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7888B1 - 터치팬이 구비된 휴대용 영상기기 거치대 - Google Patents

터치팬이 구비된 휴대용 영상기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7888B1
KR101437888B1 KR1020120084371A KR20120084371A KR101437888B1 KR 101437888 B1 KR101437888 B1 KR 101437888B1 KR 1020120084371 A KR1020120084371 A KR 1020120084371A KR 20120084371 A KR20120084371 A KR 20120084371A KR 101437888 B1 KR101437888 B1 KR 101437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portable video
video device
mounting portion
p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4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7372A (ko
Inventor
이대형
정윤수
Original Assignee
이대형
정윤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형, 정윤수 filed Critical 이대형
Priority to KR1020120084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7888B1/ko
Publication of KR20140017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7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7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7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팬이 구비된 휴대용 영상기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영상기기 거치대에 있어서, 일측에 휴대용 영상기기의 화면을 터치할 수 있는 터치팬이 형성되고, 타측에 휴대용 영상기기의 외측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구부러지거나, 또는 구부러져 있는 거치부가 형성되며, 상기 거치부와 상기 터치팬 사이에는 연결 구멍이 형성되거나, 또는 연결 고리가 설치되되, 상기 거치부가 상기 휴대용 영상기기에 끼워지는 경우 상기 터치팬의 말단이 바닥면에 지지되어 상기 거치부가 끼워지는 위치에 따라 상기 휴대용 영상기기의 경사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터치팬은, 손가락으로 파지하는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의 말단에 휴대용 영상기기의 화면을 터치하는 터치부로 구성되고, 상기 터치부의 표면은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을 터치할 수 있도록 도전성 미립자를 분사시켜 코팅 처리한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평상시 휴대용 영상기기의 터치팬으로 사용하며, 휴대용 영상기기를 통해 영상물 시청시 휴대용 영상기기를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로 사용함으로써 휴대가 간편하면서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터치팬이 구비된 휴대용 영상기기 거치대{HOLDER FOR PORTABLE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터치팬이 구비된 휴대용 영상기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용 영상기기의 화면을 터치할 수 있는 터치팬이 일측에 구비되고, 영상물 시청시 휴대용 영상기기를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가 타측에 구비된 터치팬이 구비된 휴대용 영상기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MB)을 시청할 수 있는 휴대폰뿐만 아니라 영화나 동영상 강의 등과 같은 영상물을 볼 수 있는 다양한 휴대용 영상기기가 출시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영상물을 보기 위해 사용자가 장시간 휴대용 영상기기를 사용하게 되며, 장시간 휴대폰을 손으로 들고서 사용하는 경우 손이나 팔이 아파서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휴대용 영상기기를 통해 영상물을 안정적으로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거치대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종래의 휴대용 영상기기의 거치대는 그 크기나 무게로 인해 휴대하기에 용이하지 않았다.
또한, 휴대용 영상기기 외에 거치대를 항상 별도로 가지고 다녀야 하므로 빠뜨리게 될 소지가 높아, 언제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성이 중요한 휴대용 영상기기에서는 사용하기에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한편, 최근 휴대폰을 포함한 많은 휴대용 영상기기와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에 적용되는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은 미세한 전류의 변화에 따라 정전용량 패드의 정전용량 값이 변화되는 것을 감지하여 신호 입력을 판단하는 것으로 인체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입력하도록 설계된 것이다.
그러나, 사람마다 인체의 전류 값이 다르고 손가락이 너무 건조하거나 습할 때는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손가락을 사용하여 입력할 때에 터치 패널이 지문에 의해 오염되어 터치 패널이 혼탁해져서 터치 패널의 투명도가 떨어지고, 손가락이 엉뚱한 곳을 눌러서 오동작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글자를 그려서 문자를 입력할 때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서, 휴대용 영상기기의 화면을 터치할 수 있는 터치팬이 일측에 구비되고, 영상물 시청시 휴대용 영상기기를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가 타측에 구비된 터치팬이 구비된 휴대용 영상기기 거치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팬이 구비된 휴대용 영상기기 거치대는, 휴대용 영상기기 거치대에 있어서, 일측에 휴대용 영상기기의 화면을 터치할 수 있는 터치팬이 형성되고, 타측에 휴대용 영상기기의 외측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구부러지거나, 또는 구부러져 있는 거치부가 형성되며, 상기 거치부와 상기 터치팬 사이에는 연결 구멍이 형성되거나, 또는 연결 고리가 설치되되, 상기 거치부가 상기 휴대용 영상기기에 끼워지는 경우 상기 터치팬의 말단이 바닥면에 지지되어 상기 거치부가 끼워지는 위치에 따라 상기 휴대용 영상기기의 경사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터치팬은, 손가락으로 파지하는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의 말단에 휴대용 영상기기의 화면을 터치하는 터치부로 구성되고, 상기 터치부의 표면은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을 터치할 수 있도록 도전성 미립자를 분사시켜 코팅 처리한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거치부의 외측에는, 고무, 실리콘,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된 캐릭터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캐릭터부는 문자, 글자, 숫자, 기호, 도형, 사물의 모양, 동물의 모양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연결 고리에는, 상기 휴대용 영상기기에 장착될 수 있도록 일정길이의 연결끈이 연결되고, 상기 연결끈의 말단에는 휴대용 영상기기의 이어폰 연결부에 삽입 연결되는 잭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거치부는 고무, 실리콘,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며, 내측에 지름이 1mm ~ 3mm 연질철사가 구비되고, 상기 거치부는 수직 단면이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팬이 구비된 휴대용 영상기기 거치대에 의하면, 평상시 휴대용 영상기기의 터치팬으로 사용하며, 휴대용 영상기기를 통해 영상물 시청시 휴대용 영상기기를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로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으며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의 (a)와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터치팬이 구비된 휴대용 영상기기 거치대의 사시도.
도 2의 (a)와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터치팬이 구비된 휴대용 영상기기 거치대의 사시도.
도 3의 (a)와 (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터치팬이 구비된 휴대용 영상기기 거치대의 사시도.
도 4의 (a)와 (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터치팬이 구비된 휴대용 영상기기 거치대의 사시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터치팬이 구비된 휴대용 영상기기 거치대의 사시도.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팬이 구비된 휴대용 영상기기 거치대의 사용 상태도.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팬이 구비된 휴대용 영상기기 거치대의 외관 형상을 나타낸 사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이들 도면은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서 휴대용 영상기기라 함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 휴대폰, MP3(MEPG-1 Audio Layer-3)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용 전기전자장치로서,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소정의 연산 능력을 갖춘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는 스마트폰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의 (a)와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터치팬이 구비된 휴대용 영상기기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먼저, 도 1의 (a)와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터치팬이 구비된 휴대용 영상기기 거치대(10: 이하, 거치대로 칭함)는 수직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에 거치부(12)와 타측에 터치팬(14)으로 구성된다.
상기 거치대(10)는 예를 들어, 고무, 실리콘, 합성수지 등 다양한 재질로 구성되고, 내측에 연질철사(16)가 더 포함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거치대(10)의 재질이 플라스틱인 경우에는 상기 연질철사(16)는 포함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연질철사(16)는 예를 들어, 지름이 1mm ~ 3mm 정도의 두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치부(12)는 휴대용 영상기기(100; 이하, 스마트폰이라 칭함)가 삽입되는 부분으로, 스마트폰(100)의 외측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다수의 부위가 구부러져 형성된다.
상기 거치부(12)는 2곳의 부위가 구부러져 "ㄷ" 자 형상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거치부(12)는 스마트폰(100)의 외측 일부 예를 들어, 모서리 부분이나 측면 부분을 감쌀 수 있는 형상으로 반원이나 반타원 형상 또는 3곳 이상의 부위가 구부러져 형성되는 다양한 다각형 형상 등 여러 가지 형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터치팬(14)은 상기 거치부(12)로부터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터치팬(14)의 표면에는 스마트폰(100)의 화면을 터치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카본블랙과 같은 도전성 미립자를 분사시켜 코팅 처리한다.
상기 터치팬(14)은 상기 거치부(12)에 스마트폰(100)이 끼워지는 경우 말단이 바닥면에 지지되어 스마트폰(100)의 경사, 즉 디스플레이창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이다.
상기 터치팬(14)의 길이는 거치대(10)의 사용환경 등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며, 상기 터치팬(14)의 길이가 스마트폰(100)의 두께에 대응되는 부분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도 2의 (a)와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터치팬이 구비되된 휴대용 영상기기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2의 (a)와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터치팬이 구비된 휴대용 영상기기의 거치대(20; 이하, 거치대로 칭함)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유사하게 형성된 것으로, 일측에 거치부(22)와 타측에 터치팬(24)으로 구성된다.
상기 거치대(20)는 예를 들어, 고무, 실리콘, 합성수지 등 다양한 재질로 구성되고, 내측에 연질철사(26)가 더 포함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거치대(20)의 재질이 플라스틱인 경우에는 상기 연질철사(26)는 포함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연질철사(26)는 예를 들어, 지름이 1mm ~ 3mm 정도의 두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치부(22)의 표면에는 굴곡부(28)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굴곡부(28)는 사용자가 스마트폰(100)의 외측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예를 들어, 모서리 부분의 두께와 대응되는 "ㄷ"자 형상으로 상기 거치부(22)를 구부릴 때, 구부리는 기준점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사용자가 스마트폰(100)을 이용하여 영상을 보고자 할 때, 상기 거치대(20)의 거치부(22)를 스마트폰(100)의 외측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예를 들어, 모서리 부분 또는 측면 부분의 두께와 대응되는 "ㄷ"자 형상으로 구부러트린 후, 상기 터치팬(24)에 외력을 가해 원하는 경사 각도로 조절한다.
또한, 스마트폰(100)을 상기 거치부(22)에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상기 거치부(22)의 말단이 외측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하여 스마트폰(100)의 두께에 구애받지 않고 거치부(22)에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터치팬(24)은 상기 거치부(22)로부터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터치팬(24)의 표면에는 스마트폰(100)의 화면을 터치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카본블랙과 같은 도전성 미립자를 분사시켜 코팅 처리한다.
도 3의 (a)와 (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터치팬이 구비된 휴대용 영상기기의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3의 (a)와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영상기기의 거치대(30; 이하, 거치대로 칭함)는 전술한 제1, 제2 실시예와 유사하게 형성되나, 수직단면이 원형인 봉 형상의 제1, 제2 실시예와 다르게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구분되고, 일측에 거치부(32)와 타측에 터치팬(34)으로 구성된다.
상기 거치대(30)는 예를 들어, 고무, 실리콘, 합성수지 등 다양한 재질로 구성되고, 내측에 하나 이상의 연질철사(36)가 더 포함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거치대(30)의 재질이 플라스틱인 경우에는 상기 연질철사(36)는 포함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연질철사(36)는 예를 들어, 지름이 1mm ~ 3mm 정도의 두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치부(32)는 스마트폰(100)이 삽입되는 부분으로, 스마트폰(100)의 외측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다수의 부위가 구부러져 형성된다.
상기 거치부(32)는 2곳의 부위가 구부러져 "ㄷ" 자 형상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거치부(32)는 스마트폰(100)의 외측 일부 예를 들어, 모서리 부분을 감쌀 수 있는 형상으로 반원이나 반타원 형상 또는 3곳 이상의 부위가 구부러져 형성되는 다양한 다각형 형상 등 여러 가지 형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터치팬(34)은 상기 거치부(12)로부터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터치팬(34)의 표면에는 스마트폰(100)의 화면을 터치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카본블랙과 같은 도전성 미립자를 분사시켜 코팅 처리한다.
상기 터치팬(34)은 상기 거치부(32)에 스마트폰(100)이 끼워지는 경우 말단이 바닥면에 지지되어 스마트폰(100)의 경사, 즉 디스플레이창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이다.
상기 터치팬(34)의 길이는 거치대(30)의 사용환경 등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며, 상기 터치팬(34)의 길이가 스마트폰(100)의 두께에 대응되는 부분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도 4의 (a)와 (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터치팬이 구비된 휴대용 영상기기의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4의 (a)와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영상기기의 거치대(40; 이하, 거치대로 칭함)는 전술한 제3 실시예와 유사하게 형성된 것으로, 일측에 거치부(42)와 타측에 터치팬(44)으로 구성된다.
상기 거치대(40)는 예를 들어, 고무, 실리콘, 합성수지 등 다양한 재질로 구성되고, 내측에 하나 이상의 연질철사(46)가 더 포함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거치대(40)의 재질이 플라스틱인 경우에는 상기 연질철사(46)는 포함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연질철사(46)는 예를 들어, 지름이 1mm ~ 3mm 정도의 두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치부(42)의 표면에는 굴곡부(48)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굴곡부(48)는 사용자가 스마트폰(100)의 외측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예를 들어, 모서리 부분의 두께와 대응되는 "ㄷ"자 형상으로 상기 거치부(42)를 구부릴 때, 구부리는 기준점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사용자가 스마트폰(100)을 이용하여 영상을 보고자 할 때, 상기 거치대(40)의 거치부(42)를 스마트폰(100)의 외측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예를 들어, 모서리 부분의 두께와 대응되는 "ㄷ"자 형상으로 구부러트린 후, 상기 터치팬(44)에 외력을 가해 원하는 경사 각도로 조절한다.
또한, 스마트폰(100)을 상기 거치부(42)에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상기 거치부(42)의 말단이 외측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하여 스마트폰(100)의 두께에 구애받지 않고 거치부(42)에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터치팬(44)은 상기 거치부(42)로부터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터치팬(44)의 표면에는 스마트폰(100)의 화면을 터치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카본블랙과 같은 도전성 미립자를 분사시켜 코팅 처리한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터치팬이 구비된 휴대용 영상기기 거치대의 사시도이고,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팬이 구비된 휴대용 영상기기 거치대의 사용 상태도이며,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팬이 구비된 휴대용 영상기기 거치대의 외관 형상을 나타낸 사진이다.
먼저, 도 5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터치팬이 구비된 휴대용 영상기기의 거치대(50; 이하, 거치대로 칭함)는 수직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에 휴대용 영상기기(100; 이하, 스마트폰이라 칭함)의 외측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구부러지거나 또는 구부러져 있는 거치부(52)가 형성되고, 타측에 스마트폰(100)의 화면을 터치할 수 있는 터치팬(54)이 형성된다.
상기 거치부(52)와 상기 터치팬(54) 사이에 연결 고리(55)가 더 설치되고, 상기 거치부(52)는 예를 들어, 고무, 실리콘, 합성수지 등 다양한 재질로 구성되며, 내측에 연질철사(56)가 더 포함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거치부(52)의 재질이 플라스틱인 경우에는 상기 연질철사(56)는 포함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연질철사(56)는 예를 들어, 지름이 1mm ~ 3mm 정도의 두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치부(52)에는 상기 스마트폰(100)이 끼워지는 경우 상기 터치팬(54)의 말단이 바닥면에 지지되어 상기 스마트폰(100)의 경사가 조절된다.
상기 거치부(52)는 2곳의 부위가 구부러져 "ㄷ" 자 형상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거치부(52)는 스마트폰(100)의 외측 일부 예를 들어, 모서리 부분을 감쌀 수 있는 형상으로 반원이나 반타원 형상 또는 3곳 이상의 부위가 구부러져 형성되는 다양한 다각형 형상 등 여러 가지 형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터치팬(54)은,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파지하는 파지부(541)와, 상기 파지부(541)의 말단에 상기 스카트폰(100)의 화면을 터치하는 터치부(542)로 구성되고, 상기 터치부(542)의 표면에는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을 터치할 수 있도록 도전성 미립자를 분사시켜 코팅 처리한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터치팬(54)은 상기 거치부(52)에 상기 스마트폰(100)이 끼워지는 경우 말단이 바닥면에 지지되어 상기 스마트폰(100)의 경사, 즉 디스플레이창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터치팬(54)의 길이는 거치대(50)의 사용환경 등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며, 상기 터치팬(54)의 길이가 상기 스마트폰(100)의 두께에 대응되는 부분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상기 연결 고리(55)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폰(100)에 장착될 수 있도록 일정길이의 연결끈(551)이 연결되고, 상기 연결끈(551)의 말단에는 상기 스마트폰(100)의 이어폰 연결부(도시되지 않음)에 삽입 연결되는 이어폰 잭 형상의 연결잭(552)이 구성된다.
상기 연결잭(552)을 상기 스마트폰(100)의 이어폰 연결부(도시되지 않음)에 삽입 장착하기 위해서 상기 연결잭(552)의 일측 말단에 형성된 연결 구멍(553)에 상기 연결끈(551)을 삽입 연결하고, 상기 연결잭(552)을 상기 스마트폰(100)의 이어폰 연결부에 삽입 장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거치부(52)의 외측에는, 고무, 실리콘,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된 캐릭터부(521)가 더 포함되고, 상기 캐릭터부(521)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 글자, 숫자, 기호, 도형, 사물의 모양, 동물의 모양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형상화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연결끈(551)을 스마트폰(100)의 연결고리(도시되지 않음)에 장착하여 하나의 악세사리로 활용하거나, 또는 상기 연결 잭(552)을 스마트폰(100)의 이어폰 연결부에 연결함으로써, 평상시 스마트폰(100)을 들고다니더라도 별다른 불편함이 없도록 하고, 사용자가 스마트폰(100)으로 영상물을 보고자 할 때 자신의 눈높이에 맞도록 쉽게 거치하여 책상이나 테이블 등에 간단히 세워놓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팬이 구비된 휴대용 영상기기 거치대는 평상시 휴대용 영상기기의 터치팬으로 사용하며, 휴대용 영상기기를 통해 영상물 시청시 휴대용 영상기기를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
10,20,30,40,50 : 거치대 12,22,32,42,52 : 거치부
14,24,34,44,54 : 터치팬 16,26,36,46,56 : 연질철사
10,20,30,40,50 : 거치대 12,22,32,42,52 : 거치부
100 : 스마트폰 521 : 캐릭터부
541 : 파지부 542 : 터치부
551 : 연결끈 552 : 연결잭
553 : 연결 구멍

Claims (5)

  1. 휴대용 영상기기 거치대에 있어서,
    일측에 휴대용 영상기기의 화면을 터치할 수 있는 터치팬이 형성되고,
    타측에 휴대용 영상기기의 외측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구부러지거나, 또는 구부러져 있는 거치부가 형성되며,
    상기 거치부의 외측에는 고무, 실리콘,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된 캐릭터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캐릭터부는 문자, 글자, 숫자, 기호, 도형, 사물의 모양, 동물의 모양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형성되며,
    상기 거치부와 상기 터치팬 사이에는 연결 구멍이 형성되거나, 또는 연결 고리가 설치되되,
    상기 거치부가 상기 휴대용 영상기기에 끼워지는 경우 상기 터치팬의 말단이 바닥면에 지지되어 상기 거치부가 끼워지는 위치에 따라 상기 휴대용 영상기기의 경사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팬이 구비된 휴대용 영상기기 거치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팬은,
    손가락으로 파지하는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의 말단에 휴대용 영상기기의 화면을 터치하는 터치부로 구성되고,
    상기 터치부의 표면은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을 터치할 수 있도록 도전성 미립자를 분사시켜 코팅 처리한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팬이 구비된 휴대용 영상기기 거치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구멍 또는 연결 고리에는 상기 휴대용 영상기기에 장착될 수 있도록 일정길이의 연결끈이 연결되며,
    상기 연결끈의 말단에는 휴대용 영상기기의 이어폰 연결부에 삽입 연결되는 잭이 연결되고,
    상기 거치부에는 고무, 실리콘,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며, 내측에 지름이 1mm ~ 3mm 연질철사가 구비되고,
    상기 거치부는 수직 단면이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팬이 구비된 휴대용 영상기기 거치대.
  4. 삭제
  5. 삭제
KR1020120084371A 2012-08-01 2012-08-01 터치팬이 구비된 휴대용 영상기기 거치대 KR101437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4371A KR101437888B1 (ko) 2012-08-01 2012-08-01 터치팬이 구비된 휴대용 영상기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4371A KR101437888B1 (ko) 2012-08-01 2012-08-01 터치팬이 구비된 휴대용 영상기기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7372A KR20140017372A (ko) 2014-02-11
KR101437888B1 true KR101437888B1 (ko) 2014-10-28

Family

ID=50266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4371A KR101437888B1 (ko) 2012-08-01 2012-08-01 터치팬이 구비된 휴대용 영상기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788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7859A (ko) * 2006-07-18 2008-01-23 주식회사 코원시스템 휴대 기기의 거치대 겸용 터치 펜
KR101025563B1 (ko) 2010-08-23 2011-03-30 (주)알테크 휴대기기에 대한 거치 기능이 겸비된 터치펜
KR20110038558A (ko) * 2009-10-08 2011-04-14 (주) 피엔텔레컴 거치 장치를 구비한 터치 펜
KR20110128506A (ko) * 2010-05-24 2011-11-30 최재훈 휴대용 전자기기가 구비된 터치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7859A (ko) * 2006-07-18 2008-01-23 주식회사 코원시스템 휴대 기기의 거치대 겸용 터치 펜
KR20110038558A (ko) * 2009-10-08 2011-04-14 (주) 피엔텔레컴 거치 장치를 구비한 터치 펜
KR20110128506A (ko) * 2010-05-24 2011-11-30 최재훈 휴대용 전자기기가 구비된 터치펜
KR101025563B1 (ko) 2010-08-23 2011-03-30 (주)알테크 휴대기기에 대한 거치 기능이 겸비된 터치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7372A (ko) 2014-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57438B1 (en) An electronic device case
WO2016002536A1 (ja) 携帯電子端末保持具
US20090066658A1 (en) Glove attachment for touch sensitive data entry
EP2955603A1 (en) Electronic equipment with display device
US8576563B2 (en) Handle for a touch screen computing device
TWI475426B (zh) 電子裝置之外接鍵盤與護套
US20150351525A1 (en) Portable electronic terminal holding tool
US20080297491A1 (en) Stylus for a touch-screen device
CN109617548B (zh) 可贴合在曲面的触控旋钮装置
US20160026218A1 (en) Foldable tablet covers
TW201539177A (zh) 用於平板電腦之鍵盤蓋
US20190053613A1 (en) Ergonomic Phone Support Device
US20180039300A1 (en) Auxiliary Screen
CN106155193A (zh) 电子装置
KR100985061B1 (ko) 도전성 터치펜
CN203609851U (zh) 多功能游戏手柄
KR101146502B1 (ko) 터치 스크린 조작용 입력 펜
KR101437888B1 (ko) 터치팬이 구비된 휴대용 영상기기 거치대
JP3186332U (ja) 携帯機器用把持具
US20130147754A1 (en) Portable touch control accessory
KR200327899Y1 (ko) 터치스크린 장치용 손가락 착용 스타일러스 펜
KR101155195B1 (ko) 착용식 터치펜
JP3180086U (ja) タッチパネル式小型端末用操作具
KR20190068733A (ko) 스마트폰에 고정이 가능한 스마트폰용 게임 컨트롤러
KR20130038765A (ko) 손가락으로 파지 가능한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