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6518B1 - 붐타입 고소작업장치 - Google Patents

붐타입 고소작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6518B1
KR101436518B1 KR1020120134257A KR20120134257A KR101436518B1 KR 101436518 B1 KR101436518 B1 KR 101436518B1 KR 1020120134257 A KR1020120134257 A KR 1020120134257A KR 20120134257 A KR20120134257 A KR 20120134257A KR 101436518 B1 KR101436518 B1 KR 101436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support
driving
cylinder
ro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4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7250A (ko
Inventor
김종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웅
Priority to KR1020120134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6518B1/ko
Publication of KR20140067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7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6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6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14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the object being a workshop for servicing, for maintenance, or for carrying workmen dur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66C23/70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 B66C23/701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telescop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84Slewing gear
    • B66C23/86Slewing gear hydraulically actu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구동용 실린더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부재 및 이 구동부재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력 전달부재를 이용하여 붐지지대를 흔들림 없이 일정한 회전속도로 회전시킴으로써 작업대에 탑승한 작업자의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붐타입 고소작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2개의 무한궤도를 가진 궤도대차, 이 궤도대차의 상부에 좌우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지지프레임, 이 지지프레임에서 회전유닛에 의해 수직축선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붐지지대를 가진 승강유닛, 이 승강유닛에 의해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작업대를 포함하는 붐타입 고소작업장치에서 상기 회전유닛은 상기 지지프레임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회전구동용 실린더, 이 회전구동용 실린더에 의해 구동하는 하나 이상의 구동부재, 이 구동부재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승강유닛의 붐지지대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하나 이상의 회전력 전달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붐타입 고소작업장치{BOOM TYPE HIGH-PLACE WORKING APPARATUS}
본 발명은 고소작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구동용 실린더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부재와 이 구동부재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력 전달부재를 이용하여 붐지지대를 흔들림 없이 일정한 회전속도로 회전시킴으로써 작업대에 탑승한 작업자의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붐타입 고소작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수원이나 하우스 등에 사용되는 농업용 고소작업장치는 작업자가 서있는 상태에서 손이 닿지 않아 작업이 곤란한 고소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예컨대 과수의 가지치기, 과실수확 등에 이용된다. 이러한 고소작업장치는 이동 및 정지수단을 갖는 차량이나 대차에 단순히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도록 하는 승강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작업자가 작업대에 탑승한 상태에서 상승시켜 높은 위치의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고소작업장치는 하나 이상의 붐이 상하 회동하여 작업대를 승강시키는 붐타입(boom type), X자형 링크의 승강작동에 의해 작업대를 승강시키는 리프트타입(lift type) 등과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중에서, 붐타입 고소작업장치의 일반적인 구조는 무한궤도를 가진 프레임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붐지지대와, 이 붐지지대에 신축가능하게 연결된 복수의 붐과, 이 붐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하나 이상의 구동실린더와, 상기 붐지지대를 수직축선을 기준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유닛을 포함한다.
한편, 종래의 붐타입 고소작업장치의 회전유닛은 구동실린더의 로드 끝단이 붐지지대의 하단플랜지에 링크방식으로 연결되어 구동실린더의 로드가 전후진됨에 따라 붐 지지대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구동실린더의 전후진에 대응하여 붐지지대는 일정구간에서 회전속도가 가속 또는 감속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작업대 자체의 흔들림이 심하게 발생되어 작업대에 탑승한 작업자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위험이 매우 높은 단점이 있었다.
KR 1019990083784 A, KR100548051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 및 폐단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개발한 것으로, 그 목적은 하나 이상의 회전구동용 실린더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부재와, 이 구동부재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력 전달부재를 이용하여 붐지지대를 흔들림 없이 안정적인 회전속도로 회전시킴으로써 작업대에 탑승한 작업자의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붐타입 고소작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붐타입 고소작업장치는, 2개의 무한궤도를 가진 궤도대차, 이 궤도대차의 상부에 좌우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지지프레임, 이 지지프레임에서 회전유닛에 의해 수직축선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붐지지대를 가진 승강유닛, 이 승강유닛에 의해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작업대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유닛은 상기 지지프레임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회전구동용 실린더, 이 회전구동용 실린더에 의해 구동하는 하나 이상의 구동부재, 이 구동부재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승강유닛의 붐지지대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하나 이상의 회전력 전달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승강유닛의 붐지지대에는 수직회전축이 이격되어 연결되고, 상기 수직회전축에 상기 회전력 전달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유닛의 회전구동용 실린더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좌우 대칭적으로 배치된 2개의 회전구동용 실린더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부재는 2개의 회전구동용 실린더의 로드 끝단에 각각 연결된 체인이며, 상기 회전력 전달부재는 상기 구동부재와 맞물려 구동되는 스프로킷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스프로킷은 그 외주면의 일정구간에만 치형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유닛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측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수평프레임, 이 수평프레임 내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회전구동용 실린더, 이 회전구동용 실린더의 실린더 배럴에 상하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제1 및 제2구동부재, 상기 수직회전축에 상하 일정간격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구동부재에 의해 개별적으로 회전되는 제1 및 제2회전력 전달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전구동용 실린더는 2개의 로드가 실린더 배럴의 양단부에서 연장된 양방향로드(dual rod)형 실린더로서 상기 2개의 로드 끝단은 상기 수평프레임의 양단부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실린더 배럴 측에 공압 또는 유압이 인가될 경우 상기 실린더 배럴이 상기 2개의 로드를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및 제2회전력 전달부재는 부채꼴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실린더 배럴의 양단부에는 제1, 제2브래킷이 설치되며, 상기 제1구동부재의 일단은 상기 제1회전력 전달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제1구동부재의 타단은 상기 실린더 배럴의 제2브래킷에 연결되며, 상기 제2구동부재의 일단은 상기 실린더 배럴의 제1브래킷에 연결되고, 상기 제2구동부재의 타단은 상기 제2회전력 전달부재에 연결된다.
상기 궤도대차는 폭방향인 좌우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궤도프레임과, 이들 궤도프레임 사이에 설치된 중앙프레임과, 상기 궤도프레임에 장착되어 액추에이터(actuator)에 의해 구동하는 2개의 무한궤도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프레임의 전방단부와 후방단부에는 상기 궤도대차의 중앙프레임에 좌우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플레이트가 각각 마련되고, 상기 지지프레임과 중앙프레임 사이에는 2개의 좌우회동용 실린더가 좌우 대칭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유닛은 지지프레임의 후방측에서 회전유닛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붐지지대와, 이 붐지지대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회동붐과, 이 회동붐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고정된 지지붐과, 이 지지붐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딩붐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면에는 고정프레임이 고정되고, 상기 붐지지대는 상기 고정프레임에 수직회전축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붐지지대의 하단에는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연결부가 각각 연장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의 후방에는 상하방향로 이격된 2개의 회전지지부가 각각 연장되며, 상기 수직회전축의 상측 및 하측은 2개의 연결부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수직회전축의 상단 및 하단은 상기 2개의 회전지지부에 회전지지되게 설치된다.
상기 작업대는 작업자가 탑승하는 답판과, 이 답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된 안전난간과, 이 안전난간의 일측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출입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출입도어의 일단부는 하나 이상의 힌지핀에 의해 상기 안전난간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상기 출입도어의 타단부와 상기 안전난간의 타측 사이에는 출입도어의 폐쇄상태를 잠그거나 해제하는 록킹유닛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록킹유닛은 상기 안전난간에 고정된 고정부재와, 이 고정부재에 탄성적으로 회동하게 장착된 록킹부재와, 출입도어에 고정된 끼움봉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재에는 상기 끼움봉의 일측 외주면이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의 하측에는 상기 록킹부재의 안착단부가 안착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록킹부재는 회동핀을 매개로 상기 고정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동핀의 전방 측에 상기 끼움봉의 타측 외주면이 끼워지는 록킹홈이 마련되며, 상기 록킹부재의 회동핀 외주면에는 록킹부재를 탄성적으로 회동시키는 비틀림스프링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 이상의 회전구동용 실린더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체인과 구동스프로킷을 이용하여 붐지지대를 일정한 회전속도로 회전시킴으로써 작업대에 탑승한 작업자의 안전사고 발생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붐타입 고소작업장치를 상부 전방측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붐타입 고소작업장치를 상부 후방측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고착지지대, 전방측 커버 및 후방측 커버 등이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붐타입 고소작업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따른 붐타입 고소작업장치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따른 붐타입 고소작업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붐타입 고소작업장치의 작업대가 상승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4의 A-A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B-B선을 따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6의 C-C선을 따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3의 화살표 D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2는 도 11에서 작업대에서 전방도어가 개방됨에 따라 끼움고리 및 끼움봉이 서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1의 화살표 E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붐타입 고소작업장치를 상부 전방측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붐타입 고소작업장치의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F-F선을 따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 15의 G-G선을 따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겠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붐타입 고소작업장치는 2개의 무한궤도(12)를 가진 궤도대차(10)와, 이 궤도대차(10)의 상부에 좌우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지지프레임(30)과, 이 지지프레임(30)의 일측에 수직축선(X1)을 기준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승강유닛(40)과, 이 승강유닛(40)에 연결된 작업대(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궤도대차(10)는 폭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궤도프레임(11), 이들 궤도프레임(11) 사이에 설치되는 중앙프레임(20), 상기 궤도프레임(11)에 장착되어 액추에이터(14)에 의해 구동되는 2개의 무한궤도(12)를 포함한다. 상기 액추에이터(14)에는 기어박스(14a)가 연결되며, 상기 액추에이터(14)의 구동력이 기어박스(14a)를 통해 무한궤도(12) 측으로 전달되게 구성된다.
상기 궤도프레임(11)의 외측에는 2개의 회전 암(95)이 브래킷(94)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2개의 회전 암(95)은 궤도대차(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며, 회전 암(95)의 단부들에는 고착지지대(96)가 궤도프레임(11)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게 연결된다. 상기 회전 암(95)이 회전함에 따라 고착지지대(96)는 지면 측으로 밀착되거나 지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에 회전 암(95)의 하향 회전에 의해 고착지지대(96)가 궤도프레임(11)의 외측에서 보다 넓게 고착되어 지지됨으로써 중앙프레임(20) 및 작업대(70)을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중앙프레임(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궤도대차(10) 사이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복수의 크로스부재(21)와, 이 크로스부재(21)들의 단부를 가로질러 연결된 2개의 사이드부재(23)와, 상기 크로스부재(21)들 사이를 가로질러 연결된 복수의 보강부재(24)로 구성된다.
그리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프레임(20)의 상부에는 수납부(25)가 설치될 수 있고, 이 수납부(25)에는 기타 교체용 부속품, 교체용 장비 등이 수납되는 수납함(26), 이 수납함(26)의 전방측에 설치되는 전방측 커버(27), 상기 수납함(26)의 후방측에 설치되는 후방측 커버(28)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전방측 커버(27)는 중앙프레임(20)의 전방측 상부에 설치되는 배터리 및 그외 각종 유공압 펌프 등을 덮고, 후방측 커버(28)는 중앙프레임(20)의 후방측에 설치되는 등을 좌우회동용 실린더(32) 및 액추에이터(14) 등을 덮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지프레임(30)은 중앙프레임(20)의 상부에 좌우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특히 도 5를 참조하면 지지프레임(30)의 전방단부와 후방단부 각각은 힌지핀(31)을 매개로 중앙프레임(20) 측에 좌우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지지프레임(30)은 힌지핀(31)의 수평축선(X2)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동하여 좌우방향의 수평도를 보상 내지 보정할 수 있다.
특히,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30)의 전방단부 및 후방단부에는 하나 이상의 지지플레이트(36)가 각각 구비되고, 각 지지플레이트(36)의 하단 중앙부가 힌지핀(31)을 매개로 중앙프레임(20)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지지플레이트(36)의 하단에는 좌우 대칭적인 경사면(36a)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프레임(30)의 좌우에는 2개의 좌우회동용 실린더(32)가 대칭적으로 설치되고, 이 좌우회동용 실린더(32)에 의해 지지프레임(30)의 좌우 수평위치가 균형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특히, 2개의 좌우회동용 실린더(3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프레임(20)과 지지프레임(30) 사이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각 좌우회동용 실린더(32)의 단부는 힌지브래킷(33)을 매개로 중앙프레임(20)의 보강부재(24)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각 좌우회동용 실린더(32)의 로드(32a) 끝단은 힌지브래킷(34)을 매개로 지지프레임(30)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이와 같이 지지프레임(30)은 2개의 좌우회동용 실린더(32)에 의해 좌우방향의 수평도가 정밀하게 유지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작업대(70)의 수평도 또한 정밀하게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프레임(30)의 후방측 상면에는 고정프레임(42)이 고정되고, 이 고정프레임(42)에는 승강유닛(40)이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승강유닛(4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30)의 후방에서 회전유닛(5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붐지지대(41)와, 이 붐지지대(41)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회동붐(43)과, 이 회동붐(43)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고정된 지지붐(45)과, 이 지지붐(45)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딩붐(47)을 포함한다.
상기 붐지지대(41)에는 수직회전축(44)이 궤도대차(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설치되고, 이 수직회전축(44)을 매개로 붐지지대(41)는 지지프레임(30)의 고정프레임(42)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붐지지대(41)의 하단 내측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연결부(41a, 41b)가 각각 연장되고, 고정프레임(42)의 후방에는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회전지지부(42a, 42b)가 각각 연장된다. 상기 수직회전축(44)의 상측 및 하측에는 각 연결부(41a, 41b)가 각각 고정되고, 수직회전축(44)의 상단 및 하단은 각 회전지지부(42a, 42b)에 회전되게 지지된다. 그리고, 수직회전축(44)은 회전유닛(50)에 의해 회전함에 따라 붐지지대(41)는 수직회전축(44)의 수직축선(X1)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도 9 및 도 16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의한 회전유닛(50, 120)은 지지프레임(30)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회전구동용 실린더(51, 123), 회전구동용 실린더(51, 123)에 의해 구동하는 하나 이상의 구동부재(53, 125, 126), 이 구동부재(53, 125, 126)에 의해 회전되어 붐지지대(41)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하나 이상의 회전력 전달부재(55, 127, 128)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회전력 전달부재(55, 127, 128)가 구동부재(53, 125, 126)에 의해 회전되면, 회전력 전달부재(55, 127, 128)는 수직회전축(44)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회전력 전달부재(55, 127, 128)의 회전력이 수직회전축(44)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어 회전력 전달부재(55, 127, 128)와 수직회전축(44)은 함께 회전되며, 이러한 수직회전축(44)의 회전에 연동하여 붐지지대(41)는 수직회전축(44)의 수직축선(X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유닛(50)의 회전구동용 실린더(51)는 지지프레임(30)의 상면에 좌우 대칭적으로 배치된 2개의 회전구동용 실린더(51)로 구성되고, 구동부재(53)는 2개의 회전구동용 실린더(51)의 로드(51a)에 연결된 체인 구조로 이루어지며, 회전력 전달부재(55)는 수직회전축(44)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구동부재(53)와 맞물려 구동하는 스프로킷 구조로 이루어진다.
각 회전구동용 실린더(51)의 단부는 지지프레임(30) 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2개의 회전구동용 실린더(51)는 고정프레임(42)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적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구동부재(53)의 양단부가 각 회전구동용 실린더(51)의 로드(51a)에 각각 연결되고, 회전력 전달부재(55)는 수직회전축(44)의 외주면에 마련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력 전달부재(55)의 외주면 일정구간에만 체인 구조의 구동부재(53)가 맞물려지는 치형부(55a)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스프로킷 구조의 회전력 전달부재(55)의 치형부(55a)는 일정한 중심각(a)을 갖도록 형성되고, 구동부재(53)가 회전력 전달부재(55)의 치형부(55a)와 맞물려짐에 따라 수직회전축(44)은 치형부(55a)의 중심각(a) 범위 내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수직회전축(44)은 회전구동용 실린더(51)의 스트로크에 대응하여 소정 각도만큼 회전되게 된다.
한편, 고정프레임(42)의 후방에는 수직벽(42c)이 형성되고, 이 수직벽(42c)의 하측에는 2개의 관통공(42d)이 형성된다. 구동부재(53)는 수직벽(42c)의 관통공(42d)을 통과하여 설치된다.
이러한 회전유닛(50)에 의해, 2개의 회전구동용 실린더(51)의 각 로드(51a)들은 서로 반대되는 작동을 할 경우 구동부재(53)는 소정 궤적으로 이동하고, 이에 구동부재(53)가 회전력 전달부재(55)의 치형부(55a)과 맞물려 구동함에 따라 회전력 전달부재(55) 및 수직회전축(44)이 함께 회전한다. 예컨대, 도 9를 참조하면 좌측 회전구동용 실린더(51)의 로드(51a)가 전진함과 더불어 우측 회전구동용 실린더(51)의 로드(51a)는 후진하면 구동부재(53)가 소정 궤적(도 9의 CC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구동부재(53)와 회전력 전달부재(55)의 맞물림 작동에 의해 수직회전축(44)은 수직축선(X1)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도 9의 CC방향)으로 회전한다. 반대로 좌측의 회전구동용 실린더(51)의 로드(51a)가 후진함과 더불어 우측의 회전구동용 실린더(51)의 로드(51a)는 전진하면 구동부재(53)가 소정 궤적(도 9의 CO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구동부재(53)와 회전력 전달부재(55)의 맞물림 작동에 의해 수직회전축(44)은 수직축선(X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도 9의 CO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러한 회전유닛(50)에 의해 수직회전축(44)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이 수직회전축(44)에 연결부(41a, 41b)를 통해 연결된 붐지지대(41)는 수직회전축(44)의 수직축선(X1)을 기준으로 일정각도로 회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유닛(50)은 2개의 회전구동용 실린더(51)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부재(53)가 회전력 전달부재(55)의 치형부(55a)와 맞물려 작동하여 붐지지대(41)를 회전시킴으로써 붐지지대(41)는 그 회전 시에 급격한 가속 또는 감속이 최소화되어 흔들림 없이 안정적인 회전속도를 유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작업대(70)에 탑승한 작업자의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4 내지 도 17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회전유닛(120)이 도시되어 있으며, 제2실시예의 회전유닛(120)은 지지프레임(30)의 상면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수평프레임(121), 이 수평프레임(121) 내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회전구동용 실린더(123), 이 회전구동용 실린더(123)의 실린더 배럴(123c)에 상하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제1구동부재(125) 및 제2구동부재(126), 상기 승강유닛(40)의 붐지지대(41)에 상하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제1구동부재(125) 및 제2구동부재(125)과 개별적으로 연결되는 제1회전력 전달부재(127) 및 제2회전력 전달부재(128)를 포함한다.
상기 수평프레임(121)은 고정프레임(42)의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특히 수평프레임(121)은 궤도대차(10)의 폭방향인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구조로 구성된다. 그리고, 수평프레임(121)은 고정프레임(42)의 일측에 관통된 상태로 고정되고, 수평프레임(121)의 양단에는 고정단(121a, 121b)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전구동용 실린더(123)는 수평프레임(121) 내에 수평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회전구동용 실린더(123)는 실린더 배럴(123c)의 양단부에 2개의 로드(123a, 123b)가 마련된 양방향로드(dual rod)형 실린더로 구성된다.
특히, 회전구동용 실린더(123)의 로드(123a, 123b)들은 그 끝단들이 각각 수평프레임(121)의 고정단(121a, 121b)에 각각 고정된다. 이에, 실린더 배럴(123c) 측에 공압 또는 유압이 인가될 경우 실린더 배럴(123c)은 2개의 로드(123a, 123b)를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실린더 배럴(123c)의 양단부에는 제1브래킷(131) 및 제2브래킷(132)이 각각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제1구동부재(125)의 일단(125a)은 제1회전력 전달부재(127)의 일측에 연결되고, 제1구동부재(125)의 타단(125b)은 실린더 배럴(123c)의 제1브래킷(131)에 연결된다. 이에 도 16에서 실린더 배럴(123c)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할 경우 실린더 배럴(123c)의 이동에 따라 제1구동부재(125)의 타단(125b)이 함께 이동하고, 이에 연동하여 제1구동부재(125)의 일단(125a)에 연결된 제1회전력 전달부재(127)가 수직회전축(44)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2구동부재(126)의 일단(126a)은 제2회전력 전달부재(128)의 일측에 연결되고, 제2구동부재(126)의 타단(126b)은 실린더 배럴(123c)의 제2브래킷(132)에 연결된다. 이에 도 16 및 도 17에서 실린더 배럴(123c)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할 경우 실린더 배럴(123c)의 이동에 따라 제2구동부재(126)의 타단(126b)이 함께 이동하고, 이에 연동하여 제2구동부재(126)의 일단(126a)에 연결된 제2회전력 전달부재(128)가 수직회전축(44)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제1구동부재(125)의 일단(125a)과 제2구동부재(126)의 일단(126a)은 제1 및 제2 회전력 전달부재(127, 128)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측에 위치한다. 마찬가지로, 제1구동부재(125)의 타단(125b)과 제2구동부재(126)의 타단(126b)은 실린더 배럴(123c)의 제1브래킷(131) 및 제2브래킷(132)에 각각 연결됨에 따라 서로 반대측에 위치한다.
또한, 제1회전력 전달부재(127)와 제2회전력 전달부재(128)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측면들이 서로 약간 어긋난 상태로 수직회전축(44)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이에 제1구동부재(125)와 제1회전력 전달부재(127)의 연결 및 제2구동부재(126)와 제2회전력 전달부재(128)의 연결이 서로 간섭되지 않으므로 그 조립 및 연결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1구동부재(125) 및 제2구동부재(126)는 도 15 내지 도 17에서 체인 구조로 예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외에 회전구동용 실린더(123)의 구동이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회전력 전달부재(127) 및 제2회전력 전달부재(128)는 부채꼴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붐지지대(41)의 수직회전축(44)에 상하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1회전력 전달부재(127)의 외주면에는 실린더 배럴(123c)의 이동에 대응하여 구동하는 제1구동부재(125)가 감기거나 풀려짐으로써 제1구동부재(125)는 제1회전력 전달부재(127)의 회전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제2회전력 전달부재(127)의 외주면에는 실린더 배럴(123c)의 구동에 의해 구동하는 제2구동부재(126)가 감기거나 풀려짐으로써 제2구동부재(126)는 제2회전력 전달부재(128)의 회전을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유닛(120)에 의해, 회전구동용 실린더(123)의 실린더 배럴(123c) 측으로 유압 또는 공압이 인가됨에 따라 실린더 배럴(123c)은 도 16 및 도 17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고, 이에 연동하여 제1구동부재(125) 및 제2구동부재(126)가 제1회전력 전달부재(127) 및 제2회전력 전달부재(128)의 외주면에 각각 감기거나 풀려지면서 이동함으로써 수직회전축(44)에 고정되게 설치된 제1회전력 전달부재(127) 및 제2회전력 전달부재(128)는 회전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6 및 도 17에서 실린더 배럴(123c)이 중앙위치에서 좌측으로 이동할 경우 제1구동부재(125)의 타단(125b)이 실린더 배럴(123c)과 함께 좌측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제1구동부재(125)의 일단(125a)은 제1회전력 전달부재(127)와 함께 수직회전축(44)의 수직축선(X1)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도 16 및 도 17의 CC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제1구동부재(125)는 제1회전력 전달부재(127)의 외주면에서 풀려지면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제1회전력 전달부재(127)가 반시계방향(도 16 및 도 17의 CC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회전력 전달부재(127)가 고정된 수직회전축(44)은 그 수직축선(X1)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도 16 및 도 17의 CC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제2구동부재(126)의 타단(126b) 또한 실린더 배럴(123c)과 함께 좌측으로 이동하고, 이에 제2회전력 전달부재(128)는 제1회전력 전달부재(127)와 함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제2구동부재(126)는 수동적으로 제2회전력 전달부재(128)의 외주면에 감겨진다.
반대로, 도 16 및 도 17에서 실린더 배럴(123c)이 중앙위치에서 우측으로 이동할 경우 제2구동부재(126)의 타단(126b)이 실린더 배럴(123c)과 함께 우측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제2구동부재(126)의 일단(126a)은 제2회전력 전달부재(128)와 함께 수직회전축(44)의 수직축선(X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도 16 및 도 17의 CO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제2구동부재(126)는 제2회전력 전달부재(128)의 외주면에서 풀어지면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제2회전력 전달부재(128)가 시계방향(도 16 및 도 17의 CO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회전력 전달부재(128)가 고정된 수직회전축(44)은 그 수직축선(X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도 16 및 도 17의 CO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제1구동부재(125)의 타단(125b) 또한 실린더 배럴(123c)과 함께 우측으로 이동하고, 이에 제1회전력 전달부재(127)는 제2회전력 전달부재(128)와 함께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제1구동부재(125)는 수동적으로 제1회전력 전달부재(127)의 외주면에 감겨진다. 이러한 회전유닛(120)에 의해 수직회전축(44)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이 수직회전축(44)에 연결부(41a, 41b)를 통해 연결된 붐지지대(41)는 수직회전축(44)의 수직회전축(X1)을 기준으로 일정각도로 회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회전유닛(120)은 양방향로드 형으로 구성된 회전구동용 실린더(123)에 의해 유압 또는 공압의 인가방향에 대응하여 실린더 배럴(123c)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할 때 미세한 요동이 거의 발생하지 않으므로 실린더 배럴(123c)은 매우 매우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이러한 실린더 배럴(123c)의 안정적인 이동에 의해 제1 및 제2 구동부재(125, 126)가 제1 및 제2 회전력 전달부재(127, 128)와 연동하여 붐지지대(41)를 회전시킴으로써 붐지지대(41)는 그 회전 시에 급격한 가속 또는 감속이 거의 발생하지 않아 흔들림없는 매우 안정된 회전속도를 유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작업대(70)에 탑승한 작업자의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회동붐(43)은 붐지지대(41)의 상단에 제1피벗축(46)을 통해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회동붐(43)의 선단과 붐지지대(41)의 일측 사이에는 회동붐(43)을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제1회동용 실린더(61)가 설치된다. 회동용 실린더(61)의 후방단부는 붐지지대(41)의 중간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회동용 실린더(61)의 로드(61a) 끝단은 회동붐(43)의 선단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상기 지지붐(45)은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형 관체구조로 구성되고, 회동붐(43)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고정된다. 지지붐(45)의 후방과 붐지지대(41) 사이에는 지지붐(45)을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제2회동용 실린더(62)가 설치된다. 제2회동용 실린더(62)의 후방단부는 붐지지대(41)의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제2회동용 실린더(62)의 로드(62a) 끝단은 지지붐(45)의 후방측 상면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그리고, 회동붐(43)의 선단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의 지지블록(43a)이 고정되고, 이 지지블록(43a)은 회동붐(43)의 전방측으로 연장되게 설치됨으로써 지지붐(45)의 하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붐(47)은 지지붐(45) 내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슬라이딩붐(47)은 지지붐(45)으로부터 신축된다. 슬라이딩붐(47)과 지지붐(45) 사이에는 슬라이딩붐(47)을 지지붐(45)에서 신축시키는 신축용 실린더(63)가 설치된다. 신축용 실린더(63)의 후방단부는 지지붐(45)의 중간측 상면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신축용 실린더(63)의 로드(63a) 끝단은 슬라이딩붐(47)의 선단에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상기 슬라이딩붐(47)에는 작업대(70)가 연결프레임(79)을 매개로 연결되고, 슬라이딩붐(47)의 선단에는 제1힌지브래킷(47a)이 설치되며, 작업대(50)의 후단에는 제2힌지브래킷(70a)이 설치되고, 제1힌지브래킷(47a)과 제2힌지브래킷(70a)은 제2피벗축(48)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상기 제1힌지브래킷(47a)과 제2힌지브래킷(70a) 사이에는 작업대(70)의 수평을 유지시키는 수평유지용 실린더(64)가 설치된다. 수평유지용 실린더(64)의 하단부는 제1힌지브래킷(47a)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수평유지용 실린더(64)의 로드(64a) 끝단은 제2힌지브래킷(70a)의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이러한 수평유지용 실린더(64)에 의해 작업대(70)는 그 전후방향의 수평도가 정밀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작업대(70)는 작업자가 탑승하는 답판(71), 이 답판(71)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향으로 설치된 안전난간(72), 이 안전난간(72)의 전방측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출입도어(73)를 포함한다.
상기 답판(71)은 탑승자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일정두께로 형성되며, 상기 안전난간(72)은 답판(71)의 가장자리 측에서 수직으로 세워진 수직지지대와 이 수직지지대를 가로질러 설치된 수평지지대 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전난간(72)의 좌우 양측에는 각종 조정작업을 수행하는 컨트롤부(76)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출입도어(73)의 일단부는 하나 이상의 힌지핀(75)에 의해 안전난간(72)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출입도어(73)의 타단부와 안전난간(72)의 타측 사이에는 출입도어(73)의 폐쇄상태를 잠그거나 해제하는 록킹유닛(80)이 설치된다.
상기 록킹유닛(80)은 안전난간(72)의 타측에 고정된 고정부재(81), 고정부재(81)에 탄성적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록킹부재(82), 출입도어(73)의 타단부에 고정된 끼움봉(83)을 포함한다.
고정부재(81)는 그 일단부가 안전난간(72)의 일측에 용접 등을 통해 고정되고, 고정부재(81)의 타측단부 중앙에는 끼움봉(83)의 일측 외주면이 끼워지는 끼움홈(81a)이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부재(81)의 끼움홈(81a)의 하측에는 록킹부재(82)의 안착단부(82c)가 안착되는 안착턱(84)이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록킹부재(82)는 고정부재(81)의 내측면에 회동핀(82b)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이에 록킹부재(82)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봉(83)을 잠그는 잠금방향(화살표 L방향) 및 끼움봉(83)의 잠금을 해제하는 해제방향(화살표 U방향)으로 회동된다. 록킹부재(82)에는 록킹홈(82a)이 형성되고, 이 록킹홈(82a)은 회동핀(82a)의 전방 측에 위치하며, 이 록킹홈(82a)에 인접하여 안착단부(82c)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록킹부재(82)의 상측에는 작업자의 손가락이 끼워지는 관통공(82d)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82d)을 통해 록킹부재(82)의 해제방향 회동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상기 회동핀(82b)의 외주면에는 비틀림스프링(85)이 설치된다. 비틀림스프링(85)은 회동핀(82b)의 외주면에 위치한 코일부(85a), 코일부(85a)의 양단에서 연장된 제1 및 제2 레그(85b, 85c)를 가진다. 비틀림스프링(85)의 제1레그(85b)는 고정부재(81)의 일측에 지지되고, 비틀림스프링(85)의 제2레그(85c)는 록킹부재(82)의 일측에 결합되어 지지된다. 이러한 비틀림스프링(85)의 탄성력에 의해 록킹부재(82)는 잠금방향(도 13의 화살표 L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회동한다.
상기 끼움봉(83)은 출입도어(73)의 일측에 용접 등을 통해 고정되고, 출입도어(73)를 안전난간(72) 측으로 회동하여 출입도어(73)가 안전난간(72)의 전방을 폐쇄하면 끼움봉(83)은 고정부재(81)의 끼움홈(81a)에 끼워진다.
이러한 록킹유닛(80)의 구성에 의해 출입도어(73)가 안전난간(72)의 전방을 폐쇄하면 출입도어(73)의 끼움봉(83)이 고정부재(81)의 끼움홈(81a)에 끼워진 후에 록킹부재(82)가 비틀림스프링(85)의 탄성력에 의해 잠금방향(도 13의 화살표 L방향)으로 회동하고, 이에 록킹부재(82)의 록킹홈(82a)이 끼움봉(83)의 타측 외주면에 끼워짐과 더불어 록킹부재(82)의 안착단부(82c)가 고정부재(81)의 안착턱(84)에 안착됨으로써 출입도어(73)의 폐쇄상태를 잠글 수 있다.
그리고, 비틀림스프링(85)의 탄성력을 극복하도록 록킹부재(82)를 해제방향(도 13의 화살표 U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록킹부재(82)의 안착단부(82c)가 고정부재(81)의 안착턱(84)으로부터 이탈됨과 더불어 록킹부재(82)의 록킹홈(82a)이 끼움봉(83)으로부터 이탈됨으로써 출입도어(73)의 폐쇄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이렇게 출입도어(73)의 폐쇄상태가 해제되면 도 12와 같이 출입도어(73)를 안전난간(72)의 전방 측에서 개방시킬 수 있다.
작업대(70)의 후방측에는 과실 등을 수확한 수확용기를 거치할 수 있는 수확용기 거치대(91)가 설치되고, 이 수확용기 거치대(91)는 수평프레임(92) 및 경사프레임(93)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한편, 궤도대차(20) 및 지지프레임(30)의 후방 측에는 웨이트밸런스(99)가 마련되고, 이 웨이트밸런스(99)에 의해 지지프레임(30)의 전방측에 위치한 작업대(70)로 인한 전방측으로 편향됨을 방지하여 전후방향으로의 수평도 및 균형도를 균일하게 맞출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10: 궤도대차 11: 궤도프레임 12: 무한궤도
20: 중앙프레임 30: 지지프레임 31: 힌지핀
32: 좌우회동용 실린더 36: 지지플레이트 40: 승강유닛
41: 붐지지대 42: 고정프레임 43: 회동붐
44: 수직회전축 45: 지지붐 47: 슬라이딩붐
50: 회전유닛 51: 회전구동용 실린더 53: 구동체인
55: 구동스프로킷 55a: 치형부 70: 작업대
71: 답판 72: 안전난간 73: 출입도어
80: 록킹유닛 81: 고정부재 81a: 끼움홈
82: 록킹부재 82a: 록킹홈 82b: 회동핀
82c: 안착단부 83: 끼움봉

Claims (8)

  1. 2개의 무한궤도를 가진 궤도대차, 이 궤도대차의 상부에 좌우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지지프레임, 이 지지프레임에서 회전유닛에 의해 수직축선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붐지지대를 가진 승강유닛, 이 승강유닛에 의해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작업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유닛은 상기 지지프레임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회전구동용 실린더, 이 회전구동용 실린더에 의해 구동하는 하나 이상의 구동부재, 이 구동부재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승강유닛의 붐지지대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하나 이상의 회전력 전달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승강유닛의 붐지지대에는 수직회전축이 이격되어 연결되고, 상기 수직회전축에 상기 회전력 전달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회전유닛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측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수평프레임, 이 수평프레임 내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회전구동용 실린더, 이 회전구동용 실린더의 실린더 배럴에 상하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제1 및 제2구동부재, 상기 수직회전축에 상하 일정간격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구동부재에 의해 개별적으로 회전되는 제1 및 제2회전력 전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구동용 실린더는 2개의 로드가 실린더 배럴의 양단부에 마련된 양방향로드(dual rod)형 실린더로서, 이 2개의 로드는 그 끝단이 상기 수평프레임의 양단부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실린더 배럴 측에 공압 또는 유압이 인가될 경우 상기 실린더 배럴이 상기 2개의 로드를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붐타입 고소작업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용 실린더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좌우 대칭적으로 배치된 2개의 회전구동용 실린더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부재는 2개의 회전구동용 실린더의 로드 끝단에 각각 연결된 체인이며, 상기 회전력 전달부재는 상기 구동부재와 맞물려 구동되는 스프로킷이고, 상기 스프로킷은 그 외주면의 일정구간에만 치형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붐타입 고소작업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회전력 전달부재는 부채꼴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실린더 배럴의 양단부에는 제1 및 제2브래킷이 설치되며, 상기 제1구동부재의 일단은 상기 제1회전력 전달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제1구동부재의 타단은 상기 실린더 배럴의 제2브래킷에 연결되며, 상기 제2구동부재의 일단은 상기 실린더 배럴의 제1브래킷에 연결되고, 상기 제2구동부재의 타단은 상기 제2회전력 전달부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붐타입 고소작업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궤도대차는 폭방향인 좌우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궤도프레임과, 이들 궤도프레임 사이에 설치된 중앙프레임과, 상기 궤도프레임에 장착되어 액추에이터(actuator)에 의해 구동하는 2개의 무한궤도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프레임의 전방단부와 후방단부에는 상기 궤도대차의 중앙프레임에 좌우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플레이트가 각각 마련되고,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중앙프레임 사이에는 2개의 좌우회동용 실린더가 좌우 대칭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붐타입 고소작업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유닛은 지지프레임의 후방측에서 회전유닛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붐지지대와, 이 붐지지대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회동붐과, 이 회동붐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고정된 지지붐과, 이 지지붐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딩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붐타입 고소작업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는 작업자가 탑승하는 답판과, 이 답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된 안전난간과, 이 안전난간의 일측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출입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출입도어의 일단부는 하나 이상의 힌지핀에 의해 상기 안전난간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상기 출입도어의 타단부와 상기 안전난간의 타측 사이에는 출입도어의 폐쇄상태를 잠그거나 해제하는 록킹유닛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붐타입 고소작업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록킹유닛은 상기 안전난간에 고정된 고정부재와, 이 고정부재에 탄성적으로 회동하게 장착된 록킹부재와, 출입도어에 고정된 끼움봉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에는 상기 끼움봉의 일측 외주면이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의 하측에는 상기 록킹부재의 안착단부가 안착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록킹부재는 회동핀을 매개로 상기 고정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동핀의 전방 측에 상기 끼움봉의 타측 외주면이 끼워지는 록킹홈이 마련되며, 상기 록킹부재의 회동핀 외주면에는 록킹부재를 탄성적으로 회동시키는 비틀림스프링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붐타입 고소작업장치.
KR1020120134257A 2012-11-26 2012-11-26 붐타입 고소작업장치 KR101436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4257A KR101436518B1 (ko) 2012-11-26 2012-11-26 붐타입 고소작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4257A KR101436518B1 (ko) 2012-11-26 2012-11-26 붐타입 고소작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7250A KR20140067250A (ko) 2014-06-05
KR101436518B1 true KR101436518B1 (ko) 2014-09-01

Family

ID=51123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4257A KR101436518B1 (ko) 2012-11-26 2012-11-26 붐타입 고소작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65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8488A (ko) 2016-12-06 2016-12-26 장진만 농업용 고소작업차량의 붐대 선회구조
KR102408771B1 (ko) 2021-12-06 2022-06-15 양재섭 다기능 고소 작업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3797B1 (ko) * 2018-06-29 2020-04-24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항공기 화물 장착 지원장비
CN109795966A (zh) * 2019-03-01 2019-05-24 湖北高曼重工科技有限公司 一种能两轴向随时调平的履带自行式高空作业平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0381A (ja) * 1995-07-28 1997-02-10 Toyota Autom Loom Works Ltd 高所作業車用バケット
JP2002079817A (ja) * 2000-09-05 2002-03-19 Aichi Corp 車両用車輪走行装置
KR200404992Y1 (ko) * 2005-10-24 2006-01-10 흥화기계공업주식회사 입형식 이종 사출성형기
KR20120060589A (ko) * 2010-12-02 2012-06-1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수평유지식 농업용 고소작업차량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0381A (ja) * 1995-07-28 1997-02-10 Toyota Autom Loom Works Ltd 高所作業車用バケット
JP2002079817A (ja) * 2000-09-05 2002-03-19 Aichi Corp 車両用車輪走行装置
KR200404992Y1 (ko) * 2005-10-24 2006-01-10 흥화기계공업주식회사 입형식 이종 사출성형기
KR20120060589A (ko) * 2010-12-02 2012-06-1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수평유지식 농업용 고소작업차량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8488A (ko) 2016-12-06 2016-12-26 장진만 농업용 고소작업차량의 붐대 선회구조
KR102408771B1 (ko) 2021-12-06 2022-06-15 양재섭 다기능 고소 작업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7250A (ko) 2014-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6518B1 (ko) 붐타입 고소작업장치
KR101487844B1 (ko) 리프트타입 고소작업장치
US6609480B2 (en) Squeeze chute apparatus
KR101923680B1 (ko) 과수 작업차
US9878676B2 (en) Lift storage device for a vehicle
GB2579955A (en) Movable baseplate cover and inboard barrier gate of a lift system for a motorized vehicle
JP5527769B2 (ja) カウンタウエイト着脱装置および作業機械
JP7221528B2 (ja) 車両用リフト装置
EP3485090B1 (en) Apparatus for lifting and moving a rail
JP2007060935A (ja) 茶園管理装置
BR102019023784A2 (pt) Aparelho de abertura de porta de grão de tampa de batelão
CN216613885U (zh) 一种三维移动式轧机油缸拆装平台
JP5683331B2 (ja) 建設機械のステップ付きキャブフロントガード
JP6520591B2 (ja) クレーンに備えられたキャブガード
JPH09235094A (ja) 昇降作業装置
US612413A (en) guernsey
KR20220104989A (ko) 구동식 시저스 작업대
JPH085085Y2 (ja) バッテリー交換装置
KR101433096B1 (ko) 승하강용 회전암을 이용한 소재이송 갠트리장치 전용 수직 승하강 보상 수평이송장치 구조
JP4340025B2 (ja) 支柱打ち込み機
KR20160051110A (ko) 농업용 고소 작업차
NL2007296A (nl) Landbouwmachine.
JP4941759B2 (ja) 物品収納設備
KR20150132953A (ko) 차량 탑재형 크레인의 높낮이 조절형 조정석 안전커버
JP3160576B2 (ja) 乗用型茶摘採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