과수술 등과 같은 급격한 환경에서 심장 등의 조직을 효과적으로 보호하는 것과 같이, UV와 같은 산화적 손상을 유발하는 환경에서 피부세포를 보호할 수 있는지, 더 나아가 이러한 효과가 직접적으로 피부노화현상을 완화 혹은 지연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서 피부세포뿐만 아니라 동물 및 사람을 대상으로 다각도의 실험을 진행하여 FDP는 UV에 의한 피부세포 손상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한 피부노화현상을 현저히 억제 혹은 개선시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프룩토오스 1,6-디포스페이트는 매우 불안정하여 공기, 특히 산소와 열, 그리고 빛과 같은 외부환경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쉽게 분해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최근에는 상기의 프룩토오스 1,6-디포스페이트의 산화를 억제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산화 방지제를 첨가하는 방법, 제형적인 측면에서 프룩토오스 1,6-디포스페이트의 산화를 억제하고자 다중 유화물중에 안정화시키는 방법, 수중 유형의 유화물에 안정화시키는 방법, 황산 아연과 L-티로신을 함께 사용하여 프룩토오스 1,6-디포스페이트의 산화를 억제하는 방법 등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최근 제안된 상기한 방법들은 어느 것이나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즉, 산화 방지제를 사용하는 방법 중 천연 항산화제로서 많이 사용되는 토코페롤 등과 같은 페놀유도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어느 정도의 항산화 효과는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산화될 경우 대체적으로 황색에서 자주색으로 색이 변하게 되는 단점이 있고, 프룩토오스 1,6-디포스페이트의 항산화력에 비하여 그 효과가 상대적으로 미비하여 프룩토오스 1,6-디포스페이트의 효과적인 항산화 방법으로 인정되지 못하고 있다.
한편, 무기염계의 항산화제를 사용하는 방법으로서 티오설페이트 유사체를 사용하는 방법은 프룩토오스 1,6-디포스페이트이 용해될 경우 pH가 2~4정도의 산성이 되며, 상기 pH영역에서 티오설페이트와 이산화황 가스의 평형에 의한 유리된 이산화황 가스로부터 유래하는 불쾌한 냄새로 인하여 제품으로서의 가치가 크게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이 밖에도 여러 가지 화학적 합성 항산화제를 첨가하는 방법 등이 있으나, 프룩토오스 1,6-디포스페이트를 사용한다는 자연 컨셉과 조화되지 못할 뿐 아니라 실제 적용시에 있어서도 적절하지 않으며, 그 사용량에도 상당한 제한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다중 유화물에 프룩토오스 1,6-디포스페이트를 안정화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비록 다중 유화물 자체에서 프룩토오스 1,6-디포스페이트가 안정화가 된다고 하더라도, 대부분의 다중 유화물은 경시 안정성이 불량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역가의 감소가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유상을 이용하여 안정화시키는 노력도 진행되어 왔으나, 수상의 제품에 이를 첨가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의약이나 화장품 등 수상제품에는 사용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프룩토오스 1,6-디포스페이트 화합물이 구조 변화없이 안정화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를 거듭한 결과, 조성물 내에서 프룩토오스 1,6-디포스페이트 화합물의 안정성 및 효능이 유지될 수 있는 최적의 pH 조건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정성 및 효능이 유지되는 프룩토오스 1,6-디포스페이트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프룩토오스 1,6-디포스페이트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의 pH가 3~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최적의 pH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조성물 내 프룩토오스 1,6-디포스페이트 화합물이 구조 변화 없이 안정화된 상태로 함유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 내에서 유효성분인 프룩토오스 1,6-디포스페이트 화합물이 분해되는 갈변 반응과 마이얄 반응에 있어서, 당류계와 아미노산의 멜라노이딘 반응속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탈수소화가 pH가 낮을수록 저해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안정성이 극대화되며, 또한, 수상의 제품에 프룩토오스 1,6-디포스페이트를 첨가할 수 있기 때문에 의약이나 화장품 등 수상제품에는 사용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다양한 화장료 제형으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향후 유사한 분야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프룩토오스 1,6-디포스페이트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의 pH가 3~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프룩토오스 1,6-디포스페이트 (Fructose 1,6-Diphosphate; FDP)는 UV와 같은 산화적 손상을 유발하는 환경에서 피부 세포를 보호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직접적으로 피부 노화 현상을 완화 혹은 지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프룩토오스 1,6-디포스페이트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7.0중량%로 함유된다. 이는 0.001중량% 미만이면 항노화, 항산화 효능이 미미하게 되며, 7.0중량% 초과이면 다량의 포스페이트 염이 화장료 제형의 불안정을 초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 내에서 유효성분인 프룩토오스 1,6-디포스페이트 화합물이 분해되는 갈변 반응과 마이얄 반응에 있어서, 당류계와 아미노산의 멜라노이딘 반응속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탈수소화가 pH가 낮을수록 저해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안정성이 극대화된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pH가 3~6이다. 이는 pH 3미만이면 화장품 규격에 벗어나게 되고, pH 6초과이면 프룩토오스 1,6-디포스페이트 안정화 효과가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pH를 3~6으로 조절하기 위하여 함유되는 pH 조절제로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첨가되어 pH를 변화시키는 모든 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씨트릭애씨드, 락틱애씨드, 글라이콜릭애씨드, 소듐시트레이트, 카보머, 아스코르빅애씨드, 벤조익애씨드, 살리실릭애씨드, 인산, 숙신산 및 말레익애씨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pH 조절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5.0중량%로 함유된다. 이는 0.001중량% 미만이면 pH 조절 효과가 나타나지 않게 되고, 5.0중량% 초과이면 화장료 제형의 사용감과 제형 안정성을 저해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당업계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하나 이상의 무독성,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보조제, 희석액 또는 다른 활성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및 부형제를 이용하여 공지의 방법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연고, 겔, 크림, 패취 또는 분무제 등의 외용제 등을 비롯하여 약제학적 제제에 적합한 어떠한 형태로든 제형화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 각 제형은 그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하고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발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이 화장료로 제형화될 경우,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며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아이 크림,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파우더, 에센스 또는 팩 등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 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6와 비교예 1~5]
하기 표 1~2에 나타낸 조성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실시예 1~6)과 이와 비교하기 위한 화장료 조성물(비교예 1~5)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화장료의 pH는 해당 화장료의 10중량% 수용액을 pH 미터로 측정하였다.
실시예 1~6는 pH 3~6범위로 본 발명에 따라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이며, 비교예 1~5는 pH 7~9의 범위로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이다. 이 밖에 pH 3 미만, 혹은 pH 9 초과의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 규격에 벗어나기 때문에 비교예로 포함시키지 않았다.
구분 (중량%)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유상 베헤닐알코올 1.00 1.00 1.00 1.00 1.00 1.00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2.00 2.00 2.00 2.00 2.00 2.00
하이드로제네이티드C6-14올레핀폴리머 2.00 2.00 2.00 2.00 2.00 2.00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1.50 1.50 1.50 1.50 1.50 1.50
수상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코폴리머 0.50 0.50 0.50 0.50 0.50 0.50
디소듐이디티에이 0.02 0.02 0.02 0.02 0.02 0.02
글리세린 2.00 2.00 2.00 2.00 2.00 2.00
씨트릭애씨드 0.38 - 0.20 - 0.10 0.03
소듐시트레이트 0.04 - 0.04 - 0.04 0.04
트리에탄올아민 - 4.00 - 0.10 - -
글라이콜릭애씨드 - 7.00 - - - -
락틱애씨드 - - - 0.45 - -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유효성분 프룩토오스 1,6-디포스페이트 0.50 0.50 0.50 0.50 0.50 0.50
pH 3 3 4 4 5 6
구분 (중량%)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유상 베헤닐알코올 1.00 1.00 1.00 1.00 1.00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2.00 2.00 2.00 2.00 2.00
하이드로제네이티드C6-14올레핀폴리머 2.00 2.00 2.00 2.00 2.00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1.50 1.50 1.50 1.50 1.50
수상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코폴리머 0.50 0.50 0.50 0.50 0.50
디소듐이디티에이 0.02 0.02 0.02 0.02 0.02
글리세린 2.00 2.00 2.00 2.00 2.00
씨트릭애씨드 0.03 - 0.03 - 0.03
소듐시트레이트 0.10 - 0.20 - 0.40
트리에탄올아민 - 0.30 - 0.80 -
글라이콜릭애씨드 - 0.20 - - -
락틱애씨드 - - - 0.30 -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유효성분 프룩토오스 1,6-디포스페이트 0.50 0.50 0.50 0.50 0.50
pH 7 7 8 8 9
<제조방법>
1) 상기 유상 성분들을 비커에 칭량한 뒤 75℃까지 가온하여 완전히 녹였다.
2) 상기 수상 성분들을 별도의 용기에서 70℃까지 가온하여 완전히 녹였다.
3) 상기 2)의 수상 성분들의 혼합물을 호모지나이져로 옮기고 RPM을 천천히 높이면서 상기 1)의 유상 성분들의 혼합물에 투입하였다.
4) 상기 3)의 혼합물을 5분 정도 7,200RPM으로 혼합한 뒤, 혼합상의 온도가 약 50℃일 때, 프룩토오스 1,6-디포스페이트를 투입하여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1] 프룩토오스 1,6-디포스페이트의 역가 측정
상기 실시예 1~6 및 비교예 1~5의 조성물 내에서의 프룩토오스 1,6-디포스페이트의 초기 역가를 100으로 하고, 1개월 후의 프룩토오스 1,6-디포스페이트의 역가를 실온, 45℃ 및 60℃에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이때, 역가 측정시 검체를 표준품의 농도 범위에 맞게 취하여 100㎖ 볼륨 플라스크(Volumetric flask)에 넣고 물을 가해 녹인 후, 0.45mm여과 필터로 여과하고 IC에 25㎕ 주입한 후 측정하였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6 1 2 3 4 5
실온 99 100 99 99 91 85 63 62 51 49 37
45℃ 95 93 90 91 81 73 38 37 10 8 7
60℃ 87 88 80 80 69 51 25 21 7 7 8
상기 표 3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pH를 3~6으로 조절한 화장료 조성물(실시예 1~6)은 비교예 1~5보다 프룩토오스 1,6-디포스페이트의 시간 경과에 따른 역가 감소가 확연히 적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화장료 조성물의 pH가 낮을수록 프룩토오스 1,6-디포스페이트의 안정성은 증대되는 경향성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pH가 6이하일 경우에 현저하게 향상된 안정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프룩토오스 1,6-디포스페이트의 안정화 현상은 프룩토오스 1,6-디포스페이트가 분해되는 갈변반응과 마이얄반응에 있어서, 당류계와 아미노산의 멜라노이딘 반응 속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탈수소화가 pH가 낮을수록 저해되기 때문이다.
[시험예 2]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자극도 측정
피부병 및 알러지 증상이 없고 피부 과민반응 과거력이 없는 20~30대 건강한 남성 14명을 대상으로 인체피부 첩포실험을 통하여 피부 진정 효과를 확인하였다.
상기 실시예 1~6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피부 첩포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대상자의 전완 안쪽부위를 먼저 70% 에탄올로 닦아낸 후 완전히 건조 후, 7종의 화장료를 각 30㎍씩 밀폐 첩포하였다. 24시간 첩포 후 시료를 제거하고 약 30분 후 확대경으로 시험부위를 관찰하여 홍반 및 부종 유무를 확인하였다. 평가는 하기 표 4의 기준으로 시행하였으며, 하기 수학식1에 따라 평균 피부 반응도를 계산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점수 평가기준
0 무반응
0.5 희미한 또는 가벼운 홍반
1 경계가 뚜렷하나 약한 홍반
2 뚜렷한 홍반
3 심한 홍반 및 대 수포
Figure 112011011714066-pat00001
시험물질 점수 반응도
0 0.5 1 2 3
실시예 1 13 1 0 0 0 1.19
실시예 2 13 1 0 0 0 1.19
실시예 3 13 1 0 0 0 1.19
실시예 4 14 0 0 0 0 0.00
실시예 5 13 1 0 0 0 1.19
실시예 6 14 0 0 0 0 0.00
상기 표 5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피부 자극을 유발하지 않아 인체에 사용할 때 안전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3] 주름 개선 효과
상기 실시예 1~6 및 비교예 1~5의 주름 개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30대 여성 130명을 각각 10명씩 13조로 나누어 아침 저녁 매일 2회씩 8주간 지정된 눈가 부위에 실시예 1~6 및 비교예 1~5을 각각 도포하게 한 후, 실리콘 재질의 모사판(replica)을 제작하여 지정 부위의 주름의 상태를 화상분석기인 비지오미터(visiometer: SV60, Courage+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이 결과는 8주 후의 각각의 파라미터(parameter) 값에서 8주 전 파라미터 값을 뺀 것의 평균을 나타낸 것이다. 즉, 이 값이 음수가 나올수록 주름 개선 효과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구분 R1 R2 R3 R4 R5
실시예 1 -0.28 -0.20 -0.12 -0.09 -0.07
실시예 2 -0.25 -0.19 -0.10 -0.09 -0.07
실시예 3 -0.23 -0.17 -0.11 -0.08 -0.06
실시예 4 -0.23 -0.12 -0.11 -0.09 -0.08
실시예 5 -0.19 -0.16 -0.07 -0.06 -0.05
실시예 6 -0.17 -0.14 -0.07 -0.06 -0.05
비교예 1 -0.09 -0.07 -0.04 -0.03 -0.03
비교예 2 -0.11 -0.09 -0.05 -0.04 -0.04
비교예 3 0.05 0.04 0.02 -0.01 0.00
비교예 4 0.05 0.03 0.00 -0.02 0.00
비교예 5 0.06 0.05 0.02 -0.01 0.00
R1: 주름 등고선의 최고치와 최저치의 차이값
R2: 주름 등고선을 임의로 5칸씩 나눈 후 그 중 R1값들의 평균값
R3: 5개씩 나눈 R1값 중 최고치
R4: 주름 등고선의 기선(baseline)에서 각각의 꼭대기와 계곡의 값을 뺀 평균값
R5: 주름 등고선의 기선에서 각각의 주름 윤곽을 뺀 값의 평균값
상기 표 6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프룩토오스 1,6-디포스페이트를 함유하면서 pH 범위를 3~6로 조절한 실시예 1~6의 화장료 조성물은 비교예 1~5과 비교하여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탁월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효과적으로 피부 주름을 개선 및 완화시키고 우수한 항노화 효과를 갖는 것을 알 수 있었다.

Claims (5)

  1. 프룩토오스 1,6-디포스페이트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의 pH가 씨트릭애씨드와 소듐시트레이트의 혼합물, 글라이콜릭애씨드와 트리에탄올아민의 혼합물, 및 락틱애씨드와 트리에탄올아민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pH 조절제를 사용하여 pH 3~6으로 조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룩토오스 1,6-디포스페이트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7.0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H 조절제가 씨트릭애씨드와 소듐시트레이트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pH 조절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5.0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항노화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110014442A 2011-02-18 2011-02-18 pH 조절을 통해 안정화된 프룩토오스 1,6-디포스페이트 화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438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442A KR101438376B1 (ko) 2011-02-18 2011-02-18 pH 조절을 통해 안정화된 프룩토오스 1,6-디포스페이트 화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442A KR101438376B1 (ko) 2011-02-18 2011-02-18 pH 조절을 통해 안정화된 프룩토오스 1,6-디포스페이트 화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3768A KR20120103768A (ko) 2012-09-20
KR101438376B1 true KR101438376B1 (ko) 2014-09-11

Family

ID=47111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4442A KR101438376B1 (ko) 2011-02-18 2011-02-18 pH 조절을 통해 안정화된 프룩토오스 1,6-디포스페이트 화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83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6709B1 (ko) * 2013-02-19 2020-05-29 (주)네오팜 약산성 피부 외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41818A2 (en) * 1986-04-15 1987-10-21 Kao Corporation pH buffering method
KR20070079367A (ko) * 2006-02-02 2007-08-07 (주)아모레퍼시픽 프럭토스1,6-디포스페이트삼나트륨염을 함유하는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41818A2 (en) * 1986-04-15 1987-10-21 Kao Corporation pH buffering method
KR20070079367A (ko) * 2006-02-02 2007-08-07 (주)아모레퍼시픽 프럭토스1,6-디포스페이트삼나트륨염을 함유하는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3768A (ko) 2012-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188276A2 (en) Antioxidant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CN107753332B (zh) 一种多效油膏
WO2019131892A1 (ja) アスコルビン酸及び/又はその塩を含有する外用組成物
KR101917774B1 (ko) 블랙커민씨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품 보존용 조성물
KR101337454B1 (ko) 피부보습 및 진정효과를 갖는 해양성 온천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23097373A (ja) シゾフィランの組成物及びその調製方法および応用
KR100843155B1 (ko) 이중으로 안정화된 비타민씨 함유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892079B1 (ko) 여드름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키트
KR102212633B1 (ko) 에센셜 오일을 함유하는 스트레스성 탈모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55829A (ko) 피탄트리올과 헥사미딘디이세치오네이트를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38376B1 (ko) pH 조절을 통해 안정화된 프룩토오스 1,6-디포스페이트 화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50106244A (ko) 자외선 차단 및 보습용 화장품 조성물
KR100849021B1 (ko) 카페익산 유도체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KR100903654B1 (ko) 하고초 추출물과 아데노신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38453B1 (ko) 계면활성제 프리 액상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044454A (ko) Abh 항원의 발현을 조절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425902B1 (ko) 하이드록삼산 유도체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US20070154424A1 (en) Cosmetic
KR101072198B1 (ko)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N105726351B (zh) 降低紫外线引起的脂质过氧化的协同组合物、制剂及相关方法
JP2001322990A (ja) 活性酸素消去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活性酸素消去用の組成物
KR20090078084A (ko) 두충 추출물과 아데노신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화장료 조성물
KR20200063798A (ko) 퀘르세틴, 제니스테인 및 알파리포산을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200061000A (ko) 퀘르세틴, 제니스테인 및 알파리포산을 함유하는 광손상 방지용 조성물
KR102160306B1 (ko) 피부미백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