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5405B1 - 금속탐지가 되지않는 표찰케이스용 릴홀더 - Google Patents

금속탐지가 되지않는 표찰케이스용 릴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5405B1
KR101435405B1 KR1020130083353A KR20130083353A KR101435405B1 KR 101435405 B1 KR101435405 B1 KR 101435405B1 KR 1020130083353 A KR1020130083353 A KR 1020130083353A KR 20130083353 A KR20130083353 A KR 20130083353A KR 101435405 B1 KR101435405 B1 KR 101435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reel holder
insertion hole
cord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3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보영
Original Assignee
(주)상일씨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상일씨앤씨 filed Critical (주)상일씨앤씨
Priority to KR1020130083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54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5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5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4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by strings, straps, chains, or wir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8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8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 G09F3/20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for adjustable,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labels
    • G09F3/201Enclosures enveloping completely the lab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8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 G09F3/20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for adjustable,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labels
    • G09F3/207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for adjustable,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labels in the form of a badge to be worn by a pers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5/00Means for displaying samples
    • G09F5/02Portable sample ca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탐지가 되지않는 표찰케이스용 릴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릴홀더를 구성하는 모든 부품을 비금속제로 사용하여 제작함으로써, 보안장소를 출입할 때 불필요하게 발생되는 금속탐지로 인한 온인 및 혼동, 또는 방임하는 상황을 일시에 해소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출입을 위해 패용한 표찰케이스의 가변시킨 후 이를 원위치 복귀시키도록 하는 릴홀더에 있어서, 상기 릴홀더(100)는, 내측에 수용공간(111)(121)이 구비되고 대향되게 구성되어 상호 결합되는 제1 및 제2케이스(110)(120)와; 상기 제1 및 제2케이스(110)(120)의 수용공간(111)(121)에 수용되고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외주연에 표찰케이스(20)가 일단에 고정된 인출끈(15)이 권취되는 보빈(130); 및 상기 표찰케이스(20)의 위치 가변으로 상기 보빈(130)에 권취된 인출끈(15)이 인출되고 이를 통해 회전하는 상기 보빈(130)에 복귀 탄성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탄성밴드(140)를 포함하고; 상기 릴홀더(100)는 금속탐지기에 탐지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금속탐지가 되지않는 표찰케이스용 릴홀더{Metal undetectable reel-holder for label case}
본 발명은 금속탐지가 되지않는 표찰케이스용 릴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릴홀더를 구성하는 모든 부품을 비금속제로 사용하여 제작함으로써, 보안장소를 출입할 때 불필요하게 발생되는 금속탐지로 인한 온인 및 혼동, 또는 방임하는 상황을 일시에 해소하도록 하는 금속탐지가 되지않는 표찰케이스용 릴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표찰케이스용 릴홀더는, 신분증이 내장된 표찰케이스를 목걸이 형태로 착용한 후 보안장소의 출입문 등을 통과할 때 길게 인출시켜 개폐장치에 터치 또는 접근시켜 도어를 개방하거나 자신의 신분을 타인에게 알려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종래의 표찰케이스 릴홀더의 구성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의 릴홀더(10)는, 상부로 연결구(30)를 통해 목걸이줄(40)에 연결되고, 하부로 인출끈(15)을 통해 표찰케이스(20)에 연결된다.
상기 표찰케이스(20)는, 신분증(21) 등을 내장하여 인출끈(15)을 통해 릴홀더(10)로부터 일정길이 늘어났다가 다시 되감김 탄성력에 의하여 원 위치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릴홀더(10)의 내부구조를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상기 릴홀더(10)는, 상,하부케이스(11)(12)의 내부에 인출끈(15)이 권취된 보빈(13)이 형성되고, 상기 보빈(13)은 그 내부에 장착된 스파이어링 스프링(14)에 의하여 회전 후 원위치로 복귀하려는 탄성력을 부여받게 된다.
또한 상기 인출끈(15)은, 상기 상,하부케이스(11)(12)의 전면에 형성된 인출구(11a)(12a)의 직전에 장착되는 가이드링(17)을 통과하여 연결구(16)의 상부연결부(16a)에 연결 고정된다.
또한, 연결구(16)의 하부연결구(16b)는, 관통공이 마련되어 고리(18)가 채워지고, 상기 고리(18)는 다시 표찰케이스(20)에 연결된 클립(19)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릴홀더(10)는, 표찰케이스(20)를 릴홀더(10)로부터 인출시키면 인출끈(15)이 보빈(13)으로부터 풀렸다가 표찰케이스(20)를 놓으면 인출끈(15)이 탄성력에 의하여 복귀되면서 연결구(16)의 상부연결구(16a)가 인출구(11a)(12a)에 삽입되면서 원 위치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릴홀더(10)는 구성부품에 금속부품이 포함된다.
이러한 금속부품은 스파이어링 스프링(14), 가이드링(17), 고리(18) 및 클립(19) 등이 될 수 있는데, 문제는 보안을 유지하는 장소를 출입할 때 금속탐지기에 탐지되어 경보가 발하는 경우가 발생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현장에서는 이를 상기 릴홀더에 의한 금속탐지 경보로 오인하고, 또 이를 방임하는 경우가 발생되어, 실제 중요한 금속성 기밀자료가 외부로 유출되는 사건이 발생되곤 하였다.
참고적으로 상기 릴홀더(10)의 금속성 구성부품 중, 상기 가이드링(17), 고리(18) 및 클립(19) 등은 비금속재질로 구성할 수 있으나, 중요한 구성요소인 상기 스파이어링 스프링(14), 즉 일명 태엽스프링은 비금속재질로 대체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등록실용신안공보 20-327457,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15028,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87687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릴홀더를 구성하는 모든 부품을 비금속제를 사용하여 제작함으로써, 보안장소를 출입할 때 불필요하게 발생하는 금속탐지로 인한 오인 및 혼동, 또는 방임하는 상황을 일시에 해소되도록 하는 금속탐지가 되지않는 표찰케이스용 릴홀더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출입을 위해 패용한 표찰케이스의 가변시킨 후 이를 원위치 복귀시키도록 하는 릴홀더에 있어서, 상기 릴홀더는, 내측에 수용공간이 구비되고 대향되게 구성되어 상호 결합되는 제1 및 제2케이스와; 상기 제1 및 제2케이스의 수용공간에 수용되고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외주연에 표찰케이스가 일단에 고정된 인출끈이 권취되는 보빈; 및 상기 표찰케이스의 위치 가변으로 상기 보빈에 권취된 인출끈이 인출되고 이를 통해 회전하는 상기 보빈에 복귀 탄성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탄성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릴홀더는 금속탐지기에 탐지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및 제2케이스는, 일단에 구비되고, 수용공간과 연통되어 인출끈이 출입되도록 인출공이 구비되는 인출부와; 타단에 목걸이줄이 걸림되도록 구비되는 걸이부; 상기 수용공간에 구비되고 보빈이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일단 또는 양단을 지지하도록 안착홈이 구비되는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케이스의 수용공간에는 대향되게 일정높이 돌출되어 탄성밴드의 양단 각각을 고정하는 결합홈; 및 상기 제2케이스의 수용공간에는 상기 결합홈에 일단이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케이스가 상호 결합 고정되도록 하는 결합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보빈은, 외주연에서 내측으로 일정깊이 함몰되어 인출끈이 권취되는 권취홈과; 일단 또는 양단 각각에 구비되어 제1 및 제2케이스의 수용공간에 구비되는 받침부에 받침되어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도록 받침되는 안착돌기; 및 중앙에 탄성밴드가 삽입되도록 관통되는 밴드삽입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보빈에는 축삽입공을 포함하고; 상기 축삽입공에는 상기 밴드삽입공에 삽입된 탄성밴드의 일측이 걸림되어, 상기 보빈이 회전할 때 상기 탄성밴드를 꼬아줌으로써 상기 탄성밴드에서 복귀 탄성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고정축;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축삽입공은, 상기 보빈을 관통하도록 구비하되; 관통하는 어느 일단은 고정축의 끝단을 고정하면서 상기 고정축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으로 관통되어 인출끈을 통과시키며 상기 인출끈의 끝단 매듭이 걸림 고정되도록 하는 끈삽입공;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축삽입공은,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보빈의 권취홈을 관통하는 위치에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릴홀더를 구성하는 모든 부품을 비금속제를 사용하여 제작함으로써, 보안장소를 출입할 때 불필요하게 발생하는 금속탐지로 인한 오인 및 혼동, 또는 방임하는 상황을 일시에 해소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표찰케이스 및 릴홀더의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릴홀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릴홀더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릴홀더의 결합 측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릴홀더의 결합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릴홀더에서 인출끈이 인출된 상태의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릴홀더(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는 제1 및 제2케이스(110)(120)와, 상기 제1 및 제2케이스(110)(120)의 내측에 구성되어 인출끈(15)이 권취되는 보빈(130)과, 상기 제1 및 제2케이스(110)(120)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보빈(130)에 탄성 복귀력을 제공하는 탄성밴드(14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릴홀더(100)에는, 상기 보빈(130)에 구비되고 상기 탄성밴드(140)에 걸림되도록 하여 상기 보빈(130)이 원위치 복귀되도록 탄성력이 작용되도록 하는 고정축(15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릴홀더(100)는 금속탐지기에 탐지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져 금속탐지시 상기 릴홀더(100)에 의해 오인 및 혼동을 유발시키지 않음으로써, 정보의 보안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릴홀더(100)는 금속탐지기에 탐지되지 않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케이스(110)는, 양단 각각에 인출부(112)와 걸이부(114)가 구비되고, 내측에 수용공간(111)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111)에 구비되어 보빈(130)이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지지하는 받침부(118)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케이스(110)에는 상기 제2케이스(120)와 결합 고정되도록 결합홈(116)이 수용공간(111)에 위치된다.
상기 인출부(112)는, 내측에 상기 수용공간(111)과 연통되는 인출공(113)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인출끈(15)이 용이하게 인출되도록 안내한다.
또한, 상기 인출공(113)에는, 상기 인출끈(15)의 용이한 인출이 안내되도록 하는 가이드링(17)이 삽입 고정되도록 하는 삽입홈이 구성된다.
상기 걸이부(114)는, 목걸이줄(40)에 연결되는 연결구(30)가 걸림 고정된다.
상기 결합홈(116)은, 일정깊이의 홈이 구성되어, 제1 및 제2케이스(110)(120) 상호 간에 결합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홈(116)은, 상기 수용공간(111)에서 일정높이 돌출되고 양측에 대향되게 구성함으로써, 탄성밴드(130)의 양단 각각이 걸림되도록 한다.
상기 받침부(118)는, 상기 보빈(130)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상기 받침부(118)에는 상기 보빈(130)의 양단 각각을 받침하는 일정깊이의 안착홈(119)이 구성된다.
상기 제2케이스(120)는, 상기 제1케이스(110)와 대향되게 결합 고정되어, 내측에 보빈(130)을 수용한다.
상기 제2케이스(120)는, 양단 각각에 인출부(122)와 걸이부(124)가 구비되고, 내측에 수용공간(121)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121)에 구비되어 보빈(130)이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지지하는 받침부(128)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케이스(120)에는 상기 제1케이스(110)의 결합홈(116)에 결합 고정되는 결합돌기(126)가 수용공간(121)에 위치된다.
상기 인출부(122)는, 내측에 상기 수용공간(121)과 연통되는 인출공(123)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인출끈(15)이 용이하게 인출되도록 안내한다.
또한, 상기 인출공(123)에는, 상기 인출끈(15)의 용이한 인출이 안내되도록 하는 가이드링(17)이 삽입 고정되도록 하는 삽입홈이 구성된다.
상기 걸이부(124)는, 목걸이줄(40)에 연결되는 연결구(30)가 걸림 고정된다. 이 경우, 제1 또는 제2케이스(110)(120) 중 어느 하나에만 걸이부(114)(124)가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결합돌기(126)은, 제1케이스(110)의 결합홈(116)에 삽입 고정되도록 일정길이로 돌출되어, 상기 제1 및 제2케이스(110)(120) 상호 간에 결합 고정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126)은, 상기 수용공간(121)에서 일정높이 돌출되고 양측에 대향되게 구성함으로써, 상기 탄성밴드(130)의 양단 각각이 걸림되도록 한다.
상기 받침부(128)는, 상기 보빈(130)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상기 받침부(128)에는 상기 보빈(130)의 양단 각각을 받침하는 일정깊이의 안착홈(129)이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케이스(110)(120)는, 테두리 내측에 상호 교합되도록 돌기와 이에 대응하는 함몰홈을 구성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케이스(110)(120)의 상호 결합력이 향상되도록 한다.
상기 보빈(130)은, 인출끈(15)이 용이하게 풀렸다, 감겼다할 수 있도록 상기 인출끈(15)을 권취한다.
상기 보빈(130)은, 외주연에서 내측으로 일정깊이로 형성되는 권취홈(132)과, 양단 각각에 일정길이 돌출되는 안착돌기(134)와, 내측에 탄성밴드(140)가 삽입되도록 상기 안착돌기(134)를 관통하는 밴드삽입공(136)과, 상기 권취홈(132)에 중심을 기준으로 관통하여 내측에 고정축(150)이 삽입되는 축삽입공(138)이 구비된다.
상기 권취홈(132)은, 상기 보빈(130)의 외주연에서 내측으로 일정깊이 함몰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권취홈(132)에 권취되는 인출끈(15)이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안착돌기(134)는, 상기 보빈(130)의 양단 각각에 일정길이 돌출되어, 상기 제1 및 제2케이스(110)(120)의 받침부(118)(128) 안착홈(119)(129)에 안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안착돌기(134)는 안착홈(119)(129)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보빈(130)이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지지한다.
상기 밴드삽입공(136)은, 탄성밴드(140)가 삽입되어 상기 보빈(130)이 회전할 때 상기 탄성밴드(140)가 함께 꼬여져 복귀 탄성력을 가지도록 한다.
상기 축삽입공(138)은, 상기 귄취홈(132)을 관통시켜 고정축(150)이 삽입 고정되어 상기 밴드삽입공(136)에 삽입되는 탄성밴드(140)가 걸리도록 함으로써, 본빈(130)을 회전시키면 상기 고정축(150)이 상기 탄성밴드(140)가 꼬여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축 삽입공(138)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홈(132)을 관통하되, 어느 일단은 고정축(150)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을 가지는 끈삽입공(139)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고정축(150)이 보빈(130)의 밴드삽입공(136)을 가로지르는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끈삽입공(139)은, 인출끈(15)의 일단을 삽입하여 인출시키고 타단은 상기 끈삽입공(139)에 단속되는 크기를 가지는 매듭이 이루어져 있음으로써, 상기 끈삽입공(139)에 인출끈(15)의 일단이 단속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탄성밴드(140)는, 상기 보빈(130)에 원위치 복귀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탄성밴드(140)는, 탄성 복원력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고무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밴드(140)는, 고리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음으로써, 양단 각각이 상기 제1 및 제2케이스(110)(120)의 결합홈(116) 및 결합돌기(126)에 걸림된다.
상기 고정축(150)은, 상기 축삽입공(138)에 삽입 고정되어, 보빈(130)이 회전할 때 탄성밴드(140)가 꼬여지도록 한다. 상기 고정축(150)은, 성형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합성수지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릴홀더의 조립상태 및 작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조립상태>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130)의 축삽입공(138)의 끝단에 구비된 끈삽입공(139)에 인출끈(15)을 삽입시켜, 상기 인출끈(15)의 끝단 매듭이 상기 끈삽입공(139)에 걸림 단속될 때까지 삽입한 후 상기 인출끈(15)을 상기 보빈(130)의 권취홈(132)에 권취한다.
이어서, 상기 보빈(130)의 밴드삽입공(136)에 탄성밴드(140)를 삽입하고, 상기 보빈(130)의 축삽입공(138)에 고정축(150)을 삽입한다. 이때, 상기 고정축(150)은 고리형상의 탄성밴드(140) 사이에 삽입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고정축(150)은, 끈삽입공(139)이 위치한 부분에 구성된 축삽입공(138)에 삽입시킴으로써, 상기 끈삽입공(139)에 단속된 인출끈(15)의 매듭을 압박하여 상기 인출끈(15)의 끝단을 고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인출끈(15)과 탄성밴드(140)가 구성된 보빈(130)을 제1케이스(110)의 받침부(118) 안착홈(119)에 상기 보빈(130)의 안착돌기(134)를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탄성밴드(140)의 양단 각각을 상기 제1케이스(110)의 수용공간(111)에서 일정높이 돌출된 결합홈(116)에 걸림되도록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1케이스(110)에 제2케이스(120)가 결합되도록 한다.
즉, 상기 제1케이스(110)의 결합홈(116)에 상기 제2케이스(120)의 결합돌기(126)를 삽입시켜 고정하여 릴홀더(100)의 조립을 완료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릴홀더(100)는 제1 및 제2케이스(110)(120)의 인출부(112)(122)를 통해 노출된 인출끈(150)의 끝단에 연결구(16)를 연결시켜 표찰케이스(20)를 고정한다.
<작용상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된 릴홀더(100)을 패용한 상태에서 출입을 위해 표찰케이스(20)를 잡아당기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끈(15)이 인출되면서 보빈(130)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보빈(130)의 축삽입공(138)에 삽입된 고정축(150)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고정축(150)은 고리형의 탄성밴드(140) 사이에 삽입된 상태이므로, 상기 탄성밴드(140)를 꼰다. 이렇게 꼬아지는 탄성밴드(140)는 탄성 복귀력이 가지게 된다.
이후, 상기 표찰케이스(20)의 사용이 완료되어 잡아 당김력을 해제하면, 상기 탄성밴드(140)의 탄성 복귀력에 의해 고정축(150)을 역회전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고정축(150)이 고정된 보빈(130)도 함께 역회전함으로써, 풀림된 인출끈(15)이 상기 보빈(130)에 권취되어 상기 표찰케이스(20)가 원위치 복귀된다.
그러므로, 상기 릴홀더(100)는 금속탐지기에 탐지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져 출입시 오인 및 혼동을 유발시키지 않게 됨으로써, 정보보안성을 향상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금속탐지가 되지않는 표찰케이스용 릴홀더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릴홀더 110: 제1케이스
111, 212: 수용공간 112, 122: 인출부
113, 123: 인출공 114, 124: 걸이부
116: 결합홈 118, 128: 받침부
119, 129: 안착홈 120: 제2케이스
126: 결합돌기 130: 보빈
132: 권취홈 134: 안착돌기
136: 밴드삽입공 138: 축삽입공
139: 끈삽입공 140: 탄성밴드
150: 고정축

Claims (6)

  1. 출입을 위해 패용한 표찰케이스의 가변시킨 후 이를 원위치 복귀시키도록 하는 릴홀더에 있어서, 상기 릴홀더(100)는,
    내측에 수용공간(111)(121)이 구비되고 대향되게 구성되어 상호 결합되는 제1 및 제2케이스(110)(120)와;
    상기 제1 및 제2케이스(110)(120)의 수용공간(111)(121)에 수용되고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외주연에 표찰케이스(20)가 일단에 고정된 인출끈(15)이 권취되는 보빈(130); 및
    상기 표찰케이스(20)의 위치 가변으로 상기 보빈(130)에 권취된 인출끈(15)이 인출되고 이를 통해 회전하는 상기 보빈(130)에 복귀 탄성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탄성밴드(140)를 포함하고;
    상기 릴홀더(100)는 금속탐지기에 탐지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탐지가 되지않는 표찰케이스용 릴홀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케이스(110)(120)는,
    일단에 구비되고, 수용공간(111)(121)과 연통되어 인출끈(15)이 출입되도록 인출공(113)(123)이 구비되는 인출부(112)(122)와;
    타단에 목걸이줄(40)이 걸림되도록 구비되는 걸이부(114)(124);
    상기 수용공간(111)(121)에 구비되고 보빈(130)이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일단 또는 양단을 지지하도록 안착홈(119)(129)이 구비되는 받침부(118)(128)를 포함하고;
    상기 제1케이스(110)의 수용공간(111)에는 대향되게 일정높이 돌출되어 탄성밴드(140)의 양단 각각을 고정하는 결합홈(116); 및
    상기 제2케이스(120)의 수용공간(121)에는 상기 결합홈(116)에 일단이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케이스(110)(120)가 상호 결합 고정되도록 하는 결합돌기(12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탐지가 되지않는 표찰케이스용 릴홀더.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빈(130)은,
    외주연에서 내측으로 일정깊이 함몰되어 인출끈(15)이 권취되는 권취홈(132)과;
    일단 또는 양단 각각에 구비되어 제1 및 제2케이스(110)(120)의 수용공간(111)(121)에 구비되는 받침부(118)(128)에 받침되어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도록 받침되는 안착돌기(134); 및
    중앙에 탄성밴드(140)가 삽입되도록 관통되는 밴드삽입공(13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탐지가 되지않는 표찰케이스용 릴홀더.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보빈(130)에는 축삽입공(138)을 포함하고;
    상기 축삽입공(138)에는 상기 밴드삽입공(136)에 삽입된 탄성밴드(140)의 일측이 걸림되어, 상기 보빈(130)이 회전할 때 상기 탄성밴드(140)를 꼬아줌으로써 상기 탄성밴드(140)에서 복귀 탄성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고정축(1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탐지가 되지않는 표찰케이스용 릴홀더.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축삽입공(138)은,
    상기 보빈(130)을 관통하도록 구비하되;
    관통하는 어느 일단은 고정축(150)의 끝단을 고정하면서 상기 고정축(150)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으로 관통되어 인출끈(15)을 통과시키며 상기 인출끈(15)의 끝단 매듭이 걸림 고정되도록 하는 끈삽입공(139)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탐지가 되지않는 표찰케이스용 릴홀더.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축삽입공(138)은,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보빈(130)의 권취홈(132)을 관통하는 위치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탐지가 되지않는 표찰케이스용 릴홀더.
KR1020130083353A 2013-07-16 2013-07-16 금속탐지가 되지않는 표찰케이스용 릴홀더 KR101435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3353A KR101435405B1 (ko) 2013-07-16 2013-07-16 금속탐지가 되지않는 표찰케이스용 릴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3353A KR101435405B1 (ko) 2013-07-16 2013-07-16 금속탐지가 되지않는 표찰케이스용 릴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5405B1 true KR101435405B1 (ko) 2014-08-29

Family

ID=51751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3353A KR101435405B1 (ko) 2013-07-16 2013-07-16 금속탐지가 되지않는 표찰케이스용 릴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54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48386A1 (ko) * 2015-03-13 2016-09-22 (주)상일씨앤씨 와이어 인출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703480A (ko) * 1993-07-14 1995-09-20 마에다 가쓰노스케 보빈 홀더 및 그 보빈 홀더를 구비한 권취(卷取)장치(bobbin holder and wind-up gear provided tith the same)
KR100465808B1 (ko) 2002-10-07 2005-01-13 삼신이노텍 주식회사 목걸이형 릴타입 이어 마이크
KR100950450B1 (ko) 2008-04-04 2010-04-02 (주)상일씨앤씨 표찰케이스용 줄 인출장치
KR200452918Y1 (ko) 2009-03-11 2011-03-28 김영두 의류용 택 고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703480A (ko) * 1993-07-14 1995-09-20 마에다 가쓰노스케 보빈 홀더 및 그 보빈 홀더를 구비한 권취(卷取)장치(bobbin holder and wind-up gear provided tith the same)
KR100465808B1 (ko) 2002-10-07 2005-01-13 삼신이노텍 주식회사 목걸이형 릴타입 이어 마이크
KR100950450B1 (ko) 2008-04-04 2010-04-02 (주)상일씨앤씨 표찰케이스용 줄 인출장치
KR200452918Y1 (ko) 2009-03-11 2011-03-28 김영두 의류용 택 고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48386A1 (ko) * 2015-03-13 2016-09-22 (주)상일씨앤씨 와이어 인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66283B2 (en) Fiber optic storing and dispensing apparatus
US6250578B1 (en) Cable winding housing
KR101435405B1 (ko) 금속탐지가 되지않는 표찰케이스용 릴홀더
US6626389B2 (en) Retractable modem cord device with spinning display
KR101181061B1 (ko) 권취릴이 내장된 목걸이형 인식표
US2824709A (en) Dispenser for filamentary material
KR101404022B1 (ko) 인출입 기능을 갖춘 명찰 케이스장치
CN103245261B (zh) 卷尺
KR101843864B1 (ko) 표찰 케이스
US20170183196A1 (en) Cable spool
KR101285836B1 (ko) 표찰케이스
KR101459274B1 (ko) 금속탐지가 되지 않는 표찰케이스용 릴홀더
US3019893A (en) Bobbin hobble
EP1083564A2 (en) Tape cartridge
KR20140003900U (ko) 펜 타입의 케이스 일체형 이어폰
KR101850747B1 (ko) 자동 줄감개
KR200474786Y1 (ko) 신분증 케이스
KR200460005Y1 (ko) 샤프심의 인출이 용이한 샤프펜슬
KR200455887Y1 (ko) 케이블 고정부재
KR101701393B1 (ko) 권취수단
CN208241007U (zh) 万向拉线盒
KR101828013B1 (ko) 구겨지지 않는 국기함
KR20240072546A (ko) 명찰 케이스
KR20170072736A (ko) 펜을 갖는 홀더
KR101621957B1 (ko) 권취수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