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6396B1 - 공간지각능력 향상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공간지각능력 향상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6396B1
KR101436396B1 KR1020120096197A KR20120096197A KR101436396B1 KR 101436396 B1 KR101436396 B1 KR 101436396B1 KR 1020120096197 A KR1020120096197 A KR 1020120096197A KR 20120096197 A KR20120096197 A KR 20120096197A KR 101436396 B1 KR101436396 B1 KR 101436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member
shaft
rotation
rotating
ro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6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9913A (ko
Inventor
김요섭
Original Assignee
(주)디자인파크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자인파크개발 filed Critical (주)디자인파크개발
Priority to KR1020120096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6396B1/ko
Publication of KR20140029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9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6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6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14Platforms for reciprocating rotating motion about a vertical axis, e.g. axis through the middle of the platform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16Platforms for rocking motion about a horizontal axis, e.g. axis through the middle of the platform; Balancing drums; Balancing board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간지각능력 향상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몸체, 상기 몸체의 상부에서 상면에 사용자가 올라서며 하중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상면의 경사가 변화하는 고정부재를 가지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부재와 수직으로 결합되어 하중을 지지하며 상기 고정부재의 동작에 의해 경사각도가 함께 변화하는 지지축, 상기 고정부재의 하부에서 중심이 상기 지지축에 결합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와 평행하게 고속 회전하는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에 회전력을 인가하여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유닛을 가지는 수평조절모듈을 포함하는 공간지각능력 향상 운동기구가 개시된다.

Description

공간지각능력 향상 운동기구{Exercising Machine for Increasing Space Perception}
본 발명은 공간지각능력 향상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올라서는 상면이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지며 선택적으로 상면의 수평이 복원되는 고정부재를 가지는 공간지각능력 향상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아파트 단지나 야외의 공원 등에 다양한 체육시설이 설치되는 곳이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체육시설은 성인 뿐만 아니라 어린이 또는 노약자들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안전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또한, 사람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야외 공원들이 많이 조성되고 체육시설 및 산책로들이 설치되고 있으며, 특히 체육시설은 사람들이 공원을 많이 찾게 되면서 다양한 체육시설들을 원하고 있다.
이와 같이 공원 등에 찾아오는 사람들이 증가하며 그에 맞는 다양한 체육시설들이 개발되어 사람들의 편의에 부합하는 시설들이 많이 개발되어 왔다.
하지만, 종래에 개발된 체육시설들은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운동만 할 뿐 놀이와 같이 즐길 수 있는 장치 및 시스템이 개발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의 육체적인 능력이나 근육을 키우는 운동기구들이 주를 이루고 균형감각이나 공간지각능력 등을 키워주는 운동기구들이 부족한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공개특허 10-2011-0003241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사용자가 올라서는 고정부재 내부에 상면과 수직방향의 회전축을 가지며 회전하는 회전부재를 구비하여 회전력에 의한 회전관성으로 상면의 수평이 복원되는 공간지각능력 향상 운동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몸체, 상기 몸체의 상부에서 상면에 사용자가 올라서며 하중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상면의 경사가 변화하는 고정부재를 가지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부재와 수직으로 결합되어 하중을 지지하며 상기 고정부재의 동작에 의해 경사각도가 함께 변화하는 지지축, 상기 고정부재의 하부에서 중심이 상기 지지축에 결합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와 평행하게 고속 회전하는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에 회전력을 인가하여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유닛을 가지는 수평조절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지지축과 고정 결합되고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지지축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몸체 내부에 배치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 및 상기 고정부재의 하부에서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발생된 회전력을 상기 회전부재에 전달하여 회전시키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조절모듈은 상기 구동모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회전속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제어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축은 상기 고정부재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부재의 움직임에 따라 함께 경사가 변화하며 상기 고정부재와 독립적으로 회전하는 제 1회전축 및 상기 제 1회전축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유닛으로부터 회전력을 받아 상기 제 1회전축으로 전달하는 제 2회전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회전축은 회전하는 축의 방향이 상기 고정부재의 동작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상기 제 2회전축 방향과 서로 교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회전축은 일측 끝단부가 유니버셜조인트에 의해서 상기 제 2회전축의 일측 끝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는 상기 고정부재의 상면 둘레를 따라 감싸며 상기 고정부재의 움직임에 따라 대응하는 형태로 신축하는 신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고정부재의 경사 정도를 측정하는 변위측정유닛 및 상기 변위측정유닛에 의해 측정된 상기 고정부재의 경사를 전기적 신호를 통해 화면으로 표시하는 표시유닛을 가지는 출력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사용자가 올라서는 고정부재가 외력에 의해서 경사지도록 구성되며 고정부재 내부에 평행하게 회전하는 회전부재를 구비하여 회전부재의 회전속도를 조절함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가 선택적으로 수평이 되도록 함으로써, 고정부재에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회전부재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고정부재가 수평이 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부재의 하부에 고정부재의 기울기 정도를 감지하는 별도의 변위측정유닛 및 상기 변위측정유닛에 의해 측정된 상기 고정부재의 경사를 전기적 신호를 통해 화면으로 표시하는 표시유닛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움직이는 고정부재의 경사를 직접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별도의 게임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지각능력 향상 운동기구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고정부재 및 수평조절모듈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공간지각능력 향상 운동기구에서 지지축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3의 제 1회전축과 제 2회전축을 연결한 유니버셜조인트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2의 고정부재가 외력에 의해 경사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및
도 6은 도 5의 고정부재가 경사진 상태에서 회전부재의 고속회전에 의해 상면이 수평상태로 복원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공간지각능력 향상 운동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라 본 실시예를 통해서 좀더 명확한 이해를 돕기 위함이다.
또한,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1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지각능력 향상 운동기구의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지각능력 향상 운동기구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고정부재 및 수평조절모듈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지각능력 향상 운동기구는 크게 몸체(100), 고정부재(200), 수평조절모듈(300) 및 출력모듈(410, 420)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100)는 하부에 배치되며 상부에 중앙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서 하향 라운드진 형상의 안착홈(110)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안착홈(110)은 상부에서 보았을 때 원 형상이 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안착홈(110)은 구의 일부를 잘라낸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100)는 내부에 상기 수평조절모듈(300) 및 상기 출력모듈(410, 420)의 일부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재(200)는 상기 몸체(100)의 상부에서 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면에 사용자가 올라서고 하부는 상기 안착홈(110)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고정부재(200)의 하부가 상기 안착홈(110)에 대응되는 형대로 안착되고 외력에 의해서 상기 고정부재(200)의 상면이 경사지며 상기 안착홈(110)의 형상을 따라 움직인다. 즉, 상기 고정부재(200)는 상기 안착홈(110)의 형상을 따라서 하면이 이동하며 상면의 경사가 변화한다.
한편, 상기 몸체(100)는 상기 고정부재(200)의 움직임을 보다 안정적으로 하기 위해서 상기 고정부재(200)의 원주를 따라 감싸며 상기 고정부재(200)의 움직임에 따라 대응하는 형태로 신축하는 신축부재(1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신축부재(120)는 고무나 실리콘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도넛 형상으로 상기 몸체(100)와 상기 고정부재의 외주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고정부재(200)의 움직임에 따라 신축하여 사용자를 보호함과 동시에 상기 고정부재(200)가 일정수준 이상 기울어지지 않도록 지지한다.
상기 몸체(100)와 상기 고정부재(200)의 외부적인 결합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고정부재(200)의 상면은 발판형태로 사용자가 올라설 수 있도록 형성되며 하부는 상기 안착홈(110)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안착홈(110)의 형상을 따라 상기 고정부재(200)가 이동하여 상면의 경사각도가 변화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평조절모듈(300)은 크게 지지축(330), 회전부재(310), 구동유닛(320) 및 제어유닛(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지지축(330)은 상기 고정부재(2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부재(200)와 수직으로 결합되어 하중을 지지하며 상기 고정부재(200)의 동작에 의해 경사각도가 함께 변화하는 한다. 즉, 상기 고정부재(200)가 움직여서 상면이 경사지는 경우 상기 고정부재(200)도 함께 경사진다.
상기 회전부재(310)은 상기 고정부재(200)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고정부재(200) 내부에서 평행하게 회전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부재(310)는 상기 지지축(330)과 고정 결합되어 상기 지지축(330)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와 달리 상기 회전부재(310)는 상기 지지축(330)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재(310)만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부재(310)는 상기 구동유닛(320)으로부터 동력을 받아서 상기 지지축(330)과 함께 회전을 한다.
이때, 상기 회전부재(310)는 상기 고정부재(200)와 평행한 형태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회전부재(310)가 고속으로 회전하는 경우, 자이로원리에 의해서 상기 지지축(330)이 지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복원되려고 하는 복원력을 제공받아 상기 회전부재(310)가 수평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회전부재(310)와 평행하게 배치된 상기 고정부재(200)도 함께 수평을 이루려고 하는 힘을 제공받는다. 자이로원리는 당업자라면 모두 이해가 가능한 내용으로써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일반적인 자이로원리의 가장 기본적인 일 예로 회전하는 팽이를 들 수 잇다. 일정한 속도 이상으로 회전하는 경우 팽이의 회전축은 지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향하게 되고 이에 따라 팽이의 회전축 자체가 수직으로 배치된다.
그래서 상기 고정부재(200)와 평행한 상태의 상기 회전부재(310)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회전부재(310)는 수평상태에 이르려 하는 복원력을 제공받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지지축(330)과 수직으로 결합된 상기 고정부재(200)는 상기 안착홈(110)의 형상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고정부재(200)가 수평이 되도록 이동한다. 물론 상기 회전부재(310)의 회전 속도에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200)가 수평이 되도록 제공하는 복원력의 차이가 있다.
상기 구동유닛(320)은 구동모터(322) 및 동력전달부(3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모터(322)는 상기 몸체(100)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되며 전력을 인가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상기 동력전달부(324)는 상기 지지축(330)과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322)로부터 전달받은 동력을 상기 지지축(330)으로 전달하며, 상기 지지축(330)은 상기 고정부재(200)의 하부에서 상기 구동모터(322)로부터 발생된 회전력을 통해서 상기 회전부재(310)를 회전시킨다. 여기서, 지지축(330)은 상기 안착홈(110)의 중앙하부에 배치되며 일부가 상기 안착홈(110)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동모터(322)가 상기 몸체(10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축(330)은 상기 고정부재(200)의 하부에서 상기 구동모터(322)와 이격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동력전달부(324)는 별도의 타이밍벨트(324a)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축(330)의 하부에 타이밍풀리(324b)가 구비되며, 상기 타이밍벨트(324a)가 상기 타이밍풀리(324b)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322)로부터 발생하는 회전력을 상기 지지축(330)으로 전달한다.
물론, 상기 구동모터(322)가 상기 지지축(330)과 하부에서 직접 연결되더라도 동일한 효과를 볼 수 있으며 특정한 형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구동모터(322)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력을 상기 지지축(330)으로 전달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면 상기 동력전달부(324)는 어떠한 형태라도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제어유닛은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몸체(100)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모터(3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322)의 회전속도를 조절한다. 상기 구동모터(322)의 회전속도를 조절 함으로써 상기 회전부재(310)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200)에 작용하는 복원력을 조절하여 작용하는 외력에 영향을 받지 않고 선택적으로 상기 고정부재(200)의 수평을 복원할 수 있다.
상기 출력모듈(410, 420)은 상기 고정부재(200)의 동작상태를 측정하여 상면의 경사 정도를 감지 및 표시하는 구성으로써 크게 변위측정유닛(410) 및 표시유닛(420)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변위측정유닛(410)은 상기 고정부재(200)와 상기 회전부재(31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부재(200)의 경사 정도를 감지하며 가속센서, 자이로센서 및 지자계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유닛(420)은 상기 몸체(100)외부에 구비된 별도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서 상기 변위측정유닛(4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변위측정유닛(410)에서 감지된 상기 고정부재(200)의 움직임 상태를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유닛(420)은 상기 몸체(100) 외부에 별도로 구비된 디스플레이장치로써 상기 변위측정유닛(410)이 감지한 상기 고정부재(200)의 동작상태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출력모듈(410, 420)은 상기 고정부재(200)의 동작상태를 사용자가 직접 체크하여 바르게 동작하는지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프로그램을 구비하여 상기 출력모듈(410, 420)과 상기 고정부재(200)의 상태에 대한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게임에 적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3및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제 1회전축(332) 및 상기 제 2회전축(334)의 구조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도 2의 공간지각능력 향상 운동기구에서 지지축(33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3의 제 1회전축(332)과 제 2회전축(334)을 연결한 유니버셜조인트(336)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축(330)은 크게 제 1회전축(332) 및 제 2회전축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1회전축(332)은 상기 고정부재(200)의 하부에서 수직으로 배치되며 상기 회전부재(310)는 상기 제 1회전축(332)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부재(200)의 하부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그래서 상기 제 1회전축(332)은 상부방향의 끝단부가 상기 고정부재(200)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부재(200)의 움직임에 따라 함께 경사가 변화하며 상기 고정부재(310)와 독립적으로 회전하는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제 2회전축(334)은 상기 몸체에 구비되며 상기 제 1회전축(332)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유닛(320)으로부터 회전력을 받아 상기 제 1회전축으로 전달한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축(330)이 구성됨으로써, 상기 고정부재(200) 및 상기 회전부재(310)는 상기 제 2회전축(334)과 직접적으로 결합되지 않으며 상기 제 1회전축(332)이 상기 제 2회전축(334)과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 2회전축(334)은 일측이 상기 몸체(100) 내부에서 상기 동력전달부(324)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322)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타측은 상기 제 1회전축(332)의 일측 끝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 1회전축(332)이 함께 회전하도록 한다.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회전축(332) 및 상기 제 2회전축(334) 각각은 별도의 회전축을 가지며 상기 제 1회전축(332)과 상기 제 2회전축(334)은 그 방향이 선택적으로 교차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회전축(334)은 상기 몸체(100)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그 회전축의 방향이 변화하지 않고, 상기 제 1회전축(332)은 상기 고정부재(200)와 수직방향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고정부재(200)의 움직임에 의해서 상기 제 1회전축(332)이 움직이고 이에 따라 상기 제 1회전축(332) 방향과 상기 제 2회전축(334) 방향이 교차되어 서로 달라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회전축(332)의 방향과 상기 제 2회전축(334)의 방향이 교차됨에도 불구하고 상기 제 2회전축(334)으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상기 제 1회전축(332)으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회전축(332)과 상기 제 2회전축(334)이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며 그 결합위치에 유니버셜조인트(336)가 구비되어 상기 제 1회전축(332)과 상기 제 2회전축(334)을 결합시킨다.
즉, 상기 제 1회전축(332)의 일측 끝단부에 상기 유니버셜조인트(336)가 결합되고 상기 제 2회전축(334)도 일측 끝단부가 상기 유니버셜조인트(336)에 결합된다. 여기서, 유니버셜조인트(336)란 두 축이 일직선상에 있지 않고 어떤 각도를 가진 두 개의 축 사이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조인트로써, 주로 변속기에서 구동바퀴까지 동력전달 축의 연결부에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조인트이다. 구조에 따라서 플렉시블조인트, 카르단조인트, 트랙터조인트 및 등속조인트 등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회전축(332) 및 상기 제 2회전축(334)이 상기 유니버셜조인트(336)에 의해서 서로 결합됨으로써 두 개의 축이 일직선이 되지 않더라도 상기 제 2회전축(334)이 상기 구동모터(322)로부터 전달받은 회전력을 상기 제 1회전축(332)으로 전달하여 상기 회전부재(3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회전축(332)과 상기 제 2회전축(334)이 일직선상에 위치하지 않더라도 상기 구동모터(322)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상기 회전부재(310)에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고정부재(200)의 동작에 의해서 상기 회전부재(310)가 경사지게 배치 되더라도 상기 회전부재(310)를 회전시켜 상기 고정부재(200)의 상면이 수평으로 복원될 수 있도록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고정부재(200)가 동작하는 상태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도 2의 고정부재(200)가 외력에 의해 경사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고정부재(200)가 경사진 상태에서 회전부재(310)의 고속회전에 의해 상면이 수평상태로 복원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5를 살펴보면 상기 고정부재(200)의 상면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고정부재(200)가 이동하여 상면이 경사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구동모터(322)의 속도를 조절하여 상기 고정부재(200)에 너무 많은 복원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200)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고정부재(200)는 일측으로 경사지게 되며, 이 경우 상기 신축부재(120)가 신축하여 상기 고정부재(200)의 하부와 상기 안착홈(110)의 분리되는 영역을 감싸준다.
상기 고정부재(200)가 이동하여 상면이 경사지게 되면 상기 제 1회전축(332)과 상기 제 2회전축(334)은 일직선상에 있지 않고 교차된 상태로 배치된다. 하지만, 상기 구동모터(322)로부터 발생되는 회전력에 의해서 상기 제 2회전축(334)이 회전되며 상기 제 2회전축(334)과 상기 유니버셜조인트(336)로 연결된 상기 제 1회전축(332)도 함께 회전하여 상기 회전부재(310)가 회전을 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모터(322)가 상기 회전부재(310)에 작용하는 회전력은 상기 회전부재(310)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고정부재(200)가 수평으로 복원되기 위한 복원력 보다 상기 고정부재(200)에 작용하는 외력이 더 큰 상태가 된다.
한편,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200)를 수평으로 복원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어유닛이 상기 구동모터(322)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켜 상기 회전부재(310)을 고속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회전부재(310)이 고속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 1회전축(332)은 자이로원리에 의해서 수직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고 이에 따라서 상기 제 1회전축(332)과 결합된 상기 고정부재(200)가 복원력에 의해서 상면이 수평상태가 되도록 움직이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부재(310)는 상기 고정부재(200)의 상면과 평행하도록 회전하기 때문에 상기 회전부재(310)가 회전하여 상기 제 1회전축(332)이 수직상태가 되면 함께 상기 고정부재(200)의 상면도 수평상태가 된다.
즉, 상기 회전부재(310)가 저속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고정부재(200)에 작용하는 복원력이 약하기 때문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200)의 상면이 경사지도록 움직이고, 상기 회전부재(310)가 고속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고정부재(200)에 작용하는 복원력이 증가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200)에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고정부재(200)의 상면이 수평이 되도록 상기 고정부재(200)이 움직인다.
이와 같은 원리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상기 고정부재(200)의 상면에서 움직이며 수평상태와 경사진 상태를 반복하여 공간지각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출력모듈(410, 420)을 이용하여 상기 고정부재(200)의 움직임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표시유닛(420)에 의해서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직접 확인을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는 특정형태로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몸체 110: 안착홈
120: 신축부재 200: 고정부재
300: 수평조절모듈 310: 회전부재
320: 구동유닛 322: 구동모터
324: 동력전달부 330: 지지축
332: 제 1회전축 334: 제 2회전축
336: 유니버셜조인트 410: 변위측정유닛
420: 표시유닛

Claims (9)

  1. 몸체;
    상기 몸체의 상부에서 상면에 사용자가 올라서며 하중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상면의 경사가 변화하는 고정부재; 및
    상기 몸체 내부에서 상기 고정부재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부재와 수직으로 결합되어 하중을 지지하며 상기 고정부재의 동작에 의해 경사각도가 함께 변화하는 지지축, 상기 고정부재의 하부에서 중심이 상기 지지축에 결합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와 평행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축과 함께 고속 회전하는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에 회전력을 인가하여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유닛을 가지는 수평조절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축은 상기 고정부재와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지지축과 고정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재와 함께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고정부재는 회전하지 않도록 구성되며,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지지축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공간지각능력 향상 운동기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몸체 내부에 배치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 및 상기 고정부재의 하부에서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발생된 회전력을 상기 회전부재에 전달하여 회전시키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공간지각능력 향상 운동기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조절모듈은,
    상기 구동모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회전속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제어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지각능력 향상 운동기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은,
    상기 고정부재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부재의 움직임에 따라 함께 경사가 변화하며 상기 고정부재와 독립적으로 회전하는 제 1회전축 및 상기 제 1회전축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유닛으로부터 회전력을 받아 상기 제 1회전축으로 전달하는 제 2회전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지각능력 향상 운동기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회전축은,
    회전하는 축의 방향이 상기 고정부재의 동작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상기 제 2회전축 방향과 서로 교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지각능력 향상 운동기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회전축은,
    일측 끝단부가 유니버셜조인트에 의해서 상기 제 2회전축의 일측 끝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지각능력 향상 운동기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고정부재의 외주를 따라 감싸며 상기 고정부재의 움직임에 따라 대응하는 형태로 신축하는 신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지각능력 향상 운동기구.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고정부재의 경사 정도를 측정하는 변위측정유닛 및 상기 변위측정유닛에 의해 측정된 상기 고정부재의 경사를 전기적 신호를 통해 화면으로 표시하는 표시유닛을 가지는 출력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지각능력 향상 운동기구.
KR1020120096197A 2012-08-31 2012-08-31 공간지각능력 향상 운동기구 KR101436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6197A KR101436396B1 (ko) 2012-08-31 2012-08-31 공간지각능력 향상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6197A KR101436396B1 (ko) 2012-08-31 2012-08-31 공간지각능력 향상 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9913A KR20140029913A (ko) 2014-03-11
KR101436396B1 true KR101436396B1 (ko) 2014-09-01

Family

ID=50642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6197A KR101436396B1 (ko) 2012-08-31 2012-08-31 공간지각능력 향상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63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21373B (zh) * 2020-09-27 2022-01-25 湖南工商大学 一种武术散打用练习装置
CN112807623A (zh) * 2021-02-05 2021-05-18 永康市爱久工贸有限公司 平板支撑板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0606Y1 (ko) 2005-05-02 2005-07-22 유-셍 로 스텝 및 균형 운동기
KR20090060999A (ko) * 2006-08-09 2009-06-15 휘스퍼 테크 리미티드 진자 운동하는 균형형 회전자를 구비한 왕복 피스톤 기계
KR101093980B1 (ko) 2011-10-14 2011-12-13 홍승호 좌석용 균형운동장치
KR20120092246A (ko) * 2011-02-11 2012-08-21 최윤선 Ball과 원형판을 이용한 전신 근육운동 및 균형감각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0606Y1 (ko) 2005-05-02 2005-07-22 유-셍 로 스텝 및 균형 운동기
KR20090060999A (ko) * 2006-08-09 2009-06-15 휘스퍼 테크 리미티드 진자 운동하는 균형형 회전자를 구비한 왕복 피스톤 기계
KR20120092246A (ko) * 2011-02-11 2012-08-21 최윤선 Ball과 원형판을 이용한 전신 근육운동 및 균형감각 운동기구
KR101093980B1 (ko) 2011-10-14 2011-12-13 홍승호 좌석용 균형운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9913A (ko) 2014-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96861T3 (es) Máquina de propriocepción
TWI744450B (zh) 具有功率測量設備的固定式運動機
EP1377345B1 (en) Dynamic balance board
KR101076935B1 (ko) 동적체 평형 검사 및 운동장치
KR101433284B1 (ko) 자세조절부를 포함하는 자세균형 훈련용 보행보조기
US20210322250A1 (en) Driving system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an object with two degrees of freedom of rotation and rehabilitation machine for rehabilitation of the lower limbs and the trunk incorporating such a system
EP3628378A1 (en) Multifunctional balance exercise machine
KR101436396B1 (ko) 공간지각능력 향상 운동기구
KR101185575B1 (ko) 균형 감각 측정장치
KR100913600B1 (ko) 근력 측정기
KR20140089023A (ko) 편마비 환자용 상지 재활훈련장치
JP4623614B2 (ja) 平衡機能訓練装置
JP3780301B2 (ja) 運動用器具
KR101801856B1 (ko) 슬링을 이용한 재활 운동장치
KR101459894B1 (ko) 동적 균형 감각 측정 및 상하지 근력 강화 훈련장치
US7892146B2 (en) Rocking type exercising apparatus
KR101864890B1 (ko) 신체근력강화 운동기구
KR101446043B1 (ko) 하나의 구동유닛을 이용하여 등자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안장 및 이를 구비한 승마 시뮬레이터
KR101244600B1 (ko) 회전형 자기유변유체 댐퍼를 이용한 트위스트 운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스탠스의 뉴트럴 포인트 측정방법
KR102027332B1 (ko) 체감형 운동기구 및 이를 이용한 체감형 운동 시스템
JP3861626B2 (ja) マッサージ機の操作器
CN103657034B (zh) 基于投影仪的平衡木核心稳定力量训练及监控装置
KR101368159B1 (ko) 척추 가동 범위 측정 및 훈련 시스템
KR102234114B1 (ko) 전자 체중계를 구비한 실내 허리 돌리기 기구
KR20220054472A (ko) 상지훈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