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4721B1 - 무선 연결을 위한 에너지 소모를 최적화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연결을 위한 에너지 소모를 최적화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4721B1
KR101434721B1 KR1020117030730A KR20117030730A KR101434721B1 KR 101434721 B1 KR101434721 B1 KR 101434721B1 KR 1020117030730 A KR1020117030730 A KR 1020117030730A KR 20117030730 A KR20117030730 A KR 20117030730A KR 101434721 B1 KR101434721 B1 KR 1014347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ep
data
real
time data
al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30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6563A (ko
Inventor
크리스티안 안드레아스 루오마
주카 알라콘티올라
이에로 레피스토
테로 할라-아호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20026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65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4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47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5Maintenance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04W72/56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 H04W72/569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of the traffic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무선 상시 접속 연결을 위해 에너지 소모를 최적화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무선 관리 모듈은 비실시간 데이터를 버퍼링하고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비실시간 데이터의 전송을 스케줄한다. 무선 관리 모듈은 또한 비실시간 데이터를 전달하는 통신 유형을 결정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스케줄 및 상기 결정된 통신 유형에 기초하여 상기 비실시간 데이터의 전송을 시작한다.

Description

무선 연결을 위한 에너지 소모를 최적화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ENERGY CONSUMPTION FOR WIRELESS CONNECTIVITY}
관련 출원
본원은 2009년 6월 23일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ENERGY CONSUMPTION FOR WIRELESS CONNECTIVITY" 라는 명칭으로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제12/490,244호의 이익을 주장하며, 이 특허출원의 전체 내용은 본 명세서에서 참조문헌으로 인용된다.
무선(예를 들면, 셀룰러) 서비스 제공자 및 디바이스 제조자는, 예를 들면, 주목하지 않을 수 없는 네트워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및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소비자에게 가치 및 편리함을 주도록 끊임없이 도전받고 있다. 개발의 한 영역은 데이터 네트워크(예를 들면, 인터넷)와의 지속적인(예를 들면, "상시 접속(always-on)") 무선 연결된 서비스 및 애플리케이션의 창출이다. 그러나, 이러한 상시 접속 연결을 제공하는 것은 제한된 전원(예를 들면, 배터리)으로 동작하는 이동 디바이스의 전원 시스템에 많은 부담을 준다. 특히, 지속적인 연결은 무선부에서 더 많은 활동을 필요로 하고, 이것은 더 많은 배터리 소모를 필요로 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형태의 서비스 및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을 경쟁력 있게 하고 조장하기 위해, 서비스 제공자 및 디바이스 제조자는 이동 디바이스에서 효과적인 에너지 관리를 위한 더 많은 해법에 대한 꾸준히 늘어나는 요건을 다룰 필요가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을 위해 비실시간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또한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비실시간 데이터의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비실시간 데이터를 전달하는 통신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스케줄링 및 상기 결정된 통신 유형에 기초하여 상기 비실시간 데이터의 전송을 시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따라서 상기 장치로 하여금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을 위한 비실시간 데이터를 버퍼링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장치는 또한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비실시간 데이터의 전송을 스케줄링하게 된다. 상기 장치는 또한 상기 비실시간 데이터를 전달하는 통신 유형을 결정하게 된다. 상기 장치는 또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스케줄링 및 상기 결정된 통신 유형에 따라서 상기 비실시간 데이터의 전송을 개시하게 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장치로 하여금 공통의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을 위한 비실시간 데이터를 버퍼링하도록 지정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명령어의 하나 이상의 시퀀스를 담고 있다. 상기 장치는 또한 무선 디바이스에 의한 상기 비실시간 데이터의 전송을 스케줄링하게 된다. 상기 장치는 또한 상기 비실시간 데이터를 전달하는 통신 유형을 결정하게 된다. 상기 장치는 또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스케줄링 및 상기 결정된 통신 유형에 따라서 상기 비실시간 데이터의 전송을 시작하게 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을 위해 비실시간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또한 무선 디바이스에 의한 상기 비실시간 데이터의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상기 비실시간 데이터를 전달하는 통신 유형을 결정하는 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스케줄링 및 상기 결정된 통신 유형에 따라서 상기 비실시간 데이터의 전송을 시작하는 수단을 더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은 공통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공통 킵-얼라이브 메시지는 다수의 애플리케이션에 각기 대응하는 다수의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대표한다. 상기 방법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공통 킵-얼라이브 메시지의 수신에 따라서 상기 다수의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킵-얼라이브 타이머의 리셋을 시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킵-얼라이브 타이머는 데이터 전송 사이의 최대 시간 간격을 추적하여 상기 공통 킵-얼라이브 메시지와 연관된 상기 다수의 애플리케이션에 필요한 하나 이상의 연결을 유지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따라서 상기 장치가 공통의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하며, 상기 공통의 킵-얼라이브 메시지는 다수의 애플리케이션에 각기 대응하는 다수의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대표한다. 상기 장치는 또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공통의 킵-얼라이브 메시지의 수신에 따라서 상기 다수의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킵-얼라이브 타이머의 리셋을 시작하게 된다. 상기 킵-얼라이브 타이머는 데이터 전송 사이의 최대 시간 간격을 추적하여 상기 공통의 킵-얼라이브 메시지와 연관된 상기 다수의 애플리케이션에 필요한 하나 이상의 데이터 연결을 유지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명령어의 하나 이상의 시퀀스를 담고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장치가 공통의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수신하게 하며, 상기 공통의 킵-얼라이브 메시지는 다수의 애플리케이션에 각기 대응하는 다수의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대표한다. 상기 장치는 또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공통 킵-얼라이브 메시지의 수신에 따라서 상기 다수의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킵-얼라이브 타이머의 리셋을 시작하게 된다. 상기 킵-얼라이브 타이머는 데이터 전송 사이의 최대 시간 간격을 추적하여 상기 공통 킵-얼라이브 메시지와 연관된 상기 다수의 애플리케이션에 필요한 하나 이상의 연결을 유지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는 공통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공통의 킵-얼라이브 메시지는 다수의 애플리케이션에 각기 대응하는 다수의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대표한다. 상기 장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공통 킵-얼라이브 메시지의 수신에 따라서 상기 다수의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킵-얼라이브 타이머의 리셋을 시작하는 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킵-얼라이브 타이머는 데이터 전송 사이의 최대 시간 간격을 추적하여 상기 공통 킵-얼라이브 메시지와 연관된 상기 다수의 애플리케이션에 필요한 하나 이상의 연결을 유지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 특징, 및 장점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해 심사숙고한 최선의 모드를 포함하는 다수의 특정 실시예 및 구현예를 간략히 예시함으로써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쉽게 자명해진다. 본 발명은 또한 다른 실시예 및 상이한 실시예가 가능하며, 본 발명의 여러 세부사항은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여러 자명한 관점에서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도면과 설명은 사실상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며 제한적인 것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첨부 도면의 그림에서 예들 들어 예시되며 제한하려 예시되지 않는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라서 무선 연결을 위한 에너지 소모를 최적화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관리 모듈의 컴포넌트들의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관리 플랫폼의 컴포넌트들의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서 무선 디바이스에서 데이터를 버퍼링함으로써 에너지 소모를 최적화하는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서 무선 디바이스에서 버퍼링된 데이터의 전송을 동기화함으로써 에너지 소모를 최적화하는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서 공통의 킵-얼라이브 메시지(common keep-alive message)를 지정함으로써 에너지 소모를 최적화하는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서 애플리케이션 서버에서 데이터를 버퍼링함으로써 에너지 소모를 최적화하는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라서 애플리케이션 서버에서 버퍼링된 데이터의 전송을 동기화함으로써 에너지 소모를 최적화하는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라서 애플리케이션 서버에서 공통의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에너지 소모를 최적화하는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하드웨어의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칩셋의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이동국(mobile station)(예를 들면, 핸드셋)의 도면이다.
무선 연결을 위한 에너지 소모를 최적화하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다음의 설명에서, 설명의 목적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완전히 이해하도록 하기 위하여 다수의 특정한 세부사항이 설명된다. 그러나, 당업자에게는 이러한 특정한 상세내용이 없이도 또는 등가의 구성으로도 본 발명의 실시예가 실시될 수 있음이 자명하다. 다른 경우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불필요하게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디바이스는 블록도의 형태로 도시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연결을 위해 에너지 소모를 최적화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의 도면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시 접속 연결(always-on connections)을 요구하는 애플리케이션들(예를 들면, 인스턴트 메시징, 푸시 이메일, 및 소셜 네트워킹)은 무선 이동 디바이스에서 점차 대중화되고 있다. 그러나, 무선 디바이스의 무선부(radios)는 전형적으로 상시 접속 연결을 유지하기 위해 거의 쉬지않고 동작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상시 접속 연결로 인해 이동 디바이스의 배터리에서는 상당한 방전 전류(drain)가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면, 상시 접속 연결(예를 들면, 상시 접속 전송 제어 프로토콜(always-on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연결 또는 상시 접속 유저 데이터그램 프로토콜(always-on user datagram protocol(UDP) 연결)은, 예를 들면, 클라이언트와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사이에서 대응하는 연결을 유지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킵-얼라이브(keep-alive)" 메시지가 전송되게 한다. 보다 상세히 말해서, 대부분의 전통적인 연결 프로토콜들(예를 들면, TCP 및 UDP)은 스테이트풀 방화벽(stateful firewalls) 및/또는 네트워크 어드레스 변환기(network address translators: NATs)를 사용하여, 활성 연결(active connections)의 트랙을 유지하며, 데이터 패킷이 기존 연결의 일부분이 아닌 한 방화벽/NAT의 범위를 벗어나 도달하는 데이터 패킷을 폐기시킬 것이다.
연결에 관한 방화벽/NAT 상태는 방화벽/NAT의 클라이언트 내부에서 그 연결을 개시할 때 자동으로 생성된다. 그런 다음 그 연결이 얼마 동안 사용되지 않으면 방화벽/NAT 상태는 자동으로 없어진다. 연결 상태는 클라이언트에 의해 보내진 패킷에 의해 생성되기 때문에, 만일 그 상태가 종료되면(예를 들면, 사전정의된 시간 동안 어떤 데이터도 수신되지 않을 때) 방화벽/NAT 외부의 서버들은 클라이언트에 이를 수 없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많은 프로토콜들(예를 들면, TCP 및 UDP)은 통상 방화벽 또는 NAT 내 연결 종료 타이머(connection expiration timers)를 리셋하여 지속적 연결 또는 상시 접속 연결이 너무 일찍 종료되지 않도록 보장하는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전송한다.
전통적으로, 킵-얼라이브 메시지는 상시 접속 연결을 사용하는 각 애플리케이션에 특정한 더미 데이터 패킷이다. 결과적으로, 이동 디바이스에서 상시 접속 연결을 동시에 요구하는 애플리케이션들의 개수가 늘어남에 따라, 전송되어야 하는 킵-얼라이브 메시지의 개수 또한 증가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사용자의 이동 디바이스에서 푸시 이메일 애플리케이션 및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을 시작한다.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예를 들면, 푸시 이메일 애플리케이션 및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은 각각의 상시 접속 연결을 유지하기 위하여 별개의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필요로 할 것이다. 이러한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은 상당한 양의 에너지를 소모할 수 있으며 배터리 전력으로 동작하는 이동 디바이스의 제한된 전원에 상당한 부담을 줄 수 있다.
상시 접속 무선 연결을 이용할 때 에너지 소모의 일반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할 때 에너지 소모의 특정한 문제를 다루기 위하여, 어떤 실시예에 따라서, 도 1의 시스템(100)은 (1) 전송될 비실시간 데이터(non-real time data)를 버퍼링하고, 무선 디바이스의 무선부가 버퍼링된 비실시간 데이터에도 무관한 것, 예를 들면, 전화 호,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 메시지에 의해 트리거되는 활성 상태에 있을 때 버퍼링된 데이터의 전송을 시작하며; (2) 상이한 애플리케이션들에 대응하는 다수의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대표하는 하나의 공통적인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지정하며, (3) 클라이언트로부터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로의 데이터 전송 및 애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클라이언트로의 데이터 전송이 동시에 발생하도록 이들을 동기화하는 과정을 제공한다. 시스템(100)의 이러한 기능은 유리하게 이동 디바이스의 무선부가 활성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량을 줄여줌으로써, 상시 접속 연결과 연관된 전반적인 에너지 소모를 줄여준다. 시스템(100)은 또한 다수의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대신하는 또는 다수의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대표하는 하나의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사용함으로써 다수의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시그널링하는 것과 연관된 복잡성을 줄여준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비실시간 데이터(non-real time data)"라는 용어는 실시간으로 전송될 필요가 없는 모든 데이터를 지칭한다. 비실시간 데이터는, 예를 들면, 이메일 메시지, 인스턴트 메시징, 존재상태 정보(presence information), 공유 미디어 콘텐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100)은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105)를 통해 통신 네트워크(103)와 연결되는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101)를 포함한다. UE(101)는 모든 형태의 이동 단말, 고정 단말, 또는 이동 핸드셋, 스테이션, 유닛, 디바이스, 멀티미디어 태블릿, 인터넷 노드, 커뮤니케이터, 데스크탑 컴퓨터, 랩탑 컴퓨터, 개인 휴대정보 단말(PDA),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이다. UE(101)는 또한 어떤 형태의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이를 테면, "착용" 회로 등)도 지원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일 실시예에서, UE(101)는 배터리 또는, 예를 들면, 전기 콘센트(outlet)에 플러그되도록 구성된 전원 어댑터의 형태일 수 있는 전원용 전원 모듈(106)을 이용한다.
예를 들면, 시스템(100)의 통신 네트워크(103)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이를 테면, 데이터 네트워크(도시되지 않음), 무선 네트워크(도시되지 않음), 전화 네트워크(도시되지 않음), 또는 이들의 어떤 조합을 포함한다. 데이터 네트워크는 어떤 근거리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 LAN), 대도시 네트워크 (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광역 네트워크(wide area network: WAN), 공중 네트워크(public network (예를 들면, 인터넷), 또는 어떤 다른 적합한 패킷-교환 네트워크(packet-switched network), 이를 테면, 상업적으로 소유된 사유의 패킷 교환 네트워크, 예를 들면, 사유의 케이블 또는 광섬유 네트워크일 수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무선 네트워크는, 예를 들면, 셀룰러 네트워크일 수 있으며 EDGE(enhanced data rates for global evolution),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이동 통신 세계화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IPMS),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MTS) 등뿐 아니라, 어떤 다른 적합한 무선 매체, 예를 들면, 마이크로웨이브 액세스(microwave access: WiMAX),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네트워크, 코드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WiFi), 위성, 및 이동 애드혹 네트워크(mobile ad-hoc network: MANET)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105)는, 예를 들면, 통신 네트워크(103) 내 무선 네트워크(예를 들면,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3GPP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등)의 일부인 기지국이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105)는 UE(101)와의 통신을 지원하기 위하여 신호를 전송하고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사용할 수 있다. 이 신호는, 예를 들면, 전화 호, SMS 메시징, MMS 메시징, 킵-얼라이브 메시지의 전송,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통신 세션을 지원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101)는 UE(101)의 무선부를 통해 전송된 데이터의 최적화를 조정하여 상시 접속 무선 연결을 이용할 때 에너지 소모를 줄이는 무선 관리 모듈(1107)을 포함한다. 무선 관리 모듈(107)은 나중에 전송하기 위해 UE(101)에서 버퍼링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109)에 연결한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 관리 모듈(107)은 UE(101)에 의한 실시간 전송 또는 즉각적인 전송을 요하지 않는 데이터(예를 들면, 비실시간 데이터)를 버퍼링하고 그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109)에 저장한다. 그리고 나서 무선 관리 모듈(107)은 UE(101)의 무선부가 비실시간 데이터(예를 들면, 전화 호, SMS 메시지, MMS 메시지, 킵-얼라이브 메시지 등)와 무관한 무선 이벤트(예를 들면, 어떤 셀룰러 무선 활성도(cellular radio activity))에 의해 트리거된 활성 상태에 있을 때 버퍼링된 비실시간 데이터의 전송을 시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 이벤트는 UE(101)의 무선 인터페이스(도시되지 않음)에 의한 어떤 활성도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무선 관리 모듈(107)은 활성 상태에서 무선부가 소비하는 시간량을 줄임으로써, 에너지 소모를 줄여준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활성 상태(active state)"라는 용어는 UE(101)의 무선 인터페이스가 데이터 또는 정보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활성적으로 전송 또는 수신하는 상태를 지칭한다. 활성 상태에 있는 동안, UE(101)는 전력 모듈(106)로부터 전력을 끌어와서 데이터를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하고 수신하는데 제공한다. 이와 반대로, 비활성 상태에 있는 동안, UE(101)의 무선 인터페이스는 전송 또는 수신하는데 전력을 쓰지 않기 때문에 무선 인터페이스는 전력을 덜 쓴다(예를 들면, 에너지를 덜 소모한다). UE(101)는 또한 무선 인터페이스를 저전력 유지 상태로 만들어서 무선 인터페이스가 비활성 상태에 있을 때 에너지 소모를 더 줄일 수 있다고 생각된다.
UE(101)는 또한 통신 네트워크(103)를 통해 무선 관리 플랫폼(111) 및 애플리케이션 서버(113)와도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 관리 플랫폼(111) 및 애플리케이션 서버(113)는 상호작용하여 네트워크 측에서 비실시간 데이터를 버퍼링함으로써 상시 접속 연결을 통해 UE(101)로의 무선 전송을 위한 에너지 소모를 줄여주며; 그런 다음 비실시간 데이터는 그렇지 않으면 UE(101)의 무선부가 비실시간 데이터와 무관한 통신 작업에 따라 활성화될 때 UE(101)에 송신된다.
더욱 상세히 말해서, 무선 관리 플랫폼(111)은 통신 네트워크(103)의 네트워크 측에 상주하여, 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 서버(113)로부터 UE(101)에 전송될 비실시간 데이터의 버퍼링을 조정한다. 비록 무선 관리 플랫폼(111)이 시스템(100)에서 스탠드얼론 컴포넌트로서 도시될지라도, 무선 관리 플랫폼(111)은 애플리케이션 서버(113) 내 어떤 컴포넌트 또는 통신 네트워크(103)의 다른 컴포넌트일 수 있다고 생각된다.
애플리케이션 서버(113)는 UE(101)로부터 데이터 또는 정보를 전송 및/또는 수신하는 모든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 서버(113)는 이메일 데이터가 수신될 때 이메일 데이터를 UE(101)에 전달함으로써 푸시 이메일 서비스를 UE(101)에 지원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애플리케이션 서버(113)는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으며, 따라서 애플리케이션 서버(113)는 UE(101)로부터 인스턴트 메시지를 전달하고 인스턴트 메시지를 UE(101)를 향해 전달한다. 일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 서버(113)는 나중에 UE(101)로의 전송을 위해 버퍼링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115)에 저장한다.
예를 들면, UE(101)는 표준 프로토콜(예를 들면, TCP, UDP)을 이용하여 무선 관리 플랫폼(111), 애플리케이션 서버(113), 및 통신 네트워크(103)의 다른 컴포넌트와 통신한다. 예를 들면, UE(101), 무선 관리 플랫폼(111), 및 애플리케이션 서버(113)는 통신 네트워크(103)에 대해 네트워크 노드들이다. 이 문맥에서, 프로토콜은 통신 네트워크(103) 내 네트워크 노드들이 통신 링크를 통해 송신된 정보에 따라서 서로 상호작용하는 방법을 규정하는 일련의 룰을 포함한다. 프로토콜은 각종 형태의 물리적 신호를 발생하고 수신하는 것에서부터 이들 신호를 이들 신호에 표시된 정보의 포맷으로 변환하기 위한 링크를 선택하는 것, 컴퓨터 시스템에서 실행하는 어느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이 그 정보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지를 식별하는 것에 이르기까지 각 노드 내 상이한 동작 계층들에서 실행된다.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교환하기 위한 프로토콜의 개념적으로 상이한 계층은 개방형 시스템 상호접속(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참조 모델에 기술되어 있다.
네트워크 노드들 간의 통신은 전형적으로 데이터의 개별 패킷을 교환하는데 영향을 받는다. 각각의 패킷은 전형적으로 (1) 특정한 프로토콜과 연관된 헤더 정보, 및 (2) 헤더 정보에 후속하고 그 특정한 프로토콜과 독립적으로 처리될 수 있는 정보를 내장한 페이로드 정보를 포함한다. 어떤 프로토콜에서, 패킷은 (3) 페이로드의 뒤에 오고 그 페이로드 정보의 끝을 표시하는 트레일러 정보를 포함한다. 헤더는 패킷의 소스, 패킷의 목적지, 페이로드의 길이, 및 프로토콜에 의해 사용된 다른 특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한다. 종종, 특정한 프로토콜의 페이로드 내 데이터는 OSI 참조 모델의 상이한 상위 계층과 연관된 상이한 프로토콜의 헤더 및 페이로드를 포함한다. 특정 프로토콜의 헤더는 전형적으로 그의 페이로드에 포함된 후속 프로토콜의 형태를 표시한다. 상위 계층 프로토콜은 하위 계층 프로토콜에서 캡슐화될 것이라 생각된다. 다수의 이기종 네트워크, 이를 테면 인터넷을 통과하는 패킷에 포함된 헤더는 OSI 참조 모델에 규정된 바와 같이 전형적으로 물리(계층 1) 헤더, 데이터-링크(계층 2) 헤더, 인터네트워크(계층 3) 헤더 및 전송(계층 4) 헤더, 및 여러 애플리케이션 헤더(계층 5, 계층 6 및 계층 7)를 포함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관리 모듈의 컴포넌트들의 도면이다. 예를 들면, 무선 관리 모듈(107)은 UE(101)에서 무선 연결을 위한 에너지 소모를 최적화하는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이들 컴포넌트들의 기능은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에 조합되거나 또는 등가 기능을 갖는 다른 컴포넌트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본 실시예에서, 무선 관리 모듈(107)은 UE(101)에 의해 전송될 비실시간 데이터의 버퍼링을 조정하는 데이터 제어 모듈(201)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버퍼링된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전송될 필요없는 데이터(예를 들면, 푸시 이메일, 인스턴트 메시징 데이터 등)를 포함한다. 데이터 제어 모듈(201)은, 예를 들면, 비실시간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109)에 저장하기 시작한다. 어떤 실시예에서, 데이터 제어 모듈(201)은 버퍼링된 데이터에 적용된 하나 이상의 우선순위 분류에 따라 전송하기 위해 비실시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순위의 우선순위 분류가 높은 버퍼링된 데이터는 우선순위가 낮은 버퍼링된 데이터보다 앞서 있어 우선순위가 높은 데이터가 먼저 전송되게 할 수 있다. 예시적인 우선순위 분류는 데이터 제어 모듈(201)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최상의 이용가능한 메커니즘을 이용할 것이라는 "최선형(best effort)" 또는 데이터 패킷의 폐기 또는 유실의 잠재성이 허용가능하다는 "비신뢰성(non reliable)"을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우선순위 분류는 버퍼링된 데이터 또는 버퍼링된 데이터(예를 들면, 비실시간 데이터)의 일부가 전송될 시간 윈도우를 또한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만일 데이터 제어 모듈(201)이 연관된 우선순위 분류의 시간 윈도우 내에서 버퍼링된 데이터의 전송을 시작할 수 없으면, 데이터 제어 모듈(201)은 비버퍼링 메커니즘(예를 들면, 직접 실시간 전송(direct real-time transmission))에 의한 전송을 위해 버퍼링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109)로부터 이를 제거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제어 모듈(201)은 UE(101)의 무선부(205)가 활성 상태에 있을 때를 검출하는 활성 검출 모듈(203)과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부(205)는 통신 네트워크(103)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을 위한 셀룰러 무선이다. 활성 상태는, 예를 들면, 버퍼링된 데이터와 무관한 무선 이벤트(예를 들면, 전화 호, SMS 메시지, MMS 메시지, 및 킵-얼라이브 메시지 등)에 의해 트리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활성 검출 모듈(203)은 무선부(205)의 활성도를 모니터할 수 있고 또는 무선부(205)는 활성도가 있을 때 활성 검출 모듈(203)에 신호할 수 있다. 무선부(205)에 의해 활성도를 검출하면, 데이터 제어 모듈(201)은 무선 제어 모듈(207)에게 지시하여 데이터베이스(109) 내에 버퍼링된 데이터의 전송을 시작하게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무선 관리 모듈(107)은 무선부가 버퍼링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다른 작업을 이미 수행하는 활성 상태일 때의 주기를 활용할 수 있고, 그럼으로써 다른 시간 때 무선부를 활성화시킬 필요가 줄어들며 또한 에너지 소모가 줄어든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제어 모듈(201)은 지난번의 전송 이래로 버퍼링된 모든 데이터의 완전한 "플러싱(flushing)"(예를 들면, 전송하여 비우기)을 착수할 수 있다. 그 밖에 또는 대안으로, 데이터 제어 모듈(201)은 무선부(205)의 활성 주기의 지속기간과 동시에 발생하는 이산적인 버스트(discrete bursts)에서 버퍼링된 데이터의 전송을 착수할 수 있다.
데이터 제어 모듈(201)은 또한 다수의 애플리케이션로부터 다수의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나타내는 하나의 공통적인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지정하기 위한 킵-얼라이브 시그널링 모듈(209)과의 연결성을 갖는다. 다시 말해서, 공통의 킵-얼라이브 메시지는 공통의 킵-얼라이브 메시지와 연관된 각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개개의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대신한다. 다수의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해 하나의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생성하면 다수의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전송하고 유지하는 시그널링 요건을 유리하게 줄여주며, 그럼으로써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전송하는데 필요한 에너지 소모 또한 줄여준다. 일실시예에서, 공통의 킵-얼라이브 메시지는 공통의 킵-얼라이브 메시지와 연관된 애플리케이션들의 상시 접속 연결에 대응하는 연결 종료 타이머(예를 들면, 킵-얼라이브 타이머)를 리셋할 수 있다. 게다가, 연관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의 데이터의 전송은 동일한 공통의 킵-얼라이브 메시지와 연관된 애플리케이션들 모두의 연결 종료 타이머를 또한 리셋할 수 있다.
연관된 애플리케이션들(예를 들면, UE(101) 상의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들(211) 및 통신 네트워크(103) 상의 애플리케이션 서버(113))는, 예를 들면, 무선 관리 모듈(107) 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를 통하여 킵-얼라이브 시그널링 모듈(209)의 기능에 액세스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PI(213)는 특별하게는 킵-얼라이브 시그널링 모듈(209)의 기능 그리고 일반적으로는 무선 관리 모듈(107)의 기능에 액세스하는 일련의 루틴, 데이터 구조, 객체 클래스, 및/또는 애플리케이션(예를 들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211) 및 애플리케이션 서버(113))용 프로토콜을 제공한다.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211)은, 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 서버(113)와 같이 외부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데이터 또는 정보를 전송 및/또는 수신하기 위한 연결(예를 들면, 상시 접속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UE(101)에서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제어 모듈(201)은 또한 UE(101)와, 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 서버(113) 사이에서 데이터 또는 정보의 교환을 동기화하기 위한 동기화 모듈(215)과도 연결된다. 예를 들면, 동기화는 UE(101)로부터 애플리케이션 서버(113)로 데이터의 전송 타이밍을 조정하여 애플리케이션 서버(113)로부터 UE(101)로 데이터의 전송 타이밍과 일치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동기화를 돕기 위하여, 동기화 모듈(215)은 무선 관리 플랫폼(111)과 상호작용하여 애플리케이션 서버(113)와 데이터 및 정보의 전송을 조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동기화 모듈(215)은 동적으로 무선 활성도를 검출하여 전송을 동기화할 수 있고 또는 애플리케이션 서버(113)와 사전정의된 스케줄을 협의하여 전송을 동기화할 수 있다. 스케줄은, 예를 들면, UE(101) 및 애플리케이션 서버(113)가 이들 각각이 전송하여야 하는 특정한 시간을 지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무선부(205)의 활성 주기는 정보의 전송 및 수신용으로 사용되며, 그럼으로써 무선부(205)가 활성화되는 시간량을 최소화하며 에너지 소모를 줄여준다. 앞에서 데이터 제어 모듈(201)에 대해 기술된 바와 같이, 전송을 동기화함으로써 버퍼링된 데이터가 이산적인 버스트 또는 완전한 플러싱을 일으킬 수 있다고 예상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관리 플랫폼의 컴포넌트들의 도면이다. 예를 들면, 무선 관리 플랫폼(111)은 무선 관리 모듈(107)에 의해 수행된 기능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지만 통신 네트워크(103) 측에서만 그러하다. 그러므로, 무선 관리 플랫폼(111)은 무선 관리 모듈(107)에 대해 기술된 컴포넌트들과 유사하게 UE(101)와의 무선 연결을 위해 에너지 모소를 최적화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이들 컴포넌트들의 기능은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에서 조합될 수 있고 또는 등가 기능을 갖는 다른 컴포넌트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무선 관리 플랫폼(111)은, 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 서버(113)로부터 UE(101)에 전송될 데이터의 버퍼링을 조정하기 위한 데이터 제어 모듈(301)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비실시간 데이터는 버퍼링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데이터베이스(115)에 저장된 다음 UE(101)에 전송된다. 이 경우, 데이터는, 예를 들면, 상시 접속 연결을 이용하여 각종 애플리케이션들(예를 들면, 푸시 이메일, 인스턴트 메시징 등)을 지원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113)에 의해 생성되거나 또는 그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연관된다. 무선 관리 모듈(107)에 대해 기술된 바와 같이, 버퍼링된 데이터는 전형적으로 UE(101)에 실시간으로 전송될 필요없는 데이터이다. 만일 실시간 전송이 필요하면, 애플리케이션 서버(113)는 애플리케이션 서버(113)의 요건에 따라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는 다른 데이터 전송 메커니즘을 이용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제어 모듈(301)은 애플리케이션 서버(113)가 UE(101)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때 또는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105)에서 UE(101)로 또는 UE(101)로부터의 네트워크 트래픽이 있을 때(예를 들면, UE(101)가 전화 호, SMS 메시지, MMS 메시지, 인스턴트 메시지, 킵-얼라이브 메시지 등을 전송하거나 수신하는데 관여하고 있을 때)를 검출하기 위한 활성 검출 모듈(303)과 연결된다. 애플리케이션 서버(113)에 의한 데이터의 수신 또는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105)에서 UE(101)와 관련된 네트워크 트래픽의 검출은, 예를 들면, UE(101)의 무선부(205)가 활성 상태에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한 검출이 있으면, 데이터 제어 모듈(301)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307)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서버(113)에 지시하여 데이터베이스(115)로부터 버퍼링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의 전송을 시작하게 한다. 무선 관리 모듈(107)에 대하여 기술된 바와 같이, 전송은 완전한 플러시로서 또는 이산 버스트로서 발생할 수 있다. 전송은 무선부(205)의 기존 활성 상태와 동시에 발생하기 때문에, UE가 애플리케이션 서버(113)로부터 전송된 것을 수신할 때 UE(101)에서 에너지 소모는 최소화된다.
데이터 제어 모듈(301)은 또한 UE(101)로부터 공통의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수신하고 처리하기 위한 킵-얼라이브 시그널링 모듈(305)과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공통의 킵-얼라이브 메시지는 공통의 킵-얼라이브 메시지와 연관된 모든 애플리케이션들에 적용가능하다. 예를 들면, (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 서버(113) 상의) 애플리케이션은 그 자체가 API(307)를 통해 공통의 킵-얼라이브 메시지와 연관할 수 있다(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의 개개의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공통의 킵-얼라이브 메시지와 조합할 수 있다). 일단 연관되면, 킵-얼라이브 시그널링 모듈(305)에 의한 공통의 킵-얼라이브 메시지의 수신은 연관된 애플리케이션들에 대응하는 연결 종료 타이머(예를 들면, 킵-얼라이브 타이머)를 리셋할 것이다. 어떤 실시예에서, 공통의 킵-얼라이브 메시지와 연관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어떤 애플리케이션로부터 어떤 데이터라도 수신하면 공통의 킵-얼라이브 메시지와 연관된 모든 애플리케이션들의 연결 종료 타이머가 리셋될 것이다. 예를 들면, 만일 푸시 이메일 애플리케이션 및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이 하나의 공통의 킵-얼라이브 메시지와 연관되면, 공통의 킵-얼라이브 메시지가 수신되면 푸시 이메일 애플리케이션 및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 둘 다의 연결 종료 타이머가 리셋될 것이다. 부가적으로, 어느 하나의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데이터가 수신되면 이 또한 푸시 이메일 애플리케이션 및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 둘 다의 연결 종료 타이머가 리셋될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UE(101)는 상시 접속 연결을 유지하기 위하여 다수의 메시지라기보다 하나의 공통의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만이 필요하며, 그럼으로써 무선부(205)의 활성도를 줄이고 에너지 소모를 줄이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제어 모듈(301)은 또한 애플리케이션 서버(113)와 UE(101) 사이에서 데이터 또는 정보의 교환을 동기화하기 위한 동기화 모듈(309)과도 연결된다. 무선 관리 모듈(107)에 대해 기술한 바와 같이, 동기화는 네트워크 측(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 서버(113))로부터의 데이터의 전송 타이밍을 조정하여 클라이언트 측(예를 들면, UE(101))으로부터의 데이터의 전송과 일치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동기화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동기화 모듈(309)은 UE(101)의 무선 관리 모듈(107)과 상호작용하여 데이터 교환을 조정한다. 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 서버(113)와 UE(101) 사이에서 데이터의 교환은 UE(101)의 무선부(205)가 활성 상태에 있을 때를 동적으로 검출함에 따라 또는 애플리케이션 서버(113)와 UE(101) 사이에서 협의된 사전정의된 스케줄에 따라 일어날 수 있다. 네트워크 측으로부터의 전송과 클라이언트 측으로부터의 전송을 조정하면 UE(101)가 UE(101)의 무선부(205)의 전송 및 수신 채널을 충분히 활용함으로써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서 무선 디바이스에서 데이터를 버퍼링함으로써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하는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 관리 모듈(107)은 프로세스(400)를 수행하고,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칩셋으로 구현된다. 단계(401)에서, 무선 관리 모듈(107)은 UE에 의해 전송될 데이터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바와 같은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전송하는데 적합한 비실시간 데이터인지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실시간 데이터(예를 들면, 음성)와 반대되는 것으로, 비실시간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계속 전송할 필요 없다. 그 대신, 비실시간 데이터는 시스템(100)의 방법에 의거 도입된 전송 시의 잠재적인 지연 및 갭을 견딘다. 예를 들면, 비실시간 데이터는 이메일, 및 존재상태 정보 등을 포함한다. UE(101)에 의해 전송될 데이터가 시스템(100)을 이용한 전송에 적합한 비실시간 데이터인 것으로 결정된 이후, 무선 관리 모듈(107)은 통신 네트워크(103)를 통해 전송할 비실시간 데이터를 버퍼링한다(단계 403). 예를 들면, 비실시간 데이터를 즉시 전송하는 대신, 무선 관리 모듈(107)은 나중에 UE(101)가 활성 상태에 있을 때 전송을 위해 데이터를 저장하고 버퍼링한다. 게다가, UE(101)는 전력이 제한 요인이 아닐 때(예를 들면, UE(101)가 정전원(constant power source)에 연결될 때) 버퍼링된 데이터의 전송을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고 생각된다. 데이터를 버퍼링한 후, 무선 관리 모듈(107)은, 예를 들면, UE(101)의 무선부를 모니터하여 무선부가 활성 상태에 있을 때를 결정한다(단계 405). 예를 들면, 이러한 활성 상태는 비실시간 데이터에 무관한(예컨대, 전화 호, SMS 메시지, MMS 메시지 등을 활성적으로 전송하거나 수신하는) 무선 이벤트에 의해 트리거된다. 활성 상태는, 예를 들면, 버퍼링된 비실시간 데이터에 무관한 어떤 실시간 메시지의 전송에 의해 트리거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만일 무선부가 활성 상태에 있지 않으면, 무선 관리 모듈(107)은 후속 전송을 위해 데이터를 계속 버퍼링한다.
만일 무선부가, 예를 들면, 활성 상태에 있다면, 무선 관리 모듈(107)은 통신 네트워크(103)를 통해 버퍼링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스케줄한다(단계 407). 일 실시예에서, 검출된 활성 상태 동안 또는 그렇지 않으면 가능하면 무선부가 활성 상태일 때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스케줄된다. 예를 들면, UE(101)가 전화 호를 수신하는 것을 무선 관리 모듈(107)이 검출할 때, 모듈(107)은 무선부가 전화 호를 통해 활성 중인 동안 버퍼링된 데이터의 전송이 일어나도록 스케줄한다. 그러나, 만일 무선부가 기설정된 시간 내에 활성화되리라 예측되지 않으면, 무선 관리 모듈(107)은 무선부가 아직 활성 상태에 있지 않은 시간 동안 전송을 스케줄할 수 있다. 전송을 스케줄한 이후, 무선 관리 모듈(107)은 비실시간 데이터를 전달 또는 전송하는 통신 유형을 결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를 전달하는 통신 유형은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킵-얼라이브 메시지 또는 페이로드 메시지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페이로드 메시지"는, 예컨대, 애플리케이션 서버(113),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211), 또는 다른 네트워크 컴포넌트로부터의 데이터를 전달하는 통신 네트워크(103)를 통해 전송된 메시지이다(단계 409).
예를 들면, 만일 통신 유형이 킵-얼라이브 메시지이면, 무선 관리 모듈(107)은 통상 킵-얼라이브 메시지의 일부인 더미 데이터 대신에 비실시간 데이터를 킵-얼라이브 메시지에 삽입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더미 데이터라기보다는 실제 데이터가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구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비실시간 데이터를 전달하는 킵-얼라이브 메시지는 데이터를 전달하는 것과 데이터 연결을 유지하는 것 두 가지 목적을 제공하기 때문에, 무선 관리 모듈(107)은 스케줄된 킵-얼라이브 메시지의 전송을 후속 시간(예컨대, 다음 킵-얼라이브 메시지) 동안 지연시킬 수 있다(단계 411). 다음 킵-얼라이브 메시지는 대체로 필요하지 않는데, 이것은 비실시간 데이터를 전달하는 킵-얼라이브 메시지가 다음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대체할 수 있기 때문임을 알아야 한다. 그런 다음 무선 관리 모듈(107)은 결정된 통신 유형에 기초하여(예컨대, 킵-얼라이브 메시지 또는 페이로드 메시지를 통해) 비실시간 데이터의 전송을 시작한다. 또한, 만일 결정된 통신 유형이 페이로드 메시지이면, 무선 관리 모듈(107)은 단계(411)의 프로세스를 수행하지 않고 페이로드 메시지의 전송을 시작할 수 있다(단계 413).
이러한 전송 방식은 무선부가 활성화되는 기간을 줄여 에너지 소모를 줄이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버퍼링된 비실시간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우선순위 분류와 연관될 수 있다. 이러한 우선순위 분류는 버퍼링된 데이터의 개별 부분의 전송 우선순위를 지시한다. 예를 들면, 가장 높은 우선순위 분류를 갖는 버퍼링된 비실시간 데이터는 먼저 전송된 다음 뒤이어 점차 낮은 분류로 전송될 것이다. 어떤 실시예에서, 우선순위 분류는 또한 버퍼링된 데이터가 전송되어야 하는 특정한 시간 윈도우를 지정할 수도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서, 무선 디바이스에서 버퍼링된 데이터의 전송을 동기화함으로써 에너지 소모를 최적화하는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 관리 모듈(107)은 프로세스(500)를 수행하며,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칩셋으로 구현된다. 단계(501)에서, 무선 관리 모듈(107)은 버퍼링된 비실시간 데이터를 UE(101)로부터 애플리케이션 서버(113)로 전송하기 위한 스케줄을 협상하여 정보가 UE(101)와 애플리케이션 서버(113) 사이에서 동시에 전송 및 수신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서, 무선 관리 모듈(107)은 UE(101)로부터 데이터의 전송이 애플리케이션 서버(113)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의 수신과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타이밍을 동기화한다. 일 실시예에서, 스케줄 협상 및 동기화는 UE(101) 및 애플리케이션 서버(113)의 전송 타이밍을 맞추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예컨대, API(213) 또는 API(307)를 이용하여 수행된다. 동기화된 전송의 타이밍은, 예를 들면, UE(101)의 무선부가 활성화될 때를 동적으로 검출함에 따라 또는 협상된 스케줄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만일 전송이 협상된 스케줄에 기초한다면, 무선 관리 모듈(107)은 그 스케줄을 고려하여 버퍼링된 데이터를 전송하기 시작하는 특정 시간을 결정한다. 그러면 무선 관리 모듈(107)은 동기화된 스케줄에 따라서 버퍼링된 데이터의 전송을 시작하여 UE(101)로부터 전송이 애플리케이션 서버(113)로부터 데이터의 전송과 동시에 일어나도록 한다(단계 503).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서 공통의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지정함으로써 에너지 소모를 최적화하는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 관리 모듈(107)은 프로세스(600)를 수행하며,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칩셋으로 구현된다. 단계(601)에서, 무선 관리 모듈(107)은 다수의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나타내는 공통의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지정한다. 다수의 킵-얼라이브 메시지는, 예를 들면, 상시 접속 연결을 요구하는 다수의 애플리케이션들에 각기 대응한다.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통상의 통신 프로토콜(예를 들면, TCP 및 UDP)은 소정 시간 동안 연결이 사용되지 않으면 이들 연결을 닫는다. (예컨대, 상시 접속 연결을 사용할 때) 연결을 열린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연결을 시작하는 클라이언트는 전형적으로 비활성 주기일 때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송신한다. 그러나, 이 연결은 만일 클라이언트와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사이에서 어떤 것이라도 활성 상태가 존재하면 열린 상태를 유지할 것이다. 공통의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사용할 때, 킵-얼라이브 메시지와 연관된 어떤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활성도는 공통의 킵-얼라이브 메시지와 연관된 모든 애플리케이션들을 위한 네트워크 연결을 열린 상태로 유지하기에 충분하다. 따라서, 무선 관리 모듈(107)은 킵-얼라이브 메시지와 연관된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데이터가 각각의 데이터 연결을 유지하는 최대의 시간 간격 내에 전송되었는지를 결정한다(단계 603 및 605). 만일 그 시간 간격 내에 어떠한 데이터도 전송되지 않으면, 무선 관리 모듈(107)은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 서버(113)로 전송하기 시작한다(단계 607). 일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 서버(113)에 의한 킵-얼라이브 메시지의 수신은 공통의 킵-얼라이브 메시지와 연관된 모든 애플리케이션들을 위한 연결을 열린 상태로 유지하기에 충분하다.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은 그 자체를 API(213)(또는 서버 측의 경우 API(307))를 통해 공통의 킵-얼라이브 메시지와 연관시킬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서, 애플리케이션 서버에서 데이터를 버퍼링함으로써 에너지 소모를 최적화하기 위한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 관리 플랫폼(111)은 프로세스(700)를 수행하며,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칩셋으로 구현된다. 프로세스(700)는 도 4의 프로세스(400)와 유사하지만, 서버측 또는 네트워크 측에서 수행된다. 단계(701)에서, 무선 관리 플랫폼(111)은 애플리케이션 서버(113)가 도 4에 대해 기술된 바와 같은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비실시간 데이터를 UE(101)에 전송하는지 결정한다. 예컨대, 실시간으로 전송될 필요가 없는 데이터는 애플리케이션 서버(113)에 의해 생성된다. 이러한 결정 이후, 무선 관리 플랫폼(111)은 통신 네트워크(103)를 통해 무선 디바이스로의 전송을 위한 비실시간 데이터를 버퍼링한다(단계 703). 데이터의 버퍼링에 의해 UE(101)의 무선부가 애플리케이션 서버(113)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활성 상태에 있어야 하는 기간이 최소화되며, 그럼으로써 UE(101)에 의한 에너지 소모가 줄어진다. 또한, 버퍼링된 데이터에는 도 4에 대해 기술된 바와 같이 버퍼링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우선순위 순서를 결정하기 위해 우선순위 분류가 할당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버퍼링된 데이터의 전송은 UE(101)로부터의 데이터의 수신에 의해 또는 UE(101)가 연루된 네트워크 트래픽이 있을 때 트리거된다. 단계(703)에서, 무선 관리 플랫폼(111)은 애플리케이션 서버(113)가 UE(101)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했는지 결정한다(단계 705). UE(101)로부터의 데이터의 수신은 UE(101)의 무선부가 활성 상태에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만일 어떠한 데이터도 수신되지 않으면, 무선 관리 플랫폼(111)은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105)에서 UE(101)로 또는 UE(101)로부터 어떤 네트워크 활성 상태가 있는지 결정한다(단계 707).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105)에서 활성도는 (예를 들면, 전화 호, SMS 메시지 세션, MMS 메시지 세션 등에 있을 때) UE(101)의 무선부가 활성적으로 전송 또는 수신하고 있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관리 플랫폼(111)은 활성도를 위해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105)를 폴(poll) 할 수 있거나 또는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105)는 그 활성도를 무선 관리 플랫폼(111)에 보고할 수 있다. 네트워크 활성도는 버퍼링된 비실시간 데이터와 무관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프로세스(700)가 UE(101)의 무선부(205)의 모든 활성 상태에 의존할 수 있기 때문에 네트워크 활성도가 UE(101)로부터 애플리케이션 서버(113)로 전해질 필요는 없다. 만일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105)에서 어떠한 네트워크 활성도도 검출되지 않으면, 무선 관리 플랫폼(111)은 전송 데이터의 버퍼링을 지속한다. 만일 데이터가 수신되거나 또는 네트워크 활성도가 검출되면, 무선 관리 플랫폼(111)은 버퍼링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UE(101)에 전송하기 시작한다(단계 709).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라서 애플리케이션 서버에서 버퍼링된 데이터의 전송을 동기화함으로써 에너지 소모를 최적화하는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 관리 플랫폼(111)은 프로세스(800)를 실행하며,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칩셋으로 구현된다. 프로세스(800)는 도 5의 프로세스(500)와 유사하지만, 서버 또는 네트워크 측에서 수행된다. 단계(801)에서, 무선 관리 플랫폼(111)은 UE(101)로부터의 데이터의 수신과 동시에 애플리케이션 서버(113)로부터 UE(101)로 버퍼링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스케줄을 협상한다.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스케줄 협상 및 동기화는 UE(101)와 애플리케이션 서버(113)의 전송 타이밍을 조정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예컨대, API(213) 또는 API(307))를 이용하여 수행된다. 동기화된 전송의 타이밍은, 예를 들면, UE(101)의 무선부가 활성될 때를 동적으로 검출하는 것에 기초할 수 있거나 또는 협상된 스케줄에 기초할 수 있다. 만일 전송이 협상된 스케줄에 기초한다면, 무선 관리 플랫폼(111)은 그 스케줄을 고려하여 버퍼링된 데이터를 UE(101)로 전송하기 시작하는 특정 시간을 결정한다. 그러면 무선 관리 플랫폼(111)은 동기화된 스케줄에 따라서 버퍼링된 데이터의 전송을 시작하여 UE(101)로의 전송이 UE(101)로부터 데이터의 전송과 동시에 일어나도록 한다(단계 803).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라서 애플리케이션 서버에서 공통의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에너지 소모를 최적화하는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 관리 플랫폼(111)은 프로세스(900)를 실행하며,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칩셋으로 구현된다. 프로세스(900)는 도 6의 프로세스(600)의 서버측 또는 네트워크 측의 대응부분이다. 단계(901)에서, 무선 관리 플랫폼(111)은 킵-얼라이브 메시지 또는 공통의 킵-얼라이브 메시지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예로서, 공통의 킵-얼라이브 메시지는 다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의 개개의 킵-얼라이브 메시지들을 대표한다. 예를 들면, 공통의 킵-얼라이브 메시지는 다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의 각각과 연관된 개개의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대신한다. 공통의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또는 공통의 킵-얼라이브 메시지와 연관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어떤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면, 무선 관리 플랫폼(111)은 공통의 킵-얼라이브 메시지와 연관된 다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의 각각에 대응하는 킵-얼라이브 타이머의 리셋을 시작한다(단계 903). 킵-얼라이브 타이머 또는 연결 종료 타이머는 데이터 전송 사이의 최대 시간 간격을 추적하여 연결을 유지하고 그 연결이 끝나지 않게 유지한다. 다시 말해서, 공통의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또는 공통의 킵-얼라이브 메시지와 연관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어떤 애플리케이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은 다수의 애플리케이션들 모두에 대응하는 연결 상태를 열려 있게 유지하기에 충분하다.
본 명세서에서 무선 연결을 위한 에너지 소모를 최적화하기 위해 기술된 프로세스는 유리하게 소프트웨어, 하드웨어(예컨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DSP) 칩, 주문형 반도체(ASIC), 현장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등), 펌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기술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그러한 예시적인 하드웨어는 아래에 상세히 설명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컴퓨터 시스템(1000)을 예시한다. 컴퓨터 시스템(1000)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무선 연결을 위한 에너지 소모를 최적화하도록 프로그램되며, 컴퓨터 시스템(1000)의 다른 내부 및 외부 컴포넌트들 사이에서 정보를 전달하는 버스와 같은 통신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정보(또는 데이터라고도 함)는 계측가능한 현상, 전형적으로는 전압의 물리적 표현으로서 나타내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그러한 현상을 자기, 전자기, 압력, 화학, 생물학, 분자, 원자, 아원자(sub-atomic) 및 양자의 상호작용으로서 포함한다. 예를 들면, 북 자계 및 남 자계, 또는 제로 및 넌제로 전압은 이진수(비트)의 두 상태(0, 1)를 나타낸다. 다른 현상은 상위 기반의 숫자를 나타낼 수 있다. 계측 이전 다수의 동시적인 양자 상태의 중첩은 양자 비트(qubit)를 의미한다. 하나 이상의 숫자들의 시퀀스는 하나의 숫자 또는 한 문자의 코드를 나타내는데 사용된 디지털 데이터를 구성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아날로그 데이터라는 정보는 특정한 범위 내에서 계측가능한 값들의 가까운 연속체로 나타낸다.
버스(1010)는 정보가 버스(1010)에 연결된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빠르게 전달되도록 하나 이상의 병렬로 된 정보의 전도체를 포함한다. 정보를 처리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02)는 버스(1010)와 연결된다.
프로세서(1002)는 무선 연결을 위한 에너지 소모의 최적화와 관련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로 규정된 바와 같은 정보에 대해 일련의 동작을 수행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세서 및/또는 컴퓨터 시스템의 동작을 위한 일련의 명령어 또는 명령어를 제공하는 명령문(statements)이다. 코드는, 예를 들면, 프로세서의 고유 명령어 집합으로 컴파일된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될 수 있다. 코드는 또한 직접 고유 명령어 집합(예컨대, 기계어)을 이용하여 작성될 수 있다. 일련의 동작들은 버스에서 나온 정보를 가져오는 것과 정보를 버스(1010)에 싣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일련의 동작들은 또한 전형적으로 두 단위 이상의 정보를 비교하는 것, 정보 단위의 위치를 이동하는 것, 및 두 단위 이상의 정보를 조합하는 것, 이를 테면 가산 또는 승산 또는 OR, 배타적 OR(XOR), 및 AND와 같은 논리 연산을 포함한다.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일련의 동작들의 각 동작은 하나 이상의 숫자로된 동작 코드와 같은 명령어라 불리는 정보로 프로세서에게 제공된다. 프로세서(1002)에 의해 실행될 동작들의 시퀀스, 이를테면 동작 코드들의 시퀀스는 컴퓨터 시스템 명령어 또는 간략히 컴퓨터 명령어라고도 불리우는 프로세서 명령어를 구성한다. 프로세서는 그 중에서도 기계, 전기, 자기, 광학, 화학 또는 양자 컴포넌트로서 단독으로 또는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1000)은 또한 버스(1010)에 연결된 메모리(1004)를 포함한다.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또는 다른 동적 저장 장치와 같은 메모리(1004)는 무선 연결을 위한 에너지 소모를 최적화하기 위한 프로세서 명령어를 포함하는 정보를 저장한다. 동적 메모리에서는 내부에 저장된 정보가 컴퓨터 시스템(1000)에 의해 변경이 가능하다. RAM에서는 메모리 어드레스라고 불리우는 장소에 저장된 정보의 단위가 이웃 어드레스에 있는 정보와 무관하게 저장 및 검색이 가능하다. 메모리(1004)는 또한 프로세서(1002)에 의해 사용되어 프로세서 명령어의 실행 중에 임시 값을 저장한다. 컴퓨터 시스템(1000)은 또한 버스(1010)에 연결되어 컴퓨터 시스템(1000)에 의해 변경되지 않은 명령어를 포함하는 정적인 정보를 저장하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1006) 또는 다른 정적 저장 장치를 포함한다. 어떤 메모리는 전원이 소실될 때 저장된 정보를 잃는 휘발성 스토리지로 이루어진다. 또한 버스(1010)에는 자기 디스크, 광학 디스크 또는 플래시 카드와 같은 컴퓨터 시스템(1000)이 꺼질 때 또는 그렇지 않고 전원이 소실될 때에도 지속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비휘발성(영구) 저장 장치(1008)이다.
무선 연결을 위한 에너지 소모를 최적화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정보는 인간 사용자에 의해 동작되는 영숫자 키를 포함하는 키보드와 같은 외부 입력 장치(1012), 또는 센서로부터 프로세서에 의해 사용하기 위해 버스(1010)에 제공된다. 센서는 그의 주변의 상황을 검출하고 그러한 검출 상황을 컴퓨터 시스템(1000)에서 정보를 나타내는데 사용된 계측가능한 현상과 호환가능한 물리적 표현으로 변환한다. 버스(1010)에 연결되고, 기본적으로 인간과의 상호작용을 위해 사용하는 다른 외부 디바이스는 음극선관(CRT) 또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또는 플라즈마 스크린 또는 프린터와 같이 텍스트 또는 이미지를 표시해 주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14), 및 마우스 또는 트랙볼 또는 커서 방향키, 또는 모션 센서와 같이 디스플레이(1014)에 표시된 작은 커서 이미지의 위치를 제어하고 디스플레이(1014)에 표시된 그래픽 요소들과 연관된 명령을 발행하는 포인팅 디바이스(1016)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예를 들면, 컴퓨터 시스템(1000)이 인간의 입력 없이도 모든 기능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실시예에서, 외부 입력 장치(101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14) 및 포인팅 디바이스(1016) 중 하나 이상이 생략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주문형 반도체(ASIC)(1020)와 같은 특수 목적 하드웨어는 버스(1010)에 연결된다. 특수 목적 하드웨어는 프로세서(1002)에 의해 수행되지 않는 동작을 특수 목적에 맞게 충분히 빨리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주문형 반도체의 예는 디스플레이(1014)에 필요한 이미지를 생성하는 그래픽스 가속기 카드,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된 메시지를 암호화 및 복호화하는 암호 보드, 음성 인식, 및 더 효과적으로 하드웨어로 구현된 어떤 복잡한 시퀀스의 동작들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로봇팔 및 의료 스캐닝 장비와 같은 특수 외부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컴퓨터 시스템(1000)은 또한 버스(1010)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예의 통신 인터페이스(1070)를 포함한다. 통신 인터페이스(1070)는 프린터, 스캐너 및 외부 디스크와 같은 그 자체의 프로세서와 동작하는 각종 외부 디바이스와의 일방향 또는 양방향 통신 커플링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커플링은 그 자체의 프로세서를 갖는 각종 외부 장치가 연결된 로컬 네트워크(1080)에 연결된 네트워크 링크(1078)트와의 커플링이다. 예를 들면, 통신 인터페이스(1070)는 퍼스널 컴퓨터의 병렬 포트 또는 직렬 포트 또는 범용 직렬 버스(USB) 포트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통신 인터페이스(1070)는 종합 정보 통신망(ISDN) 카드 또는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카드 또는 정보 통신 접속을 대응 형태의 전화 회선으로 제공하는 전화 모뎀이다. 일부 실시에에서, 통신 인터페이스(1070)는 버스(1010) 상의 신호를 동축 케이블을 통하는 통신 접속용 신호로 또는 광섬유 케이블을 통하는 통신 접속용 광신호로 변환하는 케이블 모뎀이다. 다른 예로서, 통신 인터페이스(1070)는 데이터 통신 접속을 이더넷과 같은 호환가능한 LAN에 제공하는 근거리 네트워크(LAN) 카드일 수 있다. 무선 링크 역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링크의 경우, 통신 인터페이스(1070)는 디지털 데이터와 같은 정보 스트림을 운반하는 적외선 및 광학 신호를 포함하여 전기, 음향 또는 전자기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거나 또는 송신 및 수신한다. 예를 들면, 무선 휴대 기기, 이를 테면 셀폰과 같은 이동 전화에서, 통신 인터페이스(1070)는 무선 송수신기라고 불리는 무선 대역 전자기 송신기 및 수신기를 포함한다. 어떤 실시예에서, 통신 인터페이스(1070)는 무선 연결을 위해 에너지 소모를 최적화하는 통신 네트워크(103)와의 연결을 가능하게 해준다.
본 명세서에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라는 용어는 실행을 위한 명령어를 비롯한 정보를 프로세서(1002)에 제공할 때 참여하는 모든 매체를 지칭하는데 사용된다. 그러한 매체는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지만 비휘발성 매체, 휘발성 매체 및 전송 매체를 비롯하여 많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비휘발성 매체는, 예를 들면, 광학 또는 자기 디스크, 이를 테면, 저장 장치(1008)를 포함한다. 휘발성 매체는, 예를 들면, 동적 메모리(1004)를 포함한다. 전송 매체는, 예를 들면, 동축 케이블, 구리 와이어, 광섬유 케이블, 및 전파, 광학 및 적외선파를 비롯하여 와이어 또는 케이블 없이 공간을 통해 이동하는 음향파 및 전자기파와 같은 반송파를 포함한다. 신호는 전송 매체를 통해 전송된 진폭, 주파수, 위상, 분극 또는 다른 물리적 특성의 인공적인 과도적 변동(transient variations)을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일반적인 형태는, 예를 들면, 플로피 디스크, 플렉시블 디스크, 하드 디스크, 자기 테이프, 어떤 다른 자기 매체, CD-ROM, CDRW, DVD, 어떤 다른 광학 매체, 펀치 카드, 종이 테이프, 광학 마크 시트, 홀 또는 다른 광학적으로 인식가능한 표식의 패턴을 갖는 어떤 다른 물리적 매체, RAM, PROM, EPROM, 플래시-EPROM, 어떤 다른 메모리 칩 또는 카트리지, 반송파, 또는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는 어떤 다른 매체 형태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라는 용어는 전송 매체를 제외한 모든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지칭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하나 이상의 실감 매체에서 인코드된 로직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및 ASIC(1020)과 같은 특수 목적 하드웨어 중 하나 또는 둘 다의 프로세서 명령어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링크(1078)는 전형적으로 정보 통신을 전송 매체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장치에 제공하여 그 정보를 이용하거나 처리하게 한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 링크(1078)는 로컬 네트워크(1080)를 통해 호스트 컴퓨터(1082)와의 접속을 제공하거나 또는 인터넷 서비스 프로바이더(ISP)에 의해 동작된 장비(1084)와의 접속을 제공할 수 있다. ISP 장비(1084)는 다시 네트워크들 중에서 인터넷(1090)이라 통칭되는 공중의 전세계 패킷 교환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인터넷에 연결된 서버 호스트(1092)라 불리우는 컴퓨터는 인터넷을 통해 수신한 정보에 응답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세스를 호스트한다. 예를 들면, 서버 호스트(1092)는 디스플레이(1014)에서 상연을 위한 비디오 데이터를 나타내는 정보를 제공하는 프로세스를 호스트한다.
본 발명의 적어도 일부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기술 중 일부 또는 모두를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시스템(1000)의 사용과 관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기술은 메모리(1004)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명령어의 하나 이상의 시퀀스를 실행하는 프로세서(1002)에 응답하여 컴퓨터 시스템(1000)에 의해 실행된다. 컴퓨터 명령어, 소프트웨어 및 프로그램 코드라고도 불리는 그러한 명령어는 저장 장치(1008) 또는 네트워크 링크(1078)와 같은 다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부터 메모리(1004) 내로 읽어들일 수 있다. 메모리(1004)에 포함된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실행하면 프로세서(1002)가 본 명세서에 기술된 하나 이상의 방법 단계들을 수행하게 된다. 대안의 실시예에서, ASIC(1020)과 같은 하드웨어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대신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서 달리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는 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어떤 특정한 조합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통신 인터페이스(1070)를 통해 네트워크 링크(1078) 및 다른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전송된 신호는 정보를 컴퓨터 시스템(1000)으로 및 그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전달한다. 컴퓨터 시스템(1000)은 프로그램 코드를 비롯한 정보를 네트워크(1080, 1090)를 통해, 그 중에서도, 네트워크 링크(1078) 및 통신 인터페이스(1070)를 통해 송신하고 수신할 수 있다. 인터넷(1080)을 사용하는 일예로, 서버 호스트(1092)는 컴퓨터(1000)로부터 송신된 메시지를 통해 요청된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필요한 프로그램 코드를 인터넷(1090), ISP 장비(1084), 로컬 네트워크(1080) 및 통신 인터페이스(1070)를 통해 전송한다. 수신된 코드는 이것이 수신될 때 프로세서(1002)에 의해 실행될 수 있거나, 또는 나중의 실행을 위해 메모리(1004) 또는 저장 장치(1008) 또는 다른 비휘발성 스토리지, 또는 둘 다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컴퓨터 시스템(1000)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코드를 반송파 상의 신호 형태로 얻을 수 있다.
다양한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명령어 또는 데이터 또는 둘 다의 하나 이상의 시퀀스를 실행을 위해 프로세서(1002)에 전달할 때 동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명령어 및 데이터는 초기에 호스트(1082)와 같은 원격 컴퓨터의 자기 디스크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원격 컴퓨터는 명령어 및 데이터를 그의 동적 메모리에 로드하고 그 명령어 및 데이터를 모뎀을 이용하여 전화 회선을 통해 송신한다. 컴퓨터 시스템(1000)에 대해 로컬인 모뎀은 전화 회선을 통해 명령어 및 데이터를 수신하고 적외선 송신기를 이용하여 그 명령어 및 데이터를 네트워크 링크(1078)로서 기능하는 적외선 반송파 상의 신호로 변환한다. 통신 인터페이스(1070)로서 기능하는 적외선 검출기는 적외선 신호에 실려 전달된 명령어 및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 명령어 및 데이터를 나타내는 정보를 버스(1010)에 싣는다. 버스(1010)는 그 정보를 메모리(1004)에 전달하고 프로세서(1002)는 그 메모리로부터 그 명령어와 함께 송신된 일부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명령어를 검색하고 실행한다. 메모리(1004)에서 수신된 명령어 및 데이터는 프로세서(1002)에 의한 실행 이전 또는 이후에 선택사양으로 저장 장치(1008)에 저장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칩셋(1100)을 예시한다. 칩셋(1100)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무선 연결을 위해 에너지 소모를 최적화하도록 프로그램되며, 예컨대, 하나 이상의 물리적 패키지(예컨대, 칩) 내에 합체된 도 10에 대해 기술된 프로세서 및 메모리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물리적 패키지는 물리적 강도, 크기의 보존, 및/또는 전기적 상호작용의 제한과 같은 하나 이상의 특징을 제공하기 위해 구조적인 어셈블리(예컨대, 베이스보드) 상에 하나 이상의 물질, 컴포넌트, 및/또는 와이어를 배치한 것을 포함한다. 어떤 실시예에서 칩셋은 단일 칩셋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일 실시예에서, 칩셋(1100)은 버스(1101)와 같이 칩셋(1100)의 컴포넌트들 사이에서 정보를 전달하는 통신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프로세서(1103)는 버스(1101)와 연결되어 명령어를 실행하고, 예를 들면, 메모리(1105)에 저장된 정보를 처리한다. 프로세서(1103)는 각각의 프로세싱 코어가 독립적으로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중 코어 프로세서는 단일 물리적 패키지 내에서 다중 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다중 코어 프로세서의 예는 둘, 넷, 여덟, 또는 그 보다 많은 개수의 프로세싱 코어를 포함한다. 대안으로 또는 그 밖에, 프로세서(1103)는 명령어의 독립적인 실행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버스(1101)를 경유하여 탄뎀 방식(tandem)으로 구성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3)는 또한 하나 이상의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1107), 또는 하나 이상의 주문형 집적회로(ASIC)(1109)와 같이 어떤 처리 기능 및 작업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특수한 컴포넌트를 수반할 수 있다. DSP(1107)는 전형적으로 프로세서(1103)와 독립적으로 실세계 신호(예컨대, 사운드)를 실시간으로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유사하게, ASIC(1109)은 범용 프로세서에 의해 용이하게 수행되지 않는 특수한 기능을 처리하도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기능을 수행하는데 도움을 주는 다른 특수한 컴포넌트는 하나 이상의 현장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도시되지 않음), 하나 이상의 컨트롤러(도시되지 않음),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특수 목적 컴퓨터 칩을 포함한다.
프로세서(1103) 및 그에 동반하는 컴포넌트는 버스(1101)를 통해 메모리(1105)와 연결된다. 메모리(1105)는 실행될 때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단계들을 수행하여 무선 연결을 위해 에너지 소모를 최적화하는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동적 메모리(예컨대, RAM, 자기 디스크, 기록가능한 광 디스크 등) 및 정적 메모리(예컨대, ROM, CD-ROM 등) 둘 다를 포함한다. 메모리(1105)는 또한 본 발명의 단계들의 실행과 연관되거나 실행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라서 도 1의 시스템에서 동작할 수 있는 이동국(예컨대, 핸드셋)의 예시적인 컴포넌트들의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무선 수신기는 종종 프론트-엔드(front-end) 및 백-엔드(back-end) 특징 면에서 규정된다. 수신기의 프론트-엔드는 모든 무선 주파수(RF) 회로를 망라하는 반면, 백-엔드는 모든 베이스-밴드 처리 회로를 망라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회로"라는 용어는 (1)(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회로만으로 된 구현물과 같은) 하드웨어 단독 구현물, 및 (2)(함께 동작하여 모바일 폰 또는 서버와 같은 장치로 하여금 각종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를 비롯한 프로세서(들), 소프트웨어, 및 메모리(들)의 조합과 같이) 회로와 소프트웨어(및/또는 펌웨어)의 조합을 지칭한다. 이러한 "회로"의 정의는 모든 청구범위를 비롯한 본원에서 이 용어를 사용하는 모든 곳에 적용한다. 다른 예로서,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회로"라는 용어는 또한 프로세서(또는 다중 프로세서) 및 그의(또는 이들의) 동반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만으로 구성된 구현물을 망라할 것이다. "회로"라는 용어는 또한, 예를 들면, 모바일 폰 내 베이스밴드 집적 회로 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셀룰러 네트워크 디바이스 또는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 내 유사 집적 회로를 망라할 것이다.
전화 내 관련된 내부 컴포넌트는 주제어 유닛(MCU)(1203),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1205), 및 마이크로폰 이득 제어 유닛 및 스피커 이득 제어 유닛을 비롯한 수신기/송신기 유닛을 포함한다. 주 디스플레이 유닛(1207)은 각종 애플리케이션 및 자동 콘택트 매칭(automatic contact matching)을 제공하는 이동국 기능을 지원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를 제공한다. 오디오 기능 회로(1209)는 마이크로폰(1211) 및 마이크로폰(1211)으로부터 출력된 음성 신호를 증폭하는 마이크로폰 증폭기를 포함한다. 마이크로폰(1211)으로부터 출력된 증폭된 음성 신호는 코더/디코더(CODEC)(1213)에 공급된다.
무선 섹션(1215)은 안테나(1217)를 통해 이동 통신 시스템에 포함된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해 전력을 증폭하고 주파수를 변환한다. 전력 증폭기(PA)(1219) 및 송신기/변조 회로는 본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듀플렉서(1221) 또는 서큘레이터 또는 안테나 스위치에 연결된 PA(1219)로부터의 출력에 따라 동작가능하게 MCU(1203)에 응답한다. PA(1219)는 또한 배터리 인터페이스와 전원 제어 유닛(1220)에 연결된다.
사용시, 이동국(1201)의 사용자는 마이크로폰(1211)에 대고 말을 하고, 사용자의 음성은 어떤 검출된 배경 잡음과 함께 아날로그 전압으로 변환된다. 그 다음에, 아날로그 전압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1223)를 통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제어 유닛(1203)은 디지털 신호를 DSP(1205)로 라우팅하고, 이 DSP에서 음성 인코딩, 채널 인코딩, 암호화, 및 인터리빙이 처리된다. 일 실시예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셀룰러 전송 프로토콜, 이를 테면, EDGE(enhanced data rates for global evolution),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이동 통신 세계화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IPMS),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MTS) 등뿐만 아니라, 어떤 다른 적합한 무선 매체, 예컨대, 마이크로웨이브 액세스(microwave access: WiMAX),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네트워크, 코드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WiFi), 및 위성 등을 이용하여 별개로 도시되지 않은 유닛에 의해 인코드된다.
그런 다음 인코드된 신호는 공중을 통해 전송하는 동안 발생하는 위상 및 진폭 왜곡과 같은 어떤 주파수-의존 장애를 보상하기 위해 이퀄라이저(1225)로 라우트된다. 비트 스트림을 이퀄라이징한 후, 변조기(1227)는 이 신호를 RF 인터페이스(1229)에서 생성된 RF 신호와 결합한다. 변조기(1227)는 주파수 또는 위상 변조에 의해 사인파를 생성한다. 이 신호의 전송을 준비하기 위하여, 업-컨버터(1231)는 변조기(1227)에서 출력된 사인파를 합성기(1233)에 의해 생성된 다른 사인파와 결합하여 전송에 필요한 주파수를 획득한다. 그런 다음 이 신호는 PA(1219)를 통해 송신되고 그 신호를 적절한 전력 레벨로 증가시킨다. 실제 시스템에서, PA(1219)는 네트워크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따라 DSP(1205)에 의해 이득이 제어되는 가변 이득 증폭기로서 작용한다. 그런 다음, 이 신호는 듀플렉서(1221) 내에서 필터되고 선택사양으로 안테나 커플러(1235)에 송신되어 최대 전력 전송을 제공하도록 임피던스 매칭된다. 마지막으로, 이 신호는 안테나(1217)를 통해 로컬 기지국으로 전송된다. 자동 이득 제어기(AGC)는 수신기의 최종 단계의 이득을 제어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이 신호는 이곳에서 다른 셀룰러 전화일 수 있는 원격 전화, 다른 모바일 폰 또는 공중 교환 전화망(PSTN), 또는 다른 전화망에 연결된 일반 전화(land-line)로 전달될 수 있다.
이동국(1201)으로 전송된 음성 신호는 안테나(1217)를 통해 수신되고 바로 저잡음 증폭기(LNA)(1237)에 의해 증폭된다. 다운-컨버터(1239)는 캐리어 주파수를 낮추는 반면, 복조기(1241)는 RF를 제거하여 디지털 비트 스트림만을 남긴다. 그런 다음, 이 신호는 이퀄라이저(1225)를 통과하고 DSP(1205)에 의해 처리된다.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1243)는 이 신호를 변환하고 결과적인 출력은 중앙 처리 유닛(CPU)(도시되지 않음)으로서 구현될 수 있는 주제어 유닛(MCU)(1203)의 전반적인 제어 하에 스피커(1245)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송된다.
MCU(1203)는 키보드(1247)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비롯한 각종 신호를 수신한다. 키보드(1247) 및/또는 MCU(1203)는 다른 사용자 입력 컴포넌트(예컨대, 마이크로폰(1211))과 결합하여 사용자 입력을 관리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회로를 포함한다. MCU(1203)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를 실행하여 무선 연결을 위해 에너지 소모를 최적화하는 이동국(1201)의 적어도 일부 기능의 사용자 제어를 용이하게 해준다. MCU(1203)는 또한 디스플레이 명령 및 스위치 명령을 각기 디스플레이(1207) 및 음성 출력 스위칭 제어기에 전달한다. 또한, MCU(1203)는 정보를 DSP(1205)와 교환하며 선택사양으로 합체된 SIM 카드(1249) 및 메모리(1251)를 액세스할 수 있다. 게다가, MCU(1203)는 이동국의 필요로 하는 각종 제어 기능을 실행한다. DSP(1205)는 구현예에 따라서 각종의 통상의 디지털 처리 기능 중 임의의 기능을 음성 신호에 대해 수행한다. 부가적으로, DSP(1205)는 마이크로폰(1211)에 의해 검출된 신호로부터 로컬 환경의 배경 잡음 레벨을 결정하고 마이크로폰(1211)의 이득을 이동국(1201)의 사용자의 본연의 성향을 보상하기 위해 선택된 수준으로 설정한다.
CODEC(1213)은 ADC(1233) 및 DAC(1243)를 포함한다. 메모리(1251)는 호 인입 톤 데이터를 포함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며, 예컨대, 글로벌 인터넷을 통해 수신된 음악 데이터를 포함한 다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레지스터, 또는 본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어떤 다른 형태의 기록가능한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메모리 소자(1251)는,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지만, 단일 메모리, CD, DVD, ROM, EEPROM, 광 스토리지, 또는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어떤 다른 비휘발성 저장 매체일 수 있다.
선택사양으로 합체된 SIM 카드(1249)는, 예를 들면, 중요 정보, 이를 테면, 셀룰러 전화 번호, 캐리어 공급 서비스, 가입 세부사항, 및 보안 정보를 담고 있다. SIM 카드(1249)는 기본적으로 무선 네트워크 상의 이동국(1201)을 식별하는 역할을 한다. 카드(1249)는 또한 개인 전화번호 레지스트리, 문자 메시지, 및 사용자 특정 이동국 설정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이 다수의 실시예 및 구현예와 관련하여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제한되지 않고 첨부의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속하는 여러 가지 명백한 변경 및 등가 구성을 망라한다. 비록 본 발명의 특징이 청구항들 중 어떤 조합으로 표현될지라도, 이러한 특징은 어떤 조합 또는 순서로도 배열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101: 사용자 장치 103: 통신 네트워크
105: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106: 전원 모듈
107: 무선 관리 모듈 109: 버퍼링된 데이터
111: 무선 관리 플랫폼 113: 애플리케이션 서버
115: 버퍼링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Claims (33)

  1. 무선 연결을 위한 에너지 소모를 줄이기 위해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을 위한 비실시간(non-real time) 데이터를 버퍼링하기로 결정하는 단계와,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비실시간 데이터의 전송을 스케줄링하기로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비실시간 데이터를 전달하는 통신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스케줄링 및 상기 통신 유형에 기초하여 상기 비실시간 데이터의 전송을 시작하기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형은 킵-얼라이브 메시지(keep-alive message)이고,
    상기 방법은,
    상기 킵-얼라이브 메시지 내 상기 비실시간 데이터를 전달하도록 결정한 후 다음 킵-얼라이브 메시지의 전송을 지연하기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실시간 데이터의 전송은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기 위해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된 무선부(radio)의 활성 상태에 따라서 스케줄링되며,
    상기 활성 상태는 상기 비실시간 데이터와 무관한 실시간 메시지의 전송에 의해 트리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다수의 애플리케이션들에 각기 대응하는 다수의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대표하는 공통의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지정하는 단계와,
    상기 공통의 킵-얼라이브 메시지와 연관된 상기 다수의 애플리케이션들 중 하나 이상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상기 공통의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전송하는 최대 시간 간격 내에 전송되었는지 결정하는 단계와,
    만일 어떠한 데이터도 상기 최대 시간 간격 내에 전송되지 않았으면 상기 공통의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전송하기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의 애플리케이션 데이터의 수신과 동시에 상기 비실시간 데이터를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전송하기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형은 킵-얼라이브 메시지 또는 페이로드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실시간 데이터는 상시 접속 연결(always-on connection)을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무선 연결을 위한 에너지 소모를 줄이기 위한 장치로서,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을 위한 비실시간 데이터를 버퍼링하기로 결정하는 수단과,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비실시간 데이터의 전송을 스케줄링하기로 결정하는 수단과,
    상기 비실시간 데이터를 전달하는 통신 유형을 결정하는 수단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스케줄링 및 상기 통신 유형에 기초하여 상기 비실시간 데이터의 전송을 시작하기로 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통신 유형은 킵-얼라이브 메시지이며,
    상기 장치는 또한,
    상기 킵-얼라이브 메시지 내 상기 비실시간 데이터를 전달하기로 결정한 후 다음 킵-얼라이브 메시지의 전송을 지연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비실시간 데이터의 전송은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기 위해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된 무선부의 활성 상태에 따라서 스케줄링되며,
    상기 활성 상태는 상기 비실시간 데이터와 무관한 실시간 메시지의 전송에 의해 트리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또한,
    다수의 애플리케이션들에 각기 대응하는 다수의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대표하는 공통의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지정하고,
    상기 공통의 킵-얼라이브 메시지와 연관된 상기 다수의 애플리케이션들 중 하나 이상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상기 공통의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전송하는 최대 시간 간격 내에 전송되었는지 결정하고,
    만일 어떤 데이터도 상기 최대 시간 간격 내에 전송되지 않았으면 상기 공통의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전송하기로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또한,
    애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의 애플리케이션 데이터의 수신과 동시에 상기 비실시간 데이터를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전송하기로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형은 킵-얼라이브 메시지 또는 페이로드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비실시간 데이터는 상시 접속 연결을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모바일폰이고,
    상기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상기 모바일 폰의 적어도 일부 기능의 사용자 제어를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고,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회로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와,
    상기 모바일 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적어도 일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모바일 폰의 적어도 일부 기능의 사용자 제어를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및 디스플레이 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장치로 하여금 청구항 제1항 또는 제2항의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명령어의 하나 이상의 시퀀스를 담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7. 삭제
  18. 삭제
  19. 청구항 제1항 또는 제2항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로의 액세스를 허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로의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무선 연결을 위한 에너지 소모를 줄이기 위해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다수의 애플리케이션들에 각기 대응하는 다수의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대표하는 공통의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공통의 킵-얼라이브 메시지의 수신에 기초하여 상기 다수의 애플리케이션들에 대응하는 킵-얼라이브 타이머를 리셋하기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킵-얼라이브 타이머는 데이터 전송 사이의 최대 시간 간격을 추적하여 상기 공통의 킵-얼라이브 메시지와 연관된 상기 다수의 애플리케이션의 하나 이상의 데이터 연결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의 킵-얼라이브 메시지에 대응하는 상기 다수의 애플리케이션들 중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데이터의 수신에 기초하여 상기 킵-얼라이브 타이머를 리셋하기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애플리케이션들 중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은 비실시간 데이터의 전송을 지원하며,
    상기 방법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을 위한 비실시간 데이터를 버퍼링하기로 결정하는 단계와,
    무선 디바이스로부터의 데이터의 수신과 동시에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의 상기 비실시간 데이터의 전송을 시작하기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비실시간 데이터는 무선 디바이스와 공유된 기설정된 스케줄에 따라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무선 연결을 위한 에너지 소모를 줄이기 위한 장치로서,
    다수의 애플리케이션들에 각기 대응하는 다수의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대표하는 공통의 킵-얼라이브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단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공통의 킵-얼라이브 메시지의 수신에 기초하여 상기 다수의 애플리케이션들에 대응하는 킵-얼라이브 타이머를 리셋하기로 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킵-얼라이브 타이머는 데이터 전송 사이의 최대 시간 간격을 추적하여 상기 공통의 킵-얼라이브 메시지와 연관된 상기 다수의 애플리케이션의 하나 이상의 데이터 연결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또한,
    상기 공통의 킵-얼라이브 메시지에 대응하는 상기 다수의 애플리케이션들 중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데이터의 수신에 기초하여 상기 킵-얼라이브 타이머를 리셋하기로 결정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애플리케이션들 중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은 비실시간 데이터의 전송을 지원하며,
    상기 장치는 또한,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을 위한 상기 비실시간 데이터를 버퍼링하기로 결정하고,
    무선 디바이스로부터의 데이터의 수신과 동시에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의 상기 비실시간 데이터의 전송을 시작하기로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비실시간 데이터는 무선 디바이스와 공유된 기설정된 스케줄에 따라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8.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장치로 하여금 청구항 제20항 또는 제21항의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명령어의 하나 이상의 시퀀스를 담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9. 삭제
  30.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모바일 폰이고,
    상기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상기 모바일 폰의 적어도 일부 기능의 사용자 제어를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고,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회로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와,
    상기 모바일 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적어도 일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모바일 폰의 적어도 일부 기능의 사용자 제어를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및 디스플레이 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1. 청구항 제20항 또는 제21항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로의 액세스를 허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로의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2. 삭제
  33. 삭제
KR1020117030730A 2009-06-23 2010-06-22 무선 연결을 위한 에너지 소모를 최적화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4347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490,244 US9313800B2 (en) 2009-06-23 2009-06-23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energy consumption for wireless connectivity
US12/490,244 2009-06-23
PCT/IB2010/052837 WO2010150199A1 (en) 2009-06-23 2010-06-22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energy consumption for wireless connectivit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6563A KR20120026563A (ko) 2012-03-19
KR101434721B1 true KR101434721B1 (ko) 2014-08-29

Family

ID=43354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30730A KR101434721B1 (ko) 2009-06-23 2010-06-22 무선 연결을 위한 에너지 소모를 최적화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313800B2 (ko)
EP (1) EP2446692A4 (ko)
KR (1) KR101434721B1 (ko)
CN (1) CN102804899A (ko)
AU (1) AU2010264102B2 (ko)
BR (1) BRPI1014078A2 (ko)
MX (1) MX2011013704A (ko)
RU (1) RU2510160C2 (ko)
WO (1) WO2010150199A1 (ko)
ZA (1) ZA20120042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58483A1 (en) 2002-01-08 2003-07-17 Seven Networks, Inc. Connection architecture for a mobile network
US8468126B2 (en) 2005-08-01 2013-06-18 Seven Networks, Inc. Publishing data in an information community
US7853563B2 (en) 2005-08-01 2010-12-14 Seven Networks, Inc. Universal data aggregation
US7917468B2 (en) 2005-08-01 2011-03-29 Seven Networks, Inc. Linking of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data
WO2006045102A2 (en) 2004-10-20 2006-04-27 Seven Network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cepting events in a communication system
US7706781B2 (en) 2004-11-22 2010-04-27 Seven Networks International Oy Data security in a mobile e-mail service
FI117152B (fi) 2004-12-03 2006-06-30 Seven Networks Internat Oy Sähköpostiasetusten käyttöönotto matkaviestimelle
US7877703B1 (en) 2005-03-14 2011-01-25 Seven Networks, Inc. Intelligent rendering of information in a limited display environment
US8438633B1 (en) 2005-04-21 2013-05-07 Seven Networks, Inc. Flexible real-time inbox access
WO2006136660A1 (en) 2005-06-21 2006-12-28 Seven Networks International Oy Maintaining an ip connection in a mobile network
US7769395B2 (en) 2006-06-20 2010-08-03 Seven Networks, Inc. Location-based operations and messaging
US8693494B2 (en) 2007-06-01 2014-04-08 Seven Networks, Inc. Polling
US8805425B2 (en) 2007-06-01 2014-08-12 Seven Networks, Inc. Integrated messaging
US8364181B2 (en) 2007-12-10 2013-01-29 Seven Networks, Inc. Electronic-mail filtering for mobile devices
US9002828B2 (en) 2007-12-13 2015-04-07 Seven Networks, Inc. Predictive content delivery
US8862657B2 (en) 2008-01-25 2014-10-14 Seven Networks, Inc. Policy based content service
US20090193338A1 (en) 2008-01-28 2009-07-30 Trevor Fiatal Reducing network and battery consumption during content delivery and playback
US8787947B2 (en) 2008-06-18 2014-07-22 Seven Networks, Inc. Application discovery on mobile devices
US8078158B2 (en) 2008-06-26 2011-12-13 Seven Networks, Inc. Provisioning applications for a mobile device
US8909759B2 (en) 2008-10-10 2014-12-09 Seven Networks, Inc. Bandwidth measurement
US8667109B2 (en) 2009-04-30 2014-03-04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User profile-based wireless device system level management
US20110153728A1 (en) * 2009-12-17 2011-06-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nchronization of sporadic web poll traffic
US9603085B2 (en) 2010-02-16 2017-03-2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providing intelligent radio selection for legacy and non-legacy applications
WO2013015835A1 (en) 2011-07-22 2013-01-31 Seven Networks, Inc. Mobile application traffic optimization
EP2599003B1 (en) 2010-07-26 2018-07-11 Seven Networks, LLC Mobile network traffic coordination across multiple applications
GB2495066B (en) 2010-07-26 2013-12-18 Seven Networks Inc Mobile application traffic optimization
GB2495877B (en) 2010-07-26 2013-10-02 Seven Networks Inc Distributed implementation of dynamic wireless traffic policy
EP3647962A1 (en) 2010-07-26 2020-05-06 Seven Networks, LLC Context aware traffic management for resource conservation in a wireless network
US11595901B2 (en) 2010-07-26 2023-02-28 Seven Networks, Llc Optimizing mobile network traffic coordination across multiple applications running on a mobile device
US8838783B2 (en) 2010-07-26 2014-09-16 Seven Networks, Inc. Distributed caching for resource and mobile network traffic management
US8583765B1 (en) * 2010-09-14 2013-11-12 Amazon Technologies, Inc. Obtaining information for a wireless connection
US8964568B2 (en) 2010-10-22 2015-02-2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managing IP addresses and network traffic in wireless networks
WO2012060995A2 (en) 2010-11-01 2012-05-10 Michael Luna Distributed caching in a wireless network of content delivered for a mobile application over a long-held request
US9330196B2 (en) 2010-11-01 2016-05-03 Seven Networks, Llc Wireless traffic management system cache optimization using http headers
WO2012060997A2 (en) 2010-11-01 2012-05-10 Michael Luna Application and network-based long poll request detection and cacheability assessment therefor
US8843153B2 (en) 2010-11-01 2014-09-23 Seven Networks, Inc. Mobile traffic categorization and policy for network use optimization while preserving user experience
US8326985B2 (en) * 2010-11-01 2012-12-04 Seven Networks, Inc. Distributed management of keep-alive message signaling for mobile network resource conservation and optimization
EP2635973A4 (en) 2010-11-01 2014-01-15 Seven Networks Inc TO THE BEHAVIOR OF A MOBILE APPLICATION AND INTERMEDIATE STORAGE TAILORED TO NETWORK CONDITIONS
US9060032B2 (en) 2010-11-01 2015-06-16 Seven Networks, Inc. Selective data compression by a distributed traffic management system to reduce mobile data traffic and signaling traffic
US8484314B2 (en) 2010-11-01 2013-07-09 Seven Networks, Inc. Distributed caching in a wireless network of content delivered for a mobile application over a long-held request
US8831658B2 (en) 2010-11-05 2014-09-09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ling application access to a network
US8762548B1 (en) 2010-11-10 2014-06-24 Amazon Technologies, Inc. Wireless networking selection techniques
CA2798523C (en) 2010-11-22 2015-02-24 Seven Networks, Inc. Aligning data transfer to optimize connections established for transmission over a wireless network
GB2500327B (en) 2010-11-22 2019-11-06 Seven Networks Llc Optimization of resource polling intervals to satisfy mobile device requests
GB2501416B (en) 2011-01-07 2018-03-21 Seven Networks Llc System and method for reduction of mobile network traffic used for domain name system (DNS) queries
US9264868B2 (en) 2011-01-19 2016-02-16 Qualcomm Incorporated Management of network access requests
JP5763934B2 (ja) * 2011-02-17 2015-08-12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ータ処理装置及びその省電力制御方法
JP2014511646A (ja) * 2011-03-07 2014-05-15 インテル コーポレイション グループ化されたマシーン間通信
US8923176B2 (en) * 2011-03-08 2014-12-30 Skype Saving pow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9178965B2 (en) 2011-03-18 2015-11-03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synchronization of application communications
US20120262335A1 (en) * 2011-04-15 2012-10-18 Qualcomm Incorporated Network coverage and demand maps
EP2700021A4 (en) 2011-04-19 2016-07-20 Seven Networks Llc MANAGEMENT OF COMMON RESOURCES AND VIRTUAL RESOURCES IN A NETWORKED ENVIRONMENT
US9571952B2 (en) 2011-04-22 2017-02-14 Qualcomm Incorporatd Offloading of data to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8621075B2 (en) 2011-04-27 2013-12-31 Seven Metworks, Inc. Detecting and preserving state for satisfying application requests in a distributed proxy and cache system
EP2556441B8 (en) * 2011-04-27 2015-11-25 Seven Networks, LLC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requests on behalf of a mobile device based on atomic processes for mobile network traffic relief
US8787404B2 (en) * 2011-05-26 2014-07-2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Event-based keep alive times in communication networks
WO2012174006A1 (en) * 2011-06-14 2012-12-20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Efficiently maintaining communications connectivity for a plurality of applications
US8566625B2 (en) 2011-07-01 2013-10-22 Inte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transmitting frequency to maintain remote application server connectivity
US8239698B2 (en) * 2011-07-01 2012-08-07 Inte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aintaining connectivity to remote application servers
KR101256801B1 (ko) 2011-07-04 2013-04-22 주식회사 코모바일 킵얼라이브 통신 시스템 및 통신방법
KR101298743B1 (ko) * 2011-07-19 2013-08-2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메시지 부하 분산을 위한 푸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EP2737742A4 (en) 2011-07-27 2015-01-28 Seven Networks Inc AUTOMATIC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GUIDELINES INFORMATION ON MOBILE MOBILE TRANSPORT IN A WIRELESS NETWORK
US8838086B2 (en) 2011-08-29 2014-09-1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ement of background application events
WO2013055050A2 (ko) * 2011-10-12 2013-04-1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동시 호 회피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CN103096293A (zh) * 2011-11-04 2013-05-0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应用数据处理方法及装置
WO2013072556A1 (en) * 2011-11-15 2013-05-23 Nokia Corporation Radio usage optimization with intermittent traffic
US8918503B2 (en) 2011-12-06 2014-12-23 Seven Networks, Inc. Optimization of mobile traffic directed to private networks and operator configurability thereof
WO2013086225A1 (en) 2011-12-06 2013-06-13 Seven Networks, Inc. A mobile device and method to utilize the failover mechanisms for fault tolerance provided for mobile traffic management and network/device resource conservation
US9277443B2 (en) 2011-12-07 2016-03-01 Seven Networks, Llc Radio-awareness of mobile device for sending server-side control signals using a wireless network optimized transport protocol
EP2788889A4 (en) 2011-12-07 2015-08-12 Seven Networks Inc FLEXIBLE AND DYNAMIC INTEGRATION SCHEMES OF A TRAFFIC MANAGEMENT SYSTEM WITH VARIOUS NETWORK OPERATORS TO REDUCE NETWORK TRAFFIC
US20130159511A1 (en) 2011-12-14 2013-06-20 Seven 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report to a network operator by distributing aggregation of data
US8861354B2 (en) 2011-12-14 2014-10-14 Seven Networks, Inc. Hierarchies and categories for management and deployment of policies for distributed wireless traffic optimization
WO2013090834A1 (en) 2011-12-14 2013-06-20 Seven Networks, Inc. Operation modes for mobile traffic optimization and concurrent management of optimized and non-optimized traffic
GB2499306B (en) 2012-01-05 2014-10-22 Seven Networks Inc Managing user interaction with an application on a mobile device
US8948779B1 (en) 2012-02-01 2015-02-03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Communication profiles for mobile devices based on historical characteristics
WO2013116856A1 (en) 2012-02-02 2013-08-08 Seven Networks, Inc. Dynamic categorization of applications for network access in a mobile network
US9326189B2 (en) 2012-02-03 2016-04-26 Seven Networks, Llc User as an end point for profiling and optimizing the delivery of content and data in a wireless network
US8812695B2 (en) 2012-04-09 2014-08-19 Seven Networks, Inc. Method and system for management of a virtual network connection without heartbeat messages
WO2013155208A1 (en) 2012-04-10 2013-10-17 Seven Networks, Inc. Intelligent customer service/call center services enhanced using real-time and historical mobile application and traffic-related statistics collected by a distributed caching system in a mobile network
US20150181000A1 (en) * 2012-05-31 2015-06-25 Silke Holtmanns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ing load management
JP6049876B2 (ja) 2012-07-10 2016-12-21 エンパイア テクノロジー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ルエルシー プッシュ管理スキーム
US8775631B2 (en) 2012-07-13 2014-07-08 Seven Networks, Inc. Dynamic bandwidth adjustment for browsing or streaming activity in a wireless network based on prediction of user behavior when interacting with mobile applications
WO2014015916A1 (en) * 2012-07-26 2014-01-30 Sony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 for adaptive application behavior based on cellular network statistics
US9554366B2 (en) * 2012-08-31 2017-01-24 Qualcomm Incorporated Optimized always-on wireless service using network assistance and keep-alives
US9380125B2 (en) 2012-09-11 2016-06-28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delivery control of application data to a mobile device in a communication network
EP2910000A1 (en) * 2012-10-22 2015-08-26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negotiating "keep-alive" message frequencies of applications running on a mobile station
US9161258B2 (en) 2012-10-24 2015-10-13 Seven Networks, Llc Optimized and selective management of policy deployment to mobile clients in a congested network to prevent further aggravation of network congestion
US20140177497A1 (en) 2012-12-20 2014-06-26 Seven Networks, Inc. Management of mobile device radio state promotion and demotion
US9241314B2 (en) 2013-01-23 2016-01-19 Seven Networks, Llc Mobile device with application or context aware fast dormancy
US8874761B2 (en) 2013-01-25 2014-10-28 Seven Networks, Inc. Signaling optimization in a wireless network for traffic utilizing proprietary and non-proprietary protocols
US9326185B2 (en) 2013-03-11 2016-04-26 Seven Networks, Llc Mobile network congestion recognition for optimization of mobile traffic
EP2804142B1 (en) * 2013-05-17 2020-01-15 ABB Schweiz AG Recording and processing safety relevant observations for facilities
US20140359159A1 (en) * 2013-05-29 2014-12-04 Microsoft Corporation Facilitating utilization of datagram-based protocols
PL3008946T3 (pl) 2013-06-11 2019-02-28 Seven Networks Llc Przenoszenie ruchu aplikacji do współdzielonego kanału łączności w celu zoptymalizowania sygnału w sieci bezprzewodowej dla ruchu wykorzystującego protokoły własnościowe i nie-własnościowe
US9065765B2 (en) 2013-07-22 2015-06-23 Seven Networks, Inc. Proxy server associated with a mobile carrier for enhancing mobile traffic management in a mobile network
KR102151938B1 (ko) * 2013-08-23 2020-09-0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 운용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서버 및 장치
WO2015051527A1 (zh) * 2013-10-11 2015-04-16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处理数据的方法、调制解调器及终端
US9480043B2 (en) * 2014-04-25 2016-10-2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network based positioning
KR102166361B1 (ko) 2014-07-21 2020-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저전력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및 저전력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스케쥴링 맵 생성 방법
US9736774B2 (en) 2015-01-30 2017-08-15 Huawei Technologie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a wireless device to receive data in an eco state
RU2652506C2 (ru) * 2015-04-10 2018-04-26 Андрей Иванович Бодренко Способ организации беспроводной компьютерной сети в химической системе
US9854529B2 (en) * 2015-12-03 2017-12-26 Google Llc Power sensitive wireless communication radio management
CN106899488B (zh) 2016-07-22 2020-09-15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应用消息推送方法、装置
US20190222872A1 (en) * 2016-09-30 2019-07-18 Net Insight Intellectual Property Ab Playout buffering in a live content distribution system
US10813169B2 (en) 2018-03-22 2020-10-20 GoTenna, Inc. Mesh network deployment kit
CN108541050A (zh) * 2018-03-29 2018-09-14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装置、移动终端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2771754A (zh) * 2018-07-03 2021-05-07 施耐德电气It公司 在电源装置中用于提供网络连接弹性的系统及方法
CN109769257B (zh) * 2019-01-16 2021-09-10 重庆邮电大学 基于能效的异构网络鲁棒资源分配和时长混合优化方法
CN109640384A (zh) * 2019-02-01 2019-04-1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和移动终端
US20220159547A1 (en) * 2019-03-08 2022-05-19 Sony Group Corporation Methods for enabling controlled communication of non-real time data, related wireless devices, and related radio network nodes
FI20195887A1 (en) * 2019-10-15 2021-04-16 Nokia Technologies Oy Selective transmissions on a wireless device
EP3968600A1 (en) * 2020-09-11 2022-03-16 Volkswagen Ag Controlling a communication between a vehicle and a backend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97415A1 (en) 2006-06-27 2007-1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of scheduling data packet in a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5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09325A (en) * 1995-02-01 1999-12-28 Motorola, Inc. Method of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cellular phone in one of two modes
US6212175B1 (en) * 1997-04-22 2001-04-03 Telxon Corporation Method to sustain TCP connection
FI106600B (fi) 1998-05-13 2001-02-28 Nokia Networks Oy Monipistelähetys
US6788704B1 (en) * 1999-08-05 2004-09-07 Intel Corporation Network adapter with TCP windowing support
US7082467B2 (en) * 2000-02-10 2006-07-25 Hughes Network Systems Method and device for selective transport level spoofing based on information in transport level packet
US20020087630A1 (en) * 2000-10-20 2002-07-04 Jonathan Wu Enhanced information and presence service
DE60209922T2 (de) * 2001-08-15 2006-11-23 Qualcomm, Inc., San Diego Dual mode bluetooth/wireless gerät mit optimierten aufwach-zeiten für energie-einsparung
US7058054B2 (en) * 2001-08-20 2006-06-06 Skystream Networks Inc. Controlling multiple nodes to execute messages only once
KR100459126B1 (ko) 2002-01-09 2004-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망의 세션 유지 제어 방법
US7149556B2 (en) * 2002-06-07 2006-12-1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ed battery life and authentication in contactless technology
US7152111B2 (en) * 2002-08-15 2006-12-19 Digi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client connection manager
US7961736B2 (en) * 2002-09-26 2011-06-14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Convergence and classification of data packets in a centralized communication system
US7573867B1 (en) * 2003-07-17 2009-08-11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system for maintaining a radio link connection during absence of real-time packet data communication
US7634558B1 (en) * 2003-09-22 2009-12-15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system for updating network presence records at a rate dependent on network load
US7426569B2 (en) * 2004-02-25 2008-09-16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maintaining a network connection
AP2179A (en) * 2004-03-04 2010-11-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operational mode of a mac layer in a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JP2005303827A (ja) 2004-04-14 2005-10-27 Ntt Docomo Inc 無線基地局、通信経路制御方法およびパケット転送方法
US7710931B2 (en) * 2004-08-31 2010-05-04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handling simple IP to mobile IP transition
US20060171310A1 (en) 2005-02-03 2006-08-03 Utstarcom, Inc. Method and system of consolidating mobile IP messages within a network
US7460556B2 (en) * 2005-02-17 2008-12-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nomic adjustment of connection keep-alives
ATE375678T1 (de) 2005-05-17 2007-10-15 Alcatel Lucent Verfahren zur bereitstellung einer echtzeitkommunikationsverbindung
US8650305B2 (en) 2005-05-24 2014-02-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entralized session management in an aggregated application environment
JP4731603B2 (ja) * 2005-06-20 2011-07-27 エスケーテレコム株式会社 Cdma2000網における接続時間短縮のための高速データ呼接続方法
KR100704674B1 (ko) 2005-06-27 2007-04-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휴대 인터넷 시스템의 스케줄링 장치 및 그 방법
EP2247146B1 (en) * 2005-12-14 2011-11-16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user equipment directed radio resource control in a UMTS network
DE602005013410D1 (de) * 2005-12-15 2009-04-30 Nokia Corp Verfahren, Apparat und Computerprogrammprodukt zur Beibehaltung von Abbildungszuordnungen
US7668129B2 (en) * 2006-03-30 2010-02-23 Intel Corporation Learning mechanism to configure power save parameters for automatic power save delivery
US20070238437A1 (en) * 2006-04-10 2007-10-11 Nokia Corporation Delayed host wakeup for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US20070268127A1 (en) * 2006-05-22 2007-11-22 Motorola, Inc. Wireless sensor node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US7672264B2 (en) * 2006-06-21 2010-03-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of pausing keep-alive messages and roaming for virtual private networks on handheld devices to save battery power
US8260372B2 (en) * 2006-06-30 2012-09-04 Nokia Corporation Traffic monitoring for regulating states of a terminal
DE602006002395D1 (de) 2006-08-16 2008-10-02 Research In Motion Ltd Verfahren und System zur Koordinierung von notwendigen Funkübertragungsereignissen mit unzusammenhängenden opportunistischen Ereignissen zur Optimierung der Batterieausdauer und Netzwerkbetriebsmittel
US7885616B2 (en) * 2006-08-16 2011-02-08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coordinating necessary radio transmission events with unrelated opportunistic events to optimize battery life and network resources
US7907938B2 (en) * 2006-08-31 2011-03-15 Alcatel-Lucent Usa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transmi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US8849961B2 (en) * 2006-09-06 2014-09-30 Nokia Corporation Mobile network optimized method for keeping an application IP connection always on
US8693407B2 (en) 2006-09-11 2014-04-0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keep-alive bits transmission
US7698409B2 (en) * 2006-12-22 2010-04-13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n apparatus for executing timed network operations
US7684346B2 (en) * 2006-12-29 2010-03-23 Nokia Corporation Communications control for extending the period over which a terminal is able to have an open connection with a host accessible via a packet data network
US7881318B2 (en) * 2007-02-28 2011-02-01 Microsoft Corporation Out-of-band keep-alive mechanism for clients associated with network address translation systems
US8023432B2 (en) * 2007-03-12 2011-09-20 Microsoft Corporation Cost reduction of NAT connection state keep-alive
EP1973277A1 (en) * 2007-03-23 2008-09-24 NTT DoCoM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al time scheduling of traffic in wireless networks
US8072930B2 (en) 2007-04-25 2011-12-06 Sony Corporation Communication unit, system and method for saving power therein
US9414429B2 (en) * 2007-06-28 2016-08-0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an always-on data se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8369254B2 (en) * 2007-06-28 2013-02-05 Intel Corporation Network interface apparatus
US8077647B2 (en) * 2007-09-05 2011-12-13 Conexant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utilizing a scanning threshold to reduce power consumption
FI120179B (fi) * 2007-10-23 2009-07-15 Teliasonera Ab Optimoituja viestintäkuvioita
US8228830B2 (en) * 2008-01-04 2012-07-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Using a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channel to save power for virtual private networks (VPNs) that use user datagram protocol (UDP)
US8665801B2 (en) * 2008-01-08 2014-03-04 Alcatel Lucent Allocating forward link resources for transmitting data over a shared forward link data channel without allocating reverse link resources for reverse link data transmission
US8099505B2 (en) 2008-03-26 2012-01-17 Microsoft Corporation Aggregating connection maintenance to optimize resource consumption
US8477761B2 (en) * 2008-03-27 2013-07-02 Ittiam Systems (P) Ltd. Unified session signaling system for use in multimedia communications
KR101537043B1 (ko) * 2008-06-18 2015-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과 서버와의 연결 유지 방법 및시스템
US8170166B2 (en) * 2009-02-25 2012-05-01 Freescale Semiconductor, Inc. Methods and systems for combining timing signals for transmission over a serial interface
US7978630B2 (en) * 2009-04-30 2011-07-12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 and system of maintaining a connection in a network communication system
US8528066B2 (en) * 2009-08-25 2013-09-03 Microsoft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enabling context sharing
US8326985B2 (en) * 2010-11-01 2012-12-04 Seven Networks, Inc. Distributed management of keep-alive message signaling for mobile network resource conservation and optimization
WO2012060995A2 (en) * 2010-11-01 2012-05-10 Michael Luna Distributed caching in a wireless network of content delivered for a mobile application over a long-held request
JP2014511646A (ja) * 2011-03-07 2014-05-15 インテル コーポレイション グループ化されたマシーン間通信
KR101890659B1 (ko) * 2011-09-01 2018-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에서 ip 접속을 유지하는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97415A1 (en) 2006-06-27 2007-1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of scheduling data packet in a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510160C2 (ru) 2014-03-20
US20100322124A1 (en) 2010-12-23
ZA201200428B (en) 2013-06-26
RU2012101865A (ru) 2013-07-27
EP2446692A1 (en) 2012-05-02
AU2010264102A1 (en) 2012-01-19
CN102804899A (zh) 2012-11-28
WO2010150199A1 (en) 2010-12-29
US9313800B2 (en) 2016-04-12
MX2011013704A (es) 2012-02-22
BRPI1014078A2 (pt) 2016-04-19
KR20120026563A (ko) 2012-03-19
AU2010264102B2 (en) 2014-04-10
EP2446692A4 (en) 2017-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4721B1 (ko) 무선 연결을 위한 에너지 소모를 최적화하는 방법 및 장치
US1086300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header compressed packet in electronic device
KR101991145B1 (ko) 저에너지 비콘 인코딩
KR101946109B1 (ko) 무선 신호의 특성의 변화의 미리 정의된 시퀀스를 통한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JP6096805B2 (ja) Nfcのllcpの配分を改善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2019527982A (ja) デバイスの無線通信モジュールをウェイクアップ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9811374B1 (en) Partial resume for operating system modules
KR20080109809A (ko) 전력 관리를 이용하는 다중 캐스트 및 브로드캐스트 트래픽
US9220084B1 (en) Activation of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applications based on push notifications
KR101944556B1 (ko) 무선부에서의 절전 모드 제어 방법
US20210067565A1 (en) Efficient interactions to support internet-of-things (iot) device power saving mode
US10375134B2 (en) Method and device for low latency group-addressed streaming
US20180234943A1 (en) Enhanced paging in 4g lte mobile satellite systems
JP2014132743A (ja) 船舶通信サービスゲートウェイ装置及び船舶通信サービス提供方法
CN116170756A (zh) 信息传输方法和终端
CN112839308B (zh) 数据处理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9722949B2 (en) Reducing power utilization by transferring communication sessions from a main processor
CN109565645B (zh) 组播业务传输方法、终端、基站和通信系统
US20230319711A1 (en) Target wake time (twt) renegotiation
US9143386B1 (en) Remote keep-alive message manage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20230224998A1 (en) Small data transmission
JP5313119B2 (ja)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通信装置制御プログラム、及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WO2023146564A1 (en) Btoip low power design with adaptive low power mode and data burst interval
WO2023195986A1 (en) Hybrid rohc-rtp stack for small packet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