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5360B1 - 트위스트 알루미늄 배관 형성을 위한 금형 - Google Patents

트위스트 알루미늄 배관 형성을 위한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5360B1
KR101435360B1 KR1020140075392A KR20140075392A KR101435360B1 KR 101435360 B1 KR101435360 B1 KR 101435360B1 KR 1020140075392 A KR1020140075392 A KR 1020140075392A KR 20140075392 A KR20140075392 A KR 20140075392A KR 101435360 B1 KR101435360 B1 KR 101435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aluminum pipe
aluminum
twisted
extru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5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보교
Original Assignee
한보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보교 filed Critical 한보교
Priority to KR1020140075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53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5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53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23/00Extruding metal; Impact extrusion
    • B21C23/02Making uncoated products
    • B21C23/04Making uncoated products by direct extrusion
    • B21C23/14Making other products
    • B21C23/16Making turbo blades or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25/00Profiling tools for metal extruding
    • B21C25/02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29/00Cooling or heating work or parts of the extrusion press; Gas treatment of work
    • B21C29/003Cooling or heating of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trusion Of Me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위스트 알루미늄 배관 형성을 위한 금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냉동에서 공냉식 증발기(Evaporator) 및 응축기(Condencer), 수냉식 증발기 및 응축기, 오일쿨러(Oil Cooler), 보일러(Boiler)내 등 산업 전반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열 교환기(Heat Exchanger)의 열 교환 능력을 증대시키는 즉, 냉매의 흐름을 신속하게 하면서 성능이 개선토록 하기 위해 트위스트 스파이럴을 형성토록 하기 위한 트위스트 알루미늄 배관 형성을 위한 금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적 수단은,
"일측에는 알루미늄을 압압하는 피스톤이 타측에는 알루미늄배관이 압출되는 금형이 구비된 압출기와 상기 압출기로 부터 압출되는 알루미늄배관을 냉각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이용하여 급냉시키는 냉각기와, 상기 냉각된 알루미늄 배관을 이송하는 이송기로 이루어지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금형은, 압출기로 부터 알루미늄이 압출토록 일측은 평평한 상태에서 복수개 이상의 압출공이 관통 천공되어 있고 타측은 중심축이 구비되어 있되 상기 중심축의 끝단 외주부에는 알루미늄배관 내경에 트위스트 형상이 표출토록 트위스트 가이더가 형성되어 있고 최외각 외주면에는 체결턱이 형성되어 있는 제1 금형과, 상기 제1 금형의 상기 체결턱에 체결토록 일측 최외각 외주면에 체결돌기가 구비되어 있고 중앙에는 상기 중심축의 끝단 외주부에 형성된 트위스트 가이더보다 상대적으로 지름이 큰 압출홀이 천공된 제2 금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위스트 알루미늄 배관 형성을 위한 금형"을 구성적 특징 함으로서,
본 발명은 압출기로부터 압출시 자동으로 내경 또는 외경 더 나아가서 내외경에 동시에 트위스트 형상이 표출되어 압출됨으로서 기존의 별도의 트위스트기를 구비하여 외부에서 압출되어 나오는 알루미늄 배관을 회전시키는 등의 복잡하고 비효율적인 장치에 비해 간편하고 신속하면서 장치의 심플화로 인한 경제성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트위스트 알루미늄 배관 형성을 위한 금형{Molds for forming the twisted aluminum pipe}
본 발명은 트위스트 알루미늄 배관 형성을 위한 금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냉동에서 공냉식 증발기(Evaporator) 및 응축기(Condencer), 수냉식 증발기 및 응축기, 오일쿨러(Oil Cooler), 보일러(Boiler)내 등 산업 전반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열 교환기(Heat Exchanger)의 열 교환 능력을 증대시키는 즉, 냉매의 흐름을 신속하게 하면서 성능이 개선토록 하기 위해 트위스트 스파이럴을 형성토록 하기 위한 트위스트 알루미늄 배관 형성을 위한 금형에 관한 것이다.
우선, 알루미늄이라는 이름은 백반(白礬)에서 유래한다. 즉, 백반 속에 금속원소의 산화물이 존재한다는 것은 이미 1754년 독일의 A.S.마르크그라프에 의해 확인되었으나, 영국의 H.데이비는 이것에서 금속을 얻을 수 있다고 하여, 그 금속을 백반의 라틴어인 almen을 따서 알뮴(almium)이라 명명하였다.
그 후 금속원소로 확인되어 알루미늄이라고 부르게 되었고 1827년 독일의 F.뵐러가 처음 금속으로 분리하였다.
알루미늄의 공업화는 1955년 전기분해에 의해 금속을 얻는 방법을 발견한 프랑스의 H.E.생트클레르드빌에 의해서 시작되었으며, 1966년에 프랑스의 P.L.T.에루 및 미국의 C.M.홀에 의해서 독립적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한 전기분해 제조법(에루-홀법)이 발명됨으로써 오늘날의 경합금시대의 기초가 마련되었다.
알루미늄은 비중이 작아서 가벼운 점을 이용하여 항공기, 자동차, 선박, 철도 등에 사용되고, 전기의 양도체인 점을 이용하여 송전선 등에 사용되고, 대기중에서의 내식성(耐蝕性)이 강하고 인체에 해가 없는 점 때문에 식품공업·식기류 등에도 많이 이용되고, 이밖에 페인트, 알루미늄박에 의한 포장, 건축재료, 원자로재 등에도 이용되는 등 현재까지 매우 많은 용도가 알려져 있다.
알루미늄은 전성(展性), 연성(延性)이 풍부하기 때문에 봉재(棒材), 형재(型材), 관재(管材), 판재(板材), 박재(箔材), 선재(線材), 등 모든 형태로 가공이 가능하며, 일반적으로 봉재, 형재, 관재 등의 일정한 단면을 가진 제품으로 형성하기 위해서는 압출 장치를 이용한 압출 공정이 적용된다.
상기와 같은 알루미늄을 소재로 한 냉매관은 공조장치의 냉방 시스템을 이루는 증발기, 응축기 등의 열교환기에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에 열교환 매체인 냉매의 유동 경로가 형성되어 외부와 열교환을 수행한다.
이러한 냉매관은 열전도율이 높아야 하며 따라서 알루미늄 소재 등으로 이루어지며 일정 길이를 갖는 원형 또는 기타 타원형 및 반원형 등 다양한 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기와 같이 냉매관 즉, 알루미늄 압출 장치는 알루미늄 빌렛(billet)을 내부에 수용하고 압출 금형을 통해 압출함으로서 알루미늄 배관이 압출 성형방식으로 제조되며, 상기 압출기의 후측에는 알루미늄 배관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기가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인 장치인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냉매관이나 열교환 파이프는 냉매 또는 유체가 흐를 수 있는 내부통로를 갖추고 있으며, 내부통로를 통과하는 유체와 주변의 유체간에 상호 열교환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알루미늄 압출 장치는 알루미늄을 단순히 직선적으로 압출만을 할 수 있을 뿐 트위스트는 하지 못함으로서 다양한 압출 제품 수요에 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트위스트 형상을 이루는 파이프를 개발할 필요성이 있는데 상기와 같은 파이프는 주변 유체와의 열교환 면적이 증가될 수 있도록, 표면적이 넓은 구조로 되어있다. 그 일례로서, 파이프의 외면에 나선형 홈을 형성하여 표면적을 증가시킨 구조가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외면에 트위스트 형상을 이루는 파이프에 대한 선행자료로서 특허 출원 제2012-0063208호 발명의 명칭 '이중관용 스파이럴 트위스트 알루미늄 배관의 제조 방법 및 장치'가 존재하며 그 기술적 요지를 살펴보면,
청구항 1
내주면에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안내 돌기를 포함한 형태로 알루미늄 배관을 압출하는 압출기;
상기 압출기의 후측으로 트위스트 구간(T)을 형성하면서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압출기를 통해 압출된 알루미늄 배관이 지나면서 냉각되는 냉각기; 및
상기 냉각기의 후측으로 배치되고 상기 냉각기에서 냉각된 알루미늄 배관을 클램핑하여 후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알루미늄 배관을 설정된 속도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트위스트 구간(T)에서 알루미늄 배관의 꼬임이 발생하도록 한 트위스트기를 포함하되,
상기 냉각기는 상기 트위스트 구간(T)을 통과한 알루미늄 배관의 표면에 냉각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고 알루미늄 배관을 냉각수로 급냉시킴으로써, 트위스트 구간에서만 알루미늄 배관이 꼬임되도록 하는 수냉기로 구성되며,
상기 트위스트기는,
가이드 레일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설치되고 전단으로 상기 알루미늄 배관을 클램핑하는 클램프를 구비한 회전대로서, 상기 클램프는 알루미늄 배관의 내경이 삽입되고 주면에 알루미늄 배관의 내주면에 형성된 안내 돌기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된 내경삽입축과 상기 알루미늄 배관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외경가압부를 구비하는, 회전대;
상기 베이스에 부착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기 베이스가 이동하는 이동 속도를 검출하는 이동량검출기; 및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량 검출기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회전대를 설정된 속도로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관용 스파이럴 트위스트 알루미늄 배관의 제조 장치.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선행자료는 외주면에 트위스트를 가능하도록 하고 또한 트위스트기가 별도로 장치화되어 있어 작업의 신속성이나 장치의 경제성에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45006호 한국 특허등록 제10-0867143호 한국 특허출원 제2012-0063208호 한국 특허공개 제2001-004412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냉동에서 공냉식 증발기(Evaporator) 및 응축기(Condencer), 수냉식 증발기 및 응축기, 오일쿨러(Oil Cooler), 보일러(Boiler)내 등 산업 전반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열 교환기(Heat Exchanger)의 열 교환 능력을 증대시키는 즉, 냉매의 흐름을 신속하게 하면서 성능이 개선토록 하기 위해 내외경에 트위스트 스파이럴을 형성토록 함에 있어 장치의 간편성 및 효율성을 증대할 수 있도록 한 트위스트 알루미늄 배관 형성을 위한 금형을 제공하고자 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일측에는 알루미늄을 압압하는 피스톤이 타측에는 알루미늄배관이 압출되는 금형이 구비된 압출기와 상기 압출기로 부터 압출되는 알루미늄배관을 냉각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이용하여 급냉시키는 냉각기와, 상기 냉각된 알루미늄 배관을 이송하는 이송기로 이루어지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금형은, 압출기로 부터 알루미늄이 압출토록 일측은 평평한 상태에서 복수개 이상의 압출공이 관통 천공되어 있고 타측은 중심축이 구비되어 있되 상기 중심축의 끝단 외주부에는 알루미늄배관 내경에 트위스트 형상이 표출토록 트위스트 가이더가 형성되어 있고 최외각 외주면에는 체결턱이 형성되어 있는 제1 금형과, 상기 제1 금형의 상기 체결턱에 체결토록 일측 최외각 외주면에 체결돌기가 구비되어 있고 중앙에는 상기 중심축의 끝단 외주부에 형성된 트위스트 가이더보다 상대적으로 지름이 큰 압출홀이 천공된 제2 금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위스트 알루미늄 배관 형성을 위한 금형과,
일측에는 알루미늄을 압압하는 피스톤이 타측에는 알루미늄배관이 압출되는 금형이 구비된 압출기와 상기 압출기로 부터 압출되는 알루미늄배관을 냉각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이용하여 급냉시키는 냉각기와, 상기 냉각된 알루미늄 배관을 이송하는 이송기로 이루어지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금형은, 압출기로 부터 알루미늄이 압출토록 일측은 평평한 상태에서 복수개 이상의 압출공이 관통 천공되어 있고 타측은 중심축이 형성되어 있고 최외각 외주면에는 체결턱이 형성되어 있는 제1 금형과, 상기 제1 금형의 상기 체결턱에 체결토록 일측 최외각 외주면에 체결돌기가 구비되어 있고 중앙에는 상기 중심축보다 상대적으로 지름이 크게 형성된 것으로 알루미늄배관 외경에 트위스트 형상이 표출토록 트위스트 가이더가 전방 내주부에 형성되어 있는 압출홀이 천공된 제2 금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위스트 알루미늄 배관 형성을 위한 금형과,
상기 트위스트 가이더는 홈과 돌기가 교호로 형성되어 있되 상기 돌기가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위스트 알루미늄 배관 형성을 위한 금형과,
상기 트위스트 가이더에 형성된 상기 돌기의 경사도는 3 ~ 60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위스트 알루미늄 배관 형성을 위한 금형과,
상기 압출공은 총3개로 이루어지되 상기 3개의 압출공중 어느 하나의 압출공은 나머지 2개의 압출공의 크기보다 작거나 또는 큰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위스트 알루미늄 배관 형성을 위한 금형과,
상기 압출공은 총3개로 이루어지되 상기 3개의 압출공 모두 각각 크기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위스트 알루미늄 배관 형성을 위한 금형과,
상기 제2 금형의 압출홀과 인접된 주위에 일방향으로 테이퍼진 프로펠라가 복수개이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위스트 알루미늄 배관 형성을 위한 금형과,
상기 압출공의 내주부는 외측에서 내측인 상기 중심축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하여 알루미늄이 압출시 상기 중심축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쏠려 압출이 용이하게 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위스트 알루미늄 배관 형성을 위한 금형 "을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압출기로부터 압출시 자동으로 내경 또는 외경 더 나아가서 내외경에 동시에 트위스트 형상이 표출되어 압출됨으로서 기존의 별도의 트위스트기를 구비하여 외부에서 압출되어 나오는 알루미늄 배관을 회전시키는 등의 복잡하고 비효율적인 장치에 비해 간편하고 신속하면서 장치의 심플화로 인한 경제성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트위스트 알루미늄 배관 형성을 위한 금형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트위스트 알루미늄 배관 형성을 위한 금형에 있어서 제1 금형의 절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트위스트 알루미늄 배관 형성을 위한 금형의 절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트위스트 알루미늄 배관 형성을 위한 금형에 있어서 제2 금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트위스트 알루미늄 배관 형성을 위한 금형에 있어서 알루미늄 배관을 제조하는 장치를 통해 알루미늄 배관의 내경에 트위스트를 표출토록 하는 전체 장치의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인 트위스트 알루미늄 배관 형성을 위한 금형에 있어서 제1 금형 및 제2 금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인 트위스트 알루미늄 배관 형성을 위한 금형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트위스트 알루미늄 배관 형성을 위한 금형 분리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인 트위스트 알루미늄 배관 형성을 위한 금형에 있어서 제1 금형의 절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트위스트 알루미늄 배관 형성을 위한 금형의 절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트위스트 알루미늄 배관 형성을 위한 금형에 있어서 제2 금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트위스트 알루미늄 배관 형성을 위한 금형에 있어서 알루미늄 배관을 제조하는 장치를 통해 알루미늄 배관의 내경에 트위스트를 표출토록 하는 전체 장치의 개략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인 트위스트 알루미늄 배관 형성을 위한 금형에 있어서 제1 금형 및 제2 금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우선, 종래의 알루미늄 배관(A)를 제조하는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면,
일측에는 알루미늄을 압압하는 피스톤(11)이 타측에는 알루미늄배관(A)이 압출되는 금형(10)이 구비된 압출기(20)와 상기 압출기(20)로 부터 압출되는 알루미늄배관(A)을 냉각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31)을 이용하여 급냉시키는 냉각기(30)와, 상기 냉각된 알루미늄 배관(A)을 이송하는 이송기(40)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서의 핵심사항인 금형(10)을 본 발명에서는 제1 금형(100)과 제2 금형(200)으로 이루어져 있다.
[실시예 1]
먼저,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제1 금형(10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출기(10)로 부터 알루미늄이 압출토록 일측은 평평한 상태에서 복수개 이상의 압출공(110)이 관통 천공되어 있고 타측은 중심축(120)이 구비되어 있되 상기 중심축(120)의 끝단 외주부에는 알루미늄배관 내경에 트위스트 형상이 표출토록 트위스트 가이더(121)가 형성되어 있고 최외각 외주면에는 체결턱(13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다음, 제2 금형(200)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금형(100)의 상기 체결턱(130)에 체결토록 일측 최외각 외주면에 체결돌기(210)가 구비되어 있고 중앙에는 상기 중심축(120)의 끝단 외주부에 형성된 트위스트 가이더(121)보다 상대적으로 지름이 큰 압출홀(220)이 천공 형성된 것이다.
상기 트위스트 가이더(12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122)과 돌기(123)가 교호로 형성되어 있되 상기 돌기(123)가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트위스트 가이더(121)에 형성된 상기 돌기(123)의 경사도는 3 ~ 60도로 이루어진 것이다.
한편, 상기 압출공(1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적의 조건으로 총3개로 이루어지되 3개의 압출공(110)이 모두 같은 크기 및 같은 형상을 이루더라도 문제되지 아니하나, 더욱 원활하게 알루미늄이 압출키 위해서는 상기 3개의 압출공(110)중 어느 하나의 압출공(110)은 나머지 2개의 압출공(110)의 크기보다 작거나 또는 크도록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압출공(110)은 총3개로 이루어지되 상기 3개의 압출공(110) 모두 각각 크기가 상이한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출공(110)의 내주부는 외측에서 내측인 상기 중심축(120)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하여 알루미늄이 압출시 상기 중심축(120)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쏠려 압출이 용이하게 하도록 한 것이다.
다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금형(200)의 압출홀(110)과 인접된 주위에 일방향으로 테이퍼진 프로펠라(230)가 복수개이상 구비된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3개의 프로펠라(230)를 형성토록 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압출기(20)로 부터 금형(10) 방향으로 알루미늄을 압출시 제1 금형(100)의 압출공(110)을 통해 알루미늄이 압출되되 상기 압출공(110)의 내주부는 외측에서 내측인 상기 중심축(120)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하여 알루미늄이 압출시 상기 중심축(120)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쏠려 압출이 용이하게 하도록 함으로서 원활하게 상기 압출공(110)에서 중심축(120)으로 알루미늄이 압출되면서 이와 같이 압출된 알루미늄은 상기 중심축(120) 선단에 구비된 트위스트 가이더(121)의 외주부를 통과함과 동시에 제2 금형(200)의 압출홀(220)로 배관형태로 압출되는 것으로서 상기 배관형태의 압출시 내경은 상기 트위스트 가이더(121)가 홈(122)과 돌기(123)가 교호로 형성되어 있되 상기 돌기(123)가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알루미늄 배관(A)의 내경에 스파이럴 형상인 트위스트 형상이 표출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2 금형(200)의 압출홀(110)과 인접된 주위에 일방향으로 테이퍼진 프로펠라(230)가 복수개이상 구비됨으로서 알루미늄이 중심축(120) 방향으로 더욱 더 원활하게 집중적으로 압출 가능하는데 그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내경에 트위스트 형상이 표출된 알루미늄 배관(A)의 제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와 같이 작용함으로서 알루미늄 배관(A)의 내경에 트위스트 형상이 표출 및 표현됨으로서 결국은 열 교환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실시예 2]
본 실시예와 상기 실시예 1의 핵심적인 차이점은 상기 트위스트 가이더(121)이 상기 실시예 1은 제1 금형(100)의 중심축(120) 끝단 외주부에 구비되어 있으나 본 실시예는 제2 금형(200)의 압출홀(220)의 전방 내주부에 구비된 점이다.
이하,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제1 금형(1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출기(10)로 부터 알루미늄이 압출토록 일측은 평평한 상태에서 복수개 이상의 압출공(110)이 관통 천공되어 있고 타측은 중심축(120)이 형성되어 있고 최외각 외주면에는 체결턱(130)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다.
다음, 제2 금형(2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금형(100)의 상기 체결턱(130)에 체결토록 일측 최외각 외주면에 체결돌기(210)가 구비되어 있고 중앙에는 상기 중심축(120)보다 상대적으로 지름이 크게 형성된 것으로 알루미늄배관 외경에 트위스트 형상이 표출토록 트위스트 가이더(121)가 전방 내주부에 형성되어 있는 압출홀(220)이 천공된 구조이다.
상기 트위스트 가이더(121)는 홈(122)과 돌기(123)가 교호로 형성되어 있되 상기 돌기(123)가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구조나,
상기 트위스트 가이더(121)에 형성된 상기 돌기(123)의 경사도는 3 ~ 60도로 이루어진 것 구조,
상기 압출공(110)은 총3개로 이루어지되 상기 3개의 압출공(110)중 어느 하나의 압출공(110)은 나머지 2개의 압출공(110)의 크기보다 작거나 또는 크게 이루어진 구조, 상기 압출공(110)은 총3개로 이루어지되 상기 3개의 압출공(110) 모두 각각 크기가 상이한 구조, 상기 제2 금형(200)의 압출홀(110)과 인접된 주위에 일방향으로 테이퍼진 프로펠라(230)가 복수개이상 구비된 구조나,
상기 압출공(110)의 내주부는 외측에서 내측인 상기 중심축(120)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하여 알루미늄이 압출시 상기 중심축(120)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쏠려 압출이 용이하게 하도록 한 것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이하, 본 실시예 2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 또한 실시예 1과 대동소이한 작용을 발휘하는 것으로서 먼저, 압출기(20)로 부터 금형(10) 방향으로 알루미늄을 압출시 제1 금형(100)의 압출공(110)을 통해 알루미늄이 압출되되 상기 압출공(110)의 내주부는 외측에서 내측인 상기 중심축(120)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하여 알루미늄이 압출시 상기 중심축(120)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쏠려 압출이 용이하게 하도록 함으로서 원활하게 상기 압출공(110)에서 중심축(120)으로 알루미늄이 압출되면서 이와 같이 압출된 알루미늄은 상기 제1 금형(100)과 제 금형(200)이 중심축(100)이 압출홀(220)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이므로 알루미늄은 상기 중심축(120) 외주부를 통과함과 동시에 제2 금형(200)의 압출홀(220) 전방 내주부에 형성되어 있는 트위스트 가이더(121)의 내주부를 통과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압출시 알루미늄 배관(A)의 외경에는 상기 제2 금형(200)의 압출홀(220) 전방 내주부에 구비된 트위스트 가이더(121)의 경사진 돌기(123)에 의해 트위스트 형상이 표출되면서 제2 금형(200)의 압출홀(220)을 압출 통과되고 따라서, 알루미늄 배관(A) 외경에 트위스트 형상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외경에 트위스트 형상이 표출된 알루미늄 배관(A)은 결국은 열 교환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2를 동시에 적용함으로서 알루미늄 배관(A)의 내외경에 모두 트위스트 형상의 표출이 가능하고 이와 같은 기술 및 청구범위는 당연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트위스트 형상을 내경 또는 외경 및 내외경에 표출 가능한 것은 트위스트 가이더(121)의 홈(122)과 돌기(123) 내경 형성시에는 상기 돌기(123)가 외경 형성시에는 상기 홈(122)이 센터를 중심으로 볼때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경사도는 본 발명에서 3 ~ 60도라고 최적의 범위를 정하였으나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사도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압출기로부터 압출시 자동으로 내경 또는 외경 더 나아가서 내외경에 동시에 트위스트 형상이 표출되어 압출됨으로서 기존의 별도의 트위스트기를 구비하여 외부에서 압출되어 나오는 알루미늄 배관을 회전시키는 등의 복잡하고 비효율적인 장치에 비해 간편하고 신속하면서 장치의 심플화로 인한 경제성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10 : 금형 11 : 피스톤
20 : 압출기 30 : 냉각기
31 : 분사노즐 40 : 이송기
100 : 제1 금형 110 : 압출공
120 : 중심축 121 : 트위스트 가이더
122 : 홈 123 : 돌기
130 : 체결턱 200 : 제2 금형
210 : 체결돌기 220 : 압출홀
230 : 프로펠라 A : 알루미늄 배관

Claims (8)

  1. 일측에는 알루미늄을 압압하는 피스톤(11)이 타측에는 알루미늄배관(A)이 압출되는 금형(10)이 구비된 압출기(20)와 상기 압출기(20)로 부터 압출되는 알루미늄배관(A)을 냉각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31)을 이용하여 급냉시키는 냉각기(30)와, 상기 냉각된 알루미늄 배관(A)을 이송하는 이송기(40)로 이루어지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금형(10)은,
    압출기(10)로 부터 알루미늄이 압출토록 일측은 평평한 상태에서 복수개 이상의 압출공(110)이 관통 천공되어 있고 타측은 중심축(120)이 구비되어 있되 상기 중심축(120)의 끝단 외주부에는 알루미늄배관 내경에 트위스트 형상이 표출토록 트위스트 가이더(121)가 형성되어 있고 최외각 외주면에는 체결턱(130)이 형성되어 있는 제1 금형(100)과,
    상기 제1 금형(100)의 상기 체결턱(130)에 체결토록 일측 최외각 외주면에 체결돌기(210)가 구비되어 있고 중앙에는 상기 중심축(120)의 끝단 외주부에 형성된 트위스트 가이더(121)보다 상대적으로 지름이 큰 압출홀(220)이 천공된 제2 금형(20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위스트 알루미늄 배관 형성을 위한 금형.
  2. 일측에는 알루미늄을 압압하는 피스톤(11)이 타측에는 알루미늄배관(A)이 압출되는 금형(10)이 구비된 압출기(20)와 상기 압출기(20)로 부터 압출되는 알루미늄배관(A)을 냉각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31)을 이용하여 급냉시키는 냉각기(30)와, 상기 냉각된 알루미늄 배관(A)을 이송하는 이송기(40)로 이루어지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금형(10)은,
    압출기(10)로 부터 알루미늄이 압출토록 일측은 평평한 상태에서 복수개 이상의 압출공(110)이 관통 천공되어 있고 타측은 중심축(120)이 형성되어 있고 최외각 외주면에는 체결턱(130)이 형성되어 있는 제1 금형(100)과,
    상기 제1 금형(100)의 상기 체결턱(130)에 체결토록 일측 최외각 외주면에 체결돌기(210)가 구비되어 있고 중앙에는 상기 중심축(120)보다 상대적으로 지름이 크게 형성된 것으로 알루미늄배관 외경에 트위스트 형상이 표출토록 트위스트 가이더(121)가 전방 내주부에 형성되어 있는 압출홀(220)이 천공된 제2 금형(20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위스트 알루미늄 배관 형성을 위한 금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트위스트 가이더(121)는 홈(122)과 돌기(123)가 교호로 형성되어 있되 상기 돌기(123)가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위스트 알루미늄 배관 형성을 위한 금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트위스트 가이더(121)에 형성된 상기 돌기(123)의 경사도는 3 ~ 60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위스트 알루미늄 배관 형성을 위한 금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공(110)은 총3개로 이루어지되 상기 3개의 압출공(110)중 어느 하나의 압출공(110)은 나머지 2개의 압출공(110)의 크기보다 작거나 또는 큰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위스트 알루미늄 배관 형성을 위한 금형.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공(110)은 총3개로 이루어지되 상기 3개의 압출공(110) 모두 각각 크기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위스트 알루미늄 배관 형성을 위한 금형.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금형(200)의 압출홀(110)과 인접된 주위에 일방향으로 테이퍼진 프로펠라(230)가 복수개이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위스트 알루미늄 배관 형성을 위한 금형.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공(110)의 내주부는 외측에서 내측인 상기 중심축(120)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하여 알루미늄이 압출시 상기 중심축(120)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쏠려 압출이 용이하게 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위스트 알루미늄 배관 형성을 위한 금형.







KR1020140075392A 2014-06-20 2014-06-20 트위스트 알루미늄 배관 형성을 위한 금형 KR101435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392A KR101435360B1 (ko) 2014-06-20 2014-06-20 트위스트 알루미늄 배관 형성을 위한 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392A KR101435360B1 (ko) 2014-06-20 2014-06-20 트위스트 알루미늄 배관 형성을 위한 금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5360B1 true KR101435360B1 (ko) 2014-09-01

Family

ID=51758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5392A KR101435360B1 (ko) 2014-06-20 2014-06-20 트위스트 알루미늄 배관 형성을 위한 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536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4120A (ko) * 2000-10-30 2001-06-05 계형산 스파이럴 파이프 및 그 성형장치
KR200245006Y1 (ko) 2001-06-01 2001-10-17 주식회사 대륭산업 나선형 동관 제조장치
KR20050087614A (ko) * 2004-02-27 2005-08-31 유환종 알루미늄 압출 트위스트 장치
KR101331150B1 (ko) 2012-06-13 2013-11-20 주식회사 한국종합금속 이중관용 스파이럴 트위스트 알루미늄 배관의 제조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4120A (ko) * 2000-10-30 2001-06-05 계형산 스파이럴 파이프 및 그 성형장치
KR200245006Y1 (ko) 2001-06-01 2001-10-17 주식회사 대륭산업 나선형 동관 제조장치
KR20050087614A (ko) * 2004-02-27 2005-08-31 유환종 알루미늄 압출 트위스트 장치
KR101331150B1 (ko) 2012-06-13 2013-11-20 주식회사 한국종합금속 이중관용 스파이럴 트위스트 알루미늄 배관의 제조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42000C (zh) 一种高翅片热交换管的加工方法
CN102626734B (zh) 换热设备用螺旋扁管辊轧成型机
CN101182977A (zh) 内交叉螺旋外三维菱形肋双侧强化传热管
CN104174678B (zh) 扩展型腔大面的对称面与挤压轮轴线垂直的连续挤压机
CN207681193U (zh) 无缝铝管挤压装置
CN107030134A (zh) 金属板带坯料的连续挤压生产方法
JP2015531327A (ja) 押出材を冷却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5871269B2 (ja) スパイラル管押出成形方法及びスパイラル管押出成形機
CN201271664Y (zh) 铝圆管扇形分流孔螺旋桥热挤压模具
CN201034432Y (zh) 高翅片热交换管
KR101435360B1 (ko) 트위스트 알루미늄 배관 형성을 위한 금형
CN104625594B (zh) 大型汽轮发电机转子用异型截面接头铜管的制造工艺方法
KR101554982B1 (ko) 스파이럴 파이프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03998890B (zh) 形成热交换管的方法和装置
CN107511983A (zh) 一种塑料管材定型挤出模具
KR102050859B1 (ko) 제트 패킹 몰딩 중합체 파이프라인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4307921A (zh) 无缝钢管生产工艺
CN209393743U (zh) 一种金属复合管的热挤压成型模具
CN201184767Y (zh) 铝质挤拉成型的高肋式换热管
KR101331150B1 (ko) 이중관용 스파이럴 트위스트 알루미늄 배관의 제조 방법 및 장치
CN215377060U (zh) 一种线缆加工生产线
CN101758102A (zh) 厚壁无缝钢管挤压成形模具
CN109263013A (zh) 一种耐磨抗高温电子连接线挤塑机模具
CN205684510U (zh) 钛及钛合金无缝管的热加工生产系统以及利用该热加工生产系统制得的无缝管
CN1342549A (zh) 无缝铝塑复合管的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