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5768B1 - 통합 안전 지도를 이용한 통합 관제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통합 안전 지도를 이용한 통합 관제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5768B1
KR101435768B1 KR1020140068344A KR20140068344A KR101435768B1 KR 101435768 B1 KR101435768 B1 KR 101435768B1 KR 1020140068344 A KR1020140068344 A KR 1020140068344A KR 20140068344 A KR20140068344 A KR 20140068344A KR 101435768 B1 KR101435768 B1 KR 1014357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p
safety
integrated
area
moni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8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길
윤정호
이학선
Original Assignee
안양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양시 filed Critical 안양시
Priority to KR1020140068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57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5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57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각의 감시 지역에 분산 설치되어 상기 감시 지역을 촬영하는 복수의 카메라와, 상기 복수의 카메라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각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된 촬영 영상을 수집하는 통합 관제 센터와, 상기 통합 관제 센터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각각 자신의 업무와 관련된 유관 기관 안전 지도를 보유하는 복수의 유관 기관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통합 관제 센터는 각각의 상기 유관 기관 서버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수신되는 상기 유관 기관 안전 지도가 저장되는 유관 기관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유관 기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유관 기관 안전 지도를 이용하여 통합 안전 지도를 생성하는 통합 안전 지도를 생성하는 통합 안전 지도 생성부와, 상기 통합 안전 지도에 기초하여, 모니터링 우선 지역을 설정하는 안전 지도 분석부와, 다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어 화면 상에 영상을 표시하는 통합 상황판과, 통신망을 통해 각각의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중 상기 안전 지도 분석부에 의해 설정된 상기 모니터링 우선 지역에 대해 촬영된 영상을 상기 통합 상황판의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중 어느 하나에 우선적으로 표시되도록 상기 통합 상황판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안전 지도를 이용한 통합 관제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통합 안전 지도를 이용한 통합 관제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INTEGRATED CONTROL SAFETY MONITERING SYSTEM USING INTEGRATED SAFETY MAP}
본 발명은 통합 안전 지도를 이용한 통합 관제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의 유관 기관 안전 지도를 통합한 통합 안전 지도를 이용하여 생활 안전을 위한 안전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통합 안전 지도를 이용한 통합 관제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사회적 약자를 상대로 하는 범죄가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데, 특히 어린이를 상대로 하는 유괴나 청소년들의 폭행, 야간의 취객이나 여성에 대한 금품 갈취 및 성범죄 등의 발생은 각종 언론 매체에서 빈번히 접할 수 있다. 이러한 범죄는 출퇴근이나 통학 또는 귀가 시 안전 취약 지역을 지날 때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점을 들면, 안전 취약 지역을 경유하는 어린이나, 늦은 귀가시간을 갖는 사회적 약자들을 보호할 수 있는 사회적 대책이 요구되는 실정이며, 한국등록특허 제10-1392628호에 개시된 '통합 관제를 이용한 안심 귀가 시스템'도 이와 같은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여 사회적 약자가 안심하고 목적지에 귀가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주변에서 발생하는 범죄를 예방하기 위해, 학교 내부나 외부, 그리고 주택가, 우범 지대 등에 CCTV와 같은 카메라를 설치하고, 취약 지역의 순찰 인력의 증대, 이동 통신사의 위치 찾기 서비스와 같은 범죄 예방을 위한 방안들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CCTV와 같은 카메라를 생활 주변 요소요소에 설치하더라도, 실제 사고 발생 이후에 증거 획득의 용도로 사용하고는 있으나 실제 범죄가 발생했을 때 이를 발견하고 경찰과 같은 필요한 인력을 즉각 출동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근래에 지방자치단체별로 생활 안전을 통합하는 통합 관제 센터를 구축하고, 관할 구역 내에 설치된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통합 관제 센터 내의 통합 상황판에 표시하고, 모니터링 요원들이 실시간으로 표시된 촬영 화면을 모니터링하면서 사고 발생 유무를 체크하는 통합 관제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해 나가고 있다.
그런데, 생활 안전의 중요도가 증가함에 따라 관할 구역 내에 설치되는 카메라의 수는 증가하고 있으나, 이를 모니터링 하기 위한 모니터링 요원을 통합 관제 센터 내에 필요한 인원만큼 확충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한 명의 모니터링 요원이 자신의 모니터링 지역에 설치된 많은 카메라를 모니터링 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고,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촬영 영상이 실시간으로 통합 관제 센터에 수신되는 상태라도 모니터링 요원이 사고 현장을 놓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한정된 인원의 모니터링 요원이 다수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촬영 영상을 모니터링 하는데 있어, 해당 카메라의 중요도에 따라 우선으로 모니터링할 카메라에 대한 보다 정확한 정보를 얻어 보다 효율적인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통합 안전 지도를 이용한 통합 관제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각각의 감시 지역에 분산 설치되어 상기 감시 지역을 촬영하는 복수의 카메라와, 상기 복수의 카메라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각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된 촬영 영상을 수집하는 통합 관제 센터와, 상기 통합 관제 센터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각각 자신의 업무와 관련된 유관 기관 안전 지도를 보유하는 복수의 유관 기관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통합 관제 센터는 각각의 상기 유관 기관 서버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수신되는 상기 유관 기관 안전 지도가 저장되는 유관 기관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유관 기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유관 기관 안전 지도를 이용하여 통합 안전 지도를 생성하는 통합 안전 지도를 생성하는 통합 안전 지도 생성부와, 상기 통합 안전 지도에 기초하여, 모니터링 우선 지역을 설정하는 안전 지도 분석부와, 다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어 화면 상에 영상을 표시하는 통합 상황판과, 통신망을 통해 각각의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중 상기 안전 지도 분석부에 의해 설정된 상기 모니터링 우선 지역에 대해 촬영된 영상을 상기 통합 상황판의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중 어느 하나에 우선적으로 표시되도록 상기 통합 상황판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안전 지도를 이용한 통합 관제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유관 기관 서버에 보유된 상기 유관 기관 안전 지도는, 관할 구역 지도 상에 우범 지역이 표시되는 우범 지역 분포 지도와, 상기 관할 구역 지도 상에 사회적 약자의 주거 또는 주요 이동 지역이 표시되는 사회적 약자 분포 지도와, 상기 관할 구역 지도 상에 여성의 주거 또는 주요 이동 지역이 표시되는 여성 분포 지도와, 상기 관할 구역 지도 상에 가로등의 설치 지역이 표시되는 가로등 분포 지도와, 상기 관할 구역 지도 상에 범죄자의 주거 또는 주요 이동 지역이 표시되는 범죄자 분포 지도와, 상기 관할 구역 지도 상에서 재해 발생 가능 지역이 표시되는 재해 분포 지도 중 적어도 2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 안전 지도 생성부는 각각의 상기 유관 기관 안전 지도에 기 설정된 가중치를 부가하여 상기 통합 안전 지도로 통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합 안전 지도 생성부는 상기 가중치를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가변시켜 상기 통합 안전 지도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합 안전 지도 생성부는 상기 관할 구역 지도 상에 기 설정된 안전도 등급에 따른 색상을 표시하여 상기 통합 안전 지도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 지도 분석부는 상기 통합 안전 지도 상의 각 지역의 안전도 등급에 기초하여, 각각의 상기 카메라에 안전도 등급을 매칭시키며; 상기 메인 제어부는 각각의 상기 카메라에 매칭된 안전도 등급에 따라 해당 카메라로부터 전송되는 촬영 영상의 상기 통합 상황판으로의 표시 빈도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모니터링 지역이 설정되고, 상기 복수의 카메라 중 해당 모니터링 지역에 설치된 다수의 카메라로부터의 촬영 영상을 선택적으로 모니터링하는 복수의 모니터링 단말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인 제어부는 각각의 상기 모니터링 단말기에 해당 모니터링 단말기가 관제하는 카메라에 매칭된 안전도 등급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유관 기관이 보유하는 유관 기관 안전 지도를 통합하여 통합 안전 지도를 생성하고, 통합 안전 지도의 안전도 등급에 따라 우선 모니터링 지역을 설정하여 모니터링 함으로써, 한정된 인원의 모니터링 요원으로도 관할 지역의 효율적인 모니터링이 가능한 통합 안전 지도를 이용한 통합 관제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안전 지도를 이용한 통합 관제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통합 관제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의 통합 관제 센터의 구성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 관제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의 유관 기관 안전 지도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 관제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의 통합 안전 지도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안전 지도(TM)를 이용한 통합 관제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통합 관제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은 복수의 카메라(200), 복수의 유관 기관 서버 및 통합 관제 센터(100)를 포함한다.
복수의 카메라(200)는 각각의 감시 지역에 분산 설치되어, 각각의 감시 지역을 촬영한다. 여기서, 카메라(200)는 여러 유관 기관(310,320,330), 예를 들어, 경찰청, 도로교통공단, 지방자치단체, 육군, 소방서 등에서 각각의 목적에 의해 설치된 CCTV를 포함하며, 통합 관제 센터(100)는 유관 기관(310,320,330)들이 기 설치해둔 카메라(200)를 통합하여 관리하게 된다. 여기서, 통합 관제 센터(100)의 관리 주체는 유관 기관(310,320,330) 중 어느 하나, 예를 들어 지방자치단체나 이들로부터 기능을 부여받은 특정 업체가 될 수 있다.
각각의 카메라(200)는 통합 관제 센터(100)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며, 각각의 카메라(200)에 의해 촬영된 촬영 영상은 통신망을 통해 통합 관리 센터로 전송되어 통합 관제센터에 수집된다. 여기서, 카메라(200)와 통합 관제 센터(100)를 연결하는 통신망은 외부 접속이 차단된 통신망, 예를 들어, 광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예로 한다. 이를 통해, 개인의 사생활 보호와 관련된 촬영 영상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유관 기관(310,320,330)은 해당 기관의 업무와 관련된 유관 기관 안전 지도(BM)를 보유한다. 예를 들어, 경찰청의 경우 관할 구역 상의 우범 지대에 대한 정보를 가질 수 있는데, 관할 구역 지도 상에 우범 지역이 표시된 우범 지대 분포 지도를 보유할 수 있다. 또한, 지방자치단체는 사회적 약자의 주거 또는 주요 이동 지역에 대한 정보를 가질 수 있으며, 관할 구역 지도 상에 사회적 약자의 주거 또는 주요 이동 지역이 표시된 사회적 약자 분포 지도를 보유할 수 있다.
이외에도, 유관 기관 안전 지도(BM)는 관할 지역 지도 상에 여성의 주거 또는 주요 이동 지역이 표시되는 여성 분포 지도, 관할 구역 지도 상에 가로등의 설치 지역이 표시되는 가로등 분포 지도, 관할 구역 지도 상에 범죄자의 주거 또는 주요 이동 지역이 표시되는 범죄자 분도 지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유관 기관(310,320,330)이 보유하는 유관 기관 안전 지도(BM)의 상술한 예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 관제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의 일 예에 불과하며, 산림청이나 소방서가 보유하는 주요 산불 발생지나 하천의 범람 등과 같이 자연 재해 발생 가능 지역이 관할 구역 지도 상에 표시되는 재해 분포 지도와 같이, 통합 관제 센터(100)에서 모니터링이 요구되는 주요 지역을 파악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통합 관제 센터(100)는 통신망을 통해 카메라(200)들과 연결되어 카메라(20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받는다. 그리고, 통합 관제 센터(100)는 유관 기관 서버로부터 해당 유관 기관(310,320,330)의 유관 기관 안전 지도(BM)를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는데, 일정 주기별로 또는 해당 유관 기관(310,320,330)이 유관 기관 안전 지도(BM)를 업데이트하는 경우 해당 유관 기간의 업데이트시 유관 기관 안전 지도(BM)를 전송받는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합 관제 센터(100)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합 관제 센터(100)는 유관 기관 데이터베이스(131), 통합 안전 지도 생성부(140), 안전 지도 분석부(150), 통합 상황판(161) 및 메인 제어부(120)를 포함한다.
메인 제어부(120)는 제1 통신부(111)를 통해 각각의 카메라(200)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촬영 영상을 통합 상황판(161)에 선택적으로 표시한다. 그리고, 메인 제어부(120)는 제2 통신부(112)를 통해 각각의 유관 기관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유관 기관 안전 지도(BM)를 유관 기관 데이터베이스(131)에 저장한다.
통합 상황판(161)은 다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메트릭스 형태로 배치되어 화면 상에 영상을 표시하도록 마련되는데, 각각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될 영상은 디스플레이 제어부(160)에 의해 제어된다.
이 때, 메인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 제어부(160)가 하나의 카메라(200)에 촬영된 영상을 어느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할지에 대한 명령이나, 하나의 영상을 여러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할 지에 대한 명령을 디스플레이 제어부(160)로 전달함으로써, 통합 상황판(161)에 표시될 영상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게 된다.
통합 안전 지도 생성부(140)는 유관 기관 데이터베이스(131)에 저장된 유관 기관 안전 지도(BM) 들을 이용하여, 통합 안전 지도(TM)를 생성하고, 생성된 통합 안전 지도(TM)를 통합 안전 지도(TM) 데이터베이스(132)에 저장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 관제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의 유관 기관 안전 지도(BM)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유관 기관 안전 지도(BM)는 관할 구역 지도 상에 기 설정된 안전도 등급에 따른 색상이 등고선과 같은 형태로 표시됨으로써, 관할 구역 지도 상에서 우선적으로 모니터링이 요구되는 지역이 다른 지역과 등급별로 차별화되어 표시된다.
이 때, 통합 안전 지도 생성부(140)는 각각의 유관 기관 안전 지도(BM)에 기 설청된 가중치를 부가하여 통합 안전 지도(TM)로 통합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관할 구역이 우범 지대가 많이 분포되어 우범 지대 위주로 모니터링이 요구되는 경우, 상술한 우범 지역 분포 지도에 대한 가중치를 높게 부여함으로써, 통합 안전 지도(TM)가 생성될 때 우범 지역 분포 지도 상의 안전도 등급이 보다 크게 반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가중치는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가변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저녁 시간 대에 우범 지대에서의 범죄 발생이 높은 경우, 우범 지역 분포 지도의 가중치를 낮 시간 동안에는 낮게 설정하는 반면, 어린이와 같은 사회적 약자가 반영된 사회적 약자 분포 지도의 가중치를 낮 시간 동안에는 높게 설정함으로써, 낮에 활동이 많은 어린이들의 주요 이동 지역, 즉, 학교 주변이나 등하교 지역의 가중치가 높아져 주요 모니터링 지역으로 설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가중치가 반영되어 통합 안전 지도(TM)가 생성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합 안전 지도(TM)는 관할 구역 지도 상에 안전도 등급에 따른 색상이 표시된 상태로 생성되어 구역 별로 모니터링이 더 요구되는 지역이 구분 가능하게 된다.
이 때, 안전 지도 분석부(150)는 통합 안전 지도(TM)를 이용하여, 모니터링 우선 지역을 설정하게 된다. 즉, 통합 안전 지도(TM) 상에 설정되는 안전도 등급에 따라 모니터링이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모니터링 우선 지역을 분석하게 된다. 이 때, 안전 지도 분석부(150)는 모니터링 우선 지역을 등급별로 구분하여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니터링 우선 지역이 구분되면, 메인 제어부(120)는 각각의 카메라(20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중 안전 지도 분석부(150)에 의해 설정되는 모니터링 우선 지역에 대해 촬영된 촬영 영상을 통합 상황판(161)의 디스플레이 패널 중 어느 하나에 우선적으로 표시함으로써, 주요 관심 지역이 통합 상황판(161)의 화면에 우선적으로 표시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안전 지도 분석부(150)는 통합 안전 지도(TM) 상의 각 지역의 안전도 등급에 기초하여, 각각의 카메라(200)에 안전도 등급을 매칭시킬 수 있다. 즉, 안전 지도 분석부(150)는 관할 지역의 곳곳에 설치된 카메라(20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위치의 안전도 등급을 통합 안전 지도(TM)로부터 확인하여 해당 카메라(200)에 안전도 등급을 매칭시킨다.
이 때, 메인 제어부(120)는 각각의 카메라(200)에 매칭된 안전도 등급에 따라 해당 카메라(200)로부터 전송되는 촬영 영상의 통합 상황판(161)으로의 표시 빈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제어부(120)는 안전도 등급에 따라 등급별로 모니터링 우선 지역이 설정되는 경우, 등급이 높은 모니터링 우선 지역을 촬영한 촬영 영상의 표시 주기를 높이거나 표시 시간을 길게 함으로써, 통합 상황판(161)의 표시 빈도를 조절하게 된다.
이에 따라, 모니터링 우선 지역, 즉 안전도 등급이 낮은 지역에서 촬영되는 촬영 영상이 통합 상황판(161)에 보다 자주 노출됨으로써, 한정된 화면 상에서 중요 지역의 모니터링이 보다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잇다.
다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통합 관제 센터(100)는 복수의 모니터링 단말기(171,172,173)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모니터링 단말기(171,172,173)에는 모니터링 요원이 배치되어 통합 상황판(161)과는 별도로 각각의 모니터링 요원이 모니터링 단말기(171,172,173)의 화면을 통해 자신의 관할하는 모니터링 지역에 설치된 다수의 카메라(200)로부터의 촬영 영상을 선택적으로 모니터링하게 된다.
이 때, 메인 제어부(120)는 각각의 모니터링 단말기(171,172,173)에 해당 모니터링 단말기(171,172,173)가 관제하는 카메라(200)에 매칭된 안전도 등급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모니터링 요원은 메인 제어부(120)로부터 전송된 각각의 카메라(200)에 대한 안전도 등급을 확인하게 됨으로써, 모니터링 요원은 자신이 모니터링 하는 모니터링 지역의 카메라(200) 중 어느 카메라(200)로부터의 촬영 영상을 주요하게 모니터링할지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100 : 통합 관제 센터 111 : 제1 통신부
112 : 제2 통신부 120 : 메인 제어부
131 : 유관 기관 데이터베이스 132 : 통합 안전 지도 데이터베이스
140 : 통합 안전 지도 생성부 150 : 안전 지도 분석부
160 : 디스플레이 제어부 161 : 통합 상황판
171,172,173 : 모니터링 단말기 200 : 카메라
310,320,330 : 유관 기관

Claims (7)

  1. 각각의 감시 지역에 분산 설치되어 상기 감시 지역을 촬영하는 복수의 카메라와,
    상기 복수의 카메라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각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된 촬영 영상을 수집하는 통합 관제 센터와,
    상기 통합 관제 센터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각각 자신의 업무와 관련된 유관 기관 안전 지도를 보유하는 복수의 유관 기관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통합 관제 센터는
    각각의 상기 유관 기관 서버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수신되는 상기 유관 기관 안전 지도가 저장되는 유관 기관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유관 기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유관 기관 안전 지도를 이용하여 통합 안전 지도를 생성하는 통합 안전 지도를 생성하는 통합 안전 지도 생성부와,
    상기 통합 안전 지도에 기초하여, 모니터링 우선 지역을 설정하는 안전 지도 분석부와,
    다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어 화면 상에 영상을 표시하는 통합 상황판과,
    통신망을 통해 각각의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중 상기 안전 지도 분석부에 의해 설정된 상기 모니터링 우선 지역에 대해 촬영된 영상을 상기 통합 상황판의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중 어느 하나에 우선적으로 표시되도록 상기 통합 상황판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안전 지도를 이용한 통합 관제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관 기관 서버에 보유된 상기 유관 기관 안전 지도는,
    관할 구역 지도 상에 우범 지역이 표시되는 우범 지역 분포 지도와,
    상기 관할 구역 지도 상에 사회적 약자의 주거 또는 주요 이동 지역이 표시되는 사회적 약자 분포 지도와,
    상기 관할 구역 지도 상에 여성의 주거 또는 주요 이동 지역이 표시되는 여성 분포 지도와,
    상기 관할 구역 지도 상에 가로등의 설치 지역이 표시되는 가로등 분포 지도와,
    상기 관할 구역 지도 상에 범죄자의 주거 또는 주요 이동 지역이 표시되는 범죄자 분포 지도와,
    상기 관할 구역 지도 상에서 재해 발생 가능 지역이 표시되는 재해 분포 지도 중 적어도 2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안전 지도를 이용한 통합 관제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안전 지도 생성부는
    각각의 상기 유관 기관 안전 지도에 기 설정된 가중치를 부가하여 상기 통합 안전 지도로 통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안전 지도를 이용한 통합 관제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안전 지도 생성부는 상기 가중치를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가변시켜 상기 통합 안전 지도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안전 지도를 이용한 통합 관제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안전 지도 생성부는
    상기 관할 구역 지도 상에 기 설정된 안전도 등급에 따른 색상을 표시하여 상기 통합 안전 지도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안전 지도를 이용한 통합 관제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지도 분석부는 상기 통합 안전 지도 상의 각 지역의 안전도 등급에 기초하여, 각각의 상기 카메라에 안전도 등급을 매칭시키며;
    상기 메인 제어부는 각각의 상기 카메라에 매칭된 안전도 등급에 따라 해당 카메라로부터 전송되는 촬영 영상의 상기 통합 상황판으로의 표시 빈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안전 지도를 이용한 통합 관제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각각의 모니터링 지역이 설정되고, 상기 복수의 카메라 중 해당 모니터링 지역에 설치된 다수의 카메라로부터의 촬영 영상을 선택적으로 모니터링하는 복수의 모니터링 단말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인 제어부는 각각의 상기 모니터링 단말기에 해당 모니터링 단말기가 관제하는 카메라에 매칭된 안전도 등급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안전 지도를 이용한 통합 관제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140068344A 2014-06-05 2014-06-05 통합 안전 지도를 이용한 통합 관제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KR1014357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8344A KR101435768B1 (ko) 2014-06-05 2014-06-05 통합 안전 지도를 이용한 통합 관제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8344A KR101435768B1 (ko) 2014-06-05 2014-06-05 통합 안전 지도를 이용한 통합 관제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5768B1 true KR101435768B1 (ko) 2014-08-29

Family

ID=51751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8344A KR101435768B1 (ko) 2014-06-05 2014-06-05 통합 안전 지도를 이용한 통합 관제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57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6730B1 (ko) 2016-07-27 2017-01-17 주식회사 뉴인테크 지능형 도시통합 중앙관제시스템 구축방법
KR102573708B1 (ko) * 2023-03-31 2023-09-01 대보정보통신 주식회사 교통 정보 센터의 상황판 제어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4457A (ko) * 2011-07-24 2011-09-22 심동수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한 원격 자가 보안 및 관제 시스템
KR101077591B1 (ko) 2011-06-01 2011-10-27 한국이미지시스템(주) 통합 모니터링 감시 제어 시스템
KR101345270B1 (ko) 2012-07-20 2013-12-26 (주)경봉 현장 통제 기능이 향상된 통합 관제 시스템 및 방법
KR101392628B1 (ko) 2013-10-04 2014-05-07 안양시 통합 관제를 이용한 안심 귀가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7591B1 (ko) 2011-06-01 2011-10-27 한국이미지시스템(주) 통합 모니터링 감시 제어 시스템
KR20110104457A (ko) * 2011-07-24 2011-09-22 심동수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한 원격 자가 보안 및 관제 시스템
KR101345270B1 (ko) 2012-07-20 2013-12-26 (주)경봉 현장 통제 기능이 향상된 통합 관제 시스템 및 방법
KR101392628B1 (ko) 2013-10-04 2014-05-07 안양시 통합 관제를 이용한 안심 귀가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6730B1 (ko) 2016-07-27 2017-01-17 주식회사 뉴인테크 지능형 도시통합 중앙관제시스템 구축방법
KR102573708B1 (ko) * 2023-03-31 2023-09-01 대보정보통신 주식회사 교통 정보 센터의 상황판 제어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62589B2 (en) Drone-augmented emergency response services
KR101506120B1 (ko) 스마트폰과 안전 지도를 이용한 방범 cctv 통합 관제 시스템
KR101514696B1 (ko) 교량 안전사고 관리시스템
KR102039291B1 (ko) 생활 밀착형의 미세먼지 측정 정보 제공 시스템
CN105979232A (zh) 用于封闭式学校的视频监控系统
US20200372768A1 (en) Universal Threat Awareness Management System for Occupant Safety
KR101392628B1 (ko) 통합 관제를 이용한 안심 귀가 시스템
CN109472895A (zh) 一种安防综合应用管理系统及其管理实现方法
KR101483949B1 (ko) 통합 관제 시스템
CN105321307A (zh) 一种基于联网报警与监控系统联动的服务方法
IT201800007995A1 (it) Sistema di sorveglianza di luoghi pubblici
KR101435768B1 (ko) 통합 안전 지도를 이용한 통합 관제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CN113672689A (zh) 一种智慧边防信息处理系统及方法
CN113271435A (zh) 一种智慧城市安全监控系统
KR20100119920A (ko) 보안 방범망을 이용한 이동물체 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RU2598803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обеспечения безопасности моста
KR101944217B1 (ko) 버스 정보 안내기를 이용한 생활 방범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KR20140032053A (ko) 방범기능을 갖는 이동형 광고 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고표시 서비스 시스템
KR20230017444A (ko) 드론을 이용한 방역수칙준수 감시방법
KR102375778B1 (ko) 인공지능 기술 기반의 다기능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KR101036459B1 (ko) 도시 통합 관제시스템
KR102191349B1 (ko) 화재 수신반 이미지에 기초하여 화재 감지를 위한 디지털 지도를 제공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
KR102053541B1 (ko) 양방향 보안등의 긴급호출 시스템
KR20220108257A (ko) 스마트 시티를 위한 IoT 다기능 통합 모듈시스템 및 방법
RU124018U1 (ru) Система общественного видеонаблюдения и контроля правопоряд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