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4328B1 - 다중 파장 공진형 초음파 센서 어레이 - Google Patents

다중 파장 공진형 초음파 센서 어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4328B1
KR101434328B1 KR1020130104623A KR20130104623A KR101434328B1 KR 101434328 B1 KR101434328 B1 KR 101434328B1 KR 1020130104623 A KR1020130104623 A KR 1020130104623A KR 20130104623 A KR20130104623 A KR 20130104623A KR 101434328 B1 KR101434328 B1 KR 101434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oustic
sensing
acoustically
ultrasonic sensor
reson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4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성
신규식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4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43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7/00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ducers F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파장 공진형 초음파 센서 어레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초음파 센서 어레이는 복수의 공진주파수를 각각 가지는 복수의 음향감지막, 해당 음향감지막의 가장자리를 둘러싸 형성되며 음향감지막 각각의 위치에 대응하여 해당 음향감지막에 음파를 전달하는 복수의 음파채널이 형성된 음향감지기판, 및 음향감지막을 사이에 두고 음파채널과 대향하여 음향감지기판의 일면에 결합되며 음향감지막 각각의 위치에 대응하여 음향감지막의 공진주파수에 따라 일정 깊이로 파인 복수의 공진홀을 구비한 음향반사판을 포함하며, 이를 통해 특정 주파수에 공진하는 초음파 센서를 채용하여 감지 감도가 현저히 높아지고, 복수의 초음파 센서를 어레이화하여, 광대역 초음파 센서의 특성을 구현함으로써 넓은 대역의 초음파를 정밀하게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다중 파장 공진형 초음파 센서 어레이 {Multi-wavelength resonant ultrasonic sensor array}
본 발명은 초음파 센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특정 주파수에서 공진하는 초음파 센서를 어레이화하여 초음파의 발생여부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다중 파장 공진형 초음파 센서 어레이에 관한 것이다.
초음파 센서는 사람의 귀에 들리지 않을 정도로 높은 주파수의 소리인 초음파가 가지고 있는 특성을 이용한 센서이다.
이러한 초음파 센서는 전력을 사용하는 부품, 장치 및 각종 설비의 부분 방전을 검출하는데 이용된다. 이때, 초음파 센서는 부분 방전을 검출하기 위한 대상물에 부착된 후 초음파의 발생 여부를 측정하고, 이렇게 초음파 센서가 수집한 음향 신호를 분석하면 부분 방전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초음파는 가청 주파수보다 높은 대략 20 내지 1000 kHz 범위의 초음파를 감지하는데, 해당 대역의 초음파를 감지하기 위해서 광대역 특성의 초음파 센서가 이용되어 왔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광대역 초음파 센서는, 감지 대역 전체를 감지하기 위해 해당 대역보다 큰 공진주파수를 가져야하고, 이는 초음파 센서의 공진주파수에 대응되는 초음파를 감지하는 경우에 비해 상당한 감도 손실을 초래한다.
또한 종래의 광대역 초음파 센서의 감지 신호에 대해 아날로그-디지털 변환(analog-to-digital conversion)을 하려면, 감지 대역의 최고 주파수보다 2배 이상의 샘플링율(sampling rate)을 가져야 하기 때문에, 처리 데이터량이 2Mbyte/sec 이상이 되어야 하고, 그 결과 연산 부담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 주파수에서 공진함으로써 높은 감도를 가지는 초음파 센서를 이용해 초음파를 감지하고, 이러한 초음파 센서를 어레이(array)화하여 광대역 특성을 구현함으로써 초음파의 발생여부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다중 파장 공진형 초음파 센서 어레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중 파장 공진형 초음파 센서 어레이는, 복수의 공진주파수를 각각 가지는 복수의 음향감지막, 상기 음향감지막의 가장자리를 둘러싸 형성되며, 상기 음향감지막 각각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음향감지막에 음파를 전달하는 복수의 음파채널이 형성된 음향감지기판, 및 상기 음향감지막을 사이에 두고 상기 음파채널과 대향하여 상기 음향감지기판의 일면에 결합되며, 상기 음향감지막 각각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음향감지막의 공진주파수에 따라 일정 깊이로 파인 복수의 공진홀을 구비한 음향반사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중 파장 공진형 초음파 센서 어레이에 있어서, 상기 음향감지막은 원판형이고, 상기 음파채널은 원판형의 상기 음향감지막에 대응하여 실린더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중 파장 공진형 초음파 센서 어레이에 있어서, 상기 음향감지막의 공진주파수는 수식
Figure 112013079800664-pat00001
에 의해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f0는 음향감지막의 공진주파수이고, D는 음향감지막의 직경(m)이고, T는 음향감지막의 응력(N/m)이고, σ는 밀도(kg/m2)이다.
본 발명의 다중 파장 공진형 초음파 센서 어레이에 있어서, 상기 공진홀은, 상기 음향감지막의 공진주파수에 대응한 파장의 0.25배 깊이로 파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파장 공진형 초음파 센서 어레이.
본 발명의 다중 파장 공진형 초음파 센서 어레이에 있어서, 상기 음향반사판은 상기 공진홀 내부 압력 조절을 위해, 상기 공진홀 내부로부터 상기 음향 반사판을 관통하여 형성된 배기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중 파장 공진형 초음파 센서 어레이에 있어서, 상기 음향반사판과 대향하는 상기 음향감지기판의 일면에 결합되어 상기 음파채널로 음파가 모아지도록 보조하는 나팔 형태의 음향집속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중 파장 공진형 초음파 센서어레이는, 복수의 공진주파수를 각각 가지는 복수의 음향감지막, 상기 음향감지막의 가장자리를 둘러싸 형성되며, 상기 음향감지막 각각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음향감지막에 음파를 전달하는 복수의 음파채널이 형성된 음향감지기판, 상기 음향감지막을 사이에 두고 상기 음파채널과 대향하여 상기 음향감지기판의 일면에 결합되며, 상기 음향감지막 각각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음향감지막의 공진주파수에 따라 일정 깊이로 파인 복수의 공진홀을 구비한 음향반사판, 상기 음향감지기판 및 상기 음향반사판을 감싸 형성된 케이스, 및 음파의 반사 손실을 줄이기 위해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부착되어 음향 임피던스를 조정하는 음향매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중 파장 공진형 초음파 센서 어레이에 있어서, 상기 음향감지막은 원판형이고, 상기 음파채널은 원판형의 상기 음향감지막에 대응하여 실린더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중 파장 공진형 초음파 센서 어레이에 따르면, 특정 주파수의 음파에 대응하는 공진하는 초음파 센서를 이용해 초음파를 감지함으로써 감지 감도가 높아진다.
그리고 음향감지막의 공진주파수에 따라 일정 깊이로 파인 공진홀을 구비한 음향반사판을 이용하여, 음파가 보강 간섭을 통해 증폭되도록 하며, 그 결과 초음파 센서의 감지 감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음향감지기판의 일면에 나팔 형태의 음향집속기를 구비하여, 소형의 초음파 센서에 음파가 잘 모아지도록 하며, 그 결과 감지 감도를 개선할 수 있다.
그리고 특정 주파수에 각각 공진하는 복수의 초음파 센서를 어레이화하여, 광대역 초음파 센서의 특성을 구현함으로써, 넓은 대역의 초음파를 정밀하게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하여 각 초음파 센서의 출력은 특정 주파수로 정해져 있으므로, 주파수 성분을 제외하고 진폭의 크기만 출력하면 되기 때문에, 샘플링 데이터량을 크게 줄일 수 있고, 종래의 광대역 초음파 센서에 비해 전력 소모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센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센서 어레이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음향집속기가 결합된 초음파 센서 어레이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센서 어레이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초음파 센서 어레이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초음파를 감지하는 센서와 관련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센서(1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초음파 센서(100)는 음향감지막(10), 음향감지기판(20) 및 음향반사판(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음향감지막(10)은 음파에 따라 진동하며 특정 공진주파수를 가진다.
음향감지기판(20)은 음향감지막(10)의 가장자리를 둘러싸 형성되며, 음향감지막(10)의 위치에 대응하여 음향감지막(10)에 음파를 전달하는 음파채널(21)이 형성된다. 음향감지기판(20)은 음향감지막(10)의 진동에 따른 신호를 외부에 전달하기 위한 기판 형태를 취하며, 그 표면 또는 내부에 신호선을 구비한다.
음향반사판(30)은 음향감지막(10)을 사이에 두고 음파채널(21)과 대향하여 음향감지기판(20)의 일면에 결합되며, 음향감지막(10)의 위치에 대응하여 음향감지막(10)의 공진주파수에 따라 일정 깊이로 파인 공진홀(32)을 구비한다.
음향감지막(10)은 음파를 효율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음파의 진행 방향에 수직으로 형성된 원판형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음향감지기판(20)에 구비된 음파채널(21)은 원판형의 음향감지막(10)에 대응하여 실린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음향감지막(10)의 공진주파수는 다음의 수식에 의해 정해진다.
Figure 112013079800664-pat00002
f0: 음향감지막(10)의 공진주파수
D: 음향감지막(10)의 직경(m)
T: 음향감지막(10)의 응력(N/m)
σ: 밀도(kg/m2)
이때, 수학식 1의 각 계수를 조정하여 공진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음향감지막(10)의 스프링계수나 질량을 조정하여 특정 주파수에서 공진하도록 할 수 있다.
음향반사판(30)은 음향감지막(10)이 공진주파수에서 공진함에 있어 보강 간섭을 통해 공진이 증폭되도록 한다. 이때, 음향반사판(30)은 음향감지막(10)의 위치에 대응하여 음향감지막(10)의 공진주파수에 따라 일정 깊이로 파인 공진홀(32)을 구비하는데, 해당 공진홀(32)이 파인 깊이는 다음의 수식에 따른 파장의 길이와 관계된다.
Figure 112013079800664-pat00003
V: 음파의 속도
f: 주파수
λ: 파장
수학식 1에 의해 음향감지막(10)의 공진주파수를 알게되면, 수학식 2를 이용해 음파의 속도와 공진주파수와의 관계에서 파장을 구할 수 있다.
25℃의 온도 조건에서 공진주파수에 따른 공기 중 음파의 파장을 나타낸 결과는 다음의 표 1과 같다.
주파수(kHz) λ(mm) λ/4(mm) 조건
50 6.8 1.7 공기 중, 25℃
100 3.4 0.85
150 2.27 0.56
200 1.7 0.43
250 0.74 0.18
이렇게 파장이 계산되면 음향반사판(30)의 공진홀(32)은 해당 파장의 0.25배의 깊이(L)로 파이도록 형성된다.
이때 음향감지기판(20)의 음파채널(21)을 통해 인도된 음파는, 음향감지막(10)에 진동을 일으키며 통과한 후, 음향반사판(30)의 공진홀(32)에 의해 음향감지막(10)에 보강 간섭을 일으키며, 이에 따라 공진주파수에서의 진동이 증폭되어 초음파 센서(100)의 감도가 향상된다.
본 실시예의 음향반사판(30)은 공진홀(32) 내부로부터 음향반사판(30)을 관통하여 형성된 배기홀(33)을 포함한다. 이때, 배기홀(33)은 공진홀(32)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센서 어레이(2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초음파 센서 어레이(200)는 도 1에 도시된 초음파 센서가 어레이 형태로 배열된 실시예로서, 복수의 음향감지막(10), 음향감지기판(20) 및 음향반사판(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복수의 음향감지막(10)은 음파에 따라 진동하는 고유의 공진주파수를 각각 가진다.
음향감지기판(20)은 음향감지막(10)의 가장자리를 둘러싸 형성되며, 음향감지막(10) 각각의 위치에 대응하여 음향감지막(10)에 음파를 전달하는 복수의 음파채널(21)이 형성된다. 음향감지기판(20)은 음향감지막(10)의 진동에 따른 신호를 외부에 전달하기 위한 기판 형태를 취하며, 그 표면 또는 내부에 신호선을 구비한다. 이때, 음향감지기판(20)은 복수의 음파채널(21)을 구비한 단일의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음향반사판(30)은 음향감지막(10)을 사이에 두고 음파채널(21)과 대향하여 음향감지기판(20)의 일면에 결합되며, 음향감지막(10) 각각의 위치에 대응하여 음향감지막(10)의 공진주파수에 따라 일정 깊이로 파인 복수의 공진홀(32)을 구비한다. 이때, 음향반사판(30)은 복수의 공진홀(32)을 구비한 단일의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음향감지막(10)은 음파를 효율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음파의 진행 방향에 수직으로 형성된 원판형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음향감지기판(20)에 구비된 복수의 음파채널(21)은 원판형의 음향감지막(10)에 대응하여 실린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음향감지막(10) 각각의 공진주파수(F1, F2, F3, F4)는 수학식 1을 이용해 정해지며, 각각의 공진주파수(F1, F2, F3, F4)가 정해지면 수학식 2를 이용해 파장을 계산하여, 표 1과 같이 음향반사판(30)에 해당 파장 길이의 0.25배 깊이(L1, L2, L3, L4)로 파인 복수의 공진홀(32)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음향반사판(30)은 공진홀(32) 내부로부터 음향반사판(30)을 관통하여 형성된 배기홀(33)을 포함하며, 배기홀(33)은 공진홀(32)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음향감지막(10)이 고유의 공진주파수(F1, F2, F3, F4)를 가지도록 설계되고, 이러한 복수의 음향감지막(10)을 각각 포함한 초음파 센서가 어레이 형태로 배열되며, 복수의 초음파 센서 각각이 대응하는 공진주파수(F1, F2, F3, F4)에 따라 음파를 감지한 결과를 종합하여, 광대역 초음파 센서로서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어레이 형태로 배열된 초음파 센서 각각의 기능 및 동작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음향집속기(40)가 결합된 초음파 센서 어레이(3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초음파 센서 어레이(300)는 복수의 음향감지막(10), 음향감지기판(20), 음향반사판(30), 음향집속기(40) 및 케이스(5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도 2에 도시된 초음파 센서 어레이(200)에 음향집속기(40)를 결합하고 케이스(50) 내부에 위치시킨 실시예를 나타낸다.
음향집속기(40)는 음향반사판(30)과 대향하는 음향감지기판(20)의 일면에 결합되어, 음파채널(21)로 음파가 모아지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음향집속기(40)는 음파가 용이하게 음파채널(21)로 전달될 수 있도록 나팔 형태를 가진다.
이러한 음향집속기(40)는 소형인 초음파 센서의 수신 감도를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복수의 음향감지막(10), 음향감지기판(20), 음향반사판(30) 및 음향집속기(40)를 감싸 케이스(50)가 형성되어 있으며, 케이스(50)를 관통하여 음향감지기판(20)의 신호를 외부로 전달하는 신호선(52)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케이스(50)는 초음파 센서 어레이(300)의 외관을 이루며, 감지 대상물에 초음파 센서 어레이(300)를 용이하게 부착하도록 하거나, 먼지, 공기 또는 물 등으로부터 초음파 센서 어레이(300)를 단절하여 밀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음파가 투과되는 케이스(50)의 일면에는, 음파의 반사 손실을 줄이기 위해 음향 임피던스를 조정하는 음향매칭부(51)가 부착되며, 음향매칭부(51)는 케이스(50)의 내면을 따라 박막 형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스(50)가 복수의 음향감지막(10), 음향감지기판(20), 음향반사판(30) 및 음향집속기(40)를 감싸 형성되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음향집속기(40)를 제외하여 초음파 센서 어레이(300)가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케이스(50)는 복수의 음향감지막(10), 음향감지기판(20) 및 음향반사판(30)을 감싸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센서 어레이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초음파 센서 어레이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도 4에는 원판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음향감지막(10)이 있고, 해당 음향감지막(10)의 가장자리를 둘러싸 형성된 음향감지기판(20)이 위치한다. 이때, 음향감지기판(20)은 각 음향감지막(10)을 둘러싼 육각형의 형태를 갖고, 내부에 음향감지막(10)으로 음파를 전달하는 실린더 형태의 음파채널(21)이 형성된다.
복수의 음향감지막(10)은 고유의 공진주파수(f1 내지 f7)를 각각 가지며, 각 음향감지막(10)은 음파를 맞아 공진주파수에 따라 진동한다.
도 5에서 초음파 센서 어레이는 복수의 음향감지막(10)의 공진주파수(f1 내지 f7)에 따라, 각 주파수(f1 내지 f7)에서 우수한 감도를 갖게 되며, 이를 종합하여 광대역 특성의 초음파 센서로서 기능하게 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10: 음향감지막 20: 음향감지기판
21: 음파채널 30: 음향반사판
32: 공진홀 33: 배기홀
40: 음향집속기 50: 케이스
51: 음향매칭부 52: 신호선
100: 초음파 센서 200, 300: 초음파 센서 어레이

Claims (8)

  1. 복수의 공진주파수를 각각 가지는 복수의 음향감지막;
    상기 음향감지막의 가장자리를 둘러싸 형성되며, 상기 음향감지막 각각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음향감지막에 음파를 전달하는 복수의 음파채널이 형성된 음향감지기판; 및
    상기 음향감지막을 사이에 두고 상기 음파채널과 대향하여 상기 음향감지기판의 일면에 결합되며, 상기 음향감지막 각각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음향감지막의 공진주파수에 따라 일정 깊이로 파인 복수의 공진홀을 구비한 음향반사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파장 공진형 초음파 센서 어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감지막은 원판형이고,
    상기 음파채널은 원판형의 상기 음향감지막에 대응하여 실린더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파장 공진형 초음파 센서 어레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감지막의 공진주파수는 수식
    Figure 112013079800664-pat00004
    에 의해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파장 공진형 초음파 센서 어레이.
    f0: 음향감지막의 공진주파수
    D: 음향감지막의 직경(m)
    T: 음향감지막의 응력(N/m)
    σ: 밀도(kg/m2)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홀은 상기 음향감지막의 공진주파수에 대응한 파장의 0.25배 깊이로 파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파장 공진형 초음파 센서 어레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반사판은 상기 공진홀 내부 압력 조절을 위해, 상기 공진홀 내부로부터 상기 음향반사판을 관통하여 형성된 배기홀;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파장 공진형 초음파 센서 어레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반사판과 대향하는 상기 음향감지기판의 일면에 결합되어 상기 음파채널로 음파가 모아지도록 보조하는 나팔 형태의 음향집속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파장 공진형 초음파 센서 어레이.
  7. 복수의 공진주파수를 각각 가지는 복수의 음향감지막;
    상기 음향감지막의 가장자리를 둘러싸 형성되며, 상기 음향감지막 각각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음향감지막에 음파를 전달하는 복수의 음파채널이 형성된 음향감지기판;
    상기 음향감지막을 사이에 두고 상기 음파채널과 대향하여 상기 음향감지기판의 일면에 결합되며, 상기 음향감지막 각각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음향감지막의 공진주파수에 따라 일정 깊이로 파인 복수의 공진홀을 구비한 음향반사판;
    상기 음향감지기판 및 상기 음향반사판을 감싸 형성된 케이스; 및
    음파의 반사 손실을 줄이기 위해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부착되어 음향 임피던스를 조정하는 음향매칭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파장 공진형 초음파 센서 어레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감지막은 원판형이고,
    상기 음파채널은 원판형의 상기 음향감지막에 대응하여 실린더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파장 공진형 초음파 센서 어레이.
KR1020130104623A 2013-05-03 2013-09-02 다중 파장 공진형 초음파 센서 어레이 KR1014343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9747 2013-05-03
KR1020130049747 2013-05-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4328B1 true KR101434328B1 (ko) 2014-08-27

Family

ID=51751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4623A KR101434328B1 (ko) 2013-05-03 2013-09-02 다중 파장 공진형 초음파 센서 어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43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5359A (ko) * 2017-09-01 2019-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공진기 어레이를 포함하는 소리 방향 탐지 센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3322A (ja) 1999-11-05 2001-05-18 Toshiba Tec Corp 周波数分解センサ
JP2001133318A (ja) 1999-11-05 2001-05-18 Toshiba Tec Corp 周波数分解センサ及びこのセンサの製造方法
JP2007285960A (ja) 2006-04-19 2007-11-01 Denso Corp 振動センサおよび振動検出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3322A (ja) 1999-11-05 2001-05-18 Toshiba Tec Corp 周波数分解センサ
JP2001133318A (ja) 1999-11-05 2001-05-18 Toshiba Tec Corp 周波数分解センサ及びこのセンサの製造方法
JP2007285960A (ja) 2006-04-19 2007-11-01 Denso Corp 振動センサおよび振動検出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5359A (ko) * 2017-09-01 2019-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공진기 어레이를 포함하는 소리 방향 탐지 센서
KR102335774B1 (ko) 2017-09-01 2021-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공진기 어레이를 포함하는 소리 방향 탐지 센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60439B2 (en) Ultrasonic transducer for ranging measurement with high directionality using parametric transmitting array in air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10932062B2 (en) Ultrasonic proximity sensor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JP4128144B2 (ja) 円筒形超音波トランシーバ
US6411014B1 (en) Cylindrical transducer apparatus
US6493288B2 (en) Wide frequency band micromachined capacitive microphone/hydrophone and method
US7388810B2 (en) Ultrasonic distance measurement system
US8450907B2 (en) Sound generator for use in parametric array
TW200718926A (en) Oscillatory wave detecting apparatus
KR101667276B1 (ko) 소형 개구 음향 센서를 이용하는 디지털 전사 시스템
AU2020103892A4 (en) Sensing element used to fabricate high-frequency, wideband and high-sensitivity underwater acoustic transducer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Zhang et al. Multi-band asymmetric piezoelectric MEMS microphone inspired by the Ormia ochracea
US11344915B2 (en) Ultrasonic wave amplifying unit and non-contact ultrasonic wave transducer using same
FI973665A (fi) Laite ja menetelmä korvan akustisen heijastumissuhteen käyrän muodon muodostamiseksi ja mittaamiseksi
KR101434328B1 (ko) 다중 파장 공진형 초음파 센서 어레이
CN103582912B (zh) 用于相控阵声学系统的换能器
KR20190047715A (ko) 하이드로폰, 에너지 변환 방법 및 복합 하이드로폰
JP7183386B2 (ja) 領域監視のための1d超音波変換器ユニット
JPWO2007132728A1 (ja) 超音波受波器
JPH02246500A (ja) 超音波センサ
CN103250430A (zh) 振荡器设备和电子仪器
KR100732371B1 (ko) 초음파 거리측정 장치
Gürkan et al. Design of a broadband semi-conical PVDF ultrasonic sensor for obstacle detection applications
KR20240003109A (ko) 특정 초음파 음원에 대한 지향성 센서장치
Wu et al. Progress of the development and calibration of needle-type ultrasonic hydrophone
JP2020112466A (ja) セン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