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7776B1 - 눈 넘김용 제설기 - Google Patents

눈 넘김용 제설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7776B1
KR101437776B1 KR1020130047488A KR20130047488A KR101437776B1 KR 101437776 B1 KR101437776 B1 KR 101437776B1 KR 1020130047488 A KR1020130047488 A KR 1020130047488A KR 20130047488 A KR20130047488 A KR 20130047488A KR 101437776 B1 KR101437776 B1 KR 101437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now
guide
plate
guide plate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7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계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자동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자동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자동기
Priority to KR1020130047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77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7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7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5/0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 E01H5/04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 E01H5/06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 E01H5/065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snow-plough blade, e.g. flexible, or by snow-plough blade access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5/0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 E01H5/04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 E01H5/06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 E01H5/065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snow-plough blade, e.g. flexible, or by snow-plough blade accessories
    • E01H5/066Snow-plough blade accessories, e.g. deflector plates, skid sho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Of Streets, Tracks, Or Bea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 길이를 갖는 판 형상이며 이 판의 일측 단면(端面)부위를 상기 제설판의 전면(前面)에 탈착되게 고정하되 상기 제설판의 어느 일측 방향을 향하여 경사면을 이루게 설치되어 상기 제설판에 의해 제설되는 눈이 경사면들을 따라 상방으로 안내되게 하면서 제설판과는 먼 위치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눈넘김용 안내판과, 상기 눈넘김용 안내판과 같은 판 형상을 이루며 이 판의 일측 단부 만이 상기 제설판의 어느 일단에서 상기 안내판과는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착탈되게 설치하되 상기 안내판과 대면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눈넘김용 안내판의 추진시 퇴설되는 눈을 상기 눈넘김용 안내판 쪽으로 향하게 유도하는 퇴설(退雪) 막음판으로 이루어진 눈 넘김용 유도 블록을 포함하는 눈 넘김용 제설기를 개시하고 있다.

Description

눈 넘김용 제설기{Snow Flip The Snow Plow}
본 발명은 고속도로, 자동차 전용 도로 및 교량(이하, 모두 "자동차 도로"라고 한다.)에서 제설 되는 눈을 가드레일 혹은 교량 난간의 넘어로 편리하게 버릴 수 있게 한 눈 넘김용 제설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설판에 눈 넘김용 유도블록을 설치하여 자동차 도로의 갓길(路肩)에 쌓이거나 혹은 모이게 되는 눈 까지도 도로의 바깥쪽인 가드레일 넘어로 배출할 수 있게 한 눈 넘김용 제설기에 관한 것이다.
겨울철 자동차 도로에 쌓이는 눈은 하기 특허 문헌 표시와 같은 제설 차량에 탈부착가능하게 장착된 제설판(Plow)의 추진력으로 도로상에 쌓이게 되는 눈을 제설함으로서 차량이 자유롭게 통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제설기에 의한 제설 작업은, 대부분 자동차 도로의 차로에 쌓이게 되는 눈을 차로의 갓길 쪽으로 밀어서 갓길에 쌓아두고 있다.
이 때문에 비상시 사용하여야하는 갓길 통행에 어려움을 줌은 물론 갓길에 방치하는 눈이 기후변화로 녹거나 혹은 얼게 되는 경우 갓길과 접한 차로들을 따라서 주행하는 차량의 사고 유발을 높이게 되는 요인이 되게 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갓길 쪽으로 쌓이거나 혹은 제설작업시 갓길 쪽으로 모여지게 하는 눈 또한 전부 치워야 함이 바람직하나, 이러한 눈을 치우려고 하면 차로의 차량 통행을 막아야만 하는 불편과 어려움이 수반되고, 도한 눈을 치우는데 있어서도 포크 레인 및 덤프트럭과 같은 중장비를 동원하여 갓길 전체의 눈을 치워야만 되므로 인한 작업상의 어려움은 물론 아울러 경제적인 손실도 수반됨이 현 실정이다.
따라서 제설기에 의한 자동차 도로의 제설작업시 차로는 물론 갓길에도 눈이 쌓이는 없이 도로 밖으로 완전히 넘길 수 있게 하여 항시 자동차 도로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1.국내 공개특허 공개번호 10-2010-0121184.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다양한 추가 장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개발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차 도로 및 교량에 쌓인 눈의 제설작업시 제설판에 의해 추진되는 눈은 갓길 쪽으로 쌓이거나 모여지게 함이 없이 전부 자동차 도로의 가드레일 혹은 교량 난간부의 넘어로 버릴 수 있게 하여, 제설작업의 편리성 및 경제성과 그리고 도로의 안전성까지도 확보할 수 있게 한 눈 넘김용 제설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상기 목적은 눈 넘김용 제설기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눈 넘김용 제설기는, 차량의 앞쪽에 탈부착되게 장착되어 도로상의 눈을 제설할 수 있게 한 장방형의 제설판; 일정 길이를 갖는 판 형상이며 이 판의 일측 단면(端面)부위를 상기 제설판의 전면(前面)에 탈착되게 고정하되 상기 제설판의 어느 일측 방향을 향하여 경사면을 이루게 설치되어, 상기 제설판에 의해 제설되는 눈이 경사면들을 따라 상방으로 안내되게 하면서 제설판과는 먼 위치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눈넘김용 안내판, 상기 눈넘김용 안내판과 같은 판 형상을 이루며 이 판의 일측 단부 만이 상기 제설판의 어느 일단에서 상기 안내판과는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착탈되게 설치하되 상기 안내판과 대면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눈넘김용 안내판의 추진시 퇴설되는 눈을 상기 눈넘김용 안내판 쪽으로 향하게 유도하는 퇴설(退雪) 막음판으로 이루어진 눈 넘김용 유도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눈 넘김용 안내판은 상기 제설판에서 간격을 두고 다수개 설치되며,또한 눈 넘김용 안내판의 상단에는 일측 방향으로 소정각도를 이루며 경사지게 절곡 형성된 비산 방지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삭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눈 넘김용 안내판 및 퇴설 막음판의 상기 제설판과의 부착단면(端面)은 전 길이에 걸쳐서 상기 제설판에 순응되게 굴곡부를 이루게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눈 넘김용 제설기는, 자동차 도로 및 교량에 쌓인 눈의 제설작업시 제설판에 의해 추진되는 눈은 갓길 쪽으로 쌓이거나 모여지게 함이 없이 전부 자동차 도로의 가드레일 혹은 교량 난간부의 넘어로 버릴 수 있게 하는 제설 작업의 편리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동차 도로에서 제설 되는 눈을 별도의 또 다른 작업장비와 인력을 투입하여 사용함이 없이 그대로 차로 밖으로 버릴 수 있으므로 그만큼 노동력, 작업시간 및 작업 장비가 생략되는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또 눈으로부터 자동차 도로의 안전성을 항시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앞에서 보아 개략적으로 표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눈 넘김용 제설기 부위만을 차량으로부터 분리하여 표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우측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서 제설판 만을 분리하여 표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앞에서 보아 개략적으로 표시한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눈 넘김용 제설기(100)는 트럭, 트랙터 등과 같은 차량(1)의 앞쪽 범퍼에 상.하, 좌.우이동 하면서 무빙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프레임(10)(후술하는 도2 및 도 3참조)을 통하여 장착하는 제설판(11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프레임(10)은 본 출원이 기 출원하여 특허를 받은 특허 제10-1245305호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어 본 실시 예에서는 이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설판(110)의 전면(前面)에는 제설판(110)의 추진력에 의해 제설되는 눈을 도 1의 표시와 같이, 자동차 도로의 가드레일(2) 혹은 교량 난간의 넘어로 슈팅(Shooting)하여 갓길에도 제설되는 눈이 쌓이거나 모이는 일이 없게 하는 눈 넘김용 유도 블록(120)이 제설판(110)으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눈 넘김용 유도 블록(120)의 상세구성은 후술하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눈 넘김용 제설기 부위만을 차량으로부터 분리하여 표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우측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서 제설판 만을 분리하여 표시한 도면이다.
유도블록(120)은 제설판(110)의 전면(前面)에 소정간격을 두고 탈부착 가능하게 다수개 설치된 눈넘김용 안내판들(121~123)과 그리고 앞에서 보아 제설판(110)의 좌측 단부에 탈부착가능하게 설치된 퇴설(退雪)막음판(125)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눈 넘김용 안내판들(121~123)은 제설판(110)의 전면에서 좌측 방향으로 윗쪽을 향하여 소정각도로서 경사진 경사면을 이루게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본 발명의 제설기(1)가 자동차 도로를 따라 진행하면서 제설 작업시 제설판(110)에 의하여 추진되는 눈이 눈 넘김용 안내판들(121~123)과 만나는 순간, 제설판(110)의 추진력에 의하여 눈 넘김용 안내판들(121~123)의 경사면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 후 외부로 배출되게 유도되므로, 제설판(110)에 의하여 제설되는 눈은 차로는 물론 갓길에 쌓인 눈까지도 제설과 동시에 눈 넘김용 안내판들(121~123)의 경사면에 의하여 안내되어 져서 도로의 바깥쪽으로 전부 보내어지게 유도되므로(도1참조), 기존의 제설기에 의한 제설 작업시 일차로 갓길 쪽으로 눈을 밀어서 쌓이게 한 후, 2차 혹은 3차 작업을 통하여 갓길에 쌓아두었던 눈을 다시 치우게 되는 일들을 없게 하는 제설작업의 효율성과 편리함을 부여한다.
상기 경사진 눈 넘김용 안내판들(121~123)에 의하여 유도되는 눈의 배출 거리는 제설기의 추진 속도에 비례하여 결정되겠으나, 배출되는 눈의 높이는 가능한 자동차의 도로변을 따라 소정 높이로 설치된 가드레일 혹은 교량난간(2)의 높이에는 장해를 받지 않고 넘기게 하여 배출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눈 넘김용 안내판들(121~123)의 경사각도는 대략 30~45°를 이루게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사 각도를 이루게 한 눈 넘김용 안내판들(121~123)의 넓이 또한 중요한데, 제설판(110)에 의하여 제설되는 눈과의 접촉시 눈 넘김용 안내판들(121~123)과의 마찰 부하를 줄이기 위하여 전체를 같은 넓이로 하는 것에 비하여, 하단으로부터 상단으로 갈수록 점차로 넓어지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은 제설판(110)에 의하여 제설되는 최초의 많은 눈과의 마찰력을 줄여 초기의 부하를 줄여줌과 아울러 눈 넘김용 안내판들(121~123)을 따라 상방으로 유도되는 눈이 제설판(110)의 상방에서 사방으로 비산되는 일이 전부 배출되게 유도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제설작업시 눈 넘김용 안내판들(121~123)을 따라 상방으로 유도되는 눈이 제설판(110)으로부터의 비산을 적극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목적에서 눈 넘김용 안내판들(121~123)의 상단 각각에는 눈 넘김용 안내판들(121~123)의 상단으로부터 거의 수평 상태를 이루면서 전방을 향하여 연장된 비산 방지부들(121-1, 122-1, 123-1)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비산 방지부들(121-1, 122-1, 123-1)은, 앞서 설명한바와 같이, 제설판(110)을 추진하여 갓길에 쌓인 눈을 제설시 제설판(110)으로부터 눈 넘김용 안내판들(121~123)에 의하여 각 눈 넘김용 안내판들(121~123)의 경사면을 따라 상방으로 유도되는 눈은, 제설판(110)의 상부에서 공중을 향하여 사방으로 비산되는 일없이, 눈 넘김용 안내판들(121~123)의 경사방향 그대로 도로의 갓길 바깥쪽으로 배출될 수 있게 한다.
상기 퇴설(退雪) 막음판(125) 또한 눈 넘김용 안내판들(121~123)과 같이 소정 넓이의 판 형상을 이루어, 제설판(110)의 전면에서 보아 좌측 단부에 설치되어 하단일부까지 막는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 퇴설(退雪) 막음판(125)는 제설판(110)의 좌측 단으로부터 눈 넘김용 안내판들(121~123)이 있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그 이유는 제설판(110)의 추진에 의한 자동차 도로의 제설 작업시, 갓길 쪽에 위치하게 되는 제설판(110)의 좌측 단부로부터 제설 되는 눈이 갓길의 바깥쪽인 가드레일 혹은 교량난간(2)(도1참조)쪽으로 가지 못하도록 막아서 제설판(110)의 안쪽 방향인 눈 넘김용 안내판들(121~123)이 있는 쪽으로 다시 되돌려 주는 퇴설 막음 작용을 하여, 갓길의 눈을 눈 넘김용 안내판들(121~123)에 의하여 멀리 배출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눈 넘김용 안내판들(121~123)과 퇴설(退雪) 막음판(125)은 제설판(110)에 대하여 견고한 부착력을 유지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자, 눈 넘김용 안내판들(121~123) 및 퇴설(退雪) 막음판(125)의 제설판(110)과의 부착 단면(端面)은 제설판(110)의 완만한 곡면에 대응하는 곡면을 이루게 하였다.
도면부호 112는 제설판(110)으로부터 비산되는 눈을 방지하기 위한 비산방지판(Deflector)이다.
본 발명은, 제설판에 설치한 유도블록에 의하여 갓길 쪽으로 모이게 되는 눈까지도 일시에 제설할 수 있게 하여, 종래의 제설 작업시 일차로 갓길 쪽으로 눈을 밀어서 쌓이게 한 후, 2차 혹은 3차 작업을 통하여 갓길에 쌓아두었던 눈을 다시 치우게 되는 일이 없게 하는 제설작업의 효율성과 편리성을 제공하는 유용성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여러 가지 특징을 참조하고 조합하여 다양하고 변형된 구성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가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함을 지적해둔다.
1 : 제설차량 2 : 가드레일 혹은 교량난간
10 : 이동 프레임 100 : 제설기
110 : 제설판 120 : 눈넘김용 유도블록
121~123 : 눈넘김용 안내판 121-1, 122-1, 123-1 : 비산 방지부
125 : 퇴설막음판

Claims (3)

  1. 삭제
  2. 차량의 앞쪽에 탈부착되게 장착되어 도로상의 눈을 제설할 수 있게 한 장방형의 제설판; 및
    일정 길이를 갖는 판 형상이며 이 판의 일측 단면(端面)부위를 상기 제설판의 전면(前面)에 탈착되게 고정하되 상기 제설판의 어느 일측 방향을 향하여 경사면을 이루게 설치되어, 상기 제설판에 의해 제설되는 눈이 경사면들을 따라 상방으로 안내되게 하면서 제설판과는 먼 위치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눈넘김용 안내판, 상기 눈넘김용 안내판과 같은 판 형상을 이루며 이 판의 일측 단부 만이 상기 제설판의 어느 일단에서 상기 안내판과는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착탈되게 설치하되 상기 안내판과 대면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눈넘김용 안내판의 추진시 퇴설되는 눈을 상기 눈넘김용 안내판 쪽으로 향하게 유도하는 퇴설(退雪) 막음판으로 이루어진 눈 넘김용 유도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눈 넘김용 안내판은 상기 제설판에서 간격을 두고 다수개 설치되며,또한 눈 넘김용 안내판의 상단에는 일측 방향으로 소정각도를 이루며 경사지게 절곡 형성된 비산 방지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눈 넘김용 제설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눈 넘김용 안내판 및 퇴설 막음판의 상기 제설판과의 부착단면(端面)은 전 길이에 걸쳐서 상기 제설판에 순응되게 굴곡부를 이루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눈 넘김용 제설기.
KR1020130047488A 2013-04-29 2013-04-29 눈 넘김용 제설기 KR101437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7488A KR101437776B1 (ko) 2013-04-29 2013-04-29 눈 넘김용 제설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7488A KR101437776B1 (ko) 2013-04-29 2013-04-29 눈 넘김용 제설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7776B1 true KR101437776B1 (ko) 2014-09-11

Family

ID=51759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7488A KR101437776B1 (ko) 2013-04-29 2013-04-29 눈 넘김용 제설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777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6518A (ja) 2001-12-11 2003-06-24 Kumagai Noki:Kk 走行体取付用の運搬バケット並びに除雪機
JP2005220711A (ja) 2004-02-09 2005-08-18 Tcm Corp 除雪アタッチメント及びフォークリフト用アタッチメント
KR20100121182A (ko) * 2009-05-08 2010-11-17 주식회사 자동기 제설기용 과부하 작동 방지장치
JP2012057382A (ja) * 2010-09-10 2012-03-22 Nisshin Seisakusho:Kk 除雪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6518A (ja) 2001-12-11 2003-06-24 Kumagai Noki:Kk 走行体取付用の運搬バケット並びに除雪機
JP2005220711A (ja) 2004-02-09 2005-08-18 Tcm Corp 除雪アタッチメント及びフォークリフト用アタッチメント
KR20100121182A (ko) * 2009-05-08 2010-11-17 주식회사 자동기 제설기용 과부하 작동 방지장치
JP2012057382A (ja) * 2010-09-10 2012-03-22 Nisshin Seisakusho:Kk 除雪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548633B2 (en) An improved concrete block
US20070258764A1 (en) One-way speed bump
US20160122959A1 (en) Cutting edge attachment for snow plow
EP2558642B1 (de) Bordstein und haltestelle für omnibusverkehr
US5080397A (en) Vehicle tire water spray control system
KR20150041492A (ko) 차량장착용 블레이드형 제설기
KR101437776B1 (ko) 눈 넘김용 제설기
US5729919A (en) Plow blade
US1551556A (en) Safety-zone guard
US9441338B2 (en) Snowplow blade
CA2903531C (en) Snowplow blade
RU2465393C1 (ru) Отвал для уборки снега
KR101213075B1 (ko) 굴절연결식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
RU2752355C1 (ru) Снегоубор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5873347B2 (ja) 路肩残雪整形方法および路肩残雪整形機
RU2601586C2 (ru) Рабочий орган снегоуборочной машины
CN204475249U (zh) 机动车行驶除雪装置
KR20160150064A (ko) 제설벨트를 구비하는 제설차
CN111705689B (zh) 一种保护高速公路事故调查人员的方法
RU2555421C2 (ru) Универсальный снегоочиститель
CN203716099U (zh) 一种推雪装置及装有推雪装置的推车
RU195042U1 (ru) Дорожная рельефная разделительная полоса
CN211143247U (zh) 一种高快速公路的路面排水系统
US20220120044A1 (en) Roadway marking system and method
CN209011041U (zh) 一种公路隧道入口防撞护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