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7643B1 - 헬멧 - Google Patents

헬멧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7643B1
KR101437643B1 KR1020130130889A KR20130130889A KR101437643B1 KR 101437643 B1 KR101437643 B1 KR 101437643B1 KR 1020130130889 A KR1020130130889 A KR 1020130130889A KR 20130130889 A KR20130130889 A KR 20130130889A KR 101437643 B1 KR101437643 B1 KR 101437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le
male fastener
band
headband
sn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0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산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산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산청
Priority to KR1020130130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76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7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7643B1/ko
Priority to CN201480059625.3A priority patent/CN105682498B/zh
Priority to PCT/KR2014/010071 priority patent/WO201506496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A42B3/14Suspension devices
    • A42B3/147Ancho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8Chin straps or similar reten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A42B3/14Suspension devices
    • A42B3/142Suspension devices with restraining or stabilizing means, e.g. nape straps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자의 머리를 감싸 보호하는 외피(3); 상기 외피(3)의 내주면에 부착되는 고정띠(5); 및 상기 머리에 끼워지는 머리띠(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띠연결 구조(20)는, 상기 고정띠(5) 또는 상기 머리띠(7) 중 어느 한 쪽에 돌출된 수형 체결구(21); 및 상기 수형 체결구(21)를 끼우도록 상기 고정띠(5) 또는 상기 머리띠(7) 중 다른 한 쪽에서 상기 수형 체결구(21)와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된 암형 체결구(23);로 이루어지되, 상기 암형 체결구(23)는, 상기 수형 체결구(21)가 끼워질 때 상기 수형 체결구(21)의 동축 상으로 스냅반력이 작용하며, 상기 수형 체결구(21)가 끼워진 후 상기 수형 체결구(21)를 반경방향으로 구속하는 스냅부(41); 및 상기 수형 체결구(21)가 끼워진 후 상기 스냅부(41) 대향측에서 상기 수형 체결구(21)를 걸어 고정하는 걸림부(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따라서 암수형 체결구에 의한 띠연결 구조에 의해 띠 형상 부재들 간의 결합에 대한 내구성능이나 조립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헬멧{Helmet}
본 발명은 헬멧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착용자의 머리를 보호하는 헬멧의 외피 내주면에 부착되는 고정띠와, 머리에 착용되는 머리띠를 서로 직접 또는 연결띠를 통해서 영구적으로 또는 반영구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띠연결 구조를 갖는 헬멧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헬멧은 머리를 보호하는 데 사용되는 보호구로서, 건축공사나 갱내작업 또는 오토바이 탑승 시의 사고 방지를 위하여 사용하는데, 최근에는 합성수지로 만든 것도 보급되어 소방관이나 경찰관 또는 스포츠 선수들도 착용한다. 특히, 헬멧은 화재를 진압하는 소방관들에게 필수적인 물품으로서, 화재 현장에서 소방관들의 머리를 주변의 기물이나 붕괴물로부터 보호한다.
이러한 헬멧은 착용자의 안전성과 작업성을 동시에 높일 수 있도록 제작되어야 하는 바, 오랫 동안 착용해도 불편함이 없으면서 머리를 보호할 수 있어야 하며, 화재나 가스폭발사고 현장 등과 같은 가혹한 작업조건에 잘 견딜 수 있도록 제조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헬멧은 도 1에 도면부호 101로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머리를 감싸는 외피(103), 외피(103)에 각종 부품을 고정하기 위해 부착되는 고정띠(105), 그리고 착용자의 머리에 끼워져, 내경조절기(115)에 의해 내경을 조절하도록 되어 있는 머리띠(10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바, 그 외에도 외피(103)를 턱에 고정시키는 턱끈(109), 외피(103)와 머리의 충돌을 방지하는 완충패드(111), 착용자의 목부분을 보호하도록 외피(103) 하단에 연결되는 네크후드(116), 그리고 착용자의 시야를 확보하고, 안면을 보호하는 렌즈(113) 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의 헬멧(101)은 고정띠(105)에 머리띠(107)를 연결하기 위해 연결띠(125)를 채용하는데, 이 연결띠(125)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이 고정띠(105)에, 하단이 머리띠(107)에 각각 연결된다. 이때, 연결띠(125)를 고정띠(105)와 머리띠(107)에 각각 연결하는 띠연결 구조로는 예컨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작업에 의해 탈부착이 가능한 스냅 결합구조나 분리가 불가한 리벳 결합구조가 사용되는 바, 연결띠(125)와 머리띠(107)는 스냅 결합구조에 의해, 연결띠(125)와 고정띠(105)는 리벳 결합구조에 의해 각각 연결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띠(125)의 하단에는 스냅공(163)이 관통, 형성되며, 스냅공(163)과 대응하는 머리띠(107)의 외주면에는 끼움돌기(161)가 돌출, 형성되므로, 연결띠(125)와 머리띠(107)는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탈부착이 용이하나, 그만큼 불필요한 외력에 의해 상대적으로 쉽게 분리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대로, 연결띠(125)의 상단과 이에 대응하는 고정띠(105)의 상단에는 리벳공(127)이 각각 관통, 형성되어, 리벳(미도시)을 삽입함으로써, 연결띠(125)와 고정띠(105)는 착탈 불가하게 영구적으로 연결되는 바, 연결 자체는 견고하지만 필요에 따라 분리를 할 수 없어 해체나 재조립 등과 관련하여 사용 상 불편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0989526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헬멧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헬멧의 고정띠와 머리띠를 직접 또는 연결띠에 의해 연결함에 있어, 사용 중에는 고정띠에 머리띠 또는 연결띠를 리벳 등과 같이 영구적으로 견고하게 결속하면서도, 필요할 때는 서로를 분리해낼 수 있는 띠연결 구조 및 이러한 띠연결 구조를 갖는 헬멧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착용자의 머리를 감싸 보호하는 외피; 상기 외피의 내주면에 부착되는 고정띠; 및 띠연결 구조에 의해 상기 고정띠에 연결되어, 상기 머리에 끼워지는 머리띠;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띠연결 구조는, 상기 고정띠 또는 상기 머리띠 중 어느 한 쪽에 돌출된 수형 체결구; 및 상기 수형 체결구를 끼우도록 상기 고정띠 또는 상기 머리띠 중 다른 한 쪽에서 상기 수형 체결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된 암형 체결구;로 이루어지되, 상기 암형 체결구는, 상기 수형 체결구가 끼워질 때 상기 수형 체결구의 동축 상으로 스냅반력이 작용하며, 상기 수형 체결구가 끼워진 후 상기 수형 체결구를 반경방향으로 구속하는 스냅부; 및 상기 수형 체결구가 끼워진 후 상기 스냅부 대향측에서 상기 수형 체결구를 걸어 고정하는 걸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헬멧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수형 체결구는, 상기 고정띠 또는 상기 머리띠 중 어느 하나의 벽면에서 돌출된 스템부; 및 상기 스템부의 선단에서 확경되어, 상기 벽면과의 사이에 끼움홈을 형성하는 헤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냅부는 상기 고정띠 또는 상기 머리띠 중 어느 하나의 몸체에 ㄷ자 모양으로 관통되고 남은 외팔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림부는, 상기 헤드부를 수용하도록 상기 고정띠 또는 상기 머리띠 중 다른 하나의 벽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스냅부를 향해 개방된 몸통; 및 상기 몸통의 개방단에서부터 외면에 절결되어, 상기 스템부가 끼워지는 걸림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통은 개방단 모서리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스냅부를 향해 절곡된 단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냅부를 향해 개방된 포켓을 형성하며, 상기 포켓으로 끼워지는 상기 헤드부의 삽입을 상기 경사면에 의해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띠 또는 상기 머리띠 중 어느 하나에 일단이 연결되고, 나머지 다른 하나에 타단이 연결되는 연결띠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연결띠는 상기 고정띠 또는 상기 머리띠에 형성된 상기 수형 체결구 또는 상기 암형 체결구와 대응하여 결합되는 암형 체결구 또는 수형 체결구가 양단에 각각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하고자 하는 두 개의 띠 형상 부재 중 어느 한 부재에 돌출된 수형 체결구; 및 상기 수형 체결구를 끼우도록 상기 두 부재 중 다른 한 부재에서 상기 수형 체결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된 암형 체결구;로 이루어지되, 상기 암형 체결구는, 상기 수형 체결구가 끼워질 때 상기 수형 체결구의 동축 상으로 스냅반력이 작용하며, 상기 수형 체결구가 끼워진 후 상기 수형 체결구를 반경방향으로 구속하는 스냅부; 및 상기 수형 체결구가 끼워진 후 상기 스냅부 대향측에서 상기 수형 체결구를 걸어 고정하는 걸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띠연결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헬멧 또는 띠연결 구조에 따르면, 예컨대 고정띠에 형성된 암형 체결구와 연결띠에 형성된 수형 체결구를 결합암에 있어, 암형 체결구로 삽입되는 수형 체결구의 헤드부에 대해 암형 체결구의 스냅부가 스냅 반발을 일으키는 힘의 방향은 고정띠의 표면에 직각을 이루어, 암형 체결구와 수형 체결구가 결합된 후, 암형 체결구의 걸림부에서 수형 체결구의 헤드부를 빼내기 위해 헤드부에 걸리는 외력의 방향 즉, 고정띠의 표면과 평행한 하방과 직각을 이룬다.
따라서, 수형 체결구는 암형 체결구에 결합된 후, 고정띠 표면과 직각인 방향으로 연결띠에 가해지는 외력에 대해서는 헤드부가 강체인 걸림부에 의해 구속되므로, 또 고정띠 표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결띠에 가해지는 외력에 대해서는 헤드부를 구속하는 스냅부가 스냅 탄력을 갖지 않는 방향으로 헤드부를 구속하므로, 스냅 탄력에 의한 변형을 일으켜 걸림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여지가 없게 된다.
따라서, 고정띠와 연결띠는 외력에 의해서는 분리될 수 없는 견고하고 영구적인 띠연결 구조에 의해 결합되면서도, 마찬가지로 영구 결합인 리벳 등과는 달리 필요에 따라서는 스냅부를 밖으로 밀어내는 조작에 의해 간단히 분리해 낼 수 있으므로, 헬멧 특히 고정띠와 머리띠 또는 연결띠 간의 결합에 따른 내구성능 및 조립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헬멧을 조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부분 발췌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헬멧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암수형 체결구를 분리 상태로 고정띠의 밖에서 안으로 본 부분 상세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암수형 체결구를 결합 상태로 고정띠의 안에서 밖으로 본 부분 상세사시도.
도 6은 도 5의 측단면도.
도 7은 도 5의 결합 상태가 되기에 앞서, 수형 체결구의 헤드부가 암형 체결구의 스냅부를 가압하고 있는 상태의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 및 이 헬멧에 적용되는 띠연결 구조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헬멧은 도 3에 도면부호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외피(3), 고정띠(5), 및 머리띠(7)를 포함하는 기본 구조를 가지며, 턱끈(9)과 완충패드(11)를 더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외피(3)는 착용자의 머리를 보호하는 부분으로, 통상 가볍고, 강도가 높은 고강도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된다. 특히, 외피(3)는 전면에 착용자의 시야를 확보하면서 안면을 보호하는 렌즈(13)가 설치될 수 있으며, 정수리 부분에 완충을 위한 완충패드(11)가 하나 이상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고정띠(5)는 외피(3) 내부에 각종 부재들을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재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머리 모양을 따라 둥글게 말린 띠모양으로 되어 있다. 또한, 고정띠(5)는 외피(3)의 내주면 하단 부분에 나사 등에 의해 부착되며, 아래에 설명되는 머리띠(7) 뿐만 아니라 턱끈(9)이나 네크후드(16) 등 헬멧(1)에 연결되는 대부분의 부재를 연결,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머리띠(7)는 헬멧(1)이 착용자의 머리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착용 부분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띠(5)와 마찬가지로 머리 모양을 따라 둥글게 말린 띠모양으로 되어 머리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머리띠(7)는 내경조절기(15)를 통해 전체 길이가 조절되어, 착용자의 머리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머리띠(7)는 다른 부재들과 마찬가지로 고정띠(5)에 연결됨으로써 외피(3)에 고정되는 바, 이를 위해 머리띠(7)는 띠연결 구조(20)에 의해 고정띠(5)에 연결된다.
이 띠연결 구조(20)는 머리띠(7)를 고정띠(5)에 연결하는 체결수단으로서, 기본적으로 한 쌍의 암수형 체결구(23,21)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연결띠(25)를 더 포함하는 바, 머리띠(7) 또는 고정띠(5) 중 어느 한 쪽에 선택적으로 상호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수형 체결구(21)는 예컨대,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머리띠(7) 상에 직접 돌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때 암형 체결구(23)는 고정띠(5)의 하단에 또는 연결띠(25)의 하단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또, 도시되지 않았지만, 수형 체결구(21)가 고정띠(5)의 하단에 돌출된 때, 암형 체결구(23)는 머리띠(7)의 상단에 또는 연결띠(25)의 상단에 관통될 수 있다. 또한,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형 체결구(21)가 연결띠(25)의 상단에 돌출된 경우에, 암형 체결구(23)는 고정띠(5)의 상단에 관통된다. 반대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수형 체결구(21)가 연결띠(25)의 하단에 돌출된 경우에, 암형 체결구(23)는 머리띠(7)의 하단에 관통된다.
이와 같이, 상기 수형 체결구(21)는 띠연결 구조(20)를 이루는 한 부분으로서, 예컨대, 연결띠(25)의 상단에 형성되는 바,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템부(31)와 헤드부(33)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스템부(31)는 수형 체결구(21)의 기부로서,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연결띠(25)의 상단에 돌출, 형성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고정띠(5)나 머리띠(7) 중 어느 하나의 벽면에 직접 돌출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헤드부(33)는 수형 체결구(21)의 걸림단으로서, 스템부(31)의 선단에 형성되는 바, 걸림단의 기능을 하도록 스템부(31)보다 직경이 확대되어 있다. 따라서, 헤드부(33)는 연결띠(25)의 몸체 벽면과의 사이에 끼움홈(37)을 형성한다.
상기 암형 체결구(23)는 수형 체결구(21)와 대응하여 띠연결 구조(20)를 이루는 부분으로서, 수형 체결구(21)와 마찬가지로 예컨대,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머리띠(7) 상단에 직접 관통, 형성될 수 있는데, 이때 수형 체결구(21)는 고정띠(5)의 하단에 또는 연결띠(25)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암형 체결구(23)는 고정띠(5)에 관통될 수 있는데, 이때에 수형 체결구(21)는 머리띠(7)의 상단에 또는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연결띠(25)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도시되지 않았지만, 암형 체결구(23)가 연결띠(25) 상단 또는 하단에 형성된 경우에, 수형 체결구(21)는 고정띠(5) 또는 연결띠(25)에 돌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형 체결구(21) 및 연결띠(25)와 함께 띠연결 구조(20)를 이루는 암형 체결구(23)는 예컨대,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냅부(41)와 걸림부(43)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스냅부(41)는 암형 체결구(23)에 결합된 수형 체결구(21)를 구속하는 수단으로서,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띠(5), 머리띠(7), 또는 연결띠(25) 중 어느 하나 즉, 예컨대 도시된 것처럼 고정띠(5)의 몸체에 ㄷ자 모양으로 관통, 절결되고 남은 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외팔편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스냅부(41)는 도면 상으로 하단이 고정띠(5)에 일체로 된 외팔보의 형태를 취하는 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쪽에서 삽입되는 수형 체결구(21)의 헤드부(33)에 의해 고정띠(5)의 바깥쪽으로 변형되면서, 헤드부(33)에 대해 탄성 저항하게 된다. 이에 따라, 스냅부(41)는 수형 체결구(21)가 도 7과 같이 삽입될 때, 수형 체결구(21)에 대해 동축 상으로 스냅반력을 작용시킨다. 따라서, 스냅부(41)는 수형 체결구(21)와 스냅 결합되며,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수형 체결구(21)가 완전히 끼워진 뒤 수형 체결구(21) 즉, 헤드부(33)를 반경방향으로 구속한다.
상기 걸림부(43)는 암형 체결구(23)에 체결된 수형 체결구(21)를 걸어 고정하는 부분으로,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통(45)과 걸림홈(47)으로 이루어지는 바, 스냅부(41)의 대향측에 즉, 상방에 형성되어 몸통(45)의 포켓(49)에 끼워지는 헤드부(33)를 통해 수형 체결구(21)를 걸어 고정한다.
이를 위해, 걸림부(43)는 몸통(45)과 걸림홈(47)으로 이루어지는 바, 상기 몸통(45)은 수형 체결구(21) 특히, 헤드부(33)를 수용하는 부분으로,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형 체결구(23)가 형성되는 고정띠(5), 머리띠(7) 또는 연결띠(25) 중 어느 하나의 벽면에서 즉,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띠(5)의 내벽면에서 안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몸통(45)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33)를 끼우도록 스냅부(41) 즉, 외팔편을 향해 개방된 포켓(49)을 형성하도록 ㄱ자 형태로 절곡된 횡단면을 이루면서 아래로 연장된다. 특히, 몸통(45)은 도 6 등에 도시된 것처럼, 개방단 모서리에 경사면(51)이 모따기 형태로 절단되어 형성되는 바, 이 경사면(51)은 헤드부(33)가 포켓(49)으로 끼워질 때, 헤드부(33)를 안내하여 원활한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걸림홈(47)은 수형 체결구(21)의 스템부(31)를 끼우는 부분으로,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통(45)의 외면을 개방단에서부터 절결하여 형성하는 바, 스템부(31)를 끼울 수 있도록 스템부(31) 직경보다 큰 폭을 가지며, 스냅부(41)를 향해 개방된 역U자 형태의 외형을 가진다.
상기 연결띠(25)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고정띠(5)와 머리띠(7)를 연결하기 위해 구비된 연결부재로서, 일단이 고정띠 또는 머리띠(7) 중 어느 한 쪽에 연결되고, 타단이 나머지 다른 한 쪽에 즉, 예컨대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이 고정띠(5)에, 하단이 머리띠(7)에 각각 연결된다. 이 연결띠(2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만이 절곡되거나 상단과 하단이 모두 절곡되는 등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는데,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고정띠(5)에 연결되는 상단 또는 머리띠(7)에 연결되는 하단 또는 상하 양단에 수형 체결구(21) 또는 암형 체결구(23)가 고정띠(5) 또는 머리띠(7)에 형성된 암형 체결구(23) 또는 수형 체결구(21)와 일대일 대응하도록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헬멧(1)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 헬멧(1)의 띠연결 구조(20)는 고정띠(5)와 머리띠(7)의 암수형 체결구(23,21)을 직접 또는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연결띠(25)에 의해 연결하고자 할 때, 예컨대, 도시된 것처럼, 고정띠(5)의 상단에 형성된 암형 체결구(23)로 연결띠(25)의 수형 체결구(21)를 끼워 넣게 된다. 이때, 머리띠(7)와 연결띠(25)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끼움돌기(61)와 스냅공(63)과 같은 종전의 연결구조에 의해 고정띠(5)와 연결띠(25)를 연결하기 전에 이미 또는 고정띠(5)와 연결띠(25)를 연결한 다음에 상호 결합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고정띠(5)의 암형 체결구(23)에 연결띠(25)의 수형 체결구(21)를 삽입하게 되면, 삽입 초기에 수형 체결구(21)의 헤드부(33)는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스냅부(41)를 고정띠(5)의 바깥쪽으로 밀어 변형시킨다. 그리고 나서 또는 그와 동시에 헤드부(33)는 경사면(51)을 따라 걸림부(43) 몸통(45)의 포켓(49) 안으로 밀려들어간다. 이때, 수형 체결구(21)의 스템부(31)는 걸림부(43)의 걸림홈(47)을 따라 들어간다.
곧이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형 체결구(23)의 걸림부(43) 몸통(45) 안으로 수형 체결구(21)의 헤드부(33)가 밀려들어가면, 헤드부(33)에 의해 바깥쪽으로 밀려 있던 스냅부(41)는 스냅식으로 원위치에 복귀하며, 원위치된 스냅부(41)에 의해 헤드부(33)는 몸통(45)의 포켓(49)에 수용된 상태로 구속된다.
이렇게 해서, 띠연결 구조(20)의 암수형 체결구(23,21)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체결 완료되면, 고정띠(5)의 표면에 직각 방향으로 연결띠(25)에 가해지는 외력에 대해서는 걸림부(43)의 역U자형 몸통(45)이 헤드부(33)를 저지하여 연결띠(25)의 분리를 저지하고, 고정띠(5)의 표면에 평행한 방향에서 하방으로 연결띠(25)에 가해지는 외력에 대해서는 스냅부(41) 선단이 헤드부(33)를 저지한다. 특히, 고정띠(5) 표면에 직각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연결띠(25)에 가해지는 외력의 방향이 스냅부(41)의 스냅반력을 일으키는 힘의 방향과 거의 직각을 이루므로, 외력의 방향과 스냅반력의 방향이 동일하여 외력을 조금만 증대시켜도 스냅결합이 쉽게 분리되는 종래의 스냅 결합과는 달리, 본 발명에 따른 암수형 체결구(23,21)의 결합은 스냅부(41)를 고정띠(5)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손가락 등에 의해 눌러 도 7과 같이 변형시키기 밖으로 밀어내기 전에는 아무리 연결띠(25)를 고정띠(5)로부터 잡아당겨도 연결띠(25)를 고정띠(5)에서 분리시키지 못한다. 따라서, 본 발명 띠연결 구조(20)는 스냅결합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리벳 등과 같은 기존의 체결구조와 같이 영구적으로 결합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서, 띠연결 구조(20)는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헬멧(1)에 사용되는 고정띠(5)나 머리띠(7)를 연결하는 데만 사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고, 다양한 형태 및 용도의 띠 형상 부재를 연결하는 데 채용될 수 있는 바, 기본적인 구성은 위에서 설명한 암수형 체결구(23,21) 및 연결띠(25)와 동일하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1 : 헬멧 3 : 외피
5 : 고정띠 7 : 머리띠
9 : 턱끈 11 : 완충패드
13 : 렌즈 15 : 내경조절기
20 : 띠연결 구조 21 : 수형 체결구
23 : 암형 체결구 25 : 연결띠
31 : 스템부 33 : 헤드부
41 : 스냅부 43 : 걸림부
45 : 몸통 47 : 걸림홈
49 : 포켓 51 : 경사면

Claims (11)

  1. 착용자의 머리를 감싸 보호하는 외피(3);
    상기 외피(3)의 내주면에 부착되는 고정띠(5); 및
    띠연결 구조(20)에 의해 상기 고정띠(5)에 연결되어, 상기 머리에 끼워지는 머리띠(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띠연결 구조(20)는,
    상기 고정띠(5) 또는 상기 머리띠(7) 중 어느 한 쪽에 돌출된 수형 체결구(21); 및
    상기 수형 체결구(21)를 끼우도록 상기 고정띠(5) 또는 상기 머리띠(7) 중 다른 한 쪽에서 상기 수형 체결구(21)와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된 암형 체결구(23);로 이루어지되,
    상기 암형 체결구(23)는,
    상기 수형 체결구(21)가 끼워질 때 상기 수형 체결구(21)의 동축 상으로 스냅반력이 작용하며, 상기 수형 체결구(21)가 끼워진 후 상기 수형 체결구(21)를 반경방향으로 구속하는 스냅부(41); 및
    상기 수형 체결구(21)가 끼워진 후 상기 스냅부(41) 대향측에서 상기 수형 체결구(21)를 걸어 고정하는 걸림부(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형 체결구(21)는,
    상기 고정띠(5) 또는 상기 머리띠(7) 중 어느 하나의 벽면에서 돌출된 스템부(31); 및
    상기 스템부(31)의 선단에서 확경되어, 상기 벽면과의 사이에 끼움홈(37)을 형성하는 헤드부(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냅부(41)는 상기 고정띠(5) 또는 상기 머리띠(7) 중 어느 하나의 몸체에 ㄷ자 모양으로 관통되고 남은 외팔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43)는,
    상기 헤드부(33)를 수용하도록 상기 고정띠(5) 또는 상기 머리띠(7) 중 다른 하나의 벽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스냅부(41)를 향해 개방된 몸통(45); 및
    상기 몸통(45)의 개방단에서부터 외면에 절결되어, 상기 스템부(31)가 끼워지는 걸림홈(47);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몸통(45)은 개방단 모서리에 경사면(51)이 형성되어, 포켓(49)으로 끼워지는 상기 헤드부(33)의 삽입을 상기 경사면(51)에 의해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띠(5) 또는 상기 머리띠(7) 중 어느 하나에 일단이 연결되고, 나머지 다른 하나에 타단이 연결되는 연결띠(25)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연결띠(25)는 상기 고정띠(5) 또는 상기 머리띠(7)에 형성된 상기 수형 체결구(21) 또는 상기 암형 체결구(23)와 대응하여 결합되는 암형 체결구(23) 또는 수형 체결구(21)가 양단에 각각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
  7. 연결하고자 하는 두 개의 띠 형상 부재 중 어느 한 부재에 돌출된 수형 체결구(21); 및
    상기 수형 체결구(21)를 끼우도록 상기 두 부재 중 다른 한 부재에서 상기 수형 체결구(21)와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된 암형 체결구(23);로 이루어지되,
    상기 암형 체결구(23)는,
    상기 수형 체결구(21)가 끼워질 때 상기 수형 체결구(21)의 동축 상으로 스냅반력이 작용하며, 상기 수형 체결구(21)가 끼워진 후 상기 수형 체결구(21)를 반경방향으로 구속하는 스냅부(41); 및
    상기 수형 체결구(21)가 끼워진 후 상기 스냅부(41) 대향측에서 상기 수형 체결구(21)를 걸어 고정하는 걸림부(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연결 구조.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30130889A 2013-10-31 2013-10-31 헬멧 KR1014376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0889A KR101437643B1 (ko) 2013-10-31 2013-10-31 헬멧
CN201480059625.3A CN105682498B (zh) 2013-10-31 2014-10-24 头盔
PCT/KR2014/010071 WO2015064968A1 (ko) 2013-10-31 2014-10-24 헬멧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0889A KR101437643B1 (ko) 2013-10-31 2013-10-31 헬멧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7643B1 true KR101437643B1 (ko) 2014-09-04

Family

ID=51759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0889A KR101437643B1 (ko) 2013-10-31 2013-10-31 헬멧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437643B1 (ko)
CN (1) CN105682498B (ko)
WO (1) WO201506496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188U (ko) * 2017-07-12 2019-01-22 이원명 헬멧 완충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44811B2 (en) 2016-02-26 2019-04-0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uspension locking tab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4904Y2 (ja) * 1989-02-08 1995-08-09 オーベクス株式会社 ヘルメット
US5898949A (en) 1997-07-01 1999-05-04 Cairns & Brother Inc. Head-protective helmet mounting member for mounting helmet components together and head band
KR200441737Y1 (ko) 2008-06-27 2008-09-04 주식회사 성안세이브 안전모의 착장체
KR100989526B1 (ko) 2010-03-19 2010-10-25 주식회사 산청 헬멧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02736U (ko) * 1986-12-24 1988-07-04
FR2690608B1 (fr) * 1992-05-04 1994-07-29 Petzl Ets Boucle de fixation pour une jugulaire d'un casque de securite.
KR100903205B1 (ko) * 2008-04-04 2009-06-18 주식회사 에스탑 보안경을 갖는 안전모
CN201658211U (zh) * 2010-01-30 2010-12-01 李泰和 一种悬挂安装扣件以及利用该扣件制成的悬挂安装架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4904Y2 (ja) * 1989-02-08 1995-08-09 オーベクス株式会社 ヘルメット
US5898949A (en) 1997-07-01 1999-05-04 Cairns & Brother Inc. Head-protective helmet mounting member for mounting helmet components together and head band
KR200441737Y1 (ko) 2008-06-27 2008-09-04 주식회사 성안세이브 안전모의 착장체
KR100989526B1 (ko) 2010-03-19 2010-10-25 주식회사 산청 헬멧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188U (ko) * 2017-07-12 2019-01-22 이원명 헬멧 완충구
KR200489284Y1 (ko) * 2017-07-12 2019-05-27 노태종 헬멧 완충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682498B (zh) 2018-08-24
WO2015064968A1 (ko) 2015-05-07
CN105682498A (zh) 2016-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19577B1 (en) Integrated fit and retention system
KR101532972B1 (ko) 체결이 간편한 안전모
US6490729B1 (en) Apparatus and method relating to a quick attachment and release goggle mounting system
EP3366153B1 (en) Protective helmet with flip-up visor/goggles
JP6929281B2 (ja) 顎ひもコネクタ
WO2008090277A3 (fr) Casque perfectionne comportant une sous coque sur laquelle est fixee la coque externe
KR101995947B1 (ko) 비상시 패드 제거가 가능한 헬멧
KR101437643B1 (ko) 헬멧
JP2018533678A5 (ko)
CN105901849A (zh) 具有扩展表带的手表
JP4851785B2 (ja) 装身具
US11819082B2 (en) Breakaway clasp for headwear
KR200472872Y1 (ko) 마스크가 부착된 차양모자
US20130067703A1 (en) Safety Connector Assembly for a Lanyard
KR101443259B1 (ko) 헬멧
JPH11302915A (ja) ヘッドバンド
KR102075106B1 (ko) 하이브리드 버클이 포함된 안전모
JPWO2002028213A1 (ja) ヘルメット用ヘッドバンド
KR101001751B1 (ko) 줄자를 갖는 안전모
KR200406885Y1 (ko) 귀마개를 갖는 마스크
KR200430733Y1 (ko) 안전모
KR200482896Y1 (ko) 시계줄 분리도구가 결합된 손목시계
EP2989916B1 (en) Clothing accessory that protects from the cold
GB2402319A (en) Head harness with adjustable eye shield
CN211129868U (zh) 一种方便穿戴的儿童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