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3886B1 - 가공 품질 측정이 가능한 절삭 가공 설비 - Google Patents

가공 품질 측정이 가능한 절삭 가공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3886B1
KR101433886B1 KR1020130001422A KR20130001422A KR101433886B1 KR 101433886 B1 KR101433886 B1 KR 101433886B1 KR 1020130001422 A KR1020130001422 A KR 1020130001422A KR 20130001422 A KR20130001422 A KR 20130001422A KR 101433886 B1 KR101433886 B1 KR 101433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roll
computer
embossing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1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9700A (ko
Inventor
신동수
이왕섭
Original Assignee
제이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이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1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3886B1/ko
Publication of KR20140089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9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3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3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7/00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 B23Q17/24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using optics or electromagnetic waves
    • B23Q17/248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using optics or electromagnetic waves using special electromagnetic means or methods
    • B23Q17/249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using optics or electromagnetic waves using special electromagnetic means or methods using image analysis, e.g. for radar, infrared or array camera im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7/00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 B23Q17/20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workpiece characteristics, e.g. contour, dimension, hard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7/00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 B23Q17/24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using optics or electromagnetic waves
    • B23Q17/2452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using optics or electromagnetic waves for measuring features or for detecting a condition of machine parts, tools or work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17/00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삭 가공 설비에 레이저 센서가 장착됨으로써, 절삭 가공 후 바로 검사가 가능하여, 가공 품질에 대한 검사가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절삭 가공시 공작물 거치대에 공작물이 올려진 상태로 가공 품질 검사가 가능하므로, 검사 후 연삭 등의 추가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레이저 센서에서 측정한 신호는 무선 통신을 통해 사무실에 있는 컴퓨터로 전달이 가능하여, 시험자가 사무실에서 편리하게 측정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가공 품질 측정이 가능한 절삭 가공 설비{Cutting machine facility possible to measure quality}
본 발명은 가공 품질 측정이 가능한 절삭 가공 설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절삭 가공시 가공 품질의 검사도 가능하여 편의성이 향상된 가공 품질 측정이 가능한 절삭 가공 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리나 전자 제품 등을 포호하기 위한 포장 용지로 많이 사용되는 골판지는 골판지 롤 금형을 통해 성형된다. 상기 골판지 롤 금형은 절삭가공에 의해서 산과 골이 형성된다.
상기 절삭 가공은 재료를 깎아 가공하는 방법을 말하며, 선반, 밀링 머신, 세이빙 머신 등의 공작 기계를 이용한다. 절삭 방법으로는 공작물을 회전시켜 가공하는 선삭(Turning), 평면이나 홈 절삭을 하는 평삭(Planing), 구멍을 뚫는 드릴링(Drilling), 밀링 커터를 회전시켜 절삭하는 밀링(Milling)등이 있으며, 숫돌을 이용한 연삭 가공도 포함한다.
공개특허 10-2004-0068683호에서는 골판지 성형용 골 롤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절삭 가공에 의해 골판지 롤 금형을 제작한 후, 골판지 롤의 골과 산 등의 형상 및 진원도 등에 대한 가공 품질 검사가 필요하다. 종래에는 시험자가 게이지 등을 이용해 직접 육안으로 검사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시험자에 따라 측정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검사 정확도가 매우 낮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검사 후 가공 품질에 이상이 있을 경우, 공작물을 다시 공작 기계 등에 셋팅하여 재가공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절삭 가공시 가공 품질 검사가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가공 품질 측정이 가능한 절삭 가공 설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공 품질 측정이 가능한 절삭 가공 설비는, 롤 형상의 공작물을 회전 또는 직선이동시키는 공작물 거치대와, 상기 공작물의 회전 또는 직선 이동시 상기 공작물의 표면에 골과 산을 가공하여 골판지 롤을 만드는 공정 중 적어도 하나에 이용되는 절삭 공구와, 상기 골판지 롤의 형상을 레이저를 이용해 측정하고, 측정 신호를 무선 통신으로 전송하는 레이저 센서와, 상기 무선 통신으로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여 형상 데이터로 산출하여 표시하고, 상기 형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골판지 롤의 골 깊이, 진원도, 원통도 중 적어도 하나의 가공 품질을 판단하고 표시하는 컴퓨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가공 품질 측정이 가능한 절삭 가공 설비는, 롤 형상의 공작물을 회전 또는 직선이동시키는 공작물 거치대와, 상기 공작물의 회전 또는 직선 이동시 상기 공작물의 표면에 엠보싱을 가공하여 엠보싱 롤을 만드는 공정 중 적어도 하나에 이용되는 절삭 공구와, 상기 엠보싱 롤의 엠보싱 형상을 레이저를 이용해 측정하고, 측정 신호를 무선 통신으로 전송하는 레이저 센서와, 상기 무선통신으로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여 형상 데이터로 산출하여 표시하고, 상기 형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엠보싱의 면적당 개수, 형상, 상기 엠보싱 롤의 원통도 중 적어도 하나의 가공 품질을 판단하고 표시하는 컴퓨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절삭 가공 설비에 레이저 센서가 장착됨으로써, 절삭 가공 후 바로 검사가 가능하여, 가공 품질에 대한 검사가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절삭 가공시 공작물 거치대에 공작물이 올려진 상태로 가공 품질 검사가 가능하므로, 검사 후 연삭 등의 추가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레이저 센서에서 측정한 신호는 무선 통신을 통해 사무실에 있는 컴퓨터로 전달이 가능하여, 시험자가 사무실에서 편리하게 측정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골판지 롤의 절삭 가공 설비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골판지 롤과 레이저 센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절삭 가공 설비의 직선이동 거치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엠보싱 롤의 절삭 가공 설비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엠보싱 롤에 대한 센싱 데이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골판지 롤의 절삭 가공 설비는, 공작물, 공작물 거치대(10), 절삭 공구(22), 공구 거치대(20), 레이저 센서(30), 무선 중계기(40), 컴퓨터(50)를 포함한다.
상기 공작물은 롤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절삭 공구(22)에 의해 표면에 골과 산이 형성된 골판지 롤(2)이다. 상기 골판지 롤(2)은 골판지를 성형시 사용되는 금형이다.
상기 공작물 거치대(10)는 상기 공작물이 장착되고, 상기 공작물을 회전 또는 직선 이동시키도록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공작물 거치대(10)는 상기 공작물을 회전시키는 회전축(12a)을 포함하는 회전 거치대(12)와, 상기 공작물을 좌우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키는 직선이동 거치대(14)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직선이동 거치대(14)는 레일(16)위에 설치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공작물 거치대(10)는 고정되고, 상기 공구 거치대(20)가 회전하거나 직선 이동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절삭 공구(22)는 상기 공구 거치대(20)에 착탈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절삭 공구(22)는 상기 공작물의 표면을 절삭하여 골(2b)과 산(2a)을 형성하여 골판지 롤(2)을 만드는 공정 중 적어도 하나의 공정에 이용되는 공구인 바, 본 실시예에서는 연삭 공정에 이용되는 연삭용 숫돌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절삭 공구(22)는 가공 형상이나 공작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공구가 교체되어 사용된다.
상기 공구 거치대(20)는 고정 설치되거나, 상하방향으로 직선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공구 거치대(20)의 하단에는 상기 절삭 공구(22)가 결합된다.
상기 레이저 센서(30)는, 상기 골판지 롤(2)에 레이저를 발사하여 상기 골판지 롤(2)의 형상을 측정한다. 상기 레이저 센서(30)는 레이저를 발사하고 반사된 레이저를 수신하는 센서부(31)(32)와, 상기 센서부(31)(32)에서 측정한 신호를 무선 통신으로 전송하는 단말기부(34)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부(31)(32)는, 레이저를 발사하는 발광부(31)와, 상기 발광부(31)에서 발사되어 상기 골판지 롤(2)에서 반사된 레이저를 받는 수광부(32)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부(31)(32)는 링크(33)에 의해 상기 공구 거치대(20)에 연결된다.
상기 단말기부(34)는 상기 공구 거치대(20)에 설치되고, 후술하는 무선 중계기(40)와 무선 통신한다.
상기 레이저 센서(30)는 상기 공구 거치대(20)에 설치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레이저 센서(30)가 장착되는 별도의 센서 거치대가 구비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별도의 센서 거치대가 구비될 경우, 상기 센서 거치대는 상하방향으로 직선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무선 중계기(40)는, 상기 레이저 센서(30)의 단말기부(34)에서 송신하는 무선 신호를 무선 통신으로 전송받고, 다시 상기 컴퓨터(50)로 무선 통신으로 전송한다. 상기 무선 중계기(40)는 상기 레이저 센서(30)의 단말기부(34)에서 송신하는 무선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를 포함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레이저 센서(30)의 단말기부(34)에서 상기 컴퓨터(50)로 직접 무선 통신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컴퓨터(50)는 상기 무선 통신으로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여 형상 데이터로 산출하는 산출부(미도시), 산출된 형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미도시), 미리 측정된 기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미도시)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절삭 가공 설비는 공장에 설치되고, 상기 컴퓨터(50)는 사무실이 있는 건물(51)안에 설치되어 시험자가 사용하는 개인용 컴퓨터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컴퓨터(50)는 휴대용 단말기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50)는 상기 무선 통신으로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여 형상 데이터를 산출하여 표시하고, 상기 형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골판지 롤(2)의 골 깊이, 진언도, 원통도 중 적어도 하나의 가공 품질을 판단하고 데이터를 표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골판지 롤의 가공 품질 측정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골판지 롤 형상으로 가공된 표준 시편을 상기 레이저 센서(30)를 이용해 진원도, 골 깊이, 원통도 등을 측정하고, 측정 신호를 기준 데이터로 미리 설정한다. 상기 기준 데이터는 상기 컴퓨터(50)에 미리 저장된다.
다음, 롤 형상의 공작물을 상기 공작물 거치대(10)에 거치한 후 상기 절삭 공구(22)를 이용해 가공한다. 상기 직선 이동 거치대(14)를 직선 이동 시키면서 상기 공작물의 길이방향으로 골(2b)을 형성한 후, 상기 회전 거치대(12)를 회전시켜 소정각도로 이격된 위치에 다시 골(2b)을 형성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상기 과정을 반복하면, 상기 공작물의 표면에 골(2b)과 산(2a)이 가공되어, 골판지 롤(2)이 가공된다.
절삭 가공이 완료되면, 상기 공작물 거치대(10)에 상기 골판지 롤(2)을 그대로 둔 채로(또는 회전시키면서), 상기 레이저 센서(30)를 이용해 상기 골판지 롤(2)을 측정한다. 상기 골판지 롤(2)을 상기 공작물 거치대(10)에서 내리거나 이동시키지 않고, 그대로 측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검사가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골판지 롤(2)의 진원도는, 상기 골판지 롤(2)을 미리 설정된 속도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골판지 롤(2)의 표면 중 동일한 원주 상에 형성된 골(2b)과 산(2a)에 레이저를 발사하고 반사된 레이저 값에 따라 측정한다. 상기 골(2b)과 산(2a)에서 반사된 레이저는 상기 수광부(32)에서 감지한다. 상기 수광부(32)에서 감지한 값에 대한 신호는 상기 무선 중계기(40)를 통해 상기 컴퓨터(50)로 전송된다. 상기 컴퓨터(50)는, 무선 통신으로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여 고도값을 계산하고 형상 데이터로 산출한다. 상기 골(2b)에 대한 고도값은 상대적으로 낮은 로우(low) 값으로 나타나고, 상기 산(2a)에 대한 고도값은 상대적으로 높은 하이(high)값으로 나타나며, 상기 골(2b)과 산(2a)사이는 경사도를 반영하여 기울기가 증가 또는 감소되는 값으로 나타난다. 상기 형상 데이터에 따라 상기 골(2b) 또는 상기 산(2a)의 측면에 접하는 원에 대한 반경을 계산하여, 상기 골판지 롤(2)의 진원도를 측정하고, 상기 골(2b)과 산(2a)의 형상을 확인한다. 상기 형상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진원도에 대한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가공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판단한다.
또한, 상기 골판지 롤(2)의 골 깊이는, 상기 골판지 롤(2)을 미리 설정된 각도로 회전시켜 설정 각도에 위치한 골(2b)에 레이저를 발사하고 반사된 레이저 값에 따라 측정한다. 상기 골(2b)에서 반사된 레이저는 상기 수광부(32)에서 감지하고, 상기 수광부(32)에서 감지한 값에 대한 신호는 상기 무선 중계기(40)를 통해 상기 컴퓨터(50)로 전송된다. 상기 컴퓨터(50)는, 무선 통신으로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여 형상 데이터로 산출한다. 즉, 상기 형상 데이터에 따라 상기 골(2b)의 깊이를 계산한다. 또한, 미리 설정된 골 깊이에 대한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가공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판단한다.
또한, 상기 골판지 롤(2)의 원통도는, 상기 골판지 롤(2)을 소정각도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산(2a)에 레이저를 발사하고 반사된 레이저 값에 따라 측정한다. 상기 산(2a)에서 반사된 레이저는 상기 수광부(32)에서 감지하고, 상기 수광부(32)에서 감지한 값에 대한 신호는 상기 무선 중계기(40)를 통해 상기 컴퓨터(50)로 전송된다. 상기 컴퓨터(50)는, 무선 통신으로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여 형상 데이터로 산출한다. 즉, 상기 형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골판지 롤(2)의 중심을 계산하고, 각 위치마다 측정된 중심의 일치여부를 판단하여 원통도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미리 설정된 원통도에 대한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가공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판단한다.
상기 컴퓨터(50)는 상기 형상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형상 데이터와 기준 데이터를 비교한 값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50)는 상기 형상 데이터와 기준 데이터를 비교하여, 비교값에 따라 상기 절삭 공구(22)의 추가 가공 여부를 지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골판지 롤(2)이 상기 공구 거치대(10)에 놓여진 상태이기 때문에, 검사가 끝난 후 연삭 등의 추가 가공이 바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50)는 측정된 원통도에 대한 가공 품질이 미리 설정된 기준 데이터의 원통도에 대한 기준 품질에 도달하지 못하면, 상기 절삭 공구(22)을 이용해 상기 골판지 롤(2)을 재가공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레이저 센서(30)로부터 무선 통신에 의해 측정 신호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시험자가 사무실에서 편리하게 시험 정보를 받고 정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엠보싱 롤의 절삭 가공 설비는, 공작물, 공작물 거치대(10), 절삭 공구(22), 레이저 센서(30), 무선 중계기(40), 컴퓨터(50)를 포함하고, 상기 공작물은, 상기 절삭 공구(22)에 의해 표면에 엠보싱(102)이 형성된 엠보싱 롤(100)인 것이 상기 제1실시예와 상이하고,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고, 상기 제1실시예와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엠보싱 롤(100)은 엠보싱 지를 만들기 위한 금형이다.
상기 레이저 센서(30)는, 상기 엠보싱 롤(100)의 엠보싱의 면적당 개수, 형상, 원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엠보싱 롤의 가공 품질 측정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엠보싱 롤 형상으로 가공된 표준 시편을 상기 레이저 센서(30)를 이용해 측정하고, 측정 신호를 기준 데이터로 미리 설정한다. 상기 기준 데이터는 상기 컴퓨터(50)에 미리 저장된다.
다음, 롤 형상의 공작물을 상기 공작물 거치대(10)에 거치한 후 상기 절삭 공구(22)를 이용해 가공한다. 상기 직선 이동 거치대(14)를 직선 이동 시키거나 상기 회전 거치대(12)를 회전시키면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엠보싱(102)을 형성하여, 엠보싱 롤(100)을 가공한다.
가공된 엠보싱 롤(100)을 상기 레이저 센서(30)를 이용하여 형상을 측정한다.
상기 엠보싱(102)의 면적당 개수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엠보싱 롤(100)을 직선 이동시키면서, 상기 엠보싱 롤(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직선으로 상기 레이저를 발사하고 반사된 레이저 값을 감지한다. 하지만, 상기 엠보싱 롤(100)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엠보싱 롤(1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레이저를 발사하고 반사된 레이저 값을 감지할 수도 있다.
상기 수광부(32)에서 감지된 값은 상기 무선 중계기(40)를 통해 상기 컴퓨터(50)로 전송된다. 상기 컴퓨터(50)는 무선 통신으로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여 형상 데이터로 산출하여 표시한다. 상기 엠보싱(102)의 유무에 따라 상기 수광부(32)에서 감지되는 레이저 값이 크게 차이 나므로, 상기 컴퓨터(50)는 상기 형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엠보싱(102)의 개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50)는, 미리 설정된 엠보싱 개수에 대한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가공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판단한다.
또한, 상기 엠보싱 롤(100)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엠보싱 롤(100)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레이저를 발사하고 반사된 레이저 값을 감지하여, 상기 엠보싱 롤(100)의 원주방향을 따라 위치한 엠보싱 개수를 측정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도 5에서는, 상기 엠보싱(102)의 개수를 감지하는 방법에 대한 일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이저 센서(30)를 이용해 상기 엠보싱 롤(100)에서 복수의 엠보싱들(102)을 따라 일직선 방향(L)으로 센싱한다. 여기서는, 상기 엠보싱 롤(100) 중에서 일부분, 즉 3개의 엠보싱들(102)을 따라 센싱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5b에는, 상기 3개의 엠보싱들(102a)을 센싱한 신호로부터 계산된 고도값을 나타내고 있다. 즉, 상기 엠보싱(102)이 존재하는 3개의 영역에서는 고도값이 상대적으로 높은 하이(high)값이 나타나고, 상기 엠보싱(102)이 존재하지 않는 영역에서는 고도값이 상대적으로 낮은 로우(low)값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도 5b에 도시된 형상 데이터를 통해 상기 엠보싱(102)의 개수가 3개라는 것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엠보싱(102)의 형상은, 상기 엠보싱 롤(100)을 소정각도로 회전시키면서 동일한 원주 상에 형성된 엠보싱(102)에 레이저를 발사하고, 반사된 레이저 값을 측정한다. 상기 엠보싱 롤(100)에서 반사된 레이저는 상기 수광부(32)에서 감지하고, 상기 수광부(32)에서 감지한 값에 대한 신호는 상기 무선 중계기(40)를 통해 상기 컴퓨터(50)로 전송된다. 상기 컴퓨터(50)는, 무선 통신으로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여 고도값을 계산하고 형상 데이터로 산출한다. 상기 엠보싱(102)의 볼록한 형상에 따라 고도값이 2차 곡선 형태로 증가 또는 감소되는 형태로 나타난다. 상기 형상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상기 엠보싱(102)의 형상에 대한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엠보싱(102)의 형상 가공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판단한다.
또한, 상기 엠보싱 롤(100)의 원통도는, 상기 엠보싱 롤(100)를 소정각도로 회전시키면서 레이저를 발사하고 반사된 레이저 값을 측정한다. 상기 엠보싱 롤(100)에서 반사된 레이저는 상기 수광부(32)에서 감지하고, 상기 수광부(32)에서 감지한 값에 대한 신호는 상기 무선 중계기(40)를 통해 상기 컴퓨터(50)로 전송된다. 상기 컴퓨터(50)는, 무선 통신으로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여 형상 데이터로 산출한다. 즉, 상기 형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엠보싱 롤(100)의 중심을 계산하고, 각 위치마다 측정된 중심의 일치여부를 판단하여 원통도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미리 설정된 원통도에 대한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가공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판단한다.
상기 컴퓨터(50)는 상기 형상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형상 데이터와 기준 데이터를 비교한 값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50)는 상기 형상 데이터와 기준 데이터를 비교하여, 비교값에 따라 상기 절삭 공구(22)의 추가 가공 여부를 지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엠보싱 롤(100)이 상기 공구 거치대(10)에 놓여진 상태이기 때문에, 검사가 끝난 후 연삭 등의 추가 가공이 바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50)는 측정된 원통도에 대한 가공 품질이 미리 설정된 원통도에 대한 기준 품질에 도달하지 못하면, 상기 절삭 공구(22)을 이용해 상기 엠보싱 롤(100)을 재가공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레이저 센서(30)로부터 무선 통신에 의해 측정 신호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시험자가 사무실에서 편리하게 시험 정보를 받고 정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공작물 거치대 20: 공구 거치대
22: 절삭 공구 30: 레이저 센서
40: 무선 중계기 50: 컴퓨터

Claims (8)

  1. 삭제
  2. 롤 형상의 공작물을 회전 또는 직선이동시키는 공작물 거치대와;
    상기 공작물의 회전 또는 직선 이동시 상기 공작물의 표면에 엠보싱을 가공하여 엠보싱 롤을 만드는 공정 중 적어도 하나에 이용되는 절삭 공구와;
    상기 엠보싱 롤의 엠보싱 형상을 레이저를 이용해 측정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한 측정 신호를 무선 통신으로 전송하는 단말기부를 포함하는 레이저 센서와;
    상기 무선통신으로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여 형상 데이터로 산출하여 표시하고, 상기 형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엠보싱의 면적당 개수, 형상, 상기 엠보싱 롤의 원통도 중 적어도 하나의 가공 품질을 판단하고 표시하는 컴퓨터와;
    상기 레이저 센서에서 송신하는 무선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컴퓨터로 전송하는 무선 중계기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는 상기 엠보싱들을 센싱한 신호로부터 계산된 고도값을 상대적으로 높은 하이(high)값과 상대적으로 낮은 로우(low)값으로 나타내고 상기 하이값과 상기 로우값의 개수에 따라 상기 엠보싱들의 면적당 개수를 측정하고, 상기 엠보싱들을 센싱한 신호로부터 계산된 고도값을 2차 곡선 형태의 형상 데이터로 산출하여 산출된 형상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엠보싱의 형상을 측정하는 가공 품질 측정이 가능한 절삭 가공 설비.
  3. 삭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절삭 공구가 장착되고, 회전 또는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공구 거치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 센서는 상기 공구 거치대에 장착된 가공 품질 측정이 가능한 절삭 가공 설비.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센서가 장착되고, 회전 또는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센서 거치대를 더 포함하는 가공 품질 측정이 가능한 절삭 가공 설비.
  6. 삭제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는, 미리 가공된 표준 시편을 상기 레이저 센서로 측정하고 측정신호를 기준 데이터로 미리 설정하고,
    상기에서 산출된 형상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가공 적합 여부를 판단하는 가공 품질 측정이 가능한 절삭 가공 설비.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는, 가공 품질이 미리 설정된 기준 품질에 도달하지 못하면, 상기 절삭 공구를 이용하여 재 가공하도록 제어하는 가공 품질 측정이 가능한 절삭 가공 설비.
KR1020130001422A 2013-01-07 2013-01-07 가공 품질 측정이 가능한 절삭 가공 설비 KR1014338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1422A KR101433886B1 (ko) 2013-01-07 2013-01-07 가공 품질 측정이 가능한 절삭 가공 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1422A KR101433886B1 (ko) 2013-01-07 2013-01-07 가공 품질 측정이 가능한 절삭 가공 설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9700A KR20140089700A (ko) 2014-07-16
KR101433886B1 true KR101433886B1 (ko) 2014-08-29

Family

ID=51737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1422A KR101433886B1 (ko) 2013-01-07 2013-01-07 가공 품질 측정이 가능한 절삭 가공 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38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31349A (zh) * 2018-11-16 2019-03-29 东莞协旭机械有限公司 一种瓦楞辊磨床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64811B (zh) * 2015-06-15 2017-06-16 吉林大学 一种叶片复杂曲面的原位测量方法
CN108500737A (zh) * 2018-03-12 2018-09-07 广汽本田汽车有限公司 一种非接触式刀具检测装置及方法
CN109015111A (zh) * 2018-07-06 2018-12-18 华中科技大学 一种基于信息融合及支持向量机的刀具状态在线监测方法
CN112620762A (zh) * 2020-12-18 2021-04-09 贵州华烽电器有限公司 一种壳体键槽切削加工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461B1 (ko) * 2007-12-18 2009-12-17 주식회사 나래나노텍 롤의 동심도 및 좌우 밸런스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100009503A (ko) * 2008-07-17 2010-01-27 도시바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V홈 가공 방법 및 장치
KR20110023290A (ko) * 2009-08-31 2011-03-08 임창순 무선통신을 이용한 쓰레기 투입 장치, 쓰레기 집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23629B1 (ko) * 2009-02-20 2012-03-2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롤 금형 제작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461B1 (ko) * 2007-12-18 2009-12-17 주식회사 나래나노텍 롤의 동심도 및 좌우 밸런스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100009503A (ko) * 2008-07-17 2010-01-27 도시바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V홈 가공 방법 및 장치
KR101123629B1 (ko) * 2009-02-20 2012-03-2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롤 금형 제작장치
KR20110023290A (ko) * 2009-08-31 2011-03-08 임창순 무선통신을 이용한 쓰레기 투입 장치, 쓰레기 집하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31349A (zh) * 2018-11-16 2019-03-29 东莞协旭机械有限公司 一种瓦楞辊磨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9700A (ko) 2014-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3886B1 (ko) 가공 품질 측정이 가능한 절삭 가공 설비
US9304204B2 (en) Method and device for optically measuring the interior of a pipe
CN105423946A (zh) 基于激光位移传感器的轴颈轴心测量装置及测量标定方法
US4800652A (en) Machine for measuring generally circular objects in cylindrical coordinates
CN108680124B (zh) 形状公差光电检测机器人及检测方法
CA225253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the thickness of an article at a plurality of points
JPH0642947A (ja) 回転振れ又は輪郭の測定方法及び装置
KR101622444B1 (ko) 조강재의 형상 검사 장치 및 조강재의 형상 검사 방법
KR20130122545A (ko) 관의 3d 검출 장치 및 검출 방법
CN104959735A (zh) 大功率数控激光切割机床用z轴浮动控制装置及控制方法
CN103547386A (zh) 用于测定轧件的厚度的方法以及设备
CN111538286A (zh) 刀具控制装置及控制方法
CN107339960A (zh) 一种连杆的测量装置及测量方法
KR101673437B1 (ko) 기계 부품 검사 장치
CN105466381A (zh) 一种凹圆弧半径检测与圆弧度判定装置及方法
CN204771154U (zh) 大功率数控激光切割机床用z轴浮动控制装置
CN113059579A (zh) 一种柔性作业装置
KR100602209B1 (ko) 원목의 심출 처리방법 및 원목의 심출 처리장치
JP6717287B2 (ja) 溶接管の溶接部の形状寸法測定装置
KR20130035907A (ko) 스트랜드 가이드 롤러의 높이의 레이저 광학 판정을 위한 방법, 측정 시스템, 측정 터치 탐침부 및 측정 시스템의 용도
CN211317109U (zh) 一种复杂箱体内腔加工余量激光检测装置
CN109443163A (zh) 一种五瓣内孔直径的快速检测方法
JP2012106330A (ja) 測定装置
CN211515569U (zh) 移动打点装置
CN111975448A (zh) 对刀装置、加工设备及对刀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6