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7761B1 - 연속흐름반응법을 이용한 화합물 태양전지용 Cu₂― xSe 박막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연속흐름반응법을 이용한 화합물 태양전지용 Cu₂― xSe 박막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7761B1
KR101437761B1 KR1020130011465A KR20130011465A KR101437761B1 KR 101437761 B1 KR101437761 B1 KR 101437761B1 KR 1020130011465 A KR1020130011465 A KR 1020130011465A KR 20130011465 A KR20130011465 A KR 20130011465A KR 101437761 B1 KR101437761 B1 KR 101437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film
continuous flow
flow reaction
solar cell
precursor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1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9347A (ko
Inventor
류시옥
정지영
이진영
Original Assignee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11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7761B1/ko
Publication of KR20140099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93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7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7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18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48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 H01L31/0256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L31/0264Inorganic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흐름반응법을 이용한 화합물 태양전지용 Cu2 - xSe(-0.2 ≤ x ≤ 0.5) 박막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구리 공급원, 및 셀레늄 공급원을 혼합하여 전구체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전구체 용액을 기판 상에 연속흐름반응법을 이용하여 증착시키는 단계; 및 증착된 박막을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Cu2 - xSe 박막은 태양전지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입자 크기, 조성 및 두께를 갖는 바, 태양전지의 광 흡수층 소재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연속흐름반응법을 이용한 화합물 태양전지용 Cu₂― xSe 박막의 제조방법{Preparation Method of Copper Selenide Thin Film for Solar Cell Using Continuous Flow Reaction Process}
본 발명은 화합물 태양전지의 광흡수 층으로 사용되는 Cu2 - xSe 박막을 복잡한 공정과 고가의 진공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 연속흐름반응법(CFR)을 이용하여 저비용으로 기판에 증착시켜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카드뮴 텔루라이드(CdTe), 구리인듐디셀레나이드(CuInSe2), 구리 셀레나이드, 구리인듐갈륨디셀레나이드(CuInxGa(1-x)Se2) 및 무정형 실리콘(a-Si) 등과 같은 박막 소재는 제2세대 태양전지의 소재로서 현재 각광받고 있다. 박막 태양전지는 결정성 실리콘계 태양전지와 비교하면 낮은 공정비, 보다 가벼운 무게 및 유연성을 포함한 많은 장점을 지닌다.
그 중, 구리 셀레나이드(Copper selenide)는 칼코게나이드 물질 중 가장 주목받는 p-type 전도성을 갖는 반도체 물질이다. 구리 셀레나이드는 구리 (I) 셀레나이드 (Cu2Se 또는 Cu2 - xSe) 또는 구리 (II) 셀레나이드 (CuSe or Cu3Se2) 형태로 존재하는데, 두 형태 모두 태양 전지, 초이온 전도체(super ionic conductor) 및 광 검출 용도에 적용될 수 있다. 이의 직, 간접 밴드갭 에너지는 각각 약 2.0-2.3 eV 및 1.1-1.5 eV일 수 있으며, Cu2 - xSe 의 당량값이 각각 2.2 eV ? 1.4 eV이며, x가 0.2 인 화하물이 이론적으로 태양전지 적용에 가장 적합하다고 알려져 있다(A. M. Hermann and L. Fabick, J. Cryst . Growth 61, 658 (1983)).
이에 따라 Cu2 - xSe 의 구조 및 전기적 특성에 대한 연구가 현재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를 이종접합 태양전지에의 흡수층으로 적용하거나, 진공증착, 직접 합성, 화학적 용액성장법(Chemical bath deposition, CBD) 및 전기증착 등 다양한 증착 방법을 이용하여 나노결정 양자점, 나노와이어 및 나노입자로 형성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CBD를 제외한 상기 기술은 진공 조건 및 높은 온도 조건으로 인해 높은 제조비용이 소요되며, CBD는 복잡한 시스템 또는 비싼 장비가 요구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고가의 장비나 복잡한 진공 시스템 도입 없이 저비용으로 간단하게 Cu2 - xSe 박막을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구리 공급원 및 셀레늄 공급원을 혼합하여 전구체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전구체 용액을 기판 상에 연속흐름반응법을 이용하여 증착시키는 단계; 및 증착된 박막을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속흐름반응법을 이용한 화합물 태양전지용 Cu2 - xSe(-0.2 ≤ x ≤ 0.5) 박막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Cu2 - xSe(-0.2 ≤ x ≤ 0.5) 박막은 태양전지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입자 크기, 표면특성, 조성 및 두께를 갖는 바, 태양전지의 광 흡수층 소재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가열된 글래스 기판 상에 Cu2 - xSe 박막을 2(a), 5(b), 10(c), 15분(d)간 증착시킨 후 400oC에서 어닐링 한 필름의 X-선 회절 패턴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2(a), 5(b), 10(c), 15분(d)간 증착된 Cu2 - xSe 박막의 밴드갭 값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3은 연속흐름반응법(CFR)에 의해 각기 다른 시간동안(a: 2분; b: 5분; c: 10분; d: 15분) 증착된 Cu2 - xSe 박막에 대한 SEM 사진이다.
도 4는 연속흐름반응법으로 10분간 증착된 Cu2-xSe 박막의 고해상도 XPS 스펙트럼이다.
도 5는 10분간 증착하여 제조된 Cu2 - xSe 박막의 TEM 사진이다.
본 발명은 구리 공급원 및 셀레늄 공급원을 혼합하여 전구체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전구체 용액을 기판 상에 연속흐름반응법을 이용하여 증착시키는 단계; 및 증착된 박막을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속흐름반응법을 이용한 화합물 태양전지용 Cu2 - xSe(-0.2 ≤ x ≤ 0.5) 박막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고가의 장비나 복잡한 진공 시스템을 필요로 하지 않는 간단한 방법으로 Cu2 - xSe 박막을 제조하기 위해 연구하던 중, 대기 조건에서 저온에서 연속흐름반응법을 이용하여 기판에 일정시간 Cu2 - xSe 박막을 증착시킨 후, 열처리하는 간단한 과정을 통해 표면 특성이 우수한 Cu2 - xSe 박막이 제조됨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구리 공급원은 염화구리, 황산구리, 질산구리 또는 초산구리 수화물에서 선택되고, 상기 셀레늄 공급원은 소듐 셀레노설페이트, 셀레늄 파우더, 소듐 셀레나이트, 셀레노우레아 또는 디메틸 셀레노우레아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리 공급원으로는 염화구리(CuCl2)가 사용될 수 있으며, 셀레늄 공급원으로는 소듐 셀레노설페이트(Na2SeSO3)가 수용액 상태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전구체 용액은 0.05 내지 2M의 염화구리 수용액 및 0.05 내지 2M의 소듐 셀레노설페이트 수용액을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소듐 셀레노설페이트 수용액은 혼합 전 pH가 10 내지 11로 조절될 수 있다. 이때, pH 조절을 위하여 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소듐 하이드록사이드, 가성소다 등의 염기성 화합물을 사용할수 있으며, pH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 조절되면 균일하고 밀도가 높은 박막증착과 박막의 결정구조에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조된 전구체 용액을 기판 상에 연속흐름반응법을 이용하여 증착시키는 단계가 수행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기판은 수산화나트륨 용액에서 초음파 세정 후 아세톤, 메탄올 및 초순수물의 순서로 화학적으로 세정된 기판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증착시 기판의 온도는 75 내지 90℃ 또는 80 내지 85℃로 가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전구체 용액은 분당 1 내지 10ml의 유속으로 기판 상에 증착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분당 3 내지 5ml의 유속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상기 유속범위를 벗어나 증착하면 박막을 형성하기 전 단계의 용액이 혼합되지 않을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증착 단계는 7 내지 12분간 수행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1분, 보다 바람직하게는 10분간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시간범위 내에서 증착시킴으로써, 형성된 박막의 표면특성, 입자크기, 두께 등이 태양전지에 적용하기 적합한 형태가 된다.
상기 박막의 증착 후, 열처리하는 단계가 수행되는데, 상기 열처리는 박막의 결정 및 산화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행되는 것으로, 진공 또는 질소 분위기 하 200-600℃ 또는 300 내지 500 ℃ 에서 1-3 시간 동안 열처리될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을 통해 입자직경이 약 10-200 nm로 균일하며, 두께가 약 1-3 μm인 Cu2 - xSe 박막이 제조되며, 성분 분석 결과, 이때, x는 -0.2 ≤ x ≤ 0.5, 보다 바람직하게는 0.15 ≤ x ≤ 0.25 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 실시예 1> Cu 2 - x Se 박막의 제조
1. 기판 준비
상업용 현미경 글래스(Fisher Scientific) 15×15×1.2mm3를 기판으로 사용하였다. 상기 기판을 비눗물(soap water)에서 15분 동안 초음파 세정하였고, 아세톤, 메탄올 및 초순수물을 이용하여 각각 15분간 화학적으로 세정하였다. 세정된 기판을 증착 전에 질소 가스로 건조하였다.
2. 전구체 용액 제조
구리 전구체 용액은 0.1M 염화구리(CuCl2, SIGMA-ALDRICH)을 물에 용해시켜 준비하였다. 0.1M 소듐 셀레노설페이트(Na2SeSO3) 용액이 Se2 - 이온을 형성하기 위해 소듐 설파이트(Na2SO3, SIGMA-ALDRICH) 및 셀레늄 파우더(Se, SIGMA-ALDRICH)를 환류시켜 제조되었다. Na2SO3 대 Se 의 비율은 1:4로 유지되었고, 이를 90℃에서 수 시간 교반하여 순수한 소듐 셀레노설페이트를 제조하였다. 셀레늄보다 초과되는 소듐 설파이트는 셀레나이드의 산화를 저해하고, 재침전된다. 셀레늄 용액의 pH는 수산화암모늄(NH4OH, SIGMA-ALDRICH)을 소듐 셀레노설페이트 전구체 용액에 첨가하여 ~10.5까지 조절하였다.
3. 박막 증착
구리 셀레나이드 박막은 CFR 법에 의해 증착되었다. 기판을 82℃로 가열하고, 혼합 전구체 용액의 유속을 4.5 ml/min로 하였으며, 증착 시간은 2분 내지 15분으로 하였다. 박막의 결정 및 산화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증착된 Cu2 - xSe 필름은 질소 조건 하 400℃에서 가열되었다. CFR 증착 공정과 관련된 상세한 것은 알려진 방법(C. R. Kim, S. Y. Han, C. H. Chang, T. J. Lee, and S. O. Ryu, Curr. Appl. Phys. 10, S383 2010) 에 따라 수행되었다.
< 실시예 2> Cu 2 - x Se 박막 분석
1. 일반 사항
증착 시간이 Cu2 - xSe 박막의 물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제조된 Cu2 - xSe 박막의 형태, 구조 및 광학적 특성을 검토하였다. 표면 형태 특성 및 조성은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HITACHI S-4800) 및 energy dispersive analysis by X-ray (EDAX)로 확인되었다. 박막의 광학 특성은 상온에서 UV-visible spectrophotometer (Ocean Optics In. USB-4000 optic spectrometer)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Cu2 - xSe 박막의 구조는 X-ray diffraction spectrometer (XRD, PANalytical MPD for thin film)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이미지는 120 kV에서 Hitachi H-7600 TEM 장비를 사용하여 수득되었다. TEM에 사용된 샘플은 박막을 에탄올에 분산시키고, 6시간동안 초음파 처리하여 준비하였다. Cu2 - xSe 박막의 화학 조성 및 결합 에너지는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e (XPS, ESCALAB, 250 XPS spectrometer)로 조사되었다.
2. 구조 분석
Cu2 - xSe 박막의 결정 방향성이 X-선 회절 분광계(XRD; PANalytical MPD for thin film)를 사용하여 확인되었다.
도 1은 낮은 온도(82 ℃)로 가열된 글래스 기판 상에 Cu2 - xSe 박막을 2(a), 5(b), 10(c), 15분(d)간 증착시킨 후 400oC에서 어닐링 한 필름의 X-선 회절 패턴을 나타낸다. 회절 피크의 2-세타(theta) 값은 문헌 값(JCPDS 01-071-0044)과 일치하게 나타났고 큐빅 상을 나타낸다. 도 1 (c)의 XRD 패턴에서 관측된 주 피크는 (111), (200), (220), (311), (400), (331), (422), 및 (511) 결정면에 대응한다. 상기 네 조건에서, 가장 강한 피크는 44.21°에서 검출되었으며, 이는 Cu2 - xSe 박막의 성장이 (220) 방향으로 주로 성장함을 시사한다. Cu2 - xSe, Cu2O 및 Cu5Se4 외의 추가 피크는 도 1의 (a) 및 (b)에서만 관측되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이차 Cu2O 상 형성이 온화한 증착 조건 하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추정하였다. Cu5Se4 피크는 열 기판 상에의 과량의 구리 및 셀레늄 이온의 영향으로 인해 형성되며, 이를 통해 Cu2 - xSe 박막이 박리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XRD 분석에 기초하여, 결정성은 CFR 공정의 증착 시간이 10분인 경우 가장 바람직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3. 광학적 특성 분석
어닐링된 Cu2 - xSe 박막의 광학 밴드갭은 UV-가시선 분광분석기를 사용하여 300-800nm의 가시 범위 내에서 측정되었고,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흡수 스펙트럼은 흡수계수 및 광자 에너지의 관계를 제시하며, αhν = A(hν - Eg)1/ 2 의 수식이 적용된다. 따라서, Cu2 - xSe 박막 필름의 광학 밴드갭은 0차 흡수계수 α에 관한 에너지 축에 대한 hν에 대한 (αhν)2 의 플롯의 직선 영역을 외삽하여 얻었다. 도 2는 2, 5, 10, 15분간 증착된 Cu2 -xSe 박막 밴드갭 값에 관한 것이고, 이는 각각 ~2.65, 2.12, 2.20 및 2.76 eV 로 측정되었다. 5 및 10분 실험군의 측정값은 선행 연구(V. M. Garcia, P. K. Nair, and M. T. S. Nair, J. Cryst . Growth 203, 113)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2 및 15분 실험군의 경우, 보고된 값보다 높게 나타났고, 이는 XRD 측정시 2 및 15분 실험군에서 검출되었던 이차 Cu2O 및 Cu5Se4 상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Cu2 - xSe 박막의 제조를 위한 연속흐름반응법(CFR) 공정에 있어서의 최적 증착 시간은 10분으로 확인되었다.
4. 표면 형태분석
증착 시간이 표면 형태 및 박막의 두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주사전자현미경(SEM; Hitachi, LTD, S-4800 FE-SEM)을 사용하였다. 도 3은 연속흐름반응법(CFR)에 의해 각기 다른 시간동안(a: 2분; b: 5분; c: 10분; d: 15분) 증착된 Cu2 - xSe 박막에 대한 SEM 사진이다. 도 3에 나타난 모든 샘플은 400℃ 에서 어닐링 된 것이다. SEM 사진에서, 표면상의 입자의 형성이 관측되었고, 증착 시간이 길어질수록 입자의 크기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3의 d(15분 증착 실험군)의 박막의 입자 크기가 약 200 ± 20 nm로 가장 크게 나타났음에도 불구하고, 박막 자체는 촘촘하지 않고, 입자간 공극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3의 a(2분 증착 실험군)의 경우, Cu2 - xSe 박막의 표면은 직경 50 ± 20 nm 인 다수의 작은 구형 입자로 덮여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도 3의 b(5분 증착 실험군)은 a(2분 증착 실험군)보다 부드러운 형태 및 약 100 nm의 증가한 입자 크기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10분간 증착된 Cu2 - xSe 박막(도 3의 c)의 입자는 윤곽이 구형으로 분명하고, 입자 크기가 150 nm로 균일하였으며, 박막은 부드럽고 밀도가 치밀하였다. 도 3c의 내부 사진에 나타난 단면을 참조하면, 10분간 연속흐름반응법으로 형성된 Cu2 - xSe 박막의 두께는 1.8 μm 로, 광전지의 흡수층에 요구되는 두께와 거의 일치하였다. 도 3a의 입자가 매우 작고, 보다 조밀하며, 보다 부드러운 표면을 갖고 있지만, Cu2 - xSe 박막의 입자 크기가 지나치게 작은 경우, 광전지 기기의 흡수층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아니하다고 보고된 바 있어, 활용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상기 결과를 종합하여,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박막의 표면 형태가 가해지는 용액 및 가열 된 기판간의 특이 반응 시간에서의 제한된 초기 핵 형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고, 태양 전지 작동에 충분한 입자 크기 및 박막 두께를 형성하기 위한 최적 반응 시간을 10분으로 확인하였다.
5. 화학 조성 및 결합 정보 분석
다양한 증착 시간(2, 5, 10 또는 15분)동안 연속흐름반응법으로 형성된 Cu2 - xSe 박막에 존재하는 Cu 및 Se의 원자 분율을 EDAX로 측정하였고,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증착 시간 조성 성분 비율 ( %)
Cu Se O
2 min 57.43 31.14 11.38
5 min 60.13 39.87
10 min 59.95 33.30
15 min 61.33 29.20
표 1은 증착 시간 변화에 따른 조성 성분의 비율 변화를 보여준다. 10분간 증착하여 제조된 Cu2 - xSe 박막에서 Cu 대 Se의 화학량론적 조성은 1.8:1 (Cu = 59.95 %, Se = 33.30 %), 이며, x=0.2로 나타났다.
열처리된 Cu2 - xSe 박막의 화학적 조성 및 결합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X-선 광전자 분광기(XPS; VGESCALAB, 200-IXL instrument with Mg K radiation)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0-1200 eV 범위에서, 연속흐름반응법으로 10분간 증착된 Cu2 - xSe 박막의 고해상도 XPS 스펙트럼을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를 참조하면, 929.93 eV 및 949.75 eV에서의 결합 에너지 피크는 각각 Cu 2p3 /2 및 Cu 2p1 /2의 전자 상태와 일치한다. 또한 51.79 eV에서의 피크는 Se 3d3 /2의 전자 상태에 의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얻어진 XPS 결과는 종래 문헌에 보고된 바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Cu2 - xSe 박막의 입자경과 결정성 구조를 조사하기 위하여 투사전자현미경(TEM; Hitachi H-7600) 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를 참조하면, 10분간 증착하여 제조된 Cu2-xSe 박막의 평균 입자 크기는 13.63nm로 나타났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염화구리 및 소듐 셀레노설페이트를 혼합하여 전구체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전구체 용액을 분당 1 내지 10ml의 유속으로 기판 상에 연속흐름반응법을 이용하여 75 내지 90℃에서 10분 동안 증착시키는 단계; 및
    증착된 박막을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속흐름반응법을 이용한 화합물 태양전지용 Cu2-xSe(-0.2 ≤ x ≤ 0.5) 박막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하는 단계는 진공 또는 질소 분위기 하 200-600℃에서 1-3 시간 동안 열처리하는 것인, 연속흐름반응법을 이용한 화합물 태양전지용 Cu2-xSe(-0.2 ≤ x ≤ 0.5) 박막의 제조방법.
KR1020130011465A 2013-01-31 2013-01-31 연속흐름반응법을 이용한 화합물 태양전지용 Cu₂― xSe 박막의 제조방법 KR101437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1465A KR101437761B1 (ko) 2013-01-31 2013-01-31 연속흐름반응법을 이용한 화합물 태양전지용 Cu₂― xSe 박막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1465A KR101437761B1 (ko) 2013-01-31 2013-01-31 연속흐름반응법을 이용한 화합물 태양전지용 Cu₂― xSe 박막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9347A KR20140099347A (ko) 2014-08-12
KR101437761B1 true KR101437761B1 (ko) 2014-09-16

Family

ID=51745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1465A KR101437761B1 (ko) 2013-01-31 2013-01-31 연속흐름반응법을 이용한 화합물 태양전지용 Cu₂― xSe 박막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776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3283A (ko) * 2007-12-14 2009-06-18 주식회사 엘지화학 1b-3a-6a족 화합물 코팅층의 제조방법
KR20110092173A (ko) * 2010-02-08 2011-08-17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연속흐름반응법을 이용한 화합물 태양전지용 CuInSe2 박막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3283A (ko) * 2007-12-14 2009-06-18 주식회사 엘지화학 1b-3a-6a족 화합물 코팅층의 제조방법
KR20110092173A (ko) * 2010-02-08 2011-08-17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연속흐름반응법을 이용한 화합물 태양전지용 CuInSe2 박막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9347A (ko) 2014-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Ou et al. Hot-injection synthesis of monodispersed Cu 2 ZnSn (S x Se 1− x) 4 nanocrystals: tunable composition and optical properties
Hone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CdSe nanocrystalline thin film by chemical bath deposition technique
US20130045565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high density cis thin film for solar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in film solar cell using the same
KR20100099753A (ko) 구리-인듐-갈륨-황-셀레늄 박막 태양전지의 광 흡수층의 제조 방법
US9040113B2 (en) Atomic layer deposition of metal sulfide thin films using non-halogenated precursors
Tang et al. In situ preparation of CuInS 2 films on a flexible copper foil and their application in thin film solar cells
Park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polycrystalline CuInS2 thin films for solar cell devices at low temperature processing conditions
KR101322681B1 (ko) 정전분무법에 의하여 제조된 czts 박막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099512B1 (ko) Czts나노입자 전구체 제조방법, 제조된 전구체, 전구체를 이용한 고품질 czts나노입자 제조방법 및 제조된 고품질 czts나노입자
Sharmin et al. Low cost and sol-gel processed earth abundant Cu 2 ZnSnS 4 thin film as an absorber layer for solar cell: Annealing without sulfurization
Prabhakar et al. Ultrasonic spray pyrolysis of CZTS solar cell absorber layers and characterization studies
KR101311030B1 (ko) Czts 박막용 하이브리드 잉크
KR101437761B1 (ko) 연속흐름반응법을 이용한 화합물 태양전지용 Cu₂― xSe 박막의 제조방법
KR101121476B1 (ko) 연속흐름반응법을 이용한 화합물 태양전지용 CuInSe2 박막의 제조방법
US8647394B2 (en) Method of fabricating CIS or CIGS thin film
KR101114685B1 (ko) 연속흐름반응법을 이용한 화합물 태양전지용 CuInS2 박막의 제조방법
KR101305554B1 (ko) 판상형 또는 선형의 인듐 복합체 나노 물질
KR101463327B1 (ko) 스프레이법을 이용한 화합물 태양전지용 CuInSe₂박막의 제조방법
KR20130098057A (ko) 연속흐름마이크로반응법을 이용한 황화구리 박막의 제조방법
Moreh et al. The effect of sulfurisation temperature on structural properties of CuAlS2 thin films
Gao et al. Synthesis of magnetron sputtered AgBiS2 thin films
Kavya et al. Two-step synthesis of antimony sulfide thin films: enhancement in physical properties through sulfurization
Hemalatha et al. Morphological, structural, optical properties of stannous and stannic chloride CZTS thin film
Huang et al. Effect of pre-heating temperature on structural and optical properties of sol-gel derived Zn0. 8Cd0. 2O thin films
Sapna et al. Structural and optical characterization of SILAR deposited CTS thin films for optoelectronic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