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7143B1 - 태양전지 전극용 페이스트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 Google Patents

태양전지 전극용 페이스트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7143B1
KR101437143B1 KR1020110128663A KR20110128663A KR101437143B1 KR 101437143 B1 KR101437143 B1 KR 101437143B1 KR 1020110128663 A KR1020110128663 A KR 1020110128663A KR 20110128663 A KR20110128663 A KR 20110128663A KR 101437143 B1 KR101437143 B1 KR 101437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cell
paste composition
conductive powder
electrode
average p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8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2191A (ko
Inventor
정석현
이정철
정현주
김재호
Original Assignee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모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8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7143B1/ko
Priority to CN201210291523.7A priority patent/CN103137240B/zh
Priority to US13/592,799 priority patent/US8815127B2/en
Priority to DE102012111648A priority patent/DE102012111648A1/de
Publication of KR20130062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21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7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71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20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 H01B1/22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comprising metals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14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inorganic material
    • H01B1/16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inorganic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comprising metals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24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24Electrodes
    • H01L31/022408Electrode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31/022425Electrode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for so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전지 전극용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태양전지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특정 입경 및 특정 함량을 갖는 도전성 금속 분말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태양전지 전극용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태양전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단락 전류가 개선되며, 전극의 직렬 저항 개선으로 높은 fill factor를 달성함으로써 태양전지 변환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미세 패턴 형상을 구현할 수 있어 공정성을 개선하였다.

Description

태양전지 전극용 페이스트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Paste composition for forming electrode of solar cell, electrode fabricated using the same and solar cel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태양전지 전극용 페이스트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특정 입경 범위를 갖는 도전성 분말을 특정 함량 비율로 포함하는 도전성 분말의 혼합물을 사용한 태양전지 전극용 페이스트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미세 패턴 형상을 구현할 수 있어 단락 전류를 개선하고, 공정성을 개선하였으며, 전극의 직렬 저항 개선으로 높은 fill factor를 달성함으로써 태양전지 변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석유나 석탄과 같은 화석 연료의 에너지 자원의 고갈에 따라, 새로운 대체 에너지원으로 태양광을 활용하는 태양전지가 주목받고 있다. 태양전지는 태양광의 포톤(photon)을 전기로 변환시키는 p-n 접합의 광전 효과를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태양전지는 p-n 접합이 구성되는 반도체 웨이퍼 또는 기판 상·하면에 각각 전면 전극과 후면 전극을 형성하여, 웨이퍼에 입사되는 태양광에 의해 p-n 접합의 광전 효과가 유도되고, 이로부터 발생된 전자들이 전극을 통해 외부로 흐르는 전류를 제공하도록 작동된다. 이러한 태양전지의 전극은 전극용 페이스트의 도포, 패터닝 및 소성에 의해, 웨이퍼 표면에 형성된다.
이러한 태양전지에서는 태양에너지를 전류로 전환시키는 변환 효율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기존 태양전지 전극용 페이스트 조성물은 주로 도전성 분말의 크기, 표면 처리 방법 또는 혼합 비율을 조정함으로써 태양전지 변환효율을 높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만으로는 태양전지 변환효율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어 왔다. 또한, 서로 다른 입경을 갖는 도전성 분말을 혼합하여 소결 밀도 또는 전극 저항을 개선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나노 크기의 분말 사용시 비표면적 증가로 인해 페이스트의 점도가 급상승함으로써 공정성이 좋지 않았다. 따라서, 태양전지 변환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페이스트의 점도 조절을 통해 공정성을 개선한 페이스트를 개발할 필요가 있어 왔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락 전류를 개선하고 fill factor를 높일 수 있는 태양전지 전극용 페이스트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태양전지 변환효율을 높일 수 있는 페이스트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미세 패턴 형상 구현이 가능한 페이스트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페이스트 조성물로 제조된 전극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전극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태양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태양전지 전극용 페이스트 조성물은 (a)도전성 분말의 혼합물, (b)유리 프릿 및 (c)유기 비히클을 포함하고, 상기 도전성 분말의 혼합물은 평균입경이 1nm~100nm인 도전성 분말 1중량%이상 10중량%미만과 평균입경(D50)이 0.5㎛-5㎛인 도전성 분말 90중량%초과 99중량%이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평균입경이 1nm~100nm인 도전성 분말의 비표면적은 3.0m2/g~30.0m2/g이 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평균입경(D50)이 0.5㎛~5㎛인 도전성 분말의 비표면적은 0.1m2/g~2.0m2/g이 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조성물은 (a)도전성 분말의 혼합물 60중량%~90중량%, (b)유리 프릿 1중량%~10중량% 및 (c)유기 비히클 5중량%~3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도전성 분말은 은(Ag), 금(Au), 팔라듐(Pd), 백금(Pt), 구리(Cu), 크롬(Cr), 코발트(Co), 알루미늄(Al), 주석(Sn), 납(Pb), 아연(Zn), 철(Fe), 이리듐(Ir), 오스뮴(Os), 로듐(Rh), 텅스텐(W), 몰리브덴(Mo), 니켈(Nickel) 및 ITO(인듐틴옥사이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인 전극은 태양전지 전극용 페이스트 조성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인 태양전지는 상기 전극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단락 전류를 개선하고 fill factor와 태양전지 변환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미세 패턴 형상 구현이 가능하고 공정성을 개선할 수 있는 태양전지 전극용 페이스트 조성물을 제공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스트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태양전지의 구조를 간략히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태양전지 전극용 페이스트 조성물은 (a)도전성 분말의 혼합물, (b)유리 프릿 및 (c)유기 비히클을 포함하고, 상기 도전성 분말의 혼합물은 평균입경이 1nm~100nm인 도전성 분말 1중량%이상 10중량%미만과 평균입경(D50)이 0.5㎛~5㎛인 도전성 분말 90중량%초과 99중량%이하를 포함할 수 있다.
(a)도전성 분말의 혼합물
본 발명의 페이스트 조성물은 평균입경이 1nm~100nm인 도전성 분말과 평균입경(D50)이 0.5㎛~5㎛인 도전성 분말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균입경이 1nm~100nm인 도전성 분말의 평균입경은 도전성 분말 0.1g, 올레인산(Oleic acid) 0.1g, 사이클로헥산 5.0g을 25℃에서 2분 동안 초음파로 분산시킨 후 TEM(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을 사용하여 174,000배로 측정한 후 이미지 분석 프로그램(Azo-kun or windows, version 2.20, Asahi Kasei Engineering, Japan)을 사용하여 200개 이상의 입자의 평균입경을 계산한 것이다. 상기 평균입경(D50)이 0.5㎛~5㎛인 도전성 분말의 평균입경은 이소프로필알코올(IPA)에 도전성 분말을 초음파로 25℃에서 3분 동안 분산시킨 후 CILAS社에서 제작한 1064LD 모델을 사용하여 측정된 것이다.
평균입경이 1nm~100nm인 도전성 분말은 도전성 분말의 혼합물 중 1중량% 이상 10중량%미만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되는 경우, 우수한 공정성 및 단락 전류나 fill factor 개선효과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중량%~9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평균입경이 1nm~100nm인 도전성 분말은 바람직하게는 10nm~80nm, 더 바람직하게는 20nm~60nm의 평균입경을 가질 수 있다.
평균입경이 1nm~100nm인 도전성 분말의 비표면적은 3.0m2/g~30.0m2/g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우수한 공정성 및 단락 전류나 fill factor 개선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비표면적은 5m2/g~25m2/g가 될 수 있다.
평균입경(D50)이 0.5㎛~5㎛인 도전성 분말은 도전성 분말의 혼합물 중 90중량%초과 99중량%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양호한 인쇄 특성과 단락 전류나 fill factor가 개선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91중량%~99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평균입경(D50)이 0.5㎛~5㎛인 도전성 분말은 바람직하게는 0.5㎛~3㎛, 더 바람직하게는 0.8㎛~2.5㎛의 평균입경을 가질 수 있다.
평균입경(D50)이 0.5㎛~5㎛인 도전성 분말의 비표면적은 0.1m2/g~2.0m2/g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양호한 인쇄 특성과 단락 전류나 fill factor가 개선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도전성 분말의 혼합물은 상기 평균입경 범위를 벗어나는 도전성 분말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전성 분말의 혼합물은 페이스트 조성물 중 60중량%~9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저항의 증가로 인해 변환 효율이 낮아지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유기 비히클 양의 상대적인 감소로 인해 페이스트화가 어려워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70중량%~9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도전성 분말은 도전성을 가지는 유기물 또는 무기물의 분말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은(Ag), 금(Au), 팔라듐(Pd), 백금(Pt), 구리(Cu), 크롬(Cr), 코발트(Co), 알루미늄(Al), 주석(Sn), 납(Pb), 아연(Zn), 철(Fe), 이리듐(Ir), 오스뮴(Os), 로듐(Rh), 텅스텐(W), 몰리브덴(Mo), 니켈(Nickel) 또는 ITO(인듐틴옥사이드) 등의 금속 분말을 1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평균입경이 1nm~100nm인 도전성 분말과 평균입경(D50)이 0.5㎛~5㎛인 도전성 분말은 같거나 서로 다른 종류의 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둘 다 은 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도전성 분말은 입자 형상이 구형, 판상, 무정형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전성 분말을 구형으로 함으로써, 충진율, 소결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b)유리 프릿
유리 프릿(glass frit)은 페이스트의 소성 공정 중 반사 방지막을 에칭하고, 도전성 분말을 용융시켜 저항이 낮아질 수 있도록 에미터 영역에 도전성 분말의 결정을 생성시키고 도전성 분말과 웨이퍼 사이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유리 프릿은 결정화 유리 프릿 또는 비결정화 유리 프릿을 사용할 수 있고, 유연 유리 프릿, 무연 유리 프릿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 어느 것도 사용가능 하다.
유리 프릿은 예를 들면, 산화아연-산화규소계(ZnO-SiO2), 산화아연-산화붕소-산화규소계(ZnO-B2O3-SiO2), 산화아연-산화붕소-산화규소-산화알루미늄계(ZnO-B2O3-SiO2-Al2O3), 산화비스무스-산화규소계(Bi2O3-SiO2), 산화비스무스-산화붕소-산화규소계(Bi2O3-B2O3-SiO2), 산화비스무스-산화붕소-산화규소-산화알루미늄계(Bi2O3-B2O3-SiO2-Al2O3), 산화비스무스-산화아연-산화붕소-산화규소계(Bi2O3-ZnO-B2O3-SiO2) 및 산화비스무스-산화아연-산화붕소-산화규소-산화알루미늄계(Bi2O3-ZnO-B2O3-SiO2-Al2O3)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유리 프릿을 포함할 수 있다.
유리 프릿은 평균입경(D50)이 0.1㎛~20㎛, 바람직하게는 0.5㎛~10㎛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분산이 양호하며, 양호한 인쇄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평균입경은 이소프로필알코올(IPA)에 유리 프릿을 초음파로 25℃에서 3분 분산 후 CILAS 社에서 제작한 1064LD 모델을 사용하여 측정된 것이다.
유리 프릿은 300℃~700℃, 바람직하게는 300℃~600℃의 연화점을 가질 수 있다.
유리 프릿은 페이스트 조성물 중 1중량%~1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전도성 분말의 소결성 및 부착력을 높일 수 있고, 저항이 높아져 변환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소성 후 남아 있는 유리 프릿의 양이 과다하게 분포되어 저항 상승 및 납땜성을 저하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막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중량%~7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c)유기 비히클
유기 비히클(vehicle)은 페이스트에 액상 특성을 부여하는 유기 바인더(binder)를 포함할 수 있다.
유기 바인더로는 에틸셀룰로오즈,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즈,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즈 또는 히드록시에틸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즈 등의 셀룰로오즈계 고분자, 카르복실기 등의 친수성을 가지는 아크릴 단량체로 공중합시킨 아크릴계 공중합체, 폴리비닐계 수지 등 이들 각각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유기 비히클은 용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유기 비히클은 용매에 유기 바인더를 용해시킨 용액이 될 수 있다. 유기 비히클은 유기 바인더 1중량%~80중량%와 용매 20중량%~99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용매로는 예를 들면, 카비톨 용매, 지방족 알코올류, 에스테르계, 셀로솔브 용매, 탄화수소 용매 등 전극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부틸 카비톨, 부틸 카비톨 아세테이트, 메틸 셀로솔브, 에틸 셀로솔브, 부틸 셀로솔브, 지방족 알코올, 터핀올(terpineol), 에틸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모노 부틸 에테르, 부틸셀로솔브 아세테이트, 텍사놀(texanol)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 비히클은 페이스트 조성물 중 5중량%~3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분산이 원활히 되지 않거나 페이스트 제조 후 점도가 너무 높아져 인쇄성이 불량해지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저항 상승 및 소성 공정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차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8중량%~2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태양전지 전극용 페이스트 조성물은 상기한 구성 요소 외에 유동 특성, 공정 특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통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분산제, 요변제, 가소제, 점도 안정화제, 소포제, 안료, 자외선 안정제, 산화방지제, 커플링제 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페이스트 조성물 중 0.1중량%~5중량%로 첨가되지만 필요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Brookfield 점도계(Brookfield Co., DV-II+ PRO viscometer)를 사용하여 측정(10rpm, 23℃)된 점도가 100Pa.s~500Pa.s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페이스트 조성물의 인쇄성이 좋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상기 태양전지 전극용 페이스트 조성물로 형성된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에 관한 것이다.
전극은 통상의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페이스트 조성물을 웨이퍼의 후면에 인쇄 도포한 후, 약 200℃~400℃로 약 10초 내지 60초 동안 건조하여 후면 전극을 위한 사전 준비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웨이퍼의 전면에 페이스트 조성물을 인쇄한 후 건조하여 전면 전극을 위한 사전 준비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후에, 400℃~900℃에서 30초~50초 소성하는 소성 과정을 수행하여 전면 전극 및 후면 전극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태양전지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p층(101) 및 에미터로서의 n층(102)을 포함하는 웨이퍼(100) 또는 기판 상에, 상기 페이스트들을 인쇄하고 소성하여 후면 전극(210) 및 전면 전극(230)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각 성분의 사양은 다음과 같다:
(A)도전성 분말:(a1)평균입경(D50)이 2.0㎛인 구형의 은 분말(Dowa Hightech Co. LTD, AG-4-8, 비표면적 0.43m2/g), (a2)평균입경이 20nm인 구형의 은 분말(Dowa Hightech Co. LTD, TW-A01, 비표면적 17m2/g), (a3)평균입경이 60nm인 구형의 은 분말(Dowa Hightech Co. LTD, TW-A02, 비표면적 7m2/g), (a4)평균입경이 300nm인 구형의 은 분말(Dowa Hightech Co. LTD, TW-A03, 비표면적 1.2m2/g)
(B)유리 프릿:(b1)평균입경(D50)이 1.0㎛이고 연화점이 451℃인 유연 유리 프릿(유연 Glass, (주)파티클로지, CI-1090), (b2)평균입경(D50)이 1.0㎛이고 연화점이 430℃인 유연 유리 프릿(유연 Glass, (주)파티클로지, CI-5008)
(C)유기 비히클:(c1)에틸셀룰로오스(Dow Chemical company, STD4), (c2)부틸 카비톨
(D)첨가제:(d1)분산제로 BYK102(BYK Chemie), (d2)요변제로 Thixatrol ST(Elementis co.)
실시예 1
에틸셀룰로오스 1중량부를 부틸 카비톨 12.5중량부에 넣고 60℃에서 용해시켰다. 도전성 분말, 유리 프릿, 첨가제를 하기 표 1에 기재된 함량(단위:중량부)으로 투입하고 믹싱한 후, 3롤 혼련기로 혼합 분산시켜 태양전지 전극용 페이스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4 및 비교예 1-4
각 성분의 함량을 하기 표 1과 같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페이스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A) (a1) 80 77 73 80 81 70 80.5 80
(a2) - - - 1 - - - -
(a3) 1 4 8 - - 11 0.5 -
(a4) - - - - - - - 1
(B) (b1) 4 4 4 4 4 4 4 4
(b2) 1 1 1 1 1 1 1 1
(C) (c1) 1 1 1 1 1 1 1 1
(c2) 12.5 12.5 12.5 12.5 12.5 12.5 12.5 12.5
(D) (d1) 0.2 0.2 0.2 0.2 0.2 0.2 0.2 0.2
(d2) 0.3 0.3 0.3 0.3 0.3 0.3 0.3 0.3
전체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실험예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제조한 전극용 페이스트 조성물에 대해 하기 물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물성 평가 방법
(1)점도:제조한 페이스트 조성물에 대해 Brookfield 점도계(Brookfield Co., DV-II+ PRO viscometer)를 사용하여 23℃에서 1,2,5,10,20,50,100,120,200rpm의 점도를 측정하고, 이중 10rpm에서의 값을 취하였다.
(2)점도비(viscosity ratio):상기 얻은 점도 중 (1rpm에서의 점도)/(10rpm에서의 점도)의 값으로 나타내었다.
(3)패턴 aspect ratio:페이스트를 웨이퍼 전면에 일정한 패턴으로 스크린 프린팅하여 인쇄하고, 적외선 건조로를 사용하여 건조시켰다. 이후 웨이퍼의 후면에 알루미늄 페이스트를 전면 인쇄한 후 동일한 방법으로 건조하였다. 얻은 cell을 벨트형 소성로를 이용하여 300℃~750℃의 온도구간에서 60초 동안 소성을 행하였다. 얻은 cell에 대해 3D 레이저 현미경(KEYENCE Co., VK-9700)을 이용하여 소성된 전면 패턴의 두께와 선폭을 실측하고, 두께/선폭의 값으로 구하였다.
(4)단락 전류(Isc, A), Fill factor(FF, %), 변환 효율(Eff., %):제조된 cell에 대해 태양전지효율측정장비(Pasan사, CT-180)를 사용하여 단락 전류, Fill factor 및 변환 효율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점도
(Pa.s)
305 387 452 377 242 516 280 264
점도비 6.1 6.3 6.4 6.2 5.6 6.1 6.1 5.7
패턴 aspect ratio 0.26 0.31 0.31 0.28 0.18 0.15 0.25 0.18
Isc(A) 5.69 5.71 5.71 5.70 5.46 5.14 5.69 5.49
FF(%) 77.1 77.8 77.7 77.5 75.7 61.2 75.8 76.1
Eff.(%) 17.7 17.9 17.9 17.8 16.7 12.7 17.4 16.9
상기 표 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페이스트 조성물은 미세 패턴 형상의 구현으로 단락 전류가 개선되고 높은 Fill factor를 달성하여 태양전지의 변환효율을 높일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8)

  1. (a)도전성 분말의 혼합물, (b)유리 프릿 및 (c)유기 비히클을 포함하고,
    상기 도전성 분말의 혼합물은 평균입경이 1nm~100nm인 도전성 분말 1중량%이상 10중량%미만과 평균입경(D50)이 0.5㎛~5㎛인 도전성 분말 90중량%초과 99중량%이하를 포함하고,
    Brookfield 점도계를 사용하여 23℃, 10rpm에서 측정한 조성물의 점도가 100Pa.s~500Pa.s인 태양전지 전극용 페이스트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균입경이 1nm~100nm인 도전성 분말의 비표면적은 3.0m2/g~30m2/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전극용 페이스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균입경(D50)이 0.5㎛~5㎛인 도전성 분말의 비표면적은 0.1m2/g~2.0m2/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전극용 페이스트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분말은 은(Ag), 금(Au), 팔라듐(Pd), 백금(Pt), 구리(Cu), 크롬(Cr), 코발트(Co), 알루미늄(Al), 주석(Sn), 납(Pb), 아연(Zn), 철(Fe), 이리듐(Ir), 오스뮴(Os), 로듐(Rh), 텅스텐(W), 몰리브덴(Mo), 니켈(Nickel) 및 ITO(인듐틴옥사이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전극용 페이스트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a)도전성 분말의 혼합물 60중량%~90중량%, (b)유리 프릿 1중량%~10중량%, 및 (c)유기 비히클 5중량%~3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전극용 페이스트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분산제, 요변제, 가소제, 점도 안정화제, 소포제, 안료, 자외선 안정제, 산화방지제 및 커플링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첨가제를 1종 이상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전극용 페이스트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태양전지 전극용 페이스트 조성물로 형성된 전극.
  8. 제7항의 전극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태양전지.
KR1020110128663A 2011-12-02 2011-12-02 태양전지 전극용 페이스트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KR101437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8663A KR101437143B1 (ko) 2011-12-02 2011-12-02 태양전지 전극용 페이스트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CN201210291523.7A CN103137240B (zh) 2011-12-02 2012-08-15 用于太阳能电池电极的膏糊组合物、用该组合物制备的电极、以及包括该电极的太阳能电池
US13/592,799 US8815127B2 (en) 2011-12-02 2012-08-23 Paste composition for solar cell electrode, electrode fabricated using the same, and solar cell including the same
DE102012111648A DE102012111648A1 (de) 2011-12-02 2012-11-30 Pastenzusammensetzung für eine Solarzellenelektrode, unter Verwendung derselben hergestellte Elektrode sowie diese enthaltende Solarzel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8663A KR101437143B1 (ko) 2011-12-02 2011-12-02 태양전지 전극용 페이스트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2191A KR20130062191A (ko) 2013-06-12
KR101437143B1 true KR101437143B1 (ko) 2014-09-03

Family

ID=48431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8663A KR101437143B1 (ko) 2011-12-02 2011-12-02 태양전지 전극용 페이스트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815127B2 (ko)
KR (1) KR101437143B1 (ko)
CN (1) CN103137240B (ko)
DE (1) DE1020121116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01844B (zh) * 2009-05-27 2012-06-06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太阳能电池导电浆料及其制备方法
KR101411012B1 (ko) * 2011-11-25 2014-06-24 제일모직주식회사 태양전지 전극용 페이스트 및 이를 이용한 전극 및 태양전지
KR101434167B1 (ko) * 2012-10-25 2014-08-27 대주전자재료 주식회사 태양전지 전극용 은 페이스트 조성물
KR101608123B1 (ko) * 2013-09-13 2016-03-31 제일모직주식회사 태양전지 전극 형성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전극
US9666731B2 (en) 2013-10-21 2017-05-30 Samsung Sdi Co., Ltd. Composition for solar cell electrodes, electrode fabricated using the same, and solar cell having the electrode
CN103617819B (zh) * 2013-11-20 2016-01-13 东莞南玻光伏科技有限公司 电极导电浆料、其制备方法及太阳能电池电极
KR102563506B1 (ko) * 2014-07-24 2023-08-07 대주전자재료 주식회사 제어된 결정크기를 갖는 은 입자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전극용 은 페이스트
KR101716549B1 (ko) * 2014-11-19 2017-03-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태양전지 전극 형성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전극
KR20160120862A (ko) * 2015-04-08 2016-10-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터치패널 전극배선 형성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전극배선을 포함하는 터치패널
KR102269870B1 (ko) * 2015-04-22 2021-06-30 창저우 퓨전 뉴 머티리얼 씨오. 엘티디. 태양전지 전극 형성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전극
EP3009211B1 (de) * 2015-09-04 2017-06-14 Heraeus Deutschland GmbH & Co. KG Metallpaste und deren verwendung zum verbinden von bauelementen
KR20170108577A (ko) * 2016-03-18 2017-09-27 대주전자재료 주식회사 태양전지용 무연 도전 페이스트
KR101994368B1 (ko) * 2016-09-21 2019-06-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태양전지의 전극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전극 및 태양전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1214A (ko) * 2000-06-09 2001-12-17 임무현 전극용 도전 페이스트 조성물
WO2010135950A1 (en) * 2009-05-27 2010-12-02 Byd Company Limited Conductive slurry for solar battery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20110003149A (ko) * 2009-07-03 2011-01-11 한화케미칼 주식회사 저온 소성 태양전지 전극용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집광형 구상 실리콘 태양전지
JP2011044509A (ja) 2009-08-20 2011-03-03 Mitsubishi Materials Corp 導電性インク組成物及び該組成物を用いて形成された太陽電池モジュ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66344B1 (en) 1990-07-12 1995-12-13 Ford Motor Company Limited A ceramic paint composition
US6071437A (en) * 1998-02-26 2000-06-06 Murata Manufacturing Co., Ltd. Electrically conductive composition for a solar cell
US20040055635A1 (en) 2002-09-19 2004-03-25 Hiroshi Nagakubo Conductive paste, method for manufacturing solar battery, and solar battery
WO2005031760A1 (ja) * 2003-09-26 2005-04-07 Hitachi Chemical Co., Ltd. 混合導電粉およびその利用
JP4157468B2 (ja) * 2003-12-12 2008-10-01 日立電線株式会社 配線基板
US7828994B2 (en) * 2004-10-26 2010-11-09 Ortec, Inc. Conductive paint compositions for forming conductive coatings on substrates
JP2007235082A (ja) * 2006-02-02 2007-09-13 E I Du Pont De Nemours & Co 太陽電池電極用ペースト
CN100593861C (zh) * 2007-08-22 2010-03-10 中国科学院化学研究所 染料敏化纳晶薄膜太阳能电池光电极及其制备方法
US20090104456A1 (en) * 2007-10-18 2009-04-23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onductive compositions and processes for use in the manufacture of semiconductor devices
KR101144810B1 (ko) * 2009-07-06 2012-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태양전지용 전극 페이스트, 이를 이용한 태양전지, 및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KR101141442B1 (ko) * 2009-12-30 2012-05-03 삼성전기주식회사 내부전극용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의제조방법
CN102262914B (zh) * 2010-05-31 2014-04-02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太阳能电池导电银浆的制备方法
US20130319496A1 (en) * 2012-06-01 2013-12-05 Heraeus Precious Metals North America Conshohocken Llc Low-metal content electroconductive paste composi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1214A (ko) * 2000-06-09 2001-12-17 임무현 전극용 도전 페이스트 조성물
WO2010135950A1 (en) * 2009-05-27 2010-12-02 Byd Company Limited Conductive slurry for solar battery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20110003149A (ko) * 2009-07-03 2011-01-11 한화케미칼 주식회사 저온 소성 태양전지 전극용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집광형 구상 실리콘 태양전지
JP2011044509A (ja) 2009-08-20 2011-03-03 Mitsubishi Materials Corp 導電性インク組成物及び該組成物を用いて形成された太陽電池モジュ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137240A (zh) 2013-06-05
CN103137240B (zh) 2016-03-23
US8815127B2 (en) 2014-08-26
US20130140500A1 (en) 2013-06-06
DE102012111648A1 (de) 2013-06-06
KR20130062191A (ko) 2013-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7143B1 (ko) 태양전지 전극용 페이스트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KR101374359B1 (ko) 태양전지 전극용 페이스트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태양전지
KR101246686B1 (ko) 태양전지 전극용 페이스트 및 이를 이용한 태양전지
KR101600652B1 (ko) 태양전지 전극용 페이스트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전극
JP6347577B2 (ja) 低金属含量導電性ペースト組成物
KR101882525B1 (ko) 태양전지 전극 형성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전극
US8562872B2 (en) Paste for solar cell electrode and solar cell prepared using the same
KR20140022511A (ko) 태양전지 전극용 페이스트, 이로부터 제조된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US9153355B2 (en) Paste composition for a solar cell electrode, electrode fabricated using the same, and solar cell including the electrode
KR20120115128A (ko) 전극 형성용 은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648245B1 (ko) 태양전지 전극 형성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전극
KR20160057583A (ko) 태양전지 전극용 페이스트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전극
TWI655784B (zh) 用於太陽能電池的前電極和包括其的太陽能電池
KR20140127947A (ko) 태양전지 전극 형성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전극
KR101593754B1 (ko) 유리 프릿,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전극 형성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전극
KR101868638B1 (ko) 실리콘 태양전지 전면전극용 페이스트 조성물
KR101566071B1 (ko) 태양전지 전극 형성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전극
KR101748006B1 (ko) 태양전지 전극 형성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전극
KR20130062192A (ko) 태양전지 전극용 페이스트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전극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태양전지
KR101094197B1 (ko) 태양전지 전극용 전도성 은 페이스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991976B1 (ko) 태양전지 전극 형성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전극
KR101590226B1 (ko) 태양전지 전극 형성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전극
KR20160121474A (ko) 태양전지 전극 형성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전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