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5002B1 - 소프트 스타터 기능이 구현되도록 scr소자가 구비된 전기굴삭기용 전원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소프트 스타터 기능이 구현되도록 scr소자가 구비된 전기굴삭기용 전원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5002B1
KR101435002B1 KR1020130114991A KR20130114991A KR101435002B1 KR 101435002 B1 KR101435002 B1 KR 101435002B1 KR 1020130114991 A KR1020130114991 A KR 1020130114991A KR 20130114991 A KR20130114991 A KR 20130114991A KR 101435002 B1 KR101435002 B1 KR 101435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excavator
scr
unit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4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식
신영락
이승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틸
Priority to KR1020130114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50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5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5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468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characterised by reference voltage circuitry, e.g. soft start, remote shutdow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58Electric or electro-mechanical or mechanical control devices of vehicle sub-units
    • E02F9/2062Control of propulsion units
    • E02F9/207Control of propulsion units of the type electric propulsion units, e.g. electric motors or gener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1/00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1/16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dynamo-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1/26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dynamo-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an individual polyphase induction motor
    • H02P1/28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dynamo-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an individual polyphase induction motor by progressive increase of voltage applied to primary circuit of mo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3Discrete devices, e.g. 3 terminal devices
    • H01L2924/1301Thyristor
    • H01L2924/13034Silicon Controlled Rectifier [SC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 스타터 기능이 구현되도록 SCR소자가 구비된 전기굴삭기용 전원공급장치는 모터(M)를 이용하여 굴삭기(E)의 유압펌프를 기동하는 소프트 스타터 기능이 구현되도록 SCR소자가 구비된 전기굴삭기용 전원공급장치로서 전방으로 디퍼(11)와 암(12)이 구비되며 하부에 캐터필러타입의 이송부(13)가 구비된 전기굴삭기(10)와; 상기 전기굴삭기(10)의 상부에서 직립되며 내부에 케이블의 꼬임이 방지되도록 저중심슬립링(21)이 구비된 굴삭기포스트(20)와; 상기 저중심슬립링(21)에 연결되되, 상기 굴삭기포스트(20)의 상단부에서 외부로 연장된 전원케이블(30)과; 상기 전원케이블(30)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전기굴삭기(10)의 이동과 대응하여 회전하는 붐(41)과, 상기 붐(41)을 지면에서 수평으로 구비되도록 직립된 붐타워(42)로 이루어진 전원공급타워(40)와; 상기 전원공급타워(4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모터(M)에 인가되는 교류전원의 위상을 제어하는 SCR제어시스템(50)이 구비된 콘트롤박스(60);로 구성되어 전원공급타워의 일측에 구비되며 모터에 인가되는 교류전원의 위상을 제어하는 SCR제어시스템이 구비된 콘트롤박스를 구비하여 종래의 직입 기동시 발생되는 과전류 및 모터, 설비에 발생되는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소프트 스타터 기능이 구현되도록 SCR소자가 구비된 전기굴삭기용 전원공급장치 { Electrical power supply for excavator Soft starter with functions that implement the SCR components equipped }
본 발명은 소프트 스타터 기능이 구현되도록 SCR소자가 구비된 전기굴삭기용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의 직입 기동시 발생되는 과전류 및 모터, 설비에 발생되는 스트레스가 감소되도록 전원공급타워의 일측에 구비되며 모터에 인가되는 교류전원의 위상을 제어하는 SCR제어시스템(SOFT STARTER)이 구비된 콘트롤박스가 구비되고, 전기굴삭기의 이송 또는 회전으로 발생되는 충격하중을 최소화하는 것과 더불어 외부영향으로부터 보호되도록 굴삭기포스트의 내부에 저중심슬립링이 구비된 소프트 스타터 기능이 구현되도록 SCR소자가 구비된 전기굴삭기용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장비라 함은 토목 공사에 쓰는 중량이 큰 기계를 통틀어 이르는 말로, 기중기, 굴삭기, 지게차, 로우더 등 이루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종류의 것들이 있는데 이러한 중장비 중에서도 굴삭기는 땅을 파거나 깎을 때 사용되는 건설기계 중 대표적인 것으로 "포크레인"이라는 다른 명칭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굴삭기의 구성을 살펴보면 하부에 캐터필러가 장착되어 이동부가 구성되고, 이동부 상부에는 회동부가 설치되며, 회동부 상부 전방에는 캐빈(운전석)과 관절식 아암이 각각 장착되며, 아암의 선단부에는 굴착용 디퍼가 장착되어 땅을 파거나 깎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회동부의 후방에는 기계식 엔진이 장착되고, 상기 엔진 일측에는 유압펌프가 장착되며, 상기 엔진 타측에는 엔진 냉각을 위한 냉각수 라디에이터가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엔진 후방에는 카운터웨이트가 장착되어 굴삭기의 균형을 잡아 주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굴삭기는 보통 엔진에서 구동력을 얻어 유압펌프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상기한 엔진을 구동하기 위하여 경유를 연료로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엔진타입 굴삭기는 경유가 연소되는 과정에서 매연과 유해 물질이 다량 배출되고, 소음이 심각하여 대기를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건강을 해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최근 유류비의 상승으로 인해 굴삭기의 구동시 소요되는 비용이 상승하게 되어 굴삭기의 구동이 경제적으로 커다란 부담이 되고, 유류를 사용하여 엔진을 구동하는 특성상 엔진오일 및 각종 오일의 교체에 따른 유지비용이 소요되며, 사용 후 교체되는 폐오일의 처리로 인한 환경오염에 대한 문제점이 내포되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엔진타입 굴삭기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기로 구동되는 전기구동타입의 굴삭기가 개발되었고, 상기 굴삭기와 같은 이동장치에 전원을 연결할 수 있도록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이동장치의 전원공급장치"(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0387784호)가 종래의 기술문헌으로 개시되었다.
도 1은 종래의 이동장치의 전원공급장치에 대한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전원공급부(2)와 이동장치(3)로 구성된다.
즉, 상기 전원공급부(2)는 전기배선(2a)을 유도하여 전원공급이 상기 이동장치(3)보다 높은 높이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타워(4)와, 상기 타워(4)의 상측 단부에 구비되어 상하좌우로 자유 회전하는 회전체(4a)와, 전술한 회전체(4a)를 중심으로 힌지(4b) 결합되어 밸런스웨이트(4d)의 중량과 상기 이동장치(3)의 이동에 따른 당기는 힘의 차이에 의해 시소 운동하는 작동바(4c)와, 상기 작동바(4c)의 밸런스웨이트(4d)가 구비된 타측단으로 연장 인출되어 외부의 전원공급원으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상기 이동장치(3)의 전원부(3a)로 공급하는 전기배선(2a)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장치(3)는 작동바(4c)에서 인출 연장된 전기배선(2a)이 이동장치(3)의 최상단에서 본체의 전원부(3a)로 인입되도록 하는 타워(3b)와, 상기 타워(3b)의 상측 단부에 구비되며 자유회전하되, 슬립링타입의 전원회전전달체(3c)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이동장치 전원공급장치는 상기 이동장치(3)의 상단부가 회전할 경우 상기 전원회전전달체(3b)에 의해 타워(3b) 상부에 연결된 전기배선(2a)이 꼬이지 않게 되고, 상기 이동장치(3)가 이동을 하게 되면 상기 작동바(4c)가 회전체(4a)의 힌지(4b)를 중심으로 시소 운동함으로써, 상기 작동바(4c) 및 전기배선(2a)의 길이 범위 내에서 상기 이동장치(3)을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이동장치 전원공급장치는 상기 이동장치(3)가 일정거리를 이동할 경우 상기 전기배선(2a)의 외부에 단선을 방지하는 와이어케이블이 구비되는데 상기 와이어케이블과 전기배선(2a)의 마찰로 인하여 상기 전기배선(2a)이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이동장치 전원공급장치는 상기 이동장치(3)에 전원을 직접입력하여 기동하는 방법인 직입기동과 삼상 유도 전동기의 시동 방법인 철심에 코일을 권선하여 전원을 입력하는 리액타기동 중 어느 하나가 채택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종래의 직입기동 및 리액타기동은 최초 구동시 또는 정지시 정격전류가 과도하게 발생되어 전기장치에 충격을 주어 파손이 쉽고, 대형의 중장비를 기동하기 위하여 그 크기가 대형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굴삭기포스트의 내부에 저중심슬립링을 구비하여 전기굴삭기의 이송 또는 회전으로 발생되는 충격하중을 최소화하는 것과 더불어 외부영향으로부터 보호하며, 전원공급타워의 일측에 구비되며 모터에 인가되는 교류전원의 위상을 제어하는 SCR제어시스템이 구비된 콘트롤박스를 구비하여 종래의 직입 기동시 발생되는 과전류 및 모터, 설비에 발생되는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2단 시동방법을 채택하여 모터에 가해지는 부하 또는 과도한 전압 전류를 유입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소프트 스타터 기능이 구현되도록 SCR소자가 구비된 전기굴삭기용 전원공급장치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소프트 스타터 기능이 구현되도록 SCR소자가 구비된 전기굴삭기용 전원공급장치는 모터를 이용하여 굴삭기의 유압펌프를 기동하는 소프트 스타터 기능이 구현되도록 SCR소자가 구비된 전기굴삭기용 전원공급장치로서 전방으로 디퍼와 암이 구비되며 하부에 캐터필러타입의 이송부가 구비된 전기굴삭기와; 상기 전기굴삭기의 상부에서 직립되며 내부에 케이블의 꼬임이 방지되도록 저중심슬립링이 구비된 굴삭기포스트와; 상기 저중심슬립링에 연결되되, 상기 굴삭기포스트의 상단부에서 외부로 연장된 전원케이블과; 상기 전원케이블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전기굴삭기의 이동과 대응하여 회전하는 붐과, 상기 붐을 지면에서 수평으로 구비되도록 직립된 붐타워로 이루어진 전원공급타워와; 상기 전원공급타워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모터에 인가되는 교류전원의 위상을 제어하는 SCR제어시스템이 구비된 콘트롤박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SCR제어시스템은 상기 굴삭기의 유압펌프를 기동하는 모터를 제어하는 메인CPU부와; 상기 메인CPU부에 연결되어 외부전원을 공급받는 전원부와; 상기 메인CPU부에 연결되며 상기 모터의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입력제어부와; 상기 메인CPU부에 연결되며 상기 모터의 상태를 검출하는 제어검출부와; 상기 메인CPU부에 연결되며 상기 모터에 연결된 SCR소자를 구동하는 SCR구동부와; 상기 메인CPU부에 연결되며 상기 모터에 입력된 정/역 신호에 의하여 상기 모터를 온/오프 시키는 동작릴레이제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검출부는 상기 메인CPU부에 연결되어 일정 전류가 발생될 경우 멈춤신호를 발생시키는 과전류검출부와, 상기 메인CPU부에 연결되어 공급되는 교류전원에 대한 위상을 검출하는 위상검출부와, 상기 SCR소자의 후방에 연결되며 상기 SCR소자의 도통여부 및 모터의 결선여부를 검출하는 출력전압검출부와, 상기 모터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검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SCR제어시스템에는 상기 제어검출부에서 검출된 제어값이 정해진 제어값과 부합되지 않을 경우 에러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모터를 정지시키는 에러검출제어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SCR제어시스템에는 상기 메인CPU부에 연결되며 상기 모터에 입력되는 전원이 입력되거나 단락될 경우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바이패스제어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SCR제어시스템에는 보조작동제어부가 포함되고; 상기 보조작동제어부는 외부기기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SCR제어시스템의 진행상황을 외부로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와, 상기 SCR제어시스템의 설정값을 변경하는 키입력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굴삭기포스트는 상기 전기굴삭기의 상면에 직립되며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포스트본체와, 상기 공간부에 구비되며 상기 전원케이블의 꼬임을 방지하는 저중심슬립링과, 상기 저중심슬립링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기 전원케이블을 상기 포스트본체의 상부로 연결시키는 연결파이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소프트 스타터 기능이 구현되도록 SCR소자가 구비된 전기굴삭기용 전원공급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전기굴삭기에 전원을 연결하기 위하여 외부에서 연결된 전원케이블이 연결되는 굴삭기포스트의 내부에 저중심슬립링을 구비함으로써, 전기굴삭기의 이동시 상기 전원케이블이 꼬이는 것을 방지하는 것과 더불어 전기굴삭기의 이송 또는 회전으로 발생되는 충격하중을 최소화시키며, 외부영향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둘째, 전원공급타워의 일측에 구비되며 모터에 인가되는 교류전원의 위상을 제어하는 SCR제어시스템이 구비된 콘트롤박스를 구비함으로써, 모터에 인가되는 교류전류를 SCR소자로 위상을 제어하는 것으로 직입 기동시 발생되는 과전류 및 모터, 설비에 발생되는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모터를 부드럽게 기동시킬 수 있으며,
셋째, 공급되는 교류전원의 위상을 제어하는 SCR제어시스템이 구비됨으로써, 초기 70%의 전압 전류를 공급하여 모터를 미리 기동한 후 전체 전압 전류를 공급하는 2단 시동방법을 채택하여 모터에 가해지는 부하 또는 과도한 전압 전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넷째, 제어검출부에 설정된 전류가 발생되면 멈춤신호를 발생시키는 과전류검출부를 구비함으로써, 모터에 과전류가 공급되어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다섯째, 모터의 위상을 검출하는 위상검출부를 구비함으로써, 모터의 현재 위상을 검출하여 SCR소자의 동작여부를 선택할 수 있으며, SCR소자의 후방에 연결되는 출력전압검출부를 구비하여 SCR소자의 도통여부 및 모터의 결선여부를 검출할 수 있고,
여섯째, 제어검출부에 모터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검출부를 구비함으로써, 모터 또는 SCR소자가 동작되는 한계온도 이상 상승하는 시기를 검출하여 모터의 동작 여부를 미리 판단할 수 있으며,
일곱째, SCR제어시스템에 메인CPU부에 연결되는 바이패스제어부를 구비함으로써, 모터에 입력되는 전원이 입력되거나 단락될 경우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고,
여덜째, SCR제어시스템에 보조작동제어부를 포함함으로써, 전기굴삭기의 현재 상태를 외부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하거나 설정값을 변경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이동장치의 전원공급장치를 나타내 보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 스타터 기능이 구현되도록 SCR소자가 구비된 전기굴삭기용 전원공급장치를 나타내 보인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 스타터 기능이 구현되도록 SCR소자가 구비된 전기굴삭기용 전원공급장치의 굴삭기포스트를 나타내 보인 부분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 스타터 기능이 구현되도록 SCR소자가 구비된 전기굴삭기용 전원공급장치의 제어시스템을 나타내 보인 블럭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 스타터 기능이 구현되도록 SCR소자가 구비된 전기굴삭기용 전원공급장치의 동작형태를 나타내 보인 블럭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 스타터 기능이 구현되도록 SCR소자가 구비된 전기굴삭기용 전원공급장치의 위상을 비교하여 나타내 보인 위상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 스타터 기능이 구현되도록 SCR소자가 구비된 전기굴삭기용 전원공급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M)를 이용하여 굴삭기(E)의 유압펌프를 기동하는 소프트 스타터 기능이 구현되도록 SCR소자가 구비된 전기굴삭기용 전원공급장치로서 전방으로 디퍼(11)와 암(12)이 구비되며 하부에 캐터필러타입의 이송부(13)가 구비된 전기굴삭기(10)와; 상기 전기굴삭기(10)의 상부에서 직립되며 내부에 케이블의 꼬임이 방지되도록 저중심슬립링(21)이 구비된 굴삭기포스트(20)와; 상기 저중심슬립링(21)에 연결되되, 상기 굴삭기포스트(20)의 상단부에서 외부로 연장된 전원케이블(30)과; 상기 전원케이블(30)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전기굴삭기(10)의 이동과 대응하여 회전하는 붐(41)과, 상기 붐(41)을 지면에서 수평으로 구비되도록 직립된 붐타워(42)로 이루어진 전원공급타워(40)와; 상기 전원공급타워(4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모터(M)에 인가되는 교류전원의 위상을 제어하는 SCR제어시스템(50)이 구비된 콘트롤박스(6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굴삭기포스트(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기굴삭기(10)의 상면에 직립되며 내부에 공간부(22a)가 형성된 포스트본체(22)와, 상기 공간부(22a)에 구비되며 상기 전원케이블(30)의 꼬임을 방지하는 저중심슬립링(21)과, 상기 저중심슬립링(21)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기 전원케이블(30)을 상기 포스트본체(22)의 상부로 연결시키는 연결파이프(23)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전원케이블(30)은 상기 연결파이프(23)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포스트본체(22)의 상부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SCR제어시스템(5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굴삭기(E)의 유압펌프를 기동하는 모터(M)를 제어하는 메인CPU부(51)와; 상기 메인CPU부(51)에 연결되어 외부전원을 공급받는 전원부(52)와; 상기 메인CPU부(51)에 연결되며 상기 모터(M)의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입력제어부(53)와; 상기 메인CPU부(51)에 연결되며 상기 모터(M)의 상태를 검출하는 제어검출부(54)와; 상기 메인CPU부(51)에 연결되며 상기 모터(M)에 연결된 SCR소자(S)를 구동하는 SCR구동부(55)와; 상기 메인CPU부(51)에 연결되며 상기 모터(M)에 입력된 정/역 신호에 의하여 상기 모터(M)를 온/오프 시키는 동작릴레이제어부(56)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SCR소자(S)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SCR소자 2개가 연결되거나 SCR소자 1개와 일반 다이오드소자 1개가 연결되어 사용되는 것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검출부(5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CPU부(51)에 연결되어 일정 전류가 발생될 경우 멈춤신호를 발생시키는 과전류검출부(54a)와, 상기 메인CPU부(51)에 연결되어 공급되는 교류전원에 대한 위상을 검출하는 위상검출부(54b)와, 상기 SCR소자(S)의 후방에 연결되며 상기 SCR소자(S)의 도통여부 및 모터(M)의 결선여부를 검출하는 출력전압검출부(54c)와, 상기 모터(M)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검출부(54d)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SCR제어시스템(50)에는 상기 제어검출부(54)에서 검출된 제어값이 정해진 제어값과 부합되지 않을 경우 에러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모터(M)를 정지시키는 에러검출제어부(57)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SCR제어시스템(50)에는 상기 메인CPU부(51)에 연결되며 상기 모터(M)에 입력되는 전원이 입력되거나 단락될 경우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바이패스제어부(58)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SCR제어시스템(50)에는 보조작동제어부(59)가 포함되고; 상기 보조작동제어부(59)는 외부기기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59a)와, 상기 SCR제어시스템(50)의 진행상황을 외부로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59b)와, 상기 SCR제어시스템(50)의 설정값을 변경하는 키입력부(59c)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소프트 스타터 기능이 구현되도록 SCR소자가 구비된 전기굴삭기용 전원공급장치의 작용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 스타터 기능이 구현되도록 SCR소자가 구비된 전기굴삭기용 전원공급장치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터(M)를 이용하여 굴삭기(E)의 유압펌프를 기동하는 소프트 스타터 기능이 구현되도록 SCR소자가 구비된 전기굴삭기용 전원공급장치로서 전기굴삭기(10)의 상부에서 직립되며 내부에 케이블의 꼬임이 방지되도록 저중심슬립링(21)이 구비된 굴삭기포스트(20)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저중심슬립링(21)을 상기 굴삭기포스트(20)의 상단부에 구비하지 않고, 상기 굴삭기포스트(20)의 하부 공간부(22a)에 구비하여 상기 전원케이블(30)의 이송 또는 회전으로 발생되는 충격하중을 최소화시키는 것과 더불어 상기 저중심슬립링(21)을 상기 굴삭기포스트(20)의 공간부(22a)에 배치함으로써, 외부영향 즉, 우천시에 발생되는 쇼트 또는 누전 등에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원공급타워(4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모터(M)에 인가되는 교류전원의 위상을 제어하는 SCR제어시스템(50)이 구비된 콘트롤박스(6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모터(M)에 발생되는 부하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SCR제어시스템(5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터(M)를 제어하는 메인CPU부(51)와; 상기 메인CPU부(51)에 연결되어 외부전원을 공급받는 전원부(52)와; 상기 메인CPU부(51)에 연결되며 상기 모터(M)의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입력제어부(53)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모터(M)의 회전방향을 정/역방향으로 가변하여 전기굴삭기(10)를 기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메인CPU부(51)에 연결되며 상기 모터(M)에 연결된 SCR소자(S)를 구동하는 SCR구동부(55)가 구비됨으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터(M)에 인가되는 교류전류를 상기 SCR소자(S)로 위상을 제어하여 직입 기동시 발생되는 과전류 및 모터, 설비에 발생되는 스트레스를 감소하는 것으로 상기 모터(M)를 부드럽게 기동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최초 상기 모터(M)를 기동할 경우 초기 70%의 전압 전류를 공급하고, 상기 모터(M)가 천천히 회전하면 전체 전압 전류를 공급하는 2단 시동방법으로 상기 모터(M)에 가해지는 부하 또는 과도한 전압 전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검출부(54)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CPU부(51)에 연결되어 일정 전류가 발생될 경우 멈춤신호를 발생시키는 과전류검출부(54a)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모터(M)에 과전류를 공급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CPU부(51)에 연결되어 공급되는 교류전원에 대한 위상을 검출하는 위상검출부(54b)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모터(M)의 현재 위상을 검출하여 상기 SCR소자(S)의 동작여부를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SCR소자(S)의 후방에 연결되는 출력전압검출부(54c)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SCR소자(S)의 도통여부 및 모터(M)의 결선여부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검출부(54)에는 상기 모터(M)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검출부(54d)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모터(M) 또는 SCR소자(S)가 동작되는 한계온도 이상 상승할 경우 동작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SCR제어시스템(50)에는 상기 제어검출부(54)에서 검출된 제어값이 정해진 제어값과 부합되지 않을 경우 에러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모터(M)를 정지시키는 에러검출제어부(57)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어검출부(54)에서 검출된 제어값을 통하여 상기 모터(M)를 직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SCR제어시스템(50)에는 상기 메인CPU부(51)에 연결되는 바이패스제어부(58)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모터(M)에 입력되는 전원이 입력되거나 단락될 경우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SCR제어시스템(50)에는 보조작동제어부(59)가 포함됨으로써, 상기 전기굴삭기(10)의 현재 상태를 외부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하고, 설정값을 가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기굴삭기 11 : 디퍼
12 : 암 13 : 이송부
20 : 굴삭기포스트 21 : 저중심슬립링
22 : 포스트본체 22a : 공간부
23 : 연결파이프 30 : 전원케이블
40 : 전원공급타워 41 : 붐
42 : 붐타워 50 : SCR제어시스템
51 : 메인CPU부 52 : 전원부
53 : 입력제어부 54 : 제어검출부
54a : 과전류검출부 54b : 위상검출부
54c : 출력전압검출부 54d : 온도검출부
55 : SCR구동부 56 : 동작릴레이제어부
57 : 에러검출제어부 58 : 바이패스제어부
59 : 보조작동제어부 59a : 통신부
59b : 표시부 59c : 키입력부
60 : 콘트롤박스 M : 모터

Claims (7)

  1. 모터(M)를 이용하여 굴삭기(E)의 유압펌프를 기동하는 소프트 스타터 기능이 구현되도록 SCR소자가 구비된 전기굴삭기용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전방으로 디퍼(11)와 암(12)이 구비되며 하부에 캐터필러타입의 이송부(13)가 구비된 전기굴삭기(10)와;
    상기 전기굴삭기(10)의 상부에서 직립되며 내부에 케이블의 꼬임이 방지되도록 저중심슬립링(21)이 구비된 굴삭기포스트(20)와;
    상기 저중심슬립링(21)에 연결되되, 상기 굴삭기포스트(20)의 상단부에서 외부로 연장된 전원케이블(30)과;
    상기 전원케이블(30)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전기굴삭기(10)의 이동과 대응하여 회전하는 붐(41)과, 상기 붐(41)을 지면에서 수평으로 구비되도록 직립된 붐타워(42)로 이루어진 전원공급타워(40)와;
    상기 전원공급타워(4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모터(M)에 인가되는 교류전원의 위상을 제어하는 SCR제어시스템(50)이 구비된 콘트롤박스(60)로 구성되고;
    상기 SCR제어시스템(50)은 상기 굴삭기(E)의 유압펌프를 기동하는 모터(M)를 제어하는 메인CPU부(51)와; 상기 메인CPU부(51)에 연결되어 외부전원을 공급받는 전원부(52)와; 상기 메인CPU부(51)에 연결되며 상기 모터(M)의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입력제어부(53)와; 상기 메인CPU부(51)에 연결되며 상기 모터(M)의 상태를 검출하는 제어검출부(54)와; 상기 메인CPU부(51)에 연결되며 상기 모터(M)에 연결된 SCR소자(S)를 구동하는 SCR구동부(55)와; 상기 메인CPU부(51)에 연결되며 상기 모터(M)에 입력된 정/역 신호에 의하여 상기 모터(M)를 온/오프 시키는 동작릴레이제어부(5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스타터 기능이 구현되도록 SCR소자가 구비된 전기굴삭기용 전원공급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검출부(54)는 상기 메인CPU부(51)에 연결되어 일정 전류가 발생될 경우 멈춤신호를 발생시키는 과전류검출부(54a)와, 상기 메인CPU부(51)에 연결되어 공급되는 교류전원에 대한 위상을 검출하는 위상검출부(54b)와, 상기 SCR소자(S)의 후방에 연결되며 상기 SCR소자(S)의 도통여부 및 모터(M)의 결선여부를 검출하는 출력전압검출부(54c)와, 상기 모터(M)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검출부(54d)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스타터 기능이 구현되도록 SCR소자가 구비된 전기굴삭기용 전원공급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CR제어시스템(50)에는 상기 제어검출부(54)에서 검출된 제어값이 정해진 제어값과 부합되지 않을 경우 에러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모터(M)를 정지시키는 에러검출제어부(57)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스타터 기능이 구현되도록 SCR소자가 구비된 전기굴삭기용 전원공급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SCR제어시스템(50)에는 상기 메인CPU부(51)에 연결되며 상기 모터(M)에 입력되는 전원이 입력되거나 단락될 경우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바이패스제어부(58)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스타터 기능이 구현되도록 SCR소자가 구비된 전기굴삭기용 전원공급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SCR제어시스템(50)에는 보조작동제어부(59)가 포함되고;
    상기 보조작동제어부(59)는 외부기기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59a)와, 상기 SCR제어시스템(50)의 진행상황을 외부로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59b)와, 상기 SCR제어시스템(50)의 설정값을 변경하는 키입력부(59c)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스타터 기능이 구현되도록 SCR소자가 구비된 전기굴삭기용 전원공급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굴삭기포스트(20)는 상기 전기굴삭기(10)의 상면에 직립되며 내부에 공간부(22a)가 형성된 포스트본체(22)와, 상기 공간부(22a)에 구비되며 상기 전원케이블(30)의 꼬임을 방지하는 저중심슬립링(21)과, 상기 저중심슬립링(21)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기 전원케이블(30)을 상기 포스트본체(22)의 상부로 연결시키는 연결파이프(2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스타터 기능이 구현되도록 SCR소자가 구비된 전기굴삭기용 전원공급장치.
KR1020130114991A 2013-09-27 2013-09-27 소프트 스타터 기능이 구현되도록 scr소자가 구비된 전기굴삭기용 전원공급장치 KR101435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4991A KR101435002B1 (ko) 2013-09-27 2013-09-27 소프트 스타터 기능이 구현되도록 scr소자가 구비된 전기굴삭기용 전원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4991A KR101435002B1 (ko) 2013-09-27 2013-09-27 소프트 스타터 기능이 구현되도록 scr소자가 구비된 전기굴삭기용 전원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5002B1 true KR101435002B1 (ko) 2014-08-28

Family

ID=51751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4991A KR101435002B1 (ko) 2013-09-27 2013-09-27 소프트 스타터 기능이 구현되도록 scr소자가 구비된 전기굴삭기용 전원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50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74877A (zh) * 2015-02-12 2015-06-03 徐州徐工挖掘机械有限公司 一种电动液压挖掘机控制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0672B1 (ko) * 1985-05-23 1988-04-20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지탈 제어에 의한 유도 전동기의 효율 개선회로
JPH0591199U (ja) * 1991-07-12 1993-12-10 財団法人工業技術研究院 単相インダクション・モータ用ソフトスタート回路
JPH06178584A (ja) * 1992-12-10 1994-06-24 Fuji Electric Co Ltd サイリスタモータ用インバータの制御装置
KR100950782B1 (ko) * 2009-10-28 2010-04-02 주식회사 3국산업 포크레인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0672B1 (ko) * 1985-05-23 1988-04-20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지탈 제어에 의한 유도 전동기의 효율 개선회로
JPH0591199U (ja) * 1991-07-12 1993-12-10 財団法人工業技術研究院 単相インダクション・モータ用ソフトスタート回路
JPH06178584A (ja) * 1992-12-10 1994-06-24 Fuji Electric Co Ltd サイリスタモータ用インバータの制御装置
KR100950782B1 (ko) * 2009-10-28 2010-04-02 주식회사 3국산업 포크레인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74877A (zh) * 2015-02-12 2015-06-03 徐州徐工挖掘机械有限公司 一种电动液压挖掘机控制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04834B2 (ja) 作業機械
US9702250B2 (en) Power shovel hoist machinery with auxiliary weight box
CN204919649U (zh) 工业机械
JP2008069517A (ja) バッテリ駆動式建設機械の電力補給システム
CN104790458A (zh) 控制工业机械的铲动参数
JP2007228715A (ja) 電源システムおよびこの電源システムが搭載された建設機械
KR101704829B1 (ko) 전기 굴삭기 시스템
EP2678262A1 (en) Mobile crane
EP3865337A1 (en) Charging station and system for electric vehicles
US10273132B2 (en) Isolated electronic backbone architecture for aerial devices
KR20220035091A (ko) 작업기계 및 작업기계에 의한 작업을 지원하는 지원장치
BR102018000554A2 (pt) sistema de posicionamento de esteira de trilho assimétrico
JP6038934B2 (ja) 建設機械
JP2008069516A (ja) 電動式建設機械
KR101435002B1 (ko) 소프트 스타터 기능이 구현되도록 scr소자가 구비된 전기굴삭기용 전원공급장치
CN111305310A (zh) 一种矿用多功能自动卷缆式挖掘机
JP2013160017A (ja) 電動式油圧建設機械の給電システムおよび給電方法
WO2023155360A1 (zh) 电磁阀控制系统、方法及作业机械
KR100955519B1 (ko) 승하강 작동간을 이용한 전기식 건설기계의 전선 보호 장치 및 방법
JP2015503040A (ja) 鉱山車両
CN113795647A (zh) 具有操作员升降机的水平定向钻探系统
JP6202665B2 (ja) 作業機械の外部電源接続装置
JP2013160018A (ja) 電動式油圧建設機械の給電システムおよび給電方法
JP6190136B2 (ja) 作業機械の外部電源制御装置
CN113195837A (zh) 作业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